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788B1 -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788B1
KR100339788B1 KR1019990046551A KR19990046551A KR100339788B1 KR 100339788 B1 KR100339788 B1 KR 100339788B1 KR 1019990046551 A KR1019990046551 A KR 1019990046551A KR 19990046551 A KR19990046551 A KR 19990046551A KR 100339788 B1 KR100339788 B1 KR 100339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main surface
radiation
slit
b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5069A (ko
Inventor
츠바키노부히토
가와하타가즈나리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무라타 야스타카
Publication of KR20000035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20Non-resonant leaky-waveguide or transmission-lin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26Surface waveguide constituted by a single conductor, e.g. strip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3/00Antennas with active circuits or circuit elements integrated within them or attached to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주면, 제 2 주면 및 상기 제 1 주면과 제 2 주면의 사이에 이어지는 단면(end faces)을 갖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절연체(rectangular box-shaped insulator)를 포함하는 기본체(base); 상기 기본체의 제 1 주면에 주로 형성된 접지전극; 상기 기본체의 제 2 주면에 주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방사전극; 및 상기 기본체의 단면에 형성된 제 1 접속전극, 제 2 접속전극 및 급전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전극은 슬릿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슬릿은 상기 기본체의 제 2 주면의 모든 면에 대각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방사전극의 일단(an end)은 상기 제 1 접속전극을 통하여 상기 접지전극에 접속되는 상기 슬릿의 일단에 근접하며; 상기 급전전극은 사이에 틈을 두고 상기 제 1 접속전극이 접속된 상기 제 1 방사전극의 한 단부(end portion)로부터 멀리 떨어진 한 단부에 근접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슬릿의 일단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상기 제 2 방사전극의 한 단부는 상기 제 2 접속전극을 통하여 상기 접지전극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안테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통신장치 {Surface mount antenna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통신장치, 특히 휴대전화에서 이용되는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송신 주파수 및 수신 주파수 대역을 모두 커버하기 위하여 넓은 통과대역(pass band)을 얻을 수 있는 휩(whip) 안테나가 특히 휴대전화의 주 안테나로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휩 안테나는 휴대전화 케이스(case)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부러지기 쉽고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며, 또한 소형 및 경량의 휴대전화 개발의 진전이 이루어져, 넓은 통과대역을 커버하면서도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소형 안테나가 필요하게 되었다.
도 9는 넓은 통과대역을 목적으로 하는 종래의 안테나를 나타낸다. 도 9에서, 안테나 1은 직사각형 상자 형상인 기본체 2의 면에 형성된 몇 개의 전극을 포함하는데, 상기 기본체는 세라믹 또는 수지(resin)와 같은 유전체로 이루어진 절연체이다. 우선, 접지전극 3은 기본체 2의 제 1 주면의 거의 전면에 형성된다. 또한, 제 1 방사전극 4 및 제 2 방사전극 5는 틈(gap) g1을 사이에 두고 기본체 2의 제 2 주면에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방사전극 4의 일단은 개방단자를 형성하고, 또한 다른 일단은 기본체 2의 단면 중에서 한 개를 통하여 제 1 주면까지 이어지며 접지전극 3에 접속된다. 또한, 제 2 방사전극 5의 일단은 개방단자를 형성하고, 다른 일단은 제 1 방사전극 4처럼 기본체 2의 동일한 단면을 통하여 제 1 주면까지 이어지며 접지전극 3에 접속된다. 따라서, 급전전극(feed electrode) 6은 제 1 방사전극 4 및 제 2 방사전극 5 모두의 단면들까지 이어지는 기본체 2의 단면에 대향하는 또다른 단면에 형성되고, 또한, 급전전극 6의 일부는 기본체 2의 제 1 주면까지 이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안테나 1에서, 신호가 급전전극 6으로 전달되는 경우에, 제 1 방사전극 4 및 제 2 방사전극 5의 일단과 급전전극 6의 사이에 형성된 용량(capacitance)은 제 1 방사전극 4 및 제 2 방사전극 5로 신호를 전달한다. 그러므로, 제 1 방사전극 4와 제 2 방사전극 5의 일단이 개방단자가 되고 또다른 일단이 접속단자가 되므로, 방사전극 4 및 5는 일단으로부터 또다른 일단까지의 간격이 실효파장(effective wavelength)의 1/4이 되는 주파수에서 공진한다. 이 때, 안테나 1의 통과대역은 제 1 방사전극 4와 제 2 방사전극 5의 공진주파수들을 그 통과대역이 약간 겹치도록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넓어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9에 나타낸 안테나 1에서, 제 1 방사전극 4와 제 2 방사전극 5를 통해서 흐르는 공진전류의 벡터를 평행하게 하기 위하여 틈 g1은 좁게 형성되지만, 제 1 방사전극 4와 제 2 방사전극 5의 공진주파수가 현저하게 다른 경우에는 상기 방사전극들 중 오직 한 개만이 공진하고 다른 방사전극은 공진하지 않게 되어 안정된 이중공진(double resonance)을 얻기가 어렵게 된다. 