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793B1 - 화장료 - Google Patents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793B1
KR102399793B1 KR1020167026058A KR20167026058A KR102399793B1 KR 102399793 B1 KR102399793 B1 KR 102399793B1 KR 1020167026058 A KR1020167026058 A KR 1020167026058A KR 20167026058 A KR20167026058 A KR 20167026058A KR 102399793 B1 KR102399793 B1 KR 102399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nent
powder
hydrocarbon group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031A (ko
Inventor
케이지 이가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ublication of KR20160131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이나 소도구로의 취하기가 양호하고, 피부 상에서 매끄럽게 퍼지며, 끈적거림이 없이 균일한 화장막이 형성되어, 아름답게 마무리되는 동시에, 그 화장 효과가 장시간 지속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당 과제를 해결한 화장료는, 다음 성분 (a) 내지 (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한천; (b) 하기 일반식 (1): R1-{(O-R2)-OCONH-R3[-NHCOO-(R4-O)-R5]}   (1)[식 중, R1, R2 및 R4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해도 되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3은 우레탄 결합을 가져도 되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R5는 직쇄, 분기쇄 또는 2급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m은 2 이상의 수이며, h는 1 이상의 수이고, k 및 n은 독립으로 0 내지 1000의 범위의 수임]로 표시되는 소수변성 폴리에터 우레탄; 및 (c) 인지질.

Description

화장료{COSMETIC}
본 발명은, 손가락이나 소도구로의 취하기(取れ)가 양호하고, 도포 시 매끄럽게 퍼지며, 끈적거림이 없고, 균일하고 아름다운 마무리를 얻을 수 있으며, 나아가 화장 유지도 우수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화장료에는, 사용성이나 안정성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해서 각종 증점제가 사용되고 있고, 예를 들면, 잔탄 검 등의 천연고분자나, 카복시비닐 폴리머 등의 합성 고분자도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합성 고분자의 하나로서, 친수기 부분을 골격으로 하고, 말단에 소수성 부분을 지니고, 수성 매체 중에서 소수성 부분끼리 회합해서 증점작용을 나타내는 소수변성 폴리에터 우레탄(hydrophobically modified polyether urethane)이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소수변성 폴리에터 우레탄과 잔탄 검 또는 카복시비닐 폴리머를 병용한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이 화장료는, 마무리에 끈적거림이 있고, 또 화장 지속성이 뒤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소수변성 폴리에터 우레탄을 사용한 화장료에 있어서, 저 내지 중 점도 영역에서의 점도 안정성이나 감촉의 개선을 목적으로 해서, 한천이나 젤란 검 등을 사용해서 형성한 겔을 분쇄해 마이크로겔로 해서, 소수변성 폴리에터 우레탄에 대하여 특정한 배합비로 병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그러나, 이 화장료는 제조 공정이 번잡한 데다가, 감촉 등이 특유해서, 범용성이 부족하다는 결점이 있다.
한편, 화장료 중에는, 그 표면을 퍼프나 매트 등의 소도구로 취해서 피부에 도포하는 형태의 것이 있지만, 소도구로의 화장료의 취하기 용이함이나, 소도구로 도포할 때의 전연성이 불충분할 경우, 얼룩짐이 생기는 등 해서 아름다운 마무리를 얻을 수 없으므로, 소도구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특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도 중요하다. 본 출원인은 이미, 충전 시의 성형 방법에 의해 소도구로의 취하기 등을 개선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지만(특허문헌 3), 제조 방법에 제약되는 일 없이, 소도구로의 취하기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도 필요로 되고 있다.
JP 2000-239120 A JP 4979095 B JPH7-17827 A
본 발명은, 손가락이나 소도구로의 취하기가 양호하고, 피부 상에서 매끄럽게 퍼지고, 끈적거림이 없이 균일한 화장막이 형성되어, 아름답게 마무리되는 동시에, 그 화장 효과가 장시간 지속되는 화장 유지가 우수한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한천을 특정 구조의 소수변성 폴리에터 우레탄과 조합시키고, 또한 인지질을 병용함으로써, 손가락이나 소도구로의 취하기가 원활하고, 피부 상에서의 전연성도 우수하며, 끈적거림이 없고, 균일하여 얼룩짐이 없는 아름다운 화장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화장 유지도 우수한 것이 되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다음 성분 (a) 내지 (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이다:
(a) 한천;
(b) 하기 일반식 (1):
R1-{(O-R2)-OCONH-R3[-NHCOO-(R4-O)-R5]}   (1)
[식 중, R1, R2 및 R4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해도 되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3은 우레탄 결합을 가져도 되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R5는 직쇄, 분기쇄 또는 2급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m은 2 이상의 수이며, h는 1 이상의 수이고, k 및 n은 독립으로 0 내지 1000의 범위의 수임]로 표시되는 소수변성 폴리에터 우레탄; 및
(c) 인지질.
