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278B1 -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278B1
KR101491278B1 KR20130082069A KR20130082069A KR101491278B1 KR 101491278 B1 KR101491278 B1 KR 101491278B1 KR 20130082069 A KR20130082069 A KR 20130082069A KR 20130082069 A KR20130082069 A KR 20130082069A KR 101491278 B1 KR101491278 B1 KR 101491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nce
grounding
power supply
antenna devic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2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7716A (ko
Inventor
김창욱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82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278B1/ko
Publication of KR20150007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5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fee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14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42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tu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접지부와, 접지부에 연결되는 급전부와, 급전부에 배치되는 공진 제어부를 포함하는 급전 구조체 및 그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장치(100)가 보다 확장된 공진 주파수 대역을 갖는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ANTENNA APPARATUS AND FEEDING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는 전자기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테나 장치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여, 해당 주파수 대역의 전자기파를 송수신한다. 이 때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 시, 안테나 장치에서 임피던스(impedance)는 허수로 된다. 그리고 안테나 장치에 대하여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S 파라미터(S parameter)가 급격히 감소한다.
이를 위해, 안테나 장치는 원하는 공진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파장 λ에 대하여 λ/2의 전기적 길이를 갖는 도선(conducting wire)을 구비한다. 이러한 안테나 장치는 도선을 통해 전자기파를 전송하며, 전자기파가 도선에서 정상파(standing wave)를 형성함에 따라, 안테나 장치에서 공진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안테나 장치에서, 동작 효율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안테나 장치에서 공진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여 도선의 전기적 길이가 결정되기 때문에, 안테나 장치의 사이즈가 공진 주파수 대역에 따라 결정된다. 이로 인하여, 안테나 장치의 사이즈를 대형화하지 않고도, 안테나 장치의 동작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 장치의 동작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즉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의 사이즈를 대형화하지 않고도, 안테나 장치의 동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급전 구조체는, 접지부와, 상기 접지부에 연결되는 급전부와, 상기 급전부에 배치되는 공진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급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공진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리액턴스 소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급전 구조체는, 상기 접지부로부터 연장되는 공진 부가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신호를 공급하는 급전 구조체와, 상기 급전 구조체에 연결되며, 상기 신호를 방사하는 방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급전 구조체는, 접지부와, 상기 접지부에 연결되는 급전부와, 상기 급전부에 배치되는 공진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진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리액턴스 소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전 구조체는, 상기 접지부로부터 연장되는 공진 부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접지부 및 공진 부가부에 연결되며, 상기 신호를 방사하는 접지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는, 공진 제어부를 포함함에 따라, 보다 확장된 공진 주파수 대역을 갖는다. 즉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에서, 공진 제어부가 공진 주파수 대역에 공진 대역을 부가한다. 이 때 공진 제어부가 급전부에 배치됨에 따라,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가 구현된다. 이를 통해, 안테나 장치의 사이즈를 대형화하지 않고도, 안테나 장치의 동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급전 구조체의 등가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전 구조체의 변형 예들의 등가 회로들을 도시하는 회로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서 급전 구조체의 등가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안테나 장치(100)는 구동 기판(110), 접지체(120) 및 안테나 소자(130)를 포함한다.
