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099B1 - 무선원격 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원격 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099B1
KR102415099B1 KR1020207028817A KR20207028817A KR102415099B1 KR 102415099 B1 KR102415099 B1 KR 102415099B1 KR 1020207028817 A KR1020207028817 A KR 1020207028817A KR 20207028817 A KR20207028817 A KR 20207028817A KR 102415099 B1 KR102415099 B1 KR 102415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access point
monitoring
monitoring center
lt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144A (ko
Inventor
쿄헤이 하마다
유타카 마츠에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9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3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indoor environments, e.g. buildings

Abstract

엘리베이터 감시장치(12)와, LTE 회선망(30)의 APN1에 상시 접속되는 LTE 단말(13)과, APN1에 접속되어서 엘리베이터 감시장치(1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제1 감시센터(41)를 포함하고, LTE 회선망(30)을 개재해서 제1 엘리베이터(11)의 원격감시를 행하는 무선원격 감시시스템(100)으로서, 엘리베이터 감시장치(12)는, 제1 감시센터(41)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할 수 없을 경우에, LTE 단말(13)의 상시 접속처를 APN1로부터 제2 감시센터(42)가 접속되어 있는 APN2로 전환해서, 제2 감시센터(4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LTE 회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간편한 방법으로 원격감시를 백업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원격 감시시스템
본 발명은 LTE 회선망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무선원격 감시시스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시스템은, 무선통신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와 감시센터 사이의 데이터 수수를 행하는 것이 이용되고 있다. 무선통신회선으로서는 LTE 회선과 3G 회선을 병용해서 이용하고, 전파 강도 혹은 기지국 장해 등에 의해, LTE 회선의 접속을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는 LTE 회선을 3G 회선으로 전환해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참조).
JP 2016-208296 A JP 6153902 B
그런데, LTE 회선망을 통해서 감시센터와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사이의 통신을 행할 경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측의 LTE 단말은 1개의 액세스 포인트에 상시 접속되므로, LTE 단말과 1개의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서 접속 장해가 발생하면, LTE 단말과 감시센터 사이의 통신을 행할 수 없게 되어 버려,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를 행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 경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해서 LTE 단말과 감시센터 통신의 백업을 행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LTE 단말은, 상시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 이외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다른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해서 통신의 백업을 행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에 복수의 LTE 단말을 접속하고, 감시센터와의 사이의 통신회선을 이중화해서 통신의 백업을 행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시스템이 복잡하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LTE 회선망을 이용한 원격감시시스템에 있어서, LTE 회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간편한 방법으로 원격감시의 백업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선원격 감시시스템은, 엘리베이터에 접속되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를 감시하는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에 접속되고, LTE 회선망 중의 1개의 액세스 포인트에 상시 접속되는 LTE 단말과, 상기 LTE 회선망의 상기 1개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1개의 감시센터를 포함하고, 상기 LTE 회선망을 개재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를 행하는 무선원격 감시시스템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는, 상기 1개의 감시센터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할 수 없을 경우에, 상기 LTE 단말의 상시 접속처를 상기 1개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른 감시센터가 접속되어 있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전환해서, 상기 다른 감시센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LTE 단말과 상시 접속처의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접속 장해의 발생에 의해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와 1개의 감시센터 사이의 데이터 수수를 할 수 없을 경우에도, 상시 접속처의 액세스 포인트를 전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와 다른 감시센터 사이에서 데이터 수수가 가능해지고, 다른 