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394B1 - 콩 분쇄 장치 - Google Patents

콩 분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394B1
KR102434394B1 KR1020197033149A KR20197033149A KR102434394B1 KR 102434394 B1 KR102434394 B1 KR 102434394B1 KR 1020197033149 A KR1020197033149 A KR 1020197033149A KR 20197033149 A KR20197033149 A KR 20197033149A KR 102434394 B1 KR102434394 B1 KR 102434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r
grinding
delete delete
rotation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4314A (ko
Inventor
마틴 니콜슨
Original Assignee
니콜슨 디자인 컨설턴츠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1707868.4A external-priority patent/GB2563820A/en
Priority claimed from GB1707894.0A external-priority patent/GB2570266A/en
Priority claimed from GB1707889.0A external-priority patent/GB2562504A/en
Priority claimed from GB1707893.2A external-priority patent/GB2563821A/en
Priority claimed from GB1708633.1A external-priority patent/GB2563039A/en
Application filed by 니콜슨 디자인 컨설턴츠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콜슨 디자인 컨설턴츠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04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0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cones
    • A47J42/06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cones mechanical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2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 A47J42/36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mechanical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40Parts or details relating to discharge, receiving container or the like; Bag clamps, e.g. with means for actuating electric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46Driving mechanisms; Coupling to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콩 분쇄 장치로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장착되는 분쇄 버어로서, 상기 분쇄 버어는 비-구동형 버어 및 회전 구동형 버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구동형 버어는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 축;, 상기 회전 구동형 버어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구동 모터;,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된 분쇄물 유동 경로; 및 상기 분쇄물 유동 경로와 연통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가지며, 길이방향 축을 형성하고, 상기 길이방향 축은 상기 회전 구동형 버어의 회전 축에 대해서 각도를 가지는, 출구 홈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콩 분쇄 장치
본 발명은 콩 분쇄 장치, 예를 들어 커피 콩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커피와 같은 최적조건의 음료는 정확한 양의 신선하고, 방금 분쇄되고, 로스팅된 커피 콩으로부터 최적으로 생산된다. 이를 위해서, 가능한 한 수직에 가깝고, 분쇄물이 수집 및 포집될 수 있는 어떠한 영역(area)도 가지지 않는 분쇄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 구동되는 내부 버어(burr)를 아래쪽으로부터 구동하는 것과 구동 모터를 버어에 가능한 한 근접되게 장착하는 것이 기계적으로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콩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라, 콩 분쇄 장치가 제공되고, 그러한 장치는 본체;, 본체 내에 장착되는 분쇄 버어로서, 분쇄 버어는 비-구동형 버어 및 회전 구동형 버어를 포함하고, 회전 구동형 버어는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 축;, 회전 구동형 버어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구동 모터;, 본체 내에 형성된 분쇄물 유동 경로;, 분쇄물 유동 경로와 연통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가지며, 길이방향 축을 형성하고, 길이방향 축은 구동형 버어의 회전 축에 대해서 각도를 가지는, 출구 홈통;을 포함한다.
출구 홈통은 본체로부터 아래쪽으로 적절히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전 축 및 출구 홈통의 길이방향 축은 반전된 V를 형성한다.
비-구동형 버어는 본체에 대해서 적절히 고정된다. 다시 말해서, 비-구동형 버어는 정적 버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 축은 본체의 길이방향 축과 동축이고, 그에 따라 출구 홈통은 본체에 대해서 각도를 이룬다.
회전 축과 홈통의 길이방향 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5°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10° 내지 60°, 10° 내지 50°, 15° 내지 45°, 또는 15° 내지 30°일 수 있다.
회전 축은 출구 홈통의 길이방향 축과 교차될 수 있고, 교차점은 본체 내에 적절히 위치된다.
회전 축 및 출구 홈통의 길이방향 축 모두는 수직 평면에 대해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회전 축과 출구 홈통의 길이방향 축 사이의 각도가 실질적으로 수직인 이등분선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장치는 분쇄 버어 아래에(즉 중력적으로 아래에) 위치되는 분쇄물 지향 요소를 더 포함하고, 분쇄물 지향 요소는, 분쇄물을 유동 경로 내로 스윕(sweep)하는 하나 이상의 핑거(finger)를 포함한다. 장치는 분쇄 버어 아래에 공동(cavity)을 형성할 수 있고, 분쇄물 지향 요소가 공동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분쇄물 지향 요소는 적절하게 회전 구동된다. 분쇄물 지향 요소의 회전 축은 회전 구동형 버어의 회전 축과 동축일 수 있다. 분쇄물 지향 요소는 구동 모터에 의해서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분쇄물 지향 요소는 복수의 핑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또는 각각의 핑거가 회전 축으로부터 형성된 반경(radius)으로부터 후방으로 적절히 각도를 형성할 수 있고, 및/또는 그러한 또는 각각의 핑거가 곡선화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하게 버어 위에 형성된 콩 유입구 및 콩 유입구로부터 버어까지 형성된 유입구 유동 경로를 포함한다.
출구 홈통 유입구는, 분쇄물 지향 요소가 내부에 위치되는 공동과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장치는 기부 요소(base element)를 포함하고, 장치의 본체는 기부 요소의 일 단부에 결합되고, 기부 요소의 대향 단부는 분쇄물 수집 개구를 형성한다. 분쇄물 수집 개구는, 개구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분쇄물 수집기를 적절하게 수용한다. 분쇄물 수집 개구는 출구 홈통 배출구의 수직 아래에 적절히 위치된다.
