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526B1 -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0526B1 KR102080526B1 KR1020190122651A KR20190122651A KR102080526B1 KR 102080526 B1 KR102080526 B1 KR 102080526B1 KR 1020190122651 A KR1020190122651 A KR 1020190122651A KR 20190122651 A KR20190122651 A KR 20190122651A KR 102080526 B1 KR102080526 B1 KR 1020805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bration
- noise
- elevator
- hoisting motor
- horizont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6—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imbalance, e.g. passengers on the same side
- B66B11/0266—Passive systems
- B66B11/0273—Passive systems acting between car and supporting fram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2—Structur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작동 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승강로 벽체와 승강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가 개시된다. 상기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는 승강카 하부에 설치되는 카틀과 상기 카틀을 승강카에 고정시키는 제1 빔 사이에 설치되어 권상기 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어 와이어로프를 통해 카틀에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이 승강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방진 방음부재 및, 상기 권상기 모터를 설치할 수 있도록 승강로 벽체에 설치되는 제2 빔과 승강로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권상기 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승강로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권상기 모터에 편하중이 가해져도 상기 권상기 모터가 항상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권상기 모터를 제2 빔에 연결시키고, 상기 권상기 모터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건물 벽체와 승강카로 전달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또는 업무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건축된 고층 건물에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가 설치된다.
상기 엘리베이터는 대략 그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승강카와, 소정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권상기 등이 구비되어 상기 승강카를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른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부 및,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기계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승강카가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고층 건물에는 상기 승강카를 고층 건물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로가 마련되며, 상기 승강로에는 상기 승강카가 승강로를 따라 안전하게 건물의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 레일에는 승강카가 슬라이딩 연결되어 상기 승강카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건물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경우 복수개의 브래킷에 의해 승강로 벽체에 고정된다.
한편, 최근 들어 건물의 초고층화와 더불어 엘리베이터 역시 초고속화가 진행되면서, 주행속도의 증가에 따른 공력소음과 진동이 증가되는 것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며, 승강카를 작동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은 가이드 레일과 복수개의 브래킷을 통해 승강로를 형성하는 건물 벽체에 그대로 전달되어 사람들이 피해를 호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의해 건축된 아파트의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철근콘크리트가 더욱 견고하게 경화되어 건물 벽체의 소음과 진동의 전달률이 높아지게 됨으로써 시간이 지날수록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건물 벽체를 따라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과 진동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권상기를 승강카의 상단부에 설치하여 권상기가 승강카와 함께 승강되도록 하여 권상기 작동 시 승강로 벽을 따라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시키는 엘리베이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나 승강카의 상단부에 권상기를 설치한다 하더라도 상기 권상기 작동 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승강카와 가이드 레일 및 브래킷을 통해 승강로 벽체에 그대로 전달되어 소음 및 진동의 감소 효율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작동 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승강로 벽체와 승강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권상기 모터 작동 시 상기 권상기 모터에 순간적이고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편하중을 상쇄 및 완충시켜 상기 권상기 모터가 전도되지 않고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권상기 모터의 전도 위험이 존재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작동 시 소음과 진동에 따른 피해를 호소하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도 손쉽게 적용하여 권상기 모터가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작동 시 승강로 벽체와 승강카에 소음 및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강카 하부에 설치되는 카틀과 상기 카틀을 승강카에 고정시키는 제1 빔 사이에 설치되어 권상기 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어 와이어로프를 통해 카틀에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이 승강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방진 방음부재 및, 상기 권상기 모터를 설치할 수 있도록 승강로 벽체에 설치되는 제2 빔과 승강로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권상기 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승강로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권상기 모터에 편하중이 가해져도 상기 권상기 모터가 항상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권상기 모터를 제2 빔에 연결시키고, 상기 권상기 모터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을 포함하는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를 제시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2 빔은 상기 승강로 벽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편하중 지지부 및, 상기 편하중 지지부의 일측 끝단부에 양측 끝단부가 연결되며 상부에는 권상기 모터가 설치되는 모터 설치부를 포함하여, 상기 권상기 모터에 가해지는 편하중을 상기 모터 설치부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승강로 벽체에 설치된 한 쌍의 편하중 지지부에 의해 상쇄시켜 권상기 모터가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은 상기 승강로 벽체에 설치되어 권상기 모터로부터 발생되어 전도 방지 빔으로 전달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여 승강로 벽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탄성력을 가지는 진동 소음 흡수수단 및, 상기 진동 소음 흡수수단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상기 제2 빔에 설치되어 권상기 모터에 편하중이 지속적으로 가해진다 하더라도 상기 진동 소음 흡수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위치가 원상 복원되어 상기 제2 빔이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평 조절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제2 빔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 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동 소음 흡수수단은 상기 승강로 벽체에 고정 설치되며 유동 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고정판, 상기 유동 방지돌기에 끼워지도록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상기 수평 조절수단의 하단부가 볼 접촉되어 탄성 지지되는 볼 접촉 홈이 마련된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동 소음 흡수수단은 상기 탄성부재와 지지판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탄성부재에 씌워지며 상부면에 수평 조절수단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 홀이 마련되는 탄성부재 보호 캡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수평 조절수단은 상기 진동 소음 흡수수단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제2 