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225B1 -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225B1
KR102417225B1 KR1020180005767A KR20180005767A KR102417225B1 KR 102417225 B1 KR102417225 B1 KR 102417225B1 KR 1020180005767 A KR1020180005767 A KR 1020180005767A KR 20180005767 A KR20180005767 A KR 20180005767A KR 102417225 B1 KR102417225 B1 KR 102417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center
monitoring center
facility
busi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1488A (ko
Inventor
아키후미 모치즈키
신야 사카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1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Alarm System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설비 측에 회선 접속처를 의식시키는 일 없이 감시 센터와 회선 접속시킨다. 엘리베이터 카(6)의 인터폰으로부터의 호출에 응해서 데이터 센터(20)의 전화번호를 지정해서 감시경보장치(7)가 송신한 호출설정요구를 접수하는 수신 장치(22)의 접수부(221)와, 빌딩(3)마다 대응된, 해당 빌딩(3)을 담당하는 감시 센터(1), 해당 감시 센터(1)가 업무 시간 외인 때에 업무를 대행하는 대행 감시 센터 및 해당 감시 센터(1)에 있어서의 업무상황을 포함하는 업무관리정보를 기억하는 업무관리정보 기억부(24)와, 업무관리정보를 참조해서, 호출설정요구가 발생한 빌딩(3)을 담당하는 감시 센터(1)가 업무 시간 외인 때에는 대행 감시 센터에 호출설정요구를 전송하는 제어부(22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감시 시스템{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감시 시스템, 특히, 감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일부의 감시 센터의 업무 시간 외에 있어서의 사용자 대응에 관한 것이다.
전국에 산재하는 빌딩 설비,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를 감시하기 위하여, 감시 시스템은, 전국에 복수 개소의 감시 센터를 설치하고, 각 감시 센터에, 각각의 담당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를 감시시키고 있다.
도 5는, 종래의 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5에는, 전국에 산재하는 감시 센터(1)와, 계약처의 복수의 빌딩(3)과, 빌딩(3)으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일괄해서 접수하는 데이터 센터(2)가 도시되어있다. 데이터 센터(2)는, 각 감시 센터(1)와는 인트라넷(4)을 개재해서 접속되고, 각 빌딩(3)과는 전화 회선망(5)을 개재해서 접속된다.
빌딩(3)에 있어서 감시 시스템의 감시 대상이 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카(6)에는, 비상시 대응의 인터폰(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감시경보장치(7)는, 빌딩(3)마다 설치되어 있고, 카(6) 내의 인터폰이 승객에 의해 조작되면 데이터 센터(2)에 호출을 발한다. 데이터 센터(2)에는, 방화벽(F/W)(21), 배분기(26) 및 복수의 수신 장치(27)가 설치되어 있다. 수신 장치(27)는, 각각 감시 센터(1)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카(6)의 승객이 인터폰을 조작해서 호출을 행하면, 감시경보장치(7)는, 호출설정요구를 데이터 센터(2)에 송신함으로써, 지역 담당의 감시 센터(1)와의 전화 회선의 접속을 요구한다. 이 호출설정요구에는, 발신기지의 빌딩(3)의 건번(健番)(즉, 건물번호), 엘리베이터의 호기(號機), 상기 설비를 감시하는 감시 센터(1)에 대응하는 수신 장치(27)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데이터 센터(2)에 있어서의 배분기(26)는, 방화벽(21)을 개재해서 호출설정요구를 받으면, 호출설정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참조함으로써 수신 장치(27)를 특정해서 호출설정요구를 보낸다. 수신 장치(27)는, 배분기(26)로부터 송신되어온 호출설정요구를, 인트라넷(4)을 개재해서 대응하는 감시 센터(1)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해서, 인터폰에 호출한 승객은, 지역 담당의 감시 센터(1)의 오퍼레이터와 대화를 개시할 수 있다. 또, 도 5에서는, 호출설정요구의 흐름을 파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그런데, 감시 센터(1)에는, 야간에 업무를 종료하는 감시 센터(1)와 그렇지 않은 감시 센터(1)가 있다. 즉, 복수의 감시 센터(1) 중 적어도 1개의 감시 센터(1)는, 야간에 있어서도 업무를 종료시키지 않고, 야간에 업무를 종료하는 감시 센터(1)에 있어서의 업무를 대행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있어서, 감시 센터 B는 야간에 업무를 종료하는 감시 센터(1)로 하고, 감시 센터 A는 야간에 업무를 종료하지 않는 감시 센터(1)로 한다. 즉, 감시 센터 A는, 야간에 있어서 감시 센터 B의 업무를 대행하게 된다.
