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625B1 - 강의 연속 주조 방법 - Google Patents

강의 연속 주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625B1
KR102387625B1 KR1020207028818A KR20207028818A KR102387625B1 KR 102387625 B1 KR102387625 B1 KR 102387625B1 KR 1020207028818 A KR1020207028818 A KR 1020207028818A KR 20207028818 A KR20207028818 A KR 20207028818A KR 102387625 B1 KR102387625 B1 KR 102387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cast
steel
segregation
continuous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4752A (ko
Inventor
노리치카 아라마키
게이고 도이시
도모야 오다가키
게이스케 사노
시즈히코 이케노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4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0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plastic shaping of str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heavy work, e.g. ingots, slabs, blooms, or billets, in which the cross-sectional form is unimportant ; Rolling combined with forging or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22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two cast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22D11/1282Vertical casting and curving the cast stock to the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20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removing cast st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20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removing cast stock
    • B22D11/207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removing cast stock responsive to thickness of solidified sh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heavy work, e.g. ingots, slabs, blooms, or billets, in which the cross-sectional form is unimportant ; Rolling combined with forging or pressing
    • B21B2001/028Sl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1/00Special rolling modes
    • B21B2201/14Sof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연속 주조 주편의 중심 편석의 주편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전체적인 편석 레벨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편석도의 주편 폭 방향에 있어서의 불균일도 저감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강의 연속 주조 방법은 연속 주조기에 배치된 복수 쌍의 주편 지지 롤의 롤 개도를 주조 방향 하류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내부에 미응고층을 갖는 주편의 긴 변면을 3∼10㎜의 의도적 벌징 총량으로 벌징시키고, 그 후, 복수 쌍의 주편 지지 롤의 롤 개도를 주조 방향 하류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감소시킨 경압하대에서 주편의 긴 변면을 압하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으로서, 상기 경압하대에서는 0.3∼2.0㎜/min의 압하 속도로, 또한 상기 의도적 벌징 총량 이하의 압하 총량으로 주편의 긴 변면을 압하하고, 상기 주편의 주조 방향 형상을 원호 형상에서 직선 형상으로 교정하는 교정대에 있어서의 주편의 두께 중심의 고상률이 0.2미만 또는 유동 한계 고상률 이상 1.0이하이다.

Description

강의 연속 주조 방법
본 발명은 연속 주조 주편의 두께 중심부에 발생하는 성분 편석, 즉 중심 편석을 억제하고, 내수소 유기 깨짐 시험의 성적도 좋고, 내부 깨짐이 없는 주편을 얻을 수 있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의 응고 과정에서는 탄소(C), 인(P), 유황(S), 망간(Mn) 등의 용질 원소는 응고시의 재분배에 의해서 미응고의 액상측에 농화된다. 이것이 덴드라이트 암 사이에 형성되는 미크로 편석이다. 연속 주조 중의 주편의 두께 중심부에는 주편의 응고 수축이나 열 수축, 및 연속 주조기의 롤 사이에서 발생하는 응고 쉘의 벌징 등에 의해서, 공극이 형성되거나 부압이 생긴다.
주편 두께 중심부에 공극이 형성되거나 부압이 생기면, 이 부분에 용강이 흡수된다. 이 경우, 응고 말기의 미응고층에는 충분한 양의 용강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의 미크로 편석에 의해서 농축된 용강이 유동하고, 주편 중심부에 집적해서 응고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편석 스폿은 용질 원소의 농도가 용강의 초기 농도에 비해 현격히 고농도로 되어 있다. 이것을 일반적으로 매크로 편석이라 부르며, 그 존재 부위로부터 중심 편석으로 부르고 있다.
원유나 천연가스 등을 수송하는 라인 파이프용의 강재는 중심 편석에 의해서 품질이 악화된다. 중심 편석부에 망간의 황화물(MnS)이나 니오브의 탄화물(NbC)이 생성되면, 부식 반응에 의해서 강 내부에 침입한 수소가 강 중의 망간의 황화물이나 니오브의 탄화물 주위에 확산·집적되고, 수소의 내압에 의해서 강 중에 깨짐이 발생한다. 또한, 중심 편석부는 단단하게 되어 있으므로, 깨짐이 전파된다. 이 깨짐은 수소 유기 깨짐(「HIC」라고도 함)으로 불리며, 사워 가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라인 파이프용 강재의 품질을 악화시키는 주된 원인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대처하기 위해, 연속 주조 공정에서 압연 공정에 이를 때까지, 주편의 중심 편석을 저감하거나 혹은 무해화하는 대책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연속 주조기내에 있어서, 미응고층을 갖는 응고 말기의 주편을, 주편 지지 롤에 의해서 응고 수축량과 열 수축량의 합에 상당하는 정도의 압하량으로 서서히 압하(壓下)하면서 연속 주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와 같이, 주조 중의 주편을 연속 주조기내에 있어서 응고 수축량과 열 수축량의 합에 상당하는 정도의 압하량으로 서서히 압하하는 기술은 「경압하」 혹은 「경압하법」으로 불리고 있다.
이 경압하는 주조 방향에 배열된 복수 쌍의 롤을 이용하여, 응고 수축량과 열 수축량의 합에 알맞은 압하량으로 주편을 서서히 압하하여 미응고층의 체적을 감소시키고, 주편 중심부에 있어서의 공극 혹은 부압부의 형성을 방지하는 동시에, 덴드라이트 암 사이에 형성되는 농화 용강의 유동을 방지하고, 이것에 의해서 주편의 중심 편석을 경감한다는 기술이다.
또한, 근래의 연속 주조기는 복수 쌍의 롤을 구비한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세그먼트 방식의 연속 주조기가 주류로 되어 있다. 세그먼트 방식의 연속 주조기의 경우에는 경압하를 실시하는 압하 롤군(「경압하대」라고 함)도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다.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경압하대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롤의 개도(갭)를, 세그먼트의 입측과 출측에서, 입측을 출측보다 크게 조정함으로써, 소정의 압하량이 주편에 부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주편의 응고 완료 위치의 주편 폭 방향에 있어서의 형상과 중심 편석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는 주편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응고 완료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응고 완료 위치의 최단부와 최장부의 차가 기준내로 되도록, 주형내의 용강 유동을 조정하거나, 또는 2차 냉각의 폭 절단량을 조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기술은 주편 폭 방향에서 응고 완료 위치가 다른 경우에는 경압하대에 있어서의 압하량이 주편 폭 방향 각 위치에서 다르고, 응고 완료 위치가 주조 방향 하류측으로 신장한 위치에서는 압하량이 적어지고, 충분한 중심 편석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기술이다.