빔과 승강로 벽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빔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2 빔을 지지하며 상부면에는 관통 홀이 마련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수평 조절부재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제2 빔에 마련되는 관통 홀과, 상기 관통 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2 빔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수평 조절부재 결합용 너트부 및, 상기 진동 소음 흡수수단의 지지판의 볼 접촉 홈에 하단부가 볼 접촉되며 상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과 제2 빔에 마련된 관통 홀을 관통하여 제2 빔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수평 조절부재 결합용 너트부에 나사 체결되어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수평 조절부재 결합용 너트부를 승강시켜 제2 빔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 조절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제2 빔에 마련된 관통 홀을 관통하도록 상기 수평 조절부재 결합용 너트부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판의 볼 접촉 홈에 볼 접촉되어 탄성 지지되는 볼 접촉부 및, 상기 볼트부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공구를 결합하여 상기 볼트부를 회전시켜 수평 조절부재 결합용 너트부를 승강시켜 제2 빔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공구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권상기 모터와 제2 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권상기 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제2 빔을 통해 승강로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방진 방음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와이어로프의 양측 끝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로프소켓이 관통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승강로 벽체에 고정되는 제3 빔과 승강로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권상기 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와이어로프와 로프소켓을 통해 제3 빔에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이 승강로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 방진 방음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로프소켓과 제3 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로프소켓을 상기 제3 빔에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권상기 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와이어로프와 로프소켓을 통해 제3 빔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방진 방음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1 방진 방음 연결부재는 상기 제3 빔을 관통하는 로프소켓에 의해 관통되는 복수개의 홀이 마련되어 상기 복수개의 홀을 관통한 로프소켓을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로프소켓에 의해 관통되는 복수개의 홀이 마련되며 상기 지지판과 제3 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권상기 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와이어로프를 통해 로프소켓에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제3 빔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권상기 모터로부터 발생되어 상기 권상기 모터를 설치하기 위하여 승강로 벽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빔에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이 제2 방진 방음부재와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에 의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승강로 벽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권상기 모터로부터 발생되어 와이어로프와 로프소켓 및 상기 로프소켓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승강로 벽체에 설치한 제3 빔에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까지 제1 방진 방음 연결부재와 제3 방진 방음부재에 의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승강로 벽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가 작동된다 하더라도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건물의 거주구역이나 사무실 등에 전달되지 않음으로써 건물의 거주구역에 거주하거나 사무실 등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에 의해 피해를 입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는 상기 권상기 모터로부터 발생되어 와이어로프를 통해 카틀로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카틀을 승강카에 고정시키는 제1 빔과 카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방진 방음부재에 의해 차단되어 승강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건물의 거주구역이나 사무실 등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승강카에 전달되는 현상까지도 방지하게 됨으로써 탑승객에게 보다 안전하고 쾌적한 엘리베이터 탑승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는 권상기 모터에 가해지는 편하중에 의하여 권상기 모터가 전도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권상기 모터가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 없이 보다 안전하게 엘리베이터를 운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비용 또한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작업자 1인이 간단한 공구만을 사용하여 권상기 모터의 수평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설치 시간과 작업 공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에 적용된 제1 내지 제3 방진 방음부재와 제1 방진 방음 연결부재 및,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은 기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도 구조의 변경 없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권상기 모터의 전도 위험이 존재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작동 시 소음과 진동에 따른 피해를 호소하는 기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도 짧은 공사기간과 매우 저렴한 비용만을 투입하여 건물의 거주구역이나 사무실 및 승강카 등으로 유입되는 소음과 진동을 차단하여 건물의 거주구역에 거주하거나 사무실 등에 근무하는 사람들과 탑승객이 소음과 진동에 의해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2는 제2 빔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과 제2 방진 방음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도 2의 A의 상세도
도 5 및 도 6은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도 7은 제3 방진 방음부재와 제1 방진 방음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제2 빔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과 제2 방진 방음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도 2의 A의 상세도
도 5 및 도 6은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도 7은 제3 방진 방음부재와 제1 방진 방음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승강카(110), 카틀(120), 권상기(130), 웨이트(140) 및, 와이어로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카(110)는 승강로(도시되지 않음)를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로 벽체(도시되지 않음)에 마련되어 있는 제1 가이드 레일(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카틀(120)은 와이어로프(1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카(1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카틀(120)의 양측에는 상기 와이어로프(150)가 권취됨으로써 상기 와이어로프(150)에 의해 지지되는 적어도 한 쌍의 쉬브(121)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카틀(120)은 상기 승강카(110)의 하부에 설치된 제1 빔(122)에 설치되어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쉬브(121)에 와이어로프(150)가 권취됨으로써 권상기(130)에 의해 작동되는 와이어로프(150)에 의해 승강됨에 따라 상기 승강카(110)를 승강로를 따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권상기(130)는 상기 승강로 벽체에 설치되는 제2 빔(13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웨이트(140)는 상기 승강로를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로 벽체에 마련되어 있는 제2 가이드 레일(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웨이트에(140)는 