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820B1 -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820B1
KR101841820B1 KR1020160000211A KR20160000211A KR101841820B1 KR 101841820 B1 KR101841820 B1 KR 101841820B1 KR 1020160000211 A KR1020160000211 A KR 1020160000211A KR 20160000211 A KR20160000211 A KR 20160000211A KR 101841820 B1 KR101841820 B1 KR 101841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information
server
call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1314A (ko
Inventor
곽근배
임종헌
신종환
Original Assignee
(주) 모인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모인온 filed Critical (주) 모인온
Priority to KR1020160000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820B1/ko
Publication of KR20170081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Abstract

본 발명은 가입자 호출 및 정보 전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와 같이 비상통화가 필요한 경우에 적합한 위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람이나 화물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엘리베이터(110)와, 상기 엘리베이터(110)내의 각종층 버튼이나 열림, 닫힘 버튼의 눌림을 입력받아 상기 엘리베이터(110)가 이동하거나, 엘리베이터 도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0)와, 상기 엘리베이터(110)의 각종층 버튼 열림, 닫힘 버튼의 동작을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0)로 전송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110)에 전송하는 제어자기(130)와, 상기 엘리베이터(110)의 비상통화장치인 자기(140)와, 1개 이상 복수의 자기(140)와 내외부 관리자 장치간의 연결기능을 주파수편이변조방식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모기(150)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0); 및 비상통화장치를 설치한 엘리베이터(110)의 각종정보가 수집되는 수집서버(210)와, 상기 엘리베이터(110)의 유지보수와 관련된 정보가 수집되는 유지보수 서버(220)와, 유지보수 및 관제센터(500)의 관리자 PC로 상기 엘리베이터(110)에 대한 관제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WEB) 서버(230)와, 상기 수집서버(210)에서 수집된 각종 정보와 상기 유지보수 서버(220)에서 수집된 정보, 경비실, 관리실 전화번호, 콜센터(400) 전화번호, 관리실/방재실 담당자의 핸드폰, 스마트폰 식별번호, 유지보수 및 관제센터의 PC정보가 데이터베이스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240) 및 상기 엘리베이터(110)의 각종정보를 수집서버(210)가 원격지에서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접속서버(Remote Access Server : RAS)(250)를 포함하는 원격모니터링 시스템(2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subscriber calls and information using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본 발명은 가입자 호출 및 정보 전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와 같이 비상통화가 필요한 경우에 적합한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 엘리베이터의 비상 통화(Emergency Call)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날로그 방식의 2선식 인터폰 통화 방식을 그대로 엘리베이터에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아날로그 방식은 일반적인 환경에서 사용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엘리베이터에서처럼 전원 케이블 등 여러 신호선과 같이 사용되는 환경에서 전원 라인에서 발생되는 노이즈 발생 및 길이에 따른 신호 감소에 의해 엘리베이터 내부- 기계실-국선, 경비실/방재실의 전화기로 이어지는 통화 환경에서 통화품질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도 1은 연도별 엘리베이터 설치 현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엘리베이터(승강기) 고장 안전사고 현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설치를 매년 증가하고 있고, 안전사고는 대부분 승객용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엘리베이터 비상통화 제어 시스템은 기존 엘리베이터 케이블을 사용하여 1:1 방식으로 복수개의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장치와 연결되었으나 동시에 1:N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비상통화를 제어하지 못했고, 엘리베이터의 긴급통화(Emergency Call) 시 엘리베이터 장치ID와 비상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았으며, 경비실/방재실의 전화기의 담당자의 부재시 통화가 안된 경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비상국선 전화기와 통화 연결이 되지 않았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56345호(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비상상황 발생 시 경비실/방재실 담당자 부재시나 정전 시에도 비상통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황별 음성안내/전달이 가능하고, 자가진단 기능 및 이상상태 정보를 관리실/방재실 담당자에게 발송할 수 있도록 한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은, 사람이나 화물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엘리베이터(110)와, 