감시 센터 B는, 업무를 종료하면 그 취지를 데이터 센터(2)에 보낸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센터(2)에서는, 감시 센터 B는 업무 시간 외인 것을 인식하는 동시에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감시 센터 B의 야간에 있어서의 업무는 감시 센터 A가 대행하는 것을 인식한다.
여기서, 감시 센터 B의 담당 지역 내에 있는 엘리베이터 인터폰으로부터 호출이 있다면, 감시경보장치(7)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지역 담당의 감시 센터 B와의 전화 회선의 접속을 요구한다.
데이터 센터(2)에 있어서의 배분기(26)는, 호출설정요구를 받으면, 호출설정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전화번호로부터 감시 센터 B를 호출설정요구의 송신처라고 인식한다. 단, 현재, 감시 센터 A가 감시 센터 B의 업무를 대행한다고 설정되어 있으므로, 배분기(26)는, 호출설정요구를 수신 장치 A에 보낸다. 수신 장치 A는, 배분기(26)로부터 보내져 온 호출설정요구를, 대응하는 감시 센터 A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해서, 인터폰에 호출한 승객은, 감시 센터 A의 오퍼레이터와의 대화를 행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와 같은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상 설명한 감시 센터 B가 업무 시간 외인 때의 호출설정요구의 흐름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선행 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JPH11-164036 A
(특허문헌 2) JP2008-172525 A
(특허문헌 3) JPH10-011682 A
(특허문헌 4) JPH10-215326 A
(특허문헌 5) JP2001-344015 A
그렇지만, 종래에 있어서는, 데이터 센터에 감시 센터의 수만큼 수신 장치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또한, 빌딩 측에 있어서는, 어느 수신 장치가 지역 담당인 것인가를 의식하고, 지역 담당의 수신 장치의 전화번호를 설정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설비 측에 회선 접속처를 의식시키는 일 없이 감시 센터와 회선 접속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관할 내의 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를 각각 감시하는 복수의 감시 센터와, 상기 설비와 상기 감시 센터의 회선 접속을 관리하는 접속 관리 센터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관리 센터는, 상기 설비로부터 해당 접속 관리 센터 앞으로의 호출설정요구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업무 시간 내의 상기 감시 센터가 감시 대상으로 하는 상기 설비로부터 호출설정요구를 접수한 경우, 해당 감시 센터와 상기 설비를 회선 접속시켜, 업무 시간 외인 상기 감시 센터가 감시 대상으로 하는 상기 설비로부터 호출설정요구를 접수한 경우, 상기 복수의 감시 센터 중 해당 감시 센터의 업무를 대행하는 상기 감시 센터와 상기 설비를 회선 접속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접수 수단은, 상기 설비에 설치되어 있는 인터폰으로부터의 호출에 따라 발생하는 호출설정요구를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비마다, 상기 복수의 감시 센터 중 상기 설비를 감시하는 상기 감시 센터가 업무 시간 외인 때에 해당 감시 센터의 업무를 대행하는 상기 감시 센터가 설정되어 있는 대행처 정보를 기억하는 송신처 정보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업무 시간 외인 상기 감시 센터가 감시 대상으로 하는 상기 설비로부터 호출설정요구가 접수된 경우, 상기 대행처 정보를 참조해서 상기 설비와의 회선 접속처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접속 관리 센터는, 상기 각 감시 센터의 업무의 상황을 취득하는 업무상황 취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업무상황 취득수단은, 상기 감시 센터로부터 업무의 종료가 통지된 것을 검지함으로써 해당 감시 센터가 업무 시간 외가 된 것을 인식하고, 상기 감시 센터로부터 