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582B1 - 도라지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청 - Google Patents

도라지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582B1
KR102436582B1 KR1020220032254A KR20220032254A KR102436582B1 KR 102436582 B1 KR102436582 B1 KR 102436582B1 KR 1020220032254 A KR1020220032254 A KR 1020220032254A KR 20220032254 A KR20220032254 A KR 20220032254A KR 102436582 B1 KR102436582 B1 KR 102436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flower
weight
parts
water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복
Original Assignee
(주)푸른신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푸른신화 filed Critical (주)푸른신화
Priority to KR1020220032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582B1/ko
Priority to PCT/KR2023/002231 priority patent/WO2023177094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23L21/12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derived from fruit or vegetable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라지청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청에 관한 것으로, (S1) 도라지를 쪄서 말리기를 반복하여 홍도라지를 제조하고, (S2) 보리쌀로 밥을 지어 식힌 후 베보자기에 봉하고, (S3) 오미자 및 찔레열매를 혼합한 다음 물에 넣고 끓여서 우려내고, (S4) 엿질금을 베보자기에 넣고 물에 넣고 끓여서 우려내고, (S5) 대추를 물에 불린 다음 씨를 빼고 베보자기에 봉하고, (S6) 상기 홍도라지, 보리밥, 오미자 및 찔레열매를 우린 물, 엿질금 우린 물 및 대추를 전기밥솥에 넣고, (S7) 전기밥솥을 보온으로 유지하여 내용물을 발효시킨 다음 식히고, (S8) 상기에서 식힌 발효물에서 보리밥 베보자기를 짜낸 후 내용물을 빼내고, 홍도라지와 대추는 분쇄하여 발효액과 함께 냄비에 넣고, (S9) 상기 발효액을 달이고 식혀서 도라지청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청은 호흡기 유발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하여 기관지 질병 및 감기에 탁월한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유행인 오미크론 감염자의 증상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청은 종래의 도라지청에 비해 면역력 강화 효과가 증진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라지 특유의 쓴맛은 감소되고 부드러운 맛이 증가하여 노약자나 어린이를 비롯한 전 연령의 소비자들의 기호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도라지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청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Manufacturing method of bellflower syrup and the bellflower syrup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도라지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청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라지와 함께 엿질금, 보리쌀, 건대추, 오미자 및 찔레꽃 열매를 함께 사용하여 기관지 질병 및 감기에 탁월한 예방효과를 가지면서도 도라지 특유의 쓴맛은 감소되고 부드러운 맛이 증가하여 기호도가 증대된 도라지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청에 관한 것이다.
호흡기질환으로는 감기, 기관지염, 폐렴, 결핵, 폐암 및 만성기관지염 등이 대표적이다. 상기 호흡기질환들의 대표적이면서도 공통적으로 보이는 증상이 바로 기침 또는 가래가 발생하는 것이다. 기침은 폐포 내의 공기가 기도를 통하여 폭발적으로 소리를 내며 튀어나오는 현상으로서, 주로 목, 기관, 기관지 등의 기도점막에 분포되어 있는 미주신경의 말초가 자극을 받아 해수 중추가 흥분됨으로써 일어나는 현상이다. 기침은 건성과 습성으로 대별되는바, 건성은 가래를 동반하지 않는 것인데, 기관지염에서 기관지의 충혈, 부종 등에 의한 자극으로 일어나는 것과 기도 이외의 미주신경 지배 영역의 자극으로 일어나는 것이 있으며, 자극성 해수 또는 마른 기침이라고도 한다. 습성은 가래를 동반하는 것으로 기관지와 폐의 염증에 의한 삼출액(出液)의 자극으로 일어나며, 기도 내의 병적 분비물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데 도움이 된다. 기침은 원래 폐를 유해물질의 침입으로부터 방어하는 중요한 방어기능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기도에 염증 등이 생기면 그 자체가 자극이 되어 질병이 계속되는 한 기침이 일어난다. 이렇게 되면 이미 본래의 방어적인 의미는 사라지고 환자를 괴롭히는 증세로 나타난다. 치료는 기침을 유발하는 원인부터 제거해야 하지만, 빈발하는 기침을 억제하기 위하여 안정을 취하고, 방안을 따뜻하게 하며, 코로 호흡하여 자극을 피하도록 하는 것이다. 가래는 기침에 의하여 뱉아 낸 기도의 분비물로서, 담(痰) 또는 객담(喀痰)이라고도 한다. 원래는 기도 점막의 보호물질이지만, 외부환경 또는 질병으로 말미암아 분비량이 많아지거나 천식의 경우 농도가 짙어져서 고통을 받는 한 원인이 되는 수가 있다. 가래는 외관상 물 같은 것, 점액성인 것, 고름 모양인 것, 혈액이 섞인 것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폐수종과 같이 폐에 울혈이 생긴 경우에는 묽은 장액성 가래가 많이 나오고, 기관지염, 폐결핵, 폐렴의 초기에는 점액성, 기관지 확장증, 폐농양, 폐괴저 등에서는 고름 모양의 가래가 나온다.
