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710B1 - 쿠르쿠마 속 식물의 분말을 포함하는 떡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쿠르쿠마 속 식물의 분말을 포함하는 떡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710B1
KR102414710B1 KR1020190019779A KR20190019779A KR102414710B1 KR 102414710 B1 KR102414710 B1 KR 102414710B1 KR 1020190019779 A KR1020190019779 A KR 1020190019779A KR 20190019779 A KR20190019779 A KR 20190019779A KR 102414710 B1 KR102414710 B1 KR 102414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akes
curcuma
genus
plan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1656A (ko
Inventor
구자홍
Original Assignee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190019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71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1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7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72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르쿠마(Curcuma) 속 식물의 분말 및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떡류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떡류는 부패 및 변질이 늦추어져 저장안정성이 높아지고, 떡의 조직감이 우수하고, 면역력 강화효능 및 항염 효능이 우수한 떡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쿠르쿠마 속 식물의 분말을 포함하는 떡류 및 이의 제조방법{tteok comprising powder of curcuma genus pla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명세서는 쿠르쿠마(Curcuma) 속 식물의 분말 및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떡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떡류는 떡국떡과 떡볶이떡이 가장 많이 소비되며, 원재료로는 쌀과 밀이 주로 사용된다.
쌀을 사용하여 떡을 제조하는 경우 세미, 분쇄, 증숙, 식힘, 건조숙성 및 포장의 순서로 떡을 제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떡류는 빠른 부패로 인해 유통기한을 늘리기 위해 통상적으로 냉장 혹은 냉동(수출의 경우)함으로써 유통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냉장 혹은 냉동을 할 경우 떡이 갈라지거나 나이테가 생겨 상품성이 떨어지고 식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뗌? 쌀 고유의 특성상 떡 제조 후 하루 정도 경과하면 노화현상에 의해 떡이 쉬이 굳어져 섭취가 불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은 부패 또는 노화현상을 지연시키고 떡의 조직감을 개선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2-0015405호 '노화지연 떡 및 그의 제조방법'과 한국공개특허 제2011-0091428호 '굳지 않는 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떡'과 한국등록특허 제10-1509194호 '굳지 않는 떡 및 그의 제조방법' 에서의 발명은 떡이 쉬이 굳어지지 않고 말랑거림이 장시간 유지되게 하는 떡을 제공하는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쌀가루의 증숙 및 저온 냉각-밀가루 등 첨가제 첨가-펀칭이라는 일련의 물리적 제조공정을 주요 핵심구성으로 하는 발명의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이런 물리적 조건에 제한을 받음으로써 상기 펀칭공정(치대는 공정)을 수반하지 않거나, 증숙 쌀가루의 냉각온도(55~60℃) 및 펀칭 시간이라는 특정조건에 맞게 첨가물을 투입하지 않는 경우에는 발명의 효과가 전혀 없는 제한된 조건의 물리적 제조공정 상의 노화방지 방법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의 발명은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공정 상의 변수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달라지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떡은 장기 유통시에 저장안정성을 결국 냉장이나 냉동으로 해결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또한 선행기술로서 특허출원번호 제10-1998-0018180호 '떡류 및 떡 과자류와 그것에 이용되는 노화방지제'와 같은 조성물에 관한 발명도 있으나 주성분인 수용성 헤미셀룰로스라는 유효 성분을 얻는 과정이 너무 복잡하여 일반 식품제조업체에서 실용화되기에는 어려운 발명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여러 선행기술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 가장 일반화되고 있는 떡의 노화억제 조성물은 찹쌀떡의 경우에 한해서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나 소르비탄, 수크로스지방산에스테르 등의 유화제와 맥아당, 물엿, 설탕 등 당류와 찰옥수수전분을 혼합한 노화억제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떡 고유의 식감 및 풍미가 기존 찹쌀떡보다 현저히 떨어져 저가용 제품에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유통기한이 짧은 떡을 조직감 등의 개선 혹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저장안정성을 늘릴수 있고, 떡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KR 10-0377212 B1 (2003. 03. 10) 특허문헌 2 : KR 10-1099619 B1 (2011. 12. 21) 특허문헌 3 : KR 10-1509194 B1 (2015. 03. 31) 특허문헌 4 : KR 10-0569787 B1 (2006. 04. 04) 특허문헌 5 : KR 10-0536647 B1 (2005. 12. 07)
일반적으로 떡류의 경우 제조시 증숙 과정인 알파화 과정을 거쳐 바로 취식하면 부드럽고 쫀득한 식감이 나타나지만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쌀의 전분자체가 다시 베타화되어 굳어지거나 노화되어 다시 재가열하여야만 취식이 가능하다.