감시센터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를 백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원격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는, 상기 LTE 단말의 상시 접속처를 상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전환한 경우에는, 상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와의 상시 접속을 소정 기간만 유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시 접속처의 액세스 포인트를 전환하면 소정 기간 그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다른 감시센터로부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로의 액세스를 확보하여, 원격감시의 백업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원격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는, 상기 LTE 단말의 상시 접속처를 상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전환한 후, 소정의 인터벌로 상기 LTE 단말과 상기 1개의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1개의 액세스 포인트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할 수 있었을 경우에는, 상기 LTE 단말의 상시 접속처를 상기 1개의 액세스 포인트로 되돌리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통상의 감시센터로부터의 원격감시로 되돌림으로써, 다른 감시센터의 원격감시의 부하를 통상 상태로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원격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는, 상기 LTE 단말이 소정 횟수만큼 상기 1개의 감시센터와의 사이의 접속의 확립에 실패한 경우, 상기 LTE 단말의 상시 접속처를 전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번잡하게 상시 접속처의 액세스 포인트의 전환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원격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 속에 승객이 갇힌 상태에서, 상기 LTE 단말이 상기 1개의 감시센터와의 사이의 접속의 확립에 실패한 경우, 상기 LTE 단말의 상시 접속처를 전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갇힘의 발생과 LTE 단말과 상시 접속처의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접속 장해의 발생이 겹친 경우에,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와 감시센터 사이의 데이터의 수수를 단시간에 회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원격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는, 지진이 발생한 때에는, 상기 LTE 단말의 상시 접속처를 전환하지 않고, 상기 1개의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와 다른 제3 액세스 포인트를 개재해서 지진 시의 엘리베이터 상태신호를 지진시 데이터 수신 서버에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지진 발생의 경우에는 많은 LTE 단말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접속 장해가 발생하는 것이 상정된다. 이 경우, 많은 LTE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를 한번에 전환해 버리면 다른 감시센터의 감시 능력을 넘어버릴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지진 시에는 액세스 포인트의 전환을 행하지 않고 제3 액세스 포인트를 개재해서 데이터를 지진시 데이터 수신 서버에 송신하여, 무선원격 감시시스템 전체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원격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1개의 감시센터는,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할 수 없을 경우에, SMS에서 상시 접속처 전환 지령의 문자 메시지 혹은 단문 메시지를 상기 LTE 단말에 발신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는, 상기 LTE 단말이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LTE 단말의 상시 접속처를 상기 1개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다른 감시센터가 접속되어 있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전환해서, 상기 다른 감시센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통상, LTE 단말의 상시 접속처의 전환은, 엘리베이터 감시장치가 행하여, 감시센터로부터 직접 전환할 수 없지만, 이것에 의해, 감시센터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의 전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무선원격 감시시스템은, 제1 국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에 접속되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를 감시하는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에 접속되고, LTE 회선망 중의 1개의 액세스 포인트에 상시 접속되는 LTE 단말과, 상기 제1 국가에 설치되어, 상기 LTE 회선망의 상기 1개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1개의 감시센터를 포함하고, 상기 LTE 회선망을 개재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를 행하는 무선원격 감시시스템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는, 상기 1개의 감시센터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할 수 없을 경우에, 상기 LTE 단말의 상시 접속처를 상기 1개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1 국가와는 다른 제2 국가에 설치된 다른 감시센터가 접속되어 있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전환해서, 상기 제2 국가의 상기 다른 감시센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무선원격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른 