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750B1 - 직각 관통형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직각 관통형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750B1
KR102034750B1 KR1020180066991A KR20180066991A KR102034750B1 KR 102034750 B1 KR102034750 B1 KR 102034750B1 KR 1020180066991 A KR1020180066991 A KR 1020180066991A KR 20180066991 A KR20180066991 A KR 20180066991A KR 102034750 B1 KR102034750 B1 KR 102034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pulley
elevator
wire rope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백
김동석
남영욱
Original Assignee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80066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각으로 인접한 측면에 도어가 설치되는 엘리베이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인접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카도어와, 이러한 카도어와 대응하는 인접 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홀도어를 위한 엘리베이터이고; 승강로의 상부에서, 인접하는 카도어가 설치되는 면을 연결하도록 평면에서 보았을 때 경사지게 설치되는 카로프 히치 빔(22)과; 승강로의 상부 타측에서 어느 일측의 카도어와 평행한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부리턴풀리(4) 및 하부리턴풀리(2)를 지지하고, 그 상부에 권상기(1)를 설치할 수 있는 풀리 빔(12); 카(11)의 상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카 프레임(6); 상기 카프레임(6)이 위치하는 모서리에 대응하도록 승강로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카 가이드 레일(23); 그리고 와이어로프(11)에 의하여 카(12)와 연결되어 연동하는 카운터 웨이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와이어로프(11)의 일단부는 카 로프 히치 빔(22)의 카 로프 히치 플레이트(8)에 고정되고, 카 프레임에 설치된 한 쌍의 카 풀리(5)에 감긴 후, 상부 리턴 풀리(4) 및 하부 리턴 풀리(2)를 경유하여 권상기(1)에 걸리며, 권상기(1)에서 카운터 풀리(18)를 감은 후 풀리 빔(12)에 와이어로프(11)의 타단부가 고정된다.

Description

직각 관통형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Right angle through type machine roomless elevator}
본 발명은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카에서, 출입을 위한 도어가 인접한 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상부 또는 베이스먼트에 기계실이 설치되어 있거나, 유압실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승강로 측면 등에 기계실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카의 일면 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카의 설치 구조 및 방향은 실질적으로는 엘리베이터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의 설계 및 배치 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에서 인접한 면으로 출입을 위한 도어가 카와 승강장에 설치될 수 있는, 즉 직각 방향으로 관통되는 구성을 가지는 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카에 출입을 위한 새로운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주위 환경에 따라 효율적인 출입 구조를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임과 동시에, 기계실을 없앰으로써 공간 사용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의 인접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카도어와, 이러한 카도어와 대응하는 인접 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홀도어를 위한 엘리베이터이고; 승강로의 상부에서, 인접하는 카도어가 설치되는 면을 연결하도록 평면에서 보았을 때 경사지게 설치되는 카로프 히치 빔과; 승강로의 상부 타측에서 어느 일측의 카도어와 평행한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부리턴풀리 및 하부리턴풀리를 지지하고, 그 상부에 권상기를 설치할 수 있는 풀리 빔; 카의 상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카 프레임; 상기 카프레임이 위치하는 모서리에 대응하도록 승강로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카 가이드 레일; 그리고 와이어로프에 의하여 카와 연결되어 연동하는 카운터 웨이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와이어로프의 일단부는 카 로프 히치 빔의 카 로프 히치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카 프레임에 설치된 한 쌍의 카 풀리에 감긴 후, 상부 리턴 풀리 및 하부 리턴 풀리를 경유하여 권상기에 걸리며, 권상기에서 카운터 풀리를 감은 후 풀리 빔에 와이어로프의 타단부가 고정된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권상기는 풀리 빔 상에 설치되는 권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권상기 프레임의 양측 단부에는 레일브라켓이 카운터 웨이트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카운터 레일의 상단 부분을 지지한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카 및 카운터 웨이트의 승하강 및 지지구조를 적용하게 되면, 홀도어 및 카도어를 인접하는 측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엘리베이터의 카를 직각으로 관통시키고, 각각의 도어를 직각으로 인접한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특정 건물 환경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정면 예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승하강을 설명하는 예시도.
