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564B1 - 표시 영역이 증가된 디스플레이 타일 - Google Patents

표시 영역이 증가된 디스플레이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564B1
KR102423564B1 KR1020177008791A KR20177008791A KR102423564B1 KR 102423564 B1 KR102423564 B1 KR 102423564B1 KR 1020177008791 A KR1020177008791 A KR 1020177008791A KR 20177008791 A KR20177008791 A KR 20177008791A KR 102423564 B1 KR102423564 B1 KR 102423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bstrate
display
adhesive tape
display 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3781A (ko
Inventor
니코 나스
톰 아드리안 게라트 데바엘레
Original Assignee
바르코 엔.브이.
바르코 콘트롤 룸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201416248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416248D0/en
Priority claimed from GB1416277.0A external-priority patent/GB2533758A/en
Application filed by 바르코 엔.브이., 바르코 콘트롤 룸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르코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70093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8Segmented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타일은 프레임의 상이한 열 팽창 및 프레임이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기판을 수용하기 위해 잘 결정된 영역에서 컴플라이언스가 증가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타일은 또한 기판들 중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다른 기판의 대응하는 측면과 동일 평면에 있지 않을 경우 프레임의 상이한 부분이 접촉되어 2개의 중첩된 기판의 측면에 접착되도록 변형되게 될 증가된 컴플라이언스 영역을 갖는다.

Description

표시 영역이 증가된 디스플레이 타일{DISPLAY TILE WITH INCREASED DISPLAY AREA}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 타일용 프레임,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 타일 자체, 또는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 타일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타일형 디스플레이의 개략적인 표현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타일(T)은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은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emissive display apparatus)일 수 있거나, 배면 투사형 디스플레이 장치(rear projection display apparatus)일 수 있다.
도 1은 또한 화소 또는 픽셀(P)이 디스플레이 타일(T) 상에 어떻게 배열되는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녹색, 적색 및 청색의 3개의 하위 픽셀은 서로 가깝게 배치되어 전체 이미지에서 표시된 이미지의 화소를 생성한다. 화소들은 간격 A로 서로 이어져 있다. 파선은 관찰자가 이미지를 형성하여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타일(T)의 내부 영역을 표시한다. 파선과 디스플레이 타일(T)의 에지 사이의 공간은 비-디스플레이 영역이다. 비-디스플레이 영역은 종종 베젤(B)이 차지하는 공간에 대응하며, 베젤의 주요 기능은 LCD의 LCD 패널을 제자리에 유지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인접 디스플레이 타일(T) 상에 디스플레이된 2개의 인접한 화소(P) 사이의 간격은 크게 2개의 인접한 디스플레이 타일(T)들을 분리하는 거리와 베젤(B)의 폭에 의해 결정된다. 2개의 인접한 디스플레이 타일의 표시 영역 사이의 공간은 종종 심(SEAM)이라고도 한다. 2개의 인접한 디스플레이 타일(T) 간의 최소 거리는 디스플레이 타일(T)의 액정 패널(또는 프로젝션 스크린)의 오정렬, 휘어짐(bowing) 또는 손상없이 디스플레이 타일(T)의 열 및 습도 팽창을 허용하는데 필요한 클리어런스(clearance)에 의존한다.
열 및 습도 팽창 및 서로에 대한 타일의 상대 이동의 문제와 타일간 심에 대한 그 영향은 본 기술 분야에 너무 잘 알려져 있다.
베젤의 폭은 감소될 수 있거나, 베젤은 예를 들어, 미국 제8,446,540호 "Display device having an enlarged display area"에 제안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거될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해결책이 패널의 중량이 "고정 부재" 및 "패널 가이드부"에 의해 가해진 힘을 압도할 수 있는(예를 들어, 1m 초과의 대각선을 가진) 대형 액정 패널에 대해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 다른 문제점은 액정 패널을 긁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패널 가이드부가 금속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것에 가해지는 힘에 견딜 수 있을 정도로 두꺼울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심은 패널 가이드부가 두꺼워지는 것의 적어도 두 배만큼 넓어질 것이다.
또한, 미국 제8,446,540호의 저자는 액정 패널을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해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을 배제하는데, 그 이유는 어셈블리의 신뢰성 및 내구성과 양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접착 테이프가 충분히 두꺼우면 신뢰성과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α-aluminum = 23,8·10-61/K 및 α-glass = 8,1·10-6 1/K(α는 열팽창 계수)의 값과 L0 = 1500 mm의 실온에서의 총 결합부 길이에서, ΔT = 40K의 온도 변화에 대해 ΔL = ΔT·L0/2·(α-Al-α-Glass) = 0,471mm의 양단에서의 길이 차이가 응력이 없는 어셈블리(즉, 알루미늄과 금속이 서로 본딩되지 않은 경우)에서 발생할 것이다. 두께 0.8mm의 감압 장착 테이프는 이 구성에서 Δα로 인한 응력을 보상하는데 적합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두께의 감압 장착 테이프는 1mm 미만의 심과 공존할 수 없다.
