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126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126B1
KR102389126B1 KR1020140117167A KR20140117167A KR102389126B1 KR 102389126 B1 KR102389126 B1 KR 102389126B1 KR 1020140117167 A KR1020140117167 A KR 1020140117167A KR 20140117167 A KR20140117167 A KR 20140117167A KR 102389126 B1 KR102389126 B1 KR 102389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seat
frame
post
com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5389A (ko
Inventor
미키오 오오모리
하루카 데라조노
가즈히데 가토오
마사루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50035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6Combines with hea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4Se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20Devices for protecting men 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Combin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기체 구성에 대응하는 안전 프레임을 구비한 콤바인을 합리적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운전 좌석(12)의 후방에서 좌우 방향의 한쪽에 제1 후방 지주부(31R)를 구비하고, 이 상단부에서 운전 좌석(12)의 상측에 있어서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 상부 프레임부(31T)를 구비하고, 이 전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전방 지주부(31F)를 구비하였다. 또한, 운전 좌석(12)의 후방에서 좌우 방향의 다른 쪽에 제2 후방 지주부(32R)를 구비하고, 이 상단부에서 운전 좌석(12)의 상측에 있어서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2 상부 프레임부(32T)를 구비하고, 이 전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 전방 지주부(32F)를 구비하여 안전 프레임(S)을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주행 기체에 예취부와, 탈곡부와, 곡립 탱크와, 운전 좌석과, 안전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콤바인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운전 좌석의 후방에 안전 프레임을 구비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서는, 안전 프레임이, 운전 좌석의 후방의 곡립 탱크(문헌에서는 저류 탱크)의 전방판에 하단부가 고착된 문형이며, 상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부분의 중간 부분에는, 곡립 탱크로부터 곡립을 배출하는 선회 통을 지지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서는, 선회 통을 낮은 높이에서 선회시킬 때에는, 안전 프레임에 선회 통이 접촉함으로써, 이 선회 시에 운전자에의 접촉을 저지하여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안전 프레임의 상단부를, 운전자를 보호하는 레벨에 있으므로, 주행 기체가 전도된 경우에는 운전자의 보호가 가능해진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곡립 탱크(문헌에서는 그레인 탱크)의 전방부에 운전 좌석이 배치되고, 운전 좌석의 상방의 캐노피 루프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주가 곡립 탱크의 전방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지주는, 서로 보강하는 것이며, 안전 프레임의 역할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콤바인은 아니지만, 특허문헌 3에는, 운전 좌석의 전방에 배치되는 단일의 전방 지주를 구비하고, 운전 좌석의 후방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주를 갖고, 이것에 이어져 운전 좌석의 상방에 배치되는 루프 프레임을 구비한 안전 프레임(문헌에서는 운전석 보호 프레임)이 나타내어져 있다.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04-44046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평05-42063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3-64323호 공보
콤바인에 의한 수확 작업에 있어서도, 포장(圃場)의 외측으로 내려가는 자세의 경사면이 이어지는 작업 환경에서는, 주행 기체가 포장의 외측으로 이동할 때에 주행 기체가 전도되는 것도 생각되어, 운전자를 보호하는 안전 프레임의 장착이 요망되고 있다.
자탈형의 콤바인을 예로 들면, 주행 기체의 전단부에 예취부를 구비하고, 이 예취부에서 예취한 곡간이 공급되는 탈곡 장치를 주행 기체의 좌우의 일방측에 구비하고, 이 탈곡 장치와 병렬되는 위치에 곡립 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곡립 탱크는 후단부 위치의 세로 방향 자세의 축심을 중심으로 요동함으로써 유지 보수성을 높인 구성도 많이 채용되고 있다.
곡립 탱크의 전방측에는 엔진이 배치되고, 이 엔진을 덮는 보닛의 상면에 운전 좌석이 구비되고, 이 운전 좌석의 전방 위치에는 조종탑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 좌석의 전방 위치의 하방에는 데크가 배치되고, 이 데크에는 탈곡 장치의 반대측의 측부로부터 타고 내리게 된다.
안전 프레임은 간소한 구성이면서, 운전자가 존재하는 공간을 견고하게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구성의 콤바인에 안전 프레임을 구비하는 구성을 생각하면, 지주의 하단부를 주행 기체에 대해 단순하게 연결하는 것이 곤란하여 안전 프레임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구성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체 구성에 대응하는 안전 프레임을 구비한 콤바인을 합리적으로 구성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주행 기체에 예취부와, 탈곡부와, 곡립 탱크와, 운전 좌석과, 안전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안전 프레임이, 상기 운전 좌석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 후방 지주부와, 이 제1 후방 지주부의 상부에 이어져 상기 운전 좌석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방향의 일방측에서 상기 운전 좌석의 상측에 있어서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 상부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운전 좌석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 후방 지주부의 상부에 이어지는 제1 상부 프레임부가, 평면에서 볼 때 운전 좌석의 좌우 어느 한쪽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 구성에서는, 운전 좌석에 착좌한 운전자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1 상부 프레임부를, 제1 후방 지주부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주행 기체가 전도되는 경우가 있어도, 운전 좌석에 착좌한 운전자를 제1 상부 프레임부로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후방 지주부와 제1 상부 프레임부가 연결되는 일체적인 구조물로 할 수 있으므로, 높은 강도를 얻는다.
따라서, 콤바인의 구성에 대응하는 안전 프레임을 구비한 콤바인이 합리적으로 구성되었다.
