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433B1 -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 - Google Patents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433B1
KR102425433B1 KR1020210151711A KR20210151711A KR102425433B1 KR 102425433 B1 KR102425433 B1 KR 102425433B1 KR 1020210151711 A KR1020210151711 A KR 1020210151711A KR 20210151711 A KR20210151711 A KR 20210151711A KR 102425433 B1 KR102425433 B1 KR 102425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plate
mesh plate
guide groove
lock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시아
Priority to KR1020210151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6Caps or covers f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26Devices for erecting or removing 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작업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손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Mesh fence with excellent construct ability}
본 발명은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작업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손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휀스는 법면에 설치되어 낙석을 방지하거나, 공원, 학교 등의 각종시설에 설치되어 외부와 경계를 구분하는 등 여러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석조를 축조하여 휀스를 시공하였으나, 시공 비용 및 시공 시간이 많이 되는 문제점이 있어 철망을 이용한 메쉬휀스가 제안되어 사용된 바 있다.
종래의 메쉬휀스는 지면에 매설되는 기초 콘크리트에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좌, 우 기둥부재에 다수 개의 가는 철선을 소정간격을 두고 종횡 배치하여 상호 교차되는 가로철선과 세로철선의 교차부를 용접하여 형성된 메쉬판, 그 양단을 지지기둥에 용접하여 고정하거나, 별도의 체결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클램프를 사용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메쉬망을 별도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하고 그 고정수단을 지지기둥에 별도의 체결볼트 및 너트 등으로 고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 예로, 제20-0107807호(발명의 명칭 : 철망울타리의 앵글고정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메쉬휀스를 시공함에 있어서는 2명 이상의 작업자가 메쉬판의 양단을 잡고 다수개의 체결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클램프, 다수의 고정수단 등을 사용하여 일일이 휀스를 설치해야 하는 바, 작업상의 번거로운 점이 많을 뿐만 아니라, 작업 공정상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작업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손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형성하되, 상단에 지주캡이 형성되고 하단이 휀스톤 또는 앙카판에 의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 사이에 배치되어 양끝단이 상기 지주에 체결되는 메쉬판 및 상기 지주캡에 설치되고 상기 메쉬판이 상기 지주에 체결되어 고정되기 전, 상기 메쉬판을 가고정하는 가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고정부는 관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캡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직선부, 상기 직선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메쉬판이 안착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타단에 형성되되, 상측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쉬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굴곡부가 형성된 걸림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의 몸체는 양끝이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C'자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ㅏ'자 형태의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후단에서 판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외측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상기 외측홀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외측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홈 하단 외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수단을 전방으로 당긴 뒤 하방으로 내려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삽입되어 결합하는 하단홈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하단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위치를 알려주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의 걸림수단은 양쪽으로 절개되어 그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에 상기 메쉬판이 삽입되어 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의 걸림수단은 걸림수단은 높이 차가 있는 지면에 시공할 경우, 상기 직선부가 상기 메쉬판이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의 가고정부는 끝단이 굴곡지게 형성되되, 상기 굴곡부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하고, 굴곡진 끝단이 상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결속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걸림수단의 상측 개방부분을 막아 상기 메쉬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속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는 가고정부를 통해 메쉬판을 가고정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을 높이고 작업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손쉽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매쉬판의 설치 위치에 따라 걸림수단의 고정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높이차가 있는 지반에서 메쉬판을 효율적으로 가고정할 수 있다.