또한, 회전 구동형 내부 분쇄 버어를 그 회전 축을 따른 위치에서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과 외부 분쇄 버어를 회전 축과 정렬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라, 콩 분쇄 장치가 제공되고, 그러한 장치는 내부 분쇄 버어;, 상보적인(complementary) 외부 분쇄 버어;, 내부 분쇄 버어를 수반하는 샤프트;,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위해서 샤프트를 저널 연결하는(journaling) 베어링;, 외부 분쇄 버어를 지지하는 외부 버어 지지부로서, 외부 분쇄 버어가 내부에 위치되는 함몰부(recess)를 형성하는 외부 버어 지지부를 포함하고; 내부 분쇄 버어가 외부 분쇄 버어에 대해서 동심으로 위치되도록, 베어링은 함몰부와 동심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실시예에서, 장치는 본체를 포함하고, 외부 버어 지지부가 본체에 대해서 고정되도록, 외부 버어 지지부는 본체에 의해서 형성되거나 수반된다.
샤프트는 구동 모터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것은, 구동 모터가 샤프트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회전 구동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어 배열체(gear arrangement)가 구동 모터와 샤프트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장치는 함몰부와 함께 횡방향으로 위치되는 베어링 지지 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베어링은 베어링 지지 판의 중심에 결합된다.
베어링은 조합된 저널(journal) 및 트러스트 베어링일 수 있다.
샤프트는 그에 고정된 허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허브는 중력적으로 내부 버어 아래에 위치되고, 허브는 그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핑거를 포함하고, 핑거는 콩 분쇄물을 반경방향으로 버어로부터 스윕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와 같이, 핑거는 회전 축으로부터 반경에 대하여 후방으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장치는, 내부 분쇄 버어에 대한 외부 분쇄 버어의 축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외부 버어 조정 메커니즘(adjust mechanis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분쇄 버어의 위치는 내부 분쇄 버어를 향해서 또는 그로부터 멀리 축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조정 메커니즘은 외부 버어 지지부에 수반되는 제1 나사산형 요소 및 본체에 수반되는 제2 나사산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나사산형 요소는 외부 분쇄 버어 상에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지탱될(bear) 수 있고, 제1 나사산형 요소에 대한 제2 나사산형 요소의 회전은 외부 분쇄 버어가 내부 분쇄 버어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조정 메커니즘은, 외부 분쇄 버어를 내부 분쇄 버어를 향해서 또는 그로부터 멀리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편향 요소(biasing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편향 요소는 외부 분쇄 버어를 내부 분쇄 버어로부터 멀리 편향시키고, 그에 따라, 중력의 작용 하에서 분쇄되는 콩이 존재하지 않을 때 버어들은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편향 요소는 외부 분쇄 버어를 제2 나사산형 요소또는 외부 분쇄 버어와 제2 나사산형 요소 사이에 위치된 중간 부재(intermediate member)와 접촉되도록 편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특징이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특징과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내부 및 외부 분쇄 버어의 배열이 본 발명의 제1 양태와 관련하여 앞서서 규정된 바와 같은 장치의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제2 양태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다.
분쇄물의 입자 크기를 정확하게 조정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라, 콩 분쇄 장치가 제공되고, 그러한 장치는 회전 구동되고 축방향으로 구속되는 내부 분쇄 버어;, 상보적이고 회전적으로 구속되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외부 분쇄 버어;, 외부 분쇄 버어가 내부에 위치되는 함몰부를 형성하는 외부 버어 지지부;, 내부 분쇄 버어를 향해서 또는 그로부터 멀리 외부 분쇄 버어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정 메커니즘으로서, 분쇄 프로세스 중에 생성되는 내부 분쇄 버어로부터 멀어지도록 외부 분쇄 버어에 가해지는 추력에 반대로 작용하는 조정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조정 메커니즘은, 외부 분쇄 버어를 내부 분쇄 버어로부터 멀리 편향시키는 편향 요소를 더 포함한다. 편향 요소는 조정 메커니즘과 접촉되도록 외부 분쇄 버어를 적절히 편향시킨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조정 메커니즘은 외부 버어 지지부에 수반되는 나사산형 요소및 내부 분쇄 버어를 향해서 또는 그로부터 멀리 외부 분쇄 버어를 압박하기 위해서 외부 분쇄 버어 상에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지탱되도록 배열되는 상보적인 나사산형 요소를 포함한다.
상보적인 나사산형 요소는 각도 조정 가능 설정 링을 수반할 수 있고, 상보적인 나사산형 요소 및 각도 조정 가능 설정 링은, 상보적인 나사산형 요소에 대한 각도 조정 가능 설정 링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요부 및 멈춤쇠 배열(indent and detent arrangement)을 갖는다. 상보적인 나사산형 요소와 각도 조정 가능 설정 링 사이의 요부 및 멈춤쇠 배열은, 예를 들어 교정 프로세스(calibration process) 중에, 설정 링이 상보적인 나사산형 요소에 대해서 조정될 수 있게 하고, 이는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장치를 위한 분쇄 설정을 선택할 때 각도 조정 가능 설정 링이 상보적인 나사산형 요소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상보적인 나사산형 요소는 버어들 사이의 간격과 관련된 표시(indici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콩을 위한 희망 분쇄 즉, 분쇄물의 평균 입자 크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특징이 본 발명의 제1 및/또는 제2 양태의 특징과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양태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내부 및 외부 버어의 배열이 본 발명의 제1 양태 및/또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와 관련하여 앞서서 규정된 바와 같은 장치의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제3 양태가 본 발명의 제1 양태 및/또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특정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다.
