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126B1 -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126B1
KR101631126B1 KR1020130123747A KR20130123747A KR101631126B1 KR 101631126 B1 KR101631126 B1 KR 101631126B1 KR 1020130123747 A KR1020130123747 A KR 1020130123747A KR 20130123747 A KR20130123747 A KR 20130123747A KR 101631126 B1 KR101631126 B1 KR 101631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all
mode
car
elevator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4555A (ko
Inventor
송종태
Original Assignee
송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종태 filed Critical 송종태
Priority to KR1020130123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126B1/ko
Publication of KR20150044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은, 승강기 카내 승객의 수동입력 또는 자동검출에 의해 비상통화 신호를 발생하는 카내 비상통화 수단과; 상기 승강기의 승강기 운행모드를 검출하여 그 승강기 운행모드에 따라 원격지 호출 전화번호를 달리 선택하여 비상통화 호출을 수행하는 주장치와;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가 평상시 운행모드인지 점검모드인지를 상기 주장치로 전달하는 운행모드 전달수단과;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가 평상시 모드인 경우, 상기 카내 비상통화수단에 의해 비상통화 신호 발생시 상기 주장치에 의해 비상통화 전화연결이 되어 승강기 카 승객에 대한 일반 비상통화 응대가 이루어지는 원격지 전화기와;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가 점검모드인 경우 상기 주장치에 의해 전화연결이 되면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의 정상동작 여부 검출기능에 한정하여 비상통화 응대를 하는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 시스템{A Remote Emergency Call System Connecting Emergency Call Correspondingly To The Operation Mode}
본 발명은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기 운전모드가 평상시 모드인지 점검모드인지 등에 따라 다른 전화번호로 비상통화 호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비상통화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승강기 운행시스템에 대한 점검은 매월 이루어지며 승강기 운행시스템에 대한 점검시에는 반드시 비상통화시스템에 대한 점검을 하여야 한다.
승강기 점검시는 승강기 운행모드가 점검모드로 전환되어 점검요원에 의한 각부의 관리 및 점검이 이루어진다. 카내 비상통화기(10)에 대한 점검은 점검요원이 승강기 카(11) 탑승하여 비상호출 버튼을 누르면, 주장치(20)가 이를 검출하여 구내전화 예컨대 구내 경비실이나 관리실 전화기(21,25)를 호출하게 된다.
구내 경비실이나 관리실 관리자가 전화를 받으면, 점검요원은 관리자와 통화를 하며 구내 비상통화시스템의 동작상태에 대한 점검을 할 수 있다. 한편, 구내 비상통화에 대한 점검이 종료되면,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진다.
점검요원은 카내 비상통화기(10)를 동작시켜 비상호출신호를 발생시키며, 일정 시간 경과 후에도 경비실이나 관리실의 관리자가 전화를 받지 않는 경우에는 주장치(20)는 메모리에 저장된 원격지 전화의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해당 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한다. 이때,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는 비상통화에 대한 응대를 하기 위해 설치된 콜센터(50)나 119 등의 전화번호가 순차 호출될 수 있다.
공중망(30)을 통하여 콜센터(50) 등의 원격지 전화기와 전화연결이 되면, 콜센터 등의 상담요원은 비상호출에 응답하여 카내 점검요원과 통화를 수행하게 되며, 점검요원은 원격지 콜센터(50) 등의 상담요원과 통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점검을 종료하고 다음 호기 승강기의 카내 비상통화기(10)에 대한 점검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는 종래의 비상통화 시스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어왔다.
