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293A -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게이트 웨이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게이트 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293A
KR20170001293A KR1020150091064A KR20150091064A KR20170001293A KR 20170001293 A KR20170001293 A KR 20170001293A KR 1020150091064 A KR1020150091064 A KR 1020150091064A KR 20150091064 A KR20150091064 A KR 20150091064A KR 20170001293 A KR20170001293 A KR 20170001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portion
radiation
interval
radiator
antenna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욱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1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293A/ko
Publication of KR20170001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14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 H01Q5/335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at the feed, e.g. for impedance ma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전부와, 상기 급전부에 연결되는 방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체는 제1방사부와, 상기 제1방사부에서 연장된 제2방사부와, 상기 제2방사부에서 연장된 제3방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방사부와 상기 제3방사부의 간격(P1)과 상기 제2방사부와 상기 제3방사부의 간격(P2)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게이트 웨이{ANTENNA APPARATUS AND GATEWA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는 전자기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테나 장치는 방사체를 구비하며, 방사체가 미리 결정되는 공진 주파수 대역에서 전자기파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공진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 시, 안테나 장치에서 임피던스(impedance)는 허수로 된다. 그리고 안테나 장치에 대하여 공진 주파수 대역에서 반사 손실(Return Loss)이 급격히 떨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안테나 장치에서, 공진 주파수 대역이 좁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통신 단말기가 다수개의 안테나 장치들을 구비함으로써, 공진 주파수 대역이 확장될 수 있다. 이 때 안테나 장치들은 공진 주파수 대역 내의 서로 다른 영역에서 동작한다. 그러나, 통신 단말기에 안테나 장치들을 위한 설치 공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통신 단말기를 소형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즉 통신 단말기에서, 단일 안테나 장치를 통해 비교적 넓은 공진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최근 무선기기의 사용이 증가되어 유사 밴드간의 간섭으로 인해 신뢰성이 저하되고 있으며,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추가 대역이 필요하나, 이 또한 소형화가 문제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크기를 대형화하지 않고 듀얼 밴드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갖는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급전부와, 상기 급전부에 연결되는 방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체는 제1방사부와, 상기 제1방사부에서 연장된 제2방사부와, 상기 제2방사부에서 연장된 제3방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방사부와 상기 제3방사부의 간격(P1)과 상기 제2방사부와 상기 제3방사부의 간격(P2)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웨이는 상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고, 안테나 장치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는, 급전부와, 상기 급전부에 연결되는 방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체는 제1방사부와, 상기 제1방사부에서 연장된 제2방사부와, 상기 제2방사부에서 연장된 제3방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방사부와 상기 제3방사부의 간격과 상기 제2방사부와 상기 제3방사부의 간격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패턴의 간격을 조정하여 추가적인 기생 요소를 구비하지 않고 듀얼 밴드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크기를 대형화하지 않고 비교적 넓은 공진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의 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동작 대역들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전압 정재파 비(voltage standing wave ratio, VSWR)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효율을 설명하는 3D 방사빔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동작 대역들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는 구동 기판(110), 접지부(120), 방사체(130), 급전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기판(110)은 안테나 장치(100)에서 급전 및 지지를 위해 제공된다. 실시예에 따라, 구동 기판(110)은 평판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예컨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일 수 있다. 구동 기판(110)은 단일 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동 기판(110)은 전송 선로를 내재할 수 있다. 상기 전송 선로는 일 단부를 통해 제어 모듈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전송 선로는 타 단부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제어 모듈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전송 선로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컨대 은(Ag), 팔라듐(Pd), 백금(Pt), 구리(Gu), 금(Au), 니켈(N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부(120)는 안테나 장치(100)의 접지를 위해 제공된다. 접지부(120)는 구동 기판(11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접지부(120)는 구동 기판(110)의 전송 선로로부터 이격된다. 즉, 접지부(120)는 상기 전송 선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다. 