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2377B1 - 이동 통신망에서의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망에서의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377B1
KR100542377B1 KR20030010203A KR20030010203A KR100542377B1 KR 100542377 B1 KR100542377 B1 KR 100542377B1 KR 20030010203 A KR20030010203 A KR 20030010203A KR 20030010203 A KR20030010203 A KR 20030010203A KR 100542377 B1 KR100542377 B1 KR 100542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terminal
transfer
service
intelli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10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4447A (ko
Inventor
연영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10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377B1/ko
Publication of KR20040074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4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37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설정 조건에 따라 착신 호에 대해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착신호를 전환하여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210), 무선 기지국(120), 이동통신 교환국(130), HLR(220), SMS 센터(140), 음성 서비스 서버(150), 음성메시지 데이터베이스(1520), ARS 센터(160), IP 망(230), 호전환 서버(240), 호전환 데이터베이스(242) 등을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입장에서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근무 시간대나, 특정 요일, 특정 번호 등에 대해 착신호를 전환하여 발신측의 호접속 요구를 다양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리성이 대폭 향상된 착신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동 통신망, 지능형, 호전환, HLR, 이동통신 교환국, IP 망

Description

이동 통신망에서의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Intelligent Call Forwarding Service System for Use in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망에서 제공하는 착신호 전환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로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이동 단말기 120 : 무선 기지국
130 : 이동통신 교환국 132 : HLR
134 : VLR 140 : SMS 센터
150 : 음성 서비스 서버 160 : ARS 센터
210 : 이동 단말기 220 : HLR
230 : IP 망 240 : 호전환 서버
242 : 호전환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에서의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설정 조건에 따라 착신 호에 대해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착신호를 전환하여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망에서 제공하는 착신호 전환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100)은 이동 단말기(110), 무선 기지국(120), 이동통신 교환국(130), HLR(Home Location Register)(132), VLR(Visitor Location Register)(134), SMS(Short Message Service) 센터(140), 음성 서비스 서버(150), 음성메시지 데이터베이스(152),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센터(160) 등을 포함해 구성된다.
이동 단말기(110)는 이동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대방과 무선 통신으로 전화 통화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 착신 호에 대해 호 전환을 하여 다른 전화 단말기로 전화를 받게 하거나 음성 사서함으로 전환하여 자동 응답을 실행하고 전달 메시지를 저장하도록 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이다. 이동 단말기(110)는 호 전환 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해 ARS 센터(160)에 접속해 호 전환에 대한 음성 안내 메시지에 따라 다수의 호 전환 메뉴 중에서 선택하여 설정하게 된다.
무선 기지국(120)은 기지국 전송기(BTS: Base-station Transmission System)(122),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124), 및 중계기(Cell Enhancer: 미도시)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지국 전송기(122)는 각기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이동 단말기(110)에서 발생하는 통화 요청을 이동 통신 교환국(130)으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110)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등록을 수행한다. 기지국 전송기(122)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미도시)로부터 기지국 전송기(122)가 위치한 위도와 경도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기지국 전송기(122)의 위치 정보를 순방향 링크 호출 채널의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10)에 전달한다. 이동 단말기(110)는 자신이 속해 있는 셀의 기지국 전송기(122)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10) 자신의 이동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새로운 위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위치 등록은 이동 단말기(110)의 위치, 상태, 식별자, 슬롯 주기 및 그 밖의 다른 특징들을 해당 기지국 전송기(122)를 통하여 이동통신 교환국(130)에 알리는 처리 절차로서 기지국 전송기(122)가 이동 단말기(110)로 착신호를 설정하고자 할 때 이동 단말기(110)를 효과적으로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이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110)의 위치 등록은 이동 단말기(11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때, 이동 단말기(110)가 이동통신 교환국(130)간을 이동할 때, 그리고, 이동 단말기(110)의 파라미터가 변경되는 경우에 실시된다.