상기 와이어로프(150)가 권취되는 쉬브(14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로프(150)는 양측 끝단부에 로프소켓(151)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로프소켓(151)은 승강로 벽체에 고정되어 있는 제3 빔(152)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로프(150)는 상기 권상기(130)에 연결되어 상기 권상기 모터(132)가 상기 웨이트(140)를 하강시키도록 회전되면 상기 승강카(110)의 하부에 설치된 카틀(120)을 상승시켜 상기 승강카(110)를 승강로를 따라 상승시키게 되며, 상기 권상기 모터(132)가 상기 웨이트(140)를 상승시키도록 회전되면 상기 승강카(110)와 카틀(120)을 하강시켜 상기 승강카(110)를 승강로를 따라 하강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권상기(130)가 설치되는 제2 빔(131)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빔(131)은 한 쌍의 편하중 지지부(131a)와 모터 설치부(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편하중 지지부(131a)는 상기 승강로 벽체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편하중 지지부(131a)는 상기 승강로 벽체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고정되어 있는 고정 빔(134 : 도 3 참조)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빔(134)은 필요에 따라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모터 설치부(131b)는 상기 편하중 지지부(131a)의 일측 끝단부에 양측 끝단부가 연결되며 상부에는 권상기 모터(132)가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모터 설치부(131b)는 상기 한 쌍의 편하중 지지부(131a)와 'ㄷ'자 형상이 되도록 상기 한 쌍의 편하중 지지부(131a)의 일측 끝단부에 양측 끝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모터 설치부(131b)의 상부에는 권상기 모터(13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빔(131)은 상기 권상기 모터(132)에 가해지는 편하중을 상기 모터 설치부(131b)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승강로 벽체에 설치된 한 쌍의 편하중 지지부(131a)에 의해 상쇄시켜 권상기 모터(132)가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경우 권상기 모터가 일자 형태의 모터 설치 빔 상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일자 형태의 모터 설치 빔 상부에 권상기 모터가 설치되면, 상기 일자 형태의 모터 설치 빔 외측으로 권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권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승강카와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로프를 회전시키기 위한 쉬브가 상기 모터 설치 빔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 즉 캔틸레버 형태로 돌출된 회전축에 와이어 로프가 권취되는 쉬브가 설치되어 상기 쉬브에 하중이 가해지게 됨으로써 상기 권상기 모터에는 편하중이 가해지게 되어 상기 권상기 모터가 전도되는 매우 큰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편하중 지지부(131a)의 일측 끝단부에 상기 편하중 지지부(131a)와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모터 설치부(131b)의 양측 끝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모터 설치부(131b)의 상부에 권상기 모터(132)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권상기 모터(132)에 편하중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상기 모터 설치부(131b)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로 벽체에 설치된 한 쌍의 편하중 지지부(131a)에 의해 권상기 모터(132)가 지지됨으로써 상기 권상기 모터(132)에 가해지는 편하중을 상쇄시켜 상기 권상기 모터(132)가 전도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빔(131)의 편하중 지지부(131a)는 적어도 상기 모터 설치부(131b)로부터 권상기 모터(132)의 회전축(132a) 끝단부까지의 거리의 두 배의 길이(D)로 형성되어 일측 끝단부가 상기 모터 설치부(131b)의 양측 끝단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권상기 모터(132)에 가해지는 편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엘리베이터 작동 시 권상기 모터(132)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와이어로프(150)를 통해 승강카(110)와 승강로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방진 방음부재(160) 및,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방진 방음부재(160)는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승강카(110) 하부에 설치되는 카틀(120)과 상기 카틀(120)을 승강카(110)에 고정시키는 제1 빔(12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방진 방음부재(160)는 승강카(11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권상기 모터(132)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승강카(1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경우 상기 승강카(110)를 작동시키기 위해 권상기 모터(132)가 작동을 하게 되면 상기 권상기 모터(132)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권상기(130)와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로프(150)를 통해 상기 카틀(120)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로프(150)를 통해 카틀(120)로 전달된 소음과 진동은 다시 상기 카틀(120)을 통해 제1 빔(122)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1 빔(122)으로 전달된 소음과 진동은 상기 승강카(110)로 전달되어 승강카(110)에 탑승한 승객에게 고스란히 전달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쾌적한 운행 환경을 조성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상기 카틀(120)과 제1 빔(122) 사이에 제1 방진 방음부재(160)가 설치됨으로써 권상기 모터(132)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어 와이어로프(150)를 통해 카틀(120)로 전달된 소음과 진동이 상기 제1 방진 방음부재(160)에 의해 상기 제1 빔(122)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강카(110)까지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엘리베이터 운행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170)은 상기 권상기 모터(132)를 설치할 수 있도록 승강로 벽체에 설치되는 제2 빔(131)과 승강로 벽체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고정빔(134)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170)은 엘리베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권상기 모터(132)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승강로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엘리베이터가 작동된다 하더라도 건물의 거주구역이나 사무실에 소음과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건물의 거주구역이나 사무실의 정숙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170)은 상기 권상기 모터(132)에 편하중이 가해져도 상기 권상기 모터(132)가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권상기 모터(132)를 제2 빔(131)에 연결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권상기 모터(132)의 설치 시 작업자가 스패너 등과 같은 공구만을 가지고 권상기 모터(132)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음 방진 수평 유지유닛(170)의 구성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과 제2 방진 방음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A의 상세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170)은 진동 소음 흡수수단(171) 및, 수평 조절수단(1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소음 흡수수단(171)은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상기 수평 조절수단(172)을 탄성지지하며 상기 승강로 벽체에 설치되어 권상기 모터(132)로부터 발생되어 제2 빔(131)으로 전달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여 승강로 벽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 소음 흡수수단(171)과 승강로 벽체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고정 빔(134)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진동 소음 흡수수단(171)은 고정판(171a), 탄성부재(171b) 및, 지지판(171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71a)은 상기 승강로 벽체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 빔(134)의 상부에 용접 등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판(171a)의 상부면 중앙부에는 탄성부재(171b)의 하단부에 끼워져 상기 탄성부재(171b)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 방지돌기(1710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71b)는 상기 유동 방지돌기(1710a)에 끼워지도록 상기 