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658B1 - Rgd 모티프 함유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화상 및 녹내장 치료, 피부 주름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Rgd 모티프 함유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화상 및 녹내장 치료, 피부 주름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658B1
KR102412658B1 KR1020180019456A KR20180019456A KR102412658B1 KR 102412658 B1 KR102412658 B1 KR 102412658B1 KR 1020180019456 A KR1020180019456 A KR 1020180019456A KR 20180019456 A KR20180019456 A KR 20180019456A KR 102412658 B1 KR102412658 B1 KR 102412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ment
weeks
seq
test
g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1764A (ko
Inventor
엄기안
김영목
임종환
김언
김신원
Original Assignee
(주)휴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온스 filed Critical (주)휴온스
Publication of KR20180021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764A/ko
Priority to KR1020210033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6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A61K38/4886Metalloendopeptidases (3.4.24), e.g. collagen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0Peptide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4/00Hydrolases acting on peptide bonds, i.e. peptidases (3.4)
    • C12Y304/24Metalloendopeptidases (3.4.2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Zo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smetic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GD 모티프 함유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에 관한 것으로, 이를 이용하면, 화상 및 녹내장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으며, 피부 주름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탈모 방지는 물론이고 육모 및 발모 촉진에도 효과적인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RGD 모티프 함유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화상 및 녹내장 치료, 피부 주름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burns and glaucoma, improving skin wrinkle, and enhancing hair growth comprising peptides containing RGD motif and fragments thereof}
본 발명은 피부 주름 개선, 화상 및 녹내장 치료, 발모 촉진 효과가 있는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디스인테그린 및 메탈로프로테이즈(ADAM;A Disintegrin and Metalloproteinase , 이하 "ADAM"으로 한다)는 디스인테그린 및 메탈로프로테이즈 도메인을 포함하는 다기능 단백질이고 세포-세포 및 세포-매트릭스 상호작용에서 부착 및 단백질 분해 성질 모두를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들 중, ADAM15는 그것의 디스인테그린 유사 도메인 내에 Arg-Gly-Asp (RGD) 모티프를 가지는 독특한 단백질이다. ADAM15는 평활근 세포, 혈관간세포 및 내피 세포들에서 발현된다. ADAM 계열들은 수정, 근형성, 신경발생, 및 사이토카인 분비와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한다(Blobel CP, 외; Nature 1992. 356: 248-252.;Aitken, J. Nature 1992; 356: 196-197.; Blobel CP, 외 J. Cell Biol. 1990; 111: 69-78.; White JM. Curr. Opin. Cell. Biol. 2003; 15: 598-606). ADAM15의 EGF(Epidermal growth factor)유사 도메인으로 알려진 디스인테그린 유사 도메인은 특히 인테그린 베타 사슬(integrin beta 3)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며 Src 족 단백질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와 결합하여 세포간의 신호전달 및 접착(adhesion)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DAM 15 단백질은 류마티즘과 같은 염증성 질환 및 유방암, 전립선암 등 다양한 질환과도 연관된 것으로 밝혀지고 있어, 추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사람의 피부는 각질층을 포함하는 표피와 진피, 그리고 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각질층은 표피(epidermis)의 기저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의 분화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죽은 세포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인체를 외부환경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피부의 내부에 존재하는 진피층은 섬유성 단백질인 콜라겐(collagen)과 엘라스틴(elastin)으로 구성되어 있어 피부에 탄력을 주어 피부가 처지지 않도록 지켜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혈관과 신경이 존재하며,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하는 비만세포, 및 Na-PCA 또는 히아루론산 등의 천연 보습 인자도 함유하고 있다.
피부 주름의 생성의 원인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고 있는데, 하나는 "내적 노화"로서 연령의 증가에 따른 피부의 구성단위인 세포의 기능변화에 기인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외적 노화"로서 외부 환경 즉 자외선, 공해, 스트레스 등에 의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피부 노화의 원인 중에서도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광노화는 UV에 의한 지속적인 노출에 의해 피부암 등의 급성 및 만성적인 피부의 상해를 유발하며 주름을 야기한다. 이것은 태양광에 존재하는 파장대에 따라 UVA (320-400 nm), UVB (290-320 nm) 그리고 UVC (200-290 nm) 3가지로 나뉘어지는데, 이 중 UVC는 오존층에 의해 거의 완벽히 흡수되는 반면, UVA와 UVB는 지구의 표면까지 도달하여 피부상해를 유발하는 치명적인 인자로 작용한다. UVA 보다 짧은 파장대이지만 더욱 강력한 UVB는 진피의 윗부분에 존재하는 표피를 관통하여 케라티노사이트에 상해를 입히고 콜라겐 섬유를 손상시켜 그 결과 주름 생성, 피부의 변색 또는 피부암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 세포와 세포외 기질 단백질(콜라겐, 피브릴린, 피브로넥틴) 간의 상호작용이 피부 세포의 생존과 증식, 조직의 재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화상은 주로 사고에 의해 발생하며, 원인에 따라서 열에 의한 화상, 전류에 의한 화상, 화학물질에 의한 화상, 방사선에 의한 화상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화상의 중증도는 화상을 입은 넓이, 깊이, 화상을 유발한 물체의 온도와 접촉 시간, 피부 상태 등에 따라 1도, 2도, 3도 및 4도 화상으로 나누어지며, 2도 화상부터는 흉터를 남길 수 있으며 병원 치료를 요한다.
1도 화상은 피부가 붉게 되고, 따끔거리는 등의 통증을 수반한다. 피부층 중의 가장 바깥층인 표피의 손상을 가져오고, 통증과 홍반을 수반하면서 부어 오르기도 한다. 며칠 안에 증세가 없어지지만, 그 자리에 가벼운 낙설(落屑)과 색소침착이 남는 경우도 있다. 회복 후에는 반흔(흉터)가 남지 않는다. 햇볕화상(sun burn)의 경우는 가장 일반적인 1도 화상의 예이다.
2도 화상은 표피와 진피 둘 다에 영향을 미치며, 홍반, 통증, 부종, 그리고 사고 후 24시간 내에 물집을 생기게 한다. 이 화상은 또한 한선이나 모공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자각적으로는 작열감과 통증이 심하다. 수포가 터지면 미란면을 나타내고 다량의 분비액이 나온다. 화상 입은 면적이 체표면적의 약 15% 이상에 이르는 경우에는 특히 주의를 요한다. 수 주일 내로 치유되지만 그 자리에 색소침착이나 색소탈실이 남는 일이 많다. 2차 감염을 일으키면 국소증세는 더욱 심하고 경과도 오래간다.
3도 화상은 표피, 진피, 그리고 하피까지 영향을 미쳐서 피부가 검게 되거나 반투명백색이 되고, 피부 표면 바로 아래 혈관을 응고시킨다. 이 화상부위는 무감각해지게 될 수도 있지만, 환자는 극심한 통증을 느끼며, 피부 조직과 구조가 괴사하게 되어 치료에 많은 시간이 걸리고 후에 흉터가 남게 된다. 사고 후 2주일이 지나면, 딱지가 벗겨져 궤양 면이 나타난다. 분비액이 많고, 출혈하기 쉽지만 점차 새로운 조직이 생겨 표피가 재생되어 반흔이 남고 치유된다. 피부 괴사가 깊은 경우, 또는 2차 감염을 일으킨 경우, 치유가 늦어지고 반흔 표면이 불규칙해져 켈로이드가 생기거나 변형이나 운동장애가 남기도 한다. 화상 입은 면적이 신체 표면적의 10%이상에 미치는 경우에는 특히 주의를 요한다.
4도 화상은 화상 입은 부위 조직이 탄화되어 검게 변한 경우이며, 피부층 밑에 위치하는 지방층, 인대, 근막, 근육, 골조직 등까지 화상을 입은 경우를 말한다. 고압 전기 화상에서 주로 발생하며, 간혹 심재성 2-3도 화상에서 균 감염이 발생한 경우 나타날 수 있다. 화상의 범위가 20% 이상인 경우 전신적인 신체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데, 과도한 수액 손실에 따른 저혈압, 쇼크, 급성 신장 기능 부전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추후 상처 감염이나 폐렴, 패혈증, 다발성 장기 기능 부전 증후군 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화상은 피부 및 피부부속기관의 재생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현재 개발된 기술로는 완벽한 치료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녹내장은 시신경 위축증의 형태를 띠면서 망막 신경총 세포를 포함 시신경에 생기는 질환의 총칭이다. 치료되지 않은 녹내장은 영구적으로 시력에 영항을 줄 수 있다. 과거에는 정상보다 높은 안압에 의해 시신경 손상 및 이에 따른 시야장애가 초래되는 질환으로 정의되었으나, 최근에는 녹내장성 시신경 손상의 원인으로 높은 안압 이외에 다른 여러 요소들이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시신경의 특징적인 변화 및 이에 시야장애가 초래되는 진행형 시신경병증으로 정의된다.
녹내장은 원인 내지 증상에 따라 개방각 녹내장(open angle glaucoma), 폐쇄각 녹내장(closed angle glaucoma), 선천 녹내장(congenital glaucoma), 속발 녹내장(secondary glaucoma), 수정체융해 녹내장, 거짓비늘 녹내장, 수정체팽대 녹내장, 신생혈관 녹내장, 스테로이드 녹내장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녹내장 환자에서 약물치료 및 레이저 치료로도 안압조절이 되지 않거나 충분한 약물치료에도 시야검사에서 시야장애가 진행하며 안저검사 소견에서 녹내장성 시신경 변화가 진행하는 경우, 약물에 대한 부작용으로 약물을 사용하기 힘든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생각하게 되며 섬유주절제술이 대표적인 수술방법 중의 하나이다. 섬유주절제술은 여과포를 통해 인위적으로 방수를 배출함으로써 안압하강을 일으키게 된다. 수술로 형성된 여과포의 창상 치유과정 및 흉터 생성은 방수 유출로의 폐쇄를 야기하게 되며 점차 여과포의 기능을 떨어뜨려 결과적으로 수술의 실패를 야기하게 된다. 현재 섬유주절제술의 장기 수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항대사제인 5-fluorouracil (5-FU) 혹은 mitomycin C(MMC)를 보조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섬유주절제술의 성공률은 높였으나 저안압, 여과포 누출, 여과포 관련 감염 등의 후기 합병증이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최근에는, OculusGen™ (OculusGen Biomedical Inc., Taipei, Taiwan)를 사용하여,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임의적으로 조직화' 되게끔 골격을 제공하고, '임의로 배열된 섬유아세포'들을 콜라겐을 세포 주위 여러 방향으로 생산, 배열하여 흉터조직이 아닌 정상 조직에서의 콜라겐 구조와 비슷한 모습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섬유주절제술에 사용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섬유주절제술 외에 녹내장을 치료할 수 있는 대체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모발은 일반적으로 3 성장주기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성장기(anagen), 정체기(catagen), 쇠퇴기(telogen)이다. 성장기는 모발이 왕성하게 자라는 시기로 모발 성장주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정체기는 아폽토시스가 일어나며 모발이 빠질 준비가 되는 시기이며, 쇠퇴기는 모발이 모낭에서 빠져나간 상태의 시기를 말한다.
