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052B1 - 안테나 - Google Patents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052B1
KR102402052B1 KR1020200113662A KR20200113662A KR102402052B1 KR 102402052 B1 KR102402052 B1 KR 102402052B1 KR 1020200113662 A KR1020200113662 A KR 1020200113662A KR 20200113662 A KR20200113662 A KR 20200113662A KR 102402052 B1 KR102402052 B1 KR 102402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antenna
split ring
split
s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2203A (ko
Inventor
게이시 고사카
히로시 도야오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52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0Structural association of antennas with earthing switches, lead-in devices or lightning prot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10Resona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14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 H01Q5/321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within a radiating element or between connected radi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85Dielectric resonator antennas

Landscapes

  • Waveguide Aerial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과제) 스플릿링 공진기를 구비하고, 복수의 동작 주파수에 공진하는 구조를 구비하는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안테나(10)는, 스플릿링 공진기(1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안테나(10)는, 소정의 전기길이를 구비하는 오픈스터브 또는 쇼트스터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하는 제1도체(120)와 제2도체(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안테나(10)는, 복수의 동작 주파수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ANTENNA}
본 발명은,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1은, 소형(小型)이고 광대역(廣帶域)의 안테나를 개시하고 있다. 도2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1의 안테나(90)는, 커트라인 또는 스플릿부(92)를 구비하는 고리모양의 도체(導體)인 스플릿링(94)을 사용한 스플릿링 공진기(split ring 共振器)(96)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1 일본국 특허제6020451호 공보
특허문헌1의 안테나(90)는, 단일(單一)의 동작 주파수(動作周波數)에만 공진하는 것으로서, 멀티밴드(multi band)에 대응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동작 주파수에 공진하는 구조를 구비하는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안테나로서, 스플릿링 공진기를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이면서,
소정의 전기길이을 구비하는 오픈스터브 또는 쇼트스터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하는 제1도체와 제2도체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동작 주파수를 구비하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안테나로서, 제1안테나이면서,
상기 제1도체와 상기 제2도체는, 상기 소정의 전기길이에 걸쳐서 전송선로를 구성하고 있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안테나로서, 제1 또는 제2안테나이면서,
상기 안테나는, 제3도체와 급전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 상기 제2도체 및 상기 제3도체의 각각은,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1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2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도체와 상기 제3도체는, 스플릿링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2도체의 상기 제2단부와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어, 상기 스플릿링에 있어서의 스플릿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제2도체 또는 상기 제3도체에 설치되어 있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4안테나로서, 제3안테나이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1도체의 상기 제2단부 또는 그 근방에 있어서 상기 제1도체와 상기 제2도체를 접속하는 제4도체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와 상기 제2도체와 상기 제4도체는 쇼트스터브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소정의 전기길이는, 상기 복수의 동작 주파수의 어느 하나의 파장의 0.75배 이상인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5안테나로서, 제1 또는 제2안테나이면서,
상기 안테나는, 제3도체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 상기 제2도체 및 상기 제3도체의 각각은,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1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2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3도체는, 스플릿링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는,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어, 상기 스플릿링에 있어서의 스플릿부를 형성하고 있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6안테나로서, 제5안테나이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도체와 상기 제2도체를 접속하는 제4도체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와 상기 제2도체와 상기 제4도체는 쇼트스터브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소정의 전기길이는, 상기 복수의 동작 주파수의 어느 하나의 파장의 0.75배 이상인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7안테나로서, 제3 또는 제5안테나이면서,
상기 제1도체와 상기 제2도체는, 오픈스터브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소정의 전기길이는, 상기 복수의 동작 주파수의 어느 하나의 파장의 0.5배 이상인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8안테나로서, 제3에서부터 제7안테나 중의 어느 하나이면서,
상기 제3도체로부터 연장되는 방사소자를 더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9안테나로서, 제8안테나이면서,
상기 방사소자는, 상기 복수의 동작 주파수의 어느 하나의 파장의 1/4과 대응하고 있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플릿링 공진기를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로서,
제1도체와 제2도체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동작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것이고,
상기 제1도체와 상기 제2도체는, 소정의 전기길이에 걸쳐서 전송선로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안테나는, 제3도체와 급전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 상기 제2도체 및 상기 제3도체의 각각은,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1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2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도체와 상기 제3도체는, 스플릿링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2도체의 상기 제2단부와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고, 상기 스플릿링에 있어서의 스플릿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제2도체 또는 상기 제3도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스플릿링의 상기 스플릿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급전부에 접속되는 급전선은, 상기 스플릿링이 규정하는 링 내의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스플릿링의 상기 스플릿부와 대향하는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플릿링 공진기를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로서,
제1도체와 제2도체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동작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것이고,
상기 제1도체와 상기 제2도체는, 소정의 전기길이에 걸쳐서 전송선로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안테나는, 제3도체와 급전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 상기 제2도체 및 상기 제3도체의 각각은,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1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2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3도체는, 스플릿링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는,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고, 상기 스플릿링에 있어서의 스플릿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스플릿링의 상기 스플릿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급전부에 접속되는 급전선은, 상기 스플릿링이 규정하는 링 내의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스플릿링의 상기 스플릿부와 대향하는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스플릿링 공진기를 구비하는 안테나와, 소정의 전기길이를 구비하는 오픈스터브 또는 쇼트스터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하는 제1도체와 제2도체를 조합시킴으로써, 소형이면서 복수의 동작 주파수를 구비하는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안테나의 기본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기본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형태에 의한 안테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형태에 의한 안테나의 제1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급전부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형태에 의한 안테나의 제2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급전부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형태에 의한 안테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형태에 의한 안테나의 제1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형태에 의한 안테나의 제2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형태에 의한 안테나의 제3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형태에 의한 안테나의 제4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형태에 의한 안테나의 제5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급전부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2형태에 의한 안테나의 제6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급전부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2형태에 의한 안테나의 제7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급전부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3형태에 의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5는 도14의 안테나 장치에 포함되는 안테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6은 도15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7은 도15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18은 도15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9는 도15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20은 도15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21은 도15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제3형태에 의한 안테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3은 도1의 안테나에 공급되는 주파수와 반사계수 S11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스터브가 커패시티브(capacitive)로 동작하는 주파수대를 "커패시티브(CAPACITIVE)"라고, 스터브가 인덕티브(inductive)로 동작하는 주파수대를 "인덕티브(INDUCTIVE)"라고 표시하고 있다.
