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213B1 - 낚싯대 부속품용 부속품 고정구 및 부속품 고정 방법 - Google Patents

낚싯대 부속품용 부속품 고정구 및 부속품 고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213B1
KR102434213B1 KR1020210094540A KR20210094540A KR102434213B1 KR 102434213 B1 KR102434213 B1 KR 102434213B1 KR 1020210094540 A KR1020210094540 A KR 1020210094540A KR 20210094540 A KR20210094540 A KR 20210094540A KR 102434213 B1 KR102434213 B1 KR 102434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yarn
lapping
wound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토 오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JP2021157706A priority Critical patent/JP7248336B2/ja
Priority to US17/647,485 priority patent/US20220272957A1/en
Priority to CN202210041291.3A priority patent/CN11494678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7Fishing rods with built-in accessories, e.g. lighting means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부착발을 갖는 낚싯대 부속품을 간체에 고정하는 부속품 고정구 및 부속품 고정 방법이 제공된다. 부속품 고정구는, 부착발 및 간체를 감싸도록 구성된 랩핑부를 포함한다. 랩핑부는, 부착발이 간체의 외주면에 놓인 상태에서 부착발의 외면 및 간체의 외주면에 다수의 감김 횟수로 감겨 있는 편연사로 이루어진다. 편연사는, 두께보다 큰 폭을 갖는 단면 형상을 갖도록 장력에 의해 신장된 상태에서 감겨 있다. 편연사는, 편연사의 한 바퀴 감김부와 편연사의 또 하나의 한 바퀴 감김부가 서로에 대해 각도를 형성하도록 감겨 있다. 랩핑부는, 장력에 의해 신장되어 있는 편연사의 인접한 두 개의 한 바퀴 감김부가 간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있는 겹침부와, 장력에 의해 신장되어 있는 인접한 두 개의 한 바퀴 감김부의 외면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되는 편평 외면부를 갖는다.

Description

낚싯대 부속품용 부속품 고정구 및 부속품 고정 방법{ATTACHMENT PART FIXING TOOL FOR FISHING ROD ATTACHMENT PART, AND METHOD OF FIXING ATTACHMENT PART}
본 개시는, 낚싯대 부속품을 고정하기 위한 부속품 고정구 및 부속품 고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낚싯대는 가늘고 긴 간체를 구비한다. 낚싯줄 가이드, 릴 시트와 같은 낚싯대 부속품이 간체에 고정된다.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줄을 간체를 따라 안내하는 부속품이다. 릴 시트는 낚싯줄이 감기는 릴을 간체에 장착하기 위한 부속품이다.
낚싯대 부속품은, 간체에의 고정을 위해 간체에 접촉되는 부착발을 갖는다. 일 예로, 낚싯대 부속품은, 부착발이 간체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권사(卷絲)를 부착발 및 간체에 감고 고정시킴으로써, 간체에 고정된다. 낚싯대 부속품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합성 수지 재료(접착제)가 감긴 권사의 외면에 도포되고, 감긴 권사의 외면이 피복된다.
낚싯대의 팁의 방향으로 소정 크기 이상의 부하가 작용하면, 낚싯줄 가이드는 권사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간체로부터 빠져버릴 수 있다. 그러므로, 부속품 고정 기술은, 부하에 대한 낚싯줄 가이드의 고정 강도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이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부하에 충분히 견딜수 있는 고정 강도를 나타내는 부속품 고정 기술에 대해, 다양한 제안이 행해져 왔다. 낚싯줄 가이드의 고정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안으로서, 권사 감기 방법의 변경, 합성 수지 재료의 변경이 고려될 수 있다.
일 예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189009호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20-162471호는, 낚싯줄 가이드를 낚싯대의 간체에 고정하기 위해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발과 간체에 권사를 감는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문헌이 개시하는 권사 감기 기술은, 권사의 교체를 필요로 하며, 다수의 공정에 의해 실행되어야만 한다. 또한, 전술한 특허문헌이 개시하는 권사 감기 기술은, 권사의 감긴 부분이 양호한 외관을 갖도록 권사를 감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이에 따라, 권사의 감긴 부분의 사이에 틈이 없도록, 또한 권사의 감긴 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권사가 연속적으로 감겨야만 한다. 즉, 권사의 각각의 감긴 부분들이 간체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정렬되도록, 권사를 연속적으로 감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작업자는 섬세한 조작으로 권사를 감아야만 하므로, 종래기술의 권사 감기 기술은 작업자에게 고도의 숙련도를 요구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낚싯줄 가이드를 낚싯대의 간체에 고정하는 종래기술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라 낚싯줄 가이드를 간체에 고정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낚싯줄 가이드가 낚싯대의 간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낚싯줄 가이드(120)는, 권사(130)를 낚싯줄 가이드(120)의 부착발(121) 및 간체(110)에 감음으로써, 간체(110)에 고정된다. 권사(130)는, 인접한 감긴 부분의 사이에 간극이 없도록 조밀하게 감아진 상태에서, 부착발(121)과 간체(110)를 감싼다. 권사(130)가 부착발(121)과 간체(110)를 감싸도록 고정된 후, 감아진 권사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경화된다. 경화된 접착제는 감아진 권사(130)를 덮는 피복(140)을 형성한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권사의 감긴 부분이 간극이나 돌출부를 갖지 않고 양호한 외관을 나타내도록, 권사의 각각의 감긴 부분들이 간체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정렬되면서 권사(130)가 부착발과 간체에 감겨야만 한다. 즉, 권사(130)는 나란한 배열의 규칙적인 감긴 형태로 감겨야만 한다. 권사의 규칙적인 감긴 형태를 달성하기 위해, 낚싯줄 가이드를 간체에 고정하는 종래기술은, 제연사(諸撚絲)를 권사로써 사용한다.
도 2는 낚싯줄 가이드를 낚싯대의 간체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기술의 제연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3은 도 2에 예시하는 종래기술의 제연사가 부착발에 감겨 있는 상태를 예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연사는, 복수의 단사(單絲)(131)를 한쪽의 방향(TD1)으로 꼬음으로써 복수의 꼬인 실(132)을 만들고, 이러한 복수의 꼬인 실(132)들을 원래의 실이 꼬인 방향(TD1)과는 반대의 방향(TD2)으로 꼬음으로써 형성되는 실을 의미한다. 제연사가, 복수의 단사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꼬임 방향을 가지므로, 제연사는 신장되기 어려울뿐만 아니라, 강성으로 인해 무너지지 않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연사의 권사(130)가 부착발(121) 및 간체에 감기면, 제연사의 권사(130)의 단면 형상은 무너지지 않으며, 제연사의 권사(130)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부착발(121) 및 간체에 감긴다. 이에 따라, 제연사의 권사(130)는 나란한 배열의 규칙적인 감긴 형태로 감길 수 있다. 이러한 제연사의 권사(130)의 특성으로 인해, 낚싯줄 가이드를 간체에 고정하는 종래기술은 제연사의 권사를 사용한다.
도 4a 내지 도 4i는 제연사의 권사를 사용하여 낚싯줄 가이드를 간체에 고정하는 종래기술에서의 공정을 순서대로 예시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낚싯줄 가이드(120)의 부착발(121)을 간체(110)의 외주면에 접촉시키고, 부착발(121)과 간체(110)를 테이프(11)로 감는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권사(130)가 간체(110)의 외주면에 부착발(121)의 선단의 전방에서 소정의 감김 길이(WL)만큼 감겨지며, 권사(130)의 처음 부분은, 감김 길이(WL)로 감긴 권사(130)에 의해 고정된다. 권사(130)의 처음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권사(130)는 부착발(121)의 선단의 전방에서 감김 길이(WL)만큼 간체(110)의 외주면에 직접 감기지 않으면 안된다. 다음으로,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소정의 감김 길이만큼 감긴 권사로부터 돌출하는, 권사의 처음 부분의 일부가 날붙이(12)에 의해 절단된다. 다음으로, 도 4d를 참조하면, 권사(130)가 테이프(11)의 위치까지 부착발 및 간체(110)에 감긴 후에, 테이프(11)가 제거된다. 다음으로, 도 4e를 참조하면, 권사(130)가 부착발(121)의 중간까지 감긴 상태에서, 실고리(13)가 최외측에 위치하는 권사의 일부와 아직 감기지 않은 권사의 일부와의 사이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4f를 참조하면, 권사(130)가 부착발(121)의 기단의 위치까지 실고리(13)를 덮으면서 감긴다. 다음으로, 도 4g를 참조하면, 권사(130)의 일부를 실고리(13)에 통과시킨다. 다음으로, 도 4h를 참조하면, 실고리(13)를 잡아당겨서, 권사(130)의 일부가, 감긴 권사로부터 빼내진다. 다음으로, 도 4i를 참조하면, 감긴 권사(130)로부터 돌출하는 권사의 일부가 날붙이(12)에 의해 절단된다.
도 4a 내지 도 4i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사(130)의 감긴 부분에 간극과 돌출부가 없도록, 권사(130)는 나란한 배열의 규칙적인 감긴 형태로 부착발과 간체에 감긴다. 권사(130)의 감긴 부분과 이에 형성되는 피복이 양호한 외관을 나타내도록 제연사의 권사(130)를 감기 위해서는, 권사(130)가 규칙적인 감긴 형태로 감아지고 감긴 권사(130)의 외면이 편평하게 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권사의 감긴 부분에 간극과 돌출부를 만들지 않고 권사의 감긴 부분이 편평한 외면을 갖도록 권사를 감아야만 하며, 작업자는 권사 감기 기술에 고도의 숙련도를 가져야만 한다. 작업자가 권사를 감는 동작에서 실수하면, 권사의 감긴 부분에 불규칙한 간극 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권사의 감긴 부분의 외면은 편평한 외면으로 되지 않는다. 작업자가 권사를 규칙적인 감긴 형태로 감기 위한 기술에 고도의 숙련도를 갖지 않는다면, 권사의 감긴 부분에 많은 간극이나 돌출부가 발생하며, 그에 따라 낚싯줄 가이드를 고정하는 공정에서 외관 불량이 많이 발생한다. 외관 불량이 발생한 권사의 감긴 부분에는, 양호한 외관을 나타내는 피복이 형성될 수 없다.