또한, 이 기술은 베젤 또는 림(rim)의 사용을 회피하면서 동시에 허용 오차(예를 들어, 액정층을 한정하는 유리 패널의 측방향 치수 사이의 불일치)에 영향을 받는 액정 패널을 신뢰성있게 고정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 기술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 타일용 프레임,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 타일 자체, 또는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 타일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 타일용 프레임,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 타일 자체, 또는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 타일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방법은 전술한 하나 이상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타일은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에 의해 제2 열팽창 계수를 갖는 제2 재료로 만들어진 기판에 고정되는 제1 열팽창 계수를 갖는 제1 재료로 만들어진 프레임을 포함하고; 프레임은 3개의 부분: 기판의 측면에 접착되는 제1 부분, 예를 들어, 백라이트 요소 또는 지지 구조와 같은 또 다른 구조에 대한 고정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는 제3 부분, 및 예를 들어, 변형 완화부(strain relief)로서 제3 부분을 제1 부분에서의 변형으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해 제1 부분과 제3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부분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착 테이프가 제1 부분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 프레임의 제3 부분으로부터 활성화될 때 가열되는 프레임의 제1 부분을 분리함으로써, 일단 기판에 대한 프레임의 고정이 완료되면 기판의 과도한 변형이 방지된다.
특히, 제1 열팽창 계수는 제2 열팽창 계수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1 재료는 열팽창 계수가 23,8 10-6 1/K 이상인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일 수 있다.
특히, 제2 재료는 열팽창 계수를 갖는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는 예를 들어, 열팽창 계수가 9,5 10-6 1/K 이하인 붕규산 유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서, 프레임은 2개 이상의 프레임 요소 또는 프레임 스트립으로 분할된다. 각각의 프레임 스트립은 기판의 측면에 접착되는 제1 부분, 예를 들어 백라이트 요소 또는 지지 구조와 같은 또 다른 구조에 대한 고정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는 제3 부분, 및 제3 부분을 제1 부분에서의 변형으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변형 완화부로서 동작하도록, 제1 부분과 제3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갖는다.
프레임 스트립의 제3 부분을 프레임 스트립의 제1 부분에서의 변형으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은 프레임 스트립의 하나 이상의 개구에 의해 보장될 수 있다. 개구는 프레임 스트립의 제1 및 제2 부분을 가로 질러 기판으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개구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일 수 있다. 직사각형의 모서리는 둥글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프레임) 스트립의 제3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프레임 부분에서의 에칭 또는 스탬핑에 의해 또는 임의의 등가 방법에 의해 형성된 홈에 의해 프레임 스트립의 제1 부분에서의 변형으로부터 격리된다.
홈은 프레임 스트립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홈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스트립의 제1 및 제2 부분에서의 프레임 스트립의 두께의 절반보다 크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서, 디스플레이 타일은 접착 테이프에 의해 제1 기판 및 제2 기판에 고정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프레임은 3개의 부분: 접착 테이프(예를 들어,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에 의해 제1 기판의 측면에 접착되는 제1 부분, 접착 테이프(예를 들어,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에 의해 제2 기판의 측면에 접착되는 제3 부분, 및 제1 부분과 제3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부분으로 분할되며, 제2 부분이 제1 부분 및 제3 부분보다 높은 컴플라이언스를 가짐으로써 제1 부분과 제3 부분이 상이한 평면에 위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디스플레이 타일용 프레임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프레임은 제1 열팽창 계수를 갖는 제1 재료로 만들어지고, 본 방법은,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에 의해 제2 열팽창 계수를 갖는 제2 재료로 만들어진 기판에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단계; 및
프레임을 3개의 부분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프레임을 3개의 부분으로 제조하는 단계는,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에 의해 기판의 측면에 제1 부분을 접착시키고, 또 다른 구조에 제3 부분을 고정시키며, 제3 부분을 제1 부분에서의 변형으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해 제1 부분과 제3 부분 사이에 제2 부분을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디스플레이 타일용 프레임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본 방법은,
접착 테이프에 의해 프레임을 제1 기판 및 제2 기판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프레임을 3개의 부분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프레임을 3개의 부분으로 제조하는 단계는,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에 의해 제1 부분을 제1 기판의 측면에 접착시키고,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에 의해 제3 부분을 제2 기판의 측면에 접착시키며,
제1 부분과 제3 부분 사이에 제2 부분을 위치시키는 단계이며, 제2 부분이 제1 부분 및 제3 부분보다 높은 컴플라이언스를 가짐으로써 제1 부분과 제3 부분이 상이한 평면에 위치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의 이점은 프레임이 제1 기판 및 제2 기판에 접착될 수 있게 하고, 제1 기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제2 기판의 대응하는 측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지 않을지라도 제1 기판이 제2 기판에 평행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서, 홈은 프레임의 제2 부분에 형성되고; 홈은 제1 기판 및 제2 기판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홈은 원하는 방향으로 프레임의 컴플라이언스를 증가시킬 것이고 프레임의 상이한 부분이 다른 평면에 있게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서, 홈은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서, 홈의 깊이는 프레임의 두께의 적어도 50%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타일용 프레임을 제시하며, 프레임은 제1 열팽창 계수를 갖는 제1 재료로 만들어지고,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에 의해 제2 열팽창 계수를 갖는 제2 재료로 만들어진 기판에 고정되고; 프레임은 3개의 부분: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에 의해 기판의 측면에 접착되는 제1 부분, 또 다른 구조에 대한 고정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는 제3 부분, 및 제3 부분을 제1 부분에서의 변형으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해 제1 부분과 제3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부분으로 분할된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프레임의 에지로부터 연장되어 프레임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홈은 프레임의 제1 부분 및/또는 제2 부분에 형성된다. 홈은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홈의 깊이는 프레임의 두께(x)의 적어도 50%일 수 있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프레임은 2이상의 프레임 요소 또는 스트립으로 분할될 수 있다. 프레임과 관련된 임의의 또는 모든 특징은 하나 이상의 프레임 요소 또는 스트립과 관련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또 다른 구조는 백라이트 요소 또는 지지 구조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타일용 프레임을 제시하고, 프레임은 접착 테이프에 의해 제1 기판 및 제2 기판에 고정되고; 프레임은 3개의 부분: 접착 테이프에 의해 제1 기판의 측면에 접착되는 제1 부분, 접착 테이프에 의해 제2 기판의 측면에 접착되는 제3 부분, 및 제1 부분과 제3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부분으로 분할되며, 제2 부분이 제1 부분 및 제3 부분보다 높은 컴플라이언스를 가짐으로써 제1 부분과 제3 부분이 상이한 평면에 위치될 수 있게 한다. 홈은 프레임의 제2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홈은 제1 기판 및 제2 기판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홈은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홈의 깊이(s)는 프레임의 두께(x)의 적어도 50%일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타일을 제시한다.
