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443B1 -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443B1
KR102582443B1 KR1020220031810A KR20220031810A KR102582443B1 KR 102582443 B1 KR102582443 B1 KR 102582443B1 KR 1020220031810 A KR1020220031810 A KR 1020220031810A KR 20220031810 A KR20220031810 A KR 20220031810A KR 102582443 B1 KR102582443 B1 KR 102582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fabric
transfer robot
sewing
overlock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4704A (ko
Inventor
김진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원이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원이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원이앤에스
Priority to KR1020220031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443B1/ko
Publication of KR20230134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8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multi-thread seams
    • D05B1/18Seams for protecting or securing edges
    • D05B1/20Overedge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5Manipulators for mechanical processing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8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having finge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 B25J9/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by rotating at least one arm, excluding the head movement itself, e.g. cylindrical coordinate type or polar coordinate type
    • B25J9/046Revolute coordinate typ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10Edge guides
    • D05B35/102Edge guide control systems with edge senso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9/00Workpiece carri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5/00Frames, stands, tables, or other furniture adapted to carry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3/00Inspecting textile materials
    • D06H3/08Inspecting textile materials by photo-electric or televis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부분품으로 사용되는 두 개의 원단을 겹친 상태에서 자동화 방식으로 오버록 봉제할 수 있는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의류의 부분품으로 사용되는 제1원단과 제2원단을 자동화 방식으로 오버록 봉제하여 봉제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닥에 안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부면이 위치에 따라 제1구역과 제2구역과 제3구역과 제4구역과 제5구역과 제6구역으로 구획되는 테이블; 상기 제1구역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원단과 상기 제2원단이 각각 적재되는 제1공급대와 제2공급대; 상기 제6구역에 구비되어 상기 봉제원단이 적재되는 배출대; 상기 제1구역과 상기 제6구역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급대에 적재된 상기 제1원단을 파지한 후 상기 제2구역으로 이송하여 안착시키고 상기 제2공급대에 적재된 상기 제2원단을 파지한 후 상기 제2구역으로 이송하여 안착시키며 상기 제5구역에 적재된 상기 봉제원단을 파지한 후 상기 배출대로 이송하여 안착시키는 제1이송로봇; 상기 제3구역과 상기 제5구역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구역에 차례대로 안착되는 상기 제1원단과 상기 제2원단을 차례대로 파지한 후 상기 제3구역으로 이송하여 상하 적층되게 안착시키고, 상기 제3구역에 안착된 상기 제1원단과 상기 제2원단을 일체로 파지하여 상기 제4구역으로 이송한 후 상기 제1원단과 상기 제2원단을 상기 오버록 봉제 위치에 대응되게 방향을 전환하면서 이동시킨 다음 상기 제5구역으로 이송하여 안착시키는 제2이송로봇; 및 상기 제4구역에 구비되어 상기 제2이송로봇에 의해 상기 방향을 따라 일체로 이송하는 상기 제1원단과 상기 제2원단을 오버록 봉제하여 상기 봉제원단으로 가공하는 오버록제봉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Automatic overlock sewing apparatus for clothing part fabric}
본 발명은 의류 부분품으로 사용되는 두 개의 원단을 겹친 상태에서 자동화 방식으로 오버록 봉제할 수 있는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단 봉제 공정은 전공정과 본공정 및 후공정으로 구분되는 다단 및 연속 공정이므로 작업자의 기술 숙련도에 따라 의류 완제품에 대한 품질의 차이가 극명하게 나타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원단 봉제 공정을 수행하는 원단 봉제 공장은 작업자의 고령화와 작업자의 부족 현상 및 의류의 수입 증가 등으로 인해 공동화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설정이다.