도24는 특허문헌1에 기재된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우선, 도1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의 기본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의 안테나(10)는, 스터브(stub)(12)와 스플릿링(split ring)(14)을 구비하고 있다. 스터브(12)는, 서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도체, 즉 제1도체(120) 및 제2도체(130)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플릿링(14)은, 커트라인 또는 스플릿부(16)가 있는 고리모양의 도체, 즉 제3도체(140)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도체(120) 및 제2도체(130)는, 제3도체(140)의 제1단부(142) 및 제2단부(144)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도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3도체(140)는, 고리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인덕터를 구성한다. 또한 제3도체(140)의 한 쌍의 단부, 즉 제1단부(142) 및 제2단부(144)는, 서로 떨어져서 대향하여 커패시터를 구성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고리모양」은, 타원환형(楕圓環形), 다각환형(多角環形)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도체(120) 및 제2도체(130)(스터브(12))는, 전기길이(電氣長)(Le)를 구비하고 있다. 전기길이(Le)는, 제1도체(120)와 제2도체(130)가, 소정의 주파수 대역(周波數帶域)에서 분포정수선로(分布定數線路)를 형성하는데도 필요한 길이 이상의 길이(소정의 전기장(電氣長))이다. 환언하면, 제1도체(120) 및 제2도체(130)는, 소정의 전기길이의 전송선로를 구성하고 있다. 스터브(12)는 소정의 전기길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입력되는 전력의 주파수에 따라 인덕티브 또는 커패시티브로 동작한다.
도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터브(12)와 스플릿링(14)은, 전체로서 스플릿링 공진기(100)를 구성한다. 스플릿링 공진기(100)는, 스터브(12)가 구성하는 커패시터와, 스플릿링(14)이 구성하는 커패시터와, 스플릿링(14)이 구성하는 인덕터로 구성되는 LC공진기로서 동작한다. 스터브(12)가 제3도체(140)에 공급되는 주파수에 따라, 인덕티브 또는 커패시티브로 기능함으로써, 스플릿링 공진기(100)는 복수의 공진주파수를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도2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플릿링 공진기(100)는, 스터브(12)가 커패시티브가 되는 주파수에서 LC공진을 일으킨다. 스터브(12)가 커패시티브가 되는 주파수는 복수개 존재한다. 스플릿링 공진기(100)에 공진을 일으키게 하는 주파수를 포함하고 또한 반사계수(S11)가 소정치보다도 작은 주파수대가, 스플릿링 공진기(100)의 동작 주파수대이다. 이와 같이 스플릿링 공진기(100)는, 복수의 동작 주파수를 구비한다. 즉 안테나(10)는 복수의 동작 주파수를 구비한다. 복수의 동작 주파수 중의 하나는, 스터브(12)가 유의(有意)한 전기길이를 가지는 것에 이르지 않는 낮은 주파수로서, 스플릿링 공진기(100)를 LC공진 시키는 주파수이다. 복수의 동작 주파수 중의 다른 하나는, 스터브(12)의 전기길이에 대응하는 동작 주파수이다.
도1의 안테나(10)에 있어서, 스터브(12)와 스플릿링(14)은, 서로 구별할 수 있다. 그러나 스터브(12)와 스플릿링(14)은, 서로 공용(共用)하는 공용부분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2에 나타내는 안테나(20)에 있어서, 제2도체(230)는, 제1도체(220)와 함께 스터브(22)를 구성한다. 동시에 제2도체(230)는, 제3도체(240)와 함께 스플릿부(26)를 구비하는 스플릿링(24)을 구성한다. 그리고 스터브(22)와 스플릿링(24)은 스플릿링 공진기(200)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제1도체(220) 및 제2도체(230)의 적어도 일방이, 스플릿링(24)의 일부를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여 안테나(20)는, 안테나(10)과 같이 복수의 동작 주파수를 구비한다. 또한 안테나(20)는, 제2도체(230)가 스터브(22)의 일부와 스플릿링(24)의 일부를 겸하고 있으므로, 안테나(10)에 비하여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1 및 도2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스터브(12) 또는 스터브(22)는, 제1도체(120) 또는 제1도체(220)와 제2도체(130) 또는 제2도체(230)의 각각이, 개방단을 구비하는 오픈스터브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안테나는, 제1도체(120) 또는 제1도체(220)의 일단과 제2도체(130) 또는 제2도체(230)의 일단을 단락(短絡)시킨 쇼트스터브이더라도 좋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안테나는, 소정의 전기길이를 구비하는 오픈스터브 또는 쇼트스터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하는 제1도체(120) 또는 제1도체(220)와 제2도체(130) 또는 제2도체(230)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도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10A)는, 도1에 나타내는 안테나(10)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안테나(10A)는, 스터브(12)와 스플릿링(14)을 구비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안테나(10A)는,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된 제1도체(120), 제2도체(130) 및 제3도체(140)를 구비하고 있다. 제1도체(120), 제2도체(130) 및 제3도체(140)의 재료는 도전재료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도체(120), 제2도체(130) 및 제3도체(140)의 각각은, 금속판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는, 제1도체(120), 제2도체(130) 및 제3도체(140)의 각각은, 회로기판에 포함되는 도전막(導電膜)에 의하여 구성되더라도 좋다. 또한 제1도체(120), 제2도체(130) 및 제3도체(140)는, 각각 별개의 부재이더라도 좋고, 일체화된 단일의 부재이더라도 좋다.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도체(120), 제2도체(130) 및 제3도체(140)의 각각은, 제1단부(122,132,142) 및 제2단부(124,134,144)를 구비하고 있다. 제1도체(120)의 제1단부(122)는, 제3도체(140)의 제1단부(142)에 접속되어 있다. 제2도체(130)의 제1단부(132)는, 제3도체(140)의 제2단부(144)에 접속되어 있다.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도체(120) 및 제2도체(130)의 각각은, 복수의 굴곡부를 가지는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제1도체(120)와 제2도체(13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고, 스터브(12)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터브(12)는 오픈스터브다. 즉 제1도체(120)의 제2단부(124) 및 제2도체(130)의 제2단부(134)는 모두 개방단(開放端)이다. 스터브(12)는, 소정의 전기길이를 구비하고 있다. 소정의 전기길이는, 안테나(10A)의 동작 주파수의 하나에 대응하는 파장의 1/2(=0.5λ) 이상의 길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터브(12)의 전기길이는, 제1도체(120)의 제1단부(122)로부터 제2단부(124)까지의 전기길이, 또는 제2도체(130)의 제1단부(132)로부터 제2단부(134)까지의 전기길이에 따라 정해진다.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도체(140)는, 4각형의 스플릿링(14)을 형성하고 있다. 제3도체(140)의 제1단부(142)와 제2단부(144)는,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어, 스플릿링(14)에 있어서의 스플릿부(16)를 형성하고 있다. 제3도체(140)에는 급전부(18)가 설치되어 있다. 스터브(12)는, 주파수에 따라, 인덕티브 또는 커패시티브로 기능한다. 이에 따라 스터브(12)와 스플릿링(14)으로 구성되는 스플릿링 공진기(100)는, 복수의 공진주파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안테나(10A)는, 복수의 동작 주파수를 구비할 수 있다.