또한, 결속부재를 통해 메쉬판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가고정부를 도시한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의 가고정부의 모습을 도시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도 3의 걸림수단이 작동하는 모습을 단면으로 도시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도 3의 다른 형태의 가고정부의 모습을 도시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도 5의 걸림수단이 작동하는 모습을 단면으로 도시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도 3 및 도 5에 몸체홈이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가고정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사용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가고정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의 결속부재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14의 (a) 및 (b)는 도 13의 다른 형태의 결속부재의 모습을 도시한 작동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의 사시도이고,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가고정부를 도시한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1)는 지주(10), 메쉬판(20) 및 가고정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지주(10)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형성하되, 상단에 지주캡(11)이 형성되고 하단이 휀스톤 또는 앙카판(12)에 의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지주(10)는 지면에 시공되는 형태에 따라 휀스톤 시공 및 앙카형 시공으로 나뉠 수 있다. 휀스톤 시공은 주로 흙지면에 시공할 경우 사용하는데, 삽이나 굴삭기를 이용하여 지면에 구멍을 판 후, 콘크리트 재질의 휀스톤을 구멍에 매립시키고, 휀스톤 내부에 지주(10)를 삽입하고 몰탈을 채워 넣어 굳히는 방식일 수 있다.
앙카형 시공은 아스콘 또는 보도블럭에 설치할 경우 사용되며, 지면을 해머드릴을 사용하여 구멍을 뚫고 앙카볼트 및 너트를 사용하여 앙카판(12)을 지면에 고정시키는 방식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휀스톤과 앙카형의 혼합형, 휀스톤 핀타입 등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메쉬휀스를 시공하는 방식은 모두 사용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주(10)의 시공을 앙카형 시공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메쉬판(20)은 지주(10) 사이에 배치되어 양 끝단이 지주(10)에 체결될 수 있다. 메쉬판(20)은 원통형 철사로 형성되되,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세로철선과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가로철선으로 구성되어 격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메쉬판(20)은 구리, 청동, 알루미늄, 은, 스테인리스강, 몰리브덴, PVC코팅철선, 아연도금철선, EX메탈라스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외부의 환경에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고강도를 가지는 스테인리스강이 좋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메쉬판(20)은 상하부가 '7'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7자형 메쉬판, 상하부에 절곡이 없는 일직선형 메쉬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직선형 메쉬판보다 강성이 높은 7자형 메쉬판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메쉬판(20)을 7자형 메쉬판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되, 제3 실시 예는 일직선형 메쉬판을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메쉬판(20)은 사용자의 요구 및 용도에 따라 매쉬의 크기, 간격 및 배열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생동물 보호휀스 용도일 경우, 메쉬판(20)은 조밀망 형태로 형성되어 파충류, 양서류, 토끼 등의 이동을 차단하고 보호할 수 있다.
메쉬판(20)은 지주(10)에 U자형 연결밴드, 판상 클립형 연결밴드 등의 연결밴드로 체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연결밴드는 모두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연결밴드는 두께가 얇은 판으로 제작될 수 있고 메쉬판(20)의 양말단에 위치한 세로철선 1개를 감쌀 수 있도록 절곡되되, 볼트가 결합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주(10)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외면에 볼트홀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쉬판(20) 및 지주(10)의 체결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가고정부(30)는 지주캡(11)에 설치되어, 메쉬판(20)이 지주(10)에 체결되어 고정되기 전, 메쉬판(20)을 가고정할 수 있다. 가고정부(30)는 메쉬판(20)의 최외측 상단에 위치한 7자 절곡이 안착되어 지주(10)와 메쉬판(20)이 체결되기 전 가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고정부(30)는 몸체(31) 및 걸림수단(32)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31)는 관형태로 형성되어 지주캡(11)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걸림수단(32)은 몸체(31)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쉬판(20)이 일렬로 시공될 경우 좌우대칭되도록 2개의 걸림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수단(32)은 직선부(320), 안착부(321) 및 굴곡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직선부(320)는 몸체(31)의 외측면에 형성되되,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안착부(321)는 직선부(320)의 타단에 형성되되, 직선부(320)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메쉬판(20)이 안착할 수 있다.
