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466B1 - 차량 및 그를 위한 섀시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를 위한 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466B1
KR102423466B1 KR1020167018841A KR20167018841A KR102423466B1 KR 102423466 B1 KR102423466 B1 KR 102423466B1 KR 1020167018841 A KR1020167018841 A KR 1020167018841A KR 20167018841 A KR20167018841 A KR 20167018841A KR 102423466 B1 KR102423466 B1 KR 102423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hassis
crush
crush structure
chassis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9628A (ko
Inventor
이안 고든 머레이
Original Assignee
고든 머레이 디자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든 머레이 디자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고든 머레이 디자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99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extending primarily along the sides of, or completely encircling,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3/00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 B62D23/005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with integrated chassis in the whole shell, e.g. meshwork, tub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출원인은 관형 스틸 프레임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저-에너지 충격을 흡수하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관형-프레임 섀시의 내충격성을 더욱 더 향상시킨다. 차량은 차량 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중-지탱 관형 섀시 부재를 포함하는 섀시 구조물, 섀시 부재의 측방향 외측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궤 구조물을 포함하고, 압궤 구조물은 섀시 부재의 상위 및 하위 부분과 겹치는 상위 및 하위 부분을 갖는다. 이렇게 하여, 압궤 구조물은 섀시 부재와 상호작용할 수 있어 충격력을 섀시 부재에 전달하며, 따라서 압궤 구조물의 필요한 크기(및 무게)를 감소시킨다. 압궤 구조물은 바람직하게는 충격 후에 교체를 허용하도록 제거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압궤 구조물은 도어가 폐쇄될 때 필요에 따라 위치설정되는 차량의 도어의 일부이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를 위한 섀시{VEHICLE AND CHASSIS THEREFOR}
본 발명은 차량 및 그 섀시에 관한 것이다.
출원인의 더 빠른 특허 출원 WO2009/122178, WO 2010/149981 및 WO2012/010850은 소형 및 경량 도시형 자동차에 적합한 섀시 구조를 기술한다. 이들은 평평한 복합 시트가 결합되는 관형 스틸 프레임을 채용하며, 이러한 조합은 높은 수준의 강성 및 내충격성을 가져온다.
본 발명은 관형 스틸 프레임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저-에너지 충격을 흡수하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WO2009/122178 등에 도시된 섀시의 내충격성을 더 증대 및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손상은 차량을 그 충격전 상태로 복구하기 위해 상당한 교정 작업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수리는 비경제적일 수 있다. 물론, 한가지 선택지는 US2013/0088045A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외부 충격-흡수 구조물을 추가하는 것이며, 여기서는 실(sill) 구조물이 더 작은 충돌을 흡수하기 위해 섀시 부재에 볼트체결된다. 그러나, 이는 상당한 중량적 불이익을 부여하는 비효율적인 해결책인데, 이는 US2013/0088045A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소한 충격 외의 임의의 것을 흡수할 수 있는 실이 상당한 물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 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중-지탱 관형 섀시 부재와, 섀시 부재의 외측에 측방향으로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궤 구조물로서, 압궤 구조물은 섀시 부재의 상위 및 하위 부분과 겹치는 상위 및 하위 부분을 갖는 압궤 구조물을 포함하는 섀시 구조물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이렇게 하여, 압궤 구조물은 섀시 부재와 상호작용할 수 있어, 충격력을 섀시 부재에 전달하며, 이에 의해 압궤 구조물의 필요한 크기(및 무게)를 감소시킨다.
압궤 구조물은 바람직하게는 제거가능한 방식으로 섀시 부재에 대해 제자리에 유지된다. 이는 섀시 부재에 대해 손상이 없는 충격 후에 압궤 구조물이 용이하게 제거되고 교체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적으로는, 압궤 구조물은 볼트, 리벳, 접착제, 또는 스폿 용접 같은 적어도 하나의 분리가능한 고정구에 의해 섀시 부재에 대해 제자리에 유지된다. 대안적으로, 압궤 구조물은 섀시 구조물에 대한 경첩식 부착에 의해, 예를 들어 압궤 구조물을 차량 도어의 일부로서 제공함으로써 섀시 부재에 대해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다. 도어는, 폐쇄될 때, 압궤 구조물을 섀시 부재에 대해 정확한 배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 충격 후에, 도어는 교체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압궤 구조물은 도어의 하위 실에 위치될 수 있다.
압궤 구조물은 폼과 같은 에너지-흡수 요소를 둘러싸는 중공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압궤 구조물은 하나 이상의 내부 분할 벽을 포함할 수 있고, 에너지-흡수 요소(존재하는 경우)는 내부 분할 벽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벽은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개구를 통해 에너지-흡수 요소가 가압될 수 있어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보조한다.