커피 콩과 같은 콩의 분쇄가, 특히 특정 기후 조건 중에, 결과적인 미세한 분쇄물 입자에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정전하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분쇄물이 미세할수록, 더 많은 정전하가 생성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미세한 분쇄물은 매우 가벼운 중량을 가지며, 그에 따라 인가된 정전하에 의해서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 이는 분쇄물이 분쇄 장치의 표면에 고착되게 할 수 있거나, 장치로부터 멀리 압박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4 양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서, 콩 분쇄 장치가 제공되고, 그러한 장치는 기부 요소;, 기부 요소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본체로서, 내부에 위치되는 분쇄 버어를 포함하고 분쇄 버어로부터 분쇄물 배출구를 갖는 출구 홈통까지 분쇄물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본체; 및 기부 상에 위치되는 분쇄물 수집기 플랫폼으로서, 분쇄물 수집기 플랫폼이 출구 홈통의 배출구 아래에 위치되고 분쇄물 수집기 수용 부분을 형성하며, 목재로 형성되는, 분쇄물 수집기 플랫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실시예에서, 분쇄물 수집기 플랫폼은 직립 본체로부터 이격된다.
목재 분쇄물 수집기 플랫폼은, 기부 요소에 고정되는 하부 부분 및 탈착 가능한 상부 부분을 포함하는 2-부품 구성요소일 수 있다.
출구 홈통은 중합체 재료 또는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는 중합체 재료 또는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장치는 분쇄물 수집기 수용 부분에 의해서 수용되도록 성형된 분쇄물 수집기를 포함할 수 있다. 분쇄물 수집기는 중합체 재료 또는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장치는 기부 요소의 하부측에 제공된 받침부(fee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는 또한 목재로 적절히 형성된다. 받침부는, 마찰 표면을 형성하는 밑창(sole)을 포함할 수 있다.
분쇄물 수집기 플랫폼 및 선택적으로 받침부를 위해서 목재를 이용하는 것은 분쇄물이 정전기적으로 대전되는 것과 연관된 문제를 상당히 줄이거나 제거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특징이 본 발명의 제1, 제2 및/또는 제3 양태의 특징과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양태와 관련하여 전술한 배열은 본 발명의 제1, 제2, 및/또는 제3 양태와 관련하여 앞서서 규정된 바와 같은 장치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제4 양태가 본 발명의 제1, 제2, 및/또는 제3 양태의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다.
특정 상황에서 콩 분쇄 장치의 동작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따라, 분쇄 버어의 세트와 연통되는 저장용기(reservoir)를 포함하는 콩 분쇄 장치가 제공되고, 분쇄 버어 중 적어도 하나가 전기 모터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고, 저장용기는 저장용기 본체에 의해서 형성되고, 분쇄 장치는 저장용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고 폐쇄 구성(closed configuration) 및 개방 구성(open configuration)을 가지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폐쇄 구성에서 저장용기는 커버에 의해서 덮이고 저장용기에 대한 접근이 방지되며, 개방 구성에서 저장용기에 대한 접근이 허용되며, 전기 모터는 모터의 동작을 허용하는 동작 위치 및 모터의 동작이 방지되는 부동화(immobilising) 위치를 갖는 부동화 스위치를 포함하고, 커버는 스위치 결합 요소를 포함하고, 스위치 결합 요소는, 커버가 그 폐쇄 구성에 있을 때, 부동화 스위치를 동작 위치에 위치시킨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실시예에서, 부동화 스위치는 그 부동화 위치로 편향된다.
부동화 스위치는, 그 부동화 위치에 있을 때, 전기 모터에 대한 전력공급을 적절히 중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스위치 결합 요소는 돌출 막대를 포함하고, 부동화 스위치는, 돌출 막대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크기 및 구성을 갖는 개구를 형성한다.
저장용기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커버는, 그 폐쇄 구성에 있을 때, 저장용기 개구부의 전체를 덮는다.
저장용기 내의 콩의 양을 확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커버는 투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커버 및/또는 저장용기 본체는, 커버를 그 폐쇄 구성에서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걸쇠(latch)를 포함한다.
또한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분쇄된 커피 콩의 출력을 변경하기 위해서 분쇄 버어들 사이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고, 분쇄기는 분쇄 버어들을 제어하는 수동 제어기를 포함하고, 커버는, 그 폐쇄 구성에 있을 때, 수동 제어기를 추가적으로 덮는다.
본원에서 구체적인 조합이 명백하게 언급되었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당업자는 본 발명의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되고 규정된 특징들 및 그 실시예들이 임의의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가 그러한 조합 모두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제, 단지 예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콩 분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A-A를 따라서 취한 도 1에 도시된 콩 분쇄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콩 분쇄 장치의 확대된 측단면 상세도이다.
도 4는 A-A를 따라서 취한 도 1에 도시된 콩 분쇄 장치의 후방 단면도이다.
도 5는 콩 분쇄 메커니즘의 원근적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콩 분쇄 장치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콩 분쇄 장치의 원근적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콩 분쇄 장치의 기부의 사시도이다.
불확실한 것을 피하기 위해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위", "아래", "전방", "후방", "상부", "하부", "폭" 등의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사용을 위해서 설치될 때 예에서 발견되는 바와 같은 구성요소의 배향을 지칭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콩 분쇄 장치(1)는, 내부 분쇄 버어(3) 및 상보적인 외부 분쇄 버어(4)가 내부에 수용되는 본체(2)를 포함한다. 그러한 버어는 예를 들어 Italmill Grinding Technology S.r.l,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내부 버어(3)는 샤프트(5)에 수반되며 샤프트는 내부 버어(3)의 회전 축(A)을 형성하는 베어링(6) 내에 저널 연결된다. 외부 버어(4)는 지지 요소(8)에 의해서 형성된 함몰부(7) 내에 위치된다. 샤프트(5) 상의 내부 버어(3)가 함몰부(7) 내의 외부 버어(4)와 동심으로 배열되도록, 베어링(6)이 함몰부(7) 내에서 중앙에 위치된다.
