KR102440968B1 - 저소음/내진 및 화재예방을 제공하는 승강기 가이드레일 고정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저소음/내진 및 화재예방을 제공하는 승강기 가이드레일 고정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968B1
KR102440968B1 KR1020220036043A KR20220036043A KR102440968B1 KR 102440968 B1 KR102440968 B1 KR 102440968B1 KR 1020220036043 A KR1020220036043 A KR 1020220036043A KR 20220036043 A KR20220036043 A KR 20220036043A KR 102440968 B1 KR102440968 B1 KR 102440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uide rail
elevator
bracket
conn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강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강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강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36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9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66B7/026Inter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66B7/027Mounting means therefor for mounting 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용 가이드레일 고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승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내진과 진동을 저감시키고, 설치가 용이한 저소음 및 비용접으로 화재예방을 제공하는 승강기 가이드레일 고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바디, 그리고 일 측이 상기 제1바디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연결되는 제2바디 및 일 측이 상기 제1바디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연결되며, 상기 제2바디와 이웃하게 구비되는 제3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소음/내진 및 화재예방을 제공하는 승강기 가이드레일 고정용 브래킷{BRACKET FOR FIXING ELEVATOR GUIDE RAIL}
본 발명은 승강기용 가이드레일 고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승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켜 소음과 진동으로 인한 공해를 방지하고, 내진성이 우수하며, 설치가 용이한 저소음 및 비용접으로 화재예방을 제공하는 승강기 가이드레일 고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로프를 시프-도르래에 걸고 양 끝에 카와 균형추를 연결하여 상하 방행으로 카와 균형추를 움직이는 방식인 권상식 구동 방식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권상식 구동 방식을 사용하면 로프를 이용하여 승강기를 구동시키기 때문에 승강기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 및 안내시켜주는 가이드레일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며 가이드레일을 고정시키는 브래킷의 중요성이 요구되는 바이다.
또한 공동주택의 초고층화가 점점 확대되며 승강기 또한 고속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승강기가 고속화 되며 가이드레일을 고정하는 브래킷 위치는 콘크리트벽 과 철골 H빔 구조물을 통해 건물 내로 소음 및 진동이 가이드레일 근접세대에 전달됨으로서 입주자들과 건설사, 승강기 제조사 간의 분쟁이 점점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종래의 기술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027421호(이하 종래기술) 등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방진부재를 포함하여 승강기의 소음이 벽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포함하는 종래의 기술들에서는 방진부재를 포함하여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후된 방진부재를 교체할 필요성이 있으며, 또한 교체 시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브래킷 설치는 규정상 2.5미터당 4개씩 설치하므로 고층일 경우 많은 수량의 브래킷을 설치해야하는데 기존과 같이 현장에서 용접작업으로 브래킷을 설치 할 경우, 공사현장에 있는 각종쓰레기와 분진 및 공사용 자재에 용접 불씨가 튀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승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켜 소음과 진동으로 인한 공해를 방지하고, 내진성이 우수하며, 설치가 용이한 저소음 및 비용접으로 화재예방을 제공하는 승강기 가이드레일 고정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바디, 그리고 일 측이 상기 제1바디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연결되는 제2바디, 그리고 일 측이 상기 제1바디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연결되며 상기 제2바디와 이웃하게 구비되는 제3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바디에 형성된 제1연결공, 그리고 상기 제2바디에 형성된 제2연결공, 그리고 상기 제1연결공과 상기 제2연결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공, 상기 제2연결공 중 적어도 하나는 장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2바디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감싸는 수평몸체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교차 부분의 승강기 진행방향 면을 감싸는 수직몸체를 포함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수평몸체에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관통공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2바디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결속공 및 상기 결속공과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제1바디, 제2바디 및 제3바디를 포함하여 승강기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고,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여 용접을 하지 않고도 설치가 가능하므로 현장 작업 또는 유지보수시에 화재예방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바디와 제2바디의 교차 부분의 승강기 진행방향 면을 감싸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제1바디 및 제2바디에 결합된 볼트부재에 풀림이 생겨도 커버가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위치를 제한하여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고정을 일정시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커버와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밀착력을 강화하여 브래킷 설치 시 단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손 끼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커버를 통해 단차를 완화시켜 브래킷의 미관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브래킷에 따른 평면도.
