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631B1 -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631B1
KR101671631B1 KR1020150072709A KR20150072709A KR101671631B1 KR 101671631 B1 KR101671631 B1 KR 101671631B1 KR 1020150072709 A KR1020150072709 A KR 1020150072709A KR 20150072709 A KR20150072709 A KR 20150072709A KR 101671631 B1 KR101671631 B1 KR 101671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all
video
elevator
information display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2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5802A (ko
Inventor
송종태
Original Assignee
송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종태 filed Critical 송종태
Priority to KR1020150072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631B1/ko
Publication of KR20150085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 시스템은, 비상통화시스템에서 비상통화가 개시되면, 그 비상통화 중인 관리실의 승강기 감시시스템의 모니터에 그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 내부 영상을 CCTV 영상감시시스템으로부터 받아서 출력하는 카 영상출력수단과; 상기 비상통화시스템에서 비상통화가 개시되면, 상기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의 정보표시 모드를 평상시 정보표시 모드에서 화상통화 모드로 전환시키며, 상기 비상통화 중인 관리실의 카메라가 촬영한 관리자 영상을 상기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에 설치되는 상기 정보표시 시스템의 모니터에 출력하는 관리실 영상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비상통화 중인 관리실 관리자는 상기 승강기 감시 시스템 모니터에 출력된 상기 비상통화 중인 카의 영상을 보고, 상기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 내 승객은 상기 정보표시시스템의 모니터에 출력된 관리자의 영상을 보면서 상호 간에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A Combined Video Telephone System For An 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기 운행시스템에 기존 설치되어 있는 승강기 감시시스템, 음성통화 기반의 비상통화시스템, CCTV 영상감시시스템 및 정보표시시스템을 활용하여 승강기 카 내 승객과 관리자와의 화상통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스템 자원의 활용도를 높여서 시스템 설치 및 운용 비용을 절감하며, 비상시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을 가능케 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며 관리자 등의 편의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승강기 운행 시스템에 설치되고 있는 각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1a의 승강기 감시시스템은 승강기의 운행을 총괄 관리하는 각 제어반으로부터 승강기 운행 방향, 현재 층, 도어 상태, 고장 내용 등 각종 승강기 운행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관리하며, 승강기 운행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서비스 층 변경, 도어 대기 시간 변경 등 건물의 환경에 맞도록 승강기를 제어하여 효율적인 승강기 운행관리를 하기 위해 설치 운용되고 있다.
1b의 비상통화시스템은 승객 갇힘과 같은 비상사태 발생 시에 갇힌 승객과 로컬 관리실 또는 원격지 관리센터 관리인, 콜센터 등과 비상통화 하여 갇힌 승객의 불안감 해소를 하고 안전한 승객구출을 도모할 수 있도록 설치 운용하고 있다.
1c의 영상감시시스템은 승강기 카 내에 CCTV 카메라를 설치하여 승강기 카 내에 타고 있는 승객들이 안전하게 승강기를 이용하고 있는지를 영상으로 감시하기 위해 설치 운용되고 있다.
정보표시시스템은 공중망을 통해 컨텐츠 서버 등으로부터 뉴스 날씨, 증권 등의 컨텐츠를 제공받고 건물 내 공지사항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해당 내용을 편집한 것을 각 호기 승강기 카로 제공하는 정보표시 서버와, 각 호기 승강기 카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정보표시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와 건물 내 공지사항 등이 편집된 것을 자체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여 승객에 제공하는 정보표시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승강기 운행 시스템은, 승강기 감시시스템, 비상통화시스템, 영상감시시스템 및 정보표시시스템이 각각 별개로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각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각각의 원래 목적으로만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가 가지고 있는 시스템 자원을 다른 시스템에 전혀 제공하지 못하며 다른 시스템 자원을 공유하지 못하기 때문에 장치의 중복 도입이 초래되어 시스템 설치비용이 상승하고 시스템 성능과 서비스 효율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승강기 감시시스템은 각종 승강기 운행 관련 정보를 보유하며, 비상통화시스템은 비상통화 개시 여부 및 비상통화 중인 호기 승강기 정보 및 관리실 정보를 보유하며, 영상감시시스템은 각 호기 승강기의 카 내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영상정보를 보유하며, 정보표시시스템은 각 호기 승강기 카 내 설치되는 정보표시 단말기를 보유하고 있어서 그 정보표시단말기에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지만 각각의 시스템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설치 운영되기 때문에 각각은 다른 시스템의 장점을 활용하여 자기 시스템 단점을 보완할 수 없기 때문에 시스템 효율을 매우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즉, 승객 갇힘과 같은 비상사태 발생 시에 승강기의 상태는 승강기 감시시스템에서 확인하고, 카 내 승객 상황이 어떤지는 영상감시시스템에서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고장 확인 및 갇힌 승객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며, 카내 승객의 협조를 구하거나 종합적인 판단이 어려워 구출을 위한 비상조치 시간도 길어진다. 또한, 갇힌 승객은 비상통화시에도 비상통화하고 있는 로컬 관리인 또는 원격지 관리센터의 관리인의 정보를 전혀 알 수 없고, 승객 갇힘과 같은 비상사태 발생 시에 대처요령 정보를 모르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고, 폐쇄된 카 내 공간에 갇힌 승객은 심리적으로 굉장히 불안할 수밖에 없어서 그 불안감 때문에 돌발적인 행동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요인이 될 수 있다.