또, 주편의 롤 사이에서의 벌징도 중심 편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4에는 경압하대에 있어서의 주편의 롤간 벌징을 비정상(non-steady) 전열 응고 계산에 의해서 산출하고, 산출되는 롤간 벌징에 따라 주편에 부여하는 압하 속도를 변경하는 연속 주조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8-132203호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8-192256호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198644호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2-45552호
상기와 같이, 주편의 중심 편석을 개선하기 위해, 경압하시에 있어서의 압하 속도, 주편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응고 완료 위치의 형상, 롤간 벌징에 대해 각각 대책이 취해져 왔다. 그러나, 근래의 연속 주조 주편에 대한 품질 요구 레벨은 가일층 높아져 있으며, 주편 폭 방향의 편석도의 불균일도 문제로 되어 있다. 특히, 라인 파이프용 강재 등의 편석 엄격 강재에서는 주편 단계에서 폭 방향에 1개소라도 편석이 큰 부분이 있으면, 라인 파이프용 강재로서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있다.
이 관점에서, 상기 종래 기술을 검증하면, 상기 종래 기술에는 이하의 문제가 있다.
즉,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서는 경압하에 의해서 주편 폭 방향의 편석도는 전체적으로는 저하하지만, 주편 폭 방향에서 응고 완료 위치가 다른 경우에는 편석 개선 효과는 충분하지는 않다. 이것은 응고 완료 위치가 주편 폭 방향의 다른 위치에 비해 주조 방향 하류측으로 연장하고 있는 부분은 이미 응고가 완료된 부분이 저항으로 되어, 경압하가 부여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수소 유기 깨짐이 발생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주편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응고 완료 위치의 형상 제어를 편석 저감 대책으로서 채용하고 있지만, 응고 완료 위치의 주편 폭 방향에 있어서의 형상과, 편석의 주편 폭 방향에 있어서의 분포의 관계가 명백하지 않기 때문에, 중심 편석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응고 완료 위치의 주편 폭 방향에 있어서의 형상을 제어해야 할지, 명확하지 않다. 또, 특허문헌 3은 최단 응고 완료 위치와 최장 응고 완료 위치의 주조 방향 길이의 차를 2m이하로 제어하면 충분히 편석이 경감된다고 하고 있어, 요즘의 엄격화된 편석의 요구 레벨에는 대응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특허문헌 4에서는 비정상 전열 응고 계산에 의해서 산출한 롤간 벌징에 따라 주편에 부여하는 압하 속도를 변경한다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응고 말기에 가까운 경압하대에서는 주편의 벌징은 이미 소성 변형에 의해서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오지 않는 비정상 벌징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롤과 접촉하는 부분에서는 주편 전체가 압입되고, 롤 사이에서는 주편 전체가 부풀게 된다. 이 현상은 압하 속도에 관계없이 발생하기 때문에, 압하 속도를 증감해도 본질적인 개선에는 이르지 않는다. 즉, 주편의 중심 편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비정상 벌징 그 자체를 저감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부가하여, 어느 특허문헌에 있어서도, 경압하 조건의 도출에는 언급하고 있지만, 만곡형 연속 주조기 및 수직 구부림형 연속 주조기의 특성인, 주편의 주조 방향 형상을 원호 형상에서 직선 형상으로 교정하는 연속 주조기의 교정대 및 교정점의 경압하로의 영향은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연속 주조기의 교정대 및 교정점의 경압하로의 영향을 고려함으로써, 중심 편석의 주편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전체적인 편석 레벨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편석도의 주편 폭 방향에 있어서의 불균일도 저감할 수 있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1] 만곡형 연속 주조기 또는 수직 구부림형 연속 주조기에 배치된 복수 쌍의 주편 지지 롤의 롤 개도를 주조 방향 하류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내부에 미응고층을 갖는 주편의 긴 변면을 3∼10㎜의 의도적 벌징 총량으로 벌징시키고, 그 후, 복수 쌍의 주편 지지 롤의 롤 개도를 주조 방향 하류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감소시킨 경압하대에서 주편의 긴 변면을 압하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으로서, 상기 경압하대에서는 0.3∼2.0㎜/min의 압하 속도로, 또한 상기 의도적 벌징 총량과 동등 또는 그 이하의 압하 총량으로 주편의 긴 변면을 압하하고, 상기 주편의 주조 방향 형상을 원호 형상에서 직선 형상으로 교정하는 교정대에 있어서의 주편의 두께 중심의 고상률이 0.2미만 또는 유동 한계 고상률 이상 1.0이하인 강의 연속 주조 방법.