도 2는 본 브래킷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브래킷에 따른 제1바디 및 제2바디.
도 4는 본 브래킷에 따른 연결방식.
도 5는 본 브래킷에 따른 커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또는 구현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승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켜 소음과 진동으로 인한 공해를 방지하고, 내진성이 우수하며, 설치가 용이한 저소음 및 비용접으로 화재예방을 제공하는 승강기 가이드레일 고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및 비용접을 제공하는 승강기 가이드레일 고정용 브래킷(본 브래킷)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브레킷은 승강기의 가이드레일과 콘크리트의 벽체를 연결하는 승강기 가이드레일 고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결합부(11)를 포함하는 제1바디(1), 그리고 일 측이 상기 제1바디(1)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연결되는 제2바디(2), 및 일 측이 상기 제1바디(1)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연결되며, 상기 제2바디(2)와 이웃하게 구비되는 제3바디(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1)는 가이드레일이 결합되는 면으로, 제1바디(1)의 제1상부면(12) 및 제1하부면(13)을 연결시키며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결합부(11)는 일 측이 제1상부면 모서리(121)에 연결되고, 타 측이 제1하부면 모서리(131)에 연결되며 구성되고, 결합부(11)에 승강기와 접촉하지 않는 가이드레일의 면이 접촉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11)에 형성된 결합공(111)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결합공(111)에 삽입되는 볼트로 고정된다.
상기 구성으로 인해, 가이드레일이 브래킷에 안정적으로 결합 및 고정되어, 승강기의 승강로를 안내할 수 있고, 갑작스런 정지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해도 수직하중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부(11)가 제1바디(1)의 제1상부면(12) 및 제1하부면(13) 모서리(121,131)에 연결되므로, 상기 가이드레일을 고정시키는 볼트가 상부면 및 하부면의 외측으로 빠져나오지 않아 작업자가 제1바디(1)를 설치 및 해체 할 시, 볼트가 제1바디(1)의 외측으로 빠져나와 신체를 찌르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측이 상기 제1바디(1)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연결되는 제2바디(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2)는 일 측이 제1바디(1)와 연결되어 제1바디(1)가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될 수 있게 하고, 타 측이 콘크리트 벽체에 연결되어 콘크리트 벽체와 제1바디(1)간에 제2바디(2)만큼의 이격거리를 형성시킨다.
제2바디(2)로 인해 승강기와 콘크리트 벽체 간의 이격거리가 형성되므로, 승강기의 소음이 콘크리트 벽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아 건물 내로 전달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상기 제1바디(1)와 제2바디(2)를 비용접으로 결합시키므로 화재예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일 측이 제1바디(1)와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연결되며, 상기 제2바디(2)와 이웃하게 구성되는 제3바디(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바디(3)를 더 포함하여, 승강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제1바디(1)가 제2바디(2) 및 제3바디(3)로 분할하여 콘크리트 벽체로 전달하므로, 콘크리트 벽체의 부분이 받는 진동이 저감되어 건물의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브래킷은 상기 제1바디(1)와 상기 제2바디(2)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수단(4)을 더 포함하여, 건물 내에서 승강기 설치를 위한 브래킷 설치 시,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제1바디(1)와 제2바디(2) 및 제1바디(1)와 제3바디(3)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설치에 용이성을 더해주며, 용접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브래킷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용접 작업으로 인해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수단(4)을 통해 제1바디(1)와 제2바디(2)를 고정시키므로 내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수단(4)은 제1바디(1)에 형성된 제1연결공(14), 그리고 제2바디(2)에 형성된 제2연결공(24) 및 상기 제1연결공(14)과 상기 제2연결공(24)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부재(41)는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411)와 너트(412)로 구성되어, 몸체(411)가 제1연결공(14) 및 제2연결공(24)에 삽입되고, 삽입된 몸체(411)가 제1 및 제2연결공(24)에서 탈락되지 않도록 너트(412)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구성으로 인해, 제1바디(1) 및 제2바디(2)에 형성된 제1연결공(14) 및 제2연결공(24)에 볼트부재(41)의 몸체(411)를 삽입 후 너트(412)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설치가 용이하며, 제1바디(1)와 제2바디(2)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수단(4)은 제1바디(1)에 형성된 제1연결공(14), 그리고 제3바디(3)에 형성된 제3연결공(34) 및 상기 제1연결공(14)과 상기 제3연결공(34)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부재(41)를 더 포함하여, 제1바디(1)와 제2바디(2)가 연결되는 방법과 같이 제1바디(1)와 제3바디(3)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른 효과 또한 제1바디(1)와 제2바디(2)가 연결되어 발생하는 효과와 같다.