더욱이, 틈 g1을 좁혀서 안테나 1을 소형화하면, 상기 두 방사전극은 서로 근접하게 되어 두 방사전극을 통하여 전류가 반대 위상(reverse phase)으로 흐르게 되므로, 안테나 특성이 더욱 나빠진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형이면서 넓은 통과대역을 갖는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통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실장형 안테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투시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면 실장형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실장형 안테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투시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실장형 안테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투시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실장형 안테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투시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실장형 안테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투시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의 표면 실장형 안테나를 나타내는 투시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 1 주면, 제 2 주면 및 상기 제 1 주면과 제 2 주면의 사이에 이어지는 단면들을 갖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절연체(roughly rectangular box-shaped insulator)를 포함하는 기본체(base); 상기 기본체의 제 1 주면에 주로 형성된 접지전극; 상기 기본체의 제 2 주면에 주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방사전극; 및 상기 기본체의 단면들에 형성된 제 1 접속전극, 제 2 접속전극 및 급전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전극은 슬릿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슬릿은 상기 기본체의 제 2 주면의 각 변에 대하여 대각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방사전극의 일단(an end)은 상기 제 1 접속전극을 통하여 상기 접지전극에 접속되는 상기 슬릿의 일단에 근접하며; 상기 급전전극은, 사이에 틈을 두면서, 상기 제 1 접속전극이 접속된 상기 제 1 방사전극의 한 단부(end portion)로부터 이격된 한 단부에 근접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슬릿의 일단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상기 제 2 방사전극의 한 단부는 상기 제 2 접속전극을 통하여 상기 접지전극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안테나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표면 실장형 안테나는 소형화될 수 있으며 통과대역도 넓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 1 주면, 제 2 주면 및 상기 제 1 주면과 제 2 주면의 사이에 이어지는 단면들을 갖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절연체를 포함하는 기본체; 상기 기본체의 제 1 주면에 주로 형성된 접지전극; 상기 기본체의 제 2 주면에 주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방사전극; 및 상기 기본체의 단면들에 형성된 제 1 접속전극, 제 2 접속전극 및 급전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전극은 슬릿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슬릿은 상기 기본체의 제 2 주면의 각 변에 대하여 대각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방사전극의 일단은 상기 제 1 접속전극을 통하여 상기 접지전극에 접속되는 상기 슬릿의 일단에 근접하며; 상기 급전전극은 상기 제 1 접속전극이 접속된 제 1 방사전극의 한 단부 부근에서 접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슬릿의 일단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상기 제 2 방사전극의 한 단부는 상기 제 2 접속전극을 통하여 상기 접지전극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안테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여, 표면 실장형 안테나는 더욱 넓은 통과대역을 가지면서 소형화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이중공진이 더욱 잘 발생하고, 또한 표면 실장형 안테나의 통과대역은 쉽게 넓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표면 실장형 안테나를 포함하는 통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실장형 안테나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통신장치는 휩 안테나가 필요 없고, 제조 단가가 낮아지며 소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 밖의 특성 및 작용효과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다음의 자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실장형 안테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에서, 표면 실장형 안테나 10은 세라믹 또는 수지와 같은 유전체를 포함하는 절연체인 직사각형 상자 형상인 기본체 11의 면에 형성된 몇 개의 전극들을 포함한다. 우선, 접지전극 12는 기본체 11의 제 1 주면에 형성되고, 제 1 방사전극 13 및 제 2 방사전극 14는 기본체 11의 제 2 주면에서 슬릿 s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한다. 여기서, 슬릿 s1은 일단에서 또다른 일단에서보다 더 좁아지고, 또한 기본체 11의 제 2 주면의 각변에 대하여 대각선으로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제 1 방사전극 13 및 제 2 방사전극 14는 서로 평행한 긴변과 짧은변 및 수직변과 경사변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이 된다. 또한, 슬릿 s1의 일단에 근접한 제 1 방사전극 13의 단부, 즉 사다리꼴의 짧은변의 단부는 기본체 11의 단면에 형성된 접속전극 15를 통해서 접지전극 12에 접속되어 접지된다. 그리고, 급전전극 17은 기본체 11의 단면에 형성되어 제 1 접속전극 15가 접속된 단부로부터 현저하게 떨어진 제 1 방사전극 13의 단부, 즉 사이에 틈 g2가 형성된 사다리꼴의 긴변의 일부를 형성하는 단부가 된다. 여기서, 급전전극 17의 일부가 기본체 11의 제 1 주면까지 이어지지만, 급전전극 17은 접지전극 12와 절연되어 있다. 또한, 슬릿 s1의 일단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제 2 방사전극 14, 즉 사다리꼴의 긴변의 일부는 기본체 11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접속전극 16을 통하여 접지전극 12에 접속되어 접지된다.
도 2는 상기 구성에 따른 표면 실장형 안테나 10의 평면도로서, 표면 실장형 안테나 10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한다. 도 2에서, 제 1 접속전극 15, 제 2 접속전극 16 및 급전전극 17의 상태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기본체 11의 단면에 형성된 전극들을 개방하였다.
도 2에서, 신호원(signal source) s는 급전전극 17에 접속되어 신호를 급전전극 17에 입력한다. 급전전극 17에 입력된 신호는 급전전극 17과 제 1 방사전극 13의 사이에 형성된 용량 C를 통하여 제 1 방사전극 13으로 전송된다. 제 1 방사전극 13에서, 사다리꼴의 긴변 부분은 개방단자가 되고, 짧은변 부분은 접속전극 15에 의해 접지되어, 결과적으로 제 1 방사전극 13은 긴변과 짧은변의 간격이 유효파장의 1/4이 되는 주파수에서 공진한다. 이 때, 제 1 방사전극 13의 공진전류 13i를 평균하면, 결과는 제 1 방사전극 13의 긴변과 짧은변을 연결하는 선이 된다.
