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980B1 -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980B1
KR102418980B1 KR1020170177560A KR20170177560A KR102418980B1 KR 102418980 B1 KR102418980 B1 KR 102418980B1 KR 1020170177560 A KR1020170177560 A KR 1020170177560A KR 20170177560 A KR20170177560 A KR 20170177560A KR 102418980 B1 KR102418980 B1 KR 102418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center
monitoring
business
proxy
manag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1475A (ko
Inventor
아키후미 모치즈키
코지 무로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1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04M3/515Night servi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감시 센터의 업무 시간 외에 설비 측으로부터 호출이 있었을 경우, 설비 측으로부터 재호출시키는 일 없이 설비 측과 대행 감시 센터 측의 대화를 가능하게 한다. 지역 감시 센터(10)의 업무 시간 외에, 엘리베이터 카(3)의 승객의 인터폰으로부터의 호출에 따라서 감시경보장치(4)로부터 송신되어 온 호출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면 PBX(12)에 전송하는 수신장치(11)와, 수신장치(11)로부터의 수신 데이터를, 인트라넷(1)을 개재해서 PBX(22)에 전송하는 PBX(12)와, PBX(12)로부터의 수신 데이터를 오퍼레이터 단말(23)에 송신하는 PBX(22)를 구비하고, 업무 시간 외인 지역 감시 센터(10)의 담당 지역 내의 엘리베이터 카(3)의 승객과 대행 감시 센터(20)의 오퍼레이터를 대화시킨다.

Description

감시 시스템{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감시 시스템, 특히, 감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일부의 감시 센터의 업무 시간 외에 있어서의 사용자 대응에 관한 것이다.
전국에 산재하는 빌딩 설비,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를 감시하기 위하여, 감시 시스템은, 전국에 복수 개소의 감시 센터를 설치하고, 각 감시 센터에, 각각의 담당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를 감시시키고 있다.
엘리베이터에서 어떠한 장해가 발생하면, 엘리베이터의 승객은, 카 내에 있는 인터폰을 조작해서 호출한다. 이 호소에 따라서, 각 빌딩에 설치되어 있는 감시경보장치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제1 연락처에 전화를 거는 것에 의해 감시 센터를 호출한다. 제1 연락처에는, 속지의 감시 센터, 즉, 빌딩에 존재하는 지역 담당의 감시 센터의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므로, 속지의 오퍼레이터(operator)가 호출되어, 승객과의 대화가 개시된다.
그런데, 감시 센터는, 야간이 되면 몇 군데만을 남기고 업무를 종료한다. 야간에 업무를 종료하는 감시 센터에 있어서는, 업무를 종료할 때에 감시경보장치로부터의 호출을 수신하는 원격감시 수신장치를 부재 모드로 설정한다.
야간에 있어서 업무를 종료하는 감시 센터의 담당 지역 내에 있는 엘리베이터에 장해가 발생한 것으로, 승객이 인터폰을 조작하면, 감시경보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연락처에 전화를 건다. 그러나, 호출처의 감시 센터는, 업무 시간 외여서 원격감시 수신장치에는 부재 모드가 설정되어 있어 불통이 된다. 따라서, 감시경보장치는, 불통인 것을 인식하면, 미리 등록되어 있는 제2 연락처에 전화를 다시 건다. 제2 연락처에는, 야간이라도 업무를 계속하고 있는 감시 센터가 등록되어 있으므로, 그 감시 센터의 오퍼레이터가 호출되어, 승객과 대화하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JPH11-164036 A
(특허문헌 2) JP2008-172525 A
(특허문헌 3) JPH10-011682 A
(특허문헌 4) JPH10-215326 A
(특허문헌 5) JP2016-91120 A
상기한 바와 같이, 야간에 있어서 업무를 종료하는 감시 센터의 담당 지역 내에 있는 감시경보장치는, 야간에 있어서 불통이 되는 것이 명확한데도 불구하고 제1 연락처에 전화를 걸고, 그 후에 제2 연락처에 전화를 다시 걸게 된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에게 연결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이 주간에 비해서 길어진다. 또한, 아날로그의 전화 회선으로 감시 센터에 접속되어 있는 인터폰은, 제2 연락처에 재호출을 행하기 위하여 통신 비용이 들어 버린다.