구동 기판(110)은 안테나 장치(100)에서 급전(急電) 및 지지(支持)를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구동 기판(110)은 평판 구조를 갖는다. 이 때 구동 기판(110)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일 수 있다. 여기서, 구동 기판(110)은 단일 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기판들이 적층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구동 기판(110)에, 전송 선로(도시되지 않음)가 내재된다. 전송 선로는 일 단부를 통해 제어 모듈(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또한 전송 선로는 타 단부를 통해 노출된다. 즉 전송 선로는 제어 모듈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구동 기판(110)은 유전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 기판(110)의 도전율(conductivity; σ)이 0.02일 수 있다. 그리고 구동 기판(110)의 유전율(permittivity; ε)이 4.4일 수 있다. 게다가, 구동 기판(110)의 손실 탄젠트(loss tangent)는 0.02일 수 있다. 이 때 전송 선로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송 선로는 은(Ag), 팔라듐(Pd), 백금(Pt), 구리(Gu), 금(Au), 니켈(N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체(120)는 안테나 장치(100)에서 접지(接地)를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접지체(120)는 구동 기판(11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형성된다. 이 때 접지체(120)는 구동 기판(110)의 전송 선로로부터 이격된다. 즉 접지체(120)는 전송 선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다. 여기서, 접지체(120)는 구동 기판(110)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구동 기판(110)이 다수개의 기판들로 이루어진 경우, 접지체(120)는 기판들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안테나 소자(130)는 안테나 장치(100)에서 통신을 위해 제공된다. 이 때 안테나 소자(130)는 구동 기판(110)에서 신호가 공급됨에 따라, 동작한다. 여기서, 안테나 소자(130)는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에서 공진한다. 그리고 안테나 소자(130)는 미리 결정되는 공진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한다. 여기서, 안테나 소자(130)의 공진 주파수 대역은 다수개의 공진 대역들을 포함한다. 공진 대역들은 주파수 영역에서 상호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안테나 소자(130)는 구동 기판(110)에 배치된다. 이 때 안테나 소자(130)는 구동 기판(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안테나 소자(130)는 전송 선로에 접촉한다. 또한 안테나 소자(130)는 접지체(120)에 접촉한다. 여기서, 안테나 소자(130)는 급전 구조체(140) 및 방사부(150)를 포함한다.
급전 구조체(140)는 안테나 소자(130)에서 방사부(150)에 신호를 공급한다. 즉 급전 구조체(140)는 방사부(150)를 동작시킨다. 이에 더하여, 급전 구조체(140)는 접지체(120)에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즉 급전 구조체(140)는 접지체(1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급전 구조체(140)는 구동 기판(110)에 배치된다. 이 때 급전 구조체(140)는 구동 기판(110)의 상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급전 구조체(140)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급전 구조체(140)는 은(Ag), 팔라듐(Pd), 백금(Pt), 구리(Gu), 금(Au), 니켈(N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급전 구조체(140)는 급전부(141), 접지부(143), 공진 제어부(145) 및 공진 부가부(147)를 포함한다.
급전부(141)는 급전 구조체(140)에 신호를 공급한다. 이러한 급전부(141)는 일 단부를 통해 전송 선로에 접촉한다. 여기서, 급전부(141)의 일 단부가 급전점(Feeding Point; FP; 142)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면, 급전점(142)은 접지체(120)에 근접한 위치에서, 전송 선로에 접촉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급전점(142)은 접지체(120)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급전부(141)에, 제어 모듈로부터 신호가 공급된다. 그리고 급전부(141)는 타 단부를 통해 급전점(142)으로부터 연장된다. 이를 통해, 급전부(141)가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로, 신호를 공급한다.
접지부(143)는 급전부(141)를 접지체(120)에 연결한다. 즉 접지부(143)는 급전부(141)와 접지체(120)에 연결된다. 이 때 접지부(143)는 일 단부를 통해 급전부(141)에 접촉한다. 그리고 접지부(143)는 타 단부를 통해 급전부(141)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접지부(143)는 타 단부를 통해 접지체(120)에 접촉한다. 이를 통해, 접지부(143)가 접지체(120)로 접지되며, 급전부(141)로부터 접지체(120)를 향하여 신호를 전달한다.
이 때 급전부(141)와 접지부(143)는 공진 주파수 대역에서 제 1 공진 대역을 결정한다. 즉 급전부(141)와 접지부(143)가 공진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공진 루프에서, 제 1 공진 대역이 결정된다. 여기서, 공진 루프의 사이즈에 따라, 제 1 공진 대역이 결정될 수 있다.