함몰부(7) 내의 베어링(6)의 동심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베어링은, 함몰부(7) 내에서 마찰 피팅(friction fit)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베어링 지지 판(9)에 수반된다. 베어링(6)의 외부 레이스(outer race)(10)는 베어링 지지 판(9)의 하부측에 형성된 안착부(11) 내에서 압입 피팅을 형성하고, 외부 레이스(10)는 안착부(11)와 함몰부(7)의 기부 표면(12) 사이에 정확하고 확실하게 위치된다. 분쇄 버어들(3, 4)의 정확한 상대적인 배치는 일정하고 재현 가능한 콩의 분쇄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본 발명의 장치는 분쇄 버어(3, 4)의 동심성 및 그들 사이의 축방향 간격의 제어를 통해서 이러한 것을 달성한다. 이는 비용-효과적인 배열을 초래하는데, 이는 구성요소의 수가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이는 또한 감소된 조립 시간 및 비용을 초래한다.
기부 표면(12)을 통과하는 것 그리고 중간 부재(15)에 나사 결합되는 것에 의해서, 나사(14)가 베어링 지지 판(9)을 기부 표면(12)에 대하여 위치시키고, 중간 부재(15) 자체는 나사(16)를 통해서 분쇄 장치(1)의 하부 본체 부분(17)에 고정된다. 외부 버어 지지 요소(8)는 장치(1)의 상부 본체 부분(18) 내에 위치된다. 상부 본체 부분(18)이 나사(14)를 통해서 중간 부재(15)에 고정되고 중간 부재(15)가 또한 나사(16)를 통해서 하부 본체 부분(17)에 고정됨에 따라, 상부 본체 부분(18)은 중간 부재(15) 및 나사(14, 16)를 통해서 하부 본체 부분(17)에 고정된다. 상부 및 하부 본체 부분(17, 18)의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서, 중간 부재(15)는, 하부 및 상부 본체 부분(17, 18)의 상응 부분들을 결합시키는 플랜지형 테두리(19)를 포함한다.
구동 메커니즘(21)이 내부 버어(3)를 위해서 샤프트(5)를 통해서 제공되고, 그러한 샤프트는 2 스테이지 유성 기어박스(22)의 출력 샤프트를 형성하고, 그러한 출력 샤프트는 다시 기어박스(22) 아래에 위치된 모터(23)에 의해서 구동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잘 알려져 있고 본원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모터는,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러그(25)를 갖는 하우징(24)을 갖는다. 러그(25)는 부시(26)를 통해서 하부 본체 부분(17)의 하부 단부(28) 내에 배열된 소켓(27) 내에 결합된다. 러그(25)는 분쇄 중에 버어들(3, 4) 사이에서 생성되는 토크에 반대로 작용한다. 분쇄 프로세스 중에 생성되는 추력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반대 작용을 받는다.
분쇄물 지향 요소(31)가 내부 버어(3)와 베어링 지지 판(9) 사이에 제공된다. 분쇄물 지향 요소(31)는 3개의 후방 스윕된(swept) (즉, 회전 방향에 대한 후방의) 외향 돌출 핑거(32)를 포함한다. 핑거(32)는 분쇄물을 반경방향으로 내부 버어(3)로부터 멀리 압박한다. 핑거는 허브(33)로부터 돌출되고, 허브는 베어링 지지 판(9)의 보스(34)를 수용하기 위해서 함몰된다. 허브(33)는, 샤프트(5)를 따라서 연장되고 베어링(6)의 내부 레이스(36)와 접경(abut)되는 중앙 슬리브(35)를 포함한다. 분쇄 작용으로부터 초래되는 하향 추력은, 위쪽 방향으로 균등한 힘을 함께 가하는 슬리브(35), 내부 레이스(36) 및 외부 레이스(10)를 통해서 함몰부(7)의 기부 표면(12)에 의해서 반대 작용을 받는다. 나사(37)는 내부 버어(3)를 샤프트(5)에 대해서 연결 및 유지하고, 또한 슬리브(35) 및 베어링(6)의 내부 레이스(36)를, 내부 레이스(36) 아래의 샤프트(5)에 수반되는 서클립(circlip)(38)에 반하여 압축한다.
외부 버어(4)가 (후술되는) 내부 버어(3)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는 반면, 회전에 대해서는 고정된다. 외부 버어(4)를 회전에 대해서 고정하기 위해서, 외부 버어는 나사(42)를 통해서 그에 고정되는 상부 부착부(41)를 포함한다. 부착부(41)는 그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탭(43)의 쌍을 가지며, 그러한 탭의 쌍은 지지 요소(8)의 측면 내에 형성된 슬롯(44) 내에 수용된다. 슬롯(44)은, 스프링(46)을 수용하는 한쪽이 막힌 보어(blind bore, 45)를 포함한다. 탭(43) 및 슬롯(44)이 협력하여 외부 버어(4)가 지지 요소(8)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게 하고, 탭(43) 및 스프링(46)은 외부 버어(4)를 내부 버어(3)로부터 멀리 위쪽으로 압박한다.