또한 제1연결공(14) 또는 제2연결공(24) 중 적어도 하나는 장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연결공(14) 또는 제2연결공(24) 중 하나가 장공으로 구성되어 볼트부재(41)의 변위를 조절 시킬 수 있으므로, 제1바디(1) 및 제2바디(2)의 길이에 편차가 있거나 제1연결공 및 제2연결공(24)의 위치에 편차가 있어도 볼트부재(41)의 변위를 조절하여 제1바디(1) 및 제2바디(2)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연결공(14)이 단순 원형으로 형성되면, 제1바디(1) 제작 시 발생하는 오차로 인해 제1연결공(14)이 제2연결공(24)과 엇나가게 제작되어 볼트부재(41)가 제1연결공(14)과 제2연결공(24)을 통과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제1연결공(14)이 장공으로 형성되면, 제1바디(1)가 오차를 갖고 제작되어도, 제1바디(1)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시킬 수 있어, 제1연결공(14)인 장공 내로 제2연결공(24)을 위치시켜 볼트부재(41)가 삽입 가능 하므로 제1바디(1)와 제2바디(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연결공(14), 제2연결공(24) 모두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공(14) 및 제2연결공(24)이 모두 장공으로 형성되어, 제1바디(1)의 길이 및 제2바디(2)의 길이 방향으로 모두 볼트부재(41)의 변위를 조절할 수 있어, 제1바디(1) 및 제2바디(2)의 길이가 설계와 상이하게 제작되어도 볼트부재(41)의 변위 조절로 인해 제1바디(1) 및 제2바디(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장공의 폭은 볼트부재(41) 몸체(411)의 외경과 동일할 수 있다.
장공의 폭이 볼트부재(41) 몸체(411)의 외경과 동일하게 구성되면, 장공의 길이 방향의 변위는 조절하되, 장공 폭 방향의 변위는 조절 불가능하게 하여 길이 방향의 변위 조절 후, 너트(412)를 체결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바디(2)는 제2상부면(22)과 제2하부면(23)을 연결하는 제2연결면(2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면(21)은 제2상부면(22) 및 제2하부면(23)의 한 모서리와 연결되어 구성되고, 작업자가 상기 연결수단(4)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인해 작업자가 연결수단(4)의 조임 및 파손 등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교체 및 보수에 용이성을 더해준다.
제3바디(3) 또한 상기 제2바디(2)와 같이 제3상부면(32)과 제2하부면(33)을 연결하는 제3연결면(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수단(4)은 상기 제1바디(1) 및 제2바디(2)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감싸는 수평몸체(421)와 상기 제1바디(1)와 상기 제2바디(2)의 교차 부분의 승강기 진행방향 면을 감싸는 수직몸체(422)를 포함하는 커버(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42)를 더 포함하여, 제1바디(1) 및 제2바디(2)에 결합된 볼트부재(41)에 풀림이 생겨도 커버(42)가 제1바디(1) 및 제2바디(2)의 위치를 제한하여 제1바디(1) 및 제2바디(2)의 고정을 일정시간 유지시킬 수 있어, 내진성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 커버(42)는 제1바디(1)의 및 제2바디(2)의 상부면(22) 및 하부면(23)을 감싸는 수평몸체(42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평몸체(421)는 제1바디(1)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감싸 제1바디(1), 제2바디(2)와 커버(42)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바디(2)의 상부면(22) 및 하부면(23)을 감싸 커버(42)가 맞닿는 표면적을 넓혀 상기 제1바디(1) 및 제2바디(2)와 커버(42) 간의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커버(42)는 상기 수평몸체(421)를 연결시키며 구비되는 수직몸체(4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몸체(422)는 제1바디(1)와 제2바디(2)의 교차부분을 감싸며 구성되어, 승강기의 승하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외력으로부터 제1바디(1) 및 제2바디(2)의 연결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42)는 상기 수평몸체(421)에 형성된 관통공(423)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볼트부재(41)는 상기 관통공(423)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인해, 관통공(423)을 더 포함하여, 상기 볼트부재(41)의 몸체가 상기 관통공(423)에 끼움 결합하므로, 상기 볼트부재(41)가 장공 내에서 위치된 변위를 그대로 고정시킬 수 있다.