호흡기질환 환자들로부터 분리되는 병원성 박테리아로서 이를 치료하기 위해 페니실린, β-락탐(β-lactam)과 같은 광범위 항생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무분별한 항생제의 남용으로 β-락타마아제(β-lactamase)와 같은 내성 물질을 생성하는 항생제 내성 균주가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기관지 질환 중 천식은 염증성 변화를 조직학적 특성으로 하는 가역적 폐색성 기도질환으로서 가역적인 기도수축에 의해 발작적 호흡곤란, 기침, 객담 등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그 발생 기전은 기관지 평활근의 수축이나 경련, 기관지점막의 부종과 점액 분비 증가에 의해서 일어나며 이 중에서도 기관지 평활근 수축이 주된 발생 기전이다. 기도 수축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유력한 학설은 항원의 흡입, 섭취로 인해 기도의 과민반응이 유발되어 기도가 광범위하게 수축된다는 것이다. 그 외 호흡기의 감염, SO₂, 중금속, 석면, 분진 등으로 오염된 공기나 자극성 기체의 흡입, 기후의 급격한 변화, 심리적 자극, 내분비계의 이상, 자율신경계의 이상, 신체운동, β-수용체 차단설 등을 등 수 있다. 본 질환으로 알려진 만성 천식 및 알레르기성 천식은 재발이 잘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질환들은 면역세포의 사이토카인(cytokine)에 의한 재발 위험과 자가면역에 의한 요인에 기인한 발병 기전이 알려져 있다.
급속한 산업화의 영향으로 갈수록 대기 오염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기관지 질환 문제는 인류의 건강을 점점 더 위협하고 있다. 그러나 기관지 질환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요법은 아직 완벽한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러한 질환은 급성 또는 만성으로 진행됨에 따르는 고통뿐만 아니라 의료부담도 높은 편이다.
한편,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s)는 초롱꽃과(Campanulaceae)의 다년생 식물로 주근이 10~15cm 내외이고, 지름은 1~3cm이며, 윗부분에는 불규칙한 줄기 자리가 있고, 회갈색 또는 유백색이며 세로 주름이 깊고, 가로로는 피목(皮目)과 주름이 있다. 질은 단단하나 비섬유성으로 파절이 쉽고 약간의 냄새가 나며 맛은 아리다. 알려진 도라지의 주요 약리 성분은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으로써 뿌리의 약 3%를 차지하며, 이러한 사포닌은 진해, 거담작용, 진정, 진통, 해열효과, 급성이나 만성 염증에 대한 항염증 작용, 항궤양 및 위액 분비억제 작용, 혈관을 확장하여 혈압을 낮추는 항콜린작용, 혈당강하작용, 콜레스테롤 대사 개선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em. Phram. Bull, 20,1952, 1972; Chem. Pharm. Bull, 23, 2965, 1975; J. Chem Soc, Perkin transⅠ, 661, 1984; J. Pharm. Soc. Kor, 19, 164, 1975). 또한, 알파-스피나스테롤(α-spinasterol), 스티크마스트-7-엔올, 알파-스피나 스테롤 글루코시드 등과 같은 스테로이드계 화합물과 이눌린(Inulin), 베툴린(betulin)과 같은 다당류도 도라지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당뇨 활성(한국식품과학회지, 39:701-707, 2007), 폐암세포 성장억제활성(동의생리병리학회지 17: 183-189, 2003), 면역 증강활성(약학회지 42: 382-387,1998), 간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 보호효과(약학회지 46: 466-471, 2002) 및 돌연변이 억제효과(한국식품과학회지 33: 651-655, 2001) 등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라지는 상기한 약리 효능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보관이 곤란하고, 도라지의 쓴맛으로 인해 소비자 영역대가 성인층으로 한정되어 있고, 섭취 시 특유의 아린 맛이 존재하여 바로 섭취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1514918호(도라지와 배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배-도라지청 및 이의 제조방법)는 도라지 추출액을 농축하여 도라지청을 제조한 후 배와 꿀을 특정 비율로 첨가하여 배도라지청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나, 도라지 추출액을 농축하는 과정에서 도라지 특유의 아린 맛이 강해지기 때문에 물에 타거나 그대로 섭취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을 여전히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관지 질병 및 감기에 탁월한 예방 효과를 가지면서도 도라지 특유의 쓴맛은 감소되고 부드러운 맛이 증가하여 기호도가 증대된 도라지청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기관지 질병 및 감기에 탁월한 예방 효과를 가지면서도 도라지 특유의 쓴맛은 감소되고 부드러운 맛이 증가하여 기호도가 증대된 도라지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라지청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S1) 도라지를 쪄서 말리기를 반복하여 홍도라지를 제조한 다음 베보자기에 봉하여 준비하는 단계;