고정판(171a)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171b)로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171c)은 하부면 중앙부에 고정돌기(1710c)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1710c)가 상기 탄성부재(171b)의 상단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탄성부재(171b)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부면에는 상기 수평 조절수단(172)의 하단부가 볼 접촉되어 탄성 지지되는 볼 접촉 홈(1711c)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진동 소음 흡수수단(171)은 탄성부재 보호 캡(171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 보호 캡(171d)은 상기 탄성부재(171b)와 지지판(171c)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탄성부재(171b)에 씌워지며, 상기 탄성부재 보호 캡(171d)의 상부면 중앙부에는 수평 조절수단(172)에 의해 관통되는 제1 관통 홀(H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조절수단(172)은 상기 진동 소음 흡수수단(171)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상기 제2 빔(131)에 설치되어 상기 권상기 모터(132)에 편하중이 지속적으로 가해진다 하더라도 상기 진동 소음 흡수수단(171)의 탄성력에 의해 위치가 원상 복원되어 상기 제2 빔(131)이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평 조절부재(172c)를 회전시켜 제2 빔(131)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수평 조절수단(172)은 지지프레임(172a), 제3 관통 홀(H3), 수평 조절부재 결합용 너트부(172b) 및, 수평 조절부재(17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72a)은 상기 진동 소음 흡수수단(171)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제2 빔(131)과 고정 빔(13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빔(131)을 지지하며 상부면에는 수평 조절부재(172c)에 의해 관통되는 제2 관통 홀(H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 관통 홀(H3)은 상기 수평 조절부재(172c)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제2 빔(131)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172a)은 상기 제2 빔(131)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조절부재 결합용 너트부(172b)는 상기 제3 관통 홀(H3)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2 빔(131) 상부면에 용접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조절부재(172c)는 상기 진동 소음 흡수수단(171)의 지지판(171c)의 볼 접촉 홈(1711c)에 하단부가 볼 접촉되며 상단부가 상기 탄성부재 보호 캡(171d), 지지프레임(172a) 및, 제2 빔(131)에 마련되어 있는 제1 내지 제3 관통 홀(H1)(H2)(H3)을 관통하여 제2 빔(131)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수평 조절부재 결합용 너트부(172b)에 나사 체결되어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수평 조절부재 결합용 너트부(172b)를 승강시켜 제2 빔(131)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수평 조절부재(172c)는 볼트부(1720c), 볼 접촉부(1721c) 및, 공구 결합부(172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부(1720c)는 상기 탄성부재 보호 캡(171d), 지지프레임(172a) 및, 제2 빔(131)에 마련되어 있는 제1 내지 제3 관통 홀(H1)(H2)(H3)을 관통하도록 상기 수평 조절부재 결합용 너트부(172b)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볼 접촉부(1721c)는 상기 볼트부(1720c)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판(171c)의 볼 접촉 홈(1711c)에 볼 접촉되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공구 결합부(1722c)는 상기 볼트부(1720c)의 상단부에 다각형 형상으로 마련되어 스패너 등과 같은 공구를 결합하여 상기 볼트부(1720c)를 회전시켜 상기 수평 조절부재 결합용 너트부(172b)를 승강시켜 상기 제2 빔(131)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제2 방진 방음부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진 방음부재(180)는 상기 권상기 모터(132)와 제2 빔(13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권상기 모터(132)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제2 빔(131)을 통해 승강로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엘리베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권상기 모터(132)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권상기 모터(132)와 제2 빔(131) 사이에 설치된 제2 방진 방음부재(180)에 의해 1차적으로 차단됨과 동시에, 상기 제2 빔(131)과 승강로 벽체 사이에 설치된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170)에 의해 2차적으로 차단됨으로써 상기 권상기 모터(132)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건물의 거주구역이나 사무실로 전달되는 것을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보다 정숙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방진 방음부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제3 방진 방음부재와 제1 방진 방음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3 방진 방음부재(190)는 상기 와이어로프(150)의 양측 끝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로프(150)의 양측 끝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로프소켓(151)이 관통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승강로 벽체에 고정되는 제3 빔(152)과 승강로 벽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3 빔(152)과 승강로 벽체에 제3 방진 방음부재(190)는 엘리베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권상기 모터(132)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어 와이어로프(150)와 로프소켓(151)을 통해 제3 빔(152)에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이 승강로 벽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방진 방음부재(190)는 권상기 모터(132)가 작동됨에 따라 와이어로프(150)와 로프소켓(151)을 통해 승강로 벽체에 설치되어 있는 제3 빔(152)에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까지 차단함으로써 한층 더 정숙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제1 방진 방음 연결부재(1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진 방음 연결부재(191)는 상기 로프소켓(151)과 제3 빔(15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로프소켓(151)을 상기 제3 빔(152)에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권상기 모터(132)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와이어로프(150)와 로프소켓(151)을 통해 제3 빔(152)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방진 방음 연결부재(191)는 지지판(191a) 및, 방진패드(19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91a)은 사각형 형상의 철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빔(152)을 관통하는 로프소켓(151)에 의해 관통되는 복수개의 홀(H4)이 마련되어 상기 복수개의 홀(H4)을 관통한 로프소켓(151)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진패드(191b)는 상기 로프소켓(151)에 의해 관통되는 복수개의 홀(H5)이 마련되며 상기 지지판(191a)과 제3 빔(15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권상기 모터(132)가 작동됨에 따라 와이어로프(150)를 통해 로프소켓(151)에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제3 빔(152)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엘리베이터를 작동시키게 위해 권상기 모터(132)가 작동됨에 따라 와이어로프(150)와 로프소켓(151)을 통해 제3 빔(152)으로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이 제1 방진 방음 연결부재(191)에 의해 1차적으로 차단되어 로프소켓(151)을 통해 제3 빔(152)으로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시킨 후, 상기 로프소켓(151)에서 제3 빔(152)으로 전달된 소음과 진동이 제3 방진 방음부재(190)에 의해 승강로 벽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2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엘리베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권상기 모터(132)가 작동된다 하더라도 건물의 거주구역이나 사무실에 소음과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건물의 거주구역이나 사무실의 정숙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승강카(11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권상기 모터(132)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권상기 모터(132)에 와이어로프(150)가 풀리거나 권취됨으로써 웨이트(140)가 하강되거나 상승된다.