본 발명은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상부 프레임부의 전단부와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의 프론트 패널의 상면을 연결하는 가상 직선보다 하측 영역에, 상기 운전 좌석에 착좌한 운전자의 운전 공간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주행 기체가 전도된 경우에는, 주행 기체의 자세에 의해 패널과, 제1 상부 프레임부와, 제1 후방 지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지면이나 벽면 등에 대해 먼저 접촉하게 된다. 이것은, 주행 기체가 전도되어 운전 좌석에 착좌한 운전자의 방향으로 지면이나 벽면이 상대적으로 접근하는 상황에서도, 제1 상부 프레임부와 제1 후방 지주부가 지면이나 벽면 등이 운전자에 접촉하는 문제를 저지하여, 운전 공간에 존재하는 운전자의 보호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안전 프레임이, 상기 제1 상부 프레임부의 전단부측에 이어져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전방 지주부를 구비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제1 후방 지주부와 제1 상부 프레임부와 제1 전방 지주부가 일체물로 되어 안전 프레임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전방 지주부의 하단부가 상기 운전 좌석의 하방의 데크에 지지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운전 좌석의 하방에서 견고하게 형성되는 데크에 대해 제1 전방 지주부의 하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이것에 이어지는 제1 상부 프레임부의 지지 강도를 높이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후방 지주부와, 상기 제1 상부 프레임부와, 상기 제1 전방 지주부가 상기 주행 기체에 있어서, 상기 운전 좌석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방향의 외측 단부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주행 기체가 외측 단부측을 하측으로 하여 전도되어도, 제1 후방 지주부와 제1 상부 프레임부와 제1 전방 지주부에 의해 운전자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전방 지주부가,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의 조종탑과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운전자가 주행 기체의 외측 위치로부터 운전 좌석의 방향으로 올라타는 경우나, 주행 기체의 외측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제1 전방 지주부가 방해로 되지 않아, 타고 내리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삭제
이에 따르면, 제1 후방 지주부와 제1 상부 프레임부와 제2 지주부가 운전 좌석의 후방의 좌우 위치로 나누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안전 프레임을 한층 더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 지주부가, 상기 운전 좌석의 후방에서, 상기 제1 후방 지주부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병렬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이 제2 지주부와 상기 제1 후방 지주부가 후방 연결 프레임부에 의해 연결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제2 지주부와 제1 후방 지주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후방 연결 프레임부에 의해 유지되어 안전 프레임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안전 프레임이, 상기 제2 지주부의 상부에 이어져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2 상부 프레임부와, 이 제2 상부 프레임부의 전단부측에 이어져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 전방 지주부를 구비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제1 상부 프레임부와 제2 상부 프레임부가 운전 좌석의 상방에서 병렬되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운전 좌석에 착좌한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안전 프레임이, 상기 제1 상부 프레임부와 상기 제2 상부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가로 방향 자세의 상부 연결 프레임부를 구비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제1 상부 프레임부와 제2 상부 프레임부가 상부 연결 프레임부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안전 프레임의 강도를 한층 더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후방 지주부와, 상기 제1 상부 프레임부가 상기 주행 기체에 있어서, 상기 운전 좌석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방향의 외측 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방 지주부의 하단부가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의 조종탑의 프론트 패널에 지지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주행 기체가 외측 단부측을 하측으로 하여 전도되어도, 제1 후방 지주부와 제1 상부 프레임부와 제1 전방 지주부에 의해 운전자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전방 지주부의 하단부를 프론트 패널에 지지함으로써, 제2 상부 프레임부의 지지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안전 프레임이, 상기 제1 상부 프레임부의 전단부측에 이어져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운전 좌석의 하방의 데크에 지지되는 제1 전방 지주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에 가로로 긴 자세의 패널 프레임이 지지되고, 이 패널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2 전방 지주부의 하단부가 연결됨과 함께, 상기 제1 전방 지주부의 중간 부분이 연결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제1 전방 지주부의 하단부를 데크에 지지함으로써 제1 상부 프레임부의 지지 강도를 높임과 함께, 패널 프레임에 대해 제2 전방 지주부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이 패널 프레임에 대해 제1 전방 지주부의 중간 부분이 연결됨으로써 제1 전방 지주부와 제2 전방 지주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하여 안전 프레임의 강도를 한층 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제2 지주부의 하단부가, 상기 운전 좌석의 후방 위치에서 에어 클리너를 수납하는 클리너 케이스에 지지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운전 좌석의 비교적 근방에 배치되는 클리너 케이스를 이용하여 제2 지주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므로, 안전 프레임 전체를 소형화하면서, 운전자의 보호 성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운전 좌석의 후방 위치에서 에어 클리너를 수납하는 클리너 케이스에 상기 제1 후방 지주부의 하단부가 지지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운전 좌석의 비교적 근방에 배치되는 클리너 케이스를 이용하여 제1 후방 지주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므로, 안전 프레임 전체를 소형화하면서, 운전자의 보호 성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제2 지주부가, 상기 운전 좌석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방향에서 상기 제1 후방 프레임부와 반대측이며, 또한, 상기 운전 좌석의 측방에 배치되고, 이 제2 지주부의 상단부에 이어져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상부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제2 가로 프레임부를 구비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운전 좌석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 후방 지주부와, 운전 좌석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상부 프레임부와, 운전 좌석을 기준으로 하여 제1 후방 지주부와 반대측에서 운전 좌석의 측방에 배치되는 제2 지주부에 의해 운전 좌석에 착좌하는 운전자의 보호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제2 지주부의 하단부가 상기 운전 좌석의 측방의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제2 지주부의 하단부가 기체 프레임에 지지됨으로써 안전 프레임의 강도를 한층 더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후방 지주부가, 상기 곡립 탱크의 후방의 기체 프레임에 연결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콤바인이, 운전 좌석의 후방에서 운전 좌석에 근접하는 위치에 제2 지주부의 하단부의 지지가 가능한 공간이 없는 구성이라도, 제1 후방 지주부의 하단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엔진을 수용하는 엔진 보닛이, 전후 방향 자세의 개폐 축심을 중심으로 한 요동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주행 기체에 지지되고, 상기 안전 프레임이 상기 엔진 보닛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엔진 보닛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에 있어서도 안전 프레임을 무리 없이 구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곡립 탱크가, 세로 방향 자세의 요동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안전 프레임이 상기 곡립 탱크의 요동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곡립 탱크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에 있어서도 안전 프레임을 무리 없이 구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콤바인의 우측면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콤바인의 평면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콤바인의 정면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안전 프레임의 좌측면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안전 프레임의 평면도.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안전 프레임의 정면도.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안전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안전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안전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하는 후방면도.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서 개방 상태의 엔진 보닛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의 안전 프레임의 사시도.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콤바인의 우측면도.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의 콤바인의 평면도.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의 콤바인의 정면도.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의 안전 프레임의 좌측면도.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의 안전 프레임의 평면도.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의 안전 프레임의 정면도.
