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914B1 - 온열구 및 온열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온열구 및 온열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914B1
KR102427914B1 KR1020217041990A KR20217041990A KR102427914B1 KR 102427914 B1 KR102427914 B1 KR 102427914B1 KR 1020217041990 A KR1020217041990 A KR 1020217041990A KR 20217041990 A KR20217041990 A KR 20217041990A KR 102427914 B1 KR102427914 B1 KR 102427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heating element
adhesive
heating
perf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1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3626A (ko
Inventor
류노스케 마츠모토
류지 마츠나가
가즈토시 오오츠카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03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61F7/034Flam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241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hot packs, hot compresses, cooling pads, e.g. heaters or refrig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5Temperature
    • A45D2200/155Heating or cooling means, i.e. for storing or applying cosmetic products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02Head or parts thereof
    • A61F2007/0004Eyes or part of the face surrounding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8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ays of manufacturing heating or cooling devices for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26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adhesive, self-st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61F7/034Flameless
    • A61F2007/036Fuels
    • A61F2007/038Carbon or charcoal, e.g. 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35/00Medical equipment, e.g. bandage, prostheses, catheter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체 (3) 가, 가열 대상체와 대향하는 표면 시트 (5) 와, 그 가열 대상체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 (6) 사이에 유지된 온열구 (1)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열체 (3) 는 표면 시트 (5) 와 대향 배치된 제 1 시트 (3f) 와, 이면 시트 (6) 와 대향 배치된 제 2 시트 (3g) 와, 제 1 시트 (3f) 및 제 2 시트 (3g) 에 협지된 발열부 (3a) 를 갖는다. 온열구 (1) 는, 제 2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사이에 향료 (8) 와 접착제 (7) 가 배치되고, 접착제 (7) 의 배치 영역과, 향료 (8) 의 비배치 영역이 평면에서 봤을 때 중첩된다. 제조 방법은, 제 2 시트 (3g) 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 (6) 와의 대향 예정면, 또는 이면 시트 (6) 에 있어서의 발열체 (3) 와의 대향 예정면에 향료를 실시하고, 발열체 (3) 를 이면 시트 (6) 와 제 2 시트 (3g) 가 대향하도록 발열체 (3) 를 유지시킨다.

Description

온열구 및 온열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온열구 및 온열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먼저, 향료 조성물에 의해 부향되고 있는 발열구를 제안하였다 (특허문헌 1). 이 발열구는, 사용시의 향기가 좋고, 보존 중의 향기의 변질이 일어나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51690호
본 발명은, 제 1 시트와, 제 2 시트에 발열부가 협지된 발열체가, 사용시에 가열 대상체와 대향하는 표면 시트와, 그 가열 대상체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 사이에 유지된 온열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제 2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이면 시트와의 대향 예정면에 향료를 실시하거나, 또는 상기 이면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발열체와의 대향 예정면에 향료를 실시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향료를 실시한 후에,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제 2 시트가 대향하도록 상기 발열체를 배치하고, 그 발열체를 그 표면 시트와 그 이면 시트 사이에 유지시킨다.
또 본 발명은, 온열구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온열구는, 사용시에 가열 대상체와 대향하는 표면 시트와, 그 가열 대상체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와, 그 표면 시트와 그 이면 시트 사이에 협지된 발열체를 구비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발열체는, 상기 표면 시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1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시트와, 그 제 1 시트와 그 제 2 시트에 협지된 발열부를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온열구는, 상기 제 2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향료와, 상기 제 2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를 접착하는 접착제가 배치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온열구는,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접착제가 배치된 영역이, 상기 향료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청구범위 및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조되는 온열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조되는 온열구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 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조되는 온열구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는, 도 2(a) 에 나타내는 온열구의 길이 방향 (X) 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3(b) 는, 도 2(b) 에 나타내는 온열구의 길이 방향 (X) 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 는, 온열구의 발열체, 접착제 및 향료의 배치 위치의 일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b) 는, 도 4(a) 의 형태에 상당하는 온열구의 I-I 선을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a) 는, 온열구의 발열체, 접착제 및 향료의 배치 위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b) 는, 도 5(a) 의 형태에 상당하는 온열구의 I-I 선을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6(a) 는, 온열구의 발열체, 접착제 및 향료의 배치 위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b) 는, 도 6(a) 의 형태에 상당하는 온열구의 I-I 선을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7 은, 온열구의 발열체, 접착제 및 향료의 배치 위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제조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a) 및 (b) 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제조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제조 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a) 내지 (c) 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향료와 접착제의 배치 위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치의 상한값 혹은 하한값 또는 상하한값이 규정되어 있는 경우, 상한값 및 하한값 그 자체의 값도 포함된다. 또 특별히 명시가 없어도, 수치의 상한값 이하 혹은 하한값 이상 또는 상하한값의 범위 내에 있어서의 모든 수치 또는 수치 범위가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a」및「an」등은,「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의미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상기 서술한 개시 및 이하의 개시에 비추면,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변경 형태나 개변 형태가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된다. 따라서, 청구범위의 기재에 기초하는 기술적 범위 내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명기되어 있지 않은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하다고 이해해야 한다.
상기 서술한 특허문헌 및 이하의 특허문헌의 기재 내용은, 그들 모든 내용이 본 명세서의 내용의 일부로서 본 명세서에 도입된다.
본원은, 2019년 11월 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9-202437 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출원이고, 일본 특허출원 2019-202437 의 기재 내용은, 그 모든 것이,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본 명세서에 도입된다.
온열구는, 사용자의 사용감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사용하는 향료의 종류를 제품마다 변경하여 제조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온열구의 제조시에 있어서 향료를 실시하는 타이밍에 따라서는, 향료가 제조 장치에 부착되어 버려, 향료에 의한 제조 장치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다른 향료가 실시된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장치에 부착된 향료를 제거하기 위해서, 다량의 구성 부재를 부득이 폐기하거나, 혹은 장치를 정지시켜, 장치의 청소 작업이 필요해지거나 하기 때문에, 생산 효율의 향상이 요망된다. 이 점에 관해서, 특허문헌 1 에서는 검토되어 있지 않아,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 상이한 종류의 향료를 사용한 온열구, 또는 향료를 사용한 온열구 및 향료를 사용하지 않는 온열구를 하나의 제조 장치로 제조하는 경우, 향료의 유무 또는 종류에 따라, 온열구의 구성 부재를 접합하기 위한 접합 조건을 적절히 설정 및 변경할 필요가 있어, 생산 효율의 향상이 요망된다. 이 점에 관해서도 특허문헌 1 에서는 검토되어 있지 않아,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온열구에 향료를 부향 (賦香) 하는 경우, 향료의 부향 위치에 따라서는, 향료의 존재에 의해 원하는 발열 성능을 발현할 수 없거나, 사용자의 피부에 향료가 부착되어, 끈적임 등의 불쾌감이 발생하거나 할 가능성이 있었다. 이 점에 관해서도 특허문헌 1 에서는 검토되어 있지 않아,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온열구 및 온열구의 제조 방법의 추가적인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온열구는, 이른바 아이 마스크 타입의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타입의 온열구는, 인간의 양안이나 그 근방의 피부 등과 같은 가열 대상체에 덮도록 맞닿게 하여, 소정 온도로 가열된 수증기 및 온열을 눈 및 그 주위의 피부에 부여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를 도 1 에 나타낸다.
아이 마스크 타입의 온열구 (1) 는, 전형적으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시에 사용자의 양안을 덮는 형상을 갖는 길이 방향 (X) 으로 긴 본체부 (2) 와, 본체부 (2) 에 구비된 발열체 (3) 와, 1 쌍의 귀걸이부 (4, 4) 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길이 방향 (X) 에 직교하는 방향을 종방향 (Y) 이라고도 한다.
온열구 (1) 에 있어서의 본체부 (2) 는 전형적으로는, 온열구 (1) 의 사용시에 있어서, 사용자의 피부 등의 가열 대상체와 대향하는 표면 시트 (5) 와, 그 가열 대상체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 (6) 를 구비하고 있다.
도 2(a) 및 (b) 에는, 온열구 (1) 의 분해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도 3(a) 에는, 도 2(a) 의 온열구 (1)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른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또, 도 3(b) 에는, 도 2(b) 의 온열구 (1)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른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는, 도면 중 상방이 가열 대상체에 가까운 측이고, 도면 중 하방이 가열 대상체로부터 먼 측이다.
표면 시트 (5) 및 이면 시트 (6) 는, 이들을 중합한 상태로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 (7) 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 시트 (5, 6) 사이에 복수의 발열체를 서로 이간하여 유지해도 되고, 도시예에 있어서는 2 개의 발열체 (3, 3) 를 길이 방향 (X) 으로 이간하여 배치하고 있다.
이면 시트 (6) 에 있어서의 발열체 (3) 와의 대향 예정면 (CS) 은, 접착제 (7) 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과, 접착제 (7) 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의 2 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 (7) 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는, 발열체 (3) 와 이면 시트 (6) 는 접착되지 않는다.
대향 예정면 (CS) 은, 접착제 (7) 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만으로 구성되고, 대향 예정면 (CS) 의 전역을 포함하는 이면 시트 (6) 의 전역에 접착제 (7) 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발열체 (3) 는 전형적으로는 발열에 수반하여 증기의 발생이 가능한 발열부 (3a) 가 포장재 (3A) 내에 수용되어 형성되어 있다.
포장재 (3A) 는 일방의 면이 제 1 시트 (3f) 로 이루어지고, 타방의 면이 제 2 시트 (3g) 로 이루어지는 편평한 것이다. 발열부 (3a) 의 발열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양 시트 중 일방은 통기성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타방은 비통기성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시트 (3f) 및 제 2 시트 (3g) 의 상세는 후술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포장재 (3A) 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제 1 시트 (3f) 가 통기성 시트이고, 제 2 시트 (3g) 가 비통기성 시트인 양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본 명세서에 있어서, 통기성 시트 (3f) 는「제 1 시트 (3f)」로 적절하게 바꿔 읽을 수 있고, 비통기성 시트 (3g) 는「제 2 시트 (3g)」로 적절하게 바꿔 읽을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포장재 (3A) 는, 일방의 면이 통기성 시트 (3f) 로 이루어지고, 타방의 면이 비통기성 시트 (3g) 로 이루어지는 편평한 것임이 바람직하다.
즉, 발열체 (3) 는 전형적으로는, 발열부 (3a) 가 통기성 시트 (3f) 와 비통기성 시트 (3g) 사이에 협지되어 형성되어 있다. 발열부 (3a) 는, 통기성 시트 (3f) 와 비통기성 시트 (3g) 에 직접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포장재 (3A) 에 수용된 발열부 (3a) 도 편평한 것이다.