감시센터는, 상기 제2 국가의 전화 통신망을 개재해서 상기 LTE 회선망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다른 국가에 설치된 감시센터에서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의 백업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LTE 회선망을 이용한 원격감시시스템에 있어서, LTE 회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간편한 방법으로 원격감시의 백업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의 무선원격 감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무선원격 감시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액세스 포인트의 전환 후의 무선원격 감시시스템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의 무선원격 감시시스템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다른 동작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의 전환 후의 무선원격 감시시스템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의 무선원격 감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7은 액세스 포인트 전환 후의 다른 무선원격 감시시스템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무선원격 감시시스템의 구성>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의 무선원격 감시시스템(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 엘리베이터(11, 21)의 원격감시를 행하는 무선원격 감시시스템(100)은, 제1, 제2 엘리베이터 감시장치(12, 22)(이하, MOP1, MOP2라 칭함)와, 제1, 제2 LTE 단말(13, 23)(이하, LTE1, LTE2라 칭함)과, LTE 회선망(30)과, 제1, 제2 감시센터(41, 42)와, 제1, 제2 지진시 데이터 수신 서버(43, 44)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지역, 제2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제2 감시센터(41, 42)는, 각각, 제1 지역, 제2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제2 엘리베이터(11, 21)의 감시를 행한다. 또, 제1, 제2 감시센터(41, 42)는, 각각 복수대의 엘리베이터(11, 21)를 감시해도 된다. 여기서, 제1 지역, 제2 지역이란, 예를 들어, 동일본과 서일본이어도 된다. 이 경우, 동일본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는 동일본에 설치되어 있는 감시센터가 행하고, 서일본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는 서일본에 설치되어 있는 감시센터가 행한다. 제1, 제2 감시센터(41, 42)는, 제1, 제2 엘리베이터(11, 21)의 각 데이터를 격납하는 서버와 조작반 등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MOP1, MOP2는, 각각 제1, 제2 엘리베이터(11, 21)에 접속되어서 제1, 제2 엘리베이터(11, 21)의 각 제어장치로부터 제1, 제2 엘리베이터(11, 21)의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 혹은 고장 신호 등을 취득하여, 격납한다. MOP1, MOP2에는 각각 LTE1, LTE2가 접속되어 있다. MOP1, MOP2는 내부에 정보처리를 행하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성해도 된다.
LTE 회선망(30)은, APN1 내지 APN4의 4개의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고 있다. LTE1은 1개의 액세스 포인트인 APN1에, LTE2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인 APN2에 상시 접속되어 있다. 제1 감시센터(41), 제2 감시센터(42)는, 각각, APN1, APN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감시센터(41, 42)에는, 각각, LTE1, LTE2에 단문 메시지를 발신하는 단문 메시지 시스템(이하, SMS라 칭함)이 부착되어 있다.
제1 지역, 제2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지진시 데이터 수신 서버(43), 제2 지진시 데이터 수신 서버(44)는, 각각, APN3, APN4에 접속되어 있다.
LTE 회선의 접속 상태가 정상일 경우에는, 도 1의 1점 쇄선(91)에 나타낸 바와 같이, MOP1은, 제1 엘리베이터(11)의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 혹은 고장 신호 등을 엘리베이터(11)의 제어장치로부터 취득하여, 격납하는 동시에, 그 데이터를 LTE1, APN1을 개재해서 제1 감시센터(41)에 송신한다. 또한, 제1 감시센터(41)는, 폴링(polling)에 의해서 APN1, LTE1을 개재해서 MOP1에 액세스하고, MOP1로부터 제1 엘리베이터(11)의 운전 데이터 등을 취득한다. 또한, 제1 감시센터(41)는, APN1, LTE1을 개재해서 제1 엘리베이터(11)의 카 속의 인터폰에 접속하고, 카 속의 승객과 통화한다. 이와 같이, MOP1과 제1 감시센터(41)는, APN1을 개재해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마찬가지로, MOP2는, 도 1의 1점 쇄선(92)에 나타낸 바와 같이 APN2를 개재해서 제2 감시센터(42)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지진이 발생한 경우에는, MOP1은, 도 1의 2점 쇄선(93)에 나타낸 바와 같이 LTE1을 APN4에 접속하고, 도 1의 파선(9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지진시 데이터 수신 서버(44)에 지진 발생시의 운전 데이터나 고장 신호 등의 엘리베이터 상태신호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MOP2는, 도 1의 2점 쇄선(95)에 나타낸 바와 같이 LTE2를 APN3에 접속하고, 도 1의 파선(9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지진시 데이터 수신 서버(43)에 지진 발생시의 운전 데이터나 고장 신호 등의 엘리베이터 상태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MOP1, MOP2는 지진 발생시에는, 제1, 제2 엘리베이터(11, 21)가 설치되어 있는 지역과 다른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지진시 데이터 수신 서버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 APN3, APN4는 제3 액세스 포인트에 상당한다.
