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478B1 - 밸브 단열 구조 및 밸브 - Google Patents

밸브 단열 구조 및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478B1
KR102426478B1 KR1020207038100A KR20207038100A KR102426478B1 KR 102426478 B1 KR102426478 B1 KR 102426478B1 KR 1020207038100 A KR1020207038100 A KR 1020207038100A KR 20207038100 A KR20207038100 A KR 20207038100A KR 102426478 B1 KR102426478 B1 KR 102426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eat ring
heat insulating
box
valv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8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2780A (ko
Inventor
야스히로 토쿠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케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케이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케이엠
Publication of KR20220012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16K27/0218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과제] 본원 발명의 목적은, 유로를 지나는 유체와 밸브 구동부 사이의 단열을 할 수 있고, 밸브 구동부가 저온으로 되어 밸브 구동부에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 단열 구조 및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버터플라이 밸브(12)를, 통모양부(16)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18)를 가지는 밸브상자(14)와, 원통부(26)가 밸브상자(14)의 통모양부(16) 내에 끼워넣어진 시트 링(24)과, 시트 링(24)의 원통부(26) 내에 배치된 밸브체(30)와, 밸브상자(14)의 돌출부(18)에 접속하는 목 부재(40)와, 관통 방향 선단이 밸브체(30)에 고정된 밸브봉(32)과, 밸브상자(14)와 시트 링(24) 사이에 마련된 대략 링형상의 공간부(70)를 구비해서 구성했다.

Description

밸브 단열 구조 및 밸브
본원 발명은, 버터플라이 밸브 등의 밸브를 구성하는 밸브 단열 구조, 및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유체의 흐름을 폐쇄 또는 개방하기 위해서 버터플라이 밸브(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도 3에, 1예로서, 버터플라이 밸브(100)를 도시한다. 버터플라이 밸브(100)는, 밸브상자(104)와, 시트 링(110)과, 밸브체(108)와, 목 부재(112)와, 밸브봉(106)을 구비하고 있다. 밸브상자(104)는, 통모양부(103)와, 통모양부(103)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105)를 가진다. 시트 링(110)은, 원통부(109)를 가지고, 원통부(109)가 밸브상자(104)의 통모양부(103) 내에 끼워넣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밸브체(108)는, 시트 링(110)의 원통부(109) 내에 배치된다. 원통부(109)의 내측 중공부가 유로(102)를 구성한다. 목 부재(112)는, 회전 구동 수단이나 제어 수단 등을 가지는 밸브 구동부(도시하지 않는다)에 고정하는 플랜지(고정부)(118)를 가지고, 밸브상자(104)의 돌출부(105)에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밸브봉(106)은, 목 부재(112), 밸브상자(104)의 돌출부(105), 및 시트 링(110)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고, 관통 방향 선단(도시하지 않는다)이 밸브체(108)에 고정되고, 밸브체(108)와 함께 회전 중심(C0) 둘레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시트 링(110)은, 밸브체(108)가 맞닿는 시트부(114)를 가지고 있다. 목 부재(112)는, 통모양부(116)의 하부가 밸브상자(104)의 돌출부(105)에 삽입되어 있다.