도3에 나타내는 안테나(10A)에 있어서, 스터브(12)는 스플릿링(14)과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되어 있고, 스터브(12)는 스플릿링(14)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본원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4에 나타내는 안테나(10B)과 같이, 스터브(12)를 구성하는 제1도체(120) 및 제2도체(130)는, 스플릿링(14)의 내측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안테나(10B)는 안테나(10A)와 비교하여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3 및 도4에 나타내는 안테나(10A) 및 안테나(10B)의 각각에 있어서, 스터브(12)는 오픈스터브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원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터브(12)는, 쇼트스터브로서 구성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5에 나타내는 안테나(10C)와 같이, 제1도체(120)의 제2단부(124)와 제2도체(130)의 제2단부(134)를 제4도체(150)를 사용하여 접속함으로써 스터브(12C)를 쇼트스터브로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쇼트스터브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제3도체(140)의 제1단부(142) 및 제2단부(144)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제1도체(120)와 제2도체(130)를 제4도체(150)를 사용하여 접속하면 좋다. 쇼트스터브인 스터브(12C)의 전기길이는, 제1도체(120) 또는 제2도체(130)의 전기길이에 의존한다. 또한 스터브(12C)의 전기길이(소정의 전기장(電氣長))은, 동작 주파수의 하나에 대응하는 파장의 3/4(=0.75λ) 이상의 길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20A)는, 도2에 나타내는 안테나(20)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안테나(20A)는, 스터브(22)와 스플릿링(24)을 구비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도6의 안테나(20A)는, 제1도체(220), 제2도체(230) 및 제3도체(240)를 구비하고 있다. 제1도체(220), 제2도체(230) 및 제3도체(240)의 재료는 도전재료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제1도체(220), 제2도체(230) 및 제3도체(240)의 각각은, 금속판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는, 다층배선기판(多層配線基板)에 포함되는 복수층의 도전막 및 비아(via)에 의하여 구성되더라도 좋다. 또한 제1도체(220), 제2도체(230) 및 제3도체(240)는, 각각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된 것이라도 좋고, 일체화된 단일의 부재이더라도 좋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도체(220), 제2도체(230) 및 제3도체(240)의 각각은, 제1단부(222, 232, 242) 및 제2단부(224, 234, 244)를 구비하고 있다. 제1도체(220)의 제1단부(222)는, 제3도체(240)의 제1단부(242)에 접속되어 있다. 제2도체(230)의 제1단부(232)는, 제3도체(240)의 제2단부(244)에 접속되어 있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도체(220) 및 제2도체(230)의 각각은, 가로방향으로 긴 4각형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제1도체(220)는, 그 제1단부(222)로부터 제1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2도체(230)는, 그 제1단부(232)로부터 제2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제1도체(220)와 제2도체(230)는, 상하방향으로 떨어지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1도체(220)와 제2도체(230)는, 서로 떨어져서 대향하고 있다.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1도체(220)는 제2도체(230)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제1도체(220)와 제2도체(230)는, 스터브(22)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안테나(20A)는, 스터브(22)를 입체적으로 구성함으로써, 그 점유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로방향은 X방향이며, -X방향이 제1가로방향, +X방향이 제2가로방향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하방향은 Z방향이다. +Z방향이 상방이며, -Z방향이 하방이다.
도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터브(22)는 오픈스터브다. 즉 제1도체(220)의 제2단부(224) 및 제2도체(230)의 제2단부(234)의 각각은 개방단이다. 스터브(22)는, 제1도체(220) 또는 제2도체(230)의 가로방향의 길이에 의존하는 전기길이(Le)를 구비하고 있다. 전기길이(소정의 전기길이)(Le)는, 안테나(20A)의 동작 주파수의 하나에 대응하는 파장의 1/2(=0.5λ) 이상의 길이다.
도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도체(230)와 제3도체(240)는, 4각형의 스플릿링(24)을 구성하고 있다. 제3도체(24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1단부(242)가 제2단부(244)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두개의 굴곡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도체(230)의 제2단부(234)와 제3도체(240)의 제1단부(242)는,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고, 스플릿링(24)에 있어서의 스플릿부(26)를 형성하고 있다. 제2도체(230)에는, 급전부(28)가 설치되어 있다. 스터브(22)는, 주파수에 따라 인덕티브 또는 커패시티브로 기능한다. 이에 따라 스터브(22)와 스플릿링(24)으로 구성되는 스플릿링 공진기(200)는, 복수의 공진주파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안테나(20A)는, 복수의 동작 주파수를 구비할 수 있다.
도6에 나타내는 안테나(20A)에 있어서, 급전부(28)는, 제2도체(230)에 설치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도체(220), 제2도체(230) 및 제3도체(240)의 형상, 사이즈, 배치에 따라, 급전부(28)는, 제3도체(240)에 설치하여도 좋다(도2 참조). 환언하면, 본 발명의 안테나에 있어서, 급전부(28)는, 제2도체(230) 또는 제3도체(240)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또는, 급전부(28)는, 제1도체(220)에 설치되어도 좋다. 그 경우에, 제1도체(220) 및 제2도체(230)의 기능이 서로 교체되게 된다.