굴곡부(322)는 안착부(321)의 타단에 형성되되, 상측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메쉬판(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굴곡부(322)는 하측이 호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측이 몸체(31)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걸림수단(32)에 삽입된 메쉬판(20)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굴곡부(322)의 상측 절곡부분은 걸림수단(32)의 입구가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되, 'ㄴ'자 형태의 턱이 형성되어 메쉬판(20)이 턱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가고정부(30)의 구성에 의해, 메쉬판(20)은 지주(10)에 가고정 될 수 있고, 메쉬휀스 시공 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메쉬휀스를 시공함에 있어서는 2명 이상의 작업자가 메쉬판(20)의 양단을 잡고 다수개의 체결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클램프, 다수의 고정수단 등을 사용하여 일일이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1)는 가고정부(30)에 메쉬판(20)을 가고정하고 지주(10)와 메쉬판(20)을 체결하는 작업을 소수의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할 수 있어 작업인력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여러 명의 작업자가 각기 다른 위치에서 시공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의 가고정부의 모습을 도시한 작동예시도이고, 도 4의 (a) 및 (b)는 도 3의 걸림수단이 작동하는 모습을 단면으로 도시한 작동예시도이고, 도 5의 (a) 및 (b)는 도 3의 다른 형태의 가고정부의 모습을 도시한 작동예시도이고, 도 6의 (a) 및 (b)는 도 5의 걸림수단이 작동하는 모습을 단면으로 도시한 작동예시도이고, 도 7의 (a) 및 (b)는 도 3 및 도 5에 몸체홈이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1)의 가고정부(30)는 돌출부(310), 가이드홈(311) 및 이동플레이트(3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310), 가이드홈(311) 및 이동플레이트(323)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1)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310), 가이드홈(311) 및 이동플레이트(323)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돌출부(310)는 몸체(31)의 양끝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31)는 돌출부(310)가 형성되어 'C'자 형태가 될 수 있다.
가이드홈(311)은 단면이 'ㅏ'자 형태로 형성되어 이동플레이트(323)가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홈(311)은 몸체(3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거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동플레이트(323)는 걸림수단(32)의 후단에서 판형태로 형성되되, 가이드홈(311)에 삽입되어 가이드홈(3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이동플레이트(323)는 직선부(320)의 일단에 형성되어 전방으로 직선부(320), 안착부(321) 및 굴곡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수단(32)은 몸체(31)의 가이드홈(311)을 따라 이동하다가 어느 한 지점에서 고정될 수 있다. 걸림수단(32)이 몸체(31)에 고정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수단(32)은 몸체(31)에 외측홀(312)을 더 포함하고 이동플레이트(323)에 외측돌기(3230)를 포함하여, 몸체(31)에서 위치를 결정하고 고정될 수 있다.
외측홀(312)은 몸체(31)의 돌출부(310)에 형성되되, 가이드홈(311)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측홀(312)은 하측의 돌출부(310)에 형성되어 걸림수단(32)이 고정되었을 때 몸체(31)가 걸림수단(32)과 메쉬판(20)의 하중을 견디도록 할 수 있다.
