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032B1 - 네트워크 다중 연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다중 연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032B1
KR101113032B1 KR1020100039770A KR20100039770A KR101113032B1 KR 101113032 B1 KR101113032 B1 KR 101113032B1 KR 1020100039770 A KR1020100039770 A KR 1020100039770A KR 20100039770 A KR20100039770 A KR 20100039770A KR 101113032 B1 KR101113032 B1 KR 101113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host
data
dtmf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0383A (ko
Inventor
송종태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피엔알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피엔알티 filed Critical (주)에이치피엔알티
Priority to KR1020100039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032B1/ko
Publication of KR20110120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시 네트워크 다중연결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다중연결 시스템은, 로컬시스템과 호스트 각각에 설치되어 운행정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뎀과; 상기 통신모뎀에 의한 데이터통신 실패시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호스트 사이 DTMF 신호에 의해 운행정보 데이터 송수신이나 고장신고를 수행하기 위한 DTMF 송수신수단과; 상기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한 데이터통신 실패시 음성으로 자동 고장신고나 운행정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자동음성안내장치와;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호스트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통신모뎀에 의하는 통신모뎀 모드와, 상기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하는 DTMF 모드 및 상기 자동음성안내장치에 의하는 자동음성안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통신모드로 통신모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다중 연결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 A Method Of Multi-networking}
본 발명은 네트워크 다중 연결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컬시스템과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호스트 사이 통신모뎀에 의한 데이터통신 실패시 백업통신수단에 의해 DTMF나 음성으로 운행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네트워크를 다중화하는 네트워크 다중 연결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승강기 원격감시를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살펴보면, 각 호기 승강기(10) 제어반(11)은 데이터 라인을 통하여 로컬서버(20)에 연결되며, 승강기 카내 비상통화 단말(15)은 보이스라인을 통하여 로컬서버(20)의 비상통화수단(21)에 연결되고, 로컬서버(20)와 호스트(40)의 네트워크 연결은 국선(PSTN)(30)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갇힘이나 승강기 고장 등 긴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기타 필요시에는, 로컬서버(20)는 호스트(40)로 접속하여 고장신고 및 관련 데이터 전송을 하게 된다(제101단계 내지 112 단계).
예컨대, 로컬서버(20)는 고장발생, 승객갇힘, 각종 이력 전송주기가 발생하면 통신모뎀(통신모뎀이나 xDSL 모뎀 등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통신용 모뎀을 포함한다)(25)을 통하여 호스트(40)와의 접속을 시도하며(제102단계), 호스트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고장신고 및 긴급상황과 관련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경우에는 통신성공을 호스트(40)에 등록한다(제103단계,제104단계,제106단계,제108단계,제110단계).
한편, 통신모뎀(25)에 의한 통신접속이나 데이터전송이 계속하여 실패하는 경우에는 호스트(40)와의 모뎀접속을 해제하고 통신실패를 등록한다(제107단계,제109단계,제111단계,제112단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 단말기 또는 로컬서버에 대한 관리 감독을 수행하는 호스트는(40) 각 로컬서버(20)의 이상 유무 체크 주기나 로컬서버(20)의 데이터 다운로드 주기가 도래하거나 원격제어를 해야할 상황이 발생하면(제151단계), 통신모뎀(통신모뎀이나 xDSL 모뎀 등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통신용 모뎀을 포함한다)(42)을 통하여 로컬서버(20)와의 접속을 시도한다(제152단계).
통신모뎀(42)에 의한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에 호스트(40)는 로컬서버(20)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고 고장이력 및 운행이력 등 로컬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며(제153단계,제154단계), 데이터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로컬서버와의 통신모뎀 접속을 해제하고 호스트에 통신성공(즉, 로컬서버의 이상 유무 등록, 사고이력 및 운행이력 등 데이터 다운로드 완료)을 등록한다(제156단계,제158단계,제159단계).
한편, 통신모뎀 접속이 실패하거나 데이터 다운로드가 계속하여 실패하는 경우에는 로컬서버(20)와의 통신모뎀 접속을 해제하고 호스트(40)에 통신 실패를 등록한다(제157단계,제160단계,제161단계,제162단계). 로컬서버나 로컬 단말을 제어하는 경우에도 통신모뎀 접속이 실패하여 원격제어가 불가한 경우에는 접속을 해제하고 호스트에 통신실패를 등록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승강기 원격감시를 위한 네트워크 구성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어왔다.
종래의 승강기 원격감시를 위한 데이터전송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통신모뎀(예컨대, xDSL 모뎀, TCP/IP, CDMA 포함)(25,42)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특히 전화라인을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방법은 국선 또는 내선사용 여부, 선로의 상태나 모뎀의 상태에 따라 통신 접속률 및 통신 성공률이 달라지므로 통신 신뢰도도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xDSL모뎀, TCP/IP, CDMA 등도 한 가지의 데이터 통신방법만을 이용했을 시 데이터통신 실패했을 경우 백업시스템운용이 이루어지지 않아 긴급 상황 발생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승강기 승객 갇힘이나 고장 등 긴급 상황 발생시에 통신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원격지에서의 신속한 대응이 불가하며, 로컬시스템에 있는 긴급한 중요데이터 다운로드도 불가하기 때문에 원격감시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고 승강기 시스템을 이용하는 승객의 신뢰도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로컬시스템의 제어 관리를 수행하는 로컬서버와 원격감시를 수행하는 호스트 사이 통신모뎀에 의한 통신이 실패한 경우에 DTMF나 음성 등의 통신방법에 의하여 자동으로 고장신고를 하거나 긴급 운행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운행 데이터 송수신 실패율을 제로화 하는 것이 가능한 네트워크 다중 연결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통신망에 의한 통신이 실패하여 DTMF나 음성 등의 다른 통신방법에 의하여 운행 데이터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데이터의 중요성 이나 현장상황 등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데이터를 전달하여 비상상황 발생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다중 연결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신모뎀, DTMF 통신, 자동음성안내 수단 등의 다양한 통신연결방법에 대해 현장상황 및 시스템의 상황에 맞게 접속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호스트와 로컬서버 사이 데이터 전송환경 및 각 시스템에 어떠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고장 및 승객 갇힘, 현재의 로컬 시스템 또는 로컬 승강기 상태 등의 최소한의 내용을 호스트 및 내외부 관리인에게 알려줌으로써 긴급 상황 발생시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다중 연결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다중연결 시스템은, 로컬시스템과 호스트 각각에 설치되어 운행정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뎀과; 상기 통신모뎀에 의한 데이터통신 실패시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호스트 사이 DTMF 신호에 의해 운행정보 데이터 송수신이나 고장신고를 수행하기 위한 DTMF 송수신수단과;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호스트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통신모뎀에 의하는 통신모뎀 모드와, 상기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하는 DTMF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통신모드로 통신모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다중연결 시스템은, 로컬시스템과 호스트 각각에 설치되어 운행정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뎀과; 상기 통신모뎀에 의한 데이터통신 실패시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호스트 사이 DTMF 신호에 의해 운행정보 데이터 송수신이나 고장신고를 수행하기 위한 DTMF 송수신수단과; 상기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한 데이터통신 실패시 음성으로 자동 고장신고나 운행정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자동음성안내장치와;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호스트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통신모뎀에 의하는 통신모뎀 모드와, 