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605B1 - 팥말이빵 제조장치 및 팥말이빵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팥말이빵 제조장치 및 팥말이빵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605B1
KR102425605B1 KR1020197031939A KR20197031939A KR102425605B1 KR 102425605 B1 KR102425605 B1 KR 102425605B1 KR 1020197031939 A KR1020197031939 A KR 1020197031939A KR 20197031939 A KR20197031939 A KR 20197031939A KR 102425605 B1 KR102425605 B1 KR 102425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molding
forming
red bean
b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948A (ko
Inventor
도요히코 엔도
미노루 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마스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마스닥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마스닥
Publication of KR20190127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5/00Apparatus for handling baked articles
    • A21C15/02Apparatus for shaping or moulding baked wafers; Making multi-layer wafe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4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baking surfaces moving during the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21B5/02Apparatus for baking hollow articles, waffles, pastry, biscuits, or the like
    • A21B5/03Apparatus for baking hollow articles, waffles, pastry, biscuits, or the like for baking pancak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7/00Baking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5/00Apparatus for handling baked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5/00Dough-dividing machines
    • A21C5/006Dough-dividing machines for dispensing liquid or semi-liquid dough, e.g. batte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2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filled or to be filled after baking, e.g. sandwich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40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form or use
    • A21D13/44Pancakes or crêp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20Apparatus for coating or filling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Confectionery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과제] 연속 이송에 의하여 순환 주행하는 소성판 상에서 생지의 일단을 속을 향해서 접히도록 성형한 후, 더욱 속을 덮도록 성형하는 2단계의 성형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팥말이빵 제조장치 및 팥말이빵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에 따른 팥말이빵 제조장치는, 연속 이송에 의하여 순환 주행하는 소성판을 구비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반송 장치에 설치되는 성형 장치를 소유하고, 상기 성형 장치는 소성한 생지의 일단을 속인 소를 향해서 접히도록 성형하는 제1 성형부와, 제1 성형부에서 성형한 생지를 더욱 소를 덮도록 성형하는 제2 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팥말이빵 제조장치 및 팥말이빵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팥말이빵 제조장치 및 팥말이빵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특히 연속 이송에 의하여 순환 주행하는 소성판 상에서 생지의 일단을 속을 향해서 접히도록 성형한 후, 더욱 속을 덮도록 성형하는 2단계의 성형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팥말이빵 제조장치 및 팥말이빵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방향으로 긴 거의 직사각형으로 소성한 생지의 위에 소를 충전하고, 생지의 일단을 소를 향해서 접고, 더욱 접힌 생지마다 되접어서 소를 감싸도록 감은 팥말이빵이라는 과자가 있다.
종래 팥말이빵은, 장인의 손에 의하여 제조되었으며, 가열한 소성판의 위에 생지를 원하는 일방향으로 긴 거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공급하여 소성하고, 속인 소를 공급하여 주걱을 사용하여 생지의 일단을 접고, 접은 생지마다 더욱 손으로 접어서 취출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렇게 2단계로 성형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과자다. 팥말이빵은 2단계로 접는 것에 의하여 거의 3절의 형상을 소유한다.
여기에서, 팥말이빵은 이러한 2단계로 성형하는 과자를 대표하는 것으로 거론하였으나, 2단계째에서 1단계째의 접기부를 중심으로 롤 형상으로 말면, 대포 마키 등으로 대표되는 마키 과자도 유사한 과자라 할 수 있다. 이 외에 안에 충전하는 속도 팥소에 한정하지 않고 크림으로도 만들 수 있으며, 또한 크림과 팥 등과 같이 복수의 속을 충전해도 된다. 이렇게 2단계로 성형되는 일련의 과자는 향후 해외에도 퍼질 가능성이 있으며, 양산성이 뛰어난 제조 장치의 개발이 기다려진다.
이전보다, 거의 원형으로 성형한 생지에, 소 등의 재료를 충전하여 2절로 접어서 성형하는 과자가 제조되고 있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제조 장치도 개발되었다.
특허 문헌 1에는,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에, 시트 형상 소지를 재치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를, 이음매를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몰드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고, 플레이트 부재에 재치된 시트 형상의 소지에 충전 과자를 공급 후에 몰드의 이송과 동기화하여 몰드를 폐쇄하는 폐쇄 부재에 의하여 몰드를 폐쇄하여 절곡 과자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기재의 제조 장치에 따르면, 2절로 하여 성형하는 전용 몰드를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이며 효율적으로 절국 과자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성형은 2개로 절곡하는 1단계이나, 전체적으로 연속 이송이 아니라 간헐 이송이며, 양산성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전용 몰드를 사용함으로써, 성형하는 과자의 형상이 정해져 버리며, 또한, 몰드를 설치한 전용 컨베이어가 필요하여, 초기 투자도 증가하기 쉽다. 무엇보다 거의 3절 형상의 팥말이빵으로 대표되는 것과 같이 2단계의 성형에 의해 만들어지는 과자를 제조하는 데에는 맞지 않다.
