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416B1 -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416B1
KR102437416B1 KR1020150121914A KR20150121914A KR102437416B1 KR 102437416 B1 KR102437416 B1 KR 102437416B1 KR 1020150121914 A KR1020150121914 A KR 1020150121914A KR 20150121914 A KR20150121914 A KR 20150121914A KR 102437416 B1 KR102437416 B1 KR 102437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layer
insulating layers
electrodes
insu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6815A (ko
Inventor
김지용
변대석
이정환
안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1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416B1/ko
Priority to US15/201,994 priority patent/US9666525B2/en
Publication of KR20170026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26Via connections in a multilevel interconnection structure
    • H01L27/1155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8Geometry or layout of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 H01L27/11521
    • H01L27/1155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2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3/23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3/27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3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10B43/35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with cell select transistors, e.g. NA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the dielectric comprising air g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10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 H01L2221/1005Formation and after-treatment of dielectrics
    • H01L2221/1042Formation and after-treatment of dielectrics the dielectric comprising air gaps
    • H01L2221/1047Formation and after-treatment of dielectrics the dielectric comprising air gaps the air gaps being formed by pores in the di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01L2924/143Digital devices
    • H01L2924/1434Memory
    • H01L2924/1435Random access memory [RAM]
    • H01L2924/1438Flash memo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01L2924/143Digital devices
    • H01L2924/1434Memory
    • H01L2924/1435Random access memory [RAM]
    • H01L2924/1443Non-volatile random-access memory [NVRA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4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5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core and peripheral circuit regions

Abstract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제공된다.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기판 상에 번갈아 수직적으로 적층된 층간 절연막들 및 전극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 상기 적층 구조체를 관통하여 상기 기판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수직 구조체들; 및 상기 수직 구조체들과 상기 적층 구조체 사이에 배치된 데이터 저장막을 포함하되, 상기 층간 절연막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기공들을 갖는 저유전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Three dimensional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뢰성이 보다 향상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가 요구하는 우수한 성능 및 저렴한 가격을 충족시키기 위해 반도체 장치의 집적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반도체 장치의 경우, 그 집적도는 제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특히 증가된 집적도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2차원 또는 평면적 반도체 장치의 경우, 그 집적도는 단위 메모리 셀이 점유하는 면적에 의해 주로 결정되기 때문에, 미세 패턴 형성 기술의 수준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패턴의 미세화를 위해서는 초고가의 장비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2차원 반도체 장치의 집적도는 증가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3차원적으로 배열되는 메모리 셀들을 구비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원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뢰성이 보다 향상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기판 상에 번갈아 수직적으로 적층된 층간 절연막들 및 전극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 상기 적층 구조체를 관통하여 상기 기판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수직 구조체들; 및 상기 수직 구조체들과 상기 적층 구조체 사이에 배치된 데이터 저장막을 포함하되, 상기 층간 절연막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기공들을 갖는 저유전막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층간 절연막들은 상기 전극들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는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층간 절연막들은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절연막 및 상기 제 1 두께보다 작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절연막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절연막은 상기 기공들을 갖는 상기 저유전막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절연막은 상기 기공들을 갖는 상기 저유전막이되, 상기 제 1 절연막 내의 상기 기공들의 크기와 상기 제 2 절연막 내의 상기 기공들의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절연막은 상기 제 2 절연막보다 큰 유전 상수를 갖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수직 구조체들 각각은 상기 기판과 접촉하는 하부 반도체 패턴 및 상기 하부 반도체 패턴 상의 상부 반도체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및 상부 반도체 패턴들을 서로 다른 결정 구조를 갖되, 상기 층간 절연막들은 상기 하부 반도체 패턴과 인접한 제 1 절연막 및 상기 상부 반도체 패턴과 인접하며 상기 제 1 절연막보다 작은 유전 상수를 갖는 제 2 절연막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절연막은 비다공성(non-porous)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절연막은 상기 저유전막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저장막은 상기 적층 구조체를 관통하며 상기 수직 구조체들을 감싸는 수직 절연 패턴 및 상기 수직 절연 패턴과 상기 전극 사이에서 상기 전극들과 상기 층간 절연막들 사이로 수평적으로 연장되는 수평 절연 패턴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저유전막은 상기 수평 절연 패턴의 유전 상수보다 작은 유전 상수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층 구조체는 복수 개의 리세스 영역들을 포함하는 측벽을 갖되, 상기 수직 구조체들의 측벽들 상에서 상기 전극들의 두께보다 상기 층간 절연막들의 두께가 클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층간 절연막들 중 어느 하나는 제 1 압축 스트레스를 가지며, 상기 층간 절연막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 1 압축 스트레스와 다른 제 2 압축 스트레스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층간 절연막들은 각각 상기 수직 구조체들과 인접한 제 1 측벽 및 상기 제 1 측벽에 대향하는 제 2 측벽을 갖되, 상기 제 2 측벽은 그루브들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층간 절연막들 중 어느 하나는 수직적으로 인접한 상기 전극들 사이에 배치된 제 1 유전막들 및 상기 제 1 유전막들 사이의 제 2 유전막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유전막들은 상기 제 2 유전막과 다른 유전 상수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층간 절연막들 중 어느 하나는 제1 다공도 (porosity)를 제 1 다공성 유전막 및 상기 제 1 다공도와 다른 제 2 다공도를 갖는 제 2 다공성 유전막을 포함한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기판 상에 번갈아 수직적으로 적층된 층간 절연막들 및 전극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 상기 적층 구조체를 관통하여 상기 기판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수직 구조체들; 및 상기 수직 구조체들과 상기 적층 구조체 사이에 배치된 데이터 저장막을 포함하되, 상기 층간 절연막들은 제 1 유전 상수를 갖는 제 1 절연막 상기 제 1 유전 상수보다 작은 제 2 유전 상수를 갖는 제 2 절연막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판 상에 수직적으로 적층된 전극들 사이에 기공들을 갖는 저유전막을 배치함으로써, 전극들 사이의 기생 캐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적층 구조체를 구성하는 절연막들 중 일부는 기공들을 포함하므로, 적층 구조체에 의해 기판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셀 어레이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3의 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들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들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도 4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3의 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3의 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스택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12의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12의 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15는 도 1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셀 어레이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셀 어레이를 나타내는 간략 회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들로서, 도 21의 I-I' 선 및 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들이다.
도 24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로서, 도 3의 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막이 다른 막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막이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셀 어레이(1), 로우 디코더(2), 페이지 버퍼(3), 컬럼 디코더(4), 및 제어 회로들(5)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1)는 복수개의 메모리 블록들(BLK0~BLKn)을 포함하며, 각각의 메모리 블록들(BLK0~BLKn)은 복수의 메모리 셀들 및 메모리 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워드 라인들 및 비트 라인들을 포함한다.
로우 디코더(2)는 외부에서 입력된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워드라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로우 디코더(2)에서 디코딩된 어드레스는 로우 드라이버(미도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로우 드라이버는 제어 회로들(5)의 제어에 응답하여 전압 발생 회로(미도시)로부터 발생된 워드라인 전압을 선택된 워드 라인 및 비선택된 워드 라인들로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로우 디코더(2)는 복수 개의 메모리 블록들(BLK0~BLKn)에 공통으로 연결되며, 블록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된 메모리 블록(BLK0~BLKn 중 하나)의 워드라인들에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페이지 버퍼(3)는 비트 라인들을 통해 메모리 셀 어레이와 연결되어,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한다. 페이지 버퍼(3)는 컬럼 디코더(4)로부터 디코딩된 어드레스에 따라 선택된 비트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페이지 버퍼(3)는 동작 모드에 따라, 메모리 셀들에 저장될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 버퍼(3)는 프로그램 동작 모드시 기입 드라이버(write driver) 회로로 동작하며, 읽기 동작 모드시 감지 증폭기(sense amplifier) 회로로서 동작할 수 있다. 페이지 버퍼(3)는 제어 로직(3)으로부터 파워(예를 들어, 전압 또는 전류)를 수신하고 선택된 비트 라인에 이를 제공한다.
컬럼 디코더(4)는 페이지 버퍼(3)와 외부 장치(예를 들면, 메모리 컨트롤러) 사이에 데이터 전송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컬럼 디코더(4)는 외부에서 입력된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비트라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컬럼 디코더(4)는 복수 개의 메모리 블록들(BLK0~BLKn)에 공통으로 연결되며, 블록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된 메모리 블록(BLK0~BLKn)의 비트 라인들에 데이터 정보를 제공한다.
제어 회로들(5)은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회로들(5)은 제어 신호 및 외부 전압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제어 회로들(5)은 외부 전압을 이용하여 내부 동작에 필요한 전압들(예를 들어, 프로그램 전압, 읽기 전압, 소거 전압 등)을 생성하는 전압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들(5)은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읽기, 쓰기, 및/또는 소거 동작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셀 어레이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셀 어레이는 공통 소오스 라인(CSL), 복수개의 비트라인들(BL) 및 공통 소오스 라인(CSL)과 비트라인들(BL)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셀 스트링들(CSTR)을 포함할 수 있다.
비트 라인들(BL)은 2차원적으로 배열되고, 그 각각에는 복수개의 셀 스트링들(CSTR)이 병렬로 연결된다. 셀 스트링들(CSTR)은 공통 소오스 라인(CSL)에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비트 라인들(BL)과 하나의 공통 소오스 라인(CSL) 사이에 복수의 셀 스트링들(CSTR)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공통 소오스 라인(CSL)은 복수 개로 2차원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공통 소오스 라인들(CSL)에는 전기적으로 동일한 전압이 인가될 수 있거나, 또는 공통 소오스 라인들(CSL) 각각이 전기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셀 스트링들(CSTR) 각각은 공통 소오스 라인(CSL)에 접속하는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 비트라인(BL)에 접속하는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 및 접지 및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GST, SST)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 및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공통 소오스 라인(CSL)은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들(GST)의 소오스들에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공통 소오스 라인(CSL)과 비트 라인들(BL) 사이에 배치되는, 접지 선택 라인(GSL), 복수개의 워드라인들(WL0-WL3) 및 복수개의 스트링 선택 라인들(SSL)이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 및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ST)의 게이트 전극들로서 각각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 각각은 데이터 저장 요소(data storage element)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3의 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들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들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도 4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적층 구조체들(ST)이 기판(10) 상에서 제 1 방향(D1)으로 나란히 연장되며, 제 2 방향(D2)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기판(10)은 벌크(bulk) 실리콘 기판, 실리콘-온-인슐레이터(silicon on insulator: SOI) 기판, 게르마늄 기판, 게르마늄-온-인슐레이터(germanium on insulator: GOI) 기판, 실리콘-게르마늄 기판, 또는 선택적 에피택시얼 성장(selective epitaxial growth: SEG)을 수행하여 획득한 에피택시얼 박막의 기판일 수 있다. 기판(10)은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Si), 게르마늄(Ge), 실리콘 게르마늄(SiGe), 갈륨비소(GaAs), 인듐갈륨비소(InGaAs), 알루미늄갈륨비소(AlGaAs),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층 구조체들(ST) 각각은 기판(10) 상에 수직적으로 적층된 전극들(EL)과 이들 사이에 개재된 절연막들(ILD)을 포함한다. 적층 구조체들(ST)에서 절연막들(ILD)의 두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절연막들(ILD)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최하층의 절연막(ILD)의 두께는 다른 절연막들(ILD)보다 얇을 수 있다. 또한, 절연막들(ILD) 중 일부는 다른 절연막들(ILD)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절연막들(ILD)은 실리콘 산화막보다 유전 상수가 낮은 유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막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절연막들(ILD)은 약 1.0 내지 3.0의 유전 상수를 가질 수 있으며, 유기, 무기 및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절연막들(ILD)은 다공성(porous) 절연막 또는 비다공성(non-porous) 절연막일 수 있다.