업무의 개시가 통지된 것을 검지함으로써 해당 감시 센터가 업무 시간이 된 것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비 측에 회선 접속처를 의식시키는 일 없이 감시 센터와 회선 접속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업무관리정보 기억부에 기억되는 업무관리정보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빌딩 측과 감시 센터 측을 회선 접속시킬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도 1에 있어서, 업무 시간 외인 감시 센터의 담당 지역 내의 빌딩으로부터 발생한 호출설정요구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종래의 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6은 도 5에 있어서, 업무 시간 외인 감시 센터의 담당 지역 내의 빌딩으로부터 발생한 호출설정요구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에 의거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계약처의 빌딩 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 중 엘리베이터를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을 예로 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시 시스템은, 전국을 복수의 지역으로 분할하고, 지역마다 감시 센터를 설치하고 있다. 엘리베이터의 카에는, 비상시 대응용으로 인터폰이 설치되어 있다. 감시 센터는, 엘리베이터의 장해 발생 시나 긴급 시에 인터폰을 조작한 승객에 대응하는 것을 업무의 하나로 하고 있다. 또한, 감시 센터는, 상기와 같이 복수 설치되어 있지만, 이 중 주간에만 업무를 행하고, 야간에는 업무를 종료하는 감시 센터와, 야간에도 업무를 행함으로써 야간에 업무를 하지 않는 감시 센터의 업무 시간 외에 있어서의 업무를 대행하는 감시 센터의 2가지 타입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전국을 8군데의 지역으로 나누고, 지역마다 감시 센터를 설치하고, 이 중, 도쿄와 오사카에 있는 감시 센터는 24시간 체제로 업무를 행하고, 그 밖의 감시 센터는 야간에는 업무를 종료한다. 그리고, 전국을 동서로 나누었을 경우, 동쪽의 감시 센터는 도쿄에, 서쪽의 감시 센터는 오사카에 각각 야간의 업무의 대행을 의뢰한다.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감시 센터 중, 야간에 업무를 종료하는 감시 센터를 「지역 감시 센터」로, 지역 감시 센터의 업무 시간 외에 있어서의 업무를 대행하는 감시 센터를 「대행 감시 센터」로, 각각 칭하기로 한다. 물론, 대행 감시 센터이더라도, 주간은 담당 지역에 있어서 지역 감시 센터로서 기능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야간」이라고 하는 것은, 지역 감시 센터에 있어서의 업무 시간 외와 동의이며, 「주간」이라고 하는 것은, 지역 감시 센터에 있어서의 업무 시간 내와 동의이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지역 감시 센터 및 대행 감시 센터에 공통되는 내용은, 단지 「감시 센터」로 설명하고, 지역 감시 센터 혹은 대행 감시 센터에 특화하는 설명에만 「지역 감시 센터」또는 「대행 감시 센터」로 기재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대행 감시 센터를 복수 설치해도 되지만, 각 대행 감시 센터는 각각 동등한 기능을 가지면 되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편의적으로 1군데의 감시 센터만이 대행 감시 센터로서 기능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다. 또, 종래 기술과 같은 구성 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붙인다. 도 1에는, 전국에 산재하는 감시 센터(1)와, 엘리베이터의 카(6) 내의 인터폰과 감시 센터(1)의 회선 접속을 관리하는 접속 관리 센터로서의 데이터 센터(20)와, 시스템 관리 센터(8)와, 계약처의 복수의 빌딩(3)이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 센터(20)는, 시스템 관리 센터(8) 및 각 감시 센터(1)와 인트라넷(4)을 개재해서 접속되고, 각 빌딩(3)과 전화 회선망(5)을 개재해서 접속된다. 시스템 관리 센터(8)는 감시 센터(1)를 통괄적으로 관리한다.