한편, 제 2 방사전극 14에서, 단부의 일부가 접속전극 16에 의해 접지되므로, 이 부분은 접지단자가 되고, 이 접지단자로부터 또다른 개방단자를 형성하는 일단까지의 간격이 파장의 1/4이 되는 주파수에서 공진할 가능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1/4 파장에서 공진하는 일단이 개방단자이고 다른 일단이 접지단자가 되는 공진도체에서, 발생된 자기장은 개방단자 근처에서 최소가 되고 접지단자 근처에서 최대이다. 결과적으로, 제 1 방사전극 13에서 발생된 자기장은 접속전극 15 근처에서 더 강하게 된다. 또한, 제 2 방사전극 14에서 발생된 자기장은 공진하는 동안 접지단자가 되는 접속전극 16 근처에서 더 강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접속전극 15는 슬릿 s1의 일단 근처에 형성되고, 제 2 접속전극 16은 슬릿 s1의상기 일단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므로, 상기 두 전극은 서로 근접하고 서로 평행하다. 결과적으로, 제 1 접속전극 15와 제 2 접속전극 16은 자기적으로 결합된다. 도 2에서, H는 제 1 접속전극 15와 제 2 접속전극 16을 결합하는 자기장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 1 접속전극 15와 제 2 접속전극 16이 자기장에 의해 결합되므로, 제 1 방사전극 13으로부터의 신호는 자기장 결합을 통해서 제 2 방사전극 14로 전달되어, 제 2 방사전극 14는 공진한다. 또한, 제 2 방사전극 14에서, 슬릿 s1은 기본체 11의 제 2 주면의 각 변에 대하여 대각선으로 형성되고, 제 2 방사전극 14는 슬릿 s1을 통해서 제 1 방사전극 13과 대향하여 용량결합(capacitance-coupled)되므로, 제 2 방사전극 14는 경사변을 개방단자로 하고 긴변의 일부를 접지단자로 하여 공진한다. 따라서, 제 2 공진전극 14에서, 공진전류 14i를 평균하면, 공진전류 14i는 긴변의 일부로부터 경사변의 대략 중양부까지의 방향, 즉 제 1 방사전극 13 쪽으로 휜다.
그 결과, 제 1 방사전극 13과 제 2 방사전극 14가 공진하면서, 제 1 방사전극 13에서 공진전류 13i의 방향과 제 2 방사전극 14에서 공진전류 14i의 방향은 서로 거의 직각으로 교차한다. 따라서, 제 1 방사전극 13과 제 2 방사전극 14의 부근의 전기장과 자기장 벡터 또한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므로, 상호간섭(mutual interference)이 발생하기 힘들어 안정된 이중공진을 얻기가 쉬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입의 구성의 표면 실장형 안테나 10에서, 제 1 방사전극 13과 제 2 방사전극 14의 공진주파수를 다르게 하여 약간 겹치게 함으로써, 상대간섭 (relative interference)에 기인한 이득(gain)저하 등이 제거될 수 있고 넓은 통과대역이 얻어질 수 있다. 그리고, 통과대역이 넓으므로, 단일 안테나의 공진주파수를 바꿀 필요가 없어서 주파수 전환 회로가 필요 없게 되므로,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표면 실장형 안테나 10이 소형화되고 제조단가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제 1 방사전극 13과 제 2 방사전극 14가 유전체인 기본체 11에 형성되므로, 유전체의 파장 단축효과는 상기 방사전극들의 길이를 줄어들게 하므로, 결과적으로 표면 실장형 안테나 10은 더욱 소형화될 수 있다.
더욱이, 기판의 유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크기가 다양하고 여러 주파수를 커버할 수 있는 표면 실장형 안테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중공진이 가능한 직사각형 상자 형상인 단일 기본체를 포함하는 표면 실장형 안테나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안테나를 취급하기 쉽고 실장기판에 자동으로 실장할 수 있게 되어, 실장 기판에 상기 표면 실장형 안테나를 형성하는 경우에 제조단가가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실장형 안테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에서, 도 1과 동등한 부분에는 같은 참조번호를 붙였으며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나타낸 표면 실장형 안테나 20에서, 제 1 방사전극 21과 제 2 방사전극 22는 기본체 11의 제 2 주면에 형성되고, 슬릿 s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한다. 여기서, 슬릿 s2의 일단의 폭은 다른 일단의 폭보다 좁고, 또한 슬릿 s2는 기본체 11의 제 2 주면의 각변에 대하여 대각선으로 인접한 두 변의 사이에 형성되어, 제 1 방사전극 21은 서로 평행한 긴변과 짧은변, 여기에 수직인 긴변과 짧은변, 및 경사변을 갖는 오각형이 되고, 또한 제 2 방사전극 22는 낮은변, 수직변과 경사변을 갖는 삼각형이 된다.