(S2) 상기 도라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의 보리쌀로 밥을 지어 식힌 후 베보자기에 봉하여 준비하는 단계;
(S3) 상기 도라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 중량부의 오미자 및 0.5 내지 1 중량부의 찔레열매를 혼합한 다음 물에 넣고 끓여서 우려내는 단계;
(S4) 상기 도라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부의 엿질금을 베보자기에 넣고 물에 넣고 끓여서 우려내는 단계;
(S5) 상기 도라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내지 5 중량부의 대추를 물에 불린 다음 씨를 빼고 베보자기에 봉하여 준비하는 단계;
(S6) 상기 단계 (S1)에서 베보자기에 봉한 홍도라지, 상기 단계 (S2)에서 베보자기에 봉한 보리밥, 상기 단계 (S3)에서 오미자 및 찔레열매를 우린 물, 상기 단계 (S4)에서 엿질금 우린 물, 상기 단계 (S5)에서 베보자기에 봉한 대추를 전기밥솥에 넣는 단계;
(S7) 전기밥솥을 보온으로 유지하여 내용물을 발효시킨 다음 식히는 단계;
(S8) 상기 단계 (S7)에서 식힌 발효물에서 보리밥 베보자기를 짜낸 후 내용물을 빼내고, 홍도라지와 대추는 분쇄하여 발효액과 함께 냄비에 넣는 단계; 및
(S9) 상기 발효액을 달이고 식혀서 도라지청을 제조하는 단계.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S1)에서 도라지를 쪄서 말리기를 4 내지 6번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S3)에서 오미자 및 찔레열매를 3 내지 6 부피배의 물에 넣고 중불로 1시간 30분 내지 2시간 30분 동안 끓여서 우려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S4)에서 엿질금을 5 내지 8 부피배의 물에 넣고 끓여서 우려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S7)에서 전기밥솥을 8 내지 10시간 동안 보온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S9)에서 발효액을 1/3 내지 1/2의 부피가 될 때까지 달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청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청은 호흡기 유발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하여 기관지 질병 및 감기에 탁월한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유행인 오미크론 감염자의 증상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청은 종래의 도라지청에 비해 면역력 강화 효과가 증진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라지 특유의 쓴맛은 감소되고 부드러운 맛이 증가하여 노약자나 어린이를 비롯한 전 연령의 소비자들의 기호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라지청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S1) 도라지를 쪄서 말리기를 반복하여 홍도라지를 제조한 다음 베보자기에 봉하여 준비하는 단계;
(S2) 상기 도라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의 보리쌀로 밥을 지어 식힌 후 베보자기에 봉하여 준비하는 단계;
(S3) 상기 도라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 중량부의 오미자 및 0.5 내지 1 중량부의 찔레열매를 혼합한 다음 물에 넣고 끓여서 우려내는 단계;
(S4) 상기 도라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부의 엿질금을 베보자기에 넣고 물에 넣고 끓여서 우려내는 단계;
(S5) 상기 도라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내지 5 중량부의 대추를 물에 불린 다음 씨를 빼고 베보자기에 봉하여 준비하는 단계;
(S6) 상기 단계 (S1)에서 베보자기에 봉한 홍도라지, 상기 단계 (S2)에서 베보자기에 봉한 보리밥, 상기 단계 (S3)에서 오미자 및 찔레열매를 우린 물, 상기 단계 (S4)에서 엿질금 우린 물, 상기 단계 (S5)에서 베보자기에 봉한 대추를 전기밥솥에 넣는 단계;
(S7) 전기밥솥을 보온으로 유지하여 내용물을 발효시킨 다음 식히는 단계;
(S8) 상기 단계 (S7)에서 식힌 발효물에서 보리밥 베보자기를 짜낸 후 내용물을 빼내고, 홍도라지와 대추는 분쇄하여 발효액과 함께 냄비에 넣는 단계; 및
(S9) 상기 발효액을 달이고 식혀서 도라지청을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도라지청은 호흡기 유발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하여 기관지 질병 및 감기에 탁월한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라지청의 제조방법의 단계 (S1)은 홍도라지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도라지를 쪄서 말리기를 4 내지 6번 반복하여 홍도라지를 제조한 다음 베보자기에 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라지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도라지를 사용하며, 이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도라지청의 제조방법의 단계 (S2)는 보리밥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리밥을 식힌 후 베보자기에 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리쌀은 면역력을 강화와 노화방지에 좋다. 