상기 웨이트(140)가 하강되면 상기 웨이트(140)와 연결된 와이어로프(150)는 하강되고 상기 카틀(120)과 연결된 와이어로프(150)는 상승됨으로써 승강카(110)를 상승시키게 되고, 상기 웨이트(140)가 상승되면 상기 웨이트(140)와 연결된 와이어로프(150)는 상승되고 상기 카틀(120)과 연결된 와이어로프(150)는 하강됨으로써 승강카(110)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승강카(110)를 상승 및 하강시키게 되면, 상기 승강카(110)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권상기 모터(132)로부터 매우 큰 소음과 진동이 발생된다.
상기 권상기 모터(132)로부터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은 권상기 모터(132)를 설치하기 위해 승강기 벽체에 설치된 제2 빔(131)을 통해 승강로 벽체로 전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의 경우 상기 권상기 모터(132)로부터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권상기 모터(132)와 제2 빔(131) 사이에 설치된 제2 방진 방음부재(180)에 의해 1차적으로 차단되도록 하여 상기 권상기 모터(132)로부터 제2 빔(131)으로 최소한의 소음과 진동만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권상기 모터(132)로부터 제2 빔(131)으로 전달된 차단되지 않은 소음과 진동의 경우 상기 권상기 모터(132)를 설치할 수 있도록 승강로 벽체에 설치되는 제2 빔(131)과 승강로 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170)에 의해 2차적으로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 빔(131)으로 전달된 차단되지 않은 소음과 진동이 승강로 벽체로 전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권상기 모터(132)로부터 제2 빔(131)으로 전달된 차단되지 않은 소음과 진동의 경우, 상기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170)의 진동 소음 흡수수단(171)에 흡수되어 차단됨으로써 고정 빔(134)을 통해 승강로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엘리베이터가 작동된다 하더라도 권상기 모터(132)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승강로 벽체를 따라 건물의 거주구역이나 사무실 등에 전달되지 않음으로써 건물의 거주구역에 거주하거나 사무실 등에 근무하는 사람들인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에 의해 피해를 입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승강로 벽체에 한 쌍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편하중 지지부(131a)의 일측 끝단부에 상기 편하중 지지부(131a)와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모터 설치부(131b)의 양측 끝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모터 설치부(131b)의 상부에 권상기 모터(132)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권상기 모터(132)에 편하중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상기 모터 설치부(131b)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로 벽체에 설치된 한 쌍의 편하중 지지부(131a)에 의해 편하중이 가해지는 권상기 모터(132)가 지지됨으로써 상기 권상기 모터(132)에 가해지는 편하중이 상쇄되어 상기 권상기 모터(132)가 전도되는 현상까지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권상기 모터(132)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권상기 모터(132)에 복수개의 와이어를 연결한 후, 상기 와이어를 권상기 모터(132) 회전축(132a)의 반대 측에 위치한 승강로 벽체에 앵커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별도의 작업을 진행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제작비용과 설치 작업 공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성까지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표면이 고르지 못하여 권상기 모터(132)를 수평하게 설치하기 어려운 승강로 벽체에도 매우 용이하게 수평을 맞춰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승강로 벽체의 표면이 고르지 못하여 상기 승강로 벽체에 고정 빔(134)이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되지 못한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스패너 등과 같은 공구를 수평 조절부재(172c)의 공구 결합부(1722c)에 결합시켜 수평 조절부재(172c)의 볼트부(1720c)를 회전시켜 제2 빔(131)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볼트부(1720c)와 나사 결합된 수평 조절부재 결합용 너트부(172b)를 승강시켜 제2 빔(131)의 수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권상기 모터(132)를 지면과 수평을 맞춰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종래의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경우 승강로 벽체의 표면이 고르지 못하여 고정 빔(134)을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하지 못하게 될 경우 편하중이 가해지는 권상기 모터(132)를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지속적인 편하중이 가해지는 권상기 모터(132)의 특성 상 권상기 모터(132)가 전도되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매우 높다.