한편, 종래 다른 승강기 운행시스템에 설치되는 화상통화시스템은 이러한 기존 시스템의 장치와 무관하게 승강기 카 내에 화상통화용 카메라 및 모니터(예컨대, 일체형 화상 전화기)을 별개로 설치하여 운영하며, 관리실에도 별개의 카메라 및 화상통화용 모니터(예컨대, 일체형 화상 전화기)를 구비하여 운영되므로 기존 시스템 자원을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기 운행시스템에 기존 설치되어 있는 승강기 감시시스템, 음성통화 기반의 비상통화시스템, CCTV 영상감시시스템 및 정보표시 시스템을 활용하여 승강기 카 내 승객과 관리자와의 화상통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스템 자원의 활용도를 높여서 시스템 설치 및 운용 비용을 절감하며, 비상시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을 가능케 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며 관리자 등의 편의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 시스템은, 승강기 운행상태 감시 및 운행 제어를 행하는 승강기 감시시스템과, 승강기 카 내 승객과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한 비상통화시스템과, 승강기 카 내 영상감시를 위한 CCTV 영상감시시스템과, 각종 정보 및 컨텐츠를 편집하여 상기 승강기 카 내로 영상 출력하여 제공하는 정보표시 시스템이 로컬 네트워크로 연결된 승강기 운행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상기 비상통화시스템에서 비상통화가 개시되면, 그 비상통화 중인 관리실의 승강기 감시시스템의 모니터에 그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 내부 영상을 상기 CCTV 영상감시시스템으로부터 받아서 출력하는 카 영상출력수단과; 상기 비상통화시스템에서 비상통화가 개시되면, 상기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의 모드를 정보표시 모드에서 화상통화 모드로 전환시키며, 상기 비상통화 중인 관리실의 카메라가 촬영한 관리자 영상을 상기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에 설치되는 상기 정보표시 시스템의 모니터에 출력하는 관리자 영상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비상통화 중인 관리실 관리자는 상기 승강기 감시 시스템 모니터에 출력된 상기 비상통화 중인 카의 영상을 보고, 상기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 내 승객은 상기 정보표시시스템의 모니터에 출력된 관리자의 영상을 보면서 상호 간에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 시스템은, 승강기 운행상태 감시 및 운행 제어를 행하는 승강기 감시시스템과, 승강기 카 내 승객과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한 비상통화시스템과, 승강기 카 내 영상감시를 위한 CCTV 영상감시시스템과, 각종 정보 및 컨텐츠를 편집하여 상기 승강기 카 내로 영상 출력하여 제공하는 정보표시 시스템이 로컬 네트워크로 연결된 승강기 운행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상기 비상통화시스템에서 비상통화가 개시된 경우, 그 비상통화 중인 관리실에 설치된 상기 CCTV 영상감시시스템의 모니터에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 내부 영상을 팝업 출력하는 카 영상출력수단과; 상기 비상통화시스템에서 비상통화가 개시된 경우, 상기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의 모드를 정보표시 모드에서 화상통화 모드로 전환시키며, 상기 비상통화 중인 관리실의 카메라가 촬영한 관리자 영상을 상기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에 설치되는 상기 정보표시시스템의 모니터에 출력하는 관리자 영상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비상통화 중인 관리실의 관리자는 상기 CCTV 영상감시시스템의 모니터에 출력된 상기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의 영상을 보고, 상기 비상통화 중인 카 내 승객은 상기 정보표시시스템의 모니터에 출력된 관리자의 영상을 보면서 상호 간에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통화 중인 관리실의 카메라가 촬영한 관리자 영상은 상기 관리실의 승강기 감시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정보표시시스템으로 전달되며, 상기 정보표시시스템의 정보표시 서버는 상기 비상통화 중인 호기 승강기의 정보표시 단말기로 그 영상을 전송하여 상기 정보표시 단말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통화 중인 관리실의 카메라가 촬영한 관리자 영상은 상기 CCTV 영상감시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정보표시시스템으로 전달되며, 상기 정보표시시스템의 정보표시 서버는 상기 비상통화 중인 호기 승강기의 정보표시 단말기로 그 영상을 전송하여 상기 정보표시 단말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 시스템은, 승강기 운행상태 감시 및 운행 제어를 행하는 승강기 감시시스템과, 승강기 카 내 승객과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한 비상통화시스템과, 승강기 카 내 영상감시를 위한 CCTV 영상감시시스템과, 각종 정보 및 컨텐츠를 편집하여 상기 승강기 카 내로 영상 출력하여 제공하는 정보표시시스템이 각각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됨과 동시에 공중망을 통하여 원격지 관리센터로 연결된 승강기 운행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상기 비상통화시스템에서 상기 원격지 관리센터와의 사이에 비상통화가 개시된 경우에는 그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 및 원격지 관리센터를 검출하며, 그 비상통화 중인 원격지 관리센터에 설치된 모니터에 상기 CCTV 영상감시시스템으로부터 공중망을 통하여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 내부 영상을 받아서 출력하는 원격지 카 영상출력수단과; 상기 비상통화시스템에서 상기 원격지 관리센터와의 사이에 비상통화가 개시된 경우, 상기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의 모드를 정보표시 모드에서 화상통화 모드로 전환시키며, 상기 비상통화 중인 원격지 관리센터의 카메라가 촬영한 관리자 영상을 상기 정보표시시스템의 모니터에 출력하도록 스위칭 제어하는 관리자 영상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비상통화 중인 원격지 관리자는 상기 원격지 관리센터의 모니터에 출력된 상기 비상통화 중인 카의 영상을 보고, 상기 비상통화 중인 카 내 승객은 상기 정보표시시스템 모니터에 출력된 원격지 관리자의 영상을 보면서 상호 간에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표시시스템은, 승강기 승객에 의하여 비상호출이 있거나 상기 승강기 감시시스템에 의하여 승강기 고장신호를 검출하는 경우에는 관리실 또는 원격지 관리실 관리자의 통화 응답에 의해 상기 비상통화시스템에 의한 비상통화가 개시되기 전까지 그 호기 승강기 카 내의 정보표시 모드를 평상시 모드에서 비상정보 제공 모드로 전환하여 비상시 대응요령 등을 상기 카 내에 설치된 상기 정보표시시스템의 모니터에 화상출력 하도록 하는 비상정보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표시시스템은, 승강기 승객에 의하여 비상호출이 있거나 상기 승강기 감시시스템에 의하여 승강기 고장신호를 검출하는 경우에는 관리실 또는 원격지 관리실의 관리자에 통화 응답에 의한 비상통화가 종료된 후 비상상황 종료시까지 상기 카내의 정보표시 모니터의 정보표시 모드를 평상시 모드에서 비상정보제공 모드로 전환하여 비상시 대응요령 등을 상기 카 