상기 구성의 표면 실장형 안테나 20에서, 제 1 및 제 2 방사전극의 형상은, 본질적으로 같은 작용효과를 얻기는 하지만, 도 1에 나타낸 표면 실장형 안테나 10의 형상과는 다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실장형 안테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도 1과 동등한 부분에는 같은 참조번호를 붙였으며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낸 표면 실장형 안테나 30에서, 제 1 방사전극 31과 제 2 방사전극 32는 기본체 11의 제 2 주면에 형성되며, 슬릿 s3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한다. 여기서, 슬릿 s3의 일단의 폭은 다른 일단의 폭보다 좁고, 또한 슬릿 s3은 기본체 11의 제 2 주면의 각변에 대하여 대각선으로 인접한 두 변의 사이에 형성되어, 제 1 방사전극 31과 제 2 방사전극 32는 모두 평행한 긴변과 짧은변, 이들에 수직인 변 및 경사변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이다. 또한, 슬릿 s3의 일단 부근의 제 1 방사전극 31의 단부, 즉 사다리꼴의 긴변의 일단에 있는 단부는 제 1 접속전극 33에 의해서 접지전극 12에 접속되어 접지된다. 또한, 급전전극 35는 기본체 11의 단부에 형성되어, 제 1 접속전극 33이 접속된 단부로부터 현저하게 떨어진 제 1 방사전극 31의 단부, 즉 사이에 틈 g3를 갖는 사다리꼴의 긴변의 일단에 있는 단부가 된다. 여기서, 급전전극 35의 일부가 기본체 11의 제 1 주면까지 이어지지만, 접지전극 12로부터는 절연되어 있다. 또한, 슬릿 s3의 일단으로부터 고정된 거리에 있는 제 2 방사전극 32의 단부, 즉 사다리꼴의 긴변의 일부는 기본체 11의 단면에 형성된 제 2 접속전극 34를 통해서 접지전극 12에 접속되어 접지된다. 따라서, 제 1 접속전극 33과 제 2 접속전극 34는 기본체 11의 단면에 분리되면서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접속전극 33과 제 2 접속전극 34는 기본체 11의 단면에 분리되면서 인접하도록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3차원적으로 평행하지만 비교적 근접하므로,결과적으로 자기장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그러므로, 표면 실장형 안테나 30에서, 제 1 방사전극 31로부터의 신호는 자기적 결합을 통해서 제 2 방사전극 32까지 전달될 수 있고, 이중공진이 얻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표면 실장형 안테나는 표면 실장형 안테나 10에서와 마찬가지로 넓은 통과대역에 걸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는 표면 실장형 안테나 10처럼, 소형화가 가능하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실장형 안테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에서, 도 1과 동등한 부분에는 같은 참조번호를 붙였으며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낸 표면 실장형 안테나 40에서, 급전전극 41은 기본체 11의 단면에서 제 1 방사전극 13의 제 1 접속전극 15가 접속된 단부에 근접하는, 즉 짧은변의 부근에 있는 수직변의 일부를 따라 접속된다. 급전전극 41의 일부가 기본체 11의 제 1 주면까지 이어지지만, 접지전극 12로부터는 절연된다.
상기 구성의 표면 실장형 안테나 40에서, 제 1 방사전극 13은 급전전극 41로부터 신호를 직접 제 1 방사전극 13에 입력함으로써 공진한다. 즉, 제 1 방사전극 13은 전체로서 역 F 안테나(reverse F antenna)를 형성한다.
제 1 방사전극 13은 역 F 안테나를 포함하지만, 긴변과 짧은변의 간격이 유효파장의 1/4가 되는 주파수에서 상기 안테나가 공진한다는 점에서, 도 1에 나타낸 표면 실장형 안테나 10과 거의 같다. 그러므로, 표면 실장형 안테나 40에서, 제 1 방사전극 13으로부터의 신호는 자기결합에 의해 제 2 방사전극으로 전달될 수 있고, 이중공진이 얻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표면 실장형 안테나는 표면 실장형 안테나 10처럼 넓은 통과대역에 걸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는 표면 실장형 안테나 10처럼 소형화가 가능하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표면 실장형 안테나 40에서, 도 1에 나타낸 표면 실장형 안테나 10의 제 1 방사전극 13은 역 F 안테나였지만, 도 3 및 도 4에 각각 나타낸 표면 실장형 안테나 20과 표면 실장형 안테나 30의 제 1 방사전극도 또한 역 F 안테나를 포함하여 같은 효과를 얻는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실장형 안테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에서, 도 1과 동등한 부분에는 같은 참조번호를 붙였으며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낸 표면 실장형 안테나 60에서, 용량장하 전극(capacitance-loaded electrode) 51 및 52는 슬릿 s1의 끝, 즉 짧은변의 일단에 있는 단부와 긴변의 일단에 있는 단부에 근접한 제 2 방사전극 14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용량장하 전극 51 및 52는 기본체 11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방사전극 14에 접속되며 접지전극 12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어서, 결과적으로 용량이 용량장하 전극 51, 52 및 접지전극 12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용량장하 전극 51과 52가 형성된 단부에서 제 2 방사전극 14와 접속전극 12의 사이의 용량이 증가한다.용량장하 전극 51, 52 및 접지전극 1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수록 상기 용량은 증가한다.
여기서, 도 7은 상기 구성에 따른 표면 실장형 안테나 50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7을 참조하여 표면 실장형 안테나 5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7에서, 제 1 접속전극 15, 제 2 접속전극 16, 급전전극 17 및 용량장하 전극 51, 52의 상태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기본체 11의 단면에 형성된 전극들을 개방하였다.
도 7에서, 제 1 방사전극 13과 제 2 방사전극 14를 통하여 흐르는 공진전류 13i와 14i의 평균값이 아닌 몇 개의 다른 값을 나타내었다.
표면 실장형 안테나 50의 제 2 방사전극 14에 용량장하 전극 51과 52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용량장하 전극 51과 52의 방향, 즉 슬릿 s1의 일단을 향해 공진전류 14i가 휜다. 결과적으로, 도 7의 파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용량장하 전극 52가 없는 경우에 제 1 방사전극 13을 통하여 흐르는 공진전류 13i와 평행하게 흘러야만 하는 전류가 용량장하 전극 52의 방향으로 휜다. 제 2 방사전극 14를 통하여 흐르는 공진전류가 제 1 방사전극 13을 통하여 흐르는 공진전류와 평행한 경우에 이중공진을 어렵게 하는 공진전류의 사이의 간섭이 있지만, 용량장하 전극 52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류의 평행함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이중공진을 얻기가 쉬워진다.