도6에 나타내는 안테나(20A)에 있어서, 제1도체(220) 및 제2도체(230)는, 가로방향으로 긴 4각형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7에 나타내는 안테나(20B)과 같이, 제1도체(220)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하고, 제2도체(230)를 면(面)모양으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는, 이와는 반대로 제1도체(220)를 면모양으로 형성하고, 제2도체(230)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8에 나타내는 안테나(20C)와 같이, 제1도체(220)를 스파이럴 모양으로 형성하고, 제2도체(230)를 면모양으로 형성하더라도 좋고, 그것과는 반대로, 제1도체(220)를 면모양으로 형성하고, 제2도체(230)를 스파이럴 모양으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들의 구성에 의하면, 안테나(20B) 또는 안테나(20C)의 대형화를 회피하면서, 스터브(22)의 전기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스터브(22)의 전기길이는, 지그재그 형상 또는 스파이럴 모양의 제1도체(220) 또는 제2도체(230)의 전기길이에 의존한다.
도6에서부터 도8까지에 나타내는 안테나(20A, 20B, 20C)의 각각에 있어서, 스터브(22)는 오픈스터브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원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터브(22)는, 쇼트스터브로서 구성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9에 나타내는 안테나(20D) 또는 도10에 나타내는 안테나(20E)와 같이, 제1도체(220)의 제2단부(224)와 제2도체(230)를 제4도체(250)를 사용하여 접속함으로써 스터브(22D) 또는 스터브(22E)를 쇼트스터브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도체(220)에 있어서 제4도체(250)의 접속위치는, 제2단부(224)에 한정되지 않고, 그 근방이며 좋다. 제4도체(250)의 접속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안테나(20D) 또는 안테나(20E)의 동작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안테나는, 제1도체(220)의 제2단부(224) 또는 그 근방에 있어서 제1도체(220)와 제2도체(230)를 접속하는 제4도체(250)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스터브(22D) 또는 스터브(22E)의 전기길이는, 지그재그 형상 또는 스파이럴 모양의 제1도체(220)의 전기길이에 의존한다. 스터브(22D) 또는 스터브(22E)의 전기길이는, 동작 주파수의 하나에 대응하는 파장의 3/4이상(=0.75λ)의 길이다.
도6에서부터 도10까지에 나타내는 안테나(20A, 20B, 20C, 20D, 20E)의 각각에 있어서, 스터브(22, 22D) 또는 스터브(22E)는 입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원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11에 나타내는 안테나(20F)와 같이, 스터브(22F)는, 평면적으로 구성되더라도 좋다. 도11의 안테나(20F)에 있어서, 제1도체(220)는, 제2도체(230)의 테두리를 따르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도체(220)는 협폭(狹幅)으로 형성되고, 제2도체(230)는 광폭(廣幅)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도체(240)의 제1단부(242)는, 제1도체(22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안테나(20F)도 또한 복수의 동작 주파수를 구비할 수 있다.
도6에서부터 도11까지에 나타내는 안테나(20A, 20B, 20C, 20D, 20E, 20F)의 각각에 있어서, 스터브(22, 22D, 22E) 또는 스터브(22F)는, 두개의 도체, 즉 제1도체(220) 및 제2도체(230)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원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터브(22)는, 3개 이상의 도체를 사용하여 구성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12에 나타내는 안테나(20G)와 같이, 제2도체(23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부가적인 제2도체(230G)를 설치하여도 좋다. 부가적인 제2도체(230G)는, 제2도체(230)와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사이즈를 구비하고 있다. 부가적인 제2도체(230G)는, 접속부(231)를 사용하여 제3도체(240)의 제2단부(244)에 접속된다. 제1도체(22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도체(230)와 부가적인 제2도체(230G) 사이에 위치한다.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1도체(220)로부터 제2도체(230)까지의 거리와, 제1도체(220)로부터 부가적인 제2도체(230G)까지의 거리는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안테나(20G)도 또한 복수의 동작 주파수를 구비할 수 있다.
도6에서부터 도11까지에 나타내는 안테나(20A, 20B, 20C, 20D, 20E, 20F)의 각각에 있어서, 제1도체(220) 및 제2도체(230)는 평판모양이었다. 그러나 본원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13에 나타내는 안테나(20H)와 같이, 원통형의 제2도체(230H)를 사용하여 스터브(22H)를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안테나(20H)도 또한 복수의 동작 주파수를 구비할 수 있다.
도1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30)는, 사용시에 있어서 회로기판(80)에 탑재되는 디스크리트 부품(discrete 部品)이다. 회로기판(80)에는, 안테나(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급전선(82)과 그라운드 플레인(ground plane)(84)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안테나는, 다층배선기판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전층 및 비어를 사용하여 구성되더라도 좋다. 또는, 본 발명의 안테나는, 수지체에 금속막을 도금하고, 또는 수지체에 금속체를 부착하는 등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구성되더라도 좋다. 하여튼, 본 발명의 안테나는, 도전부재가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안테나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도15에서부터 도21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테나(30)는, 제1도체(320), 제2도체(330) 및 제3도체(340)를 구비하고 있다. 제1도체(320), 제2도체(330) 및 제3도체(340)는, 스터브(32) 및 스플릿링(34)을 구성한다. 또한 스터브(32)과 스플릿링(34)은, 스플릿링 공진기(300)를 구성한다. 환언하면, 안테나(30)는, 제1도체(320), 제2도체(330) 및 제3도체(340)로 구성되는 스플릿링 공진기(30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도체(320), 제2도체(330) 및 제3도체(340)는, 단일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안테나(30)는, 복수의 도전부재를 사용하여 구성되더라도 좋다.
도15에서부터 도17까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도체(320), 제2도체(330) 및 제3도체(340)의 각각은, 제1단부(322, 332, 342) 및 제2단부(324, 334, 344)를 구비하고 있다. 제1도체(320)의 제1단부(322)는, 제3도체(340)의 제1단부(342)에 접속되어 있고, 제2도체(330)의 제1단부(332)는, 제3도체(340)의 제2단부(344)에 접속되어 있다.