그리하여 원단 봉제 공장은 인력난으로 인해 중견업체에서 중소업체로, 중소업체에서 영세업체로 전환되면서 원단 봉제 산업이 영세 업체 위주로 재편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편 소규모 원단 봉제 공장은 대부분 작업자의 수가 10명 내외이면서 원단 입고에서부터 시작하여 원단 재단, 봉제, 다림질, 포장 공정에 이르기까지 모두 자체적으로 처리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작업자의 수가 더 줄어들게 된다면 공장을 계속적으로 운영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러면 섬유 패션 산업의 기반이 무너지면서 수입 의류 비중이 더욱 많이 차지하여 소비자의 의류 구입에 따른 비용 부담을 높이는 폐단을 초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소규모 원단 봉제 공장의 안정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하여 섬유 팬션 산업의 제조 기반을 새롭게 확립하여 섬유 패션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위해서는 의류 제조 공정들 중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오버록 봉제 공정을 로봇을 이용하여 자동화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는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에 대한 개발과 보급이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6459호, 2019.06.05.자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소규모 원단 봉제 공장의 안정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하여 섬유 팬션 산업의 제조 기반을 새롭게 확립하여 섬유 패션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의류 제조 공정들 중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오버록 봉제 공정을 로봇을 이용하여 자동화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의류 부품품 원단 자동 봉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면서 본 발명의 목적에 충분히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는 의류의 부분품으로 사용되는 제1원단과 제2원단을 자동화 방식으로 오버록 봉제하여 봉제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닥에 안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부면이 위치에 따라 제1구역과 제2구역과 제3구역과 제4구역과 제5구역과 제6구역으로 구획되는 테이블; 상기 제1구역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원단과 상기 제2원단이 각각 적재되는 제1공급대와 제2공급대; 상기 제6구역에 구비되어 상기 봉제원단이 적재되는 배출대; 상기 제1구역과 상기 제6구역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급대에 적재된 상기 제1원단을 파지한 후 상기 제2구역으로 이송하여 안착시키고 상기 제2공급대에 적재된 상기 제2원단을 파지한 후 상기 제2구역으로 이송하여 안착시키며 상기 제5구역에 적재된 상기 봉제원단을 파지한 후 상기 배출대로 이송하여 안착시키는 제1이송로봇; 상기 제3구역과 상기 제5구역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구역에 차례대로 안착되는 상기 제1원단과 상기 제2원단을 차례대로 파지한 후 상기 제3구역으로 이송하여 상하 적층되게 안착시키고, 상기 제3구역에 안착된 상기 제1원단과 상기 제2원단을 일체로 파지하여 상기 제4구역으로 이송한 후 상기 제1원단과 상기 제2원단을 상기 오버록 봉제 위치에 대응되게 방향을 전환하면서 이동시킨 다음 상기 제5구역으로 이송하여 안착시키는 제2이송로봇; 및 상기 제4구역에 구비되어 상기 제2이송로봇에 의해 상기 방향을 따라 일체로 이송하는 상기 제1원단과 상기 제2원단을 오버록 봉제하여 상기 봉제원단으로 가공하는 오버록제봉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는 원단을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제1이송로봇과 원단을 투입하거나 취출하는 제2이송로봇과 투입된 두 개의 원단을 오버록 봉제하는 오버록봉제기가 포함되어 원단 오버록 봉제 공정을 자동화 방식으로 수행함에 따라 카라, 손목, 포켓 등과 같은 의류 부분품을 신속 편리하게 제조할 뿐만 아니라 이에 소요되는 작업 인력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의류 부분품으로 사용되는 원단을 봉제하기 위한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는 의류 제조 공정들 중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의류 부분품 원단에 대한 오버록 봉제 공정을 로봇을 이용하여 자동화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는 의류의 부분품으로 사용되는 제1원단과 제2원단을 상하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오버록 봉제하여 봉제원단으로 가공하는 오버록 봉제 공정을 자동화 방식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 테이블(200), 제1공급대(300a), 제2공급대(300b), 배출대(400), 제1이송로봇(500), 제2이송로봇(600), 오버록봉제기(70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프레임(100)은 바닥에 안착되는 하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10)의 상부에 소정높이로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테이블(200)은 하부프레임(110)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테이블(200)은 상부면이 위치에 따라 제1구역(210)과 제2구역(220)과 제3구역(230)과 제4구역(240)과 제5구역(250) 및 제6구역(260)으로 구획될 수 있다.