한편, 용량장하 전극 51은 제 2 방사전극 14를 통하여 흐르는 공진전류 14i를 크게 휘게 하는 효과를 갖고 있어서 제 2 방사전극 14를 통하여 흐르는 공진전류 14i의 평균방향을 제 1 방사전극 13을 통하여 흐르는 공진전류 13i에 거의 수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용량장하 전극은 슬릿 s1의 두 단변(both end sides)에 형성될 필요는 없지만, 필요하다면 두 단변 중의 한 변에 형성할 수도 있다.
슬릿 s1의 폭은 각 단부에서 다르지만, 용량장하 전극 52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우선, 제 1 단부의 폭보다 슬릿 s1의 다른 단부의 폭을 크게 함으로써, 슬릿 s1의 다른 단부의 제 1 방사전극 13과 제 2 방사전극 14의 사이의 용량은 상대적으로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제 2 방사전극 14의 공진전류 14i의 대부분은 슬릿 s1의 다른 단변으로 흐르지 않게 된다. 슬릿 s1의 다른 단변으로 흐르는 공진전류 14i의 부분은 제 1 방사전극 13을 통하여 흐르는 공진전류 13i에 평행하게 되기 쉽고, 또한 이것을 줄임으로써, 용량장하 전극 52를 형성할 경우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표면 실장형 안테나 50에서, 용량장하 전극 51과 52는 도 1에 나타낸 표면 실장형 안테나 10의 제 2 방사전극 14에 형성되었지만,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표면 실장형 안테나 20, 30 및 40 중에서 어느 한 개의 제 2 방사전극에 용량장하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방사전극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의 폭은 각각의 단부에서 다르지만, 일정한 폭의 슬릿을 형성하면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 기본체 11은 유전체로 이루어지지만, 절연체인 자성체를 대신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파장단축에 의한 소형화의 효과를 제외하고는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에서, 실장기판 62는 통신장치 60의 케이스 61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고, 접지전극 63과 급전전극 64는 실장기판 62에 형성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안테나 10의 접속전극을 실장기판 62의 접속전극 63에 접속하고 안테나 10의 급전전극을 실장기판 62의 급전전극 64에 접속함으로써, 표면 실장형 안테나 10은 주 안테나로서 실장기판 62에 실장된다. 또한, 실장기판 62에 형성된 스위치 65를 통하여, 급전전극 64는 실장기판 62에 비슷하게 형성된 송신기(transmitter) 66과 수신기 (receiver) 67에 접속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치 60은 휩 안테나가 필요없고 제조단가가 낮으며 소형화될 수 있다.
통신장치 60은 도 1에 나타낸 표면 실장형 안테나 10을 이용하였지만, 도 3, 4, 5 및 6에 나타낸 표면 실장형 안테나 20, 30, 40 및 50을 이용한 구성에 의하여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공진이 더욱 잘 일어나고 통과대역이 쉽게 넓어질 수 있으며, 또한 소형화될 수 있는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하는 통신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표면 실장형 안테나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통신장치는 휩 안테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제조 단가가 낮아지며, 또한 소형화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묘사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제 1 주면, 제 2 주면 및 상기 제 1 주면과 제 2 주면의 사이에 이어지는 단면들을 갖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절연체로 이루어진 기본체;
    상기 기본체의 제 1 주면에 주로 형성된 접지전극;
    상기 기본체의 제 2 주면에 주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방사전극; 및
    상기 기본체의 단면에 형성된 제 1 접속전극, 제 2 접속전극 및 급전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전극은 상기 기본체의 제 2 주면의 각각의 변에 대하여 대각선으로 형성된 한 개의 슬릿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며;
    상기 제 1 방사전극의 일단은 상기 제 1 접속전극을 통하여 상기 접지전극에 접속되는 상기 슬릿의 일단의 부근에 있고;
    상기 급전전극은 상기 제 1 접속전극이 접속된 상기 제 1 방사전극의 단부로부터 떨어진 단부의 부근에, 사이에 틈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 2 방사전극의 단부는 상기 제 2 접속전극을 통하여 상기 접지전극에 접속된 상기 슬릿의 일단으로부터 일정하게 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용량장하 전극은 상기 슬릿의 일단과 다른 일단의 부근에 있는 상기 제 2 방사전극의 단부 중에서 적어도 한 개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안테나.
  3. 제 1 주면, 제 2 주면 및 상기 제 1 주면과 제 2 주면의 사이에 이어지는 단면들을 갖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절연체로 이루어진 기본체;
    상기 기본체의 제 1 주면에 주로 형성된 접지전극;
    상기 기본체의 제 2 주면에 주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방사전극; 및
    상기 기본체의 단면에 형성된 제 1 접속전극, 제 2 접속전극 및 급전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전극은 상기 기본체의 제 2 주면의 각각의 변에 대하여 대각선으로 형성된 한 개의 슬릿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며;
    상기 제 1 방사전극의 일단은 상기 제 1 접속전극을 통하여 상기 접지전극에 접속되는 상기 슬릿의 일단의 부근에 있고;
    상기 급전전극은 상기 제 1 접속전극이 접속된 상기 제 1 방사전극의 단부의 부근에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 2 방사전극의 단부는 상기 제 2 접속전극을 통하여 상기 접지전극에 접속된 상기 슬릿의 일단으로부터 일정하게 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안테나.
  4. 제 3 항에 있어서, 용량장하 전극은 상기 슬릿의 일단과 다른 일단의 부근에 있는 상기 제 2 방사전극의 단부 중에서 적어도 한 개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안테나.
