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186B1 -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186B1
KR102403186B1 KR1020200176947A KR20200176947A KR102403186B1 KR 102403186 B1 KR102403186 B1 KR 102403186B1 KR 1020200176947 A KR1020200176947 A KR 1020200176947A KR 20200176947 A KR20200176947 A KR 20200176947A KR 102403186 B1 KR102403186 B1 KR 102403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unit
zone
moving block
transfer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3186B9 (ko
Inventor
김진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원이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원이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원이앤에스
Priority to KR1020200176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186B1/ko
Publication of KR10240318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18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6Control of workpiece movement, e.g. modulation of travel of feed do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8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having finge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 B25J9/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by rotating at least one arm, excluding the head movement itself, e.g. cylindrical coordinate type or polar coordinate type
    • B25J9/046Revolute coordinate typ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3/00Inspecting textile materials
    • D06H3/08Inspecting textile materials by photo-electric or televis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부분품으로 사용되는 원단을 자동화 방식으로 봉제할 수 있는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의류의 부분품으로 사용되는 원단을 패턴 방식으로 봉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부면이 위치에 따라 제1구역과 제2구역과 제3구역과 제4구역과 제5구역으로 구획되는 베드부; 상기 제1구역에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원단이 상하로 적재되는 원단공급적재부; 상기 제1구역과 상기 제2구역 상에 구비되고 3차원 형태로 이동 가능하여 상기 제1구역에서 상기 원단공급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원단을 한 개씩 차례대로 클램핑하여 상기 제2구역으로 이송 공급하는 원단공급부; 상기 베드부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다관절 운동 가능하여 상기 원단공급부에 의해 상기 제2구역으로 이송 공급된 상기 원단을 한 개씩 차례대로 제1시각에 상기 제3구역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3구역으로 이송된 상기 원단을 상기 제1시각에서 제1시간 경과한 제2시각에 상기 제4구역으로 이송하는 원단이송부; 상기 제3구역에 구비되어 상기 원단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3구역으로 이송된 상기 원단을 상기 제1시간 내에 패턴 방식으로 봉제하는 패턴봉제부; 상기 제4구역과 상기 제5구역 상에 구비되고 3차원 형태로 이동 가능하여 상기 제2시각 이후에 상기 원단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4구역으로 이송된 상기 원단을 클램핑하여 상기 제5구역으로 이송 배출하는 원단배출부; 및 상기 제5구역에 구비되고 상기 원단배출부에 의해 이송 배출된 상기 원단이 상부면에 적재되는 원단배출적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Automatic pattern sewing apparatus for clothing part fabric}
본 발명은 의류 부분품으로 사용되는 원단을 자동화 방식으로 패턴 봉제할 수 있는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단 봉제 공정은 전공정과 본공정 및 후공정으로 구분되는 다단 및 연속 공정이므로 작업자의 기술 숙련도에 따라 의류 완제품에 대한 품질의 차이가 극명하게 나타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원단 봉제 공정을 수행하는 원단 봉제 공장은 작업자의 고령화와 작업자의 부족 현상 및 의류의 수입 증가 등으로 인해 공동화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설정이다.