상기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하는 DTMF 모드 및 상기 자동음성안내장치에 의하는 자동음성안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통신모드로 통신모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다중연결 시스템은, 로컬시스템과 호스트 사이 운행정보 데이터 송수신을 DTMF 신호로 수행하기 위한 DTMF 송수신수단과; 상기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한 데이터통신 실패시 음성으로 자동 고장신고나 운행정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자동음성안내장치와;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호스트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하는 DTMF 모드와 상기 자동음성안내장치에 의하는 자동음성안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통신모드로 통신모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다중연결 시스템은, 로컬시스템과 호스트 각각에 설치되어 운행정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뎀과; 상기 통신모뎀에 의한 데이터통신 실패시, 음성으로 자동 고장신고나 운행정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자동음성안내장치와;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호스트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통신모뎀에 의하는 통신모뎀 모드와 상기 자동음성안내장치에 의하는 자동음성안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통신모드로 통신모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TMF 송수신 수단은 상기 로컬 시스템과 호스트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구비되는 비상통화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비상통화시스템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TMF 송수신수단은 상기 로컬 시스템과 호스트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구비되는 VoIP 모뎀, 국선전화, 이동통신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그에 의하여 DTMF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음성안내수단은 상기 로컬시스템과 호스트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구비되는 승강기 비상통화시스템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음성안내수단에 의한 자동 고장신고나 운행정보 데이터 전송은 VoIP 모뎀, 국선전화, 이동통신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은, 호스트와 로컬시스템 사이 운행데이터의 송수신이나 자동고장신고를 위해 통신모뎀, DTMF 송수신수단, 자동음성안내수단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다중연결방법으로, 상기 호스트가 상기 로컬시스템으로부터 운행 데이터를 전송받아야 하는 경우, 상기 호스트에서 상기 로컬 시스템에 상기 통신모뎀을 통해 접속하여 상기 호스트와 상기 로컬시스템 사이 운행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뎀 모드 단계와; 상기 로컬시스템과의 데이터통신 모뎀에 의한 통신이 불통인 경우 상기 호스트는 통신모드를 DTMF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DTMF 송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로컬시스템에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로컬 시스템에 접속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호스트는 DTMF 신호 송수신에 의해 상기 로컬시스템의 동작상태를 체크하며, 상기 로컬시스템이 운행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한 상기 로컬시스템과의 통신연결이 실패하거나 DTMF 모드에 의한 데이터통신이 실패한 경우 자동으로 로컬 관리자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음성메시지로 로컬의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자동음성안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은, 호스트와 로컬시스템 사이 운행데이터의 송수신이나 자동고장신고를 위해 통신모뎀, DTMF 송수신수단, 자동음성안내수단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으로, 상기 로컬 시스템에서 상기 호스트로 상기 로컬시스템의 운행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고장신고를 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로컬 시스템이 상기 통신모뎀을 통하여 상기 호스트에 접속하여 상기 로컬시스템의 운행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자동 고장신고를 수행하는 통신모뎀 모드 단계와; 상기 통신모뎀에 의한 데이터통신이 실패한 경우 상기 로컬 시스템은 통신모드를 DTMF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해 상기 호스트로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해 상기 호스트에 접속 성공한 경우에는 DTMF 신호 송수신에 의해 상기 로컬 시스템은 상기 호스트로 운행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자동 고장신고를 수행하는 DTMF 통신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해 상기 호스트와 통신연결에 실패하거나 DTMF 모드에 의한 운행 데이터 전송이나 자동 고장신고에 실패한 경우, 상기 자동음성안내수단이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른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음성으로 자동 고장신고를 하거나 우선순위 운행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자동 음성안내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은, 호스트와 로컬시스템 사이 운행데이터의 송수신이나 자동고장신고를 위해 통신모뎀, DTMF 송수신수단, 자동음성안내수단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으로, 자동음성안내 수단에 의해 음성으로 자동고장신고를 하거나 우선순위 데이터를 전송하는 자동음성안내 모드 단계와; 상기 자동음성안내 수단에 의한 자동 고장신고나 우선순위 데이터 전송에 병행하거나 상기 자동음성안내 수단에 의한 자동 고장신고나 우선순위 데이터 전송에 실패한 경우에 상기 통신모뎀이나 상기 DTMF 송수신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자동 고장신고나 운행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은, 호스트와 로컬시스템 사이 운행데이터의 송수신이나 자동고장신고를 위해 통신모뎀, DTMF 송수신수단, 자동음성안내수단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으로, 상기 호스트와 상기 로컬시스템에 대하여, 통신모뎀에 의해 운행데이터 데이터 송수신이나 자동고장신고를 수행하는 통신모뎀 모드와, 상기 DTMF 송수신 수단에 의해 DTMF 신호로 데이터 송수신이나 자동 고장신고를 수행하는 DTMF 모드 및 상기 자동음성안내수단에 의해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른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음성으로 운행데이터 전송이나 자동고장신고를 수행하는 자동음성안내 모드에 대한 통신모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통신모드 우선순위 설정단계와; 상기 로컬시스템이나 상기 호스트에 통신연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그 통신연결 이벤트가 발생한 측의 통신제어수단이 설정된 통신모드 우선순위를 검출하는 우선순위 검출 단계와; 상기 통신제어수단이 설정된 통신모드 우선순위에 따른 최우선 순위 통신모드로 전환하고, 통신연결 이벤트에 대응하는 운행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자동 고장신고를 수행하고, 상기 최우선 순위 통신모드에 의한 데이터통신에 실패한 경우 다음 순위 통신모드에 의해 통신연결 이벤트에 대응하는 운행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자동 고장신고를 수행하는 제 1 백업통신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백업통신 단계에 의한 데이터 통신이 실패한 경우에는 그 다음 순위 통신모드에 의해 상기 통신연결 이벤트에 대응하는 운행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자동 고장신고를 수행하는 제 2 백업통신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컬시스템 및 상기 호스트에 따라, 그리고, 상기 각 통신모드에 따라 내선과 외선의 통신연결 우선순위는 달리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연결 우선순위는, 상기 로컬시스템 및 상기 호스트 각각에 발생하는 통신연결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호스트 사이 데이터통신이 상기 통신모뎀, 상기 DTMF 송수신 수단 및 상기 자동음성안내 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해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호스트 각각이 전송하는 데이터의 종류나 그 데이터의 전송 우선순위는 각각에 대해 별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송하는 데이터 종류나 그 데이터의 전송 우선순위는 상기 로컬시스템 및 상기 호스트 각각에 발생한 통신연결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송하는 데이터 종류나 그 데이터의 전송 우선순위는 상기 로컬시스템 및 상기 호스트 각각에 발생한 통신연결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호스트와 로컬시스템(또는 로컬서버) 사이 통신환경에 어떠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최소한 고장 신고 및 현재의 로컬 시스템 또는 로컬 승강기 상태를 내외부 관리인에게 알려주며, 관리인이 어떠한 상황이나 위치에 있다 하더라도 로컬 시스템의 상태 및 고장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긴급상황 발생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므로 승객갇힘 등이 발생시에 있을 수 있는 승객의 불안을 최소화하고 신속한 고장 대응에 따른 이용 승객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통신 접속 방법을 활용하여 비상시 네트워크 연결을 다중화하므로 긴급상황 발생시에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 긴급 상황시의 전송가능한 방식에 따라 데이터의 종류와 내용을 달리할 수 있으므로 대응업무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승강기 원격감시를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예시한 제어구성도.
