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171Y1 - 콩 분쇄기 - Google Patents

콩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171Y1
KR900008171Y1 KR2019880002780U KR880002780U KR900008171Y1 KR 900008171 Y1 KR900008171 Y1 KR 900008171Y1 KR 2019880002780 U KR2019880002780 U KR 2019880002780U KR 880002780 U KR880002780 U KR 880002780U KR 900008171 Y1 KR900008171 Y1 KR 9000081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opening
screw
rotating body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27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288U (ko
Inventor
송규석
Original Assignee
송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규석 filed Critical 송규석
Priority to KR20198800027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171Y1/ko
Publication of KR8900172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2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1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1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8Disc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4Adjusting, applying pressure to, or controlling distance between,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콩 분쇄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요부 평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뚜껑체를 개폐시키기 위한 작동 상태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조절 나사에 의한 회전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 단면도.
제 7 도는 본 고안의 뚜껑을 개폐시키기 위한 작동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판 2 : 가이드대
3 : 회전체 4 : 파쇄체
5 : 뚜껑체 6,6' : 지지대
7,7' : 지지구 8 : 고정대
9 : 조절나사 10 : 분산구
11 : 주입구 11a : 호상돌기
12 : 걸림판 13 : 고정나사
14 : 걸림부 15 : 모터축
16 : 연삭숫돌 21 : 콩 분쇄기
22 : 파쇄부 26 : 장공
27 : 스프링
본 고안은 물과 콩을 일정 비율로 공급시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콩을 분쇄시키는 콩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고정된 파쇄체와 회전되는 회전체에 의해 분쇄가 용이하도록 하며 내부의 개폐가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청소를 간단히 할수 있고 파쇄체와 회전체의 간격을 조절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콩이 분쇄되도록 하는 콩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두부를 생산하는 공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콩 분쇄기를 회전체를 지지하는 받침판이 통상의 맷돌과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리하기가 어려우며 이로 인하여 사용후 내부를 청소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고 분쇄기의 받침대 후방으로 분쇄된 콩과 물이 들어가 누적되고 부폐되어 매우 비위생적이었으며, 풀리와 모터를 V-밸트로 걸어 동력을 전달시키는 방식을 채택하므로해서 분쇄기의 설치 공간이 넓어지고 이로 인하여 설치비용이 고가로 소모되며 동력 전달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어 재해의 원인이 됨은 물론 일정 기간이 지나면 콩이 제대로 파쇄되지 못하고 쪼가리가 그대로 토출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터와 회전체를 직접 연결시켜 설치면적을 축소시키며 내부의 개폐가 용이해 사용후 간단히 청소할수 있고 또 콩의 파쇄 간격을 조절시킬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콩 분쇄가 이루어지며 항상 청결한 상태에서 콩 분쇄가 제공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모터 일측으로 연삭 숫돌을 고정시킨후 뚜껑체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과 파쇄체와 회전체의 간격을 조절시키는 간격 조절 수단으로 구성시키되 상기 개폐수단은 지지판의 지지대 사이에 지지구를 끼워 상,하측에서 나사로 고정시키고 뚜껑체의 걸림부 일측에 걸림판을 형성시켜 고정나사로 지지구와 결합시키며, 간격 조절 수단은 지지대의 사이에 지지구를 끼어 상,하측에서 장공을 통하여 나사로 고정시키고 고정대 내측에 스프링을 끼워 조절나사를 지지구에 연결시키며,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양측으로 지지대가 형성된 지지판을 끼운후 가이드대와 파쇄부가 형성된 회전체와 분산구 및 호상돌기가 형성된 주입구를 차례로 설치하여 파쇄체가 결합된 뚜껑체와 지지판을 고정나사와 조절 나사에 의해 연결 고정시킨 것이다.
뚜껑체의 개폐수단과 콩 분쇄 간격을 조절시키는 조절 수단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뚜껑체(5)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30)과 파쇄체(4)와 회전체(3)의 간격을 조절시키는 간격 조절수단(31)으로 구성시키되 모터(M)의 일측으로 통상의 연삭 숫돌(16)을 모터축(15)에 축 고정시키고 지지판(1)을 고정시키는 결합공(17)이 형성된 받침대(33)에 상기 모터(M)를 나사식 고정시킨후 양측으로 지지대(6)(6')가 돌출성형된 지지판(1)의 삽입공(1a)을 모터축(15)에 끼워 관통공(1b)을 통하여 나사(20)로 받침대(33)의 결합공(17)에 의해 고정시키며 전면에 일정하게 울퉁불퉁한 파쇄부(22)를 갖는 회전체(3)의 통공(3a)을 가이드대(2)의 돌출(2a)에 끼워 결합시킴과 동시에 회전체(3)의 외주면이 가이드대(2)의 내면에 밀착되며 핀(18)에 의해 모터축(15)과 일체로 끼워지도록 한다.