그리하여 원단 봉제 공장은 인력난으로 인해 중견업체에서 중소업체로, 중소업체에서 영세업체로 전환되면서 원단 봉제 산업이 영세 업체 위주로 재편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편 소규모 원단 봉제 공장은 대부분 작업자의 수가 10명 내외이면서 원단 입고에서부터 시작하여 원단 재단, 봉제, 다림질, 포장 공정에 이르기까지 모두 자체적으로 처리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작업자의 수가 더 줄어들게 된다면 공장을 계속적으로 운영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러면 섬유 패션 산업의 기반이 무너지면서 수입 의류 비중이 더욱 많이 차지하여 소비자의 의류 구입에 따른 비용 부담을 높이는 폐단을 초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소규모 원단 봉제 공장의 안정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하여 섬유 팬션 산업의 제조 기반을 새롭게 확립하여 섬유 패션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위해서는 의류 제조 공정들 중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봉제 공정을 로봇을 이용하여 자동화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는 원단 자동 봉제 장치에 대한 개발과 보급이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6459호, 2019.06.05.자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소규모 원단 봉제 공장의 안정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하여 섬유 팬션 산업의 제조 기반을 새롭게 확립하여 섬유 패션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위해서는 의류 제조 공정들 중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패턴 봉제 공정을 로봇을 이용하여 자동화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의류 부품품 원단 자동 봉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면서 본 발명의 목적에 충분히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는 의류의 부분품으로 사용되는 원단을 패턴 방식으로 봉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부면이 위치에 따라 제1구역과 제2구역과 제3구역과 제4구역과 제5구역으로 구획되는 베드부; 상기 제1구역에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원단이 상하로 적재되는 원단공급적재부; 상기 제1구역과 상기 제2구역 상에 구비되고 3차원 형태로 이동 가능하여 상기 제1구역에서 상기 원단공급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원단을 한 개씩 차례대로 클램핑하여 상기 제2구역으로 이송 공급하는 원단공급부; 상기 베드부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다관절 운동 가능하여 상기 원단공급부에 의해 상기 제2구역으로 이송 공급된 상기 원단을 한 개씩 차례대로 제1시각에 상기 제3구역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3구역으로 이송된 상기 원단을 상기 제1시각에서 제1시간 경과한 제2시각에 상기 제4구역으로 이송하는 원단이송부; 상기 제3구역에 구비되어 상기 원단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3구역으로 이송된 상기 원단을 상기 제1시간 내에 패턴 방식으로 봉제하는 패턴봉제부; 상기 제4구역과 상기 제5구역 상에 구비되고 3차원 형태로 이동 가능하여 상기 제2시각 이후에 상기 원단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4구역으로 이송된 상기 원단을 클램핑하여 상기 제5구역으로 이송 배출하는 원단배출부; 및 상기 제5구역에 구비되고 상기 원단배출부에 의해 이송 배출된 상기 원단이 상부면에 적재되는 원단배출적재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는 하기와 같은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베드부와 원단공급적재부와 원단공급부와 원단이송부와 패턴봉제부와 원단배출부 및 원단배출적재부가 포함되어 원단을 자동으로 공급하고 이송하며 봉제하고 배출하면서 패턴 봉제 공정을 자동화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카라, 손목, 포켓 등과 같은 의류 부분품을 신속 편리하게 제조하여 생산인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원단위치인식부와 제2원단위치인식부가 더 포함되어 원단을 그리핑하거나 클램핑할 때 정확한 위치에서 그리핑하거나 클램핑할 수 있으므로 자동화 방식의 봉제 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의류 부분품으로 사용되는 원단을 봉제하기 위한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는 의류 제조 공정들 중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의류 부분품 원단에 대한 패턴 봉제 공정을 로봇을 이용하여 자동화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는 의류의 부분품으로 사용되는 복수 개의 원단(F)을 자동화 방식으로 패턴 봉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부(100), 원단공급적재부(200), 원단공급부(300), 원단이송부(400), 패턴봉제부(500), 원단배출부(600) 및 원단배출적재부(70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베드부(100)는 바닥과는 소정높이를 두고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베드부(100)는 원단(F)에 대한 자동화 봉제 공정을 위해 상부면에 원단(F)이 펼쳐진 상태로 안착될 수 있는 안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베드부(100)의 상부면은 위치에 따라 제1구역(110)과 제2구역(120)과 제3구역(130)과 제4구역(140)과 제5구역(150)으로 구획될 수 있다.
즉, 베드부(100)의 상부면은 위치별로 총 5개의 구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제1구역(110)은 제1위치에 구획되고 제2구역(120)은 제1위치의 우측과 이웃하는 제2위치에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제3구역(140)은 제2위치의 우측에 이웃하는 제3위치에 구획되고 제4구역(140)은 제2위치의 후측에 위치하는 제4위치에 구획되며 제5구역(150)은 제2위치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5위치에 구획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원단공급적재부(200)는 베드부(100)의 상부면에 구획된 제1구역(110)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원단공급적재부(200)는 복수 개의 원단(F)이 작업자에 의해 상하로 적재될 수 있는 원단적재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원단공급부(300)는 베드부(100)의 상부면에 구획된 제1구역(110)과 제2구역(120) 상에 3차원 형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단공급적재부(200)에 적재된 복수 개의 원단(F)을 제2구역(120)으로 이송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단공급부(300)는 제1구역(110)과 제2구역(120)의 상부에 좌우 수평으로 배치되고 제1이동블록(311)이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LM가이드(310)와, 제1이동블록(311)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어 전후 수평으로 배치되고 제2이동블록(321)이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제2LM가이드(320)와, 제2이동블록(311)에 상하 수직으로 배치되고 제3이동블록(331)이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제3LM가이드(330)와, 제3이동블록(331)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340)과, 지지프레임(340)의 단부에 설치되고 원단(F)을 클램핑하는 클램프유닛(3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클램프유닛(350)은 제1이동블록(311)이 제1LM가이드(310)를 따라 좌우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고 제2이동블록(321)이 제2LM가이드(320)를 따라 전후 수평 방향(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며 제3이동블록(331)이 제3LM가이드(330)를 따라 상하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함에 따라 3차원 형태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유닛(350)은 제1LM가이드(310)와 제2LM가이드(320) 및 제3LM가이드(330)에 의해 3차원 형태의 이동하면서 제1구역(110)에 적재된 복수 개의 원단(F)을 한 개씩 차례대로 클램핑한 후 제2구역(120)으로 이송하여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원단이송부(400)는 원단공급부(300)에 의해 원단공급적재부(200)에 적재되는 복수 개의 원단(F) 중에서 상부에 위치한 원단(F)부터 한 개씩 차례대로 그리핑하여 제3구역(140)으로 이송한 후 다시 그리핑하여 제4구역(140)으로 이송할 수 있다.