도15 및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도체(320)는, 지그재그부(40)와 연장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지그재그부(40)의 단부(402)는, 제1도체(320)의 제1단부(322)이다. 지그재그부(40)의 다른 단부(404)는, 연장부(42)의 단부(422)에 접속되어 있다. 연장부(42)의 다른 단부(424)는, 제1도체(320)의 제2단부(324)이다. 연장부(42)는, 지그재그부(40)의 다른 단부(404)로부터 제2가로방향으로 연장된 후에 후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제1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제1도체(320)는, 스터브(32)를 부분적으로 구성한다. 제1도체(320)의 전기길이는, 스터브(32)의 전기길이(소정의 전기길이)를 결정한다.
도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도체(330)는, 전후방향으로 긴 4각형의 평판(平板)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후방향은 Y방향이다. +Y방향이 후방이며, -Y방향이 전방이다. 제2도체(330)의 제1단부(332) 및 제2단부(334)는, 한 쌍의 가장자리부(52, 50)로서 앞쪽 가장자리(54)에 가까운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제2도체(330)의 제1단부(332)는, 제3도체(340)의 제2단부(344)에 접속되어 있고, 제2도체(330)의 제2단부(334)는, 제3도체(340)의 제1단부(342)의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2도체(330)의 제2단부(334)는, 제3도체(340)의 제1단부(342)와 접속되어 있지 않고,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제2도체(330)와 제3도체(340)는 스플릿링(34)을 구성하고, 제2도체(330)의 제2단부(334)과 제3도체(340)의 제1단부(342)은, 스플릿링(34)에 있어서의 스플릿부(36)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도체(330)의 제2단부(334)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3도체(340)의 제1단부(342)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스플릿부(36)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도체(330)의 제2단부(334)와 제3도체(340)의 제1단부(34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18 및 도1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도체(33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1도체(320)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16 및 도1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제1도체(320)와 제2도체(330)는 부분적으로 겹치고 있다. 상세하게는, 상하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제2도체(330)는 제1도체(320)의 지그재그부(40)와 부분적으로 겹치고 있다. 제2도체(330)는 스터브(32)를 부분적으로 구성한다. 또한 제1도체(320)와 제2도체(330)는, 스터브(32)를 부분적으로 구성한다. 제1도체(320) 및 제2도체(33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겹치고 있는 부분 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도 스터브(32)를 구성한다. 환언하면, 제1도체(320) 및 제2도체(330)는 서로 가까이 배치됨으로써 스터브(32)를 구성한다.
도15에서부터 도19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3도체(340)는, 제1부(60), 제2부(62), 제3부(64), 제4부(66) 및 연결부(68)를 구비하고 있다.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부(60)는, 상하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L자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제2부(62)는, 상하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I자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제3부(64)는, 상하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역L자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도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4부(66)는, 상하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I자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도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부(68)는, 전방으로부터 보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I자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도16 및 도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도체(340)의 제1부(60)와 제3부(64)는, 가로방향에 있어서 제1도체(320) 및 제2도체(330)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3도체(340)의 제2부(62)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제1도체(320) 및 제2도체(330)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3도체(340)의 제4부(66)는, 그 앞쪽 가장자리가 제1도체(320)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제2도체(330)의 앞쪽 가장자리(54)와 일치하고 있다.
도15 및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부(60)의 단부(602)는, 제3도체(340)의 제1단부(342)이다. 제1부(60)의 다른 단부(604)는, 제2부(62)의 단부(622)에 접속되어 있다. 제2부(62)의 다른 단부(624)는, 제3부(64)의 단부(642)에 접속되어 있다. 도15 및 도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부(64)의 다른 단부(644)는, 연결부(68)의 단부(682)에 접속되어 있다. 연결부(68)의 다른 단부(684)는, 제4부(66)의 단부(662)에 접속되어 있다. 도15 및 도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4부(66)의 다른 단부(664)는, 제3도체(340)의 제2단부(344)이다.
도15에서부터 도17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3도체(340)는, 스플릿링(34)을 부분적으로 구성한다. 상세하게는, 제3도체(340)는, 제2도체(330)와 함께 스플릿링(34)을 구성한다.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도체(340)는, 부분적으로 제1도체(320)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3도체(340)의 제4부(66), 제3부(64) 및 제2부(62)의 각각은, 제1도체(320)의 연장부(42)의 각 부와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3도체(340)는, 스터브(32)를 부분적으로 구성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터브(32)는, 제1도체(320) 및 제2도체(330) 뿐만 아니라 제3도체(340)의 일부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15에서부터 도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도체(340)의 제4부(66)에는, 급전부(38)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급전부(38)는 급전선부(380)의 선단부다. 급전선부(380)는, 가로방향에 있어서, 제4부(66)의 대략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급전선부(380)는, 제4부(66)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하방으로 연장되고 있다. 급전부(38)는, 안테나(30)가 회로기판(80)(도14 참조)에 탑재되었을 때에, 회로기판(80)에 형성되어 있는 급전선(8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에서 급전부(38)와 급전선(82) 사이의 전기적 접속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급전부(38)는, 납땜 등의 방법에 의하여 급전선(82)에 직접 접속되어도 좋다. 또는, 급전부(38)는, 급전선(82)의 일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근접 배치되고, 용량성 결합(容量性結合) 또는 전자결합(電磁結合)에 의하여 전자기적(電磁氣的)으로 접속되더라도 좋다. 하여튼, 급전부(38)가 급전선(82)으로부터의 급전을 받을 수 있도록, 급전부(38)와 급전선(82)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좋다.