탈모(Alopecia 또는 hair loss)는 모발이 성장기-정체기-쇠퇴기가 반복되는 과정에서 모근이 왜소해지면서 모발의 굵기가 얇아지며 궁극적으로는 솜털과 같이 변하면서 유발된다. 이러한 탈모를 유발하는 원인에는 유전적인 요소, 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의 과다 분비, 모낭의 혈류량 저하, 피지의 과다 분비, 스트레스, 불균형적인 식생활, 대기 오염, 과다한 자외선 노출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탈모(Alopecia)는 크게 남성형 탈모증(androgenetic alopecia), 여성용 탈모증(female pattern hair loss), 원형탈모증(alopecia areata), 기타원인에 의한 탈모증으로 분류된다. 남성형 탈모증은 남성의 성징을 나타나게 하며 사춘기에 근육의 발달, 남성 기관의 발달 등에 작용하는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라는 남성호르몬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 테스토스테론이 5 알파-리덕타아제(α-reductase)라는 효소에 의해 더 강력한 호르몬인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로(Dihydrotestosterone:DHT)으로 바뀌게 되면, 이 호르몬이 모낭에 존재하는 모유두세포에 작용하여 모낭을 성장기 단계에서 퇴화기 단계로 유도하여 탈모가 일어나게 한다. 여성형 탈모증은 주로 폐경기 이후 에스토스테론의 양의 감소에 의해 발생한다. 여성의 탈모증은 남성형 탈모증의 모양과는 좀 다르게 머리 앞부분은 빠지지 않고 중간 부분의 머리만이 주로 탈모된다. 여성의 탈모증은 5 알파-리덕타아제 와의 연관관계가 남성보다 적게 작용한다. 따라서 5 알파-리덕타아제를 억제시키는 약물은 폐경기 이후의 탈모증 여성에게는 별로 효과가 없다. 원형 탈모증은 자가면역질환이나 정신적 스트레스, 유전적 소인에 의해 발생한다. 원형 또는 난원형의 탈모가 일어나며, 두부 백선이나 발모벽이 생기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원형 탈모증은 남성형 탈모증과는 근본적으로 원인이 다르며, 치료법 또한 달라서 부신피질 호르몬제를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미녹시딜을 환부에 바른다.
이런 탈모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탈모 방지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다양한 유효 성분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에서 목적으로 하는 주된 효과로서, 모발의 굵기를 유지하거나 굵게 하는 효과, 모발의 성장기가 빨리 도래하거나 오래 유지되는 효과, 모발의 쇠태기의 도래를 늦추거나 짧게 유지시키는 효과, 5α-리덕테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 모낭으로의 혈행을 촉진시키는 효과, 보습 효과, 항산화 효과, 비듬 방지 효과, 살균 효과, ECM (Extra-Celluar matrix) 발현 촉진 효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현재 의약품으로 등록되어 사용되고 있는 물질에는 미녹시딜이 있다. 미녹시딜은 원래 평활근 혈관 확장 작용을 하는 고혈압 치료제로 만들어졌으나, 부작용으로 전신에 털이 자라는 현상이 발견된 후 발모제로 개발되었다 (미국특허등록 제 4,596,812호: 제 4,139,619호). 이의 과학적인 자세한 작용 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모낭에의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등의 복합적인 작용을 통해 모발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효과를 바탕으로 FDA에서 일반의약품으로 승인을 받았지만, 피부자극, 가려움, 홍조, 원하지 않는 부위에서의 발모, 탈모의 악화 등의 부작용이 보고가 되고 있으며, 약효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356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특정 서열 및 구조를 가지는 펩티드를 제공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피부 주름, 화상, 녹내장 및 탈모에서 우수한 개선 내지 치료 효과를 갖는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RGD 모티프(Arg-Gly-Asp motif)를 포함하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다음 중 하나 이상의 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ⅰ. 화상 치료;
ⅱ. 녹내장 치료;
ⅲ. 피부 주름 개선; 또는
ⅳ. 탈모 방지, 두피 개선 또는 발모(發毛) 및 육모(育毛) 촉진.
바람직하게, 펩티드의 단편은 하기에서 선택된 1 이상일 수 있다:
1) 서열번호 1의 RGD 모티프를 포함하는 5 - 4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3개 이하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2)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0 - 38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3)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2 - 43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4)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0 - 44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5)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18 - 54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및
6)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10 - 54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더욱 바람직하게, 펩티드의 단편은 하기에서 선택된 1 이상일 수 있다:
1) 서열번호 1의 RGD 모티프 포함하는 9개, 12개 또는 1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3개 이하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2)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0 - 38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3)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2 - 43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36번째 시스테인과 42번째 시스테인 간에 이황화결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4)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0 - 44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또는
5)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0 - 44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1개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GD 모티프(Arg-Gly-Asp motif)를 포함하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투여하여, 다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를 발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이하, '방법'이라 칭함).
ⅰ. 화상 치료;
ⅱ. 녹내장 치료;
ⅲ. 피부 주름 개선; 또는
ⅳ. 탈모 방지, 두피 개선 또는 발모(發毛) 및 육모(育毛) 촉진.
또한, 본 발명은 RGD 모티프(Arg-Gly-Asp motif)를 포함하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의 다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이하, '용도'라 칭함).
ⅰ. 화상 치료;
ⅱ. 녹내장 치료;
ⅲ. 피부 주름 개선; 또는
ⅳ. 탈모 방지, 두피 개선 또는 발모(發毛) 및 육모(育毛) 촉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방법' 및 '용도'는 모두 RGD 모티프(Arg-Gly-Asp motif)를 포함하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의 화상 치료; 녹내장 치료;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탈모 방지, 두피 개선 또는 발모(發毛) 및 육모(育毛) 촉진 효과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이하 '조성물'에 관한 설명은 별다른 제한적 기재가 없는 이상 '방법' 및 '용도'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보고,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해 '방법' 및 '용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RGD 모티프(Arg-Gly-Asp motif)를 포함하는 특정 서열 및 구조의 펩티드를 투여하면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고, 화상 치료, 녹내장 치료, 발모 촉진 및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RGD 모티프(Arg-Gly-Asp motif)를 포함하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한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는 RGD 아미노산을 포함해 58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며, 해당 펩티드 내에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펩티드를 의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는 ADAM 메탈로펩티다제 도메인 15(ADAM metallopeptidase domain 15, ADAM 15) (GenBank accession no. AAH14566.1)의 452 - 509 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뤄진 폴리펩티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는 HU022일 수 있고, 상기 HU022는 펩티드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은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의 단편은 RGD 모티프를 포함하는 3개 이상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단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RGD 모티프를 포함하는 5개 내지 45개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RGD 모티프를 포함하는 9개, 12개 또는 1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GD 모티프는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3, 34, 35번째 아미노산에 해당한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의 단편은 상기 RGD 모티프, 즉 상기 서열번호 1의 33, 34, 35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면 충분하고, 반드시 RGD 모티프와 연속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의 단편은 해당 단편에 포함되어 있는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당 단편에 포함되어 있는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은 해당 단편 내 하나의 시스테인과 해당 단편 밖의 하나의 시스테인 간의 이황화결합과는 구별된다. 해당 단편에 포함되어 있는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은 해당 단편에 포함되어 있는 시스테인의 개수에 따라 0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3개 이하의 이황화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의 단편은 다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1) 서열번호 1의 RGD 모티프를 포함하는 5 - 4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3개 이하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2)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0 - 38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3)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2 - 43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4)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0 - 44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5)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18 - 54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및
6)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10 - 54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이들 단편은 상기 2) - 6)에서 특정한 아미노산을 포함하되, 58개 이하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해당 단편에 포함되어 있는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단편에 포함되어 있는 시스테인의 개수에 따라 0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0개 이상 3개 이하의 이황화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의 단편은 다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1) 서열번호 1의 RGD 모티프 포함하는 9개, 12개 또는 1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3개 이하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2)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0 - 38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3)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2 - 43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36번째 시스테인과 42번째 시스테인 간에 이황화결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4)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0 - 44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또는
5)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0 - 44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1개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상기 2)의 단편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HU027일 수 있고, 이는 서열번호 5에 해당한다.
상기 3)의 단편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HU026일 수 있고, 이는 서열번호 4에 해당한다.
상기 4)의 단편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HU025일 수 있고, 이는 서열번호 3에 해당한다.
상기 5)의 단편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HU024일 수 있고, 이는 서열번호 2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도체를 포괄하여 정의되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도체는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또는 단편과 동일한 생물학적 기능 및/또는 활성을 갖거나 제공하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또는 단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상기 화합물의 원하는 생물학적 및/또는 생리학적 활성을 보유하고 있고, 원하지 않는 독물학적 효과는 최소한으로 나타내는 모든 염을 의미한다.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 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콜(예,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때,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히드로브롬산, 인산, 질산, 황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 술폰산, p-톨루엔 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프루오로아세트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fumaric acid), 만데르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히드로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은,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또는 단편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 기의 염을 거의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 염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술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술포네이트(토실레이트) 염 등이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은 당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단백질 합성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Merrifield, R.B., J. Am.chem.Soc. 85:2149, 1963)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의 효과를 발휘한다:
ⅰ. 화상 치료;
ⅱ. 녹내장 치료;
ⅲ. 피부 주름 개선; 또는
ⅳ. 탈모 방지, 두피 개선 또는 발모(發毛) 및 육모(育毛) 촉진.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은 약학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총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라고도 명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촉진", "개선" 내지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용어, "방지"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증세를 억제하거나 발병이 지연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 효과 별로 바람직한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은 다음과 같다.
화상 치료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화상"은 고온의 기체, 액체, 고체 또는 화염 등에 데었을 때 일어나는 손상을 의미하며, 화상을 입은 넓이, 깊이, 화상을 유발한 물체의 온도와 접촉 시간, 피부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한 증세 및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화상의 중증도에 따라, 표피, 진피 및/또는 하피가 손상되며, 피부부속기관인 모낭, 땀샘, 기름샘 등이 손상되며, 피부층 밑에 위치하는 지방층, 인대, 근막, 근육, 골조직 등까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가피, 홍반, 통증, 부종, 물집, 작열감 등이 수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치료용 조성물에는 RGD 모티프(Arg-Gly-Asp motif)를 포함하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이황화결합을 포함하지 않은 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녹내장 치료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녹내장"은 시신경 위축증의 형태를 띠면서 망막 신경총 세포를 포함 시신경에 생기는 질환의 총칭이다. 녹내장 증상으로는 안압상승, 시야변화, 각막 부종, 눈부심, 눈물흘림, 눈꺼풀연축, 산동, 두통, 구토, 충혈, 시력 감소, 안구의 심한 통증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내장 치료용 조성물에는 RGD 모티프(Arg-Gly-Asp motif)를 포함하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녹내장 치료용 조성물에는 RGD 모티프(Arg-Gly-Asp motif)를 포함하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단편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RGD 모티프(Arg-Gly-Asp motif)를 포함하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단편은 바람직하게 다음과 같다.
1) 서열번호 1의 RGD 모티프를 포함하는 5 - 4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3개 이하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2)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0 - 38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3)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2 - 43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4)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0 - 44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5)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18 - 54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및
6)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10 - 54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의 단편은 다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1) 서열번호 1의 RGD 모티프 포함하는 9개, 12개 또는 1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3개 이하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또는
4)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0 - 44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단편 내 이황화결합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상기 4)의 단편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HU025일 수 있고, 이는 서열번호 3에 해당한다.