즉, 제1구역(210)은 테이블(200)의 상부면 좌측 전방에 구획되고, 제2구역(220)은 제1구역(210)과 이웃하도록 테이블(200)의 상부면 좌우 중간 전방에 구획되며, 제3구역(230)은 제1구역(210) 및 제3구역(230)과 이웃하도록 테이블(200)의 상부면 좌우 중앙 중간측에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제4구역(240)은 제2구역(220) 및 제3구역(230)과 이웃하도록 테이블(200)의 상부면 우측에 구획되고, 제5구역(250)은 제3구역(230) 및 제4구역(240)과 이웃하도록 테이블(200)의 상부면 좌우 중간 후방에 구획되며, 제6구역(260)은 제5구역(250) 및 제1구역(210)과 이웃하도록 테이블(200)의 상부면 좌측 후방에 구획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공급대(300a)와 제2공급대(300b)는 테이블(200)의 제1구역(210)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작업자로부터 공급되는 제1원단과 제2원단이 각각 적재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공급대(300a)와 제2공급대(300b)는 제1원단과 제2원단이 각각 흐트러짐 없이 가지런하게 적재될 수 있도록 원단의 테두리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테이블(200)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공급대(300a)와 제2공급대(300b)에는 제1원단과 제2원단이 적재된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제1감지수단(810a)과 제2감지수단(810b)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1감지수단(810a)과 제2감지수단(810b)은 포토센서로 구성되어 제1공급대(300a)와 제2공급대(300b)에 원단이 적재된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각각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대(400)는 테이블(200)의 제6구역(260)에 설치되어 오버록 봉제 가공이 완료된 봉제원단이 적재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대(400)는 제1원단과 제2원단이 각각 흐트러짐 없이 가지런하게 적재될 수 있도록 원단의 테두리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테이블(200)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대(400)에는 봉제원단이 적재된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제3감지수단(820)이 설치될 수 있다. 제3감지수단(820)은 포토센서로 구성되어 배출대(400)에 봉제원단이 적재된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면 작업자가 봉제원단을 배출하도록 감지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이송로봇(500)은 테이블(200)의 제1구역(210)과 제6구역(26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공급대(300a)와 제2공급대(300b)에 각각 적재된 제1원단과 제2원단을 테이블(200)의 제2구역(220)으로 차례대로 이송하여 안착시킬 수 있다.
즉, 제1이송로봇(500)은 제1공급대(300a)에 적재된 제1원단을 파지한 후 테이블(200)의 제2구역(220)으로 이송하여 안착시킬 수 있고, 소정시간 후에 제2공급대(300b)에 적재된 제2원단을 파지한 후 테이블(200)의 제2구역(220)으로 이송하여 안착시킬 수 있다.
단, 제1이송로봇(500)은 제1감지수단(810a)과 제2감지수단(810b)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하면서 제1공급대(300a)와 제2공급대(300b)에 적재된 제1원단과 제2원단을 소정시간 간격을 두고 테이블(200)의 제2구역(220)으로 이송하여 안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이송로봇(500)은 제1베이스(510)와, 제1베이스(510)의 상부에 복수 개의 제1관절암(521)이 관절 운동하도록 차례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다축로봇유닛(520)과, 복수 개의 제1관절암(521) 중에서 최말단에 연결되는 제1관절암(521)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1원단 또는 제2원단을 복수 개의 그리핑핀을 통해 파지하는 제1그리퍼유닛(5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이송로봇(500)은 제1그리퍼유닛(530)의 그리핑 동작을 통해 제1공급대(300a)와 제2공급대(300b)에 안착된 제1원단과 제2원단을 각각 파지할 수 있고 제1다축로봇유닛(520)의 다관절 운동을 통해 제1원단과 제2원단을 테이블(200)의 제2구역(220)으로 이송하여 안착시킬 수 있다.
한편, 테이블(200)의 제1구역(210) 일측에는 제1이송로봇(500)의 다관절 운동 반경 상에 제1이송로봇(500)의 제1그리퍼유닛(530)에 제1원단 또는 제2원단이 파지된 상태인지를 감지하기 위한 제4감지수단(830)이 설치될 수 있다. 제3감지수단(830)은 포토센서로 구성되어 제1이송로봇(500)의 제1그리퍼유닛(530)에 제1원단 또는 제2원단이 파지된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이송로봇(600)은 테이블(200)의 제3구역(230)과 제5구역(250)의 사이에 설치되어 테이블(200)의 제2구역(220)에 차례대로 안착되는 제1원단과 제2원단을 테이블(200)의 제3구역(230)으로 이송하여 상하로 적층시킨 후 테이블(200)의 제4구역(240)으로 일체로 이송하여 오버록 봉제 위치에 대응되게 미리 정해진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 다음 테이블(200)의 제5구역(250)으로 이송하여 안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이송로봇(600)은 제2베이스(610)의 상부에 복수 개의 제2관절암(621)이 관절 운동하도록 차례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다축로봇유닛(620)과, 복수 개의 제2관절암(621) 중에서 최말단에 연결되는 제2관절암(621)의 단부에 중심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브래킷(630)과, 회전브래킷(630)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1원단과 제2원단을 복수 개의 그리핑핀을 통해 파지하는 제2그리퍼유닛(6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이송로봇(600)은 테이블(200)의 제2구역(220)에 먼저 안착되는 제1원단을 파지하여 테이블(200)의 제3구역(230)으로 이송하여 안착시킨 후 소정시간을 두고 테이블(200)의 제2구역(220)에 새로 안착되는 제2원단을 파지한 후 테이블(200)의 제3구역(230)으로 이송하여 제1원단의 상부에 적층되게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이송로봇(600)은 테이블(200)의 제3구역(230)에 상하로 적층된 제1원단과 제2원단을 일체로 파지한 상태에서 테이블(200)의 제4구역(240)으로 이송하여 오버록 봉제 공정을 위해 제1원단과 제2원단을 오버록 봉제 위치에 대응되게 회전브래킷(630)의 회전 운동을 통해 방향을 전환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제2이송로봇(600)은 테이블(200)의 제4구역(240)에서 제1원단과 제2원단의 오버록 봉제가 완료된 봉제원단을 테이블(200)의 제5구역(250)으로 이송하여 안착시킬 수 있다.