승강기 운행시스템에 대한 점검은 매월 이루어지며 승강기 운행시스템에 대한 점검시에는 반드시 비상통화시스템에 대한 점검을 하여야 한다. 그런데, 로컬의 비상통화시스템에 대한 점검은 구내 경비실이나 관리실의 관리자가 전화를 받기 때문에 큰 무리없이 비상통화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공중망(30)에 의해 연결되는 원격지 전화 예컨대 콜센터(50)나 119등으로 전화를 하는 경우에는 일반 비상통화 상담요원이 전화를 받아 응대를 하여야 하므로 부하가 증가하게 된다. 즉, 점검 통화 중에 다른 승강기 운행시스템의 승객이 비상통화 호출을 하는 경우에 점검통화로 인해 통화중이 되거나 통화량 증가로 비상통화가 불가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막기 위해서는 비상호출에 응답하는 원격지 콜센터(50)의 회선을 증가시켜야 하는데, 설치비용상승은 물론 인건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기 운전모드가 평상시 모드인지 점검모드인지 등에 따라 별개의 전화번호로 비상통화 호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비상통화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은, 승강기 카내 승객의 수동입력 또는 자동검출에 의해 비상호출 신호를 발생하는 카내 비상통화 수단과; 상기 승강기의 운행모드가 평상시 모드인지 점검모드인지에 따라 원격지 호출시 다른 전화번호로 비상통화 호출을 수행하는 주장치(즉, 승강기가 있는 로컬의 교환기, 이하 동일)와;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가 평상시 운행모드인지 점검모드인지를 상기 주장치로 전달하는 운행모드 전달수단과;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가 평상시 모드인 경우,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에 의해 비상호출 신호 발생시, 상기 주장치의 평상시 모드 전화번호 비상통화 호출에 의해 비상통화 전화연결이 되어 승강기 카 승객에 대한 일반 비상통화 응대가 이루어지는 원격지 전화기와;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가 점검모드인 경우,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에 의해 비상호출 신호 발생시 상기 주장치의 점검모드 전화번호 호출에 의해 전화연결이 되며, 그 전화연결이 되면 상기 승강기의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의 정상동작 여부 검출기능에 대한 비상통화 응대를 하는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은, 승강기 카내 승객의 수동입력 또는 자동검출에 의해 비상호출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를 검출하여 상기 승강기의 운행모드가 평상시 모드인지 점검모드인지에 따라 원격지 호출시 다른 전화번호로 비상통화 호출을 수행하는 카내 비상통화 수단과;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가 평상시 운행모드인지 점검모드인지를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으로 전달하는 운행모드 전달수단과;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가 평상시 모드인 경우, 평상시 모드 전화번호로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에 의해 비상통화 전화연결이 되며, 승강기 카 승객에 대한 일반 비상통화 응대가 수행되는 원격지 전화기와;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가 점검모드인 경우, 점검모드 전화번호로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에 의해 전화연결이 되며, 그 전화연결이 되면 상기 승강기의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 정상동작 여부 검출기능에 대한 비상통화 응대를 하는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은, 승강기 카내 승객의 수동입력 또는 자동검출에 의해 비상호출 신호를 발생하는 카내 비상통화 수단과;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의 운행모드가 평상시 모드인가 점검모드인가에 따라 원격지 호출시 각각 다른 전화번호로 비상통화 호출을 하는 주장치(즉, 승강기가 있는 로컬의 교환기, 이하 동일)와;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의 운행모드가 평상시 모드인 경우,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에 의해 비상호출 신호 발생시, 상기 주장치에 의해 평상시 모드 전화번호로 비상통화 전화연결이 되어 승강기 카 승객에 대한 일반 비상통화 응대가 이루어지는 원격지 전화기와;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의 운행모드가 점검모드인 경우,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에 의해 비상호출 신호 발생시 상기 주장치에 의해 점검모드 전화번호로 전화연결이 되며, 그 전화연결시 상기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의 정상동작 여부 검출기능에 대한 비상통화 응대를 하는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은, 승강기 카내 승객의 수동입력 또는 자동검출에 의해 비상통화 신호를 발생하며, 자체 설정된 운행모드가 평상시 모드인가 점검모드인가에 따라 원격지 호출시 각각 다른 전화번호로 비상통화 호출을 하는 카내 비상통화 수단과;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의 운행모드가 평상시 모드인 경우, 상기 카내 비상통화수단에 의해 평상시 모드 전화번호로 비상통화 전화연결이 되어 승강기 카 승객에 대한 일반 비상통화 응대가 이루어지는 원격지 전화기와;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의 운행모드가 점검모드인 경우,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에 의해 점검모드 전화번호로 전화연결이 되며, 그 전화연결시 상기 승강기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의 정상동작 여부 검출기능에 대한 비상통화 응대를 하는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은,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의 정상동작 여부 검출기능에 대응하는 방송멘트를 저장하는 자동응답 서버와;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과 전화연결이 되면, 상기 자동응답 서버로부터 