본 발명은, 감시 센터의 업무 시간 외에 설비 측으로부터 호출이 있었을 경우, 설비 측으로부터 재호출시키는 일 없이 설비 측과 대행 감시 센터 측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관할 내의 시설에 설정되어 있는 설비를 각각 감시하고, 해당 설비의 이용자와의 대응 업무를 행하는 복수의 감시 센터를 구비하고, 상기 감시 센터 중 적어도 1개의 상기 감시 센터에 대행 감시 센터로서 상기 감시 센터의 업무 시간 외에 있어서의 이용자와의 대응 업무를 대행시키는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시 센터에는, 구내교환기와, 상기 설비에 설치되어 있는 인터폰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와, 상기 인터폰의 이용자에 대응하는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사용되고, 상기 수신장치가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오퍼레이터 단말이 설치되고, 상기 감시 센터의 업무 시간 외에 해당 감시 센터의 상기 수신장치가 수신한 음성 데이터가, 해당 감시 센터 내의 상기 구내교환기 및 상기 대행 감시 센터의 상기 구내교환기를 개재해서 해당 대행 감시 센터의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에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감시 센터의 업무 시간 외에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해당 감시 센터의 상기 구내교환기에 전송시키도록 상기 수신장치를 제어하는 수신장치 제어부와,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온 음성 데이터를, 상기 대행 감시 센터의 상기 구내교환기에 전송시키도록 상기 구내교환기를 제어하는 구내교환기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각 감시 센터로부터 업무의 개시 및 종료의 통지를 받는 업무상황 관리부와, 상기 각 감시 센터의 업무의 상황이 설정되는 업무관리정보를 기억하는 업무관리정보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장치 제어부는, 상기 업무관리정보의 설정 내용에 의거해서 상기 수신장치에 있어서의 음성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업무관리정보에는, 업무 시간 외의 상기 감시 센터에 있어서의 상기 대행 감시 센터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구내교환기 제어부는, 상기 업무관리정보의 설정 내용에 의거해서 음성 데이터의 전송처로 하는 상기 대행 감시 센터의 상기 구내교환기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 센터의 업무 시간 외에 설비 측으로부터 호출이 있었을 경우, 설비 측으로부터 재호출시키는 일 없이 설비 측과 대행 감시 센터 측의 대화를 개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업무 시간 내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수수나 지시 계통 등 장치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업무 시간 내에 업무관리정보 기억부에 기억되는 업무관리정보의 데이터 설정예를 나타낸 도면;
도 3b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업무 시간 외에 업무관리정보 기억부에 기억되는 업무관리정보의 데이터 설정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업무 시간 외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수수나 지시 계통 등 장치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에 의거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계약처의 빌딩 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 중 엘리베이터를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을 예로 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시 시스템은, 전국을 복수의 지역으로 분할하고, 지역마다 감시 센터를 설치하고 있다. 엘리베이터의 카에는, 비상시 대응을 위하여 인터폰이 설치되어 있다. 감시 센터는, 엘리베이터의 장해 발생 시나 긴급 시에 인터폰을 조작한 승객에 대응하는 것을 업무의 하나로 하고 있다. 또한, 감시 센터는, 상기와 같이 복수 설치되어 있지만, 이 중 주간에만 업무를 행하고, 야간에는 업무를 종료하는 감시 센터와, 야간에도 업무를 행함으로써 야간에 업무를 하지 않는 감시 센터의 업무 시간 외에 있어서의 업무를 대행하는 감시 센터의 2 타입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전국을 8군데의 지역으로 나누고, 지역마다 감시 센터를 설치하고, 이 중, 도쿄와 오사카에 있는 감시 센터는 24시간 체제로 업무를 행하고, 그 밖의 감시 센터는 야간에는 업무를 종료한다. 그리고, 전국을 동서로 나누었을 경우, 동쪽의 감시 센터는 도쿄에, 서쪽의 감시 센터는 오사카에 각각 야간의 업무의 대행을 의뢰한다.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감시 센터 중, 야간에 업무를 종료하는 감시 센터를 「지역 감시 센터」로, 지역 감시 센터의 업무 시간 외에 있어서의 업무를 대행하는 감시 센터를 「대행 감시 센터」로, 각각 칭하기로 한다. 물론, 대행 감시 센터이더라도, 주간은 담당 지역에 있어서 지역 감시 센터로서 기능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야간」이라고 하는 것은, 지역 감시 센터에 있어서의 업무 시간 외와 동의이며, 「주간」이라고 하는 것은, 지역 감시 센터에 있어서의 업무 시간 내와 동의이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지역 감시 센터 및 대행 감시 센터에 공통되는 내용은, 단지 「감시 센터」로서 설명하고, 지역 감시 센터 혹은 대행 감시 센터에 특화하는 설명에만 「지역 감시 센터」또는 「대행 감시 센터」로 기재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대행 감시 센터를 복수 설치해도 되지만, 각 대행 감시 센터는 각각 동등한 기능을 가지면 되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편의적으로 1군데의 감시 센터만이 대행 감시 센터로서 기능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수나 지시 계통 등 장치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 도 2에서는, 통괄 관리 서버(31)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는, 감시 센터(10), 대행 감시 센터(20) 및 시스템 관리 센터(30)가 인트라넷(1)으로 접속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감시 센터(10)는, 야간은 업무를 종료하는 지역 감시 센터에 상당한다. 대행 감시 센터(20)는, 주간은 지역 감시 센터(10)이지만, 야간은 지역 감시 센터(10)의 업무 시간 외에 있어서의 업무를 대행하는 감시 센터이기 때문에, 도 1에서는 지역 감시 센터(10)인 감시 센터와 편의적으로 나누어서 도시하였다. 시스템 관리 센터(30)는 감시 센터(10)를 통괄적으로 관리한다.