섀시 구조물은 종방향 섀시 부재 사이에서 연장되는 교차-부재 및 섀시 구조물에 결합되는 평평한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평평한 시트는 복합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섀시 부재 및/또는 교차-부재는 원형 단면 관, 또는 정사각형 단면 관, 또는 다른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제 첨부의 도면을 참고하여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WO2009/122178에 따른 섀시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2는 WO2009/122178 및 WO2012/010850에 따른 섀시 구조물을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조적 개념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이는 WO2009/122178에 개시된 바와 같은 섀시 구조물(이하 참조)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스타일의 섀시에 적용가능하며,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다른 단면의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섹션을 포함하는 다른 형태의 섀시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1의 섀시(10)는 예로서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좌측 상위 종방향 관(12), 좌측 하위 종방향 관(14), 우측 상위 종방향 관(16) 및 우측 하위 종방향 관(18)으로서 배치되는 두 쌍의 종방향 원형 단면 관을 채용한다. 차량의 각 측의 관은 일반적으로 서로의 위 아래에 배치되고, 일반적으로 직립 구분 요소(20)가 그들을 연결한다. 또한, 22로 나타낸 바와 같은 수 개의 교차-부재가 프레임워크를 완성하기 위해서 양 측의 대응하는 관 사이에 연장된다. 이 예에서, 직립 구분 요소는 원형 단면을 갖고 교차-부재는 정사각형 단면을 갖지만, 이들 양자는 요구되는 바에 따라 다른 단면을 사용하도록 개조될 수 있다.
조향 및 제동 시스템의 장착 장소를 제공하기 위해 종방향 관(12, 14, 16, 18)의 전방 섹션에 부착된 전방 바스켓(24)이 제공된다. 롤-오버(roll-over) 보호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후프(hoop)(26)가 제공된다.
이 예의 프레임워크 구조물은 프레임워크에 결합되는 복합 패널(28)을 구비한다. 이들은 프레임워크에 버팀을 제공하고, 섀시에 걸쳐 하중 분배를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압축-스틸 섀시에 비해 훨씬 더 적은 재료를 필요로 하는 경량 및 강성 섀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유형의 섀시에 적용될 때 특히 유리하지만 다른 섀시 구조물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출원인의 더 빠른 출원 WO2009/122178 및 WO2012/010850에 기술된 바와 같은 위에서 기술된 섀시의 변형을 통한 수직 단면을 도시한다. 우측 상위 및 하위 종방향 관(16, 18)을 그 원형 단면과 함께 볼 수 있다. 우측 하위 종방향 관(18)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위 패널(28a) 및 우측 상위 종방향 관(16)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위 패널(28b), 및 우측 상위 종방향 관(16)과 우측 하위 종방향 관(18)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위 패널(28c)을 포함하는 복합 패널이 상기 관에 부착된다. 하위 및 상위 패널은 (각각) 패널을 통한 하중 분배를 보조하기 위해 방향성 섬유 보강재(30a, 30b)를 포함한다. 하위 패널(28a)은, 차량의 전기 모터를 급전하기 위한 배터리(32)를 탑재하고, 배터리(32)가 재충전 또는 교체를 위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분리가능한 고정구(34)를 통해 우측 하위 종방향 관(18)에 부착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하측의 모습을 도시한다. 좌측 및 우측 하위 종방향 관(14, 18)을 하위 패널(28a), 그 보강재(30a)(개략적으로 도시됨) 및 고정구(34)와 함께 볼 수 있다. 후방 휠(35)은 독립적인 후방 서스펜션(WO2010/100412 참조)을 통해 섀시에 부착되며 후방-장착 엔진(36)에 의해 구동된다. 전방 휠(38)은 전방 서스펜션(40)을 통해 섀시에 각각 부착된다.