대응하는 방송멘트를 추출하여 상기 전화 라인을 통하여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에 전달하는 자동응답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은,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과 전화연결이 되면, 비상통화 점검요원의 통화음성을 녹음하는 점검통화 녹취수단과; 상기 점검통화 녹취수단에 의해 녹취된 내용을 다시 재생하여 전화라인을 통하여 들려주는 재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은,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과 전화연결이 되면, 비상통화 점검요원의 통화음성 스피커 출력을 다시 마이크로 입력시켜 말한 내용 그대로 피드백 하는 피드백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행모드 전달수단은, 상기 승강기의 제어반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반의 승강기 운행모드 정보를 DTMF 신호로 발생하여 전송하는 DTMF 전송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행모드 전달수단은, 점검요원의 특정 일련번호 입력에 의해 운행모드가 점검모드 또는 평상시모드임을 비상통화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구내 전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행모드 전달수단은, 상기 승강기 제어반에서 승강기 운행모드에 대한 정보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통신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행모드 전달수단은, 승강기 카 내에 설치되어 목적 층 등록 행위를 포함한 승강기 조작을 수행하는 조작반에 구비되어 평상시 모드와 점검 모드를 상호전환하는 운행모드 전환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 시스템.
본 발명은 승강기 운전모드가 평상시 모드인지 점검모드인지 등에 따라 다른 전화번호로 비상통화 호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비상통화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콜센터에서 고객 불만 및 승객 갇힘과 같은 긴급 대응을 하기 위한 전화번호와 비상통화장치 정상여부를 시험하는 전화번호를 달리하여 콜센터의 부하 경감을 통해 콜센터의 본연의 업무인 고객 불만 및 긴급대응에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통화장치 점검모드 전환에 있어서 주장치에 점검 모드 전환 정보 입력을 하거나 제어반의 승강기 운행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시험 모드 전환을 언제든지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은 ARS 방식, 녹취방식, 피드백 방식 등 자동으로 비상통화장치 정상동작여부를 시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비상통화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콜센터에 별도의 인원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승강기 비상통화장치 구성 예시한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이 ARS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한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이 녹취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한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이 피드백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한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이 동작하는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에서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 점검을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에서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 점검을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은, 승강기 카(101)내 승객의 수동입력 또는 자동검출에 의해 비상통화 신호를 발생하는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과, 구내 비상통화 시스템에 대한 제어 및 승강기 운행모드에 따른 원격지 비상통화 호출을 수행하는 주장치(120)와,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 정보를 상기 주장치(120)로 전달하는 운행모드 전달수단과,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가 평상시 모드인 경우 일반 비상통화 응대를 하는 원격지 전화기(301)와,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가 점검모드인 경우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의 정상동작 여부 검출기능에 한정하여 비상통화 응대를 하는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5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은 스피커(116)와 마이크(117) 및 비상호출버튼(111)을 포함하며, 승강기 이용 중 이상이 발생한 경우 카내 승객이 비상호출버튼(111)을 누르는 것에 의해 비상호출 신호가 발생하여 주장치(12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승강기 승객갇힘 사고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승객갇힘 자동 검출 알고리즘에 의해 승객갇힘 정지고장이 제어반(105) 등에서 검출될 수 있고 그 경우 제어반(205)이 카내 비상통화수단(110)으로 전달하면 자동으로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이 동작하여 비상호출신호가 발생되어 주장치(120)로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운행모드 전달수단은, 승강기 운행모드가 변경되는 경우에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해 주장치(120)로 승강기 현재 모드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수단이다.