여기서, 접지부(120)는 구동 기판(110)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고, 또는 구동 기판(110)이 다수개의 기판들로 이루어진 경우, 접지체(120)는 기판들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방사체(130)는 제1방사부(131), 제2방사부(133), 제3방사부(135) 및 제4방사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방사체(130)를 제1방사부(131) 내지 제4방사부(137)로 분리하였으나, 제1방사부 내지 제4방사부(137)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의 방사체(130)를 형성하고 있다. 예컨대, 제2방사부(133)는 제1방사부(131)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3방사부(135)는 제2방사부(133)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4방사부(137)는 제1방사부(131)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방사체(130)는 안테나 장치(100)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제공된다. 즉, 방사체(130)는 공진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 때, 상기 공진 주파수 대역은 다수개의 공진 대역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공진 대역들은 주파수 영역에서 상호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상호 인접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방사체(130)는 구동 기판(110)에서 신호가 공급됨에 따라 동작한다. 여기서, 방사체(130)는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에서 공진한다. 이러한 방사체(130)는 구동 기판(110)에 배치된다. 여기서, 방사체(130)는 구동 기판(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는 추가의 기생 요소 없이 방사체(130)의 패턴 형태에 따라 다수개의 공진 대역에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방사체(130)는 제1방사부(131)와 제3방사부(135)의 간격(P1)을 조정하여 공진 주파수 대역을 결정할 수 있고, 제2방사부(133)와 제3방사부(135)의 간격(P2)을 조정하여 공진 주파수 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방사체는 제3방사부(135)와 제4방사부(137)의 간격(P3)을 조정하여 공진 주파수 대역을 결정할 수 있고, 제4방사부(137)와 접지부(120)의 간격(P4)을 조정하여 공진 주파수 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방사부와 제3방사부(135)의 간격(P1)은 제2방사부(133)와 제3방사부(135)의 간격(P2), 제3방사부(135)와 제4방사부(137)의 간격(P3), 제4방사부(137)와 접지부(120)의 간격(P4)보다 클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3방사부(135)와 제4방사부(137)의 간격(P3)은 제2방사부(133)와 제3방사부(135)의 간격(P2)보다 클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방사체(130)는 평면 타입, 미앤더 타입, 스파이럴 타입, 스텝 타입 또는 루프 타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급전부(140)는 방사체(130)에 신호를 공급한다. 급전부(140)는 방사체(130)에 연결되며, 전송 선로에 접촉한다. 이 때 급전부(140)는 일 단부를 통해 방사체(130)에 연결되며, 타 단부를 통해 전송 선로에 접촉한다. 여기서, 급전부(140) 타 단부가 급전점(feeding point)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면, 급전점은 접지부(120)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급전점은 접지부(120)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급전부(140)에, 제어 모듈로부터 신호가 공급된다. 이를 통해, 급전부(140)는 방사체(130)로 신호를 공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의 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게이트 웨이(1000)는 기판(150), 기판(150) 상에 안테나 장치(100)의 방사체(130), 제2안테나(141), 제3안테나(143), 제4안테나(145), 및 제5안테나(147)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기판(150)의 가장자리에 안테나 장치(100)의 방사체(130), 제2안테나(141), 제3안테나(143), 제4안테나(145) 및 제5안테나(147)를 배치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기판(150)의 둘레부 또는 최외각부에 복수의 안테나들을 배치하여 송수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안테나(141)는 방사체(130)와 다른 종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안테나(143) 내지 제5안테나(147)는 지그비(zigbee)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2 안테나(141)는 안테나 장치(130)와 제5안테나(14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게이트웨이(1000)는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를 연결할 수 있고, 서로 다른 특성(예컨대 속도, 시스템, 언어 등)의 네트워크를 호환시켜 통신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1000)는 전자가격표시기(ESL; electronic shelf label) 시스템의 서버와 단말 간 통신을 위한 중계 역할을 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000)는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이더넷 또 와이파이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1000)는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지그비, 와이파이, UWB(ultra wide band) 통신을 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웨이(1000)는 상부 케이스(200), 인쇄회로기판(150), 내부 케이스(300), 보조 인쇄회로기판(400), 하부 케이스(500), 브라켓(600), 스프링(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200)와 내부 케이스(300) 내부에 인쇄회로기판(150)이 배치될 수 있고,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300)와 하부 케이스(500) 내부에 보조 인쇄회로기판(400)이 배치될 수 있고, 스프링(700)은 하부 케이스 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50)은 도 1의 안테나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200)는 LED 지시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150)의 일측면에는 USB를 연결할 수 있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인쇄회로기판(400)의 일측면에는 통신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조 인쇄회로기판(400)상에 도 1의 안테나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600)은 하부 케이스(500) 하단에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150) 또는 보조 인쇄회로기판(400)으로부터 신호 처리 과정 중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동작 대역들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방사 성능을 설명할 수 있으며, 도 4는 주파수에 따른 반사 손실을 나타낸다. 