즉, 원단이송부(400)는 제1시각에 원단공급적재부(200)에 적재된 원단(F)을 봉제 공정을 위해 베드부(100)의 제3구역(140)으로 1차 이송하고, 제1시각에서 제1시간이 경과된 제2시각에 베드부(100)의 제3구역(140)에서 봉제 공정이 완료된 원단(F)을 배출 공정을 위해 베드부(100)의 제4구역(140)으로 2차 이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단이송부(400)는 다축 구조로 이루어지고 주축이 제3구역(140)에 설치되어 다관절 운동하는 다축로봇유닛(410)과, 다축로봇유닛(410)의 단부에 연결되어 원단(F)을 그리핑하는 그리퍼유닛(4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축로봇유닛(410)은 그리퍼유닛(420)을 통해 원단(F)을 원활하게 그리핑할 수 있도록 자유로운 다관절 운동을 위해 6축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그리퍼유닛(420)은 다축로봇유닛(410)의 단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421)과, 지지프레임(421)의 하부 전측과 후측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브래킷(422)과, 연결브래킷(422)에 각각 연결되고 단부면 중심에 진공압을 이용하여 원단(F)을 흡착하는 흡착패드(423a)가 구비되며 단부면 외측에 공압을 이용하여 원단(F)을 그리핑하는 복수 개의 파지핀(423b)이 구비되는 그리퍼(423)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그리퍼유닛(420)은 원단(F)의 재질이나 크기나 무게 등을 고려하여 진공압을 이용하는 흡착패드(423a)를 통해 원단(F)을 흡착하여 이송할 수도 있고, 흡착패드(423a)를 통해 원단(F)을 흡착함과 동시에 공압에 의해 그리핑 동작을 수행하는 파지핀(423b)을 통해 원단(F)을 파지하면서 이송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패턴봉제부(500)는 원단이송부(400)에 의해 베드부(100)의 제3구역(140)으로 이송된 원단(F)을 제1시간 내에 패턴 방식으로 봉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패턴봉제부(500)는 원단(F)을 패턴 방식으로 봉제하는 패턴봉제기(51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패턴봉제기(510)에는 원단(F)이 안착되고 봉제 패턴에 따라 이동하는 봉제배드(511)와, 봉제베드(511)에 설치되어 원단(F)을 봉제베드(511)에 고정하는 고정부재(512)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패턴봉제부(500)는 패턴봉제기(510)를 통해 패턴 방식의 봉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두 장의 원단(F)을 상하로 포갠 상태에서 동작될 수 있다.
즉, 패턴봉제부(500)는 원단이송부(400)에 의해 패턴 봉제기의 봉제베드 상부에 두 장의 원단(F)이 상하로 포갠 상태로 이송이 완료된 이후에 동작될 수 있다.