즉, 제2이송로봇(600)은 제2그리퍼유닛(640)의 그리핑 동작을 통해 제1원단과 제2원단을 각각 또는 동시에 파지할 수 있고 제2다축로봇유닛(520)의 다관절 운동을 통해 제1원단과 제2원단을 테이블(200)의 제2구역(220)에서 제3구역(230)으로, 제3구역(230)에서 제4구역(240)으로 이송하여 안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테이블(200)의 제2구역(220)에는 제1원단 또는 제2원단이 안착된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제5감지수단(840)이 설치될 수 있다. 제5감지수단(840)은 포토센서로 구성되어 테이블(200)의 제2구역(220)에 제1원단 또는 제2원단이 안착된 상태를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200)의 제3구역(230)에는 제1원단과 제3원단이 안착된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제6감지수단(850)이 설치될 수 있다. 제6감지수단(850)은 포토센서로 구성되어 테이블(200)의 제3구역(230)에 제1원단과 제2원단이 안착된 상태를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테이블(200)의 제2구역(220) 상에는 제2이송로봇(600)이 테이블(200)의 제3구역(230)에 제1원단과 제2원단을 서로 틀어짐 없이 적층시킬 수 있도록 테이블(200)의 제2구역(220)에 안착된 제1원단과 제2원단의 안착 위치를 검출하는 원단감지수단(90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원단감지수단(900)에서 검출된 제1원단과 제2원단의 안착 위치를 통해 제1원단과 제2원단의 틀어진 각도를 산출할 수 있고, 제2이송로봇(600)으로 제1원단과 제2원단을 파지할 때 제1원단과 제2원단의 틀어진 각도만큼 제2그리퍼유닛(640)의 각도가 조정되면서 제1원단과 제2원단을 서로 틀어짐 없이 테이블(200)의 제4구역(24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원단감지수단(900)은 카메라를 통해 촬상되는 테이블(200)의 제2구역(220)에 대한 영상에 나타나는 제1원단과 제2원단을 영상처리모듈을 통해 인식한 후 영상 상에 나타나는 제1원단과 제2원단의 안착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단, 원단감지수단(900)은 제5감지수단(840)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되고 제6감지수단(850)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 중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이송로봇(600)은 제5감지수단(840)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되면서 테이블(200)의 제2구역(220)에 안착되는 제1원단과 제2원단을 테이블(200)의 제3구역(230)으로 차례대로 이송하여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이송로봇(600)은 제6감지수단(850)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되면서 테이블(200)의 제3구역(230)에 상하로 적층되게 안착된 제1원단과 제2원단을 테이블(200)의 제4구역(240)으로 일체로 이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오버록제봉기(700)는 테이블(200)의 제5구역(250)에 설치되어 테이블(200)의 제5구역(250)에서 상하로 적층된 제1원단과 제2원단이 제2이송로봇(600)에 의해 오버록 봉제 위치에 대응되게 미리 방향이 전환되면서 이동되는 과정에서 제1원단과 제2원단을 일체로 오버록 봉제하여 봉제원단으로 가공할 수 있다.