연결수단(4)은 상기 제2바디(2)의 상하면에 형성된 결속공(26) 및 상기 결속공(26)과 상기 관통공(423)을 통과하는 고정부재(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5)는 커버(42)를 제1바디(1)의 및 제2바디(2)의 상부면(22) 및 하부면(23)에 밀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커버(42)를 밀착하여 제1바디(1)와 제2바디(2)의 결합에 의해 생성된 단차를 완화 시킨다.
상기 구성으로 인해, 브래킷 설치 시 단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손 끼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커버(42)를 통해 단차를 완화시켜 브래킷의 미관이 향상된다.
상기 고정부재(5)는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재(5)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커버(42)에 형성된 관통공(423)에 삽입되고, 제2바디(2)의 결속공(26)에 관통공(423)을 통과한 고정부재(5)가 삽입되어 제2바디(2)와 커버(42)의 고정력을 상승시킨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바디(1)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11) 및 가이드레일과 접촉 구비되는 제1방진부재(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방진부재(6)을 포함하여, 콘크리트 벽체로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켜, 소음 방지와 진동으로 인해 콘크리트 벽체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방진부재(6)는 볼트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하므로 용접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이 가능하여 공사현장의 화재예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2바디(2) 및 제3바디(3)는 콘크리트 벽체에 접촉하는 면으로 구성된 설치면(25,35)을 더 포함하고 설치면(25,35)은 볼트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인해, 승강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제2바디(2) 및 제3바디(3)의 표면적보다 넓은 설치면(25,35)이 콘크리트 벽체로 진동을 전달시키므로, 같은 세기의 진동을 전달하더라도 더 적은 압력을 전달시켜 건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설치면(25,35)은 제2바디(2) 및 제3바디(3)에 용접 이음으로 연결될 수 있다. 용접 이음으로 형성되어 균열 등의 결함이 없이 제작되기 때문에 브래킷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상기 설치면(25,35)은 용접 이음 이후, 건물 내로 반입시켜 브래킷을 설치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콘크리트 벽체와 상기 제2바디(2) 및 제3바디(3)의 설치면 사이에 구비되는 제2방진부재(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방진부재(7)을 더 포함하여, 1차적으로 저감된 진동 및 소음을 재 저감시켜, 콘크리트 벽체에 가해지는 진동 및 소음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방진부재(6) 및 제2방진부재(7)은 실리콘, 합성수지, 고무 등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떤 것이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중앙에 볼트 체결을 위한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방진부재(6) 및 가이드레일과 접촉 구비되는 레일클립(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클립(8)의 통공에는 볼트(81)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11)에 장공의 결합공(111)이 형성되고, 장공에 레일클립(8)에 구비된 볼트(81)가 삽입된다. 이후 장공에서 볼트의 변위를 조절하여 레일클립(8)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인해, 가이드레일의 폭 너비에 상관없이 레일클립(8)을 위치를 조절하여 가이드레일을 설치 및 고정할 수 있어 작업의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의 폭에 따라 결합부(11)를 따로 제작 및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브래킷의 제작에 따른 경제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청구범위를 통해 한정되지 않은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제1바디
11: 결합부 111: 결합공
12: 제1상부면 121: 제1상부면 모서리
13: 제1하부면 131: 제1하부면 모서리
14: 제1연결공
2: 제2바디 21: 제2연결면
22: 제2상부면 23: 제2하부면
24: 제2연결공 25: 설치면
26: 결속공
3: 제3바디
4: 연결수단 41: 볼트부재
411: 몸체 412: 너트
42: 커버 421: 수평몸체
422: 수직몸체 423: 관통공
5: 고정부재 6: 제1방진부재
7: 제2방진부재
8: 레일클립 81: 레일클립 볼트

Claims (4)

  1. 승강기의 가이드레일과 콘크리트의 벽체를 연결하는 승강기 가이드레일 고정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바디;
    일 측이 상기 제1바디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연결되는 제2바디;