도15에서부터 도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도체(340)의 제1부(60) 및 제3부(64)에는, 각각 접지부(70)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접지부(70)의 각각은 4각형의 판모양이다. 접지부(70)는, 제3도체(340)의 가로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접지부(70)의 일방은 제1부(60)의 측부 테두리의 전단에, 접지부(70)의 타방은 제3부(64)의 측부 테두리의 전단 근방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접지부(70)의 각각은, 제1부(60) 또는 제3부(64)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있다. 접지부(70)는, 안테나(30)가 회로기판(80)(도14 참조)에 탑재되었을 때에, 회로기판(80)에 형성되어 있는 그라운드 플레인(8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15에서부터 도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도체(340)의 제2부(62)에는, 고정부(72)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고정부(72)는, 제2부(62)의 가로방향 중앙의 뒤쪽 가장자리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있다. 고정부(72)는, 안테나(30)가 회로기판(80)(도14 참조)에 탑재되었을 때에, 회로기판(80)에 고정되어 제3도체(340)를 지지한다. 고정부(72)는, 그라운드 플레인(8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더라도 좋고, 접속되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정부(72)의 수는 1개이지만, 두개 이상의 고정부(72)를 설치하여도 좋다.
도1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도체(320)에는 고정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제1도체(320)를 회로기판(80)(도14 참조)상에 있어서 지지하는 고정부를 1개 이상 설치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제1도체(320)의 연장부(42)에 고정부(73)(도22 참조)를 설치함으로써, 제1도체(3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도체(320)에 설치되는 고정부는, 그라운드 플레인(84)을 포함하는 회로기판(80)에 포함되는 도전부에는 접속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도체(330)에도 고정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제2도체(330)에도 제1도체(220)와 같이 고정부를 1개 이상 설치하여 좋다. 제2도체(330)에 설치되는 고정부도 또한 회로기판(80)에 포함되는 도전부에는 접속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터브(32)는 오픈스터브이지만, 쇼트스터브로서 구성되더라도 좋다. 그 경우에, 제1도체(320)의 제2단부(324)를 제2도체(330)에 접속하면 좋다. 오픈스터브의 경우에, 스터브(32)의 전기길이(소정의 전기길이)는, 동작 주파수의 어느 하나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파장의 1/2(=0.5λ)이상으로 한다. 한편, 쇼트스터브의 경우에, 스터브(32)의 전기길이(소정의 전기길이)는, 동작 주파수의 어느 하나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파장의 3/4(=0.75λ) 이상으로 한다. 이와 같이 스터브(32)이 소정의 전기길이를 구비함으로써 안테나(30)도 또한 복수의 동작 주파수를 구비할 수 있다.
도2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의한 안테나(30A)는, 안테나(30)의 구성에 더하여 방사소자(74)를 구비하고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방사소자(74)는, 안테나(30A)를 구성하는 다른 부분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방사소자(74)는, 안테나(30A)를 구성하는 다른 부분과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도 좋다.
도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방사소자(74)는, 연결부(68)의 단부(684)에 접속되어 있다. 방사소자(74)는, 연결부(68)의 단부(684)로부터 제1가로방향으로 연장된 후에, 약간 후방으로 연장되고 있다. 방사소자(74)는, 소위 역L형 안테나를 형성한다. 방사소자(74)의 전기길이는, 안테나(30A)의 동작 주파수의 어느 하나의 파장의 1/4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방사소자(74)의 전기길이는, 안테나(30A)의 동작 주파수의 어느 하나의 파장의 1/4에 대응하고 있다.
도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방사소자(74)에는, 고정부(73)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73)는, 안테나(30A)가 회로기판(80)(도14 참조)에 탑재되었을 때에, 회로기판(80)에 고정된다. 다만, 고정부(73)는, 회로기판(80)에 포함되는 도전부에는 접속되지 않는다. 고정부(73)는, 방사소자(74)를 기계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른 고정부(73)가 제1도체(320)에도 설치되어 있다.
도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도체(340)의 제4부(66)는, 부가부(76)를 통하여 연결부(68)의 단부(684)에 접속되어 있다. 방사소자(74)와 제4부(66)는,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방사소자(74)와 제4부(66)는,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방사소자(74)는, 스플릿링 공진기(300)와 공진하여, 안테나(30A)의 기능을 강화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서, 몇개의 실시형태를 들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10,10A,10B,20,20A,20B,20C,20D,20E,30 안테나
100,200,300 스플릿링 공진기
12,12C,22,22D,22E,22F,22H,32 스터브
120,220,320 제1도체
122,222,322 제1단부
124,224,324 제2단부
130,230,230H,330 제2도체
132,232,332 제1단부
134,234,334 제2단부
14,24,34 스플릿링
140,240,340 제3도체
142,242,342 제1단부
144,244,344 제2단부
150,250 제4도체
16,26,36 스플릿부
18,28,38 급전부
380 급전선부
230G 부가적인 제2도체
231 접속부
40 지그재그부
402,404 단부
42 연장부
422,424 단부
50,52 가장자리부
54 앞쪽 가장자리
60 제1부
602,604 단부
62 제2부
622,624 단부
64 제3부
642,644 단부
66 제4부
662,664 단부
68 연결부
682,684 단부
70 접지부
72 고정부
73 고정부
74 방사소자
76 부가부
80 회로기판
82 급전선
84 그라운드 플레인

Claims (9)

  1. 스플릿링 공진기(split ring 共振器)를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antenna)로서,
    1도체(第1導體)와 제2도체(第2導體)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동작 주파수(動作周波數)에서 동작하는 것이고,
    상기 제1도체와 상기 제2도체는, 소정의 전기길이(電氣長)에 걸쳐서 전송선로(傳送線路)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안테나는, 제3도체와 급전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 상기 제2도체 및 상기 제3도체의 각각은,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1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2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도체와 상기 제3도체는, 스플릿링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2도체의 상기 제2단부와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고, 상기 스플릿링에 있어서의 스플릿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제2도체 또는 상기 제3도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스플릿링의 상기 스플릿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급전부에 접속되는 급전선은, 상기 스플릿링이 규정하는 링 내의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스플릿링의 상기 스플릿부와 대향하는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안테나.
  2. 스플릿링 공진기를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로서,
    제1도체와 제2도체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동작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것이고,
    상기 제1도체와 상기 제2도체는, 소정의 전기길이에 걸쳐서 전송선로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안테나는, 제3도체와 급전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 상기 제2도체 및 상기 제3도체의 각각은,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1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2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3도체는, 스플릿링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는,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고, 상기 스플릿링에 있어서의 스플릿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스플릿링의 상기 스플릿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급전부에 접속되는 급전선은, 상기 스플릿링이 규정하는 링 내의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스플릿링의 상기 스플릿부와 대향하는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안테나.