내에 설치된 정보표시시스템의 모니터에 화상출력을 하도록 하는 비상정보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 시스템은, 승강기 운행상태 감시 및 운행 제어를 행하는 승강기 감시시스템과, 승강기 카 내 승객과 음성통화를 하기 위한 비상통화시스템과, 승강기 카 내 영상감시를 위한 CCTV 영상감시시스템과, 각종 정보 및 컨텐츠를 편집하여 상기 승강기 카 내로 영상 출력하여 제공하는 정보표시시스템이 각각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됨과 동시에 공중망을 통하여 원격지 관리센터로 연결된 승강기 운행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상기 비상통화시스템에서 승강기 카 내 승객과 로컬 관리실 및 원격지 관리센터와의 사이에 3자 비상통화가 개시된 경우에는, 그 비상통화 중인 로컬 관리실의 모니터 및 원격지 관리센터의 모니터에 상기 CCTV 영상감시시스템으로부터 공중망을 통하여 그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 내부 영상을 받아서 출력하는 원격지 카 영상출력수단과; 상기 비상통화시스템에서 승강기 카 내 승객과 로컬 관리실 및 원격지 관리센터와의 사이에 3자 비상통화가 개시된 경우, 상기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의 모드를 정보표시 모드에서 3자 화상통화 모드로 전환시키며, 상기 비상통화 중인 로컬 관리실 및 원격지 관리센터의 카메라가 촬영한 각 관리자 영상을 상기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에 설치된 상기 정보표시시스템의 모니터 동시에 출력하는 관리자 영상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비상통화 중인 로컬 관리실 관리자는 로컬 관리실 모니터에 출력된 영상을 보고, 상기 원격지 관리센터의 관리자는 상기 원격지 관리센터의 모니터에 출력된 상기 비상통화 중인 카의 영상을 보고, 상기 비상통화 중인 카 내 승객은 상기 정보표시시스템 모니터에 동시 출력된 각 관리자의 영상을 보면서 3자간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승강기 운행시스템에 기존 설치되어 있는 승강기 감시시스템, 음성통화 기반의 비상통화시스템, CCTV 영상감시시스템 및 정보표시 시스템을 활용하여 승강기 카 내 승객과 관리자와의 화상통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스템 자원의 활용도를 높여서 시스템 설치 및 운용 비용을 절감하며, 비상시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을 가능케 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며 관리자 등의 편의를 도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종래 승강기 운행 시스템을 예시한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의 예시 제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의 예시 제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승객 갇힘 발생시 호기 승강기 카 내 승객과 로컬 관리실의 관리인과 화상 통화를 예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승객 갇힘 자동 검출에 의한 자동 화상 통화 연결 접속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승객 갇힘 발생시 원격지 관리센터 관리인과 화상통화연결 접속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로컬 관리실 또는 원격지 관리센터와의 평상시 화상통화 연결 접속을 예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에서 수행되는 3자 화상통화를 예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정보표시 모드가 운용되는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의 예시 제어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은 로컬의 승강기 감시시스템(1a), 비상통화시스템(1b), CCTV 영상감시시스템(1c), 정보표시시스템(1d)이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호 연동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로컬 승강기 감시시스템(1A)은 각 호기 승강기 제어반(11)과, 각 호기 제어반(11)에 연결되어 승강기 감시 및 제어를 수행하는 로컬 관리실의 승강기 감시 서버(10)를 포함한다. 승강기는 운행 중 고장 또는 이상이 발생할 수 있고 승강기 설치 후 건물 환경의 변화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른 승강기 제어가 필요하다. 그래서 제어반(11)이 승강기 운행 정보를 승강기감시 서버(10)로 전송하면 로컬 관리실의 승강기 감시 서버(10)는 자체 모니터(15)에 승강기 운행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승강기 감시 서버(10)는 고장 알람 및 각종 운행 이력들을 연산하여 저장관리하며, 건물의 환경 변화에 따라 서비스 층 변경, 도어 대기 타임변경, 파킹 운전 등의 제어가 필요한 경우 제어 데이터를 제어반(11)으로 전송하여 승강기 운행 환경을 바꾸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비상통화시스템(1B)은 각 호기 승강기 카 내 설치되는 비상통화 단말기(21)와, 로컬 관리실의 비상통화 전화기(22,23)와, 원격지 비상통화 전화기(150)와, 각 호기 승강기 카의 비상통화 단말기(21)와 로컬의 관리실 또는 원격지(예컨대, 원격지 관리센터, 콜센터, 119 등)의 비상통화를 매개하는 주장치(20)를 포함한다. 예컨대, 주장치(20)는 승객 갇힘과 같은 비상사태 발생 시에 승객이 카 내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통화 단말기(21)를 이용하여 비상 호출을 하면, 그 비상 호출 신호를 검출하여 로컬의 관리실의 비상통화용 전화기(22, 23)를 호출하여 관리인과의 비상통화를 가능하게 하며, 만약 로컬에 관리인이 부재중일 경우 공중망(24)을 통하여 원격지 전화기(150)를 호출하여 비상통화를 가능하게 하여 갇힌 승객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비상 대응을 가능케 하는 장치이다.
CCTV 영상감시시스템(1C)은 각 호기 승강기 카 내에 설치되는 CCTV용 카메라(31)와, 영상감시 모니터(35)와, CCTV 카메라(31)에서 촬영된 영상을 받아서 관리하는 영상감시 서버(30)를 포함하여 카 내 승객의 상태를 영상으로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예컨대, 각 호기 CCTV용 카메라(31)는 카 내의 상황을 영상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영상감시 서버(30)로 전송하며, 영상감시 서버(30)는 각 카메라(31)의 영상을 동축케이블 등으로 받아서 영상감시 모니터(35)에 디스플레이하여 영상감시를 가능하게 하는 한편 그 각 카메라(31)의 영상을 DVR 등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정보표시 시스템(1D)은 각 호기 승강기 카 내 설치되는 정보표시 단말기(41)와, 뉴스, 날씨, 경제, 증권 등의 각종 컨텐츠를 제공하는 각종 컨텐츠 서버(44)와, 로컬 네트워크 또는 공중망을 통하여 상기 각종 컨텐츠 서버(44)에 연결되어 컨텐츠를 수집·편집·관리하는 컨텐츠 편집 및 관리 서버(43)와, 상기 컨텐츠 편집 및 관리서버와 로컬 네트워크(60) 또는 공중망(100)을 통하여 연결되어 컨텐츠를 수신하며 수신한 컨텐츠를 상기 각 호기 정보표시 단말기(41)에 제공하는 정보표시 서버(40)를 포함한다. 상기 각 호기 정보표시 단말기(41)는 정보표시 서버(40)로부터 받은 각종 컨텐츠와 광고 등 다양한 정보를 자체 모니터(42)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승강기를 이용하고 있는 승객들에게 다양한 정보제공을 하여 지루함을 해소해 준다.