기지국 제어기(124)는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 및 관리하면서 핸드 오프 등 무선 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124)는 위치 등록된 이동 단말기(110)의 가입자 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송한다.
이동 통신 교환국(130)은 무선 기지국(120)들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 전화망의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교환국(130)은 무선 기지국(120)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10)의 위치 등록이 수행되면, 이동 통신 교환국(130) 내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이하 'VLR'이라 칭함)(134)에 이동 단말기(110)의 가입자 정보를 임시 저장한 후,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칭함)(132)로 이동 단말기(110)의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
여기서, HLR(132)은 이동 단말기(110)의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에 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가입자의 전화 호를 비롯하여 이동 단말기(110)의 단말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단말기 고유 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ESN) 및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HLR(132)은 이동 단말기(110)가 위치한 무선 기지국(120)과 이동 통신 교환국(130)의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 통신 교환국(130)은 제어부, 통화로부 및 주변기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 단말기(110)에 대한 과금 자료 수집 기능도 갖는다.
SMS 센터(140)는 이동 단말기(110)나 음성서비스 서버(150)로부터의 SMS 메시지 요청에 따라 전달 메시지를 SMS 메시지로 전환하여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실행한다.
음성 서비스 서버(150)는 이동 단말기(110)의 착신 전환 설정에 따라 이동 단말기(110)로 걸려온 전화에 대해 ARS 서버(160)를 통해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대방으로 하여금 이동 단말기(110)로 전달할 메시지를 저장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음성 서비스 서버(150)는 상대방으로부터 입력된 전달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음성메시지 데이터베이스(152)를 구비한다.
ARS 서버(16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10)를 이용해 설정한 자동 응답 메시지를 제공하며, 또한 이동 단말기(110)에서 착신 전환을 설정할 때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기도 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10)로 착신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될 경우,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10)를 조작해 착신 전환 기능을 설정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10)로 착신 신호가 수신될 때 이를 대신하여 전화를 받을 수 있는 다른 전화 단말기의 번호를 설정한다거나, 이동 단말기(110)로 음성 서비스 서버(150)에 접속하여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을 자신의 음성 메시지로 자동 응답되도록 하는 기능 등을 설정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착신 전환 서비스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10)로 전화를 받지 못할 상황이 발생하면, 사용자가 그때마다 단순하게 착신 전환 기능을 설정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110)는 이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야외에서 작업하는 등의 이유로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근무 시간대, 오전 근무하는 특정 요일, 일요일과 같은 휴무일, 휴양지에서 수영으로 인해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 특정 기간 등 장소와 시간 상황에 따라 착신을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또한, 빚 독촉이나 스토커 등과 같은 특정 발신자일 경우에는 더욱 착신 전환이나 착신 거절 등과 같은 기능이 요구되고 있으나, 전술한 종래의 착신 전환 서비스의 경우에는 이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설정 조건에 따라 착신 호에 대해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착신호를 전환하여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에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착신호 전환 서비스를 수행하는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착신호를 수신하여 무선으로 상대방과 전화 통화를 수행함 과 더불어, 상기 사용자의 설정 입력에 따라 상기 착신호 전환 서비스를 요청하는 이동 단말기;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호 발생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호 전환 방식을 문의하는 홈위치 등록기;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호전환 서비스 요청에 따라 호전환 설정 정보를 등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호 전환 서비스를 설정하고, 상기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호 전환 설정 문의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호전환 설정 정보를 상기 홈위치 등록기로 전달하는 호전환 서버; 및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해 설정한 호전환 설정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는 호전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이동 통신망에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착신호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로 호전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착신호 전환 서비스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호전환 서버가 상기 착신호 전환 서비스에 대한 설정 정보를 호전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이동 통신망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이동 통신망에서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얻는 단계; (e) 상기 