상기 엘리베이터(110)내의 각종층 버튼이나 열림, 닫힘 버튼의 눌림을 입력받아 상기 엘리베이터(110)가 이동하거나, 엘리베이터 도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0)와, 상기 엘리베이터(110)의 각종층 버튼 열림, 닫힘 버튼의 동작을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0)로 전송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110)에 전송하는 제어자기(130)와, 상기 엘리베이터(110)의 비상통화장치인 자기(140)와, 1개 이상 복수의 자기(140)와 내외부 관리자 장치간의 연결기능을 주파수편이변조방식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모기(150)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0); 및 상기 비상통화장치를 설치한 엘리베이터(110)의 각종정보가 수집되는 수집서버(210)와, 상기 엘리베이터(110)의 유지보수와 관련된 정보가 수집되는 유지보수 서버(220)와, 유지보수 및 관제센터(500)의 관리자 PC로 상기 엘리베이터(110)에 대한 관제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WEB) 서버(230)와, 상기 수집서버(210)에서 수집된 각종 정보와 상기 유지보수 서버(220)에서 수집된 정보, 경비실, 관리실 전화번호, 콜센터(400) 전화번호, 관리실/방재실 담당자의 핸드폰, 스마트폰 식별번호, 유지보수 및 관제센터의 PC정보가 데이터베이스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240) 및 상기 엘리베이터(110)의 각종정보를 수집서버(210)가 원격지에서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접속서버(Remote Access Server : RAS)(250)를 포함하는 원격모니터링 시스템(2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외부 관리자 장치는 관리실 및 경비실 전화기(160, 170)나 콜센터(400)의 전화기, 유지보수 및 관제센터(500)의 관리자 PC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수집서버(210)에서 수집되는 상기 엘리베이터(110)의 각종정보는, 설치장소(건물)정보, 설치 호기 정보, 설치연월일 정보, 관리자 정보, 비상호출정보(비상통화), 엘리베이터(E/V) 상태정보 및 원격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0)과 상기 원격모니터링 시스템(200)은 상기 원격접속서버(RAS)(250)와 공중교환전화망(PSTN)(300) 및 교환기(600)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콜센터(400)와는 공중교환전화망(PSTN)(300, 310) 및/또는 교환기(600, 610)를 통해 음성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모기(150)는 1개이상 복수개의 자기와 내/외부 관리자 장치간의 연결기능을 제공하되, 슬롯확장 가능한 1 내지 8 채널(CH) 형으로 DC 12V(6~30V) 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배터리는 3000mA를 이용하는 경우 최대 2시간까지 통화가 가능하고 장치별 국선 1회선 지원이 필요한 키폰방식(PSTN)으로써 자동 다이얼링,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SMS 단문메시지 발송, 상황별 음성안내 및 전달, 외부에서 개별 엘리베이터로 통화 연결, 비상 버튼 오동작 확인 멘트 송출, 자가진단 기능 및 이상상태 정보 SMS 발송, 비상통화 이력저장(100개), 승강기와 관리실 및 방재실간의 3자통화 기능 및 현장녹음(건물명, 호기)를 적용한 안내멘트 기능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방법은 엘리베이터에 비상통화장치인 자기를 설치하는 단계(S100); 상기 비상통화장치를 설치한 엘리베이터 정보가 수집서버에서 수집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S110); 상기 수집서버에서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관제데이터(비상호출정보, 엘리베이터 상태정보 및 원격제어정보 등)가 설정된 주기로 수집되는 단계(S120); 수집된 관제정보 데이터는 유지보수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데이터가 갱신되는 단계(S130); 수집서버에서 수집된 관제데이터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에 따라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웹 서버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참조하여 유지보수 및 관제센터의 PC로 해당 이상 데이터를 전송하고(S150), 해당 PC와 연결된 모니터에서는 이상발생 데이터가 출력되며(S160), 관리실/방재실 담당자의 핸드폰, 스마트폰 번호를 통해서는 이상상황에 대하여 음성이나 문자 메시지가 전송되는 단계(S170) 및 비상통화요청에 해당하는 비상호출정보인 경우에는 경비실 및 관리실로 키폰 통화가 자동으로 다이얼링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콜센터 전화번호에 따라 공중교환전화망(300, 310)과 교환기(600, 610)를 통해 콜센터로 음성신고가 이루어지며(S180), 상기 웹 서버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참조하여 유지보수 및 관제선터로 비상통화요청 발생을 전송하고(S190), 해당 PC와 연결된 모니터에는 해당 상황이 디스플레이되며(S200), 상기 웹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 참조하여 상기 관리실/방재실 담당자 단말기로 해당 상황에 대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210); 및 상기 관리실/방재실 담당자 단말기로의 음성, 문자 전송에 따른 접수처리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0)과 원격모니터링 시스템(200)간의 관제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이상발생이 종료되었다면(S250). 해당 내용은 유지보수 서버에 갱신되는 단계(S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공중교환전화망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 음성 회선 대역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데이터 통신용 주파수 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정전 시 엘리베이터에서의 비상통화가 가능하다.