빌딩(3)에 있어서 감시 시스템의 감시 대상이 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카(6)에는, 비상시 대응용의 인터폰(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감시경보장치(7)는, 빌딩(3)마다 설치되어 있고, 카(6) 내의 인터폰이 승객에 의해 조작되면 디지털 형식으로 호출설정요구를, 전화 회선망(5)을 개재해서 데이터 센터(2)에 송신한다.
데이터 센터(2)는, 방화벽(F/W)(21), 수신 장치(22), 상황 감시부(23) 및 업무관리정보 기억부(24)를 구비하고 있다. 방화벽(21)은, 전화 회선망(5)을 개재한 공격이나 부정 액세스를 저지하는 네트워크 기기이다.
수신 장치(22)는, 빌딩(3)의 감시경보장치(7)와 디지털 형식의 전화 회선망(5)으로 접속되어 있고, 감시경보장치(7)로부터 송신되어 온 호출설정요구를 수신하고, 그 호출설정요구의 전송처로 하는 감시 센터(1)를 후술하는 수법으로 특정하고, 그리고 송신한다. 수신 장치(22)는, 접수부(221) 및 제어부(222)를 구비하고 있다. 접수부(221)는, 엘리베이터의 카(6) 내의 인터폰으로부터의 호출에 따라서 감시경보장치(7)가 송신하는 데이터 센터(20) 앞으로의 호출설정요구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제어부(222)는, 업무관리정보 기억부(24)에 설정되어 있는 업무관리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접수한 호출설정요구의 전송처를 특정한다. 그리고, 카(6) 내의 인터폰과, 특정한 감시 센터(1)를 회선 접속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상황 감시부(23)는, 수신한 호출설정요구의 전송처로 하는 감시 센터(1)를 수신 장치(22)에 특정시키기 위해서, 업무관리정보 기억부(24)의 설정 내용의 갱신 등을 행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업무관리정보 기억부(24)에 기억되는 업무관리정보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업무관리정보는 빌딩(3)마다 생성하고, 각 업무관리정보에는, 해당 빌딩(3)을 식별하는 건번에, 해당 빌딩(3)이 설치되어 있는 지역, 해당 빌딩(3)을 담당하는 지역 감시 센터, 해당 지역 감시 센터의 업무 시간 외의 업무를 대행하는 대행 감시 센터, 해당 지역 감시 센터가 업무 시간 내인지 업무 시간 외인지의 구별을 나타내는 업무상황을 대응시켜서 설정한다. 또, 「건번」이란, 건물마다 부여되는 식별 번호를 말한다. 업무관리정보에 포함되는 건번, 지역, 지역 감시 센터 및 대행 감시 센터는, 운용에 의해 미리 정해져 있다. 업무상황에는, 상황 감시부(23)가 각 감시 센터(1)의 업무상황을 감시함으로써, 각 빌딩(3)을 담당하는 지역 감시 센터(1)가 업무 시간 내("내")인지, 업무 시간 외("외")인지가 설정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지역 "도쿄"에 속하는 빌딩(3)에는 대행 감시 센터가 설정되어 있지 않지만, 이것은, 도쿄의 지역 감시 센터는 대행 감시 센터로서 기능하여, 업무 시간 외는 없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각 센터(1, 8, 20)에는, 범용적인 서버 컴퓨터가 설치되어 있다. 각 서버 컴퓨터는, CPU, ROM, RAM, HDD를 구비하고, 또한 네트워크 통신을 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소유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 센터(20)의 수신 장치(22)에 있어서의 접수부(221)와 제어부(222) 및 상황 감시부(23)는, 데이터 센터(20) 내의 서버 컴퓨터에 탑재된 CPU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과의 협조 동작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업무관리정보 기억부(24)는, HDD에서 실현된다. 혹은, RAM 또는 외부에 있는 기억 수단을 네트워크 경유에 의해 이용해도 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최초로, 감시 센터(1)에 있어서 업무 시간 내에 행해지는 업무에 대해서 설명한다.