발열체 (3) 의 고정 상태의 예를 도 3 의 (a) 및 (b) 에 나타낸다.
포장재 (3A) 는, 통기성 시트 (3f) 와 비통기성 시트 (3g) 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서로 접합된 둘레 가장자리 접합부 (35) 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둘레 가장자리 접합부 (35) 보다 내측의 부분에 있어서 통기성 시트 (3f) 와 비통기성 시트 (3g) 가 비접합 상태로 되어, 주머니상의 포장재 (3A) 가 형성된다. 발열부 (3a) 는 포장재 (3A) 에 있어서의 둘레 가장자리 접합부 (35) 보다 내측의 부분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발열부 (3a) 를 평면에서 봤을 때의 외주 가장자리는 발열체 (3) 를 평면에서 봤을 때의 외주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발열체 (3) 는, 통기성 시트 (3f) 와 표면 시트 (5) 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자가 인접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발열체 (3) 는,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자가 인접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인접이란, 시트끼리가 다른 시트를 개재하지 않고 이웃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시트 사이에 접착제나 향료가 개재되어 있는 것은 허용된다.
또한, 도 3(a) 및 (b) 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 (5) 와 이면 시트 (6) 가 직접 접촉하고 있는 부위 (예를 들어, 길이 방향 (X) 의 중앙부) 에서는, 도 2(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제 (7) 에 의해 양 시트 (5, 6) 가 서로 접착되어 있지만, 설명의 편의상, 도 3(a) 및 (b) 에 있어서는 당해 부위에 있어서의 접착제 (7) 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발열체 (3) 는 전형적으로는, 포장재 (3A) 의 외면을 구성하는 비통기성 시트 (3g) 와, 온열구 (1) 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 (6) 의 내측의 면이, 접착제 (7) 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즉,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사이에, 이들 시트 (3g, 6) 를 접착하는 접착제 (7) 가 배치되어 있다.
각 시트 (3g, 6) 의 접합 양태는, 각 시트 (3g, 6) 의 대향면의 일부가 접착제 (7) 에 의해 접합되고, 그 이외의 면은 이면 시트 (6) 와 고정되어 있지 않은 양태여도 된다. 또한, 각 접착제 (7) 는 온열구 (1) 의 길이 방향 (X) 의 중앙역에 형성되어 있고, 온열구 (1) 의 종방향 (Y) 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 예를 도 3(a) 에 나타낸다.
또한, 각 시트 (3g, 6) 의 대향면 전체가 접착제 (7) 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이 예를 도 3(b) 에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길이 방향 (X) 의 중앙역이란, 부재의 길이 방향 (X) 의 전체 길이를 삼등분했을 때, 중앙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발열체 (3) 를 구성하는 발열부 (3a) 는, 공기 중의 산소와의 산화 반응에서 기인하는 발열에 수반하여, 소정 온도로 가열된 수증기가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발열부 (3a) 는, 공기 중의 산소와의 산화 반응에서 기인하는 발열을 발생시키는 피산화성 금속과, 활성탄과, 필요에 따라 전해질 및 물을 포함한다.
온열구 (1) 는, 향료 (8) 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료 (8) 는,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료를 미리 함침시킨 종이 등의 시트를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사이에 배치한 것이 아니라,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가 인접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향료 (8) 가,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사이에 시트나 접착제 등의 다른 부재를 개재하지 않고 실시되어 있는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료 (8) 의 전부가 접착제를 개재하고 있지 않은 예를 도 3(a) 에 나타낸다.
향료 (8) 가, 접착제 (7) 를 개재하고,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사이에 실시되어 있는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료 (8) 의 전부가 접착제를 개재하고 있는 예를 도 3(b) 에 나타낸다.
도 3(a) 및 (b)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접착제 (7) 가 배치된 영역과, 향료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평면에서 봤을 때 중복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도 3(a) 및 (b) 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향료 (8) 가 두께를 갖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의 제품에 있어서의 향료 (8) 는 두께를 실질적으로 갖고 있지 않다.
온열구 (1) 가 아이 마스크인 경우, 전형적으로는 귀걸이부 (4) 는 시트재로 이루어지고, 그 시트재에,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삽입 통과부 (4A) 가 형성된다.
삽입 통과부 (4A) 는, 귀걸이부 (4) 를 귀에 걸 때에 귀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 또는 관통 슬릿이다. 귀걸이부 (4) 는, 길이 방향 (X) 의 양 외단 영역에 있어서, 본체부 (2) 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 (5) 의 외면에 히트 시일이나 엠보스 등에 의해 접합될 수 있고, 이로써, 표면 시트 (5) 와 귀걸이부 (4) 가 접합된 접합 영역 (9) 이 형성된다.
접합 영역 (9) 은, 접합 단부 (9s) 를 축으로 하여, 귀걸이부 (4) 를 길이 방향 (X) 의 외방으로 반전시킬 때의 절곡부로서도 기능한다. 이로써, 각 귀걸이부 (4, 4) 를 사용자의 귀에 각각 걸어, 본체부 (2) 에 의한 사용자의 양안의 피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접합 영역 (9) 은 연속적으로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예를 도 2(a) 및 (b) 에 나타낸다.
온열구 (1) 에 있어서의 발열체 (3), 발열부 (3a), 접착제 (7) 및 향료 (8) 의 각 배치 위치를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하여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발열체 (3) 의 대향 예정면 (CS) 을「제 1 대향 예정면 (CS)」이라고도 하고, 발열부 (3a) 의 대향 예정면 (CS2) 을「제 2 대향 예정면 (CS2)」이라고도 한다.
발열체 (3) 의 대향 예정면 (CS) 은 발열체 (3) 의 배치 영역과 동의이고, 발열부 (3a) 의 대향 예정면 (CS2) 은 발열부 (3a) 의 배치 영역과 동의이다.
온열구 (1) 는,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사이에, 향료 (8) 와, 비통기성 시트 (3g) 및 이면 시트 (6) 를 접착하는 접착제 (7) 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에 이 예의 온열구 (1) 를 평면에서 본 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4(a) 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접착제 (7) 의 배치 위치 및 향료 (8) 의 배치 위치 그리고 발열체 (3) 의 대향 예정면 (CS) 및 발열부 (3a) 의 대향 예정면 (CS2) 만이 도시되어 있고, 그 밖의 구성 부재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향료 (8) 는, 바람직하게는 발열체 (3) 의 비통기성 시트 (3g)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는, 도 4(a) 의 형태에 상당하는 온열구 (1)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른 I-I 선에서의 단면도로서, 도 4(b) 에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접착제 (7) 는, 대향 예정면 (CS) 의 일부의 영역에 더하여, 대향 예정면 (CS) 이외의 외방의 영역의 전역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대향 예정면 (CS) 에 위치하는 접착제 (7) 에 의해, 비통기성 시트 (3g) 및 이면 시트 (6) 가 접착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전형적으로는 발열부 (3a) 는 발열체 (3) 의 외면을 구성하는 포장재 (3A) 의 둘레 가장자리 접합부 (35) 보다 내측의 부분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제 1 대향 예정면 (CS) 은 제 2 대향 예정면 (CS2) 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 1 대향 예정면 (CS) 의 평면적은 제 2 대향 예정면 (CS2) 의 평면적보다 크다.
온열구 (1) 는, 그 평면에서 봤을 때, 접착제 (7) 가 배치된 영역 (이하, 접착제 배치 영역이라고도 한다) (7A) 과, 접착제 (7) 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 (이하, 접착제 비배치 영역이라고도 한다) (7B) 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착제 배치 영역 (7A) 은, 평면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상인 2 개의 접착제 비배치 영역 (7B) 의 주위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착제 비배치 영역 (7B) 은, 온열구 (1) 의 종방향 (Y) 의 양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다.
동일하게, 온열구 (1) 는, 그 평면에서 봤을 때, 향료 (8) 가 배치된 영역 (이하, 향료 배치 영역이라고도 한다) (8A) 과, 향료 (8) 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 (이하, 향료 비배치 영역이라고도 한다) (8B) 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향료 배치 영역 (8A) 은, 평면에서 봤을 때, 종방향 (Y) 을 따라 연장되는 띠상의 영역으로 되어 있고, 발열체 (3) 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X) 의 중앙역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향료 배치 영역 (8A) 은 온열구 (1) 의 종방향 (Y) 의 양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다.
접착제 (7) 및 향료 (8) 의 각 배치 위치의 관계에 있어서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접착제 배치 영역 (7A) 과 향료 비배치 영역 (8B) 이 중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향료에 의한 접착제의 접착력의 저감을 방지하여, 온열구 (1) 의 구성 부재의 접합 강도를 충분히 발현시킬 수 있다. 또 온열구 (1) 의 사용시에 있어서 향료에 의한 양호한 방향 (芳香) 을 발현할 수 있어, 온열구의 사용감을 높일 수 있다.
온열구 (1) 를 평면에서 봤을 때, 접착제 배치 영역 (7A) 과 발열부 (3a) 의 배치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컨대, 온열구 (1) 를 평면에서 봤을 때, 접착제 배치 영역 (7A) 과 제 2 대향 예정면 (CS2) 이 중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온열구 (1) 의 구성 부재의 접합 강도를 충분히 발현시키면서, 발열체 (3) 로부터 발생한 온열에 수반하여, 향료가 온열구 (1) 의 주위로 휘발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온열구 (1) 의 사용시에 있어서 향료에서 기인하는 양호한 방향을 효율적으로 발현시켜, 사용자에게 기분 좋은 온감과 향기를 지각시킬 수 있다.
온열구 (1) 는, 발열부 (3a) 의 배치 영역, 즉 제 2 대향 예정면 (CS2) 에 있어서의 일부의 영역이 접착제 배치 영역 (7A) 과 중첩되어 있고, 제 2 대향 예정면 (CS2) 에 있어서의 그 이외의 영역은 접착제 비배치 영역 (7B) 과 중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양태로 접착제 비배치 영역 (7B) 을 가짐으로써, 접착제 배치 영역 (7A) 에서는 접착제 (7) 를 개재하여 발열체 (3) 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면서, 접착제 비배치 영역 (7B) 에서는 온열구 (1) 의 가요성이나 신장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온열구 (1) 의 사용시에 가열 대상체의 표면 구조에 추종하기 쉬워져, 사용자로의 피트성이 향상된다는 이점도 있다.
또, 온열구 (1) 를 평면에서 봤을 때, 접착제 배치 영역 (7A) 과 발열체 (3) 의 배치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컨대, 온열구 (1) 를 평면에서 봤을 때, 접착제 배치 영역 (7A) 과 제 1 대향 예정면 (CS) 이 중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온열구 (1) 의 구성 부재의 접합 강도를 충분히 발현시키면서, 발열체 (3) 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가열 대상체에 증기를 부여하기 쉽게 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기분 좋은 온감을 전달시킬 수 있다.