일 예로, 절연막들(ILD)은 불순물이 도우프된 산화막 계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순물이 도우프된 산화막 계열로는 불소가 도핑된 산화막(fluorine-doped oxide 또는 FSG), 탄소가 도핑된 산화막, 실리콘 산화막, HSQ(hydrogen silsesquioxane; SiO:H), MSQ(methyl silsesquioxane; SiO:CH3) 또는 a-SiOC(SiOC:H)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절연막들(ILD)은 저유전율(Low-k)을 갖는 유기폴리머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유전율을 갖는 유기폴리머는 폴리알릴에테르계 수지, 환상 불소 수지, 실록산 공중합체, 불화 폴리알릴에테르계 수지, 폴리펜타플루오르스티렌(polypentafluorostylene), 폴리테트라플루오르스티렌계 수지, 불화 폴리이미드 수지, 불화 폴리나프탈렌(polynaphthalene fluride), 폴리사이드(polycide) 수지 등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층 구조체들(ST)을 구성하는 절연막들(ILD)의 유전율을 감소시킴으로써,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시 수직적으로 적층된 전극들(EL) 간의 기생 캐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절연막들(ILD)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도 5a 내지 도 5e 및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직 구조체들(VS)은 적층 구조체들(ST) 각각을 관통하여 기판(1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직 구조체들(VS)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구조체들(VS)의 바닥면들은 기판(10)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수직 구조체들(VS)의 상단에는 비트라인 콘택 플러그(BPLG)와 접속되는 콘택 패드가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직 구조체들(VS) 각각은, 도 5a 내지 도 5e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과 접촉하는 제 1 반도체 패턴(SP1) 및 제 1 반도체 패턴(SP1)과 데이터 저장막(DS) 사이에 개재되는 제 2 반도체 패턴(S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반도체 패턴(SP1)는 원 기둥(pillar) 형태일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제 1 반도체 패턴(SP1)은 속이 빈 파이프 형태(pipe-shaped) 또는 마카로니 형태(macaroni-shaped)일 수 있다. 제 1 반도체 패턴(SP1)의 하단은 닫힌 상태(closed state)일 수 있으며, 제 1 반도체 패턴(SP1)의 내부는 매립 절연 패턴(VI)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제 1 반도체 패턴(SP1)은 제 2 반도체 패턴(SP2)의 내벽과 기판(10)과 상부면과 접촉될 수 있다. 즉, 제 1 반도체 패턴(SP1)은 제 2 반도체 패턴(SP2)과 기판(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반도체 패턴(SP1)의 바닥면은 기판(10)의 상부면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반도체 패턴(SP2)은 상단 및 하단이 오픈된(opened) 파이프 형태 또는 마카로니 형태일 수 있다. 제 1 및 제 2 반도체 패턴들(SP1, SP2)은 언도프트 상태이거나, 기판(10)과 동일한 도전형을 갖는 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다. 제 1 반도체 패턴(SP1)과 제 2 반도체 패턴(SP2)은 다결정 상태 또는 단결정 상태일 수 있다.
데이터 저장막(DS)이 적층 구조체들(ST)과 수직 구조체들(VS)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막(DS)은 적층 구조체들(ST)을 관통하는 수직 절연 패턴(VP)과, 전극들(EL)과 수직 절연 패턴(VP) 사이에서 전극들(EL)의 상부면들 및 하부면들로 연장되는 수평 패턴(HP)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저장막(DS)의 수직 절연 패턴(VP)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구조체들(VS)의 측벽들을 감싸며, 기판(1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저장막(DS)에 대해서는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공통 소오스 영역들(CSR)은 각각 서로 인접하는 적층 구조체들(ST) 사이에서 기판(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공통 소오스 영역들(CSR)은 적층 구조체들(ST)과 나란하게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공통 소오스 영역들(CSR)은 기판(10) 내에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을 도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공통 소오스 영역들(CSR)은 예를 들어, N형의 불순물(예를 들어, 비소(As) 또는 인(P))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소오스 플러그(CSP)가 공통 소오스 영역(CSR)에 접속될 수 있으며, 공통 소오스 플러그(CSP)와 적층 구조체들(ST) 사이에 측벽 절연 스페이서(SP)가 개재될 수 있다. 일 예로, 공통 소오스 플러그(CSP)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상부 폭을 가지며, 제 1 방향(D1)으로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측벽 절연 스페이서(SP)는 서로 인접하는 적층 구조체들(ST) 사이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측벽 절연 스페이서(SP)는 서로 인접하는 적층 구조체들(ST) 사이를 채울 수 있으며, 공통 소오스 플러그(CSP)가 측벽 절연 스페이서(SP)를 관통하여 공통 소오스 영역(CSR)과 국소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부 매립 절연막(120) 및 캡핑 절연막(125)이 복수의 적층 구조체들(ST)을 덮으며, 캡핑 절연막(125) 상에 적층 구조체들(ST)을 가로질러 제 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비트 라인들(BL)이 배치될 수 있다. 비트 라인들(BL)은 비트라인 콘택 플러그(BPLG)를 통해 수직 구조체(VS)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수직형 낸드 플래시 메모리 장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전극들(EL)은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도 2의 MCT)의 제어 게이트 전극들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상층의 전극(EL) 및 최하층의 전극(EL) 사이의 전극들(EL)은 제어 게이트 전극들 및 이들을 연결하는 워드 라인들로써 사용될 수 있다. 전극들(EL)은 수직 구조체들(VS)과 결합하여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도 2의 MCT)을 구성할 수 있다. 적층 구조체들(ST)에서, 최하층 및 최상층의 전극들(EL)은 선택 트랜지스터들(도 2의 SST, GST)의 게이트 전극들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상층의 전극(EL)은 비트 라인(BL)과 수직 구조체들(VS)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는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도 2의 SST)의 게이트 전극으로 사용되고, 최하층의 전극(EL)은 공통 소오스 영역(CSR)과 수직 구조체들(VS)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는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도 2의 GST)의 게이트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읽기 또는 프로그램 동작시 공통 소오스 플러그(CSP)를 통해 공통 소오스 영역(CSR)에 접지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절연막들(IL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산화막보다 유전상수가 낮은 저유전막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절연막들(ILD)은 기공들(pores; P)을 포함하는 다공성(porous) 저유전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기공들(P)을 포함하는 절연막들(ILD)은 기공 형성 물질(pore generator), 즉, 포로젠(porogen)을 포함하는 절연막들을 형성한 후, 절연막들 내에서 포로젠을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절연막들(ILD) 내에서 기공들(P)의 크기(예를 들면, 직경)는 수 내지 수백 nm일 수 있다. 다공성 저유전막은 기공(pore)의 사이즈가 커지면 커질수록 유전상수인 k값이 낮아짐에 따라 수직적으로 인접하는 전극들(EL) 간의 기생 캐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공성 저유전막은 SiOCH막, SiOC막 및 SiOF막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공성 저유전막에서 기공들의 크기(예를 들면, 직경)는 수십 내지 수백 n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공성 저유전막은 5~50vol%의 기공도(porosity)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적층 구조체들(ST)을 구성하는 전극들(EL) 및 절연막들(ILD)은 인장 스트레스(tensile stress) 및 압축 스트레스(compressive stress)를 가지며, 이로 인해 전극들(EL) 및 절연막들(ILD)의 적층 수가 증가함에 따라, 기판(1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증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판(10)이 휘어지는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적층 구조체들(ST)을 구성하는 절연막들(ILD) 적어도 하나 이상은 기공들을 포함하므로, 절연막들(ILD)의 스트레스가 감소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면, 적층 구조체들(ST)을 구성하는 일부 절연막들(ILD)의 두께(t1)는, 각 전극들(EL)의 두께(t2)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예에서, 적층 구조체들(ST)에서 각 절연막들(ILD)의 수평적 두께(즉, 수직 구조체(VS)의 측벽으로부터 공통 소오스 플러그(CSP)에 인접한 절연막(ILD)의 측벽까지의 거리)는 각 전극들(EL)의 수평적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공통 소오스 플러그(CSP)에 인접한 적층 구조체(ST)의 측벽은 복수의 리세스 영역들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리세스 영역들 각각은 수직적으로 인접한 절연막들(ILD)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전극(EL)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리세스 영역들은 측벽 절연 스페이서(SP)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직 구조체(VS)의 일측벽으로부터 전극들(EL)의 수평적 두께 및 절연막들(ILD)의 수평적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다.
절연막들(ILD)은 기공들(P)을 포함하며, 데이터 저장막(DS)을 구성하는 막들(예를 들어, 수평 절연 패턴(HP))보다 작은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절연막들(ILD)의 유전율은 측벽 절연 스페이서(SP)의 유전율보다 작을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막들(ILD) 각각은 수직 구조체들(VS)과 인접한 제 1 측벽(S1)과 공통 소오스 플러그(CSP)와 인접한 제 2 측벽(S2)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2 측벽(S2)은 기공들(P)이 노출되어 형성된 그루브들을 가질 수 있으며, 그루브들은 측벽 절연 스페이서(SP)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즉, 기공들(P)을 포함하는 절연막들(ILD)은 울퉁불퉁한 제 2 측벽(S2)을 가질 수 있다.
도 5c, 도 5d, 및 도 5e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적층 구조체(ST)를 구성하는 각각의 절연막들(ILD)은 제 1 유전막들(DIL1) 및 제 2 유전막(DIL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유전막들(DIL1) 및 제 2 유전막(DIL2)은 수직적으로 인접하는 전극들(E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직적으로 인접하는 전극들 사이에 제 1 유전막들(DIL1)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유전막들(DIL1) 사이에 제 2 유전막(DIL2)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유전막(DIL1)과 제 2 유전막(DIL2)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제 1 유전막(DIL1)과 제 2 유전막(DIL2)은 서로 다른 유전율(dielectric constant)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유전막들(DIL1)은 다공성 저유전막일 수 있으며, 제 2 유전막(DIL2)은 비다공성 저유전막일 수 있다. 제 1 유전막들(DIL1)의 유전율은 제 2 유전막(DIL2)의 유전율보다 작을 수 있다.
기공들(P)을 포함하는 다공성 저유전막은 비다공성 저유전막보다 압축 스트레스가 감소될 수 있다. 즉, 제 1 유전막들(DIL1)의 압축 스트레스는 제 2 유전막(DIL2)의 압축 스트레스보다 작을 수 있다. 즉, 기공들(P)을 포함하는 다공성 저유전막들 사이에 비다공성 유전막을 배치함으로써, 수직적으로 인접하는 전극들(EL)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유전막들(DIL1, DIL2)은 기공들(P)을 포함하되, 제 1 유전막들(DIL1)의 기공도(porosity)가 제 2 유전막(DIL2)의 기공도보다 클 수 있다. 즉, 제 1 유전막들(DIL1)의 유전율은 제 2 유전막(DIL2)의 유전율보다 작을 수 있다.