감시 센터(1)에는, 복수대의 오퍼레이터 단말(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고, 각 오퍼레이터는, 오퍼레이터 단말을 사용해서 엘리베이터의 상태 감시 이외에, 카(6)의 승객과 인터폰을 개재해서 대화하는 등 승객과의 대응을 행한다. 업무가 종료되면, 오퍼레이터는, 오퍼레이터 단말에 소정의 조작을 함으로써 업무의 종료를 시스템 관리 센터(8)에 인트라넷(4)을 개재해서 통지한다. 시스템 관리 센터(8)는, 이러한 각 감시 센터(1)로부터의 통지를 받음으로써 각 감시 센터(1)의 업무의 상황을 관리하고 있지만, 업무종료통지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지역 감시 센터(1)가 업무 시간 외가 된 것을 알게 된다. 상황 감시부(23)는, 시스템 관리 센터(8)가 관리하고 있는 각 감시 센터(1)의 업무의 상황을 상시 감시하고 있으므로, 감시 센터(1)로부터 시스템 관리 센터(8)에 업무의 종료가 통지된 것을 검지함으로써 해당 감시 센터(1)가 업무 시간 외가 된 것을 인식한다. 그러면, 상황 감시부(23)는 업무관리정보에 포함되는, 해당 감시 센터(1)의 담당 지역 내의 빌딩(3)의 업무상황을 업무 시간 외("외")로 변경한다.
한편, 업무를 개시할 때, 오퍼레이터는, 오퍼레이터 단말에 소정의 조작을 함으로써 업무의 개시를 시스템 관리 센터(8)에 인트라넷(4)을 개재해서 통지한다. 시스템 관리 센터(8)에서는, 업무개시 통지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지역 감시 센터(1)가 업무 시간 외가 된 것을 알게 된다. 상황 감시부(23)는, 감시 센터(1)로부터 시스템 관리 센터(8)에 업무의 개시가 통지된 것을 검지함으로써 해당 감시 센터가 업무 시간이 된 것을 인식한다. 그러면, 상황 감시부(23)는, 업무관리정보에 포함되는, 해당 감시 센터(1)의 담당 지역 내의 빌딩(3)의 업무상황을 업무 시간 내("내")로 변경한다.
상기 업무관리정보에 포함되는 업무상황의 전환 제어는 일례로서, 예를 들면 업무상황의 변경을, 각 감시 센터(1)가 데이터 센터(20)에 직접 통지를 하도록 하거나, 시스템 관리 센터(8)가 데이터 센터(20)에 통지를 하도록 하거나 해도 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빌딩(3) 측으로부터의 호출설정요구가 송신되어 왔을 때에 빌딩(3) 측과 감시 센터(1) 측을 회선 접속시킬 때까지의 처리에 대해서 도 3에 나타낸 순서도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의 카(6)의 승객이 인터폰을 조작해서 호출을 행하면, 감시경보장치(7)는, 그 승객의 조작에 따라서, 해당 빌딩의 건번 및 엘리베이터의 호기를 포함하고, 데이터 센터(2)의 전화번호를 지정해서 호출설정요구를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빌딩(3)이 어느 지역에 속하더라도, 발생하는 호출설정요구에는 데이터 센터(2)의 전화번호가 지정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센터(2)는 호출설정요구를 일괄해서 접수하게 된다.
데이터 센터(2)의 수신 장치(22)에 있어서의 접수부(221)는, 감시경보장치(7)로부터 송신되어 온 호출설정요구를 접수한다(단계 101). 계속해서, 제어부(222)는, 그 호출설정요구로부터 건번을 추출한다(단계 102). 그리고, 업무관리정보 기억부(24)에 등록되어 있는 업무관리정보를 참조해서, 호출설정요구 송신원의 빌딩(3)에 대응하는 감시 센터(1)의 업무상황을 취득한다(단계 103).