이때 패턴봉제부(500)에 의해 패턴 방식으로 봉제 공정이 완료된 원단(F)은 의류 부분품으로 완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원단배출부(600)는 베드부(100)의 상부면에 구획된 제4구역(140)과 제5구역(150) 상에 3차원 형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3구역(140)에서 패턴봉제부(500)에 의해 패턴 봉제 공정이 완료된 후 원단이송부(400)에 의해 제4구역(140)으로 이송된 원단(F)을 제2시각 이후에 제5구역(150)으로 이송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단배출부(600)는 제4구역(140)과 제5구역(150)의 상부에 좌우 수평으로 배치되고 제1이동블록(611)이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LM가이드(610)와, 제1이동블록(611)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어 전후 수평으로 배치되고 제2이동블록(621)이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제2LM가이드(620)와, 제2이동블록(621)에 상하 수직으로 배치되고 제3이동블록(431)이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제3LM가이드(630)와, 제3이동블록(631)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640)과, 지지프레임(640)의 단부에 설치되고 원단(F)을 클램핑하는 클램프유닛(6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클램프유닛(650)은 제1이동블록(611)이 제1LM가이드(610)를 따라 좌우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고 제2이동블록(621)이 제2LM가이드(620)를 따라 전후 수평 방향(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며 제3이동블록(631)이 제3LM가이드(630)를 따라 상하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함에 따라 3차원 형태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유닛(650)은 제1LM가이드(610)와 제2LM가이드(620) 및 제3LM가이드(630)에 의해 3차원 형태로 이동하면서 제4구역(140)에 적재된 원단(F)을 클램핑한 후 제5구역(150)으로 이송하여 배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원단배출적재부(700)는 베드부(100)의 상부면에 구획된 제5구역(150)에 구비되어 원단배출부(600)에 의해 한 개씩 차례대로 배출된 원단(F)이 상하로 적재되는 원단적재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원단배출부(600)에 의해 차례대로 제5구역(150)으로 배출된 원단은 원단배출적재부(700)에 상하로 적재될 수 있다. 그러면 작업자는 이후에 수행되는 후공정들을 위해 원단배출적재부(700)에 적재된 복수 개의 원단(F)을 다음 공정을 위한 작업장소로 편리하게 옮길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는 제1원단위치인식부(800) 및 제2원단위치인식부(9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원단위치인식부(800)는 베드부(100)의 상부면에 구획된 제2구역(120)에 설치되어 원단공급부(300)에 의해 제2구역(120)으로 공급된 원단(F)의 위치정보를 이진화, 윤곽선추출, 객체인식 등을 이용하는 영상처리기법을 통해 획득하고 원단(F)의 위치정보를 원단이송부(400)에 제공하여 원단이송부(400)가 원단의 위치정보에 대응되게 다관절 운동하면서 원단(F)을 제3구역(140)으로 이송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원단위치인식부(800)는 제2구역(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단(F)을 촬영하여 원단영상을 출력하는 제1카메라모듈(810)과, 제2구역(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원단(F)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조명을 비추어 원단영상의 품질 향상에 도움을 주는 제1램프(미도시)와, 제1카메라모듈(810)에서 출력된 원단영상을 영상처리기법으로 처리하여 원단영상에 나타나는 원단(F)과 베드부(100) 간의 명도값이나 컬러값 차이 등을 이용함에 따라 제2구역(120) 상에서의 원단(F)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1영상처리모듈(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단이송부(400)는 제1원단위치인식부(800)에 의해 획득된 제2구역(120) 상에서의 원단(F)의 위치정보에 대응되게 다관절 운동함으로써 원단(F)을 정확한 위치에서 그리핑하여 패턴봉제부(500)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제2원단위치인식부(900)는 베드부(100)의 상부면에 구획된 제4구역(140)에 설치되어 원단이송부(400)에 의해 제4구역(140)으로 이송된 원단(F)의 위치정보를 이진화, 윤곽선추출, 객체인식 등을 이용하는 영상처리기법을 통해 획득하고 원단(F)의 위치정보를 원단배출부(600)에 제공하여 원단배출부(600)가 원단(F)의 위치정보에 대응되게 3차원 형태로 이동하면서 원단(F)을 제5구역(150)으로 배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원단위치인식부(900)는 제4구역(1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단(F)을 촬영하여 원단영상을 출력하는 제2카메라모듈(910)과, 제4구역(1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원단(F)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조명을 비추어 원단영상의 품질 향상에 도움을 주는 제2램프(미도시)와, 제2카메라모듈(910)에서 출력된 원단영상을 영상처리기법으로 처리하여 원단(F)과 베드부(100) 간의 명도값이나 컬러값 차이 등을 이용함에 따라 제4구역(140) 상에서의 원단(F)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2영상처리모듈(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단배출부(600)는 제2원단위치인식부(900)에 의해 획득된 제4구역(140) 상에서의 원단(F)의 위치정보에 대응되게 3차원 이동함으로써 원단(F)을 정확한 위치에서 클램핑하여 원단배출적재부(700)에 상하로 적재되게 제5구역(150)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베드부