특히, 측방 충격에 대해 종방향 관(12, 14, 16, 18)을 보호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종방향 관(12, 14, 16, 18)의 외측에 측방향으로 위치되는, 전방 휠(38)과 후방 휠(35) 사이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압궤 구조물(42)의 제공을 제안한다. 섀시는 이러한 충격을 견디고 적용가능한 충돌 표준을 준수하기에 충분히 강하지만, 이는 수리의 주요 과제가 되는 종방향 관에 대한 손상을 수반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손상이 적어도 어느 정도 수준의 충격에 대해서 회피될 수 있다면, 차량은 보다 용이하게 수리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압궤 구조물(42)은 전체적으로 섀시의 설계 목적, 즉 강성을 갖는 경량의 섀시를 무효화해서는 안되며, 따라서 차량에 과도한 중량적 불이익을 부여할 정도로 너무 크면 안 된다. 이는 큰 충격이 여전히 종방향 관의 변형을 초래하는 상태에서 매우 작은 충격만을 흡수할 수 있는 압궤 구조물을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궤 구조물은 섀시의 나머지 부분과 연계되어 동작하도록 설계되고, 그래서 충격의 일부가 압궤 구조물에 의해 흡수되고, 일부는 섀시 내로 소산된다. 이에 의해 섀시 관이 변형되지 않는 충격의 범위가 확대될 것이고 압궤 구조물의 작은 추가적인 무게가 가치 있어 진다. 도4는 이를 달성하게 하는 개념을 도시한다. 섀시(10)는, 좌측 상위 종방향 관(12)에 장착되며, 폐쇄된 강성 셀 구조 폼 같은 압궤가능 폼 재료(48)로 충전된 사다리꼴 단면 중공 몸체(46)를 포함하는 측부 압궤 구조물(44)을 탑재하고 있다. 섹션(46)은 좌측 상위 종방향 관(12)과 동일 높이에 장착되고 사다리꼴 섹션(46)의 외측 연부로부터 좌측 하위 종방향 관(14)과의 연결 지점까지 연장되는 버팀 패널(50)에 의해 보완된다. 따라서, 고체 물체(52)와의 측방 충격에 있어서, 압궤 구조물(46, 48)은 일부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변형되지만,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가 좌측 상위 종방향 관(12)과 동일 높이에 있다는 사실은 전체적으로는 충격의 힘의 일부가 압궤 구조물을 통해 좌측 상위 종방향 관(12)에 그리고 거기서부터 섀시(10)로 전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버팀부(50)는 충격 동안 압궤 구조물(46, 48)을 대체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또한 다른 때에는 일부 미학적 이점을 제공한다. 압궤 구조물(46, 48)의 치수 및 그 벽 두께(등)는 압궤 구조물이 좌측 상위 및 하위 종방향 관(12, 14) 전에 약간 변형되고 이에 의해 필요에 따라 섀시(10)에 전달되는 힘을 제한하기 위해 변형 특성을 제공하도록 조정된다.
물론, 종방향 관(12, 14, 16, 18)의 변형을 초래할 만큼 높은 정도의 측방 충격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충격은 압궤 구조물(44)이 섀시(10)에 더 높은 힘이 전달되는 한계 변형에 도달할 때까지 압궤 구조물을 점진적으로 변형시킬 것이다. 이러한 더 높은 힘은 일부 상황에서 섀시 바를 변형시키기에 충분할 것이다. 그러나, 압궤 구조물의 효과는 섀시 변형이 일어나는 임계점을 압궤 구조물(44)을 완전히 압궤시키는데 요구되는 에너지에 대체로 대응하는 양만큼 상승시키는 것이다. 또한, 압궤 구조물(44)의 적어도 일부가 좌측 상위 종방향 관(12)과 동일 높이에 있도록 압궤 구조물을 설계함으로써, 충격 동안에 압궤 구조물이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지 않아도 되도록 압궤 구조물과 섀시 바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는 압궤 구조물이 소형 도시형 자동차를 위한 실용적인 경량 섀시에 통합될 만큼 충분히 작고 경량이 되도록 허용한다.
압궤 구조물에 대한 다수의 가능한 설계가 있다. 도 5 내지 도 11은 추가적인 예들을 나타내며, 이 예들에서 유사 도면 부호는 유사 부품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도 5는 직사각형 복합 몰딩(54)이 좌측 상위 종방향 관(12)과 동일 높이에 위치되는 설계를 도시한다. 사다리꼴 지지부(56)가 몰딩(54) 아래에 위치되고 에너지-흡수 폼(58)으로 충전된다. 볼트, 리벳, 접착제 및/또는 스폿 용접 같은 기계적인 체결구가 구조물을 좌측 상위 및 하위 종방향 관(12, 14)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들은 원래의 압궤 구조물을 제거하고 그것을 교체하기 위해 충격 후에 용이하게 되돌릴 수 있다. 추가적인 폼 충전재(60)가, 배터리가 충격 동안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32) 주위의 공간을 충전하도록 섀시 내측에 사용되고; 출원인의 이전 출원에서와 같이 배터리는 교체 또는 갱신을 위해 배터리의 제거를 허용하도록 종방향 관(12, 14, 16, 18)에 의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섀시 바에 결합되는 상위 복합 패널(28b) 및 섀시의 나머지 부분에 기계적으로 고정되는 하위 섀시 패널(28a)에 의해 수직으로 경계 지어지는 샌드위치 구조 내에 봉입된다.