이때, 반사 손실(Return Loss)은 입출력 간 전압비(출력 전압/입력 전압)을 의미하는 지표로서, dB 스케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의 공진 주파수 대역은 다수개의 공진 대역들을 갖는다. 예컨대, 방사체(130)는 2.4GHz 대역에서 -10.13dB의 반사 손실을 가질 수 있고, 5.1GHz 대역에서 -33.98dB의 반사 손실을 가질 수 있다. 즉, 안테나 장치(100)는 대략 2.2 GHz 내지 2.6 GHz의 공진 대역과 대략 4.6 GHz 내지 5.4 GHz의 공진 대역의 듀얼 밴드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전압 정재파 비(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의 VSWR은 2400MHz, 2500MHz, 5000MHz, 5700MHz에서 각각 1.3, 1.1, 2.6, 2.1인 것을 볼 수 있다. 즉, 안테나 장치는 2400MHz 내지 2500MHz의 주파수 대역과 5000MHz 내지 5700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이 잘 형성됨을 알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테나 패턴의 간격을 조정하여 추가적인 기생 요소를 구비하지 않고 듀얼 밴드에서 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정상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효율을 설명하는 3D 방사빔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2450MHz의 주파수 대역의 최대 이득(peak gain)은 2.51dB이고, 최소 이득(minimum gain)은 -14.32dB이고, 안테나 효율(efficiency)이 75.85%인 것을 볼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5750MHz의 주파수 대역의 최대 이득(peak gain)은 1.48dB이고, 최소 이득(minimum gain)은 -21.27dB이고, 안테나 효율(efficiency)이 27.98%인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이득이 1.4dB이상이고, 안테나 효율이 27% 이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안테나 장치가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의 역할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동작 대역들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방사체(130)의 복수의 방사부들 간의 간격의 변화에 따른 안테나 특성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100)의 제1방사부(131)와 제3방사부(135)의 간격(P1)이 좁아진 경우 안테나 특성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으며, 디폴트(그래프 D)보다 제1방사부(131)와 제3방사부(135)의 간격(P1)이 좁아진 그래프 P1은 2.4GHz 대역의 공진 주파수가 높아지고, 5GHz 대역의 공진 주파수 또한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100)의 제2방사부(133)와 제3방사부(135)의 간격(P2)이 넓어진 경우 안테나 특성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으며, 디폴트(그래프 D)보다 제2방사부(133)와 제3방사부(135)의 간격(P2)이 넓어진 그래프 P2는 2.4GHz 대역의 공진 주파수가 낮아지고, 5GHz 대역의 공진 주파수 또한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100)의 제3방사부(135)와 제4방사부(137)의 간격(P3)이 넓어진 경우 안테나 특성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으며, 디폴트(그래프 D)보다 제3방사부(135)와 제4방사부(137)의 간격(P3)이 넓어진 그래프 P3는 2.4GHz 대역의 공진 주파수가 높아지고, 5GHz 대역의 공진 주파수 또한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100)의 제4방사부(137)와 접지부(120)의 간격(P4)이 좁아진 경우 안테나 특성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으며, 디폴트(그래프 D)보다 제4방사부(137)와 접지부(120)의 간격(P4)이 좁아진 그래프 P4는 2.4GHz 대역의 공진 주파수가 높아지고, 5GHz 대역의 공진 주파수는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추가 기생 요소 없이 방사체(130) 자체의 안테나 패턴을 조정하여 2.4GHz 대역과 5GHz 대역의 듀얼 밴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안테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안테나 장치
110; 구동 기판
120; 접지부
130; 방사체
140; 급전부
1000; 게이트 웨이

Claims (20)

  1. 급전부; 및
    상기 급전부에 연결되는 방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체는 제1방사부와, 상기 제1방사부에서 연장된 제2방사부와, 상기 제2방사부에서 연장된 제3방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방사부와 상기 제3방사부의 간격과 상기 제2방사부와 상기 제3방사부의 간격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안테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사부와 상기 제3방사부의 간격은 상기 제2방사부와 상기 제3방사부의 간격보다 넓은 안테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4방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방사부와 상기 제4방사부의 간격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안테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사부와 상기 제3방사부의 간격은 상기 제3방사부와 상기 제4방사부의 간격의 간격보다 넓은 안테나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방사부와 상기 제4방사부의 간격은 상기 제2방사부와 상기 제3방사부의 간격보다 넓은 안테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접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방사체와 상기 접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안테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와 상기 접지부의 간격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안테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사부와 상기 제3방사부의 간격은 상기 방사체와 상기 접지부의 간격보다 넓은 안테나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와 상기 접지부의 간격은 상기 제2방사부와 상기 제3방사부의 간격보다 넓은 안테나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는 평면 타입, 미앤더 타입, 스파이럴 타입, 스텝 타입 또는 루프 타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안테나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상기 접지부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안테나 장치.