본 실시예의 운행모드 전달수단은 제어반(105)의 승강기 운행모드 정보를 데이터 라인을 통하여 주장치(120)로 전달하는 데이터통신수단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주장치(120)는 특정 호기 승강기(101)에 대한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 테스트를 하는 경우에 승강기 운행모드 정보를 검출하여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비상통화 호출을 수행한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 운행모드가 평상시 모드에서 점검모드로 변경되면, 승강기 제어반(105)은 운행모드 변경에 대한 정보를 자동 생성하여으로 데이터 통신수단을 통하여 주장치(120)로 전송하며, 또한, 점검모드가 종료되고 평상시모드로 전환된 경우에는 이에 대한 정보를 주장치(120)로 전송하여 원격지 비상통화 제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운행모드 전달수단은 DTMF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내 전화기에 의할 수 있다. 예컨대, 승강기 운행시스템 점검을 하는 관리자가 비상통화시스템에 대한 점검을 하기에 앞서서 기계실이나 경비실 또는 관리실의 전화기(130,140)를 통하여 일정 일련 번호를 눌러 다이얼링을 하는 것에 의하여 주장치(120)로 운행모드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점검모드가 종료된 경우에도 일정의 일련번호를 눌러 다이얼링을 하는 것에 의하여 주장치로 점검모드가 종료되었음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주장치(120)의 DTMF 검출수단은 기계실이나 경비실 또는 관리실에서 입력되는 일련번호를 검출하여 승강기 운행모드가 점검모드인지 평상시 모드인지를 점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운행모드 전달수단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주장치(120)는 승강기 운행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모드정보 수신수단(122)과, 카내 비상통화 수단이 동작한 경우 그 신호를 검출하는 비상호출신호 검출수단(121)과, 비상호출신호 검출시 일차적으로 구내 관리실 또는 경비실의 전화기(130,140)를 호출하는 구내 교환수단(125)과, 구내 호출에 의해 통화연결이 되지 않으면 공중망(200)을 통하여 원격지 전화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원격지 전화연결수단(128)과,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가 점검모드인지 평상시모드인지에 따라 다른 원격지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이 되도록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번호선택수단(12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모드정보 수신수단(122)은, 제어반(105)의 데이터 통신수단으로부터 승강기 운행모드를 수신하여 승강기 운행모드를 검출하는 데이터통신수단에 의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구내 전화 예컨대 기계실이나 경비실 또는 관리실의 전화기(130,140)에서 입력되는 일련번호를 수신하여 해독하는 DTMF 수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드정보 수신수단은 수신한 승강기 운행모드에 따라서 비상통화시스템 또는 해당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의 모드를 평상시 모드 또는 점검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내 교환수단(125)은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이 동작하면 그 신호를 검출하여 구내 전화 경비실 또는 관리실 전화기(130,140)에 대한 호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경비실 또는 관리실에서 일정시간 동안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원격지 전화연결수단(128)이 원격지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번호선택수단(124)은 원격지 다이얼링에 앞서서 모드정보 수신수단(122)에서 수신한 정보로부터 비상통화시스템 또는 해당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의 운행모드를 검출하며, 검출한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한다.
본 실시예의 원격지 전화연결 수단(128)은 전화번호 선택수단(124)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여 공중망(200)을 통하여 원격지 전화기(301) 또는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500)에 전화연결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원격지 전화기(301)는, 상기 비상통화시스템 또는 해당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의 운행모드가 평상시 모드인 경우, 공중망(200)을 통해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과 비상통화 전화연결이 되며, 원격지 전화기(301)를 통해 콜센터(300) 요원이 카내 승객과 통화를 할 수 있고, 승객의 상태를 살펴서 승객갇힘 정지고장이 발생확인 된 경우에는 구조요원을 급파하여 승객 구조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500)은, 상기 비상통화시스템 또는 해당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의 운행모드가 점검모드인 경우, 공중망(200)을 통해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과 전화연결이 되며,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의 정상동작 여부 검출기능에 한정하여 비상통화 응대를 하기 위한 것으로, ARS 방식, 녹취방식, 또는 피드백방식에 의하여 운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RS 방식에 의하는 경우에는 비상통화 점검모드에 대응하는 방송멘트를 저장하는 자동응답 서버(501)와,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가 점검모드인 경우 비상호출에 의한 전화연결이 되면 상기 자동응답 서버(501)로부터 대응하는 방송멘트를 추출하여 상기 전화 라인을 통하여 비상호출자에게 전달하는 자동응답수단(50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점검요원은 ARS 시스템을 통하여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을 