도 5e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유전막들(DIL1, DIL2)은 기공들(P)을 포함하되, 제 1 유전막들(DIL1) 내의 기공들(P)의 크기가 제 2 유전막(DIL2) 내의 기공들(P)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도 6a,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면, 적층 구조체들(ST)을 구성하는 절연막들은 제 1 두께(t1)를 갖는 제 2 절연막(ILD2)과 제 1 두께(t1)보다 큰 제 3 두께(t3)를 갖는 제 1 절연막(ILD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절연막(ILD1)과 제 2 절연막(ILD2) 사이의 전극(EL)은 제 1 두께(t1)보다 크고 제 3 두께(t3)보다 작은 제 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서, 제 1 절연막(ILD1)은 워드 라인(도 2의 WL)으로 사용되는 전극(EL)과 접지 선택 라인(도 2의 GSL) 또는 스트링 선택 라인(도 2의 SSL)으로 사용되는 전극(E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절연막(ILD2)은 워드 라인들(도 2의 WL)으로 사용되는 전극들(E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절연막들(ILD1, ILD2)은 기공들(P)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절연막들(ILD1, ILD2) 내에서 기공들(P)의 크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및 제 2 절연막들(ILD1, ILD2)에서 기공도(porosity)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6b를 참조하면, 제 1 절연막(ILD1)은 제 1 기공들(P1)을 가질 수 있으며, 제 2 절연막(ILD2)은 제 1 기공들(P1)보다 작은 제 2 기공들(P2)을 가질 수 있다. 기공들의 크기 차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절연막들(ILD1, ILD2)은 동일한 유전 물질로 이루어지되, 서로 다른 유전 상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6c를 참조하면, 제 1 절연막(ILD1)은 비다공성막일 수 있으며, 제 2 절연막(ILD2)은 다공성막일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저장막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층 구조체(ST)와 수직 구조체(VS) 사이에 개재되는 데이터 저장막(DS)은 터널 절연막(TL), 전하 저장막(CIL) 및 블록킹 절연막(BK)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저장막(DS)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막 수직 구조체(VS)와 전극들(EL) 사이의 전압 차이에 의해 유발되는 파울러-노던하임 터널링을 이용하여 변경될 수 있다.
도 7a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터널 절연막(TIL), 전하 저장막(CIL), 및 블록킹 절연막(BLK)은 전극들(EL)과 수직 구조체(VS) 사이에서 층간 절연막(ILD)과 수직 구조체(VS)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층간 절연막(ILD)이 전극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터널 절연막(TIL) 및 전하 저장막(CIL)은 전극들(EL)과 수직 구조체(VS) 사이에서 층간 절연막(ILD)과 수직 구조체(VS)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킹 절연막(BLK)은 전극들(EL)과 수직 구조체(VS) 사이에서 전극들(EL)의 상부면들 및 하부면들로 연장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터널 절연막(TIL)이 전극들(EL)과 수직 구조체(VS) 사이에서 층간 절연막(ILD)과 수직 구조체(VS) 사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전하 저장막(CIL) 및 블록킹 절연막(BLK)은 전극들(EL)과 수직 구조체(VS) 사이에서 전극들(EL)의 상부면들 및 하부면들로 연장될 수 있다.
도 7d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터널 절연막(TIL), 전하 저장막(CIL) 및 블록킹 절연막(BLK)은 전극들(EL)과 수직 구조체(VS) 사이에서 전극들(EL)의 상부면들 및 하부면들로 연장될 수 있다.
도 7e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막(DS)은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블록킹 절연막들(BLK1, BLK2)을 포함할 수 있다. 터널 절연막(TIL), 전하 저장막(CIL), 및 제 1 블록킹 절연막(BLK1)은 전극들(EL)과 수직 구조체(VS) 사이에서 층간 절연막(ILD)과 수직 구조체(VS) 사이로 수직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블록킹 절연막(BLK2)이 전극들(EL)과 제 1 블록킹 절연막(BLK1) 사이에서 전극들(EL)의 상부면들 및 하부면들로 수평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된 데이터 저장막에서, 전하저장막(CIL)은 트랩 사이트들이 풍부한 절연막들 및 나노 입자들을 포함하는 절연막들 중의 한가지일 수 있으며, 화학 기상 증착 또는 원자층 증착 기술들 중의 한가지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하저장막(CIL)은 트랩 절연막, 부유 게이트 전극 또는 도전성 나노 돗들(conductive nano dots)을 포함하는 절연막 중의 한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로, 전하저장막(CIL)은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질화막, 실리콘-풍부 질화막(Si-rich nitride), 나노크리스탈 실리콘(nanocrystalline Si) 및 박층화된 트랩막(laminated trap layer)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터널 절연막(TIL)은 전하저장막(CIL)보다 큰 밴드 갭을 갖는 물질들 중의 한가지일 수 있으며, 화학 기상 증착 또는 원자층 증착 기술들 중의 한가지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널 절연막(TIL)은 상술한 증착 기술들 중의 하나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실리콘 산화막일 수 있다. 이와 달리, 터널 절연막은 알루미늄 산화막 및 하프늄 산화막 등과 같은 고유전막들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블록킹 절연막(BLK)은 터널 절연막(TIL)보다 작고 전하 저장막(CIL)보다 큰 밴드 갭을 갖는 물질들 중의 한가지일 수 있다. 블록킹 절연막(BLK)은 알루미늄 산화막 및 하프늄 산화막 등과 같은 고유전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킹 절연막(BLK)은 화학 기상 증착 또는 원자층 증착 기술들 중의 한가지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습식 산화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저장막(DS)이 제 1 및 제 2 블록킹 절연막들(BLK1, BLK2)을 포함하는 경우, 일 예로, 제 1 블록킹 절연막(BLK1)은 알루미늄 산화막 및 하프늄 산화막 등과 같은 고유전막들 중의 하나이고, 제 2 블록킹 절연막(BLK2)은 제 1 블록킹 절연막(BLK1)보다 작은 유전 상수를 갖는 물질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블록킹 절연막(BLK2)은 고유전막들 중의 하나이고, 제 1 블록킹 절연막(BLK1)은 제 2 블록킹 절연막(BLK2)보다 작은 유전 상수를 갖는 물질일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설명된 데이터 저장막(DS)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는 수직 구조체(VS)와 전극들(EL) 사이의 전압 차이에 의해 유발되는 파울러-노던하임 터널링을 이용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데이터 저장막(DS)은 다른 동작 원리에 기초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한 박막(예를 들면, 상변화 메모리를 위한 박막 또는 가변저항 메모리를 위한 박막)일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3의 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들이다. 설명의 간략함을 위해, 도 4, 도 5a 내지 도 5e,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기술적 특징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수직 구조체들(VS) 각각은, 적층 구조체(ST)의 하부 부분을 관통하여 수평 반도체층(100)과 접속되는 하부 반도체 패턴(LSP) 및 적층 구조체(ST)의 상부 부분을 관통하여 하부 반도체 패턴(LSP)과 연결되는 상부 반도체 패턴(USP)을 포함한다.
상부 반도체 패턴(USP)은 속이 빈 파이프 형태(pipe-shaped) 또는 마카로니 형태(macaroni-shaped)일 수 있다. 이때, 상부 반도체 패턴(USP)의 하단은 닫힌 상태(closed state)일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반도체 패턴(USP)의 내부는 매립 절연 패턴(VI)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반도체 패턴(USP)의 바닥면은 하부 반도체 패턴(LSP)의 상부면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부 반도체 패턴(USP)은 하부 반도체 패턴(LSP)에 삽입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부 반도체 패턴(USP)은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반도체 패턴(USP)은 실리콘(Si), 게르마늄(G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이거나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상태의 진성 반도체(intrinsic semiconductor)일 수도 있다. 또한, 상부 반도체 패턴(USP)은 단결정, 비정질(amorphous), 및 다결정(polycrystallin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상부 반도체 패턴(USP)은 그것의 상단에 도전 패드(PAD)를 가질 수 있다. 도전 패드(PAD)는 불순물이 도핑된 불순물 영역이거나, 도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부 반도체 패턴(USP)은 제 1 반도체 패턴(SP1) 및 제 2 반도체 패턴(S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반도체 패턴(SP1)은 하부 반도체 패턴(LSP)과 접속될 수 있으며, 하단이 닫힌 파이프 형태 또는 마카로니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제 1 반도체 패턴(SP1)의 내부는 매립 절연 패턴(VI)으로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제 1 반도체 패턴(SP1)은 제 2 반도체 패턴(SP2)의 내벽과 하부 반도체 패턴(LSP)의 상부면과 접촉될 수 있다. 즉, 제 1 반도체 패턴(SP1)은 제 2 반도체 패턴(SP2)과 하부 반도체 패턴(LSP)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 2 반도체 패턴(SP2)은 적층 구조체의 내측벽을 덮을 수 있다. 제 2 반도체 패턴(SP2)은 상단 및 하단이 오픈된(opened) 파이프 형태 또는 마카로니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반도체 패턴(SP2)은 하부 반도체 패턴(LSP)과 접촉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나아가, 제 1 및 제 2 반도체 패턴들(SP1, SP2)은 언도프트 상태이거나, 수평 반도체층(100)과 동일한 도전형을 갖는 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다. 제 1 반도체 패턴(SP1)과 제 2 반도체 패턴(SP2)은 다결정 상태 또는 단결정 상태일 수 있다.
하부 반도체 패턴(LSP)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들(GST)의 채널 영역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하부 반도체 패턴(LSP)은 수평 반도체층(100)과 동일한 도전형의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하부 반도체 패턴(LSP)은 수평 반도체층(100)을 씨드로 이용하는 에피택시얼(epitaxial) 기술 또는 레이저 결정화 기술들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된 에피택시얼 패턴일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반도체 패턴(LSP)은 단결정 구조를 갖거나 화학기상증착 기술의 결과물보다 증가된 그레인 크기를 갖는 다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하부 반도체 패턴(LSP)은 다결정 구조의 반도체 물질(예를 들면, 다결정 실리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부 반도체 패턴(LSP)에 인접한 절연 패턴은 하부 반도체 패턴(LSP)의 일측벽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부 반도체 패턴(LSP)은, 최하층 전극(EL)을 관통하는 필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반도체 패턴(LSP)의 하부면은 수평 반도체층(100)의 상부면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하부 매립 절연막(90)의 상부면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반도체 패턴(LSP)의 상부면은 최하층 전극(EL)의 상부면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막(DS)이 적층 구조체들(ST)과 수직 구조체들(VS)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적층 구조체들(ST)을 관통하는 수직 절연 패턴(VP)과, 전극들(EL)과 수직 절연 패턴(VP) 사이에서 전극들(EL)의 상부면들 및 하부면들로 연장되는 수평 패턴(HP)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데이터 저장막(DS)의 수직 절연 패턴(VP)은 상부 반도체 패턴(USP)의 측벽을 감싸며 하부 반도체 패턴(LS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도 6a,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적층 구조체들(ST)을 구성하는 절연막들(ILD)은 제 1 두께(t1)를 갖는 제 1 절연막(ILD1)과 제 1 두께(t1)보다 작은 제 2 두께(t3)를 갖는 제 2 절연막(ILD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 1 절연막(ILD1)은 하부 반도체 패턴(LSP)과 인접할 수 있으며, 제 2 절연막(ILD2)은 상부 반도체 패턴(USP)과 인접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절연막들(ILD1, ILD2)은 기공들(P)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9b를 참조하면, 제 1 절연막(ILD1)은 비다공성막일 수 있으며, 제 2 절연막(ILD2)은 다공성막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절연막(ILD1)의 유전율보다 제 2 절연막(ILD2)의 유전율이 작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3의 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이다. 설명의 간략함을 위해, 도 4, 도 5a 내지 도 5e,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기술적 특징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판(10) 상에 수직적으로 적층된 전극들(EL)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들(ST)이 배치될 수 있다. 적층 구조체들(ST)은 제 1 유전율을 갖는 제 1 절연막들(ILD1)과, 제 1 유전율과 다른 제 2 절연막들(ILD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유전율이 제 2 유전율보다 작을 수 있으며, 제 1 절연막들(ILD1)이 제 2 절연막들(ILD2)보다 두꺼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절연막들(ILD1)은 기공들(P)을 갖는 다공성 절연막일 수 있으며, 제 2 절연막들(ILD2)은 비다공성 절연막들일 수 있다.