도 2a는 종래의 승강기 원격감시를 위해 로컬서버측에 의해 개시되는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2b는 종래의 승강기 원격감시를 위해 호스트측에 의해 개시되는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h는 각각 본 발명의 제 1, 제 2, 제 3 실시예의 비상시 네트워크 다중 연결 시스템을 예시한 제어구성도.
도 4a,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상시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에 의해 로컬서버측에서 개시되는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5a,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상시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에 의해 호스트 측에서 개시되는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5a,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상시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에 의해 호스트 측에서 개시되는 데이터 송수신과정에 의해 승강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6은 자동 음성 안내만으로 로컬 서버에서 호스트로 고장신고를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상시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에서 통신접속방식의 우선순위를 예시한 도표.
도 8a는 본 실시예의 비상시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에서 로컬서버에서 호스트측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우선순위를 예시한 도표.
도 8b는 본 실시예의 비상시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에서 호스트에서 로컬 서버측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우선순위를 예시한 도표.
도 9는 본 실시예의 비상시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에서 로컬서버에서 호스트나 내외부 관리인으로 음성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우선순위를 예시한 도표.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비상시 네트워크 다중연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f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네트워크 다중 연결 시스템은, 로컬서버(50)(또는 로컬시스템이나 로컬의 승강기 제어반, 이하 동일)와 호스트(80)의 운행정보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메인 데이터통신수단과, 메인 데이터통신수단에 의한 통신실패시 보조적으로 중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백업 데이터통신수단과 통신모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인 데이터통신수단으로는 통신모뎀에 의한 통신방법에 의하고 백업 데이터통신은 DTMF(Dual-Tone Multi-Frequency signaling, 이하 동일) 통신이나 자동음성안내에 의하는 있으나, 통신연결이 이루어지는 순서는 항상 메인데이터 통신이 우선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의 상태나 통신선로의 상태 및 통신접속 이벤트의 내용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1)로컬시스템과 호스트의 구성
<제 1 실시예>
도 3a, 도 3b에 도시된 본 발명의 1 실시예의 메인 데이터통신수단은, 로컬 승강기 운행시스템에 대한 제어관리를 수행하는 로컬서버(50)에 구비되는 통신모뎀(53)과, 호스트(80)에 구비되는 통신모뎀(83)과, 로컬서버(50)와 호스트(80)를 연결하는 일반전화망(PSTN)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통신을 위한 통신모뎀이나 통신라인(또는 통신망)은 당업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과 구성에 의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반전화망(PSTN)에 대한 연결루트를 살펴보면, 로컬서버(50)나 호스트(80)의 통신모뎀(53,83)은 각각 국선(즉 외부통신라인, 이하 동일)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내선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국선에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로컬서버(50)는 비상통화시스템의 내선을 통하여 국선에 연결될 수 있고, 호스트(80)는 교환기 내선을 통해 국선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백업통신수단은 DTMF 송수신수단 및 자동음성안내수단에 의할 수 있고, 이들 백업통신수단은 비상통화시스템(승강기 카의 비상통화 단말(15), 로컬과 호스트의 비상통화장치(55,81)를 포함)을 포함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DTMF 송수신수단은 로컬서버(50)와 호스트(80)가 일반 전화망(PSTN)을 이용하여 DTMF 신호로 고장신고나 운행?제어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자동음성안내수단은 시스템에 비상통화장치(55,81)에 기 저장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음성멘트로 고장신고나 운행데이터 전송을 한다.
본 실시예의 DTMF 송수신수단은 로컬서버 비상통화장치(55)의 DTMF 데이터전환수단(52) 및 비상통화수단(51)과 호스트(80)의 DTMF 송수신장치(81) 및 일반전화망에 의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자동음성안내수단은 로컬서버 비상통화장치(55)에 구비되는 음성생성수단(57)과, 기저장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생성된 음성멘트를 일반전화망으로 전달하는 비상통화수단(51), 호스트의 비상통화장치(81) 및 일반전화망에 의할 수 있다.
도 3a와 도 3b의 로컬서버(5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3a의 통신제어수단(56)은 로컬의 승강기 제어반(11)들과 데이터통신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승강기 운행정보 및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로컬서버(50)와 호스트(80) 사이의 통신모드 메인 데이터통신 및 백업 데이터통신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승강기 제어반(11)은 승강기 통신서버(또는 감시반)(60)를 통하여 로컬서버(50)의 통신제어수단(56)에 연결되며, 통신제어수단(56)은 제어반(11) 대신 승강기 통신서버(60)와 연결되어 승강기 운행정보 및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통신제어수단(56)은 비상통화장치(55)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즉, 제어반(11)에서 수신한 승강기 운행데이터를 비상통화장치(55)로 입력하면, DTMF 데이터전환수단(52)은 그 데이터를 DTMF 신호로 전환하여 비상통화수단으로 입력한다. 그리고, 비상통화장치(55)가 호스트(80)로부터 DTMF 제어데이터를 수신하면, DTMF 데이터전환수단(52)은 비상통화장치(55)가 수신한 DTMF 신호를 제어데이터로 전환하여 통신제어수단(56)으로 입력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의 음성 생성수단(57)은 도 3a,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서버(50)의 비상통화 장치(55)에 구비된다(다른 실시예의 음성생성수단은 승강기 카 비상통화단말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제어수단(56)은 통신연결 이벤트와 관련된 데이터를 비상통화 장치(55)로 전달하며, 비상통화장치(55)로 입력된 고장신고 데이터나 승강기 운행데이터는 음성 생성수단에 의해 음성멘트로 생성되어 비상통화수단(51)으로 입력되고 다시 일반전화망을 통해 호스트(80)로 전달된다.
한편, 로컬 서버(50) 및 호스트(80)의 비상통화장치(55,81)가 일반전화망에 연결되는 루트를 살펴보면, 상기 통신모뎀(53)의 경우처럼 내선을 통하여 국선에 연결될 수 있고 직접 국선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며, 비상통화장치(55,81)에 대한 국선과 내선 연결 우선순위는 데이터의 중요도나 현장상황에 따라 시스템운영자의 정책에 따른 순서로 미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호스트(80)는 일반전화망(PSTN)을 통하여 여러 지역의 로컬서버(50)와 연결되어 승강기 운행시스템에 대한 감시?관리?원격제어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호스트(80)는 로컬서버(50)와의 메인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모뎀(83)과, 상기 통신모뎀(83)에 의한 통신실패시 다이얼업에 의해 DTMF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DTMF 송수신장치(82)와, DTMF 통신에 의한 데이터통신 실패시 데이터를 음성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비상통화수단(81)과, 로컬서버(50)와의 통신연결을 위한 일정을 관리하는 스케쥴링 수단(85)?통신 성공실패 등록수단(86)을 포함하며 로컬에 대한 원격제어 및 통신제어를 수행하는 통신제어수단과, 데이터저장수단(88) 및 콜센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실시예>
도 3c에 도시된 본 발명의 2 실시예에서 로컬의 통신제어수단(56), 통신모뎀(53) 및 비상통화장치(55)는 각 호기 승강기(즉 호기 승강기 기계실이나 승강기 카 내)에 설치된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통신제어수단(56)은 기계실에 설치되어 해당 승강기 제어반에 직접 연결되며(또는 승강기 제어반으로 대신할 수 있다), 통신모뎀(53)이나 비상전화장치(55)를 통해 일반전화망에 접속하여 호스트(8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며 통신모드에 대한 스위칭 제어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모뎀(53)이 일반전화망에 접속되는 루트를 살펴보면, 통신모뎀(53)은 국선에 직접 연결되거나 내선을 통하여 국선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백업통신수단은 DTMF 송수신수단 및 자동음성안내수단에 의할 수 있고, 이들 백업통신수단은 호기 승강기의 비상통화장치(승강기 카의 비상통화 단말(15) 또는 제어반의 비상통화 단말을 포함)를 포함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비상통화수단(55)은 승강기 카 내 비상통화 단말(15)이나 제어반의 비상통화 단말에 의하고, 해당 비상통화 단말에 DTMF 데이터전환수단(52) 및 음성 생성수단(57)이 구비되며, 통신제어수단(56)이 승강기 운행정보 및 고장신고 데이터를 직접 비상통화장치(55)로 전달하거나(기계실의 비상통화 단말에 이하는 경우), 카통신보드(12)를 경유하여 승강기 카 내 비상통화 단말(15)로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호스트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구성에 의할 수 있으며, 호스트와의 메인 데이터통신과 백업 데이터통신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에 의해 수행되며, 통신제어장치 통신모뎀 비상통화장치가 각 호기 승강기 기계실 등에 설치되는 것만이 상이하다.