공진 제어부(145)는 급전부(141)에 배치된다. 즉 공진 제어부(145)는 급전부(141)에 개재된다. 그리고 공진 제어부(145)는 적어도 하나의 리액턴스 소자를 포함한다. 이 때 리액턴스 소자는 미리 결정되는 리액턴스(reactance)를 갖는다. 여기서, 리액턴스 소자는 용량성 소자 또는 유도성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용량성 소자는 커패시터(capacitor)일 수 있으며, 유도성 소자는 인덕터(inductor)일 수 있다.
그리고 공진 제어부(145)는 공진 주파수 대역에 제 2 공진 대역을 부가한다. 즉 공진 제어부(145)가 제 2 공진 대역을 결정한다. 여기서, 공진 제어부(145)의 리액턴스에 따라, 제 2 공진 대역이 결정될 수 있다.
공진 부가부(147)는 접지부(143)와 접지체(120)에 연결된다. 이 때 공진 부가부(147)는 일 단부를 통해 접지부(143)에 접촉한다. 그리고 공진 부가부(147)는 타 단부를 통해 접지부(143)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공진 부가부(147)는 타 단부를 통해 접지체(120)에 접촉한다. 이를 통해, 급전부(141)로부터 공진 부가부(147)에, 신호가 유입된다. 게다가, 공진 부가부(147)가 접지되며, 급전부(141)로부터 접지체(120)를 향하여 신호를 전달된다.
그리고 공진 부가부(147)는 적어도 하나의 리액턴스 소자(148)를 포함한다. 이 때 리액턴스 소자(148)는 미리 결정되는 리액턴스를 갖는다. 여기서, 리액턴스 소자(148)는 용량성 소자 또는 유도성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용량성 소자는 커패시터일 수 있으며, 유도성 소자는 인덕터일 수 있다.
또한 공진 부가부(147)는 공진 주파수 대역에 제 3 공진 대역을 부가한다. 즉 공진 부가부(147)는 접지부(143)와 함께, 부가적인 공진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부가적인 공진 루프에서, 제 3 공진 대역이 결정된다. 여기서, 부가적인 공진 루프의 사이즈에 따라, 제 3 공진 대역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리액턴스 소자(148)의 리액턴스에 따라, 제 3 공진 대역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급전 구조체(140)는 공진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전기적 특성을 갖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면, 급전 구조체(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급전부(141)와 접지부(143)는 도전 선로로 표현된다. 그리고 공진 제어부(145)는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진 부가부(147)는 도전 선로로 표현되며, 리액턴스 소자(148)는 커패시터일 수 있다.
방사체(150)는 안테나 소자(130)에서 실질적인 동작을 위해 제공된다. 이 때 방사체(150)는 공진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한다. 즉 급전 구조체(140)로부터 신호가 공급됨에 따라, 방사체(150)가 동작한다. 여기서, 방사체(150)는 급전 구조체(140)와 함께 동작한다.
이러한 방사체(150)는 급전 구조체(1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 방사체(150)는 급전 구조체(1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방사체(150)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방사체(150)는 은(Ag), 팔라듐(Pd), 백금(Pt), 구리(Gu), 금(Au), 니켈(N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안테나 장치(100)가 통신 단말기(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되는 경우, 방사체(150)는 통신 단말기에서 외부 케이스의 내부 표면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에서 외부 케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구동 기판(11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방사체(150)는 구동 기판(110)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또한 방사체(150)는 외부 케이스의 내부 표면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방사체(150)는 캐리어(carrier)와 같은 실장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되어, 외부 케이스의 내부 표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의 안테나 장치(100)는 공진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한다. 즉 안테나 장치(100)는 공진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방사한다. 이 때 급전 구조체(140)의 급전부(141)로부터 신호가 공급됨에 따라, 방사부(150)가 동작한다. 뿐만 아니라, 급전 구조체(140)의 접지부(143)부터 신호가 공급됨에 따라, 접지체(120)가 동작한다. 다시 말해, 접지체(120)가 방사부(150)와 함께, 신호를 방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들이다. 이 때 도 3은 주파수에 따른 S 파라미터(parameter)의 변화를 나타낸다. 여기서, S 파라미터는 특정 주파수에서 입출력 간 전압비(출력 전압/입력 전압)를 의미하는 지표로서, dB 스케일로 나타낸다. 여기서, 도 3의 (a)는 급전 구조체가 공진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고, 도 3의 (b)는 급전 구조체가 공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안테나 장치(100)는 공진 제어부(145)를 포함함에 따라, 보다 확장된 공진 주파수 대역을 갖는다.