또한, 떡의 경우 냉장, 냉동 보관시 전분 분자와 수분 분자간의 결합구조가 불안정하고 느슨해서 쉬이 굳어지거나 제품의 겉 표면이 갈라지거나 해동시 복원력이 상실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떡의 노화현상 혹은 냉장/냉동유통 시 발생하는 조직감 상실의 문제점을 개선한 새로운 떡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쿠르쿠마(Curcuma) 속 식물의 분말 및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떡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쿠르쿠마(Curcuma) 속 식물은 Curcuma longa linne, Curcuma longa Rhizoma Curcuma aromatica Salisb 중 어느 하나 이상인, 떡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떱畢? 쿠르쿠마(Curcuma) 속 식물의 분말 및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 모두를 포함하는, 떡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추출물, C1-C5 알코올 추출물 또는 C1-C5 알코올 수용액 추출물인, 떡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떡류는 쿠르쿠마 속 식물의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쿠르쿠마 속 식물의 분말은 떡류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떡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떡류는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은 떡류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떡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떡류는 떡국용 떡 또는 떡볶이용 떡인, 떡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중 어느 하나의 떡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곡물을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곡물을 증숙하는 단계; 및 증숙된 곡물을 건조 및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증숙하는 단계에서 쿠르쿠마(Curcuma) 속 식물의 분말 및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배합하는 것인, 떡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곡물은 쌀, 밀, 옥수수, 수수 및 보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인, 떡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떡류는 쿠르쿠마 속 식물의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쿠르쿠마 속 식물의 분말은 떡류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떡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떡류는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은 떡류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떡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떡류는 기존 떡류에 비하여 부패 및 변질의 발생속도가 느리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떡류는 떡에 포함된 전분의 조직감이 강화되고 쫀득한 식감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떡류는 전분의 노화가 지연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떡류는 부패 및 변질의 발생속도가 느림과 동시에 떡의 조직감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떡류는 실온에서 보관시에도 부패 및 변질의 발생속도가 느려 우수한 조직감을 보유한 채로 오랜기간 유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떡류는 식감이 부드럽고 소화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떡류는 면역력 강화, 항염 또는 항암의 효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성분의 함량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5 내지 10"의 범위는 5, 6, 7, 8, 9, 및 10의 값들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6.5, 7.5,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들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뿐만 아니라 10% 내지 15%, 12% 내지 18%, 20% 내지 30%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쿠르쿠마(Curcuma) 속 식물의 분말 및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떡류를 제공한다.
상기 쿠르쿠마(Curcuma) 속 식물의 분말은 쿠르쿠마 속 식물의 뿌리, 줄기, 잎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쇄한 분말일 수 있다.