감시 센터(10)는, 관할(담당 지역) 내의 빌딩(2)의 엘리베이터를 원격감시하지만, 엘리베이터의 카(3)에는, 비상시 대응하는 인터폰(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감시경보장치(4)는, 빌딩(2)마다 설치되어 있고, 카(3) 내의 인터폰이 승객에 의해 조작되면 지역 담당의 감시 센터(10)에 호출하고, 인터폰을 지역 담당의 감시 센터(10)와 접속함으로써, 승객과 감시 센터(10)의 오퍼레이터의 대화를 가능하게 한다.
감시 센터(10)는, 수신장치(11), PBX(Private Branch eXchange: 구내교환기)(12), 오퍼레이터 단말(13) 및 수신장치 관리서버(14)를 LAN(local area network)(15)에 접속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LAN(15)은, 라우터(16)를 개재해서 인트라넷(1)에 접속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하지 않은 구성 요소는 도 1로부터 생략하고 있다. 다른 센터(20, 30)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수신장치(11)는, 원격감시 대상의 빌딩(2)의 감시경보장치(4)와 아날로그 형식의 전화 회선망으로 접속되어 있고, 감시경보장치(4)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나서 오퍼레이터 단말(13)에 보낸다. 수신하는 데이터의 종류로서는,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 데이터, 인터폰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또 카(3)에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 등이 있다.
PBX(12)는, 도시하지 않은 전화 회선망에 접속되어 있고, 고객으로부터의 전화(외선)를 오퍼레이터 단말(13)에 연결시킬 수 있다. 오퍼레이터 단말(13)은,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사용되는 전용의 단말장치이다. 오퍼레이터 단말(13)은, 통상은 복수대 준비되어 있지만, 각각 동등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도면에서는 1대만 도시하였다. 오퍼레이터는, 엘리베이터의 상태 감시 이외에, 카(3)의 승객과 인터폰을 개재해서 대화하는 등 승객과의 대응을 행한다. 수신장치 관리서버(14)는, 수신장치(11)의 상태를 관리하는 서버 컴퓨터이다. 구체적으로는, 업무가 종료될 때에 업무 시간 외의 상태로 설정하고, 업무가 개시될 때에는 업무 시간 외의 상태를 해제한다.
대행 감시 센터(20)는, 수신장치(21), PBX(22), 오퍼레이터 단말(23), 수신장치 관리서버(24) 및 전화 관리 서버(27)를 LAN(25)에 접속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LAN(25)은 라우터(26)를 개재해서 인트라넷(1)에 접속된다. 대행 감시 센터(20)는, 주간에는 지역 감시 센터(10)이기도 하므로 전술한 구성 요소(11 내지 16)와 동등한 구성 요소(21 내지 26)를 구비하고 있다. 대행 감시 센터(20)는, 전화 관리 서버(27)를 갖는 점에서 지역 감시 센터(10)와 다르다. 전화 관리 서버(27)는, 지역 감시 센터(10) 및 대행 감시 센터(20)에 있어서의 PBX(12, 22)의 제어, 관리를 행하는 서버 컴퓨터이다.