도 5는 낚싯줄 가이드를 간체의 외주면에 고정하기 위해 제연사를 부착발의 선단 부근에서 감는 종래기술의 예를 도시한다. 간체(110)를 회전시켜서 제연사의 권사(130)를 부착발(121) 및 간체(110)에 감을 때, 감긴 권사(130)에 간극과 돌출부를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 권사(130)를 상기한 규칙적인 감긴 형태로 감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부착발(121)의 선단(122)과 간체(11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부착발(121)의 선단(122)은 예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부착발의 선단부는 매끄러운 경사면(123)을 가져야만 한다. 또한, 감기는 권사(130)의 진행 방향은, 권사가 경사면(123)을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도록, 경사면(123)을 오르는 방향(도 5에서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되어야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또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낚싯줄 가이드를 간체에 고정하는 종래기술은, 다수의 공정으로 인해 낮은 생산성을 나타내며, 작업자의 고도의 숙련도 없이는 권사의 감긴 부분에 외관 불량을 쉽게 발생시킨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18900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20-162471호
개시된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해결한, 낚싯대 부속품용 부속품 고정구 및 부속품 고정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에게 권사 감기 기술에서의 고도의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는 부속품 고정구 및 부속품 고정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가 고도의 숙련도로 권사를 감지 않아도, 감긴 권사가 느슨해지지 않고 부속품의 고정력이 안정되는, 부속품 고정구 및 부속품 고정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가 고도의 숙련도로 권사를 감지 않아도, 감긴 권사에 불규칙한 간극이 형성되지 않고 감긴 권사의 외면이 편평하고 양호한 외관을 갖는, 부속품 고정구 및 부속품 고정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낚싯대 부속품과 간체와의 사이에서 합성 수지 재료의 침윤도를 높일 수 있고 낚싯대 부속품의 고정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부속품 고정구 및 부속품 고정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도의 숙련도가 요구되는 부착발의 선단에서의 권사 감기 기술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부속품 고정구 및 부속품 고정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감소된 공정수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속품 고정구 및 부속품 고정 방법이 제공된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일 측면은, 부착발을 갖는 낚싯대 부속품을 간체에 고정하는 부속품 고정구에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는, 부착발 및 간체를 감싸도록 구성된 랩핑부를 포함한다. 랩핑부는, 부착발이 간체의 외주면에 놓인 상태에서 부착발의 외면 및 간체의 외주면에 다수의 감김 횟수로 감겨 있는 편연사로 이루어진다. 편연사는, 두께보다 큰 폭을 갖는 단면 형상을 갖도록 장력에 의해 신장된 상태에서 감겨 있다. 편연사는, 편연사의 한 바퀴 감김부와 편연사의 또 하나의 한 바퀴 감김부가 서로에 대해 각도를 형성하도록 감겨 있다. 랩핑부는, 장력에 의해 신장되어 있는 편연사의 인접한 두 개의 한 바퀴 감김부가 간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있는 겹침부와, 장력에 의해 신장되어 있는 인접한 두 개의 한 바퀴 감김부의 외면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되는 편평 외면부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편연사의 한 바퀴 감김부는, 장력에 의해 신장된 상태에서 부착발의 외면 및 간체의 외주면에 면접촉으로 접촉되는 편평 접촉면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랩핑부는, 한 올의 편연사로 연속하여 이루어지는 내측 랩핑부 및 외측 랩핑부를 포함한다. 내측 랩핑부는, 부착발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간체의 외주면에 복수의 감김 횟수로 감기고 고정되는 편연사로 이루어진다. 내측 랩핑부는 부착발의 내면과 간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 외측 랩핑부는, 내측 랩핑부, 부착발의 외면 및 간체의 외주면에 다수의 감김 횟수로 감기는 편연사로 이루어지고, 내측 랩핑부를 덮고 가린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랩핑부에서의 편연사는, 인접한 두 개의 한 바퀴 감김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간체의 외주면에 감겨 있다. 편연사의 절단된 선단부는 내측 랩핑부에 고정되고, 편연사의 절단된 말단부는 외측 랩핑부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측 랩핑부는 부착발의 선단으로부터 간체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하는 방향으로 0mm 초과 2mm 이하의 길이를 갖는 선단부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랩핑부는, 부착발의 선단에 형성되는 수직면과 간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편연사가 복수의 층으로 감겨지고 적층되어 있는 선단부를 갖는다.
일 실시예의 부속품 고정구는, 랩핑부의 편평 외면부를 덮도록 피복되어 있고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피복부를 더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또 하나의 측면은, 부착발을 갖는 낚싯대 부속품을 간체에 고정하는 부속품 고정 방법에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 방법은, 부착발 및 간체를 감싸도록 구성된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랩핑부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랩핑부는, 부착발이 간체의 외주면에 놓인 상태에서 부착발의 외면 및 간체의 외주면에 편연사를 다수의 감김 횟수로, 편연사의 단면 형상이 두께보다 큰 폭을 갖도록 장력에 의해 편연사를 신장시키면서 감음으로써 형성된다.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편연사의 한 바퀴 감김부와 편연사의 또 하나의 한 바퀴 감김부가 서로에 대해 각도를 형성하고, 장력에 의해 신장되어 있는 편연사의 인접한 두 개의 한 바퀴 감김부가 간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 있는 겹침부가 형성되고, 장력에 의해 신장되어 있는 인접한 두 개의 한 바퀴 감김부의 편평 외면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되는 편평 외면부가 형성되도록, 실행된다. 랩핑부는, 편연사를 랩핑부에 고정함으로써 완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편연사가 장력에 의해 신장된 상태에서 편연사의 한 바퀴 감김부가 편평 접촉면을 통해 부착발의 외면 및 간체의 외주면에 면접촉으로 접촉되도록, 실행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부착발의 선단을 향하는 제1 진행 방향과 부착발의 기단을 향하는 제2 진행 방향 중 어느 진행 방향으로도 편연사가 부착발의 외면 및 간체의 외주면에 감기도록, 실행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내측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부착발을 간체의 외주면에 가고정하는 단계와, 외측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내측 랩핑부는, 부착발의 내면과 간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편연사를 간체의 외주면에 복수의 감김 횟수로 부착발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감음으로써, 형성된다. 부착발은, 내측 랩핑부로부터 이어지는 편연사를 부착발의 외면에 감음으로써 가고정된다. 외측 랩핑부는, 내측 랩핑부, 부착발의 외면 및 간체의 외주면을 덮는다. 외측 랩핑부는, 내측 랩핑부, 부착발의 외면 및 간체의 외주면에 내측 랩핑부로부터 이어지는 편연사를 다수의 감김 횟수로 감음으로써, 형성된다. 내측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 부착발을 가고정하는 단계 및 외측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한 올의 편연사를 사용하여 실행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편연사의 절단된 선단부가 내측 랩핑부에 고정되도록 또한 편연사의 인접한 두 개의 한 바퀴 감김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실행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측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부착발의 선단으로부터 간체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하는 방향으로 0mm 초과 2mm 이하의 길이를 갖는 선단부가 형성되도록 실행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부착발의 선단에 형성되는 수직면과 간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편연사를 복수의 층으로 감고 적층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선단부가 형성되도록 실행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랩핑부를 완성하는 단계는, 편연사를 랩핑부에 매듭으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편연사가 감긴 스풀을 가지며 편연사를 방출하도록 구성된 보조구를 사용하여 실행된다.
일 실시예의 부속품 고정 방법은, 랩핑부의 편평 외면부를 합성 수지 재료로 피복함으로써 편평 외면부를 덮는 피복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 및 부속품 고정 방법에 의하면, 장력에 의해 신장되는 상태에서 부착발 및 간체에 감기는 편연사로 랩핑부가 이루어진다. 장력에 의해 신장되는 편연사는, 찌부러지고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부착발의 외면 및 간체의 외주면에 감겨 있다. 편연사는, 편연사의 겹침 또는 교차 형태가 랩핑부에 형성되고 랩핑부가 간극이 없는 편평 외면부를 갖도록, 불규칙적인 감긴 형태로 감길 수 있다. 그러므로, 랩핑부는, 편연사의 겹침 또는 교차 형태를 가지면서 편평하고 양호한 외관을 나타낼 수 있다.
겹침 또는 교차의 불규칙적인 감긴 형태로 감긴 편연사로 이루어지는 랩핑부는, 부착발을 더욱 향상된 고정력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편연사의 용이한 감기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장력에 의해 신장되는 편연사를 사용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 및 부속품 고정 방법은, 제연사를 규칙적인 감긴 형태로 감기 위해 필요한 고도한 숙련도를 작업자에게 요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부착발을 감는 권사의 겹침을 우려함이 없이, 편연사의 감기 작업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장력에 의해 신장되는 편연사를 사용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 및 부속품 고정 방법은, 낚싯대 부속품의 고정력을 안정시키고 향상시키면서 감긴 편연사에 느슨함을 발생시키지 않는 랩핑부를 실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와 부속품 고정 방법은, 낚싯대 부속품과 간체와의 사이에서 합성 수지 재료의 침윤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도의 숙련도를 필요로 하는 부착발의 선단 부근에서의 감기 기술을 배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와 부속품 고정 방법은, 편연사를 감고 고정하기 위한 공정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낚싯줄 가이드가 낚싯대의 간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낚싯줄 가이드를 낚싯대의 간체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기술의 제연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예시하는 종래기술의 제연사가 부착발에 감겨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제연사에 의해 낚싯줄 가이드를 간체에 고정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공정의 일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하는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c는 도 4b에 도시하는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d는 도 4c에 도시하는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e는 도 4d에 도시하는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f는 도 4e에 도시하는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g는 도 4f에 도시하는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h는 도 4g에 도시하는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i는 도 4h에 도시하는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낚싯줄 가이드를 간체의 외주면에 고정하기 위해 제연사를 부착발의 선단 부근에서 감는 종래기술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낚싯줄 가이드가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에 의해 낚싯대의 간체에 고정되어 있는 일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 및 부속품 고정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낚싯줄 가이드가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에 의해 낚싯대의 간체에 고정되어 있는 또 하나의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 및 부속품 고정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의 랩핑부와 랩핑부의 일부 단면 형상을 도시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가 사용하는 편연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에서 편연사가 부착발의 외면에 감겨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6에 도시하는 랩핑부에 피복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8에 도시하는 랩핑부에 피복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의 랩핑부를 편연사로 형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의 랩핑부를 부착발의 선단 부근에서 형성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의 랩핑부가 수직한 선단을 갖는 부착발에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하는 부속품 고정구와 그 단면 형상을 도시한다.
도 2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 방법에 의해 낚싯줄 가이드를 간체에 고정하는 공정의 일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0b는 도 20a에 도시하는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0c는 도 20b에 도시하는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0d는 도 20c에 도시하는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0e는 도 20d에 도시하는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 방법에 의해 낚싯줄 가이드를 간체에 고정하는 공정의 또 하나의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1b는 도 21a에 도시하는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1c는 도 21b에 도시하는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1d는 도 21c에 도시하는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1e는 도 21d에 도시하는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2a는 외측 랩핑부를 완성하는 공정의 일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2b는 도 22a에 도시하는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2c는 도 22b에 도시하는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3a는 외측 랩핑부를 완성하는 공정의 또 하나의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3b는 도 23a에 도시하는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3c는 도 23b에 도시하는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3d는 도 23c에 도시하는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4는 내측 랩핑부를 형성하는 공정의 또 하나의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 방법에 의해 낚싯줄 가이드를 낚싯대의 간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편연사를 감는 작업을 예시한다.
