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650B1 - 방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방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650B1
KR102136650B1 KR1020130157551A KR20130157551A KR102136650B1 KR 102136650 B1 KR102136650 B1 KR 102136650B1 KR 1020130157551 A KR1020130157551 A KR 1020130157551A KR 20130157551 A KR20130157551 A KR 20130157551A KR 102136650 B1 KR102136650 B1 KR 102136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display
dissipation unit
display devic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1092A (ko
Inventor
김형기
고태준
김승민
나정산
이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7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650B1/ko
Priority to EP14190042.3A priority patent/EP2887134B1/en
Priority to US14/542,812 priority patent/US20150169277A1/en
Publication of KR20150071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2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 G02F1/133385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with cooling means, e.g. f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63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비디오 월을 구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도 저감을 위한 방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비디오 월을 구성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본체들과, 복수의 디스플레이 본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시키기 위한 방열 유닛을 포함하고, 방열 유닛은, 디스플레이 본체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접촉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본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Structure for radiating hea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it}
본 발명은 비디오 월을 구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도 저감을 위한 방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중에 하나가 비디오 월(Video Wall) 기능이다. 여기서 비디오 월 기능이란,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하나의 스크린으로 인식하는 기능으로, 영상을 1×4, 2×2, 3×3, 4×4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말한다.
비디오 월 기능은 회의실, 프리젠테이션, 전시장, 교통 및 증권과 같이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하나의 화면을 확대시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화면상에 표시된 영상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비디오 월의 특성상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붙어 있게 되고, 인접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맞닿는 부위의 온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발광 다이오드(LED)를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채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LED-TV)는 LED의 배치 방식에 따라 엣지형(edge)형과 직하형으로 구분되는데, 엣지형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에만 LED를 배치한 것이고, 직하형은 LED를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에 배치한 것이다.
따라서, 엣지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LED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고,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방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방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도를 저감시켜 제품 수명의 단축을 방지할 수 있는 방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비디오 월을 구성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본체들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본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시키기 위한 방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 유닛은 히트 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 유닛은, 상기 접촉부를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접착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는 방열 플레이트와, 상기 방열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 돌기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 돌기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 유닛은 금속 방열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외측에 마련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유닛은 상기 케이스 측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월을 구성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본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외측에 마련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본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키도록 상기 케이스 측면에 마련되는 방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 유닛은 히트 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 유닛은 상기 접촉부를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접착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는 방열 플레이트와, 상기 방열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 돌기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지며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 돌기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 유닛은 금속 방열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는, 상기 케이스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측에 마련되는 LED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유닛은, 상기 LED가 배치되는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맞닿는 부분의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 유닛이 설치된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 유닛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 유닛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열 유닛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열 유닛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열 유닛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열 유닛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열 유닛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 유닛이 설치된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 유닛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 유닛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월(video wall)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본체(1-1 내지 1-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본체(1-1 내지 1-4)는 2x2 형태로 배치된다. 즉, 가로 두 개, 세로 두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 예를 든 것이며, 비디오 월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체 디스플레이 본체의 개수 및 배열 형태는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는 각 디스플레이 본체(1-1 내지 1-4)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본체가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동작하여 각 서브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제어 장치(미도시)가 구비되어 각 디스플레이 본체(1-1 내지 1-4)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본체(1-1 내지 1-4)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외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내부의 전장 부품들을 보호하는 케이스(13)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패널은 2장의 유리로 TFT 기판 및 칼라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주입되어 형성되며,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구동회로에 의해서 각 화소의 발광상태가 서로 달리 구현되어 전체적으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광원인 LED(14)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테두리(엣지)에 배치될 수 있다. LED(14)는 길고 가느다란 바(bar)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LED(14)는 디스플레이 모듈(10) 테두리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LED는 디스플레이모듈 