버터플라이 밸브(100)는, 목 부재(112)의 플랜지(118)를 밸브 구동부에 고정해서 사용한다. 버터플라이 밸브(100)는, 유로(102)를 지나는 유체가 저온이면, 저온이, 밸브체(108), 시트 링(110), 밸브상자(104) 및 목 부재(112)의 통모양부(116)를 거쳐서 플랜지(118)에 전해지고, 플랜지(118)를 고정하는 밸브 구동부에 전해진다(열이 고온측의 밸브 구동부로부터 저온측의 유체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밸브 구동부가 저온으로 되어, 밸브 구동부에 결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밸브 구동부에 결로가 생기면, 결로의 적하(滴下)에 의해, 결로가 적하한 공장 등의 천정이나 벽에 얼룩이 생긴다. 또, 결로의 적하에 의해, 밸브 구동부의 주변의 기기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없게 되거나, 또는, 부식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버터플라이 밸브 자체의 결로 방지에 관한 문헌이 존재한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본원 발명에 관련한 것은 없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2359호
본원 발명의 목적은, 유로를 지나는 유체와 밸브 구동부 사이의 단열을 할 수 있고, 밸브 구동부가 저온으로 되어 밸브 구동부에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 단열 구조 및 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 발명의 밸브 단열 구조는,
통모양부와, 그 통모양부에 연속하는 연접부를 가지는 밸브상자와,
원통부를 가지고, 그 원통부가 상기 밸브상자의 상기 통모양부 내에 끼워넣어진 시트 링과,
상기 시트 링의 상기 원통부 내에 배치된 밸브체와,
밸브 구동부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밸브상자의 연접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는 목 부재와,
상기 목 부재, 상기 밸브상자의 상기 연접부, 및 상기 시트 링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고, 관통 방향 선단이 상기 밸브체에 고정된 밸브봉
을 구비한 밸브의 밸브 단열 구조이고,
상기 밸브상자와,
상기 시트 링과,
상기 밸브상자와 상기 시트 링 사이에 마련된 대략 링형상의 공간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원 발명의 밸브 단열 구조는, 상기 밸브 단열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 내에 대략 링형상의 단열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원 발명의 밸브 단열 구조는, 상기 밸브 단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는, 방사상(放射狀)으로 복수로 분할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밸브 단열 구조는,
통모양부와, 그 통모양부에 연속하는 연접부를 가지는 밸브상자와,
원통부를 가지고, 그 원통부가 상기 밸브상자의 상기 통모양부 내에 끼워넣어진 시트 링과,
상기 시트 링의 상기 원통부 내에 배치된 밸브체와,
밸브 구동부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밸브상자의 연접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는 목 부재와,
상기 목 부재, 상기 밸브상자의 상기 연접부, 및 상기 시트 링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고, 관통 방향 선단이 상기 밸브체에 고정된 밸브봉
을 구비한 밸브의 밸브 단열 구조이고,
상기 밸브상자와,
상기 목 부재와,
상기 밸브상자의 상기 연접부와 상기 목 부재 사이에 개재장착(介裝)된 단열성을 가지는 개재장착 부재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밸브는,
통모양부와, 그 통모양부에 연속하는 연접부를 가지는 밸브상자와,
원통부를 가지고, 그 원통부가 상기 밸브상자의 상기 통모양부 내에 끼워넣어진 시트 링과,
상기 시트 링의 상기 원통부 내에 배치된 밸브체와,
밸브 구동부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밸브상자의 연접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는 목 부재와,
상기 목 부재, 상기 밸브상자의 상기 연접부, 및 상기 시트 링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고, 관통 방향 선단이 상기 밸브체에 고정된 밸브봉과,
상기 밸브상자와 상기 시트 링 사이에 마련된 대략 링형상의 공간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밸브는, 상기 밸브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 내에 대략 링형상의 단열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밸브는, 상기 밸브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는, 방사상으로 복수로 분할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밸브는, 상기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봉과 반대 방향으로부터 상기 시트 링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고, 관통 방향 선단이 상기 밸브체에 고정된 보조 밸브봉을 구비하고,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보조 밸브봉을 회전가능하게 보존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밸브는,