피부 주름 개선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피부 주름"이란 피부 변성, 탄력 감소 등으로 인해 피부가 노화되고 접히게 되면서 생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는 RGD 모티프(Arg-Gly-Asp motif)를 포함하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형성되지 않은 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는 RGD 모티프(Arg-Gly-Asp motif)를 포함하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단편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RGD 모티프(Arg-Gly-Asp motif)를 포함하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단편은 바람직하게 다음과 같다.
1) 서열번호 1의 RGD 모티프를 포함하는 5 - 4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3개 이하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2)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0 - 38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3)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2 - 43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4)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0 - 44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5)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18 - 54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및
6)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10 - 54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의 단편은 다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1) 서열번호 1의 RGD 모티프 포함하는 9개, 12개 또는 1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3개 이하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또는
5)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0 - 44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1개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상기 5)의 단편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HU024일 수 있고, 이는 서열번호 2에 해당한다.
탈모 방지, 두피 개선 또는 발모(發毛) 및 육모(育毛) 촉진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탈모(Alopecia 또는 hair loss)"는 모근이 왜소해지면서 모발의 굵기가 얇아지며 궁극적으로는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소실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탈모를 유발하는 원인에는 유전적인 요소, 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의 과다 분비, 모낭의 혈류량 저하, 피지의 과다 분비, 스트레스, 불균형적인 식생활, 대기 오염, 과다한 자외선 노출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두피"는 피부(Skin),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 널힘줄(건막, Aponeurosis), 성긴 결합조직(Loose connective tissue), 머리뼈막(두개골막, Pericranium), 5개층으로 구성되며 두피를 구성하는 주요 구조물에는 모발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두피 개선 또는 발모(發毛) 및 육모(育毛) 촉진 용 조성물에는 RGD 모티프(Arg-Gly-Asp motif)를 포함하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녹내장 치료용 조성물에는 RGD 모티프(Arg-Gly-Asp motif)를 포함하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단편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RGD 모티프(Arg-Gly-Asp motif)를 포함하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단편은 바람직하게 다음과 같다.
1) 서열번호 1의 RGD 모티프를 포함하는 5 - 4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3개 이하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2)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0 - 38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3)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2 - 43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4)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0 - 44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5)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18 - 54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및
6)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10 - 54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1개 이상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의 단편은 다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1) 서열번호 1의 RGD 모티프 포함하는 9개, 12개 또는 1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거나 3개 이하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2)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0 - 38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3)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2 - 43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36번째 시스테인과 42번째 시스테인 간에 이황화결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4)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0 - 44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또는
5)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0 - 44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1개의 이황화결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상기 2)의 단편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HU027일 수 있고, 이는 서열번호 5에 해당한다.
상기 3)의 단편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HU026일 수 있고, 이는 서열번호 4에 해당한다.
상기 4)의 단편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HU025일 수 있고, 이는 서열번호 3에 해당한다.
상기 5)의 단편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HU024일 수 있고, 이는 서열번호 2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약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또는 화장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결합체, 활택제, 습윤제, 유화제, 또는 현탁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단독으로 혹은 어떤 편리한 운반체, 부형제 등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그러한 사용 제형은 단회투여 또는 반복투여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임상투여시 비경구 투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고형 제제, 반고형제제 또는 액상 제제일 수 있다. 고형 제제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좌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형 제제에는 부형제, 착향제, 결합제, 방부제, 붕해제, 활택제, 충진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고형 제제로는 크림제, 로션제, 유화제, 리니멘트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계면활성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액상 제제로는 물, 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 같은 용액제, 현탁액제, 유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제는 본 발명의 유효 성분과 유당,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등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를 단순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과립제는 본 발명의 유효 성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결합제를 혼합한 후,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용매를 이용한 습식과립법 또는 압축력을 이용한 건식과립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정제는 상기 과립제를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활택제화 혼합한 후, 타정기를 이용하여 타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피부외용제는 바세린, 스테아릴알콜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기제; 폴리소르베이트, 솔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보습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용제; 및 착향제, 착색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을 균질하게 혼합하는 통상의 피부외용제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01 중량% 미만인 경우 목적하는 효과(피부 주름, 화상, 녹내장 및 탈모 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10 중량% 초과인 경우 산업적 이용가능성 측면에서 펩티드의 합성비용을 고려하면 경제적 경쟁력이 약할 뿐만 아니라 항원성(immunogenicity)을 유발하여 초기 활성을 지니나 반복투여 시 항체형성에 의한 효력의 감쇠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기초화장용 또는 메이크업용 제품류인 화장수류, 에센스류, 오일류, 크림류, 파우더류, 팩류, 파운데이션류, 메이크업베이스류, 스틱류 등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고체상 등 다양한 성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통상적인 화장료 제조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카보머,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PEG, 에탄올,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트리에탄올아민, 정제수 등을 이용하여 유연화장수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는 세테아릴알코올,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세틸옥타노에이트, 스쿠알란, 아프리코드커넬오일, 부틸렌글라이콜, 카보머, 산탄검, 방부제, 정제수, 아르기닌 등의 성분을 이용하여 로션 타입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제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연고, 크림, 겔, 필름제, 정제, 캡슐, 과립제, 현탁액, 또는 시럽 등의 다양한 제형으로 제형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약학적 유효량, 유효 투여량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 시간 및/또는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로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투여 대상이 되는 개체의 종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질병의 증세나 정도, 성별, 식이, 배설, 해당 개체에 동시 또는 이시에 함께 사용되는 약물 기타 조성물의 성분 등을 비롯한 여러 인자 및 의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1회 투여될 수 있고,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0.01 mg/kg 내지 10 mg/kg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하는 것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이 탈모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 모발의 특성을 고려하여 부가적인 기능 부여를 위해 비듬 방지제, 모근 강화제, 모발 보수제, 두피 보호제, 청량제 등의 보조 성분들을 첨가할 수 있다. 이들 통상의 발모 및 육모용 조성물에 배합되는 방지제, 모근 강화제, 모발 보수제, 두피 보호제, 청량제 등의 보조 성분은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이용하면, 화상 및 녹내장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으며, 피부 주름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탈모 방지는 물론이고 육모 및 발모 촉진에도 효과적인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HU024의 MALDI-TOF 질량분석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HU025의 MALDI-TOF 질량분석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HU026의 MALDI-TOF 질량분석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HU027의 MALDI-TOF 질량분석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G1-G6의 체중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G1: Normal control, n=5
G2: Vehicle control, n=9-10
G3: Test article (3.3 μg/head/day), n=10
G4: Test article (10 μg/head/day), n=10
G5: Test article (30 μg/head/day), n=10
G6: Positive control (10 μg/head/day), n=9-10)
도 6은 G1-G6의 화상면적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G2: Vehicle control, n=9-10
G3: Test article (3.3 μg/head/day), n=10
G4: Test article (10 μg/head/day), n=10
G5: Test article (30 μg/head/day), n=10
G6: Positive control (10 μg/head/day), n=9-10)
도 7은 G2-G6의 화상면적 감소율을 도시한 것이다.
(G1: Normal control, n=5
G2: Vehicle control, n=9-10
G3: Test article (3.3 μg/head/day), n=10
G4: Test article (10 μg/head/day), n=10
G5: Test article (30 μg/head/day), n=10
G6: Positive control (10 μg/head/day), n=9-10)
도 8은 G1-G6의 가피 형성 및 염증 세포 침윤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G1: Normal control, n=5
G2: Vehicle control, n=9-10
G3: Test article (3.3 μg/head/day), n=10
G4: Test article (10 μg/head/day), n=10
G5: Test article (30 μg/head/day), n=10
G6: Positive control (10 μg/head/day), n=9-10)
도 9는 G1-G6의 피부부속기관 재생, 결합조직 증식, 상피세포 재생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G1: Normal control, n=5
G2: Vehicle control, n=9-10
G3: Test article (3.3 μg/head/day), n=10
G4: Test article (10 μg/head/day), n=10
G5: Test article (30 μg/head/day), n=10
G6: Positive control (10 μg/head/day), n=9-10)
도 10은 G1-G6의 가피 형성 및 염증 세포 침윤 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e: 표피, d: 진피, hd: 하피)
(A: Normal control,
B: Vehicle control,
C: Test article (3.3 μg/head/day),
D: Test article (10 μg/head/day),
E: Test article (30 μg/head/day),
F: Positive control (10 μg/head/day))
도 11은 시험제품(HU022) 및 대조제품 사용에 의한 R1 수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시험제품(HU022) 및 대조제품 사용에 의한 R2 수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시험제품(HU022) 및 대조제품 사용에 의한 R3 수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시험제품(HU022) 및 대조제품 사용에 의한 R4 수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시험제품(HU022) 및 대조제품 사용에 의한 R5 수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시험제품(HU022) 및 대조제품 사용에 의한 Ra 수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시험제품(HU022) 및 대조제품 사용에 의한 Rmax 수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시험제품(HU022) 및 대조제품 사용에 의한 Rt 수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시험제품(HU022) 및 대조제품 사용에 의한 Rp 수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시험제품(HU022) 및 대조제품 사용에 의한 Rv 수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시험제품(HU022) 및 대조제품 사용에 의한 전문가 육안평가 점수값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시험제품(HU024) 및 대조제품 사용에 의한 R1 수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시험제품(HU024) 및 대조제품 사용에 의한 R2 수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시험제품(HU024) 및 대조제품 사용에 의한 R3 수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시험제품(HU024) 및 대조제품 사용에 의한 R4 수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시험제품(HU024) 및 대조제품 사용에 의한 R5 수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27은 시험제품(HU024) 및 대조제품 사용에 의한 Ra 수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28은 시험제품(HU024) 및 대조제품 사용에 의한 Rmax 수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29는 시험제품(HU024) 및 대조제품 사용에 의한 Rt 수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30은 시험제품(HU024) 및 대조제품 사용에 의한 Rp 수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31은 시험제품(HU024) 및 대조제품 사용에 의한 Rv 수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32는 시험제품(HU024) 및 대조제품 사용에 의한 전문가 육안평가 점수값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33은 G1-G10의 체중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G1: Vehicle control (Sterile distilled water for Injection), n=10;
G2: Test article I (HU024 20 ug/head/day), n=10;
G3: Test article I (HU024 60 ug/head/day), n=10;
G4: Test article II (HU025 20 ug/head/day), n=10;
G5: Test article II (HU025 60 ug/head/day), n=10;
G6: Test article III (HU026 20 ug/head/day), n=10;
G7: Test article III (HU026 60 ug/head/day), n=10;
G8: Test article IV (HU027 20 ug/head/day), n=10;
G9: Test article IV (HU027 60 ug/head/day), n=10;
G10: Reference control (마이녹실 3 %), n=10)
도 34는 G1-G10의 모발 면적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G1: Vehicle control (Sterile distilled water for Injection), n=10;
G2: Test article I (HU024 20 ug/head/day), n=10;
G3: Test article I (HU024 60 ug/head/day), n=10;
G4: Test article II (HU025 20 ug/head/day), n=10;
G5: Test article II (HU025 60 ug/head/day), n=10;
G6: Test article III (HU026 20 ug/head/day), n=10;
G7: Test article III (HU026 60 ug/head/day), n=10;
G8: Test article IV (HU027 20 ug/head/day), n=10;
G9: Test article IV (HU027 60 ug/head/day), n=10;
G10: Reference control (마이녹실 3 %), n=10)
도 35는 모발 무게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G1: Vehicle control (Sterile distilled water for Injection), n=10;
G2: Test article I (HU024 20 ug/head/day), n=10;
G3: Test article I (HU024 60 ug/head/day), n=10;
G4: Test article II (HU025 20 ug/head/day), n=10;
G5: Test article II (HU025 60 ug/head/day), n=10;
G6: Test article III (HU026 20 ug/head/day), n=10;
G7: Test article III (HU026 60 ug/head/day), n=10;
G8: Test article IV (HU027 20 ug/head/day), n=10;
G9: Test article IV (HU027 60 ug/head/day), n=10;
G10: Reference control (마이녹실 3 %), n=10)
도 36은 안압상승동물모델에 시료 1-5를 투여하여 안압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Nor : 정상마우스
Microbead:안압상승동물모델
시료1: 타플로프로스트 + HU024(20ug/ml)
시료2: HU024(20ug/ml)
시료3: HU025(20ug/ml)
시료4: HU026(20ug/ml)
시료5: HU027(20ug/ml)
Pos Cont:타플로프로스트
도 37은 안압상승동물모델에 시료 1-5를 투여하여 시신경세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Control : 정상마우스
Microbead:안압상승동물모델
시료1: 타플로프로스트 + HU024(20ug/ml)
시료2: HU024(20ug/ml)
시료3: HU025(20ug/ml)
시료4: HU026(20ug/ml)
시료5: HU027(20ug/ml)
(+)Control:타플로프로스트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의 기재 범위 내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실시예 1. 펩티드의 합성
ADAM 메탈로펩티다제 도메인 15(ADAM metallopeptidase domain 15, ADAM 15) (GenBank accession no. AAH14566.1)의 452 - 509 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뤄진 폴리펩티드를 HU022 (서열번호 1)로 명명하였으며, 이는 디스인테그린(disintegrin) 중 일부를 포함한다.
