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421A - 저소음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저소음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421A
KR20190027421A KR1020170114195A KR20170114195A KR20190027421A KR 20190027421 A KR20190027421 A KR 20190027421A KR 1020170114195 A KR1020170114195 A KR 1020170114195A KR 20170114195 A KR20170114195 A KR 20170114195A KR 20190027421 A KR20190027421 A KR 20190027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guide rail
elevator
bracket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김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호 filed Critical 김정호
Priority to KR1020170114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7421A/ko
Publication of KR20190027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작동 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로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소음과 진동 발생이 심한 엘리베이터에도 손쉽게 적용하여 엘리베이터 작동 시 승강로 벽체에 소음 및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저소음 엘리베이터가 개시된다. 상기 저소음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벽체에 고정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 레일 고정용 브래킷과 승강카가 슬라이딩 체결되어 있는 제1 가이드 레일 사이에 개재되어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통해 상기 제1 레일 고정용 브래킷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상기 제1 레일 고정용 브래킷에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제1 방음 방진 연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소음 엘리베이터{LOW NOISE ELEVATOR}
본 발명은 저소음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건물 벽체로 전달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저소음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또는 업무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건축된 고층 건물에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가 설치된다.
상기 엘리베이터는 대략 그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승강카와, 소정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권상기 등이 구비되어 상기 승강카를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른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부 및,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기계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승강카가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고층 건물에는 상기 승강카를 고층 건물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로가 마련되며, 상기 승강로에는 상기 승강카가 승강로를 따라 안전하게 건물의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 레일에는 승강카가 슬라이딩 연결되어 상기 승강카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건물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경우 복수개의 브래킷에 의해 승강로 벽체에 고정된다.
한편, 최근 들어 건물의 초고층화와 더불어 엘리베이터 역시 초고속화가 진행되면서, 주행속도의 증가에 따른 공력소음과 진동이 증가되는 것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며, 승강카를 작동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은 가이드 레일과 복수개의 브래킷을 통해 승강로를 형성하는 건물 벽체에 그대로 전달되어 사람들이 피해를 호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의해 건축된 아파트의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철근콘크리트가 더욱 견고하게 경화되어 건물 벽체의 소음과 진동의 전달률이 높아지게 됨으로써 시간이 지날수록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건물 벽체를 따라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과 진동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권상기를 승강카의 상단부에 설치하여 권상기가 승강카와 함께 승강되도록 하여 권상기 작동 시 승강로 벽을 따라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시키는 엘리베이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나 승강카의 상단부에 권상기를 설치한다 하더라도 상기 권상기 작동 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승강카와 가이드 레일 및 브래킷을 통해 승강로 벽체에 그대로 전달되어 소음 및 진동의 감소 효율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7529호 (2010.10.06.)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작동 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로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저소음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소음과 진동 발생이 심한 엘리베이터에도 손쉽게 적용하여 엘리베이터 작동 시 승강로 벽체에 소음 및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저소음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강로 벽체에 고정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 레일 고정용 브래킷과 승강카가 슬라이딩 체결되어 있는 제1 가이드 레일 사이에 개재되어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통해 상기 제1 레일 고정용 브래킷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상기 제1 레일 고정용 브래킷에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제1 방음 방진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저소음 엘리베이터를 제시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1 방음 방진 연결수단은 상기 제1 레일 고정용 브래킷에는 복수개의 제1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에는 복수개의 제2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제1 브래킷 및, 상기 제1 브래킷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음 