도 1은 타일형 디스플레이의 개략적인 표현을 나타낸다.
도 2a는 디스플레이 타일, 그 프레임 및 백라이트 구조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2b는 비평면 프레임 요소에 대한 프로파일의 예를 나타낸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에 의해 기판과 프레임이 어떻게 함께 고정되는지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접착 테이프의 열 활성화 동안 및 열 활성화 후의 프레임 및 기판의 변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판에 접착된 프레임의 영역에서 변형에 의해 야기되는 기판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프레임의 제1 적응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제2 적응을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는 프레임의 제2 부분의 변형을 예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의 제1 및 제2 적응이 결합될 수 있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에 고정된 제1 및 제2 기판을 예시한다.
도 10은 제1 및 제2 기판이 상이한 측방향 치수를 갖거나 오정렬되었을 때 제1 및 제2 기판을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문제점을 예시한다.
도 11 및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판 중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다른 기판의 대응하는 측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지 않을 경우에도 프레임의 변형(즉, 컴플라이언스)을 허용하고 프레임이 제1 및 제2 기판에 접착되도록 하는 프레임의 적응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 및 소정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 이점 중 하나, 또는 일부 또는 전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타일(T)의 설계에 관한 것이다:
- 형태와 평탄함을 유지하고,
- 환경(고습도, 온도 변동 ...)에 관계없이 무시할 수 있는 열팽창만을 가지고 및/또는
- 타일형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때 인접한 디스플레이 타일과 정렬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심의 폭이 디스플레이 타일 상의 인접한 픽셀 사이의 간격만큼 작거나 이보다 작게 될 타일형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 2, 도 3, 도 5,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유리와 같은 안정된 투명 기판(1)이 사용된다. 기판(1)은 배면 투사 스크린의 일부이거나 또는 액정 패널의 유리판이다. 유리는 예를 들어, 소다 석회 유리이다. 임의의 적합한 투명한 재료 또는 다른 유형의 유리가 가능하다. 캐리어 기판에 사용되는 재료의 열팽창 계수는 유리하게는 9.5·10-6 K-1보다 낮다. 기판(1)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제1 측면 또는 입사면을 갖는다. 입사면은 프로젝터 또는 백라이트에 의해 투사된 광이 입사하는 기판(1)의 면 또는 측면이다. 기판(1)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제2 측면 또는 출사면을 갖는다. 출사면은 광이 관찰자를 향해 빠져 나가는 기판(1)의 면 또는 측면이다. 기판(1)의 제1 면 및 제2 면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라인 또는 표면, 특히 평면이 기판에 수직이라 설명될 때, 라인 또는 표면은 기판(1)의 제1 및 제2 측면에 수직인 것을 의미한다.
기판(1)은 일반적으로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면, 제1 표면에 평행한 제2 표면 및 측면(1A, 1B, 1C, 1D)을 갖는 평행 육면체이다.
디스플레이(배면 투사형 디스플레이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LCD와 같은 발광형 디스플레이인지의 여부에 따라)는 고정 포맷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기판(1)은 다른 층들과 연관된다. 예를 들어, 기판(1)은 프레넬 렌즈 및/또는 확산층과 같은 광학 요소를 지지할 수 있다. 기판(1)은 또한 LCD 패널의 일부일 수 있다. 이 경우, 기판(1)은 액정 패널의 하나의 컴포넌트일뿐이며,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판(1)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유리 기판(1)과 이 제1 유리 기판과 평행한 제2 유리 기판은 액정의 층을 둘러싸는 공간을 구분하고, 예를 들어, 컬러 필터들과 같은 추가적인 층들은 제2 표면 등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제1 기판(1)만이 명시적으로 언급될 것이다. 디스플레이는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기판(1)의 주변을 따라 비-디스플레이 영역을 회피하기 위해, 기판은 도 3b, 도 3c, 도 9c, 도 9d,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의 측면(1A, 1B, 1C, 1D)을 따라 분포된 접착막(3)에 의해 프레임(2)에 고정된다. 비-디스플레이 영역을 회피하는 것은 예를 들어, 단일 패널 LCD 및 타일형 디스플레이 패널 양측 모두에서 유용하다.