도 5는 도 1의 E부분 확대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11)가 승하강하는 통로인 승강로(A)의 내부에 권상기(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카(11)에는, 인접하는 면에 각각 카도어(11a,11b)가 설치되어 있고, 이는 본 발명의 카(11)가 직각 방향을 관통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카도어(11a,11b)와 연동하여 개폐되는 홀도어(20,21)가 각각의 층에서 90도의 각을 가지고 인접한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최상층의 출입구 측면에는 컨트롤판넬(29)을 설치하여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는 도어를 90도 방향의 인접한 면에 설치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의 A-A'선 단면도인 도 2 및 B-B'선 단면도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로(A)의 상부에는 카 로프 히치 빔(22)이 카도어(11a,11b)가 설치되는 면을 연결하는 경사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카 로프 히치 빔(22)은 평면도 상에서 볼 경우, 인접하는 두 개의 면(도어가 설치되는 면)과 이등변 삼각형을 이루도록 설치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한 쌍의 카풀리(5) 중 어느 일측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를 가진다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로(A)의 상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풀리 빔(12)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풀리 빔(12)에는 상부리턴풀리(4)가 설치되어 있고, 풀리 빔(12)의 하부에는 풀리 브라켓(3)을 통하여 하부리턴풀리(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히턴풀리(2)가 설치되는 위치는, 권상기(1)의 직하부 일부와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권부각(와이어가 권상기 풀리에 감기는 각도 범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풀리 빔(12)에는 풀리(2,4)가 설치되어 와이어로프(10)를 통한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카 로프 히치 빔(22)에는 카 로프 히치 플레이트(8)가 설치되어 있어서, 샤클로드(8)를 통하여 와이어로프(10)의 일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카 로프 히치 빔(22)은 출입구(또는 도어)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설치되고, 풀리 빔(12)은 승강로(A)의 일측 벽면(하나의 도어와 대향하는 벽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카 로프 히치 빔(22)과 풀리 빔(1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앙카 볼트(17)에 의하여 벽면에 부착되는 빔 브라켓(16)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11) 상부에는 카프레임(6)이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카프레임(6)의 설치 방향은 위에서 설명한 카 로프 히치 빔(22)과 대략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 프레임(6)에는 한 쌍의 카 풀리(5)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는 카의 무게 중심을 수월 하게 잡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카 프레임(6)의 양단부에는 가이드슈가 설치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으로는 카 가이드 레일(23)(도 1 참조)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카 가이드레일(23)은 승강로(A)의 모서리 부근에 설치되는 카 레일 브라켓(25)에 의하여 지지된다. 즉, 상하 방향으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카 레일 브라켓(25)이 설치되고, 카 가이드 레일(23)은 이러한 카 레일 브라켓(25)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이는 카의 무게 중심을 수월 하게 잡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카 가이드 레일(23)은 카 프레임(6)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드슈와 결합 관계를 가지면서, 카(11)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 자체는 널리 적용되고 있는 기술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카 프레임(6)은 카의 상면 및 모서리를 따를 측면, 그리고 저면에도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카(11)의 전체적인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카 프레임(6)은, 인접하는 홀도어(20,21) 사이의 모서리를 이용하는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고, 카 가이드 레일(23)도 이러한 대각선과 동일한 방향에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은, 서로 인접하는 면에 각각 홀도어(20,21) 및 카도어(11a,11b)를 설치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풀리 빔(12)은 상술한 권상기(1)를 지지하는 기본적인 구조를 제공하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승강로(A) 상부에 설치된 풀리 빔(12)에 기초하여 권상기(1)가 지지된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하면, 도 3의 E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리 빔(12)의 일단부에는 권상기 프레임(27)이 설치되고, 그 위에는 2차 모터베이스(14)가 설치되며, 그 위에는 방진고무(15), 