또한, ADAM15 단백질(NCBI Reference Sequence: NM_001261464)의 디스인테그린 부분 중 RGD 모티브를 중심으로 펩타이드를 구성하되, RGD 모티브를 중심으로 3차적 구조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시스테인(cysteine)을 포함하고 이들 시스테인 간 이황화(disulfide)결합이 형성될 수 있도록 디자인하여 총 1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HU024로 명명하였다(서열번호 2).
또한, HU024와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되, 이황화결합을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된 펩타이드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HU025로 명명하였다(서열번호 3).
또한, 추가적으로, ADAM15 단백질의 디스인테그린 부분 중 RGD 모티브를 중심으로 펩타이드를 구성하되, 보다 작은 크기의 펩타이드를 제작하였는바, 총 12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HU026로 명명하고(서열번호 4), 그리고 총 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HU027로 명명하였다(서열번호 5).
이하, 이들 펩타이드의 제작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RGD 모티프를 포함하는 신규 펩티드의 합성을 위하여 고체상 펩티드 합성법(solid - phase method)을 이용하였다(Merrifield, R.B., J.Am. Chem. Soc. 85:2149, 1963). 합성하고자 하는 목적펩티드 HU024, HU025, HU026, HU027는 Fmoc chemistry를 사용하여 Rink amide MBHA resin을 합성하였고, 여기에 사용된 아미노산은 N-말단과 측쇄(side chain)부분이 9-fluorenylmethoxycarbonyl group으로 보호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였으며 합성 시 사용되는 아미노산의 양은 레진의 양 0.1mmol 기준으로 3당량인 0.3mmol을 이용하였다. 각 단계별 coupling시 C-말단의 활성화시약(activation reagent)로 DIC(N,N'-Diisoprpyl Cabodiimide)와 racemization을 막기 위한 시약으로 Cl-HOBt(6-Chloro-1-hydroxybenzotriazole)을 사용하여 각각의 서열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반응시키고, 상기 펩티드들의 Fmoc기를 제거하기 위해 50% Piperidine/DMF(50/50,v/v)용액을 상온에서 10~20분간 처리함으로써 제거시켰다. 펩티드 합성이 완료된 후, 고체상으로부터 떨어뜨리고 측쇄의 deprotection을 위해 TFA(Trifluoroacetic acid)/water(9.5/0.5,v/v)의 혼합용액을 상온에서 2시간 처리하였다. 펩티드내의 이황화 결합형성을 위하여 High dilution의 air oxidation 방법을 사용하여 분자 내 S-S 결합을 형성 시켰다. 이때에 반응을 가속화 시키기 위하여 촉매량의 DMSO를 사용하였다.
상기 합성된 펩타이드를 역상 C18 컬럼을 이용한 HPLC로 분리하고 분석용 HPLC로 95% 이상의 순도를 확인 하였고, 각각의 펩티드 분자량을 MALDI-TOF(matrix-associati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질량분석법으로 측정한 결과 측정치와 일치하였다(도 1, 도 2, 도 3 및 도 4).
합성된 폴리펩티드의 구성 아미노산 서열 및 특징을 표 1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18017251223-pat00001
아울러, 목적펩티드 HU022는 상업적으로 시판하고 있는 것(㈜아이진)을 입수하였다.
실시예 2. 화상 치료 효과
수컷 SD(Sprague-Dawley) 랫드 55마리를 5군으로 나누어, 정상군 5마리(1군, G1), 음성 대조군 9-10마리(1군, G2), 시험군 30마리(3군, 각군 10마리씩, G3, G4, G5), 및 양성 대조군 9-10마리(1군, G6)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정상군을 제외한 나머지 군에서는 화상 유발 수컷 SD 랫드를 실험대상으로 사용하였는바, SD 랫드를 마취 후 알루미늄 전기 인두기로 지름 2cm로 2도 화상을 유발하였다.
화상유발 수컷 SD 랫드에 시험물질 HU022 (G3, G4, G5), 생리식염수 (G2) 및 피블라스트(Fiblast) (G6)를 1일 1회, 1주에 7회, 7일간 반복적으로 피부에 도포하였다. 대조군(G6)에는 피블라스트 10μg/회/마리 도포하였고, 시험군은 3군으로 나누어 각군에 3.3μg/회/마리(G3), 10μg/회/마리(G4), 30μg/회/마리(G5) 도포하였다.
화상유발 후 시험물질 도포 전에 사진촬영을 실시하고, 1, 4, 8, 11, 15일째에 사진촬영을 실시하였으며, 사진촬영 후 시험물질을 도포하고 도포부위를 거즈로 덮은 후 tegaderm으로 감아주었다. 또한 화상면적 측정을 위해 촬영한 사진을 Image analyzer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화상 유발된 부위를 화상유발 후 14일째에 화상이 유발된 등 부위를 진피부위까지 적출하여 10 % 중성완충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한 후 H&E 염색를 통하여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피부 조직은 광학현미경 (Olympus BX41, Olympus, Japan)으로 관찰하여, 표피 (epidermis), 진피(dermis), 피하 (hypodermis) 및 피하근육 (muscle)에서 화상 치료와 관련된 조직학적 변화를 다음의 6가지 항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1) 가피 (Eschar), (0, 없음; 1+, 미약함; 2+, 중정도; 3+ 심함; 4+, 매우심함), 2) 염증세포침윤(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0, 없음; 1+, 상피 침윤; 2+, 진피 침윤; 3+, 피하 침윤, 4+, 근육 침윤), 3) 혈관형성 (Angiogenesis) (400배율 상에서 무작위로 3곳을 선정하여 관찰되는 모든 혈관의 개수를 count하여 평균값을 구함), 4) 피부부속기관 재생 (Pilosebaceous), (0, 없음; 1+, 재생정도가 미약함; 2+, 재생정도가 여러 곳에서 관찰; 3+, 부속기관의 재생이 형태는 정상이지만, 정상에 비해 수가 부족한 경우; 4+; 정상군과 동일한 수준), 5) 결합조직증식(Fibroplasia) (0, 정상군 수준인 경우; 1+, 진피 또는 피하 일부에서만 관찰; 2+, 진피 및 피하에서 관찰; 3+, 진피 및 피하에서 광범위하게 관찰; 4+, 화상부위 전 영역에서 관찰), 6) 상피재생 (Epidermal regeneration) (0, 재생이 관찰되지 않음; 1+, 일부에서 바닥세포 한 층으로 관찰; 2+, 바닥세포가 열을 지어 관찰, 3+, 손상된 피부의 대부분 지역에서 바닥세포가 한층 또는 다층으로 관찰되며, 가시층 또는 과립층이 구분되는 경우, 4+, 정상군 상피 구조)로 평가한 후, 그룹별로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측정결과는 모수적인 비교는 Student's t-test 및 One-Way ANOVA로 유의성을 확인하였으며, 음성 대조군과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또한 화상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검사결과는 Kruskal-Wallis' H-test를 실시하여 군간 유의성이 인정되면 Mann-Whitney U-test를 통하여 군간 비교하였다. 통계를 위한 전산 프로그램으로는 SPSS 10.1 K를 이용하였다. P<0.05인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그 결과, 시험물질 도포에 따른 별다른 이상증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정상군에 비해 화상유발군에서 8일째(Day 8)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체중감소가 관찰되었으나(P<0.01), 화상유발로 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표 2, 도 5).
Figure 112018017251223-pat00002
화상면적 측정 결과, 면적 절대값 비교에서는 음성 대조군에 비해 모든 시험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표 3, 도 6). 화상면적 감소율 (%)을 비교한 결과, 시험물질 30 μg/head/day군(G5)이 음성 대조군에 비해 Day 4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면적 감소가 관찰되었고(P<0.05), 나머지 시험물질 투여군에서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표 4, 도 7).