[2] 상기 경압하대의 압하 개시점은 상기 교정대를 주조 방향 하류측에 일정한 거리 이격된 위치인 상기 [1]에 기재된 강의 연속 주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주편의 주조 방향 형상을 원호 형상에서 직선 형상으로 교정하는 교정대에 있어서의 주편 두께 중심의 고상률을 0.2미만 또는 유동 한계 고상률 이상 1.0이하로 하므로, 주편의 응고 계면은 주편의 교정시에 발생하는 인장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그 결과, 중심 편석의 편석도의 주편 폭 방향에 있어서의 불균일을 저감시키고, 또한, 주편 폭 방향에 있어서의 편석도의 평균값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내수소 유기 깨짐 시험의 성적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내부 깨짐이 없는 주편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할 때에 이용하는 슬래브 연속 주조기의 일예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주편 지지 롤의 롤 개도의 프로파일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실시할 때에 이용하는 슬래브 연속 주조기의 다른 예의 측면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강의 연속 주조 방법은 만곡형 연속 주조기 및 수직 구부림형 연속 주조기에 적용 가능하며, 만곡형 연속 주조기 및 수직 구부림형 연속 주조기에 대해, 본 발명은 원리적으로 공통이므로, 이하, 본 발명을 수직 구부림형 연속 주조기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할 때에 이용하는 수직 구부림형의 슬래브 연속 주조기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 구부림형의 슬래브 연속 주조기(1)에는 주형(5)이 설치되어 있다. 주형(5)은 용강(9)이 주입되고, 이 용강(9)을 냉각해서 응고시켜, 횡단면이 직사각형인 주편(10)의 외각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설비이다. 이 주형(5)의 윗쪽 소정 위치에는 레이들(도시하지 않음)에서 공급되는 용강(9)을 주형(5)에 중계 공급하기 위한 턴디쉬(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턴디쉬(2)의 저부에는 용강(9)의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슬라이딩 노즐(3)이 설치되고, 이 슬라이딩 노즐(3)의 하면에는 침지 노즐(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주형(5)의 아래쪽에는 서포트 롤, 가이드 롤 및 핀치 롤로 이루어지는 복수 쌍의 주편 지지 롤(6)이 배치되어 있다. 주조 방향에 인접하는 주편 지지 롤(6)의 간극에는 물 스프레이 노즐 혹은 에어 미스트 스프레이 노즐 등의 스프레이 노즐(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고, 주형 바로 아래에서 기단의 주편 지지 롤(6)까지의 범위에, 2차 냉각대가 구성되어 있다. 주편(10)은 서로 대향하는 주편 지지 롤(6)의 공간내를 인발되면서, 2차 냉각대의 스프레이 노즐로부터 분무되는 2차 냉각수에 의해서 냉각된다.
수직 구부림형의 슬래브 연속 주조기(1)에서는 주편 지지 롤(6)은 주형 바로 아래에는 연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수직부」라 함), 그 후, 주형 바로 아래로부터 예를 들면 1∼5m 아래쪽의 위치에서, 연직 방향에서 원호 방향으로 주편(10)의 인발 방향을 변화시키고 있다. 주편(10)의 인발 방향을 연직 방향에서 원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부위를 「구부림대」 또는 「구부림점」이라고 하고 있다. 「구부림대」는 「상부 교정대」라고도 하며, 「구부림점」은 「상부 교정점」이라고도 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쌍의 주편 지지 롤(6)을 이용하여 주편(10)을 서서히 구부리는 롤군을 「구부림대」라 하고, 한 쌍의 주편 지지 롤(6)로 주편(10)을 한 번에 구부리는 롤을 「구부림점」으로 하고 있다. 「구부림대」도 「구부림점」도 동일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구부림대(16a)를 갖는 연속 주조기로 설명한다.
주형(5)으로부터 인발된 주조 방향의 형상을 직선 형상으로 하는 주편(10)은 구부림대(16a)에서 주조 방향의 형상이 소정 반경의 원호 형상으로 교정된다.
또한, 만곡형 연속 주조기에서는 주형의 내부 공간 형상이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어, 주형으로부터 인발되는 주편의 주조 방향의 형상은 원호 형상이고, 따라서, 만곡형 연속 주조기에는 구부림대 및 구부림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구부림대(16a)보다 하류측의 주편 지지 롤(6)은 소정 반경의 원호를 형성하고(「만곡부」라 함), 그 후, 원호 방향에서 수평 방향(「수평부」라 함)으로 주편(10)의 인발 방향을 변화시키고 있다. 주편(10)의 인발 방향을 원호 방향에서 수평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부위를 「교정대」 또는 「교정점」으로 하고 있다. 「교정대」는 「하부 교정대」라고도 하며, 「교정점」은 「하부 교정점」이라고도 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쌍의 주편 지지 롤(6)을 이용하여 주편(10)을 서서히 직선 형상으로 교정하는 롤군을 「교정대」라 하고, 한 쌍의 주편 지지 롤(6)로 주편(10)을 한 번에 직선 형상으로 교정하는 롤을 「교정점」이라고 하고 있다. 「교정대」도 「교정점」도 동일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교정대(16b)를 갖는 연속 주조기로 설명한다.
만곡부로부터 인발되어 온 주조 방향의 형상을 원호 형상으로 하는 주편(10)은 교정대(16b)에서 주조 방향의 형상이 원호 형상에서 직선 형상으로 교정된다.
주조 방향 최종의 주편 지지 롤(6)의 주조 방향 하류측에는 연속 주조된 주편(10)을 반송하기 위한 복수의 반송 롤(7)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반송 롤(7)의 윗쪽에는 연속 주조되는 주편(10)으로부터 소정 길이의 주편(10a)을 절단하기 위한 주편 절단기(8)가 배치되어 있다.
주편(10)의 응고 완료 위치(13)를 사이에 두고 주조 방향의 상류측 및 하류측, 혹은 응고 완료 위치(13)의 상류측에는 경압하대(14)가 설치되어 있다. 경압하대(14)는 주편(10)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주편 지지 롤간의 간격(이 간격을 「롤 개도」라 함)을 주조 방향 하류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감소시킨, 복수 쌍의 주편 지지 롤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주편(10)을 압하하기 위해, 주편 지지 롤(6)의 롤 개도를 주조 방향 하류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감소시킨 형태를 「압하 구배」라 한다.
경압하대(14)에서는 그 전역 또는 일부 선택한 영역에서, 응고 수축량과 열 수축량의 합에 알맞은 압하량으로 주편(10)을 서서히 압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중심 편석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주편(10)의 두께 중심의 고상률이 0.3이상 0.7미만의 범위내일 때에, 주편(10)을 압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한의 고상률=0.3은 주편 긴 변면의 상면측 및 하면측의 응고 쉘(11)로부터 성장해 온 덴드라이트 결정의 선단끼리가 주편(10)의 두께 중심에서 접촉하는 시점에서의 두께 중심의 고상률이다. 중심 편석은 주편(10)의 두께 중심의 고상률이 0.3이상일 때의 농화 용강의 유동에 의해서 발생하기 때문에, 두께 중심의 고상률이 0.3초과의 시점에서 압하를 개시해도, 이미 중심 편석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가 있어, 중심 편석을 충분히 경감할 수 없다. 상한의 고상률=0.7은 용강(9)의 유동 한계 고상률이며, 고상률이 0.7이상이 되면 농화 용강은 유동하지 않고, 중심 편석은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주편(10)의 두께 중심의 고상률은 주편 폭 방향 단부를 제외한 주편의 두께 중심의 고상률이지만, 주편 폭 방향 중심 또한 두께 중심의 고상률로 대표할 수 있다.