방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음 방진부재는 상기 제2 고정부재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제1 브래킷과 제1 가이드 레일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방음 방진 연결수단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폭 보다 넓은 폭의 방음 방진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방음 방진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방음 방진부재를 지지하는 제2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소음 엘리베이터는 상기 승강로 벽체에 고정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2 레일 고정용 브래킷과 웨이트가 슬라이딩 체결되어 있는 제2 가이드 레일 사이에 개재되어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통해 제2 레일 고정용 브래킷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상기 제2 레일 고정용 브래킷에 연결시키는 제2 방음 방진 연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2 방음 방진 연결수단은 상기 제2 레일 고정용 브래킷에는 복수개의 제1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는 복수개의 제2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제1 브래킷 및, 상기 제1 브래킷과 상기 제2 가이드 레일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음 방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음 방진부재는 상기 제2 고정부재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제1 브래킷과 제2 가이드 레일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2 방음 방진 연결수단은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폭 보다 넓은 폭의 방음 방진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방음 방진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 레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방음 방진부재를 지지하는 제2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소음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의 작동 시 발생되어 제1, 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이 제1, 2 방음 방진 연결수단에 의해 차단되어 승강로 벽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가 작동된다 하더라도 건물의 거주구역이나 사무실의 정숙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소음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거주구역에 거주하거나 사무실 등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에 의해 피해를 입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소음 엘리베이터에 적용된 제1, 2 방음 방진 연결수단은 기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도 엘리베이터 구조의 변경 없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작동 시 소음과 진동에 따른 피해를 호소하는 기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도 짧은 공사기간과 매우 저렴한 비용만을 투입하여 건물의 거주구역이나 사무실 등으로 유입되는 소음과 진동을 차단하여 건물의 거주구역에 거주하거나 사무실 등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소음과 진동에 의해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2 방음 방진 연결수단은 제1, 2 가이드 레일을 제1, 2 레일 고정용 브래킷에 결합시키는 제2 고정부재의 풀림 현상까지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의 유지보수 비용까지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소음 엘리베이터에 적용된 제1 방음 방진 연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소음 엘리베이터에 적용된 제2 방음 방진 연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소음 엘리베이터에 적용된 제1 방음 방진 연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소음 엘리베이터(100)는 제1 방음 방진 연결수단(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음 방진 연결수단(110)은 승강로 벽체(300)에 고정되어 있는 제1 레일 고정용 브래킷(210)과 승강카(220)가 슬라이딩 체결되어 있는 제1 가이드 레일(230) 사이에 개재되어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30)을 통해 상기 제1 레일 고정용 브래킷(2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30)을 상기 제1 레일 고정용 브래킷(210)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승강로에는 상기 승강카(220)를 안전하게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230)이 승강로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승강로의 양측 벽체(300)에는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3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제1 레일 고정용 브래킷(210)이 앵커(211)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레일 고정용 브래킷(210)은 단면의 형상이 'ㄱ'자 형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방음 방진 연결수단(110)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30)과 제1 레일 고정용 브래킷(210)에 복수개의 제2 고정부재(114)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30)을 상기 제1 레일 고정용 브래킷(210)에 연결시킴과 동시에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제1 가이드 레일(230)을 통해 상기 제1 레일 고정용 브래킷(2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승강로 벽체(3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방음 방진 연결수단(110)은 제1 브래킷(111) 및, 방음 방진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래킷(111)은 상기 제1 레일 고정용 브래킷(210)에 복수개의 제1 고정부재(111a)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30)에는 복수개의 제2 고정부재(11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브래킷(111)은 단면의 형상이 'ㄴ'자 형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음 방진부재(112)는 상기 제1 브래킷(111)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30) 사이에 개재되어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제1 가이드 레일(230)을 