상기 승강기 감시시스템(1A), 비상통화시스템(1B), CCTV 영상감시시스템(1C) 및 정보표시 시스템(1D)은 로컬 네트워크(60)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본 실시예의 로컬 관리실에 설치되어 관리인 영상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12)는 직접 정보표시 서버 또는 승강기 감시 서버(10)에 연결되어 있어서, 카메라(12)에서 촬영한 영상은 직접 정보표시 서버(40)로 전달되거나 승강기 감시 서버(10)에 의해 로컬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표시시스템(1D) 또는 정보표시 서버(4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로컬 관리실에 설치되어 관리인 영상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12)는 로컬 네트워크(60)에 연결되어 있어서, 로컬 네트워크(60)를 통하여 직접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정보표시시스템(1D) 또는 정보표시 서버(4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로컬 관리실의 카메라(12)는 CCTV 영상감시시스템(1C)의 영상감시 서버(30)에 의해 관리될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은 동축케이블 등을 통하여 영상감시 서버(30)로 전송될 수 있고, 각 호기 승강기 카 영상과 함께 DVR에 저장 및 관리되며, 비상통화시에는 영상감시 서버(30)에 의해 실시간으로 정보표시 서버(40)에 전달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승강기 감시시스템((1A), 비상통화시스템(1B), CCTV 영상감시시스템(1C) 및 정보표시시스템(1D)은 로컬 네트워크(60)에 연결되어 연동함과 동시에 공중망(100)을 통하여 원격지 관리센터 등과도 연결되어 연동한다.
예컨대, 공중망(100)에는 날씨, 뉴스, 증권 등의 각종 컨텐츠를 제공하는 각종 컨텐츠 서버(44)와 그 각종 컨텐츠 서버(44)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편집 및 관리하는 컨텐츠 편집 및 관리 서버(43)가 연결될 수 있으며, 정보표시 서버(40)는 공중망(100)을 통하여 컨텐츠 편집 및 관리서버(43)에 접속하여 승객에 제공할 컨텐츠 등을 받아올 수 있다.
한편, 공중망(100)에는 원격지 관리센터의 승강기 감시 서버(120)가 연결될 수 있고, 원격지 관리인 영상촬영용 카메라(110)가 촬영한 영상은 원격지 관리센터 승강기 감시 서버(120)나 원격지 영상감시 서버에 의해 관리되며 공중망(100)을 통하여 로컬의 정보표시 서버(40)로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로컬의 정보표시 서버(40)는 로컬 네트워크(60) 및 공중망(100)에 연결되며, 각 호기 정보표시 단말기(41)와는 직접 연결되거나 로컬 네트워크(60)를 통하여 연결되며, 승강기 운행 시스템의 상황 변화에 따라 각 호기 정보표시 단말기(41)의 표시 모드를 변경하거나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공중망(100)을 통하여 컨텐츠 편집 및 관리서버(43) 등으로부터 각종 컨텐츠를 받아서 각 호기 승강기 카 내의 정보표시 단말기(41)로 입력하면, 각 호기 승강기 정보표시 단말기(41)는 정보표시 서버(40)에서 입력받은 영상 컨텐츠 등을 자체 모니터(42)에 디스플레이하여 승객의 편의에 제공하게 된다.
예컨대, 정보표시 서버(40)는 비상통화시스템(1B)에서 비상통화가 개시된 경우에는 주장치(20)로부터 관련정보를 수신하며,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의 표시 모드를 각종 컨텐츠 및 정보를 표시하는 평상시 정보표시 모드 또는 정보표시 모드에서 비상통화모드로 전환하며, 비상통화 중인 로컬 관리실 또는 원격지 관리센터의 카메라(12,110)가 촬영한 관리자 영상을 로컬 네트워크(60) 또는 공중망(100)을 통하여 전송받아 비상통화 중인 호기 승강기의 정보표시 단말기(41)로 전달하여 자체 모니터(42)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비상통화가 개시되면, 영상감시시스템의 비상통화 중인 호기 승강기 카 내부 영상이 비상통화 중인 관리실의 영상감시시스템 모니터에 팝업 출력되거나, 영상감시 서버에 의해 로컬 네트워크를 통하여 승강기 감시시스템으로 전달되어 비상통화 중인 로컬 관리실의 승강기 감시 서버 모니터에 팝업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원격지 관리센터와 비상통화 연결이 된 경우에는, 로컬의 영상감시 서버에 의해 공중망을 통해 원격지 관리센터로 해당 승강기 카 내부 영상이 전송되어 원격지 관리센터의 모니터에 팝업 출력되며 양자 간에 화상통화가 가능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승객 갇힘 발생시 호기 승강기 카 내 승객과 로컬 관리실의 관리인과 화상 통화 예시 흐름도이다.
승강기 운행 중 승강기 카 내 승객 갇힌 정지고장(즉, 승객 갇힘)이 발생하면, 승강기 카에 갇힌 승객은 비상통화시스템(1B)의 비상통화 단말기로(21) 비상 호출을 행한다(제151단계,제152단계,제 153단계).
비상 호출 신호를 주장치(20)가 검출하면 주장치는(20) 로컬 관리실의 비상통화용 전화기(22,23)를 호출하고 로컬의 관리인은 비상 호출에 응답한다.
주장치(20)는 비상통화가 개시되면 관련정보 예컨대, 비상통화 중인 호기 승강기 및 관리실 정보를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승강기 감시 서버, 영상감시 서버, 정보표시 서버 등으로 전송한다(제154단계).