당연한 일이지만, 주편(10)의 두께 중심의 고상률이 0.3미만인 경우, 및, 주편(10)의 두께 중심의 고상률이 0.7이상인 경우에, 주편(10)을 압하해도 상관없다. 여기서, 고상률은 응고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고상률은 0∼1.0의 범위로 나타나고, 고상률=0(제로)가 미응고를 나타내며, 고상률=1.0이 완전 응고를 나타낸다.
경압하대(14)의 각 주편 지지 롤 사이에도 주편(10)을 냉각하기 위한 스프레이 노즐이 배치되어 있다. 경압하대(14)에 배치되는 주편 지지 롤(6)은 「압하 롤」이라고도 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슬래브 연속 주조기(1)에 있어서는 경압하대(14)는 3쌍의 압하 롤을 1조로 하는 세그먼트가 주조 방향에 3기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경압하대(14)가 3기의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지만, 경압하대(14)는 1기라도, 또 2기라도 상관없으며, 더 나아가서는 4기 이상이어도 상관없다. 또, 도 1에서는 1기의 세그먼트에 배치하는 주편 지지 롤(6)은 3쌍이지만, 3쌍으로 할 필요는 없으며, 2쌍 이상이면 몇 개라도 상관없다. 또, 도시는 하지 않지만, 경압하대 이외의 주편 지지 롤(6)도 세그먼트 구조로 되어 있다.
통상, 경압하대(14)에 있어서의 압하 구배는 주조 방향 1m당 롤 개도의 축소량 즉 「㎜/m」로 표시된다. 따라서, 경압하대(14)에 있어서의, 주편(10)의 압하 속도(㎜/min)는 이 압하 구배(㎜/m)에 주편 인발 속도(m/min)를 승산함으로써 얻어진다.
주편(10)의 중심 편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경압하대(14)에 있어서의 압하 속도를 0.3∼2.0㎜/min의 범위내로 할 필요가 있다. 경압하대(14)에 있어서의 압하 속도가 0.3㎜/min미만에서는 단위시간당 압하량이 부족하고, 농화 용강의 유동을 억제할 수 없으며, 중심 편석을 경감할 수 없다. 한편, 경압하대(14)에 있어서의 압하 속도가 2.0㎜/min을 넘으면, 단위시간당 압하량이 너무 커져, 주편 중심부의 농화 용강을 주조 방향 상류측으로 압출하고, 용질 원소가 적어지는 불편석을 주편 중심부에 발생시킨다.
주형(5)의 하단으로부터 주편(10)의 액상선 크레이터 엔드 위치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주편 지지 롤(6)은 의도적 벌징대(15)를 구성하고 있다. 의도적 벌징대(15)에서는 롤 개도의 확대량이 소정값으로 될 때까지, 주조 방향 하류측을 향해 1롤마다 또는 수 롤마다 롤 개도가 단계적으로 커지도록, 각 주편 지지 롤(6)의 롤 개도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의도적 벌징은 주편 두께 중심의 고상률이 0(제로)인 단계에서 개시하며, 주편 긴 변면의 의도적인 벌징의 총량이 3∼10㎜로 될 때까지 실시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의도적 벌징대(15)에 있어서의 의도적인 벌징 개시부터 의도적인 벌징 종료까지의 주편 긴 변면의 의도적인 벌징의 총량을 「의도적 벌징 총량」이라 한다.
의도적 벌징대(15)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주편 지지 롤(6)은 롤 개도가 일정값 또는 주편(10)의 온도 강하에 수반하는 수축량에 알맞은 정도로 좁혀지고, 그 후, 하류측의 경압하대(14)에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주편 지지 롤의 롤 개도의 프로파일의 예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도적 벌징대(15)에서 주편 긴 변면을 용강 정압에 의해서 의도적으로 벌징시키고, 주편(10)의 짧은 변 근방을 제외한 긴 변면의 두께를 증대시킨다(영역 b). 의도적 벌징대(15)를 지나친 하류측에서는 롤 개도가 일정값 또는 주편(10)의 온도 강하에 수반하는 수축량에 알맞은 정도로 좁혀진다(영역 c). 그 후, 경압하대(14)에서 주편 긴 변면을 압하한다(영역 d)는 프로파일이다. 도면 중의 a 및 e는 롤 개도가 주편(10)의 온도 강하에 수반하는 수축량에 알맞은 정도로 좁혀지는 영역이다. 또, 도면 중의 a'는 주편(10)의 온도 강하에 수반하는 수축량에 알맞은 정도로 롤 개도를 좁게 하는 종래 방법의 롤 개도의 예이다.
의도적 벌징대(15)에서는 주편 지지 롤(6)의 롤 개도를 주조 방향 하류측을 향해 순차 넓게 하는 것에 의해, 주편(10)의 짧은 변 근방을 제외한 긴 변면은 미응고층에 의한 용강 정압에 의해서 주편 지지 롤(6)을 따라 의도적으로 벌징시켜진다. 주편 긴 변면의 짧은 변 근방은 응고가 완료된 주편 짧은 변면에 견지·구속되기 때문에, 의도적 벌징을 개시한 시점의 두께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주편(10)은 의도적인 벌징에 의해서 주편 긴 변면의 벌징한 부분만이 주편 지지 롤(6)에 접촉하게 된다.
또, 경압하대(14)에서는 압하량을 의도적 벌징 총량과 동등 또는 그 이하로 함으로써, 주편 긴 변면의 벌징한 부분만이 압하되고, 주편(10)을 효율적으로 압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압하 총량」은 경압하대(14)에 있어서의 압하 개시부터 압하 종료까지의 주편(10)의 압하량이다.
