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312B1 - 엘리베이터 권상기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권상기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312B1
KR102422312B1 KR1020220009519A KR20220009519A KR102422312B1 KR 102422312 B1 KR102422312 B1 KR 102422312B1 KR 1020220009519 A KR1020220009519 A KR 1020220009519A KR 20220009519 A KR20220009519 A KR 20220009519A KR 102422312 B1 KR102422312 B1 KR 102422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hoisting machine
rail
support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남엘리베이터서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남엘리베이터서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남엘리베이터서비스
Priority to KR1020220009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권상기 설치구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건물의 승강통로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권상기를 지지하는 권상기지지부와, 상기 권상기지지부를 승강통로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와, 상기 권상기지지부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레일지지부와, 상기 레일지지부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추가이드레일과, 상기 레일지지부를 승강통로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와, 상기 레일지지부의 중앙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엘리베이터카의 승강을 안내하는 카가이드레일과, 상기 카가이드레일을 고정시키는 제3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권상기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권상기지지부의 상부면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제1수평부재와, 상기 제1수평부재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승강통로의 벽면에 앵커볼트로 체결되는 제1수직부재와, 상기 제1수직부재와 제1수평부재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제1경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권상기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elevator traction machin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권상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승강통로에 권상기를 설치하되, 기계실이 없이 바로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엘리베이터 권상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주거용도나 업무용도 등으로 건축된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 설치되어 건물을 방문한 승객이 가고자 하는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도록 승강로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통로 형상의 승강로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가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는 승객의 탑승 및 하차를 위해 개폐되는 카도어가 구비되며, 승강로의 상부 측에는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른 해당 층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시키기 위한 권상기가 설치되는 한편,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 권상기를 제어하면서 엘리베이터 카가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권상기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된 로프를 감았다 풀었다 하면서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시키도록 회전하는 메인시브로 구성된다.
또 로프의 일단은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되고 타단은 승강 동작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균형추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런데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경우 아래 선행기술과 같이 권상기는 승강로를 가로질러 양측면 내벽을 뚫고 고정되는 지지프레임이나 지지빔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권상기 설치구조는 승강통로의 내벽을 천공하여 홀이나 홈을 형성해야 하므로 시공이 복잡하고, 건물에 손상을 발생시키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80499(2007.11.22.)"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55502(2004.10.25.)"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구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120323(2005.12.22.)"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의 내벽면을 천공하지 않고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권상기 설치구조는, 건물의 승강통로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권상기를 지지하는 권상기지지부와, 상기 권상기지지부를 승강통로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와, 상기 권상기지지부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레일지지부와, 상기 레일지지부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추가이드레일과, 상기 레일지지부를 승강통로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와, 상기 레일지지부의 중앙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엘리베이터카의 승강을 안내하는 카가이드레일과, 상기 카가이드레일을 고정시키는 제3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권상기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권상기지지부의 상부면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제1수평부재와, 상기 제1수평부재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승강통로의 벽면에 앵커볼트로 체결되는 제1수직부재와, 상기 제1수직부재와 제1수평부재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제1경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부는, 단면이 'ㄱ'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이 상기 레일지지부의 양단 하부면에 결합되며 측면이 승강통로의 벽면에 앵커볼트로 체결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고정부는, 상기 카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단면이 'ㄴ'형상의 제3앵글과, 상기 제3앵글의 하부면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제3횡부재와, 상기 제3횡부재의 양단에 직각으로 결합되는 제3종부재와, 단면이 'ㄱ'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이 상기 제3종부재의 하부면에 각각 결합되며 측면이 승강통로의 벽면에 앵커볼트로 체결되는 제3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권상기지지부의 일단에는 상기 제1고정부와 함께 상기 권상기지지부를 벽면에 고정할 수 있는 제4고정부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제4고정부는, 상기 권상기지지부의 일단 하부면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제4수평부재와, 상기 제4수평부재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승강통로의 벽면에 앵커볼트로 체결되는 제4수직부재와, 상기 제4수직부재와 제4수평부재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제4경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권상기지지부는, 수평으로 구비되는 H빔과, 상기 H빔의 웨브와 플랜지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복수개의 이격되어 구비되는 보강판 및 상기 H빔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권상기를 지지하는 권상기베이스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통로 벽면에 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건물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제1고정부, 제2고정부 및 제3고정부에 의해 권상기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단하고, 앵커볼팅에 의해 고정하므로 권상기 및 카가이드레일, 추가이드레일을 매우 안전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 공간을 작게 차지하므로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엘리베이터 권상기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타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엘리베이터 권상기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크게, 권상기지지부(100), 제1고정부(200), 레일지지부(300), 추가이드레일(400), 제2고정부(500), 카가이드레일(600), 제3고정부(700), 제4고정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권상기지지부(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권상기지지부(100)는 승강통로의 상부에 승강통로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구비되어 권상기(9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권상기지지부(100)는 H빔(110)과 보강판(120) 및 권상기베이스판(130)을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H빔(110)은 승강통로의 벽면에 인접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되, 종래와 달리 벽면에 매설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H빔(110)의 웨브가 수직으로 위치하고, 플랜지가 상측과 하측에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H빔(110)의 플랜지와 웨브 사이에 보강판(120)이 결합된다.