통모양부와, 그 통모양부에 연속하는 연접부를 가지는 밸브상자와,
원통부를 가지고, 그 원통부가 상기 밸브상자의 상기 통모양부 내에 끼워넣어진 시트 링과,
상기 시트 링의 상기 원통부 내에 배치된 밸브체와,
밸브 구동부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밸브상자의 연접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는 목 부재와,
상기 목 부재, 상기 밸브상자의 상기 연접부, 및 상기 시트 링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고, 관통 방향 선단이 상기 밸브체에 고정된 밸브봉과,
상기 밸브상자의 상기 연접부와 상기 목 부재 사이에 개재장착된 단열성을 가지는 개재장착 부재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및 5에 관계된 본원 발명에 의하면, 밸브상자와 시트 링 사이에, 열 전도율이 낮은 공기가 존재하는 공간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시트 링으로부터 밸브상자에 저온이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로의 유체의 저온이, 시트 링, 밸브상자, 및 목 부재를 거쳐서, 밸브 구동부에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열이 고온측의 밸브 구동부로부터 저온측의 유체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저온의 유체와 밸브 구동부 사이의 단열을 행할 수 있고, 밸브 구동부가 저온으로 되어 밸브 구동부에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 및 9에 관계된 본원 발명의 밸브 단열 구조에 의하면, 밸브상자의 연접부와 목 부재 사이에, 단열성을 가지는 개재장착 부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유체의 저온은, 연접부로부터 목 부재에,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유체의 저온이 밸브상자 및 목 부재를 거쳐서 밸브 구동부에, 전해지기 어려워지고, 저온의 유체와 밸브 구동부 사이의 단열을 행할 수 있어, 밸브 구동부에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관계된 밸브 단열 구조 및 밸브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밸브를 조립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밸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원 발명에 관계된 밸브 단열 구조 및 버터플라이 밸브(밸브)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부호 (10) 및 (11)은, 본원 발명에 관계된 밸브 단열 구조이고, 부호 (12)는 본원 발명에 관계된 밸브이다. 이하, 밸브 단열 구조(10, 11) 및 버터플라이 밸브(12)에 대해서, 도 1 및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구성)
(밸브상자(14))
버터플라이 밸브(12)는, 통모양부(16)와, 통모양부(16)에 연속해서 통모양부(16)로부터 돌출하고, 중공부(76)를 가지는 돌출부(연접부)(18)를 가지는 밸브상자(14)를 구비한다. 밸브상자(14)는, 밸브상자 구성부품(14(1) 및 14(2))을 볼트(20) 및 너트(22)에 의해서 연결해서 형성된다. 밸브상자(14)는, 알루미늄(순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다. 밸브상자(14)는, 알루미늄 이외의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시트 링(24) 및 유로(27))
버터플라이 밸브(12)는, 원통부(26)를 가지고, 원통부(26)가 밸브상자(14)의 통모양부(16) 내에 끼워넣어지는 시트 링(24)을 구비한다. 시트 링(24)은, 고무 또는 수지로 형성된다. 시트 링(24)은, 예를 들면, EPDM(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또는 NBR(니트릴 고무)로 형성되고, 다른 고무 또는 수지로 형성되어도 좋다. 시트 링(24)은, Y축 방향(유로 방향)에 있어서, 후술하는 단열 부재(58)를 협지(挾持)하는 2개의 팽출부(膨出部)(25)를 구비한다. 시트 링(24)은, 후술하는 밸브체(30)가 맞닿아지는 시트부(28)를 가지고 있다. 시트부(28)는, 원통부(26)의 내면(26I)으로부터 돌출하고, 만곡된 띠모양이다. 시트부(28)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원통부(26)의 내측 중공부는, 유로(27)를 구성한다.
(밸브체(30))
버터플라이 밸브(12)는, 시트 링(24)의 원통부(26) 내에 배치된 밸브체(30)를 구비한다. 밸브체(30)는, 대략 원반형상(圓盤形狀) 또는 대략 원판형상(圓板形狀)이다. 밸브체(30)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된다. 밸브체(30)는, 스테인리스 이외의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밸브체(30)는, 후술하는 밸브봉(32)을 삽입해서 고정하는 고정구멍(34)과, 후술하는 보조 밸브봉(36)을 삽입해서 고정하는 고정구멍(38)을 구비하고 있다.
