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381Y1 -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슈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381Y1
KR200462381Y1 KR2020100003608U KR20100003608U KR200462381Y1 KR 200462381 Y1 KR200462381 Y1 KR 200462381Y1 KR 2020100003608 U KR2020100003608 U KR 2020100003608U KR 20100003608 U KR20100003608 U KR 20100003608U KR 200462381 Y1 KR200462381 Y1 KR 2004623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uide rail
groove
elevato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724U (ko
Inventor
김근식
Original Assignee
김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식 filed Critical 김근식
Priority to KR2020100003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381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7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7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3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3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7Shoes, sli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실 내부의 벽면 양측에 가이드 레일을 수직선상으로 가설하기 위해 엘리베이터의 상ㆍ하ㆍ좌ㆍ우 중앙에 임시로 설치하는 가이드 슈는 고정 플레이트의 선단 하부에 안내블록과 직각 고정부를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엘리베이터의 승강 작동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파손되는 부품을 용이하게 교체함은 물론 수직선상으로 가이드 레일을 설치할 수 있도록 수직선상을 확인해주는 가이드 라인(線)과 가이드 레일을 격리함으로 인해 마찰로 인한 소음을 저감하고, 오일의 넘침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슈{Guide shoe of elevato}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실 내부의 벽면 양측에 가이드 레일을 수직선상으로 가설하기 위해 엘리베이터의 상ㆍ하ㆍ좌ㆍ우 중앙에 임시로 설치하는 가이드 슈는 고정 플레이트의 선단 저부에 가이드 레일 블록과 직각 고정부를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엘리베이터의 승강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파손되는 부품을 용이하게 교체함은 물론 수직선상으로 가이드 레일을 설치할 수 있도록 수직선상을 확인해주는 가이드 라인(線)과 가이드 레일을 격리하여 마찰로 인한 소음을 저감하고, 오일의 넘침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화물이나 사람을 지면에서 설정된 지상으로 운반하여 주는 기계장치로서, 사람이 이용하는 공간을 가진 엘리베이터와 권상기의 와이어 로프에 전달되는 하중을 감소시키고자 하중을 보유하는 균형추를 연결하고, 엘리베이터에 권상기의 와이어 로프를 연결하며, 엘리베이터의 주변에는 엘리베이터가 가이드 되면서 승하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엘리베이터의 상ㆍ하ㆍ좌ㆍ우에는 가이드 레일에 접하도록 가이드 슈가 설치된다.
즉, 고층아파트 또는 빌딩 등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주행에 필요한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기 위한 작업공정은 엘리베이터실의 저벽에서부터 천정벽 부위까지 일정한 길이를 갖는 금속봉을 작업자가 일일이 연접하여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대(Scaffold)를 사전 조립 설치한다.
또한, 가이드 레일을 직선상으로 설치키 위하여 가이드 레일 설치 위치인 양 측벽에는 천정에서부터 저벽에 이르기까지 가이드 라인(piano wire)을 설치한다.
또한, 가이드 라인에 맞추어 조립 설치하는 가이드 레일을 고정키 위한 브래킷(Bracket)을 엘리베이터실 내벽의 상ㆍ하부에서부터 상부에 걸쳐 일정거리를 두어 고정 부착하고, 가이드 라인에 맞추어 가이드 레일을 조립설치한다.
또한, 엘리베이터실 고층까지 일일이 사람에 의해 운반된 엘리베이터의 부품을 기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조립 장착기 위하여 엘리베이터실 내에 설치한 작업대중 상단 일부위만을 먼저 철거하고, 엘리베이터 설치 작업이 완료되면 전층에 걸쳐 설치한 작업대를 전부 철수하여 완성한다.
한편, 엘리베이터의 양측에 가이드 레일을 설치할 때에는 수직선상으로 매달어진 가이드 라인과 일치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의 상ㆍ하ㆍ좌ㆍ우의 양측에 임시로 가이드 슈를 설치한다.