점검하는 것이 가능하며,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의 발신 성능 테스트를 위하여 ARS 방식에 의하는 경우에는 녹취방식과 피드백 방식을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취방식은, 점검요원의 통화음성을 일정시간 동안 녹취하는 녹취수단(520)과, 통화음성 녹취가 완료되면 녹취된 음성을 스피커(523)를 통하여 발생시키는 재생수단(521)과, 재생된 음성을 흡음하여 전화라인을 통하여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지 전화 마이크(5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백 방식은 점검요원의 통화음성을 출력하는 원격지 전화 스피커(523)와, 상기 원격지 전화 스피커(523)를 통하여 출력되는 점검요원의 통화음성을 흡음하여 전화라인을 통하여 카내 비상통화수단(110)으로 반환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지 전화 마이크(525)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점검요원의 비상통화 점검을 위한 음성을 순간순간 피드백 반환하여 원격지 비상통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은, 승강기 카내 승객의 수동입력 또는 자동검출에 의해 비상통화 신호를 발생하며 승강기 운행모드에 따라 원격지 호출 전화번호를 달리 선택하여 비상통화 호출을 수행하는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과,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가 평상시 운행모드인지 점검모드인지를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으로 전달하는 운행모드 전달수단과,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가 평상시 모드인 경우 상기 카내 비상통화수단(110)에 의해 비상통화 전화연결이 되어 승강기 카 승객에 대한 비상통화 응대가 이루어지는 원격지 전화기(301)와,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가 점검모드인 경우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에 의해 전화연결이 되며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의 정상동작 여부 검출기능에 한정하여 비상통화 응대를 하는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제 2 실시예의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은, 승객이 비상호출신호를 입력하는 비상호출버튼(111)과, 승강기 운행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모드정보 수신수단(113)과, 비상호출신호 발생시 구내 호출을 수행하는 구내전화 연결수단(115)과, 원격지 전화를 연결해야 하는 경우에는 점검모드인지 평상시모드인지를 검출하여 호출할 전화번호를 검출하는 전화번호 선택수단(114)과, 음성통화를 위한 스피커(116) 및 마이크(117)와, 원격지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원격지 전화연결수단(118)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제 2 실시예의 모드정보 수신수단(113)과 전화번호선택수단(114) 및 원격지 전화연결수단(118)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구성에 의하며 본 제 2 실시예에서는 이들 구성요소들이 주장치(120)가 아니라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에 설치되는 것만이 상이하다.
본 제 2 실시예의 운행모드 전달수단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처럼 제어반(105)의 운행정보를 데이터통신에 의해 전달하는 데이터통신 수단에 의할 수도 있고, 제어반(105)에 DTMF 생성수단을 구비하여 운행모드 정보를 DTMF 신호로 생성하여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으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점검요원이 전화기로 일정 일련번호를 입력(예컨대 DTMF 신호)하는 경우에 그것(예컨대, DTMF 신호)을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이 수신하여 대응하는 통화모드를 검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원격지 전화기(301) 및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500)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승강기 운행시스템이 점검모드가 아닌 경우에도 원격지 비상통화 시스템에 대한 점검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구내 전화기나 제어반 등을 통하여 주장치 또는 카내 비상통화 수단의 모드를 점검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승강기 카 내에 설치되어 목적 층 등록 등의 행위를 하기 위한 조작반에 운행모드 전환 수단(예컨대, 운행모드 전환 스위치)이 설치되어 평상시 모드와 점검 모드를 상호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에 대한 점검과정은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승강기 운행모드와 독립하여 카내 비상통화 수단의 모드만을 평상시 모드 또는 점검모드로 변경시킨다는 점이 상이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에 의한 비상통화 제어가 수행되는 과정을 도 7, 도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서 승강기 운행이 개시되면 제어반(105)은 승강기 운행모드를 검출하여 비상통화시스템의 주장치(120)(또는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로 전송한다(제701단계).
모드정보 수신수단(113,122)은 제어반(105)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운행모드 정보를 검출하며, 승강기 운행모드가 평상시 모드인 경우에는 비상통화시스템의 모드도 평상시모드로 운행된다(제702단계,제710단계).
즉, 도 7에서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의 비상호출 버튼(111)이 동작되면, 주장치(120)에 저장되어 있는 콜센터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며 공중망을 통하여 원격지 전화기(301)와 통화연결을 시도한다.(제711단계)
원격지 전화기(301)와 통화연결이 되면, 콜센터(300) 상담요원은 승객과의 통화에 의해 카내 승객의 상태를 살필 수 있으며, 승객갇힘이 발생한 경우에는 구조요원을 출동시켜 갇힌 승객을 구조할 수 있다(제712단계,제713단계).