분쇄 조정 깔때기 링(47)이 외부 버어(4)의 상부 부착부(41)와 결합된다. 분쇄 조정 깔때기 링(47)은, 상부 본체 부분(18)의 나사산형 보어(49) 내에 나사산식으로 수용되는 나사산형 칼라(48)를 포함한다. 깔때기 링(47)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외부 버어(4)를 내부 버어(3)를 향해서 하향 압박하고, 깔때기 링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스프링(46)이 외부 버어(4)를 내부 버어(3)로부터 멀리 상향 압박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쇄 프로세스에 의해서 생성된 분쇄물(85)의 미세도가 변경될 수 있다. 깔때기 링(47)은 설정 링(51)을 수반한다. 2개의 링(47, 51)은, 설정 링(51)을 깔때기 링(47) 상에서 유지하는 협력 립(lip)(52, 53)을 갖는다. 그 내측부에서, 설정 링(51)은 일련의 요부(indent)(54)를 형성한다. 깔때기 링(47)은 요부(54)에 상보적인 보어(55)를 형성하고, 그러한 보어 내에는 스프링(56) 및 멈춤쇠 볼(57)이 위치된다. 그러한 배열은, 설정 링(51)이 (버어들이 닿을 때) 교정 중에 깔때기 링(47)에 대해서 조정될 수 있게 하고, 생산되는 분쇄물의 미세도의 조정 중에, 즉 버어들(3, 4) 사이의 축방향 간격을 조정하는 동안 깔때기 링(47)에 대한 그 상대적인 배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부 본체 부분(18)의 상단부를 향하는 원주방향 표면 상에, 표시(58)가 제공된다. 사용 시에, 외부 분쇄 버어(4)가 내부 분쇄 버어(3)와 접촉될 때까지, 깔때기 링(47)이 시계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된다. 이어서, 설정 링(51)의 외측부 상의 마크(59)를 표시(58)의 0에 정렬시키는 것에 의해서, 설정 링(51)을 0으로 만든다. 이어서, 버어들(3, 4)의 희망 분쇄 분리에 상응하는 표시(58)에 따라 희망하는 양만큼 깔때기 링(47)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나사산형 칼라(48) 및 나사산형 보어(49)의 나사결합은 미세하고, 그에 의해서 깔때기 링(47)과 상부 본체 부분(18) 사이의 마찰이 깔때기 링(47)을 희망 배향으로 유지한다. 이는 다시, 분쇄 프로세스 중에 생성되는 외부 버어(4)에 대한 상향 추력을 깔때기 링(47)이 저지할 수 있게 한다.
깔때기 링(47)은 버어(3, 4)에 콩(61)을 깔때기 공급(funnelling)하기 위한 테이퍼링된 채널(60)을 형성한다. 테이퍼링된 채널(60)은 분쇄에 앞서서 콩(61)을 위한 저장용기를 형성한다.
버어(3, 4)로부터의 분쇄물(85)이 분쇄물 지향 요소(31)의 스윕된 후방 핑거(32)의 경로 내로 낙하된다. 핑거(32)는 분쇄물(85)을 벽(63) 내의 개구부(62)의 쌍 내로 압박하고, 그러한 벽(63)은, 부분적으로, 베어링 지지 판(9)의 최하부 지점에서 함몰부(7)를 형성한다. 지지 판(9)은 수평 평면에 대해서 15°의 기울기를 형성하고, 회전 축(A)은 수직 평면과 15°의 각도를 형성하며, 그에 따라 지지 판(9)은 회전 축(A)에 수직이다.
분쇄물(85)을 수용하기 위해서 홈통(64)이 제공된다. 홈통(64)은, 홈통(64)의 길이방향 축이 25°만큼 회전 축(A)으로부터 각도를 형성하도록, 회전 축(A)의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10°만큼 수직 평면으로부터 각도를 형성하는 길이방향 축을 갖는다.
홈통(64)은 분쇄 장치로부터 분쇄물 유동 경로(P)를 형성한다. 회전 축(A) 및 경로(P)가 반전된 V 형상을 형성한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을 것이다. 회전 축(A) 및 경로(P)의 교차부(즉, V의 점)가 본체(2)의 상부 부분 내에 위치된다. 홈통(64)의 길이방향 축이 회전 축(A)보다 수직 평면에 약간 더 근접하는 반면, V의 이등분선은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홈통(64)은 일반적으로 원형 횡단면을 갖는다. 홈통의 상부 단부(65)에서, 홈통은 지지 요소(8)의 외부 윤곽부에 접경되도록 성형되고, 홈통(64)의 상단 핀(67)은 외부 윤곽부 내에 형성된 함몰부(68) 내에 결합된다. 러그(69)는 중간 부재(15) 내의 절취부(70)로서 기부 표면(12)의 하부측과 결합된다. 베어링 지지 판(9) 상에서 지탱되는 나사(71)가 기부 표면(12)을 통과하고 러그 내에 결합되어 홈통(64)을 확실하게 위치시킨다. 이는 또한 하부 본체 부분(17) 내의 개구(72)를 통과한다.
하부 본체 부분(17)은 그 아래에 피팅되는 기부(81)를 가지며, 그러한 기부는 홈통(64)의 아래에 놓이도록 전방으로 돌출된다. 기부(81) 및 본체(2)는 반전된 7의 형상을 형성한다.
기부(81)는 분쇄물 수집 컵(83)을 위한 2-부품 스탠드(82)를 갖는다. 컵(83)이 홈통(64)의 원위 단부(84) 아래의 스탠드(82) 상에 있는 상태에서, 컵은 분쇄물(85)을 수집할 수 있다.
분쇄물(85)에 의한 정전하 축적의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 스탠드(82)가 목재로 제조되고, 기부(81)는 또한 목재로 제조된 받침부(86)를 구비한다. 목재로 스탠드(82) 및 받침부(86)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분쇄물(85)이 장치(1)에 부착되게 하는 또는 비산되게 하는 정전기 효과가 사라지거나 전적으로 제거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원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한 실험은, 10 g의 분쇄물(85)이 10g의 콩(61)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2 부품 스탠드(82)는 커버(87)를 포함하고, 커버는 중공형 기부(81)의 대부분의 위에 놓이고 헤드(89)가 현저하게 남아 있는 나사(88)에 의해서 제 위치에서 유지되며, 그에 의해서 나사 헤드(89)는, 한쪽이 막힌 중앙 보어가 기부에 형성된 원형 접시(90)와 결합된다.