<제 3 실시예>
도 3d, 3e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의 호스트와 로컬시스템을 연결하는 데이터통신 수단 및 백업통신수단은 유무선 인터넷 접속수단을 포함하여, 메인 데이터통신을 TCP/IP에 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메인 데이터통신수단은 일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통신모뎀(53,83)에 의하고, 백업통신수단은 음성패킷망에 연결하기 위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모뎀(71)을 포함하는 구성 의할 수 있다.
이 경우, xDSL 인터넷 통신모뎀(53,83)에 의해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초고속통신망이 구비된 곳에서는 초고속통신망에 연결하기 위한 모뎀에 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백업통신수단은 도 3d,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서버(50)의 비상통화장치(55)에 구비되는 DTMF 데이터전환수단(52) 및 음성 생성수단(57)이 구비되는 점은 상기 제 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지만, 비상통화수단(51)으로 입력된 DTMF 신호나 음성멘트는 VoIP 모뎀(71)에 의하여 음성패킷으로 전환되어 인터넷망을 통하여 호스트 등에 전송되는 것이 상이하다.
한편, 도 3d의 경우처럼 통신제어수단(53)이 직접 로컬의 승강기 제어반(11)에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의 각 승강기 제어반(11)이 승강기 통신서버(감시반)(60)에 연결되어 운행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며, 승강기 통신서버(60)는 다시 로컬서버(50)의 통신제어수단(53)에 연결되어 운행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모뎀(53)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에 실패한 경우에 DTMF 데이터전환수단(52)은 통신제어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운행정보 데이터를 DTMF 신호로 발생시켜 비상통화시스템을 통하여 호스트로 전송한다. 한편, 호스트(80) 측에서 통신모뎀(83)의한 데이터 송수신에 실패한 경우는 DTMF 송수신장치(82)가 제어데이터를 DTMF 신호로 전환하여 로컬서버(50)로 전송한다.
한편, 이와 같이 호스트(80)와 로컬서버(50)가 모두 인터넷 접속(TCP/IP)을 위한 통신모뎀(53,83) 또는 VoIP모뎀(71,91)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지만 다른 일방은 일반 전화기에 의하거나 이동전화 단말 등에 의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다른 구성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제 4 실시예>
도 3f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서는 도 3c의 경우처럼 로컬의 통신제어수단(56), 통신모뎀(53) 및 비상통화장치(55)는 각 호기 승강기(즉 호기 승강기 기계실이나 승강기 카 내)에 설치된다.
한편, 호스트(80)와 로컬시스템을 연결하는 메인 데이터통신수단 및 백업 데이터통신수단은 유무선 인터넷 접속수단(즉, 인터넷 접속용 통신모뎀(53,83)이나 VoIP 모뎀(71,91))을 포함하여 데이터통신을 인터넷망(TCP/IP)에 의하는 것이 상이하다.
<기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인 데이터통신을 위한 통신모뎀은 전화모뎀이나 데이터통신용 인터넷 모뎀을 예로 들고 있고, 백업통신수단으로 공중가입자전화망(PSTN)에 연결하기 위한 일반전화 비상통화시스템 또는 VoIP 모뎀에 의해 음성패킷망에 접속을 수행하는 비상통화시스템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데이터통신방식과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통신용 모뎀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유?무선 인터넷망, 가입자통신망(이동통신망이나 PSTN 등 포함), PC통신망, ISDN 등 다양한 통신망에 적용되는 통신모뎀과 비상통화장치에 대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3)로컬서버와 호스트의 데이터 송수신
㉠로컬시스템에 의해 개시되는 데이터 송수신
도 4a, 도4b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의 실시예로서, 로컬 시스템에 승객갇힘, 고장 등과 같은 호스트(80)와의 통신접속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로컬서버(또는 로컬시스템, 로컬의 승강기 제어반에 의하는 경우 등 포함, 이하 동일함)(50)에 의해 개시되는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예시한다.
예컨대, 로컬서버(50)의 통신제어수단(56)이 로컬의 승강기에 승객갇힘, 고장, 로컬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메모리 부족 등과 같이 통신접속 이벤트를 검출하면, 통신제어수단(56)은 통신모뎀(53)을 통하여 호스트(80)에 연결접속을 시도하게 된다(통신모뎀 모드)(제201단계,제202단계).
호스트(80)와 연결접속이 이루어지면(제203단계), 통신제어수단(56)은 통신모뎀(53)으로 통신접속 이벤트와 관련된 로컬의 데이터, 예컨대 고장신고, 로컬서버 이상 유무, 고장 이력, 운행 이력 등의 데이터를 순서대로 호스트의 통신모뎀(83)으로 전송한다(제204단계,제206단계). 전송된 데이터(또는 호스트에서 다운로드한 데이터)는 호스트(80)의 데이터저장수단(88)에 저장되며 데이터 전송 완료시 통신제어수단(56)은 통신모뎀연결을 해제하고 호스트(80)에는 통신 성공이 등록된다(제209단계,제210단계).
한편, 호스트(80)와의 통신모뎀(53,83)에 의한 접속이 실패하거나 데이터 전송이 원활하지 않아 데이터통신을 계속 실패하여 재시도 회수가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통신제어수단(56)은 통신모뎀(53) 접속을 해제하고 통신모뎀(53)에 의한 데이터통신 실패를 등록한다(제207단계,제208단계,제211단계,제212단계).
통신모뎀(53,58)에 의한 통신실패시, 통신제어수단(56)은 통신모드를 DTMF 모드로 전환하고 전송할 데이터를 비상통화장치(55)로 입력하며, 비상통화장치(55)의 DTMF 데이터전환수단(52)은 통신제어수단(56)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DTMF 신호로 전환하여 비상통화수단(51)으로 입력하며, 비상통화수단(51)은 기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다이얼 업하여 호스트(80)에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DTMF 모드)(제214단계,제215단계).