외측돌기(3230)는 이동플레이트(323)에 형성되되, 외측홀(312)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수단(32)은 몸체(31)의 가이드홈(311)을 따라 이동하다가, 도 4의 (a)와 같이, 가이드홈(311)의 외측홀(312)이 있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그 다음, 걸림수단(32)은 전방으로 당겨지고 도 3의 (b) 및 도 4의 (b)와 같이, 외측돌기(3230)가 외측홀(312)에 삽입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외측홀(312)과 외측돌기(3230)의 형태는 사각형, 원형, 다각형 등 한정되지는 않으며,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홀(312)는 도면에서 하나로 마련된 것처럼 보여질 수 있으나,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외측홀(312)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걸림수단(32)을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복수 개의 외측홀(312)이 마련되는 경우 메쉬판(20)의 설치 각도에 따라 메쉬판(20)을 가고정 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으로 메쉬휀스(1)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걸림수단(32)은 다른 예로써 도 5 및 도 6과 같이, 가이드홈(311)에 형성된 하단홈(31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표시부(313)를 통해 몸체(31)상에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하단홈(3110)은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311)의 하단 외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이동플레이트(323)가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플레이트(323)는 걸림수단(32)을 전방으로 당긴 뒤 하방으로 내려 하단홈(311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단홈(3110)은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플레이트(323)가 하단홈(3110)에 삽입되었을 때, 이동플레이트(323)가 가이드홈(311)의 돌출부(310)에 걸려 이탈하지 않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단홈(3110)은 가이드홈(311)을 따라 형성되거나,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단홈(3110)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경우 하단홈(3110)의 측면과 이동플레이트(323)의 측면이 서로 맞닿아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표시부(313)는 몸체(31)의 외면에 형성되어 이동플레이트(323)가 하단홈(31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표시부(313)는 색상, 다각형, 기호 등 사용자가 걸림수단(32)이 고정될 위치를 인지할 수 있는 수단은 모두 사용가능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이드홈(311)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띠의 형태로 형성되되, 이동플레이트(323)와 동일한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에, 표시부(313)는 이동플레이트(323)와 일직선이 되어 사용자가 걸림수단(32)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13)는 걸림수단(32)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수단(32)은 몸체(31)의 가이드홈(311)을 따라 이동하다가, 도 5의 (b)와 같이, 표시부(313)와 일직선이 되는 지점까지 이동할 수 있다. 그 다음, 걸림수단(32)의 이동플레이트(323)는 도 6의 (b)와 같이, 전방으로 당긴 뒤 하방으로 내려 하단홈(31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13)는 도면에서 하나로 마련된 것처럼 보여질 수 있으나,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표시부(313)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걸림수단(32)이 고정될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에, 복수 개의 표시부(313)가 마련되는 경우 메쉬판(20)의 설치 각도에 따라 메쉬판(20)을 가고정 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으로 메쉬휀스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고하면, 몸체(31)는 가이드홈(311)과 연통되도록 몸체홈(314)이 형성되어 걸림수단(32)을 탈부착할 수 있다. 몸체홈(314)은 가이드홈(311)의 상단 및 하단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되, 걸림수단(32)의 이동플레이트(323)가 삽입되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수단(32)은 몸체홈(314)에 삽입되어 연통된 가이드홈(3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걸림수단(32)은 몸체홈(314)을 통해 몸체(31)에서 이탈할 수 있다.
이에, 걸림수단(32)은 몸체(31)에 탈부착되어 걸림수단(32)이 파손되었을 때 교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고정부(30)를 보관할 경우, 몸체(31)와 걸림수단(32)을 따로 관리할 수 있어 이동 및 보관시 가고정부(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관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가고정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사용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1)의 걸림수단(32)은 삽입홈(3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홈(324)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1)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홈(324)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삽입홈(324)은 걸림수단(32)이 양쪽으로 절개되어 그 사이에 형성된 홈으로, 메쉬판(20)이 삽입되어 가고정될 수 있다.
이때, 메쉬판(20)은 일직선형 메쉬판(20)일 수 있고, 메쉬판(20)이 지주(10)에 체결되도록 하는 연결밴드, 볼트, 지주(10)의 볼트홀 등이 재구성될 수 있다.