중공형 기부(81)의 후방부는 전력 케이블(93)을 위해서 외측으로 개방된 개구(92)를 갖는 케이블 제어 몰딩(91) 및 케이블이 하부 본체 부분(17) 내로 위쪽으로 통과함에 따른 케이블을 위한 클램프(94)를 내측에 형성한다. 이러한 배열은 케이블(93)이 저장을 위해서 기부(81)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하고 사용을 위해서 기부(81)로부터 인출될 수 있게 한다.
케이블(93)은 하부 본체 부분(17) 내에 위치된 인쇄회로기판(95)까지 연장된다. 인쇄회로기판(95)은, 전기 에너지를 모터(23)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스위치(96)를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95)은 연동 마이크로-스위치(97)를 더 포함한다. 상부 본체 부분(18)은, 경첩(102)을 통해서 상부 본체 부분(18)에 피벗(pivot)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98)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덮개(98)는 폐쇄 구성에서 깔때기 링(47)을 덮을 수 있다. 덮개(98)는 자석(99)을 수반하고, 상부 본체는, 폐쇄 구성에서 자석(99)과 정렬되는 강 삽입체(100)를 수반한다. 폐쇄 구성에서 자석(99)과 강 삽입체(100) 사이의 자기적 인력이 덮개(98)를 그 폐쇄 구성에서 잠금한다.
덮개(98)는 돌출 요소(103)를 더 포함한다. 폐쇄 구성에서, 돌출 요소(103)는 플런저(101)와 결합되고, 플런저는 다시 마이크로-스위치(97)에 연결되고, 그에 따라 폐쇄 구성에서, 마이크로-스위치는 동작 스위치가 활성화될 때 분쇄기의 동작을 허용한다. 덮개(98)가 개방될 때(즉, 폐쇄 구성에서 외측으로 경첩 운동될 때), 돌출 요소(103)가 플런저(101)로부터 분리되고, 플런저는 다시 마이크로-스위치(97)를 개방한다. 마이크로-스위치(97)의 개방은 모터(23)로의 전력을 중단시키고, 분쇄 장치(1)가 동작될 수 없게 한다. 이러한 배열은, 덮개(98)가 개방 구성에 있는 상태에서 분쇄 장치(1)가 동작되는 것을 방지한다.
테이퍼링된 채널(60) 내의 콩(61)의 수량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덮개(98)는 투명 중합체 재료로 형성된다.

Claims (37)

  1. 콩 분쇄 장치(1)로서,
    본체(2);
    상기 본체(2) 내에 장착되는 분쇄 버어(3, 4)로서, 상기 분쇄 버어(3, 4)는 비-구동형 버어(4) 및 회전 구동형 버어(3)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구동형 버어(3)는,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 축(A)을 포함하는 분쇄 버어(3, 4) ;
    상기 회전 구동형 버어(3)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구동 모터(23);
    상기 본체(2) 내에 형성된 분쇄물 유동 경로(P); 및
    상기 분쇄물 유동 경로(P)와 연통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가지며 길이방향 축을 형성하고, 상기 길이방향 축은 상기 회전 구동형 버어(3)의 회전 축(A)에 대해서 각도를 가지는 출구 홈통(64);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축(A) 및 상기 출구 홈통(64)의 길이방향 축 모두는 수직 평면에 대해서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 구동형 버어(3)가 내부 분쇄 버어이고, 상기 비-구동형 버어(4)가 상보적인 외부 분쇄 버어이며, 상기 내부 분쇄 버어가 샤프트(5)에 수반되며, 베어링(6)은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위해서 상기 샤프트(5)를 저널 연결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외부 분쇄 버어(4)를 지지하는 외부 버어 지지부(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버어 지지부(8)는 상기 외부 분쇄 버어(4)가 내부에 위치되는 함몰부(7)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 분쇄 버어(3)가 상기 외부 분쇄 버어(4)에 대해서 동심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베어링(6)이 상기 함몰부(7)에 대해서 동심으로 배열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분쇄 버어(3, 4) 아래에 위치되는 분쇄물 지향 요소(31)와 상기 내부 분쇄 버어(3)에 대한 상기 외부 분쇄 버어(4)의 축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외부 버어 조정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쇄물 지향 요소(31)는, 분쇄물을 상기 분쇄물 유동 경로(P) 내로 스윕하는 적어도 하나의 핑거(32)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버어 조정 메커니즘은 상기 외부 분쇄 버어(4)를 상기 내부 분쇄 버어로부터 멀리 편향시키는 편향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분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A) 및 상기 출구 홈통(64)의 길이방향 축은 반전된 V를 형성하는, 콩 분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구동형 버어(4)는 정적 버어인, 콩 분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A)과 상기 출구 홈통(64)의 길이방향 축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가 10° 내지 45°인, 콩 분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A)은 상기 출구 홈통(64)의 길이방향 축과 교차되고, 교차점은 상기 본체(2) 내에 위치되는, 콩 분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분쇄 버어(3, 4) 아래에 공동을 형성하고, 상기 분쇄물 지향 요소(31)가 상기 공동 내에 위치되는, 콩 분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기부 요소(8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치의 본체(2)는 상기 기부 요소(81)의 일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기부 요소(81)의 대향 단부는 분쇄물 수집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분쇄물 수집 개구는 상기 출구 홈통(64) 배출구의 수직 아래에 위치되는, 콩 분쇄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본체(2)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버어 지지부(8)가 상기 본체(2)에 대해서 고정되도록 상기 외부 버어 지지부(8)는 상기 본체(2)에 의해서 형성되거나 수반되는, 콩 분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함몰부(7) 내에 위치되는 베어링 지지 판(9)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6)은 상기 베어링 지지 판(9)에 수반되는, 콩 분쇄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6)은 조합된 저널 및 트러스트 베어링(6)인, 콩 분쇄 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기부 요소(81) 및 상기 기부 요소(81) 상에 위치된 분쇄물 수집기 플랫폼(82)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쇄물 