호스트(80)에 DTMF 접속이 성공한 경우에, DTMF 신호로 전환된 운행데이터는 비상통화수단(51)을 통하여 호스트(80)의 DTMF 송수신수단(82)로 전송되며, 호스트로 전송된 데이터(또는 호스트에서 다운로드한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수단(88)에 저장되며, 데이터 송수신이 완료된 경우에 호스트(80)의 통신제어수단(87)은 DTMF 모드에 의한 데이터통신 성공을 등록하며, DTMF 모드는 해제된다.(제215단계,제216단계,제218단계,제219단계,제220단계).
한편, 통신제어수단(56)은 호스트(80)로 다이얼 업하여 접속이 계속해서 안되거나 DTMF 전송이 계속 실패하여 재시도 회수가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는 경우 호스트(80)와의 DTMF 통신 접속을 해제하고, DTMF 통신 실패를 등록한다(제221단계,제222단계,제223단계,제224단계).
통신제어수단(56)은 DTMF 모드에 의한 통신도 실패한 경우에 음성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비상통화장치(55)로 입력하며, 음성생성수단(57)은 상기 통신제어수단(56)에 의해 입력된 전송할 데이터를 음성으로 전환하여 비상통화수단(51)으로 입력한다. 비상통화수단(51)은 기 저장된 지역의 관리자(58) 또는 호스트(80), 콜센터, 119, 24시간 공공기관상황실 등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음성멘트로 승강기 고장 내용?로컬서버(50)의 상태 등 가장 기본적인 정보를 전송하고 통신이벤트에 따른 절차를 종료한다(제225단계,제226단계,제227단계).
로컬시스템의 통신연결 이벤트에 의해 데이터 통신이 개시되는 본 실시예의 경우,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모드 우선순위를 메인 데이터통신수단에 의하는 통신모뎀모드, 백업 데이터통신수단에 의하는 DTMF 모드 및 자동음성안내모드의 순서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통신모뎀(53)에 의한 데이터통신,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한 데이터통신 및 자동음성안내수단(즉, 전화)에 의한 통신은 통신속도가 다르므로 현장상황에 따라 또는 데이터의 종류나 통신연결 이벤트에 따라 통신모드의 우선순위는 달라질 수 있다.
즉, 자동음성안내모드가 최우선순위가 되고 다음으로 통신모뎀 모드와 DTMF 모드의 순서에 의하거나 DTMF 모드를 최우선 순위로 하고 자동음성안내모드를 차순위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순서의 변경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호스트의 스케쥴링에 의해 개시되는 데이터 송수신
다음은 도 5a 또는 도 5b는 호스트(80)의 통신연결 스케쥴에 따라 호스트(80)가 로컬서버(50)(또는 로컬시스템 즉 로컬의 승강기 제어반에 의하는 경우 등 포함, 이하 동일함)에 접속하여 로컬시스템에 대한 관리나 감시를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한다.
예컨대, 로컬서버(50)의 이상 유무를 체크, 라인확인 및 로컬서버의 데이터 다운로드 주기가 도래한 경우, 통신제어수단(87)은 통신모뎀(83)(전화모뎀이나 인터넷모뎀 등 다양한 데이터통신용 모뎀에 의할 수 있다, 이하 동일)을 통하여 로컬서버(50)와의 접속을 시도한다(통신모뎀 모드)(제251단계,제252단계).
통신모뎀(83)에 의해 로컬서버(50)에 접속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로컬서버(50)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고, 로컬서버(50)에 저장된 승강기 고장 이력 및 운행 이력을 다운로드 한다(제253단계,제254단계).
로컬서버(50)로부터 데이터 다운로드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완료되면, 통신제어수단(87)은 통신모뎀(53,83) 연결 접속을 해제하며 통신모뎀 데이터 통신성공을 등록하고 종료한다(제256단계,제257단계,제258단계).
만약에 통신모뎀(83)에 의한 통신접속이 실패하거나 데이터통신이 원활하지 않아 데이터 송수신 실패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정해진 회수만큼 재접속을 시도하며 재시도 회수가 정해진 회수를 초과하면 통신제어수단(87)은 로컬서버(50)와의 통신모뎀 접속을 해제하고 호스트(80)에 통신모뎀 통신실패를 등록한다(제259단계,제260단계,제261단계,제262단계).
통신모뎀 모드에 의한 통신실패시, 호스트(80)의 통신제어수단(87)은 통신모드를 DTMF 모드로 전환하며, DTMF 송수신장치(82)은 로컬서버로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DTMF 신호로 전환하여 비상통화장치(81)로 입력한다. 또한, 비상통화장치(81)는 기저장된 전화번호로 다이얼 업하여 로컬서버(50)와 통신 접속을 시도한다(DTMF 모드)(제 263단계)
비상통화장치(81)에 의한 통신접속이 성공한 경우 호스트(80)와 로컬서버(50)는 DTMF 모드에 의해 데이터통신을 시작하고, 모든 데이터 송수신이 완료되면 다운로드한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수단에 저장하며, DTMF 모드를 해제하고 호스트(80)에 DTMF 통신성공을 기록하여 종료한다(제265단계 내지 제270단계).
한편, 호스트(80)의 전송명령에 대하여 로컬서버(50)측에서 통신모뎀(53)에 의해 데이터 전송 가능한 경우에는 통신모뎀(53)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로컬서버(50)측에서 통신모뎀 접속이 불통인 경우에는, DTMF 송수신수단을 통하여 우선순위에 의해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제266단계).
만약에, DTMF 접속이 실패하거나 데이터 송수신이 계속하여 실패하여 재시도 회수가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통신제어수단(87)은 DTMF 접속을 해제하고 호스트(80)에 DTMF 모드 통신실패를 기록한다(제271단계,제272단계,제273단계,제274단계).
DTMF 통신모드에 의한 통신도 실패한 경우 통신제어수단(87)은 통신모드를 자동음성안내 모드로 전환하며, 기 저장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서 로컬시스템의 자동음성안내수단에 의해 음성멘트로 전달되는 승강기 관련내용을 전송받고 전화를 끊어 완료한다(제275단계,제276단계,제277단계).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모드 우선순위를 통신모뎀모드, DTMF 모드, 자동음성안내모드의 순서로 하고 있지만, 이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통신모뎀에 의한 데이터통신,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한 데이터통신 및 자동음성안내수단(즉, 전화)에 의한 통신은 통신속도가 다르므로 현장상황에 따라 또는 데이터의 종류나 통신연결 이벤트에 따라 통신모드의 우선순위는 달라질 수 있다. 즉, 자동음성안내모드가 최우선순위가 되고 다음으로 통신모뎀 모드와 DTMF 모드의 순서에 의하거나 DTMF 모드를 최우선 순위로 하고 자동음성안내모드를 차순위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순서의 변경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 호스트에 의한 승강기 원격제어
도5c, 도 5d은 승강기 고장이 발생하거나 승강기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즉, 고객의 승강기 제어를 요구에 의해) 승강기제어요구 발생하였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다중연결에 의해 승강기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한다.
호스트(80)의 스케쥴링수단에서(85) 고객이 요청한 시간대에 요구한 승강기제어 이벤트가 발생하면(280단계), 호스트의 통신제어수단은 통신모뎀(83)을 통하여 로컬 서버(50)에 접속을 시도한다(통신모뎀 모드). 통신모뎀(53,83)에 의한 접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호스트(80)의 스케쥴링수단에(85) 저장되어 있는 해당 승강기(10)의 제어데이터를 로컬서버(50)의 통신모뎀으로(53) 전송한다.(281 내지 283단계).