상기 보강판(120)은 평판형상을 이루고 플랜지와 웨브가 형성하는 단면에 맞춤삽입되도록 단면과 대응되는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H빔(110)의 상부면에는 권상기베이스판(130)이 수평으로 결합된다.
상기 권상기베이스판(130)의 상부면에 권상기(900)를 바로 설치하거나 완충을 위해 방진고무에 의해 마운팅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5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제1고정부(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고정부(200)는 상기 권상기지지부(100)를 승강통로의 벽면(W)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크게 제1수평부재(210), 제1수직부재(220), 제1경사부재(2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부재(210)는 상기 H빔(11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1수평부재(210)는 단면이 'ㄴ' 형상인 빔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수평부재(210)와 H빔(110)은 볼팅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부재(220)는 단면이 'ㄴ'형상인 빔을 사용할 수 있고, 하단이 상기 제1수평부재(210)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수직부재(220)의 측면은 승강통로의 벽면(W)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1수직부재(220)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 앵커볼트(B)를 사용한다.
상기 앵커볼트(B)는 고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콘크리트벽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벽면에 타공후 앵커볼트를 삽입하여 조이면 삽입된 단부가 확장되면서 홀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 제1수직부재(220)와 제1수평부재(210) 사이에 상기 제1경사부재(230)가 결합된다.
즉, 상기 제1경사부재(230)의 상단은 상기 제1수직부재(220)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제1수평부재(210)에 결합되어 경사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제1수직부재(220)와 제1수평부재(210) 및 제1경사부재(230)가 직각삼각형을 이루며 상기 권상기지지부(1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레일지지부(300)를 설명한다.
상기 레일지지부(300)는 상기 권상기지지부(100)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후술하는 상기 추가이드레일(400)과 카가이드레일(600)을 지지한다.
상기 레일지지부(300)는 횡지지프레임(310)과 종지지프레임(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횡지지프레임(310)은 단면이 'ㄷ' 형상인 빔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H빔(110)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종지지프레임(320)은 단면이 'ㄷ'형상인 빔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횡지지프레임(310)의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레일지지부(300)는 대략 '┗┛'과 같은 형상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횡지지프레임(310)의 길이, 구체적으로 상기 종지지프레임(320) 사이의 간격은 균형추(미도시)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레일지지부(300)를 승강통로의 벽면(W)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2고정부(500)가 사용된다.
상기 제2고정부(500)는 단면이 'ㄱ'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브라켓(510)일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510)의 상부면이 상기 종지지프레임(320)의 하부면과 밀착되면서 지지하고, 상기 제2브라켓(510)의 측면이 승강통로의 벽면(W)에 앵커볼트(B)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브라켓(510)은 한 쌍이 각각 상기 종지지프레임(320)의 단부와 결합되면서 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레일지지부(300)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추가이드레일(400)과 카가이드레일(6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추가이드레일(400)은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쌍이 구비되어 각각 상기 종지지프레임(320)에 결합된다.