  12. 상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고, 안테나 장치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는,
    급전부; 및
    상기 급전부에 연결되는 방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체는 제1방사부와, 상기 제1방사부에서 연장된 제2방사부와, 상기 제2방사부에서 연장된 제3방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방사부와 상기 제3방사부의 간격과 상기 제2방사부와 상기 제3방사부의 간격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게이트 웨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하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내에 수용되고, 안테나 장치가 실장되는 보조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게이트 웨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사부와 상기 제3방사부의 간격은 상기 제2방사부와 상기 제3방사부의 간격보다 넓은 게이트 웨이.
  15. 제12항에 있어서,
    제4방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방사부와 상기 제4방사부의 간격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게이트 웨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사부와 상기 제3방사부의 간격은 상기 제3방사부와 상기 제4방사부의 간격의 간격보다 넓고,
    상기 제3방사부와 상기 제4방사부의 간격은 상기 제2방사부와 상기 제3방사부의 간격보다 넓은 게이트 웨이.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접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방사체와 상기 접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게이트 웨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와 상기 접지부의 간격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게이트 웨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사부와 상기 제3방사부의 간격은 상기 방사체와 상기 접지부의 간격보다 넓고, 상기 방사체와 상기 접지부의 간격은 상기 제2방사부와 상기 제3방사부의 간격보다 넓은 게이트 웨이.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가장자리 영역에 상기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배치하는 게이트 웨이.
KR1020150091064A 2015-06-26 2015-06-26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게이트 웨이 KR20170001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064A KR20170001293A (ko) 2015-06-26 2015-06-26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게이트 웨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064A KR20170001293A (ko) 2015-06-26 2015-06-26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게이트 웨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293A true KR20170001293A (ko) 2017-01-04

Family

ID=5783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064A KR20170001293A (ko) 2015-06-26 2015-06-26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게이트 웨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2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63987A (zh) * 2018-10-16 2020-04-24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背盖与电子装置
CN114497996A (zh) * 2021-12-30 2022-05-13 深圳市飞比电子科技有限公司 网关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63987A (zh) * 2018-10-16 2020-04-24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背盖与电子装置
CN111063987B (zh) * 2018-10-16 2022-05-03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背盖与电子装置
CN114497996A (zh) * 2021-12-30 2022-05-13 深圳市飞比电子科技有限公司 网关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3593B1 (en) Multiband monopole antenna apparatus with ground plane aperture
US9660347B2 (en) Printed coupled-fed multi-band antenna and electronic system
KR101360561B1 (ko) 안테나 장치
EP2645603B1 (en) Wireless security device
KR20170001293A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게이트 웨이
KR20140095808A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WO2018163695A1 (ja) 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及び無線通信装置
KR101491278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1491232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CN115917877A (zh) 多频带环形天线
KR20150091876A (ko) 안테나 장치
KR101480592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1372140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1470117B1 (ko) 안테나 장치
KR102053080B1 (ko) 급전 구조체
KR20140143969A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1470130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1405730B1 (ko) 공진 부가 소자와 그를 갖는 급전 구조체 및 안테나 장치
KR101438999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20150030009A (ko) 안테나 장치
KR101987250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1470086B1 (ko) 안테나 장치
KR20150007717A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1417574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20140139819A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