따라서, 상기 권상기 모터(132)의 전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시 상기 권상기 모터(132)를 반드시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수 톤의 승강카와 승객을 승강시키는 중량물인 권상기 모터(132)를 작업자가 들어 올려 수평을 맞추는 작업을 한다는 것 자체가 사실상 불가능함으로써, 권상기 모터(132)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서는 좁은 승강로에 중량물인 권상기 모터(132)를 들어 올릴 수 있는 별도의 기구를 투입하여 권상기 모터(132)를 들어 올린 후 상기 권상기 모터(132)와 모터 설치 빔(131b) 사이에 별도의 수평 조절판 등을 삽입하여 수평을 맞추는 작업을 수회 반복해야 함으로써 권상기 모터(132)의 설치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고 복수의 작업 인원이 투입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권상기 모터132() 설치 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고정 빔(134) 상부에 복수개의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170)을 이용하여 제2 빔(131)을 연결한 후, 권상기 모터(132)를 들어 올리는 작업 없이 1인의 작업자가 단순히 스패너 등과 같은 간단한 공구만을 사용하여 상기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170)의 볼트부(1720c)를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 제2 빔(131)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수평 조절부재 결합용 너트부(172b)를 승강시켜 상기 수평 조절부재 결합용 너트부(172b)와 함께 제2 빔(131)을 승강시켜 상기 제2 빔(131)의 수평을 조절함으로써 권상기 모터(132)의 수평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기 설치되어 있는 권상기 모터(132)에도 구조의 변경 없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권상기 모터(132)의 전도 위험이 존재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작동 시 소음과 진동에 따른 피해를 호소하는 기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도 짧은 공사기간과 매우 저렴한 비용만을 투입하여 권상기 모터(132)가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건물의 거주구역이나 사무실 및 승강카 등으로 유입되는 소음과 진동을 차단하여 건물의 거주구역에 거주하거나 사무실 등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소음과 진동에 의해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승강카(110)가 움직이는 초기 작동 시 권상기 모터(132)에 가장 큰 편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게 됨으로써 권상기 모터(132)와 모터 설치 빔(131b) 사이에 방진고무를 설치한 종래의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초기 작동 시 편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쉬브(133) 측에 설치된 방진고무에 매우 큰 하중이 가해져 엘리베이터를 소정시간 이상 사용하게 되면 쉬브 측에 설치된 방진고무가 손상되어 권상기 모터(132)의 수평이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권상기 모터(132)를 상기 모터 설치 빔(131b)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에 집중 응력이 발생되어 고정부재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권상기 모터(132)가 전도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승강카(110)가 움직이는 초기 작동 시 순간적으로 권상기 모터(132)에 편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게 되면, 수평 조절부재(172c)가 탄성부재(171b)에 의해 탄성지지 되어 있는 지지판(171c)을 가압하면서 편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됨으로써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집중적인 편하중에 의하여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됨으로써 상기 수평 조절부재(172c)가 집중적인 편하중에 의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 조절부재(172c)는 볼 접촉부(1721c)가 지지판(171c)의 볼 접촉 홈(1711c)을 따라 편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상기 수평 조절부재(172c)의 볼 접촉부(1721c)의 마모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평 조절부재(172c)가 편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될 시 상기 권상기 모터(132)와 제2 빔(131) 및, 지지프레임(172a) 또한 상기 수평 조절부재(172c)와 함께 편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72a)의 경우 편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을 하게 되면 일측 측면부가 탄성부재 보호 캡(171d)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권상기 모터(132)와 제2 빔(131), 지지프레임(172a) 및, 수평 조절부재(172c)가 편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권상기 모터(132)의 초기 작동 시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집중적인 편하중이 제거되면 탄성부재(171b)가 원상 복원력에 의해 원상 복원되고, 상기 탄성부재(171b)가 원상 복원됨에 따라 상기 수평 조절부재(172c) 또한 상기 탄성부재(171b)에 의해 탄성지지 되고 있는 지지판(171c)에 의해 밀어 올려져 편하중이 가해지는 반대 방향으로 권상기 모터(132)와 제2 빔(131) 및 지지프레임(172a)과 함께 소정각도 회전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상 복원됨으로써 권상기 모터(132)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권상기 모터(132)의 초기 작동 시 순간적으로 권상기 모터(132)에 가해지는 집중적인 편하중까지도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170)을 통해 완충시켜 수평 조절부재(172c)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권상기 모터(132)의 초기 작동 시 순간적으로 권상기 모터(132)에 가해지는 집중적인 편하중이 제거되면 탄성부재(171b)의 원상 복원력에 의해 수평 조절부재(172c)와 권상기 모터(132), 제2 빔(131) 및, 지지프레임(172a) 또한 원상 복원되어 권상기 모터(132)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하중에 의한 권상기 모터(132)가 전도되는 안전사고의 발생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권상기 모터(132)로부터 발생된 소음과 진동의 경우 상기 승강카(110)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와이어로프(150)에 전달되며 상기 와이어로프(150)에 전달된 소음과 진동은 로프소켓(151) 및 제3 빔(152)을 통해 승강로 벽체에 전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상기 권상기 모터(132)로부터 발생되어 와이어로프(150)와 로프소켓(151)을 통해 제3 빔(152)으로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이 제1 방진 방음 연결부재(191)에 의해 1차적으로 차단되어 상기 와이어로프(150)와 로프소켓(151)을 통해 제3 빔(152)으로 최소한의 소음과 진동만이 전달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로프소켓(151)을 통해 제3 빔(152)으로 전달된 차단되지 않은 소음과 진동은 상기 승강로 벽체와 제3 빔(152) 사이에 설치된 제3 방진 방음부재(190)에 의해 2차적으로 차단됨으로써 상기 제3 빔(152)으로 전달된 차단되지 않은 소음과 진동이 승강로 벽체로 전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권상기 모터(132)로부터 발생되어 상기 권상기 모터(132)를 설치하기 위하여 승강로 벽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빔(131)에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이 제2 방진 방음부재(180)와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170)에 의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승강로 벽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권상기 모터(132)로부터 발생되어 와이어로프(150)와 로프소켓(151) 및 상기 로프소켓(151)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승강로 벽체에 설치한 제3 빔(152)에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까지 