본 발명의 화장료는, 피부 상에서의 전연성이 양호하고, 끈적거림이 없고, 균일한 화장막이 형성되므로, 아름다운 마무리가 얻어지며, 그 지속성도 우수한 것이다. 또 퍼프나 매트 등의 소도구를 사용한 경우에도, 비교적 가볍게 표면을 누르는 것만으로 신속하게 일정량의 화장료가 소도구로 균일하게 부착하여, 도포할 때에도, 피부 상에서 매끄럽게 퍼지므로, 균일하여 얼룩짐이 없는 아름다운 마무리의 화장막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료를 수용하는 용기의 일례에 대해서, 뚜껑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용기의 부분 세로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화장료를 도포할 때에 사용되는 퍼프의 일례로서, 도면 중,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밑면도;
도 4는 시험예 1에 있어서, 바이오스킨 플레이트에 본 발명의 화장료를 도포한 화장막을,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을 이용해서 촬영한 입체화상으로서, (a)는 바이오스킨 플레이트에 화장료를 펴서 도포한 상태, (b)는 도포한 후 또한 스펀지로 3회 가볍게 두드린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시험예 1에 있어서, 화장막을 눌렀던 프로브(probe)를 떼어놓을 때의 하중값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성분 (a)의 한천은, 공지의 천연고분자이며, 그의 산지, 기원 등은 불문하고 어느 것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이 한천은, 젤리 강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산처리해서 분자를 절단시킨, 소위 저강도 한천(일본국 공개 특허 평 5-317008호 공보에 개시)을 이용해도 된다. 성분 (a)의 젤리 강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 내지 2000g/㎠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0g/㎠이다. 여기서 젤리 강도란 1.5질량%(이하, 단순히 「%」로 표기함)로 되도록 한천을 물에 가열 용해시키고, 20℃에서 15시간 방치시켜, 응고시킨 겔에 대해서, 그 표면 1㎠당 20초간 견디어낼 수 있는 최대질량인 것을 말한다(닛칸스이 측정법(Nikkansui measurement method)).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성분 (a) 한천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화장료 전체량 중 0.05 내지 3%가 바람직하고, 0.1 내지 2%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한천에 의한 겔화력이 적당히 작용하고, 소도구 등으로의 취하기나 피부에의 퍼짐이 양호해서 균일한 화장막이 얻어진다. 또 후술하는 인지질 처리 분체나 성분 (d)의 분체를 배합한 경우에, 이들 분체의 분산 안정성이 향상되고, 색 불균일을 억제해서 아름다운 마무리가 되고, 또한 시간 경과에 따른 화장 유지도 향상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성분 (a) 한천을, 예를 들면, 물 등의 적당한 용매 중에 다른 원료와 함께 필요에 따라서 60 내지 95℃ 정도로 가온시켜 용해 또는 분산시킨 상태에서 용융 충전하는 등 해서 화장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증점 없이 겔화시키는 것이며, 미리 한천을 겔화시킨 후, 이 겔을 분쇄해서 마이크로겔로서 배합하는 양상의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b) 소수변성 폴리에터 우레탄은, 친수기 부분을 골격으로 하고, 말단에 소수성 부분을 가지는 양친매성 코폴리머이며, 수성 매체 중에서 코폴리머의 소수성 부분끼리가 회합하여 증점작용을 나타내는 회합성 증점제이다. 성분 (b)는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된다:
R1-{(O-R2)-OCONH-R3[-NHCOO-(R4-O)-R5]}   (1).
상기 식 (1) 중, R1, R2 및 R4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해도 되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3은 우레탄 결합을 가져도 되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R5는 직쇄, 분기쇄 또는 2급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m은 2 이상의 수이며, h는 1 이상의 수이고, k 및 n은 독립으로 0 내지 1000의 범위의 수이다. R1, R2 및 R4의 탄소수는 2 내지 4, R3의 탄소수는 1 내지 10, R5의 탄소수는 8 내지 36인 것이 적합하다. 또 m은 바람직하게는 2, h는 바람직하게는 1이며, k은 1 내지 500이 바람직하고, 100 내지 300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 내지 150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n은 1 내지 200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100이 보다 바람직하며, 10 내지 50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소수변성 폴리에터 우레탄은, 예를 들면 R1-[(O-R2)k-OH]m으로 표시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에터폴리올과, R3-(NCO)h+1로 표시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와, HO-(R4-O)n-R5로 표시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에터모노알코올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식 (1) 중의 R1 내지 R5는, 이용되는 R1-[(O-R2)k-OH]m, R3-(NCO)h+1 및 HO-(R4-O)n-R5에 의해 결정된다. 이들 3가지의 주입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터폴리올 및 폴리에터모노알코올 유래의 수산기와,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유래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의 비가, NCO/OH=0.8:1 내지 1.4:1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의 양 말단을 데실테트라데실알코올로 수식한 구조를 갖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5만 정도(GPC법)인 것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소수변성 폴리에터 우레탄의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면, PEG-240/데실테트라데세스-20/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코폴리머인 「아데카 놀 GT-700」(ADEKA NOL GT-700)(아데카(ADEKA)(주)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아데카 놀 GT-700」은, 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 R1, R2, R4가 탄소수 2, R3이 탄소수 6, R5가 탄소수 24의 탄화수소기이며, m=2, h=1, k=120, n=20인 화합물에 상당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소수변성 폴리에터 우레탄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마무리의 끈적거림의 저감 및 화장 유지의 향상 효과가 우수하므로, 화장료 전체량 중 0.03 내지 1.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 내지 1%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성분 (a)와의 함유량의 질량비 (b)/(a)를 0.05 내지 1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10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이면, 손가락이나 소도구로의 취하기가 원활하고, 또 마무리의 끈적거림이 개선된다.
성분 (c)의 인지질로서는,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스핑고인지질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유사물 혹은 이들을 함유하는 조성물, 즉, 대두 레시틴, 난황 레시틴, 콘 레시틴 혹은 그들의 수소첨가물 등도 포함된다. 이 인지질 중,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대두 레시틴을 들 수 있고, 또한 그의 수소첨가물이 바람직하다. 시판품으로서는, 레시놀(Lecinol) S-10E, 레시놀 S-10EZ(모두 닛코 카가쿠사(Nikko Chemicals Co., Ltd.) 제품), HSL-70(와이엠씨사(YMC CO., LTD) 제품), 베이시스 LS-60HR(닛신올리오그룹사(Nisshin Oillio Group, Ltd.) 제품), 레시틴 CLO(J-오일밀즈사(J-OIL MILLS, Inc.) 제품), 난황 레시틴 PL-100P(큐피사(Kewpie Corporation)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성분 (c) 인지질로서, 인지질에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등의 지질막 보강제를 미리 혼합한 복합체를 쓰는 것도 가능해서, 시판품으로서 PRESOME CS2-101(닛뽄세이카주식회사(Nippon Fine Chemical)), PHYTOPRESOME(닛뽄세이카주식회사), PYTOCOMPO-PP(닛뽄세이카주식회사) 등을 들 수 있다.