해당 제어데이터가 문제없이 정상적으로 로컬 서버(50)의 통신모뎀(53)에서 수신되면(284단계), 로컬서버 통신모뎀은(53)은 통신제어수단(56)에 전달하고 통신제어수단(56)은 수신한 제어데이터를 승강기제어반(11)으로 전송한다. 제어데이터에 의해 승강기제어를 수행하여 정상적으로 승강기 제어가 완료되면 호스트의(80) 통신모뎀(83)과 로컬 서버(50)의 통신모뎀(53) 연결 접속을 해제하고 호스트의 데이터송수신 성공/실패수단에(86) 승강기 제어 통신모뎀모드 통신성공을 등록하고 완료한다(284 내지 287단계).
만약에 호스트(80)의 통신모뎀(83)과 로컬서버(50)의 통신모뎀과(53) 연결 접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모뎀접속연결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으나 어떤 영향에 의해 데이터송수신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은 경우에(282 내지 284단계), 호스트의 통신모뎀(83)과 로컬서버의 통신모뎀(53) 간에 연결 접속을 정해진 횟수만큼 재시도하지만 어떤 영향에 의해 연결 접속 또는 데이터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호스트의 모뎀(83)과 로컬서버의 통신모뎀(53) 간에 연결 접속을 해제하고 호스트의 데이터 송수신 성공/실패 등록 수단(86)에 모뎀연결 접속연결 실패로 등록하고 DTMF모드로 전환한다(288 내지 292단계).
호스트의 통신제어수단(87)은 통신모드를 DTMF모드로 전환하며 DTMF 송수신장치(82)는 기 저장된 로컬서버(50)의 전화번호로 다이얼 업하여 연결접속을 시도한다. DTMF 연결접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292 내지 294단계), 호스트의 스케쥴링수단(85)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승강기(10)의 제어데이터를 DTMF 송수신수단(82)은 DTMF 신호로 전환하여 로컬 서버(50)의 비상통화장치(55)로 전송한다(295단계).
DTMF통신이(82, 52) 호스트(80)와 로컬서버(50) 간에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로컬 서버(50)의 비상통화장치(55)가 제어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면, DTMF 데이터전환수단(52)은 DTMF 신호를 제어데이터로 전환하여 통신제어수단(56)으로 입력하며, 통신제어수단(56)은 그 제어데이터를 해당 승강기 제어반(11)으로 전달하여 승강기 제어가 수행될 수 있게 하며, 호스트(80)와 로컬 서버(50) 간에 DTMF통신 연결접속을 해제하고 호스트(80)의 데이터송수신 성공/실패수단에(86) DTMF모드에 의한 승강기 제어성공으로 등록하고 완료한다.(295 내지 299단계)
만약에 호스트와(80) 로컬 서버(50) 간에 DTMF통신(82, 52) 접속 연결이 원활치 않아 접속 연결 또는 통신실패를 하였다면(294, 296단계) 호스트와(80) 로컬서버(50) 간에 DTMF 통신(82, 52)을 일정한 횟수 만큼 재시도 해보고 정상적으로 접속되면 상기에 설명된 것처럼 정상적으로 승강기제어를 수행한다( 301, 294 내지 299단계).
만약에 호스트(80)와 로컬서버(50) 간에 DTMF통신도(82, 52) 원활치 않아 재시도 횟수가 일정한 횟수를 초과하여 접속연결이 되지 않으면 호스트와(80) 로컬 서버(50) 간에 DTMF통신(82, 52) 접속을 해제하고, 호스트에 데이터송수신성공/실패 등록 수단에(86) DTMF통신 승강기제어 실패를 등록하고 완료한다(301 내지 303단계)
㉣자동 음성안내에 의한 고장신고
한편, 도 6은 자동 음성안내만으로 로컬 서버에서 호스트로 고장신고를 수행하거나 과정을 예시한다.
예컨대, 로컬에 승강기 승객갇힘?승강기 고장 등 긴급 통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1차적으로 내부 관리인 호출이 설정되어 있으면, 로컬 관리자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자동음성안내로 고장내용 및 현재 승강기 상태를 통보한다(제311단계 내지 제313단계).
로컬 관리자(58)는 자동음성안내를 청취하고 나서 해당 승강기 상태를 점검하며,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승강기 유지보수업체에 고장신고를 접수하고 고장내용 및 승강기 현재 상태를 전달한다. 고장신고를 접수한 유지보수업체 직원이 방문하여 승강기를 점검한다(제314단계 내지 제318단계).
한편, 외부 관리자(예컨대, 콜센터, 119, 24시간 공공기관 상황실 등)가 1차적으로 호출되도록 설정되었거나 내부 관리인과 통화가 불통인 경우에는 저장되어 있는 외부 관리인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승강기 고장내용과 현재 승강기 상태 등의 정보를 음성메시지로 전달하여 고장신고를 수행한다(제319단계 내지 제322단계,제318단계).
이 경우 고장신고를 접수한 호스트에서 로컬관리자로 전화를 걸어 승강기 점검을 요구하거나 고장신고를 접수한 유지보수업체 직원이 방문하여 승강기를 점검한다.
4)연결 우선순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로컬서버(50)(또는 로컬시스템)와 호스트(80)의 일반전화망을 이용하여 데이터통신을 하기 위한 국선 또는 외선(예컨대, 전화국에서 수용가에 제공되는 배선케이블이나 이에 직접 연결되는 선 또는 인터넷모뎀에 직접연결된 인터넷 선 등, 이하 동일)과 내선(예컨대, 수용가 교환기에 의해 분기되는 내부 전화선 또는 수용가 인터넷 공유기 등에 의해 분기되는 인터넷 랜선 등, 이하 동일)의 연결 우선순위는 통신방법이나 통신요금 정책에 따라 다른 우선순위에 의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모뎀(53)(전화모뎀, 인터넷모뎀을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통신 모뎀에 의할 수 있다)이 직접 국선에 연결되어 호스트(80)에 접속하거나 내선 교환기를 통하여 국선에 연결되어 호스트(80)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DTMF 모드에서 비상통화장치(55)가 국선에 직접 연결되어 호스트(80)에 접속하거나 내선교환기에 의해 국선에 연결하여 호스트(80)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며, 자동음성안내 모드에서 비상통화장치(55)가 직접 국선에 연결되어 상대방에 전화를 걸어 음성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내선교환기를 통하여 국선에 연결되어 자동음성안내를 위한 전화번호를 전화를 걸어 음성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로컬서버나 호스트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모드 및 통신연결루트를 조합하여 스케쥴링 된 연결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 접속을 시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통신모뎀(53)이 국선에 직접 연결하는 경우와 내선을 통해 국선에 연결하는 경우는 신호레벨 손실에 있어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내선에 의해서 통신모뎀 접속에 실패하였다 하더라도 국선에 의해서는 통신이 성공할 수 있으므로, 통신비의 절감 차원에서는 내선을 통해 접속하도록 하지만, 원활한 통신선로 유지를 위하여 국선과 내선에 대한 적절한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실례 4에서와 같이, 내선으로 통신모뎀(53) 접속에 실패한 경우 DTMF에 의해 내선으로 전송을 시도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DTMF에 의한 통신에도 실패한 경우에 비로소 통신모뎀(53)이 국선에 직접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통신모뎀(53)이 국선에 직접 접속한 경우에도 통신이 실패하면, DTMF 모뎀(52)이 직접 국선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며, DTMF 통신도 불통이 경우에는 국선 또는 내선을 통해 전화를 걸어서 호스트(80) 또는 지역 관리자(58)에게 음성 메시지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실례 1 내지 3, 5, 6에 있어서도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연결우선순위에 대한 스케쥴링 된 상태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5)데이터 우선순위
도8a, 도 8b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우선순위 및 전송대상의 데이터 종류는 통신을 개시하는 측이 어디냐에 따라서 그리고 어떤 통신방법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느냐에 따라 달리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 고장이나 승객 갇힘 발생 등 로컬 시스템에 긴급사태가 발생한 경우, 로컬서버(50)는 통신모뎀(53) 또는 DTMF 모뎀(52)을 통하여 호스트에 접속하여 고장신고 및 긴급데이터 전송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후 운행이력이나 고장이력 등 백업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호스트(80)에서 로컬서버(50)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데이터의 우선순위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시스템의 이상 유무, 제어데이터, 고장이력, 운행이력 등의 순서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고장신고, 로컬서버 이상 유무, 고장 이력, 운행 이력 등의 순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고장신고나 로컬서버의 이상 유무 등의 데이터만을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음성안내수단에 의해 음성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음성데이터의 내용에 따른 수신자의 우선순위를 달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승강기 고장이나 승객갇힘 발생 등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음성으로 전환된 데이터를 최대한 빨리 해당 담당자에게 전달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특허청구범위 기재사항과 균등범위에서 당업자가 행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포함함은 자명하다.