도 26은 보조구를 사용하는 부속품 고정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하는 보조구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6에 도시하는 보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재되는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치수와 수치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이러한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값 및 이것을 포함하는 동등한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전방 방향은 낚싯대의 선단(tip)을 향하는 방향(도 6에서 부호 FD로 지시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 방향은 낚싯대의 후단(butt)을 향하는 방향(도 6에서 부호 RD로 지시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낚싯대의 길이 방향(도 6에서 부호 LD로 지시하는 방향)은, 전방 방향과 후방 방향을 포함한다. 상방 방향과 하방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배향을 기준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낚싯대 부속품을 낚싯대의 간체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부속품 고정구와, 낚싯대 부속품을 낚싯대의 간체에 고정하는 부속품 고정 방법에 관련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와 부속품 고정 방법은, 적어도 한 올의 편연사(片撚絲)에 의해 낚싯대 부속품을 낚싯대의 간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에 관해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한다. 도 6과 도 7은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에 의해 낚싯줄 가이드가 낚싯대의 간체에 고정되는 일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과 도 9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에 의해 낚싯줄 가이드가 낚싯대의 간체에 고정되어 있는 또 하나의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의 랩핑부와 랩핑부의 일부 단면 형상을 도시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가 사용하는 편연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에서 편연사가 부착발의 외면에 감겨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과 도 14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의 랩핑부에 피복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낚싯대(1000)는, 낚싯대의 가늘고 긴 형상을 유지하며 탄력적으로 휠 수 있는 구조물인 간체(竿體)(1110)를 포함한다. 간체(1110)는 가늘고 긴 관 형상의 부재일 수 있거나, 또는 가늘고 길지만 속이 비지 않은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낚싯대(1000)는 복수의 간체(1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간체는 이음식(joined type), 진출식(telescopic type)과 같은 연결 방식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낚싯대의 메인 바디를 구성할 수 있다.
낚싯대(1000)는 간체(1110)에 고정되는 낚싯대 부속품을 포함한다. 상기 낚싯대 부속품은, 릴을 부착하기 위한 릴 시트(미도시), 낚싯줄을 안내하기 위한 낚싯줄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 시트는 낚싯대의 버트 측에 위치하는 간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릴 시트에는 낚싯줄(미도시)을 방출하거나 감기 위한 릴(미도시)이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대의 버트 측에 위치하는 간체, 낚싯대의 팁 측에 위치하는 간체,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간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줄의 끝에 연결되는 낚시구를 캐스팅할 때에 릴로부터 방출되거나, 또는 물고기를 낚아올릴 때에 릴에 감기는 낚싯줄을 안내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낚싯대 부속품은 간체(1110)의 외주면에 상기 편연사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낚싯대 부속품이 간체(1110)의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낚싯대 부속품은 간체(1110)의 외주면에 놓이는 부착발을 갖는다.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낚싯대 부속품의 예로서, 낚싯줄 가이드(1200)가 간체(111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착발을 갖는 릴 시트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간체(11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6과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가이드(1200)는, 낚싯줄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가이드 링(1210)과, 가이드 링(1210)을 지지하고 간체(1110)에 부착되는 프레임(1220)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 링(1210)은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1220)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프레임(1220)은, 가이드 링(1210)을 유지하는 링 유지부(1221)와, 링 유지부(1221)로부터 연장하며 링 유지부(1221)에 대해 절곡되어 있는 부착발(1230)을 갖는다. 도 6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1200)는 하나의 부착발(1230)을 갖는다. 도 8에 도시하는 낚시줄 가이드의 프레임(1220)은, 링 유지부(1221)와, 링 유지부(1221)로부터 연장하는 지지다리(1222, 1223)와, 각 지지다리(1222, 1223)로부터 연장하고 지지다리에 대해 절곡되어 있는 부착발(1230)을 갖는다. 도 8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1200)는 두개의 부착발(1230)을 갖는다. 즉, 하나의 전방 지지다리(1222)와 한 쌍의 후방 지지다리(1223)가 프레임(1220)에 마련되어 있고, 전방 지지다리(1222)와 후방 지지다리(1223)에 각각 부착발(1230)이 마련되어 있다. 도 6과 도 8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는, 그 부착발이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2000)에 의해 간체(111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상태로, 간체(1110)에 고정된다.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발(1230)은 프레임(12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간체(1110)의 외주면에 놓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발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 형상을 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발(1230)은 외면(1231)과 내면(1232)을 갖는다. 외면(1231)은, 부착발이 간체의 외주면(1111)에 놓인 상태에서, 부착발의 외측 표면(즉, 간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반경방향으로 위치하는 부착발의 표면)이다. 내면(1232)은 간체의 외주면(1111)을 향하는 부착발의 표면이다. 외면(1231)과 내면(1232)은 편평한 표면 또는 만곡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착발(1230)은 기단(1233)과 선단(1234)을 갖는다. 기단(1233)은, 도 6에 도시하는 프레임(1220)에 또는 도 8에 도시하는 프레임의 지지다리(1222, 1223)에 연결된다. 선단(1234)은 간체의 길이 방향(LD)으로 기단(1233)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2000)는, 낚싯줄 가이드(즉, 낚싯대 부속품)의 부착발(1230)을 간체(1110)에 편연사에 의해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속품 고정구(2000)는, 낚싯대 부속품을 간체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고정물(fixing object), 고정 구조(fixing structure) 또는 고정 장치(fixing device)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부속품 고정구(2000)는, 편연사(2120)로 이루어지는 랩핑부(wrapping portion)(2100)를 포함하며, 랩핑부(2100)는 부착발(1230) 및 간체(1110)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있다. 랩핑부(2100)는, 편연사를 부착발의 외면(1231) 및 간체의 외주면(1111)에 간체의 길이 방향(LD)을 따라 간체의 둘레 방향(CD)으로 다수의 감김 횟수로 감음으로써 형성된다. 이하, 편연사(2120)가 하나의 감김 횟수로 감아진 부분을, 편연사의 한 바퀴 감김부라고 한다. 따라서, 랩핑부(2100)는, 편연사의 각각의 한 바퀴 감김부가 간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편연사의 감긴 물체이다. 낚싯줄 가이드(1200)는, 부착발(1230) 및 간체(1110)를 함께 감싸는 랩핑부(2100)에 의해 간체(11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낚싯줄 가이드(1200)는, 부착발의 외면(1231) 및 간체의 외주면(1111)을 편연사(2120)로 감음으로써 간체(11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부착발(1230)이 간체의 외주면(1111)에 놓인 상태에서, 편연사(2120)를 부착발의 외면(1231) 및 부착발에 의해 덮히지 않는 간체의 외주면(1111)에 다수의 감김 횟수로 감아서 랩핑부(2100)를 형성함으로써, 부착발(1230)은 랩핑부(2100)를 통해 간체(11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랩핑부를 구성하는 편연사(2120)의 재료로서, 폴리에스터, 나일론, 실크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지만, 편연사의 재료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1을 참조하면, 랩핑부를 형성하는 편연사(2120)는, 한 올의 단사(單絲)(2121)를 오른쪽 또는 왼쪽 중 어느 한 방향(TD1)으로 꼬아서 형성되는 실, 또는 두 올 이상의 단사를 정렬시키고 오른쪽 또는 왼쪽 중 어느 한 방향(TD1)으로 꼬아서 형성되는 실을 의미한다. 이러한 편연사는 그 길이 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장될 수 있으며, 신장에 따라 그 단면 형상이 찌부러지고 편평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장력에 의해 신장된 편연사의 단면 형상은, 두께보다 큰 폭을 갖도록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장력에 의해 신장된 편연사의 단면 형상은, 두께 치수가 작고 폭 치수가 두께 치수보다 몇배만큼 큰, 얇은 타원형, 얇은 직사각형과 같은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두께 치수는 편연사가 접촉되는 표면에 수직한 방향에서의 편연사의 단면 형상의 치수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폭 치수는 편연사가 접촉되는 표면에 평행한 방향에서의 편연사의 단면 형상의 치수를 의미할 수 있다. 편연사가 장력에 의해 신장되면, 편연사는 그 원래의 두께 치수 보다 작은 두께 치수를 갖고 그 원래의 폭 치수보다 큰 폭 치수를 갖는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신장 상태에 있는 편연사는 더욱 넓은 접촉 면적에서 부착발의 외면과 간체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고, 이웃하는 한 바퀴 감김부들이 작은 두께로 겹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의 랩핑부를 설명한다.
한 올의 편연사(2120)가 부착발의 외면(1231) 및 간체의 외주면(1111)에 연속적으로 감겨서 랩핑부(2100)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랩핑부(2100)의 편연사(2120)는, 장력에 의해 신장된 상태에서, 부착발의 외면 및 간체의 외주면에 다수의 감김 횟수로 감겨 있다. 즉,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연사(2120)는, 두께(T)보다 큰 폭(W)을 갖는 단면 형상을 갖도록 장력에 의해 신장된 상태에서 감겨 있다. 따라서, 랩핑부(2100)에서의 편연사의 단면 형상은 찌부러지고 편평한 형상을 취한다.
도 7과 도 9를 참조하면, 랩핑부에서의 편연사(2120)는, 한 바퀴 감김부(2122A)와 또 하나의 한 바퀴 감김부(2122B)가 간체의 둘레 방향(CD)을 따라 서로에 대해 각도를 형성하거나 또는 서로 교차하도록 감겨 있다. 따라서, 편연사(2120)에서의 한 바퀴 감김부(2122A)와 또 하나의 한 바퀴 감김부(2122B)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겹치거나 교차한다. 즉, 랩핑부에서의 편연사(2120)는, 장력에 의해 신장된 상태에서, 각각의 한 바퀴 감김부(2122A, 2122B)가 간체의 길이 방향(LD)을 따라 서로 겹치도록 감겨있다. 편연사(2120)의 랩핑부에서 한 바퀴 감김부들이 서로 겹쳐 있으므로, 랩핑부는 더욱 향상된 고정력으로 부착발을 간체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랩핑부에서의 편연사의 각각의 한 바퀴 감김부는 서로에 대해 미끄러지기 어렵고, 랩핑부에서의 편연사는 느슨해지기 어렵다. 이와 같이, 랩핑부에서의 편연사(2120)의 감긴 형태는 규칙적인 감긴 형태가 아니라, 불규칙적인 감긴 형태이다. 상기 규칙적인 감긴 형태는, 한 바퀴 감김부와 이것에 바로 인접하는 또 하나의 한 바퀴 감김부가 간체의 길이 방향으로 겹침 없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감긴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불규칙적인 감긴 형태는, 한 바퀴 감김부와 이것의 바로 다음의 한 바퀴 감김부가 간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겹치거나 서로 교차하거나 또는 한 바퀴 감김부와 이로부터 떨어져 있는 한 바퀴 감김부가 서로 교차하는 감긴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감긴 편연사에서의 일부 구간에서는, 한 바퀴 감김부와 또 하나의 한 바퀴 감김부가 서로 평행하게 위치할 수도 있다.
장력에 의해 신장된 편연사(2120)가 부착발 및 간체에 불규칙적인 감긴 형태로 감기므로, 랩핑부(2100)는 겹침부를 갖는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랩핑부의 겹침부(2111)에서는, 장력에 의해 신장되어 있는 편연사의 인접한 두 개의 한 바퀴 감김부(2122C)가 간체의 길이 방향(LD)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있다. 겹침부(2111)는, 인접한 두 개의 한 바퀴 감김부(2122C) 중 하나의 일측 가장자리와, 이것에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한 바퀴 감김부의 타측 가장자리 간의 겹침 영역으로서 한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랩핑부(2100)는 다수의 겹침부(2111)를 가질 수 있다.