일 예에서, 기공들을 갖는 제 1 절연막들(ILD1)은 워드 라인(도 2의 WL)으로 사용되는 전극(EL)과 접지 선택 라인(도 2의 GSL) 또는 스트링 선택 라인(도 2의 SSL)으로 사용되는 전극(E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비다공성의 제 2 절연막들(ILD2)은 워드 라인들(도 2의 WL)으로 사용되는 전극들(E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수직 구조체들(VS)이 이러한 적층 구조체들(ST)을 관통하여 기판(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적층 구조체들(ST) 사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공통 소오스 플러그(CSP)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수직 구조체들(VS)과 적층 구조체들(ST) 사이에 데이터 저장막(DS)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절연막들(ILD1, ILD2)이 데이터 저장막(DS)의 수직 절연 패턴(VP)과 접촉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적층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설명의 간략함을 위해, 도 4, 도 5a 내지 도 5e,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동일한 기술적 특징들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면, 기판(10) 상에 수직적으로 번갈아 적층된 전극들(EL) 및 절연막들(ILD1, ILD2)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ST)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적층 구조체들(ST)은 하부 영역(LR), 상부 영역(UR), 및 이들 사이의 중간 영역(MR)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층 구조체(ST)를 구성하는 전극들(EL)은 인장 스트레스를 가지며, 절연막들(ILD1, ILD2)은 압축 스트레스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전극들(EL) 및 절연막들(ILD1, ILD2)의 적층 수가 증가할수록 기판(1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연막들(ILD1, ILD2)의 스트레스를 제어하여 기판(1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적층 구조체들(ST)은 제 1 유전 상수를 갖는 제 1 절연막들(ILD1)과, 제 1 유전 상수와 다른 제 2 유전 상수를 갖는 제 2 절연막들(ILD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절연막들(ILD1, ILD2) 각각은 수직적으로 인접하는 전극들(EL)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절연막들(ILD1, ILD2)은 기계적 강도 및 스트레스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절연막들(ILD1)은 제 1 압축 스트레스를 가지며, 제 2 절연막들(ILD2)은 제 1 압축 스트레스보다 큰 제 2 압축 스트레스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절연막들(ILD1)은 기공들(P)을 포함하는 다공성 절연막일 수 있으며, 제 2 절연막들(ILD2)은 비다공성 절연막들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절연막들(ILD1) 및 제 2 절연막들(ILD2)의 위치에 따라, 기판(1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절연막(ILD1)이 적층 구조체(ST)의 중간 영역(MR)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제 1 절연막들(ILD1)이 적층 구조체(ST)의 중간 영역(MR)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적층 구조체(ST)의 중간 영역(MR)에서 압축 스트레스가 적층 구조체(St)의 상부 및 하부 영역들(UR, LR)에서 압축 스트레스보다 감소될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적층 구조체(ST)에서 제 1 절연막들(ILD1)과 제 2 절연막들(ILD2)이 번갈아 위치할 수도 있다. 즉, 적층 구조체(ST)의 하부 영역(LR), 중간 영역(MR), 및 상부 영역(UR)에 각각 제 1 및 제 2 절연막들(ILD1, ILD2)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1d를 참조하면, 적층 구조체(ST)의 하부 영역(LR)에서 복수 개의 제 1 절연막들(ILD1)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적층 구조체(ST)의 상부 영역(UR)에서 복수 개의 제 2 절연막들(ILD2)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층 구조체(ST)의 하부 영역(LR)에서 압축 스트레스가 적층 구조체(ST)의 상부 영역(UR)에서 압축 스트레스보다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절연막들(ILD1)은 적층 구조체(ST)의 상부 영역(UR)과 하부 영역(LR)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 참조) 이에 따라, 적층 구조체(ST)의 상부 및 하부 영역들(UR, LR)에서 압축 스트레스가 적층 구조체(ST)의 중간 영역(MR)에서보다 감소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들로서, 각각 도 12의 I-I'선 및 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들을 나타낸다. 도 15는 도 1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설명의 간략함을 위해, 도 4, 도 5a 내지 도 5e,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동일한 기술적 특징들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2,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기판(10)은, 제 1 방향(D1)에서, 셀 어레이 영역(CAR)과 셀 어레이 영역(CAR) 양측에 콘택 영역들(CTR)을 포함하며, 제 1 방향(D1)에 수직한 제 2 방향(D2)에서, 셀 어레이 영역(CAR)과 셀 어레이 영역(CAR) 양측에 더미 영역들(DMR)을 포함할 수 있다.
적층 구조체들(ST)은 기판 상에 수직적으로 번갈아 적층된 전극들(EL) 및 절연막들(ILD)을 포함한다. 절연막들(IL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기공들을 갖는 저유전막일 수 있다. 또한, 절연막들(ILD) 중 일부는 다른 절연막들(ILD)에 비해 두꺼울 수 있다.
적층 구조체들(ST)은 셀 어레이 영역(CAR)으로부터 콘택 영역(CTR) 및 더미 영역(DMR)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콘택 영역(CTR) 및 더미 영역(DMR)에서 계단식 구조(stepwise structure)를 가질 수 있다. 즉, 콘택 영역(CTR) 및 더미 영역(DMR)에서 전극들(EL)의 측벽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전극들(EL)의 수직적 높이가 증가할수록 전극들(EL)의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일 예로, 콘택 영역(CTR)에서 전극들(EL)의 측벽들 간의 간격은, 더미 영역(DMR)에서 전극들(EL)의 측벽들 간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말해, 콘택 영역(CTR)에서 적층 구조체(ST)의 측벽 프로파일의 경사도보다 더미 영역(DMR)에서 적층 구조체(ST)의 측벽 프로파일의 경사도가 클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콘택 영역(CTR)에서 전극들(EL)의 측벽들 간의 간격은 더미 영역(DMR)에서 전극들(EL)의 측벽들 간의 간결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적층 구조체(ST)의 측벽 프로파일의 경사도가 콘택 영역(CTR)과 더미 영역(DMR)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수직 구조체들(VS)은 적층 구조체들(ST)을 관통하여 기판(10)에 연결될 수 있다. 수직 구조체들(VS)은 반도체 물질 또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구조체들(VS)은 평면적 관점에서 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수직 구조체들(VS)은 평면적 관점에서 일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적층 구조체들(ST)) 사이에 측벽 절연 스페이서(SP) 및 공통 소오스 플러그(CSP)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측벽 절연 스페이서(SP) 및 공통 소오스 플러그(CSP)는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기판(10) 전면에 적층 구조체들(ST)을 덮는 상부 매립 절연막(1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매립 절연막(120)은 평탄화된 상부면을 가지며, 적층 구조체들(ST)의 끝단 부분들을 덮을 수 있다. 상부 매립 절연막(120)은 하나의 절연막 또는 적층된 복수의 절연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매립 절연막(120) 상에 수직 구조체들(VS) 및 공통 소오스 플러그들(CSP)을 덮는 캡핑 절연막(125)이 배치될 수 있다.
수직적으로 적층된 전극들(EL)을 주변 로직 회로들(예를 들어, 디코더)과 연결하기 위한 배선 구조체가 콘택 영역(CTR)에 배치될 수 있다. 배선 구조체는 상부 매립 절연막(120) 및 캡핑 절연막(125)을 관통하여 전극들(EL)의 끝단들에 접속되는 콘택 플러그들(PLG)과, 캡핑 절연막(125) 상에서 콘택 플러그들(PLG)에 접속되는 연결 라인들(CL)을 포함한다. 콘택 플러그들(PLG)의 수직적 길이들은 셀 어레이 영역(CAR)에 인접할수록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콘택 플러그들(PLG)의 상면들은 실질적으로 공면을 이룰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적층 구조체(ST)는 더미 영역(DMR)에서 희생 절연 패턴들(SLP)을 포함할 수 있다. 희생 절연 패턴들(SLP)은 더미 영역(DMR)에서 수직적으로 인접하는 절연막들(ILD)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수평적으로 전극들(EL)과 인접할 수 있다. 전극들(EL)과 희생 절연 패턴들(SLP) 사이에 데이터 저장막(DS)의 수평 절연 패턴(HP)이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희생 절연 패턴들(SLP)은 절연막들(ILD) 보다 유전 상수가 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절연막들(ILD)은 기공들을 포함하는 다공성 저유전막들일 수 있으며, 더미 영역(DMR)에서 희생 절연 패턴들(SLP)이 수직적으로 인접하는 다공성 저유전막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공통 소스 라인(CSL), 복수 개의 비트 라인들(BL), 및 공통 소스 라인(CSL)과 비트 라인들(BL) 사이의 셀 스트링(CSTR)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CSL)은 기판 상에 배치되는 도전성 박막일 수 있고, 비트 라인들(BL)은 기판 상에 배치되는 도전성 패턴들(일 예로, 금속 라인)일 수 있다.