    일 측이 상기 제1바디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연결되며, 상기 제2바디와 이웃하게 구비되는 제3바디; 및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바디에 형성된 제1연결공, 상기 제2바디에 형성된 제2연결공 및 상기 제1연결공과 상기 제2연결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부재, 상기 제2바디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감싸는 수평몸체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교차 부분의 승강기 진행방향 면을 감싸는 수직몸체를 포함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수평몸체에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가이드레일 고정용 브래킷.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연결공, 상기 제2연결공 중 적어도 하나는 장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가이드레일 고정용 브래킷.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2바디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결속공 및 상기 결속공과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가이드레일 고정용 브래킷
KR1020220036043A 2022-03-23 2022-03-23 저소음/내진 및 화재예방을 제공하는 승강기 가이드레일 고정용 브래킷 KR102440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043A KR102440968B1 (ko) 2022-03-23 2022-03-23 저소음/내진 및 화재예방을 제공하는 승강기 가이드레일 고정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043A KR102440968B1 (ko) 2022-03-23 2022-03-23 저소음/내진 및 화재예방을 제공하는 승강기 가이드레일 고정용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968B1 true KR102440968B1 (ko) 2022-09-06

Family

ID=8328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043A KR102440968B1 (ko) 2022-03-23 2022-03-23 저소음/내진 및 화재예방을 제공하는 승강기 가이드레일 고정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9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01695A (ja) * 2010-03-26 2011-10-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レールブラケット装置
JP2014005124A (ja) * 2012-06-26 2014-01-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レールブラケット、エレベータレールブラケットによるガイドレール固定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01695A (ja) * 2010-03-26 2011-10-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レールブラケット装置
JP2014005124A (ja) * 2012-06-26 2014-01-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レールブラケット、エレベータレールブラケットによるガイドレール固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151336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3132649A1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取付装置
US20150083525A1 (en) Method of installing a machine in an elevator system
KR102440968B1 (ko) 저소음/내진 및 화재예방을 제공하는 승강기 가이드레일 고정용 브래킷
US11884510B2 (en) Drive system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elevator installation, and method for installing a drive on a support element of an elevator installation
JP7430071B2 (ja) 移動足場、移動足場システム、及び移動足場システムの設置方法
KR102080526B1 (ko)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
JP6704612B2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保持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エレベータ
CN113811505A (zh) 调整式轨道托架以及具备该调整式轨道托架的电梯装置
JP2017137154A (ja) エレベーター
KR20180048785A (ko)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
KR101753083B1 (ko) 엘리베이터 운행소음 감쇄 구조 및 방법
JP6541699B2 (ja) エレベーターの釣合おもり用耐震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の釣合おもり用耐震装置の取付方法
JP3806573B2 (ja) エレベータ装置のガイドレール支持構造
KR102075712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용 전도 방지장치
KR102696705B1 (ko) 좌굴방지형 강재슬릿 지진에너지 감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CN114380228B (zh) 电梯用卷扬机以及电梯用卷扬机的设置方法
JP4484494B2 (ja) エレベータ
JP7559251B2 (ja) 昇降路上部構造体、昇降路上部構造体の設置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
JP2019108175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605012B1 (ko)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
KR20190027421A (ko) 저소음 엘리베이터
KR20040024094A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KR200462381Y1 (ko)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슈
KR100346283B1 (ko) 엘리베이터 로프고정장치의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