온열구 (1) 를 평면에서 봤을 때, 향료 배치 영역 (8A) 과 발열체 (3) 의 배치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컨대, 온열구 (1) 를 평면에서 봤을 때, 향료 배치 영역 (8A) 과 제 1 대향 예정면 (CS) 이 중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향료 배치 영역 (8A) 에 있어서 접착제가 배치된 경우라도, 당해 영역에 있어서의 발열체 (3) 가 표면 시트 (5) 또는 이면 시트 (6) 로부터 벗겨지기 쉬워져, 피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보다 현저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향료 (8) 는, 발열체 (3) 에 가까운 측인, 발열체 (3) 의 비통기성 시트 (3g)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온열구 (1) 의 사용시에 있어서 양호한 방향을 더욱 효율적으로 발현시켜, 사용감을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 향료 배치 영역 (8A) 은, 온열구 (1) 를 평면에서 봤을 때, 제 1 대향 예정면 (CS) 내에만 위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동일한 관점에서, 향료 배치 영역 (8A) 과 제 2 대향 예정면 (CS2) 이 중첩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온열구 (1) 를 평면에서 봤을 때, 발열체 (3) 의 배치 영역, 즉 제 1 대향 예정면 (CS) 에, 접착제 배치 영역 (7A) 과 향료 배치 영역 (8A) 이 중첩되어 있는 중복 영역 (Ad) 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의 온열구 (1) 를 평면에서 본 것을 도 5(a) 에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도 5(a) 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X) 을 따른 I-I 선에서의 단면에서 본 것을 도 5(b) 에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중복 영역 (Ad) 은, 온열구 (1) 를 평면에서 봤을 때 접착제 (7) 와 향료 (8) 가 함께 배치된 영역이고, 도시예에서는 종방향 (Y) 을 따라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온열구 (1) 는, 그 평면에서 봤을 때, 제 1 대향 예정면 (CS) 에, 접착제 배치 영역 (7A) 과 향료 비배치 영역 (8B) 이 중첩되어 있는 비중복 영역 (An) 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중복 영역 (An) 은, 온열구 (1) 를 평면에서 봤을 때 접착제 (7) 가 배치되고 또한 향료 (8) 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고, 도시예에서는 종방향 (Y) 을 따라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비중복 영역 (An) 은, 중복 영역 (Ad) 의 위치보다 온열구 (1) 의 길이 방향 (X) 의 중앙부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대향 예정면 (CS) 에 존재하는 접착제 (7) 에 의해, 비통기성 시트 (3g) 및 이면 시트 (6) 가 접착되어 있는 바, 중복 영역 (Ad) 과 비중복 영역 (An) 에 있어서,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의 박리 강도가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비중복 영역 (An) 에 있어서의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의 박리 강도가, 중복 영역 (Ad) 에 있어서의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의 박리 강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중복 영역 (Ad) 은 접착제 (7) 와 향료 (8) 가 함께 존재하므로, 전형적으로는,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의 접착력이 향료의 존재에 의해 저하될 수 있다.
온열구 (1) 의 사용시에 있어서, 길이 방향 (X) 을 따른 잡아늘임 등에 의해 부여되는 외력을 받는다. 이때, 중복 영역 (Ad) 에서는, 발열체 (3) 에 있어서의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의 적절한 박리가 발생하여, 가열 대상체로의 추종성 및 피트성을 높일 수 있다. 이 효과는, 예를 들어, 접착제 (7) 로서 후술하는 수성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현저하게 발휘된다.
또한, 비중복 영역 (An) 에서는, 외력을 받았을 때에도, 이면 시트 (6) 와 발열체 (3) 에 있어서의 비통기성 시트 (3g) 의 충분한 접합 강도를 발현한다. 그리고, 발열체 (3) 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가열 대상체에 온열을 부여하기 쉽게 하여, 사용자에게 기분 좋은 온감을 지각시킬 수 있다.
박리 강도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먼저 온열구에 콜드 스프레이를 분사하여 접착제를 고화시키고, 표면 시트 (5), 통기성 시트 (3f) 및 발열부 (3a) 를 손으로 신중하게 벗기거나 하여 제거한다. 그리고, 비통기성 시트 (3g) 및 이면 시트 (6) 의 적층체를 취출하여, 중복 영역 (Ad) 및 비중복 영역 (An) 의 존재 영역을 판단한다. 중복 영역 (Ad) 및 비중복 영역 (An) 의 유무는, 이면 시트 (6) 의 외면측으로부터 블랙 라이트를 쏘아, 자외선의 흡광도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흡광도가 큰 영역은 중복 영역 (Ad) 이라고 판단하고, 흡광도가 작은 영역은 비중복 영역 (An) 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중복 영역 (Ad) 또는 비중복 영역 (An) 을 포함하도록, 비통기성 시트 (3g) 및 이면 시트 (6) 의 적층체를, 길이 방향 (X) 30 ㎜ × 종방향 (Y) 15 ㎜ 의 측정편으로 하여, 톰슨날을 사용하여 타발 (打拔) 하여 잘라낸다. 측정편을 잘라내는 위치는, 도 5(a) 및 도 6(a) 를 예로 들면, 중복 영역 (Ad) 을 포함하는 측정편으로서 위치 (P1) 의 측정편으로 할 수 있고, 비중복 영역 (An) 을 포함하는 측정편으로서 위치 (P2) 의 측정편으로 할 수 있지만, 당해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복 영역 (Ad) 을 포함하는 측정편에 비중복 영역 (An) 이 포함되어 버리는 경우에는, 중복 영역 (Ad) 을 포함하는 측정편에 포함되는 비중복 영역 (An) 의 접착제를 녹이거나, 비중복 영역 (An) 을 손으로 벗기거나 하는 등 하여, 중복 영역 (Ad) 을 포함하는 측정편에 포함되는 비중복 영역 (An) 의 접합의 영향을 미리 배제해 둔다. 마찬가지로, 비중복 영역 (An) 을 포함하는 측정편에 중복 영역 (Ad) 이 포함되어 버리는 경우에는, 비중복 영역 (An) 을 포함하는 측정편에 포함되는 중복 영역 (Ad) 의 접착제를 녹이거나, 중복 영역 (Ad) 을 손으로 벗기거나 하는 등 하여, 비중복 영역 (An) 을 포함하는 측정편에 포함되는 중복 영역 (Ad) 의 접합의 영향을 미리 배제해 둔다.
이어서, 측정편의 비통기성 시트 (3g) 측을, 텐실론 만능 시험기 RTG1310 (주식회사 A & D) 의 일방의 척에 고정시키고, 측정편의 이면 시트 (6) 측을 타방의 척에 고정시켜, 이들 척 사이에 측정편을 세트한다. 척 사이의 거리는 20 ㎜ 로 한다. 그리고, 척을, 180°방향을 따라 300 ㎜/min 의 속도로 이동시켜,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를 박리시킨다. 이 때에 관찰되는 힘의 최대값 (N) 을 측정한다. 이 측정을, 1 개의 온열구로부터 1 개의 샘플을 취출함으로써, 5 개의 온열구를 사용하여 각각 5 회 반복하고, 그들의 산술 평균값을, 각 영역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 (N) 로 한다.
중복 영역 (Ad) 에 있어서의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의 박리 강도 (A) 는, 추종성 및 피트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 N 이상이다.
중복 영역 (Ad) 에 있어서의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의 박리 강도 (A) 는, 발열체 (3) 를 포장 필로우 내에서 어긋남을 억제하고자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 N 이하이다.
비중복 영역 (An) 에 있어서의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의 박리 강도 (B) 는, 발열체 (3) 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켜, 온열을 가열 대상체에 효율적으로 부여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 N 이상이다.
비중복 영역 (An) 에 있어서의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의 박리 강도 (B) 는, 접착제 (7) 의 평량을 최대한 적게 하고자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8 N 이하이다.
비중복 영역 (An) 에 있어서의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의 박리 강도 (B) 와, 중복 영역 (Ad) 에 있어서의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의 박리 강도 (A) 의 차 (B - A) 는, 장착시의 피트성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5 N 이상이다.
차 (B - A) 는, 접착제 (7) 의 사용량 삭감에 수반하는 제조 비용 삭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N 이하이다.
비중복 영역 (An) 에 있어서의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의 박리 강도 (B) 에 대한, 중복 영역 (Ad) 에서의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의 박리 강도 (A) 의 비 (A/B) 는, 장착시의 피트성 향상의 관점에서, 0.01 이상이 바람직하다.
비 (A/B) 는, 접착제 (7) 의 사용량 삭감에 수반하는 제조 비용 삭감의 관점에서, 0.3 이하가 바람직하다.
온열구 (1) 는, 길이 방향 (X) 을 따라 봤을 때의 접착제 배치 영역 (7A) 과 접착제 비배치 영역 (7B) 의 배치 형태가,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와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평면에서 봤을 때의 발열체 (3) 의 배치 영역인 제 1 대향 예정면 (CS) 에, 접착제 배치 영역 (7A) 과 접착제 비배치 영역 (7B) 이 길이 방향 (X) 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발열체 (3) 를 원하는 위치에 충분히 고정시키면서, 종방향 (Y) 을 따른 가요축을 접착제 비배치 영역 (7B) 에서 형성하기 쉽게 할 수 있으므로, 가열 대상체로의 충분한 온열의 부여와 피트성을 양립하여 향상시킬 수 있다.
온열구 (1) 는, 접착제 비배치 영역 (7B) 은 띠상으로 복수 조 형성되고, 종방향 (Y) 을 따라 각각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 비배치 영역 (7B) 은, 평면에서 봤을 때, 제 1 대향 예정면 (CS) 의 길이 방향 (X) 중앙역에 배치된 띠상의 접착제 배치 영역 (7A) 을 개재하여, 제 1 대향 예정면 (CS) 에 복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의 온열구 (1) 를 평면에서 본 것을 도 6(a) 에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도 6(a) 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X) 을 따른 I-I 선에서의 단면에서 본 것을 도 6(b) 에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착제 비배치 영역 (7B) 은 모두, 종방향 (Y) 의 양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다.
향료 배치 영역 (8A) 은, 평면에서 봤을 때, 종방향 (Y) 을 따라 연장되는 띠상의 영역으로 되어 있고, 발열체 (3) 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X) 의 중앙역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예에 있어서의 향료 배치 영역 (8A) 은 온열구 (1) 의 종방향 (Y) 의 양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다.