셀 스트링(CSTR)은 비트 라인들(BL)에 각각 연결된 복수 개의 상부 스트링들(CSTR1), 및 공통 소스 라인(CSL)에 연결된 단일의 하부 스트링(CSTR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부 스트링들(CSTR1)은 단일의 하부 스트링(CSTR2)에 공통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 스트링들(CSTR1)의 각각은 스위칭 소자(SW)를 통해 하부 스트링(CSTR2)에 공통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 스트링들(CSTR1)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들(SW)은 전기적으로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부 스트링들(CSTR1)의 각각은 비트 라인들(BL)의 각각에 접속하는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 및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와 스위칭 소자(SW)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부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1)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 및 상부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1)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스트링(CSTR2)은 공통 소스 라인(CSL)에 접속하는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 및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와 스위칭 소자들(SW)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하부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2)을 포함할 수 있다.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 및 하부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2)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비트 라인들(BL)과 스위칭 소자들(SW) 사이에 배치되는 스트링 선택 라인(SSL) 및 상부 워드 라인들(WL1(0)-WL1(3))은,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 및 상부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1)의 게이트 전극들로 각각 이용될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CSL)과 스위칭 소자들(SW) 사이에 배치되는 접지 선택 라인(GSL) 및 하부 워드 라인들(WL2(0)-WL2(3))은,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 및 하부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2)의 게이트 전극들로 각각 이용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1, MCT2)의 각각은 정보저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비트 라인들(BL)의 각각에 연결된 복수 개의 상부 스트링들(CSTR1)이 공통 소스 라인에 연결된 단일의 하부 스트링(CSTR2)에 공통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트 라인들(BL)에 각각 접속하는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ST)을 포함하는 상부 스트링들(CSTR1)은, 단일의 하부 스트링(CSTR2)에 포함된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를 공유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비트 라인들에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상부 스트링들(CSTR1)이 단일의 하부 스트링(CSTR2)에 공통적으로 연결되어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를 공유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고집적화에 최적화된 반도체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제공되고, 설명의 간소화를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기판(10) 상에 복수 개의 적층 구조체들(ST) 및, 적층 구조체들(ST)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수직 구조체들(VS)을 포함할 수 있다. 적층 구조체들(ST) 각각은 기판(10) 상에 번갈아 적층된 전극들(EL) 및 절연막들(ILD)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적층 구조체들(ST)은 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적층 구조체들(ST) 사이에 매립 절연막(120)이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층 구조체들(ST)에서 절연막들(ILD)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산화막보다 유전 상수가 낮은 저유전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연막들(IL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기공들을 갖는 저유전막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전극들은 스트링 선택 라인(SSL), 워드 라인들(WL), 및 접지 선택 라인(GSL)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링 선택 라인(SSL)은 워드 라인들(WL)과 비트 라인들(BL) 사이에 배치된다. 접지 선택 라인(GSL)은 워드 라인들(WL)과 공통 소스 라인(CSL) 사이에 배치된다. 워드 라인들(WL)은 기판(10) 상에 수직적으로 적층된다. 스트링 선택 라인(SSL) 및 접지 선택 라인(GSL)은 워드 라인들(W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스트링 선택 라인(SSL)과 접지 선택 라인(GSL)은 수평적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워드 라인들(WL)은 기판(10)과 스트링 선택 라인(SSL)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워드 라인들(WL1), 및 기판(10)과 접지 선택 라인(GSL)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 워드 라인들(WL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워드 라인들(WL1)과 하부 워드 라인들(WL2)은 수평적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스트링 선택 라인(SSL)과 접지 선택 라인(GSL) 사이, 및 상부 워드 라인들(WL1)과 하부 워드 라인들(WL2) 사이에 매립 절연막(120)이 매립 절연막(120)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및/또는 실리콘 산질화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성 패턴들(AP) 각각은 적층 구조체들(ST)을 관통하는 수직 구조체들 (VS1, VS2) 및 적층 구조체들(ST) 아래에서 수직 구조체들(VS1, VS2)을 연결하는 수평 부분(HP)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구조체들(VS1, VS2)은 적층 구조체들(ST)을 관통하는 수직 홀들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수평 부분(HP)은 기판(10) 상부의 수평 리세스부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수직 구조체들(VS2) 중의 하나는 공통 소스 라인(CSL)에 연결되고, 수직 구조체들(VS1) 중의 다른 하나는 비트 라인들(BL) 중의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수평 부분(HP)은 기판(10)과 적층 구조체들(ST) 사이에 제공되어 수직 구조체들(VS1, VS2)을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활성 패턴들(AP) 각각에 있어서, 수직 구조체들(VS1, VS2)은 상부 워드 라인들(WL1)과 스트링 선택 라인(SSL)을 관통하는 제 1 수직 구조체(VS1), 및 하부 워드 라인들(WL2)과 접지 선택 라인(GSL)을 관통하는 제 2 수직 구조체(V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수직 구조체(VS1)는 비트 라인들(BL)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제 2 수직 구조체(VS2)는 공통 소스 라인(CSL)에 연결될 수 있다. 수평 부분(HP)은 상부 워드 라인들(WL1)의 아래에서 하부 워드 라인들(WL2)의 아래로 연장되어 제 1 수직 구조체(VS1) 및 제 2 수직 구조체(VS2)를 연결할 수 있다.
활성 패턴들(AP) 각각은 적층 구조체들(ST)을 관통하여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반도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구조체들(VS1, VS2)에서 반도체 패턴은 적층 구조체들(ST)에 형성된 수직 홀들의 내벽을 덮을 수 있다. 수평 부분(HP)에서 반도체 패턴은 기판(10)에 형성된 수평 리세스부의 내벽을 덮을 수 있다. 반도체 패턴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주변 로직 구조체(PS) 및 셀 어레이 구조체(CS)를 포함하며, 주변 로직 구조체(PS) 상에 셀 어레이 구조체(CS)가 적층될 수 있다. 즉, 주변 로직 구조체(PS)와 셀 어레이 구조체(CS)가 평면적 관점에서, 오버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주변 로직 구조체(PS)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로우 및 칼럼 디코더들(2, 4), 페이지 버퍼(3), 및 제어 회로들(5)을 포함할 수 있다. 셀 어레이 구조체(CS)는 데이터 소거 단위인 복수 개의 메모리 블록들(BLK0~BLKn)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블록들(BLK1~BLKn)은 제 1 및 제 2 방향들(D1, D2)을 따라 신장된 평면 상에, 제 3 방향(D3)을 따라 적층된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블록들(BLK1~BLKn) 각각은 3차원 구조(또는 수직 구조)를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를 포함한다. 메모리 셀 어레이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3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메모리 셀들, 메모리 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워드 라인들 및 비트 라인들을 포함하는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 상에 주변 로직 구조체(PS) 및 셀 어레이 구조체(CS)가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주변 로직 구조체(PS)는, 수직적 관점에서, 반도체 기판(10)과 셀 어레이 구조체(CS)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주변 회로 영역과 셀 어레이 영역이 평면적 관점에서 오버랩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0)은 벌크(bulk) 실리콘 기판, 실리콘-온-인슐레이터(silicon on insulator: SOI) 기판, 게르마늄 기판, 게르마늄-온-인슐레이터(germanium on insulator: GOI) 기판, 실리콘-게르마늄 기판, 또는 선택적 에피택시얼 성장(selective epitaxial growth: SEG)을 수행하여 획득한 에피택시얼 박막의 기판일 수 있다.
주변 로직 구조체(PS)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로우 및 칼럼 디코더들(도 1의 2, 4 참조), 페이지 버퍼(도 1의 3 참조) 및 제어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주변 로직 구조체(PS)는 셀 어레이 구조체(CS)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NMOS 및 PMOS 트랜지스터들, 저항(resistor) 및 캐패시터(capaci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주변 회로들은 반도체 기판(10)의 전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기판(10)은 n형 불순물이 도핑된 n웰 영역(nw)과 p형 불순물이 도핑된 p웰 영역(pw)을 포함할 수 있다. n웰 영역(nw)과 p웰 영역(pw)에는 소자 분리막(11)에 의해 활성 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
주변 로직 구조체(PS)는 주변 게이트 전극들(PG), 주변 게이트 전극들(PG) 양측의 소오스 및 드레인 불순물 영역들, 주변 콘택 플러그들(CP), 주변 회로 배선들(ICL), 및 주변 회로들을 덮는 하부 매립 절연막(9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n웰 영역(nw) 상에 PMOS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p웰 영역(pw) 상에 NMOS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주변 회로 배선들(ICL)은 주변 콘택 플러그들(CP)을 통해 주변 회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MOS 및 PMOS 트랜지스터들에는 주변회로 플러그들(CP) 및 주변회로 배선들(ICL)이 접속될 수 있다.
하부 매립 절연막(90)은 주변 회로들, 주변 콘택 플러그들(CP), 및 주변 회로 배선들(ICL)을 덮을 수 있다. 하부 매립 절연막(90)은 다층으로 적층된 절연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셀 어레이 구조체(CS)는 하부 매립 절연막(90) 상에 배치되며, 수평 반도체층(100), 적층 구조체들(ST), 및 수직 구조체들(VS)을 포함한다.
수평 반도체층(100)은 주변 회로들을 덮는 하부 매립 절연막(9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수평 반도체층(100)의 하부면은 하부 매립 절연막(90)과 접촉할 수 있다. 수평 반도체층(100)은 셀 어레이 영역(CAR) 및 셀 어레이 영역(CAR)에 인접하여 배치된 콘택 영역(CTR)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반도체층(100)은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Si), 게르마늄(Ge), 실리콘 게르마늄(SiGe), 갈륨비소(GaAs), 인듐갈륨비소(InGaAs), 알루미늄갈륨비소(AlGaAs),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평 반도체층(100)은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및/또는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상태의 진성 반도체(intrinsic semicondu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평 반도체층(100)은 단결정, 비정질(amorphous), 및 다결정(polycrystallin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적층 구조체들(ST)은 수평 반도체층(100) 상에서 제 1 방향(D1)으로 나란히 연장되며, 제 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적층 구조체들(ST) 각각은 수평 반도체층(100) 상에 수직적으로 적층된 전극들(EL)과 이들 사이에 개재된 절연막들(ILD)을 포함한다. 적층 구조체들(ST)에서 절연막들(ILD)의 두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최하층의 절연막(ILD)의 두께는 다른 절연막들(ILD)보다 얇을 수 있다. 또한, 절연막들(ILD) 중 일부는 다른 절연막들(ILD)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적층 구조체들(ST)에서 절연막들(ILD)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산화막보다 유전 상수가 낮은 저유전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연막들(IL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기공들을 갖는 저유전막일 수 있다.
적층 구조체들(ST)은 전극들(EL)과 주변 로직 구조체(PS)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콘택 영역(CTR)에서 계단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계단식 구조를 갖는 전극들(EL)의 단부들을 덮는 상부 매립 절연막(120)이 수평 반도체층(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캡핑 절연막(125)이 복수의 적층 구조체들(ST) 및 상부 매립 절연막(120)을 덮을 수 있다. 나아가, 캡핑 절연막(125) 상에 적층 구조체들(ST)을 가로질러 제 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비트 라인들(BL)이 배치될 수 있다. 비트 라인들(BL)은 비트라인 콘택 플러그(BPLG)를 통해 수직 구조체(VS)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직 구조체들(VS)은 적층 구조체들(ST) 각각을 관통하여 수평 반도체층(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직 구조체들(VS)은 적층 구조체들(ST)을 관통하여 수평 반도체층(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직 구조체들(VS)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구조체들(VS)의 바닥면들은 수평 반도체층(100)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수직 구조체들(VS)의 상단에는 비트라인 콘택 플러그(BPLG)와 접속되는 콘택 패드가 위치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막(DS)이 적층 구조체들(ST)과 수직 구조체들(VS)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막(DS)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적층 구조체들(ST)을 관통하는 수직 절연 패턴(VP)과, 전극들(EL)과 수직 절연 패턴(VP) 사이에서 전극들(EL)의 상부면들 및 하부면들로 연장되는 수평 패턴(HP)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소오스 영역들(CSR)은 각각 서로 인접하는 적층 구조체들(ST) 사이에서 수평 반도체층(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공통 소오스 영역들(CSR)은 적층 구조체들(ST)과 나란하게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공통 소오스 영역들(CSR)은 수평 반도체층(100) 내에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을 도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공통 소오스 영역들(CSR)은 예를 들어, N형의 불순물(예를 들어, 비소(As) 또는 인(P))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소오스 플러그(CSP)가 공통 소오스 영역(CSR)에 접속될 수 있다. 공통 소오스 플러그(CSP)와 적층 구조체들(ST) 사이에 측벽 절연 스페이서(SP)가 개재될 수 있다. 일 예로, 공통 소오스 플러그(CSP)는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측벽 절연 스페이서(SP)는 적층 구조체들(ST)과 공통 소오스 플러그(CSP) 사이에서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측벽 절연 스페이서(SP)는 서로 인접하는 적층 구조체들(ST) 사이를 채울 수 있으며, 공통 소오스 플러그(CSP)가 측벽 절연 스페이서(SP)를 관통하여 공통 소오스 영역(CSR)과 국소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픽업 영역들(10p)이 셀 어레이 구조체(CS)에 인접하여 수평 반도체층(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픽업 영역들(10p)이 적층 구조체들(ST) 각각의 양 끝단들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픽업 영역들(10p)은 제 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픽업 영역들(10p)은 수평 반도체층(100) 내에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을 도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픽업 영역들(10p)을 수평 반도체층(100)과 동일한 도전형을 가질 수 있으며, 픽업 영역들(10p)에서 불순물 농도는 수평 반도체층(100) 내의 불순물 농도보다 높을 수 있다.