또한 회전체(3)의 통공(3a) 일측으로 파쇄되는 콩을 외측으로 분산시키는 분산구(10)와 공급되는 콩과 물을 파쇄부(22)로 보내는 호상돌기(11a)가 형성된 주입구(11)를 연달아 설치하여 모터축(15)에 나사식 고정시켜 회전체(3)와 함께 회전되도록 하며 상측에 호퍼(24)가 하측에 출구(25)가 형성되고 양측으로 지지대(6)(6')와 대향되게 고정대(8)와 걸림부(14)를 형성시킨 뚜껑체(5)의 내측으로 파쇄체(4)를 끼워 나사(4)로 나사식 고정시킨후 상기 뚜껑체(5)의 삽입공(28)과 지지판(1)의 일측을 결합시키며 고정대(8)와 지지대(6)의 결합은 제 6 도에서와 같이 고정대(8) 내측에 스프링(27)과 지지구(7)를 끼워 장공(26)의 상,하측에서 나사(29)로 지지대(6)의 통공(19)을 통하여 나사식 고정시키고 고정대(8)의 구멍(8a)으로 조절나사(9)를 지지구(7)에 나사식 결합시켜 파쇄체(4)와 회전체(3)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시키며 제 5 도 및 제 7 도에서와 같이 지지대(6')의 사이에 지지구(7')를 삽입시켜 상,하측으로 통공(19')을 통하여 나사(29')로 나사식 결합시키고 뚜껑체(5)의 걸림부(14) 일측에 걸림판(12)을 대고 고정나사(13)로써 지지구(7')에 나사식 결합시켜 뚜껑체(5)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구성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고안은 지면으로부터 콩 분쇄기(1)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키는 받침부(34)상에 받침대(33)를 나사식 고정시킨후 출구(25) 하측에 분쇄되어 나오는 액체 상을 받기 위한 통을 놓고 모터(M)에 전원을 공급시키면 모터축(15)에 직접 연결된 가이드대(2)와 회전체(3), 분산구(10) 및 주입구(11)가 회전된다.
이때 콩과 물을 일정한 비율로 섞어 호퍼(24)에 공급시키면 공급된 콩과 물은 호퍼(24)를 통하여 하측으로 유입되며 주입구(11)의 호상돌기(11a)를 따라 원심턱에 의해 파쇄체(4)와 회전체(3) 사이인 파쇄부(22)로 공급되면 상기 파쇄부(22)는 고정된 상태이고 회전체(3)는 모터(M)에 의해 연속 회전되며 파쇄부(22)에 의해 콩을 분말 상태로 분쇄되고 공급된 물과 함께 분산구(10)의 회전력에 의해 외측으로 분산되어 파쇄체(4)와 회전체(3) 사이에 빠져나와 하측의 출구(25)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즉, 공급되는 콩과 물은 주입구(11)의 호상돌기(11a)에 의해 파쇄부(22)로 공급되면 회전체(3)의 회전력으로 분쇄되어 분산구(10)에 의해 분쇄되는 콩과물은 외측으로 밀리고 밀리는 콩과 물은 액체상태로 혼합되어 더욱 잘게 분쇄된 콩만이 파쇄체(4)와 회전체(3)의 간격을 통하여 출구(25)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연속해서 콩을 분쇄시키는 도중 파쇄체(4)와 회전체(3)의 마찰에 의해 마찰 부분이 달아 간격이 넓어지거나 콩을 더욱 미세하게 혹은 분말을 크게 파쇄시키기 위해서는 고정대(8)의 조절나사(9)에 의해 간격을 자유로이 조절시킬수 있는 것으로 제 6 도에서와 같이 조절나사(9)를 조이면 조절나사(9)가 결합된 지지구(7)에서 스프링(27)에 지지되면서 지지판(1)쪽으로 이동되며 파쇄체(4)와 회전체(3)의 간격을 좁히게 되고 반대로 회전시키며 조절나사(9)가 풀리면서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이때 고정대(8)의 장공(26)에서 지지대(6)를 통해 지지구(7)를 결합시킨 나사(29)가 이동되며 스프링(27)에 의해 지지대(6)와 고정대(8)의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조절나사(9)에 의해 파쇄체(4)와 회전체(3)의 간격을 조절시킨후 반대쪽의 고정나사(9)를 조절시켜 조절나사(9)에 의한 이동 거리를 유지시켜 파쇄체(4)와 회전체(3)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조절나사(9)에 의해 파쇄체(4)와 회전체(3)의 간격을 조절시킨후 고정나사(13)를 이용하여 조절나사(9)에 의해 이동된 회전체(3)의 거리는 보정시키는 것이다.