통해 제1 레일 고정용 브래킷(2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음 방진부재(112)는 상기 제2 고정부재(114)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제1 브래킷(111)과 제1 가이드 레일(2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방음 방진부재(112)는 상기 제2 고정부재(114)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제1 브래킷(111)과 제1 가이드 레일(23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상기 제2 고정부재(114)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까지도 흡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고정부재(114)에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제2 고정부재(114)가 풀리는 현상까지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방음 방진 연결수단(110)은 제2 브래킷(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브래킷(113)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30)의 폭 보다 넓은 폭의 방음 방진부재(112)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방음 방진부재(112)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3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방음 방진부재(112)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2 브래킷(113)이 상기 방음 방진부재(111)와 제1 가이드 레일(23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방음 방진부재(111)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30)의 폭 보다 넓은 방음 방진부재(112)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30)과 제2 브래킷(113) 사이에 개재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30)을 통해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소음 엘리베이터에 적용된 제2 방음 방진 연결수단(1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소음 엘리베이터(100)는 제2 방음 방진 연결수단(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음 방진 연결수단(120)은 상기 승강로 벽체에 고정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2 레일 고정용 브래킷(240)과 웨이트(250)가 슬라이딩 체결되어 있는 제2 가이드 레일(260) 사이에 개재되어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제2 가이드 레일(260)을 통해 제2 레일 고정용 브래킷(24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가이드 레일(260)을 상기 제2 레일 고정용 브래킷(240)에 연결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승강로에는 상기 웨이트(250)를 안전하게 안내하기 위한 제2 가이드 레일(260)이 배치된다. 한편, 상기 승강로 벽체(300)에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26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제2 레일 고정용 브래킷(240)이 앵커(241)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방음 방진 연결수단(120)은 상기 제2 가이드 레일(260)과 제2 레일 고정용 브래킷(240)에 복수개의 제2 고정부재(124)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2 가이드 레일(260)을 상기 제2 레일 고정용 브래킷(240)에 연결시킴과 동시에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제2 가이드 레일(260)을 통해 상기 제2 레일 고정용 브래킷(24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승강로 벽체(3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방음 방진 연결수단(120)은 제1 브래킷(121) 및, 방음 방진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래킷(121)은 상기 제2 레일 고정용 브래킷(240)에 복수개의 제1 고정부재(121a)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레일(260)에는 복수개의 제 2 고정부재(12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브래킷(121)은 단면의 형상이 'ㄴ'자 형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음 방진부재(122)는 상기 제1 브래킷(121)과 상기 제2 가이드 레일(260) 사이에 개재되어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제2 가이드 레일(260)을 통해 제2 레일 고정용 브래킷(24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음 방진부재(122)는 상기 제2 고정부재(124)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제1 브래킷(121)과 제2 가이드 레일(26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방음 방진부재(122)는 상기 제2 고정부재(124)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제1 브래킷(121)과 제2 가이드 레일(26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상기 제2 고정부재(124)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까지도 흡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고정부재(124)에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제2 고정부재(124)가 풀리는 현상까지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2 방음 방진 연결수단(120)은 제2 브래킷(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브래킷(123)은 상기 제2 가이드 레일(260)의 폭 보다 넓은 폭의 방음 방진부재(122)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방음 방진부재(122)와 상기 제2 가이드 레일(26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방음 방진부재(122)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2 브래킷(123)이 상기 방음 방진부재(122)와 제2 가이드 레일(26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방음 방진부재(122)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 가이드 레일(260)의 폭 보다 넓은 방음 방진부재(122)를 상기 제2 가이드 레일(260)과 제2 브래킷(123) 사이에 개재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 가이드 레일(260)을 통해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소음 엘리베이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소음 엘리베이터(100)는 승강카(220)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레일(230)이 제1 방음 방진 연결수단(110)에 의해 제1 레일 고정용 