이 구성의 슬래브 연속 주조기(1)에 있어서, 턴디쉬(2)로부터 침지 노즐(4)을 통해 주형(5)에 주입된 용강(9)은 주형(5)에서 냉각되어 응고 쉘(11)을 형성한다. 이 응고 쉘(11)을 외각으로 하고, 내부에 미응고층(12)을 갖는 주편(10)은 주형(5)의 아래쪽에 마련한 주편 지지 롤(6)에 지지되면서, 주형(5)의 아래쪽으로 연속적으로 인발된다. 주편(10)은 구부림대(16a)에서는 주조 방향의 형상을 직선 형상에서 원호 형상으로 교정되고, 교정대(16b)에서는 주조 방향의 형상을 원호 형상에서 직선 형상으로 교정된다. 또, 주편(10)은 주편 지지 롤(6)을 통과하는 동안, 2차 냉각대의 2차 냉각수로 냉각되고, 응고 쉘(11)의 두께를 증대시킨다. 그리고, 주편(10)은 의도적 벌징대(15)에서는 주편 긴 변면의 짧은 변측 단부를 제외한 부분의 두께를 증대시키고, 또, 경압하대(14)에서는 압하되면서 응고 완료 위치(13)에서 내부까지의 응고를 완료한다. 응고 완료 후의 주편(10)은 주편 절단기(8)에 의해서 절단되어 주편(10a)으로 된다. 주형내에는 단열재, 윤활제, 산화 방지제 등으로서 기능하는 몰드 파우더(도시하지 않음)가 첨가된다.
상기 설명에 이용한 도 1에 나타내는 슬래브 연속 주조기(1)는 주조 방향 상류측부터, 의도적 벌징대(15), 교정대(16b), 경압하대(14)의 순으로 설치되어 있고, 주편(10)은 슬래브 연속 주조기(1)의 수평부에서 응고 완료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 구성의 슬래브 연속 주조기(1)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주조 방향 상류측부터, 의도적 벌징대(15), 경압하대(14), 교정대(16b)의 순으로 설치된 슬래브 연속 주조기라도 적용 가능하다. 도 3에, 주조 방향 상류측부터, 의도적 벌징대(15), 경압하대(14), 교정대(16b)의 순으로 설치된 슬래브 연속 주조기(1A)의 측면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슬래브 연속 주조기(1A)에는 경압하대(14)가 교정대(16b)보다 주조 방향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슬래브 연속 주조기(1A)의 그 밖의 구조는 도 1에 나타내는 슬래브 연속 주조기(1)와 동일 구조로 되어 있다. 동일 구조의 부분은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슬래브 연속 주조기(1A)에서는 슬래브 연속 주조기(1A)의 만곡부에 설치된 경압하대(14)에서 주편(10)은 압하되고, 그 후, 교정대(16b)에서, 주조 방향의 형상을 원호 형상에서 직선 형상으로 교정된다. 주편(10)은 경압하대(14)의 범위내 또는 경압하대(14)의 하류측 바로 아래에서 응고 완료된다.
본 발명자들은 교정대(16b)에 있어서의 주편(10)의 교정시에 발생하는 응력이 주편(10)의 편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하와 같이 고찰하였다.
교정대(16b)에서는 주편 두께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만곡부의 응고 계면 중, 만곡 내측의 응고 계면에 주편 인발 방향의 인장력이 작용하고, 만곡 외측의 응고 계면에 주편 인발 방향의 압축 응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만곡 내측의 응고 계면에 주편 인발 방향의 인장력이 작용하는 개소에서는 응고 계면의 임의의 장소에서, 응고 계면 부근의 고상이 주편 인발 방향에 균등하게 신장하여, 이 인장력을 개방하고, 또, 응고 계면의 다른 장소에서는 응고 계면에 깨짐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인장력을 개방한다고 생각된다. 그 결과, 특히, 응고 계면에 깨짐을 발생시킨 부분에는 용질 원소가 농화된 용강이 유입되고, 그 후, 응고하는 것이 고려된다. 즉, 교정시의 인장력에 의해서 주편 폭 방향의 중심 편석의 불균일이 생긴다고 생각된다.
또한, 주편(10)이, 교정대(16b)에서 이미 응고 완료되어 있는 경우에는 즉, 교정대(16b)에 있어서의 주편 두께 중심의 고상률이 1.0인 경우에는 상기의 응고 계면으로의 교정 응력의 영향은 없고, 교정 응력에 의한 주편 폭 방향의 중심 편석의 불균일은 생기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교정대(16b)에 있어서의 주편 두께 중심의 고상률이 유동 한계 고상률(0.7) 이상인 경우도, 응고 계면으로의 교정 응력의 영향은 없으며, 교정 응력에 의한 주편 폭 방향의 중심 편석의 불균일은 생기지 않는다.
그래서, 슬래브 연속 주조기(1)의 교정대(16b)를 통과시에 주편(10)에 가해지는 응력의 중심 편석으로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교정대(16b)에 있어서의 주편 두께 중심의 고상률을 변화시켜 연속 주조하고, 얻어진 주편(10)의 Mn 편석도의 조사, 및 얻어진 주편(10)을 열간압연한 강판의 내수소 유기 깨짐 시험(HIC 시험)을 실시하였다(수준 1∼9). 주조 조건은 경압하대(14)에 있어서의 압하 속도를 0.50㎜/min, 의도적 벌징 총량은 수준 9를 제외하고 5.0㎜로 하였다. 수준 9는 의도적인 벌징을 실행하고 있지 않다. 주편 두께 중심의 고상률의 조정은 주편 인발 속도를 일정으로 해서, 2차 냉각수의 수량을 변화시켜 실시하였다. 응고 완료 위치(13)는 전열 응고 계산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여기서, 전열 응고 계산의 방법은 예를 들면, 간행물 1(오나카 이츠오 저 「컴퓨터 전열·응고 해석 입문 주조 프로세스에의 응용」, 마루젠 주식회사(Maruzen Co., Ltd.)(도쿄) 간행, 1985년, p.201∼202)에 기재되는 「엔탈피법」 등을 이용하여 수치 계산을 실행하면 좋다.