특개평 06-6271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팥말이빵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 이송에 의하여 순환 주행하는 소성판 상에서 생지의 일단을 속을 향해서 접히도록 성형한 후, 더욱 속을 덮도록 성형하는 2단계의 성형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팥말이빵 제조장치 및 팥말이빵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팥말이빵 제조장치는, 연속 이송에 의하여 순환 주행하는 소성판을 구비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반송 장치에 설치되는 성형 장치를 소유하고, 상기 성형 장치는 소성한 생지의 일단을 속인 소를 향해서 접히도록 성형하는 제1 성형부와, 제1 성형부에서 성형한 생지를 더욱 소를 덮도록 성형하는 제2 성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성형부는, 회동하며 높이 방향과 생지의 반송 방향을 조합한 2차원 동작을 행하는 구동 축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반송되는 생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록 대기하여 선두측의 생지를 벗긴 후 회동하며 생지를 성형하고, 성형 동작과 같은 방향으로 더욱 회동하여 다음 대기 위치로 돌아가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성형부는, 생지를 접히도록 성형하는 스크레이퍼 또는 생지를 롤 형상으로 성형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팥말이빵의 제조 방법은, 연속 이송에 의하여 순환 주행하는 소성판을 구비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반송 장치에 설치되는 성형 장치를 소유하는 팥말이빵기에 의한 팥말이빵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성형 장치가 소성한 생지가 소를 덮도록 성형하는 성형 단계를 소유하고, 상기 성형 단계는, 상기 성형 장치의 제1 성형부에서 소성한 생지의 일단을 소를 향해서 접히도록 성형하는 제1 성형 단계와. 제1 성형 단계에서 성형한 생지를 상기 성형 장치의 제2 성형부에서 더욱 소를 덮도록 성형하는 제2 성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성형부는, 회동하며 높이 방향과 생지의 반송 방향을 조합한 2차원 동작을 행하는 구동 축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반송되는 생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대기하여 선두측의 생지를 벗긴 후 회동하며 생지를 성형하고, 성형 동작과 같은 방향으로 더욱 회동하여 다음 대기 위치로 돌아가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성형부는, 생지를 접히도록 성형하는 스크레이퍼 또는 생지를 롤 형상으로 성형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팥말이빵 제조장치는 상기 반송 장치에 설치되는 생지 충전기, 소성 장치, 속 충전기, 및 취출 장치와, 를 더욱 소유하고, 상기 성형 단계 전에, 상기 생지 충전기가 상기 생지 충전기의 호퍼에 충전된 생지를, 연속 이송에 의하여 순환 주행하는 소성판의 위에 원하는 형상이 되도록 토출하는 생지 토출 단계와, 상기 소성 장치가 토출한 생지를 소성하는 소성 단계와, 상기 속 충전기가 소성한 생지의 위에 속인 소를 토출하는 속 토출 단계와, 를 더욱 소유하고, 상기 성형 단계 후에, 상기 취출 장치가 성형한 생지를 취출하는 취출 단계를 더욱 소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팥말이빵 제조장치에 따르면, 생지의 일단을 속을 향하여 접히도록 성형하는 제1 성형부와, 제1 성형부에서 성형한 생지를 더욱 속을 덮도록 성형하는 제2 성형부를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팥말이빵이나 대포 마키 등의 단순한 2절 과자보다 복잡한 형상의 과자류를, 간헐 이송하지 않고 연속 이송에 의하여 순환 주행하는 소성판 상에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팥말이빵 제조장치에 따르면, 제1 성형부는 생지를 접기 위한 스크레이퍼, 제2 성형부는 더욱 생지를 접기 위한 제2의 스크레이퍼 또는 생지를 롤 형상으로 성형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원하는 형상의 과자를 형성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 상에 성형을 위한 개개의 몰드 등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 자체의 구조가 단순화되며, 초기 비용도 적어 범용성이 넓은 팥말이빵의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팥말이빵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
도 2는 도1의 팥말이빵 제조장치를 평면시에 의하여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이며, 도2 (a)는 전체 구성, 도2 (b)는 A부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
도 3은 도1의 팥말이빵 제조장치의 내부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이며, 도3 (a)는 전체 구성, 도3 (b)는 B부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팥말이빵 제조장치의 성형 장치에 따른 생지의 성형 동작을 설명하는 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팥말이빵 제조장치의 성형 장치에 따른 생지의 성형 동작을 설명하는 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팥말이빵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 차트.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팥말이빵 제조장치 및 팥말이빵의 제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구체예를, 도면을 참조하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팥말이빵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며, 도2는 도1의 팥말이빵 제조장치를 평면시에 의하여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2 (a)는 전체 구성, 도2 (b)는 A부의 상세를 도시한다. 또한 도3은 도1의 팥말이빵 제조장치의 내부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이며, 도3 (a)는 전체 구성, 도3 (b)는 B부의 상세를 도시한다.
도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팥말이빵 제조장치(1)는, 팥말이빵의 생지를 반송하는 소성판(11)을 복수 개 병렬하도록 설치하고, 연속 이송에 의하여 순환 주행시키는 반송 장치(10)와, 반송 장치(10)에 설치되는 생지 충전기(20), 소성 장치(30), 속 충전기(40), 성형 장치(50), 및 취출 장치(70)를 소유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의 반송 장치(10)에 생지 충전기(20), 소성 장치(30), 속 충전기(40), 성형 장치(50), 및 취출 장치(70)를 소유하는 일관 장치를 대표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나, 장치의 구성은 반드시 일관 장치일 필요는 없으며, 개별 장치를 조합하여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팥말이빵 제조장치(1)는, 원료를 소정량 배합하여 작성한 생지(201)를 소성판(11)의 위에 원하는 형상으로 토출하고, 반송하며 소성하고, 소성한 생지(201)의 위에 소(202)를 공급하여 소(202)를 감싸도록 성형하여 취출하기까지를 일관적이며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특히 팥말이빵 제조장치(1)는, 성형 장치(50)가 제1 성형부(51) 및 제2 성형부(52)의 2개의 성형부을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2단계의 가공이 필요한 과자 제품에서도, 가공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반송을 멈추는 간헐 이송 동작을 하지 않아도 연속적으로 가공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부의 구성을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형상의 과자 제조에 대응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하에 각 장치의 상세를 설명한다.
반송 장치 10은, 팥말이빵기(1)의 생지(201)를 반송하는 소성판(11)을 병치시켜서 설치하고, 연속적으로 순환시킨다. 소성판(11)을 취상류의 생지 충전기(20)에서 최하류의 취출 장치(70)에 이르기까지 수평으로 반송되고, 반송 장치(10)의 하류측 단부에 마련된 롤러 부분에서 접힌다. 계속해서 생지(201)를 재치하는 상면이 하방을 향하는 형태로 상류측으로 반송되고, 반송 장치(10)의 상류측 단부에 마련된 롤러 부분에서 접혀 다시 생지 충전기(20)의 위치로 돌아온다.