상기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은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을 통상의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것일 수 있고, 상기 추출물을 감압건조와 동결건조의 방법을 거쳐 분말화 형태를 갖는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은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뿌리, 줄기, 잎, 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원료로 추출한 추출물 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 내의 알코올의 함량은, 알코올 0 ~ 95 중량% 농도, 바람직하기로는 10 ~ 70 중량%,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30 중량%, 50 중량%, 또는 70 중량% 농도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추출의 효율성 면에서 좋다. 이러한 알코올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적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알코올로는 에탄올, 주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예를 들면 초임계추출, 아임계추출, 고온추출, 고압추출 또는 초음파추출법 등의 추출장치를 이용한 방법 또는 XAD 및 HP-20을 포함한 흡착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액은 진공회전증발기 등을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여 엑기스를 얻는다. 또한, 얻어진 엑기스는 필요에 따라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상온건조 또는 동결건조 등을 실시할 수도 있다. 특히, 동결건조의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추출물 내의 휘발성 유기물질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쿠르쿠마(Curcuma) 속 식물은 Curcuma longa linne, Curcuma longa Rhizoma Curcuma aromatica Salisb 중 어느 하나 이상인, 떡류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쿠르쿠마 속 식물은 강황 또는 울금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미선나무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은 미선나무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떱畢? 쿠르쿠마(Curcuma) 속 식물의 분말 및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 모두를 포함하는, 떡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추출물, C1-C5 알코올 추출물 또는 C1-C5 알코올 수용액 추출물인, 떡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떡류는 쿠르쿠마 속 식물의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쿠르쿠마 속 식물의 분말은 떡류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떡류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쿠르쿠마 속 식물의 분말은 떡류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중량% 이상, 0.8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4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6중량%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쿠르쿠마 속 식물의 분말은 떡류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5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1 중량% 이하, 10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7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또는 3.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쿠르쿠마 속 식물 분말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우수한 조직감을 가지면서 실온 보관시에도 부패 및 변질이 늦고, 전분의 노화를 지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떡류는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은 떡류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떡류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은 떡류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중량% 이상, 0.8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4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6중량%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은 떡류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5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1 중량% 이하, 10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7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또는 3.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우수한 조직감을 가지면서 실온 보관시에도 부패 및 변질이 늦고, 전분의 노화를 지연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은 미선나무의 잎과 줄기 세절물을 물에 10 ~ 25 중량% 투입하여, 100 ~ 120℃에서 20 ~ 60분간 열수 추출한 열수 추출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떡류는 떡국용 떡 또는 떡볶이용 떡인, 떡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중 어느 하나의 떡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곡물을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곡물을 증숙하는 단계; 및 증숙된 곡물을 건조 및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증숙하는 단계에서 쿠르쿠마(Curcuma) 속 식물의 분말 및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배합하는 것인, 떡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분쇄는 떡 제조공정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분쇄방법일 수 있으며, 제조하려는 떡의 종류에 따라 분쇄기의 롤러크기 및 분쇄 횟수를 조절하여 원하는 분쇄물을 얻을 수 있다. 예컨대 가래떡을 제조하 기 위하여 롤러 간격을 0.4~0.6 mm로 맞춘 분쇄기로 1차 분쇄하고, 롤러 간격을 0.005~0.015 mm로 맞춘 분쇄기 로 2차 분쇄 후, 물을 첨가하여 롤러 간격을 0.4~0.6 mm로 맞춘 분쇄기로 3차 분쇄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 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물이 제거된 곡물을 롤러 간격을 0.5 mm로 맞춘 분쇄기로 1차 분쇄하고, 롤러 간격을 0.01 mm로 맞춘 분쇄기로 2차 분쇄 후, 물을 첨가하여 롤러 간격을 0.5 mm로 맞춘 분쇄기로 3차 분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증자 단계는 섭씨 85~100℃ 고온의 증기에서 증자된다. 증자시간은 제조하려는 떡의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10 내지 20분, 바람직하게는 15분이다. 증자시간이 10분 미만이면 김오름 후 떡이 충분히 쪄지기에 부족한 시간이며, 20분을 초과하면 증자 후 얻어진 반죽이 질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곡물은 쌀, 밀, 옥수수, 수수 및 보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인, 떡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곡물은 멥쌀, 찹쌀, 보리, 귀리, 밀, 수 수, 옥수수, 콩, 녹두, 율무, 조, 기장, 팥 및 메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곡물은 쌀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떡류는 쿠르쿠마 속 식물의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쿠르쿠마 속 식물의 분말은 떡류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떡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떡류는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은 떡류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떡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떡볶이용 떡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 세미 및 불림 : 쌀을 씻은 후 물에 불렸다.
- 분쇄 : 불린 쌀을 빻았다.