여기서 테이블(200)의 제5구역(250)에는 제1원단과 제2원단이 안착된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제7감지수단(860)이 설치될 수 있다. 제7감지수단(860)은 포토센서로 구성되어 테이블(200)의 제5구역(250)에 제1원단과 제2원단이 안착된 상태인 것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오버록제봉기(700)는 제7감지수단(860)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면서 제1원단과 제2원단을 일체로 오버록 봉제할 수 있다. 그리고 오버록제봉기(700)는 제1원단과 제2원단에 대한 오버록 봉제를 완료하면 감지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이송로봇(600)은 오버록제봉기(700)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오버록 봉제가 완료된 봉제원단을 테이블(200)의 제5구역(250)으로 이송하여 안착시킬 수 있다.
한편, 테이블(200)의 제5구역(250)에는 봉제원단이 안착된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제8감지수단(870)이 설치될 수 있다. 제8감지수단(870)은 포토센서로 구성되어 테이블(200)의 제5구역(250)에 봉제원단이 안착된 상태인지를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제1이송로봇(500)은 제8감지수단(870)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테이블(200)의 제5구역(250)에 안착된 봉제원단을 파지한 후 배출대(400)로 이송하여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200)의 제6구역(260) 일측에는 제1이송로봇(500)의 다관절 운동 반경 상에 제1이송로봇(500)의 제1그리퍼유닛(530)에 봉제원단이 파지된 상태인지를 감지하기 위한 제9감지수단(880)이 설치될 수 있다. 제9감지수단(880)은 포토센서로 구성되어 제1이송로봇(500)의 제1그리퍼유닛(530)에 봉제원단이 파지된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9감지수단(880)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배출대(400)에서 설치된 제3감지수단(820)의 작동하여 배출대(400)에 봉제원단이 적재된 상태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프레임
110: 하부프레임
120: 상부프레임
200: 테이블
210: 제1구역
220: 제2구역
230: 제3구역
240: 제4구역
250: 제5구역
260: 제6구역
300a: 제1공급대
300b: 제2공급대
400: 배출대
500: 제1이송로봇
510: 제1베이스
521: 제1관절암
520: 제1다축로봇유닛
530: 제1그리퍼유닛
600: 제2이송로봇
610: 제2베이스
621: 제2관절암
620: 제2다축로봇유닛
630: 회전브래킷
640: 제2그리퍼유닛
700: 오버록제봉기
810a: 제1감지수단
810b: 제2감지수단
820: 제3감지수단
830: 제4감지수단
840: 제5감지수단
850: 제6감지수단
860: 제7감지수단
870: 제8감지수단
880: 제9감지수단
900: 원단감지수단

Claims (5)

  1. 의류의 부분품으로 사용되는 제1원단과 제2원단을 자동화 방식으로 오버록 봉제하여 봉제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닥에 안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부면이 위치에 따라 제1구역과 제2구역과 제3구역과 제4구역과 제5구역과 제6구역으로 구획되는 테이블;
    상기 제1구역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원단과 상기 제2원단이 각각 적재되는 제1공급대와 제2공급대;
    상기 제6구역에 구비되어 상기 봉제원단이 적재되는 배출대;
    상기 제1구역과 상기 제6구역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급대에 적재된 상기 제1원단을 파지한 후 상기 제2구역으로 이송하여 안착시키고 상기 제2공급대에 적재된 상기 제2원단을 파지한 후 상기 제2구역으로 이송하여 안착시키며 상기 제5구역에 적재된 상기 봉제원단을 파지한 후 상기 배출대로 이송하여 안착시키는 제1이송로봇;
    상기 제3구역과 상기 제5구역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구역에 차례대로 안착되는 상기 제1원단과 상기 제2원단을 차례대로 파지한 후 상기 제3구역으로 이송하여 상하 적층되게 안착시키고, 상기 제3구역에 안착된 상기 제1원단과 상기 제2원단을 일체로 파지하여 상기 제4구역으로 이송한 후 상기 제1원단과 상기 제2원단을 상기 오버록 봉제 위치에 대응되게 방향을 전환하면서 이동시킨 다음 상기 제5구역으로 이송하여 안착시키는 제2이송로봇; 및
    상기 제4구역에 구비되어 상기 제2이송로봇에 의해 상기 방향을 따라 일체로 이송하는 상기 제1원단과 상기 제2원단을 오버록 봉제하여 상기 봉제원단으로 가공하는 오버록제봉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로봇은
    제1베이스;
    상기 제1베이스의 상부에 복수 개의 제1관절암이 관절 운동하도록 차례대로 연결되는 제1다축로봇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관절암 중에서 최말단에 연결되는 제1관절암의 단부에 설치되어 파지 동작을 수행하는 제1그리퍼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로봇은
    제2베이스;
    상기 제2베이스의 상부에 복수 개의 제2관절암이 관절 운동하도록 차례대로 연결되는 제2다축로봇유닛;
    상기 복수 개의 제2관절암 중에서 최말단에 연결되는 제2관절암의 단부에 중심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브래킷; 및
    상기 회전브래킷의 단부에 설치되어 파지 동작을 수행하는 제2그리퍼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로봇과 상기 제2이송로봇의 자동 구동을 위해