프레임(2)은 유리하게는 금속으로 제조된다. 이것은 어셈블리의 견고성을 훼손시키지 않고 프레임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프레임은 예를 들어, 0.1mm와 1mm 사이의 두께로 시트에서 잘려진 알루미늄 리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의 두께는 0.2mm이다.
접착막(3)의 일례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는 실용 신안 DE202009015262U1 "Latent reaktive, hitzeaktivierbare Klebmasse und damit hergestellte Klebemittel"에 제시되어 있다. 열 활성화된 접착막의 열 활성화는 예를 들어, 근적외선 가열 또는 뜨거운 공기(예를 들면, 히트 건(heat gun)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같은 것)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열 활성화된 접착막은 접착제 같은 유체가 아니며; 인접한 타일 들간의 심에 기여할 접착막(3)의 두께를 제어하는 것이 더 쉽다.
열 활성화된 접착막은 또한 도포하기 쉽고 기판(1)의 제1 측면 및/또는 제2 측면 중 하나로의 접착제 누설 또는 기판(1)과 연관된 층들 사이의 접착제 침투의 위험을 야기하지 않는다. 접착제 침투가 시각적인 아티팩트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매우 중요하다.
프레임(2)은 반드시 한 조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2개 또는 그 이상의 프레임 스트립(2A, 2B, 2C 및 2D)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몇몇 프레임 스트립은 기판(1)의 측면(예를 들어, 1B)에 접착될 수 있다. 프레임 스트립은 비평면 프레임 스트립(2B)에 대한 프로파일의 예를 도시하는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평면일 필요는 없다. 프레임 스트립(2A, 2B, 2C 및 2D)은 기판(1)과 백라이트 구조(B)(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일 경우) 또는 지지 구조(B)(배면 투사형 디스플레이일 경우) 사이의 기계적 인터페이스로서 사용된다. 구조(B)에 대한 프레임(2)의 고정은 예를 들어, 나사(S)와 같은 나사와 너트(N)와 같은 너트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스트립, 예를 들어, 2A는,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판(1)의 측면들 중 하나, 예를 들어, 1A에 도포된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3)에 대해 가압된다. 열 및 압력은 도 3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본딩 헤드(4)의 도움으로 프레임 스트립에 가해진다. 본딩 헤드를 사용하여 프레임 스트립의 잘 구분된 영역(도 3a의 음영 영역)에 열과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접착 테이프(3)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열이 가해지면, 프레임 스트립이 가열되어 팽창한다. 가열 및 팽창은 본딩 헤드 바로 아래에서 가장 높을 것이다. 프레임 스트립이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되더라도, 온도는 프레임 스트립의 폭(W)에 걸쳐서 고온 T+에서 저온 T-로 변할 것이다. 그 결과, 프레임 스트립은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균일하게 팽창하지 않을 것이다. 동시에, 프레임 스트립(2A, 2B, 2C 또는 2D)에 접착되는 유리 기판(1)의 치수, 특히 측면(1A, 1B, 1C 또는 1D)의 길이는 또한 변할 것이지만 프레임 스트립보다 그 정도가 덜하다.
냉각될 때, 프레임 스트립(2A)은 그 초기 길이로 되돌아 갈 것이며, 이것은 기판(1)이 하나 이상의 프레임 스트립에 의한 압축 응력하에 휘는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은 기판의 변형을 유도한다. 인접한 타일 사이의 심에 대한 이러한 변형의 영향은, 타일들 간의 심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관찰자에게 더 잘 감지되게 하는 심에서 심으로의 그리고 심을 따르는 심 폭의 변화를 야기한다. 어떤 경우에는 수축이 접착 테이프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금속 프레임 스트립의 형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다.
프레임 스트립(2)은 3개의 부분: 제1 부분(21), 제2 부분(22) 및 제3 부분(23)으로 분할된다. 제1 부분(21)은 기판(1)의 측면에 접착될 것이다.
제2 부분(22)은 제1 부분(21)과 제3 부분(23) 사이의 변형 완화 구조로서 작용한다. 제2 부분(22)은 다른 두 부분(21 및 23)보다 더 유연한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일부 변형 완화는 프레임 스트립 내의 하나 이상의 개구 또는 슬릿(5)에 의해 보장된다. 개구(5)는 프레임 스트립의 에지로부터 연장되고 프레임 스트립의 제1 및 제2 부분을 가로 질러 연장된다.
개구(5)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개구의 모서리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둥글 수 있다.
변형 완화는 또한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스트립의 제1 및/또는 제2 부분에서의 에칭되거나 스탬핑된 홈(6)에 의해 보장될 수 있다.
홈(6)은 프레임 스트립(2)의 양 측면 상에서 에칭함으로써 형성되는데, 이들이 형성되는 영역에 주름진 형상을 제공한다.
홈의 깊이는 이상적으로 프레임 스트립의 두께(x)의 50%보다 크다.
홈(6)은 기판(1)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홈(6)과 기판(1)이 이루는 각도는 90.0도 +/- 0.1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홈(6)과 기판(1)이 이루는 각도는 90.0도 +/- 0.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홈(6)과 기판(1)이 이루는 각도는 90.0도 +/- 1.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홈(6)과 기판(1)이 이루는 각도는 90.0도 +/- 5.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홈(6)과 기판(1)이 이루는 각도는 90.0도 미만이지만 45.0도보다는 크다.