소성판(11)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소성 장치(30)를 통과하는 동안, 상하에서 가열 처리를 받고 생지(201)를 굽기 위해서, 열 전도성이 좋은 구리나 구리 합금 등의 금속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성판(11)은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서 순환 주행하는 반송 가이드에 나사 등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로써, 소성판(11)은, 상처가 생기거나 표면이 열화할 경우, 개별로 새로운 소성판(11)과 교환할 수 있다.
소성판(11)은, 상술과 같이 생지(201)를 재치하는 면이 항상 외측을 향하도록 순환 주행하므로, 실시 형태에서는, 소성판(11)이 하방을 향하여 반송되는 구간에, 소성판(11)에 부착된 생지(201)의 부스러기나 소(202)의 부착물 등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80), 및 새로운 생지(201)를 재치하기 전에, 생지(201)의 굽기를 깨끗하게 하고, 또한 성형 시에 소성판(11)에서 잘 벗겨내기 위한 기름을 도포하는 기름 도포 장치(급유 장치)(90)를 구비한다.
불순물 제거 장치(80)는, 회전 브러시를 구비하고, 소성판(11)의 하측에서 브러시의 선단이 소성판(11)에 갖다 댈 수 있는 거리로 유지한 상태에서 브러시를 회전시키고, 하향으로 반송되는 소성판(11)의 하면, 즉 생지(201)를 재치하는 면의 클리닝을 행한다. 이 때 제거한 생지(201)의 부스러기나 소(202)의 부착물 등이 비산하지 않도록, 회전 브러시의 주변에 비산 방지 커버나 집진기를 구비해도 된다.
기름 도포 장치(급유 장치)(90)는, 불순물 제거 장치(80)에서 깨끗하게 한 소성판(11)의 표면에 기름을 도포한다. 기름은 엷고 균일하게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실시 형태에서는 기름의 공급을 받으며 순환하는 부직포의 벨트를 방송되는 소성판(11)에 가볍게 대도록 하여 기름을 공급한다. 기름을 공급하는 부분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회전 롤러로 기름을 전사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생지 충전기(20)는, 생지(201)를 보관하는 호퍼(21), 호퍼(21) 내의 생지(201)를 소정량 소성판(11) 상에 토출하는 피스톤(22), 및 피스톤(22)의 움직임에 맞춰 생지(201)의 유로를 전환하는 밸브(23)를 포함한다. 또한, 생지(201)를 소성판(11)에 토출하는 부분은, 생지(201)가 원하는 형상이 되도록 노즐(24)을 구비한다.
생지(201)를 호퍼(21) 내에 공급한 후, 밸브(23)를 호퍼(21)에서 피스톤(22)으로의 유로를 연통시키는 위치에 회동하고, 피스톤(22)을 밀어 넣은 위치에서 돌아오면, 피스톤(22)을 둘러싸는 실린더 내에 생지(201)가 들어간다. 생지(201)는 피스톤(22)가 돌아오는 양에 따라 실린더 내에 들어가는 양이 변하므로, 1회의 토출에 필요한 생지(201)의 양에 따라, 피스톤(22)이 돌아오는 양을 조정한다.
실린더 내에 생지(201)를 넣은 상태에서, 밸브(23)를 피스톤(22)에서 노즐(24)로의 유로를 연통시키는 위치로 회동하고, 피스톤(22)을 누르면 실린더 내의 생지(201)가 노즐(24)을 개재하여 소성판(11) 상에 공급된다.
판소 감기에서는 생지(201)는 거의 직사각형으로 구울 필요가 있으므로, 실시 형태에서는, 노즐(24)은 반송 장치(10)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슬릿 형상의 개구 형상을 구비한다. 소성판(11)은 연속 반송되므로, 소성판(11)의 반송 속도에 맞춰 피스톤(22)의 누르는 속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소성판(11) 상의 생지(201)의 두께와 공급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팥말이빵 제조장치(1)는 한 번에 복수의 과자를 제조할 수 있으며, 복수의 과자를 제조하는 경우는, 피스톤(22)과 노즐(24)을 한 번에 제조할 과자의 수만큼 반송 장치(10)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한다. 도2에서는 하나의 소성판(11)에 12개의 생지(201)를 동시에 공급하여 제조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 수에 한정하지 않고 소성판(11)의 위에 들어가는 범위에서 공급하는 생지(201)의 수는 12개 보다 많아도 적어도 된다.
이렇게 피스톤(22)을 사용한 생지(201)의 공급 기구의 경우, 생지(201)의 공급에 관해서는, 피스톤(22)의 이동 속도의 조정에 의하여, 다양한 소성판(11)의 반송 속도에 대응할 수 있으나, 생지(201)를 넣는 동작 동안은 생지(201)의 공급에 대응할 수 없다. 그래서 실시 형태에서는 생지 충전기(20)는, 호퍼(21)를 포함하는 생지(201)의 공급 기구를, 반송 장치(10)의 반송 방향에 따라 일정 거리 이동하는 왕복 이동 수단을 구비한다.
생지 충전기(20)는, 왕복 이동 범위의 하류측 지점에서 생지(201)의 공급을 시작하고, 생지(201)를 공급하며 상류측에 생지(201)의 공급 기구를 이동하고, 왕복 이동 범위의 상류측 지점에서 공급을 종료한다. 이어서 생지(201)를 실린더 내에 넣으며 왕복 이동 범위의 하류측 지점으로 돌아가고, 다음 소성판(11)으로의 공급을 시작한다. 생지(201)를 넣는 동작 동안에도 소성판(11)은 반송되어 가나, 다음 소성판(11)에 맞추어 생지(201)의 공급 기구를 하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생지(201)이 공급되지 않는 시간을 실질적으로 캔슬할 수 있다. 이로써 반송 장치(10)의 반송 속도를 빠르게 해도 이에 추종한 생지(201)의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과 같이, 팥말이빵 제조장치(1)는, 팥말이빵에 특화된 제조 장치가 아니며, 팥말이빵으로 대표되는 다양한 2단 성형 과자를 제조하는 장치이다. 그래서 팥말이빵 이외의 과자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그 과자에 필요한 생지(201)의 형상에 맞추어 노즐(24)의 형상을 변경한다. 다양한 과자 형상에 대응하기 위해서, 복수 종의 노즐(24)을 교환하며 사용하도록 노즐 부분을 착탈 가능하게 해도 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생지 충전기(20)는, 반송 장치(10)의 반송 방향으로의 일정 거리의 왕복 이동 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였으나, 더욱 반송 장치(10)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 수단을 구비해도 된다. 혹은 이에 더하여 3차원 동작이 가능하도록 높이 방향의 이동 수단을 더욱 구비해도 된다. 생지(201)의 공급 기구의 동작에 자유도를 가지도록 하여, 노즐(24)도 다양한 노즐(24)로 교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종 다양한 생지 형상을 실현할 수 있다.