도 6은 좌측 상위 종방향 관(12)과 동일 높이에 유지되지만(도 5에서와 같음) 두 개의 삼각형 단면 구조물(64, 66)에 의해 보완되는 중앙 복합 압궤 부재(62)를 갖는 배열을 도시한다. 하위 삼각형 구조물(66)은 기계적인 고정구를 통해 좌측 상위 및 하위 종방향 관(12, 14)에 기계적으로 부착된다(앞에서와 같음). 상위 삼각형 구조물(64)은 좌측 상위 종방향 관(12)으로부터 연장되어 압궤 부재(62)를 둘러싸고 하위 삼각형 구조물(66)의 최외측 코너에 연결되어 매끄러운 외측 표면을 형성한다. 두 개의 삼각형 구조물(64, 66)의 내부 공간은 에너지-흡수 폼(68)으로 충전되며, 이는 역시 압궤 구조물(62)을 지지하는 것을 보조한다.
도 7은 두 개의 복합 몰딩(70, 72)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위 몰딩(70)은 좌측 상위 종방향 관(12)과 동일 높이에 위치되고 중공이었을 내부 안에 고밀도 에너지 흡수 폼(74)을 포함한다. 하위 몰딩(72)은 상위 몰딩 바로 아래에 위치되고 두 개의 몰딩의 내부 공간 사이의 분할 벽을 공유한다. 섀시와 관련하여, 하위 몰딩은 좌측 상위 및 하위 종방향 관(12, 14)의 일측에 그리고 그들 사이에 수직으로 놓인다. 하위 몰딩은 좌측 하위 종방향 관(14)에 기계적으로 고정되고 상위 몰딩은 좌측 상위 종방향 관(12)에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하위 몰딩의 중공이었을 내부는 저밀도 에너지 흡수 폼(76)으로 충전된다. 이러한 문맥에서, "저밀도 폼"은 "고밀도 폼"보다 낮은 밀도를 갖는 폼을 나타내고 그 역도 그러하다. 배출 개구(78)가 두 개의 몰딩 사이의 공유된 분할 벽에 형성되고, 그래서 충격 하에 충돌 물체와 좌측 상위 종방향 관(12) 사이에 압축된 고밀도 폼은 상위 몰딩(70)으로부터 하위 몰딩(72) 안으로 가압될 것이다. 이러한 이동은 저밀도 폼에 의해 저지되지만 방지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상위 몰딩(70)에 의해 나타나는 압궤 저항은 개구의 크기 및 형상의 변화에 의해 그리고 하나 초과의 개구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개구의 수 및 간격에 의해 매우 엄밀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그 섹션의 길이를 따라 수 개의 이러한 개구가 제공될 것이지만 측방향으로 이격된 하나 초과의 개구 또는 개구의 열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압궤 저항의 추가적인 조정은 두 개의 폼의 실제 밀도의 선택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고밀도 폼의 밀도의 증가는 고정된 개구 크기에 대해 압궤 저항을 증가시키지만, 이는 저밀도 폼의 밀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상쇄될 수 있는데, 저밀도 폼은 개구를 통한 고밀도 폼의 배출에 대해 더 적은 저항을 나타낼 것이기 때문이다.
도 8은 압궤 구조물을 집합적으로 형성하는 섹션들의 대안 배열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필요한 단면 형상을 만들도록 함께 결합되는 세 개의 형성 프로파일에 의해 구성된다. 내측 면(80)은 좌측 상위 및 하위 종방향 관(12, 14)에 놓이고 양 단부에서 섀시 관에 대해 부분적으로 등각을 이룬다. 외측 면(82)은 그 상위 및 하위 말단에서 내측 면에 합쳐지고 이들 두 지점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외향 연장되어 (내측 면(80)과 함께) 대체적 사다리꼴 형상을 형성한다. 내부 리브(84)가 사다리꼴의 내부에서 내측 면(80)으로부터 외측 면(82)까지 연장되고 사다리꼴의 내부를 분할하여 구조물을 강화한다. 이렇게 형성된 두 개의 내부 영역은 양자 모두 충격 흡수 폼(86, 88)으로 충전된다. 이 섹션은 복합 재료, 플라스틱 재료, 또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완성된 구조물은 그 후 좌측 상위 및 하위 종방향 관(12, 14)에 기계적으로 부착된다.