이동 통신망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설정 정보를 상기 호전환 서버로 문의하는 단계; (f) 상기 호전환 서버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설정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g) 상기 이동 통신망에서 상기 착신호 전환 설정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호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에 의하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착신호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가 유선용 전화 단말기로 호전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착신호 전환 서비스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호전환 서버가 상기 착신호 전환 서비스에 대한 설정 정보를 호전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c) 상기 유선용 전화 단말기에 대한 착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착신호 전환 설정 정보를 근거로 상기 유선용 전화 단말기에 대한 착신호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해 특정 날짜, 특정 요일, 특정 시간, 특정 번호 등을 근거로 착신 전환 기능을 설정하게 되고,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로 걸려 온 착신 호에 대해 발신자 정보와 날짜, 시간 등의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 전환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착신 전환 기능은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다음 3 가지 상태 중 하나일 경우에 실행된다. 즉,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가 통화중(Busy)이거나 기지국 호출 신호에 응답이 없는 NPR(No Page Response) 상태, 착신 벨이 울리지만 사용자가 전화를 받지 않는 상태(No Answer)일 경우에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 전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하는 상기 착신 전환 기능에는 무조건 전환 서비스와 조건 전환 서비스로 나뉘어진다. 무조건 전환 서비스는 모든 착신 호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한 전화번호로 호를 연결하게 하거나 음성 자동 응답 서비스를 제 공하게 하는 것 등이다. 조건 전환 서비스는 예컨대, 근무 시간에는 사무실 전화로 자동 연결되도록 하고, 그 외의 시간에는 집전화로 자동 연결되도록 하거나, 미리 입력된 발신 번호일 경우 정상적으로 착신시키고, 그 이외의 발신 번호에 대해서는 특정 번호로 연결시키거나 음성 자동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200)은 이동 단말기(210), 무선 기지국(120), 이동통신 교환국(130), HLR(220), SMS 센터(140), 음성 서비스 서버(150), 음성메시지 데이터베이스(1520), ARS 센터(160), IP 망(230), 호전환 서버(240), 호전환 데이터베이스(242)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210)는 사용자가 조건에 의한 호전환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도록 호전환 기능 및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호전환 설정 정보를 이동 통신망과 IP 망(230)을 통해 호전환 서버(240)로 전송하는 단말기이다.
HLR(22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통신 신호처리 프로토콜 SS7(Signaling System No.7) 망이나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망 등을 통해 이동통신 교환국(130)과 연결되어 있고, 이동 단말기(21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HLR(220)은 발신측으로부터 호 접속 요구가 발생할 경우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요청하여 얻은 착신측 이동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달하며, 착신측에서 무응답일 경우 호전환 서버(240)로 착신 단말기에 대한 호전환 방식을 문의하여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달함으로써,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국에서 착신 단말기에 대해 설정된 착신호 전환 방식으로 착신호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IP(Internet Protocol) 망(230)은 인터넷 등과 같이 이동 통신망과 호전환 서버(240) 간의 통신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호전환 서버(ICFC: Intelligent Call Forwarding Sever)(240)는 이동 단말기(210)에 대해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10)를 이용해 설정한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에 대한 설정 정보를 호전환 데이터베이스(242)에 저장해 두고, 이동 단말기(210)에 대한 착신호가 있을 때마다 HLR(220)로부터의 호전환 방식에 대한 문의에 대해 설정 정보를 HLR(220)로 전달해 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10)를 이용해 무선으로 접속해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를 설정할 경우, 상기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에 대한 설정 안내를 ARS 센터(160)를 통해 음성 메시지로 이동 단말기(210)로 제공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호전환 데이터베이스(242)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10)를 통해 설정한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에 대한 설정 정보, 예컨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의 근무 시간인 09:00부터 18:00까지는 사무실 전화번호, 그 이외의 시간은 집 전화번호, 특정 번호는 자동 응답 서비스 등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이동 단말기를 예로 착신호 전환 서비스를 설정하고 제공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지만, 유선용 전화 단말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호전환 서버(240)가 대표 전화번호를 가지고 있어 유선용 전화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람이 호전환 서버(240)로 전화를 걸어 상기 착신호 전환 서비스를 설정하고, 이후 착신호 전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선용 전화 단말기에 대한 착신호는 공중 전화망의 교환기에서 처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10)로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10)를 조작해 다수의 메뉴 중 호전환 메뉴를 선택한다.