상기 추가이드레일(400)은 상기 종지지프레임(320)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두 추가이드레일(400) 사이에 균형추가 위치하면서 균형추의 양측이 각각 상기 추가이드레일(400)에 안착되어 상하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가이드레일(600)은 엘리베이터카(미도시)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횡지지프레임(310)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역시, 상기 카가이드레일(600)도 한 쌍이 구비되되, 하나는 상기 횡지지프레임(310)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승강통로의 다른 반대측 벽면(W)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종지지프레임(320)의 하부면에 상기 추가이드레일(400)이 상기 종지지프레임(320)에 견고하게 지지, 결합되도록 보조브라켓(330)이 더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횡지지프레임(310)의 하부면에도 상기 카가이드레일(600)이 상기 횡지지프레임(310)에 견고하게 지지, 결합되도록 보조브라켓(330)이 더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3고정부(7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3고정부(700)는 상기 카가이드레일(600)이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을 유지하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며, 엘리베이터카의 승강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해 진동,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3앵글(710), 제3횡부재(720), 제3종부재(730), 제3브라켓(7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앵글(710)은 단면이 '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가이드레일(6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앵글(710)은 상기 보조브라켓(330)의 하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3횡부재(720)는 단면이 'ㄱ'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빔일 수 있고, 상기 제3앵글(710)의 하부면에 수평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3횡부재(720)의 길이는 마주하는 상기 추가이드레일(400)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3횡부재(720)의 양단에는 상기 제3종부재(730)가 각각 직각방향으로 결합되되, 수평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3종부재(730)는 단면이 '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빔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종부재(730)의 길이는 상기 종지지프레임(32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게 하여 단부가 승강통로의 벽까지 닿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종부재(730)는 상기 제3브라켓(74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제3브라켓(740)은 단면이 'ㄱ'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이 상기 제3종부재(730)의 하부면과 밀착되면서 지지하고, 상기 제3브라켓(740)의 측면이 승강통로의 벽면(W)에 앵커볼트(B)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브라켓(740)은 한 쌍이 상기 제3종부재(730)의 각 단부와 결합되면서 벽면(W)에 고정되어 상기 카가이드레일(600)을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3고정부(700)는 복수개가 상기 카가이드레일(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카가이드레일(600)을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4고정부(8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4고정부(800)는 상기 제1고정부(20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권상기지지부(100)를 추가로 고정,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고정부(200)와 일정 거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면서 상기 권상기지지부(100)를 고정한다.
상기 제4고정부(800)는 제4수평부재(810), 제4수직부재(820), 제4경사부재(830)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4수평부재(810)는 상기 H빔(110)의 일단 하부면에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레일지지부(300)의 종지지프레임(32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4수평부재(810)는 단면이 'ㄱ' 형상인 빔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수평부재(810)와 H빔(110)은 볼팅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수직부재(820)는 단면이 'ㄴ'형상인 빔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수직부재(820) 상단이 상기 제4수평부재(810)와 결합되고, 측면은 승강통로의 벽면(W)에 앵커볼트(B)로 고정된다.
또 상기 제4수직부재(820)와 제4수평부재(810) 사이에 상기 제4경사부재(830)가 결합된다.
즉, 상기 제4경사부재(830)의 하단은 상기 제4수직부재(820)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제4수평부재(810)에 결합되어 경사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제4수직부재(820)와 제4수평부재(810) 및 제4경사부재(830)는 역직각삼각형을 이루며 상기 제1고정부(200)와 함께 상기 권상기지지부(1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권상기지지부 110 : H빔
120 : 보강판 130 : 권상기베이스판
200 : 제1고정부 210 : 제1수평부재
220 : 제1수직부재 230 : 제1경사부재
300 : 레일지지부 310 : 횡지지프레임
320 : 종지지프레임 330 : 보조브라켓
400 : 추가이드레일
500 : 제2고정부 510 : 제2브라켓
600 : 카가이드레일
700 : 제3고정부
710 : 제3앵글 720 : 제3횡부재
730 : 제3종부재 740 : 제3브라켓
800 : 제4고정부 810 : 제4수평부재
820 : 제4수직부재 830 : 제4경사부재
900 : 권상기
W : 승강통로 벽면 B : 앵커볼트

Claims (5)