이는 보리가 노화를 촉진하는 활성산소를 없애주는 항산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보리에 들어있는 판토텐산 성분은 위궤양 환자들에게 효과적이며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기 때문에 발암물질을 몸 밖으로 배출시켜 대장암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라지청에서 상기 보리쌀을 이용하여 밥을 지은 다음 첨가함으로써 도라지청의 쓴맛을 감소시키면서 부드러운 식감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보리쌀은 홍도라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의 보리쌀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보리쌀이 5 중량부 미만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도라지청의 쓴맛을 감소시키기 어려우며, 상기 보리쌀이 10 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도라지청이 텁텁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도라지청의 제조방법의 단계 (S3)은 오미자 및 찔레열매를 물에 넣고 끓여서 우려내는 단계로서, 오미자 및 찔레열매를 3 내지 6 부피배의 물에 넣고 중불로 1시간 30분 내지 2시간 30분 동안 끓여서 우려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미자는 5가지 맛(신맛, 짠맛, 매운맛, 쓴맛, 단맛)을 가지고 있다고 하여 이름 붙여졌으며, 수 천년 전부터 강장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신경을 이완하고 머리를 맑게 해주는 음료로 애용되었다. 오미자에는 비타민 C. 칼슘, 철 등 미네랄이 풍부하며 식물성 에스트로젠인 리그난 류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성분은 각종 항산화 효능이 밝혀져 있다.
상기 찔레나무(Rosamultiflora)는 노인이 소변을 잘 보지 못할 때와 전신이 부었을 때, 건망증, 불면증 및 꿈이 많고 쉽게 피로하고 성기능이 감퇴되었을 때 효과가 있다. 종기, 악창에 활용이 되며, 식욕증가, 정력개선에도 유효하다. 또, 관상동맥을 확장시키고 체내에서 지방과 단백질 대사를 개선하며 죽상동맥경화 형성을 억제한다. 설사약이나 창독, 변비, 신장염에도 쓰인다.
본 발명의 도라지청에서 상기 오미자 및 찔레열매를 우린 물을 첨가함으로써 도라지청의 쓴맛을 감소시키면서 달짝지근하고 청량한 맛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도라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 중량부의 오미자 및 0.5 내지 1 중량부의 찔레열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오미자 및 찔레열매의 양이 상기 범위보다 작을 경우에는 도라지청의 쓴맛을 감소시키기 어려우며, 상기 오미자 및 찔레열매의 양이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도라지청이 너무 달고 시큼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도라지청의 제조방법의 단계 (S4)는 엿질금을 베보자기에 넣고 물에 넣고 끓여서 우려내는 단계로서, 엿질금을 5 내지 8 부피배의 물에 넣고 끓여서 우려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라지청에서 상기 엿질금은 도라지청 제조시 사용되는 재료로서, 도라지청에 단맛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엿질금은 도라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엿질금이 20 중량부 미만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도라지청에 단맛을 가미하기 어려우며, 상기 엿질금이 30 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도라지청이 너무 달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도라지청의 제조방법의 단계 (S5)는 대추를 손질하는 단계로, 대추를 물에 불린 다음 씨를 빼고 베보자기에 봉하여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추는 그 색이 붉다 하여 홍조(紅棗)라고도 하는데, 홍조는 찬 이슬을 맞고 건조한 것이라야 양질의 대추가 된다. 대추에는 감미가 강하며 가용성당류가 약 10~42% 함유되어 있는데 그 주된 당류는 과당, 포도당 및 자당이며 다양한 맛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한방에서는 생약으로 소화, 완화제, 강장약으로 사용되어 왔고, 민간에서는 잘 익은 대추를 말렸다가 달여 먹으면 열을 내리게 하고 변을 묽게 하여 변비를 없애며 기침도 멎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해독, 중화, 소염 기능이 있으며 허약 체질을 튼튼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어, 환경 호르몬과 인스턴트 음식, 방부제로 시달리는 현대인의 건강을 지켜주고 우리 민족 고유의 미감을 회복시키는데 매우 적합한 식품이다.