그리고 1차 모터 베이스(13)을 경유하여 권상기(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권상기 프레임(27)의 양측 단부에는 레일브라켓(28)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러한 레일브라켓(28)을 통하여 카운터 레일(24)의 상단 부분을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권상기 프레임(27)의 하부에는 카운트 로프 히치 플레이트(9)가 설치되어 있어서, 카운터 웨이트(19)를 승하강시키는 와이어로프(10)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참고로 카운터 레일(24)의 하단부는 승강로의 하단까지 연장되고, 기존의 지지구조로 고정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승하강을 위한 로핑(Roping) 및 주변 구성을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같이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11)의 승하강을 위한 와이어로프(10)의 일측 단부는 샤클로드(7)를 통하여, 카 로프 히치빔(22)에 지지되어 있는 카 로프 히치 플레이트(8)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단부가 고정된 와이어로프(10)는, 그 직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카 풀리(5)와 또 다른 하나의 카 풀리(5)에 감아 걸린 후, 풀리 빔(12)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 리턴 풀리(4)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로프(10)는 연속하여 풀리 빔(12)의 하부 리턴 풀리(3)를 경유한 후 권상기(1)에 걸리게 된다.
여기서 하부 리턴 풀리(2)는 권상기(1)의 직하부에서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로프(10)는 권상기(1)와 충분한 권부각을 가지도록 하여 필요한 힘에 대응하는 마찰력에 대하여 와이어로프(10)의 슬립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권상기(1)에 감아 걸린 와이어 로프(10)는 카운터 웨이트(20)에 설치된 하나의 카운터 풀리(18)를 감아 건 후, 풀리 빔(12)의 상단에 위치한 권상기 프레임(27)의 샤클로드(7)를 통하여 로프 히치 플레이트(9)에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권상기의 동작에 의하여, 카(11) 및 카운터 웨이트(19)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카(11)의 이동시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카 레일 브라켓(25)에 의하여 지지되고 이 역시 대각선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카 가이드레일(23)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카운터 웨이트(19)의 이동시에는, 승강로(A)의 일측면에 지지되어 있는 레일브라켓(28)에 의하여 지지되는 한 쌍의 카운터 가이드 레일(24)이 카운터 웨이트(19) 양측의 가이드슈(31)를 가이드하게 된다. 위에서도 언급하였지만,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 슈의 결합 및 가이드 구조는 널리 사용되는 것이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도어(카도어 및 홀도어)를 인접한 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승하강 지지구조를 제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진 변형이 가능할 것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권상기
2 ..... 하부 리턴 풀리
3 ..... 풀리 브라켓
4 ..... 상부 리턴 풀리
5 ..... 카 풀리
6 ..... 카 프레임
7 ..... 샤클 로드
8 ..... 카 히치 플레이트
9 ..... 카운터 히치 플레이트
10 ..... 와이어로프
11a, 11b ..... 카도어
12 ..... 풀리 빔
13 ..... 모터 베이스
14 ..... 모터 베이스
15 ..... 방진고무
16 ..... 빔 브라켓
17 ..... 앙카 볼트
18 ..... 카운터 풀리
19 ..... 카운터 웨이트
20, 21 ..... 홀도어
22 ..... 카 로프 히치 빔
26 ..... 카운터 레일 브파켓
27 ..... 권상기 프레임
28 ..... 레일브라켓
29 ..... 컨트롤 판넬

Claims (3)

  1. 엘리베이터 카의 인접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카도어와, 이러한 카도어와 대응하는 인접 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홀도어를 위한 직각 방향으로 관통되는 출입구 구성을 가지는 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로써;
    승강로의 상부에서, 인접하는 카도어가 설치되는 면을 연결하도록 평면에서 보았을 때 경사지게 설치되는 카로프 히치 빔(22)과;
    승강로의 상부 타측에서 어느 일측의 카도어와 평행한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부리턴풀리(4) 및 하부리턴풀리(2)를 지지하고, 그 상부에 권상기(1)를 설치할 수 있는 풀리 빔(12);
    카(11)의 상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카 프레임(6);
    상기 카프레임(6)이 위치하는 모서리에 대응하도록 승강로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카 가이드 레일(23); 그리고
    와이어로프(11)에 의하여 카(12)와 연결되어 연동하는 카운터 웨이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와이어로프(11)의 일단부는 카 로프 히치 빔(22)의 카 로프 히치 플레이트(8)에 고정되고, 카 프레임에 설치된 한 쌍의 카 풀리(5)에 감긴 후, 상부 리턴 풀리(4) 및 하부 리턴 풀리(2)를 경유하여 권상기(1)에 걸리며, 권상기(1)에서 카운터 풀리(18)를 감은 후 풀리 빔(12)에 와이어로프(11)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권상기(1)는 풀리 빔(12) 상에 설치되는 권상기 프레임(27)에 설치되고, 권상기 프레임(27)의 양측 단부에는 레일브라켓(28)이 카운터 웨이트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카운터 레일(24)의 상단 부분을 지지하는 엘리베이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 리턴 풀리(2)는 권상기(1)의 직하부에서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로프(10)는 권상기(1)와 충분한 권부각을 가지도록 하여 필요한 힘에 대응하는 마찰력에 대하여 와이어로프(10)의 슬립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엘리베이터.