시스템 관리 센터(30)는, 감시 센터(10)를 통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통괄 관리 서버(31)를 LAN(32)에 접속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LAN(25)은, 라우터(33)를 개재해서 인트라넷(1)에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괄 관리 서버(31)는, 업무상황 관리부(311) 및 업무관리정보 기억부(312)를 구비하고 있다. 업무상황 관리부(311)는, 감시 센터(10)로부터 업무의 개시 및 종료의 통지를 받고, 그 통지의 내용을 따라서 업무관리정보 기억부(312)에서 유지되는 업무관리정보를 갱신하는 등 각 감시 센터(10)에 있어서의 업무의 상황을 관리한다.
전술한 각 서버(14, 24, 27, 31)는, 범용적인 서버 컴퓨터로 형성된다. 즉, 각 서버(14, 24, 27, 31)는, CPU, ROM, RAM, HDD를 구비하고, 또한 네트워크 통신을 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도 3a는, 업무관리정보 기억부(312)에 기억되는 업무관리정보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업무관리정보에는, 각 감시 센터(10)의 업무의 상황이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감시 센터(10)마다, 해당 감시 센터(10)의 식별 코드에 대응시켜서, 빌딩(2)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감시 센터(10), 걸려온 전화에 대응하는 감시 센터(10) 및 인터폰에 대응하는 감시 센터(10)가 각각 「데이터」, 「전화」, 「인터폰」에 설정된다. 또, 도 3a에 있어서, 감시 센터 IC1에는, 지역 감시 센터(10)를 나타내는 식별 코드 "IC1"과는 별개로 대행 감시 센터(20)를 나타내는 식별 코드 "MC1"을 부여하고, 대행 감시 센터(20)인 것을 식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3a에는, 주간, 즉, 각 감시 센터(10)가 업무 시간 내일 때의 설정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업무를 행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도 3a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각 감시 센터(10) 모두, 각 항목에는 자체 감시 센터(10)의 식별 코드가 설정된다. 따라서, 자체 감시 센터(10)에서 데이터, 전화 및 인터폰에 대응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b는, 도 3a와 같이 업무관리 정보가 도시되어 있지만, 도 3a에는 주간(업무 시간 내)의 설정예가 도시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 도 3b에는 야간(업무 시간 외)의 설정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지역 감시 센터(10)는 모두, 담당 지역 내에서의 데이터는 스스로 수신하지만, 걸려온 전화 및 인터폰의 대응은 대행 감시 센터(20)가 대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해서 주간, 즉, 지역 감시 센터(10)의 업무 시간 내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때, 업무관리정보에는, 도 3a에 나타낸 내용이 설정되어 있다.
업무 시간 내에 있어서의 동작은, 기본적으로는 종전과 동일해도 된다. 예를 들면, 외선이 걸려 오면, 오퍼레이터 단말(13)의 착신을 나타내는 램프를 점등시키는 등 해서 오퍼레이터에게 알리고, 오퍼레이터가 그 외선에 대응하는 조작을 하면, PBX(12)는, 그의 오퍼레이터 단말(13)에 외선을 접속한다.
또, 수신장치(11)는, 인터폰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해서 카(3)의 승객과 오퍼레이터를 대화시키지만, 음성 데이터 이외에도 화상 데이터 등을 수신한다. 이것은, 감시경보장치(4)가 데이터를 송신할 때, 최초에 어느 건물(빌딩(2))의 어느 호기(엘리베이터)가 어떠한 상태인가를 나타내는 정보, 인터폰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의 유무, 송신하는 화상 데이터의 유무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지 데이터를 사전에 송신하므로, 오퍼레이터는, 이 통지 데이터에 의해 엘리베이터에의 가둠 등의 장해의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는, 오퍼레이터 단말(13)에 화면 표시된다. 또한, 카(3) 내를 촬상한 화상 데이터가 있으면, 그 화상 데이터는 오퍼레이터 단말(13)에 화면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쪽만이 이야기할 수 있는 편통화 방식의 인터폰을 상정하고 있으므로, 인터폰으로부터의 호출에 대응하는 데이터(호출 설정 메시지), 즉, 승객으로부터의 통화 요구가 있으면, 오퍼레이터는, 오퍼레이터 단말(13)에 소정의 조작을 함으로써 그 통화 요구에 따라서 회선을 확립해서 카(3)의 승객과의 음성통화를 개시하고, 그 후 통화 방향(음성 데이터의 송수신방향)을 적당히 전환하면서 대화를 계속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상태나 화상 데이터는, 오퍼레이터 단말(13)에 자동적으로 표시되지만, 인터폰으로부터의 호출에 대해서는, 그 호출에 응한다고 판단한 오퍼레이터가 소정의 조작을 수동으로 행하게 된다.