    상기 제1공급대와 상기 제2공급대와 상기 제2구역과 상기 제3구역과 상기 제4구역과 상기 배출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원단 또는 상기 제2원단 또는 상기 봉제원단이 각각 안착된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제1구역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이송로봇에 상기 제1원단 또는 상기 제2원단이 파지된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제6구역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이송로봇에 상기 봉제원단이 파지된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로봇에 의해 상기 제2구역에 차례대로 안착되는 상기 제1원단과 상기 제2원단을 상기 제2이송로봇이 상기 제3구역에서 서로 틀어짐 없는 각도로 일체로 파지하기 위해
    상기 제2구역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구역에 차례대로 안착되는 상기 제1원단과 상기 제2원단의 안착 위치를 각각 영상처리기법을 통해 감지하여 상기 제2이송로봇이 상기 안착 위치에 대응되게 파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원단감지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
KR1020220031810A 2022-03-15 2022-03-15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 KR102582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810A KR102582443B1 (ko) 2022-03-15 2022-03-15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810A KR102582443B1 (ko) 2022-03-15 2022-03-15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704A KR20230134704A (ko) 2023-09-22
KR102582443B1 true KR102582443B1 (ko) 2023-09-25

Family

ID=88190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810A KR102582443B1 (ko) 2022-03-15 2022-03-15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4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7783A (ja) 1999-01-06 2000-07-18 Gunze Ltd 縫製方法及び縫製装置
JP2020000384A (ja) 2018-06-26 2020-01-09 双日株式会社 縫製装置
JP2020089662A (ja) 2018-12-07 2020-06-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縫製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459B1 (ko) 2018-09-27 2019-06-05 송예영 봉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7783A (ja) 1999-01-06 2000-07-18 Gunze Ltd 縫製方法及び縫製装置
JP2020000384A (ja) 2018-06-26 2020-01-09 双日株式会社 縫製装置
JP2020089662A (ja) 2018-12-07 2020-06-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縫製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704A (ko) 202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8152B2 (en) Method for sorting laundry items, in particular dirty laundry items
JP6687591B2 (ja) 物品搬送装置、ロボットシステムおよび物品搬送方法
JP6785931B1 (ja) 生産システム
JP5396155B2 (ja) 布物の自動展開投入装置
EP3814568B1 (en) Automated system for folding garments
CN106965180A (zh) 流水线上瓶子的机械臂抓取装置与方法
JP2011000669A (ja) 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物品並置方法
CN108097599A (zh) 一种物流产品自动检测分拣下料机构
CN109175649A (zh) 一种用于汽车前地板中通道螺母凸焊自动化系统
JP7163506B2 (ja) 作業ロボットおよび作業システム
CN111282827B (zh) 自动上件快速分拣控制方法
KR102582443B1 (ko)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오버록 봉제 장치
CN109048459A (zh) 一种电机端盖数控车床的机械手设备
CN112265700A (zh) 一种钣金零部件下料与装箱系统及其控制方法
CN208631629U (zh) 一种气缸体加工机床的机器人搬运系统
CN208005088U (zh) 白车身机器人后围板抓具
CN107972227B (zh) 一种注塑机分拣码垛系统及其工作方法
EP0574501B1 (en) Crotch overlocking and seaming apparatus
JP2019501033A (ja) 異なる保管領域に置かれる部品から部品のバッチを構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設備
JP5423361B2 (ja) ハンド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部品供給システム
CN115319762B (zh) 用于生产线的机器人控制方法、生产线及数控机床
Hata et al. Robot system for cloth handling
WO1996041705A1 (fr) Procede de prevention des perturbations concernant des robots industriels
KR102403186B1 (ko) 의류 부분품 원단 자동 패턴 봉제 장치
Taylor et al. Automated handling of fabr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