온열구 (1) 는, 제 1 대향 예정면 (CS) 에 중복 영역 (Ad) 및 비중복 영역 (An) 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중복 영역 (Ad) 은, 종방향 (Y) 을 따라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중복 영역 (An) 은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예에 있어서는, 비중복 영역 (An) 은, 평면에서 봤을 때의 중복 영역 (Ad) 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중복 영역 (Ad) 보다 온열구 (1) 의 길이 방향 (X) 의 중앙부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비중복 영역 (An) 은, 중복 영역 (Ad) 보다 온열구 (1) 의 길이 방향 (X) 외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평면에서 봤을 때, 제 1 대향 예정면 (CS) 에, 접착제 비배치 영역 (7B) 과 향료 배치 영역 (8A) 이 중첩되어 있는 영역과, 접착제 비배치 영역 (7B) 과 향료 비배치 영역 (8B) 이 중첩되어 있는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열구 (1) 는, 접착제 비배치 영역 (7B) 이 온열구 (1) 의 종방향 (Y) 의 양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접착제 비배치 영역 (7B) 이 발열체 (3) 로부터 발생한 온열의 유로가 되므로, 온열에 의해 휘발된 향료를 접착제 비배치 영역 (7B) 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온열구 (1) 의 사용시에 있어서 양호한 방향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지각시켜, 사용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 예의 온열구 (1) 를 평면에서 봤을 때를 도 7 에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접착제 배치 영역 (7A) 과, 발열체 (3) 또는 발열부 (3a) 의 배치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 경우, 제 1 대향 예정면 (CS) 또는 제 2 대향 예정면 (CS2) 에 위치하는 접착제 배치 영역 (7A) 은, 온열구 (1) 의 길이 방향 (X) 의 중앙역에 적어도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발열체 (3) 로부터 발생한 온열을 가열 대상체에 부여할 때에, 온열구 (1) 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발열체 (3) 와 가열 대상체의 거리를 균일하게 하여, 가열 대상체에 대한 온열의 부여 불균일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온열구의 사용자에게 기분 좋은 온감을 균일하게 지각시킬 수 있다.
접착제 배치 영역 (7A), 접착제 비배치 영역 (7B), 향료 배치 영역 (8A) 및 향료 비배치 영역 (8B) 은, 그 적어도 하나가, 온열구 (1) 를 길이 방향 (X) 으로 2 등분하여 종방향 (Y) 으로 연장되는 중심선 (CL) 을 대칭축으로 하여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모두가 중심선 (CL) 을 대칭축으로 하여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접착제 배치 영역 (7A), 접착제 비배치 영역 (7B), 향료 배치 영역 (8A) 및 향료 비배치 영역 (8B) 모두가 중심선 (CL) 을 대칭축으로 하여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중복 영역 (Ad) 및 비중복 영역 (An) 에 대해서도 중심선 (CL) 을 대칭축으로 하여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온열구 (1) 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발열체 (3) 와 가열 대상체의 거리를 균일하게 하여, 가열 대상체에 대한 온열의 부여 불균일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온열구의 사용자에게 기분 좋은 온감을 균일하게 지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온열구 (1) 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온열구 (1) 의 중심선 (CL) 을 통한 길이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에서 접착제 (7) 및 향료 (8) 의 배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온열구의 생산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제 1 대향 예정면 (CS) 에 위치하는 접착제 배치 영역 (7A)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른 길이 (D1) 는, 발열체 (3) 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쉽게 하여, 가열 대상체로의 온열의 부여를 효과적으로 실시하는 관점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상이다.
제 1 대향 예정면 (CS) 에 위치하는 접착제 배치 영역 (7A)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른 길이 (D1) 는 발열체 (3) 의 어긋남을 억제하여, 적절한 위치에서 가열 대상체에 온열을 부여시키는 관점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다.
온열구 (1)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른 길이 (전체 길이) 에 대한 상기 길이 (D1) 의 비율은, 발열체 (3) 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쉽게 하여, 가열 대상체로의 온열의 부여를 효과적으로 실시하는 관점에서, 백분율로 나타내어, 각각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다.
온열구 (1)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른 길이 (전체 길이) 에 대한 상기 길이 (D1) 의 비율은, 발열체 (3) 의 어긋남을 억제하여, 적절한 위치에서 가열 대상체에 온열을 부여시키는 관점에서, 백분율로 나타내어, 각각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 이하이다.
제 1 대향 예정면 (CS) 에 위치하는 접착제 비배치 영역 (7B)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른 길이 (D2) 는, 온열구 (1) 의 가요성을 높이고, 가열 대상체로의 피트성을 더욱 높이는 관점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이상이다.
제 1 대향 예정면 (CS) 에 위치하는 접착제 비배치 영역 (7B)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른 길이 (D2) 는, 접착제 비배치 영역 (7B) 내로의 의도하지 않은 이물질의 혼입을 저감시켜, 발열체 (3) 의 발열 특성을 충분히 유지하는 관점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다.
온열구 (1)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른 길이 (전체 길이) 에 대한 상기 길이 (D2) 의 비율은, 온열구 (1) 의 가요성을 높이고, 가열 대상체로의 피트성을 더욱 높이는 관점에서, 백분율로 나타내어, 각각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상이다.
온열구 (1)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른 길이에 대한 상기 길이 (D2) 의 비율은, 접착제 비배치 영역 (7B) 내로의 의도하지 않은 이물질의 혼입을 저감시켜, 발열체 (3) 의 발열 특성을 충분히 유지하는 관점에서, 백분율로 나타내어, 각각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다.
제 1 대향 예정면 (CS) 에 위치하는 중복 영역 (Ad) 의 길이 방향 (X) 의 길이 (D5) 는 피트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 ㎜ 이상이다.
제 1 대향 예정면 (CS) 에 위치하는 중복 영역 (Ad) 의 길이 방향 (X) 의 길이 (D5) 는, 발열체 (3) 의 고정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2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이하이다.
제 1 대향 예정면 (CS) 에 위치하는 비중복 영역 (An) 의 길이 방향 (X) 의 길이 (D6) 는, 발열체 (3) 의 고정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 ㎜ 이상이다.
제 1 대향 예정면 (CS) 에 위치하는 비중복 영역 (An) 의 길이 방향 (X) 의 길이 (D6) 는, 피트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2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이하이다.
제 1 대향 예정면 (CS) 에 위치하는 향료 배치 영역 (8A)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른 길이 (D8) 는 향료의 냄새 발현의 관점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4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다.
제 1 대향 예정면 (CS) 에 위치하는 향료 배치 영역 (8A)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른 길이 (D8) 는, 향료에 의해 지각되는 향기가 기분 좋아지는 정도로 최적화되는 관점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24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 이하이다.
제 1 대향 예정면 (CS) 에 위치하는 향료 비배치 영역 (8B)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른 길이 (D9) 는, 장착시의 가열 대상체로의 피트성 향상의 관점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다.
제 1 대향 예정면 (CS) 에 위치하는 향료 비배치 영역 (8B)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른 길이 (D9) 는, 발열체 (3) 의 고정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다.
온열구 (1) 에 사용되는 접착제 (7) 로는, 수성 접착제 및 유기계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수성 접착제는, 접착 성분이 물에 용해되어 있거나, 또는 접착 성분이 물에 O/W 에멀션의 양태로 분산되어 있는 것이다.
수성 접착제로는, 아세트산비닐 수지계 에멀션형 접착제, 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계 에멀션형 접착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계 에멀션형 접착제, 아크릴 수지계 에멀션형 접착제, 수성 고분자-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및 합성 고무계 라텍스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기계 접착제는, 접착 성분이 유기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되어 있는 것이다.
유기계 접착제로는, 엘라스토머계 접착제, 용제형 접착제 및 열가소성 수지계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엘라스토머계 접착제로는, 클로로프렌 고무계 접착제, 니트릴 고무계 접착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계 접착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계 접착제, 부틸 고무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변성 실리콘계 접착제, 실릴화우레탄계 접착제, 우레탄 고무계 접착제, 폴리설파이드계 접착제, 아크릴 고무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용제형 접착제로는, 아세트산비닐 수지계 용제형 접착제 및 고무계 용제형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계 접착제로는, 아세트산비닐 수지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수지계 접착제, 염화비닐 수지계 접착제, 아크릴 수지계 접착제, 폴리아미드계 접착제, 셀룰로오스계 접착제,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접착제, 폴리스티렌계 접착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폴리비닐아세탈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각종 접착제 중, 중복 영역 (Ad) 을 형성했을 때의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의 적당한 박리성을 효과적으로 발생시켜, 가열 대상체로의 추종성 및 피트성을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 접착제 (7) 로서 수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성 접착제만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향료를 구성하는 방향 성분이나 용제는, 전형적으로는 친유성이 높은 것이 사용되므로, 친유성이 높은 향료와, 친수성이 높은 수성 접착제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중복 영역 (Ad) 에 있어서의 접착제 (7) 의 접착력이 저감되고, 적당한 박리성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온열구 (1) 에 사용되는 향료 (8) 로는, 대기압하에서 대기 중에 휘발되는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방향 성분은, 상온 상압의 환경하에서 그 향기를 지각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향료를 구성하는 방향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합성 향료 화학과 상품 지식」(합성 향료 편집 위원회 편집, 화학 공업 일보사, 2016년 12월 20일 증보 신판) 에 기재된 성분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방향 성분으로서, 테르펜계 탄화수소, 알데히드류, 페놀류, 락톤류 등을 들 수 있다.
테르펜계 탄화수소로는, 미르센, 파르네센, 피넨, 리모넨, 캄펜, 펠란드렌, 테르피넨, 테르피놀렌, p-사이멘, 세드렌, 카리오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알데히드류로는, 헥실신나믹알데히드, 2-메틸-3-(4-tert-부틸페닐)-프로파날, 4-(4-하이드록시-4-메틸펜틸)-3-시클로헥센-1-카르복시알데히드, 바닐린 등을 들 수 있다.
페놀류로는, 방향족 알코올류 아네톨, 오이게놀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알코올류 아네톨, 혹은 오이게놀로는, 벤질알코올, 페닐에틸알코올, 팜플레플레르(2-메틸-4-페닐펜탄올), 디메틸벤질카르비놀, 페닐헥산올(3-메틸-5-페닐펜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락톤류로는, γ-노나락톤, γ-운데카락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향료에는,「복수의 향료에 의해 구성되는 향료 소재가 조합된 것 (향료 조성물) 으로, 용제에 의해 희석·조정된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향료로서, 장미, 라벤더, 자스민, 일랑일랑과 같은 향기를 갖는 향료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외에, 향료로서, 후술하는 각종 정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향료 (8) 는, 분자 구조에 테르펜을 포함하는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향료는, 상기 서술한 테르펜계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향료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영역 (Ad) 에 있어서 접착제 및 향료를 함께 사용한 경우라도, 발열체 (3) 와 이면 시트 (6) 의 충분한 접착 강도를 발현시킬 수 있다. 이것은, 접착제 (7) 로서 열가소성 수지계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에, 향료 (8) 와의 상용성을 높여, 향료에 의한 양호한 방향을 발현하면서도 접착 강도를 충분히 담보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제조 장치 (100) 는, 발열체 (3) 를 형성하기 위한 발열체 형성부 (110), 이면 시트 (6) 에 접착제 (7) 를 도포하기 위한 접착제 도포부 (120), 향료 (8) 를 도포하기 위한 향료 도포부 (130), 및 표면 시트 (5) 를 공급하여 발열체 (3) 를 유지하는 표면 시트 접합부 (150) 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을 갖는 제조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 8 에 나타낸다.