여기서, 감시 센터(1)가 업무 시간 내인 경우(단계 104에서 "예"), 제어부(222)는, 감시경보장치(7)로부터 송신되어 온 호출설정요구를, 인트라넷(4)을 개재해서 빌딩(3)을 담당으로 하는 감시 센터(1)에 전송한다(단계 105).
오퍼레이터 단말은, 데이터 센터(20)로부터 호출설정요구가 송신되어 오면, 소정의 램프를 점등시키는 등 해서 호출설정요구가 송신되어 온 것을 오퍼레이터에 알린다. 오퍼레이터는, 소정의 램프의 점등에 의해 카(6)의 인터폰으로부터의 호출(승객으로부터의 직접 통화 요구)이 있었던 것을 알게 되면, 오퍼레이터 단말에 소정의 조작을 함으로써 그 직접 통화 요구에 따라서 호출을 설정해서 회선을 확립한다. 이와 같이 해서, 인터폰과 오퍼레이터 단말 사이에서 회선이 접속되면, 오퍼레이터는 카(6)의 승객과의 음성통화를 개시한다.
한편, 지역 감시 센터(1)가 업무 시간 내의 경우(단계 104에서 "아니오"), 제어부(222)는, 업무관리정보를 참조해서 해당 빌딩(3)을 담당하는 대행 감시 센터를 특정하고, 감시경보장치(7)로부터 송신되어 온 호출설정요구를, 그 특정한 대행 감시 센터에 인트라넷(4)을 개재해서 전송한다(단계 106). 또, 대행 감시 센터에의 호출설정요구의 전송 후에 있어서 인터폰과 오퍼레이터 단말 사이에서 회선이 접속될 때까지의 처리 순서는, 전술한 지역 감시 센터에의 호출설정요구의 전송 후에 있어서의 처리 내용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있어서, 감시 센터 B가 도호쿠 지역 담당의 지역 감시 센터(1)라 하고, 감시 센터 A가 도쿄 지역 담당의 지역 감시 센터(1)이며, 그리고 도호쿠 지역 담당의 지역 감시 센터(1)의 대행 감시 센터이기도 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도호쿠 지역의 빌딩(3)으로부터 호출설정요구가 발행된 것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빌딩(3)으로부터 발생하는 호출설정요구에는, 어느 지역에 속해 있더라도 데이터 센터(2)의 전화번호가 지정되어 있으므로, 도호쿠 지역의 빌딩(3)으로부터도 데이터 센터(2)의 전화번호가 지정된 호출설정요구가 발생한다. 수신 장치(22)는, 호출설정요구에 포함되는 건번으로부터 도호쿠 지역으로부터의 경보라고 인식하고, 더욱 업무관리정보의 설정에 의거해서 도호쿠 지역 담당의 지역 감시 센터(1)가 업무 시간 외인 것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그 호출설정요구를, 업무관리정보에 설정되어 있는 대행 감시 센터(감시 센터 A)에 전송한다. 도 4는, 도 1과 같은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상 설명한 감시 센터 B가 업무 시간 외인 때의 호출설정요구의 흐름을 파선으로 나타내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호출설정요구의 송신 시에 있어서, 지역 담당의 감시 센터(1)가 업무 시간의 내외를 막론하고 빌딩(3) 측에 회선 접속처를 의식시킬 일 없이 감시 센터(1)와 회선 접속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설명에서는, 데이터 센터(20)를 1개만 설치하고, 호출설정요구를 일괄해서 접수하도록 했다. 단, 데이터 센터(20)도 유지 보수 등에 의해서 정지시킬 필요가 있을지도 모른다. 따라서, 적어도 2개의 데이터 센터(20)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쿄와 오사카의 두 거점에 데이터 센터(20)를 설치한다. 이 경우, 전국의 동쪽의 감시경보장치(7)에는, 제1 연락처로서 도쿄의 데이터 센터(20)의 전화번호를 설정하고, 제2 연락처로서 오사카의 데이터 센터(20)의 전화번호를 설정한다. 동쪽의 감시경보장치(7)는, 제1 연락처인 도쿄의 데이터 센터(20)에 호출 요청을 행하지만, 도쿄의 데이터 센터(20)가 정지 중인 경우, 불통이 되므로 제2 연락처인 오사카의 데이터 센터(20)에 재호출요청을 행한다. 전국의 서쪽의 감시경보장치(7)에는, 동쪽과는 반대로 제1 연락처로서 오사카의 데이터 센터(20)의 전화번호를 설정하고, 제2 연락처로서 도쿄의 데이터 센터(20)의 전화번호를 설정하면 되고, 상기와 반대의 처리가 실행된다.