  3. 스플릿링 공진기를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로서,
    제1도체와 제2도체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동작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것이고,
    상기 제1도체와 상기 제2도체는, 소정의 전기길이에 걸쳐서 전송선로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안테나는, 제3도체와 급전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 상기 제2도체 및 상기 제3도체의 각각은,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1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2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도체와 상기 제3도체는, 스플릿링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2도체의 상기 제2단부와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고, 상기 스플릿링에 있어서의 스플릿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제2도체 또는 상기 제3도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스플릿링의 상기 스플릿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급전부에 접속되는 급전선은, 상기 스플릿링이 규정하는 링 내의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스플릿링의 상기 스플릿부와 대향하는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1도체의 상기 제2단부 또는 그 근방에 있어서 상기 제1도체와 상기 제2도체를 접속하는 제4도체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와 상기 제2도체와 상기 제4도체는 상기 쇼트스터브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소정의 전기길이는, 상기 복수의 동작 주파수의 어느 하나의 파장의 0.75배 이상인
    안테나.
  4. 스플릿링 공진기를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로서,
    제1도체와 제2도체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동작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것이고,
    상기 제1도체와 상기 제2도체는, 소정의 전기길이에 걸쳐서 전송선로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안테나는, 제3도체와 급전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 상기 제2도체 및 상기 제3도체의 각각은,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1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2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도체와 상기 제3도체는, 스플릿링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2도체의 상기 제2단부와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고, 상기 스플릿링에 있어서의 스플릿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제2도체 또는 상기 제3도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스플릿링의 상기 스플릿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급전부에 접속되는 급전선은, 상기 스플릿링이 규정하는 링 내의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스플릿링의 상기 스플릿부와 대향하는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도체와 상기 제2도체는, 상기 오픈스터브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소정의 전기길이는, 상기 복수의 동작 주파수의 어느 하나의 파장의 0.5배 이상인
    안테나.
  5. 스플릿링 공진기를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로서,
    제1도체와 제2도체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동작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것이고,
    상기 제1도체와 상기 제2도체는, 소정의 전기길이에 걸쳐서 전송선로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안테나는, 제3도체와 급전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 상기 제2도체 및 상기 제3도체의 각각은,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1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2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3도체는, 스플릿링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는,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고, 상기 스플릿링에 있어서의 스플릿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스플릿링의 상기 스플릿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급전부에 접속되는 급전선은, 상기 스플릿링이 규정하는 링 내의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스플릿링의 상기 스플릿부와 대향하는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도체와 상기 제2도체를 접속하는 제4도체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와 상기 제2도체와 상기 제4도체는 상기 쇼트스터브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소정의 전기길이는, 상기 복수의 동작 주파수의 어느 하나의 파장의 0.75배 이상인
    안테나.
  6. 스플릿링 공진기를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로서,
    제1도체와 제2도체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동작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것이고,
    상기 제1도체와 상기 제2도체는, 소정의 전기길이에 걸쳐서 전송선로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안테나는, 제3도체와 급전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 상기 제2도체 및 상기 제3도체의 각각은,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1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도체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2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3도체는, 스플릿링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3도체의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는,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고, 상기 스플릿링에 있어서의 스플릿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스플릿링의 상기 스플릿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급전부에 접속되는 급전선은, 상기 스플릿링이 규정하는 링 내의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스플릿링의 상기 스플릿부와 대향하는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상기 제1도체와 상기 제2도체는, 상기 오픈스터브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소정의 전기길이는, 상기 복수의 동작 주파수의 어느 하나의 파장의 0.5배 이상인
    안테나.
  7.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도체로부터 연장되는 방사소자를 더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소자는, 상기 복수의 동작 주파수의 어느 하나의 파장의 1/4과 대응하고 있는
    안테나.
  9. 삭제
KR1020200113662A 2019-10-29 2020-09-07 안테나 KR102402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96290 2019-10-29
JP2019196290A JP7404031B2 (ja) 2019-10-29 2019-10-29 アンテ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203A KR20210052203A (ko) 2021-05-10
KR102402052B1 true KR102402052B1 (ko) 2022-05-24

Family

ID=7229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662A KR102402052B1 (ko) 2019-10-29 2020-09-07 안테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26664B2 (ko)
EP (1) EP3817138B1 (ko)
JP (1) JP7404031B2 (ko)
KR (1) KR102402052B1 (ko)
CN (1) CN112751202A (ko)
TW (1) TWI7946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9834S1 (en) * 2019-09-06 2022-04-26 Murata Manufacturing Co., Ltd. RFID tag
USD973039S1 (en) * 2019-09-06 2022-12-20 Murata Manufacturing Co., Ltd. RFID tag
JP1662552S (ko) * 2019-09-06 2020-06-29
JP7475126B2 (ja) * 2019-10-29 2024-04-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アンテナ
JP1701515S (ko) * 2021-03-17 2021-12-06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04253A (ja) 2011-09-02 2015-02-05 ドックオン エージー 片側多帯域アンテナ
JP2017192152A (ja) 2011-11-04 2017-10-19 ドックオン エージー 容量結合した複合ループアンテナ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451B2 (ja) 1980-07-31 1985-05-2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線材の水切り方法
PE20010586A1 (es) 1999-09-10 2001-06-23 Procter & Gamble Conjugados de polimeros funcionales que inhiben enzimas lipoliticas y/o proteoliticas