발열체 형성부 (110) 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공정에서 형성한 발열부 (3a) 를, 장척 띠상의 통기성 시트 (3f) 의 원단과, 장척 띠상의 비통기성 시트 (3g) 의 원단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공급하여, 발열체 (3) 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체 형성부 (110) 는, 히트 롤 등으로 이루어지는 1 쌍의 제 1 시일부 (111, 111) 와, 히트 롤 등으로 이루어지는 1 쌍의 제 2 시일부 (112, 112)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체 형성부 (110) 에 있어서의 각 시일부 (111, 112) 에 의해, 통기성 시트 (3f) 및 비통기성 시트 (3g) 사이에 발열부 (3a) 가 배치된 상태에서, 또한 발열부 (3a) 의 외주 가장자리의 외방으로 연장된 부위에 있어서, 둘레 가장자리 접합부 (35) 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발열부 (3a) 가 통기성 시트 (3f) 및 비통기성 시트 (3g) 로 이루어지는 포장재 (3A) 에 수용된 발열체 (3) 의 연속체 (3C) (이하, 이것을 발열체 연속체 (3C) 라고도 한다) 가 형성된다.
또한, 각 시일부 (111, 112) 의 반송 방향 (R) 의 하류측에는, 커터날을 갖는 커터 롤 (113) 과, 그 롤 (113) 에 대향 배치되는 앤빌 롤 (114) 이 배치된 커터부 (115), 또한 그 하류에 전사 드럼 (117) 및 리피치 드럼 (118) 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터부 (115) 는, 발열체 연속체 (3C) 가 양 롤 (113, 114) 사이에 공급됨으로써, 반송 방향 (R) 의 전후에 위치하는 발열부 (3a) 끼리의 사이에서 발열체 연속체 (3C) 를 절단하여, 개개의 발열체 (3) 를 형성할 수 있다.
전사 드럼 (117) 은, 그 둘레면에 발열체 (3) 를 전사하면서 반송시켜, 전사 드럼 (117) 에 근접하여 배치된 리피치 드럼 (118) 의 둘레면에 발열체 (3) 를 더욱 전사시킨다.
리피치 드럼 (118) 은, 그 둘레면에 전사된 발열체 (3) 의 반송 방향 (R) 전후의 간격을 넓히면서, 그 발열체 (3) 를 이면 시트 (6) 상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접착제 도포부 (120) 는, 발열체 형성부 (110) 와는 다른 장소로부터 반송되고 있는 장척 띠상의 이면 시트 (6) 의 원단의 일방의 면에 대하여, 접착제 (7) 를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도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료 도포부 (130) 는, 향료 (8) 를 온열구 (1) 의 구성 부재에 대해 분무 또는 도포 등을 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료 도포부 (130) 는, 전사 드럼 (117) 의 반송 방향 하류측이고, 또한 리피치 드럼 (118) 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발열체 (3) 의 비통기성 시트 (3g) 측의 외면에 대하여 향료를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표면 시트 접합부 (150) 는, 이면 시트 (6) 의 일방의 면에 발열체 (3) 가 배치된 적층체 (S1) 에 대하여, 장척 띠상의 표면 시트 (5) 의 원단을, 가이드 롤 (151) 을 개재하여 발열체 (3) 가 배치되어 있는 측에 공급하고, 표면 시트 (5) 와 이면 시트 (6) 사이에 발열체 (3) 를 유지시킨 본체부 연속체 (2A) 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제조 장치 (100) 는, 귀걸이부 형성부 (160) 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귀걸이부 형성부 (160) 는, 귀걸이부 (4) 를 형성하기 위한 장척 띠형의 귀걸이 시트 원단 (4S) 을 표면 시트 (5) 의 발열체 (3) 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에 공급하여,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귀걸이부 (4) 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귀걸이부 형성부 (160) 는, 커터 롤로 이루어지는 귀걸이 커터부 (161) 와, 히트 롤 등으로 이루어지는 귀걸이 시일부 (162)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귀걸이 커터부 (161) 는, 공급된 귀걸이 시트 원단 (4S) 에 대하여, 귀걸이부 (4) 를 외방으로 반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절단부를 귀걸이 시트 원단 (4S) 의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하면서, 삽입 통과부 (4A) 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 귀걸이 시일부 (162) 는, 그 시일부 (162) 사이에, 귀걸이 커터부 (161) 를 거친 귀걸이 시트 원단 (4S) 과 본체부 연속체 (2A) 를 공급하여, 본체부 연속체 (2A) 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 (5) 와 귀걸이 시트 원단 (4S) 을 접합하여, 접합 영역 (9) 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본체부 연속체 (2A) 에 귀걸이부 (4) 가 형성된 온열구 (1) 의 연속체 (1A) 가 형성된다.
제조 장치 (100) 는, 제품 커터부 (170) 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품 커터부 (170) 는 커터날을 갖는 커터 롤 (171) 과 그 롤 (171) 에 대향 배치되는 앤빌 롤 (172) 로 구성된다.
제품 커터부 (170) 는, 이들 롤 (171, 172) 사이에 온열구 (1) 의 연속체 (1A) 를 공급함으로써, 반송 방향 (R) 의 전후에 위치하는 발열체 (3) 끼리의 사이에서 온열구 (1) 의 연속체 (1A) 를 소정의 치수가 되도록 절단하여, 목적으로 하는 온열구 (1) 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온열구의 제조 방법은, 발열체 (3) 에 있어서의 비통기성 시트 (3g) 의 외면에 향료를 실시하는 공정 (부향 공정) 을 실시하고, 그 후, 이면 시트 (6) 와 비통기성 시트 (3g) 가 대향하도록 배치한 발열체 (3) 를 표면 시트 (5) 와 이면 시트 (6) 사이에 유지시키는 공정 (유지 공정) 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조 방법은, 부향 공정을 실시하기 전에, 발열체 (3) 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반송 방향 (R) 을 따라 반송되는 통기성 시트 (3f) 의 원단과, 반송 방향 (R) 을 따라 반송되는 비통기성 시트 (3g) 의 원단 사이에, 후술하는 발열 시트 또는 발열 조성물의 양태로 한 발열부 (3a) 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각 시일부 (111, 112) 에 의해, 발열부 (3a) 의 외주 가장자리의 외방으로 연장된 부위이며 또한 발열부 (3a) 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있어서, 통기성 시트 (3f) 및 비통기성 시트 (3g) 가 함께 접합되어, 둘레 가장자리 접합부 (35) 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편평한 포장재 (3A) 내에 발열부 (3a) 가 수용된 발열체 연속체 (3C) 가 제조된다.
발열체 연속체 (3C) 의 형성에 있어서는, 제조되는 온열구 (1) 의 사용시에 있어서 온열을 효율적으로 발현시키는 관점에서, 피산화성 금속 및 활성탄을 포함하고,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에서 기인하는 발열에 수반하여 증기의 발생이 가능한 발열부 (3a)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조되는 온열구 (1) 의 사용시에 있어서 가열된 수증기를 사용자에 대해 충분히 맞닿게 하여, 온열의 효과적인 부여를 실현시키는 관점에서, 투습성을 갖는 통기성 시트 (3f) 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제조 방법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형성한 발열체 연속체 (3C) 를, 반송 방향 (R) 의 전후에 있어서의 발열부 (3a) 끼리의 사이에서 절단하여, 개개의 발열체 (3) 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단된 각 발열체 (3) 는, 전사 드럼 (117) 및 리피치 드럼 (118) 의 각 둘레면에 전사되면서 반송된다.
이 때, 개개로 분단된 각 발열체 (3) 를 반송 방향 (R) 으로 반송한 상태에서, 전사 드럼 (117) 의 반송 방향 하류측이고, 또한 리피치 드럼 (118) 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 구비된 향료 도포부 (130) 에 의해, 리피치 드럼 (118) 의 둘레면에 전사된 발열체 (3) 의 비통기성 시트 (3g) 측의 외면에, 향료 (8) 를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실시하여, 부향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향료 (8) 가 실시된 발열체 (3) 는, 리피치 드럼 (118) 을 통해, 이면 시트 (6) 상에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열체 (3) 의 향료가 실시되는 면은, 리피치 드럼 (118) 의 둘레면과 대향하지 않는 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리피치 드럼 (118) 등의 제조 장치 (100) 에 향료 (8) 가 부착되지 않도록 발열체 (3) 를 부향 및 반송할 수 있어, 제조 장치의 오염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리피치 드럼 (118) 을 통해 반송되는 발열체 (3) 는, 이후의 공정에 있어서, 발열체 (3) 의 향료 (8) 가 실시되어 있는 면이, 이면 시트 (6) 와 대향하도록 공급 및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부향된 발열체 (3) 가 이후의 공정에 공급된 경우에도, 발열체 (3) 의 향료 (8) 가 실시되어 있는 면과, 제조 장치 (100) 에 구비된 컨베이어나 롤 등의 반송 수단을 접촉시키지 않고 반송할 수 있어, 제조 장치의 오염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부향 공정과는 별도로, 접착제 도포부 (120) 에 의해, 접착제 (7) 를 이면 시트 (6) 의 원단의 일방의 면에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도포하면서, 이면 시트 (6) 를 반송 방향 (R) 을 향하여 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체 (3) 를 소정의 위치에 순조롭게 배치시키는 관점에서, 접착제 (7) 는, 이면 시트 (6) 에 있어서의 발열체 (3) 와의 대향 예정면 (CS) 의 일부 또는 전역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면 시트 (6) 에 있어서의 발열체 (3) 와의 대향 예정면 (CS) 의 일부에 도포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접착제 (7) 가 대향 예정면 (CS) 의 일부에 도포되어 있음으로써, 접착제 (7) 가 도포된 부위에서는 접착제 (7) 를 개재하여 발열체 (3) 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면서, 접착제 (7) 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부위에서는 온열구 (1) 의 가요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얻어지는 온열구 (1) 의 사용시에, 사용자로의 피트성이 향상된다는 이점도 있다.