또 성분 (c) 인지질은, 인지질로 미리 분체를 표면 처리한 인지질 처리 분체로서 화장료 중에 배합해도 된다. 표면 처리는, 상법에 따라서, 혼합이나 가열, 소성, 기상중합법 등에 의해 행해진다. 피처리 분체로서는, 후술하는 성분 (d)의 분체와 마찬가지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인지질의 분체에의 피복량은, 피복되는 분체에 대해서 0.1 내지 8%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성분 (c)의 인지질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화장료 전체량 중 0.03 내지 3.0%가 바람직하고, 0.05 내지 2%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상기 인지질 처리 분체 또는 후술하는 성분 (d) 분체를 배합한 경우의 분체의 분산 안정성이 향상되고, 색 불균일이 억제되는 동시에, 마무리의 끈적거림이 저감되며, 또한 시간 경과에 따른 화장 유지도 향상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있어서, 성분 (c)는 상기 인지질 처리 분체로서 배합되는 외에, 인지질 단체 혹은 인지질을 포함하는 유화 조성물 또는 복합체의 형태로 배합될 수 있지만, 인지질 처리 분체와, 인지질 또는 이것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 또는 복합체를, 모두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같이 병용함으로써, 인지질 처리 분체 또는 후술하는 (d) 분체를 배합했을 경우의 분체의 분산 안정성 향상, 마무리의 끈적거림 저감, 시간 경과에 따른 화장 유지 향상 등의 효과가 보다 현저한 것이 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성분 (d)로서, 상기 인지질 처리 분체 이외의 분체를 더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분체는 여러 가지 화장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배합되는 것이며, 통상의 화장료에 이용되는 분체를 임의로 이용할 수 있고, 판 형상, 방추 형상, 바늘 형상 등의 형상, 연무 형태, 미립자, 안료급 등의 입자 직경, 다공질, 무공질 등의 입자 구조 등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무기 분체류, 광휘성 분체류, 유기 분체류, 색소 분체류, 복합 분체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감청, 군청, 벵갈라, 황산화철, 흑산화철,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무수 규산, 산화알루미늄, 산화세륨, 산화마그네슘, 산화지르코늄, 탄산 마그네슘, 탄산 칼슘,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카본블랙, 규산 알루미늄, 규산 마그네슘, 규산 알루미늄 마그네슘, 운모, 합성 운모, 합성 세리사이트, 세리사이트, 탤크, 카올린, 탄화 규소, 황산 바륨, 질화붕소 등의 무기 분체류, 옥시염화비스무트, 운모 티타늄, 산화철 처리 운모, 산화철 처리 운모 티타늄, 유기 안료 처리 운모 티타늄, 이산화규소·산화티타늄 피복 운모, 산화티타늄 처리 유리말, 산화철산화티타늄 처리 유리말, 알루미늄 파우더 등의 광휘성 분체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아연, N-아실라이신, 나일론 등의 유기 분체류, 유기 타르계 안료, 유기 색소의 레이크 안료 등의 색소 분체류, 미립자 산화티타늄 피복 운모 티타늄, 미립자 산화아연피복 운모 티타늄, 황산 바륨 피복 운모 티타늄, 산화티타늄 함유 이산화규소, 산화아연함유 이산화규소 등의 복합 분체, 무수 규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분체의 2종 이상을 복합화한 복합 분체를 이용해도 된다.
또, 성분 (d)의 분체는 표면을 성분 (c)의 인지질 이외의 표면 처리제에 의해 개질 처리를 실시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분체를 소수화할 때에 이용되는 처리제로서, 불소계 화합물, 실리콘계 화합물, N-라우로일-L-라이신, 금속비누, 탄화수소, 고급지방산, 고급 알코올, 에스터, 왁스, 밀랍,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을 조합시킨 복합 처리를 행해도 된다. 표면 처리는, 상법에 따라서, 혼합이나 가열, 소성, 기상중합법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성분 (d)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양한 화장 효과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화장료 전체량 중 0.1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성분 (e)의 수용성 점착제를 더 배합하는 것이 적합하다. 구체적으로는,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 유도체; 알긴산 소다, 카라기난, 퀸스 시드 검(quince seed gum), 펙틴, 하이알루론산 등의 천연다당류; 아크릴산/아크릴산 알킬 코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메타크릴산 나트륨, 폴리아크릴산 글리세린 에스터, 폴리비닐피롤리돈, 젤란 검 등의 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고, 중에서도, 아크릴산/아크릴산 알킬 코폴리머, 카라기난, 젤란 검, 하이알루론산 등이, 소도구 등으로의 취하기나 시간 경과에 따른 화장 유지 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성분 (e)의 수용성 점착제의 함유량은, 화장료 전체량 중 0.001 내지 1%가 바람직하고, 0.005 내지 0.5%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소도구 등으로의 취하기가 양호해지고, 또 화장 유지 등도 우수한 것이 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제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성, 수중유형, 유중수형 등의 어느 것이라도 되지만, 소도구 등으로의 취하기나 화장 유지 등의 효과가 현저하게 발휘될 수 있는 점으로부터 수중유형이 바람직하다.