상기 종래의 가이드 슈는 아크릴 재질에 사각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선단 가장자리 중앙에는 내측으로 가이드 라인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절단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으로 가이드 라인을 삽입할 수 있도록 쇠톱으로 일부를 절단한다.
따라서 가이드 슈를 엘리베이터의 상ㆍ하ㆍ좌ㆍ우 양측에 체결한 상태에서 가이드 홈으로 가이드 라인이 삽입되고, 가이드 홈의 전방에는 가이드 레일이 위치하여 승강 작동하여 엘리베이터의 좌ㆍ우 쏠림을 방지하나, 승강 작동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일부 절개된 가이드 홈의 선단이 쉽게 파손됨은 물론 가이드 레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포된 오일이 엘리베이터의 승강 작동시 가이드 홈으로 넘쳐오고 이로 인해 가이드 라인에 오일이 묻으면서 가이드 라인이 수직선상이 안되고 삐뚤어져 제 역할을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가이드 슈는 엘리베이터의 승강 작동시 압력에 의해 가이드 홈의 선단 일부가 절단되어 쉽게 파손되기 때문에 가이드 슈 전체를 교체하여야 함으로 인해 교체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가이드 레일에 도포한 오일이 가이드 라인에 묻지 않게 차단하는 기능이 없어 자주 닦아야하는 번거로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가이드 슈는 내구성이 약하고, 가이드 라인에 묻은 오일을 지속적으로 제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가이드 슈가 일부 파손이 되더라도 전체를 교체하지않고 일부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엘리베이터가 승강시 발생하는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가이드 레일에 도포한 기름이 가이드 홈으로 넘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목적으로 안출되어야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판형상으로 선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전면에는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라인이 삽입되어 상ㆍ하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선단 저부에는 가이드 홈과 동일하게 가이드 레일홈이 형성되어 밀착되는 가이드 레일블록과, 상기 가이드 레일블록의 저부가 안착되며 가이드 레일이 관통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홈이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배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편은 고정 플레이트의 가이드 홈으로 삽입되어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라인을 분할하여 격리하도록 직각형상으로 형성된 직각 고정부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어 분리 및 조립되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슈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가이드 슈는 고정 플레이트와 가이드 레일 블록과 직각 고정부가 분리 및 조립되는 것으로, 부품의 일부가 파손될 경우 파손된 부품만 교체가능하여 교체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가이드 레일 블록만 아크릴 재질이고, 고정 플레이트와 직각 고정부는 금속재질이기 때문에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직각 고정부는 가이드 레일에 도포된 오일이 가이드 라인에 묻지 않도록 차단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 가이드 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가이드 슈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가이드 슈를 도시해 보인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가이드 슈를 도시해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 가이드 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가이드 슈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본 고안 가이드 슈(1)는 건축물에 엘리베이터(5)를 설치하여 승강 작동할 때 엘리베이터(5)가 좌ㆍ우로 쏠리는 것과 진동 및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이드 라인(10)을 따라 가이드 레일(9)을 수직선상으로 연접할 때 사용 것으로서 고정 플레이트(2), 가이드 레일블록(3), 직각 고정부(4)로 이루어져 결합볼트(18)에 의해 분리 및 결합하는 구조이다.