장력에 의해 신장된 편연사는, 찌부러지고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더욱 넓은 접촉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편연사는, 찌부러지고 편평한 단면 형상으로 인해, 부착발의 외면 및 간체의 외주면에 면접촉으로 접촉되는 편평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연사의 각각의 한 바퀴 감김부는, 장력에 의해 신장된 상태에서, 부착발의 외면(1231) 및 간체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편평 접촉면(2123)을 갖는다. 편평 접촉면(2123)은 겹침부(2111)에 인접하며, 부착발의 외면(1231) 및 간체의 외주면에 면접촉으로 접촉한다.
장력에 의해 신장된 편연사가 찌부러지고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므로, 도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연사의 한 바퀴 감김부는, 편평 외면(2124)을 갖는다. 한 바퀴 감김부의 편평 외면(2124)이, 랩핑부(2100)의 외면부를 부분적으로 한정한다. 도 10과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력에 의해 신장된 편연사가 찌부러지고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므로, 랩핑부(2100)는 겹침부(2111)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편평한 편평 외면부(2112)를 갖는다. 편평 외면부(2112)는, 장력에 의해 신장되어 있는 인접한 두 개의 한 바퀴 감김부(2122C)의 편평 외면(2124)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될 수 있다. 따라서, 랩핑부에서의 편연사(2120)가 각각의 한 바퀴 감김부가 서로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감길지라도, 랩핑부(2100)는, 간극이 없고 대체로 편평한 편평 외면부(2112)를 가질 수 있다. 편평 외면부(2112)는 랩핑부(2100)의 원통 형상에서의 외면으로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랩핑부를 형성하는 편연사(2120)는, 부착발의 기단(1233)으로부터 선단(1234)을 향하는 제1 진행 방향(AD1)으로, 부착발의 외면(1231)과 간체의 외주면(1111)에 하나의 감긴 물체로서 감길 수 있다. 또는, 편연사(2120)는, 부착발의 선단(1234)으로부터 기단(1233)을 향하는 제2 진행 방향(AD2)으로, 부착발의 외면(1231)과 간체의 외주면(1111)에 하나의 감긴 물체로서 감길 수 있다. 즉, 편연사가 감기면서 진행하는 방향은, 제1 진행 방향(AD1)과 제2 진행 방향(AD2) 중 어느 진행 방향으로도 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부속품 고정구에 의하면, 편연사를 감기 시작하는 시작점이 부착발의 선단으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편연사(2120)는, 제1 및 제2 진행 방향(AD1, AD2) 중 어느 하나의 진행 방향으로 감긴 후, 제1 및 제2 진행 방향(AD1, AD2) 중 다른 하나의 진행 방향으로 감길 수 있다. 이에 따라, 랩핑부(2100)는 적어도 2개의 층을 갖는 하나의 감긴 물체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는, 랩핑부의 외관을 향상시키고 랩핑부의 편연사를 감긴 상태로 고착시킬 수 있는 피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부속품 고정구(2000)는, 랩핑부(2100)를 전체적으로 덮는 피복부(2200)를 포함한다. 피복부(2200)는 랩핑부(2100)를 덮도록 랩핑부(2100)에 피복되어 있으며, 피복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복재는 합성 수지 재료 또는 접착제일 수 있다. 상기 피복재는, 에폭시수지, 우레탄수지, 자외선경화수지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액상의 상기 피복재가 랩핑부(2100)의 전체에 걸쳐 도포되며, 도포된 피복재는 경화된다. 랩핑부(2100)가 상기 편연사에 의해 형성된 상태에서, 랩핑부(2100)의 편연사의 외면에 액상의 상기 피복재가 도포된다. 도포된 상기 피복재는 경화되고, 랩핑부(2100), 랩핑부에 인접한 간체(1110)의 일부 및 랩핑부에 인접한 낚싯줄 가이드의 일부를 덮고 피복하는 피복부(2200)가 형성된다. 경화된 피복재가 편연사에 함침된다. 피복부(2200)는 빛을 산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낚시인이 피복부(2200)를 볼 때, 랩핑부에서의 편연사의 감긴 부분 간의 경계는 보이지 않으며, 랩핑부(2100)는 균일한 색으로 보일 수 있다. 피복부(2200)는, 랩핑부의 전술한 편평 외면부(2112)를 전체적으로 합성 수지 재료로 피복함으로써, 편평 외면부(2112)를 덮도록 랩핑부(2100)에 피복되어 있다. 편평 외면부(2112)가 대체로 편평하므로, 피복부(2200)는 요철이 없는 양호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의 랩핑부는, 장력에 의해 신장된 상태에서 찌부러지고 편평한 단면 형상으로 감기는 편연사로 이루어진다. 랩핑부에서의 편연사는, 편연사의 겹침 또는 교차 형태가 랩핑부에 형성되고 랩핑부가 간극이 없는 편평 외면부를 갖도록, 불규칙적인 감긴 형태로 감겨 있다. 따라서, 랩핑부는, 편평한 외관을 가지면서, 부착발을 더욱 향상된 고정력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장력에 의해 신장되는 편연사를 사용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는, 종래기술의 제연사를 규칙적인 감긴 형태로 감기 위해 필요한 고도한 숙련도를 작업자에게 요구하지 않는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의 랩핑부를 편연사로 형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부착발이 간체(1110)의 외주면에 놓인 상태에서, 장력(TF)에 의해 신장된 편연사(2120)가 부착발의 외면과 간체의 외주면에 감긴다. 편연사(2120)의 장력(TF)에 의한 신장은, 수작업으로 또는 편연사를 방출하도록 구성된 기구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일 예로, 부착발이 간체(1110)의 외주면에 놓인 상태에서, 간체(1110)는 화살표(WD1)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편연사(2120)가 부착발의 외면 및 간체(1110)의 외주면에 감긴다. 또는, 간체(1110)는 고정되고, 편연사(2120)가 간체(1110)의 둘레 방향(CD)으로 선회되면서 감길 수도 있다. 장력에 의해 신장된 편연사(2120)는, 그 각각의 한 바퀴 감김부가 서로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감긴다. 따라서, 랩핑부(2100)를 형성하는 감긴 편연사의 장력이 느슨해지지 않는다. 또한, 장력(TF)에 의해 신장된 편연사(2120)가 찌부러지고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감기므로, 랩핑부(2100)는 편평 외면부(2112)를 갖는다. 또한, 화살표(IR)로 나타낸 바와 같이, 편연사(2120)는 부착발의 외면 및 간체의 외주면에 불규칙적인 감긴 형태로 감길 수 있다. 즉, 한 바퀴 감김부(2122A)와 또 하나의 한 바퀴 감김부(2122B)는, 나란한 배열의 규칙적인 감긴 형태가 아니라, 겹침 또는 교차의 불규칙적인 감긴 형태로 감길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편연사(2120)는 상기 제1 진행 방향으로, 또는 상기 제2 진행 방향으로, 또는 상기 제1 진행 방향의 후에 상기 제2 진행 방향으로 감길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의 랩핑부를 부착발의 선단 부근에서 형성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부착발(1230)은, 예리한 선단(1234)을 한정하는 선단부(1235)를 가질 수 있다. 선단부(1235)는 간체(1110)의 외주면(1111)을 향하여 낮아지도록 경사되어 있다. 이에 따라, 부착발(1230)은 선단부(1235)에 경사면(1236)을 가질 수 있다. 선단부(1235)는 평판 형태의 부착발의 선단부를 절삭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장력(TF)에 의해 편연사(2120)가 신장되므로, 부착발(1230)과 간체(1110)에 감기는 편연사의 단면 형상은 찌부러지고 편평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편연사(2120)가 부착발(1230)의 경사면(1236)에 감길 때, 편연사(2120)는 경사면(1236)을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편연사(2120)는 부착발(1230)의 경사면(1236)에 간극 없이 감길 수 있다. 도 16에서의 확대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긴 편연사(2120)는 찌부러지고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므로, 편연사(2120)는 부분적으로 겹칠 수 있고 경사면(1236)에서 구르기 어렵다. 이에 따라, 편연사(2120)는 부착발의 선단부(1235)의 경사면(1236)에서, 화살표(SD)의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편연사(2120)는 부착발의 경사면(1236)을 오르는 방향으로 감길 수도 있고, 경사면(1236)을 내려가는 방향으로 감길 수도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의 랩핑부가 수직한 선단을 갖는 부착발에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는, 장력에 의해 신장된 편연사를 사용하며, 편연사는 부분적인 겹침의 불규칙적인 감긴 형태로 감긴다. 도 5에 도시하는 종래의 부속품 고정구에 의하면, 제연사의 불규칙적 감긴 형태를 피하기 위해, 부착발은 예리한 선단과 선단에 인접한 경사면을 가져야만 하며, 제연사는 부착발의 경사면을 오르는 방향으로 감겨야만 한다. 그러나, 일 실시예의 부속품 고정구는, 찌부러지고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장력에 의해 신장된 편연사를 사용한다. 그러므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발(1230)은, 예리한 선단 및 선단에 인접한 경사면을 구비함이 없이 구성될 수 있다. 즉, 부착발(1230)은, 선단(1234)에 형성되며 간체(1110)의 외주면(1111)에 대략 수직하는 수직면을 가질 수 있고, 선단의 상기 수직면은 부착발(1230)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직면을 갖는 부착발(1230)은, 부착발의 선단(1234)과 간체의 외주면(1111)과의 사이에 단차를 만들 수 있다. 신장된 편연사(2120)는, 선단(1234)의 상기 수직면과 간체의 외주면(1111)과의 사이에서, 화살표(VD)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층되면서 간극 없이 복수의 층으로 감겨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랩핑부(2100)는, 부착발의 선단(1234)의 상기 수직면과 간체의 외주면(1111)과의 사이에, 편연사가 복수의 층으로 감겨지고 적층되어 있는 선단부(2113)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감아지는 편연사(2120)의 진행 방향이 제한되지 않는다. 즉, 편연사(2120)는 제1 진행 방향(AD1)과 제2 진행 방향(AD2) 중 어느 진행 방향으로도 감길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의 부속품 고정구가 선단(1234)에 수직면을 갖는 부착발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부착발이 선단(1234)에 수직면을 가지므로, 부착발은 더욱 짧은 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한 예리한 선단과 상기한 경사면을 부착발에 형성하기 위해 부착발을 절삭하는 작업을 배제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발의 절삭 작업으로 인해, 부착발에 녹이 발생하는 단점을 없앨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의 랩핑부는, 장력에 의해 신장된 편연사에 의해, 부착발과 간체를 감싸는 하나의 감긴 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로서, 랩핑부는, 부착발과 간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의 감긴 물체와, 부착발과 간체를 함께 감싸는 또 하나의 감긴 물체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8은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를 일부 절결하여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도시하는 부속품 고정구와 그 단면 형상을 도시한다. 도 18과 도 19에 도시하는, 편연사의 두개의 감긴 물체로 이루어진 랩핑부의 구조는, 도 6과 도 8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고정을 위해 채용될 수도 있다.