- 염수분사 : 분쇄한 쌀에 정제염수(소금물)를 분사하였다.
- 증자 : 미분을 시루에 넣고 쪘다.
- 성형 : 찐 떡을 가래떡으로 뽑았다.
- 절단 : 가래떡의 길이를 일정한 크기(2~8cm)로 잘랐다.
- 식힘 : 성형하여 절단된 떡을 냉각장치를 통과하면서 식혔다.
- 건조숙성 : 냉장실에서 식힌 떡을 채반에 담아 건조 및 숙성시켰다.
- 주정침지 : 포장하기 전에 주정라인을 통과하면서 살균시켰다.
- 포장 : 구멍이 3개 뚫린 봉지에 500g씩 담은 후 묶음 포장하였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떡볶이용 떡의 시료 1봉지는 중량 500g이며, 떡볶이 떡 수량은 81개로 하여 샘플 A(sample A)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염수분사 후 증자 전 시루에 빻은 쌀을 넣고 그 위에 하기와 같이 강황 분말 및/또는 미선나무 추출물을 첨가하여 샘플 B 내지 I를 제조하였다.
강황 분말은 건조된 강황(Curcuma longa linne)의 뿌리 및 줄기를 분쇄하여 분말화 시킨 가루를 사용하였다.
미선나무 추출물은 미선나무(Abeliophyllum)의 잎과 가지를 채취하여 수세 및 세절하여 잎과 가지는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7 중량부로 투여한 후 100 ~ 120℃에서 20 ~ 60분 간 열수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샘플 B : 강황 분말을 배합하지 않고 미선나무추출액(떡 10kg당 3g) 만을 증숙과정에서 배합한 시료
샘플 C, E, F, H : 강황을 1%, 3%, 5%, 10% 및 15%를 배합한 시료
샘플 D, G, I : 강황과 미선나무 추출액을 동시에 배합한 시료
[실험예 ]
상기 샘플 A 내지 I를 지름 1cm의 구멍이 뚫린 비닐포장지에 500g씩 담아 연구실에 실온 보관하였다. 48시간 경과 후, 72시간 경과 후, 5일후, 7일 후, 10일 후 곰팡이균 발생 여부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았다.
구분 강황분말 미선나무
추출액
1봉지 떡81개 중 곰팡이균 관찰 떡의 수
48시간후 72시간후 5일 후 7일 후 10일후
Sample A 0 0 없음 없음 2개 14개 45개
Sample B 0 배합 없음 없음 없음 3개 12개
Sample C 1% 0 없음 없음 없음 2개 8개
Sample D 1% 배합 없음 없음 없음 1개 5개
Sample E 3% 0 없음 없음 없음 없음 3개
Sample F 5% 0 없음 없음 없음 없음 2개
Sample G 5% 배합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Sample H 10% 0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Sample I 15% 배합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상기 실험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떡은 부패 및 변질이 실온에서도 느림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쿠르쿠마(Curcuma) 속 식물의 분말 및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 모두를 포함하는, 떡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르쿠마(Curcuma) 속 식물은 쿠르쿠마 롱가 린네(Curcuma longa linne), 쿠르쿠마 롱가 리조마(Curcuma longa Rhizoma) 쿠르쿠마 아로마티카 살리습(Curcuma aromatica Salisb) 중 어느 하나 이상인, 떡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추출물, C1-C5 알코올 추출물 또는 C1-C5 알코올 수용액 추출물인, 떡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르쿠마 속 식물의 분말은 떡류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떡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은 떡류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떡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떡류는 떡국용 떡 또는 떡볶이용 떡인, 떡류.
  8. 제 1항 내지 제 2항 및 제 4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떡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곡물을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곡물을 증숙하는 단계; 및
    증숙된 곡물을 건조 및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증숙하는 단계에서 쿠르쿠마(Curcuma) 속 식물의 분말 및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 모두를 배합하는 것인, 떡류의 제조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은 쌀, 밀, 옥수수, 수수 및 보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인, 떡류의 제조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쿠르쿠마 속 식물의 분말은 떡류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떡류의 제조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아벨리오필럼(Abeliophyllum) 속 식물의 추출물은 떡류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떡류의 제조 방법.