일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13)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면 테두리와 후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입사된 광을 면광원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 마련되는 도광판(11)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제어를 위한 PCB(12)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공급유닛(미도시)과,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기신호를 영상 및 음향으로 변환하기 위한 구동모드(미도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본체(1-1 내지 1-4)는 제1디스플레이 본체(1-1) 내지 제4디스플레이 본체(1-4)를 포함하고, 제1디스플레이 본체(1-1)와 제2디스플레이 본체(1-2)는 가로 방향으로 맞닿아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역시 가로 방향으로 맞닿아 배치되는 제3디스플레이 본체(1-3)와 제4디스플레이 본체(1-4)의 상측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본체(1-1)와 제2 디스플레이 본체(1-2) 사이, 제3 디스플레이 본체(1-3)와 제4디스플레이 본체(1-4) 사이에는 방열 유닛(2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가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디스플레이 본체(1-1)와 제2 디스플레이 본체(1-2)는 각각의 케이스(13)가 맞닿도록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1디스플레이 본체(1-1)의 테두리에 설치된 LED(14)와 제2디스플레이 본체(1-2)의 테두리에 설치된 LED(14)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내부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방열 유닛(20)은 제1디스플레이 본체(1-1)와 제2디스플레이 본체(1-2)의 각각의 케이스(13) 사이에 배치되어, 제1디스플레이 본체(1-1)와 제2디스플레이 본체(1-2)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특히, 방열 유닛(20)은 제1디스플레이 본체(1-1)와 제2 디스플레이 본체(1-2 )가 맞닿는 부위에서 각각의 LED(14)에서 발생되는 열을 배출시킴으로써 LED(14) 주위의 케이스(13)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방열 유닛(20)은 금속 방열판 또는 히트 싱크(heat sink)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 유닛(20)은 디스플레이 본체(1-1 내지 1-4)의 케이스(13)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접촉부(21)와, 접촉부(21)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본체(1-1 내지 1-4)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도록 마련되는 방열부(22)를 포함한다.
접촉부(21)는 케이스(13)와 접촉을 위한 접촉면(21a)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 유닛(20)은 접촉면(21a)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본체(1-1 내지 1-4) 케이스(13)에 방열 유닛(20)을 고정시키는 접착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30)는 접착 테이프 또는 접착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부(22)는 접촉부(21)로부터 연장되는 방열 플레이트(23)를 포함한다.
방열 플레이트(23)는 접촉부(21)의 일단부로부터 수직되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디스플레이 본체(1-1 내지 1-4) 케이스(13)와 제2디스플레이 본체(1-1 내지 1-4) 케이스(13)의 후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열 유닛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열 유닛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열 유닛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 유닛(20)은 접촉부(21)와, 접촉부(2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방열부(22)를 포함하고, 방열부(22)는 접촉부(2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방열 플레이트(23)와, 방열 플레이트(23)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 돌기(24,24a,24b,...,24i,24j)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 돌기(24)는 방열 플레이트(23)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 돌기(24)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방열 돌기(24) 사이로 대류하는 공기의 유입을 증가 시킬 수 있고, 그에 따른 방열 면적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열 유닛(20)의 방열 플레이트(23) 및 방열 돌기(24)에 의해 제1디스플레이 본체(1-1) 케이스(13)와 제2디스플레이 본체(1-2) 케이스(13) 사이로 대류하는 공기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방열 유닛(20)의 방열 돌기(24)의 높이와 두께를 각각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방열 효율을 향상 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방열 돌기(24)의 높이는 그 중심이 가장 높고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낮은 높이를 가지고 그 두께는 동일 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높이가 다른 방열 돌기는 다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열 유닛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열 유닛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 유닛(20)의 방열 돌기(25)는 접촉부(21)의 단부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 돌기(25)는 서로 다른 경사각(θ)을 가지며 부채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열 돌기(25)는 접촉부(21)로부터 동일한 높이와 두께를 갖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방열 돌기는 접촉부의 중심부에서 가장 높이가 높고, 양측 바깥으로 갈수록 경사각이 커지면서 높이는 낮아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방열 돌기(25)가 서로 다른 각도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방열 돌기(25) 사이로 대류하는 공기의 유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방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그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대체될 수 있다.
1 : 디스플레이 장치 1-1 내지 1-4 :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본체
10 : 디스플레이모듈 11 : 도광판
13 : 케이스 14 : LED
20,20-1,20-2 : 방열 유닛 21 : 접촉부
22 : 방열부 24,25 : 방열 돌기
30 : 접착부

Claims (17)

  1. 영상을 출력하는 비디오 월을 구성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본체들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본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본체들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 유닛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본체들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유닛은 히트 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유닛은,
    상기 접촉부를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접착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는 방열 플레이트와,
    상기 방열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 돌기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 돌기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유닛은 금속 방열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본체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외측에 마련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유닛은 상기 각각의 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비디오 월을 구성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본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외측에 마련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본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본체들의 각각의 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는 방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유닛은 히트 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유닛은 상기 접촉부를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접착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는 방열 플레이트와,
    상기 방열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 돌기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지며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 돌기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유닛은 금속 방열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는,
    상기 케이스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측에 마련되는 LED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유닛은,
    상기 LED가 배치되는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157551A 2013-12-17 2013-12-17 방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36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551A KR102136650B1 (ko) 2013-12-17 2013-12-17 방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14190042.3A EP2887134B1 (en) 2013-12-17 2014-10-23 Display device comprising displays and a heat radiation unit between the displays.