도 18과 도 1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랩핑부(2100)는, 장력에 의해 신장된 편연사(2120)가 감겨서 형성되는, 편연사의 두개의 감긴 물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랩핑부(2100)는, 내측 랩핑부(2130)와 외측 랩핑부(2140)를 포함한다. 내측 랩핑부(2130)와 외측 랩핑부(2140)는, 장력에 의해 신장되는 한 올의 편연사(2120)로 형성된다.
내측 랩핑부(2130)는 부착발의 내면(1232)과 간체의 외주면(1111)과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면(1232)과 외주면(1111)과의 사이에 간체의 중심에 대한 외측 반경 방향으로 간극을 형성한다. 내측 랩핑부(2130)는, 장력에 의해 신장된 상태에서 간체의 외주면(1111)에 둘레 방향(CD)으로 복수의 감김 횟수로 감아 고정되는 편연사(2120)로 이루어진다. 내측 랩핑부(2130)를 형성하는 편연사(2120)는 부착발(123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감긴다. 내측 랩핑부(2130)는, 간체의 길이 방향에서의 내측 랩핑부(2130)의 길이(L1)가 간체의 길이방향에서의 부착발(1230)의 길이(L2)보다 짧도록 감긴 편연사(2120)로 이루어진다. 또한, 내측 랩핑부(2130)는 편연사(2120)의 절단된 선단부(2125)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내측 랩핑부(2130)를 구성하는 편연사는, 장력에 의해 신장되는 상태에서 외측 랩핑부(2140)로 이어진다.
장력에 의해 신장되는 편연사(2120)가 먼저 간체(1110)의 외주면에 감긴다. 편연사의 절단된 선단부(2125)는, 편연사의 한 바퀴 감김부(2122A)와 외주면(1111)의 사이에서 장력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내측 랩핑부(2130)에서는, 편연사(2120)는 2바퀴 내지 5바퀴의 복수의 감김 횟수로 간체(1110)의 외주면에 감겨 있으며, 인접한 두 개의 한 바퀴 감김부(2122C)의 사이에 간극(2131)이 형성되도록 감겨 있다. 내측 랩핑부(2130)에 간극(2131)이 형성되므로, 전술한 피복부의 피복재가 간극(2131)에 침입할 수 있다. 간극(2131)에 침입한 피복재가 부착발의 내면(1232)과 간체의 외주면(1111)과의 사이에 개재된 채로 경화되므로, 낚싯줄 가이드의 고정이 안정될 수 있다.
외측 랩핑부(2140)는, 내측 랩핑부(2130)로부터 이어지며 장력에 의해 신장되는 편연사(2120)로 이루어진다. 외측 랩핑부(2140)는, 내측 랩핑부(2130), 부착발(1230)의 외면(1231) 및 간체의 외주면(1111)의 모두에 다수의 감김 횟수로 감기며 장력에 의해 신장된 상태에 있는 편연사(2120)로 이루어진다. 외측 랩핑부(2140)는 부착발(1230)의 기단(1233)과 선단(1234)에 걸쳐 형성되며, 부착발(1230)과 간체(1110)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외측 랩핑부(2140)는 내측 랩핑부(2130)를 덮고 가린다. 부착발(1230)은 외측 랩핑부(2140)에 의해 간체의 외주면(1111)을 향해 압박되는 방식으로, 간체(11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외측 랩핑부(2140)를 형성하는 편연사(2120)는 매듭에 의해 외측 랩핑부(2140)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외측 랩핑부(2140)가 형성된 후, 상기 매듭에 의해 외측 랩핑부(2140)에 고정된 편연사의 일부가 외측 랩핑부로부터 절단되며, 이에 따라, 편연사의 절단된 말단부는 외측 랩핑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장력에 의해 신장된 편연사(2120)로 이루어지는 랩핑부(2100)에서, 외측 랩핑부(2140)는 부착발의 선단(1234)과 간체의 외주면(1111)과의 사이에 선단부(2141)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부착발의 선단(1234)으로부터 간체(1110)의 외주면(1111)을 따라 이격하는 방향으로 선단부(2141)가 0mm 초과 2mm 이하의 길이(L3)를 갖도록, 선단부(2141)가 편연사(212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편연사의 절단된 선단부(2125)는 내측 랩핑부(2130)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일 실시예에 의하면, 편연사(2120)는 부착발의 선단(1234)으로부터 간체(1110)의 외주면에 소정의 길이로 감길 필요가 없다. 즉,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발의 선단으로부터 간체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감김 길이를 갖도록 편연사가 간체의 외주면에 직접 감길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의 랩핑부는 더욱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피복부를 형성하기 위한 피복재의 도포량이 감소될 수 있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낚싯대가 경량화될 수 있고, 낚싯대의 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에 의해, 부착발을 갖는 낚싯대 부속품이 낚싯대의 간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부착발과 간체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랩핑부가 부착발을 간체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랩핑부는 장력에 의해 신장되어 있는 편연사의 감긴 물체로서 형성된다. 신장 상태에 있는 편연사로 랩핑부가 형성된 후, 편연사가 절단된다. 절단된 편연사의 말단부는 랩핑부에 고정되어, 부착발 및 간체를 감싸는 랩핑부가 완성된다.
그러므로, 본 개시에 따라, 부착발을 갖는 낚싯대 부속품을 간체에 고정하는 부속품 고정 방법은, 신장 상태에 있는 편연사를 부착발의 외면 및 간체의 외주면에 감음으로써, 부착발 및 간체를 감싸도록 구성된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편연사를 랩핑부에 고정함으로써, 랩핑부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부속품 고정 방법에 관해, 부속품 고정을 위해 실행되는 공정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하는 도 20a 내지 도 21e를 참조한다. 도 20a 내지 도 20e는, 랩핑부가 편연사의 하나의 감긴 물체로서 형성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21a 내지 도 21e는, 랩핑부가 편연사의 두개의 감긴 물체로서 형성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20a 내지 도 20c를 참조하면, 장력에 의해 편연사(2120)를 신장시키면서 편연사(2120)를 부착발(1230)의 외면(1231)과 간체(1110)의 외주면에 감음으로써, 부착발(1230) 및 간체(1110)를 감싸는 랩핑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장력에 의해 신장되는 편연사(2120)는 찌부러지고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므로, 편연사의 감기 작업이 용이하다.
도 2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가이드(1200)(낚싯대 부속품의 일 예)가 간체(1110)의 외주면에 놓이며, 편연사(2120)의 처음 부분(편연사의 절단된 선단부(2125))은 부착발(1230)에 인접하게 간체(1110)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도 20b 및 도 2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발(1230)이 간체(1110)의 외주면에 놓인 상태에서, 편연사(2120)가 부착발(1230)의 외면(1231) 및 간체(1110)의 외주면에 다수의 감김 횟수로 감긴다. 편연사(2120)가 절단된 선단부(2125)를 덮도록 감기므로, 편연사의 절단된 단부가 간단하게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도시하는 테이프를 사용하는 부착발의 고정이 불필요하다.
편연사(2120)는, 편연사의 단면 형상이 두께보다 큰 폭을 갖도록(도 12 참조) 장력(TF)에 의해 신장되면서, 부착발(1230)의 외면 및 간체(1110)의 외주면에 감긴다. 간체(1110)와 낚싯줄 가이드(1200)가 함께 회전됨에 따라, 또는 간체(1110)와 낚싯줄 가이드(1200)가 고정되고 편연사(2120)가 간체(1110)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됨에 따라, 편연사(2120)가 감길 수 있다.
도 2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랩핑부(2100)를 형성하는 단계는, 편연사의 한 바퀴 감김부(2122A)와 편연사의 또 하나의 한 바퀴 감김부(2122B)가 서로에 대해 각도를 형성하도록 실행된다. 즉, 랩핑부(2100)를 형성하기 위한 편연사(2120)의 감기 작업은, 편연사가 겹침 또는 교차의 형태를 갖는 불규칙적인 감긴 형태로 감기도록 실행된다. 또한, 랩핑부(2100)를 형성하는 단계는, 편연사(2120)의 감기 작업에 의해 랩핑부(2100) 내에 상기 겹침부와 상기 편평 외면부가 형성되도록(도 12 참조) 실행된다. 상기 겹침부에서는, 장력(TF)에 의해 신장되어 있는 편연사의 인접한 두 개의 한 바퀴 감김부(2122C)가 간체의 길이 방향(LD)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 있다. 상기 편평 외면부는, 장력(TF)에 의해 신장되어 있는 편연사의 각각의 한 바퀴 감김부의 외면에 의해 한정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편평 외면부는, 장력에 의해 신장되어 있는 편연사의 인접한 두 개의 한 바퀴 감김부(2122C)의 외면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된다.
또한, 도 2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랩핑부(2100)를 형성하는 단계는, 편연사(2120)가 장력(TF)에 의해 신장된 상태에서 편연사의 한 바퀴 감김부(2122A)가 상기 편평 접촉면(도 12 참조)을 통해 부착발의 외면 및 간체(1110)의 외주면에 면접촉으로 접촉되도록, 실행된다.
도 20b 및 도 2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장 상태에 있는 편연사(2120)를 감는 작업은, 부착발(1230)의 기단(1233)에서 시작될 수 있다. 편연사(2120)는 제1 진행 방향(AD1)으로 진행하면서 감긴 후에, 제2 진행 방향(AD2)으로 진행하면서 감길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편연사(2120)를 감는 작업은 부착발(1230)의 선단(1234)에서 시작될 수도 있다. 또한, 편연사(2120)를 감는 작업은 제1 진행 방향(AD1)과 제2 진행 방향(AD2) 중 어느 하나의 진행 방향으로만 감긴 후에 완료될 수도 있다. 따라서, 랩핑부(2100)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진행 방향(AD1)과 제2 진행 방향(AD2) 중 어느 진행 방향으로도, 신장 상태의 편연사(2120)가 감기도록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랩핑부(2100)를 형성하는 단계는, 도 17에 도시하는 선단부(2113)가 형성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즉, 부착발(1230)이 선단(1234)에 도 17에 도시하는 수직면이 마련되는 경우, 편연사(2120)는 복수의 층으로 감기고 적층되어, 상기 선단부(2113)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0d를 참조하면, 랩핑부(2100)가 장력에 의해 신장된 편연사(2120)로 형성된 후, 편연사(2120)가 랩핑부(2100)에 고정된다. 편연사(2120)를 랩핑부(2100)에 고정하는 작업은, 랩핑부(2100)에 편연사의 매듭을 만드는 것으로 실행될 수 있다. 즉, 랩핑부(2100)를 완성하는 단계는, 편연사를 랩핑부(2100)에 매듭으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편연사(2120)를 부착발과 간체에 감을 때에, 편연사의 각각의 한 바퀴 감김부는 부분적으로 겹쳐있다. 편연사(2120)에 인가되는 장력을 느슨하게 하여도, 편연사(2120)가 풀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장력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편연사(2120)를 랩핑부(2100)에 매듭으로 고정하여 랩핑부(2100)를 완성할 수 있다. 매듭으로부터 돌출하는 편연사의 일부가 절단되며, 이에 따라, 편연사의 절단된 말단부는 랩핑부(2100)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0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연사(2120)를 감아서 랩핑부(2100)가 형성된 후, 편연사(2120)에 인가되는 장력을 느슨하게 하고, 랩핑부(2100), 또는 부착발의 기단(1233), 또는 랩핑부(2100) 및 부착발의 기단(1233)을 감을 수 있는 편연사 고리(2127)를 만든다. 그 후, 편연사를 편연사 고리(2127)에 통과시킨다. 그 후, 편연사 고리(2127)를 통과한 편연사가 당겨지고, 편연사 고리(2127)가 폐쇄된다. 이에 따라 편연사가 랩핑부(2100)에 매듭으로 고정되며, 랩핑부(2100)에 형성되는 매듭은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는다. 그 후, 상기 매듭으로부터 돌출하는 편연사를 절단한다. 이에 따라, 도 20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랩핑부(2100)가 완성되며, 편연사의 절단된 말단부(미도시)는 랩핑부(2100)에 고정된다.