즉 안테나 장치(100)가 공진 제어부(145)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 대역은 두 개의 공진 대역들을 포함한다. 이 때 공진 대역들은, 대략 660 MHz 내지 850 MHz 및 960 MHz 내지 1060 MHz에 해당한다.
한편, 안테나 장치(100)가 공진 제어부(145)를 포함하는 경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 대역은 세 개의 공진 대역들을 포함한다. 이 때 공진 주파수 대역은 대략 640 MHz 내지 1280 MHz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S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라, 공진 대역들이 대략 640 MHz 내지 880 MHz, 880 MHz 내지 1050 MHz 및 1050 MHz 내지 1280 MHz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안테나 장치(100)는 보다 확장된 공진 주파수 대역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전 구조체의 변형 예들의 등가 회로들을 도시하는 회로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안테나 장치(100)에서, 공진 제어부(145)는 다수개의 리액턴스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공진 제어부(145)에서, 리액턴스 소자들은 다양한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액턴스 소자들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액턴스 소자들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4의 (c), (d)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액턴스 소자들은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리액턴스 소자들 중 일부가 병렬로 연결되어 결합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액턴스 소자들 중 나머지가 결합 구조의 입력단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액턴스 소자들 중 나머지가 결합 구조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액턴스 소자들 중 나머지가 결합 구조의 입력단 및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안테나 장치(100)에서, 공진 제어부(145)의 리액턴스가 소자들이 용량성 소자들인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공진 제어부(145)의 리액턴스 소자들 중 적어도 일부가 유도성 소자이더라도,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여기서, 용량성 소자는 커패시터일 수 있으며, 유도성 소자는 인덕터일 수 있다. 그리고 공진 제어부(145)에서, 리액턴스 소자들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공진 제어부(145)에서, 리액턴스 소자들은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안테나 장치(100)에서, 공진 부가부(147)가 하나의 리액턴스 소자(148)를 포함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공진 부가부(147)가 다수개의 리액턴스 소자(148)들을 포함하더라도,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여기서, 리액턴스 소자(148)는 용량성 소자 또는 유도성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리액턴스 소자(148)들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리액턴스 소자(148)들은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의 안테나 장치(100)에서 미리 결정되는 접지 조건에 따라, 급전 구조체(140)의 사이즈 및 형상 뿐만 아니라 공진 제어부(145) 및 공진 부가부(147)의 리액턴스가 결정된다. 여기서, 접지 조건은 접지체(120)의 동작 성능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접지 조건은 접지체(120)의 사이즈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접지 조건에 따라, 공진 제어부(145)에서 리액턴스 소자들의 개수, 구성 및 연결 구조가 결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접지 조건에 따라, 공진 부가부(147)에서 리액턴스 소자(148)들의 개수, 구성 및 연결 구조가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 장치(100)의 공진 주파수 대역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장치(100)가 공진 제어부(145)를 포함함에 따라, 안테나 장치(100)가 보다 확장된 공진 주파수 대역을 갖는다. 즉 안테나 장치(100)에서 공진 제어부(145)가 공진 주파수 대역에 공진 대역을 부가한다. 이 때 공진 제어부(145)는 급전부(141)에 배치됨에 따라, 안테나 장치(100)가 구현된다. 이를 통해, 안테나 장치(100)의 사이즈를 대형화하지 않고도, 안테나 장치(100)의 동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안테나 장치 110: 구동 기판
120: 접지체 130: 안테나 소자
140: 급전 구조체 141: 급전부
143: 접지부 145: 공진 제어부
147: 공진 부가부 150: 방사부

Claims (11)

  1. 방사부를 동작시키는 급전 구조체에 있어서,
    접지부와,
    상기 접지부에 연결되는 급전부와,
    상기 급전부에 배치되는 공진 제어부와,
    상기 접지부와 급전부 사이에 배치되는 공진 부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부가 동작하기 위한 제 1 공진 대역, 제 2 공진 대역 및 제 3 공진 대역이 결정되고,
    상기 제 1 공진 대역은 상기 접지부와 급전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진 루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 2 공진 대역은 상기 공진 제어부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제 3 공진 대역은 상기 공진 부가부에 의해 결정되는 급전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리액턴스 소자를 포함하는 급전 구조체.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부가부는,