도 9는 내측 면(90), 외측 면(92), 내부 리브(94), 및 폼 충전재(96, 98)를 갖는 도 8과 유사한 배열을 도시한다. 이 배열에서, 외측 면(92)은 프로파일이 사다리꼴이고, 내부 리브(94)는 내측 및 외측 면(90, 92)이 만나는 점으로부터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외측 면(92)의 대향 코너까지 연장되는 점에서, 공간적인 배열 차이가 있다. 따라서, 구조물은 두 개의 삼각형 단면 형상으로 분할되고, 압궤 구조물에 강성을 더하며, 그 압궤 특성을 요구되는 것으로 조정하는 것을 보조한다.
도 10은 동일한 일반적인 배열에서 내측 면(100), 외측 면(102), 내부 리브(104), 및 폼 충전재(106, 108)를 또한 채용하는 추가적인 배열을 도시한다. 그러나, 내측 면(100)은 좌측 상위 및 하위 종방향 관(12, 14)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대응 프로파일 섹션(101)에 걸쳐 꼭 맞게 맞춤되는 좌측 상위 및 하위 종방향 관(12, 14)에 대응하는 두 개의 돌출 채널을 구비한다. 섹션(101)과 섀시 관 사이에 공간이 유지되어, 섹션(101)의 내측 면 상의 나사산형 고정구를 수용하며; 내측 면(100) 및 겹치는 외측 면(102)의 대응하는 구멍은 볼트(103, 105)가 그 구멍을 통해 삽입되고 압궤 구조물을 제자리에 유지하도록 나사산형 고정구와 결합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는 압궤 구조물의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반복될 수 있다.
도 11은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좌측 상위 및 하위 종방향 관(12, 14)은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섀시 패널(28a, 28b) 및 다른 구조물에 의해 또한 보강된다. 외측 프로파일(110)은 간격을 두고 반복되는 볼트(112)를 통해 좌측 상위 종방향 관(12)에 그리고 접착 결합에 의해 좌측 하위 종방향 관(14)에 고정되며, 외측 프로파일(110)은 두 개의 종방향 관에 인접하게 놓이지만 그들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외향 돌출되어 차량에 대해 강성 실을 형성한다. 충격-흡수 폼(116)이 프로파일(110)의 돌출부 뒤에 제공된다. 실 상에 배치된 받침부가 지지되도록 실 형상의 상위 면에 실질적으로 등각이지만 그 외에는 미적으로 형성되는 외측 스킨(118)이 장식 목적으로 제공된다. 하위 섀시 패널(28a)은 볼트(114)를 통해 간격을 두고 좌측 하위 종방향 관(14)에 볼트체결되며 또한 좌측 하위 종방향 관(14)을 약간 넘어 연장되어 외측 스킨(118)을 위한 고정 지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 구조물은 좌측 상위 종방향 관(12)의 높이에 강성 외측 표면을 나타낸다. 이것은 내측 스킨(122) 및 외측 스킨(124)을 포함하는 도어 구조물(120)에 의해 충전되고, 내측 스킨 및 외측 스킨의 프로파일은 원하는 미적 효과를 제공하고 로크 기구, 윈도우 와인더 등 같은 다양한 구조물을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선택된다. 이 내부 공간의 하위 말단에는, 실 바로 위에 있으며 좌측 상위 종방향 관(12)과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에 있는 폐쇄된 도어 구조물에 의해 유지되는 압궤 구조물(126)이 있다. 압궤 구조물은 내측 및 외측 면(128, 130)에 의해 형성되고; 외측 면(130)은 외측 도어 스킨(124)의 형상에 정합되도록 약간 만곡된 부분을 갖지만 주로 평평한 반면, 내측 면(128)은 외측 면(130)에의 부착을 허용하기 위해 플랜지 연부를 갖는 사다리꼴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내부 공간은 충격 흡수 폼으로 충전된다. 위와 같이, 다양한 섹션이 원하는 바에 따라 복합 재료, 플라스틱 재료, 또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록(132)은 표준적인 전형의 Euro-NCAP 또는 연방 측방 충격 시험편을 나타내며,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표준 충격에서 압궤 구조물(126)에 걸쳐 도어에 부딪칠 것이다. 처음에, 도어 스킨이 변형될 것이고, 직후에 압궤 구조물(126)이 표준 충격 유형 블록(132)과 좌측 상위 종방향 관(12) 사이에서 압축될 것이다. 충격력은 따라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섀시를 변형시키지 않는 상태로 섀시에 전달될 것이다. 충격 후에, 손상된 도어(120)는 새로운 도어로 교체될 수 있고, 따라서 압궤 구조물(126) 역시 교체한다.