즉, 가이드 슈(1)의 고정 플레이트(2)는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엘리베이터(5)에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체결공(6)이 배열된 배면부(7)와, 상기 배면부(7)의 선단에는 상부방향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한 상면 양측에 조립공(14)이 형성된 전면부(8)에는 선단 중앙에서 내측으로 일부를 절개하여 가이드 레일(9)과 가이드 라인(10)이 삽입되어 상ㆍ하로 관통되도록 가이드 홈(11)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홈(11)의 내부에는 좌ㆍ우 양측으로 마주하게 끼움공(12)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2)의 전면부(8) 저면에 밀착되는 가이드 레일 블록(3)은 끼움공(12)의 전방에 인접되게 위치하도록 블록형상으로 이루어져 가이드 홈(11)과 동일하게 전면에서 내측으로 가이드 레일홈(1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홈(13)의 양측에는 고정 플레이트(2)의 조립공(14)과 일치하게 연결공(1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 블록(3)의 저면에 밀착되는 직각 고정부(4)는 가이드 레일(9)이 관통하도록 중앙에는 가이드 레일홈(1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홈(13)의 양측에는 조립공(14')이 형성된 고정편(16)이 위치하며, 상기 고정편(16)의 배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수직편(17)이 형성되어 끼움공(12)에 삽입되어 가이드 홈(11)을 분할하여 격리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고정 플레이트(2)와 가이드 레일 블록()3과 직각 고정부(4)는 조립공(14, 14')과 연결공(15)에 결합볼트(18)를 삽입하여 조립한다.
또한, 가이드 슈(1)는 가이드 레일 블록(3)은 아크릴 재질이고, 고정 플레이트(2)와 직각 고정부(4)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고안 가이드 슈를 도시해 보인 결합 단면도이다.
본 고안 가이드 슈(1)는 고정 플레이트(2)의 전면부(8) 저면에 가이드 레일 블록(3)과 직각 고정부(4)가 순차적으로 밀착하여 가이드 홈(11)과 가이드 레일홈(13, 13')이 일치시킨 상태에서 조립공(14, 14')과 연결공(15)을 결합볼트(18)로 조임 체결하여 조립하면 직각 고정부(4)의 수직편(17)이 가이드 홈(11)의 끼움공(12)으로 삽입되어 분리하여 밀폐하도록 격리한다.
그러면 가이드 홈(11)으로 삽입된 수직편(17)을 기준으로 전방에는 가이드 레일(9)이 삽입되고, 배면에는 가이드 라인(10)이 삽입되어 엘리베이터(5)와 함께 승강한다.
상기 직각 고정부(4)의 수직편(17)은 가이드 라인(10)으로 가이드 레일(9)에 도포한 오일이 넘쳐오는 것을 차단하고, 가이드 레일 블록(3)이 엘리베이터(5)의 승강 압력시 파손될 경우 가이드 레일 블록(3)만 교체하여 사용하면 된다.
도 4는 본 고안 가이드 슈를 도시해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면으로 가이드 슈(1)는 엘리베이터(5)의 상ㆍ하ㆍ좌ㆍ우 양측 중앙에 설치하여 가이드 라인(10)과 엘리베이터실 벽면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9)을 엘리베이터(5)의 승강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1: 가이드 슈 2: 고정 플레이트
3: 가이드 레일 블록 4: 직각 고정부
5: 엘리베이터 6: 체결공
7: 배면부 8: 전면부
9: 가이드 레일 10: 가이드 라인
11: 가이드 홈 12: 끼움공
13: 가이드 레일홈 14, 14': 조립공
15: 연결공 16: 고정편
17: 수직편 18: 결합볼트

Claims (3)

  1.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엘리베이터(5)에 고정되도록 체결공(6)이 형성된 배면부(7)와, 상기 배면부(7)의 선단에는 상부방향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조립공(14)이 형성된 전면부(8)에는 선단에서 내측으로 일부를 절개하여 가이드 레일(9)과 가이드 라인(10)이 삽입되어 상ㆍ하로 관통하도록 가이드 홈(11)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홈(11)의 내부에는 좌ㆍ우 양측으로는 마주하게 끼움공(12)이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2)와;
    상기 전면부(8)의 저면에 밀착되어 끼움공(12)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블록형상에 가이드 홈(11)과 동일하게 전면에서 내측으로 가이드 레일홈(1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홈(13)의 양측에는 고정 플레이트(2)의 조립공(14)과 일치하게 연결공(15)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 블록(3)과;
    상기 가이드 레일 블록(3)의 저면에 밀착되어 가이드 레일(9)이 관통하도록 중앙에는 가이드 레일홈(1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홈(13') 양측에는 조립공(14')이 형성된 고정편(16)이 위치하며, 상기 고정편(16)의 배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수직편(17)이 형성되어 끼움공(12)에 삽입되어 가이드 홈(11)을 분할하여 격리하는 직각 고정부(4)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2)와 가이드 레일 블록(3)과 직각 고정부(4)는 조립공(14, 14')과 연결공(15)에 결합볼트(18)를 삽입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2)의 가이드 홈(11)으로 직각 고정부(4)의 수직편(17)이 삽입되어, 수직편(17)의 전방은 가이드 레일(9)이 삽입되고, 수직편(17)의 후방은 가이드 라인(10)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슈.