<MOP1의 동작>
다음에, 도 2, 도 3을 참조하면서 LTE1과 APN1 사이의 접속 장해가 발생한 경우의 무선원격 감시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MOP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MOP2의 동작은 MOP1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도 2의 단계 S1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MOP1은 기동 시에 LTE1의 상시 접속처를 APN1이라 한다. MOP1은, 기동 시에 LTE1의 상시 접속처가 APN1로 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LTE1의 상시 접속처를 APN1로 해서 LTE1을 재기동시켜 LTE의 상시 접속처를 LTE1로 한다.
도 2의 단계 S102에 나타낸 바와 같이, MOP1은, LTE1과 APN1의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APN1과의 접속이 확립되어 있을 경우에는 접속 장해가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해서, 도 2의 단계 S103으로 진행하여, LTE1과 APN1의 상시 접속을 유지하고, 단계 S104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감시센터인 제1 감시센터(41)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한편, MOP1은, 도 2의 단계 S102에서, LTE1과 APN1의 접속을 확립할 수 없을 경우에는 통신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해서, 도 2의 단계 S105로 진행한다. 단계 S105에 있어서, MOP1은, 예를 들어, 제1 엘리베이터(11)의 인터폰 버튼이 계속 눌러져 있거나, 혹은 도어 개방 버튼이 계속 눌러져 있는 것과 같이 카 속에 승객이 갇혀있는 상태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도 2의 단계 S108로 진행해서 LTE1의 상시 접속처를 APN1로부터 APN2로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LTE1은 APN2와 상시 접속된다. MOP1은 도 2의 단계 S109로 진행하여, 도 3의 1점 쇄선(9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APN2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감시센터인 제2 감시센터(4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카 속의 승객은, 인터폰을 통해서 제2 감시센터(42)의 감시원과 통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갇힘의 발생과 APN1과 접속 장해의 발생이 겹친 경우에, MOP1과 감시센터 사이의 데이터의 수수를 단시간에 회복시킬 수 있다.
또한, MOP1은, 도 2의 단계 S105에서 "아니오"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도 2의 단계 S106으로 진행하여, 소정 횟수만큼 접속 회복 동작을 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도 2의 단계 S106에서 "아니오"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도 2의 단계 S107로 진행하여, LTE1에 APN1과의 접속 동작을 행하게 하여, 도 2의 단계 S102로 되돌아가서 APN1과의 접속이 확립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소정 횟수는,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3회, 5회, 10회 등으로 설정해도 된다.
MOP1은, 접속 회복 동작으로 APN1과의 접속이 확립된 경우에는, 도 2의 단계 S102에서 "예"라고 판단해서 도 2의 단계 S103, S104로 진행하여, APN1을 개재해서 제1 감시센터(41)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한편, 소정 횟수만큼 접속 회복 동작을 행해도 APN1과의 접속을 확립할 수 없고, 접속 장해의 상태가 계속될 경우에는, MOP1은, 도 2의 단계 S102, S106에서 "예"라고 판단해서 도 2의 단계 S108로 진행하여 LTE1의 상시 접속처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PN1로부터 APN2로 전환하고, 도 2의 단계 S109로 진행해서 도 3의 1점 쇄선(9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APN2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감시센터인 