표 1에, 주조 조건 및 조사 결과를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교정대에서의 주편 두께 중심의 고상률은 교정대(16b)의 입측의 고상률(낮은 쪽의 값) 및 출측의 고상률(높은 쪽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표 1]
Figure 112020105990235-pct00001
수준 1, 2, 4는 교정대(16b)에 있어서의 주편 두께 중심의 고상률을 0.2미만으로 조정한 시험이며, Mn 편석도의 주편 폭 최대값은 1.062이하이고, 내수소 유기 깨짐 시험에 있어서의 CAR(Crack Area Ratio)는 0.8%이하이고, Mn 편석도 및 내수소 유기 깨짐 시험은 양호하였다. 수준 3은 주편 두께 중심의 고상률을 1.0으로 조정한 시험이며, Mn 편석도 및 내수소 유기 하회 시험은 양호하였다.
이에 반해, 교정대(16b)에 있어서의 주편 두께 중심의 고상률이 0.2이상 유동 한계 고상률 미만의 범위를 포함하는 수준 5∼9는 수준 1∼4에 비해, 명백히 Mn 편석도 및 내수소 유기 깨짐 시험이 악화되었다. 또, 의도적 벌징을 실행하고 있지 않은 수준 9는 수준 1∼4에 비해, Mn 편석도 및 내수소 유기 깨짐 시험이 악화되었다. 또한, 수준 5 및 수준 9에서는 Mn 편석도의 주편 폭 평균값은 1.058 및 1.060이며, 수준 4와 동일 레벨이지만, Mn 편석도의 주편 폭 최대값이 악화되어 있다.
또, 수준 1∼4에 비해 수준 5∼9에서는 Mn 편석도의 주편 폭 최대값/주편 폭 평균값의 값도 대폭 악화되어 있으며, 교정대(16b)에 있어서의 주편 두께 중심의 고상률을 0.2미만으로 조정하는 것, 또는 1.0으로 조정함으로써, 중심 편석에 의한 편석도의 주편 폭 방향에 있어서의 불균일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Mn 편석도는 주편 폭 평균값, 주편 폭 최대값 모두 1.06이하이면 양호하고, HIC 시험의 CAR은 2.0%이하이면 양호하다.
이들 결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주편(10)의 중심 편석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교정대(16b)에 있어서의 주편 두께 중심의 고상률을 0.2미만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주편 두께 중심의 고상률을 유동 한계 고상률 이상 1.0이하로 제어하여 연속 주조할 필요가 있는 것을 지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지견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에 관한 강의 연속 주조 방법은 주편(10)의 주조 방향 형상을 원호 형상에서 직선 형상으로 교정하는 교정대(16b)에 있어서의 주편(10)의 두께 중심의 고상률을 0.2미만으로 하거나, 또는 유동 한계 고상률 이상 1.0이하로 하는 것을 필수로 한다.
또한, 표 1의 비고란에는 본 발명의 범위내의 시험을 「본 발명예」로 표시, 그 이외의 시험을 「비교예」로 표시하고 있다.
또, 교정대(16b)에 있어서의 주편 두께 중심의 고상률을 0.2미만으로 하는 것에 의해, 응고 계면에서의 교정 응력이 작아지고, 중심 편석에 의한 편석도의 주편 폭 방향에 있어서의 불균일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응고 계면에 있어서의 깨짐 및 용강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중심 편석의 편석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교정대(16b)에서 경압하를 실시하면, 응고 계면에 경압하에 의한 응력이 발생하고, 편석을 조장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교정대(16b)에 있어서, 주편(10)에 경압하를 실시하는 것은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경압하대(14)의 압하 개시점이 교정대(16b)를 주조 방향 하류측에 일정한 거리 이격된 위치로 되도록, 주조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의도적 벌징대(15)는 주형(5)의 하단으로부터 주편(10)의 액상선 크레이터 엔드 위치와의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주편 중심의 고상률이 0(제로)인 영역에서 의도적으로 벌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주편(10)의 액상선 크레이터 엔드 위치보다 주조 방향 상류측은 주편 두께 중심부는 모두 미응고층(12)(액상)이고, 주편(10)의 응고 쉘(11)은 온도가 높고, 변형 저항이 작으며, 용이하게 벌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주편(10)을 의도적으로 벌징시키는 경우, 주편(10)의 내부에 존재하는 미응고층(12)이 적은 시점에서 벌징시키면, 중심 편석은 오히려 악화된다. 그러나, 주편(10)의 액상선 크레이터 엔드 위치보다 주조 방향 상류측에서 벌징시킨 경우에는 이 시점에서는 용질 원소의 농화되어 있지 않은 초기 농도의 용강이 주편 내부에 윤택하게 존재하고, 또한, 이 용강이 용이하게 유동한다. 이 용강이 유동해도 편석은 일어나지 않으며, 따라서, 이 시점에 있어서의 벌징은 중심 편석의 원인으로는 되지 않는다.
여기서, 주편(10)의 액상선은 주편(10)의 화학 성분에 의해서 정해지는 응고 개시 온도이며, 예를 들면, 하기의 (1)식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TL=1536-(78×[%C]+7.6×[%Si]+4.9×[%Mn]+34.4×[%P]+38×[%S]+4.7×[%Cu]+3.1×[%Ni]+1.3×[%Cr]+3.6×[%Al])…(1)
단, (1)식에 있어서, TL은 액상선 온도(℃), [%C]는 용강의 탄소 농도(질량%), [%Si]는 용강의 규소 농도(질량%), [%Mn]은 용강의 망간 농도(질량%), [%P]는 용강의 인 농도(질량%), [%S]는 용강의 유황 농도(질량%), [%Cu]는 용강의 구리 농도(질량%), [%Ni]는 용강의 니켈 농도(질량%), [%Cr]은 용강의 크롬 농도(질량%), [%Al]은 용강의 알루미늄 농도(질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검토에 있어서는 C:0.03∼0.2질량%, Si:0.05∼0.5질량%, Mn:0.8∼1.8질량%, P:0.02질량%미만, S:0.005질량%미만의 알루미늄 킬드 탄소강으로 실행했지만,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편(10)의 액상선 크레이터 엔드 위치는 전열 응고 계산에 의해 구해지는 주편 내부의 온도 구배와, (1)식에서 정해지는 액상선 온도를 대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의도적 벌징대(15)는 특별한 기구는 불필요하며, 롤 개도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구성되므로, 주형(5)의 하단으로부터 주편(10)의 액상선 크레이터 엔드 위치와의 범위인 한,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경압하대(14)를 구성하는 세그먼트(「경압하 세그먼트」라고도 함)에 가해지는 하중은 주편(10)의 사이즈, 경압하대(14)에 있어서의 압하 구배, 압하시의 주편(10)의 미응고층(12)의 비율로 결정된다. 중심 편석의 원인으로 되는 응고 말기에서의 용강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응고 수축량이나 열 수축량에 알맞은 양의 압하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설정의 압하 구배가 크거나, 혹은 주편 사이즈가 크면, 경압하 세그먼트에 가해지는 하중은 커진다.