(목 부재(40))
버터플라이 밸브(12)는, 볼트(도시하지 않는다)에 의해서, 밸브 구동부(46)에 고정하는 플랜지(고정부)(42)와, 밸브상자(14)의 돌출부(18)에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원통모양(圓筒狀)의 접속부(44)를 가지는 목 부재(40)를 구비한다. 목 부재(40)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알루미늄 이외의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밸브 구동부(46)는, 밸브체(30) 및 후술하는 밸브봉(32)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 수단이나 제어 수단 등을 가지고 있다. 밸브 구동부(46)는, 레버식, 기어식, 실린더식, 전동식 등의 공지의 것이 이용된다. 접속부(44)는, 후술하는 개재장착 부재(48)를 거쳐서, 밸브상자(14)의 돌출부(18)에 볼트(78)에 의해서 고정된다. 플랜지(42)는, 열 전도율이 낮은 공기가 존재하는 공간(43)이 마련되어 있다. 공간(43)은, 결과적으로, 플랜지(42)와 밸브 구동부(46)와의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밸브봉(32))
버터플라이 밸브(12)는, 목 부재(40), 후술하는 개재장착 부재(48), 밸브상자(14), 및 시트 링(24)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고, 관통 방향 선단(52)이 밸브체(30)에 고정된 밸브봉(32)을 구비한다. 밸브봉(32)은, 스테인리스로 형성되고, 스테인리스의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밸브봉(32)은, 관통 방향 후단(54)이, 회전 구동 수단에 의해서 회전시켜지는 회전축(56)에 고정된다. 회전축(56), 밸브봉(32) 및 밸브체(30)는, 밸브 구동부(46)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밸브상자(14), 및 시트 링(24) 등에 대해서, 회전 중심(C1) 둘레로 회전한다. 밸브봉(32)은, 열 전도율이 낮은 공기가 존재하는 중공부(55)를 가진다. 밸브봉(32)과 회전축(56)과의 단열을 위해서이다.
(공간부(70) 및 단열 부재(58))
버터플라이 밸브(12)는, 밸브상자(14)의 통모양부(16)와 시트 링(24)의 원통부(26) 사이에 마련된 대략 링형상의 공간부(70)를 구비한다. 버터플라이 밸브(12)는, 통모양부(16)와 원통부(26) 사이의 공간부(70) 내에 대략 링형상의 단열 부재(58)를 구비한다. 단열 부재(58)는, 단열성을 가지는 수지로 형성되고, 예를 들면 POM(폴리아세탈)으로 형성되고, POM 이외의 단열성을 가지는 수지로 형성되어도 좋다. 단열 부재(58)는, 밸브상자(14)의 통모양부(16)와 시트 링(24)의 원통부(26) 사이에 협지되고, 시트 링(24)의 2개의 팽출부(25) 사이에 협지된다. 단열 부재(58)는, 단열 부재 구성부품(58(1), 58(2), 58(3) 및 58(4))이 조합되어 구성된다. 단열 부재 구성부품(58(1), 58(2), 58(3) 및 58(4))이, 시계 방향으로 배치되어 조합되는 것에 의해, 대략 링형상을 구성한다. 즉, 단열 부재(58)는, 방사상으로, 단열 부재 구성부품(58(1), 58(2), 58(3) 및 58(4))의 4개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다. 단열 부재 구성부품(58(1), 58(2), 58(3) 및 58(4))은, 각각, 시트 링(24)의 원통부(26)에 접촉하는 접촉판(57)과, 접촉판(57)으로부터 밸브상자(14)를 향해 팽출하는 복수매의 원호모양의 팽출부(59)와, 접촉판(57) 및 서로 대향(相對向)하는 2매의 팽출부(59)에 연속하는 복수매의 핀(fin)(61)을 구비한다. 복수매의 팽출부(59) 중의 서로 대향하는 2매와, 복수매의 핀(61) 중의 서로 대향하는 2매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공간(부재는 존재하지 않는다)이 복수개 형성된다. 이 공간의 각각에는, 열 전도율이 낮은 공기를 존재시킬 수가 있다.