둘째, 엘리베이터에서의 비상상황 발생 시 상황별 음성 안내 및 전달이 가능하다.
셋째, 비상상황 발생 시 자가진단 기능 및 이상상태 정보를 관리실/방재실 담당자에게 문자메시지로 발송할 수 있어 관리실이나 방재실 담당자가 해당 실에 있지 않더라도 비상상황 발생을 알 수 있고, 그에 따라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넷째, 비상상황 발생 시의 통화 이력을 저장할 수 있어 추후 사고에 대한 규명이 용이하다.
다섯째,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장치와 관리실 및 방재실 담당자간 3자통화가 가능하므로 비상상황 발생 시에 보다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도 1은 연도별 엘리베이터 설치 현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엘리베이터(승강기) 고장 안전사고 현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의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에서 이용되는 모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의 엘리베이터에서 이용되는 모기자기 일체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의 엘리베이터에서 이용되는 자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0), 원격모니터링 시스템(200), 공중교환전화망(300, 310), 콜센터(400), 유지보수 및 관제센터(500), 기지국(600) 및 인터넷(7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0)은 엘리베이터(110),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0), 제어자기(130), 자기(140), 모기(150), 관리실 및 경비실 전화기(160, 170)를 포함한다.
우선 엘리베이터(110)는 건물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화물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고,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0)는 엘리베이터(110)내의 각종층 버튼이나 열림, 닫힘 버튼의 눌림을 입력받아 엘리베이터가 이동하거나, 엘리베이터 도어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제어자기(130)는 엘리베이터의 각종층 버튼 열림, 닫힘 버튼의 동작을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0)로 전송하고,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엘리베이터(110)에 전송한다.
자기(140)와 모기(150)는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장치로써, 자기(140)는 엘리베이터(110) 내부에 설치되며, 모기(150)는 1개 이상 복수의 자기와 내외부 관리자 장치간의 연결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내외부 관리자 장치로는 관리실 및 경비실 전화기(160, 170)나 콜센터(400)의 전화기, 유지보수 및 관제센터(500)의 관리자 PC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원격모니터링 시스템(200)은 수집서버(210), 유지보수 서버(220), 웹(WEB) 서버(230), 데이터베이스 서버(240) 및 원격접속서버(Remote Access Server : RAS)(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집서버(210)는 비상통화장치를 설치한 엘리베이터(110)의 각종정보(설치장소(건물)정보, 설치 호기 정보, 설치연월일 정보, 관리자 정보, 비상호출정보(비상통화), 엘리베이터(E/V) 상태정보 원격제어정보 등)가 수집된다.
유지보수 서버(220)는 엘리베이터의 유지보수와 관련된 정보가 수집된다.
웹(WEB) 서버(230)는 유지보수 및 관제센터(500)의 관리자 PC로 엘리베이터의 관리정보를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240)는 수집서버(210)에서 수집한 각종 정보와 유지보수 서버(220)에서 수집된 정보, 경비실, 관리실 전화번호, 콜센터 전화번호, 관리실/방재실 담당자의 핸드폰, 스마트폰 식별번호, 유지보수 및 관제센터의 PC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원격접속서버(Remote Access Server : RAS)(250)는 엘리베이터(110)의 각종정보를 수집서버(210)가 원격지에서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0)은 원격접속서버(RAS)(250)와 공중교환전화망(PSTN)(300) 및 교환기(600)를 통해 접속되고, 콜센터(400)와는 공중교환전화망(PSTN)(300, 310) 및/또는 교환기(600, 610)를 통해 음성이 전송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0)은 원격모니터링 시스템(200)의 웹서버(230)를 통해 인터넷(700)과 접속되어 유지보수 및 관제센터(500)와 관제 데이터(비상호출정보, 엘리베이터 상태정보, 원격제어정보)가 출력되거나 관제데이터 출력을 설정한다.