이어서, 반송된 이면 시트 (6) 에 있어서의 접착제 (7) 의 도포면에, 향료 (8) 가 실시된 발열체 (3) 를, 리피치 드럼 (118) 을 통해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이면 시트 (6) 에 있어서의 접착제 (7) 의 도포면과, 발열체 (3) 에 있어서의 비통기성 시트 (3g) 가 대향한 상태가 되도록, 발열체 (3) 가 이면 시트 (6)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열체 (3) 에 있어서의 향료 (8) 의 도포면과, 이면 시트 (6) 에 있어서의 접착제 (7) 의 도포면이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이면 시트 (6) 의 일방의 면에 발열체 (3) 가 배치된 적층체 (S1) 가 형성된다.
계속해서, 표면 시트 접합부 (150) 에 있어서, 적층체 (S1) 에 있어서의 발열체 (3) 의 통기성 시트 (3f) 의 면측에, 표면 시트 (5) 의 원단을 공급하고, 발열체를 유지시키는 (유지 공정)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된 표면 시트 (5) 는, 발열체 (3) 와 이면 시트 (6) 의 전역을 덮도록 배치되므로, 이면 시트 (6) 에 도포된 접착제 (7) 에 의해, 양 시트 (5, 6) 가 접합된다. 이로써, 발열체 (3) 가 표면 시트 (5) 와 이면 시트 (6) 사이에 유지된 것이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면 시트 (6) 에 있어서의 발열체 (3) 와의 대향 예정면 (CS) 의 일부 또는 전역에 접착제 (7) 가 도포되어 있는 경우, 접착제 (7) 를 개재하여 발열체 (3) 를 접합하면서, 발열체 (3) 가 표면 시트 (5) 와 이면 시트 (6) 사이에 유지된 것이 된다. 어느 경우라도, 표면 시트 접합부 (150) 를 거쳐 제조된 본체부 연속체 (2A) 는, 발열체 (3) 가 표면 시트 (5) 와 이면 시트 (6) 사이에 유지된 연속체의 것이다.
그 후, 귀걸이부 형성부 (160) 에 의해, 귀걸이 시트 원단 (4S) 을 본체부 연속체 (2A) 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 (5) 의 외면에 공급하고 접합하여, 접합 영역 (9) 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귀걸이부 (4) 가 형성된 온열구 (1) 의 연속체 (1A) 가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제품 커터부 (170) 에 있어서, 온열구 (1) 의 연속체 (1A) 를 소정의 치수가 되도록 개개로 분단하여, 도 1 에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온열구 (1) 를 얻는다. 이 온열구 (1) 는, 이것을 예를 들어, 파우치 주머니 등의 밀봉 포장재 내에 수용한 포장체의 상태로, 보관하거나, 혹은 시장에 유통시키거나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장치 (100) 는, 향료 도포부 (130) 의 배치 위치가 도 8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 (100) 와 상이해도 된다.
상세하게는, 향료 도포부 (130) 는, 1 쌍의 제 2 시일부 (112, 112) 의 배치 위치보다 반송 방향 (R) 하류측에 구비되어 있고, 커터부 (115) 의 배치 위치보다 반송 방향 (R) 상류측에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발열체 연속체 (3C) 의 비통기성 시트 (3g) 측의 외면에, 향료 (8) 를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을 갖는 제조 장치를 도 9(a) 및 (b) 에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조 장치 (100) 는, 발열체 연속체 (3C) 를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닙롤부 (180) 와, 발열체 연속체 (3C) 를 커터부 (115) 로 반송하기 위한 컨베이어부 (190)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장치 (100) 는, 향료 도포부 (130) 에 있어서의 향료의 토출구가 바람직하게는 상방을 향하고 있고, 그 토출구가 발열체 연속체 (3C) 를 구성하는 비통기성 시트 (3g) 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를 도 9(a) 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조 장치는, 컨베이어부 (190) 와, 발열체 연속체 (3C) 를 우회시켜 반송 가능하게 하기 위한 1 개 또는 2 개 이상의 가이드 롤 (191) 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장치 (100) 는, 향료 도포부 (130) 에 있어서의 향료의 토출구가 바람직하게는 하방을 향하고 있고, 그 토출구가 발열체 연속체 (3C) 를 구성하는 비통기성 시트 (3g) 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를 도 9(b) 에 나타낸다.
이 제조 장치 (100) 를 사용한 온열구 (1) 의 제조 방법은, 먼저, 발열체 연속체 (3C) 를 구성하는 비통기성 시트 (3g) 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 (6) 와의 대향 예정면에 대해 향료를 실시하는 공정 (부향 공정) 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향료 (8) 가 부향된 발열체 연속체 (3C) 를 개개의 발열체 (3) 로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면 시트 (6) 와 비통기성 시트 (3g) 가 대향하도록 배치한 발열체 (3) 를 표면 시트 (5) 와 이면 시트 (6) 사이에 유지시키는 공정 (유지 공정) 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체 연속체 (3C) 를 구성하는 비통기성 시트 (3g) 에 대한 부향 위치는, 평면에서 봤을 때 발열부 (3a) 와 중첩되는 위치로 할 수 있다.
부향 공정은, 상기 서술한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발열체 연속체 (3C) 를 형성한 후, 발열체 연속체 (3C) 를 발열체 (3) 로 분단하기 전에, 발열체 연속체 (3C) 의 비통기성 시트 (3g) 에 대해 향료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향 공정에서는, 발열체 연속체 (3C) 를 닙롤부 (180) 에 의해 가압하면서, 발열체 연속체 (3C) 를 구성하는 비통기성 시트 (3g) 에 대하여, 향료 (8) 를 상방으로 분사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를 도 9(a) 에 나타낸다.
또, 부향 공정에서는, 발열체 연속체 (3C) 를 우회시키도록 반송하면서, 발열체 연속체 (3C) 를 구성하는 비통기성 시트 (3g) 에 대하여, 향료 (8) 를 바람직하게는 하방으로 분사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함으로써, 향료 도포부 (130) 로부터의 향료 (8) 의 드리핑을 방지하여, 발열체 연속체 (3C) 또는 제조 장치 (100) 의 의도하지 않은 부위로의 향료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발열체 연속체 (3C) 의 원하는 위치에 향료를 부향하기 쉽게 할 수 있고, 또 제조 장치의 향료에 의한 오염이 저감된다. 이 예를 도 9(b) 에 나타낸다.
이어서, 향료 (8) 가 실시된 발열체 연속체 (3C) 는, 컨베이어부 (190) 에 의해 커터부 (115) 에 도입되어, 개개로 분단된 발열체 (3) 가 된다. 이 발열체 (3) 는, 그 비통기성 시트 (3g) 측에 향료 (8) 가 실시되어 있다.
이들 발열체 (3) 는, 전사 드럼 (117) 및 리피치 드럼 (118) 의 각 둘레면에 전사되면서 반송되고,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이면 시트 (6) 상에 공급된다. 발열체 (3) 에 있어서의 비통기성 시트 (3g) 는, 이면 시트 (6) 와 대향하도록 공급된다.
향료 (8) 가 실시된 발열체 연속체 (3C) 는, 그 향료 (8) 가 실시된 면과 컨베이어부 (190) 가 대향한 상태에서 반송될 수 있다. 또한, 개개로 분단된 발열체 (3) 는, 그 향료 (8) 가 실시된 면과 전사 드럼 (117) 이 대향한 상태로 반송될 수 있다. 이 때, 컨베이어부 (190) 나 전사 드럼 (117) 등의 제조 장치 (100) 의 구성 부재로의 향료 (8) 의 부착을 방지하여, 향료에 의한 제조 장치의 오염을 저감하는 관점에서, 향료 (8) 가 실시된 위치와, 컨베이어부 (190) 또는 전사 드럼 (117) 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향료 (8) 가 실시된 위치와 대향할 예정인 위치에서, 컨베이어부 (190) 에 가설되어 있는 반송 벨트가 존재하지 않도록 반송 벨트를 반송 방향 (R)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하거나, 전사 드럼 (117) 의 둘레면을 움푹 패이게 한 오목부를 전사 드럼 (117) 의 축 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배치하거나 할 수 있다.
그리고, 표면 시트 접합부 (150) 에 있어서, 표면 시트 (5) 와 이면 시트 (6) 를 접착제 (7) 를 개재하여 접합하여, 표면 시트 (5) 와 이면 시트 (6) 사이에 발열체 (3) 를 유지시키는 (유지 공정)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체부 연속체 (2A) 가 형성된다.
그 후, 귀걸이부 형성부 (160) 에 의해, 귀걸이부 (4) 및 접합 영역 (9) 이 형성된 온열구 (1) 의 연속체 (1A) 를 형성하고, 제품 커터부 (170) 에 있어서, 온열구 (1) 의 연속체 (1A) 를 소정의 치수가 되도록 개개로 분단하여, 목적으로 하는 온열구 (1) 를 얻는다.
본 발명의 제조 장치 (100) 는, 향료 도포부 (130) 의 배치 위치가 또한 도 8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 (100) 와 상이해도 된다.
상세하게는, 향료 도포부 (130) 는, 접착제 도포부 (120) 의 반송 방향 (R) 하류측에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이면 시트 (6) 에 있어서의 접착제 (7) 의 도포면측에, 향료 (8) 를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을 갖는 제조 장치를 도 10 에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이 제조 장치 (100) 를 사용한 온열구 (1) 의 제조 방법은, 이면 시트 (6) 에 있어서의 발열체 (3) 와의 대향 예정면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해 향료를 실시하는 공정 (부향 공정) 을 실시하고, 그 후, 이면 시트 (6) 와 비통기성 시트 (3g) 가 대향하도록 배치한 발열체 (3) 를 표면 시트 (5) 와 이면 시트 (6) 사이에 유지시키는 공정 (유지 공정) 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발열체 연속체 (3C) 를 형성한 후, 향료 (8) 를 실시하지 않고, 그대로 발열체 연속체 (3C) 를 커터부 (115) 에 도입하여, 개개로 분단된 발열체 (3) 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공정을 거쳐 얻어진 발열체 (3) 는 모두 향료 (8) 가 실시되어 있지 않다. 이들 발열체 (3) 는, 전사 드럼 (117) 및 리피치 드럼 (118) 의 각 둘레면에 전사되면서 반송되어, 이면 시트 (6) 상에 공급된다.