소성 장치(30)는, 소성판(11) 위에 공급한 생지(201)를 소성판(11)마다 가열하여 생지(201)를 소성하는 장치이다. 소성 장치(30)는, 도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생지(201)를 재치한 소성판(11)을 위에서 가열하는 상부 소성부(31)와 아래에서 가열하는 하부 소성부(32)를 포함한다. 팥말이빵 등 소(202)를 충전하여 성형하는 과자에서는, 소성판(11)에 접하는 생지(201)의 하면측이 과자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실시 형태의 팥말이빵기(1)에서는, 생지(201)의 하면측을 개끗한 색으로 하기 위하여 상부 소성부(31)에 대하여 하부 소성부(32)가 긴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과자의 종류에 따라서는 생지(201)의 상면도 깨끗한 색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으며, 상부 소성부(31)와 하부 소성부(32)의 길이는 동등하게 하여도 되며 상부 소성부(31)가 길게 하여도 된다.
소성 장치(30)의 열원으로서는 가스 버너여도 히터여도 IH 방식의 가열 방식이어도 된다. 또한 이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상부 소성부(31)와 하부 소성부(32)에서 열원을 다른 종류로 하여도 된다.
소성 장치(30)는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소성부(31), 하부 소성부(32) 모두 가열 유닛을 병치하는 형태로 구성하고, 소성하는 생지에 맞추어 적절하게 온도 제어할 수 있도록, 각 가열 유닛마다, 또는 복수 개를 모은 블록마다에 온도 조절기를 구비한다. 이를 위하여 설치 위치에 의하여 온도 설정을 조절함으로써, 제조하는 과자에 맞춘 온도 프로파일을 실현할 수 있다.
속 충전기(40)는, 과자에 충전하는 속, 즉 소(202)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생지 충전기(20)와 마찬가지로, 충전하는 소(202)를 보관하는 호퍼와 소(202)의 공급과 공급 정지를 전환하는 밸브와, 압력을 더하여 소(202)를 토출하는 피스톤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속 충전기(40)가 구비하는 밸브 및 피스톤은, 생지 충전기(20)가 구비하는 밸브(23) 및 피스톤(22)과 같은 구조여도 되며, 다른 구조여도 된다. 소(202)는 충전하는 생지(201)의 특정 위치에 특정 형상으로 공급되므로, 소(202)를 공급하는 노즐도 제조하는 과자에 맞추어 교환하며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공급하는 소(202)의 형상을 고려하여 호퍼를 포함하는 소(202)의 공급 기구를 1차원, 2차원, 또는 3차원적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수단을 마련해도 된다.
팥말이빵에서 소(202)는 팥소가 일반적이나, 속 충전기(40)는 소(202)로서 팥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종류의 속이나 크림 등 다양한 속에 대응 가능하다. 또한 충전하는 소(202)는 1종류에 한정하지 않고 2종류 이상의 소(202)를 충전하는 2색 충전 또는 다색 충전으로 해도 된다. 더욱 2종류의 소(202)를 충전하는 경우, 각각의 소(202)를 병치하거나 쌓거나 하여 공급해도 되나, 소(202)의 공급 유로를 2중 관으로 하고, 내관과 외관에서 각각 다른 소(202)를 공급하고, 외관측의 소(202)가 내관측의 소(202)를 감싸도록 공급하는 충전으로 하여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도3의 실시 형태에서는 속 충전기(40)의 호퍼는 내부에 격벽을 소유하고, 2종류의 소(202)를 충전하는 2색 충전용의 호퍼 구조를 도시한다. 2종류의 소(202)는 각각 개별로 마련된 밸브, 피스톤, 및 노즐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공급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2종류의 소(202)의 공급량과 배치는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팥말이빵 제조장치(1)의 속 충전기(40)는, 1차원, 2차원, 또는 3차원적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수단과 노즐의 조합에 의하여, 2종류의 소(202)를 생지(201)의 폭 방향으로 병치하거나, 교대로 배치하여 다양한 종류의 과자의 소(202)의 충전을 행할 수 있다.
성형 장치(50)는, 소(202)를 충전한 생지(201)를 성형하고, 거의 최종 형태가 되기까지 생지(201)의 형태를 만드는 장치이다.
팥말이빵과 같은 성형을 수반하는 과자에서는, 반송 장치(10)와 조합한 자동기에서도, 성형부에서 생지(201)의 성형 동안, 일단 반송을 멈추고, 성형 장치(50)에서 실시하거 나 성형한 생지(201)의 반송을 재개하는 이른바 간헐 이송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 방식에서는 반송이 멈추는 동안, 완성된 과자의 반출도 멈추므로, 과제 제조의 능력을 높이는 데에 한계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팥말이빵 제조장치(1)의 성형 장치(50)에서는, 반송 장치(10)의 반송 방향을 따라 상류측 제1 성형부(51) 및 하류측의 제2 성형부(52)를 구비한다.