계단식 구조를 갖는 적층 구조체들(ST)의 끝단들에 셀 어레이 구조체(CS)와 주변 로직 구조체(PS)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 구조체가 배치될 수 있다. 적층 구조체들(ST)의 끝단들을 덮는 상부 매립 절연막(120)이 수평 반도체층(10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배선 구조체는 상부 매립 절연막(120)을 관통하여 전극들(EL)의 끝단들에 콘택 플러그들(PLG)과, 상부 매립 절연막(120) 상에서 콘택 플러그들(PLG)에 접속되는 연결 라인들(CL)을 포함한다. 콘택 플러그들(PLG)의 수직적 길이들은 셀 어레이 영역(CAR)에 인접할수록 감소될 수 있다.
픽업 콘택 플러그들(PPLG)이 상부 매립 절연막(120)을 관통하여 픽업 영역들(10p)에 접속될 수 있다. 픽업 콘택 플러그들(PPLG)의 상부면들은 콘택 플러그들(PLG)의 상부면과 실질적으로 공면을 이룰 수 있다. 픽업 콘택 플러그(PPLG)는 웰 도전 라인(PCL) 및 연결 플러그(CPLG)를 통해 주변 로직 구조체(PS)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플러그(CPLG)는 셀 어레이 구조체(CS)와 주변 로직 구조체(PS)는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 플러그(CPLG)는 상부 매립 절연막(120) 및 수평 반도체층(100)을 관통하여 주변 로직 구조체(PS)의 주변회로 배선들(ICL)에 접속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셀 어레이를 나타내는 간략 회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복수의 선택 트랜지스터들(SST)이 복수의 비트라인 플러그들(BLP)을 통해 비트 라인(BL)에 병렬로 연결된다. 비트라인 플러그들(BLP) 각각은 그것에 인접하는 한 쌍의 선택 트랜지스터들(SST)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복수의 워드라인들(WL) 및 복수의 수직 전극들(VE)이 비트 라인(BL)과 선택 트랜지스터들(SST) 사이에 배치된다. 수직 전극들(VE)은 비트라인 플러그들(BL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직 전극들(VE) 및 비트라인 플러그들(BLP)은 비트라인(BL)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수직 전극들(VE) 각각은 그것에 인접하는 한 쌍의 선택 트랜지스터들(SST)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복수의 메모리 요소들(ME)이 수직 전극들(VE) 각각에 병렬로 연결된다. 메모리 요소들(ME) 각각은 워드라인들(WL)의 상응하는 하나에 연결된다. 즉, 워드라인들(WL) 각각은, 메모리 요소들(ME)의 상응하는 하나를 통해, 수직 전극들(VE)의 상응하는 하나에 연결된다.
선택 트랜지스터들(SST) 각각은, 그것의 게이트 전극으로 기능하는, 선택 라인(SL)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택 라인들(SL)은 워드라인들(WL)에 평행할 수 있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도 20에 도시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들로서, 도 21의 I-I'선 및 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들이다.
도 21,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도 20에 도시된 비트 라인들(BL)로 기능하는 복수의 비트 라인들(BL)이 기판(10) 상에 배치된다. 기판(10)은 비트 라인들(BL)에 평행한 복수의 활성 영역들을 가질 수 있다. 활성 영역들은 기판(10)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소자분리 패턴들(STI)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소자분리 패턴들(STI)은 비트 라인들(BL)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비트 라인들(BL)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활성 영역들 각각에는, 비트 라인(BL)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불순물 영역들(10a, 10b)이 형성된다. 불순물 영역들(10a, 10b)은 서로 이격되어 채널 영역들을 정의할 수 있다. 불순물 영역들(10a, 10b)은 복수의 제 1 불순물 영역들(10a) 및 복수의 제 2 불순물 영역들(10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불순물 영역들(10a) 및 제 2 불순물 영역들(10b)은 서로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기판(10) 상에는 2차원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수직 전극들(VE)이 배열될 수 있으며, 수직 전극들(VE)은 제 1 불순물 영역들(10a)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비트라인 플러그들(BLP)이 기판(10) 상에 2차원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제 2 불순물 영역들(10b)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기판(10) 상에 소자분리 패턴들(STI)을 가로지르는 적층 구조체들(ST)이 배치될 수 있으며, 각 적층 구조체들(ST)은 수직적으로 적층된 수평 전극들(EL) 및 절연막들(ILD)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전극들(EL)은 도 20에 도시된 워드라인들(WL) 및 선택 라인들(SL)로서 기능할 수 있다. 수평 전극들(EL) 중의 복수의 것들이 채널 영역들 각각의 상부에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수평 전극들(EL) 중의 최하부의 것들은 선택 라인들(SL)로서 기능하고, 나머지는 워드라인들(WL)로 기능할 수 있다. 나아가, 적층 구조체들(ST)에서 절연막들(ILD)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산화막보다 유전 상수가 낮은 저유전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연막들(IL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기공들을 갖는 저유전막일 수 있다.
수평 전극들(EL)은 수직 전극들(VE) 및 비트라인 플러그들(BLP)로부터 수평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평 전극들(EL)과 수직 전극들(VE) 사이에 데이터 저장막(DS)이 개재되고, 수평 전극들(EL)과 비트라인 플러그들(BLP) 사이에는 측벽 절연 스페이서(SP)가 개재될 수 있다.
수직 전극들(VE) 각각은 제 1 불순물 영역들(10a) 중의 상응하는 하나와 워드라인(WL)으로 사용되는 수평 전극들(EL) 중의 하나 사이의 도전 경로로 사용된다. 이에 따라, 수직 전극들(VE)은 제 1 불순물 영역들(10a)에는 연결되지만, 비트 라인들(BL)로부터는 이격된다. 비트라인 플러그들(BLP) 각각은 제 2 불순물 영역들(10b) 중의 상응하는 하나와 비트라인들(BL) 중의 상응하는 하나 사이의 도전 경로로 사용된다. 이때, 비트라인 플러그들(BLP) 각각은 측벽 절연 스페이서(SP)에 의해 수평 전극들(EL)로부터 이격된다.
도 24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로서, 도 3의 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들이다.
도 3 및 도 24를 참조하면, 기판(10) 상에 희생막들(SL) 및 절연막들(ILD)이 번갈아 반복적으로 적층된 박막 구조체(110)가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은 벌크(bulk) 실리콘 기판, 실리콘-온-인슐레이터(silicon on insulator: SOI) 기판, 게르마늄 기판, 게르마늄-온-인슐레이터(germanium on insulator: GOI) 기판, 실리콘-게르마늄 기판, 또는 선택적 에피택시얼 성장(selective epitaxial growth: SEG)을 수행하여 획득한 에피택시얼 박막의 기판일 수 있다.
박막 구조체(110)에서, 희생막들(SL)은 절연막들(ILD)에 대해 식각 선택성을 가지고 식각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희생막들(SL) 및 절연막들(ILD)은 케미컬 용액을 이용한 습식 식각 공정에서의 높은 식각 선택비를 가지며, 식각 가스를 이용한 건식 식각 공정에서 낮은 식각 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희생막들(SL) 및 절연막들(ILD)은 절연 물질로 형성되되, 서로 식각 선택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희생막들(SL)은 실리콘막,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카바이드, 실리콘 저마늄, 실리콘 산질화막 및 실리콘 질화막 중의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절연막들(ILD)은 실리콘막,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카바이드막, 실리콘 산질화막, 및 실리콘 질화막 중의 적어도 하나이되, 희생막들(SL)과 다른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희생막들(SL)은 실리콘 질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연막들(ILD)은 저유전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희생막들(SL)은 도전 물질로 형성되고, 절연막들(ILD)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희생막들(SL) 및 절연막들(ILD)은 열적 화학기상증착(Thermal CVD), 플라즈마 인핸스드(Plasma enhanced CVD), 물리적 화학기상증착(physical CVD) 또는 원자층 증착(Atomic Layer Deposition; ALD) 기술을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희생막들(SL)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희생막들(SL) 중 최하층 및 최상층의 희생막들(SL)은 그것들 사이에 위치한 희생막들(SL)에 비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연막들(ILD)은 동일한 두께를 가지거나, 절연막들(ILD) 중 일부는 두께가 다를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박막 구조체(110)의 절연막들(ILD) 중 최하층에 형성된 절연막(ILD)은 그 위에 형성되는 희생막들(SL) 및 절연막들(ILD)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최하층의 절연막(ILD)은 열산화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실리콘 산화막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절연막들(IL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포로젠(porogens)을 포함하는 유전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포로젠은 CHx-CHy(여기서, x 및 y는 0 보다 큰 수)의 구조를 갖는 탄화수소(hydrocarbon)일 수 있다. 절연막들(ILD) 내의 포로젠의 양 및 농도에 따라 후속 공정에서 절연막들(ILD) 내에 형성되는 기공들의 크기 및 기공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포로젠은 분지상 폴리(p-크실렌) (branched poly(p-xylene)), 선형 폴리(p-페닐렌) (linear poly(pphenylene)), 선형 폴리부타디엔 (linear polybutadiene), 분지상 폴리에틸렌 (branched polyethyl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아미드 (polyamide-6,6: "Nylon6/6"),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syndiotactic polystyrene: "PS-syn"), 폴리카프로락톤 (polycaprolactone: "PCL"),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poly(propylene oxide): "PPO"),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s),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eimide: "PAI"), 폴리프탈아미드 (polyphthalamide: "PPA", "Amodel"), 폴리메틸스티렌(polymethylstyrene: "PM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olyetheretherketone: "PEEK"), 폴리(에테르 술폰)(poly(ether sulfone): "PES"), 폴리(에테르케톤)(poly(etherketone): "PEK"),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스티렌 (polystyrene: "PS"), 폴리(노르보르넨)(poly(norbornene),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CTAB"), 폴리(에틸렌옥사이드-b-프로필렌 옥사이드-b-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b-propylene oxide-b-ethyleneoxide): "PEO-b-PPO-b-PEO"), 시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CD")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절연막들(ILD)을 형성하는 것은, 유기 규소 전구체, 산화제, 및 포로젠의 혼합물을 이용한 증착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절연막들은 탄화 수소를 포함하는 실리콘 산화막일 수 있다. 이러한 절연막들을 형성시, 유기 규소 전구체로서 trimethylsilane (3MS,(CH3)3-Si-H), tetramethylsilane (4MS, (CH3)4-Si), vinyltrimethylsilane (VTMS, CH2=CH-Si(CH3)3)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구체를 산화시키기 위하여 산소를 포함하는 산화제 가스 예를 들면, 과산화 수소 등의 가스를 이용할 수 있다. 탄소를 함유한 실리콘 산화막은 PECVD 또는 ALD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박막 구조체(110)를 구성하는 절연막들(ILD)은 포로젠들을 포함하되, 서로 다른 절연막들에서 포로젠들이 양 또는 농도가 다를 수 있다. 다른 예로, 박막 구조체(110)를 구성하는 절연막들 중 일부 절연막들(ILD)은 포로젠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절연막들(ILD)은 포로젠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박막 구조체(110)를 구성하는 절연막들 중 일부 절연막들(ILD)에만 기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25를 참조하면, 박막 구조체(110)를 관통하여 기판(10)과 연결되는 수직 구조체들(VS)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 구조체들(VS)은 반도체 물질 또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직 구조체들(VS)을 형성하는 것은, 박막 구조체(110)를 관통하여 개구부들을 형성하는 것, 및 개구부들 내에 반도체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들을 형성하는 것은, 박막 구조체(110) 상에 마스크 패턴(미도시)을 형성하고, 마스크 패턴(미도시)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박막 구조체(110)를 이방성 식각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방성 식각 공정에서 기판(10)의 상부면까지 과도 식각(over-etch)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구부들에 노출된 기판(10)의 상부면은 소정의 깊이로 리세스될 수 있다. 