브래킷(210)에 연결되고, 웨이트(250)를 안내하는 제2 가이드 레일(260)이 제2 방음 방진 연결수단(120)에 의해 제2 레일 고정용 브래킷(240)에 연결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승강카(220)에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제1, 2 가이드 레일(230)(260)을 통해 승강로 벽체(3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 2 가이드 레일(230)(260)이 제1, 2 레일 고정용 브래킷(210)(24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경우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승강카(220)에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제1, 2 가이드 레일(230)(260)과 제1, 2 레일 고정용 브래킷(210)(240)을 통해 고스란히 승강로 벽체(300)에 전달되어 건물의 거주구역이나 사무실에 상주하는 사람들에게 피해를 준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소음 엘리베이터(100)는 제1, 2 가이드 레일(230)(260)과 제1, 2 레일 고정용 브래킷(210)(240) 사이에 제1, 2 방음 방진 연결수단(110)(120)이 개재되어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승강카(220)에 발생되어 제1, 2 가이드 레일(230)(260)로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제1, 2 방음 방진 연결수단(110)(120)에 의해 차단되어 승강로 벽체(300)에 전달되지 않음으로써 엘리베이터가 작동된다 하더라도 건물의 거주구역이나 사무실에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이나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소음 엘리베이터(100)에 적용된 제1, 2 방음 방진 연결수단(110)(120)은 엘리베이터 작동 시 소음과 진동에 따른 피해를 호소하는 기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도 손쉽게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작동 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작동 시 소음과 진동에 따른 피해를 호소하는 기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도 짧은 공사기간과 매우 저렴한 비용만을 투입하고도 엘리베이터 작동 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승강로 벽체(300)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건물의 거주구역에 거주하거나 사무실 등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소음과 진동에 의해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 방음 방진 연결수단(110)의 방음 방진부재(112)는 제2 고정부재(114)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제1 브래킷(111)과 제1 가이드 레일(23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방음 방진 연결수단(120)의 방음 방진부재(122)는 제2 고정부재(124)에 의해 관통되도록 제1 브래킷(121)과 제2 가이드 레일(26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상기 제2 고정부재(124)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까지도 흡수하여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의 차단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켜 더욱 정숙한 환경 속에서 엘리베이터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2 방음 방진 연결수단(110)(120)의 방음 방진부재(112)(122)는 제2 고정부재(114)(124)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제2 고정부재가 풀리(114)(124)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유지 보수비용까지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 방음 방진 연결수단(110)(120)은 상기 제1, 2 가이드 레일(230)(260)의 폭 보다 넓은 폭의 방음 방진부재(112)(122)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방음 방진부재(112)(122)와 제1, 2 가이드 레일(230)(26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방음 방진부재(112)(122)를 지지하는 제2 브래킷(113)(123)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 2 가이드 레일(230)(260)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방음 방진부재(112)(122)를 상기 제2 브래킷(113)(123)과 제1 브래킷(111)(121) 사이에 개재할 수 있으므로 소음과 진동의 차단 효과를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소음 엘리베이터(100)는 엘리베이터의 작동 시 발생되어 제1, 2 가이드 레일(230)(260)을 따라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이 제1, 2 방음 방진 연결수단(110)(120)에 의해 차단되어 승강로 벽체(30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가 작동된다 하더라도 건물의 거주구역이나 사무실의 정숙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소음 엘리베이터(100)는 건물의 거주구역에 거주하거나 사무실 등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에 의해 피해를 입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소음 엘리베이터(100)에 적용된 제1, 2 방음 방진 연결수단(110)(120)은 기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도 엘리베이터 구조의 변경 없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작동 시 소음과 진동에 따른 피해를 호소하는 기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도 짧은 공사기간과 매우 저렴한 비용만을 투입하여 건물의 거주구역이나 사무실 등으로 유입되는 소음과 진동을 차단하여 건물의 거주구역에 거주하거나 사무실 등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소음과 진동에 의해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2 방음 방진 연결수단(110)(120)은 제1, 2 가이드 레일(230)(260)을 제1, 2 레일 고정용 브래킷(210)(240)에 결합시키는 제2 고정부재(114)(124)의 풀림 현상까지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의 유지보수 비용까지도 절감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제1 방음 방진 연결수단 (111)(121) : 제1 브래킷
(112)(122) : 방음 방진부재 (113)(123) : 제2 브래킷
(120) : 제2 방음 방진 연결수단

Claims (8)

  1. 승강로 벽체에 고정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 레일 고정용 브래킷과 승강카가 슬라이딩 체결되어 있는 제1 가이드 레일 사이에 개재되어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통해 상기 제1 레일 고정용 브래킷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상기 제1 레일 고정용 브래킷에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제1 방음 방진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저소음 엘리베이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음 방진 연결수단은,