그리고 기지국(800)를 통해서는 관리실/방재실 담당자의 핸드폰, 스마트폰, 스마트 기기로 관제데이터를 음성 또는 문자로 전송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장치 모기와 승강기 내부의 자기의 발신/착신/호처리 관련 정보를 주고받는 방식에서 주파수편이변조(FSK Modulation) 방식을 이용하는데, 한 개의 유선 라인에 복수의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호출시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 모두가 동시에 호출되므로,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별로 개별적인 발신/착신 서비스를 주파수편이변조(FSK Modulation) 방식을 이용하여 호출 및 정보 전달을 개별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1기에는 엘리베이터(110) 내부에 자기 1대(자기(140)), 엘리베이터 상부 1대(제어자기(130)), 경비실 1대(경비실 전화기(170)), 기계실 1대(관리실 전화기(160)) 등이 동일 유선 라인에 연결되는데, 호출시 동일 유선 라인에 연결된 기기들은 전부 동시에 호출이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각기 별도로 호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식별이 가능한 주파수편이변조(FSK Modulation) 방식을 적용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의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에서 이용되는 모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모기는 1개이상 복수개의 자기와 내/외부 관리자 장치간의 연결기능을 제공하는데, 슬롯확장 가능한 1 내지 8 채널(CH) 형으로 DC 12V(6~30V) 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배터리는 3000mA를 이용하는 경우 최대 2시간까지 통화가 가능하고 장치별 국선 1회선 지원이 필요한 키폰방식(PSTN)으로써 자동 다이얼링,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SMS 단문메시지 발송, 상황별 음성안내 및 전달, 외부에서 개별 엘리베이터로 통화 연결, 비상 버튼 오동작 확인 멘트 송출, 자가진단 기능 및 이상상태 정보 SMS 발송, 비상통화 이력저장(100개), 승강기와 관리실 및 방재실간의 3자통화 기능 및 현장녹음(건물명, 호기)를 적용한 안내멘트 기능이 있다.
이때, 키폰방식인 공중교환전화망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 음성 회선 대역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데이터 통신용 주파수 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정전 시에도 엘리베이터에서의 비상통화가 가능하다. 또한 엘리베이터에서의 비상상황 발생 시 상황별 음성 안내 및 전달이 가능하며, 비상상황 발생 시 자가진단 기능 및 이상상태 정보를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200)과 연결되어 관리실/방재실 담당자에게 문자메시지로 발송할 수 있어 관리실이나 방재실 담당자가 해당 실에 있지 않더라도 비상상황 발생을 알 수 있고, 그에 따라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며, 비상상황 발생 시의 통화 이력을 저장할 수 있어 추후 사고에 대한 규명이 용이하고,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장치와 관리실 및 방재실 담당자간 3자통화가 가능하므로 비상상황 발생 시 보다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의 엘리베이터에서 이용되는 모기자기 일체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일체형은 1개의 엘리베이터내의 비상통화장치인 동시에 내/외부 관리자 장치간의 연결기능을 가진 독립형 장치로, 1채널 형으로 DC 12V(6~30V) 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입출력포트로는 전화라인 1개, 마이크 1개 및 스피커 1개 등으로 구성되고, 국선 1회선 진원이 필요한 키폰방식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의 엘리베이터에서 이용되는 자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자기는 엘리베이터내의 비상통화장치로 1채널 형으로 모기와 연결 및 연동되어 동작하며, 입출력포트로는 전화라인 1개, 마이크 1개 및 스피커 1개 등으로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방법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에 비상통화장치인 자기를 설치한다(S100). 이와 같은 자기설치는 모기와의 연결을 포함한다.
이어 비상통화장치를 설치한 엘리베이터 정보(설치장소(건물)정보, 설치 호기 정보, 설치연월일 정보, 관리자 정보, 비상호출정보(비상통화), 엘리베이터(E/V) 상태정보 원격제어정보 등)가 수집서버에서 수집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다(S110).
또한, 수집서버에서는 엘리베이터의 관제데이터(비상호출정보, 엘리베이터 상태정보 및 원격제어정보 등)가 설정된 주기로 수집된다(S120).
그리고 수집된 관제정보 데이터는 유지보수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데이터가 갱신된다(S130).
수집서버에서 수집된 관제데이터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40).
이러한 판단은 엘리베이터의 관제데이터에 중 비상호출정보, 엘리베이터 상태정보 이상이 있는데,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웹 서버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참조하여 유지보수 및 관제센터의 PC로 해당 이상 데이터를 전송하고(S150), 그에 따라 해당 PC와 연결된 모니터에서는 이상발생 데이터가 출력된다(S160). 또한 관리실/방재실 담당자의 핸드폰, 스마트폰 번호를 통해서는 이상상황에 대하여 음성이나 문자 메시지가 전송된다(S170).