Figure 112018017251223-pat00003
Figure 112018017251223-pat00004
조직병리학적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5, 도 8, 도 9 및 도 10):
1) 가피 (Eschar)
화상으로 손상된 피부 상피에는 섬유소, 백혈구, 응고한 삼출액 및 괴사 조직이 함께 응고되어 가피 (eschar)를 형성하게 된다. 가피 형성 정도를 5 단계(0-4점)으로 평가하였다. 정상군 G1에서는 가피가 관찰되지 않는 정상 피부조직이었다. 음성 대조군(G2) 및 시험물질 3.3 μg/head/day 투여군(G3)에서는 평균 4.0±0.0 및 4.0±0.0 점으로 두껍게 형성된 가피가 화상이 유발된 전체 부위에서 관찰되어 매우 심함으로 평가하였다. 시험물질 10 μg/head/day 투여군(G4)은 3.2±0.6 점으로, 화상유발부위 전체 면적의 약 80 % 수준 정도로 가피가 관찰되었으며, 시험물질 30 μg/head/day 투여군(G5) 및 양성 대조군(G6)은 2.7±0.7 및 2.6±0.5 점으로 가피 형성이 감소되었다. 또한, 시험물질 10 μg/head/day 투여군(G4), 30 μg/head/day 투여군(G5) 및 양성 대조군(G6)에서는 가피 형성이 감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가피의 두께도 감소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통계학적 분석결과 음성 대조군(G2)에 비해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2) 염증세포 침윤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화상 유발 후, 급성 염증 반응이 일어나는데 림프구와 호중구 침윤이 주로 관찰된다. 염증세포 침윤 정도를 5 단계 (0-4 점)로 평가하였다. 정상군(G1)에서는 염증세포 침윤이 관찰되지 않는 정상 조직이었다. 음성 대조군(G2),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G3, G4, G5) 및 양성 대조군(G6)은 상피, 진피, 및 피하층에서 림프구, 호중구 및 단핵구 등의 염증세포 침윤이 관찰되었으며 각 그룹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3) 피부 부속기관 재생 (Pilosebaceous)
진피층에 위치하고 있는 모낭, 땀샘, 기름샘 등과 같은 피부 부속기관의 화상 후 재생 정도는 상피 재생과 더불어 중요한 피부재생 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피부 부속기관은 상피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속기관에 자리하고 있는 미분화된 세포들은 분화하여 상피로 이동, 상피의 재생과정에 참여한다. 피부 부속기관의 재생 정도는 5 단계 (0-4 점)로 평가하였다. 정상군(G1)은 모낭 및 기름샘 등의 피부 부속기관이 정상적인 구조로 관찰되어 4 점으로 평가하였다. 음성 대조군(G2)은 피부 부속기관의 재생이 전혀 관찰되지 않거나 재생 정도가 매우 미약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시험물질 10 ug/head/day 투여군(G4) 및 시험물질 30 μg/head/day 투여군(G5)에서 시험물질 농도의존적으로 피부 부속기관 재생이 촉진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피부 부속기관 재생 수준이 음성 대조군(G2) 비하여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또는 P<0.01). 양성 대조군(G6)에서도 피부 부속기관의 재생 촉진이 관찰되었고, 통계학적으로는 유의하였다(P<0.01).
4) 결합조직 증식 (Fibroplasia)
화상 유발 후, 치유과정에서 섬유아세포 증식과 이들 세포로부터 생산되는 콜라겐의 증가가 관찰된다. 결합조직 증식 정도는 5 단계(0-4 점)로 평가하였다. 피부 재생과 함께 진피에서 섬유세포 증식 및 콜라겐 형성이 치밀하게 이뤄진 후, 재생이 마무리되면서 증식한 섬유세포와 증가된 콜라겐은 서서히 감소하여 정상수준으로 마무리된다. 정상군(G1)은 섬유아세포가 관찰되지 않는 정상 조직이었다. 음성 대조군(G2),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G3, G4, G5)과 양성 대조군(G6)은 진피 및 피하에서 매우 활발한 섬유세포의 증식과 콜라겐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각 그룹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5) 상피 재생 (Epidermal regeneration)
상피세포 재생은 바닥세포 증식이 이루어지면서, 피부상피세포로 분화하여 손상되거나 탈락된 상피를 재생한다. 표피상피의 재생 정도는 상피 형성 및 바닥세포 증식 정도를 관찰하여 5 단계 (0-4 점)로 평가하였다. 정상군(G1)은 상피조직이 바닥층, 가시층, 과립층 및 각질층이 정상으로 관찰되었다. 음성 대조군(G2)은 대부분의 동물에서 상피재생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시험물질 3.3 μg/head/day 투여군(G3)에서는 일부 영역에서 미미한 수준의 바닥층 세포 재생이 관찰되었으며, 시험물질 10 μg/head/day 투여군(G4) 및 30 μg/head/day 투여군(G5)과 양성 대조군(G6)에서 보다 넓은 바닥층의 재생이 관찰되어 음성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피세포의 재생촉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P<0.05).
Figure 112018017251223-pat00005
실시예 3. 주름 개선 효과
만 30~65세의 성인 여성으로 눈가 주름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4주간 시험제품(HU022 또는 HU024)과 대조제품(D.i-water)을 무작위 배정하여 안면의 좌우에 각각 1일 2회 사용하도록 하였고, 피험자는 방문 1에서 4주간 사용할 시험제품과 대조제품을 수령하면서 동시에 제품 사용 전 평가 및 조사를 완료하도록 하였다. 방문 2, 3은 제품 사용개시 후 2주 간격으로, 각 방문 시에는 계획서에 정해진 각종 평가 및 조사에 응하도록 하였다.
평가항목 및 시험방법 그리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제품 HU022의 주름 개선 효과 평가
기기를 이용해 눈가 주름 정도를 측정하였다. 주름정도 측정 대상 부위는 피험자의 눈가 부위로서, 얼굴을 반쪽으로 나누어 왼쪽과 오른쪽을 측정부위로 하였다. 주름정도 측정을 위하여 피험자는 측정부위를 물로 씻은 후 실내온도 20~25℃, 습도 40~60%의 항온항습 조건의 대기실에서 30분간 안정을 취하여 피부표면 온도와 습도를 측정공간의 환경에 적응하게 하였으며, 안정하는 동안의 수분 섭취는 제한하였다. 객관적 측정을 위하여 연구자 1인이 측정하며, 제품 사용 전인 방문 1과 제품 사용 2, 4주 후인 방문 2, 방문 3의 각 측정 시에 동일한 부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험제품 사용 전과 사용 후 2, 4주에 시험제품과 대조제품을 적용한 부위에 대하여 제작한 피부모사판을 Visiometer SV600(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을 이용하여 transparancy profilometry analysis를 실시하여, 대조군과 시험군 각각에서 제품 사용 4주후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서 사용 전 대비 제품사용 2주, 4주 후의 R1, R2, R4, R5 측정값의 변화율을 분석하였다.
주름정도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8017251223-pat00006
시험제품(HU022) 사용에 의한 R3 수치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 전, 사용 2주후, 사용 4주 후 R3 수치를 측정하였다. 시험제품의 R3 수치는 사용 전에 34.24±3.51, 사용 2주 후에 24.41±4.16, 사용 4주 후에 18.62±2.79으로 나타났고, 대조제품의 R3 수치는 사용 전에 22.48±2.74, 사용 2주 후에 20.70±1.76, 사용 4주 후에 18.13±0.91로 나타났고, 이러한 R3 수치의 변화를 더 명확하게 알기 위하여 각 시간대별 R3 변화율을 계산하여 나타내었다(표 7, 도 13).
Figure 112018017251223-pat00007
시험제품(HU022) 사용에 의한 R1 수치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R1 수치를 측정하였다. 시험제품의 R1 수치는 사용 전에 76.23±12.15, 사용 2주 후에 54.59±10.99, 사용 4주 후에 51.06±19.28으로 나타났고, 대조제품의 R1 수치는 사용 전에 55.74±12.48, 사용 2주 후에 56.17±11.11, 사용 4주 후에 50.86±4.67로 나타났다(표 8, 도 11).
Figure 112018017251223-pat00008
시험제품(HU022) 사용에 의한 R2 수치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 전, 사용 2주후, 사용 4주 후 R2 수치를 측정하였다. 시험제품의 R2 수치는 사용 전에 54.26±5.70, 사용 2주 후에 36.87±6.02, 사용 4주 후에 29.16±2.74으로 나타났고, 대조제품의 R2 수치는 사용 전에 35.24±5.12, 사용 2주 후에 31.64±4.37, 사용 4주 후에 27.57±2.89으로 나타났다(표 9, 도 12).
Figure 112018017251223-pat00009
시험제품(HU022) 사용에 의한 R4 수치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 전, 사용 2주후, 사용 4주 후 R4 수치를 측정하였다. 시험제품의 R4 수치는 사용 전에 30.41±7.01, 사용 2주 후에 23.64±5.11, 사용 4주 후에 22.94±10.03으로 나타났고, 대조제품의 R4 수치는 사용 전에 24.50±5.43, 사용 2주 후에 25.06±5.49, 사용 4주 후에 24.42±4.57으로 나타났다(표 10, 도 14).
Figure 112018017251223-pat00010
시험제품(HU022) 사용에 의한 R5 수치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 전, 사용 2주후, 사용 4주 후 R5 수치를 측정하였다. 시험제품의 R5 수치는 사용 전에 13.57±3.65, 사용 2주 후에 9.44±2.44, 사용 4주 후에 10.10±5.97로 나타났고, 대조제품의 R5 수치는 사용 전에 11.02±2.94, 사용 2주 후에 11.44±3.14, 사용 4주 후에 10.51±1.90으로 나타났다(표 11, 도 15).
Figure 112018017251223-pat00011
또한, 3차원 이미지 촬영에 의한 주름정도를 측정하였다. 주름정도 측정 대상 부위는 피험자의 눈가부위로서, 얼굴의 오른쪽을 측정부위로 하였다. 주름정도 측정을 위하여 피험자는 측정부위를 물로 씻은 후 실내온도 20~25℃, 습도 40~60%의 항온항습 조건의 대기실에서 30분간 안정을 취하여 피부표면 온도와 습도를 측정공간의 환경에 적응하게 하였으며, 안정하는 동안의 수분 섭취는 제한하였다. 객관적 측정을 위하여 연구자 1인이 측정하며, 제품 사용 전인 방문 1과 제품 사용 2, 4주 후인 방문 2, 방문 3의 각 측정 시에 동일한 부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험제품(HU022) 사용 전과 사용 후 2, 4주에 시험제품(HU022)을 적용한 부위에 대하여 3D 피부 촬영장치(PRIMOS Premium)를 이용하여 촬영하였고, 대조군과 시험군 각각에서 제품 사용 4주후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서 사용 전 대비 제품사용 2주, 4주 후의 저장된 이미지의 주름 파라미터인 Ra, Rmax, Rt, Rp, Rv 값을 분석하였다.
주름정도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8017251223-pat00012
시험제품 사용에 의한 Ra 수치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 전, 사용 2주후, 사용 4주 후 Ra 수치를 측정하였다.
시험제품의 Ra 수치는 사용 전에 19.19±4.27, 사용 2주 후에 18.20±3.94, 사용 4주 후에 17.00±3.88로 나타났고, 대조제품의 Ra 수치는 사용 전에 14.86±4.48, 사용 2주 후에 14.94±4.73, 사용 4주 후에 14.60±4.58으로 나타났다(표 13, 도 16).
Figure 112018017251223-pat00013
시험제품 사용에 의한 Rmax 수치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Rmax 수치를 측정하였다. 시험제품의 Rmax 수치는 사용 전에 176.29±27.79, 사용 2주 후에 168.83±29.61, 사용 4주 후에 168.80±33.21으로 나타났고, 대조제품의 Rmax 수치는 사용 전에 162.81±64.15, 사용 2주 후에 159.52±61.85, 사용 4주 후에 158.36±62.80으로 나타났다(표 14, 도 17).
Figure 112018017251223-pat00014
시험제품 사용에 의한 Rt 수치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 전, 사용 2주후, 사용 4주후 Rt 수치를 측정하였다. 시험제품의 Rt 수치는 사용 전에 195.05±31.31, 사용 2주 후에 187.85±34.10, 사용 4주 후에 184.63±36.83으로 나타났고, 대조제품의 Rt 수치는 사용 전에 174.12±68.96, 사용 2주 후에 171.13±66.76, 사용 4주 후에 169.86±65.80으로 나타났다(표 15, 도 18).