속 충전기(40)의 가공을 종료한 시점에서, 생지(201)는 하면이 소성판 21에 접촉하여 평탄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평탄하게 펼쳐진 생지(201)의 상면의 일부 또는 전면에 소(202)가 재치된 상태이다. 여기에서 제1 성형부(51)에서는, 이어지는 제2 성형부(52)에서의 성형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생지(201)의 일단을 소성판(11)에서 벗겨내고, 소(202)를 향해서 접히도록 세우는 제1의 성형을 행한다. 이 때문에 제1 성형부(51)는 생지(201)를 소성판(11)에서 벗겨서 접히도록 성형하기에 적합한 스크레이퍼(54)를 포함한다.
스크레이퍼(54)는 도4,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하는 것과 같이, 반송되어 오는 생지(201)에 소정의 각도로 대치하며, 생지(201)를 벗겨서 접히도록 성형하기 위하여 회동하는 동작이 필요하다. 그래서 제1 성형부(51)의 스크레이퍼(54)는 회동하는 제1 구동 축(53)에 고정된다. 스크레이퍼(54)의 고정은, 제1 구동 축(53)의 외주부를 스크레이퍼(54)의 폭에 맞추어 감아서 평탄면을 형성하고, 도2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평탄면에 나사 멈춤으로 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다.
도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스크레이퍼(54)는, 생지 충전기(20)가 소성판(11) 상에 공급한 생지(201)의 수와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가 설치된다.
제2 성형부(52)는, 제1 성형부(51)가 성형한 생지(201)에 대하여 더욱 소(202)를 덮도록 제2의 성형을 행한다. 제2의 성형은, 제1의 성형을 바탕으로 더욱 접도록 성형해도 되고, 제1의 성형을 심으로 하여 롤 형상으로 성형해도 된다. 더욱 제2의 성형은, 제1의 성형을 한 일단과 대향하는 생지(201)의 타단측에서 소(202)를 덮도록 성형해도 된다.
제2의 성형이, 제1의 성형을 바탕으로 더욱 접도록 성형하는 경우는 스크레이퍼가 적절하며, 제1의 성형을 심으로 하여 롤 형상으로 성형하는 경우는, 롤러가 적절하다. 이렇게 제2 성형부(52)는 생지(201)를 접도록 성형하는 스크레이퍼 또는 생지(201)를 롤 형상으로 성형하는 롤러를 포함한다.
실시 형태에서는 스크레이퍼(54)는 평탄한 판상의 형상이다. 스크레이퍼(54)의 생지(201)에 접하는 면에는, 생지(201)의 부스러기나 소(202)의 일부가 부착하기 어렵게, 테프론(등록상표) 가공이나 미소한 돌기를 형성하는 등의 표면 처리를 하는 것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스크레이퍼(54)는 평탄한 판상이 아니며, 특히 상면측에 곡면 형상의 홈을 마련한 입체 형상으로 하고, 제1의 성형 시에 곡면 형상의 꺾임이 되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하여 전체적으로 둥근 과자를 실현할 수 있다.
제2 성형부(52)가 스크레이퍼(54)를 포함하는 경우, 스크레이퍼(54)는 제1 성형부(51)의 스크레이퍼(54)와 같은 형상으로 해도 되고, 길이나 재질 등이 다른 것으로 해도 된다. 제2 성형부(52)의 스크레이퍼(54)는 제2 구동 축(53)에 고정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스크레이퍼(54)는 제1 성형부(51)와 제2 성형부(52)에서는 공통되며, 또한 제1 구동 축(53)과 제2 구동 축(53)과는 공통의 구동 축이다.
제2 성형부(52)가 롤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2 구동 축(53)은 키 홈을 마련하고, 키를 사용하여 롤러를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성형 장치(50)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제1 성형부(51) 및 제2 성형부(52)를 구비함으로써 연속 반송되는 생지(201)에 대해서도 반송 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고 2단계의 성형을 행할 수 있으며, 제조 능력이 높은 팥말이빵기(1)를 실현할 수 있다.
성형 장치(50)에 의하여 2단계의 성형을 행한 생지(201)는, 거의 최종 형태의 형상이 되므로 취출 장치(70)에서 거의 그대로 취출해도 되나, 실시 형태의 팥말이빵기(1)에서는, 성형 장치(50)와 취출 장치(70)와의 사이에 소인 장치(60)를 구비한다.
소인 장치(60)는 성형한 생지(201)의 표면에, 상품명이나 제조 업체 등의 문자나 모양을 찍는 장치이다. 소인 장치(60)는 문자나 모양을 본뜬 소인 헤드와 소인 헤드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 및 가열한 소인 헤드를 생지(201)의 표면에 갖다 대기 위한 상하 이동 수단을 구비한다.
소인을 함으로써 생지(201)는 과자로서 완성된다. 도2의 실시 형태에서는 팥말이빵(200)으로서 완성된다. 완성된 과자는 취출 장치(70)에 의하여 취출된다.
취출 장치(70)는, 취출 동작 시에 완성된 과자를 소정의 위치에 멈추게 하는 억제부와, 과자를 건져 올리는 지지부를 소유한다.
억제부는, 과자의 전후에 각각 막음판이 오도록 2매의 막음판이 설치된 π 문자 형상을 소유한다. 지지부는, 과자와 소성판(11)과의 사이에 넣어서 과자를 건져 올리는 선단이 갈라진 포크 형상의 건짐판을 구비한다.
완성된 과자를 취출할 경우, 반송된 과자가 전후의 막음판의 사이에 오도록 억제부가 하강하고, 계속해서 지지부가 하류측에서 과자를 향하여 이동하고, 포크 형상의 건짐판을 과자와 소성판(11)과의 사이에 넣어서 억제부와 함께 상승하고, 반출대의 위에 이동 후 억제부와 함께 하강하고, 지지부가 하류측에 후퇴하여 과자를 반출대의 위로 이재한다.