제2 감시센터(4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MOP1은, 도 2의 단계 S109에서 제2 감시센터(4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면, 도 2의 단계 S1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LTE1과 APN2의 상시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소정 기간은, 예를 들어, 30분 혹은 1시간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정 횟수만큼 접속 회복 동작을 행해도 접속 장해가 계속될 경우에 상시 접속처의 액세스 포인트의 전환을 행하고, 소정 기간만큼 전환 상태를 유지하므로, 번잡하게 상시 접속처의 액세스 포인트의 전환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액세스 포인트를 APN2로 전환한 때의 제2 감시센터(42)로부터 MOP1로의 액세스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MOP1은, 소정 기간이 경과하여 도 2의 단계 S110에서 "예"라고 판단하면, 도 2의 단계 S111로 진행하여 LTE1과 APN1의 접속 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도 2의 단계 S112에서 LTE1과 APN1의 접속이 확립되면, 도 2의 단계 S113으로 진행하여, LTE1의 상시 접속처를 APN2로부터 APN1로 되돌리고, 도 2의 단계 S103으로 진행하여 LTE1을 APN1과 상시 접속한다. 그렇게 하면, 무선원격 감시시스템(100)은, 도 1에 나타낸 계통 구성으로 되돌아간다. 그래서, MOP1은, 도 2의 단계 S104로 진행하여 제1 감시센터(41)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한편, MOP1은, 도 2의 단계 S112에서 LTE1과 APN1의 접속을 확립할 수 없을 경우에는, 도 2의 단계 S113으로 진행하여, 소정의 인터벌만큼 대기하고, 소정의 인터벌만큼 시간이 경과하면, 도 2의 단계 S111로 되돌아가서 LTE1과 APN1의 접속 동작을 실행한다. 여기에서, 소정의 인터벌은, 예를 들어, 10분 혹은 30분 정도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MOP1은, LTE1과 APN1의 접속이 확립될 때까지, 도 2의 단계 S111로부터 단계 S113의 동작을 반복하여, LTE1과 APN1의 접속이 확립되면, 도 2의 단계 S113에서 LTE1의 상시 접속처를 APN2로부터 APN1로 되돌리고, 도 2의 단계 S103, S104로 진행하여 LTE1을 APN1과 상시 접속해서 제1 감시센터(41)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이와 같이, MOP1은 LTE1의 소정 기간 경과 후에 APN1과의 접속을 확립하는 동작을 소정의 인터벌로 계속해서 행하고, LTE1과 APN1의 접속이 확립되면, 상시 접속처를 APN2로부터 APN1로 되돌려서 제1 감시센터(41)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므로, 원격감시의 백업으로 높아져 있던 제2 감시센터(42)의 부하를 낮추어, 통상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제1, 제2 감시센터의 동작>
다음에 도 4, 도 5를 참조하면서 제1 감시센터(4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제2 감시센터(42)의 동작은 제1 감시센터(41)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제1 감시센터(41)는, 도 4의 단계 S2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MOP1에 폴링 신호를 발신하고, MOP1에 제1 엘리베이터(11)의 운전 데이터 등을 발신시킨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감시센터(41)와 APN1 사이의 접속이 불량으로 된 경우, MOP1은 제1 감시센터(41)로부터 폴링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데이터의 발신을 행하지 않으므로, 제1 감시센터(41)와의 사이에 접속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검지할 수 없을 경우가 있다. 이 경우, MOP1은 상시 접속처의 전환을 행하지 않는다. 한편, 제1 감시센터(41)는, 직접, LTE1에 액세스해서 LTE1의 상시 접속처를 전환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MOP1과 제1 감시센터(41) 사이의 데이터 수수를 할 수 없는 상태가 계속되어 버릴 경우가 있다.