또한, 개구(5)와 홈(6)을 결합하여 프레임 스트립의 제1 부분(21)에서의 변형으로부터 프레임 스트립의 제3 부분(23)의 격리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개구(5) 및 홈 또는 주름(6)은 상이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개구부(5)와 홈 또는 주름(6)이 결합될 수 있는 예가 도 8에 예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홈(6)은 개구(5) 바로 아래에서 에칭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1)은 예를 들어, 액정 패널의 경우와 같이, 다른 층 및/또는 기판과 연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이한 기판 및 층은, 기판(1)이 기판(7)보다 약간 작아서 기판(1)의 측면과 기판(7)의 측면 간에 불일치(M)를 초래하는 도 9a, 도 9b, 도 9c, 예를 들어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상이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양쪽 기판은 거의 동일한 치수를 가질 수 있지만, 이들은 오정렬될 수 있어, 그 측면이 동일 평면 상에 있지 않게 된다.
기판(1 및 7)의 치수가 너무 많이 상이하거나 및/또는 양쪽 기판이 오정렬일 때, 프레임(2)에 이들을 함께 접착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결합부는 예상보다 약하거나 심지어 기판들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와 함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프레임 스트립(2A)의 단면, 열 활성화된 층(3) 및 기판(1 및 7)이 도시된 도 10에 예시되어 있다. 도 10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판 측면들(1A 및 7A) 사이의 불일치(M)는 프레임 스트립에 대한 측면들(1A)의 본딩을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만든다. 2개의 접착 테이프(3A 및 3B)가 각각 기판(7 및 1)의 측면(7A 및 1A) 상에 사용될 수 있지만, 이것은 접착 스트립(3B)과 프레임 요소(2A) 사이에 접촉이 없는 상태를 방지하지 못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기판(1)과 기판(7) 사이의 경계에 대응하게 될 프레임 요소의 영역에서 프레임 요소(2A)의 컴플라이언스(즉, 유연성)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컴플라이언스는 도 11, 특히 도 1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요소에서 홈(8)을 에칭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홈(8)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요소(2)의 두께의 50%보다 크다.
도 11은 프레임 스트립(2), 열 활성화굉 접착제 층(3A) 및 기판들(1 및 7)을 도시한다.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3A 및 선택적으로 3B)는 각각 기판들(7 및 1)의 측면(7A) 및 선택적으로 측면(1A)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은 각각 접착 테이프(3A, 3B)에 의해 제1 기판(1) 및 제2 기판(7)에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2)은 3개의 부분: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3B)에 의해 제1 기판(1)의 측면에 선택적으로 접착될 수 있는 제1 부분(31),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3A)에 의해 제2 기판(7)의 측면에 접착되는 제3 부분(33), 및 제1 부분(31)과 제3 부분(33) 사이에 위치된 제2 부분(32)으로 분할되고, 제2 부분(32)이 제1 부분(31) 및 제3 부분(33)보다 높은 컴플라이언스를 가짐으로써 제1 부분(31)과 제3 부분(33)이 상이한 평면에 위치될 수 있게 한다.
홈(8)은 프레임(2)의 제2 부분(32)에 형성될 수 있으며, 홈(8)은 제1 기판(1) 및 제2 기판(7)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홈(8)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프레임(2)의 두께의 50%보다 크다. 홈(8)은 프레임(2)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은 2이상의 프레임 요소 또는 스트립(31, 32, 33)으로 분할될 수 있다. 열 활성화 동안의 열팽창 및 기판들(1 및 7)의 측면(예를 들어, 1A 및 7A)의 위치 사이의 불일치 양쪽 모두를 수용하게 될 프레임(2, 예를 들어, 2A, 2B, 2C ...)은 홈(8)을 프레임(2, 예를 들어, 2A, 2B, 2C ...)의 제1 부분(31)에 위치시킴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프레임(2)의 원하는 변형은 프레임 (2)이 접착되는 제1 및 제2 기판(1, 7)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홈(8)에 의해 획득될 것이다.
즉, 홈(8)과 제1 및 제2 기판(1 및 7)이 이루는 각도는 0.0도 +/- 0.1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홈(8)과 제1 및 제2 기판(1 및 7)이 이루는 각도는 0.0도 +/- 0.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홈(8)과 제1 및 제2 기판(1 및 7)이 이루는 각도는 0.0도 +/- 1.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홈(8)과 제1 및 제2 기판(1 및 7)이 이루는 각도는 0.0도 +/- 5.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홈(8)과 제1 및 제2 기판(1 및 7)이 이루는 각도는 0.0도보다 크지만 45.0도보다 작다.

Claims (43)

  1. 디스플레이 타일용 프레임으로서,
    상기 프레임(2)은 한 조각이거나 또는 2개 이상의 프레임 요소 또는 스트립(2A, 2B, 2C, 2D)으로 분할되고, 상기 프레임(2)은 제1 열팽창 계수를 갖는 제1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프레임(2)은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3)에 의해 기판(1)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판(1)은 상기 디스플레이 타일의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1)은 제2 열팽창 계수를 갖는 제2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한 조각의 프레임(2) 또는 각각의 프레임 요소 또는 스트립(2A, 2B, 2C, 2D)은 3개의 부분: 상기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3)에 의해 상기 기판(1)의 측면에 접착되는 제1 부분(21), 지지 구조에 대한 고정 인터페이스(fastening interface)로서 기능하는 제3 부분(23), 및 상기 제3 부분(23)을 상기 제1 부분(21)에서의 변형으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부분(21)과 상기 제3 부분(23)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부분(22)으로 분할되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5)가 상기 프레임(2)의 에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2)의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타일용 프레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홈(6)이 상기 프레임(2)의 상기 제1 부분(21) 및/또는 상기 제2 부분(22)에 형성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타일용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6)은 상기 프레임(2)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타일용 프레임.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6)의 깊이는 상기 프레임(2)의 두께(x)의 적어도 50%인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타일용 프레임.