도 18은 제2 실시 형태에서 개방 상태의 엔진 보닛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19는 제2 실시 형태의 안전 프레임의 사시도.
도 20은 다른 실시 형태 (a)의 안전 프레임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우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의해 주행하는 주행 기체(2)의 전단부에 예취부(3)를 승강 가능하게 구비함과 함께, 주행 기체(2)에 대해 탈곡부(4)와 곡립 탱크(5)와 언로더(6)를 구비하고, 주행 기체(2)의 곡립 탱크(5)의 전방부 위치에 운전부(C)를 구비하고, 이 운전부(C)의 운전자를 보호하는 안전 프레임(S)을 구비하여 자탈형의 콤바인이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자탈형의 콤바인을 나타내고 있지만, 콤바인은 보통형의 것이어도 된다.
이 콤바인은, 기체 프레임(2F)에 대해 예취부(3)와, 탈곡부(4)와, 곡립 탱크(5)와, 언로더(6)를 지지하고 있고, 엔진 보닛(11)의 내부 공간에 엔진(E)과, 라디에이터(ER)를 수용하고 있다. 수확 작업 시에는 엔진(E)의 구동력으로 크롤러 주행 장치(1)를 구동하여 주행 기체(2)를 주행시킴과 함께, 이 주행 속도와 동기하여 예취부(3)를 구동하고, 소정 속도로 탈곡부(4)를 구동한다. 이에 의해, 예취부(3)로 곡간의 예취를 행함과 함께, 예취 곡간을 탈곡부(4)로 반송하여 탈곡 처리를 행하고, 이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처리물로부터 곡립을 선별하여 곡립 탱크(5)에 저류하는 작동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예취부(3)는 복수의 일으킴 장치(3A)를 갖고, 각각의 일으킴 장치(3A)로 일으킨 곡간의 밑동을 절단하여 탈곡부(4)에 대해, 반송 기구(3B)에 의해 옆으로 쓰러진 자세로 반송한다. 탈곡부(4)는 예취부(3)로부터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 부분을 급실(扱室)에 공급하여 훑기 처리를 행하고, 이 급실로부터의 처리물을 선별로부터 곡립을 선별하여 곡립 탱크(5)에 공급하고, 선별에 의해 곡립으로부터 분리한 짚 부스러기 등은, 탈곡부(4)의 후단부로부터 배출한다.
곡립 탱크(5)는 탈곡부(4)로부터 공급되는 곡립을 저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언로더(6)는 세로 방향 자세의 선회 축심(Y)과 동 축심에 배치되는 세로 스크류 컨베이어(6A)와, 이 세로 스크류 컨베이어(6A)의 상단부에 대해 가로 방향 자세의 승강 축심(Z)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구비된 가로 스크류 컨베이어(6B)로 구성되어 있다.
이 언로더(6)는 곡립 탱크(5)에 저류된 곡립을 반출하도록 기능하는 것이며, 선회 축심(Y)과 동 축심으로 되는 요동 축심을 중심으로 한 요동에 의해 곡립의 배출 방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승강 축심(Z)을 중심으로 한 요동에 의해, 가로 스크류 컨베이어(6B)의 선단으로부터의 배출 높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콤바인에서는, 언로더(6)의 가로 스크류 컨베이어(6B)를 도 2, 도 3에 도시하는 저장 자세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곡립 탱크(5)는 도 2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축심(Y)을 중심으로 하여 전단부측을 외측으로 인출하는 형태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운전부〕
운전부(C)는, 엔진 보닛(11)의 상면에 구비된 운전 좌석(12)과, 이 운전 좌석(12)보다 하측에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데크(13)와, 운전 좌석(12)의 전방 위치의 조종탑(14)과, 이 조종탑(14)의 상면의 프론트 패널(15)과, 운전 좌석(12)의 좌측부 위치의 사이드 패널(17)을 구비하고 있다. 운전 좌석(12)에는 착좌한 운전자를 구속하는 안전 벨트(12A)를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 패널(15)에는 미터 외에 조종 레버(16)가 구비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17)에는 주행 속도의 설정용, 수확 작업에 클러치류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 레버(18)가 구비되어 있다.
특히, 이 운전부(C)는, 엔진 보닛(11)과 프론트 패널(15)의 중간 위치가, 좌우 방향의 외측 단부측(도 2에서는 우측)에 개방되어 있고, 이 외측 단부측으로부터 운전부(C)에 대한 타고 내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운전 좌석(12)의 후방에서 곡립 탱크(5)의 전방측에 클리너 케이스(21)의 내부에 에어 클리너(22)를 수납하고 있다. 클리너 케이스(21)는 기체 프레임(2F)에 지지됨과 함께, 내부에 보강 프레임을 구비하여 고강도로 제조되어 있다. 또한, 에어 클리너(22)로부터 클리너 케이스(21)의 상면을 관통하는 통 형상체(23)의 상단부에 프리 클리너(24)가 구비되어 있다.