10.......호기 승강기 11........호기 승강기 제어반
15.......비상통화 단말 50........로컬 서버
51......비상통화수단 52........DTMF 데이터전환수단
53,83...통신모뎀 55,81.....비상통화장치
56,87...통신제어수단 57........음성생성수단
58......로컬 관리자 60........승강기 통신서버
71,91...VoIP 모뎀 80........호스트
82......DTMF 송수신장치 85........스케쥴링수단
86......통신성공실패등록수단 88........데이터저장수단

Claims (21)

  1. 로컬시스템과 호스트 각각에 설치되어 운행정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뎀과;
    상기 통신모뎀에 의한 데이터통신 실패시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호스트 사이 DTMF 신호에 의해 운행정보 데이터 송수신이나 고장신고를 수행하기 위한 DTMF 송수신수단과;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호스트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통신모뎀에 의하는 통신모뎀 모드와 상기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하는 DTMF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통신모드로 통신모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호스트 사이 데이터통신 통신모드에 따라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호스트가 전송하는 데이터의 종류나 그 데이터의 전송 우선순위를 달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네트워크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다중연결 시스템.
  2. 로컬시스템과 호스트 각각에 설치되어 운행정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뎀과;
    상기 통신모뎀에 의한 데이터통신 실패시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호스트 사이 DTMF 신호에 의해 운행정보 데이터 송수신이나 고장신고를 수행하기 위한 DTMF 송수신수단과;
    상기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한 데이터통신 실패시 음성으로 자동 고장신고나 운행정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자동음성안내장치와;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호스트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통신모뎀에 의하는 통신모뎀 모드와 상기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하는 DTMF 모드 및 상기 자동음성안내장치에 의하는 자동음성안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통신모드로 통신모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호스트 사이 데이터통신이 상기 통신모뎀, 상기 DTMF 송수신 수단 및 상기 자동음성안내 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해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호스트가 전송하는 데이터의 종류나 그 데이터의 전송 우선순위를 달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네트워크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다중연결 시스템.
  3. 로컬시스템과 호스트 사이 운행정보 데이터 송수신을 DTMF 신호로 수행하기 위한 DTMF 송수신수단과;
    상기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한 데이터통신 실패시 음성으로 자동 고장신고나 운행정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자동음성안내장치와;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호스트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하는 DTMF 모드와 상기 자동음성안내장치에 의하는 자동음성안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통신모드로 통신모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DTMF 송수신 수단과 상기 자동음성안내 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해 통신이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호스트가 전송하는 데이터의 종류나 그 데이터의 전송 우선순위를 달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네트워크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다중연결 시스템.
  4. 로컬시스템과 호스트 각각에 설치되어 운행정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뎀과;
    상기 통신모뎀에 의한 데이터통신 실패시, 음성으로 자동 고장신고나 운행정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자동음성안내장치와;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호스트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통신모뎀에 의하는 통신모뎀 모드와 상기 자동음성안내장치에 의하는 자동음성안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통신모드로 통신모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호스트 사이 데이터통신이 상기 통신모뎀과 상기 자동음성안내 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해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호스트가 전송하는 데이터의 종류나 그 데이터의 전송 우선순위를 달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네트워크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다중연결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DTMF 송수신 수단은 상기 로컬 시스템과 호스트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구비되는 승강기 비상통화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기 비상통화시스템을 통하여 DTMF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네트워크 다중연결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DTMF 송수신수단은 상기 로컬 시스템과 호스트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구비되는 VoIP 모뎀, 국선전화, 이동통신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그에 의하여 DTMF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네트워크 다중 연결시스템.
  7.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음성안내수단은 상기 로컬시스템과 호스트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구비되는 승강기 비상통화시스템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네트워크 다중연결 시스템.
  8.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음성안내수단에 의한 음성에 의한 자동 고장신고나 운행정보 데이터의 전달은 VoIP 모뎀, 국선전화, 이동통신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네트워크 다중연결시스템.
  9. 호스트와 로컬시스템 사이 운행데이터의 송수신이나 자동고장신고를 위해 통신모뎀, DTMF 송수신수단, 자동음성안내수단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다중연결방법으로,
    상기 호스트가 상기 로컬시스템으로부터 운행 데이터를 전송받아야 하는 경우, 상기 호스트에서 상기 로컬 시스템에 상기 통신모뎀을 통해 접속하여 상기 호스트와 상기 로컬시스템 사이 운행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뎀 모드 단계와;
    상기 로컬시스템과 상기 통신모뎀에 의한 통신이 불통인 경우 상기 호스트가 상기 DTMF 송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로컬시스템에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로컬 시스템에 DTMF 송수신 수단에 의한 접속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호스트가 DTMF 신호 송수신에 의해 상기 로컬시스템이 운행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명령하는 단계와;
    상기 로컬시스템은 DTMF 모드에 대한 우선순위 데이터를 검출하며, 검출한 데이터를 DTMF 모드에 정해진 전송순서에 따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한 상기 로컬시스템과의 통신연결이 실패하거나 DTMF 모드에 의한 데이터통신이 실패한 경우 상기 자동음성안내 수단이 자동으로 로컬 관리자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음성메시지로 로컬의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자동음성안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
  11. 호스트와 로컬시스템 사이 운행데이터의 송수신이나 자동고장신고를 위해 통신모뎀, DTMF 송수신수단, 자동음성안내수단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으로,
    상기 로컬 시스템에서 상기 호스트로 상기 로컬시스템의 운행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고장신고를 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로컬 시스템이 상기 통신모뎀을 통하여 상기 호스트에 접속하여 상기 로컬시스템의 운행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자동 고장신고를 수행하는 통신모뎀 모드 단계와;
    상기 통신모뎀에 의한 데이터통신이 실패한 경우 상기 로컬 시스템은 통신모드를 DTMF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해 상기 호스트로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해 상기 호스트에 접속 성공한 경우에는 DTMF 신호 송수신에 의해 상기 로컬 시스템이 DTMF 모드에 설정된 우선순위 운행 데이터를 검출하고 전송순서에 따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거나 자동 고장신고를 수행하는 DTMF 통신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네트워크 다중연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해 상기 호스트와 통신연결에 실패하거나 DTMF 모드에 의한 운행 데이터 전송이나 자동 고장신고에 실패한 경우, 상기 자동음성안내수단이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른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음성으로 자동 고장신고를 하거나 우선순위 운행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자동 음성안내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
  13. 호스트와 로컬시스템 사이 운행데이터의 송수신이나 자동고장신고를 위해 통신모뎀, DTMF 송수신수단, 자동음성안내수단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으로,
    자동음성안내 수단에 의해 음성으로 자동고장신고를 하거나 우선순위 데이터를 전송하는 자동음성안내 모드 단계와;
    상기 자동음성안내 수단에 의한 자동 고장신고나 우선순위 데이터 전송에 병행하거나 상기 자동음성안내 수단에 의한 자동 고장신고나 우선순위 데이터 전송에 실패한 경우에, 상기 통신모뎀이나 상기 DTMF 송수신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수단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며, 해당 통신수단에 대응하는 우선순위에 따라 운행 데이터 송수신을 하거나 자동 고장신고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다중 연결 방법.