이동 단말기(110)는 사용자가 키입력 조작으로 호전환 메뉴를 선택하면, 이에 대한 호접속 요청 신호를 무선 기지국(120)으로 송출하고, 무선 기지국(120)에서는 이동통신 교환국(130)과 IP 망(230)을 경유하여 호전환 서버(240)에 접속한다(S304).
호전환 서버(240)는 접속된 이동 단말기(210)로 ARS 센터(160)를 이용해 지 능형 호전환 서비스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송출한다(S306). 예컨대, 호전환 서버(240)는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를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조건 호전환 설정은 1번, 무조건 호전환 설정은 2번을 선택해 주세요."라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210)로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10)를 조작해 날짜나 시간, 특정 번호 등의 조건에 의한 호전환 설정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1번 버튼을 입력하고, 모든 착신호에 대해 특정 번호로 착신되도록 하거나 음성 자동 응답이 되도록 하려면 2번 버튼을 입력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10)를 조작해 착신호 설정 종류를 선택하는 것이다(S308).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10)로 1번을 입력하면, 호전환 서버(240)는 1번의 부메뉴에 해당하는 다수의 메뉴, 예컨대, "요일 및 날짜 지정 호전환은 1번, 시간대 지정 호전환은 2번, 특정 번호 지정 호전환은 3번을 입력해 주세요."에 대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요일 및 날짜 지정 호전환에 대한 메뉴는 사용자가 근무하는 날짜, 예컨대, 월요일부터 금요일 등을 선택하거나, 휴무하는 날짜, 예컨대, 토요일이나 일요일 등을 선택하도록 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시간대 지정 호전환 메뉴는 근무 시간, 예컨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를 선택하거나, 취침시간대, 예컨대, 오후 11시부터 새벽 6시까지 등을 선택하도록 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가 제공된다.
그리고, 호전환 서버(240)는 각각의 부메뉴의 하부 메뉴에 착신호 전환 방식 을 선택하도록 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 예컨대, "이동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안내 멘트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1번, 자신의 녹음된 목소리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2번, 이동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음성 사서함으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3번을 입력하여 주세요." 등의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제공한다.
상기 단계 S308에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10)로 무조건 호전환 설정인 2번을 입력하면, 호전환 서버(240)는 이동 단말기(210)로 "무조건 호전환을 선택하셨습니다. 호전환에서 제외되는 번호를 입력해 주세요."라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여, 이동 단말기(210)로 착신호가 있을 때 호전환을 하지 않고 즉시로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어, 호전환 서버(240)는 부메뉴로 "무조건 호전환에 대해 다른 전화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 1번, 음성 사서함으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 2번, 착신 거절을 하고자 할 경우 3번을 입력해 주세요."라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10)로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에 대한 설정 정보를 입력한다(S310).
호전환 서버(240)는 이동 단말기(210)로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에 대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제공한 이후, 이동 단말기(210)로부터 입력된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에 대한 설정 정보를 호전환 데이터베이스(242)에 저장하게 된다(S312). 이후, 호전환 서버(240)는 HLR(220)로부터 착신호 전환 문의시 호전환 데이터베이스(242)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근거로 설정 정보를 HLR(220)로 제공해 주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210)는 착신호를 수신하는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가정한다. 도시되지 않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는 무선 기지국(120)이 관할하는 단말기이거나, 다른 이동 통신사에서 운영하는 이동 통신망에 가입된 단말기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210)를 휴대한 사용자가 일정한 지역에 위치할 경우, 이동 단말기(210)는 현재 위치한 지역의 이동 통신을 관할하는 무선 기지국(120)에 대해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이동 단말기(210)는 복조 주파수를 순차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면서 안테나로 수신되는 무선 캐리어를 검색함과 더불어 입력되는 각 복조 신호의 레벨을 근거로 자신이 소속되는 기지국(122)을 파악하게 된다.