또, 감시 센터(1)에 있어서도 데이터 센터(20)와 마찬가지로, 도쿄의 감시 센터(1)도 유지 보수 등에 의해서 정지시킬 경우가 있으므로, 적어도 2개의 감시 센터(1)를 대행 감시 센터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감시 센터(1)는 업무의 종료를 통지하도록 했지만, 단순한 업무의 종료의 통지가 아니라, 업무의 종료 시에 대행 감시 센터를 그 때마다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그렇게 하면, 업무관리정보에의 대행 감시 센터의 사전설정을 행하지 않고 해결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감시 대상의 설비로서 빌딩(3)에 설치한 엘리베이터를 예로 해서 설명했지만, 다른 설비의 감시 목적에 이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야간을 업무 시간 외로 했지만, 감시 대상이나 업무의 내용에 따라서 업무 시간의 범위는 적당히 결정하면 된다.

Claims (6)

  1. 감시 시스템으로서,
    관할 내의 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를 각각 감시하는 복수의 감시 센터와,
    상기 시설마다 설치되어 있는 감시경보장치와 상기 감시 센터 간의 회선 접속을 관리하는 접속 관리 센터를 포함하되,
    상기 접속 관리 센터는,
    상기 설비의 이용자로부터의 직접 통화 요구에 응해서 상기 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시설의 상기 감시경보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접속 관리 센터 앞으로의 호출설정요구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업무 시간 내의 상기 감시 센터가 감시 대상으로 하는 상기 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시설의 상기 감시경보장치로부터 송신된 호출설정요구를 접수한 경우, 상기 호출설정요구를 상기 감시 센터에 전송하고, 업무 시간 외인 상기 감시 센터가 감시 대상으로 하는 상기 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시설의 상기 감시경보장치로부터 송신된 호출설정요구를 접수한 경우, 상기 호출설정요구를 상기 복수의 감시 센터 중 해당 감시 센터의 업무를 대행하는 상기 감시 센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감시센터는 각각 상기 접속 관리 센터로부터 전송되어온 호출설정요구에 응해서 상기 호출설정요구를 송신한 상기 감시경보장치와의 사이에서 회선을 확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 수단은, 상기 설비에 설치되어 있는 인터폰으로부터의 호출에 따라 상기 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시설의 상기 감시경보장치가 송신하는 호출설정요구를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마다, 상기 복수의 감시 센터 중 상기 설비를 감시하는 상기 감시 센터가 업무 시간 외일 때에 해당 감시 센터의 업무를 대행하는 상기 감시 센터가 설정되어 있는 대행처 정보를 기억하는 송신처 정보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업무 시간 외인 상기 감시 센터가 감시 대상으로 하는 상기 설비의 이용자로부터의 직접 통화 요구에 응해서 해당 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시설의 상기 감시경보장치가 송신하는 호출설정요구를 접수한 경우, 상기 대행처 정보를 참조해서 상기 호출설정요구의 전송처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센터 각각으로부터, 업무 시간의 개시 및 종료의 통지를 받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각 감시센터의 업무 상황을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 센터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관리 센터는, 상기 시스템 관리 센터가 관리하고 있는 상기 각 감시 센터의 업무 상황을 상시 감시하는 업무상황 취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상황 취득수단은, 상기 감시 센터가 업무의 종료를 상기 시스템 관리 센터에 통지한 것을 검지함으로써 해당 감시 센터가 업무 시간 외가 된 것을 인식하고, 상기 감시 센터가 업무의 개시를 상기 시스템 관리 센터에 통지한 것을 검지함으로써 해당 감시 센터가 업무 시간이 된 것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관리 센터를 복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KR1020180005767A 2017-03-31 2018-01-16 감시 시스템 KR102417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70318 2017-03-31
JP2017070318A JP6381722B1 (ja) 2017-03-31 2017-03-31 監視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488A KR20180111488A (ko) 2018-10-11
KR102417225B1 true KR102417225B1 (ko) 2022-07-06