  5. 제 1 주면, 제 2 주면 및 상기 제 1 주면과 제 2 주면의 사이에 이어지는 단면들을 갖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절연체로 이루어진 기본체;
    상기 기본체의 제 1 주면에 주로 형성된 접지전극;
    상기 기본체의 제 2 주면에 주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방사전극; 및
    상기 기본체의 단면에 형성된 제 1 접속전극, 제 2 접속전극 및 급전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전극은 상기 기본체의 제 2 주면의 각각의 변에 대하여 대각선으로 형성된 한 개의 슬릿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며;
    상기 제 1 방사전극의 일단은 상기 제 1 접속전극을 통하여 상기 접지전극에 접속되는 상기 슬릿의 일단의 부근에 있고;
    상기 급전전극은 상기 제 1 접속전극이 접속된 상기 제 1 방사전극의 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의 부근에, 사이에 틈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 2 방사전극의 단부는 상기 제 2 접속전극을 통하여 상기 접지전극에 접속된 상기 슬릿의 일단으로부터 일정하게 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안테나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용량장하 전극은 상기 슬릿의 일단과 다른 일단의 부근에 있는 상기 제 2 방사전극의 단부 중에서 적어도 한 개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7. 제 1 주면, 제 2 주면 및 상기 제 1 주면과 제 2 주면의 사이에 이어지는 단면들을 갖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절연체로 이루어진 기본체;
    상기 기본체의 제 1 주면에 주로 형성된 접지전극;
    상기 기본체의 제 2 주면에 주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방사전극; 및
    상기 기본체의 단면에 형성된 제 1 접속전극, 제 2 접속전극 및 급전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전극은 상기 기본체의 제 2 주면의 각각의 변에 대하여 대각선으로 형성된 한 개의 슬릿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며;
    상기 제 1 방사전극의 일단은 상기 제 1 접속전극을 통하여 상기 접지전극에 접속되는 상기 슬릿의 일단의 부근에 있고;
    상기 급전전극은 상기 제 1 접속전극이 접속된 상기 제 1 방사전극의 단부의 부근에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 2 방사전극의 단부는 상기 제 2 접속전극을 통하여 상기 접지전극에 접속된 상기 슬릿의 일단으로부터 일정하게 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안테나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용량장하 전극은 상기 슬릿의 일단과 다른 일단의 부근에 있는 상기 제 2 방사전극의 단부 중에서 적어도 한 개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KR1019990046551A 1998-11-17 1999-10-26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통신장치 KR100339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669598A JP3351363B2 (ja) 1998-11-17 1998-11-17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JP10-326695 1998-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069A KR20000035069A (ko) 2000-06-26
KR100339788B1 true KR100339788B1 (ko) 2002-06-07

Family

ID=18190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551A KR100339788B1 (ko) 1998-11-17 1999-10-26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통신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00849A (ko)
EP (1) EP1003240B1 (ko)
JP (1) JP3351363B2 (ko)
KR (1) KR100339788B1 (ko)
CN (1) CN1168179C (ko)
CA (1) CA2267533C (ko)
DE (1) DE6992106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8846B1 (en) 1999-09-08 2008-06-17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Cellularized packetized voice and data
US7561895B1 (en) 1999-09-08 2009-07-14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Reverse sectorization wireless communication
US6831902B1 (en) 1999-09-08 2004-12-14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Routing information packets in a distributed network
US6987769B1 (en) * 1999-09-08 2006-01-17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distributed communication
US8005077B1 (en) 1999-09-08 2011-08-23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Distributively routed VDSL and high-speed information packets
DE60033275T2 (de) * 1999-09-09 2007-10-25 Murata Manufacturing Co., Ltd., Nagaokakyo Oberflächenmontierbare antenne und kommunikationsgerät mit einer derartigen antenne
JP3639753B2 (ja) * 1999-09-17 2005-04-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WO2001024316A1 (fr) * 1999-09-30 2001-04-05 Murata Manufacturing Co., Ltd. Antenne a montage en surface et dispositif de communication avec antenne a montage en surface
JP3646782B2 (ja) * 1999-12-14 2005-05-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機
US6414637B2 (en) * 2000-02-04 2002-07-02 Rangestar Wireless Inc. Dual frequency wideband radiator
US6784843B2 (en) * 2000-02-22 2004-08-3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ulti-resonance antenna
JP3468201B2 (ja) * 2000-03-30 2003-11-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の複共振の周波数調整設定方法および表面実装型アンテナを備えた通信装置
JP3658639B2 (ja) * 2000-04-11 2005-06-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のアンテナを備えた無線機
EP1146589B1 (en) * 2000-04-14 2005-11-23 Hitachi Metals, Ltd. Chip antenna element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6515630B2 (en) * 2000-06-09 2003-02-04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Slot wedge antenna assembly
CA2420959C (en) * 2000-08-28 2009-11-03 In4Tel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low-frequency oper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antennas
JP2002094323A (ja) * 2000-09-20 2002-03-29 Murata Mfg Co Ltd 円偏波アンテナ装置
DE60120089T2 (de) * 2000-11-22 2007-0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Antenne und drahtloses Gerät mit einer solchen Antenne
WO2002043182A1 (de) 2000-11-24 2002-05-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Pifa-antennenvorrichtung für mobile kommunikationsendgeräte
SE519560C2 (sv) * 2000-12-20 2003-03-11 Allgon Mobile Comm Ab Antennanordning och sätt att justera nämnda antennanordning