경압하 세그먼트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지면, 경압하 세그먼트내의 롤 개도는 확대된다. 따라서, 주편 사이즈나 압하 구배의 설정이 동일해도, 응고 완료 위치(13)의 주편 폭 방향에 있어서의 형상에 따라 경압하 세그먼트에 가해지는 하중은 변동되고, 그 하중에 따라 롤 개도도 변동된다. 이 때문에, 실제로 주편(10)에 부여되어 있는 압하 속도도 설정값으로부터 변동되어 버린다. 또, 경압하 세그먼트에의 하중의 증가는 경압하 세그먼트의 롤 축받이부의 수명이 짧아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들을 고려하여, 주편의 사이즈에 따라, 압하 구배, 주편 인발 속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는 교정대(16b)에 대한 응고 완료 위치(13)의 위치 관계에 의해서, 이하에 기재하는 2개의 케이스가 있다. 제 1 케이스는 응고 완료 위치(13)가 교정대(16b)보다 주조 방향 상류측이 되는 경우이다. 또, 제 2 케이스는 응고 완료 위치(13)가 교정대(16b)보다 주조 방향 하류측이 되는 경우이다. 제 2 케이스는 제 1 케이스에 비해, 더욱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제 2 케이스 쪽이 응고 완료 위치(13)를 더욱 하류측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주편 인발 속도를 늘려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교정대(16b)에 있어서의 주편의 교정 반력은 응고 쉘 두께가 얇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으로 되므로, 교정대(16b)에 있어서의 주편의 응고 계면에서의 깨짐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응고 쉘 두께가 얇을수록, 주편의 교정 반력도 작아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주조 시간 길이를 동일하게 하여, 교정대(16b)의 상류측에서 완전 응고시킨 경우와, 교정대(16b)의 하류측에서 완전 응고시킨 경우를 비교하면, 교정대(16b)의 하류측에서 완전 응고시킨 경우에는 교정대(16b)를 구성하는 롤 세그먼트의 축받이 수명이 10% 길어졌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주편(10)의 주조 방향 형상을 원호 형상에서 직선 형상으로 교정하는 교정대(16b)에 있어서의 주편 두께 중심의 고상률을 0.2미만 또는 유동 한계 고상률 이상 1.0이하로 하므로, 주편의 응고 계면은 주편의 교정시에 발생하는 인장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그 결과, 중심 편석의 편석도의 주편 폭 방향에 있어서의 불균일을 저감시키고, 또한, 주편 폭 방향에 있어서의 편석도의 평균값을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자들은 주편(10)을 효율적으로 경압하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2100㎜ 폭, 250㎜ 두께의 주편(10)(슬래브 주편)을 주조하는 시험을 실행하였다(수준 101∼113). 시험에서는 주편 인발 속도를 1.1m/min의 일정으로 하고, 의도적 벌징대(15)에 있어서의 의도적 벌징 총량, 및 경압하대(14)에서의 압하 속도를 변경하였다. 그리고, 의도적 벌징 총량, 압하 속도 및 압하 총량의 주편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교정대(16b)에서의 주편 두께 중심의 고상률은 0∼0.1로 하였다.
얻어진 주편(10)의 Mn 편석도를 조사하고, 또한 얻어진 주편(10)의 내수소 유기 깨짐 시험을 실시하였다. 표 2에, 주조 조건 및 조사 결과를 나타낸다.
[표 2]
Figure 112020105990235-pct00002
시험에서는 의도적 벌징대(15)에 있어서의 의도적 벌징 총량을 0∼15㎜의 범위에서 변경하였다.
수준 101∼108, 112, 113에서는 경압하대(14)에 있어서의 압하 총량을 의도적 벌징 총량보다 작게 하여, 경압하시에는 응고가 완료되어 있는 주편(10)의 짧은 변측을 압하하지 않도록 하였다. 한편, 수준 109, 110, 111에서는 경압하대(14)에 있어서의 압하 총량을 의도적 벌징 총량보다 크게 하였다.
또, 미리, 응고 완료 위치(13)를 전열 응고 게산에 의해서 구하고, 연속 주조 중에는 가장 주조 방향 하류측으로 되는 응고 완료 위치(13)가 존재하는 경압하 세그먼트에 있어서, 비접촉의 센서에 의해서 롤 개도의 변위를 측정하였다.
롤 개도의 변위 측정의 결과, 의도적 벌징 총량이 3㎜미만인 수준 109 및 수준 110에서는 경압하대(14)에 있어서의 압하시에, 완전 응고된 주편(10)의 짧은 변이 압하되어 버려, 경압하 세그먼트에의 하중이 과대하게 되고, 주편(10)의 압하는 거의 실행할 수 없었다. 따라서, 수준 109 및 수준 110에서는 설정의 압하 속도에 대해 실적의 압하 속도가 대폭 저하하였다.
한편, 의도적 벌징 총량이 10㎜를 넘은 수준 107 및 수준 108에서는 주편(10)에 내부 깨짐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의도적 벌징대(15)에 있어서의 의도적 벌징 총량은 3∼10㎜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연속 주조 후, 얻어진 주편에서 채취한 시험편의 단면(주편의 종단면에 상당)을 피크르산으로 부식하고, V편석이나 역 V편석의 유무 및 내부 깨짐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또, 주편에서 채취한 시험편에 있어서, 주편 두께 중심부의 Mn의 편석을 전자 프로브 마이크로 애널라이저(Electron Probe Micro Analyzer:EPMA)에 의해 분석하고, 주편 폭 방향 각 위치의 Mn 편석도를 조사하였다. Mn 편석도의 조사 방법은 이하와 같다.