이렇게, 팥말이빵기(1)는 생지(201)의 투입 후, 소성, 성형 등의 일련의 가공 처리를 행하고, 완성품을 취출할 때까지를 일관적으로 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술한 각 장치의 동작은, 도1에 도시하는 컨트롤러 패널(100)에 의하여 집중적으로 설정, 관리를 행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팥말이빵 제조장치의 성형 장치에 의한 생지의 성형 동작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4는, 상류측의 도 (a)에 도시하는 생지(201)의 위에 소(202)가 재치된 상태에서 하류측의 도 (h)에 도시하는 성형 종류의 상태까지 생지(201)가 반송되며 성형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a)~(h)의 상태 중, 도 (a)~(d)가 제1 성형부(51)에 의한 제1의 성형을 도시하고, 도 (e)~(h)가 제2 성형부(52)에 의한 제2의 성형을 도시한다.
도4를 참조하면, 소(202)가 재치된 생지(201)가 제1 성형부(51)의 위치까지 반송되면, 먼저 도 (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소정의 각도로 대기하는 스크레이퍼(54)에 의해, 반송 방향 선두측의 생지(201)가 소성판(11)에서 벗겨지고, 세워진다. 계속해서 스크레이퍼(54)가 세워진 생지(201)를, 소(202)를 향해서 접히도록 회동하며 성형을 진행한다(도 (c)). 더욱 스크레이퍼(54)는 회동을 계속하며 소(202)의 위로 접힐 때까지 성형을 행한다(도 (d)). 생지(201)에 탄력이 있어, 스크레이퍼(54)가 멀어진 후에, 생지(201)가 소(202)로부터 벗겨져 돌아올 경우에는, 제1의 성형 마지막에, 접은 생지(201)를 위에서 소(202)로 누르고, 생지(201)와 소(202)를 밀착시키는 동작을 행해도 된다.
제1의 성형 동안, 스크레이퍼(54)가 생지 201에 접하면서 회동하도록 동작시키기 위해서, 제1 구동 축(53)은, 회동하며, 높이 방향과 생지(201)의 반송 방향을 조합한 2차원 동작을 행한다. 이러한 2차원 동작은 모터 제어 또는 캠 기구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제1의 성형 후, 스크레이퍼(54)는 다음 생지(201)의 성형을 위하여 도 (b)의 상태로 이행하나, 도 (b)에서 도 (d)와 같이 회동한 것과 역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b)의 상태로 돌아가려고 하면, 성형한 생지(201)와 소성판(11)을 회피하기 위하여 제1 구동 축(53)을 도 (c)와 같이 일단 높게 들어 올릴 필요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불필요한 동작을 회피하기 위해서, 스크레이퍼(54)는 생지(201)를 성형할 때와 같은 방향으로 회동을 계속해서 도 (b)의 상태로 이행한다. 즉 도4에서는 생지(201)를 성형하는 동안, 스크레이퍼(54)는 제1 구동 축(53)의 둘레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나, 하나의 생지(201)를 성형하고 다음 생지(201)의 대기 상태에 이르는 동안 스크레이퍼(54)와 제1 구동 축(53)은 딱 1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동작함으로써, 다음 생지(201)로의 이행 동작으로 단시간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제1의 성형이 종료하면, 성형된 생지(201)는 제2 성형부(52)로 반송되고, 더욱 소(202)를 덮도록 성형된다. 도4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성형부(52)도 스크레이퍼(54)를 구비하고, 제2 성형부(52)의 스크레이퍼(54)도 제1 성형부(51)의 스크레이퍼(54)와 같은 동작을 행하고, 소(202)를 중심으로 생지(201)를 2회 접은 팥말이빵의 형상으로 성형을 행한다(도 (f)~(h)). 제2 성형부(52)의 다음 생지(201)로의 이행 동작도 상술한 제1 성형부(51)의 동작과 같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팥말이빵 제조장치의 성형 장치에 따른 생지의 성형 동작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5의 실시 형태도, 도4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생지(201)가 반송되며 성형되는 상태를 도시하나, 제2 성형부(52)가 스크레이퍼(54)가 아니라 롤러(55)를 구비하는 점이 상이하다.
제2 성형부(52)에서는, 회전하는 롤러(55)의 효과로 생지(201)는 롤러(55)의 회전에 따라 조금씩 소성판(11)에서 벗겨지며 둥근 형태를 띄며 성형되고, 롤 형상으로 말아진 형상으로 성형된다(도 (f)~(h)).
제2 성형부(52)가 롤러(55)를 구비하는 경우, 다음 생지(201)로의 이행 동작에서는 성형한 생지(201)를 회피하기 위하여 일단 상승한 후, 다음 생지(201)의 앞에 가공하는 동작을 행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팥말이빵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 차트이다.
도6을 참조하면, 단계 S100에서 생지 충전기(20)는, 소성판(11) 상에 생지(201)를 토출한다. 소성판(11)은 반송 장치(10)가 연속적으로 순환 주행하는 반송 가이드에 하나씩 복수 개가 병치하여 설치되고, 연속적으로 순환 주행한다. 그래서 생지 충전기(20)는, 생지 충전기(20)의 호퍼(21)에 충전된 생지(201)를, 순환 주행하는 소성판(11)의 위에 원하는 형상이 되도록 토출하는 피스톤(22)과 노즐(24)을 구비한다. 또한 생지 충전기(20)는, 반송 장치(10)의 반송 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왕복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피스톤(22)의 끌어 넣기 동작에 의해 실린더 내에 생지(201)를 넣고, 소성판(11)에는 생지(201)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시간대에 반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반송 장치(10)의 이송을 간헐 이송으로 하지 않고 생지(201)의 공급이 가능하다.
단계 S110에서, 소성 장치(30)이 반송되는 생지(201)를 소성한다. 소성 장치(30)는 생지(201)를 재치하여 반송하는 소성판(11)의 상하에 각각 소성부(상부 소성부(31), 하부 소성부(32))를 구비하고, 생지(201)를 상면, 하면의 양측에서 가역하여 소성을 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S120에서 속 충전기(40)가, 소성한 생지(201) 위에 충전되는 소(202)를 토출한다. 소(202)는 1종류에 한정하지 않고, 2종류 이상의 소(202)를 같은 생지(201) 상에 공급해도 된다.
2종류 이상의 소(202)를 공급할 경우, 소(202)의 종류별로 노즐(24)를 마련하고, 각각이 독립적으로 토출하는 위치와 양을 조정할 수 있다.