엔진 보닛(11)의 외측 단부측에는, 클리너 케이스(21)의 외측 단부측에 도달하는 높이의 흡기 케이스(25)를 구비하고 있다. 이 흡기 케이스(25)에는 방진망(25A)이 장설되고, 이 방진망(25A)을 통해 흡인한 공기가 엔진(E)의 라디에이터(ER)에 공급된다.
엔진 보닛(11)은 주행 기체(2)의 외측 단부측의 하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자세의 개폐 축심(P)을 중심으로 하여 기체 프레임(2F)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개폐 축심(P)을 중심으로 하여 엔진 보닛(11)과 흡기 케이스(25)를 일체적으로 요동시킴으로써,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E)의 상방을 크게 개방하여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엔진 보닛(11)의 개폐 축심(P)은,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자세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엔진 보닛(11)의 외측 단부측의 후단부 위치에 세로 방향 자세로 설정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이어도, 엔진 보닛(11)과 흡기 케이스(25)를 개폐 축심(P)을 중심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엔진(E)의 상방을 크게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안전 프레임〕
안전 프레임(S)은, 도 3∼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후방 지주부(31R)와, 제1 상부 프레임부(31T)와, 제1 전방 지주부(31F)와, 제2 후방 지주부(32R)(제2 지주부의 일례)와, 제2 상부 프레임부(32T)와, 제2 전방 지주부(32F)와, 후방 연결 프레임부(33)와, 상부 연결 프레임부(34)를 기본적인 강도 부재로서 구비하고 있다.
제1 후방 지주부(31R)는, 운전 좌석(12)의 후방에 있어서 세로 방향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상부 프레임부(31T)는 제1 후방 지주부(31R)의 상측에 이어져 운전 좌석(12)의 상측에서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전방 지주부(31F)는 제1 상부 프레임부(31T)의 전단부에 이어져 운전 좌석(12)의 전방측을 하방으로 연장되는 세로 방향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이 콤바인에서는, 운전부(C)[운전 좌석(12)]에 대해 운전자가 타고 내리는 위치가 주행 기체(2)의 우측의 외측 단부측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1 후방 지주부(31R)와, 제1 상부 프레임부(31T)와, 제1 전방 지주부(31F)는, 원형 파이프재의 절곡이나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며, 이들은, 운전 좌석(12)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서, 주행 기체(2)의 우측의 외측 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후방 지주부(31R)의 하단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리너 케이스(21)의 상면에 지지된다.
또한, 제1 전방 지주부(31F)는, 측면에서 볼 때 조종탑(14)과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하단부가 데크(13)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전방 지주부(31F)는 조종탑(14)을 상하로 관통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전방 지주부(31F)에 방해되는 일 없이, 운전부(C)[운전 좌석(12)]에 운전자가 타고 내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이 안전 프레임(S)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제1 상부 프레임부(31T)의 전단부와 운전 좌석(12)의 전방의 프론트 패널(15)의 상면을 연결하는 가상 직선(T)보다 하측 영역에, 운전 좌석(12)에 착좌한 운전자의 운전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제2 후방 지주부(32R)는, 운전 좌석(12)의 후방에 있어서 세로 방향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상부 프레임부(32T)는 제2 후방 지주부(32R)의 상측에 이어져 운전 좌석(12)의 상측에서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전방 지주부(32F)는 제2 상부 프레임부(32T)의 전단부에 이어져 운전 좌석(12)의 전방측을 하방으로 연장되는 세로 방향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제2 후방 지주부(32R)와, 제2 상부 프레임부(32T)와, 제2 전방 지주부(32F)는, 원형 파이프재의 절곡이나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며, 이들은, 운전 좌석(12)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안전 프레임(S)을 구성하는 프레임부의 재료는, 원형 파이프재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형 파이프재, 앵글재, 채널재 등의 사용도 가능하다.
제2 후방 지주부(32R)는 제1 후방 지주부(31R)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 상부 프레임부(32T)는 제1 상부 프레임부(31T)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 전방 지주부(32F)는 제1 전방 지주부(31F)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후방 지주부(31R)의 하단부와 제2 후방 지주부(32R)의 하단부를 후방 연결 프레임부(33)에 의해 연결하고 있고, 이 후방 연결 프레임부(33)이 좌우 한 쌍의 브래킷(41)을 통해 클리너 케이스(21)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브래킷(41)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단면 형상 역U자 형상의 강도 부재(41a)가 클리너 케이스(21)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끼워져 있다. 클리너 케이스(21)의 내부에서 외측 단부측에 가까운 위치[흡기 케이스(25)의 측]에는 내부 보강 프레임(21a)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클리너 케이스(21)와 내부 보강 프레임(21a)은 엔진(E)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성하는 엔진 프레임(EF)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후방 연결 프레임부(33)의 상방 위치에는, 제1 후방 지주부(31R)의 중간부와 제2 후방 지주부(32R)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후방부 보강 프레임(35)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후방 연결 프레임부(33)를 구비하지 않고, 제1 후방 지주부(31R)의 하단부와, 제2 후방 지주부(32R)의 하단부가, 클리너 케이스(21)의 상면에 대해 직접적으로 지지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이 제1 후방 지주부(31R)의 하단부와, 제2 후방 지주부(32R)의 하단부가 기체 프레임(2F)에 대해 직접적으로 지지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제2 상부 프레임부(32T)와 제1 상부 프레임부(31T)를 한 쌍의 상부 연결 프레임부(34)에 의해 연결하고 있고, 이들의 상면을 덮는 위치에 루프 패널(3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루프 패널(36)에는 금속판이나 수지판이 사용되어 있다. 또한, 이 루프 패널(36)이 고강도의 것인 경우에는, 상부 연결 프레임부(34)를 사용하지 않고, 이 루프 패널(36)로 상부 연결 프레임부(34)를 겸용해도 된다. 또한, 루프 패널(36)을 구비하지 않고 안전 프레임(S)을 구성해도 된다.