  6. 디스플레이 타일용 프레임으로서,
    상기 프레임(2)은 한 조각이거나 또는 2개 이상의 프레임 요소 또는 스트립(2A, 2B, 2C, 2D)으로 분할되고, 상기 프레임(2)은 접착 테이프(3)에 의해 제1 기판(1) 및 제2 기판(7)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은 디스플레이 타일의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한 조각의 프레임(2) 또는 각각의 프레임 요소 또는 스트립(2A, 2B, 2C, 2D)은 3개의 부분: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3)에 의해 상기 제1 기판(1)의 측면에 접착되는 제1 부분(31), 상기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3)에 의해 상기 제2 기판(7)의 측면에 접착되는 제3 부분(33), 및 상기 제1 부분(31)과 상기 제3 부분(33)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부분(32)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2 부분(32)이 상기 제1 부분(31) 및 상기 제3 부분(33)보다 높은 컴플라이언스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1 부분(31)과 상기 제3 부분(33)이 상이한 평면에 위치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타일용 프레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의 상기 제2 부분(32)에 홈(8)이 형성되고, 상기 홈(8)은 상기 제1 기판(1) 및 상기 제2 기판(7)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타일용 프레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8)은 상기 프레임(2)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타일용 프레임.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홈(8)의 깊이는 상기 프레임(2)의 두께(x)의 적어도 50%인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타일용 프레임.
  10. 디스플레이 타일로서,
    프레임(2)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2)은 한 조각이거나 또는 2개 이상의 프레임 요소 또는 스트립(2A, 2B, 2C, 2D)으로 분할되고, 상기 프레임(2)은 제1 열팽창 계수를 갖는 제1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프레임은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3)에 의해 기판(1)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판(1)은 상기 디스플레이 타일의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1)은 제2 열팽창 계수를 갖는 제2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한 조각의 프레임(2) 또는 각각의 프레임 요소 또는 스트립(2A, 2B, 2C, 2D)은 3개의 부분: 상기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3)에 의해 상기 기판(1)의 측면에 접착되는 제1 부분(21), 지지 구조에 대한 고정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는 제3 부분(23), 및 상기 제3 부분(23)을 상기 제1 부분(21)에서의 변형으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부분(21)과 상기 제3 부분(23)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부분(22)으로 분할되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5)가 상기 프레임(2)의 에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2)의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타일.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의 상기 제1 부분(21) 및/또는 상기 제2 부분(22)에 홈(6)이 형성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타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홈(6)은 상기 프레임(2)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타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홈(6)의 깊이는 상기 프레임(2)의 두께(x)의 적어도 50%인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타일.
  15. 디스플레이 타일로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2)은 한 조각이거나 또는 2개 이상의 프레임 요소 또는 스트립(2A, 2B, 2C, 2D)으로 분할되고, 상기 프레임(2)은 접착 테이프(3)에 의해 제1 기판(1) 및 제2 기판(7)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은 디스플레이 타일의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한 조각의 프레임(2) 또는 각각의 프레임 요소 또는 스트립(2A, 2B, 2C, 2D)은 3개의 부분: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3)에 의해 상기 제1 기판(1)의 측면에 접착되는 제1 부분(31), 상기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3)에 의해 상기 제2 기판(7)의 측면에 접착되는 제3 부분(33), 및 상기 제1 부분(31)과 상기 제3 부분(33)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부분(32)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2 부분(32)이 상기 제1 부분(31) 및 상기 제3 부분(33)보다 높은 컴플라이언스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1 부분(31)과 상기 제3 부분(33)이 상이한 평면에 위치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타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의 상기 제2 부분(32)에 홈(8)이 형성되고, 상기 홈(8)은 상기 제1 기판(1) 및 상기 제2 기판(7)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타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홈(8)은 상기 프레임(2)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타일.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홈(8)의 깊이는 상기 프레임(2)의 두께(x)의 적어도 50%인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타일.
  19. 디스플레이 타일용 프레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프레임(2)은 한 조각이거나 또는 2개 이상의 프레임 요소 또는 스트립(2A, 2B, 2C, 2D)으로 분할되고, 상기 프레임(2)은 제1 열팽창 계수를 갖는 제1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방법은,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3)에 의해 제2 열팽창 계수를 갖는 제2 재료로 만들어진 기판(1)에 상기 한 조각의 프레임(2) 또는 각각의 프레임 요소 또는 스트립(2A, 2B, 2C, 2D)을 고정시키는 단계 - 상기 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타일의 부분을 형성함 - ; 및
    상기 한 조각의 프레임(2) 또는 각각의 프레임 요소 또는 스트립(2A, 2B, 2C, 2D)을 3개의 부분으로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3개의 부분으로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3)에 의해 상기 기판(1)의 측면에 제1 부분(21)을 접착시키고, 지지 구조에 제3 부분(23)을 고정시키며, 상기 제3 부분(23)을 상기 제1 부분(21)에서의 변형으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부분(21)과 상기 제3 부분(23) 사이에 제2 부분(22)을 위치시키는 단계이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5)가 상기 프레임(2)의 에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2)의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방법.