다양한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본적인 주제에 대한 변형을 예시하며, 각 특정 실시예의 변형은 원하는 경우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물론, 많은 변화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대해 이루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15)

  1. 차량이며,
    차량 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 범위를 갖는 상위 하중-지탱 관형 섀시 부재 및 별개의 하위 하중-지탱 관형 섀시 부재를 포함하는 섀시 구조물;
    상위 섀시 부재에 장착되고 섀시 부재의 외측에 측방향으로 위치되는, 상하 범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압궤 구조물을 포함하고,
    압궤 구조물의 상하 범위는 상위 섀시 부재의 상하 범위와 겹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압궤 구조물은 제거가능한 방식으로 섀시 부재에 대해 제자리에 유지되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압궤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분리가능한 고정구에 의해 섀시 부재에 대해 제자리에 유지되는,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 또는 그 각각은 볼트, 리벳, 접착제, 및 스폿 용접 중 적어도 하나인, 차량.
  5. 제2항에 있어서, 압궤 구조물은 섀시 구조물에 대한 경첩식 부착에 의해 섀시 부재에 대해 제자리에 유지되는,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압궤 구조물은 차량의 도어의 일부인,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압궤 구조물은 도어의 하위 실에 위치되는, 차량.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궤 구조물은 에너지-흡수 요소를 둘러싸는 중공 섹션을 포함하는, 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에너지-흡수 요소는 폼을 포함하는, 차량.
  10. 제8항에 있어서, 압궤 구조물은 내부 분할 벽을 포함하는, 차량.
  11. 제10항에 있어서, 에너지-흡수 요소는 내부 분할 벽의 일측에 위치되는, 차량.
  12. 제11항에 있어서, 내부 분할 벽은 개구를 포함하고, 이 개구를 통해 에너지-흡수 요소가 가압될 수 있어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보조하는, 차량.
  13.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섀시 구조물은, 차량의 각 측에 한 쌍씩,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쌍의 상위 및 하위 하중-지탱 관형 섀시 부재를 더 포함하고, 교차-부재가 상위 하중-지탱 관형 섀시 부재들 및 하위 하중-지탱 관형 섀시 부재들 각각 사이에서 연장되는, 차량.
  14. 제13항에 있어서, 섀시 구조물에 결합된 평평한 시트를 더 포함하는, 차량.
  15. 제14항에 있어서, 평평한 시트는 복합 재료로 이루어지는, 차량.
KR1020167018841A 2013-12-17 2014-12-16 차량 및 그를 위한 섀시 KR102423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322297.1 2013-12-17
GB1322297.1A GB2521361B (en) 2013-12-17 2013-12-17 Vehicle and chassis therefor
PCT/EP2014/077895 WO2015091437A1 (en) 2013-12-17 2014-12-16 Vehicle and chassis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628A KR20160099628A (ko) 2016-08-22
KR102423466B1 true KR102423466B1 (ko) 2022-07-22

Family

ID=50031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841A KR102423466B1 (ko) 2013-12-17 2014-12-16 차량 및 그를 위한 섀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944325B2 (ko)
EP (1) EP3094543B1 (ko)
JP (1) JP6596425B2 (ko)
KR (1) KR102423466B1 (ko)
CN (1) CN105813924B (ko)
BR (1) BR112016013731B1 (ko)
CA (1) CA2933980C (ko)
ES (1) ES2688585T3 (ko)
GB (1) GB2521361B (ko)
HK (1) HK1210119A1 (ko)
PL (1) PL3094543T3 (ko)
WO (1) WO20150914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0078B2 (en) 2011-02-11 2017-05-16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all terrain vehicle
ES2728406T3 (es) * 2014-11-27 2019-10-24 Autotech Eng Sl Puerta del vehículo reforzada contra impactos laterales
PL3470307T3 (pl) * 2017-10-10 2021-07-12 Outokumpu Oyj Wspólna klatka bezpieczeństwa do samochodów osobowych
CN107672675B (zh) * 2017-11-13 2024-03-29 安徽省新方尊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碰撞防护高效吸能岛结构
JP6676092B2 (ja) * 2018-03-28 2020-04-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体補強構造、及び車体補強構造の製造方法
GB201814778D0 (en) * 2018-09-11 2018-10-24 Gordon Murray Design Vehicle Chassis
US10720620B1 (en) * 2019-01-15 2020-07-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gh voltage battery pack mounting systems for providing load path management during impact loading eve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30650A (ja) * 2009-06-25 2012-12-06 ゴードン・マレー・デザイン・リミテッド 車両シャーシ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8367B2 (ko) * 1973-03-12 1979-11-20