프론트 패널(15)의 부위에 가로 방향 자세로 패널 프레임(37)을 구비하고 있고, 이 패널 프레임(37)의 좌측의 상면에 대해, 제2 전방 지주부(32F)의 하단부가 연결됨과 함께, 이 패널 프레임(37)의 우측 단부에 대해 제1 전방 지주부(31F)의 중간부가 연결되어 있다. 패널 프레임(37)은 기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이드 패널(17)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사이드 패널 프레임(17a)의 전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2 전방 지주부(32F)의 하단부는, 조종탑(14)의 상부나, 프론트 패널(15)에 대해 직접적으로 지지되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이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후방 지주부(31R)와 제1 상부 프레임부(31T)와 제1 전방 지주부(31F)로 일체 형성되는 우측의 구조물, 및, 제2 후방 지주부(32R)와 제2 상부 프레임부(32T)와 제2 전방 지주부(32F)로 일체 형성되는 좌측의 구조물에 의해 운전 좌석(12)을 전후 좌우 방향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주행 기체(2)가 전도되고, 어느 방향으로부터 지면이나 벽면 등이 운전부(C)에 상대적으로 접근하는 경우가 있어도, 안전 프레임(S)의 일부가 지면이나 벽면 등에 접촉함으로써, 운전 좌석(12)에 착좌한 운전자가 지면이나 벽면 등에 대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문제를 저지할 수 있다.
특히, 운전부(C)에 캐빈을 구비한 콤바인과 비교하면, 운전부(C)의 대형화나 중량화를 억제하고, 저렴하면서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실시 형태의 콤바인과 같이, 제1 후방 지주부(31R)의 하단부와, 제2 후방 지주부(32R)의 하단부를 클리너 케이스(21)의 상면에 지지함으로써, 이 클리너 케이스(21)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제1 후방 지주부(31R)와, 제2 후방 지주부(32R)의 상하 방향에서의 치수를 단축하면서 각각의 지지 구조의 복잡화를 억제한다. 또한, 개폐 축심(P)을 중심으로 한 엔진 보닛(11)의 요동 개폐와, 선회 축심(Y)을 중심으로 한 곡립 탱크(5)의 요동을 지장없이 행할 수 있다.
이 구성의 안전 프레임(S)에서는, 패널 프레임(37)에 대해 제2 전방 지주부(32F)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이 패널 프레임(37)에 대해 제1 전방 지주부(31F)의 중간 부분이 연결되므로, 제2 전방 지주부(32F)의 상하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방 지주부(31F)가 비교적 길어도, 제1 전방 지주부(31F)의 중간 부분이 패널 프레임(37)에 의해 제2 전방 지주부(32F)의 하단부에 연결되므로 강도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한 안전 프레임(S)은, 언로더(6)를, 선회 축심(Y)을 중심으로 선회시킨 경우에, 가로 스크류 컨베이어(6B)가 운전부(C)의 공간 내에 침입하는 작동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제2 실시 형태·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2∼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의해 주행하는 주행 기체(2)의 전단부에 예취부(3)를 승강 가능하게 구비함과 함께, 주행 기체(2)에 대해 탈곡부(4)와 곡립 탱크(5)와 언로더(6)를 구비하고, 주행 기체(2)의 곡립 탱크(5)의 전방부 위치에 운전부(C)를 구비하고, 이 운전부(C)의 운전자를 보호하는 안전 프레임(S)을 구비하여 자탈형의 콤바인이 구성되어 있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콤바인은, 제1 실시 형태의 콤바인보다 소형이며, 안전 프레임(S)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제외하고,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며, 수확 작업도 제1 실시 형태에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예취부(3)는 복수의 일으킴 장치(3A)를 갖고, 각각의 일으킴 장치(3A)로 일으킨 곡간의 밑동을 절단하여 탈곡부(4)에 대해, 반송 기구(3B)에 의해 옆으로 쓰러진 자세로 반송한다. 탈곡부(4)는 예취부(3)로부터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 부분을 급실에 공급하여 훑기 처리를 행하고, 이 급실로부터의 처리물을 선별로부터 곡립을 선별하여 곡립 탱크(5)에 공급하고, 선별에 의해 곡립으로부터 분리한 짚 부스러기 등은, 탈곡부(4)의 후단부로부터 배출한다.
곡립 탱크(5)는 탈곡부(4)로부터 공급되는 곡립을 저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언로더(6)는 세로 방향 자세의 선회 축심(Y)과 동 축심에 배치되는 세로 스크류 컨베이어(6A)와, 이 세로 스크류 컨베이어(6A)의 상단부에 대해 가로 방향 자세의 승강 축심(Z)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구비된 가로 스크류 컨베이어(6B)로 구성되어 있다.
이 언로더(6)는 곡립 탱크(5)에 저류된 곡립을 반출하도록 기능하는 것이며, 선회 축심(Y)을 중심으로 한 선회에 의해 곡립의 배출 방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승강 축심(Z)을 중심으로 한 요동에 의해, 가로 스크류 컨베이어(6B)의 선단으로부터의 배출 높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언로더(6)에서는 가로 스크류 컨베이어(6B)가 2개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고,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콤바인에서는, 언로더(6)의 가로 스크류 컨베이어(6B)를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저장 자세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곡립 탱크(5)는 선회 축심(Y)을 중심으로 하여 전단부측을 외측으로 인출하는 형태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운전부〕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운전부(C)는, 엔진 보닛(11)의 상면에 구비된 운전 좌석(12)과, 이 운전 좌석(12)보다 하측에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데크(13)와, 운전 좌석(12)의 전방 위치의 조종탑(14)과, 이 조종탑(14)의 상면의 프론트 패널(15)과, 운전 좌석(12)의 좌측부 위치의 사이드 패널(17)을 구비하고 있다. 운전 좌석(12)에는 착좌한 운전자를 구속하는 안전 벨트(12A)를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 패널(15)에는 미터 외에 조종 레버(16)가 구비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17)에는 주행 속도의 설정용, 수확 작업에 클러치류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 레버(18)가 구비되어 있다.