또한 콩 분쇄기(21)의 내부를 청소하고자 할때에는 제 4 도와 제 5 도 및 제 7 도에서와 같이 고정나사(13)를 풀면 지지구(7')내에서 풀리게되며 걸림부(14)와 걸림판(12)이 이격되고 고정나사(13)를 좀더 풀어 외측으로 이동시키면 고정나사(13)와 걸림판(12)은 걸림부(14)와 분리되면서 지지대(6')의 나사(29')를 측으로 지지구(7')와 함께 일정량 회전시킨후 뚜껑체(5)를 회전시키면 지지대(6)의 나사(29)를 축으로 제 4 도에서와 같이 회전되며 내부가 간단히 개방되므로 모터축(15)으로 부터 주입구(11)와 분산구(10) 및 회전체(3)를 분리시키고 뚜껑체(5)로 부터 파쇄체(4)를 분리시켜 내부를 간단하게 청소할수 있으므로 콩 분쇄기(21)의 내,외부가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모터(M)의 일측에 형성된 연삭숫돌(16)은 농가나 가정에서 농기구나 칼등을 갈아 사용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주입구의 호상돌기에 의해 공급되는 콩과 물을 용이하게 공급하며 고정대의 조절나사에 의해 파쇄체와 회전체의 간격을 조절시켜 사용자의 임의대로 분쇄되는 콩의 분말정도를 조절시키고 고정나사에 의해 상기 조절나사의 이동 간격을 보정시킴은 물론 고정나사를 풀어 걸림부와 분리시킨후 뚜껑체를 회전시키므로써 내부의 개폐가 용이하며 간단히 청소할수 있어 항상 청결한 상태에서 위생적으로 가공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의 동력 전달을 직접 전달하므로써 설치 공간을 최소화 하며 제작이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해 싼가격으로 공급할수 있는 등의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1. 모터(M) 일측으로 연삭숫돌(16)을 고정시키고 상기 모터(M)의 모터축(15)에 양측으로 지지대(6)(6')가 형성된 지지판(1)을 끼운후 가이드대(2)와 파쇄부(22)가 형성된 회전체(3)와 분산구(10) 및 호상돌기(11a)가 형성된 주입구(11)를 차례로 설치하며 파쇄체(4)가 결합된 뚜껑체(5)와 지지판(1)을 고정나사(13)와 조절나사(9)에 의해 연결시키도록 구성하며, 뚜껑체(5)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과 파쇄체(4)와 회전체(3)의 간격을 조절시키는 간격 조절수단으로 구성시키되 개폐수단은 지지판(1)의 지지대(6') 사이에 지지구(7')를 끼워 상,하측에서 나사(29')로 고정시키고 뚜껑체(5)의 걸림부(14) 일측에 걸림판(12)을 형성시켜 고정나사(13)로 지지구(7')와 결합시키며, 간격조절 수단은 지지대(6)의 사이에 지지구(7)를 끼워 상,하측에서 장공(26)을 통하여 나사(29)로 고정시키고 고정대(8) 내측에 스프링(27)을 끼워 조절나사(9)를 지지구(7)에 연결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분쇄기.
KR2019880002780U 1988-02-29 1988-02-29 콩 분쇄기 KR9000081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2780U KR900008171Y1 (ko) 1988-02-29 1988-02-29 콩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2780U KR900008171Y1 (ko) 1988-02-29 1988-02-29 콩 분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288U KR890017288U (ko) 1989-09-06
KR900008171Y1 true KR900008171Y1 (ko) 1990-09-03

Family

ID=19272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2780U KR900008171Y1 (ko) 1988-02-29 1988-02-29 콩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1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288U (ko) 198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4394B1 (ko) 콩 분쇄 장치
US46340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inding kernels of grain, coffee beans, and the like in a food processor
US4967649A (en) Coffee grinder
KR20080090220A (ko) 전기 믹서기의 볼타입 배출장치
KR20100062386A (ko) 원두커피 자동분쇄기
KR900008171Y1 (ko) 콩 분쇄기
US8453955B2 (en) Mixing machine having improved pulverizing efficiency
US4109873A (en) Grinding mill
US3977612A (en) Grinding apparatuses
KR101598304B1 (ko) 강판 믹서기
CN112153926B (zh) 臼体及研磨装置
KR101463875B1 (ko) 두부용 두유 제조기
JP3929798B2 (ja) 調理器
JP3039887B2 (ja) 電気コーヒー沸かし器
KR200440136Y1 (ko) 가정용 음식물 분쇄기의 마쇄판 조립장치
JPH0415147Y2 (ko)
KR900009830Y1 (ko) 맷돌 분쇄기
KR200368614Y1 (ko) 곡물 분쇄기
KR101861481B1 (ko) 분쇄기
KR940004230B1 (ko) 고추 분쇄기
KR880001353Y1 (ko) 만능 분쇄기
KR200159726Y1 (ko) 콩 분쇄기
KR890001737Y1 (ko) 두부 제조용 콩 분쇄기
KR900001643Y1 (ko) 가정용 분쇄기
KR200148223Y1 (ko) 분쇄커피 제조기의 분쇄날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