제1 방진 방음 연결부재(191)와 제3 방진 방음부재(190)에 의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승강로 벽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엘리베이터가 작동된다 하더라도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건물의 거주구역이나 사무실 등에 전달되지 않음으로써 건물의 거주구역에 거주하거나 사무실 등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에 의해 피해를 입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엘리베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권상기 모터(132)가 작동을 하게 되면 상기 권상기 모터(132)로부터 발생된 소음이 와이어로프(150)와 카틀(120)을 통해 승강카(110)로 전달되어 승강카(110) 탑승객에게 전달되어 엘리베이터 탑승객이 소음과 진동에 의해 피해를 입게 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상기 권상기 모터(132)로부터 발생되어 와이어로프(150)를 통해 카틀(120)로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카틀(120)을 승강카(110)에 고정시키는 제1 빔(122)과 카틀(120)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방진 방음부재(160)에 의해 차단되어 승강카(1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건물의 거주구역이나 사무실 등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승강카(110)에 전달되는 현상까지도 방지하게 됨으로써 탑승객에게 보다 안전하고 쾌적한 엘리베이터 탑승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에 적용된 제1 내지 제3 방진 방음부재(160)(180)(190)와 제1 방진 방음 연결부재(191) 및,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170)는 기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도 구조의 변경 없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작동 시 소음과 진동에 따른 피해를 호소하는 기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도 짧은 공사기간과 매우 저렴한 비용만을 투입하여 건물의 거주구역이나 사무실 및 승강카 등으로 유입되는 소음과 진동을 차단하여 건물의 거주구역에 거주하거나 사무실 등에 근무하는 사람들과 탑승객이 소음과 진동에 의해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한 쌍의 편하중 지지부(131a)에 모터 설치부(131b)가'ㄷ'자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제2 빔(131)에 의해 편하중이 가해지는 권상기 모터(132)가 지지되어 상기 권상기 모터(132)에 가해지는 편하중이 상쇄되어 상기 권상기 모터(132)가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권상기 모터(132)의 초기 작동 시 순간적으로 권상기 모터(132)에 가해지는 집중적인 편하중까지도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170)을 통해 완충시켜 수평 조절부재(172c)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순간적으로 권상기 모터(132)에 가해지는 집중적인 편하중이 제거되면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170)의 원상 복원력에 의해 권상기 모터(132)가 신속하게 수평을 유지하도록 원상 복원됨으로써 권상기 모터(132)가 전도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안전사고 발생 없이 보다 안전하게 엘리베이터를 운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비용 또한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100)는 권상기 모터(132)를 들어 올리는 작업 없이 작업자 1인이 간단한 공구만을 사용하여 수평 조절수단(172)의 볼트부(1720c)를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 제2 빔(131)의 수평을 조절하여 권상기 모터(132)의 수평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설치 시간과 작업 공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승강카 (120) : 카틀
(130) : 권상기 (140) : 웨이트
(150) : 와이어로프 (160) : 제1 방진 방음부재
(170) :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 (180) : 제2 방진 방음부재
(190) : 제3 방진 방음부재 (191) : 제1 방진 방음 연결부재
(130) : 권상기 (140) : 웨이트
(150) : 와이어로프 (160) : 제1 방진 방음부재
(170) :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 (180) : 제2 방진 방음부재
(190) : 제3 방진 방음부재 (191) : 제1 방진 방음 연결부재
Claims (11)
- 승강카 하부에 설치되는 카틀과 상기 카틀을 승강카에 고정시키는 제1 빔 사이에 설치되어 권상기 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어 와이어로프를 통해 카틀에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이 승강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방진 방음부재; 및
상기 권상기 모터를 설치할 수 있도록 승강로 벽체에 설치되는 제2 빔과 승강로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권상기 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승강로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권상기 모터에 편하중이 가해져도 상기 권상기 모터가 항상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권상기 모터를 제2 빔에 연결시키고, 상기 권상기 모터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방진 방음 수평 유지유닛은,
상기 승강로 벽체에 설치되어 권상기 모터로부터 발생되어 전도 방지 빔으로 전달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여 승강로 벽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탄성력을 가지는 진동 소음 흡수수단; 및
상기 진동 소음 흡수수단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상기 제2 빔에 설치되어 권상기 모터에 편하중이 지속적으로 가해진다 하더라도 상기 진동 소음 흡수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위치가 원상 복원되어 상기 제2 빔이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평 조절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제2 빔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 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 소음 흡수수단은,
상기 승강로 벽체에 고정 설치되며 유동 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고정판;
상기 유동 방지돌기에 끼워지도록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상기 수평 조절수단의 하단부가 볼 접촉되어 탄성 지지되는 볼 접촉 홈이 마련된 지지판을 포함하는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빔은,
상기 승강로 벽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편하중 지지부; 및
상기 편하중 지지부의 일측 끝단부에 양측 끝단부가 연결되며 상부에는 권상기 모터가 설치되는 모터 설치부를 포함하여,
상기 권상기 모터에 가해지는 편하중을 상기 모터 설치부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승강로 벽체에 설치된 한 쌍의 편하중 지지부에 의해 상쇄시켜 권상기 모터가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소음 흡수수단은,
상기 탄성부재와 지지판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탄성부재에 씌워지며 상부면에 수평 조절수단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 홀이 마련되는 탄성부재 보호 캡을 더 포함하는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조절수단은,
상기 진동 소음 흡수수단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제2 빔과 승강로 벽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빔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2 빔을 지지하며 상부면에는 관통 홀이 마련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수평 조절부재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제2 빔에 마련되는 관통 홀;