또한, 이방성 식각 공정에 의해 개구부들의 하부 폭이 개구부들의 상부 폭(W)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개구부들은 평면적 관점에서 일 방향으로 배열되거나,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개구부들 내에 반도체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기판(10)을 노출시키며 개구부들의 측벽들을 덮는 반도체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것, 및 기판(10)과 연결되는 반도체 몸체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패턴은 속이 빈 파이프 형태(pipe-shaped) 또는 마카로니 형태(macaroni-shaped)일 수 있다. 이때, 반도체 패턴의 하단은 닫힌 상태(closed state)일 수 있다. 이러한 반도체 패턴은 실리콘(Si), 게르마늄(G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이거나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상태의 진성 반도체(intrinsic semiconductor)일 수도 있다. 또한, 반도체 패턴은 단결정, 비정질(amorphous), 및 다결정(polycrystallin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수직 구조체(VS)의 상단에 도전 패드(PAD)를 가질 수 있다. 도전 패드(PAD)는 불순물이 도핑된 불순물 영역이거나, 도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일 예에서, 개구부들 내에 반도체 패턴을 형성하기 전에, 개구부들 내에 수직 절연 패턴(VP)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 절연 패턴(VP)은 하나의 박막 또는 복수의 박막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수직 절연 패턴(VP)은 데이터 저장막의 일부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수직 구조체들(VS)을 형성하는 것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 구조체(110)를 관통하여 개구부들을 형성하는 것, 개구부들의 하부 부분을 채우는 하부 반도체 패턴(LSP)을 형성하는 것, 하부 반도체 패턴(LSP)이 형성된 개구부 내에 수직 절연 패턴(VP)을 형성하는 것, 및 수직 절연 패턴(VP)이 형성된 개구부 내에 하부 반도체 패턴(LSP)과 연결되는 상부 반도체 패턴(USP)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반도체 패턴(LSP)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들(GST)의 채널 영역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하부 반도체 패턴(LSP)은 수평 반도체층(100)과 동일한 도전형의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하부 반도체 패턴(LSP)은 수평 반도체층(100)을 씨드로 이용하는 에피택시얼(epitaxial) 기술 또는 레이저 결정화 기술들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된 에피택시얼 패턴일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반도체 패턴(LSP)은 단결정 구조를 갖거나 화학기상증착 기술의 결과물보다 증가된 그레인 크기를 갖는 다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하부 반도체 패턴(LSP)은 다결정 구조의 반도체 물질(예를 들면, 다결정 실리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부 반도체 패턴(LSP)에 인접한 절연 패턴은 하부 반도체 패턴(LSP)의 일측벽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부 반도체 패턴(LSP)은, 최하층 희생막(SL)을 관통하는 필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반도체 패턴(LSP)의 하부면은 기판(10)의 상부면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하부 반도체 패턴(LSP)의 상부면은 최하층 희생막(SL)의 상부면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 및 도 26을 참조하면, 수직 구조체들(VS)을 형성한 후, 수직 구조체들(VS) 및 박막 구조체(110)의 상부면을 덮는 상부 매립 절연막(1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상부 매립 절연막(120) 및 박막 구조체(110)를 패터닝하여 인접하는 수직 구조체들(VS) 사이에서 기판(10)을 노출시키는 트렌치들(T)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렌치들(T)을 형성하는 것은, 박막 구조체(110) 상에 트렌치들(T)의 평면적 위치를 정의하는 마스크 패턴(미도시)을 형성하는 것과, 마스크 패턴(미도시)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박막 구조체(110)를 이방성 식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렌치들(T)은 수직 구조체들(VS)로부터 이격되어, 희생막들(SL) 및 절연막들(ILD)의 측벽들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평적 관점에서, 트렌치들(T)은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적 깊이에 있어서, 트렌치들(T)은 기판(10)의 상부면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트렌치들(T)을 형성하는 동안 오버 식각(over etch)에 의해 트렌치들(T)에 노출되는 기판(10)의 상부면이 소정 깊이 리세스될 수 있다. 또한, 트렌치들(T)은 이방성 식각 공정에 의해 경사진 측벽을 가질 수 있다.
트렌치들(T)을 형성함에 따라, 박막 구조체(110)는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된 라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라인 형태의 박막 구조체(110)에 복수의 수직 구조체들(VS)이 관통할 수 있다.
도 3 및 도 27을 참조하면, 트렌치들(T)에 노출된 희생막들(SL)을 제거하여, 절연막들(ILD) 사이에 게이트 영역들(GR)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영역들(GR)은 절연막들(ILD), 수직 구조체들(VS) 및 기판(10)에 대해 식각 선택성을 갖는 식각 레서피를 사용하여 희생막들(SL)을 등방적으로 식각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희생막들(SL)은 등방성 식각 공정에 의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희생막들(SL)이 실리콘 질화막이고, 절연막들(ILD)이 실리콘 산화막인 경우, 식각 단계는 인산을 포함하는 식각액을 사용하여 등방성 식각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수직 절연 패턴(VP)은 게이트 영역들(GR)을 형성하기 위한 등방성 식각 공정시 식각 정지막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게이트 영역들(GR)은 트렌치(T)로부터 절연막들(ILD) 사이로 수평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수직 절연 패턴(VP)의 측벽 일부분들 또는 수직 구조체(VS)의 측벽 일부분들을 노출시킬 수 있다. 즉, 게이트 영역들(GR)은 수직적으로 인접한 절연막들(ILD)과 수직 절연 패턴(VP)의 일측벽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28을 참조하면, 박막 구조체(110)를 구성하는 절연막들(ILD) 내에서 포로젠을 제거하여 기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게이트 영역들(GR)을 갖는 박막 구조체(110)에 대해 큐어링(curing)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절연막들(ILD) 내의 포로젠들이 제거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큐어링(curing) 공정은 UV 광 조사, 전자선(e-beam) 조사, 열 처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큐어링(curing) 공정을 통해 절연막들(ILD) 내의 포로젠들이 존재하였던 자리에 기공들이 형성되어 다공성 저유전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UV 광 조사에 의해 큐어링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UV 광의 파장은 포로젠들의 종류 및 절연막들(ILD)의 종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로젠들이 CHx-CHy (여기서, x 및 y는 0 보다 큰 수)의 구조를 갖는 탄화수소(hydrocarbon)일 경우, 큐어링 공정은 약 200℃ 내지 600℃의 온도 조건에서 약 200nm 내지 600nm의 파장을 갖는 UV 광원이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박막 구조체(110)를 구성하는 절연막들 중 일부 절연막들(ILD)은 포로젠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절연막들(ILD)은 포로젠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박막 구조체(110)를 구성하는 절연막들 중 일부 절연막들(ILD)에만 기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박막 구조체(110)에 게이트 영역들(GR)을 형성한 후에, 절연막들(ILD)에 기공들을 형성하는 공정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게이트 영역들(GR)을 형성하기 전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후속하는 전극들(EL)을 형성하는 공정 후에 절연막들(ILD) 내에 기공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극들(EL)을 형성한 후에 절연막들(ILD) 내에 기공들을 형성하는 경우, 큐어링 공정으로서, 전자빔 조사 및 열처리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절연막들은 탄화 수소를 포함하는 실리콘 산화막일 수 있으며, 큐어링 공정에 의해 실리콘 산화막 내에 함유된 탄소가 실리콘과 결합하여 SiO2 결합 구조 보다 덜 치밀한 형태의 cage-like 구조를 갖는 SiCOH막이 기공들을 갖는 p-SiCOH막으로 변화될 수 있다. 여기서, 기공들의 크기(예를 들면, 직경)는 수십 내지 수백 nm일 수 있다.
도 3 및 도 29를 참조하면, 게이트 영역들(GR)의 내벽들을 컨포말하게 덮는 수평 절연 패턴(HP)이 형성될 수 있다.
수평 절연 패턴(HP)은 게이트 영역들(GR)의 내벽들 상에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 절연 패턴(HP)은 하나의 박막 또는 복수의 박막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수평 절연 패턴(HP)은 전하 트랩형 플래시 메모리 트랜지스터의 데이터 저장막의 일부일 수 있다. 이어서, 수평 절연 패턴(HP)이 형성된 게이트 영역들을 채우는 게이트 도전막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도전막은 셀 트렌치(T)를 부분적으로 채우거나, 셀 트렌치(T)를 완전히 채울 수 있다. 일 예에서, 게이트 도전막을 형성하는 것은, 배리어 금속막 및 금속막을 차례로 증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배리어 금속막은 예를 들어, TiN, TaN 또는 WN와 같은 금속 질화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금속막은 예를 들어, W, Al, Ti, Ta, Co 또는 Cu와 같은 금속 물질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트렌치(T) 내에 형성된 게이트 도전막의 일부를 제거하여, 게이트 영역들에 전극들(EL)이 각각 국소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게이트 영역들에 전극들(EL)을 형성함에 따라, 기판(10) 상에 번갈아 반복적으로 적층된 절연막들(ILD) 및 전극들(EL)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들(ST)이 형성될 수 있다. 적층 구조체들(ST)은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되며, 적층 구조체들(ST)의 측벽들이 트렌치(T)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적층 구조체들(ST) 사이에서 기판(10)이 노출될 수 있다.
도 3 및 도 30을 참조하면, 적층 구조체들(ST) 사이의 기판(10) 내에 공통 소오스 영역들(CSR)이 형성될 수 있다. 공통 소오스 영역들(CSR)은 제 1 방향(D1)으로 나란히 연장될 수 있으며, 제 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공통 소오스 영역들(CSR)은 기판(10)과 다른 타입의 불순물을 기판(10) 내에 도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트렌치들(T)의 측벽들을 덮는 절연 스페이서(SP)가 형성될 수 있다. 절연 스페이서(SP)를 형성하는 것은, 적층 구조체들(ST)이 형성된 기판(10) 상에 스페이서막을 균일한 두께로 증착하는 것, 및 스페이서막에 대한 에치백 공정을 수행하여 공통 소오스 영역(CSR)을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페이서막은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트렌치(T)의 최소 폭의 약 1/2 이하의 두께로 트렌치들(T)의 내벽에 증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막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또는 낮은 유전 상수를 가지는 low-k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 스페이서(SP)가 형성된 트렌치들 내에 공통 소오스 플러그(CSP)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공통 소오스 플러그(CSP)는 수평적으로 인접하는 전극들(EL)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극들(EL)과 공통 소오스 플러그(CSP) 사이에 절연 스페이서(SP)가 개재될 수 있다. 즉, 절연 스페이서(SP)는 공통 소오스 플러그(CSP)의 측벽들을 덮을 수 있다. 또한 공통 소오스 플러그(CSP)는 전극들(EL)과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이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적층 구조체들(ST) 상에 공통 소오스 플러그(CSP)의 상부면들을 덮는 캡핑 절연막(125)이 형성될 수 있다.