KR20020061103A (ko) * 2001-01-12 2002-07-22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안테나 장치 및 이 안테나 장치가 부착된 단말기기
US6765537B1 (en) * 2001-04-09 2004-07-20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Dual uncoupled mode box antenna
JP3678167B2 (ja) 2001-05-02 2005-08-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及びこのアンテナ装置を備えた無線通信機
JP4044302B2 (ja) * 2001-06-20 2008-02-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機
JP3654214B2 (ja) * 2001-07-25 2005-06-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面実装アンテナ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アンテナを備えた無線通信機
TW497292B (en) * 2001-10-03 2002-08-01 Accton Technology Corp Dual-band inverted-F antenna
TW512558B (en) 2002-01-16 2002-12-01 Accton Technology Corp Surface-mountable dual-band monopole antenna for WLAN application
DE10210341A1 (de) 2002-03-08 2003-09-25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Mehrband-Mikrowellenantenne
US6664926B1 (en) * 2002-03-12 2003-12-16 Centurion Wireless Tech., Inc. Compact planar antenna
JP2004007559A (ja) * 2002-04-25 2004-0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共振アンテナ、アンテナモジュールおよび多共振アンテナを用いた無線装置
JP3921425B2 (ja) * 2002-07-19 2007-05-30 株式会社ヨコオ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携帯無線機
JP3794360B2 (ja) * 2002-08-23 2006-07-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通信機
KR100626667B1 (ko) * 2002-08-28 2006-09-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평면형 역 에프 안테나
JP2005012743A (ja) 2002-10-22 2005-0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5064938A (ja) 2003-08-14 2005-03-10 Nec Access Technica Ltd 小型無線機用アンテナ装置
CN1989652B (zh) 2004-06-28 2013-03-13 脉冲芬兰有限公司 天线部件
WO2006097567A1 (en) * 2005-03-16 2006-09-21 Pulse Finland Oy Antenna component
FI118748B (fi) * 2004-06-28 2008-02-29 Pulse Finland Oy Pala-antenni
FI20041455A (fi) 2004-11-11 2006-05-12 Lk Products Oy Antennikomponentti
US7221321B2 (en) * 2004-11-17 2007-05-22 Jasco Trading (Proprietary) Limited Dual-frequency dual polarization antenna
FI121520B (fi) * 2005-02-08 2010-12-15 Pulse Finland Oy Sisäinen monopoliantenni
JP2006295876A (ja) * 2005-03-15 2006-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機
US8378892B2 (en) * 2005-03-16 2013-02-19 Pulse Finland Oy Antenna component and methods
FI20055420A0 (fi) 2005-07-25 2005-07-25 Lk Products Oy Säädettävä monikaista antenni
FI119009B (fi) 2005-10-03 2008-06-13 Pulse Finland Oy Monikaistainen antennijärjestelmä
FI118872B (fi) 2005-10-10 2008-04-15 Pulse Finland Oy Sisäinen antenni
FI118782B (fi) * 2005-10-14 2008-03-14 Pulse Finland Oy Säädettävä antenni
FI118837B (fi) * 2006-05-26 2008-03-31 Pulse Finland Oy Kaksoisantenni
US8618990B2 (en) 2011-04-13 2013-12-31 Pulse Finland Oy Wideband antenna and methods
US10211538B2 (en) 2006-12-28 2019-02-19 Pulse Finland Oy Directional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FI20075269A0 (fi) 2007-04-19 2007-04-19 Pulse Finland Oy Menetelmä ja järjestely antennin sovittamiseksi
FI120427B (fi) 2007-08-30 2009-10-15 Pulse Finland Oy Säädettävä monikaista-antenni
FI124129B (fi) * 2007-09-28 2014-03-31 Pulse Finland Oy Kaksoisantenni
US7746278B2 (en) * 2008-04-17 2010-06-2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ntenna arrangement
CN101437344B (zh) * 2008-12-22 2012-05-23 生茂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交通信号灯常亮故障保护电路
WO2010095300A1 (ja) * 2009-02-20 2010-08-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ップアンテナ及びアンテナ装置
FI20096134A0 (fi) 2009-11-03 2009-11-03 Pulse Finland Oy Säädettävä antenni
FI20096251A0 (sv) 2009-11-27 2009-11-27 Pulse Finland Oy MIMO-antenn
US8847833B2 (en) 2009-12-29 2014-09-30 Pulse Finland Oy Loop resonator apparatus and methods for enhanced field control
FI20105158A (fi) 2010-02-18 2011-08-19 Pulse Finland Oy Kuorisäteilijällä varustettu antenni
GB2513755B (en) 2010-03-26 2014-12-17 Microsoft Corp Dielectric chip antennas
US9406998B2 (en) 2010-04-21 2016-08-02 Pulse Finland Oy Distributed multiband antenna and methods
FI20115072A0 (fi) 2011-01-25 2011-01-25 Pulse Finland Oy Moniresonanssiantenni, -antennimoduuli ja radiolaite
US9673507B2 (en) 2011-02-11 2017-06-06 Pulse Finland Oy Chassis-excited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US8648752B2 (en) 2011-02-11 2014-02-11 Pulse Finland Oy Chassis-excited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US8866689B2 (en) 2011-07-07 2014-10-21 Pulse Finland Oy Multi-band antenna and methods for long term evolution wireless system
US9450291B2 (en) 2011-07-25 2016-09-20 Pulse Finland Oy Multiband slot loop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US9123990B2 (en) 2011-10-07 2015-09-01 Pulse Finland Oy Multi-feed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US9531058B2 (en) 2011-12-20 2016-12-27 Pulse Finland Oy Loosely-coupled radio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US9484619B2 (en) 2011-12-21 2016-11-01 Pulse Finland Oy Switchable diversity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US8988296B2 (en) 2012-04-04 2015-03-24 Pulse Finland Oy Compact polarized antenna and methods
US9502776B2 (en) * 2012-04-09 2016-11-22 Maxtena Antenna surrounded by metal housing