이때, 이동 단말기(210)는 RF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와, 그에 따라 수신 데이터의 레벨을 메모리에 저장한 후 가장 그 레벨 값이 큰 수신 주파수를 근거로 RF 신호의 복조 주파수를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21)는 기지국(120)으로부터의 방송 채널(BCCH)을 수신하여, 해당 기지국의 정보를 파악한 후 자신의 가입자 정보(IMSI)를 해당 기지국으로 송출함으로써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이후, 이동 단말기(210)는 상기 등록 처리가 완료되면, 단말기에 설정된 모드 상태를 검색하고 이를 근거로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대기 상태가 된다(S402).
이동 단말기(210)는 평상시에 이동 통신망의 전화 통화를 위한 전화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 설정된 전화 모드를 근거로 장치 전반을 전화 모드에 관한 동작으로 제어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210)는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이동 단말기(210)로 전화 통화를 위한 호접속 요청이 있게 되면(S404), 호접속 요청 신호는 무선 기지국을 경유해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달된다.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HLR(220)로 이동 단말기(21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210)가 다른 이동 통신사가 운영하는 이동 통신망에 가입된 단말기일 경우, HLR(220)은 착신측인 다른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게 되고, 다른 이동통신 교환국은 같은 이동 통신망에 연결된 HLR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한 후 HLR(220)로 전달해 주게 된다.
HLR(220)은 이동 단말기(21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달해 준다.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HLR(220)로부터 얻은 이동 단말기(210)에 대한 위치 정보를 근거로 이동 단말기(210)로 착신호를 전달한다(S406).
이때, 이동 단말기(210)가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상태, 즉 통화중(Busy)이거나 기지국 호출 신호에 응답이 없는 NPR(No Page Response) 상태, 착신 벨이 울리지만 사용자가 전화를 받지 않는 상태(No Answer)가 아닐 경우에는 사용자는 정상적으로 이동 단말기(210)를 통해 전화를 받게 된다. 따라서, 이동 단 말기(210)는 착신호에 대해 응답을 하게 되고(S408), 이동 단말기(210)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 간에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S410).
그러나, 상기 단계 S408에서 이동 단말기(210)가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상태인 경우,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HLR(220)로 이동 단말기(210)의 착신호 전환 방식을 문의한다. 이에 따라 HLR(220)은 호전환 서버(240)로 이동 단말기(210)의 착신호 전환 방식을 문의한다(S412).
호전환 서버(240)는 이동 단말기(210)에 대한 설정된 호전환 방식을 호전환 데이터베이스(242)로부터 검색해 HLR(220)로 전달해 주고, HLR(220)은 호전환 서버(240)로부터 전달받은 이동 단말기(210)의 호전환 방식을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달해 준다(S414).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HLR(220)로부터 전달받은 이동 단말기(210)에 대한 호전환 방식을 근거로 이동 단말기(210)에 대한 착신호를 전환하게 된다(S416).
즉, 무조건 호전환 방식일 경우 특정 번호로 착신호를 전달한다거나, 음성 서비스 서버(150)로 전달하여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자동 응답 메시지를 제공하고 전달할 메시지를 저장하도록 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조건 호전환 방식일 경우 착신호가 발생한 시각이 근무 시간일 경우 사무실 번호로 착신호를 전달한다거나, 특정 번호일 경우 음성 서비스 서버(150)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사전에 녹음한 음성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방법을 나 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는 이동 단말기(210)의 전원이 꺼져 있거나, 이동 단말기(210)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 상관없이 이동 단말기(210)에 대해 착신호가 발생할 때, 이동통신 교환국(130)에서 이동 단말기(210)로 착신호를 전달하지 않고 곧바로 호전환 서버(240)에 문의하여 설정된 호전환 방식에 따라 착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동 단말기(210)에 대해 도 3과 같은 과정으로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가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각 무선 기지국(120)으로부터 전화 통화를 위한 호접속 요청이 있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대기 상태이다(S502).