본 발명의 도라지청에서 상기 대추를 첨가함으로써 도라지청의 쓴맛을 감소하고 부드러운 맛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대추는 도라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대추가 4 중량부 미만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도라지청의 쓴맛을 감소시키기 어려우며, 상기 대추가 5 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도라지청이 너무 달고 텁텁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도라지청의 제조방법의 단계 (S6)은 상기 홍도라지, 보리밥, 오미자 및 찔레열매를 우린 물, 엿질금 우린 물 및 대추를 전기밥솥에 넣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도라지청의 제조방법의 단계 (S7)은 상기 혼합물을 넣은 전기밥솥을 바람직하게 8 내지 10시간 동안 보온으로 유지시킴으로써 발효시킨 다음 식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온 시간이 8 시간 미만일 경우에는 발효가 이루어지지 않아 도라지의 쓴맛이 감소되지 않으며, 상기 보온 시간이 10 시간을 초과할 경우 발효가 과하여 오히려 기호도를 떨어뜨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도라지청의 제조방법의 단계 (S8)은 상기에서 식힌 발효물에서 보리밥 베보자기를 짜낸 후 내용물을 빼내고, 홍도라지와 대추는 분쇄하여 발효액과 함께 냄비에 넣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된 홍도라지와 대추는 분쇄하여 사용함으로써 도라지청의 식감 및 맛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라지청의 제조방법의 단계 (S9)는 상기 발효액을 달이고 식혀서 도라지청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액을 1/3 내지 1/2의 부피가 될 때까지 달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발효액을 1/3 보다 작은 부피로 달일 경우에는 도라지청이 너무 진하여 시식하기 부담스러울 수 있고, 상기 발효액을 1/2 보다 큰 부피로 달일 경우에는 도라지청이 너무 연하여 기호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상기 제조된 도라지청은 냉동 보관하여 시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청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청은 호흡기 유발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하여 기관지 질병 및 감기에 탁월한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유행인 오미크론 감염자의 증상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청은 종래의 도라지청에 비해 면역력 강화 효과가 증진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라지 특유의 쓴맛은 감소되고 부드러운 맛이 증가하여 노약자나 어린이를 비롯한 전 연령의 소비자들의 기호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도라지청 제조
국산 도라지 3kg를 손질한 다음 쪄서 말리기를 4번 반복하여 홍도라지를 제조하고 베보자기에 봉해둔다.
국산 보리쌀 210g로 밥을 지어 식힌 후 베보자기에 봉해둔다.
국산 엿질금 750g을 베보자기에 담아 물 3리터에 넣고 1시간 동안 우려내었다.
오미자 45g와 찔레꽃 열매 23g에 물 2리터를 넣고 중불로 2시간 동안 끓여주었다.
국산 건대추 135g을 물에 불려서 씨를 빼고 베보자기에 봉해두었다.
이어서, 베자기에 봉해진 홍도라지, 보리밥, 엿질금 우려낸 물, 오미자와 찔레꽃 열매를 우려낸 물 및 대추를 전기밥솥에 넣고, 9시간 동안 보온으로 유지하여 내용물을 발효시켰다.
이어서, 2시간 동안 식힌 후 엿질금과 보리밥 보자기는 조물조물하여 내용물을 짜낸 뒤에 빼내고, 홍도라지와 대추는 내용물을 믹서와 분쇄를 반복하여 곱게 만들어 냄비에 넣은 다음 발효된 혼합물을 냄비에 함께 넣고 3.5kg이 될 때까지 달여서 도라지청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도라지를 쪄서 말리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라지청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보리쌀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라지청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오미자와 찔레꽃 열매 우린 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라지청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숙성을 5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라지청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도라지청의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도라지청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 요원 25명을 대상으로 향, 맛, 색감, 외관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3회 반복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검사 방법으로는 5점 비교 척도법을 사용하였으며, 아주 좋다는 5점, 좋다는 4점, 보통이다는 3점, 싫다는 2점, 아주 싫다는 1점의 점수를 각각 부여하고, 최종 응답된 점수를 합하여 산술평균값을 연산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4.9 2.3 3.2 2.1 3.1
4.9 2.4 3.1 2.5 3.3
색감 4.9 2.5 3.4 2.3 3.2
외관 4.9 2.4 3.1 2.2 3.2
전체적인 기호도 4.9 2.3 3.2 2.3 3.3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도라지청은 비교예 1 내지 4의 도라지청에 비하여 향, 맛, 색감, 외관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청의 쓴맛은 감소되고 부드러운 맛이 증대되어 기호도가 매우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도라지청의 항균 활성
호흡기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사용 균주는 스트렙토코커스 피로게네스(Streptococcus pyrogenes KCTC 19615), 크렙시엘라 뉴모니아(Klebsiella pneumonia KCTC 2246),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Corynebacterium diphtheriae KCTC 3075) 균주를 사용하였고, 상기 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에서 분양받았다. 각 균주를 NB(nutrient broth) 배지에 각각 접종하여 35℃에서 배양한 다음, 102 CFU/mL 농도가 되도록 멸균수로 희석한 균 배양액을 이용하였다.