  3. 판형상으로 선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전면에는 가이드 레일(9)과 가이드 라인(10)이 삽입되어 상ㆍ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11)이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2)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2)의 선단 저부에는 가이드 홈(11)과 동일하게 가이드 레일홈(13)이 형성되어 밀착되는 가이드 레일 블록(3)과, 상기 가이드 레일 블록(3)의 저부가 안착되며 가이드 레일(9)이 관통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홈(13')이 형성된 고정편(16)과, 상기 고정편(16)의 배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편(17)은 고정 플레이트(2)의 가이드 홈(11)으로 삽입되어 가이드 레일(9)과 가이드 라인(10)을 분할하여 격리하도록 직각형상으로 형성된 직각 고정부(4)가 결합볼트(18)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어 분리 및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슈


KR2020100003608U 2010-04-07 2010-04-07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슈 KR2004623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608U KR200462381Y1 (ko) 2010-04-07 2010-04-07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608U KR200462381Y1 (ko) 2010-04-07 2010-04-07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724U KR20110009724U (ko) 2011-10-13
KR200462381Y1 true KR200462381Y1 (ko) 2012-09-10

Family

ID=45596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608U KR200462381Y1 (ko) 2010-04-07 2010-04-07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38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28712B (zh) * 2018-07-27 2024-03-29 天津市奥瑞克电梯有限公司 导轨支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8881U (ko) 1974-09-17 1976-03-23
JPS5845265U (ja) 1981-09-18 1983-03-26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調整用板ガイ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8881U (ko) 1974-09-17 1976-03-23
JPS5845265U (ja) 1981-09-18 1983-03-26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調整用板ガイ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724U (ko)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3571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及びその組立方法
EP2844600B1 (en) Method of installing a machine in an elevator system
CN110526074B (zh) 电梯的配重承接夹具以及配重承接夹具的安装方法
KR20170012354A (ko) 엘리베이터의 문턱
JPWO2009050807A1 (ja) エレベータかご及びその据付方法
KR200484298Y1 (ko)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강 프레임
KR200462381Y1 (ko)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슈
JP506576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053872B1 (ja) 配線用ダクト
JP2015151220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及びパネル締結具
KR102086247B1 (ko) 엘리베이터 케이지
KR102034750B1 (ko) 직각 관통형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KR20100101411A (ko)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0923619B1 (ko) 엘리베이터 홀의 재료분리대
JP6218161B2 (ja) エレベータの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及び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の組立方法
JP5920675B2 (ja) エレベータの幕板組立体およびリニューアルエレベータの新設幕板の取付方法
JP2007062949A (ja) ガイドレール支持構造およびガイドレール支持方法
JP2010173815A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用目板
JP2020055660A (ja) エレベーターの出入口に設けられる敷居および敷居の取り替え方法
WO2019043949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天井およびエレベータかごの製造方法
CN111032559B (zh) 电梯层站装置
JP5546969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かご
JP2006044843A (ja) 昇降路用作業台足場
JP5089488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パネル組立治具および組立方法
JP2018071077A (ja) 外壁パネル用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