소(202)를 충전한 후에는, 성형 장치(50)로 소성한 생지(201)를 소(202)를 덮도록 성형한다. 성형 장치(50)는 연속 반송되는 생지(201)에 대하여, 늦지 않고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반송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1 성형부(51)와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2 성형부(52)를 구비한다.
단계 S130으로, 성형 장치(50)는, 제1 성형부(51)에 의하여 제1의 성형을 행한다. 제1 성형부(51)는 스크레이퍼(54)를 구비하고, 제1의 성형으로는 스크레이퍼(54)를 소정의 각도로 생지(201)의 선단측의 생지(201)와 소성판(11)과의 계면에 들어가도록 하여, 생지(201)의 일단을 소성판(11)에서 벗기며 세우고, 계속해서 소(202)를 향해서 접히도록 성형한다.
단계 S140에서, 제2 성형부(52)는, 제1의 성형이 종료한 생지(201)에 대하여, 더욱 소(202)를 덮도록 제2의 성형을 행한다.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성형부(52)는 스크레이퍼(54) 또는 롤러(55)를 구비한다.
제2 성형부(52)가 스크레이퍼(54)를 구비하는 경우, 제2 성형은 소(202)를 향해서 접히도록 성형한 생지(201)를 더욱 소(202)를 덮도록 접는다.
제2 성형부(52)가 롤러(55)를 구비하는 경우, 제2의 성형은 소(202)를 향해서 접히도록 성형한 생지(201)를 더욱 소(202)를 덮도록 롤 형상으로 말아 올린다.
마지막으로 단계 S150에서, 제2의 성형에 의하여 과자로서 완성 형상이 된 생지(201)를 취출 장치(70)에 의하여 취출한다. 취출 장치(70)는, 취출할 때 과자가 틀어지지 않도록 전후를 막는 막음판을 소유하는 억제부와 과자를 건져 올리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억제부에서 전후를 막으며 지지부를 넣어서 건져 올리고, 취출한 후에는 마찬가지로, 억제부에서 전후를 막으며 지지부를 되돌려 반출대 상에 이재하므로 성형한 과자를 변형시키지 않고 확실히 취출할 수 있다.
제2의 성형으로 완성 형상이 된 생지(201)에 소인을 하는 경우에는, 도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단계 S140과 단계 S150 사이에 소인 장치(60)로 소인을 행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며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1 : 팥말이빵 제조장치 11 : 소성판 10 : 반송 장치 20 :생지 충전기
21 : 호퍼 22 : 피스톤 23 : 밸브 24 : 노즐 30 : 소성 장치 31 : 상부 소성부
32 : 하부 소성부 40 : 속 충전기 50 : 성형 장치 51 : 제1 성형부
52 : 제2 성형부 53 : (제1) (제2) 구동 축 54 : 스크레이퍼 55 : 롤러
60 : 소인 장치 70 : 취출 장치 80 : 불순물 제거 장치
90 : 기름 도포 장치(급유 장치) 100 : 컨트롤 패널 200 : 팥말이빵
201 : 생지 202 : 소

Claims (5)

  1. 연속 이송에 의하여 순환 주행하는 소성판을 구비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반송 장치에 설치되는 성형 장치를 소유하고, 상기 성형 장치는 소성해서 소성판 위의 생지의 일단을 속인 소를 향하여 접히도록 성형하는 제1 성형부와, 제1 성형부로 성형한 생지를 더욱 소를 덮도록 성형하는 제2 성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성형부는, 소성판의 위쪽으로 회동하며 높이 방향과 생지의 반송 방향을 조합한 2 차원 동작을 행하는 구동 축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반송되는 생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대기하여 선두측의 생지를 소성판으로부터 벗긴 후 회동하며 생지를 성형하고, 성형 동작과 같은 방향으로 더욱 회동하여 다음 대기 위치로 돌아가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팥말이빵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성형부는, 생지를 접도록 성형하는 스크레이퍼 또는 생지를 롤 형상으로 성형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팥말이빵 제조장치.
  3. 연속 이송에 의하여 순환 주행하는 소성판을 구비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반송 장치에 설치되는 성형 장치와를 소유하는 팥말이빵 제조기에 의한 팥말이빵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성형 장치가 소성해서 소성판 위에 반송된 생지가 소를 덮도록 성형하는 성형 단계를 소유하고,
    상기 성형 단계는, 상기 성형 장치의 제1 성형부에서 소성한 생지의 일단을 소를 향해서 접히도록 성형하는 제1 성형 단계와, 제1 성형 단계에서 성형한 생지를 상기 성형 장치의 제2 성형부에서 더욱 소를 덮도록 성형하는 제2 성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성형부는, 소성판의 위쪽으로 회동하며 높이 방향과 생지의 반송 방향을 조합한 2 차원 동작을 행하는 구동 축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반송되는 생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대기하여 선두측의 생지를 소성판으로부터 벗긴 후 회동하며 생지를 성형하고, 성형 동작과 같은 방향으로 더욱 회동하여 다음 대기 위치로 돌아가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팥말이빵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성형부는, 생지를 접도록 성형하는 스크레이퍼 또는 생지를 롤 형상으로 성형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팥말이빵의 제조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팥말이빵 제조장치는 반송 장치에 설치되는 생지 충전기, 소성 장치, 속 충전기, 및 취출 장치를 더욱 소유하고,
    상기 성형 단계 전에, 상기 생지 충전기가 상기 생지 충전기의 호퍼에 충전된 생지를, 연속 이송에 의하여 순환 주행하는 소성판의 위에 원하는 형상이 되도록 토출하는 생지 토출 단계와, 상기 소성 장치가 토출한 생지를 소성하는 소성 단계와, 상기 속 충전기가 소성한 생지의 위에 속인 소를 토출하는 속 토출 단계를 더욱 소유하고,
    상기 성형 단계 후에, 상기 취출 장치가 성형한 생지를 취출하는 취출 단계를 더욱 소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팥말이빵의 제조 방법.