단열 부재 구성부품(58(1))은, 밸브봉(32)이 삽입되는 구멍(孔)(62)이 마련되어 있다. 단열 부재 구성부품(58(1))은, 밸브상자(14)의 통모양부(16)와 시트 링(24)의 원통부(26) 사이에 협지되고, 밸브봉(32)이 구멍(62)에 삽입되고, 시트 링(24)의 2개의 팽출부(25)에 의해서 협지되는 것에 의해, 밸브상자(14) 등에 대한 XYZ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단열 부재 구성부품(58(3))은, 후술하는 보조 밸브봉(36)이 삽입되는 홀(穴)(64)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관통하는 것을 「구멍(孔)」이라고 말하고, 관통하지 않고 저면(底面)을 가지는 것을 「홀(穴, 움푹하게 파인 곳)」이라고 말한다. 단열 부재 구성부품(58(3)) 속의 홀(64)은, 보조 밸브봉(36)을 회전가능하게 보존유지한다. 단열 부재 구성부품(58(3))은, 밸브상자(14)의 통모양부(16)와 시트 링(24)의 원통부(26) 사이에 협지되고, 보조 밸브봉(36)이 홀(64)에 삽입되고, 시트 링(24)의 2개의 팽출부(25)에 의해서 협지되는 것에 의해, 밸브상자(14) 등에 대한 XYZ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단열 부재 구성부품(58(2) 및 58(4))은, 각각, 단열 부재 구성부품(58(1))과 단열 부재 구성부품(58(3)) 사이에 협지된다. 단열 부재 구성부품(58(2) 및 58(4))은, 밸브상자(14)의 통모양부(16)와 시트 링(24)의 원통부(26) 사이에 협지되고, 시트 링(24)의 2개의 팽출부(25)에 의해서 협지되고, 단열 부재 구성부품(58(1))과 단열 부재 구성부품(58(3)) 사이에 협지되는 것에 의해, 밸브상자(14) 등에 대한 XYZ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때문에, 단열 부재 구성부품(58(1))을, 시트 링(24)의 원통부(26)에 부착하고, 단열 부재 구성부품(58(3))을 원통부(26)에 부착해서 보존유지해 두고, 단열 부재 구성부품(58(2) 및 58(4))을 단열 부재 구성부품(58(1))과 단열 부재 구성부품(58(3)) 사이에 협지한 상태로 할 수가 있다. 이 상태에서, 단열 부재 구성부품(58(1), 58(2), 58(3) 및 58(4))을 감싸도록, 밸브상자 구성부품(14(1)과 14(2))을 조합하면, 단열 부재(58) 전체의 시트 링(24) 등에의 부착이 용이해진다.
(개재장착 부재(48))
버터플라이 밸브(12)는, 밸브상자(14)의 돌출부(18)와 목 부재(40)의 접속부(44) 사이에 개재장착되는 개재장착 부재(48)를 구비한다. 개재장착 부재(48)는, 단열성을 가지는 수지로 형성된다. 개재장착 부재(48)는, 예를 들면, POM(폴리아세탈)로 형성되고, POM 이외의 단열성을 가지는 수지로 형성되어도 좋다. 개재장착 부재(48)는, 돌출부(18)와 접속부(44)에 협지되는 피(被)협지부(66)와, 밸브봉(32)이 삽입되고, 돌출부(18)의 중공부(76)에 삽입되는 통모양부(68)를 구비한다. 개재장착 부재(48)는, 돌출부(18)와 접속부(44)가 볼트(78)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에 의해, 피협지부(66)가 돌출부(18)와 접속부(44) 사이에 협지되어 고정된다.
(보조 밸브봉(36))
버터플라이 밸브(12)는, 밸브봉(32)과 반대 방향으로부터 시트 링(24)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고, 관통 방향 선단(80)이 밸브체(30)에 고정되는 보조 밸브봉(36)을 구비한다. 보조 밸브봉(36)은, 스테인리스로 형성되고, 스테인리스 이외의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보조 밸브봉(36)은, 단열 부재 구성부품(58(3))의 홀(64)에 삽입되고, 홀(64)의 내주벽 및 저면(74)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보존유지된다.
(밸브 단열 구조(10 및 11))
밸브 단열 구조(10)는, 버터플라이 밸브(12)를 구성하고, 밸브상자(14)와, 시트 링(24)과, 공간부(70)와, 단열 부재(58)로 구성된다. 밸브 단열 구조(11)는, 버터플라이 밸브(12)를 구성하고, 밸브상자(14)와, 목 부재(40)와, 개재장착 부재(48)로 구성된다.
(작용 및 효과)
본원 발명의 버터플라이 밸브(12)의 유로(27)를 흐르는 유체와, 밸브 구동부(46)와의 사이의 단열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버터플라이 밸브(12)의 경우, 유로(27)에 저온의 유체가 흐르는 것에 의해, 유로(27)를 흐르는 유체의 저온은, 유체의 접촉 면적이 큰 시트 링(24)의 원통부(26)에 전해진다(열은 고온측의 원통부(26)로부터 저온측의 유체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저온은 원통부(26)의 외주면에 전해진다.