수집기 플랫폼(82)은 상기 출구 홈통(64)의 배출구 아래에 위치되고 분쇄물 수집기 수용 부분을 형성하며 목재로 형성되는, 콩 분쇄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본체(2)에 의해서 형성된 저장용기(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60)는 상기 분쇄 버어(3, 4)와 연통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본체(2)에 힌지 결합된 커버(98)로서, 상기 커버(98)는 폐쇄 구성과 개방 구성을 가지고, 상기 폐쇄 구성에서 상기 저장용기(60)는 상기 커버(98)에 의해서 덮이고 상기 저장용기(60)에 대한 접근이 방지되며, 상기 개방 구성에서 상기 저장용기(60)에 대한 접근이 허용되는, 커버(98)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터(23)는 전기 모터이고, 상기 구동 모터(23)의 동작을 허용하는 동작 위치 및 상기 구동 모터(23)의 동작이 방지되는 부동화 위치를 갖는 부동화 스위치(97)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98)는 스위치 결합 요소(103)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결합 요소(103)는, 상기 커버(98)가 그 폐쇄 구성에 있을 때 상기 부동화 스위치(97)를 상기 동작 위치에 위치시키는, 콩 분쇄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98)가 투명한, 콩 분쇄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KR1020197033149A 2017-05-16 2018-05-15 콩 분쇄 장치 KR102434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707868.4A GB2563820A (en) 2017-05-16 2017-05-16 Bean grinder concentric
GB1707868.4 2017-05-16
GB1707894.0A GB2570266A (en) 2017-05-17 2017-05-17 3650 bean grinder wooden platform
GB1707893.2 2017-05-17
GB1707889.0 2017-05-17
GB1707889.0A GB2562504A (en) 2017-05-17 2017-05-17 Bean grinder off-angle
GB1707894.0 2017-05-17
GB1707893.2A GB2563821A (en) 2017-05-17 2017-05-17 3649 bean grinder burr bias
GB1708633.1A GB2563039A (en) 2017-05-31 2017-05-31 Bean Grinder Lid
GB1708633.1 2017-05-31
PCT/GB2018/051317 WO2018211264A1 (en) 2017-05-16 2018-05-15 Bean grind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314A KR20200004314A (ko) 2020-01-13
KR102434394B1 true KR102434394B1 (ko) 2022-08-18

Family

ID=6268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149A KR102434394B1 (ko) 2017-05-16 2018-05-15 콩 분쇄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11304564B2 (ko)
EP (2) EP4014809A1 (ko)
JP (1) JP7227160B2 (ko)
KR (1) KR102434394B1 (ko)
CN (2) CN114631744A (ko)
AU (1) AU2018270221B2 (ko)
CA (1) CA3060347C (ko)
DK (1) DK3624655T3 (ko)
ES (1) ES2915524T3 (ko)
NZ (1) NZ758308A (ko)
PL (1) PL3624655T3 (ko)
PT (1) PT3624655T (ko)
SG (1) SG11201909792VA (ko)
WO (1) WO20182112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R201904491A2 (tr) * 2019-03-26 2020-10-21 Altug Uenal Bi̇r kahve öğütme ci̇hazi ve bahsedi̇len ci̇haza hai̇z bi̇r kahve maki̇nesi̇
TWI764408B (zh) * 2019-12-06 2022-05-11 美商啡樂實業公司 咖啡研磨機
GB2598292A (en) 2020-08-10 2022-03-02 Nicholson Design Consultants Ltd Collector for ground beans
GB202109452D0 (en) 2021-06-30 2021-08-11 Nicholson Design Consultants Ltd A bean grinding apparatus
GB202215109D0 (en) 2022-10-13 2022-11-30 Nicholson Design Consultants Ltd A bean grinding apparatu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91727C (de) * 1951-10-09 1953-10-01 Licentia Gmbh Elektrische Haushaltkaffeemuehle
DE3503701A1 (de) * 1985-02-04 1985-08-14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7000 Stuttgart Mahlwerk, insbesondere getreidemahlaufsatz einer haushalts-kuechenmaschine
DE3535119A1 (de) * 1985-10-02 1987-04-09 Mock Wolfgang Dipl Psych Vorrichtung zum mahlen von getreide oder dgl.
DE9115709U1 (ko) * 1991-12-18 1992-03-26 Bosch-Siemens Hausgeraete Gmbh, 8000 Muenchen, De
US20090032627A1 (en) * 2007-08-01 2009-02-05 Krasznai Charles Z Spice Grinder
WO2016166216A1 (en) * 2015-04-14 2016-10-20 Illycaffe' S.P.A. Con Unico Socio Device and method for grinding coffee bean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62E (fr) * 1924-02-13 1925-03-23 Moulin à café ou analogue mû électriquement
US2554888A (en) * 1946-04-11 1951-05-29 Toledo Scale Co Housing for coffee mills
NL6511567A (ko) * 1965-09-04 1967-03-06
FR2724104B1 (fr) * 1994-09-02 1997-03-14 Moulinex Sa Mixeur menager
CN1251504A (zh) * 1997-03-13 2000-04-26 埃格罗股份公司 制备咖啡粉的设备
US6929201B1 (en) * 2004-02-23 2005-08-16 Ams Industries, Inc. Adjustable spice grinder
GB2412616B (en) * 2004-03-29 2006-07-05 Wing Wo Plastic Manufactory Lt Pepper grinder
US7185837B2 (en) * 2004-04-27 2007-03-06 Sunbeam Products, Inc. Spill-resistant material milling processor
CN2751722Y (zh) * 2004-09-22 2006-01-18 广州市番禺区利和赛五金塑料制造有限公司 电动胡椒研磨机
TW200833282A (en) * 2007-02-05 2008-08-16 Chung-Jen Pai A grinder
ITVE20070012U1 (it) * 2007-04-02 2008-10-03 Elektra S R L Macinadosatore perfezionato per caffe.