수중유형의 제형으로 할 경우, 수상을 구성하는 성분으로서, 물 외에, 1,3-뷰틸렌글리콜, 다이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라이콜,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혹은 그 중합체, 솔비톨, 말티톨, 글루코스 등의 당 알코올 등의 수성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수성 성분의 함유량으로서는, 양호한 취하기 및 도포 시의 원활한 퍼짐을 실현한다는 관점에서, 화장료 전체량 중의 20 내지 95%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상을 구성하는 유제로서는, 상기 성분 (c) 인지질 이외의 통상 화장품에 이용되는 유제를 사용할 수 있고, 고형유, 반고형유, 액체유, 휘발성 오일 등의 성상이나 동물유, 식물유, 합성유 등의 기원을 불문하고, 탄화수소류, 유지류, 밀랍류, 에스터 오일류, 지방산류, 고급 알코올류, 실리콘 오일류, 불소계 오일류, 라놀린 유도체류, 오일 겔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미세결정성 왁스, 바셀린, 광유, 수첨 폴리아이소뷰텐 등의 탄화수소류; 올리브유, 호호바유, 밍크유, 목랍 등의 유지류; 밀랍, 칸데릴라 왁스 등의 왁스류; 아이소옥탄산 세틸, 미리스트산 아이소프로필, 팔미트산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다이옥탄산 네오펜틸글리콜, 콜레스테롤 지방산 에스터, 호호바유, 트라이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트라이카프르산 글리세릴 등의 트라이글리세라이드,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 팔미트산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트라이옥탄산 글리세릴, 다이아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 트라이아이소스테아르산 다이글리세릴, 트라이베헨산 글리세릴, 로진산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터, 다이옥탄산 네오펜틸글리콜, 콜레스테롤 지방산 에스터, N-라우로일-L-글루탐산 다이(콜레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 등의 에스터 오일류; 스테아르산, 올레산 등의 지방산; 세탄올 등의 고급 알코올류; 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삼차원 가교 구조를 가진 다이메틸폴리실록산 중합물 등의 실리콘 오일류; 라놀린 지방산 아이소프로필, 라놀린 알코올 등의 라놀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유제의 함유량은, 제형에 따라 다르지만, 화장료 전체량 중 3 내지 50%가 바람직하고, 5 내지 20%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성분 외에, 통상의 화장료에서 이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보습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pH 조정제, 금속 킬레이트제, 자외선 흡수제, 미용성분, 향료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상기 필수성분 (a) 내지 (c) 및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는 성분 (d) 내지 (e)의 기타 임의 성분을 공지 방법에 따라서 균일하게 혼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성분 (a) 내지 (d), 수성성분 및 유제 등의 유성 성분을 이용해서 수중유형 화장료로 할 경우, 이하의 공정 (1) 내지 (5)를 포함하는 제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1) 성분 (d) 등의 분체 원료를 균일하게 분산 혼합한다. 그때에, 성분 (c) 인지질을 분산제로서 작용시킬 수 있다.
(2) 성분 (a) 및 (b)를 수중에 균일하게 혼합 용해시킨 후, 공정 (1)에서 얻어진 분체의 혼합물을 첨가·혼합한다.
(3) 유제 등의 유성성분을 균일하게 가온 용해시킨다. 성분 (c)를 여기에서 첨가하고, 다음 공정 (4)에 있어서 유화 분산제로서 작용시켜도 된다.
(4) 물 등의 수성성분을 균일하게 가온 용해시킨 후, 공정 (3)에서 얻어진 유성성분의 혼합물에 첨가·유화시키고, 교반하면서 냉각시킨다.
(5) 공정 (4)에서 얻어진 유화물을, 공정 (2)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첨가·혼합하고 냉각시켜 수중유형 화장료를 얻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미용액, 유액, 베이스, 리퀴드 파운데이션, BB크림, 리퀴드 아이칼라 등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그 형태도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고체 형태, 겔 형태, 크림 형태, 액상 등의 모든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실온에서 고체 형태 또는 겔 형태인 형태가 바람직하고, 특히 겔 형태이면, 취하기 원활함 또는 시간 경과에 따른 화장 유지 등에 있어서, 본 발명의 효과가 현저하게 발휘되기 쉽기 때문에 적합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겔 형상 화장료는, 종래의 겔 형상 화장료와는 다른 특성을 지닌다. 즉, 이 화장료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유동성이 없는 겔 형태이지만, 상부에서 퍼프 등으로 천천히 눌러 내리면 표면이 리퀴드 형태로 되므로, 퍼프 등의 도포면에 균일하게 부착되어, 피부 상에서도 매끄럽게 퍼지고, 그 후 다시 겔화되어 균일한 화장막을 형성한다. 또한, 화장막 표면을 소도구로 가볍게 두드리는 것과 같이 마무리(톡톡 두드림)하면, 화장막은 겔 형태를 유지한 채, 퍼져서, 덧칠되므로, 그 표면이 서서히 평활화되어, 보다 균일하고 색 불균일이 없이 매끈매끈한 화장막을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5 ㎜/sec 이하, 바람직하게는 5 ㎜/sec 이하의 속도로 퍼프 등의 소도구를 화장료 표면에 눌러서 화장료를 소도구에 전사하고, 전사된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한 후, 도포한 화장료 표면에 20 ㎜/sec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sec 이상의 속도로 소도구를 누르고, 이어서 같은 범위의 속도로 화장료 표면에서 소도구를 떼어놓는 것에 의해서, 보다 균일하고 평활한 화장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사 시에 소도구를 화장료 표면에 누르는 속도의 하한값은 0.1 ㎜/sec 정도이다. 소도구를 화장료 표면으로부터 떼어놓을 때의 속도도 누를 때와 같은 정도로 하면 된다. 한편, 마무리의 톡톡 두드리기 시에, 소도구를 도포한 화장료 표면에 누르는 속도의 상한치는 50 ㎜/sec 정도이다. 화장료를 전사할 때 또는 톡톡 두드리기 시에, 소도구를 화장료에 누르는 힘은 0.5 내지 2N 정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겔 형상 화장료는, 도포면을 가진 퍼프로, 위에서부터 천천히 눌러내린다고 하는 사용법에 적합한 용기와 조합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용기로서, 예를 들면, 겔 형상 화장료를 수납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의 내벽을 따라서 설치된 탄성부재, 상기 용기 표면 형상에 대응한 보유 테두리에 메쉬를 보유하고, 화장료 표면 상에 설치된 메쉬부재, 및 상기 용기 뚜껑부를 구비하는 화장료 용기로서, 상기 탄성부재 위에는 상기 메쉬부재의 보유 테두리가 놓이고, 상기 메쉬는 탄성을 지니고, 또한 퍼프의 도포면에서, 상기 메쉬부재를 눌러내렸을 때에, 우선 상기 메쉬가 휘고, 이어서 상기 메쉬 보유 테두리를 개재해서 힘이 상기 탄성부재에 전해짐으로써, 해당 탄성부재도 휘도록 구성된 것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겔 형상 화장료에 적합한 용기의 일례이다. 도 1은 뚜껑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는 그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 중, (1)은 용기, (2)는 용기 본체, (3)은 뚜껑, (4)는 메쉬부재, (5)는 탄성부재, (6)은 날밑부, (7)은 걸림돌기, (8)은 탄성부재 수납부, (9)는 바닥부 둑형상 구조를 각각 나타내고, (A)는 본 발명의 겔 형상 화장료를 나타낸다.