한편 비상통화요청에 해당하는 비상호출정보인 경우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모기, 일체형 및 자기 등을 통해 경비실 및 관리실로 키폰 통화가 자동으로 다이얼링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콜센터 전화번호에 따라 공중교환전화망(300, 310)과 교환기(600, 610)를 통해 콜센터로 음성신고가 이루어진다(S180).
그리고 웹 서버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참조하여 유지보수 및 관제선터로 비상통화요청 발생을 전송하고(S190), 그에 따라 모니터에는 해당 상황이 디스플레이된다(S200).
또한 웹 서버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참조하여 관리실/방재실 담당자 단말기로 해당 상황에 대하여 메시지를 전송한다(S210).
한편 3자통화가 요청되면(S220) 3자 통화를 연결하여 비상통화요청에 대하여 통화연결을 통해(S230), 승객이 관리실이나 방재실, 콜센터 등과 통화를 하게됨으로서 보다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안정을 찾거나 필요한 후속조치 등을 취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때, 통화내용은 비상통화요청 시 모기에 자동적으로 녹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관리실/방재실 담당자 단말기로의 음성, 문자 전송에 따른 접수처리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0)과 원격모니터링 시스템(200)간의 관제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이상발생이 종료되었다면(S250). 해당 내용은 유지보수 서버에 갱신된다(S260).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100 :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10 : 엘리베이터
120 :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130 : 제어자기
140 : 자기 150 : 모기
160, 170 : 전화기 200 :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210 : 수집서버 220 : 유지보수 서버
230 : 웹(WEB) 서버 240 : 데이터베이스 서버
250 : 원격접속서버(Remote Access Server : RAS)
300, 310 : 공중교환전화망(PSTN) 400 : 콜센터
500 : 유지보수 및 관제센터 600, 610 : 교환기
700 : 인터넷 800 : 기지국

Claims (6)

  1. 사람이나 화물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엘리베이터(110)와, 상기 엘리베이터(110)내의 각종층 버튼이나 열림, 닫힘 버튼의 눌림을 입력받아 상기 엘리베이터(110)가 이동하거나, 엘리베이터 도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0)와, 상기 엘리베이터(110)의 각종층 버튼 열림, 닫힘 버튼의 동작을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0)로 전송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110)에 전송하는 제어자기(130)와, 상기 엘리베이터(110)의 비상통화장치인 자기(140)와, 1개 이상 복수의 자기(140)와 내외부 관리자 장치간의 연결기능을 각기 별도로 호출이 가능하도록 주파수편이변조(FSK Modulation)방식을 이용하여 제공하되, 슬롯확장 가능한 1 내지 8 채널(CH) 형으로 DC 12V(6~30V) 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배터리는 3000mA를 이용하는 경우 최대 2시간까지 통화가 가능하고 장치별 국선 1회선 지원이 필요한 키폰방식(PSTN)으로써 자동 다이얼링,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SMS 단문메시지 발송, 상황별 음성안내 및 전달, 외부에서 개별 엘리베이터로 통화 연결, 비상 버튼 오동작 확인 멘트 송출, 자가진단 기능 및 이상상태 정보 SMS 발송, 비상통화 이력저장(100개), 승강기와 관리실 및 방재실간의 3자통화 기능 및 현장녹음(건물명, 호기)을 적용한 안내멘트 기능이 제공되는 모기(150)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0); 및
    상기 비상통화장치를 설치한 엘리베이터(110)의 각종정보가 수집되는 수집서버(210)와, 상기 엘리베이터(110)의 유지보수와 관련된 정보가 수집되는 유지보수 서버(220)와, 유지보수 및 관제센터(500)의 관리자 PC로 상기 엘리베이터(110)에 대한 관제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WEB) 서버(230)와, 상기 수집서버(210)에서 수집된 각종 정보와 상기 유지보수 서버(220)에서 수집된 정보, 경비실, 관리실 전화번호, 콜센터(400) 전화번호, 관리실/방재실 담당자의 핸드폰, 스마트폰 식별번호, 유지보수 및 관제센터의 PC정보가 데이터베이스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240) 및 상기 엘리베이터(110)의 각종정보를 수집서버(210)가 원격지에서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접속서버(Remote Access Server : RAS)(250)를 포함하는 원격모니터링 시스템(2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부 관리자 장치는 관리실 및 경비실 전화기(160, 170)나 콜센터(400)의 전화기, 유지보수 및 관제센터(500)의 관리자 PC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서버(210)에서 수집되는 상기 엘리베이터(110)의 각종정보는,
    설치장소(건물)정보, 설치 호기 정보, 설치연월일 정보, 관리자 정보, 비상호출정보(비상통화), 엘리베이터(E/V) 상태정보 및 원격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0)과 상기 원격모니터링 시스템(200)은 상기 원격접속서버(RAS)(250)와 공중교환전화망(PSTN)(300) 및 교환기(600)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콜센터(400)와는 공중교환전화망(PSTN)(300, 310) 및/또는 교환기(600, 610)를 통해 음성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방법에서,