또한, 발열체 (3) 의 형성 공정과는 별도로, 접착제 도포부 (120) 에 의해, 접착제 (7) 를 이면 시트 (6) 의 원단의 일방의 면에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이면 시트 (6) 에 있어서의 발열체 (3) 와의 대향 예정면을 포함하는 면에 대하여 부향 공정을 실시한다. 이면 시트 (6) 에 있어서의 접착제 (7) 의 도포면은, 이후의 공정에 있어서 발열체 (3) 와 대향할 예정의 면이고, 또한 표면 시트 (5) 와 대향할 예정의 면이다. 즉, 향료 (8) 는, 향료 도포부 (130) 에 의해, 반송 방향 (R) 으로 반송되고 있는 이면 시트 (6) 에 있어서의 접착제 (7) 의 도포면과 동일한 면에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실시된다.
이어서, 반송된 이면 시트 (6) 에 있어서의 접착제 (7) 및 향료 (8) 가 배치된 면에, 향료 (8) 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발열체 (3) 를, 리피치 드럼 (118) 을 통해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발열체 (3) 의 발열 성능을 양호하게 발현시키는 관점에서, 이면 시트 (6) 에 있어서의 접착제 (7) 의 도포면과, 발열체 (3) 에 있어서의 비통기성 시트 (3g) 가 대향한 상태가 되도록, 발열체 (3) 가 이면 시트 (6)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이면 시트 (6) 의 일방의 면에 발열체 (3) 가 배치된 적층체 (S1) 가 형성된다.
계속해서, 표면 시트 접합부 (150) 에 있어서, 적층체 (S1) 에 있어서의 발열체 (3) 의 통기성 시트 (3f) 의 면측에 표면 시트 (5) 의 원단을 공급하고, 표면 시트 (5) 와 이면 시트 (6) 를 접착제 (7) 를 개재하여 접합하여, 표면 시트 (5) 와 이면 시트 (6) 사이에 발열체를 유지시키는 (유지 공정)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체부 연속체 (2A) 가 형성된다.
그 후, 귀걸이부 형성부 (160) 에 의해, 귀걸이부 (4) 및 접합 영역 (9) 이 형성된 온열구 (1) 의 연속체 (1A) 를 형성하고, 제품 커터부 (170) 에 있어서, 온열구 (1) 의 연속체 (1A) 를 소정의 치수가 되도록 개개로 분단하여, 목적으로 하는 온열구 (1) 를 얻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향료 (8) 의 배치 양태로는, 예를 들어, 이면 시트 (6) 에 있어서의 발열체 (3) 와의 대향 예정면 (CS) 의 일부에 접착제 (7) 를 도포하고, 그 후, 대향 예정면 (CS) 에 있어서의 접착제 (7) 의 비도포부에 향료 (8) 가 실시된 양태를 들 수 있다. 이 예를 도 11(a) 에 나타낸다.
 이와 같은 향료 (8) 의 배치 양태에서 얻어진 온열구 (1) 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도 3(a) 또는 도 4(a) 및 (b) 에 나타내는 양태가 될 수 있다. 또, 접착제 (7) 의 비도포부에 더하여, 접착제 (7) 의 도포부에도 향료 (8) 가 실시되는 경우, 얻어지는 온열구 (1) 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도 5(a) 및 (b), 도 6(a) 및 (b), 도 7 또는 도 8 에 나타내는 양태가 될 수 있다.
또 향료 (8) 의 다른 배치 양태로는, 예를 들어, 이면 시트 (6) 에 있어서의 발열체 (3) 와의 대향 예정면 (CS) 의 일부를 포함하도록 접착제 (7) 를 도포하고, 그 후, 대향 예정면 (CS) 의 일부의 영역에 배치된 접착제 (7) 상에 향료 (8) 를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실시된 양태를 들 수 있다. 이 예를 도 11(b) 에 나타낸다.
또 향료 (8) 의 또 다른 배치 양태로는, 예를 들어, 이면 시트 (6) 에 있어서의 발열체 (3) 와의 대향 예정면 (CS) 의 전역을 포함하도록 접착제 (7) 를 이면 시트 (6) 의 전역에 도포하고, 그 후, 접착제 (7) 가 배치된 임의의 위치에 향료 (8) 를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실시한 양태 등을 들 수 있다. 이 예를 도 11(c) 에 나타낸다.
상기 서술한 향료 (8) 의 배치 양태 중, 평면에서 봤을 때, 이면 시트 (6) 에 있어서의 접착제 (7) 의 도포 위치와, 향료 (8) 의 배치 위치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컨대, 접착제 도포부 (120) 에 의해, 이면 시트 (6) 에 있어서의 발열체 (3) 와의 대향 예정면 (CS) 에 접착제 (7) 를 도포하고, 그 후, 향료 도포부 (130) 에 의해, 도포된 접착제 (7) 상에 향료 (8) 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면 시트 (6) 의 접착제 (7) 상에 실시된 향료 (8) 와, 발열체 (3) 가 대향하도록 공급 및 배치되기 때문에, 향료 (8) 가 실시된 이면 시트 (6) 가 이후의 공정에 공급된 경우라도, 이면 시트 (6) 의 향료 (8) 가 실시되어 있는 면과, 제조 장치 (100) 에 구비된 컨베이어나 롤 등의 반송 수단을 접촉시키지 않고 반송할 수 있어, 제조 장치의 오염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이면 시트 (6) 와 향료 (8) 사이에 접착제 (7) 의 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도포된 향료 (8) 가 이면 시트 (6) 에 직접 도포된 경우와 비교하여, 향료 (8) 가 이면 시트 (6) 의 외면측으로 배어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향료의 배임에서 기인하는 제조 장치의 오염이나, 제조된 온열구 (1) 의 시트 외면의 끈적임 등의 불쾌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온열구 (1) 의 사용시에 있어서 향료에서 기인하는 양호한 방향을 발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향료는, 상기 서술한 방향 성분 외에, 로즈 오일, 라벤더 오일, 유칼리 오일, 캐모마일 오일, 라반딘 오일, 로즈마리 오일 및 제라늄 오일, 페퍼민트 오일 및 스피어민트 오일이나, 유자 등의 감귤류로부터 추출한 오일, 벚나무 등의 식물로부터 추출한 오일 등의 천연 정유나, l-멘톨 및 dl-멘톨 등을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향료와 함께,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트리아세틴, 1,3-부탄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에틸디글리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벤질벤조에이트, 트리에틸시트레이트 및 디에틸프탈레이트 등의 1 종 이상의 용제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부향 공정과 유지 공정을 구비하는 온열구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향료에 의한 제조 장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하나의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향료의 종류를 온열구 (1) 의 제품마다 변경하여 제조하는 경우에도, 장치에 부착된 향료를 제거하기 위한 청소 작업이 간편해지거나, 또는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청소 작업을 실시할 때에, 제조 장치 및 제조 라인을 정지하는 시간이 적어져, 장치의 보수성이 향상된다. 그 결과, 제품마다 상이한 향료가 실시된 온열구를 높은 생산 효율로 생산할 수 있다.
또, 발열체 연속체 (3C) 의 형성에 있어서, 히트 롤 등의 온도 조건이나 롤 사이의 클리어런스 조건을, 향료의 유무 혹은 사용하는 향료의 종류에 따라 그때마다 조정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온열구를 높은 생산 효율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향료를 실시한 온열구와 향료를 실시하지 않은 온열구를 동일한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경우에도, 향료를 실시하지 않은 온열구로의 향료의 냄새 옮김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10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조 장치 (100) 의 구성 부재끼리의 간격을 적절히 형성하여, 향료의 교환이나 제조 장치의 청소 등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하면서, 장치의 구성 부재에 접촉하기 어려운 위치에 향료가 실시되므로, 제조 장치의 보수성이 더욱 향상되고, 제품마다 상이한 향료가 실시된 온열구나, 향료를 부향한 온열구를 제조한 후, 향료를 부향하지 않는 온열구의 생산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또, 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온열구 (1) 는, 향료 (8) 가 비통기성 시트 (3g) 와 이면 시트 (6) 사이에 실시되어 있으므로, 온열의 발현에 기여하는 피산화성 금속과, 공기 중의 산소를 통기성 시트 (3f) 측으로부터 충분히 접촉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산화 반응에서 기인한 발열체 (3) 의 발열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또, 발생한 온열에 수반하여 향료를 휘발시켜, 온열구의 사용자에게 양호한 방향을 지각시켜,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향료 (8) 가 사용자에 직접 접촉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조된 온열구 (1) 의 사용시에, 향료에 의한 끈적임이 저감된다는 이점도 있다.
발열체 (3) 를 구성하는 제 1 시트 (3f) 및 제 2 시트 (3g), 그리고 귀걸이부 (4), 표면 시트 (5) 및 이면 시트 (6) 에 사용될 수 있는 시트재는, 이들의 통기성, 투습성, 감촉, 신축성, 강도나, 발열 시트 및 발열 조성물의 구성 재료의 누출 방지 등의 성질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하면 되고, 예를 들어, 부직포, 직포, 종이 등의 섬유 시트, 수지 발포 시트, 금속 시트 혹은 수지 필름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 사용된다.
시트가 통기성인지의 여부는, JIS P8117 에 준하여 측정된 통기도가 50000 초 이하인 시트를 「통기성 시트」로 하고, 그 통기도가 50000 초 초과인 시트를「비통기성 시트」로 한다.
또한, 시트가 투습성을 갖는지의 여부는, JIS Z0208 에 준하여 측정된 투습도가 100 g/㎡·24 hr 이상인 시트를「투습성 시트」로 하고, 그 투습도가 100 g/㎡·24 hr 미만인 시트를 「비투습성 시트」로 한다.
통기성 및 투습성이 높은 시트재로는, 멜트 블로운 부직포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감촉을 양호하게 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시트재로는, 에어스루 부직포나 서멀본드 부직포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신축성을 발현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시트재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에어스루 부직포나 스펀본드 부직포, 서멀본드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강도를 부여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시트재로는, 스펀본드 부직포나 스펀레이스 부직포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필요에 따라, 각종 부직포에 대하여 실리콘이나 계면 활성제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 이들 시트재는, 단일 원료로 이루어지는 섬유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섬유의 원료, 섬유 직경, 섬유의 권축의 정도 등이 상이한 섬유를 2 종 이상 혼합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각 시트재를 복수 장 적층하는 등의 방법으로 조합하거나 하여, 원하는 성질을 발현시킬 수도 있다.