US4045075A (en) * 1975-12-18 1977-08-30 Pulver Donald W Automobile body frame and envelope construction
IT1165208B (it) * 1979-05-25 1987-04-22 Fiat Auto Spa Ossatura portante per autoveicoli
US4493506A (en) * 1982-03-29 1985-01-15 American Sunroof Corporation Vehicle rocker panel structure
JPS61146692A (ja) * 1984-12-18 1986-07-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前輪懸架装置
US4988120A (en) * 1989-09-20 1991-01-29 Jones Anthony V Chassis system for race vehicle with wheelie bars
DE4028164A1 (de) * 1990-07-17 1992-01-23 Schneider Gesenkschmiede Pralldaempfer
US5094313A (en) * 1990-08-06 1992-03-10 Mauws Laurence J Utility vehicle
DE4326270C2 (de) * 1993-08-05 2003-01-30 Daimler Chrysler Ag Kraftfahrzeug mit einer steifen Bodenstruktur
JPH0781623A (ja) * 1993-09-20 1995-03-28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フロア構造
US5505024A (en) * 1993-11-22 1996-04-09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door assembly
US5884960A (en) * 1994-05-19 1999-03-23 Henkel Corporation Reinforced door beam
US5713589A (en) * 1995-03-03 1998-02-03 Smittybilt, Inc. Side step for motor vehicle
US5785376A (en) * 1995-06-21 1998-07-28 Mascotech Tubular Products, Inc. Vehicle door beam
US5806917A (en) * 1995-12-22 1998-09-15 Joalto Design, Inc. Integrated motor vehicle door and chassis
US5908216A (en) * 1995-12-22 1999-06-01 Joalto Design, Inc. Side intrusion beam with four points of connection
US6196619B1 (en) * 1995-12-22 2001-03-06 Joalto Design, Inc. Vehicle closure panel having an intrusion beam as primary structure
ZA978309B (en) * 1996-09-17 1998-09-03 Raceco International Inc Space frame for vehicle
DE19647334B4 (de) * 1996-11-15 2004-07-15 Benteler Ag Seitenaufprallträger für einen Personenkraftwagen
US5848853A (en) * 1997-01-08 1998-12-15 Asha Corporation Vehicle body space frame
DE19954292C2 (de) * 1999-11-11 2003-04-24 Porsche Ag Fahrzeug
US6312028B1 (en) * 1999-12-04 2001-11-0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otor vehicle energy absorbing member
JP2001310763A (ja) * 2000-04-28 2001-11-06 Fuji Heavy Ind Ltd 車体側面構造
US6357822B1 (en) * 2000-07-26 2002-03-19 Daniel E. Panoz Side impact beam assembly
US6371767B1 (en) * 2001-02-05 2002-04-1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Government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Demonstrator for new automotive technologies
US6722037B2 (en) * 2001-12-06 2004-04-20 Shape Corporation Variable thickness tubular doorbeam
JP2003184928A (ja) * 2001-10-12 2003-07-03 Nissan Motor Co Ltd 衝撃エネルギ吸収構造部材
US7004502B2 (en) * 2002-07-25 2006-02-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Frontal impact energy dissipation zone
JP4268004B2 (ja) * 2003-09-30 2009-05-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配置構造
US7192081B2 (en) * 2004-02-19 2007-03-20 Metalsa Servicios S. De R.L. Automotive frame
US7658258B2 (en) * 2005-06-10 2010-02-09 Thorpe North & Western LLP All terrain vehicle swept A-frame suspension and central support truss
US8163116B2 (en) * 2006-05-09 2012-04-24 Zephyros, Inc. Joints and a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the joints
US7441826B2 (en) * 2007-01-08 2008-10-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ergy transfer beam for automotive side door
FR2917050B1 (fr) * 2007-06-07 2009-09-0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tructure de vehicule automobile munie de moyens de repartition et de transmission d'efforts.
FR2917048B1 (fr) * 2007-06-07 2009-12-1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tructure de vehicule automobile adaptee pour un choc lateral.