Figure 112018017251223-pat00015
시험제품 사용에 의한 Rp 수치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 전, 사용 2주후, 사용 4주 후 Rp 수치를 측정하였다. 시험제품의 Rp 수치는 사용 전에 122.73±31.55, 사용 2주 후에 116.47±35.75, 사용 4주 후에 121.88±38.06으로 나타났고, 대조제품의 Rp 수치는 사용 전에 123.29±57.51, 사용 2주 후에 120.32±53.57, 사용 4주 후에 119.57±56.77로 나타났다(표 16, 도 19).
Figure 112018017251223-pat00016
시험제품 사용에 의한 Rv 수치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 전, 사용 2주후, 사용 4주 후 Rv 수치를 측정하였다. 시험제품의 Rv 수치는 사용 전에 72.32±17.16, 사용 2주 후에 71.38±16.44, 사용 4주 후에 62.75±11.92로 나타났고, 대조제품의 Rv 수치는 사용 전에 50.83±16.13, 사용 2주 후에 50.81±16.29, 사용 4주 후에 50.29±11.75으로 나타났다(표 17, 도 20).
Figure 112018017251223-pat00017
또한, 육안평가를 진행하였다. 시험제품 사용 전 및 제품 사용 후의 매 방문시에 전문들이 global photodamage score (Br J Dermatol. 2010;162(3):497-502)를 이용하여 점수화하여 주름 정도를 평가하였다. 대조군과 시험군 각 각에서 제품 사용 4주 후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서 사용 전 대비 제품사용 2주, 4주 후의 육안평가 점수값의 변화율을 분석하였다. Visual assessment score는 다음과 같다(표 18).
Figure 112018017251223-pat00018
그 결과, 시험제품의 전문가 육안평가 점수는 사용 전에 2.17±0.75, 사용 2주 후에 2.17±0.75, 사용 4주 후에 1.67±1.03으로 나타났고, 대조제품의 전문가 육안평가 점수는 사용 전에 2.33±1.03, 사용 2주 후에 2.33±1.03, 사용 4주 후에 2.33±1.03으로 나타났다(표 19, 도 21).
Figure 112018017251223-pat00019
또한, 피험자에 의한 유효성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시험제품 사용 후 피험자가 느끼는 주름 개선 정도에 대하여 개선됨(4), 약간 개선됨(3), 변화없음(2), 약간 나빠짐(1), 나빠짐(0) 5단계로 피험자 본인이 답하도록 하였다. 연구자는 각 답변에 대한 피험자 수의 백분율을 구하여 시험제품의 효능여부를 판단하였다.
주름개선에 대한 설문평가 결과, 시험제품과 대조제품 모두 사용 4주 후인 방문 3 에서 주름이 개선되며 특히 대조제품에 비해 시험제품에서 더 높은 개선도로 답하였다. 이로 보아 본 시험에 참여한 피험자는 시험제품의 주름 개선 효능에 대하여 우수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20).
Figure 112018017251223-pat00020
또한, 사용감 및 기호도 설문평가를 진행하였는바, 임상 시험제품 사용 4주 후 피험자가 느끼는 제품 사용감에 대하여 피험자가 직접 설문자료에 답하도록 하였다. 평가항목은 촉촉함, 매끄러움, 흡수성, 전반적 사용감 및 향의 정도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아주 좋음, 좋음, 보통, 나쁨, 아주 나쁨의 5단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조사 결과, 전반적으로 시험제품에 대하여 긍정적인 기호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끈적임 면에서 대조제품에 비해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내었다(표 21).
Figure 112018017251223-pat00021
또한, 순응도 평가를 진행하였는바, 방문 2, 방문 3에서 시험용 제품 사용일지를 회수하여 시험제품의 사용횟수를 확인하여 순응도를 구하였다. 각 방문 시 순응도에서 80% 미만 또는 6회 이상 연속하여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시험참여를 중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시험을 종료한 전체 순응도는 100%로, 최대 순응도는100.00%, 최저 순응도는 100.00% 였다. 본 시험에서 80% 이하의 순응도를 보인 피험자는 없었으므로, 전체 피험자의 데이터를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또한, 안전성 평가를 진행하였는바, 임상 시험제품의 안전성은 1회 이상 시험제품을 사용한 모든 피험자를 대상으로 제품 사용 후 2주째, 4주째에서 확인된 이상반응과 시험기간 동안 보고된 모든 이상반응을 종합하여 제품의 안전성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상반응에 대한 보고는 전혀 없었으며,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이학적 검사상 으로도 홍반, 발진 및 소양감 등 피부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시험제품은 피부에 자극이 없는 안전한 제품임을 알 수 있었다.
(2) 시험제품 HU024의 주름 개선 효과 평가
평가항목 및 시험방법은 시험제품 HU022 평가를 위해 실시한 바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기기를 이용해 눈가 주름 정도를 측정한 후, 시험제품 사용에 의한 R3 수치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R3 수치를 측정하였다. 시험제품의 R3 수치는 사용 전에 29.15±5.56, 사용 2주 후에 20.80±3.97, 사용 4주 후에 17.81±4.00으로 나타났고, 대조제품의 R3 수치는 사용 전에 24.43±3.12, 사용 2주 후에 23.56±3.53, 사용 4주 후에 18.57±1.86으로 나타났다(표 22, 도 24).
Figure 112018017251223-pat00022
시험제품의 R1 수치는 사용 전에 71.33±15.8, 사용 2주 후에 57.29±3.21, 사용 4주 후에 45.23±13.77로 나타났고, 대조제품의 R1 수치는 사용 전에 58.01±21.09, 사용 2주 후에 56.17±15.89, 사용 4주 후에 45.03±14.74로 나타났다(표 23, 도 22).
Figure 112018017251223-pat00023
시험제품의 R2 수치는 사용 전에 46.06±11.62, 사용 2주 후에 30.71±6.57, 사용 4주 후에 28.67±7.47로 나타났고, 대조제품의 R2 수치는 사용 전에 35.97±5.82, 사용 2주 후에 37.15±4.96, 사용 4주 후에 26.68±3.30으로 나타났다(표 24, 도 23).
Figure 112018017251223-pat00024
시험제품의 R4 수치는 사용 전에 31.44±11.04, 사용 2주 후에 26.24±2.90, 사용 4주 후에 20.64±6.07로 나타났고, 대조제품의 R4 수치는 사용 전에 26.22±11.38, 사용 2주 후에 24.11±8.82, 사용 4주 후에 20.67±8.43으로 나타났다(표 25, 도 25).
Figure 112018017251223-pat00025
시험제품의 R5 수치는 사용 전에 13.52±5.43, 사용 2주 후에 11.58±0.89, 사용 4주 후에 8.42±3.48 로 나타났고, 대조제품의 R5 수치는 사용 전에 10.93±6.72, 사용 2주 후에 10.68±5.56, 사용 4주 후에 8.79±4.95로 나타났다(표 26, 도 26).
Figure 112018017251223-pat00026
3차원 이미지 촬영에 의한 주름정도를 측정한 후, 시험제품 사용에 의한 Ra 수치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Ra 수치를 측정하였다.
시험제품의 Ra 수치는 사용 전에 18.64±3.19, 사용 2주 후에 18.33±2.12, 사용 4주 후에 17.71±2.43으로 나타났고, 대조제품의 Ra 수치는 사용 전에 15.49±2.77, 사용 2주 후에 15.23±2.51, 사용 4주 후에 15.53±2.46으로 나타났다(표 27, 도 27).
Figure 112018017251223-pat00027
시험제품의 Rmax 수치는 사용 전에 206.55±40.54, 사용 2주 후에 198.77±39.74, 사용 4주 후에 196.85±39.02로 나타났고, 대조제품의 Rmax 수치는 사용 전에 162.86±35.17, 사용 2주 후에 158.09±40.68, 사용 4주 후에 165.26±39.77으로 나타났다(표 28, 도 28).
Figure 112018017251223-pat00028
시험제품의 Rt 수치는 사용 전에 225.94±45.00, 사용 2주 후에 216.37±41.76, 사용 4주 후에 210.60±38.61 로 나타났고, 대조제품의 Rt 수치는 사용 전에 174.55±34.66, 사용 2주 후에 167.65±41.28, 사용 4주 후에 176.14±39.43으로 나타났다(표 29, 도 29).
Figure 112018017251223-pat00029
시험제품의 Rp 수치는 사용 전에 160.85±37.51, 사용 2주 후에 155.24±43.18, 사용 4주 후에 153.78±36.12 로 나타났고, 대조제품의 Rp 수치는 사용 전에 118.80±39.02, 사용 2주 후에 112.77±44.16, 사용 4주 후에 123.39±42.81으로 나타났다(표 30, 도 30).
Figure 112018017251223-pat00030
시험제품의 Rv 수치는 사용 전에 65.09±11.95, 사용 2주 후에 61.12±8.02, 사용 4주 후에 56.82±12.01로 나타났고, 대조제품의 Rv 수치는 사용 전에 55.75±17.98, 사용 2주 후에 54.87±21.72, 사용 4주 후에 52.75±15.00으로 나타났다(표 31, 도 31).
Figure 112018017251223-pat00031
육안평가 점수값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전문가 육안평가 점수를 평가하였다.
시험제품의 전문가 육안평가 점수는 사용 전에 2.00±0.63, 사용 2주 후에 2.00±0.63, 사용 4주 후에 1.67±0.82 로 나타났고, 대조제품의 전문가 육안평가 점수는 사용 전에 2.00±0.63, 사용 2주 후에 2.00±0.63, 사용 4주 후에 2.00±0.63으로 나타났다(표 32, 도 32).
Figure 112018017251223-pat00032
주름개선에 대한 설문평가 결과, 시험제품과 대조제품 모두 사용 4주 후인 방문 3 에서 주름이 개선되며 특히 대조제품에 비해 시험제품에서 더 높은 개선도로 답하였다. 이로 보아 본 시험에 참여한 피험자는 시험제품의 주름 개선 효능에 대하여 우수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18017251223-pat00033
시험제품의 촉촉함, 매끄러움, 발림성, 흡수성, 끈적임, 향에 대하여 피험자가 느끼는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전반적으로 시험제품에 대하여 긍정적인 기호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끈적임 면에서 대조제품에 비해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17251223-pat00034
또한, 본 시험제품을 4주간 피험자가 사용하는 동안 이상반응에 대한 보고는 전혀 없었으며,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이학적 검사상으로도 홍반, 발진 및 소양감 등 피부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시험제품은 피부에 자극이 없는 안전한 제품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발모 시험 효과
본 시험은 시험물질 HU024, HU025, HU026, HU027, 4 종을 14 일간 피부 도포하였을 때, C57BL/6 마우스의 발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군 구성은 음성 대조군(멸균주사용수 G1), 시험물질 HU024 20 ug/head/day (G2), 시험물질 HU024 60 ug/head/day (G3), 시험물질 HU025 20 ug/head/day (G4), 시험물질 HU025 60 ug/head/day (G5), 시험물질 HU026 20 ug/head/day (G6), 시험물질 HU026 60 ug/head/day (G7), 시험물질 HU027 20 ug/head/day (G8), 시험물질 HU027 60 ug/head/day (G9) 및 양성 대조군 마이녹실 3 % (G10) 투여군으로 설정하였다. 각 군당 동물은 10 마리로 실시하였다.