US9979078B2 (en) 2012-10-25 2018-05-22 Pulse Finland Oy Modular cell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US10069209B2 (en) 2012-11-06 2018-09-04 Pulse Finland Oy Capacitively coupled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US10079428B2 (en) 2013-03-11 2018-09-18 Pulse Finland Oy Coupled antenna structure and methods
US9647338B2 (en) 2013-03-11 2017-05-09 Pulse Finland Oy Coupled antenna structure and methods
US9634383B2 (en) 2013-06-26 2017-04-25 Pulse Finland Oy Galvanically separated non-interacting antenna sector apparatus and methods
US9680212B2 (en) 2013-11-20 2017-06-13 Pulse Finland Oy Capacitive ground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e devices
US9590308B2 (en) 2013-12-03 2017-03-07 Pulse Electronics, Inc. Reduced surface area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CN103632177A (zh) * 2013-12-07 2014-03-12 威海北洋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双线框三维通道装置
US9350081B2 (en) 2014-01-14 2016-05-24 Pulse Finland Oy Switchable multi-radiator high band antenna apparatus
WO2015120780A1 (zh) * 2014-02-12 2015-08-20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天线及移动终端
US9973228B2 (en) 2014-08-26 2018-05-15 Pulse Finland Oy Antenna apparatus with an integrated proximity sensor and methods
US9948002B2 (en) 2014-08-26 2018-04-17 Pulse Finland Oy Antenna apparatus with an integrated proximity sensor and methods
US9722308B2 (en) 2014-08-28 2017-08-01 Pulse Finland Oy Low passive intermodulation distributed antenna system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9906260B2 (en) 2015-07-30 2018-02-27 Pulse Finland Oy Sensor-based closed loop antenna swapping apparatus and methods
CN109103590B (zh) * 2018-08-12 2021-01-01 瑞声精密制造科技(常州)有限公司 天线单元及天线系统
CN116914435B (zh) * 2023-09-12 2023-11-24 上海英内物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宽带圆极化贴片天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5530A (ja) * 1992-08-31 1994-03-25 Sony Corp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及び携帯無線機
JPH09270628A (ja) * 1996-03-29 1997-10-14 Sony Corp 平面アンテナ及び無線装置
JPH1013141A (ja) * 1996-06-24 1998-01-16 Ricoh Co Ltd 平面アンテナ
US5767809A (en) * 1996-03-07 1998-06-1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OMNI-directional horizontally polarized Alford loop strip antenna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2647A (en) * 1994-05-09 1999-06-15 Murata Manufacturing Co., Ltd. Antenna unit
JP3319268B2 (ja) * 1996-02-13 2002-08-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信機
JP3279205B2 (ja) * 1996-12-10 2002-04-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通信機
US5926139A (en) * 1997-07-02 1999-07-20 Lucent Technologies Inc. Planar dual frequency band antenn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5530A (ja) * 1992-08-31 1994-03-25 Sony Corp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及び携帯無線機
US5767809A (en) * 1996-03-07 1998-06-1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OMNI-directional horizontally polarized Alford loop strip antenna
JPH09270628A (ja) * 1996-03-29 1997-10-14 Sony Corp 平面アンテナ及び無線装置
JPH1013141A (ja) * 1996-06-24 1998-01-16 Ricoh Co Ltd 平面アンテ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21063D1 (de) 2004-11-18
CN1168179C (zh) 2004-09-22
EP1003240A2 (en) 2000-05-24
CA2267533A1 (en) 2000-05-17
DE69921063T2 (de) 2006-03-09
KR20000035069A (ko) 2000-06-26
EP1003240B1 (en) 2004-10-13
JP3351363B2 (ja) 2002-11-25
JP2000151258A (ja) 2000-05-30
CN1254202A (zh) 2000-05-24
EP1003240A3 (en) 2003-06-11
CA2267533C (en) 2001-05-08
US6100849A (en) 2000-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9788B1 (ko)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통신장치
EP1109251B1 (en) Antenna unit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KR100413746B1 (ko)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표면 실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통신장치
EP1063722B1 (en)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266376B1 (ko)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통신기기
KR100533624B1 (ko) 듀얼 피딩 포트를 갖는 멀티밴드 칩 안테나 및 이를사용하는 이동 통신 장치
US7471252B2 (en) Antenna structure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5764191A (en) Retractable antenna assembly for a portable radio device
US6573867B1 (en) Small embedded multi frequency antenna for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s
KR20030063168A (ko) 안테나장치, 통신장치 및 안테나장치 설계방법
KR20040023543A (ko) 이동 전화기용 안테나
KR20050023203A (ko) 안테나 장치 및 휴대 무선 통신 단말기
EP0996992A1 (en) Trap microstrip pifa
JP3661432B2 (ja)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機
JP3606005B2 (ja) アンテナ装置
CN112825386B (zh) 天线结构及具有该天线结构的无线通信装置
JPH1013135A (ja) アンテナおよび無線機
KR200289575Y1 (ko) 프린트기판에 구현된 이동통신기기용 다중 대역 안테나
US7616161B2 (en) Portable wireless apparatus
US6201502B1 (en)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010013132A (ko) 장착형 안테나를 갖는 무선 기기
US20020021189A1 (en) Dielec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incation device using the same
CN112151939A (zh) 天线结构及具有该天线结构的无线通信装置
KR100631435B1 (ko) 다중대역 프린트 안테나
JP2000114860A (ja) 板状逆fアンテナおよび無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