여기서, 밸브상자(14)의 통모양부(16)와 시트 링(24)의 원통부(26) 사이에는, 공간부(70)가 존재한다. 공간부(70) 내의 공기의 열 전도율은 낮기 때문에, 원통부(26)의 외주면의 저온은, 공간부(70)를 통해서 통모양부(16)에 전해지기 어려워진다(고온측의 통모양부(16)로부터 저온측의 원통부(26)로 열이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또, 공간부(70) 내에서는, 원통부(26)의 외주면과 단열 부재(58)와의 틈새(隙間)를 따라, 보다 저온의 공기는 하부로 이동하고, 보다 고온의 공기는, 밸브상자(14)의 상부의 돌출부(18)에 근접한 상부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저온은, 돌출부(18)에 전해지기 어려워지고, 돌출부(18)에 근접한 목 부재(40)에 전해지기 어려워진다(돌출부(18)와 목 부재(40) 사이에는, 개재장착 부재(48)가 존재하지만, 개재장착 부재(48)의 작용 및 효과는 후술한다.). 이것에 의해, 저온은, 목 부재(40)의 플랜지(42)에 전해지기 어려워지고, 플랜지(42)에 접하는 밸브 구동부(46)에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또, 플랜지(42)는, 플랜지(42)와 밸브 구동부(46)와의 단열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열 전도율이 낮은 공기가 존재하는 공간(43)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밸브 구동부(46)가 버터플라이 밸브(12) 위에 위치하는 경우, 저온이, 플랜지(42)로부터 밸브 구동부(46)에 전해지는 일은 없다(고온측의 밸브 구동부(46)로부터 저온측의 플랜지(42)로 열이 이동하는 일은 없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에 의해, 저온의 유체와 밸브 구동부(46) 사이의 단열을 행할 수 있고, 밸브 구동부(46)가 저온으로 되어 밸브 구동부(46)에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에 의하면, 저온의 유체와 밸브 구동부(46) 사이의 단열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저온의 유체와 밸브 구동부(46) 사이에서 단열을 행하기 위해서, 버터플라이 밸브를 열 전도율이 낮은 스테인리스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버터플라이 밸브를, 고가이고 고중량인 스테인리스와는 다른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버터플라이 밸브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 밸브상자(14)의 통모양부(16)와 시트 링(24)의 원통부(26) 사이의 공간부(70)에 단열 부재(58)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공간부(70) 내에, 열 전도율이 낮은 공기층 및 열 전도율이 낮은 단열 부재층의 2층이 존재한다. 이것에 의해, 원통부(26)의 외주면의 저온은, 밸브상자(14)를 거쳐서 밸브 구동부(46)에, 보다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또, 다른 물체간의 열전달에 의한 열손실에 의해, 원통부(26)의 외주면의 저온은, 밸브상자(14)를 거쳐서 밸브 구동부(46)에, 보다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이것에 의해, 유로(27)의 저온의 유체와 밸브 구동부(46) 사이의 단열을 행한다고 하는 상기 본원 발명의 효과가 현저하게 발생한다.
또, 본원 발명에 의하면, 밸브상자(14)의 돌출부(18)와 목 부재(40)의 접속부(44) 사이에, 단열성을 가지는 개재장착 부재(48)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저온은, 돌출부(18)로부터 접속부(44)에, 보다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또, 다른 물체간의 열전달에 의한 열손실에 의해, 저온은, 돌출부(18)로부터 접속부(44)에, 보다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유로(27)의 저온이 밸브상자(14) 및 목 부재(40)를 거쳐서 밸브 구동부(46)에, 보다 전해지기 어려워지고, 유로(27)의 저온의 유체와 밸브 구동부(46) 사이의 단열을 행한다고 하는 본원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발생한다. 또, 본원 발명에 의하면, 공간부(70)와 단열 부재(58)와 개재장착 부재(48)와의 상승(相乘) 효과에 의해, 유로(27)의 저온의 유체와 밸브 구동부(46) 사이의 단열을 행한다고 하는 본원 발명의 효과가, 더욱더 현저하게 발생한다.