비상통화 정보를 검출한 로컬 관리실의 승강기 감시 서버(10)는 비상 호출한 호기의 카 내 영상을 영상감시 서버(30)로부터 전송받아 자체 모니터(15)에 영상을 팝업시킨다(제 155단계). 따라서, 로컬 관리실의 비상통화중인 관리인은 승강기 감시 서버 모니터(15)에 팝업된 영상을 통하여 비상통화 중인 카 내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로컬 관리실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12)는 비상통화 중인 관리인의 영상을 촬영하여 로컬 네트워크(6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직접 정보표시 서버(40)로 전송하거나 로컬의 승강기 감시시스템(1A)이나 CCTV 영상감시시스템(1C)을 통하여 정보표시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제156단계).
본 실시예의 정보표시 서버(40)는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의 모드를 정보표시 모드에서 화상통화 모드로 전환하며 비상통화 중인 로컬 관리자 영상을 승강기 카 내에 설치된 정보표시 단말기(41)로 입력한다(제157단계).
본 실시예의 정보표시 단말기(41)는 정보표시 서버(40)로부터 입력받은 로컬 관리인의 영상을 자체 모니터(42)에 디스플레이한다(제158단계),
이 과정에 의해 로컬 관리실의 관리인과 승객 갇힘이 발생한 호기 승강기 승객과의 사이에 화상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제159단계).
본 실시예의 정보표시 서버(40)은 로컬 관리실 관리인과의 비상통화가 종료되면, 비상호출 승강기 카의 정보표시 단말기(41)의 표시모드를 화상통화 모드에서 정보표시 모드로 전환한다(제160단계,제161단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승객 갇힘 자동 검출에 의한 자동 화상 통화 연결 접속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승강기 감시시스템(1A)은 승강기 운행 중 승강기 정지 고장이 발생하고 고장 발생 시 카 내에 승객이 있고 도어가 닫혀 있다면 승객이 카 내에 갇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제165단계,제167단계).
승강기 감시시스템(1A)에서 승객 갇힘이 검출되면 승강기 감시 서버(10)는 관련정보를 로컬 네트워크(60) 예컨대, 주장치(20)·영상감시 서버(30)·정보표시 서버(40) 등으로 전달한다(제170단계).
비상통화시스템(1B)의 주장치(20)는 승객 갇힘 관련정보를 검출하고 해당 승강기 카 내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통화 단말기(21) 및 로컬 관리실 비상통화용 전화기(22,23)를 자동 호출 접속하여 양자 간 비상통화가 개시된다(제171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기 감시 서버(10)는 승객 갇힘이 발생한 호기 승강기 카 내 영상을 영상감시 서버(30)로부터 실시간 전송받으며 승강기 감시 서버(10) 모니터(15)에 팝업시킨다(제172단계).
또한, 비상통화 중인 관리인을 로컬 관리실의 카메라(12)가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그 영상을 직접 로컬 네트워크(60)를 통하여 정보표시시스템(1D)으로 전송하거나, 승강기 감시시스템(1A)이나 CCTV 영상감시시스템(1C)을 통하여 정보표시시스템(1D)으로 전송한다(제176단계).
본 실시예의 정보표시시스템(1D)의 정보표시 서버(40)는 비상통화 중인 호기 승강기 카 내에 설치된 정보표시 단말기(41)의 표시 모드를 정보표시 모드에서 화상통화 모드로 전환을 하고, 로컬 관리인의 영상을 받아 정보표시 단말기(41)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한다(제177단계,제178단계).
이에 의해 승객 갇힘이 발생한 호기 승강기 승객과 로컬 관리실의 관리인 사이의 화상통화가 이루어져서 승객을 안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로컬 관리실 관리인은 승객 갇힘이 일어난 호기 승강기 승객의 상태를 살피며 안전한 승객 구출을 위한 대응을 실시한다(제173단계).
로컬 관리실 관리인과 승객 갇힘이 발생한 승강기 카의 승객과의 비상통화가 종료되면, 주장치(20)는 해당 정보를 로컬 네트워크로 전송하며, 정보표시 서버(40)는 해당 승강기 카의 표시모드를 화상통화 모드에서 정보표시 모드로 전환시킨다(제174단계,제175단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승객 갇힘 발생시 원격지 관리센터 관리인과 화상통화연결 접속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승강기 운행 중 승객의 비상호출에 의하거나 승강기 감시시스템의 자동검출에 의해 주장치를 통한 비상호출이 이루어진다(제180단계,제181단계).
예컨대, 비상통화시스템의 주장치는(20) 1차적으로 로컬 관리실 비상통화용 전화기(22,23)를 비상호출하며 로컬 관리실 관리인과 통화연결이 된 경우에는 로컬 관리실 관리인과의 화상통화를 진행한다(제182단계,제184단계 내지 제187단계)
만약 로컬 관리실에 관리인이 부재중이면 원격지 관리센터의 비상통화용 전화기(150)를 호출하여 원격지 비상통화를 진행한다(제182단계).
승객 갇힘이 발생한 승강기 카내 승객과 원격지 관리센터 관리인 사이에 비상통화가 개시되면, 주장치(20)는 관련정보를 로컬 네트워크(60)를 통하여 영상감시시스템(1C) 등으로 전송한다(제183단계).
영상감시 서버(30)는 승객 갇힘이 발생한 호기 승강기 카 내 영상을 공중망(100)을 통해 원격지 관리센터(12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원격지 관리센터(120)의 승강기 감시시스템 모니터에는 비상통화중인 호기 승강기 카내 영상이 팝업되어 비상통화중인 원격지 관리인이 상대방인 승강기 카 내 상황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제200단계).
또한, 원격지 관리센터에(120)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110)는 비상통화 중인 원격지 관리자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직접 또는 간접으로 공중망(100) 통하여 비상호출이 발생한 로컬 정보표시시스템(1D)으로 전송한다(제210단계).
본 실시예의 정보표시시스템(1D)의 정보표시 서버(40)는 비상통화 중인 호기 승강기 카 내에 설치된 정보표시 단말기(41)의 모드를 정보표시 모드에서 화상통화 모드로 모드 전환을 하며 원격지 관리자 영상을 그 정보표시 단말기로 입력한다(제211단계).
그 정보표시 단말기(41)는 자체 모니터(42)에 원격지 관리센터 관리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승강기 승객과 원격지 관리센터 관리인 사이 화상통화가 진행된다(제201단계).