도 20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랩핑부(2100)가 완성된 후, 랩핑부의 편평 외면부(2112)를 그 전체에 걸쳐 합성 수지 재료로 피복함으로써, 도 13과 도 14에 도시하는 피복부(2200)가 랩핑부의 편평 외면부(2112)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 방법은, 랩핑부(2100)를 완성한 후, 피복부(220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e에 도시하는 예는, 더욱 적은 수의 공정으로 낚싯대의 부속품을 낚싯대의 간체에 고정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므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 방법은, 도 4a 내지 도 4i에 도시하는 종래의 공정의 수보다 적은 수의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편연사의 두개의 감긴 물체로 이루어지는 랩핑부를 사용하는 부속품 고정 방법에 관해, 도 21a 내지 도 21e를 참조한다.
도 21a 내지 도 21d를 참조하면, 편연사의 두개의 감긴 물체로 이루어지는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내측 랩핑부(2130)를 형성하는 단계와, 부착발(1230)을 간체(1110)의 외주면에 가고정하는 단계와, 외측 랩핑부(214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2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연사(2120)를 복수의 감김 횟수로 간체(1110)의 외주면에 감는다. 장력(TF)에 의해 편연사(2120)가 신장되는 상태에서, 편연사(2120)가 간체(1110)의 외주면에 감긴다. 이 때, 편연사의 처음 부분의 일부가, 편연사의 한 바퀴 감김부(2122A)에 의해 덮히도록, 편연사(2120)가 간체(1110)의 외주면에 감긴다. 이에 따라, 편연사의 상기 처음 부분의 일부가 고정된다.
도 2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연사(2120)가 복수의 감김 횟수(예컨대, 2바퀴 내지 5바퀴)로 간체(1110)의 외주면에 감기면, 부착발의 내면과 간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내측 랩핑부(2130)가 형성된다. 내측 랩핑부(2130)를 형성할 때, 편연사(2120)는, 인접한 두 개의 한 바퀴 감김부(2122C)의 사이에 간극(2131)이 형성되도록, 감긴다. 또한, 내측 랩핑부(2130)에서의 편연사(2120)는 부착발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감긴다. 내측 랩핑부(2130)가 형성된 후, 최외측의 편연사의 한 바퀴 감김부로부터 돌출하는 편연사의 일부가 날붙이(12)에 의해 절단된다. 이에 따라, 편연사의 절단된 선단부(2125)가 내측 랩핑부(213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내측 랩핑부(2130)를 형성하는 단계는, 편연사의 절단된 선단부(2125)가 내측 랩핑부(2130)에 고정되도록, 또한 편연사의 인접한 두 개의 한 바퀴 감김부(2122C)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실행된다. 내측 랩핑부(2130)에 간극(2131)이 형성되므로, 전술한 피복재가 간극(2131)에 침입하고, 간극(2131)에 침입한 피복재는 부착발의 하면과 간체의 외주면의 사이에 개재된 채로 경화될 수 있다. 내측 랩핑부(2130)가 형성된 후, 편연사(2120)는 내측 랩핑부(2130)로부터 계속해서 연장하고 있다.
도 2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랩핑부(2130)가 형성된 후,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발(1230)이 내측 랩핑부(2130)를 통해 간체(1110)의 외주면에 놓인다. 내측 랩핑부(2130)에서 편연사의 외면은 장력으로 인해 편평하다. 따라서, 부착발(1230)이 간체의 외주면에 놓일 때, 낚싯줄 가이드의 덜걱거림이나 기울어짐이 일어나지 않는다. 부착발(1230)이 내측 랩핑부(2130)를 통해 간체의 외주면에 놓인 후, 내측 랩핑부(2130)로부터 이어지고 있고 장력(TF)에 의해 신장되고 있는 편연사(2120)가 부착발(1230)의 외면(1231)에 감긴다. 이에 따라,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발(1230)이 간체(1110)의 외주면에 가고정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랩핑부는 내측 랩핑부와 외측 랩핑부의 사이에 가고정부(2114)를 가지며, 가고정부(2114)는, 내측 랩핑부로부터 이어지는 편연사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고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발을 간체에 가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낚싯줄 가이드를 간체에 가고정할 때, 내측 랩핑부(2130)로부터 이어지는 편연사는 부착발(1230)의 기단에 또는 부착발(1230)의 기단과 선단과의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감길 수 있다.
도 21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발이 간체의 외주면에 가고정된 후, 내측 랩핑부로부터 이어지고 부착발을 가고정한 편연사(2120)를 부착발의 전 영역(부착발의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에 걸쳐 감는다. 이 때, 편연사(2120)는, 장력(TF)에 의해 신장된 상태에서, 내측 랩핑부, 부착발의 외면 및 간체(1110)의 외주면에 다수의 감김 횟수로 감음으로써 감긴다. 이에 따라, 내측 랩핑부, 부착발의 외면 및 간체의 외주면을 덮는 외측 랩핑부(2140)가 형성된다. 외측 랩핑부(2140)가 상기 내측 랩핑부를 덮어 가리므로, 상기 내측 랩핑부는 노출되지 않는다. 외측 랩핑부(2140)가 형성되는 도중에, 장력에 의해 신장되는 편연사(2120)는 전술한 불규칙적인 감긴 형태로 감긴다. 따라서, 외측 랩핑부(2140)에는 전술한 겹침부 및 전술한 편평 외면부가 형성된다.
도 21a 내지 도 21e에 예시하는 부속품 고정 방법에 의하면, 편연사의 절단된 선단부는 내측 랩핑부에서 고정되고, 한 올의 편연사가 장력에 의해 신장된 상태에서 먼저 내측 랩핑부를 형성한다. 그 후, 내측 랩핑부로부터 이어지는 편연사가 장력에 의해 신장된 상태에서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발에 감김으로써, 낚싯줄 가이드를 간체에 가고정한다. 그 후, 낚싯줄 가이드를 가고정한 편연사가 부착발과 간체에 감겨서, 랩핑부의 외측 랩핑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한 올의 편연사를 사용하여, 내측 랩핑부와 외측 랩핑부를 포함하는 랩핑부가 형성된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 방법에서, 내측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 부착발을 가고정하는 단계 및 외측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장력에 의해 신장된 상태에 있는 한 올의 편연사를 사용하여 실행된다. 내측 랩핑부는 외측 랩핑부에 의해 덮여 가려질뿐만 아니라, 부착발은 간체의 외주면과 함께 외측 랩핑부의 편연사에 의해 감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랩핑부의 외측 랩핑부의 선단과 부착발의 선단 간의 거리가 매우 짧거나 거의 없도록, 랩핑부의 외측 랩핑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외측 랩핑부(2140)를 형성하는 단계는, 도 19에 도시하는 선단부(2141)가 부착발의 선단과 간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외측 랩핑부(2140)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부착발의 선단으로부터 간체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하는 방향으로 0mm 초과 2mm 이하의 길이를 갖는 선단부(2141)가 편연사에 의해 외측 랩핑부에 형성되도록, 편연사가 부착발의 선단 부근에 감길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편연사의 절단된 선단부는 내측 랩핑부에 고정되므로, 편연사는 부착발의 선단으로부터 간체(1110)의 외주면에 소정의 길이로 감길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외측 랩핑부를 포함하는 랩핑부는 더욱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21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랩핑부(2140)가 형성된 후, 편연사(2120)를 랩핑부의 외측 랩핑부(2140)에 고정함으로써, 외측 랩핑부와 내측 랩핑부로 이루어지는 랩핑부가 완성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 방법에서, 랩핑부를 완성하는 단계는, 외측 랩핑부(2140)의 편연사(2120)를 외측 랩핑부(2140)에 고정하고, 외측 랩핑부(2140)로부터 돌출하는 편연사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편연사의 절단된 말단부는 외측 랩핑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 랩핑부가 완성된 후, 랩핑부(2100)의 상기 편평 외면부(즉, 외측 랩핑부에 형성되는 편평 외면부)를 그 전체에 걸쳐 합성 수지 재료로 피복함으로써, 도 13과 도 14에 도시하는 피복부(2200)가 상기 편평 외면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 방법은, 외측 랩핑부(2140)를 완성한 후, 피복부(220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a 내지 도 22c는, 편연사에 의해 외측 랩핑부가 형성된 후 외측 랩핑부를 완성하는 공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장력에 의해 신장되어 있는 편연사를 부착발과 간체에 감을 때에, 편연사의 한 바퀴 감김부와 또 하나의 한 바퀴 감김부는 부분적으로 겹친다. 따라서, 편연사에 인가되는 장력을 느슨하게 하여도, 감긴 편연사가 풀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편연사에 인가되는 장력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편연사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2a를 참조하면, 편연사(2120)를 감아서 외측 랩핑부(2140)를 형성한 후, 편연사(2120)에 인가되는 장력을 느슨하게 하고, 외측 랩핑부(2140) 내의 편연사에 편연사 고리(2127)를 만든다. 그 후, 도 22b를 참조하면, 편연사 고리(2127)에 편연사(2120)를 통과시킨다. 그 후, 편연사(2120)를 잡아당겨서, 편연사 고리(2127)를 폐쇄시킨다. 이에 따라, 편연사(2120)가 외측 랩핑부(214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2c를 참조하면, 외측 랩핑부(2140)로부터 돌출하는 편연사의 일부를 날붙이(12)로 절단하며, 이에 따라 편연사의 절단된 말단부는 외측 랩핑부(2140) 내에 위치하고 고정된다. 도 22a 내지 도 22c에 도시하는 편연사의 고정 방식은, 오버핸드 노트(overhand knot) 또는 하프 히치 노트(half hitch knot)와 같은 매듭 방식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편연사의 절단된 말단부가 외측 랩핑부(2140)에 고정되어, 외측 랩핑부와 내측 랩핑부를 포함하는 랩핑부가 완성될 수 있다. 도 22a 내지 도 22c에 도시하는 편연사의 고정 방식은, 도 20d에 도시하는 편연사의 하나의 감긴 물체로 이루어지는 랩핑부를 완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외측 랩핑부를 완성하는 단계는 실 고리를 사용하여 편연사를 외측 랩핑부에 고정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편연사에 의해 외측 랩핑부가 형성된 후 외측 랩핑부를 완성하는 공정의 또 하나의 예를 도시하는, 도 23a 내지 도 23d를 참조한다.