또한, 밸브봉(32)은, 열 전도율이 낮은 공기가 존재하는 중공부(55)를 가지고, 길고 단면적이 작기 때문에, 유로(27)의 유체의 저온이, 밸브체(30)로부터 밸브봉(32)을 거쳐서 밸브 구동부(46)에 전해지는 일은, 거의 없다. 또, 밸브체(30)를 거쳐서 보조 밸브봉(36)에 전해진 저온은, 단열 부재 구성부품(58(3))의 홀(64) 부근에 의해서 차단되고, 밸브상자(14)에 전해지는 일은 없고, 밸브체(30)로부터 보조 밸브봉(36)에 전해진 저온이, 밸브상자(14) 등을 거쳐서 밸브 구동부(46)에 전해지는 일은 없다.
이상,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원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발생하는 범위에서 적당히(適宜) 변경을 가해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원 발명의 밸브는, 버터플라이 밸브에 한정되지 않고, 저온 유체가 사용되는 밸브라면, 밸브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원 발명의 버터플라이 밸브에는, 일축 편심(偏心), 이축 편심 및 삼축 편심의 것이 포함된다. 또, 본원 발명을 구성하는 단열 부재는, 4개로 분할되어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일체로 구성되어도 좋고, 2개, 3개 또는 5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구성되어도 좋다.
10, 11: 밸브 단열 구조
12: 버터플라이 밸브(밸브)
14: 밸브상자
14(1), 14(2): 밸브상자 구성부품
16: 통모양부
18: 돌출부(연접부)
24: 시트 링
25: 팽출부
26: 원통부
26I: 내면
27: 유로
28: 시트부
30: 밸브체
32: 밸브봉
36: 보조 밸브봉
40: 목 부재
42: 플랜지(고정부)
43: 공간
44: 접속부
46: 밸브 구동부
48: 개재장착(介裝) 부재
55: 중공부
56: 회전축
57: 접촉판
58: 단열 부재
58(1), 58(2), 58(3), 58(4): 단열 부재 구성부품
59: 팽출부
61: 핀
66: 피협지부
68: 통모양부
70: 공간부
74: 저면
C1: 회전 중심

Claims (11)

  1. 통모양부와, 그 통모양부에 연속하는 연접부를 가지는 밸브상자와,
    원통부를 가지고, 그 원통부가 상기 밸브상자의 상기 통모양부 내에 끼워넣어진 시트 링과,
    상기 시트 링의 상기 원통부 내에 배치된 밸브체와,
    밸브 구동부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밸브상자의 연접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는 목 부재와,
    상기 목 부재, 상기 밸브상자의 상기 연접부, 및 상기 시트 링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고, 관통 방향 선단이 상기 밸브체에 고정된 밸브봉
    을 구비한 밸브의 밸브 단열 구조이고,
    상기 밸브상자와,
    상기 시트 링과,
    상기 밸브상자의 상기 통모양부의 내주면과 상기 시트 링의 외주면 사이를 이격시켜서 마련된 링형상의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 내에 마련되어, 상기 밸브상자의 상기 통모양부의 내주면과 상기 시트 링의 외주면 사이에 협지되는 단열 부재로부터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단열 부재가, 상기 밸브상자와 상기 시트 링 사이의 내부에 복수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밸브 단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 내에 링형상의 단열 부재를 구비한, 밸브 단열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는, 방사상으로 복수로 분할되어 구성된, 밸브 단열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상자의 상기 연접부와 상기 목 부재 사이에 개재장착된 단열성을 가지는 개재장착 부재를 더 구비한, 밸브 단열 구조.