원격지 관리센터 관리인과 승강기 카 승객의 비상통화가 종료되면, 주장치는 이를 검출하여 관련정보를 로컬 네트워크로 전송하며, 정보표시 서버는 관련정보를 검출하고 비상통화가 진행된 승강기 카의 표시모드를 화상통화 모드에서 정보표시 모드로 전환시킨다(제202단계,제203단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로컬 관리실 또는 원격지 관리센터와의 평상시 화상통화 연결 접속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특정 호기 카 내 승객 또는 로컬 관리실이나 원격지 관리센터의 관리인 등이 이 평상시 통화할 일이 있는 경우에, 승객이 카 내의 비상통화 단말기(21)로 비상호출을 하거나 로컬 관리실 또는 원격지 관리센터 관리인이 비상통화용 전화기(22,23,150)를 통한 비상통화 호출에 의해 화상통화가 개시될 수 있다(제190단계,제191단계).
예컨대, 비상통화시스템(1B) 주장치(20)는 비상통화 호출을 감지하고, 카 내 승객과 로컬 관리실 또는 원격지 관리센터 관리자 등과의 통화 연결을 진행하여 타방이 호출에 응답하는 것에 의해 음성통화가 개시된다.
주장치(20)는 비상통화 중인 호기 승강기 정보 및 로컬 관리실이나 원격지 관리센터 정보를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다(제191단계,제192단계).
비상통화 관련정보를 검출한 영상감시 서버(30)가 비상통화중인 승강기 카 영상을 로컬 관리실이나 원격지 감시센터 등으로 전송하면, 로컬 관리실이나 원격지 감시센터는 그 영상을 받아서 승강기 감시 서버(10,120) 등의 모니터에 출력한다(제193단계).
비상통화 연결이 로컬의 관리실과의 사이에 이루어진 경우에는, 로컬 관리실의 영상감시시스템(1C) 모니터(35)가 구비된 경우에는 비상통화 중인 호기 승강기 카 영상을 그 모니터(35)에 팝업할 수도 있고, 로컬 관리실의 승강기 감시 서버(10)가 CCTV 영상감시시스템(1C)으로부터 카 영상을 전송받아 자체 모니터(15)에 팝업하는 것이 가능하다(제193단계).
비상통화 연결이 원격지 관리센터와의 사이에 이루어진 경우에는, CCTV 영상감시시스템(1C)의 영상감시 서버(30)는 공중망(100)을 통하여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의 영상을 원격지 관리센터로 전송하여 원격지 관리센터의 승강기 감시 서버(120) 등 모니터에 팝업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제193단계).
한편, 로컬 관리실 또는 원격지 관리센터의 카메라(12,110)는 카 내 승객과 통화하고 있는 관리인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며 그 영상은 직접 또는 승강기 감시 서버(10,120) 등에 의해 로컬 네트워크(60) 또는 공중망(100)을 통하여 로컬의 정보표시 서버(40)로 전송된다(제197단계).
로컬의 정보표시 서버(40)는 해당 승강기 카의 정보표시 단말기(41)의 모드를 정보표시 모드에서 화상통화 모드로 전환하고, 전송받은 통화중인 관리자 영상을 통화중인 호기 승강기의 정보표시 단말기(41)로 입력한다(제198단계).
정보표시 단말기는(41) 자체 모니터(42)에 정보표시 서버(40)로부터 입력받은 관리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비상통화 중인 카 승객과 로컬 관리실 또는 원격지 관리센터 관리자 사이 평상시 화상통화가 이루어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 카내 승객과 로컬 관리실 관리인 및 원격지 관리센터의 관리인 등 3자간 화상통화가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카 내 승객의 비상호출이나 로컬 관리실 또는 원격지 관리센터의 관리자의 비상호출에 의하여 3자 비상통화가 개시되면, 주장치(20)는 비상통화중인 호기 승강기 및 관리실 등에 대한 정보를 로컬 네트워크(60)로 전송한다(제300단계,제301단계,제302단계).
CCTV 영상감시시스템(1C)의 영상감시 서버(30)는 비상통화중인 호기 승강기 카 영상을 검출하여 로컬의 관리실 또는 원격지 관리센터로 전송한다. 예컨대, 로컬 관리실의 승강기 감시 서버(10)는 승강기 운행정보를 표시하여 관리중이던 자체 모니터(15)에 비상통화중인 호기 승강기 카 영상을 팝업 출력한다(제310단계).
또한, 공중망(100)을 통하여 영상감시 서버(30)로부터 원격지 관리센터가 수신한 비상통화 중인 호기 승강기 카 영상은 원격지 관리센터의 승강기 감시 서버(120)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다(제320단계).
한편, 로컬 관리실의 카메라(12)가 촬영한 관리자 영상은 로컬 승강기 감시 서버(10) 등에 의해 로컬 네트워크(60)를 통하여 로컬 정보표시 서버(40)로 전송되며, 원격지 관리센터 카메라(110)이 촬영한 관리자 영상은 원격지 관리센터로부터 공중망(100)을 통해 로컬의 정보표시 서버(40)로 전송된다(제330단계).
정보표시 서버(40)는 해당 승강기 카 정보표시 단말기(41)의 표시모드를 정보표시 모드에서 3자 화상통화모드로 전환하며, 로컬 관리실의 관리자 영상 및 원격지 관리센터의 관리자 영상을 비상통화 중인 호기 승강기 정보표시 단말기(41)로 입력한다(제331단계).
정보표시 서버(40)로부터 로컬 관리실 및 원격지 감시센터의 관리자 영상을 입력받은 정보표시 단말기(41)는 자체 모니터(42)에 로컬 관리실의 관리자 영상 및 원격지 관리센터의 관리자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여 승강기 승객과 로컬 관리실 관리인 및 원격지 관리센터 관리인 사이에 3자 화상통화가 가능해진다(제311단계).
승강기 카 승객과 로컬 관리실 및 원격지 관리센터 관리자 등에 의한 3자간 비상통화가 종료되면, 주장치(10)는 비상통화 종료를 검출하고 관련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한다(제312단계).