  20. 디스플레이 타일용 프레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프레임(2)은 한 조각이거나 또는 2개 이상의 프레임 요소 또는 스트립(2A, 2B, 2C, 2D)으로 분할되고, 상기 방법은,
    접착 테이프(3)에 의해, 상기 한 조각의 프레임(2) 또는 각각의 프레임 요소 또는 스트립(2A, 2B, 2C, 2D)을 상기 디스플레이 타일의 부분을 형성하는 제1 기판(1) 및 제2 기판(7)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한 조각의 프레임(2) 또는 각각의 프레임 요소 또는 스트립(2A, 2B, 2C, 2D)을 3개의 부분으로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3개의 부분으로 제조하는 단계는,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3)에 의해 제1 부분(31)을 상기 제1 기판(1)의 측면에 접착시키고, 상기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3)에 의해 제3 부분(33)을 상기 제2 기판(7)의 측면에 접착시키며, 상기 제1 부분(31)과 상기 제3 부분(33) 사이에 제2 부분(32)을 위치시키는 단계이고, 상기 제2 부분(32)이 상기 제1 부분(31) 및 상기 제3 부분(33)보다 높은 컴플라이언스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1 부분(31)과 상기 제3 부분(33)이 상이한 평면에 위치될 수 있게 하는 방법.
  21. 디스플레이로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타일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타일은 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은 한 조각이거나 또는 2개 이상의 프레임 요소 또는 스트립(2A, 2B, 2C, 2D)으로 분할되고, 상기 프레임(2)은 제1 열팽창 계수를 갖는 제1 재료로 만들어지고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3)에 의해 기판(1)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타일의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1)은 제2 열팽창 계수를 갖는 제2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한 조각의 프레임(2) 또는 각각의 프레임 요소 또는 스트립(2A, 2B, 2C, 2D)은 3개의 부분: 상기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3)에 의해 상기 기판(1)의 측면에 접착되는 제1 부분(21), 지지 구조에 대한 고정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는 제3 부분(23), 및 상기 제3 부분(23)을 상기 제1 부분(21)에서의 변형으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부분(21)과 상기 제3 부분(23)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부분(22)으로 분할되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5)가 상기 프레임(2)의 에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2)의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22. 삭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의 상기 제1 부분(21) 및/또는 상기 제2 부분(22)에 홈(6)이 형성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홈(6)은 상기 프레임(2)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홈(6)의 깊이는 상기 프레임(2)의 두께(x)의 적어도 50%인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26. 디스플레이로서,
    디스플레이 타일을 포함하고,
    프레임(2)은 한 조각이거나 또는 2개 이상의 프레임 요소 또는 스트립(2A, 2B, 2C, 2D)으로 분할되고, 상기 프레임(2)은 접착 테이프(3)에 의해 제1 기판(1) 및 제2 기판(7)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타일의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한 조각의 프레임(2) 또는 각각의 프레임 요소 또는 스트립(2A, 2B, 2C, 2D)은 3개의 부분: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3)에 의해 상기 제1 기판(1)의 측면에 접착되는 제1 부분(31), 상기 열 활성화된 접착 테이프(3)에 의해 상기 제2 기판(7)의 측면에 접착되는 제3 부분(33), 및 상기 제1 부분(31)과 상기 제3 부분(33)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부분(32)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2 부분(32)이 상기 제1 부분(31) 및 상기 제3 부분(33)보다 높은 컴플라이언스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1 부분(31)과 상기 제3 부분(33)이 상이한 평면에 위치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의 상기 제2 부분(32)에 홈(8)이 형성되고, 상기 홈(8)은 상기 제1 기판(1) 및 상기 제2 기판(7)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홈(8)은 상기 프레임(2)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홈(8)의 깊이는 상기 프레임(2)의 두께(x)의 적어도 50%인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30. 제26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33)은 백라이트 요소(B) 또는 지지 구조와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KR1020177008791A 2014-09-15 2015-09-14 표시 영역이 증가된 디스플레이 타일 KR102423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201416248A GB201416248D0 (en) 2014-09-15 2014-09-15 Display tile with increased display area
GB1416248.1 2014-09-15
GB1416277.0A GB2533758A (en) 2014-09-15 2014-09-15 Display tile with increased display area
GB1416277.0 2014-09-15
TW104129319A TWI671721B (zh) 2014-09-15 2015-09-04 顯示磚、用於顯示磚的框架及其製作方法
TW104129319 2015-09-04
PCT/EP2015/070974 WO2016041907A1 (en) 2014-09-15 2015-09-14 Display tile with increased display are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781A KR20170093781A (ko) 2017-08-16
KR102423564B1 true KR102423564B1 (ko) 2022-07-20

Family

ID=55432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791A KR102423564B1 (ko) 2014-09-15 2015-09-14 표시 영역이 증가된 디스플레이 타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0108038B2 (ko)
EP (2) EP3195053B1 (ko)
JP (1) JP6656232B2 (ko)
KR (1) KR102423564B1 (ko)
CN (2) CN105425442A (ko)
HK (1) HK1254927A1 (ko)
TR (1) TR201816446T4 (ko)
TW (2) TWI671721B (ko)
WO (1) WO20160419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71721B (zh) 2014-09-15 2019-09-11 比利時商巴而可公司 顯示磚、用於顯示磚的框架及其製作方法
TW202326261A (zh) 2017-10-16 2023-07-01 美商康寧公司 具有邊緣包覆之導體的無框顯示圖塊及製造方法
EP3477365B1 (en) 2017-10-24 2020-12-16 Barco N.V. Display tile with increased display area
JP2021511674A (ja) * 2018-01-26 2021-05-06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縁部導体