110: 제1구역
120: 제2구역
130: 제3구역
140: 제4구역
150: 제5구역
200: 원단적재공급부
300: 원단공급부
310: 제1LM가이드
311: 제1이동블록
320: 제2LM가이드
321: 제2이동블록
330: 제3LM가이드
331: 제3이동블록
340: 지지프레임
350: 클램프유닛
400: 원단이송부
410: 다축로봇유닛
420: 그리퍼유닛
421: 지지프레임
422: 연결브래킷
423: 그리퍼
423a: 흡착패드
423b: 파지핀
500: 패턴봉제부
510: 패턴봉제기
511: 봉제베드
512: 고정부재
600: 원단배출부
610: 제1LM가이드
611: 제1이동블록
620: 제2LM가이드
621: 제2이동블록
630: 제3LM가이드
631: 제3이동블록
640: 지지프레임
650: 클램프유닛
700: 원단배출적재부
800: 제1원단위치인식부
810: 제1카메라모듈
900: 제2원단위치인식부
910: 제2카메라모듈

Claims (6)

  1. 의류의 부분품으로 사용되는 원단을 패턴 방식으로 봉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부면이 위치에 따라 제1구역과 제2구역과 제3구역과 제4구역과 제5구역으로 구획되는 베드부;
    상기 제1구역에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원단이 상하로 적재되는 원단공급적재부;
    상기 제1구역과 상기 제2구역 상에 구비되고 3차원 형태로 이동 가능하여 상기 제1구역에서 상기 원단공급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원단을 한 개씩 차례대로 클램핑하여 상기 제2구역으로 이송 공급하는 원단공급부;
    상기 베드부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다관절 운동 가능하여 상기 원단공급부에 의해 상기 제2구역으로 이송 공급된 상기 원단을 한 개씩 차례대로 제1시각에 상기 제3구역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3구역으로 이송된 상기 원단을 상기 제1시각에서 제1시간 경과한 제2시각에 상기 제4구역으로 이송하는 원단이송부;
    상기 제3구역에 구비되어 상기 원단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3구역으로 이송된 상기 원단을 상기 제1시간 내에 패턴 방식으로 봉제하는 패턴봉제부;
    상기 제4구역과 상기 제5구역 상에 구비되고 3차원 형태로 이동 가능하여 상기 제2시각 이후에 상기 원단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4구역으로 이송된 상기 원단을 클램핑하여 상기 제5구역으로 이송 배출하는 원단배출부; 및
    상기 제5구역에 구비되고 상기 원단배출부에 의해 이송 배출된 상기 원단이 상부면에 적재되는 원단배출적재부;로 구성되고,
    상기 원단이송부는
    상기 제3구역에 주축이 고정 설치되어 다관절 운동하는 다축로봇유닛과, 상기 다축로봇유닛의 단부에 연결되는 그리퍼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그리퍼유닛은
    상기 다축로봇유닛의 단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 전측과 후측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브래킷과, 상기 연결브래킷에 각각 연결되고 단부면 중심에 진공압을 이용하여 상기 원단을 흡착하는 흡착패드가 구비되며 단부면 외측에 공압을 이용하여 상기 원단을 그리핑하는 복수 개의 파지핀이 구비되는 그리퍼로 구성되어 원단의 재질이나 크기나 무게에 따라 진공압을 이용하는 상기 흡착패드로 원단을 흡착하여 이송하거나 상기 흡착패드를 통해 원단을 흡착함과 동시에 그리핑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파지핀을 통해 원단을 파지하면서 이송하고,
    상기 원단공급부는
    상기 원단이 3차원 형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구역과 상기 제2구역의 상부에 좌우 수평으로 배치되고 제1이동블록이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LM가이드와, 상기 제1이동블록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어 전후 수평으로 배치되고 제2이동블록이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제2LM가이드와, 상기 제2이동블록에 상하 수직으로 배치되고 제3이동블록이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제3LM가이드와, 상기 제3이동블록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원단을 클램핑하는 클램프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원단배출부는