KR1020190019779A 2019-02-20 2019-02-20 쿠르쿠마 속 식물의 분말을 포함하는 떡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4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779A KR102414710B1 (ko) 2019-02-20 2019-02-20 쿠르쿠마 속 식물의 분말을 포함하는 떡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779A KR102414710B1 (ko) 2019-02-20 2019-02-20 쿠르쿠마 속 식물의 분말을 포함하는 떡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656A KR20200101656A (ko) 2020-08-28
KR102414710B1 true KR102414710B1 (ko) 2022-06-29

Family

ID=7226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779A KR102414710B1 (ko) 2019-02-20 2019-02-20 쿠르쿠마 속 식물의 분말을 포함하는 떡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7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856B1 (ko) * 2012-04-27 2014-03-17 김한나 떡볶이 떡 및 그 제조방법
KR101720763B1 (ko) 2016-12-28 2017-03-29 권오직 울금을 이용한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울금을 이용한 떡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647B1 (ko) 1998-05-20 2006-03-22 후지 세유 가부시키가이샤 떡류 및 떡과자류와 그것에 이용되는 노화방지제
KR100377212B1 (ko) 2000-08-22 2003-03-19 박충호 노화지연 떡 및 그 제조방법
KR100569787B1 (ko) 2004-05-25 2006-04-10 이덕록 전분 함유 식품의 노화 방지 방법
KR101099619B1 (ko) 2010-02-05 2011-12-28 대한민국 굳지 않는 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떡
KR101509194B1 (ko) 2013-08-02 2015-04-06 (주)트리코 굳지 않는 떡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80083995A (ko) * 2017-01-13 2018-07-24 괴산군 미선나무 열수 추출액을 이용한 빵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856B1 (ko) * 2012-04-27 2014-03-17 김한나 떡볶이 떡 및 그 제조방법
KR101720763B1 (ko) 2016-12-28 2017-03-29 권오직 울금을 이용한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울금을 이용한 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656A (ko) 2020-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1428A (ko) 굳지 않는 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떡
KR101111535B1 (ko) 머위대 또는 고구마 순을 이용한 산채 블록의 제조방법
KR101288505B1 (ko) 굳지 않는 찹쌀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찹쌀떡
KR20120114632A (ko) 망개떡용 기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85256B1 (ko) 홍삼 동결 건조물을 포함하는 홍삼 초콜릿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U2020201318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high-brittleness mashed potato chips with red rose petals
KR101309361B1 (ko) 장기 보존이 가능한 떡 제조방법
KR101276001B1 (ko) 수리취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414710B1 (ko) 쿠르쿠마 속 식물의 분말을 포함하는 떡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8295B1 (ko) 홍삼 말랭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홍삼 말랭이
KR101150279B1 (ko) 곶감분말의 제조방법
KR101063973B1 (ko) 떡의 제조방법
KR102120461B1 (ko) 비타민나무가 첨가된 냉면 면발의 제조 방법
KR20160101642A (ko) 찹쌀 쑥떡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67532B1 (ko) 뽕잎박을 포함하는 노화지연용 찹쌀떡과 그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503460B1 (ko) 단감젤리 제조방법
KR101187438B1 (ko) 야콘을 이용한 고추장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야콘 장아찌의 제조방법
KR100944265B1 (ko) 노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
KR101592432B1 (ko) 과채류 블록제조방법 및 블록제조장치
KR20220018268A (ko) 대두단백 함유 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두단백 함유 떡
KR101797226B1 (ko) 와송을 함유하는 빵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
CN109997905A (zh) 一种活性沙棘纯粉片制备方法
KR102206957B1 (ko) 엿기름을 이용한 황칠 과립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75689B1 (ko) 개선된 냉동 삼각김밥 제조방법
KR101497205B1 (ko) 상온유통 중 물성 안정성이 우수한 흰쌀죽 및 그 흰쌀죽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