JP5035218B2 (ja) * 2007-12-27 2012-09-26 豊田合成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
US7874611B2 (en) * 2008-04-03 2011-01-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calable two-piece reinforc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GB2458956A (en) * 2008-04-04 2009-10-07 Gordon Murray Design Ltd Vehicle chassis
DE102008019167A1 (de) * 2008-04-17 2009-11-12 Daimler Ag Stützanordnung eines Strukturteils an einer Fahrzeugseite eines Personenkraftwagens
US8152218B2 (en) * 2008-05-13 2012-04-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l pelvic impact energy-absorbing pre-crush protective construction for vehicle door
FR2933908B1 (fr) * 2008-07-16 2010-12-24 Renault Sas Dispositif de protection pour une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FR2934827B1 (fr) * 2008-08-11 2010-09-17 Faurecia Bloc Avant Dispositif de pare-chocs pour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FR2941210B1 (fr) * 2009-01-16 2017-03-24 Heuliez Electric Chassis de vehicule avec dispositif de compression de roues.
FR2944498B1 (fr) * 2009-04-17 2012-12-28 Faurecia Bloc Avant Face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avec platines de support de grandes tailles pour absorbeurs de chocs, et vehicule associe.
US8464827B2 (en) * 2010-12-28 2013-06-18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Utility vehicle
US8444191B2 (en) * 2011-03-25 2013-05-21 Douglas William Akers Removable automobile molding for dent and scratch protection
KR101361794B1 (ko) * 2011-08-25 2014-02-24 대동공업주식회사 다목적 운반차량용 탑승자 방호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차체
US8727421B2 (en) * 2011-08-31 2014-05-20 Shape Corp. Door beam assembly with roll formed beam
EP2803517B1 (en) * 2012-01-11 2018-01-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tructure for vehicle side door
US8608230B2 (en) * 2012-04-13 2013-12-1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Localized energy dissipation structures for vehicles
US8833502B2 (en) * 2013-01-17 2014-09-16 Honda Motor Co., Ltd. Muffler assembly
GB2512330B (en) * 2013-03-26 2019-10-23 The Norman Trust Vehicle
GB2527589B (en) * 2014-06-27 2016-12-28 Gordon Murray Design Ltd Vehicle chassis structures
GB2528266B (en) * 2014-07-15 2017-03-29 Gordon Murray Design Ltd Vehicle and chassis
US9365241B1 (en) * 2015-03-04 2016-06-14 Honda Motor Co., Ltd. Vehicle crash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30650A (ja) * 2009-06-25 2012-12-06 ゴードン・マレー・デザイン・リミテッド 車両シャー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91437A1 (en) 2015-06-25
BR112016013731B1 (pt) 2022-11-22
GB2521361A (en) 2015-06-24
CN105813924A (zh) 2016-07-27
CN105813924B (zh) 2019-07-23
EP3094543B1 (en) 2018-07-25
US20160318553A1 (en) 2016-11-03
US9944325B2 (en) 2018-04-17
CA2933980C (en) 2023-08-01
JP6596425B2 (ja) 2019-10-23
GB201322297D0 (en) 2014-01-29
CA2933980A1 (en) 2015-06-25
BR112016013731A2 (ko) 2017-08-08
EP3094543A1 (en) 2016-11-23
HK1210119A1 (en) 2016-04-15
ES2688585T3 (es) 2018-11-05
PL3094543T3 (pl) 2018-11-30
KR20160099628A (ko) 2016-08-22
JP2017500245A (ja) 2017-01-05
GB2521361B (en) 202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3466B1 (ko) 차량 및 그를 위한 섀시
US8839722B2 (en) Lightweight compound cab structure for a rail vehicle
US8939246B2 (en) Automotive floor structure
EP3325314B1 (en) Bumper beam
JP5862555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US20170113734A1 (en) Vehicle body structure
US20110193357A1 (en) Bumper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CN105691468A (zh) 一种汽车侧碰吸能高刚度全铝轻质门槛梁结构
ES2417331T3 (es) Cara delantera de vehículo automóvil con platinas de soporte de grandes dimensiones para absorbedores de choques, y vehículo asociado
JP2008155699A (ja) 車体骨格構造
JP6112672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7008719B2 (ja) 自動車両本体構造
JP5881117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CN115230826A (zh) 一种后地板总成以及车辆
JP6112695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WO2014097765A1 (ja) 自動車の車体構造
CN104470795A (zh) 用于机动车的支撑结构
KR102468042B1 (ko) 차량용 사이드 실
KR102440527B1 (ko) 로드패스 구간 내 강성 및 내구성 강화를 위한 cff(combined front bumper beam and front end module) 유닛
KR101163930B1 (ko) 차량의 루프 구조
US20160031487A1 (en) Vehicle fender energy absorbing apparatus
KR20110006028U (ko) 버스의 운전자석 보강구조
AU2015201598A1 (en) Suppor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