동물은 졸레틸(1 mL/kg, i.p)을 이용하여 마취시킨 후 동물의 등부위를 제모기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제모한 다음 Veet 제모제를 등부위에 골고루 도포하였다. 5 분 정도 경과 후 도포부위를 멸균주사용수를 묻힌 거즈를 이용하여 깨끗이 닦아내었다. 모발이 제거된 동물의 등부위 피부색깔이 선홍색인 동물만을 군분리에 이용하였다. 1회/일, 7 회/주, 14 일간 도포하였고, 매일 동일 부위에 유리막대로 약 10 회 정도 문지르며 제모부위(등배부)에 골고루 도포하였다.
시험항목으로는 사망동물, 일반증상, 체중변화, 발모면적 및 모발무게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시험물질 도포면적에 대하여 모발이 자라나는 면적(%)을 측정하여 판정하였으며, Image analyzer program (Imgae Pro Plus ver. 6.3, Cybermetics,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은 시험물질 투여 후 1, 3, 7, 10 및 14 일째 측정하였다. 사진촬영은 모발면적 측정일에 같이 측정하였다. 도포 종료 다음날, 동물을 CO2 gas로 계획치사 후 발모부위의 모발을 제모기로 제모하여 모발무게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18017251223-pat00035
측정 결과는 SPSS (ver. 10.1K)를 사용하였으며, 체중변화는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한 Duncan t-test를 실시하였고, 모발무게는 Student's t-test로 군간 비교하였고, 발모면적은 비모수적인 다중비교(nonparametric multiple comparison procedures)인 Whittney-Mann methods를 통하여 군간 비교하였다. P<0.05인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변화와 관련해,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시험물질 투여군에서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대조물질 마이녹실 3 % 투여군은 투여 7 및 11 일차에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체중증가가 관찰되었다(P<0.05 또는 P<0.01). 대조물질 마이녹실 3 % 투여군에서의 체중증가는 마이녹실의 유효성분인 미녹시딜에 의한 체중증가 부작용으로 판단하였다(표 36, 도 33).
Figure 112018017251223-pat00036
발모면적 측정 결과, 도포 7 일차까지는 시험물질 투여군과 음성 대조군과의 비교에서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10 및 14 일차에서 시험물질 HU025 60 ug/head/day 투여군(G5)에서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발모면적 증가가 관찰되었다(P<0.05). 시험물질 HU025 20 ug/head/day 투여군을 제외한 다른 시험물질 투여군에서도 10 및 14 일차에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20 %이상의 발모면적 증가경향이 관찰되었다. 대조물질인 마이녹실 3 % 투여군은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4, 10 및 14 일차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발모면적 증가가 관찰되었다(P<0.01)(표 37, 도 34).
Figure 112018017251223-pat00037
모발무게 측정 결과, 시험물질 HU026 60 ug/head/day 투여군에서는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모발무게 증가가 관찰되었다(P<0.05). 그 이외의 시험물질 투여군에서는 HU025 20 ug/head/day 및 HU027 20 ug/head/day 투여군을 제외한 나머지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100 % 이상의 무게 증가가 관찰되었다. 대조물질 마이녹실 3 % 투여군에서는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모발무게 증가가 관찰되었다(P<0.01) (표 38, 도 35).
Figure 112018017251223-pat00038
실시예 5. 녹내장 시험 효과
대조약으로는 타플로탄점안액(한국산텐제약)을 사용하였고, 시험약으로는 타플로타점안액 + HU024(시료1), HU024(시료2), HU025(시료3), HU026(시료4), HU027(시료5)을 사용하여 마이크로비드로 안압을 상승시킨 녹내장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동물모델은 럼푼주사액과 졸레틸을 혼합하여 실험동물을 마취한 후 안구에 국소마취제인 알카인을 점안하고 마이크로 글라스 니들을 이용하여 앞방(anterior chamber)에 1x106 microbead/mL 1 μL를 주입하여 2주간 안압상승을 유도하였다.(IOVS 2011 Vol. 52 36-)
대조약 및 시료 5종은 2주간 안압이 상승한 실험동물에 제공, 시료 5종을 1일 1회 점안하여 약효를 비교검증 하였고 4주간 투여를 통해 안압하강과 망막시신경세포를 관찰하였다.
안압(Intra ocular pressure)은 접촉식 안압계인 Tono lab의 tonometer TV02 모델을 사용해 측정하였다. 또한, 녹내장 동물모델의 망막 시신경 세포를 분석하기 위해 마취된 쥐의 두피를 절개하고 두개골을 노출한 후, Bregma, Lamda를 기점으로 시신경과 연결된 뇌 부위인 상구(superior culiculus)의 좌표를 확인하고, 좌표에 마크한 후 타공하여 3% Fluorogold를 주입하였다. 형광프로브 주입 5~7일후 안구를 적출하고 4% paraformaldehyde에 상온에서 4시간 고정하였다. 고정한 안구는 맥락막으로부터 망막을 분리하여 슬라이드 위에 마운트 하였다. 각 실험군 슬라이드는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형광을 발현하는 시신경 세포를 확인하고 40배 200배로 촬영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안압시험결과 2주간 상승한 안압은 21.9±8.3 mmHg까지 상승하였다. 안압상승 확인 후 1~5번 시료를 투여한 결과는 도 36과 같다. 2번, 3번 시료에서 안압하강이 관찰되었으며 나머지 시료에서는 유의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안압이 미세하게 하강하는 것은 microbead 모델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시료의 안압하강 효과와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양성대조군은 보고된 바와 같이 안압하강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고 음성대조군에 비해 상당히 하강한 안압 수치(15.9±2.9, 20.89%)를 보여주었다(도 36).
시신경 세포 분석 결과 음성대조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시신경 세포 사멸이 관찰되었으며, 3번 시료, 4번 시료 투여그룹 및 양성대조군인 Tafluprost를 점안한 그룹에서 시신경세포 사멸이 보호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3번 시료의 경우 도 36에서와 같이 하강한 안압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며, 4번 시료의 경우 안압은 하강하지 않았지만 시신경세포 보호효과가 나타났다(도37).
결론적으로 3번 시료인 HU025시료의 경우 녹내장의 특징인 안압하강의 효력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국내 녹내장환자의 많은 경우 안압이 높지 않으면서도 시신경 손상으로 인해 시력을 잃는데, HU025시료의 경우 손상된 시신경의 회복에도 효능이 있었는바, 녹내장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10> Huons <120> Composition for treating burns and glaucoma, improving skin wrinkle, and enhancing hair growth comprising peptides containing RGD motif and fragments thereof <130> P14-409 <160> 6 <170> KopatentIn 2.0 <210> 1 <211> 58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Thr Cys Gln Leu Arg Pro Gly Ala Gln Cys Ala Ser Asp Gly Pro Cys 1 5 10 15 Cys Gln Asn Cys Gln Leu Arg Pro Ser Gly Trp Gln Cys Arg Pro Thr 20 25 30 Arg Gly Asp Cys Asp Leu Pro Glu Phe Cys Pro Gly Asp Ser Ser Gln 35 40 45 Cys Pro Pro Asp Val Ser Leu Gly Asp Gly 50 55 <210> 2 <211> 15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DISULFID <222> (7)..(13) <400> 2 Arg Pro Thr Arg Gly Asp Cys Asp Leu Pro Glu Phe Cys Pro Gly 1 5 10 15 <210> 3 <211> 15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 Arg Pro Thr Arg Gly Asp Cys Asp Leu Pro Glu Phe Cys Pro Gly 1 5 10 15 <210> 4 <211> 1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DISULFID <222> (5)..(11) <400> 4 Thr Arg Gly Asp Cys Asp Leu Pro Glu Phe Cys Pro 1 5 10 <210> 5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5 Arg Pro Thr Arg Gly Asp Cys Asp Leu 1 5 <210> 6 <211> 814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 Met Arg Leu Ala Leu Leu Trp Ala Leu Gly Leu Leu Gly Ala Gly Ser 1 5 10 15 Pro Leu Pro Ser Trp Pro Leu Pro Asn Ile Gly Gly Thr Glu Glu Gln 20 25 30 Gln Ala Glu Ser Glu Lys Ala Pro Arg Glu Pro Leu Glu Pro Gln Val 35 40 45 Leu Gln Asp Asp Leu Pro Ile Ser Leu Lys Lys Val Leu Gln Thr Ser 50 55 60 Leu Pro Glu Pro Leu Arg Ile Lys Leu Glu Leu Asp Gly Asp Ser His 65 70 75 80 Ile Leu Glu Leu Leu Gln Asn Arg Glu Leu Val Pro Gly Arg Pro Thr 85 90 95 Leu Val Trp Tyr Gln Pro Asp Gly Thr Arg Val Val Ser Glu Gly His 100 105 110 Thr Leu Glu Asn Cys Cys Tyr Gln Gly Arg Val Arg Gly Tyr Ala Gly 115 120 125 Ser Trp Val Ser Ile Cys Thr Cys Ser Gly Leu Arg Gly Leu Val Val 130 135 140 Leu Thr Pro Glu Arg Ser Tyr Thr Leu Glu Gln Gly Pro Gly Asp Leu 145 150 155 160 Gln Gly Pro Pro Ile Ile Ser Arg Ile Gln Asp Leu His Leu Pro Gly 165 170 175 His Thr Cys Ala Leu Ser Trp Arg Glu Ser Val His Thr Gln Thr Pro 180 185 190 Pro Glu His Pro Leu Gly Gln Arg His Ile Arg Arg Arg Arg Asp Val 195 200 205 Val Thr Glu Thr Lys Thr Val Glu Leu Val Ile Val Ala Asp His Ser 210 215 220 Glu Ala Gln Lys Tyr Arg Asp Phe Gln His Leu Leu Asn Arg Thr Leu 225 230 235 240 Glu Val Ala Leu Leu Leu Asp Thr Phe Phe Arg Pro Leu Asn Val Arg 245 250 255 Val Ala Leu Val Gly Leu Glu Ala Trp Thr Gln Arg Asp Leu Val Glu 260 265 270 Ile Ser Pro Asn Pro Ala Val Thr Leu Glu Asn Phe Leu His Trp Arg 275 280 285 Arg Ala His Leu Leu Pro Arg Leu Pro His Asp Ser Ala Gln Leu Val 290 295 300 Thr Gly Thr Ser Phe Ser Gly Pro Thr Val Gly Met Ala Ile Gln Asn 305 310 315 320 Ser Ile Cys Ser Pro Asp Phe Ser Gly Gly Val Asn Met Asp His Ser 325 330 335 Thr Ser Ile Leu Gly Val Ala Ser Ser Ile Ala His Glu Leu Gly His 340 345 350 Ser Leu Gly Leu Asp His Asp Leu Pro Gly Asn Ser Cys Pro Cys Pro 355 360 365 Gly Pro Ala Pro Ala Lys Thr Cys Ile Met Glu Ala Ser Thr Asp Phe 370 375 380 Leu Pro Gly Leu Asn Phe Ser Asn Cys Ser Arg Arg Ala Leu Glu Lys 385 390 395 400 Ala Leu Leu Asp Gly Met Gly Ser Cys Leu Phe Glu Arg Leu Pro Ser 405 410 415 Leu Pro Pro Met Ala Ala Phe Cys Gly Asn Met Phe Val Glu Pro Gly 420 425 430 Glu Gln Cys Asp Cys Gly Phe Leu Asp Asp Cys Val Asp Pro Cys Cys 435 440 445 Asp Ser Leu Thr Cys Gln Leu Arg Pro Gly Ala Gln Cys Ala Ser Asp 450 455 460 Gly Pro Cys Cys Gln Asn Cys Gln Leu Arg Pro Ser Gly Trp Gln Cys 465 470 475 480 Arg Pro Thr Arg Gly Asp Cys Asp Leu Pro Glu Phe Cys Pro Gly Asp 485 490 495 Ser Ser Gln Cys Pro Pro Asp Val Ser Leu Gly Asp Gly Glu Pro Cys 500 505 510 Ala Gly Gly Gln Ala Val Cys Met His Gly Arg Cys Ala Ser Tyr Ala 515 520 525 Gln Gln Cys Gln Ser Leu Trp Gly Pro Gly Ala Gln Pro Ala Ala Pro 530 535 540 Leu Cys Leu Gln Thr Ala Asn Thr Arg Gly Asn Ala Phe Gly Ser Cys 545 550 555 560 Gly Arg Asn Pro Ser Gly Ser Tyr Val Ser Cys Thr Pro Arg Asp Ala 565 570 575 Ile Cys Gly Gln Leu Gln Cys Gln Thr Gly Arg Thr Gln Pro Leu Leu 580 585 590 Gly Ser Ile Arg Asp Leu Leu Trp Glu Thr Ile Asp Val Asn Gly Thr 595 600 605 Glu Leu Asn Cys Ser Trp Val His Leu Asp Leu Gly Ser Asp Val Ala 610 615 620 Gln Pro Leu Leu Thr Leu Pro Gly Thr Ala Cys Gly Pro Gly Leu Val 625 630 635 640 Cys Ile Asp His Arg Cys Gln Arg Val Asp Leu Leu Gly Ala Gln Glu 645 650 655 Cys Arg Ser Lys Cys His Gly His Gly Val Cys Asp Ser Asn Arg His 660 665 670 Cys Tyr Cys Glu Glu Gly Trp Ala Pro Pro Asp Cys Thr Thr Gln Leu 675 680 685 Lys Ala Thr Ser Ser Leu Thr Thr Gly Leu Leu Leu Ser Leu Leu Val 690 695 700 Leu Leu Val Leu Val Met Leu Gly Ala Ser Tyr Trp Tyr Arg Ala Arg 705 710 715 720 Leu His Gln Arg Leu Cys Gln Leu Lys Gly Pro Thr Cys Gln Tyr Arg 725 730 735 Ala Ala Gln Ser Gly Pro Ser Glu Arg Pro Gly Pro Pro Gln Arg Ala 740 745 750 Leu Leu Ala Arg Gly Thr Lys Ser Gln Gly Pro Ala Lys Pro Pro Pro 755 760 765 Pro Arg Lys Pro Leu Pro Ala Asp Pro Gln Gly Arg Cys Pro Ser Gly 770 775 780 Asp Leu Pro Gly Pro Gly Ala Gly Ile Pro Pro Leu Val Val Pro Ser 785 790 795 800 Arg Pro Ala Pro Pro Pro Pro Thr Val Ser Ser Leu Tyr Leu 805 810