향료 (8) 를 제 2 시트 (3g) 측에 양호하게 유지시키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제 2 시트 (3g) 의 외면은 펄프 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컨대, 온열구 (1) 는, 발열체 (3) 의 제 2 시트 (3g) 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 (6) 의 대향면에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펄프 섬유는 셀룰로오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바, 셀룰로오스 분자에는 친유성이 높은 메틸리딘기를 많이 포함한다. 메틸리딘기는, 상기 서술한 향료의 방향 성분과 친화성이 높기 때문에, 제 2 시트 (3g) 의 외면에 펄프 섬유가 존재함으로써, 도포된 향료 (8) 를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제 2 시트 (3g) 의 외면에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구성으로는, 제 2 시트 (3g) 로서 종이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제 2 시트 (3g) 를 비통기성으로 하여, 발열부 (3a) 의 발열 제어를 더욱 적절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비통기성의 수지 필름과 종이의 라미네이트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미네이트란, 종이의 섬유 사이에 수지 필름의 구성 수지가 존재함으로써, 필름과 종이가 박리 불가능하게 결합한 것이고, 양자를 접합하기 위해 다른 접착제는 사용하고 있지 않는 것이다.
발열부 (3a)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피산화성 금속 및 활성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부 (3a) 의 구체예로는, 피산화성 금속, 활성탄, 섬유상물, 전해질 및 물을 함유하는 섬유 시트로 구성된 발열 시트나, 피산화성 금속, 활성탄, 보수제, 전해질 및 물을 함유하는 페이스트상 또는 분체상의 발열 조성물을 구비한 것을 들 수 있다.
발열 시트나 발열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종 재료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02761호의 단락 [0010] ∼ [0017] 그리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40928호의 단락 [0029] ∼ [0034] 및 [0040] ∼ [0044] 에 기재된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1(a) 내지 (c) 에 나타내는 향료 (8) 는, 반송 방향 (R) 을 따라 간헐적으로 배치된 양태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트라이프상 (띠상), 산점상, 체크무늬 등의 양태로 하나 또는 복수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향료 (8) 의 배치 형태를 스트라이프상 (띠상) 으로 한 경우의 일 실시형태는, 도 4(a), 도 5(a), 도 6(a) 및 도 7 에 도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향료 (8) 는, 반송 방향 (R) 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온열구 (1) 에 있어서의 귀걸이부 (4) 의 형태는, 본체부 (2) 를 사용자의 양안에 고정 가능한 양태이면,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시트상의 부재에 한정되지 않고, 끈상, 사상 (絲狀) 또는 띠상의 부재나, 혹은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귀걸이부 (4) 를 채용하거나 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온열구 (1) 에 있어서의 발열체 (3) 의 형태는, 2 개의 발열체 (3) 가 이간되어 유지된 형태로서 설명했지만, 목적으로 하는 가열 대상체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열 대상체를 덮을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하나의 발열체 (3) 가 표면 시트 (5) 및 이면 시트 (6) 사이에 유지되고 있어도 되고, 3 개 이상의 발열체가 표면 시트 (5) 및 이면 시트 (6) 사이에 유지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향료에 의한 제조 장치나 제품의 오염을 방지하여, 온열구를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시에 있어서의 충분한 피트성과, 향료의 양호한 방향이 발현된 온열구가 제공된다.

Claims (30)

  1. 사용시에 가열 대상체와 대향하는 표면 시트와, 그 가열 대상체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와, 그 표면 시트와 그 이면 시트 사이에 협지된 발열체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표면 시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1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시트와, 그 제 1 시트와 그 제 2 시트에 협지된 발열부를 갖고,
    상기 제 2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향료와, 상기 제 2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를 접착하는 접착제가 배치되어 있고,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접착제가 배치된 영역과, 상기 향료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중첩되어 있고,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접착제가 배치된 영역과, 상기 발열부의 배치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 온열구.
  2. 사용시에 가열 대상체와 대향하는 표면 시트와, 그 가열 대상체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와, 그 표면 시트와 그 이면 시트 사이에 협지된 발열체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표면 시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1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시트와, 그 제 1 시트와 그 제 2 시트에 협지된 발열부를 갖고,
    상기 제 2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향료와, 상기 제 2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를 접착하는 접착제가 배치되어 있고,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접착제가 배치된 영역과, 상기 향료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중첩되어 있고,
    평면에서 봤을 때의 상기 발열체의 배치 영역에, 상기 접착제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향료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비중복 영역을 갖는, 온열구.
  3. 제 2 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봤을 때의 상기 발열체의 배치 영역에, 상기 접착제와 상기 향료가 함께 배치된 중복 영역을 갖고,
    상기 비중복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박리 강도가, 상기 중복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박리 강도보다 높은, 온열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가 인접하고 있고,
    상기 제 2 시트는 수지 필름과 종이의 라미네이트 시트인, 온열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향료가 배치된 영역은, 상기 발열부의 대향 예정면과 중첩되어 있는, 온열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과,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종방향을 갖고,
    상기 접착제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상기 종방향의 양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온열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아이마스크인, 온열구.
  8. 제 1 시트와 제 2 시트에 발열부가 협지된 발열체가, 사용시에 가열 대상체와 대향하는 표면 시트와, 그 가열 대상체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 사이에 유지된 온열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이면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발열체와의 대향 예정면의 일부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접착제 상에, 향료가 배치된 영역과 향료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이 형성되도록 향료를 실시하고, 그 후에,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제 2 시트가 대향하도록 상기 발열체를 배치하고, 상기 접착제를 개재하여, 그 발열체를 그 표면 시트와 그 이면 시트 사이에 유지시키는, 온열구의 제조 방법.
  9. 제 1 시트와 제 2 시트에 발열부가 협지된 발열체가, 사용시에 가열 대상체와 대향하는 표면 시트와, 그 가열 대상체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 사이에 유지된 온열구의 제조 방법으로서,
    장척 띠상의 상기 이면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발열체와의 대향 예정면에 향료를 실시하고, 그 후에,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제 2 시트가 대향하도록 상기 발열체를 배치하고, 그 발열체를 그 표면 시트와 그 이면 시트 사이에 유지시키거나, 또는
    상기 발열체의 연속체를 형성하고, 그 연속체의 상기 제 2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이면 시트와의 대향 예정면에 향료를 실시하고, 그 후에,
    상기 연속체를 절단하여 형성한 상기 발열체를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제 2 시트가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그 발열체를 그 표면 시트와 그 이면 시트 사이에 유지시키는, 온열구의 제조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가 인접하도록 배치하는, 온열구의 제조 방법.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구로서 아이마스크를 제조하는, 온열구의 제조 방법.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트로서, 수지 필름과 종이의 라미네이트 시트를 사용하고,
    상기 제 2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가 인접하도록 상기 발열체를 배치하는, 온열구의 제조 방법.
  13.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와의 대향 예정면 내에만 또한 상기 발열부와의 대향 예정면과 중첩되도록, 상기 향료를 실시하는, 온열구의 제조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를 형성하기 위한 발열체 형성부, 상기 이면 시트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접착제 도포부, 및 상기 향료를 도포하기 위한 향료 도포부를 구비하는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온열구를 제조하는, 온열구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장치는, 상기 표면 시트를 공급하고 상기 발열체를 유지하는 표면 시트 접합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향료 도포부는, 상기 접착제 도포부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이면 시트의 일방의 면에 상기 발열체가 배치된 적층체에 대해, 장척 띠상의 상기 표면 시트의 원단을 그 발열체가 배치되어 있는 측에 공급하고,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발열체를 유지시킨 본체부 연속체를 형성하는, 온열구의 제조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217041990A 2019-11-07 2020-09-11 온열구 및 온열구의 제조 방법 KR1024279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02437 2019-11-07
JP2019202437 2019-11-07
PCT/JP2020/034500 WO2021090575A1 (ja) 2019-11-07 2020-09-11 温熱具及び温熱具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626A KR20220003626A (ko) 2022-01-10
KR102427914B1 true KR102427914B1 (ko) 2022-08-01

Family

ID=7584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990A KR102427914B1 (ko) 2019-11-07 2020-09-11 온열구 및 온열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73089A1 (ko)
EP (1) EP3970673A4 (ko)
JP (2) JP6889321B2 (ko)
KR (1) KR102427914B1 (ko)
CN (1) CN114025720A (ko)
WO (1) WO202109057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24924A (ja) 2017-07-28 2019-02-21 花王株式会社 温熱具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2761A (ja) 2001-09-28 2003-04-08 Kao Corp 発熱成形体の製造方法
JP4761844B2 (ja) * 2005-06-09 2011-08-31 花王株式会社 目周囲の肌色改善器具
JP5284700B2 (ja) * 2007-11-09 2013-09-11 花王株式会社 発熱具
JP5317589B2 (ja) 2008-08-29 2013-10-16 花王株式会社 発熱具
JP5079117B2 (ja) * 2011-04-04 2012-11-21 花王株式会社 目周囲の肌色改善器具
JP5905683B2 (ja) * 2011-08-24 2016-04-20 花王株式会社 発熱具
RU2665146C2 (ru) * 2013-06-10 2018-08-28 Као Корпорейшн Согревающе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JP2016047478A (ja) * 2016-01-12 2016-04-07 花王株式会社 発熱具
WO2019039497A1 (ja) * 2017-08-23 2019-02-28 花王株式会社 温熱具
JP2019202437A (ja) 2018-05-22 2019-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ミシン目の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24924A (ja) 2017-07-28 2019-02-21 花王株式会社 温熱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44081B2 (ja) 2021-10-06
EP3970673A4 (en) 2023-07-19
US20220273089A1 (en) 2022-09-01
KR20220003626A (ko) 2022-01-10
CN114025720A (zh) 2022-02-08
JP2021100658A (ja) 2021-07-08
WO2021090575A1 (ja) 2021-05-14
JP2021074515A (ja) 2021-05-20
JP6889321B2 (ja) 2021-06-18
EP3970673A1 (en)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5961B2 (ja) 吸収性物品の個装体
HU220176B (hu) Egészségügyi betét
JP5913881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2020105643A (ja) マスク貼着用芳香シート及びそれが貼着されたマスク
KR102427914B1 (ko) 온열구 및 온열구의 제조 방법
WO2016002403A1 (ja) 吸収性物品包装体
KR101194517B1 (ko) 통기성 부직포 복합체 손발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JP2014156446A (ja) 制汗剤配合多重層汗取りシートの製造方法
WO2007081010A1 (ja) 両面凹凸状発熱体
JP5842037B1 (ja) 吸収性物品包装体
WO2018230651A1 (ja) 温熱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210630686U (zh) 三片式无挂耳口罩
JP3917607B2 (ja) 使い捨てカイ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28015A (ja) ミトン型クリーナ
JP2013059517A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
JP3957707B2 (ja) シート状発熱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578319B2 (ja) パンティライナーの包装構造
JP7288804B2 (ja) シート状マスクの製造方法
JP2006055272A (ja) 使い捨てカイロ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2044887A1 (ja) 個装吸収性物品
JP2023001652A (ja) マスク
WO2013038965A1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
JP2024052297A (ja) 機能性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JP2023012624A (ja) 保液層の製造方法
JP2022023514A (ja) シート状マスク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