  14. 호스트와 로컬시스템 사이 운행데이터의 송수신이나 자동고장신고를 위해 DTMF 송수신수단 및 자동음성안내수단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으로,
    상기 로컬 시스템은 통신모드를 DTMF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해 상기 호스트로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DTMF 송수신수단에 의해 상기 호스트에 접속 성공한 경우에는 DTMF 신호 송수신에 의해 상기 로컬 시스템은 상기 DTMF 송수신수단에 대한 우선순위 운행데이터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거나 자동 고장신고를 수행하는 DTMF 통신 단계와;
    상기 DTMF 송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호스트 접속이 실패한 경우에 자동 음성안내수단이 상기 호스트로 자동 전화를 걸어 고장 신고 및 상기 자동음성안내수단에 대한 우선순위 데이터를 음성으로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자동음성안내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네트워크 다중연결방법.
  15. 호스트와 로컬시스템 사이 운행데이터의 송수신이나 자동고장신고를 위해 통신모뎀, DTMF 송수신수단, 자동음성안내수단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으로,
    상기 호스트와 상기 로컬시스템에 대하여, 통신모뎀에 의해 운행데이터 데이터 송수신이나 자동고장신고를 수행하는 통신모뎀 모드와, 상기 DTMF 송수신 수단에 의해 DTMF 신호로 데이터 송수신이나 자동 고장신고를 수행하는 DTMF 모드 및 상기 자동음성안내수단에 의해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른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음성으로 운행데이터 전송이나 자동고장신고를 수행하는 자동음성안내 모드에 대한 통신모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통신모드 우선순위 설정단계와;
    상기 로컬시스템이나 상기 호스트에 통신연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그 통신연결 이벤트가 발생한 측의 네트워크 통신제어수단이 설정된 통신모드 우선순위를 검출하는 우선순위 검출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통신제어수단이 검출된 최우선 순위 통신모드로 전환하고, 통신연결 이벤트에 대응하는 해당 통신모드에 대한 우선순위 운행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자동 고장신고를 수행하고, 상기 최우선 순위 통신모드에 의한 데이터통신에 실패한 경우 다음 순위 통신모드로 전환하며 그 통신모드의 통신연결 이벤트에 대응하는 우선순위 운행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자동 고장신고를 수행하는 제 1 백업통신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 1 백업통신 단계에 의한 데이터 통신이 실패한 경우에는 그 다음 순위 통신모드에 의해 상기 통신연결 이벤트에 대응하는 운행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자동 고장신고를 수행하는 제 2 백업통신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로컬시스템 및 상기 호스트에 따라, 그리고, 상기 각 통신모드에 따라 내선과 외선의 통신연결 우선순위는 달리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통신연결 우선순위는, 상기 로컬시스템 및 상기 호스트 각각에 발생하는 통신연결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
  19. 삭제
  20. 청구항 9 내지 18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데이터 종류나 그 데이터의 전송 우선순위는 통신모드가 동일한 경우에도 상기 로컬시스템 및 상기 호스트 각각에 발생한 통신연결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다중연결 방법.
  21. 삭제
KR1020100039770A 2010-04-29 2010-04-29 네트워크 다중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101113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770A KR101113032B1 (ko) 2010-04-29 2010-04-29 네트워크 다중 연결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770A KR101113032B1 (ko) 2010-04-29 2010-04-29 네트워크 다중 연결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383A KR20110120383A (ko) 2011-11-04
KR101113032B1 true KR101113032B1 (ko) 2012-03-13

Family

ID=45391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770A KR101113032B1 (ko) 2010-04-29 2010-04-29 네트워크 다중 연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0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959A (ko) * 1998-09-24 2000-04-15 이종수 자기 진단 능력을 갖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용 단말장치
JP2006168845A (ja) * 2004-12-13 2006-06-29 Otis Elevator Co 故障通報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959A (ko) * 1998-09-24 2000-04-15 이종수 자기 진단 능력을 갖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용 단말장치
JP2006168845A (ja) * 2004-12-13 2006-06-29 Otis Elevator Co 故障通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383A (ko) 201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5517B1 (en) Network access device monitoring
CN108712994B (zh) 电梯系统
US6825762B2 (en) Device for directing a premises alarm panel to a backup radio network upon detection of use of the PSTN by another premises device
JP2004186766A (ja) バックアップ制御装置および制御装置バックアップ方法
CN106953993A (zh) 一种智能安防实现方法及系统
KR101113032B1 (ko) 네트워크 다중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102418980B1 (ko) 감시 시스템
JP2008024428A (ja) ビル遠隔監視装置
KR20110120029A (ko) 비상시 음성 고장 신고 시스템
JP4038091B2 (ja) 通信端末、これを含む通信システム、及び呼制御障害の対策方法
US20140362708A1 (en) Emergency communication solution
JP6381722B1 (ja) 監視システム
JP4564523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KR100430891B1 (ko) 엘리베이터의 원격 제어 방법
GB2469230A (en) Periodic polling to test the link between an alarm gateway and an alarm interface device.
JP3908394B2 (ja) 電話回線装置
GB2465833A (en) An apparatus for communicating between an alarm device and an alarm gateway over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JP3934901B2 (ja) VoIPシステムにおける障害対策方法、VoIPシステムおよびVoIPシステム用通信交換管理装置
US10965520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residential gateway from a communication network, method of supervision, method of executing an action, corresponding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JP2005094715A (ja) 音声ゲートウェイ装置
CN109789991B (zh) 电梯系统
JP4576796B2 (ja) VoIP通信装置における呼制御方法
KR100624685B1 (ko) 교환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0535252B1 (ko) 착신요청신호를 이용한 원격감시장치의 활성화 시스템 및방법
JPS5811147B2 (ja) 電話回線網の交換接続用信号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