각각의 도라지청 시료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200배 희석한 후, 배지 90 mL에 10 mL씩 첨가하고, 상기 준비한 각각의 102 CFU/mL 농도의 균 배양액을 각각 0.2 mL씩 주입하고 35℃에서 100 rpm으로 진탕시키면서 균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시간별로 배양한 후 66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균 증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배양액의 흡광도가 660 ㎚에서 0.2 이상 나올 경우, 균 콜로니 수가 106 CFU/mL 이상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무처리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스트렙토코커스 피로게네스 0.87 0.16 0.60 0.53 0.42 0.39
크렙시엘라 뉴모니아 0.53 0.14 0.43 0.41 0.32 0.36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0.31 0.02 0.21 0.20 0.12 0.15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 2.11 0.31 0.92 0.65 0.72 0.69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무처리(NB 배지)에 비해 실시예 1의 도라지청 처리구가 모든 균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하여 항균 효과가 가장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도라지청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Cytokine)에 미치는 영향 측정
RAW264.7 대식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well당 5 X 105 cells/ml이 되도록 분주하고 24시간 CO₂배양하였다. 이후 well에 LPS (lipopolysaccharide)를 1μg/ml 농도의 시료를 처리하여 24시간 CO₂ 배양하였다. 그 다음 세포배양 상층액을 수거하였다. 상층액에 포함된 사이토카인 (cytokine)인 IL-6, TNF-α, GM-CSF, IL-1β를 효소항체법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 ELI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plate-bottom micro-well에 1차 항체 (capture antibody)를 코팅액(0.1 M sodium carbonate, pH 9.5)에 희석하여 100 μl/well로 분주하고 4℃에서 밤새 배양한 후, 세척용액 (0.05% Tween 20/PBS)으로 세척하였다. 세척된 마이크로웰은 10% FBS가 첨가된 PBS로 블로킹(blocking)하였으며, 실험에서 채취한 배양 상층액을 적당한 비율로 희석한 후 각 well에 분주하여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그 다음, 바이오틴이 부착된 2차 항체 100㎕/well와 일정시간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아비딘-퍼옥시다제 (enzyme reagent) 100 μl/well을 첨가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질 (3,3′,5,5′-Tetramethylbenzidine Liquid Substrate, H2O2) 을 첨가하여 발색시킨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IL-6, TNF-α, GM-CSF, IL-1β의 농도는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환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Cytokine Control LPS DMSO 실시예 1의
도라지청
IL-1β N.D 93.21±4.3 517.18±4.1 85.21±3.4
GM-CSF N.D 1611.53±57.1 1672.14±34.4 140.36±5.2
IL-6 N.D 6.38±0.1 18.19±1.5 3.46±2.1
TNF-α N.D 4.32±0.2 10.48±1.6 3.22±3.4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도라지청이 RAW 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IL-6, IL-1β, TNF-α, GM-CSF 3종류의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염증전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도라지청의 기관지 기능 개선효과 평가
주로 목을 많이 쓰는 직업인 학원강사, 영업사원 등을 대상으로 평소 기침, 가래 등의 기관지 증상이 있는 20~40대 50명(이 중에는 급성기관지염, 만성기관지염, 감염성 기관지염, 카타르성 기관지염, 화농성 기관지염, 폐색성 기관지염, 궤양성 기관지염, 침윤성 기관지염, 천식, 및 기관지 결핵을 앓고 있는 환자도 포함됨)을 선별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도라지청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도라지청을 각각 1일 1회 12g씩 섭취시켰다. 그리고, 1개월 후 피험자의 기침, 가래, 목쉼, 기관지 간지러움 상태 개선 정도에 따라 5-완전한 개선, 4-상당한 개선, 3-중등도의 개선, 2-약간의 개선, 1-개선 없음의 5단계로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고, 그 평균값을 하기의 표 4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기침 5.0 2.5 3.1 2.6 2.7
가래 5.0 2.6 2.5 2.3 2.6
목쉼 5.0 2.8 2.7 2.3 2.2
기관지 간지러움 5.0 2.7 2.7 2.5 2.5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실시예 1의 도라지청은 기침, 가래, 목쉼, 기관지 간지러움 상태 개선 정도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도라지청의 오미크론 감염자의 증상 개선효과 평가
오미크론 감염자 12명을 대상으로 처방된 약을 복용하면서 상기 실시예 1의 도라지청을 1일 3회 12g씩 섭취시켰다. 비교를 위해 무처리군으로 동일한 약을 복용하되, 도라지청은 섭취하지 않았다.