  5. 제 1 항에 기재된 밸브 단열 구조를 구비한, 밸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는, 방사상으로 복수로 분할되어 구성된, 밸브.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봉과 반대 방향으로부터 상기 시트 링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고, 관통 방향 선단이 상기 밸브체에 고정된 보조 밸브봉을 구비하고,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보조 밸브봉을 회전가능하게 보존유지하도록 구성된, 밸브.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상자의 상기 연접부와 상기 목 부재 사이에 개재장착된 단열성을 가지는 개재장착 부재를 구비한, 밸브.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07038100A 2020-07-22 2020-10-27 밸브 단열 구조 및 밸브 KR1024264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24972 2020-07-22
JPJP-P-2020-124972 2020-07-22
PCT/JP2020/040317 WO2022018879A1 (ja) 2020-07-22 2020-10-27 バルブ断熱構造、及びバル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780A KR20220012780A (ko) 2022-02-04
KR102426478B1 true KR102426478B1 (ko) 2022-07-27

Family

ID=79729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8100A KR102426478B1 (ko) 2020-07-22 2020-10-27 밸브 단열 구조 및 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2022137A (ko)
KR (1) KR102426478B1 (ko)
CN (1) CN114258468B (ko)
TW (1) TW202206734A (ko)
WO (1) WO2022018879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336B2 (ja) * 1989-10-02 1996-02-14 株式会社巴技術研究所 バタフライ弁
JP2562722B2 (ja) * 1990-07-20 1996-12-11 株式会社巴技術研究所 結露を防止したバタフライ弁
JP3121494B2 (ja) * 1994-05-12 2000-12-25 株式会社巴技術研究所 バタフライ弁
JPH0798071A (ja) * 1994-08-25 1995-04-11 Tomoe Gijutsu Kenkyusho:Kk バタフライ弁
JP3121518B2 (ja) * 1995-04-12 2001-01-09 株式会社巴技術研究所 バタフライ弁
JP3232260B2 (ja) * 1997-04-08 2001-11-26 株式会社巴技術研究所 バタフライ弁の結露防止装置
JP3087111B2 (ja) 1997-06-13 2000-09-11 株式会社キッツ バタフライバルブの結露防止装置
JP4860589B2 (ja) * 1997-11-05 2012-01-25 株式会社キッツ バタフライ弁
JP2005030435A (ja) * 2003-07-08 2005-02-03 Tomoe Tech Res Co バタフライ弁
KR100947498B1 (ko) * 2007-12-24 2010-03-17 주식회사 코펙스 고온 분철 가스제어용 사이클론 밸브
TWM509289U (zh) * 2015-05-22 2015-09-21 Pao-Ying Wang 蝶閥
CN208845820U (zh) * 2018-06-08 2019-05-10 捷斯特阀门(天津)有限公司 一种低导热不结露不锈钢蝶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780A (ko) 2022-02-04
WO2022018879A1 (ja) 2022-01-27
CN114258468A (zh) 2022-03-29
JP2022022137A (ja) 2022-02-03
CN114258468B (zh) 2024-04-09
TW202206734A (zh) 202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01737A1 (ja) 流体制御バルブ
US11143323B2 (en) Valve assembly
JP2019120252A (ja) バルブ装置
JP5586023B2 (ja) バタフライ弁およびシートリング
JP2017172754A (ja) 極低温用玉形弁
KR102426478B1 (ko) 밸브 단열 구조 및 밸브
US10760699B2 (en) Valve actuating thermal disk assembly
US20080173841A1 (en) Butterfly Valves And Construction Thereof
JP5985075B2 (ja) バタフライバルブ
US7954509B2 (en) Check valves with hinge shafts retained by welding
US3982727A (en) Flangeless valve
AU2021228453A1 (en) Valve
KR101842885B1 (ko) 안전 브레이크어웨이 커플링
JP7058736B2 (ja) 制御弁、流量制御弁
WO2020105582A1 (ja) トルク伝達軸
JP6712877B2 (ja) 非金属構成部品、シートリング、及びバタフライバルブ
HU185347B (en) Heating jacket globe valve
US1954597A (en) Transformer tank
JP6849258B1 (ja) バルブ構造及びバルブ
JP2874110B2 (ja) 高温用バルブ
JP3462079B2 (ja) 弁装置における弁開閉用トルク伝達軸の熱遮断構造
JP3952829B2 (ja) 排気管用球面継手
JP3965294B2 (ja) 防振管継手
JP2009221958A (ja) 排気管用管継手
JPH0681993B2 (ja) 結露を防止したバタフライ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