삽입홈(324)은 메쉬판(20)의 최외측 상단의 세로철선과 가로철선로 이루어진 꼭지점이 삽입되어 가로철선이 걸림수단(32)의 안착부(321)에 놓여 가고정될 수 있다. 또한, 걸림수단(32)은 가고정부(30)의 전면에 나란히 배치되어 삽입홈(324)에 메쉬판(20)이 일렬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걸림수단(32)은 다수 개로 형성되어 다수 개의 메쉬판(20)을 가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수단(32)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로 형성될 경우, 메쉬판(20)은 지주(10)의 전후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쉬휀스(1)는 메쉬판(20) 사이에 석재(S)를 채워 넣어 벽을 만들 수 있다. 이때, 메쉬판(20)의 상하부에는 철망이 형성되어 석재(S)가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철망은 메쉬판(20)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에, 메쉬휀스(1)는 낙석방지, 산사태방지, 외부의 침입 차단, 자연재해로부터 보호 등의 기능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고유의 독특한 외관을 형성하여 단장, 인테리어용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가고정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1)는 높이 차가 있는 지면에 시공할 경우, 걸림수단(32)의 직선부(320)이 메쉬판(20)이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수단(32)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1)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수단(32)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걸림수단(32)은 높이 차가 있는 지면에서 직선부(320)가 메쉬판(20)이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직선부(320)는 다양한 길이로 구성될 수 있고, 지면의 높이 차에 따라 메쉬판(20)을 가고정할 수 있는 직선부(320)의 길이를 가지는 걸림수단(32)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몸체(31)는 몸체홈(314)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걸림수단(32)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1)는 높이 차가 형성된 지면에서도 메쉬판(20)을 가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의 결속부재의 작동예시도이고, 도 14의 (a) 및 (b)는 도 13의 다른 형태의 결속부재의 모습을 도시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1)의 가고정부(30)는 결속부재(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속부재(33)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1)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결속부재(33)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결속부재(33)는 메쉬판(20)이 걸림수단(32)에 삽입된 뒤, 몸체(31)와 걸림수단(32) 사이에 형성된 개방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메쉬판(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속부재(33)는 끝단이 굴곡지게 형성되되, 굴곡부(322)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하고, 굴곡진 끝단이 몸체(31)의 상면에 형성된 결속홈(미도시)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결속부재(33)는 다른 예로써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31)의 상단에 몸체(31)와 굴곡부(322) 상단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되, 굴곡부(322)의 상단에 서로 맞춰져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설명한 결속부재(33)의 형태는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로써, 이외에도 설명하지 아니한 방식은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다만 몸체(31)와 걸림수단(32)의 상단과 측면 등을 감싸는 형태면 충분하다.
이러한 결속부재(33)는 메쉬판(20)의 수직이탈 방지는 물론, 몸체(31)와 걸림수단(32)간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걸림수단(32)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
10 : 지주
11 : 지주캡
12 : 앙카판
20 : 메쉬판
30 : 가고정부
31 : 몸체
310 : 돌출부
311 : 가이드홈
3110 : 하단홈
312 : 외측홀
313 : 표시부
314 : 몸체홈
32 : 걸림수단
320 : 직선부
321 : 안착부
322 : 굴곡부
323 : 이동플레이트
3230 : 외측돌기
324 : 삽입홈
33 : 결속부재
S : 석재

Claims (8)

  1.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형성하되, 상단에 지주캡이 형성되고 하단이 휀스톤 또는 앙카판에 의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 사이에 배치되어 양끝단이 상기 지주에 체결되는 메쉬판 및
    상기 지주캡에 설치되고 상기 메쉬판이 상기 지주에 체결되어 고정되기 전, 상기 메쉬판을 가고정하는 가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고정부는,
    관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캡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직선부, 상기 직선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메쉬판이 안착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타단에 형성되되, 상측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쉬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굴곡부가 형성된 걸림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양끝이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C'자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ㅏ'자 형태의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후단에서 판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외측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상기 외측홀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외측돌기를 포함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형성하되, 상단에 지주캡이 형성되고 하단이 휀스톤 또는 앙카판에 의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 사이에 배치되어 양끝단이 상기 지주에 체결되는 메쉬판 및