EP1994866A1 (en) * 2007-05-23 2008-11-26 Rhea Vendors S.p.A. Device for grinding coffee or other alimentary substances
ITMI20071442A1 (it) * 2007-07-18 2009-01-19 De Longhi Appliances Srl Procedimento per il controllo di un maciinino di una macchina da caffe'
US7874505B1 (en) * 2007-08-31 2011-01-25 Food Equipment Technologies Company, Inc. Food grinder with electronically adjustable grind settings, tooless disassembly
GB2465347B (en) * 2008-11-12 2010-11-17 Samson Bright Ind Co Ltd Electric condiment grinder
CN201658269U (zh) * 2010-01-22 2010-12-01 瀛丽企业股份有限公司 胡椒研磨器
CN201624553U (zh) * 2010-03-09 2010-11-10 东莞特宏塑胶五金有限公司 具有间隔片的研磨器
CN201775519U (zh) * 2010-08-19 2011-03-30 张国平 一种电动研磨器
EP2767201A1 (en) * 2013-02-14 2014-08-20 Ideas Denmark A/S A grinding unit, a cartridge for the grinding unit and use of same for grinding coffee beans
CN108135401A (zh) * 2015-08-18 2018-06-08 卡诺维申斯有限责任公司 非接触式香料分配器
CN204931446U (zh) * 2015-09-06 2016-01-06 吴婷 手摇咖啡磨豆机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91727C (de) * 1951-10-09 1953-10-01 Licentia Gmbh Elektrische Haushaltkaffeemuehle
DE3503701A1 (de) * 1985-02-04 1985-08-14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7000 Stuttgart Mahlwerk, insbesondere getreidemahlaufsatz einer haushalts-kuechenmaschine
DE3535119A1 (de) * 1985-10-02 1987-04-09 Mock Wolfgang Dipl Psych Vorrichtung zum mahlen von getreide oder dgl.
DE9115709U1 (ko) * 1991-12-18 1992-03-26 Bosch-Siemens Hausgeraete Gmbh, 8000 Muenchen, De
US20090032627A1 (en) * 2007-08-01 2009-02-05 Krasznai Charles Z Spice Grinder
WO2016166216A1 (en) * 2015-04-14 2016-10-20 Illycaffe' S.P.A. Con Unico Socio Device and method for grinding coffee bean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E B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758308A (en) 2022-07-29
EP3624655A1 (en) 2020-03-25
US11304564B2 (en) 2022-04-19
AU2018270221B2 (en) 2022-03-03
ES2915524T3 (es) 2022-06-22
JP7227160B2 (ja) 2023-02-21
PL3624655T3 (pl) 2022-05-02
US20220192425A1 (en) 2022-06-23
EP4014809A1 (en) 2022-06-22
WO2018211264A1 (en) 2018-11-22
CN110636787A (zh) 2019-12-31
CA3060347A1 (en) 2018-11-22
EP3624655B1 (en) 2022-03-02
DK3624655T3 (da) 2022-05-09
US11918147B2 (en) 2024-03-05
JP2020519338A (ja) 2020-07-02
AU2018270221A1 (en) 2019-11-28
US20200060477A1 (en) 2020-02-27
CN114631744A (zh) 2022-06-17
SG11201909792VA (en) 2019-11-28
PT3624655T (pt) 2022-04-06
CA3060347C (en) 2022-10-04
KR20200004314A (ko) 202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4394B1 (ko) 콩 분쇄 장치
JP6990846B2 (ja) 電動粉挽き機
JP5331800B2 (ja) コーヒ、その他の栄養補給材料を粉砕する装置
EP3741271B1 (en) Coffee bean grinding mechanism
KR20180127060A (ko) 수직 롤러형 분쇄날 및 이를 구비한 분쇄기
CN213850231U (zh) 电动咖啡磨豆机
KR200381603Y1 (ko) 곡물 분쇄기
TW202126244A (zh) 咖啡研磨機
WO2023274895A1 (en) A bean grinding apparatus
GB2563821A (en) 3649 bean grinder burr bias
GB2570266A (en) 3650 bean grinder wooden platform
JP6795815B2 (ja) コーヒー豆粉砕器
GB2563039A (en) Bean Grinder Lid
GB2563820A (en) Bean grinder concentric
KR200159726Y1 (ko) 콩 분쇄기
WO2024079476A1 (en) A bean grinding apparatus
KR20100059034A (ko) 그라인더 유니트
JP3559731B2 (ja) 食品粉砕器
GB2562504A (en) Bean grinder off-angle
KR900008171Y1 (ko) 콩 분쇄기
CN219020905U (zh) 一种可调研磨度的咖啡研磨机
CN220403829U (zh) 一种咖啡磨外置下调节结构
JPH0718348Y2 (ja) 飲料抽出用原料供給装置
JP4080118B2 (ja) 茶葉粉砕器
KR0139112Y1 (ko) 식품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