    상기 제1 레일 고정용 브래킷에는 복수개의 제1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에는 복수개의 제2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제1 브래킷; 및
    상기 제1 브래킷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음 방진부재를 포함하는 저소음 엘리베이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 방진부재는,
    상기 제2 고정부재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제1 브래킷과 제1 가이드 레일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엘리베이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음 방진 연결수단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폭 보다 넓은 폭의 방음 방진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방음 방진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방음 방진부재를 지지하는 제2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저소음 엘리베이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 벽체에 고정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2 레일 고정용 브래킷과 웨이트가 슬라이딩 체결되어 있는 제2 가이드 레일 사이에 개재되어 엘리베이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통해 제2 레일 고정용 브래킷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상기 제2 레일 고정용 브래킷에 연결시키는 제2 방음 방진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저소음 엘리베이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음 방진 연결수단은,
    상기 제2 레일 고정용 브래킷에는 복수개의 제1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는 복수개의 제2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제1 브래킷; 및
    상기 제1 브래킷과 상기 제2 가이드 레일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음 방진부재를 포함하는 저소음 엘리베이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 방진부재는,
    상기 제2 고정부재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제1 브래킷과 제2 가이드 레일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엘리베이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음 방진 연결수단은,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폭 보다 넓은 폭의 방음 방진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방음 방진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 레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방음 방진부재를 지지하는 제2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저소음 엘리베이터.
KR1020170114195A 2017-09-07 2017-09-07 저소음 엘리베이터 KR20190027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195A KR20190027421A (ko) 2017-09-07 2017-09-07 저소음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195A KR20190027421A (ko) 2017-09-07 2017-09-07 저소음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421A true KR20190027421A (ko) 2019-03-15

Family

ID=6576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195A KR20190027421A (ko) 2017-09-07 2017-09-07 저소음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74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2373A (zh) * 2019-09-21 2019-11-22 中科鼎盛电梯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带有隔震装置的无基坑电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529B1 (ko) 2009-10-29 2010-10-13 주식회사 신한엘리베이타 저소음을 위한 특수구조의 엘리베이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529B1 (ko) 2009-10-29 2010-10-13 주식회사 신한엘리베이타 저소음을 위한 특수구조의 엘리베이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2373A (zh) * 2019-09-21 2019-11-22 中科鼎盛电梯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带有隔震装置的无基坑电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157668A (ja) 巻上機組立体
JP2013151336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190027422A (ko) 저소음 엘리베이터
KR20030015379A (ko) 최소의 건물 공간을 사용하는 승강기 시스템
KR20190027421A (ko) 저소음 엘리베이터
JP6600259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7297180A (ja) エレベータ
KR100950991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와 케이지 조립체
US11325812B2 (en) Damping device for main rope
JP3700412B2 (ja) トラクションエレベーター
KR101819901B1 (ko) 엘리베이터의 가이드레일 방진 구조
ES2178607A1 (es) Sistema de ascensor sin caja
JP2003182953A (ja) エレベーターの防振装置
KR102080526B1 (ko)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엘리베이터
KR100455502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WO2016056585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巻上機組立体
KR100941955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와 케이지 조립체
KR20040024094A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KR101180051B1 (ko) 엘리베이터의 방진장치
KR102414241B1 (ko)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진동저감장치
JP2007308257A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692572A (ja) 斜行エレベータのロープガイド装置
KR20200000741A (ko) 승강기 설치방법
KR101753083B1 (ko) 엘리베이터 운행소음 감쇄 구조 및 방법
KR102281772B1 (ko) 내진대책과 진동방지 엘리베이터용 지지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