정보표시 서버(40)은 3자 비상통화 종료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면, 해당 승강기 카 정보표시 단말기(41)의 표시모드를 3자 화상통화 모드에서 정보표시 모드로 전환한다.
도 9는 승객 갇힘 발생시 정보표시 모드가 운용되는 과정을 예시한다.
본 실시예의 정보표시시스템의 표시모드는 정보표시 모드와 화상통화 모드로 구분되며, 정보표시 모드는 승강기가 정상운행 중일 때 운용되는 평상시 모드와 승객 갇힘 등이 발생하였을 때 운용되는 비상정보제공 모드를 포함한다. 한편, 화상통화 모드는 승강기 카 승객과 관리자 2자 간의 화상통화인 경우에는 일반 화상통화 모드로 운용되며, 승강기 카 승객과 로컬 및 원격지 관리자 등의 3자가 화상통화인 경우에 적용되는 3자 화상통화 모드를 포함한다.
예컨대, 승강기가 정상운행 중인 경우에 비상통화가 개시되면, 정보표시 서버는 해당 승강기 카 의 표시모드를 정보표시 모드의 평상시 모드에서 화상통화 모드로 전환한다(제500단계,제511단계).
정보표시 서버는 비상통화 중인 관리자 영상을 정보표시 단말기로 입력하며, 정보표시 단말기는 자체 모니터에 관리자 출력하여 비상통화가 진행된다(제513단계).
정보표시 서버가 비상통화가 종료를 검출하면, 해당 승강기 카 정보표시 모드를 화상통화모드에서 정보표시 모드(즉, 평상시 모드)로 전환한다(제514단계,제515단계).
한편, 승강기 운행 중 승객 갇힘이 발생한 경우, 승강기 감시 서버는 승객 갇힘을 검출하고 관련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한다(제501단계).
승객 갇힘이 발생하면 갇힌 승객은 심리적으로 상당히 불안하고 어떻게 해야 할지 당황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정보표시 서버(10)는 승객 갇힘이 검출되면, 해당 승강기 카의 정보표시 모드를 평상시 모드에서 비상정보제공 모드로 전환한다(제502단계),
정보표시 모드가 비상정보 제공모드로 전환되면, 해당 승강기 카의 정보표시 단말기(41)는 자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비상시 대응요령 등의 정보를 검출하여 승객에게 제공한다.
예컨대, 갇힌 승객의 심리 안정용 음악 및 영상을 재생하여 주고, 승객 갇힘 발생시에 대응하여야 할 행동 요령들을 자체 모니터에(41) 디스플레이하며 갇힌 승객의 심리적 안정감과 안전사고 예방을 행하고 이를 관리인과의 화상 통화가 연결되기 전까지 또는 화상통화가 종료된 후 승객 구출 때까지 계속한다(제503단계).
한편, 비상정보 제공모드 운용 중 승객 갇힘 검출에 의한 자동 비상호출, 또는 승객의 비상호출에 의하여 비상통화가 개시되면, 해당 승강기 카의 표시모드는 비상정보 제공모드에서 화상통화 모드로 전환된다(제504단계,제505단계).
로컬 네트워크 또는 공중망을 통하여 정보표시 서버는 비상통화 중인 관리자 영상을 전송받으며, 그 영상을 해당 승강기 카의 정보표시 단말기로 입력한다. 해당 정보표시 단말기는 입력받은 관리자 영상을 자체 모니터에 출력하는 것에 의해 화상통화가 진행된다(제506단계).
또는 로컬 네트워크를 통하여 비상통화가 종료를 검출하면, 정보표시 서버는해당 승강기 카의 표시 모드를 화상통화 모드에서 비상정보제공 모드로 전환한다(제507단계,제508단계,제509단계)
정보표시 서버(40)는 승객구출에 의해 비상상황이 종료되면 해당 승강기 카의 정보표시 모드를 비상정보 제공모드에서 평상시 모드로 전환한다(제510단계).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특허청구범위 기재 사항과 균등범위에서 당업자가 행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포함함은 자명하다.
1A....승강기 운행감시시스템 1B....비상통화시스템
1C....CCTV 영상감시시스템 1D....정보표시시스템
10....승강기 운행감시 서버 11....제어반
12....로컬 관리실 카메라 20....주장치
21....비상통화 단말기 30....영상감시 서버
40....정보표시 서버 41....정보표시 단말기
60....로컬 네트워크 100...공중망
110...원격지 관리센터 전화기 150...원격지 관리센터 전화기

Claims (5)

  1. 승강기 운행상태 감시 및 운행 제어를 행하는 승강기 감시시스템과, 승강기 카 내 승객과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한 비상통화시스템과, 승강기 카 내 영상감시를 위한 CCTV 영상감시시스템과, 각종 정보 및 컨텐츠를 편집하여 상기 승강기 카 내로 영상 출력하여 제공하는 정보표시 시스템이 로컬 네트워크로 연결된 승강기 운행 시스템에서, 상기 승강기 감시시스템, 상기 비상통화시스템, 상기 CCTV 영상감시시스템 및 상기 정보표시 시스템이 서로 연동하여 화상통화가 수행되는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상기 비상통화시스템에서 비상통화가 개시되면, 그 비상통화 중인 관리실의 승강기 감시시스템의 모니터에 그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 내부 영상을 상기 CCTV 영상감시 시스템으로부터 받아서 출력하는 카 영상출력수단과;
    상기 비상통화시스템에서 비상통화가 개시되면, 상기 정보표시 시스템의 상기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 모드를 각종 정보 및 컨텐츠 편집물을 영상출력하는 영상정보표시 모드에서 화상통화 모드로 전환시키며, 그 승강기 카에 설치되는 정보표시 시스템 모니터에 상기 비상통화 중인 관리실의 카메라가 촬영한 관리자 영상을 출력하는 관리자 영상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비상통화 중인 관리실 관리자는 상기 승강기 감시 시스템 모니터에 출력된 상기 비상통화 중인 카의 영상을 보고, 그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 내 승객은 상기 정보표시 시스템 모니터에 출력된 관리자의 영상을 보면서 상호 간에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 시스템.