여기서, 지역 감시 센터(10)에 있어서 업무의 종료 시간이 되었을 때, 오퍼레이터는, 오퍼레이터 단말(13)에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업무의 종료를 시스템 관리 센터(30)에 통지한다.
시스템 관리 센터(30)에 있어서의 업무상황 관리부(311)는, 업무의 종료 통지를 받으면, 그 지역 감시 센터(10)의 업무관리정보를 도 3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화 및 인터폰의 대응을 대행 감시 센터(20)로 변경한다. 또한, 상세하게는, 업무관리정보의 설정을 어떻게 변경할지는, 지역 감시 센터(10)마다 미리 결정되어 있어, 그 결정된 내용에 따라서 변경한다.
업무가 종료된 지역 감시 센터(10)에 있어서의 수신장치 관리서버(14)는, 업무관리정보의 설정 내용이 변경됨으로써 업무의 종료를 검지하면, 수신한 데이터는 디지털 변환 후에 PBX(12)에 전송하도록 수신장치(11)에 설정한다.
또한, 대행 감시 센터(20)에 있어서의 전화 관리 서버(27)는, 업무관리정보의 설정 내용이 변경됨으로써 지역 감시 센터(10)의 업무를 대행할 필요가 있는 것을 검지하면, PBX(22)를 마스터 기기로 하고 업무대행처의 지역 감시 센터(10)에 있어서의 PBX(12)를 슬레이브 기기로 설정하고, PBX(12)와 PBX(22)에서 연계 동작하도록 설정한다.
도 2가 주간에 있어서의 장치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인 것에 대해서, 도 4는 야간에 있어서의 장치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야간에 있어서, 수신장치(11)는, 선(5)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 데이터를 오퍼레이터 단말(13)이 아니라 PBX(12)에 전송한다. 또한, PBX(12)는, 선(6, 7)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터 기기인 PBX(22)의 슬레이브 기기, 혹은 중계기로서 동작하고, 수신 데이터를 오퍼레이터 단말(13)이 아니라 PBX(22)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업무 시간 외용의 설정이 된 후, 업무 시간 외의 지역 감시 센터(10)에 있어서의 담당 지역 내에서 카(3)의 승객에 의해 인터폰이 조작되어 호출된 것으로 한다. 감시경보장치(4)는, 인터폰의 조작에 따라서 지역 담당의 지역 감시 센터(10)에 호출을 행한다. 지역 감시 센터(10)에 있어서의 수신장치(11)는, 그 호출에 따르는 데이터(호출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수신 데이터를 디지털 변환한 후, PBX(12)에 전송한다. PBX(12)는, 수신장치(1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한 데이터를, 인트라넷(1)을 개재해서 마스터 기기인 PBX(22)에 전송한다. PBX(22)는, PBX(12)로부터 수신장치(11)가 수신한 데이터를 수신하면, 오퍼레이터 단말(23)에 보낸다. 그리고, 대행 감시 센터(20)의 오퍼레이터는, 오퍼레이터 단말(23)에 소정의 조작을 함으로써, 조작된 인터폰과의 사이에서 회선을 확립해서 카(3)의 승객과의 음성통화를 개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상과 같이 해서 지역 감시 센터(10)에 있어서의 업무 시간 외에 있어서, 지역 감시 센터(10)에 있어서의 수신장치(11)가 인터폰으로부터의 호출에 따라서 데이터(호출 설정 메시지)를, PBX(12, 22)를 개재해서 대행 감시 센터(20)에 전송하도록 했으므로, 지역 감시 센터(10)에 있어서의 감시경보장치(4)는, 재호출하는 일 없이 대행 감시 센터(20)와의 사이에서 회선을 확립할 수 있다. 즉, 감시경보장치(4)는, 지역 담당의 지역 감시 센터(10)의 수신장치(11)에 호출함으로써 그 수신장치(11)와의 회선이 확립되게 되므로, 카(3)의 승객의 발생에 의한 음성 데이터는, 수신장치(11)가 수신하면, PBX(12), 인트라넷(1), PBX(22)를 개재해서 대행 감시 센터(20)의 오퍼레이터 단말(23)에 송신되어, 이것에 의해, 카(3)의 승객과 대행 감시 센터(20)의 오퍼레이터와의 대화가 가능해진다.