이 운전부(C)는, 엔진 보닛(11)과 프론트 패널(15)의 중간 위치가, 외측 단부측(도 13에서는 우측)에 개방되어 있고, 이 외측 단부측으로부터 운전부(C)에 대한 타고 내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엔진 보닛(11)의 외측 단부측에는, 흡기 케이스(25)를 구비하고 있다. 이 흡기 케이스(25)에는 방진망(25A)이 장설되고, 이 방진망(25A)을 통해 흡인한 공기가 엔진(E)의 라디에이터(ER)에 공급된다.
엔진 보닛(11)은 주행 기체(2)의 외측 단부측의 하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자세의 개폐 축심(P)을 중심으로 하여 기체 프레임(2F)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개폐 축심(P)을 중심으로 하여 엔진 보닛(11)과 흡기 케이스(25)를 일체적으로 요동시킴으로써,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E)의 상방을 크게 개방하여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엔진 보닛(11)의 개폐 축심(P)은,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엔진 보닛(11)의 외측 단부측의 후단부 위치에 세로 방향 자세로 설정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이어도, 엔진 보닛(11)과 흡기 케이스(25)를 개폐 축심(P)을 중심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엔진(E)의 상방을 크게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안전 프레임〕
안전 프레임(S)은, 도 15∼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후방 지주부(31R)와, 제1 상부 프레임부(31T)와, 제1 전방 지주부(31F)와, 제2 가로 지주부(32S)(제2 지주부의 일례)와, 제2 가로 프레임부(32U)를 기본적인 강도 부재로서 구비하고 있다.
제1 후방 지주부(31R)는, 운전 좌석(12)의 후방에 있어서 세로 방향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상부 프레임부(31T)는 제1 후방 지주부(31R)의 상측에 이어져 운전 좌석(12)의 상측에서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전방 지주부(31F)는 제1 상부 프레임부(31T)의 전단부에 이어져 운전 좌석(12)의 전방측을 하방으로 연장되는 세로 방향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이 콤바인에서는, 운전부(C)[운전 좌석(12)]에 대해 운전자가 타고 내리는 위치가 주행 기체(2)의 우측의 외측 단부측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1 후방 지주부(31R)와, 제1 상부 프레임부(31T)와, 제1 전방 지주부(31F)는, 원형 파이프재의 절곡이나 용접에 의해 형성된 것이며, 이들은, 운전 좌석(12)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서, 주행 기체(2)의 우측의 외측 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안전 프레임(S)을 구성하는 프레임부의 재료는, 원형 파이프재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형 파이프재, 앵글재, 채널재 등의 사용도 가능하다.
제1 후방 지주부(31R)의 하단부는, 곡립 탱크(5)의 후방 위치의 기체 프레임(2F)에 지지되어 있다. 이 제1 후방 지주부(31R)의 상부에 이어지는 제1 상부 프레임부(31T)는 곡립 탱크(5)의 상방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제1 전방 지주부(31F)는, 측면에서 볼 때 조종탑(14)과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하단부가 데크(13)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전방 지주부(31F)는 조종탑(14)의 외측방 위치에 있어서 상하를 향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전방 지주부(31F)에 방해되는 일 없이, 운전부(C)[운전 좌석(12)]에 운전자가 타고 내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이 안전 프레임(S)에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제1 상부 프레임부(31T)의 전단부와 운전 좌석(12)의 전방의 프론트 패널(15)의 상면을 연결하는 가상 직선(T)보다 하측 영역에, 운전 좌석(12)에 착좌한 운전자의 운전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제2 가로 지주부(32S)는, 운전 좌석(12)의 좌측방의 공간에 배치되고, 하단부가 기체 프레임(2F)에 지지되어 있다. 제2 가로 프레임부(32U)는 운전 좌석(12)의 상측에 있어서 주행 기체(2)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상부 프레임부(31T)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 가로 지주부(32S)와 제2 가로 프레임부(32U)를 연결하는 제2 보강 프레임부(32M)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콤바인에서는, 도 13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5)가, 선회 축심(Y)을 중심으로 하여 전단부측을 외측으로 인출하는 형태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요동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제1 후방 지주부(31R)와 제1 상부 프레임부(31T)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이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후방 지주부(31R)와 제1 상부 프레임부(31T)와 제1 전방 지주부(31F)를 일체 형성한 우측의 구조물, 및, 제2 가로 지주부(32S)와 제2 상부 프레임부(32T)를 일체 형성한 좌측의 구조물에 의해 운전 좌석(12)을 전후 좌우 방향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주행 기체(2)가 전도되어 어느 방향으로부터 지면이나 벽면 등이 운전부(C)에 상대적으로 접근하는 경우가 있어도, 안전 프레임(S)의 일부가 지면이나 벽면 등에 접촉함으로써, 운전 좌석(12)에 착좌한 운전자가 지면이나 벽면 등에 대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문제를 저지할 수 있다.