KR20200019813A (ko) 2018-08-14 2020-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561029B1 (en) 2019-04-10 2020-02-11 Innolux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KR20220079951A (ko) * 2019-10-10 2022-06-14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랩 어라운드 전극들을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DE102019215868A1 (de) * 2019-10-15 2021-04-1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Rahmen für ein elektrooptisches Display und elektrooptisches Display mit Rahmen
CN110925545A (zh) * 2019-12-16 2020-03-27 威创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led屏安装结构和led屏
KR20220017070A (ko) *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0020A (ja) * 2000-11-01 2002-05-17 Advanced Display Inc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法ならびに該表示装置を用いた画像端末装置
US20110221995A1 (en) * 2008-11-10 2011-09-15 Tovi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with a plurality of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4908B2 (ja) * 1992-10-26 1999-03-08 住友電装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基板
US5867236A (en) * 1996-05-21 1999-02-02 Rainbow Displays, Inc. Construction and sealing of tiled, flat-panel displays
JP3252775B2 (ja) * 1997-11-19 2002-02-04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モジュール
JP3608417B2 (ja) * 1999-02-02 2005-0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取り付けユニット及びそれを利用した投写型表示装置
IL130314A0 (en) * 1999-06-06 2000-06-01 Comview Graphics Ltd Large display apparatus of modular construction
JP2004152984A (ja) * 2002-10-30 2004-05-27 Seiko Epson Corp 配線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5341316A (ja) * 2004-05-27 2005-12-08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60007981A (ko) * 2004-07-23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272327B1 (ko) 2005-03-11 2013-06-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면적을 확대한 표시 장치
JP3943590B2 (ja) * 2005-09-28 2007-07-11 信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基板保持構造
KR100989129B1 (ko) * 2008-04-03 2010-10-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JP5458549B2 (ja) 2008-11-14 2014-04-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DE202009015262U1 (de) 2009-07-30 2010-03-11 Lohmann Gmbh & Co. Kg Latent reaktive, hitzeaktivierbare Klebmasse und damit hergestellte Klebemittel
JP4913187B2 (ja) * 2009-08-28 2012-04-11 株式会社エネゲート 液晶表示板の実装構体
JP5731122B2 (ja) 2010-01-25 2015-06-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N102654660A (zh) * 2012-04-25 2012-09-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WO2013172423A1 (ja) * 2012-05-18 2013-11-2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N202758153U (zh) * 2012-09-04 2013-02-27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固定装置及液晶显示器
KR20150027969A (ko) * 2013-09-05 2015-03-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액정표시장치
KR102136650B1 (ko) * 2013-12-17 2020-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GB2523742A (en) * 2014-02-28 2015-09-09 Barco Nv Seamless tiled displays
KR20160028051A (ko) * 2014-09-02 2016-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TWI671721B (zh) * 2014-09-15 2019-09-11 比利時商巴而可公司 顯示磚、用於顯示磚的框架及其製作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0020A (ja) * 2000-11-01 2002-05-17 Advanced Display Inc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法ならびに該表示装置を用いた画像端末装置
US20110221995A1 (en) * 2008-11-10 2011-09-15 Tovi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with a plurality of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27493A1 (en) 2018-05-30
KR20170093781A (ko) 2017-08-16
US10108038B2 (en) 2018-10-23
US10429684B2 (en) 2019-10-01
TW201610949A (zh) 2016-03-16
EP3195053A1 (en) 2017-07-26
CN205080337U (zh) 2016-03-09
WO2016041907A1 (en) 2016-03-24
EP3195053B1 (en) 2018-09-12
US20190011749A1 (en) 2019-01-10
US20170307922A1 (en) 2017-10-26
JP6656232B2 (ja) 2020-03-04
TWM519795U (zh) 2016-04-01
CN105425442A (zh) 2016-03-23
HK1254927A1 (zh) 2019-08-02
TWI671721B (zh) 2019-09-11
JP2017528767A (ja) 2017-09-28
TR201816446T4 (tr) 2018-11-21
EP3327493B1 (en) 202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3564B1 (ko) 표시 영역이 증가된 디스플레이 타일
US10371887B2 (en) Display apparatus with U-shaped coupling member
WO2017206512A1 (zh) 背光模组和包括其的显示装置
JP5945070B1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WO2018205837A1 (zh) 背光模组和显示装置
JP6190972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TWI569073B (zh) 背光模組及液晶顯示器
JP2009103979A (ja) 表示装置
US1123154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bracket
JP3215799U (ja) 光学レンズ、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及び表示装置
US10514565B2 (en) Display apparatus
GB2533758A (en) Display tile with increased display area
JP2005331834A (ja) マルチパネル型表示装置
US9854688B2 (en) Display apparatus
WO2016051576A1 (ja) 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JP5895040B2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TWI455082B (zh) 顯示器
WO2017038519A1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