지역 감시 센터(10)에 있어서 업무를 개시할 때, 오퍼레이터는, 오퍼레이터 단말(13)에 소정의 조작을 함으로써 업무의 개시를 시스템 관리 센터(30)에 통지한다.
시스템 관리 센터(30)에 있어서의 업무상황 관리부(311)는, 업무의 개시 통지를 받으면, 그 지역 감시 센터(10)의 업무관리정보를 도 3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화 및 인터폰의 대응을 원래 상태로 되돌린다.
업무를 개시하는 지역 감시 센터(10)에 있어서의 수신장치 관리서버(14)는, 업무관리정보의 설정 내용이 변경됨으로써 업무의 개시를 검지하면, 수신장치(11)의 설정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고, 수신한 데이터를 오퍼레이터 단말(13)에 송신시킨다.
또, 대행 감시 센터(20)에 있어서의 전화 관리 서버(27)는, 업무관리정보의 설정 내용이 변경됨으로써 지역 감시 센터(10)의 업무를 대행할 필요가 없어진 것을 검지하면, PBX(12, 22)의 설정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고, PBX(12)와 PBX(22)의 연계 동작 상태의 해방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작용시킨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역 감시 센터(10)의 업무 시간 외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를, 각 서버(31, 27, 14, 24)가 연계해서 행할 수 있도록 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서버(31, 27, 14, 24)가 연계해서 상기 동작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했다. 단지, 이 시스템 구성은 일례로서 이것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전화 관리 서버(27)는, 시스템 관리 센터(30)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감시 대상의 설비로서 빌딩(2)에 설치한 엘리베이터를 예로 해서 설명했지만, 다른 설비의 감시 목적으로 이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야간을 업무 시간 외라고 했지만, 감시 대상이나 업무의 내용, 운용 등에 따라 업무 시간의 범위는 적당히 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장해 발생 시를 업무 시간 외로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Claims (4)

  1. 관할 내의 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를 각각 감시하고, 해당 설비의 이용자와의 대응 업무를 행하는 복수의 감시 센터를 구비하고, 상기 감시 센터 중 적어도 1개의 상기 감시 센터에 대행 감시 센터로서 상기 감시 센터의 업무 시간 외에 있어서의 이용자와의 대응 업무를 대행시키는 감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감시 센터에는,
    구내교환기와,
    상기 설비에 설치되어 있는 인터폰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와,
    상기 인터폰의 이용자에 대응하는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사용되어, 상기 수신장치가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오퍼레이터 단말이 설치되고,
    상기 감시 센터의 업무 시간 외에 해당 감시 센터의 상기 수신장치가 수신한 음성 데이터가, 해당 감시 센터 내의 상기 구내교환기 및 상기 대행 감시 센터의 상기 구내교환기를 개재해서 해당 대행 감시 센터의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에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감시 센터를 통괄적으로 관리하는 통괄 관리 서버에 설치되어, 상기 각 감시 센터의 업무의 상황이 설정되는 업무관리정보를 기억하는 업무관리정보 기억부와,
    상기 통괄 관리 서버에 설치되어, 상기 각 감시 센터로부터 업무의 개시 및 종료의 통지를 받으면, 받은 통지의 내용에 따라 상기 업무관리정보를 변경하는 업무상황 관리부와,
    상기 복수의 감시 센터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업무관리정보의 설정 내용이 변경됨으로써 해당 감시 센터의 업무의 종료를 검지하면, 해당 감시 센터의 업무 시간 외에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해당 감시 센터의 상기 구내교환기에 전송시키도록 상기 수신장치를 제어하는 수신장치 제어부와,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온 음성 데이터를, 상기 대행 감시 센터의 상기 구내교환기에 전송시키도록 상기 구내교환기를 제어하는 구내교환기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관리정보에는, 업무 시간 외의 상기 감시 센터에 있어서의 상기 대행 감시 센터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구내교환기 제어부는, 상기 업무관리정보의 설정 내용에 의거해서 음성 데이터의 전송처로 하는 상기 대행 감시 센터의 상기 구내교환기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KR1020170177560A 2017-03-30 2017-12-21 감시 시스템 KR102418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67327 2017-03-30
JP2017067327A JP6467452B2 (ja) 2017-03-30 2017-03-30 監視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475A KR20180111475A (ko) 2018-10-11
KR102418980B1 true KR102418980B1 (ko) 2022-07-11

Family

ID=6384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560A KR102418980B1 (ko) 2017-03-30 2017-12-21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67452B2 (ko)
KR (1) KR102418980B1 (ko)