한편, 승강기 운행모드가 점검모드인 경우에는 해당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의 운행모드를 점검모드로 전환한다(제702단계,제720단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승강기 운행모드가 점검모드인 경우, 기계실이나 경비실 또는 관리실 전화기(130,140)를 통하여 점검요원이 점검모드에 대응하는 일정 일련번호를 입력하면 이 일련번호가 주장치(120)(또는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로 전송된다(제700단계,제703단계).
모드정보 수신수단(113,122)은 기계실이나 경비실 또는 관리실 전화기(130,140)에서 전송된 DTMF 신호를 검출하여 점검모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의 운행모드를 점검모드로 전환한다(제720단계).
점검요원이 비상호출 버튼 입력에 의해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이 동작하면, 이를 검출하여 경비실 또는 관리실 전화기에 대한 구내호출을 수행하며, 구내 호출에 설정된 일정시간 호출을 유지한다(제721단계,제722단계,제723단계).
상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경비실이나 관리실에서 전화를 받지 않는 경우에는 원격지 다이얼링을 위해 상기 운행모드 수신수단(113,122)에서 설정한 비상통화장치 운행모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한다(제730단계).
한편, 검출된 승강기 운행모드가 점검모드인 경우에는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500)의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다이얼링을 한다(제750단계).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500)과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 사이에 통화연결이 되면, 자동응답 서버(501)는 점검모드에 대응하는 음성멘트를 검출하여 출력함으로써 전화라인을 통하여 카내 비상통화수단(110)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제751단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500)이 녹취방식으로 운영되는 경우에는 점검요원이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을 통하여 일정시간 동안 비상통화 테스트와 관련한 발언을 하면, 녹취수단(521)이 이를 녹취하고, 녹취가 완료되면 이를 재생하여 출력함으로써 전화라인을 통하여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제751단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피드백방식에 의하는 경우는, 점검요원이 비상호출을 하여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500)과 전화연결이 되고, 점검요원이 순간순간 단어나 숫자 등을 발음하면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 마이크(117)에서 흡음하여 점검모드 응대시스템(500)으로 전화라인을 통해 전달하면, 지연시간을 두고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500)은 점검요원의 음성을 전화라인을 통하여 피드백으로 전달하므로 점검요원은 피드백으로 전달되는 음성을 확인하여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에 의한 원격지 전화연결 상태를 점검할 수 있게 된다(제751단계).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500)에 의한 응답이 정상인 경우에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이 정상인 것으로 판별하며,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500)에 의한 응답이 불완전한 경우에는 원격지 비상통화 시스템이 불량인 것으로 판별하며 해당 호기에 대한 점검을 종료한다(제752단계,제753단계,제754단계,제755단계).
승강기 운행시스템에 2이상의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이 있는 경우에는 순차로 다음 호기 승강기의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며, 전체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에 대한 점검을 완료한다(제766단계).
전체 카내 비상통화 수단(110)에 대한 점검이 완료에 의해 원격지 비상통화 시스템에 대한 점검이 완료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점검모드가 평상시모드로 전환되거나 점검요원이 수동에 의해 점검완료 신호를 입력하는 것에 의하여 점검모드가 종료될 수 있다(제757단계,제758단계,제780단계,제781단계).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반으로부터 승강기 운행모드를 수신하여 승강기 운행모드가 평상시모드로 전환된 경우에는 즉시 비상통화시스템의 점검모드를 해제하고 평상시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제781단계).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균등범위에서 당업자가 행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포함함은 자명하다.