상기 관통 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2 빔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수평 조절부재 결합용 너트부; 및
상기 진동 소음 흡수수단의 지지판의 볼 접촉 홈에 하단부가 볼 접촉되며 상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과 제2 빔에 마련된 관통 홀을 관통하여 제2 빔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수평 조절부재 결합용 너트부에 나사 체결되어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수평 조절부재 결합용 너트부를 승강시켜 제2 빔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조절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제2 빔에 마련된 관통 홀을 관통하도록 상기 수평 조절부재 결합용 너트부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부;
상기 볼트부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판의 볼 접촉 홈에 볼 접촉되어 탄성 지지되는 볼 접촉부; 및
상기 볼트부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공구를 결합하여 상기 볼트부를 회전시켜 수평 조절부재 결합용 너트부를 승강시켜 제2 빔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공구 결합부를 포함하는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 모터와 제2 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권상기 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제2 빔을 통해 승강로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방진 방음부재를 더 포함하는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양측 끝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로프소켓이 관통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승강로 벽체에 고정되는 제3 빔과 승강로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권상기 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와이어로프와 로프소켓을 통해 제3 빔에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이 승강로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 방진 방음부재를 더 포함하는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소켓과 제3 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로프소켓을 상기 제3 빔에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권상기 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와이어로프와 로프소켓을 통해 제3 빔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방진 방음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진 방음 연결부재는,
상기 제3 빔을 관통하는 로프소켓에 의해 관통되는 복수개의 홀이 마련되어 상기 복수개의 홀을 관통한 로프소켓을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로프소켓에 의해 관통되는 복수개의 홀이 마련되며 상기 지지판과 제3 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권상기 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와이어로프를 통해 로프소켓에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제3 빔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패드를 포함하는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2651A KR102080526B1 (ko) | 2019-10-02 | 2019-10-02 |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2651A KR102080526B1 (ko) | 2019-10-02 | 2019-10-02 |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0526B1 true KR102080526B1 (ko) | 2020-02-24 |
Family
ID=69637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2651A KR102080526B1 (ko) | 2019-10-02 | 2019-10-02 |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052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4157B1 (ko) * | 2020-07-27 | 2021-01-18 |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 자체 구동식 4방향 출입구 관통형 엘리베이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7529B1 (ko) | 2009-10-29 | 2010-10-13 | 주식회사 신한엘리베이타 | 저소음을 위한 특수구조의 엘리베이터 시스템 |
JP2015229570A (ja) * | 2014-06-05 | 2015-12-21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巻上機設置方法および装置 |
KR20190027422A (ko) * | 2017-09-07 | 2019-03-15 | 김정호 | 저소음 엘리베이터 |
-
2019
- 2019-10-02 KR KR1020190122651A patent/KR1020805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7529B1 (ko) | 2009-10-29 | 2010-10-13 | 주식회사 신한엘리베이타 | 저소음을 위한 특수구조의 엘리베이터 시스템 |
JP2015229570A (ja) * | 2014-06-05 | 2015-12-21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巻上機設置方法および装置 |
KR20190027422A (ko) * | 2017-09-07 | 2019-03-15 | 김정호 | 저소음 엘리베이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4157B1 (ko) * | 2020-07-27 | 2021-01-18 |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 자체 구동식 4방향 출입구 관통형 엘리베이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196096C2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тажа лифта | |
KR20070037995A (ko) | 승강실 및 승강로에 승강실의 지지 수단을 설치하는 방법 | |
JP5847239B2 (ja) | エレベータの巻上機設置方法および装置 | |
EP2097347B1 (en) | Arrangement in the supply of rope to the speed limiter | |
KR102422312B1 (ko) | 엘리베이터 권상기 설치구조 | |
KR102080526B1 (ko) |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 | |
EP1364905B1 (en) | Support beam for elevator car | |
JP2018070362A (ja) | 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 | |
WO2012168992A1 (ja) |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 |
KR20190027422A (ko) | 저소음 엘리베이터 | |
JP4376585B2 (ja) |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 |
JP6819749B1 (ja) | 主ロープの振れ抑制装置 | |
KR20220111282A (ko) | 엘리베이터 설비용의 드라이브 시스템, 엘리베이터 설비, 및 엘리베이터 설비의 지지 요소상에 드라이브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 |
KR102075712B1 (ko) | 엘리베이터 권상기용 전도 방지장치 | |
EP3752442B1 (en) | Elevator installation method and apparatus | |
WO2001079105A1 (en) | Machine-room-less elevator installation structure with traction machine mounted in an extended pit | |
JP4091326B2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CN108698792B (zh) | 电梯装置 | |
JP6452861B2 (ja) | エレベータ及びその落下防止スクリーン装置 | |
KR100455502B1 (ko) |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 |
JP4514298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4195063B2 (ja) | エレベーター | |
JP2002154758A (ja) | エレベーター及び巻上機の取付方法 | |
KR20040024094A (ko) |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 |
KR102440968B1 (ko) | 저소음/내진 및 화재예방을 제공하는 승강기 가이드레일 고정용 브래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