도 2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랩핑부(2140)를 완성하기 위해, 실고리(13)가, 이미 감겨 있는 편연사와 아직 감기지 않은 편연사의 사이에 삽입된다. 그 후, 실고리(13)를 덮도록 편연사(2120)를 복수의 감김 횟수로 더 감는다. 다음으로, 도 2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연사(2120)를 실고리(13)에 통과시킨다. 다음으로, 도 2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연사(2120)를 잡고 있는 실고리(13)를 외측 랩핑부(2140)로부터 잡아당겨 빼낸다. 이에 따라, 편연사의 일부(2128)는 편연사에 의해 덮힌 상태에서 외측 랩핑부(2140)로부터 돌출한다. 다음으로, 도 2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랩핑부(2140)로부터 돌출하는 편연사의 일부(2128)가 날붙이(12)로 절단되고, 외측 랩핑부(2140)가 완성되다. 또한, 날붙이(12)로 절단된 편연사의 마지막 부분이 편연사의 절단된 말단부(2126)로 되고, 편연사의 절단된 말단부(2126)는 외측 랩핑부(2140) 내에 고정된다. 도 23a 내지 도 23d에 도시하는 편연사의 고정 방식은, 도 20d에 도시하는 랩핑부를 완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1b에 도시하는 공정은, 내측 랩핑부(2130)로부터 돌출하는 편연사의 일부를 절단하는 것을 예시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내측 랩핑부를 형성할 때 편연사의 처음 부분의 일부를 절단하는 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1a에 도시하는 공정과 유사한 공정을 도시하는 도 24를 참조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편연사(2120)를 간체(1110)의 외주면에 감아, 편연사의 절단된 선단부(2125)(편연사의 처음 부분)를 고정하는 내측 랩핑부(2130)가 형성된다. 편연사(2120)에는 장력(TF)이 인가되므로, 편연사(2120)는 찌부러지고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며, 편연사(2120)는 간체(1110)의 외주면에 넓은 접촉 면적으로 접촉된다. 따라서, 편연사의 처음 부분(절단된 선단부(2125))이 편연사에 의해 덮히도록 편연사(2120)를 절단된 선단부(2125)에 겹치면서 감음에 따라, 편연사의 절단된 선단부(2125)는 풀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편연사의 처음 부분의 일부를 절단할 필요가 없다. 편연사(2120)를 겹치도록 감아도, 감긴 편연사(2120)의 외면은 장력으로 인해 편평하다. 따라서,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발을 간체(1110)의 외주면 상에 위치시키는 때에, 낚싯줄 가이드의 덜걱거림이나 기울어짐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 방법에 의해 낚싯줄 가이드를 낚싯대의 간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편연사를 감는 작업을 예시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낚싯대 부속품(예컨대, 낚싯줄 가이드(1200))의 부착발이 간체(1110)의 외주면에 놓인 상태에서 편연사(2120)를 사용하여 낚싯줄 가이드(1200)를 간체(1110)의 외주면에 고정시킨다. 간체(1110)의 일단은 회전체(21)에 클램핑되어 있으며, 복수의 지지 롤러(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회전체(21)가 화살표(WD1)의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간체(1110)는 낚싯줄 가이드(1200)와 함께 회전된다. 간체(1110)의 회전에 의해, 편연사(2120)가 간체(1110)와 낚싯줄 가이드(1200)의 부착발에 감긴다. 장력(TF)이 편연사(2120)에 인가된다.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편연사(2120)를 잡아 당김에 따라, 편연사(2120)에 장력(TF)이 인가되고 유지될 수 있다. 편연사(2120)에의 장력을 인가하는 예가 도 25에 도시하는 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편연사(2120)를 방출하도록 구성된 기구에 의해 편연사(2120)에 장력이 인가될 수도 있다. 간체(1110)는 지지 롤러(22) 대신에 V홈을 갖는 지지대 상에 지지될 수도 있다. 도 25에 도시하는 예와는 달리, 간체(1110)가 지지대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편연사(2120)가 간체(1110)에 대해 선회되면서, 편연사(2120)가 간체(1110)에 또는 간체(1110) 및 낚싯줄 가이드(1200)의 부착발에 감길 수도 있다.
낚싯대의 팁 측에 배치되는 간체는 큰 정도로 휘어질 수 있다. 낚싯대의 팁 측에 배치되는 간체에 부속품을 고정하는 공정에서 이러한 간체를 회전시키면, 간체는 원심력으로 인해 크게 흔들린다. 팁 측에 배치되는 간체에 권사를 규칙적인 감긴 형태로 감는 작업은 작업자의 고도의 숙련도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일 실시예의 부속품 고정 방법에 의하면, 팁 측에 배치되는 간체에 낚싯대 부속품을 편연사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편연사를 불규칙적인 감긴 형태로 감을 수 있다. 또한, 팁 측에 배치되는 간체에 편연사를 감기 위해 보조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8은 보조구를 사용하는 부속품 고정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6을 참조하면, 낚싯대의 간체(1120)는 낚싯대의 팁 측에 배치된다. 간체(1120)의 선단에는, 간체(1120)로부터 돌출하도록 낚싯줄 가이드(1200)가 고정된다. 낚싯줄 가이드(1200)를 간체(1120)에 고정하기 위해,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편연사(2120)가 낚싯줄 가이드(1200)의 부착발과 간체(1120)에 감기며, 이에 따라 편연사(2120)로 이루어지는 랩핑부가 형성된다. 또한, 편연사(2120)를 방출하도록 구성된 보조구(2300)가 편연사(2120)를 감기 위해 사용된다. 간체(1120)는 회전되지 않으며, 보조구(2300)가 편연사(2120)를 장력에 의해 신장시키면서 간체(1120)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된다. 이에 따라, 장력에 의해 신장된 편연사(2120)로 이루어지고 낚싯줄 가이드(1200)의 부착발과 간체(1120)를 감싸도록 구성된 랩핑부가 형성된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 방법에 있어서,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편연사(2120)를 방출하도록 구성된 보조구(2300)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보조구(2300)를 화살표(WD2)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간체(1120)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시키면서, 편연사(2120)가 불규칙적인 감긴 형태로 감긴다. 보조구(2300)에 의해, 간체(1120)는 흔들림이 없이 편연사(2120)로 감길 수 있다. 작업자는 손바닥으로 보조구(2300)를 잡을 수 있고, 보조구(2300)를 잡아 당김으로써 편연사(2120)에 장력을 인가할 수 있다. 보조구(2300)가 사용되므로, 작업자는 섬세한 조작을 할 수 없다. 그러나, 장력에 의해 신장되는 편연사(2120)가 불규칙적인 감긴 형태로 감기므로, 작업자에게 섬세한 조작이 요구되지 않으며, 간체(1120) 및 낚싯줄 가이드(1200)에 편연사(2120)를 감는 작업이 보조구(2300)에 의해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보조구(2300)에 의해 편연사(2120)가 감긴 상태에서 작업자가 보조구(2300)를 놓는 경우, 보조구(2300)의 자중에 의해 편연사(2120)의 감김 상태가 풀리지 않는다.
보조구(2300)는, 도 20a 내지 도 21e에 도시하는, 랩핑부를 형성하는 제반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조구(2300)는, 간체(1120)의 선단에 낚싯줄 가이드를 고정하기 위해, 또한 간체(1120)의 임의의 지점에 낚싯줄 가이드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조구(2300)는, 전술한 낚싯대의 팁 측에 배치되는 간체(1120)에의 사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낚싯대의 다른 간체에 낚싯대 부속품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하는 보조구의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6에 도시하는 보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구(2300)는, 요크 형상의 프레임(2310)과, 프레임(2310)의 일단에 배치되고 편연사(2120)가 감기고 풀리는 스풀(2320)과, 스풀(2320)을 프레임(2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축부(2330)와, 축부(2330)의 단부와 프레임(2310)에 결합되는 베어링부(2340)를 갖는다. 가이드 링(2350)이 프레임(2310)의 타단에 결합된다. 편연사(2120)는 스풀(2320)로부터 가이드 링(2350)을 통과해 보조구(2300)의 외부로 방출된다. 가이드 링(2350)은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지며, 편연사(2120)의 손상을 방지한다. 축부(2330)와 베어링부(2340)는 나사 결합된다. 축부(2330)와 베어링부(2340)의 나사 결합에 의해, 스풀(2320)의 협지 압력이 완화될 수 있고, 편연사(2120)의 장력이 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고정구와 부속품 고정 방법에 의해 간체에 고정되는 낚싯대 부속품(예컨대, 낚싯줄 가이드)의 고정력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이 행해졌다. 아래 표1은 고정력 확인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아래 표1에서, 시험1의 시험예1과 비교예1은, 동일한 직경의 간체와 동일한 사이즈의 낚싯줄 가이드에 관련된다. 아래 표1에서, 시험2의 시험예2와 비교예2는, 시험1에서의 간체와는 다른 직경을 갖는 간체와, 시험1에서의 낚싯줄 가이드의 사이즈와는 다른 사이즈를 갖는 낚싯줄 가이드에 관련된다. 시험예1과 시험예2는, 일 실시예에 따라 편연사를 사용하여 낚싯줄 가이드를 간체에 고정하는 예를 의미한다. 시험예1과 시험예2에서의 편연사는, 장력에 의해 신장된 상태에서 불규칙적인 감긴 형태로 부착발과 간체에 감겨있다. 비교예1과 비교예2는, 제연사를 사용하여 낚싯줄 가이드를 간체에 고정하는 예를 의미한다. 비교예1과 비교예2에서의 제연사는, 규칙적인 감긴 형태로 부착발과 간체에 감겨있다. 각 시험은, 편연사가 부착발과 간체에 감긴 후 피복부가 형성된 상태와, 제연사가 부착발과 간체에 감긴 후 피복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행해졌다.