101........승강기 카 105........제어반
110........카내 비상통화 수단 111........비상호출 버튼
112,121....비상호출신호 검출수단 113,122....모드정보 수신수단
114,124....전화번호 선택수단 115........구내전화 연결수단
118,128....원격지 전화 연결수단 120........주장치
130........경비실 전화기 140........관리실 전화기
200........공중망 300........콜센터
301........원격지 전화기 500........점검모드 응대 시스템
501........자동응답 서버 520........녹취수단
521........재생수단

Claims (11)

  1. 승강기 카내 승객의 수동입력 또는 자동검출에 의해 비상호출 신호를 발생하는 카내 비상통화 수단과;
    상기 승강기가 설치되는 구내에 설치되며, 구내 교환수단의 기능과 원격지 전화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승강기의 운행모드가 평상시 모드인지 점검모드인지에 따라 원격지 호출시 다른 전화번호로 비상통화 호출을 수행하는 주장치와;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가 평상시 운행모드인지 점검모드인지를 상기 주장치로 전달하는 운행모드 전달수단과;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가 평상시 모드인 경우,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에 의해 비상호출 신호 발생시, 상기 주장치의 평상시 모드 전화번호 비상통화 호출에 의해 비상통화 전화연결이 되어 승강기 카 승객에 대한 일반 비상통화 응대가 이루어지는 원격지 전화기와;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가 점검모드인 경우,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에 의해 비상호출 신호 발생시 상기 주장치의 점검모드 전화번호 호출에 의해 전화연결이 되며, 그 전화연결이 되면 상기 승강기의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의 정상동작 여부 검출기능에 대한 비상통화 응대를 하는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
  2. 승강기 카내 승객의 수동입력 또는 자동검출에 의해 비상호출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를 검출하여 상기 승강기의 운행모드가 평상시 모드인지 점검모드인지에 따라 원격지 호출시 다른 전화번호로 비상통화 호출을 수행하는 카내 비상통화 수단과;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가 평상시 운행모드인지 점검모드인지를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으로 전달하는 운행모드 전달수단과;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가 평상시 모드인 경우, 평상시 모드 전화번호로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에 의해 비상통화 전화연결이 되며, 승강기 카 승객에 대한 일반 비상통화 응대가 수행되는 원격지 전화기와;
    상기 승강기 운행모드가 점검모드인 경우, 점검모드 전화번호로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에 의해 전화연결이 되며, 그 전화연결이 되면 상기 승강기의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 정상동작 여부 검출기능에 대한 비상통화 응대를 하는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
  3. 승강기 카내 승객의 수동입력 또는 자동검출에 의해 비상호출 신호를 발생하는 카내 비상통화 수단과;
    상기 승강기가 설치되는 구내에 설치되며, 구내 교환수단의 기능과 원격지 전화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승강기의 운행모드가 평상시 모드인지 점검모드인지에 따라 원격지 호출시 각각 다른 전화번호로 비상통화 호출을 수행하는 주장치와;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의 운행모드가 평상시 모드인 경우,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에 의해 비상호출 신호 발생시, 상기 주장치에 의해 평상시 모드 전화번호로 비상통화 전화연결이 되어 승강기 카 승객에 대한 일반 비상통화 응대가 이루어지는 원격지 전화기와;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의 운행모드가 점검모드인 경우,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에 의해 비상호출 신호 발생시 상기 주장치에 의해 점검모드 전화번호로 전화연결이 되며, 그 전화연결시 상기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의 정상동작 여부 검출기능에 대한 비상통화 응대를 하는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
  4. 승강기 카내 승객의 수동입력 또는 자동검출에 의해 비상통화 신호를 발생하며, 자체 설정된 운행모드가 평상시 모드인가 점검모드인가에 따라 원격지 호출시 각각 다른 전화번호로 비상통화 호출을 하는 카내 비상통화 수단과;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의 운행모드가 평상시 모드인 경우, 상기 카내 비상통화수단에 의해 평상시 모드 전화번호로 비상통화 전화연결이 되어 승강기 카 승객에 대한 일반 비상통화 응대가 이루어지는 원격지 전화기와;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의 운행모드가 점검모드인 경우,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에 의해 점검모드 전화번호로 전화연결이 되며, 그 전화연결시 상기 승강기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의 정상동작 여부 검출기능에 대한 비상통화 응대를 하는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은,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의 정상동작 여부 검출기능에 대응하는 방송멘트를 저장하는 자동응답 서버와;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과 전화연결이 되면, 상기 자동응답 서버로부터 대응하는 방송멘트를 추출하여 전화 라인을 통하여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에 전달하는 자동응답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은,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과 전화연결이 되면, 비상통화 점검요원의 통화음성을 녹음하는 점검통화 녹취수단과;
    상기 점검통화 녹취수단에 의해 녹취된 내용을 다시 재생하여 전화라인을 통하여 들려주는 재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모드 응대 시스템은,
    상기 카내 비상통화 수단과 전화연결이 되면, 비상통화 점검요원의 통화음성 스피커 출력을 다시 마이크로 입력시켜 말한 내용 그대로 피드백 하는 피드백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운행모드 전달수단은,
    상기 승강기의 제어반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반의 승강기 운행모드 정보를 DTMF 신호로 발생하여 전송하는 DTMF 전송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시스템.