    적어도 하나의 리액턴스 소자를 포함하는 급전 구조체.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액턴스 소자는,
    용량성 소자 또는 유도성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급전 구조체.
  6. 신호를 공급하는 급전 구조체와,
    상기 급전 구조체에 연결되며, 상기 신호를 방사하는 방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급전 구조체는,
    접지부와,
    상기 접지부에 연결되는 급전부와,
    상기 급전부에 배치되는 공진 제어부와,
    상기 접지부와 급전부 사이에 배치되는 공진 부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부가 동작하기 위한 제 1 공진 대역, 제 2 공진 대역 및 제 3 공진 대역이 결정되고,
    상기 제 1 공진 대역은 상기 접지부와 급전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진 루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 2 공진 대역은 상기 공진 제어부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제 3 공진 대역은 상기 공진 부가부에 의해 결정되는 안테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리액턴스 소자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 및 공진 부가부에 연결되며, 상기 신호를 방사하는 접지체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10. 삭제
  11. 삭제
KR20130082069A 2013-07-12 2013-07-12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1491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2069A KR101491278B1 (ko) 2013-07-12 2013-07-12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2069A KR101491278B1 (ko) 2013-07-12 2013-07-12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716A KR20150007716A (ko) 2015-01-21
KR101491278B1 true KR101491278B1 (ko) 2015-02-06

Family

ID=5257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2069A KR101491278B1 (ko) 2013-07-12 2013-07-12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2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173B1 (ko) * 2015-04-14 2016-10-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탈 케이스를 이용한 무선 헤드셋 안테나
KR101684174B1 (ko) * 2015-07-21 2016-12-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테레오 타입 무선 헤드셋용 fm 라디오 안테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4995A (ja) * 2006-01-20 2007-08-02 Murata Mfg Co Ltd アンテナ及び無線通信機
JP2011015034A (ja) * 2009-06-30 2011-01-20 Murata Mfg Co Ltd アンテナ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4995A (ja) * 2006-01-20 2007-08-02 Murata Mfg Co Ltd アンテナ及び無線通信機
JP2011015034A (ja) * 2009-06-30 2011-01-20 Murata Mfg Co Ltd アンテナ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716A (ko)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0332B2 (en) Antenna apparatus and feeding structure thereof
KR101439001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1491278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1491232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2008716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1372140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1480592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2053080B1 (ko) 급전 구조체
KR101470117B1 (ko) 안테나 장치
KR20170001293A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게이트 웨이
KR101987250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20150091876A (ko) 안테나 장치
KR102053085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1439000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1470130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2085813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1405730B1 (ko) 공진 부가 소자와 그를 갖는 급전 구조체 및 안테나 장치
KR101417574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1428204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1470086B1 (ko) 안테나 장치
KR20140139819A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20150030009A (ko) 안테나 장치
KR101438999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1449260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20150089748A (ko) 안테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