  1. 건물의 승강통로의 상부에 수평으로 H빔이 벽면에 설치되어 권상기를 지지하고 상기 H빔의 웨브와 플랜지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복수개의 이격되어 구비되는 보강판 및 상기 H빔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권상기를 지지하는 권상기베이스판으로 이루어진 권상기지지부와, 상기 권상기지지부를 승강통로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와, 상기 권상기지지부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레일지지부와, 상기 레일지지부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추가이드레일과, 상기 레일지지부를 승강통로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와, 상기 레일지지부의 중앙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엘리베이터카의 승강을 안내하는 카가이드레일과, 상기 카가이드레일을 고정시키는 제3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권상기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권상기지지부의 H빔 상부면에 수평으로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수평부재와, 상기 제1수평부재에 수직이며 하단이 상기 제1수평부재와 결합되고 승강통로의 벽면에 앵커볼트로 체결되는 제1수직부재와, 상기 제1수직부재와 제1수평부재에 경사지게 제1경사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부는 단면이 ‘ㄷ’형상으로 상기 H빔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횡지지프레임과 상기 횡지지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고 단면이 ‘ㄷ’형상으로 이루어진 종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권상기지지부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추가이드레일과 카가이드레일을 지지하는 레일가이드와, 상기 레일가이드를 벽에 고정하기 위해 단면이 ‘ㄱ’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이 상기 종지지프레임의 하부면과 밀착되면서 결합되어 측면이 승강통로의 벽면에 앵커볼트로 체결되는 제2브라켓과, 상기 종지지프레임의 하부면에 추가이드레일과 상기 횡지지프레임의 하부면에 카가이드레일을 각각 지지 결합하는 보조브라켓이 결합되며,
    상기 제3고정부는 상기 카가이드레일의 후면에 결합되고 단면이 '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보조브라켓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3앵글과, 단면이 ‘ㄱ’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앵글의 하부면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제3횡부재와, 상기 제3횡부재의 양단에 직각으로 결합되되 수평으로 배치되고 단면이 ‘ㄴ’형상으로 이루어진 제3종부재와, 단면이 'ㄱ'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이 상기 제3종부재의 하부면과 밀착되면서 지지되고 측면이 승강통로의 벽면에 앵커볼트로 제3브라켓이 체결되며,
    제4고정부는 상기 권상기지지부의 일단에는 상기 제1고정부와 함께 상기 권상기지지부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 추가로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권상기지지부의 H빔 일단 하부면에 수평으로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결합되는 제4수평부재와, 상기 제4수평부재와 수직이며 상단이 상기 제4수평부재와 결합되고 승강통로의 벽면에 앵커볼트로 체결되는 제4수직부재와, 상기 제4수직부재와 제4수평부재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제4경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 설치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09519A 2022-01-21 2022-01-21 엘리베이터 권상기 설치구조 KR102422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519A KR102422312B1 (ko) 2022-01-21 2022-01-21 엘리베이터 권상기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519A KR102422312B1 (ko) 2022-01-21 2022-01-21 엘리베이터 권상기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2312B1 true KR102422312B1 (ko) 2022-07-19

Family

ID=8260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519A KR102422312B1 (ko) 2022-01-21 2022-01-21 엘리베이터 권상기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3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196B1 (ko) * 2022-07-28 2022-10-17 정일산업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
KR102472977B1 (ko) * 2022-07-28 2022-12-01 정일산업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499B1 (ko) 2005-05-26 2007-11-29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160036787A (ko) * 2014-09-26 2016-04-0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499B1 (ko) 2005-05-26 2007-11-29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160036787A (ko) * 2014-09-26 2016-04-0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설치구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120323(2005.12.22.)"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55502(2004.10.25.)"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196B1 (ko) * 2022-07-28 2022-10-17 정일산업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
KR102472977B1 (ko) * 2022-07-28 2022-12-01 정일산업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2312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 설치구조
TWI230681B (en) Elevator system using minimal building space
KR100950991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와 케이지 조립체
KR102438764B1 (ko) Mrl 엘리베이터 설치구조
WO2001074704A1 (en) Machine-room-less elevator installation structure with traction machine mounted at a rooftop
WO2001079105A1 (en) Machine-room-less elevator installation structure with traction machine mounted in an extended pit
KR102034750B1 (ko) 직각 관통형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JP409132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5112487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JP2000318946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8698792B (zh) 电梯装置
KR102080526B1 (ko)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
JP2000086126A (ja) トラクションエレベーター
JP405647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7449218B2 (ja) ガイドレール及びエレベーター
JP3965977B2 (ja) エレベータ及びその組立方法
EP2135833B1 (en) Elevator system
WO2023119548A1 (ja) エレベーター
JP454545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265837B2 (ja) 免震建築用エレベーター装置
JPH092757A (ja) ユニット式建物における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
JP2001287878A (ja) エレベーターの主索吊設装置
JP2007182308A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組合せ体
JP2004196468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5212945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