상기 양상의 용기(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외면에 뚜껑(3)과 나사결합시키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부 내면에는, 후술하는 메쉬부재(4)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걸림돌기(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용기의 바닥부는, 중앙에서부터 주위를 향하여, 탄성부재(5)가 있는 곳까지 순차 높아지도록 바닥부 둑형상 구조(9)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후, 움푹 패여서 탄성부재 수납부(8)를 구성하고 있다. 탄성부재(5)는, 이 탄성부재 수납부(8)와, 걸림돌기(7)에 의해 걸려 고정되는 메쉬부재(4)에 의해, 용기 본체(2)의 내주부에 보유된다.
도 1은, 용기(1)의 뚜껑(3)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부면에서부터 보았을 때의 형상, 즉, 그 평면적 형상을 나타낸다. 이 양상에서는, 원이지만, 용기의 평면적 형상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사용하는 퍼프의 형상에 맞추어, 타원, 사각형 또는 정다각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용기 본체(2)는, 높이에 비해서 직경이 큰 편평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재질은, 일반적으로 화장료 용기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 예를 들면, 플라스틱, 유리 혹은 금속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용기 본체(2)의 바닥부 둑형상 구조(9)는, 전술한 바와 같은 탄성부재 수납부(8)를 형성한다는 기능뿐만 아니라, 충전된 겔 형상 화장료(A)를 최후까지 취하기 쉽게 한다는 기능도 지닌다.
용기 본체(2)에 충전한 겔 형상 화장료(A)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쉬부재(4)는, 메쉬(4a)와 보유 테두리(4b)에 의해 구성된다. 이 중, 메쉬(4a)는, 탄성이 있는 섬유, 예를 들면, 10 내지 100데니어 정도의,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나일론, 레이온, 비단 등으로 형성된 시트이며, 그 개구는, 0.3㎜ 또는 5㎜ 정도가 바람직하다. 한편, 이 메쉬(4a)를 보유하는 보유 테두리(4b)는, 그 평면형상이 용기 본체(2)의 평면형상과 거의 동일하고, 그 중앙개구부에 메쉬(4a)를 부착한 것이며, 용기 본체(2)와는 결합되어 있지 않고, 위쪽의 날밑부(6)에 의해 용기 본체(2)의 걸림돌기(7)에 의해 걸려 고정되어 있다. 이 보유 테두리(4b)는, 후술하는 탄성부재(5)를 눌러내리는데 충분한 강도를 지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겔 형상 화장료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퍼프의 예로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펀지 퍼프(20)를 들 수 있다. 이 퍼프(20)에서는, 상부면(21), 하부면(도포면)(22), 측면(23)을 가진 대략 호리병 형상의 축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면(23)의 중심보다도 상부면(21) 측에는, 다른 부분보다도 횡단면의 면적값이 작아지도록 좁혀진 잘록한 부분(24)이 형성되어 있고, 잘록한 부분(24)과 상부면(21) 사이에는, 넓어지는 반경 방향으로 팽출되는 넓은 동체부(25)가, 또한 잘록한 부분(24)과 하부면(22) 사이에는, 넓어지는 반경 방향으로 팽출되는 넓은 동체부(2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퍼프(20)에서는, 상기 상부면(21)과 상기 하부면(22) 사이에 횡단면의 면적값이 최소가 되는 잘록한 부분(24)을 지니고, 해당 하부면(22)은 도포면이 되는 평탄면에 의해 구성되며, 해당 하부면(22)과 이것에 가장 가까운 넓은 동체부(26) 사이의 영역이 도포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하부면(22)이 도포면을 형성하고, 이 하부면(22)을 메쉬(4a)를 개재해서 겔 형상 화장료(A) 표면을 천천히 누름으로써, 균일하게 겔 형상 화장료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를 수용하는 용기나 도포하기 위한 소도구는, 상기 양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 형태의 용기나 소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 실시예 ]
이하에 실시예를 제시하고, 본 발명을 더욱 설명한다. 또, 이들은 본 발명을 하등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10; 수중유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표 1, 표 2에 나타낸 조성 및 하기 제법으로 리퀴드 파운데이션을 조제하고, 하기 평가 방법에 의해, <I> 취하기 원활함, <II> 화장막의 색 불균일 없음, <III> 마무리의 끈적거림 없음, <IV> 시간 경과에 따른 화장 유지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 2에 병기한다.
Figure 112016091609556-pct00001
Figure 112016091609556-pct00002
* 1 수소 첨가 대두 인지질(PC 순도 60 내지 85%) 2% 처리
* 2 디메티콘(20cs) 2% 처리
* 3 트라이에톡시카프릴릴실란 3% 처리
* 4 울트라 한천 AX-100CS(이나쇼쿠힌코교사(Ina Food Industry Co., Ltd.) 제품)
* 5 아데카 놀 GT-700(아데카사 제품)
(제법)
A. 성분 (1) 내지 (13)을 3본 롤러에서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B. 성분 (23) 내지 (31)을 균일하게 혼합하면서 가온 용해시키고, A를 첨가한다.