Family

ID=63354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767A KR102417225B1 (ko) 2017-03-31 2018-01-16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81722B1 (ko)
KR (1) KR102417225B1 (ko)
CN (1) CN1086946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2068B2 (ja) * 2019-03-07 2021-10-20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遠隔監視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1881A (ja) * 1996-09-17 1998-04-10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遠隔監視装置
WO2003029122A1 (en) * 2001-09-28 2003-04-10 Toshiba Elevator Kabushiki Kaisha Elevator remote monitoring apparatus
JP3883976B2 (ja) * 2003-03-12 2007-02-21 三洋電機株式会社 監視装置
JP2006264889A (ja) * 2005-03-24 2006-10-0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監視システム、エレベータ監視装置およびコードシール
JP4436796B2 (ja) * 2005-12-08 2010-03-2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遠隔監視装置
JP2007295020A (ja) * 2006-04-20 2007-11-08 Toshiba Elevator Co Ltd 遠隔監視システム
JP2015020837A (ja) * 2013-07-17 2015-02-0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用通話システム
JP2015023480A (ja) * 2013-07-22 2015-0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話受付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295020호(2007.11.08.) 1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5-23480호(2015.02.02.) 1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91881호(1998.04.10.)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74400A (ja) 2018-11-08
JP6381722B1 (ja) 2018-08-29
CN108694677B (zh) 2021-11-23
CN108694677A (zh) 2018-10-23
KR20180111488A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73603A1 (en) Hardened VoIP System
JP2005206309A (ja) エレベータ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CN108206938B (zh) 一种公安信息网的视频分发方法
KR102417225B1 (ko) 감시 시스템
KR102418980B1 (ko) 감시 시스템
CN106604250B (zh) 一种td-lte集群系统预占优先呼叫的实现方法
KR10107823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원격소에 위치한 기기를 감시/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JP2008024428A (ja) ビル遠隔監視装置
JP6593706B2 (ja) 昇降装置の遠隔監視システム
CN110958432B (zh) 基于rtsp协议的跨网络云端远程监控系统及监控方法
JP2010204723A (ja) 監視システム及び警報通知方法
KR101841820B1 (ko)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101924562B1 (ko) 엘리베이터의 정보수집 시스템 장치
US7684555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ilover capability for remote call center agents
KR20190037450A (ko) 비상통화 시 승강기 인식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비상통화 시스템
JP5651028B2 (ja) エレベータの通報システム
KR101362536B1 (ko) Sip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비상 통화 교환 시스템 및 방법
JPWO2019167256A1 (ja) エレベーター遠隔監視システム
JP2018174404A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643804B (zh) 電梯系統
CN111866763B (zh) 功能别称的处理、请求,管理方法及装置
JP2024064386A (ja) 非常通報システム、端末装置、操作器及び非常通報方法
EP4059311A1 (en) Dual fallback hardened voip system with signal quality measurement
CN114339635A (zh) 一种告警短信转语音提醒的方法及系统
KR100756194B1 (ko)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