CN (1) CN1086966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2068B2 (ja) * 2019-03-07 2021-10-20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遠隔監視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KR102275569B1 (ko) * 2020-08-27 2021-07-09 조민제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377B1 (ko) * 2003-02-18 2006-01-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7274175A (ja) * 2006-03-30 2007-10-18 Oki Electric Ind Co Ltd 遠隔監視システム
JP2015023480A (ja) * 2013-07-22 2015-0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話受付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511576B1 (ko) 2013-12-06 2015-04-14 (주) 마이트로 휴대단말기와 인터넷 전화 연결구조를 갖는 네트워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1954A (ja) * 1982-12-02 1984-06-12 Nec Corp 遠方監視制御方式
RU2054815C1 (ru) * 1993-01-15 1996-02-20 Центр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Министерства связ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х объектов по телефонным линиям
JPH11239217A (ja) * 1998-02-20 1999-08-31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受信代行システム
JP3791818B2 (ja) * 1999-01-04 2006-06-28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コールセンタの中継装置
US6950509B2 (en) * 2001-10-22 2005-09-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determining a free connecting line in a switching center having a number of subscriber access units
CN1514633A (zh) * 2003-05-28 2004-07-21 四川电信实业集团有限责任公司 电信呼叫转接方法及系统
JP2007158938A (ja) * 2005-12-07 2007-06-21 Hitachi Ltd 通話制御システム、通話制御方法、および通話制御プログラム
JP4771854B2 (ja) * 2006-04-20 2011-09-1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7124718A (ja) * 2007-02-16 2007-05-17 Fujitsu Ltd ネットワーク自動呼分配制御方法及び装置
CN201601728U (zh) * 2009-09-18 2010-10-06 常州易网通讯有限公司 Enc电梯专业通话系统
JP2011135554A (ja) * 2009-11-27 2011-07-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音声情報サービス方法および情報サービス方法
KR101799055B1 (ko) * 2015-07-15 2017-11-17 (주)보이텔커뮤니케이션 스마트 기기(앱)를 이용한 지능망 통신 부가 서비스 시스템
CN106341462B (zh) * 2016-08-26 2017-10-10 特斯联(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写字楼复合层面节点控制的信息交换和监控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377B1 (ko) * 2003-02-18 2006-01-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7274175A (ja) * 2006-03-30 2007-10-18 Oki Electric Ind Co Ltd 遠隔監視システム
JP2015023480A (ja) * 2013-07-22 2015-0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話受付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511576B1 (ko) 2013-12-06 2015-04-14 (주) 마이트로 휴대단말기와 인터넷 전화 연결구조를 갖는 네트워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70674A (ja) 2018-11-01
JP6467452B2 (ja) 2019-02-13
CN108696645A (zh) 2018-10-23
KR20180111475A (ko) 2018-10-11
CN108696645B (zh)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5905B2 (en) Multimedia emergency services
KR102418980B1 (ko) 감시 시스템
JP2005206309A (ja) エレベータ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102417225B1 (ko) 감시 시스템
JP2008024428A (ja) ビル遠隔監視装置
JPS5917017B2 (ja) エレベ−タ非常通報装置
US10257025B2 (en) Emergency communication solution
JP6833237B1 (ja) 直話装置及び通話システム
TWI643804B (zh) 電梯系統
KR101362536B1 (ko) Sip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비상 통화 교환 시스템 및 방법
JP6706338B2 (ja) 棟制御機およ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6932091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EP3422685B1 (en) Intercom system
KR101841820B1 (ko)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100792669B1 (ko) 홈 오토메이션과 홈 네트워크의 복합망 정합장치 및 통신방법
JP2008172290A (ja) 通報システムおよび通報の受付方法。
KR101113032B1 (ko) 네트워크 다중 연결 시스템 및 방법
JP2006086813A (ja) 遠隔監視通信制御システム
JPH07107206A (ja) 通信制御方法及び装置
JPH03240199A (ja) エレベータ非常通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