JP2002330023A (ja) 2001-04-27 2002-1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装置
GB2381664B (en) * 2001-10-12 2003-11-19 Murata Manufacturing Co Loop antenna, surface-mounted antenna and 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the same
KR100541080B1 (ko) 2002-12-16 2006-01-11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랜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무선랜 카드
JP3790249B2 (ja) 2004-01-13 2006-06-28 株式会社東芝 ループアンテナ及びループアンテナを備えた無線通信機
JP2005340933A (ja) * 2004-05-24 2005-12-08 Mitsubishi Electric Corp 円偏波アンテナ、及びこれを用いたレクテナ
CN1977424A (zh) * 2004-06-26 2007-06-06 株式会社Emw天线 用于独立地调整谐振频率的多频带内置天线及用于调整谐振频率的方法
JP4868874B2 (ja) * 2005-03-29 2012-02-01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ループアンテナ、該アンテナを使用したアンテナシステム及び該アンテナシステムを搭載した車両
CN100592572C (zh) * 2005-06-10 2010-02-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双频天线
US7176838B1 (en) * 2005-08-22 2007-02-13 Motorola, Inc. Multi-band antenna
US7768378B2 (en) * 2006-04-26 2010-08-03 Compx International Inc. Field retrofittable refrigerator lock with audit trail
KR100808476B1 (ko) 2006-05-26 2008-03-03 (사)한국전자산업진흥회 이동통신 단말기용 내장 안테나
JP4446203B2 (ja) * 2007-09-26 2010-04-0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素子および広帯域アンテナ装置
JP2009152722A (ja) * 2007-12-19 2009-07-09 Toshiba Corp アンテナ装置および無線装置
GB0802729D0 (en) * 2008-02-14 2008-03-26 Isis Innovation Resonant reflector assembly and method
TW200937742A (en) * 2008-02-25 2009-09-01 Quanta Comp Inc Dual feed-in dual-band antenna
US7589682B1 (en) * 2008-03-18 2009-09-15 Cameo Communications Inc. Single-plate dual-band antenna and wireless network device having the same
TWI411158B (zh) * 2008-04-09 2013-10-01 Acer Inc 一種多頻折疊環形天線
TW201027844A (en) * 2009-01-06 2010-07-16 Ralink Technology Corp Loop antenna for wireless network
KR20110010416A (ko) 2009-07-24 2011-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8164524B2 (en) * 2009-07-27 2012-04-24 Auden Techno Corp. Built-in straight mobile antenna type dual band antenna assembly with improved HAC performance
US9136594B2 (en) * 2009-08-20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Compact multi-band planar inverted F antenna
DE112010005220T5 (de) 2010-02-03 2012-11-08 Laird Technologies Ab Antennenvorrichtung und tragbare elektronische Vorrichtung, die solch eine Antennenvorrichtung aufweist
US9246221B2 (en) * 2011-03-07 2016-01-26 Apple Inc. Tunable loop antennas
CN103620870B (zh) 2011-06-23 2017-02-15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小型电气垂直式裂环谐振器天线
US9496616B2 (en) * 2011-08-24 2016-11-15 Nec Corporatio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JP2014053885A (ja) * 2012-08-08 2014-03-20 Canon Inc 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
JP6240040B2 (ja) * 2013-08-27 2017-11-29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JP6032515B2 (ja) * 2014-03-13 2016-11-30 ▲華▼▲為▼▲終▼端有限公司 アンテナ及び端末
JP6014071B2 (ja) 2014-03-20 2016-10-25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アンテナ装置
US10367248B2 (en) 2014-03-31 2019-07-30 Nec Corporation Antenna, array antenna,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JP6077507B2 (ja) 2014-09-19 2017-02-08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アンテナ及び無線通信装置
US10340609B2 (en) 2015-02-16 2019-07-02 Nec Corporation Multiband antenna, multiband antenna array, and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10615509B2 (en) 2015-03-19 2020-04-07 Nec Corporation Antenna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0756420B2 (en) 2015-04-02 2020-08-25 Nec Corporation Multi-band antenna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JP6606871B2 (ja) 2015-06-04 2019-11-20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ンテナおよび無線通信機
DE102015222131A1 (de) 2015-11-10 2017-05-11 Dialog Semiconductor B.V. Miniaturantenne
JP6659519B2 (ja) * 2016-11-02 2020-03-04 株式会社東芝 アンテナ装置
JP6624650B2 (ja) 2017-08-30 2019-12-25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アンテナ
TWI661614B (zh) * 2018-01-08 2019-06-0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迴圈天線
JP6787415B2 (ja) 2019-01-07 2020-11-18 ヤマハ株式会社 平面アンテナ及びアンテナエレメント間の結合低減方法
JP7216577B2 (ja) 2019-03-05 2023-02-0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アンテナ
JP7475126B2 (ja) * 2019-10-29 2024-04-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アンテ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04253A (ja) 2011-09-02 2015-02-05 ドックオン エージー 片側多帯域アンテナ
JP2017192152A (ja) 2011-11-04 2017-10-19 ドックオン エージー 容量結合した複合ループアンテ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72469A (ja) 2021-05-06
KR20210052203A (ko) 2021-05-10
EP3817138B1 (en) 2023-11-08
JP7404031B2 (ja) 2023-12-25
CN112751202A (zh) 2021-05-04
TW202118146A (zh) 2021-05-01
EP3817138A1 (en) 2021-05-05
US20210126367A1 (en) 2021-04-29
US11626664B2 (en) 2023-04-11
TWI794643B (zh) 2023-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2052B1 (ko) 안테나
JP3992077B2 (ja) アンテナ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無線通信機
US10741908B2 (en) Antenna system and antenna module with reduced interference between radiating patterns
KR100339788B1 (ko)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통신장치
US20040085245A1 (en) Surface mount antenna, antenna device using the same, and communication device
JPWO2008078437A1 (ja) アンテナ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無線通信装置
JP2021072469A5 (ko)
US8816911B2 (en) Multiple resonant antenna unit, associated printed circuit board and radio communication
US11380997B2 (en) Antenna
CN112204816A (zh) 导体、天线和通信装置
US20220302589A1 (en) Antenna device
JP5794300B2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通信端末装置
KR100688648B1 (ko) 단락 스터브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용 다중대역 내장형안테나
KR102008716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JP7153843B2 (ja) アンテナ装置
KR101491278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2053085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JP2002118418A (ja)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アンテナの実装構造および無線装置
KR102053080B1 (ko) 급전 구조체
KR101480592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JP6440941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その給電構造体
KR101846450B1 (ko) 이중대역 슬롯 안테나
KR101405730B1 (ko) 공진 부가 소자와 그를 갖는 급전 구조체 및 안테나 장치
KR101439000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1417574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