C. 성분 (14) 내지 (20)을 70℃에서 균일하게 가온 용해시킨다.
D. 성분 (21), (22)를 70℃에서 균일하게 가온 용해시키고, C에 첨가해서 유화시키고, 교반하면서 냉각시킨다.
E. D를 B에 첨가 혼합하고, 냉각 후에 탈포시켰다.
F. E를 80℃에서 용해 후, 직경 5㎝의 플라스틱제 단지(jar) 용기(도 1 내지 2 참조)에 60℃에서 충전하여, 수중유형 리퀴드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평가 방법)
평가 항목 <I> 취하기 원활함, <II> 화장막의 색 불균일 없음, <III> 마무리의 끈적거림 없음, <IV> 시간 경과에 따른 화장 유지에 대해서, 각 시료를 전문 패널 10명에 의한 사용 시험을 행하고, 패널 각 사람이 하기 평가 기준으로 7단계로 평가해서 평점을 매기고, 패널 전원의 평점으로부터, 그 평균치를 산출해서, 하기 판정 기준에 의해 4단계로 판정하였다. 또, <I> 취하기 원활함에 대해서는, 단지 용기(도 1 내지 2 참조)에 충전한 샘플을, 나일론제 메쉬 위로부터, 직경 3㎝의 원기둥형 퍼프(도 3 참조)로 가볍게 누르고, 퍼프로의 취하기를 평가하였다. 또한, <IV> 시간 경과에 따른 화장 유지에 대해서는, 샘플을 도포하고 8시간 후의 화장막의 유지 상태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평점) : (평가)
6 : 매우 양호
5 : 양호
4 : 다소 양호
3 : 보통
2 : 다소 나쁨
1 : 나쁨
0 : 매우 나쁨
(판정 기준)
(평점의 평균점) : (판정)
5.0 이상 : ◎(매우 양호)
3.5 이상 5.0 미만 : ○(양호)
1.5 이상 3.5 미만 : △(보통)
1.5 미만 : ×(불량)
(결과)
표 1의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a) 한천, (b) 소수변성 폴리에터 우레탄 및 (c) 인지질을 사용한 본 발명의 수중유형 리퀴드 파운데이션은, 재차 가열해서 충전함으로써, 성분 (a)의 한천이 균일하게 겔을 만들면서도, 성분 (b)의 소수변성 폴리에터 우레탄과의 조합으로, 겔에 적당한 붕괴성을 부여함으로써, <I> 취하기 원활함, <II> 화장막의 색 불균일 없음, <III> 마무리의 끈적거림 없음, <IV> 시간 경과에 따른 화장 유지의 어느 쪽의 항목에 있어서도 우수한 것이며, (a)와 (b)의 함유 비율을 변경해도 마찬가지였다(실시예 1 내지 3).
이것에 대하여, 성분 (a)의 한천이 배합되어 있지 않은 비교예 1은, 퍼프로의 취하기가 나쁘고, 또 분체의 분산 안정성이 뒤떨어져 화장막의 색 불균일이 눈에 띄는 것으로 되고, 한천을 카복시비닐 폴리머 또는 잔탄 검으로 교체해도, 마무리의 끈적거림이나 화장 유지에 있어서 현저하게 뒤떨어지는 것이었다(비교예 3,4). 또 성분 (b)의 소수변성 폴리에터 우레탄을 결여하는 비교예 2는, 퍼프로의 취하기가 나쁘고, 특히 마무리의 끈적거림의 점에서 뒤떨어지고 있으며, 소수변성 폴리에터 우레탄을 카복시비닐 폴리머로 치환해도, 끈적거림이나 화장 유지 등에 있어서 뒤떨어지는 것이었다(비교예 5). 또한, 성분 (c)의 인지질을 스테아르산 나트륨 또는 폴리스테아르산 수크로스로 치환한 비교예 6, 7도, 끈적거림이나 화장 유지 등의 점에서 불충분한 것이었다.
또, 표 2의 결과로부터, 추가로 인지질 처리 분체를 사용한 실시예 4 내지 6은, 어느 쪽의 항목에 있어서도 매우 뛰어난 것이 되었다. 한편, 인지질 처리 분체를 배합하고 있어도, 성분 (a) 또는 (b)를 결여하는 비교예 8, 9에서는 퍼프로의 취하기나 끈적거림 등의 점에서 불충분한 것이었다. 또한, 인지질 처리 분체 대신에 실리콘 처리 분체를 이용해도, 색 불균일이나 화장 유지에 있어서 뒤떨어지는 것으로 되었다(비교예 10).
실시예 10 수중유형 베이스
하기에 나타낸 조성 및 제법으로 수중유형 베이스를 조제하였다.
(조성)
(%)
(1) 레시틴 처리 산화티타늄 4.0
(2) 레시틴 처리 벵갈라 0.08
(3) 레시틴 처리 황산화철 0.40
(4) 레시틴 처리 흑산화철 0.04
(5) 레시틴 처리 탤크 1.0
(6) 1,3-뷰틸렌글리콜 2.0
(7) 세스퀴올레산 솔비탄 0.2
(8) 광유 1.4
(9) 트라이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0.6
(10) 메톡시신남산 에틸헥실 2.0
(11) 스테아르산 트리에탄올아민 1.0
(12)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5
(13) 정제수 3.0
(14) 파라옥시벤조산메틸 적당량
(15) 한천 2.0
(16) 글리세린 0.5
(17) 1,3-뷰틸렌글리콜 10.0
(18) 소수변성 폴리에터 우레탄 0.3
(19) 정제수 잔량
(제법)
A. 성분 (14) 내지 (19)를 90℃에서 균일하게 혼합 용해시킨다.
B. 성분 (1) 내지 (7)을 3본 롤러에서 균일하게 분산 처리하고, A에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C. 성분 (8) 내지 (12)를 75℃에서 균일하게 가온 용해시킨다.