특히, 운전부(C)에 캐빈을 구비한 콤바인과 비교하면, 이 실시 형태와 같이 캐빈을 장착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곤란한 소형의 콤바인에 있어서 저렴하면서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소형의 콤바인이라도, 제1 후방 지주부(31R)와 제1 전방 지주부(31F)의 하단부를 기체측에 지지한 안전 프레임(S)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해, 개폐 축심(P)을 중심으로 한 엔진 보닛(11)의 요동 개폐와, 선회 축심(Y)을 중심으로 한 곡립 탱크(5)의 요동을 지장없이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한 안전 프레임(S)은, 언로더(6)를, 선회 축심(Y)을 중심으로 선회시킨 경우에, 가로 스크류 컨베이어(6B)가 운전부(C)의 공간 내에 침입하는 작동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 이외에 이하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a)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전 프레임(S)에 있어서, 제1 전방 지주부(31F)와 제2 전방 지주부(32F)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제1 상부 프레임부(31T)나 제2 상부 프레임부(32T)가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는 형태로 되지만, 측면에서 볼 때 제1 상부 프레임부(31T)의 전단부와 운전 좌석(12)의 전방의 프론트 패널(15)의 상면을 연결하는 가상 직선(T)보다 하측 영역에, 운전 좌석(12)에 착좌한 운전자의 운전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 다른 실시 형태 (a)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대응한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지만, 제2 다른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안전 프레임(S)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제1 상부 프레임부(31T)를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것이라도, 제1 상부 프레임부(31T)의 전단부와 운전 좌석(12)의 전방의 프론트 패널(15)의 상면을 연결하는 가상 직선(T)보다 하측 영역에, 운전 좌석(12)에 착좌한 운전자의 운전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b) 제1 전방 지주부(31F)의 하단부를 프론트 패널(15)의 상면에 지지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전방 지주부(31F)의 단축이 가능해진다.
(c)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의 개량으로서, 제1 후방 지주부(31R)와 제2 후방 지주부(32R)의 한쪽, 또는, 양쪽의 하단부를 곡립 탱크(5)보다 후방의 기체 프레임(2F)에 연결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운전 좌석(12)과 곡립 탱크(5) 사이에 클리너 케이스(21)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콤바인이라도, 제1 후방 지주부(31R)와 제2 후방 지주부(32R)의 한쪽, 또는, 양쪽의 하단부를 무리 없이 지지할 수 있다.
(d)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의 개량으로서, 제2 전방 지주부(32F)의 하단부를 데크(13)에 지지하거나, 또는, 기체 프레임(2F)에 지지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제2 전방 지주부(32F)의 지지 강도를 한층 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e)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의 개량으로서, 제1 후방 지주부(31R)와, 제1 상부 프레임부(31T)와, 제1 전방 지주부(31F)를, 운전 좌석(12)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에 배치하고, 제2 가로 지주부(32S)와 제2 가로 프레임부(32U)를, 운전 좌석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안전 프레임(S)을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콤바인에 구비하는 안전 프레임에 이용할 수 있다.
2 : 주행 기체
2F : 기체 프레임
3 : 예취부
4 : 탈곡부
11 : 엔진 보닛
12 : 운전 좌석
13 : 데크
14 : 조종탑
15 : 프론트 패널
17 : 패널 프레임
21 : 클리너 케이스
22 : 에어 클리너
31R : 제1 후방 지주부
31T : 제1 상부 프레임부
31F : 제1 전방 지주부
32R : 제2 지주부(제2 후방 지주부)
32T : 제2 상부 프레임부
32F : 제2 전방 지주부
32S : 제2 지주부(제2 가로 지주부)
32U : 제2 가로 프레임부
33 : 후방 연결 프레임부
34 : 상부 연결 프레임부
37 : 패널 프레임
P : 개폐 축심
S : 안전 프레임
Y : 요동 축심(선회 축심)

Claims (19)

  1. 주행 기체에 예취부와, 탈곡부와, 곡립 탱크와, 운전 좌석과, 상기 운전 좌석의 후방 위치에서 에어 클리너를 수납하는 클리너 케이스와, 안전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안전 프레임이, 상기 운전 좌석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의 일방측에서 상기 운전 좌석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제1 후방 지주부와, 이 제1 후방 지주부의 상부에 이어져 상기 운전 좌석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방향의 일방측에서 상기 운전 좌석의 상측에 있어서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 상부 프레임부와, 상기 제1 상부 프레임부의 전단부에 이어져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전방 지주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운전 좌석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제1 후방 지주부의 반대측에서 상기 운전 좌석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제2 후방 지주부와, 이 제2 후방 지주부의 상측에 이어져 상기 운전 좌석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의 일방측에서 상기 운전 좌석의 상측에 있어서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2 상부 프레임부와, 상기 제2 상부 프레임부의 전단부에 이어져 상기 운전 좌석보다 전방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 전방 지주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후방 지주부와 상기 제2 후방 지주부가 상기 운전 좌석 후방 위치에서 후방 연결 프레임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클리너 케이스가 보강 프레임에 의해 보강되고, 상기 제1 후방 지주부와 상기 제2 후방 지주부가 상기 클리너 케이스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상부 프레임부의 전단부와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의 프론트 패널의 상면을 연결하는 가상 직선보다 하측 영역에, 상기 운전 좌석에 착좌한 운전자의 운전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콤바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 지주부의 하단부가 상기 운전 좌석의 하방의 데크에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방 지주부와, 상기 제1 상부 프레임부와, 상기 제1 전방 지주부가 상기 주행 기체에 있어서, 상기 운전 좌석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방향의 외측 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 지주부가,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의 조종탑과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프레임이, 상기 제1 상부 프레임부와 상기 제2 상부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가로 방향 자세의 상부 연결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방 지주부와, 상기 제1 상부 프레임부가 상기 주행 기체에 있어서, 상기 운전 좌석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방향의 외측 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방 지주부의 하단부가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의 조종탑의 프론트 패널에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프레임이, 상기 제1 상부 프레임부의 전단부측에 이어져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운전 좌석의 하방의 데크에 지지되는 상기 제1 전방 지주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에 가로로 긴 자세의 패널 프레임이 지지되고, 이 패널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2 전방 지주부의 하단부가 연결됨과 함께, 상기 제1 전방 지주부의 중간 부분이 연결되어 있는, 콤바인.