    상기 원단이 3차원 형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4구역과 상기 제5구역의 상부에 좌우 수평으로 배치되고 제1이동블록이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LM가이드와, 상기 제1이동블록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어 전후 수평으로 배치되고 제2이동블록이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제2LM가이드와, 상기 제2이동블록에 상하 수직으로 배치되고 제3이동블록이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제3LM가이드와, 상기 제3이동블록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원단을 클램핑하는 클램프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역에 구비되고 상기 원단공급부에 의해 상기 제2구역으로 공급된 상기 원단의 위치정보를 영상처리기법을 통해 획득하고 상기 원단의 위치정보를 상기 원단이송부에 제공하여 상기 원단이송부가 상기 원단의 위치정보에 대응되게 다축 관절 운동하면서 상기 원단을 상기 제2구역에서 그리핑하여 상기 제3구역으로 이송 가능하게 하는 제1원단위치인식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구역에 구비되고 상기 원단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4구역으로 이송 배출된 상기 원단의 위치정보를 영상처리기법을 통해 획득하고 상기 원단의 위치정보를 상기 원단배출부에 제공하여 상기 원단배출부가 상기 원단의 위치정보에 대응되게 3차원 형태로 이동하면서 상기 원단을 상기 제4구역에서 클램핑하여 상기 제5구역으로 배출 가능하게 하는 제2원단위치인식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
KR1020200176947A 2020-12-17 2020-12-17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 KR102403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947A KR102403186B1 (ko) 2020-12-17 2020-12-17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947A KR102403186B1 (ko) 2020-12-17 2020-12-17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186B1 true KR102403186B1 (ko) 2022-05-27
KR102403186B9 KR102403186B9 (ko) 2022-09-06

Family

ID=81796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947A KR102403186B1 (ko) 2020-12-17 2020-12-17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1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7783A (ja) * 1999-01-06 2000-07-18 Gunze Ltd 縫製方法及び縫製装置
JP2005137541A (ja) * 2003-11-06 2005-06-02 Pegasus Sewing Mach Mfg Co Ltd 縫製ワークセット装置
KR20090008947A (ko) * 2007-07-19 2009-01-22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재봉기의 수틀 이송장치
KR101986459B1 (ko) 2018-09-27 2019-06-05 송예영 봉제 장치
JP2020089662A (ja) * 2018-12-07 2020-06-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縫製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7783A (ja) * 1999-01-06 2000-07-18 Gunze Ltd 縫製方法及び縫製装置
JP2005137541A (ja) * 2003-11-06 2005-06-02 Pegasus Sewing Mach Mfg Co Ltd 縫製ワークセット装置
KR20090008947A (ko) * 2007-07-19 2009-01-22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재봉기의 수틀 이송장치
KR101986459B1 (ko) 2018-09-27 2019-06-05 송예영 봉제 장치
JP2020089662A (ja) * 2018-12-07 2020-06-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縫製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186B9 (ko)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9588C (en) Deformable thin object spreading device and deformable thin object spreading method
JPH04261763A (ja) 組立・加工装置
KR102403186B1 (ko)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
JP3364464B2 (ja) 自動加工装置
CN206286743U (zh) 由机器人操作的全自动轿底焊接工装
JPH05184748A (ja) 縫製装置に対する加工布位置決め移送方法
CN216370924U (zh) 一种自动化装配产线的工件上料及检测装置
KR102582443B1 (ko)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
CN111304840B (zh) 制衣生产线用衣袖缝制工装
KR102503017B1 (ko) 자동 봉제 시스템
KR102316399B1 (ko) 샌드코어 조립 자동화 시스템
JP7436625B2 (ja) ポケットを折り畳んで縫うための作業ユニットおよび方法
JPH10118375A (ja) 位置合わせ方法及び位置合わせ装置並びに生地縫着装置
JPH0862289A (ja) 検査装置
CN110923969A (zh) 一种面料自动折边缝合收纳机
JP6568765B2 (ja) ワークの連続加工システム
CN218147254U (zh) 一种自动布料自动对接的缝接设备
CN214736538U (zh) 一种机器人车缝装置
JP2520561B2 (ja) 自動二輪車用フレ―ムの製造装置
CN214422853U (zh) 一种用于缝纫机器的托盘传输装置
JP2623564B2 (ja) 縫製加工物振り分け機構を備えた移送装置
CN217291311U (zh) 一种自动化加工系统
CN113184614B (zh) 应用于绒布叠装的自动化设备及其工作方法
KR102280081B1 (ko) Cnc공작기계용 제품 투입방법
JPH0713820U (ja) ハンガ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