Claims (5)

  1. RGD 모티프(Arg-Gly-Asp motif)를 포함하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의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시신경 보호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단편은 하기 단편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i)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2 - 43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36번째 시스테인과 42번째 시스테인 간에 이황화결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및
    ii)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30 - 44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단편 내 시스테인 간 이황화결합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시신경을 보호하여 녹내장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국소 투여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180019456A 2014-12-31 2018-02-19 Rgd 모티프 함유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화상 및 녹내장 치료, 피부 주름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412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276A KR102412659B1 (ko) 2014-12-31 2021-03-15 Rgd 모티프 함유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화상 및 녹내장 치료, 피부 주름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008 2014-12-31
KR20140195008 2014-12-31
KR1020150191296A KR101832121B1 (ko) 2014-12-31 2015-12-31 Rgd 모티프 함유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화상 및 녹내장 치료, 피부 주름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296A Division KR101832121B1 (ko) 2014-12-31 2015-12-31 Rgd 모티프 함유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화상 및 녹내장 치료, 피부 주름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276A Division KR102412659B1 (ko) 2014-12-31 2021-03-15 Rgd 모티프 함유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화상 및 녹내장 치료, 피부 주름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764A KR20180021764A (ko) 2018-03-05
KR102412658B1 true KR102412658B1 (ko) 2022-06-23

Family

ID=5628471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296A KR101832121B1 (ko) 2014-12-31 2015-12-31 Rgd 모티프 함유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화상 및 녹내장 치료, 피부 주름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180019456A KR102412658B1 (ko) 2014-12-31 2018-02-19 Rgd 모티프 함유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화상 및 녹내장 치료, 피부 주름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210033276A KR102412659B1 (ko) 2014-12-31 2021-03-15 Rgd 모티프 함유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화상 및 녹내장 치료, 피부 주름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296A KR101832121B1 (ko) 2014-12-31 2015-12-31 Rgd 모티프 함유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화상 및 녹내장 치료, 피부 주름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276A KR102412659B1 (ko) 2014-12-31 2021-03-15 Rgd 모티프 함유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화상 및 녹내장 치료, 피부 주름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463720B2 (ko)
EP (1) EP3241557B1 (ko)
JP (3) JP6510054B2 (ko)
KR (3) KR101832121B1 (ko)
CN (1) CN107206047B (ko)
ES (1) ES2836426T3 (ko)
WO (1) WO20161086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727B1 (ko) * 2017-09-04 2020-04-06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질환 개선용 조성물
US10494403B2 (en) * 2018-03-06 2019-12-03 Ciphore Biomed Technology Limited Company Cyclopeptide,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200044321A (ko) * 2018-10-19 2020-04-29 아이진 주식회사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9620768A (zh) * 2018-11-19 2019-04-16 范梦婷 多肽靶向因子复合物
CN110404051A (zh) * 2019-03-27 2019-11-05 汪炬 用于治疗脱发的短肽、药物及其应用
WO2021185719A1 (en) * 2020-03-15 2021-09-23 Ac Bioscience Sa Rgd-containing peptide and use thereof for cancer treatment
CN113421335B (zh) * 2021-07-21 2022-04-26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图像处理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9063B2 (ja) 1992-01-29 2004-10-20 ブルスケッティニ エッセ エッレ エッレ 緑内障の治療に有用な薬剤の製造のためのx−arg−gly−asp−yの使用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488A (ja) 1996-06-25 1998-01-20 Asahi Glass Co Ltd 緑内障治療薬
NZ521437A (en) * 2000-02-25 2004-04-30 Immunex Corp Integrin antagonists suitable as inhibitors of angiogenesis
US20080274955A1 (en) 2004-04-13 2008-11-06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Novel Use of a Polypeptide Comprising Fas-1 Domain
US20070065415A1 (en) * 2005-09-16 2007-03-22 Kleinsek Donald A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augmentation and repair of defects in tissue
US9101581B2 (en) * 2008-10-27 2015-08-11 Eyegene Inc. Method for treating vascular-related disease
EP2243488B1 (en) * 2006-01-19 2013-08-14 Eyegene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vascular-related diseases comprising peptide
KR100824396B1 (ko) * 2006-10-10 2008-04-22 (주)케어젠 상피세포 성장인자의 활성을 가지는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US7943728B2 (en) 2006-12-26 2011-05-17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Disintegrin variants and their use in treating osteoporosis-induced bone loss and angiogenesis-related diseases
KR20140130725A (ko) 2007-09-21 2014-11-11 아이진 주식회사 트롬빈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망막증 또는 녹내장 치료용 조성물
JP2009263358A (ja) 2008-03-31 2009-11-12 Shiseido Co Ltd 血管の成熟化、正常化又は安定化剤及びしわ防止・改善剤
WO2011079175A1 (en) 2009-12-23 2011-06-30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angiogenesis-related eye diseases
US20140079686A1 (en) * 2010-12-06 2014-03-20 Shikha P. Barman Methods For Treating Baldness And Promoting Hair Growth
WO2012121695A1 (en) * 2011-03-04 2012-09-13 Al-Qahtani Ahmed H Skin cream
KR101421629B1 (ko) * 2012-03-12 2014-07-22 아이진 주식회사 동맥경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9063B2 (ja) 1992-01-29 2004-10-20 ブルスケッティニ エッセ エッレ エッレ 緑内障の治療に有用な薬剤の製造のためのx−arg−gly−asp−yの使用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enBank: AAH 14566.1(ADAM metallopeptidase domain 15, 2007.09.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1557A1 (en) 2017-11-08
JP2018502116A (ja) 2018-01-25
JP6510054B2 (ja) 2019-05-08
US20170368153A1 (en) 2017-12-28
JP6910391B2 (ja) 2021-07-28
CN107206047B (zh) 2021-07-23
KR20180021764A (ko) 2018-03-05
KR101832121B1 (ko) 2018-02-26
JP6805287B2 (ja) 2020-12-23
CN107206047A (zh) 2017-09-26
JP2019123743A (ja) 2019-07-25
US20200000891A1 (en) 2020-01-02
EP3241557B1 (en) 2020-09-09
KR102412659B1 (ko) 2022-06-23
ES2836426T3 (es) 2021-06-25
WO2016108669A1 (ko) 2016-07-07
KR20210034559A (ko) 2021-03-30
JP2019123742A (ja) 2019-07-25
US10463720B2 (en) 2019-11-05
US10632181B2 (en) 2020-04-28
EP3241557A4 (en) 2018-06-20
KR20160081858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2659B1 (ko) Rgd 모티프 함유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화상 및 녹내장 치료, 피부 주름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070089907A (ko) 피부 병태, 질환 또는 질병의 치료를 위한 태아 피부 세포단백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1900748B1 (ko)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가지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DE102004004509B4 (de) Einsatz von niedrig dosiertem Erythropoietin zur Stimulation endothelialer Vorläuferzellen sowie zur Organregeneration und Progressionsverlangsamung von Endorganschäden
NO179195B (no) Topisk kosmetisk preparat
KR101965396B1 (ko) 피부의 노화 치료제
AU2013353957B2 (en) Protein slurp-1 for use in the treatment of ocular diseases
KR101623375B1 (ko) 키토산 및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주사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1917026B1 (ko)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6124B1 (ko) 피부 상태 개선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가지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627823B1 (ko) 우유로부터 유래된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흉터 생성 억제용 조성물
Karslioğlu et al. Periocular changes in topical bimatoprost and latanoprost use
CN101132804A (zh) 治疗皮肤情况,失调或疾病的胚胎皮肤细胞蛋白组合物及其制备和使用方法
WO2023092926A1 (zh) 一类促进组织修复的新多肽及其应用
TWI476010B (zh) 促進毛髮生長之組合物
JP2023519936A (ja) 皮膚症状の治療および化粧用途のためのアセチルコリンエステラーゼのc末端に由来する環状ペプチド
KR20220001141A (ko) 베라파밀을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조성물
JP2023519935A (ja) 皮膚症状に用いるためのアセチルコリンエステラーゼのc末端に由来するポリペプチド
WO2016122169A1 (ko) 뉴레귤린을 포함하는 상처 또는 안구건조증의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