US14/542,812 US20150169277A1 (en) 2013-12-17 2014-11-17 Heat radiation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551A KR102136650B1 (ko) 2013-12-17 2013-12-17 방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092A KR20150071092A (ko) 2015-06-26
KR102136650B1 true KR102136650B1 (ko) 2020-07-23

Family

ID=51870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551A KR102136650B1 (ko) 2013-12-17 2013-12-17 방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169277A1 (ko)
EP (1) EP2887134B1 (ko)
KR (1) KR102136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144B1 (ko) * 2022-06-10 2022-10-07 주식회사 미디어밸리 높낮이 조절구가 구비된 led전광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4077B2 (en) 2012-07-30 2015-03-10 Ultravision Technologies, Llc Heat sink for LED light source
US9195281B2 (en) 2013-12-31 2015-11-24 Ultravision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 modular multi-panel display
TWM519795U (zh) * 2014-09-15 2016-04-01 巴而可公司 具有增加顯示區域之磚的顯示器
CN105516619A (zh) * 2016-01-26 2016-04-20 深圳市维冠视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4k拼接处理器及4k拼接显示系统
WO2020013405A1 (ko) * 2018-07-13 2020-01-16 (주)엑스퍼넷 스마트 식기 및 이의 충전 장치
CN113412025A (zh) * 2020-03-17 2021-09-17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226Y1 (ko) * 2003-04-23 2003-07-04 서머솔루션 주식회사 방사형 방열핀을 갖는 히트파이프용 방열판
JP2012063466A (ja) * 2010-09-14 2012-03-29 Sharp Corp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2012B4 (de) * 2003-05-23 2006-08-31 Kj Gmbh Installationen Anzeigetafel
KR100719675B1 (ko) * 2005-05-24 200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3514B1 (ko) * 2006-04-07 2007-04-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듀얼 화면 모바일 디스플레이 기기
US8599108B2 (en) * 2007-12-11 2013-12-03 Adti Media, Llc140 Large scale LED display
WO2012035988A1 (ja) * 2010-09-14 2012-03-22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176906B1 (ko) * 2010-12-31 2012-08-30 주식회사 에이브이시스 엘씨디 모니터 전광판의 방열 구조와 전광판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226Y1 (ko) * 2003-04-23 2003-07-04 서머솔루션 주식회사 방사형 방열핀을 갖는 히트파이프용 방열판
JP2012063466A (ja) * 2010-09-14 2012-03-29 Sharp Corp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144B1 (ko) * 2022-06-10 2022-10-07 주식회사 미디어밸리 높낮이 조절구가 구비된 led전광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69277A1 (en) 2015-06-18
EP2887134A1 (en) 2015-06-24
EP2887134B1 (en) 2016-09-14
KR20150071092A (ko) 2015-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650B1 (ko) 방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6695035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2334862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WO2017002308A1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10185179B2 (en) Light-emitt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fixing members in pixel boundaries
US20170168218A1 (en) Backlight module,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JPWO2011148696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140108088A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4073425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2012208238A (ja) 液晶表示モジュー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0177076A (ja) タンデム型面光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5617649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画像表示装置及びバックライト装置の組立方法
WO2014118841A1 (ja) 表示装置
JP5473088B2 (ja) 大型面発光照明器具
WO2012026163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CN109188769A (zh) 一种背光源、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060085311A (ko) 모자이크식 대형 백라이트 유니트
WO2013191047A1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2026162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2017045559A (ja) 発光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2151075A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WO2013099718A1 (ja) 照明装置、バックライト、液晶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5001131B2 (ja) 照明器具及び大型面発光照明器具
KR102083903B1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843490B1 (ko) 투명한 시인성을 가지도록 하는 엘이디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