    상기 지주캡에 설치되고 상기 메쉬판이 상기 지주에 체결되어 고정되기 전, 상기 메쉬판을 가고정하는 가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고정부는,
    관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캡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직선부, 상기 직선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메쉬판이 안착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타단에 형성되되, 상측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쉬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굴곡부가 형성된 걸림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양끝이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C'자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ㅏ'자 형태의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후단에서 판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홈 하단 외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수단을 전방으로 당긴 뒤 하방으로 내려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삽입되어 결합하는 하단홈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하단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위치를 알려주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양쪽으로 절개되어 그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에 상기 메쉬판이 삽입되어 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높이 차가 있는 지면에 시공할 경우, 상기 직선부가 상기 메쉬판이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부는,
    끝단이 굴곡지게 형성되되, 상기 굴곡부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하고, 굴곡진 끝단이 상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결속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걸림수단의 상측 개방부분을 막아 상기 메쉬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
KR1020210151711A 2021-11-05 2021-11-05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 KR102425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711A KR102425433B1 (ko) 2021-11-05 2021-11-05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711A KR102425433B1 (ko) 2021-11-05 2021-11-05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433B1 true KR102425433B1 (ko) 2022-07-27

Family

ID=82701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711A KR102425433B1 (ko) 2021-11-05 2021-11-05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4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018B1 (ko) * 2006-02-01 2007-06-04 (주) 화랑월드 가드레일을 이용한 동물보호휀스
KR20080087951A (ko) * 2007-03-28 2008-10-02 채수근 메쉬휀스를 고정하는 지지기구
KR20160000507A (ko) * 2014-06-24 2016-01-05 (주)아리산업 굴절면에 시공이 가능하도록 방향성에 제한이 없는 휀스 또는 난간
KR102251012B1 (ko) * 2020-03-23 2021-05-12 황정봉 메쉬휀스용 휀스지주대
KR102266784B1 (ko) * 2021-02-16 2021-06-18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무천공 지주와 클립형 클램프를 이용한 메시형 울타리 및 이의 설치 자율 방향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018B1 (ko) * 2006-02-01 2007-06-04 (주) 화랑월드 가드레일을 이용한 동물보호휀스
KR20080087951A (ko) * 2007-03-28 2008-10-02 채수근 메쉬휀스를 고정하는 지지기구
KR20160000507A (ko) * 2014-06-24 2016-01-05 (주)아리산업 굴절면에 시공이 가능하도록 방향성에 제한이 없는 휀스 또는 난간
KR102251012B1 (ko) * 2020-03-23 2021-05-12 황정봉 메쉬휀스용 휀스지주대
KR102266784B1 (ko) * 2021-02-16 2021-06-18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무천공 지주와 클립형 클램프를 이용한 메시형 울타리 및 이의 설치 자율 방향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86520A1 (en) Bollard Fence
US20090035061A1 (en) Removable Bollard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1974110B1 (ko) 프리스트레스 강관말뚝 및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KR100743474B1 (ko) 건축물 기초공사용 흙막이 구조
US9163418B2 (en) Removable and re-useable construction safety barrier
KR102425433B1 (ko) 시공성이 우수한 메쉬휀스
KR20120109418A (ko) 지주식 흙막이 공법
JP6868881B2 (ja) 基礎構造及びその基礎工法
JP2019065641A (ja) 落石防護柵
JP5197514B2 (ja) 動物侵入防止柵
KR102163451B1 (ko) 폴 고정용 무게추 블록 어셈블리
JP4130393B2 (ja) 杭と柱の接続構造
JP3207596U (ja) 動物侵入防止柵用ベース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4129225B2 (ja) 防護用堤体の構築方法
KR200405960Y1 (ko) 도로의 낙석방지공 보조낙석 방지망 설치구조
KR102485371B1 (ko) 조립식 휀스
JP2784644B2 (ja) 組立式仮設フェンス
JP2021011696A (ja) 土砂落石防護工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694786B1 (ko) 휀스 지주의 시공방법
JP3035693B2 (ja) 植樹安定装置
JP6231060B2 (ja) 耐震性石積構造及び耐震性石積構造の施工方法
KR102179767B1 (ko) 흙막이 가시설 장치
JPH09328761A (ja) 擁壁構造
KR102652376B1 (ko) 지지력이 증대되도록 구성되는 차수벽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토류벽 형성방법
CN114182933B (zh) 超高陡岩质边坡落地脚手架的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