  2. 승강기 운행상태 감시 및 운행 제어를 행하는 승강기 감시시스템과, 승강기 카 내 승객과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한 비상통화시스템과, 승강기 카 내 영상감시를 위한 CCTV 영상감시시스템과, 각종 정보 및 컨텐츠를 편집하여 승강기 카 내로 영상 출력하여 제공하는 정보표시 시스템이 로컬 네트워크로 연결된 승강기 운행 시스템에서 상기 승강기 감시시스템, 상기 비상통화시스템, 상기 CCTV 영상감시시스템 및 상기 정보표시 시스템이 서로 연동하여 화상통화가 수행되는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상기 비상통화시스템에서 비상통화가 개시된 경우, 그 비상통화 중인 관리실에 설치된 상기 CCTV 영상감시시스템의 모니터에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 내부 영상을 팝업 출력하는 카 영상출력수단과;
    상기 비상통화시스템에서 비상통화가 개시되면, 상기 정보표시 시스템의 상기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 모드를 각종 정보 및 컨텐츠 편집물을 영상출력하는 영상정보표시 모드에서 화상통화 모드로 전환시키며, 그 승강기 카에 설치되는 정보표시시스템 모니터에 상기 비상통화 중인 관리실의 카메라가 촬영한 관리자 영상을 출력하는 관리자 영상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비상통화 중인 관리실의 관리자는 상기 CCTV 영상감시시스템의 모니터에 출력된 상기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의 영상을 보고, 상기 비상통화 중인 카 내 승객은 상기 정보표시 시스템 모니터에 출력된 관리자의 영상을 보면서 상호 간에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비상통화 중인 관리실의 카메라가 촬영한 관리자 영상은 상기 관리실의 승강기 감시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정보표시 시스템으로 전달되며, 상기 정보표시 시스템의 영상정보표시 서버는 상기 비상통화 중인 호기 승강기의 영상정보표시 단말기로 그 영상을 전송하여 정보표시 단말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비상통화 중인 관리실의 카메라가 촬영한 관리자 영상은 상기 CCTV 영상감시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정보표시시스템으로 전달되며, 상기 정보표시시스템의 정보표시 서버는 상기 비상통화 중인 호기 승강기의 정보표시 단말기로 그 영상을 전송하여 상기 정보표시 단말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 시스템.
  5. 승강기 운행상태 감시 및 운행 제어를 행하는 승강기 감시시스템과, 승강기 카 내 승객과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한 비상통화시스템과, 승강기 카 내 영상감시를 위한 CCTV 영상감시시스템과, 각종 정보 및 컨텐츠를 편집하여 상기 승강기 카 내로 영상 출력하여 제공하는 정보표시시스템이 각각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됨과 동시에 공중망을 통하여 원격지 관리센터로 연결된 승강기 운행 시스템에서 상기 승강기 감시시스템, 상기 비상통화시스템, 상기 CCTV 영상감시시스템 및 상기 정보표시 시스템이 서로 연동하여 화상통화가 수행되는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상기 비상통화시스템에서 상기 원격지 관리센터와의 사이에 비상통화가 개시되면, 그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 및 원격지 관리센터를 검출하며, 그 비상통화 중인 원격지 관리센터에 설치된 모니터에 상기 CCTV 영상감시시스템으로부터 공중망을 통하여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 내부 영상을 받아서 출력하는 원격지 카 영상출력수단과;
    상기 비상통화시스템에서 상기 원격지 관리센터와의 사이에 비상통화가 개시되면, 상기 정보표시시스템의 상기 비상통화 중인 승강기 카 모드를 각종 정보 및 컨텐츠 편집물을 영상출력하는 영상정보표시 모드에서 화상통화 모드로 전환시키며, 상기 비상통화 중인 원격지 관리센터의 카메라가 촬영한 관리자 영상을 그 승강기 카에 설치되는 정보표시시스템 모니터에 출력하는 관리자 영상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비상통화 중인 원격지 관리자는 상기 원격지 관리센터의 모니터에 출력된 상기 비상통화 중인 카의 영상을 보고, 상기 비상통화 중인 카 내 승객은 상기 정보표시시스템 모니터에 출력된 원격지 관리자의 영상을 보면서 상호 간에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 시스템.
KR1020150072709A 2015-05-26 2015-05-26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 KR101671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709A KR101671631B1 (ko) 2015-05-26 2015-05-26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709A KR101671631B1 (ko) 2015-05-26 2015-05-26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612A Division KR101561732B1 (ko) 2013-02-19 2013-02-19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802A KR20150085802A (ko) 2015-07-24
KR101671631B1 true KR101671631B1 (ko) 2016-11-16

Family

ID=53875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709A KR101671631B1 (ko) 2015-05-26 2015-05-26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63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539A (ko) * 2010-11-30 2012-07-09 이커스텍(주) 건물 입주업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66761B1 (ko) * 2011-04-08 2013-05-28 박주열 엘리베이터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802A (ko) 201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871B1 (ko) 방범용 cctv 로컬용 통합 제어 감시 장치
JPH03172294A (ja) エレベーターの防犯装置
JP5436726B1 (ja) 車両内監視システムおよび車両内監視方法
US7419032B2 (en) Elevator monitoring terminal and elevator monitoring apparatus with multiple display screens displaying operational data, in-car image data and communication request data
KR20110042708A (ko)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6254808A (zh) 一种应用于智能终端的紧急视频通话方法及装置
JP2005206309A (ja) エレベータ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101561732B1 (ko)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
JP4952486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20130022990A (ko) 승강기 통합 감시시스템
JP2008189413A (ja) エレベータの非常通話装置
JP2009214998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KR101671631B1 (ko) 승강기 통합 화상통화시스템
JP2000118900A (ja) エレベータ監視装置
KR101631126B1 (ko)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 시스템
CN111891869A (zh) 基于云平台的可视化救援系统
KR200408012Y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시스템
KR100704427B1 (ko) 차량 및 선박 소화 장치
KR20160000707U (ko) 다중 비상호출 및 자동점검통보 시스템
KR20150071688A (ko) 음성안내 비상통화 통합장치
KR200385989Y1 (ko) 차량 및 선박 소화 장치
JP2007217138A (ja) エレベータの通信装置
JP2018041166A (ja) 通報システム
KR20150019195A (ko) 음성안내 비상통화 통합장치
JP2009232074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