D. 성분 (13)을 75℃로 가온시키고, C에 호모디스퍼(2.5형; PRIMIX사 제품)에서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E. 교반하면서 냉각한 D를, B에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F. 냉각 후에 탈포시킨 후, 재차 75℃로 가온 용해 후, 55℃에서 도포체 첨부 튜브 용기에 충전하여, 수중유형 베이스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해서 얻어진 실시예 10의 수중유형 베이스는, 분체의 분산 안정성이 양호하고 색 불균일이 없으며, 취하기 원활함, 마무리의 끈적거림 없음, 시간 경과에 따른 화장 유지도 극히 양호한 것이었다.
시험예 1
실시예 1의 화장료를 단지 용기(도 1 내지 2 참조)에 충전하고, 나일론제 메쉬 위로부터, 직경 3㎝의 원주형 퍼프(도 3 참조)로 천천히 스탬핑 방식으로 3회 눌러서 화장료를 취하고, 바이오스킨 플레이트 No.10A(뷰락스사(Beaulax Co., Ltd.) 제품)에 펴서 도포한 후, 동일 퍼프로 도포한 화장료 표면을 3회 톡톡 두드리기를 행하였다. 공초점 레이저 스캐닝 현미경 LSM-700(ZEISS사 제품)에서, 톡톡 두드리기 전과 톡톡 두드린 후의 화장료 표면의 상태를 촬상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또 실시예 1 또는 비교예 5의 화장료를 인공피혁(서프라레(SUPPLALE): 이데미쯔테크노파인사(Idemitsu Technofine Co., Ltd.) 제품)에 도포해서 두께 200㎛의 도막을 형성하였다. 텍스처 아날라이저(에이코세이기사(EKO Instruments) 제품)을 이용해서, 이 도막에 원통 형상 프로브(직경 2.5㎝)를 20g의 힘으로 5초간 누른 후, 속도 40 ㎜/sec 또는 속도 0.5 ㎜/sec에서 떼어놓았을 때의 하중값(g)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최대하중값)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4로부터, 실시예 1의 화장료를, 펴서 도포한 상태 (a)에 비해서, 더욱 스펀지로 3회 톡톡 두드린 후의 상태 (b)는, 도막 표면이 깨끗하게 평활화되어 있고, 실제 사용에 있어서도, 피부의 미세한 요철을 숨겨서, 보다 균일한 화장막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그 이유로서, 본 발명의 화장료는, 소도구를 화장료 표면에서부터 떼어놓을 때의 속도가 빠르면, 점착성이 작아지는 특성을 지니는 것을 들 수 있다. 도 5의 값의 크기는, 소도구와 화장료 표면의 점착성의 크기에 비례하지만, 비교예 5에서는, 화장료와의 떼어놓기 속도가 빨라지면 하중값이 커지는 것에 대해서, 실시예 1에서는 화장료와의 떼어놓기 속도가 빠른 쪽이, 보다 낮은 하중값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소도구를 화장료 표면에 천천히 누르면, 화장료가 소도구로 전사되고, 마무리로 톡톡 두드릴 때에는, 도포한 화장료 표면과 소도구의 떼어놓기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끈적거리지 않고 도막 표면이 깨끗하게 평활화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손가락이나 소도구로의 취하기가 양호하여, 피부 상에서 매끄럽게 퍼지고, 끈적거림이 없이 균일한 화장막이 형성되어, 아름답게 마무리되는 동시에, 화장 유지도 우수한 것이다. 따라서, 메이크업 화장료 등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1……용기
2……용기 본체
3……뚜껑
4……메쉬부재
4a …메쉬
4b …보유 테두리
5……탄성부재
6……날밑부
7……걸림돌기
8……탄성부재 수납부
9……바닥부 둑형상 구조
A ……겔 형상 화장료
20……퍼프
21……상부면
22……하부면
24……잘록한 부분
25…… 상측 넓은 동체부
26……하측 넓은 동체부

Claims (9)

  1. 다음 성분 (a) 내지 (c)를 함유하고, 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a) 한천;
    (b) 하기 일반식 (1):
    R1-{(O-R2)-OCONH-R3[-NHCOO-(R4-O)-R5]}   (1)
    [식 중, R1, R2 및 R4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해도 되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3은 우레탄 결합을 가져도 되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R5는 직쇄, 분기쇄 또는 2급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m은 2 이상의 수이며, h는 1 이상의 수이고, k 및 n은 독립으로 0 내지 1000의 범위의 수임]로 표시되는 소수변성 폴리에터 우레탄(hydrophobically modified polyether urethane); 및
    (c) 인지질.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 (b)와 성분 (a)의 함유량의 질량비 (b)/(a)가 0.05 내지 15인, 화장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a)의 함유량이 0.05 내지 3질량%인, 화장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b)의 함유량이 0.03 내지 1.5질량%인, 화장료.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c)의 함유량이 0.03 내지 3질량%인, 화장료.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d)로서 분체가 추가로 배합되어 있는, 화장료.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중유형인, 화장료.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변성 폴리에터 우레탄은 PEG-240/데실테트라데세스-20/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코폴리머인, 화장료.
  9. 제1항에 기재된 화장료를 소도구에 전사하고, 전사된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 하는 화장 방법으로서,
    15 ㎜/sec 이하의 속도로 소도구를 화장료 표면에 눌러서 전사하고, 전사된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한 후, 20 ㎜/sec 이상의 속도로, 도포한 화장료 표면에 소도구를 누르고, 이어서 화장료 표면으로부터 소도구를 떼어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방법.