KR1020197031939A 2018-03-14 2019-03-11 팥말이빵 제조장치 및 팥말이빵의 제조 방법 KR102425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46704 2018-03-14
JP2018046704A JP6457676B1 (ja) 2018-03-14 2018-03-14 あん巻き機及びあん巻きの製造方法
PCT/JP2019/009819 WO2019176884A1 (ja) 2018-03-14 2019-03-11 あん巻き機及びあん巻き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948A KR20190127948A (ko) 2019-11-13
KR102425605B1 true KR102425605B1 (ko) 2022-07-26

Family

ID=65037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939A KR102425605B1 (ko) 2018-03-14 2019-03-11 팥말이빵 제조장치 및 팥말이빵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613291A4 (ko)
JP (1) JP6457676B1 (ko)
KR (1) KR102425605B1 (ko)
CN (1) CN110831440A (ko)
TW (1) TWI691280B (ko)
WO (1) WO20191768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8844B (zh) * 2020-03-09 2021-08-31 安徽维斯达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铃铃卷自动成型机组
CN111802414B (zh) * 2020-06-30 2022-03-25 北京正隆斋全素食品有限公司 一种智能煎饼馃子制售机
DE102020210735A1 (de) * 2020-08-25 2022-03-03 Fritsch Bakery Technologies GmbH & Co. KG Vorrichtung zum erzeugen von gefüllten teigprodukten
CN112155237B (zh) * 2020-10-19 2022-03-25 广东鑫能机器人科技有限公司 馅料自动包覆生产设备及横向折叠装置
CN114403178A (zh) * 2021-12-30 2022-04-29 安徽麦吉食品有限公司 一种高效率的糕点生产设备
CN114751194B (zh) * 2022-03-24 2023-09-26 河北养元智汇饮品股份有限公司 一种核桃仁的浸泡输送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8795A1 (en) 2004-05-14 2005-12-08 Donald Roberts Method and apparatus for folding cooked eggs
JP4200186B2 (ja) * 2007-02-16 2008-12-24 株式会社マスダック ロール菓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4831643B1 (ja) 2011-05-25 2011-12-07 株式会社コバード どら焼き用皮製造装置並びにどら焼き製造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1643B1 (ko) * 1970-06-11 1973-10-01
JPS5551532B2 (ko) * 1974-06-15 1980-12-24
JPS5132773A (en) * 1974-08-22 1976-03-19 Q P Corp Tamagoyakitono oritatami shoseisochi
CN86209420U (zh) * 1986-11-22 1987-12-05 沈志径 蛋卷皮烘干装置
JP3249591B2 (ja) 1992-08-19 2002-01-21 株式会社愛産製作所 折曲菓子の製造装置
CN2171209Y (zh) * 1993-03-18 1994-07-13 广东省中山市面包技术咨询服务中心 简易制蛋卷机
JP2821845B2 (ja) * 1993-10-21 1998-11-05 株式会社北村製作所 巻菓子および巻菓子製造装置
FR2839857B1 (fr) * 2002-05-24 2005-09-09 Gerard Schienger Investissemen Procede de fabrication d'un produit alimentaire a pate pliee,chaine industrielle de mise en oeuvre et produit obtenue
JP5132773B2 (ja) 2008-07-04 2013-01-30 日鐵住金建材株式会社 フェンス
CN103385272A (zh) * 2012-05-09 2013-11-13 阳政机械有限公司 双输送皮带传动间歇压饼成型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8795A1 (en) 2004-05-14 2005-12-08 Donald Roberts Method and apparatus for folding cooked eggs
JP4200186B2 (ja) * 2007-02-16 2008-12-24 株式会社マスダック ロール菓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4831643B1 (ja) 2011-05-25 2011-12-07 株式会社コバード どら焼き用皮製造装置並びにどら焼き製造装置及び方法
JP2012244918A (ja) * 2011-05-25 2012-12-13 Kobird Co Ltd どら焼き用皮製造装置並びにどら焼き製造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54337A (ja) 2019-09-19
WO2019176884A1 (ja) 2019-09-19
TWI691280B (zh) 2020-04-21
TW201940082A (zh) 2019-10-16
EP3613291A1 (en) 2020-02-26
EP3613291A4 (en) 2021-09-15
KR20190127948A (ko) 2019-11-13
CN110831440A (zh) 2020-02-21
JP6457676B1 (ja) 201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5605B1 (ko) 팥말이빵 제조장치 및 팥말이빵의 제조 방법
US3343504A (en) Apparatus for placing pastries in pairs one on top of the other
US6196117B1 (en) Continuous production two stack baking apparatus
AU7415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food products for further processing
US2494236A (en) Pie-making machine
JP2014008001A (ja) 焼菓子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CN212589979U (zh) 蛋挞自动成型机
JPH07147878A (ja) 食品焼成方法及びその装置
JPH1156213A (ja) ワッフル菓子等の全自動製菓機
US1726566A (en) Machine for feeding, molding, and cutting dough
JP3447343B2 (ja) 食品焼成方法及びその装置
JPH1033381A (ja) 食品自動焼成装置における食品搬出機
KR101605180B1 (ko) 쿠키 제조장치
JPS6329437Y2 (ko)
CN112493332B (zh) 一种砖茶高效生产方法
JPH0412684B2 (ko)
US1851945A (en) Apparatus for expressing bakers' material
JP2012165670A (ja) 成形食品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2002045300A (ja) たこ焼き又はたこ焼き状食品の製造装置
GB2192778A (en) Cleaning device for wafer baking machines
IT201900000935A1 (it) Dispositivo per il trasferimento di prodotti da forno, in forma di filoni o pani tagliati in fette, ad un forno di tostatura o a dispositivi di decorazione e/o copertura che richiedano una disposizione ordinata a ranghi
JP2020103119A (ja) 食品生地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US2638868A (en) Sandwich machine for applying coatings to bakery goods
JPS61149049A (ja) 菓子生地製造装置
JPS614301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