발신측 이동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210)의 전화 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호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호접속 요청 신호는 무선 기지국(120)을 경유해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달된다.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이동 단말기(210)에 대한 호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210)에 대해 착신호가 있게 되면(S504), HLR(220)로 이동 단말기(21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위치 정보를 얻은 후, 이동 단말기(210)에 대한 호전환 방식을 문의하게 된다(S506).
HLR(220)은 IP 망(230)을 통해 연결된 호전환 서버(240)로 이동 단말기(210)에 대한 호전환 방식을 문의한다(S508).
호전환 서버(240)는 호전환 데이터베이스(242)를 검색해 이동 단말기(210)에 대해 설정된 호전환 방식을 얻는다(S510).
그리고, 호전환 서버(240)는 이동 단말기(210)에 대해 설정된 호전환 방식을 HLR(220)로 전달해 주고, HLR(220)은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호전환 방식을 전달해 준다(S512).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HLR(220)로부터 전달받은 이동 단말기(210)에 대해 설정된 호전환 방식을 근거로 이동 단말기(210)에 대한 착신호를 전환하여 무조건 호전환 또는 조건 호전환 서비스를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게 된다(S514).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설정 조건에 따라 착신 호에 대해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착신호를 전환하여 서비스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입장에서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근무 시간대나, 특정 요일, 특정 번호 등에 대해 착신호를 전환하여 발신측의 호접속 요구를 다양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리성이 대폭 향상된 착신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25)

  1. 이동 통신망에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착신호 전환 서비스를 수행하는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착신호를 수신하여 무선으로 상대방과 전화 통화를 수행함과 더불어, 상기 사용자의 설정 입력에 따라 상기 착신호 전환 서비스를 요청하는 이동 단말기;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호 발생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호 전환 방식을 문의하는 홈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호전환 서비스 요청에 따라 호전환 설정 정보를 등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호 전환 서비스를 설정하고, 상기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호 전환 설정 문의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호전환 설정 정보를 상기 홈위치 등록기로 전달하는 호전환 서버; 및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해 설정한 호전환 설정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는 호전환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되, 상기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은,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요청에 따라 전달 메시지를 SMS 메시지로 전환하여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SMS 센터;
    전달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음성메시지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설정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로 걸려온 전화에 대해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할 메시지를 저장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성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해 설정한 자동 응답 메시지를 제공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착신호 전환 서비스 설정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서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통화중(Busy) 상태 이거나, 기지국 호출 신호에 응답이 없는 NPR(No Page Response) 상태, 착신 벨이 울리지만 사용자가 전화를 받지 않는 상태(No Answer) 중 하나인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호전환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호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위치 등록기는 통신 신호처리 프로토콜 SS7(Signaling System No.7) 망 또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망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전환 서버는 IP(Internet Protocol) 망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망과 상기 홈위치 등록기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망은,
    상기 이동 통신망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호접속 요청 신호를 교환 처리하며, 공중 전화망의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을 가지고 있는 이동통신 교환국;
    자신이 관할하는 영역에 위치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해 위치 등록을 수행하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과 통신 프로토콜의 변환 및 암호화/복호화를 실행하는 무선 기지국;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등록이 수행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임시 저장하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호 전환 서비스는 모든 착신호에 대해 일괄적으로 적용하는 무조건 호전환 서비스와,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착신호에 대해 적용하는 조건 호전환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전환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해 상기 착신호 전환 서비스 설정시, 상기 착신호에 대해 이동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안내 멘트로 전환하거나, 자신의 목소리가 녹음된 음성 사서함으로 전환하거나, 이동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음성 사서함으로 전환하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여 상기 착신호 전환 서비스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조건 호전환 서비스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모든 착신호에 대해 특정 전화번호로 전환하거나, 착신 거절하거나, 사용자가 녹음한 음성 메시지로 안내하는 음성 사서함으로 전환하는 것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호전환 서비스는 특정 시간대, 특정 요일, 특정 날짜, 특정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조건에 대해 착신호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호전환 서비스는 상기 착신호가 발생한 시각이 근무 시간인 경우 사무실 전화로 자동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근무 시간 이외에는 집 전화로 자동 연결되도록 하거나,