캡핑 절연막(125)을 관통하여 수직 구조체들(VS) 각각에 접속되는 비트 라인 콘택 플러그들(BPLG)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캡핑 절연막(125) 상에서, 제 2 방향(D2)으로 연장되며, 비트 라인 콘택 플러그들(BPLG)과 접속되는 비트 라인들(BL)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0)

  1. 기판 상에 번갈아 수직적으로 적층된 층간 절연막들 및 전극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
    상기 적층 구조체를 관통하여 상기 기판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수직 구조체들; 및
    상기 수직 구조체들과 상기 적층 구조체 사이에 배치된 데이터 저장막을 포함하되,
    상기 층간 절연막들 각각은 수직적으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층간 절연막들 중 어느 하나는 기공들을 갖는 저유전막을 포함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들은 상기 전극들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는 갖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들은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절연막 및 상기 제 1 두께보다 작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절연막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절연막은 상기 기공들을 갖는 상기 저유전막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막은 상기 기공들을 갖는 상기 저유전막이되,
    상기 제 1 절연막 내의 상기 기공들의 크기와 상기 제 2 절연막 내의 상기 기공들의 크기가 서로 다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막은 상기 제 2 절연막보다 큰 유전 상수를 갖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구조체들 각각은 상기 기판과 접촉하는 하부 반도체 패턴 및 상기 하부 반도체 패턴 상의 상부 반도체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및 상부 반도체 패턴들을 서로 다른 결정 구조를 갖되,
    상기 층간 절연막들은 상기 하부 반도체 패턴과 인접한 제 1 절연막 및 상기 상부 반도체 패턴과 인접하며 상기 제 1 절연막보다 작은 유전 상수를 갖는 제 2 절연막을 포함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막은 비다공성(non-porous)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절연막은 상기 저유전막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막은 상기 적층 구조체를 관통하며 상기 수직 구조체들을 감싸는 수직 절연 패턴 및 상기 수직 절연 패턴과 상기 전극 사이에서 상기 전극들과 상기 층간 절연막들 사이로 수평적으로 연장되는 수평 절연 패턴을 포함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체는 복수 개의 리세스 영역들을 포함하는 측벽을 갖되,
    상기 수직 구조체들의 측벽들 상에서 상기 전극들의 수평 두께보다 상기 층간 절연막들의 수평 두께가 큰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들 중 어느 하나는 제 1 압축 스트레스를 가지며, 상기 층간 절연막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 1 압축 스트레스와 다른 제 2 압축 스트레스를 갖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들은 각각 상기 수직 구조체들과 인접한 제 1 측벽 및 상기 제 1 측벽에 대향하는 제 2 측벽을 갖되, 상기 제 2 측벽은 그루브들을 갖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들 중 어느 하나는 수직적으로 인접한 상기 전극들 사이에 배치된 제 1 유전막들 및 상기 제 1 유전막들 사이의 제 2 유전막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유전막들은 상기 제 2 유전막과 다른 유전 상수를 갖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들 중 어느 하나는 제1 다공도 (porosity)를 제 1 다공성 유전막 및 상기 제 1 다공도와 다른 제 2 다공도를 갖는 제 2 다공성 유전막을 포함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14. 기판 상에 번갈아 수직적으로 적층된 층간 절연막들 및 전극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
    상기 적층 구조체를 관통하여 상기 기판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수직 구조체들; 및
    상기 수직 구조체들과 상기 적층 구조체 사이에 배치된 데이터 저장막을 포함하되,
    상기 층간 절연막들 각각은 수직적으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층간 절연막들은 제 1 유전 상수를 갖는 제 1 절연막 상기 제 1 유전 상수보다 작은 제 2 유전 상수를 갖는 제 2 절연막을 포함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막은 비다공성의 저유전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절연막은 기공들을 갖는 저유전 물질로 이루어진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막들은 기공들을 갖는 저유전 물질로 이루어진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막의 두께는 상기 제 1 절연막의 두께보다 작은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구조체들과 이격되어 상기 적층 구조체를 관통하며, 상기 기판 내의 공통 소오스 영역과 연결되는 공통 소오스 플러그; 및
    상기 공통 소오스 플러그와 상기 적층 구조체 사이에 개재된 측벽 절연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측벽 절연 스페이서는 제 2 유전 상수보다 큰 유전 상수를 갖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체는 상기 공통 소오스 플러그와 인접한 측벽을 갖되, 상기 측벽은 복수 개의 리세스 영역들을 포함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체는 수평적으로 상기 전극들과 인접하며, 수직적으로 상기 층간 절연막들과 인접한 희생 절연 패턴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희생 절연 패턴은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막들과 다른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0150121914A 2015-08-28 2015-08-28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437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914A KR102437416B1 (ko) 2015-08-28 2015-08-28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5/201,994 US9666525B2 (en) 2015-08-28 2016-07-05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914A KR102437416B1 (ko) 2015-08-28 2015-08-28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815A KR20170026815A (ko) 2017-03-09
KR102437416B1 true KR102437416B1 (ko) 2022-08-30

Family

ID=5810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914A KR102437416B1 (ko) 2015-08-28 2015-08-28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66525B2 (ko)
KR (1) KR1024374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524B1 (ko) * 2015-10-21 2022-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9741764B1 (en) 2016-02-22 2017-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 including ovonic threshold switch adjusting threshold voltage thereof
JP6419762B2 (ja) * 2016-09-06 2018-11-07 株式会社Kokusai Electric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基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0381085B2 (en) * 2016-10-27 2019-08-13 Micron Technogy, Inc. Erasing memory cells
US10707121B2 (en) * 2016-12-31 2020-07-07 Intel Corporatino Solid state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32346B1 (ko) * 2017-04-10 2021-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33439B1 (ko) * 2017-04-28 2021-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446572B2 (en) * 2017-08-11 2019-10-15 Micron Technology, Inc. Void formation for charge trap structures
US10453855B2 (en) 2017-08-11 2019-10-22 Micron Technology, Inc. Void formation in charge trap structures
US10680006B2 (en) 2017-08-11 2020-06-09 Micron Technology, Inc. Charge trap structure with barrier to blocking region
US10164009B1 (en) 2017-08-11 2018-12-25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device including voids between control gates
KR102442933B1 (ko) * 2017-08-21 2022-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장치
CN107658222B (zh) * 2017-08-23 2020-04-24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3d nand闪存沟道孔的平坦化工艺
US10147875B1 (en) * 2017-08-31 2018-12-04 Micron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devices and electronic systems having memory structures
US10685914B2 (en) * 2017-08-31 2020-06-16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43029B1 (ko) * 2017-09-04 2022-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절연성 캐핑 구조물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US10304852B1 (en) * 2018-02-15 2019-05-28 Sandisk Technologies Llc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containing through-memory-level contact via structures
US10971507B2 (en) 2018-02-15 2021-04-06 Sandisk Technologies Llc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containing through-memory-level contact via structures
US10903230B2 (en) 2018-02-15 2021-01-26 Sandisk Technologies Llc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containing through-memory-level contact via structur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355009B1 (en) * 2018-03-08 2019-07-16 Sandisk Technologies Llc Concurrent formation of memory openings and contact openings for a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CN108511454B (zh) * 2018-03-30 2020-07-31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3d nand存储器及其制备方法
US10861867B2 (en) * 2018-06-28 2020-12-08 Intel Corporation Memory device with reduced capacitance
KR102578801B1 (ko) * 2018-08-29 2023-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KR102635655B1 (ko) * 2018-09-28 2024-02-1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200141257A (ko) 2019-06-10 2020-12-1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0265404B (zh) 2019-06-28 2020-10-23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用于三维存储器的叠层结构、三维存储器及其制备方法
CN110379817B (zh) * 2019-06-28 2020-05-19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用于三维存储器的叠层结构、三维存储器及其制备方法
US11355514B2 (en) 2019-08-15 2022-06-07 Micron Technology, Inc. Micro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n oxide material between adjacent decks, electronic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11049807B2 (en) 2019-09-25 2021-06-29 Sandisk Technologies Llc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containing tubular blocking dielectric spacers
KR20210067352A (ko) 2019-11-29 2021-06-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수직형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04800B1 (ko) * 2019-12-17 2021-09-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Igo 채널층 기반의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06384A (ko) * 2020-07-08 2022-01-1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US11437494B2 (en) * 2020-08-18 2022-09-06 Nanya Technology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with graphene-based elemen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1472A (ja) * 2003-12-26 2005-07-14 Semiconductor Leading Edge Technologies Inc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6186331A (ja) 2004-11-30 2006-07-13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JP2009038367A (ja) 2007-07-09 2009-02-19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559B1 (ko) * 2003-07-18 2011-08-31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및 그 형성 방법
WO2008094792A1 (en) 2007-01-29 2008-08-07 Applied Materials, Inc. Novel air gap integration scheme
KR101226685B1 (ko) 2007-11-08 2013-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형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5420436B2 (ja) 2010-01-15 2014-0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不揮発性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91092B1 (ko) 2010-08-26 2016-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그것의 동작 방법, 그리고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US8553466B2 (en) 2010-03-04 2013-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erasing method thereof, and memory system including the same
US9536970B2 (en) 2010-03-26 2017-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20007838A (ko) 2010-07-15 2012-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형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682666B1 (ko) 2010-08-11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그것의 채널 부스팅 방법, 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WO2012087493A2 (en) 2010-12-20 2012-06-28 Applied Materials, Inc. In-situ low-k capping to improve integration damage resistance
US8778749B2 (en) 2011-01-12 2014-07-15 Sandisk Technologies Inc. Air isolation in high density non-volatile memory
KR20130066950A (ko) 2011-12-13 2013-06-2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3차원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과, 그 제조방법
KR20130072911A (ko) 2011-12-22 2013-07-0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658499B2 (en) 2012-07-09 2014-02-25 Sandisk Technologies Inc. Three dimensional NAND device and method of charge trap layer separation and floating gate formation in the NAND device
KR20140030483A (ko) 2012-08-30 2014-03-1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4099541A (ja) 2012-11-15 2014-05-29 Tokyo Electron Ltd 低誘電率誘電膜の形成方法、形成装置及びポロジェンの脱離方法
KR20150033998A (ko) * 2013-09-25 2015-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55189A (ko) * 2013-11-12 2015-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666281B2 (en) * 2015-05-08 2017-05-30 Sandisk Technologies Llc Three-dimensional P-I-N memory device and method reading thereof using hole current dete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1472A (ja) * 2003-12-26 2005-07-14 Semiconductor Leading Edge Technologies Inc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6186331A (ja) 2004-11-30 2006-07-13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JP2009038367A (ja) 2007-07-09 2009-02-19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66525B2 (en) 2017-05-30
US20170062330A1 (en) 2017-03-02
KR20170026815A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7416B1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9911745B2 (en) Three-dimensionally integrated circuit devices including oxidation suppression layers
US11424259B2 (en)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451170B1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CN106558591B (zh) 三维半导体器件
KR102437779B1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CN104157654B (zh) 三维存储器及其制造方法
KR102365114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90350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34266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8183106B (zh) 半导体器件及制造其的方法
CN107611125B (zh)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KR102150969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4852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80020528A (ko)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36878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40071786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33365A (ko) 3차원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90025795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3066075A (zh)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KR20110133926A (ko) 수직 구조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20160061174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3998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7403803B (zh) 三维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KR102414511B1 (ko) 3차원 반도체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