그래서, 제1 감시센터(41)는, 도 4의 단계 S201의 MOP1에의 폴링 동작 시에 폴링 신호의 송수신을 행할 수 없을 경우에는, 도 4의 단계 S202에서 MOP1과의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해서 도 4의 단계 S204로 진행하여 소정 횟수만큼 폴링 동작에 실패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소정의 횟수만큼 폴링 동작에 실패한 경우에는, 도 4의 단계 S204에서 "예"라고 판단해서 도 4의 단계 S205로 진행하여,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LTE 회선망에 있어서 통신의 백업을 행하려면, SMS(45)로부터 LTE1에 상시 접속처 전환 지령의 단문 메시지를 송신한다. LTE1은, 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소정의 신호를 MOP1에 출력한다. MOP1은, 이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면, 도 2의 단계 S108, S109를 실행하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시 접속처의 액세스 포인트를 APN1로부터 APN2로 전환한다. 이 상시 접속처의 액세스 포인트의 전환에는 1 내지 2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제1 감시센터(41)가 SMS에서 LTE1에 단문 메시지를 발신한 2 내지 3분 후에 상시 접속처의 액세스 포인트의 전환이 종료되었을 때에, 제2 감시센터(42)는, 도 2의 단계 S206에 나타낸 바와 같이, MOP1에의 폴링 동작을 행하고, 도 2의 단계 S207, S208, 도 5의 1점 쇄선(9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MOP1로부터 제1 엘리베이터(11)의 운전 데이터 등을 취득한다. 제2 감시센터(42)는, 도 4의 단계 S207, S20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기간만큼 MOP1과의 사이의 데이터 수수를 행한 후, 도 4의 단계 S209로 진행하여 MOP1과의 사이의 데이터 수수를 정지하고, 도 4의 스텝 S201로 되돌아가 제1 감시센터(41)로부터 MOP1에의 폴링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도 4의 단계 S202에서, MOP1과의 접속이 확립되면 도 4의 단계 S203으로 진행하여, 제1 감시센터(41)와 MOP1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이상과 같은 동작에 의해, 제1 감시센터(41)로부터 LTE1의 상시 접속처의 액세스 포인트를 전환할 수 있으므로, 제1 감시센터(41)와 APN1 사이에서 접속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도, 원격감시의 백업을 행할 수 있다.
<지진 발생의 경우의 동작>
지진 발생의 경우에는 많은 LTE1과 APN1 사이의 접속 장해가 발생하는 것이 상정된다. 이 경우, 많은 LTE1의 액세스 포인트를 APN1로부터 APN2로 한번에 전환해버리면 제2 감시센터(42)의 감시 능력을 넘어버릴 경우가 있다. 그래서, MOP1은, 지진 발생에 의해 LTE1과 APN1 사이에 접속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LTE1의 상시 접속처를 APN1로부터 APN2로 전환하지 않고 APN4를 개재해서 지진 시의 엘리베이터 상태신호를 제2 지진시 데이터 수신 서버(44)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무선원격 감시시스템(100) 전체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한다. 지진 시의 MOP2의 동작은, MOP1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다른 실시형태의 무선원격 감시시스템>
도 6, 도 7을 참조하면서, 다른 실시형태의 무선원격 감시시스템(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 무선원격 감시시스템(100)과 마찬가지의 부분에는, 마찬가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원격 감시시스템(20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엘리베이터(11), 제1 감시센터(41)가 제1 국가에 설치되어 있고, 제2 엘리베이터(21), 제2 감시센터(42)가 제1 국가와는 다른 제2 국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통상은, 제1 국가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엘리베이터(11)의 원격감시는 제1 국가에 설치되어 있는 제1 감시센터(41)가 행하고, 제2 국가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엘리베이터(21)의 원격감시는, 제2 국가의 제2 감시센터(42)가 행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LTE1과 APN1 사이의 접속을 확립할 수 없을 경우에는, MOP1은 LTE1의 상시 접속처의 액세스 포인트를 제2 감시센터(42)가 접속되어 있는 APN2로 전환한다. 그리고, 제1 국가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엘리베이터(11)의 원격감시를 제2 국가에 설치되어 있는 제2 감시센터(42)에 의해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보다 광범위하게 설치되어 있는 많은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의 백업을 행할 수 있다.
또, 제2 감시센터(42)는, 제2 국가의 전화 통신망을 개재해서 LTE 회선망(30)에 접속되어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11, 21: 엘리베이터
12, 22: 엘리베이터 감시장치(MOP1, MOP2)
13, 23: LTE 단말(LTE1, LTE2)
30: LTE 회선망
41, 42: 감시센터
43, 44: 지진시 데이터 수신 서버
45, 46: SMS
100, 200: 무선원격 감시시스템.