1주일 후 피험자의 기침, 가래, 목쉼, 기관지 간지러움 상태 개선 정도에 따라 5-완전한 개선, 4-상당한 개선, 3-중등도의 개선, 2-약간의 개선, 1-개선 없음의 5단계로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고, 그 평균값을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무처리군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기침 1.2 5.0 2.1 2.4 2.4 2.4
가래 1.0 5.0 2.2 2.5 2.4 2.5
목쉼 1.0 5.0 2.3 2.1 2.1 2.2
기관지 간지러움 1.0 5.0 2.4 2.3 2.2 2.3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실시예 1의 도라지청은 오미크론 감염자의 기침, 가래, 목쉼, 기관지 간지러움 상태를 매우 효과적으로 개선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6> 도라지청의 면역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의 도라지청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도라지청의 면역 활성을 비교하였다. 예비 실험에서 각각의 도라지청을 RAW 264.7 세포에 0.5~10 ㎍/mL로 처리하였을 때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NO의 농도는 배양액 내의 산화 질소(nitrite oxide) 농도를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AW 264.7 세포를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ㅧ104 cells/mL로 조절한 후 9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37℃ 온도 및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시료 희석액을 1시간 처리하고 0.1 ㎍/mL의 LPS를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의 상층액을 얻은 후 그리스 시약과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Control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NO(uM) 5.5 20.9 10.3 11.4 13.2 14.2
상기 표 6에서 보듯이, 실시예 1의 도라지청 처리구가 다른 비교예 1 내지 4의 도라지청에 비해 높은 NO 생성량을 나타내었다.
NO는 면역계에서 외부물질에 대한 방어 작용을 하는 중요한 신호 전달 물질로서 인체의 면역반응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실시예 1의 도라지청은 면역 기능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7> 도라지청의 미생물 검출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도라지청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도라지청을 7~10℃ 냉장조건에서 보관하면서 1달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도라지청에서의 미생물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미생물 검출 분석은 미생물 확인시험은 식품공전에 준하는 표준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품질관리 항목인 총균수, 대장균군, 황색포도상구균 총 3가지에 대한 미생물 항목을 시험 확인하였다. 시료 10g과 멸균된 생리식염수(0.85%) 90ml을 미생물 시료 균질기 백(Stomacher bag)에 담고 미생물 시료 균질기를 이용하여 균질화시킨 후 시험액으로 사용하였고, 이 시험액 1ml을 3M사의 페트리필름지에 분주하여 Incubator (37±1℃)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콜로니 형성 균체를 계수한 후 2~3회 반복치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시료 g당 세균수 (CFU/g)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시험항목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1달 후 일반 세균수 1.2x10 2.2x10 2.2x10 2.2x10 2.2x10
대장균군 N.D N.D N.D N.D N.D
황색포도상구균 N.D N.D N.D N.D N.D
2달 후 일반 세균수 1.8x10 3.6x10 3.3x10 3.8x10 3.2x10
대장균군 N.D N.D N.D N.D N.D
황색포도상구균 N.D N.D N.D N.D N.D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달 저장 후 총균수는 실시예 1의 도라지청의 경우 1.8x10 CFU/g로 낮았으며, 대장균군과 황색포도상구균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라지청의 제조방법:
    (S1) 도라지를 쪄서 말리기를 반복하여 홍도라지를 제조한 다음 베보자기에 봉하여 준비하는 단계;
    (S2) 상기 도라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의 보리쌀로 밥을 지어 식힌 후 베보자기에 봉하여 준비하는 단계;
    (S3) 상기 도라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 중량부의 오미자 및 0.5 내지 1 중량부의 찔레열매를 혼합한 다음 물에 넣고 끓여서 우려내는 단계;
    (S4) 상기 도라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부의 엿질금을 베보자기에 넣고 물에 넣고 끓여서 우려내는 단계;
    (S5) 상기 도라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내지 5 중량부의 대추를 물에 불린 다음 씨를 빼고 베보자기에 봉하여 준비하는 단계;
    (S6) 상기 단계 (S1)에서 베보자기에 봉한 홍도라지, 상기 단계 (S2)에서 베보자기에 봉한 보리밥, 상기 단계 (S3)에서 오미자 및 찔레열매를 우린 물, 상기 단계 (S4)에서 엿질금 우린 물, 상기 단계 (S5)에서 베보자기에 봉한 대추를 전기밥솥에 넣는 단계;
    (S7) 전기밥솥을 보온으로 유지하여 내용물을 발효시킨 다음 식히는 단계;
    (S8) 상기 단계 (S7)에서 식힌 발효물에서 보리밥 베보자기를 짜낸 후 내용물을 빼내고, 홍도라지와 대추는 분쇄하여 발효액과 함께 냄비에 넣는 단계; 및
    (S9) 상기 발효액을 달이고 식혀서 도라지청을 제조하는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1)에서 도라지를 쪄서 말리기를 4 내지 6번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라지청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3)에서 오미자 및 찔레열매를 3 내지 6 부피배의 물에 넣고 중불로 1시간 30분 내지 2시간 30분 동안 끓여서 우려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라지청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4)에서 엿질금을 5 내지 8 부피배의 물에 넣고 끓여서 우려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라지청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7)에서 전기밥솥을 8 내지 10시간 동안 보온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라지청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9)에서 발효액을 1/3 내지 1/2의 부피가 될 때까지 달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라지청의 제조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청.