KR1020167026058A 2014-03-28 2015-03-24 화장료 KR102399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68262 2014-03-28
JP2014068262 2014-03-28
PCT/JP2015/058828 WO2015146948A1 (ja) 2014-03-28 2015-03-24 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031A KR20160131031A (ko) 2016-11-15
KR102399793B1 true KR102399793B1 (ko) 2022-05-19

Family

ID=54195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058A KR102399793B1 (ko) 2014-03-28 2015-03-24 화장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172893A1 (ko)
EP (1) EP3124013A4 (ko)
JP (1) JP6553594B2 (ko)
KR (1) KR102399793B1 (ko)
CN (1) CN106102709A (ko)
TW (1) TWI701054B (ko)
WO (1) WO20151469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4187B2 (ja) * 2015-10-30 2020-12-23 株式会社コーセー 水中油乳化型組成物
CN109069354B (zh) * 2016-04-28 2022-01-11 株式会社资生堂 水包油型固态化妆品
EP3530264A4 (en) * 2016-10-20 2020-07-01 Shiseido Company, Ltd. OIL-IN-WATER-TYPE EMULSION COMPOSITION
FR3064458B1 (fr) * 2017-03-31 2019-04-19 Chanel Parfums Beaute Article de cosmetique muni d'une maille
JP7085727B2 (ja) * 2017-05-29 2022-06-17 株式会社ピカソ美化学研究所 化粧品
JP7183022B2 (ja) * 2018-12-18 2022-12-05 株式会社コーセー 粒状組成物
CN111419739A (zh) * 2020-04-09 2020-07-17 丽鑫生技化妆品(上海)有限公司 一种凉感气垫粉底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6423A (ja) 2004-12-21 2006-07-06 Kose Corp ゲル状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2012206994A (ja) * 2011-03-30 2012-10-25 Kose Corp 水中油型気泡含有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44923A (ja) 2013-01-28 2014-08-14 Kose Corp 水中油型メイクアップ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4899A (en) * 1981-07-20 1985-08-13 Lipid Specialties, Inc. Synthetic phospholipid compounds
JP3442108B2 (ja) * 1993-06-29 2003-09-02 株式会社コーセー 水中油型固型化粧料
JPH0717827A (ja) 1993-06-30 1995-01-20 Nichiden Kagaku Kk 化粧品基材
KR100613969B1 (ko) * 1998-12-17 2006-08-18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화장료 조성물
JP4931270B2 (ja) * 2000-03-29 2012-05-16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
JP2002003333A (ja) * 2000-06-21 2002-01-09 Kose Corp 化粧料
DE10033975B4 (de) * 2000-07-06 2004-08-12 Coty B.V. Gelierte fest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mit spezifischer Rheologie und deren Verwendung
JP2002087929A (ja) * 2000-09-12 2002-03-27 Kose Corp ゲル状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化粧料
KR100702340B1 (ko) * 2001-06-13 2007-04-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레시틴을 함유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05306849A (ja) * 2004-03-26 2005-11-04 Kose Corp 水中油型固形化粧料
JP4819332B2 (ja) * 2004-08-25 2011-11-24 株式会社 資生堂 毛髪化粧料
JP2009234917A (ja) * 2006-08-09 2009-10-15 Shiseido Co Ltd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4979095B2 (ja) * 2010-04-28 2012-07-18 株式会社 資生堂 増粘性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む化粧料
ITMI20110644A1 (it) * 2011-04-14 2012-10-15 Giuliani Spa Sistema per il rilascio prolungato di agenti cosmetici
FR2985174B1 (fr) * 2012-01-02 2014-03-0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aqueuse comprenant de l'alkylcellulose, des huiles non volatiles, au moins une cire et au moins un gelifiant hydrophile particulier
JP6242037B2 (ja) * 2012-03-16 2017-12-06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6423A (ja) 2004-12-21 2006-07-06 Kose Corp ゲル状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2012206994A (ja) * 2011-03-30 2012-10-25 Kose Corp 水中油型気泡含有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44923A (ja) 2013-01-28 2014-08-14 Kose Corp 水中油型メイクアップ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46948A1 (ja) 2015-10-01
CN106102709A (zh) 2016-11-09
TWI701054B (zh) 2020-08-11
TW201625214A (zh) 2016-07-16
JP6553594B2 (ja) 2019-07-31
EP3124013A4 (en) 2017-11-08
JPWO2015146948A1 (ja) 2017-04-13
EP3124013A1 (en) 2017-02-01
KR20160131031A (ko) 2016-11-15
US20170172893A1 (en)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9793B1 (ko) 화장료
CN102378625B (zh) 皮肤外用剂
KR100298924B1 (ko) 수중유형화장재료용조성물
JP5856383B2 (ja) 水中油型気泡含有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5101994B2 (ja) 油性睫用化粧料
JP5090981B2 (ja) 睫用化粧料
JP6434218B2 (ja) アイライナー化粧料
JP6285231B2 (ja) 水中油乳化型口唇化粧料
JP2012077000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6133574B2 (ja) 水系アイライナー化粧料
JP5378694B2 (ja) 粉体メークアップ化粧料
JP2009256322A (ja) 睫用化粧料
JP6795885B2 (ja) 固形粉末化粧料
JP2018008904A (ja) 水中油型ケラチン繊維用化粧料
JP5064623B2 (ja) 睫用化粧料
JP2012097011A (ja) 油性口唇化粧料
JP5825780B2 (ja) 油性固形化粧料
JP2009235029A (ja) 水中油型睫用化粧料
JP4472855B2 (ja) 油性化粧料
JP2011184416A (ja) 口唇用化粧料
JP7053408B2 (ja) 固形化粧料
JP2000072623A (ja) 水性メ―キャップ化粧料
JP2021091620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CN113286572A (zh) 包含分散在固体连续无水相中的水性球状体的固体化妆品组合物
JP2005343876A (ja) 固形粉末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