Claims (9)

  1. 엘리베이터에 접속되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를 감시하는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에 접속되고, LTE 회선망 중의 1개의 액세스 포인트에 상시 접속되고, 상시 접속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 이외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통신을 수신할 수 없는 LTE 단말과,
    상기 LTE 회선망의 상기 1개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1개의 감시센터를 포함하고,
    상기 LTE 회선망을 개재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를 행하는 무선원격 감시시스템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는, 상기 1개의 감시센터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할 수 없을 경우에, 상기 LTE 단말의 상시 접속처를 상기 1개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른 감시센터가 접속되어 있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전환해서, 상기 다른 감시센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고,
    상기 1개의 감시센터는,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할 수 없을 경우에, SMS에서 상시 접속처 전환 지령의 단문 메시지를 상기 LTE 단말에 발신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는, 상기 LTE 단말이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LTE 단말의 상시 접속처를 상기 1개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다른 감시센터가 접속되어 있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전환해서, 상기 다른 감시센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원격 감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는, 상기 LTE 단말의 상시 접속처를 상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전환한 경우에는, 상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와의 상시 접속을 소정 기간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원격 감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는, 상기 LTE 단말의 상시 접속처를 상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전환한 후, 소정의 인터벌로 상기 LTE 단말과 상기 1개의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1개의 액세스 포인트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할 수 있었을 경우에는, 상기 LTE 단말의 상시 접속처를 상기 1개의 액세스 포인트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원격 감시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는, 상기 LTE 단말이 소정 횟수만큼 상기 1개의 감시센터와의 사이의 접속의 확립에 실패한 경우, 상기 LTE 단말의 상시 접속처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원격 감시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 속에 승객이 갇힌 상태에서, 상기 LTE 단말이 상기 1개의 감시센터와의 사이의 접속의 확립에 실패한 경우, 상기 LTE 단말의 상시 접속처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원격 감시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는, 지진이 발생한 때에는, 상기 LTE 단말의 상시 접속처를 전환하지 않고, 상기 1개의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와는 다른 제3 액세스 포인트를 개재해서 지진 시의 엘리베이터 상태신호를 지진시 데이터 수신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원격 감시시스템.
  7. 제1 국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에 접속되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를 감시하는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에 접속되고, LTE 회선망 중의 1개의 액세스 포인트에 상시 접속되고, 상시 접속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 이외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통신을 수신할 수 없는 LTE 단말과,
    상기 제1 국가에 설치되어, 상기 LTE 회선망의 상기 1개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1개의 감시센터를 포함하고,
    상기 LTE 회선망을 개재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를 행하는 무선원격 감시시스템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는, 상기 1개의 감시센터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할 수 없을 경우에, 상기 LTE 단말의 상시 접속처를 상기 1개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1 국가와는 다른 제2 국가에 설치된 다른 감시센터가 접속되어 있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전환해서, 상기 제2 국가의 상기 다른 감시센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고,
    상기 1개의 감시센터는,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와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할 수 없을 경우에, SMS에서 상시 접속처 전환 지령의 단문 메시지를 상기 LTE 단말에 발신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장치는, 상기 LTE 단말이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LTE 단말의 상시 접속처를 상기 1개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다른 감시센터가 접속되어 있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전환해서, 상기 다른 감시센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원격 감시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감시센터는, 상기 제2 국가의 전화 통신망을 개재해서 상기 LTE 회선망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원격 감시시스템.