KR1020220032254A 2022-03-15 2022-03-15 도라지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청 KR102436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254A KR102436582B1 (ko) 2022-03-15 2022-03-15 도라지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청
PCT/KR2023/002231 WO2023177094A1 (ko) 2022-03-15 2023-02-15 도라지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254A KR102436582B1 (ko) 2022-03-15 2022-03-15 도라지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582B1 true KR102436582B1 (ko) 2022-08-26

Family

ID=83113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254A KR102436582B1 (ko) 2022-03-15 2022-03-15 도라지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청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6582B1 (ko)
WO (1) WO202317709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7094A1 (ko) * 2022-03-15 2023-09-21 (주)푸른신화 도라지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청
KR102594646B1 (ko) 2023-08-01 2023-10-26 농업회사법인 청결원식품 주식회사 홍도라지청의 제조방법
KR102594645B1 (ko) 2023-08-01 2023-10-26 농업회사법인 청결원식품 주식회사 흑도라지청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929A (ko) * 2018-12-27 2020-07-07 산촌마을농업회사법인유한회사 도라지청의 제조 방법
KR102289865B1 (ko) * 2020-09-14 2021-08-12 이계자 홍도라지 조청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홍도라지 조청
KR20220019394A (ko) * 2020-08-10 2022-02-17 박연숙 흑도라지 청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114B1 (ko) * 2013-05-06 2014-10-22 이상민 홍도라지를 첨가한 조청제조방법
KR102436582B1 (ko) * 2022-03-15 2022-08-26 (주)푸른신화 도라지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929A (ko) * 2018-12-27 2020-07-07 산촌마을농업회사법인유한회사 도라지청의 제조 방법
KR20220019394A (ko) * 2020-08-10 2022-02-17 박연숙 흑도라지 청 제조방법
KR102289865B1 (ko) * 2020-09-14 2021-08-12 이계자 홍도라지 조청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홍도라지 조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7094A1 (ko) * 2022-03-15 2023-09-21 (주)푸른신화 도라지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청
KR102594646B1 (ko) 2023-08-01 2023-10-26 농업회사법인 청결원식품 주식회사 홍도라지청의 제조방법
KR102594645B1 (ko) 2023-08-01 2023-10-26 농업회사법인 청결원식품 주식회사 흑도라지청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77094A1 (ko)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6582B1 (ko) 도라지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청
KR20120133133A (ko)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6616950B2 (en) Fermented herbal health drink from plant andrographis
KR101705545B1 (ko) 도라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관지질환, 면역증강 및 항비만 예방 효능의 건강차 조성물
CN101273778A (zh) 金银花凉茶及其制备方法
KR20140097961A (ko) 숙취해소 음료
CN104605018A (zh) 一种功能性发酵乳及其制备方法
KR100921955B1 (ko) 흑마늘을 이용하여 건강 기능성이 강화된 전통 약주의제조방법과 이의 방법으로 제조한 흑마늘 약주
TWI734322B (zh) 用於預防或治療幽門螺旋桿菌相關疾病之韓國泡菜
JP7354448B2 (ja) 喘息改善用組成物
KR102082649B1 (ko) 도라지배청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도라지배청
KR20150067822A (ko) 개복숭아 발효액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94617B1 (ko) 오미자 추출 원액의 제조 방법 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추출 원액
KR102098928B1 (ko) 도라지 및 배 혼합액을 이용한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1970320B1 (ko) 모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07832B1 (ko) 꾸지뽕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를 위한 음료 조성물
KR102063447B1 (ko) 어린이 도라지청(아이청)
KR20210078189A (ko) 개미취(Aster tataric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기관지염 또는 폐렴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9481544A (zh) 一种化痰止咳含片及其制备方法
CN105077430A (zh) 一种滋阴润肺的清肺饮品及其制备方法
KR102487701B1 (ko) 기관지염 또는 호흡기 질환 개선효능을 갖는 병풀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U2002228290B2 (en) fermented herbal health drink from plant andrographis
KR102249253B1 (ko) 오자, 오가피, 야관문 및 계피를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KR20110029473A (ko) 유산균이 함유된 기능성 액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6058501A (zh) 一种无糖抗氧化及抑菌植物组合物及其应用以及一种植物饮料及其制备方法以及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