    미리 설정된 발신 번호일 경우 정상적으로 착신시키고, 설정되지 않은 발신 번호에 대해서는 특정 번호로 연결시키거나 음성 자동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20030010203A 2003-02-18 2003-02-18 이동 통신망에서의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542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10203A KR100542377B1 (ko) 2003-02-18 2003-02-18 이동 통신망에서의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10203A KR100542377B1 (ko) 2003-02-18 2003-02-18 이동 통신망에서의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447A KR20040074447A (ko) 2004-08-25
KR100542377B1 true KR100542377B1 (ko) 2006-01-10

Family

ID=37361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10203A KR100542377B1 (ko) 2003-02-18 2003-02-18 이동 통신망에서의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23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997B1 (ko) * 2010-04-08 2017-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 포워딩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111475A (ko) * 2017-03-30 2018-10-11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감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885B1 (ko) * 2005-07-01 2007-05-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Ndss 호전환 트래픽 실시간 분석 시스템
KR101665366B1 (ko) * 2010-08-03 2016-10-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착신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2170064A1 (en) * 2011-06-08 2012-12-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Systems and methods for call handling using a group profile
KR102411258B1 (ko) * 2021-05-03 2022-06-22 주식회사 아이큐브온 회선 전환을 이용한 보이는 ars(vars)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997B1 (ko) * 2010-04-08 2017-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 포워딩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111475A (ko) * 2017-03-30 2018-10-11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감시 시스템
KR102418980B1 (ko) * 2017-03-30 2022-07-11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447A (ko) 200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6823B2 (en) Location dependent service for mobile telephones
US20020137498A1 (en) Method for automatic call forwarding when a mobile unit goes out of service
US6826397B1 (en) System and method to notify subscribers of call terminating treatment
EP1727383A1 (en) Mobile communications
KR100542377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지능형 호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EP1110421B1 (en) Home zone extension phone service
US6405042B1 (en) Provision of cellular/wire-line service
KR20070122288A (ko) 가입자 식별 모듈을 이용한 위치 기반의 멀티 번호 설정방법,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위한 가입자식별 모듈
JP4018621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20040035521A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친구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002284B1 (ko)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4087799B2 (ja) 移動通信端末自動呼び出しサービス装置および移動通信端末装置
KR100562849B1 (ko) 불완료호 발신번호 통보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13848A (ko) 착신자 통화 중 부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599980B1 (ko) 양방향 sms 메시지 전송을 통한 자동 통화 연결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KR10058432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508973B1 (ko) 음성사서함 모드 전환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착신호 확인 방법
JP3990087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位置情報取得方法ならびに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位置情報通知方法
KR100605938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이동단말기 전원 오프 상태 안내 서비스방법
KR20070011982A (ko) 발신번호 별 선택적 착신 전환 및 자동 연결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06009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해외 로밍정보 자동 알림방법
KR1007859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점검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0554780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지정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방법
KR100481837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착신 호 픽업 시스템 및 방법
KR101108203B1 (ko) Acq방식을 이용한 발신번호 착신호전환서비스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