  9. 삭제
KR1020207028817A 2018-04-27 2018-04-27 무선원격 감시시스템 KR1024150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17203 WO2019207765A1 (ja) 2018-04-27 2018-04-27 無線遠隔監視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144A KR20200129144A (ko) 2020-11-17
KR102415099B1 true KR102415099B1 (ko) 2022-06-30

Family

ID=65802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817A KR102415099B1 (ko) 2018-04-27 2018-04-27 무선원격 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86568B1 (ko)
KR (1) KR102415099B1 (ko)
CN (1) CN111989908A (ko)
WO (1) WO20192077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71013T3 (es) * 2016-10-05 2021-10-28 Kone Corp Establecimiento de conexión en sistema de ascensores, escaleras mecánicas o sistema de pasarela automática
JP7205679B1 (ja) * 2021-03-19 2023-01-17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昇降機の遠隔監視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1724A (ja) * 2007-12-07 2009-06-25 Sanyo Electric Co Ltd 遠隔監視システム、遠隔監視端末、及び、遠隔監視端末の制御方法
JP2017013936A (ja) * 2015-06-30 2017-01-1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遠隔監視装置及び通信装置
WO2017042858A1 (ja) * 2015-09-07 2017-03-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信号送信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信号送信方法
JP2018014027A (ja) * 2016-07-22 2018-01-25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6070A (ja) 1981-08-26 1983-03-02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光学読取装置
JPH08194879A (ja) * 1995-01-20 1996-07-30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遠隔監視装置
JP2000330815A (ja) * 1999-05-24 2000-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二重化切替制御装置及び方法
JP2012104939A (ja) * 2010-11-08 2012-05-31 Olympus Corp 撮像装置
JP5639502B2 (ja) * 2011-02-23 2014-12-10 株式会社Nttドコモ 通信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通信サービス制御ノード、通信サービス提供方法
JP5878081B2 (ja) * 2012-06-08 2016-03-08 セイコ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障害検出装置、障害検出システム、障害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97175B2 (ja) * 2012-09-12 2015-10-21 北越紀州製紙株式会社 エアフィルタ用濾材
JP6448080B2 (ja) * 2014-09-26 2019-01-09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無線通信モジュール
EP3229442B1 (en) * 2014-12-31 2021-03-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JP6601607B2 (ja) * 2015-02-25 2019-11-06 Toto株式会社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装置
JP2016187126A (ja) * 2015-03-27 2016-10-27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遠隔監視システム
JP2016208296A (ja) 2015-04-23 2016-12-08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無線通信異常時の処理システム
CN106973093B (zh) * 2017-03-23 2019-11-19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服务切换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1724A (ja) * 2007-12-07 2009-06-25 Sanyo Electric Co Ltd 遠隔監視システム、遠隔監視端末、及び、遠隔監視端末の制御方法
JP2017013936A (ja) * 2015-06-30 2017-01-1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遠隔監視装置及び通信装置
WO2017042858A1 (ja) * 2015-09-07 2017-03-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信号送信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信号送信方法
JP2018014027A (ja) * 2016-07-22 2018-01-25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144A (ko) 2020-11-17
WO2019207765A1 (ja) 2019-10-31
JP6486568B1 (ja) 2019-03-20
CN111989908A (zh) 2020-11-24
JPWO2019207765A1 (ja)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5816B2 (en) Relay device and relay method
CN113412632B (zh) 链路失败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CN113923697B (zh) 链路失败的处理方法、装置、中继终端及通信设备
KR102415099B1 (ko) 무선원격 감시시스템
CN112543468B (zh) 一种网关设备容灾的方法及通信设备
KR100936136B1 (ko) 차량용 블루투스 통신시스템의 연결 제어방법
CN111526536B (zh) 信息上报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EP1873646A1 (en) Radio base station equipment
JP2023123866A (ja) 移動無線端末
JPH09205438A (ja) Atm交換局における回線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6409169B2 (ja) 無線端末、無線局、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6533758B2 (ja) 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システムとその制御装置、回線バックアップ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10519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6973181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7733683B (zh) 基于物联网的数据备份的方法和装置
JP337846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JP4475018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中継用無線端末
JP2005286970A (ja) 無線基地局装置
JP2015050645A (ja) 中継装置、ベアラ再確立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WO2023002602A1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JP2925170B2 (ja) 網切替システム
JP7395528B2 (ja) 地上基地局の配下の通信端末を衛星基地局で収容する基地局切替方法及びシステム
JP3070213B2 (ja) 分散型パケット交換機
JP2002016540A (ja) 無線基地局、子局及び無線通信方法
JP2023148247A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当該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用の回線制御装置および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