Figure 112022062786119-pat00050
위의 표1로부터, 시험예1 및 시험예2에서, 부속품과 간체 간의 고정력(부착발 고정 강도)은 비교예1 및 비교예2에서의 고정력과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0: 낚싯대, 1110: 간체, 1111: 간체의 외주면, 1120: 간체, 1200: 낚싯줄 가이드, 1230: 부착발, 1231: 외면, 1232: 내면, 1233: 기단, 1234: 선단, 2000: 부속품 고정구, 2100: 랩핑부, 2111: 겹침부, 2112: 편평 외면부, 2113: 선단부, 2120: 편연사, 2122A: 한 바퀴 감김부, 2122B: 또 하나의 한 바퀴 감김부, 2122C: 인접한 두 개의 한 바퀴 감김부, 2123: 편평 접촉면, 2124: 편평 외면, 2125: 편연사의 선단부, 2126: 편연사의 말단부, 2130: 내측 랩핑부, 2131: 간극, 2140: 외측 랩핑부, 2141: 외측 랩핑부의 선단부, 2200: 피복부, 2300: 보조구, 2320: 스풀, T: 편연사의 단면 형상의 두께, W: 편연사의 단면 형상의 폭, TF: 장력, AD1: 제1 진행 방향, AD2: 제2 진행 방향

Claims (17)

  1. 부착발을 갖는 낚싯대 부속품을 간체에 고정하는 부속품 고정구이며,
    상기 부착발(1230)이 상기 간체(1110)의 외주면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부착발의 외면(1231) 및 상기 간체의 외주면(1111)에 다수의 감김 횟수로 감겨 있는 편연사(2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착발 및 상기 간체를 감싸도록 구성된 랩핑부(2100)를 포함하고,
    상기 편연사(2120)는 단사를 하나의 방향으로 꼬아서 형성되고,
    상기 편연사(2120)는, 두께보다 큰 폭을 갖는 단면 형상을 갖도록 장력에 의해 신장되어 찌부러지고 편평한 단면 형상의 상태에서 감겨 있고,
    상기 장력에 의해 신장되어 있는 상기 편연사(2120)의 각각의 한 바퀴 감김부는, 상기 부착발의 외면(1231) 및 상기 간체의 외주면(1111)에 면접촉으로 접촉되는 편평 접촉면(2123)을 갖고,
    상기 편연사(2120)는, 상기 편연사의 한 바퀴 감김부(2122A)와 상기 편연사의 또 하나의 한 바퀴 감김부(2122B)가 서로에 대해 각도를 형성하도록 감겨 있고,
    상기 랩핑부(2100)는, 상기 장력에 의해 신장되어 있는 상기 편연사의 인접한 두 개의 한 바퀴 감김부(2122C)가 상기 간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있고 상기 편평 접촉면(2123)에 인접하는 겹침부(2111)와, 상기 장력에 의해 신장되어 있는 상기 인접한 두 개의 한 바퀴 감김부(2122C)의 외면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되는 편평 외면부(2112)를 갖는,
    부속품 고정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부(2100)는,
    상기 부착발(123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상기 간체(1110)의 외주면에 복수의 감김 횟수로 감기고 고정되는 상기 편연사(2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착발의 내면(1232)과 상기 간체의 외주면(1111)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내측 랩핑부(2130)와,
    상기 내측 랩핑부(2130), 상기 부착발의 외면(1231) 및 상기 간체의 외주면(1111)에 다수의 감김 횟수로 감기는 상기 편연사(2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랩핑부(2130)를 덮고 가리는 외측 랩핑부(2140)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랩핑부(2130)와 상기 외측 랩핑부(2140)는 한 올의 상기 편연사(2120)로 연속하여 이루어지는,
    부속품 고정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랩핑부(2130)에서의 상기 편연사(2120)는, 인접한 두 개의 한 바퀴 감김부(2122C)의 사이에 간극(2131)이 형성되도록, 상기 간체의 외주면(1111)에 감겨 있고,
    상기 편연사의 절단된 선단부(2125)는 상기 내측 랩핑부(2130)에 고정되고,
    상기 편연사의 절단된 말단부(2126)는 상기 외측 랩핑부(2140)에 고정되는,
    부속품 고정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랩핑부(2140)는 상기 부착발의 선단(1234)으로부터 상기 간체(1110)의 외주면(1111)을 따라 이격하는 방향으로 0mm 초과 2mm 이하의 길이를 갖는 선단부(2141)를 갖는,
    부속품 고정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부(2100)는, 상기 부착발의 선단(1234)에 형성되는 수직면과 상기 간체의 외주면(1111)과의 사이에, 상기 편연사(2120)가 복수의 층으로 감겨지고 적층되어 있는 선단부(2113)를 갖는,
    부속품 고정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부의 상기 편평 외면부(2112)를 덮도록 피복되어 있고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피복부(2200)를 더 포함하는
    부속품 고정구.
  8. 부착발을 갖는 낚싯대 부속품을 간체에 고정하는 부속품 고정 방법이며,
    상기 부착발(1230)이 상기 간체(1110)의 외주면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부착발의 외면(1231) 및 상기 간체의 외주면(1111)에 편연사(2120)를 다수의 감김 횟수로, 상기 편연사의 단면 형상이 두께보다 큰 폭을 갖도록 장력에 의해 상기 편연사를 신장시키면서 감음으로써 상기 부착발 및 상기 간체를 감싸도록 구성된 랩핑부(210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편연사(2120)를 상기 랩핑부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랩핑부(2100)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편연사의 한 바퀴 감김부(2122A)와 상기 편연사의 또 하나의 한 바퀴 감김부(2122B)가 서로에 대해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장력에 의해 신장되어 있는 상기 편연사의 인접한 두 개의 한 바퀴 감김부(2122C)가 상기 간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 있는 겹침부(2111)가 형성되고,
    상기 장력에 의해 신장되어 있는 상기 인접한 두 개의 한 바퀴 감김부(2122C)의 편평 외면(2124)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되는 편평 외면부(2112)가 형성되도록, 실행되는,
    부속품 고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편연사가 상기 장력에 의해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편연사의 한 바퀴 감김부(2122A)가 편평 접촉면(2123)을 통해 상기 부착발의 외면(1231) 및 상기 간체의 외주면(1111)에 면접촉으로 접촉되도록, 실행되는,
    부속품 고정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부착발의 선단(1234)을 향하는 제1 진행 방향과 상기 부착발의 기단(1233)을 향하는 제2 진행 방향 중 어느 진행 방향으로도 상기 편연사가 상기 부착발의 외면(1231) 및 상기 간체의 외주면(1111)에 감기도록, 실행되는,
    부속품 고정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부착발의 내면(1232)과 상기 간체의 외주면(1111)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편연사(2120)를 상기 간체의 외주면에 복수의 감김 횟수로 상기 부착발(123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감음으로써 내측 랩핑부(213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내측 랩핑부(2130)로부터 이어지는 상기 편연사(2120)를 상기 부착발의 외면(1231)에 감음으로써 상기 부착발(1230)을 상기 간체의 외주면(1111)에 가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내측 랩핑부(2130), 상기 부착발의 외면(1231) 및 상기 간체의 외주면(1111)에 상기 내측 랩핑부(2130)로부터 이어지는 상기 편연사(2120)를 다수의 감김 횟수로 감음으로써 상기 내측 랩핑부(2130), 상기 부착발의 외면(1231) 및 상기 간체의 외주면(1111)을 덮는 외측 랩핑부(214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부착발을 가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외측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한 올의 상기 편연사(2120)를 사용하여 실행되는,
    부속품 고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편연사의 절단된 선단부(2125)가 상기 내측 랩핑부(2130)에 고정되도록 또한 상기 편연사의 인접한 두 개의 한 바퀴 감김부(2122C)의 사이에 간극(2131)이 형성되도록, 실행되는,
    부속품 고정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부착발의 선단(1234)으로부터 상기 간체의 외주면(1111)을 따라 이격하는 방향으로 0mm 초과 2mm 이하의 길이를 갖는 선단부(2141)가 형성되도록 실행되는,
    부속품 고정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부착발의 선단(1234)에 형성되는 수직면과 상기 간체의 외주면(1111)과의 사이에, 상기 편연사(2120)를 복수의 층으로 감고 적층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선단부(2113)가 형성되도록 실행되는,
    부속품 고정 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부를 완성하는 단계는, 상기 편연사(2120)를 상기 랩핑부(2100)에 매듭으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속품 고정 방법.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편연사(2120)가 감긴 스풀(2320)을 가지며 상기 편연사를 방출하도록 구성된 보조구(2300)를 사용하여 실행되는,
    부속품 고정 방법.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부(2100)의 상기 편평 외면부를 합성 수지 재료로 피복함으로써 상기 편평 외면부(2112)를 덮는 피복부(2200)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속품 고정 방법.
KR1020210094540A 2021-02-26 2021-07-20 낚싯대 부속품용 부속품 고정구 및 부속품 고정 방법 KR102434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57706A JP7248336B2 (ja) 2021-02-26 2021-09-28 付属品固定構造及び付属品固定方法
US17/647,485 US20220272957A1 (en) 2021-02-26 2022-01-10 Component fixing tool for fishing rod component, and component fixing method
CN202210041291.3A CN114946785B (zh) 2021-02-26 2022-01-14 用于钓竿部件的部件固定工具及部件固定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288 2021-02-26
KR20210026288 2021-0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213B1 true KR102434213B1 (ko) 2022-08-19

Family

ID=83113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540A KR102434213B1 (ko) 2021-02-26 2021-07-20 낚싯대 부속품용 부속품 고정구 및 부속품 고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21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009A (ja) 1998-12-24 2000-07-11 Mamiya Op Co Ltd ガイド体を取付けた釣竿及びその取付け方法
JP2001161224A (ja) * 1999-12-10 2001-06-19 Shimano Inc 釣 竿
KR100512798B1 (ko) * 2002-10-04 2005-09-09 일 훈 이 카본낚싯대의 라인가이드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JP2007151411A (ja) * 2005-11-30 2007-06-21 Daiwa Seiko Inc 被覆具および把持用品
JP2008211982A (ja) * 2007-02-28 2008-09-18 Daiwa Seiko Inc 外ガイド付き釣竿
KR20140118696A (ko) * 2013-03-29 2014-10-08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JP2020162471A (ja) 2019-03-29 2020-10-0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の固定構造及び該固定構造を有する釣竿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009A (ja) 1998-12-24 2000-07-11 Mamiya Op Co Ltd ガイド体を取付けた釣竿及びその取付け方法
JP2001161224A (ja) * 1999-12-10 2001-06-19 Shimano Inc 釣 竿
KR100512798B1 (ko) * 2002-10-04 2005-09-09 일 훈 이 카본낚싯대의 라인가이드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JP2007151411A (ja) * 2005-11-30 2007-06-21 Daiwa Seiko Inc 被覆具および把持用品
JP2008211982A (ja) * 2007-02-28 2008-09-18 Daiwa Seiko Inc 外ガイド付き釣竿
KR20140118696A (ko) * 2013-03-29 2014-10-08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JP2020162471A (ja) 2019-03-29 2020-10-0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の固定構造及び該固定構造を有する釣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3322B2 (en) Fishing rod having fitting mounted on rod body
KR930000006A (ko) 낚싯대재 및 그 제조방법
JP7479533B2 (ja) スロットレス光ファイバケーブル、スロットレス光ケーブルコアの製造方法
KR101764693B1 (ko) 가이드섬유를 이용한 돌기사 위치 고정 구성의 섬유보강폴리머 보강근 제작방법과 제작장치
KR102434213B1 (ko) 낚싯대 부속품용 부속품 고정구 및 부속품 고정 방법
JPH11194243A (ja) Szスロット型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6204134A (ja) 釣竿
JP7248336B2 (ja) 付属品固定構造及び付属品固定方法
KR102238234B1 (ko) 모발 연장 장치
JP6560011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使用方法
RU99115084A (ru) Изготовление оптического волокна
CN113273551B (zh) 钓竿
JP2001161225A (ja) 遊動ガイド及びそれを備えた振出竿
JP2020064098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4803504B2 (ja) 釣餌
JP2021024738A5 (ko)
JP2004016032A (ja) 釣竿
WO2021192953A1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3904930B2 (ja) カーテン用ウェイトテープ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6452534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外被引き裂き方法
JP2000209982A (ja) 竿
FR3132917A1 (fr)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estrope
JP2001314139A (ja) 竿 体
JP3063950B2 (ja) 中通し釣竿とこれに使用する糸通し具
JP2006309030A (ja) 湾曲部用被覆チューブの糸巻き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