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엔진을 수용하는 엔진 보닛이, 전후 방향 자세의 개폐 축심을 중심으로 한 요동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주행 기체에 지지되고, 상기 안전 프레임이 상기 엔진 보닛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가, 세로 방향 자세의 요동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안전 프레임이 상기 곡립 탱크의 요동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11. 주행 기체에 예취부와, 탈곡부와, 곡립 탱크와, 운전 좌석과, 안전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안전 프레임이, 상기 운전 좌석의 후방 위치에서 기체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1 후방 지주부와, 이 제1 후방 지주부의 상부에 이어져 상기 운전 좌석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방향의 일방측에서 상기 운전 좌석의 상측에 있어서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 상부 프레임부와, 상기 제1 상부 프레임부의 전단부측에 이어져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전방 지주부와, 상기 운전 좌석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방향에서 제1 후방 지주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지주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후방 지주부와, 상기 제1 상부 프레임부와, 상기 제1 전방 지주부가 상기 주행 기체에 있어서 상기 운전 좌석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의 외측 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주부가 상기 운전 좌석의 측방에 배치되고, 이 제2 지주부의 상단부에 이어져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상부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제2 가로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 지주부의 하단부가 상기 운전 좌석의 하방의 데크에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주부의 하단부가 상기 운전 좌석의 측방의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방 지주부가, 상기 곡립 탱크의 후방의 기체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 콤바인.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엔진을 수용하는 엔진 보닛이, 전후 방향 자세의 개폐 축심을 중심으로 한 요동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주행 기체에 지지되고, 상기 안전 프레임이 상기 엔진 보닛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16.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가, 세로 방향 자세의 요동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안전 프레임이 상기 곡립 탱크의 요동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40117167A 2013-09-27 2014-09-03 콤바인 KR102389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02689 2013-09-27
JP2013202689A JP6121861B2 (ja) 2013-09-27 2013-09-27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389A KR20150035389A (ko) 2015-04-06
KR102389126B1 true KR102389126B1 (ko) 2022-04-21

Family

ID=52785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167A KR102389126B1 (ko) 2013-09-27 2014-09-03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121861B2 (ko)
KR (1) KR102389126B1 (ko)
CN (1) CN1045093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29403B2 (ja) * 2015-09-17 2019-06-1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エンジン冷却装置
JP6440041B2 (ja) * 2017-04-26 2018-12-19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KR102625568B1 (ko) * 2017-06-29 2024-01-17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JP6607415B2 (ja) * 2018-07-31 2019-11-20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4780A (ja) * 2002-07-01 2004-02-05 Kubota Corp 収穫機の原動部構造
JP2010284104A (ja) * 2009-06-11 2010-12-24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
JP2011130679A (ja) * 2009-12-22 2011-07-07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コンバインの運転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366Y2 (ja) * 1977-07-08 1985-05-08 三菱農機株式会社 刈取脱穀機における安全フレ−ム
JPS5669577U (ko) * 1979-10-26 1981-06-09
JPS58188358U (ja) * 1982-06-11 1983-12-14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高架形管理作業車の油タンク装置
JPS63125459A (ja) * 1986-11-17 1988-05-28 Kubota Ltd 作業車の安全装置
JP2939304B2 (ja) 1990-06-12 1999-08-25 三井化学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42063A (ja) 1991-08-12 1993-02-23 Fukashi Uragami 表面に吸着し且つそれに沿つて移動可能な装置
JPH08308361A (ja) * 1995-05-17 1996-11-26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の防塵カバー
JP3807050B2 (ja) * 1997-09-29 2006-08-09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KR100983147B1 (ko) * 2006-09-06 2010-09-20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CN201294760Y (zh) * 2008-11-07 2009-08-26 鞍山海虹农机科技股份有限公司 秸秆粉碎还田型自走式玉米联合收获机
CN201369927Y (zh) * 2009-02-24 2009-12-30 爱华农机研究制造有限公司 一种谷物联合收割机
JP5497924B2 (ja) 2013-01-18 2014-05-21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の運転席保護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4780A (ja) * 2002-07-01 2004-02-05 Kubota Corp 収穫機の原動部構造
JP2010284104A (ja) * 2009-06-11 2010-12-24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
JP2011130679A (ja) * 2009-12-22 2011-07-07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コンバインの運転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21861B2 (ja) 2017-04-26
JP2015065872A (ja) 2015-04-13
CN104509338A (zh) 2015-04-15
KR20150035389A (ko) 201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9126B1 (ko) 콤바인
JP6877259B2 (ja) 収穫機
JP6611463B2 (ja) 作業機
JP5832166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排出用オーガの操作装置
JP2000004641A (ja) コンバイン
JP7262543B2 (ja) コンバイン
JP2017131237A (ja) コンバイン
JP2016178869A (ja) 収穫機
CN106982588B (zh) 联合收割机
JP5739137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7122134B2 (ja) コンバイン
JP5984724B2 (ja) コンバイン
JP5722611B2 (ja) コンバイン
JP2016178868A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6041725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回収装置
JP2011155847A (ja) コンバイン
KR20200080140A (ko) 수확기
JP2009207480A (ja) コンバイン
JP6404732B2 (ja) 作物収穫機
CN210226231U (zh) 作业车
JP7138600B2 (ja) 作業車
JP2018139543A (ja) コンバイン
KR20120050893A (ko) 콤바인
JP2011130679A (ja) コンバインの運転部構造
JP2007151440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