  9.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운행모드 전달수단은,
    점검요원의 특정 일련번호 입력에 의해 운행모드가 점검모드 또는 평상시모드임을 비상통화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구내 전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 시스템.
  10.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운행모드 전달수단은, 상기 승강기 제어반에서 승강기 운행모드에 대한 정보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통신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 시스템.
  11.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운행모드 전달수단은,
    승강기 카 내에 설치되어 목적 층 등록 행위를 포함한 승강기 조작을 수행하는 조작반에 구비되어 평상시 모드와 점검 모드를 상호 전환하는 운행모드 전환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 시스템.
KR1020130123747A 2013-10-17 2013-10-17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 시스템 KR101631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747A KR101631126B1 (ko) 2013-10-17 2013-10-17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747A KR101631126B1 (ko) 2013-10-17 2013-10-17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555A KR20150044555A (ko) 2015-04-27
KR101631126B1 true KR101631126B1 (ko) 2016-06-16

Family

ID=53036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747A KR101631126B1 (ko) 2013-10-17 2013-10-17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1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1067A (ko) * 2015-10-06 2017-04-14 송종태 승강기 비상통화 인터폰 모기
KR102072305B1 (ko) * 2018-08-27 2020-01-3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승강기용 비상 전화기의 설정값 모니터링 방법
KR102645249B1 (ko) * 2023-12-11 2024-03-07 김정록 클릭콜 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비상통화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5951B2 (ja) * 1990-11-02 1996-08-21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エレベ―タの通話装置
JP2006213438A (ja) * 2005-02-02 2006-08-1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非常時通話機能点検システム
JP2012126506A (ja) * 2010-12-15 2012-07-05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340B1 (ko) * 2006-11-22 2009-04-24 (주)에이치피엔알티 승강기 신호검출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5951B2 (ja) * 1990-11-02 1996-08-21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エレベ―タの通話装置
JP2006213438A (ja) * 2005-02-02 2006-08-1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非常時通話機能点検システム
JP2012126506A (ja) * 2010-12-15 2012-07-05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555A (ko) 201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5782B2 (ja) エレベータ用非常通話点検システム
KR101631126B1 (ko)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 시스템
JP2007186273A (ja) エレベータの非常時通報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非常時通報方法
KR101855364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장치
CN100588601C (zh) 电梯的紧急状态时通话功能检修系统
JP2008024428A (ja) ビル遠隔監視装置
KR20160000707U (ko) 다중 비상호출 및 자동점검통보 시스템
JPS5917017B2 (ja) エレベ−タ非常通報装置
KR20150071688A (ko) 음성안내 비상통화 통합장치
KR20150019195A (ko) 음성안내 비상통화 통합장치
KR101339314B1 (ko) 엘리베이터 비상 통화 장치
KR101841820B1 (ko)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20070116758A (ko) 엘리베이터의 응급 호출 시스템
JP2693812B2 (ja) エレベータ乗かご内通話装置
JP2588994B2 (ja) エレベータの通話装置
JP2882540B2 (ja) エレベータの通話装置
JP2593226B2 (ja) エレベータ乗かご内通話装置
KR20140103749A (ko)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
KR102072305B1 (ko) 승강기용 비상 전화기의 설정값 모니터링 방법
JP2549176B2 (ja) エレベータの通話装置
JP2013052975A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2018137645A (ja) 通話装置点検システム
JPH085600B2 (ja) エレベータ乗かご内通話装置
JP2525951B2 (ja) エレベ―タの通話装置
KR101671631B1 (ko)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