KR1020180066991A 2018-06-11 2018-06-11 직각 관통형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KR102034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991A KR102034750B1 (ko) 2018-06-11 2018-06-11 직각 관통형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991A KR102034750B1 (ko) 2018-06-11 2018-06-11 직각 관통형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750B1 true KR102034750B1 (ko) 2019-10-22

Family

ID=68420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991A KR102034750B1 (ko) 2018-06-11 2018-06-11 직각 관통형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7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355B1 (ko) * 2019-11-25 2020-05-28 (주)대륜엘리스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KR102116356B1 (ko) * 2019-11-25 2020-05-28 (주)대륜엘리스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094A (ko) * 2002-09-13 2004-03-2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KR100871361B1 (ko) * 2006-12-14 2008-12-02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
KR20160046717A (ko) * 2014-10-21 2016-04-29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CN107082345A (zh) * 2017-06-16 2017-08-22 扬州市金色海岸船艇制造有限公司 一种三面开门电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094A (ko) * 2002-09-13 2004-03-2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KR100871361B1 (ko) * 2006-12-14 2008-12-02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
KR20160046717A (ko) * 2014-10-21 2016-04-29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CN107082345A (zh) * 2017-06-16 2017-08-22 扬州市金色海岸船艇制造有限公司 一种三面开门电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355B1 (ko) * 2019-11-25 2020-05-28 (주)대륜엘리스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KR102116356B1 (ko) * 2019-11-25 2020-05-28 (주)대륜엘리스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WO2021107357A1 (ko) * 2019-11-25 2021-06-03 (주)대륜엘리스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WO2021107356A1 (ko) * 2019-11-25 2021-06-03 (주)대륜엘리스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662B1 (ko) 견인 로프풀리 엘리베이터
JP41913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994433B1 (ko)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KR102034750B1 (ko) 직각 관통형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KR20170102306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로핑 구성부
KR102422312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 설치구조
US7097000B2 (en) Elevator apparatus
JP2004504239A (ja) 最小のビル空間を使用するエレベータ装置
JPH1160117A (ja) エレベーター
JP6477255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4376585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KR20160036787A (ko)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설치구조
JP200330628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6002042A1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KR102116356B1 (ko)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JP200327697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116355B1 (ko)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KR101998869B1 (ko) 기계실이 없는 고하중용 엘리베이터 장치
JP6267253B2 (ja) エレベータ構造
JP2001048443A (ja) エレベータ
JP2000007253A (ja) 小形エレベータ装置
KR10143780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393441B1 (ko) 점프 엘리베이터용 단일 와이어 로프 구조
KR100455502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KR10075286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