    엘리베이터에 비상통화장치인 자기를 설치하는 단계(S100);
    상기 비상통화장치를 설치한 엘리베이터 정보가 수집서버에서 수집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S110);
    상기 수집서버에서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관제데이터(비상호출정보, 엘리베이터 상태정보 및 원격제어정보 등)가 설정된 주기로 수집되는 단계(S120);
    상기 수집된 관제정보 데이터는 유지보수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데이터가 갱신되는 단계(S130);
    상기 수집서버에서 수집된 관제데이터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에 따라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웹 서버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참조하여 유지보수 및 관제센터의 PC로 해당 이상 데이터를 전송하고(S150), 해당 PC와 연결된 모니터에서는 이상발생 데이터가 출력되며(S160), 관리실/방재실 담당자의 핸드폰, 스마트폰 번호를 통해서는 이상상황에 대하여 음성이나 문자 메시지가 전송되는 단계(S170) 및 비상통화요청에 해당하는 비상호출정보인 경우에는 경비실 및 관리실로 키폰 통화가 자동으로 다이얼링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콜센터 전화번호에 따라 공중교환전화망(300, 310)과 교환기(600, 610)를 통해 콜센터로 음성신고가 이루어지며(S180), 상기 웹 서버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참조하여 유지보수 및 관제선터로 비상통화요청 발생을 전송하고(S190), 해당 PC와 연결된 모니터에는 해당 상황이 디스플레이되며(S200), 상기 웹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 참조하여 상기 관리실/방재실 담당자 단말기로 해당 상황에 대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210); 및
    상기 관리실/방재실 담당자 단말기로의 음성, 문자 전송에 따른 접수처리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0)과 원격모니터링 시스템(200)간의 관제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이상발생이 종료되었다면(S250), 해당 내용은 유지보수 서버에 갱신되는 단계(S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방법.
KR1020160000211A 2016-01-04 2016-01-04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101841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211A KR101841820B1 (ko) 2016-01-04 2016-01-04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211A KR101841820B1 (ko) 2016-01-04 2016-01-04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314A KR20170081314A (ko) 2017-07-12
KR101841820B1 true KR101841820B1 (ko) 2018-03-30

Family

ID=5935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211A KR101841820B1 (ko) 2016-01-04 2016-01-04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8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298B1 (ko) * 2024-01-16 2024-04-18 김정록 비상통화호출승객 신상정보 활용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비상통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314A (ko)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27183A (zh) 用于监管消防安防系统的方法和系统以及存储介质
KR101855364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장치
JP2007186273A (ja) エレベータの非常時通報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非常時通報方法
KR101841820B1 (ko)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CN106586758A (zh) 一种电梯报警系统
KR101775529B1 (ko) 승강기 유지보수지원시스템
JP2008024428A (ja) ビル遠隔監視装置
JPS6258582B2 (ko)
KR101631126B1 (ko)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 시스템
JPS5917017B2 (ja) エレベ−タ非常通報装置
US7526269B1 (en) Remote intercom and automatic dialing system
KR102418980B1 (ko) 감시 시스템
JPH08273085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KR20110120029A (ko) 비상시 음성 고장 신고 시스템
KR20160000707U (ko) 다중 비상호출 및 자동점검통보 시스템
KR100894340B1 (ko) 승강기 신호검출시스템
WO2019082348A1 (ja) 監視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KR102417225B1 (ko) 감시 시스템
KR101339314B1 (ko) 엘리베이터 비상 통화 장치
US7684555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ilover capability for remote call center agents
KR20190037450A (ko) 비상통화 시 승강기 인식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비상통화 시스템
JPS5945592B2 (ja) エレベ−タ非常通報装置
KR102072305B1 (ko) 승강기용 비상 전화기의 설정값 모니터링 방법
EP3579533B1 (en) Remote and centralized voicemail system by means of voip calls
CN208386807U (zh) 可视频通话的车间用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