주편 인발 방향에 수직인 주편의 단면에 있어서, 폭이 15㎜에서 중심부에 중심 편석부를 포함하고, 폭 중앙에서 편측의 3중점(짧은 변측의 응고 쉘과 긴 변측의 응고 쉘이 성장하여 만난 점)까지의 길이의 시험편을 채취하였다. 또한, 채취한 시험편의 주편 인발 방향에 수직인 주편의 단면을 연마하고, 예를 들면 피크르산 포화 수용액 등으로 표면을 부식시켜 편석립을 출현시키고, 그 편석대의 중심에서 주편 두께 방향으로 ±7.5㎜의 범위를 중심 편석부로 하였다.
주편의 두께 중앙 부근의 편석대(응고 완료부 부근)의 시험편을 주편 폭 방향으로 소분할한 후, 전자 프로브 마이크로 애널라이저를 이용하여 전자빔 직경 100㎛에서 Mn 농도를 전면에 걸쳐 면 분석하였다. 여기서, Mn 편석도는 Mn 편석부의 농도를, 두께 중심부에서 주편 두께 방향으로 10㎜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의 Mn 농도로 나눈 값이다.
또, 주편 폭 방향 각 위치에서 채취한 시험편에 있어서, 내수소 유기 깨짐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들 결과에 의거하여, 주편(10)에 실제로 부여된 압하 속도와 주편(10)의 편석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경압하대(14)에 있어서의 압하 속도가 0.3㎜/min미만인 수준 109, 110, 111에서는 V편석이 발생하고, 한편, 압하 속도가 2.0㎜/min를 넘는 수준 112, 113에서는 역 V편석이 발생하고 있었다.
V편석 및 역 V편석이 발생한 시험에서는 Mn 편석도가 악화되고, 내수소 유기 깨짐 시험의 CAR도 악화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Mn 편석도는 1.06이하이면 양호하고, 내수소 유기 깨짐 시험의 CAR은 2.0%이하이면 양호하다.
따라서, 경압하대(14)에 있어서의 압하 속도는 0.3∼2.0㎜/min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편(10)에 실제로 부여된 압하 속도는 비접촉의 센서에 의한, 경압하 세그먼트에서의 롤 개도의 측정값으로부터 산출되는 압하 구배와, 주편 인발 속도를 승산하여 구한 것이다.
1 슬래브 연속 주조기 2; 턴디쉬
3; 슬라이딩 노즐 4; 침지 노즐
5; 주형 6; 주편 지지 롤
7; 반송 롤 8; 주편 절단기
9; 용강 10; 주편
11; 응고 쉘 12; 미응고층
13; 응고 완료 위치 14; 경압하대
15; 의도적 벌징대 16a; 구부림대
16b; 교정대

Claims (2)

  1. 만곡형 연속 주조기 또는 수직 구부림형 연속 주조기에 배치된 복수 쌍의 주편 지지 롤의 롤 개도를 주조 방향 하류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내부에 미응고층을 갖는 주편의 긴 변면을 3∼10㎜의 의도적 벌징 총량으로 벌징시키고,
    그 후, 복수 쌍의 주편 지지 롤의 롤 개도를 주조 방향 하류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감소시킨 경압하대에서 주편의 긴 변면을 압하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으로서,
    상기 경압하대에서는 0.3∼2.0㎜/min의 압하 속도로, 또한 상기 의도적 벌징 총량과 동등 또는 그 이하의 압하 총량으로 주편의 긴 변면을 압하하고,
    상기 주편의 주조 방향 형상을 원호 형상에서 직선 형상으로 교정하는 교정대에 있어서의 주편의 두께 중심의 고상률이 0.2미만이고, 상기 경압하대의 압하 개시점은 상기 교정대를 주조 방향 하류측에 일정한 거리 이격된 위치인 강의 연속 주조 방법.
  2. 삭제
KR1020207028818A 2018-04-17 2019-04-12 강의 연속 주조 방법 KR102387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78979 2018-04-17
JPJP-P-2018-078979 2018-04-17
PCT/JP2019/015895 WO2019203137A1 (ja) 2018-04-17 2019-04-12 鋼の連続鋳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752A KR20200124752A (ko) 2020-11-03
KR102387625B1 true KR102387625B1 (ko) 2022-04-18

Family

ID=68239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818A KR102387625B1 (ko) 2018-04-17 2019-04-12 강의 연속 주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71936B2 (ko)
EP (1) EP3782747B1 (ko)
JP (1) JP6787497B2 (ko)
KR (1) KR102387625B1 (ko)
CN (1) CN111989175B (ko)
TW (1) TWI727305B (ko)
WO (1) WO20192031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72821B (zh) * 2020-11-13 2024-06-04 上海梅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板坯连铸流线辊缝开口度的标定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9499A (ja) 2008-09-18 2010-04-02 Jfe Steel Corp 連続鋳造鋳片の製造方法
JP2015062918A (ja) * 2013-09-25 2015-04-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の連続鋳造方法
JP2017131927A (ja) 2016-01-27 2017-08-0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延鋼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4832B2 (ja) 1994-11-10 2000-07-1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連続鋳造方法
JPH08192256A (ja) 1995-01-12 1996-07-30 Nippon Steel Corp 連続鋳造方法
JP3298525B2 (ja) * 1998-11-10 2002-07-0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ロール装置の交換が可能な連続鋳造設備
JP4453557B2 (ja) 2005-01-19 2010-04-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連続鋳造鋳片の製造方法
JP5413289B2 (ja) * 2010-04-16 2014-02-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連続鋳造鋳片の中心偏析判定方法
JP5494350B2 (ja) 2010-08-24 2014-05-1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鋳片の連続鋳造方法
KR101232831B1 (ko) 2010-10-29 2013-02-13 한국기계연구원 입체 냉각 구조를 갖는 냉각 실린더 및 이를 구비하는 요거트 아이스크림 제조 장치
US10543527B2 (en) 2014-12-24 2020-01-28 Jfe Steel Corporation Continuous steel casting method
BR102015009492B1 (pt) * 2015-01-30 2021-05-04 Jfe Steel Corporation método de lingotamento contínuo de aço
JP6365604B2 (ja) 2015-07-22 2018-08-0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の連続鋳造方法
CN109689247B (zh) 2016-09-21 2021-12-10 杰富意钢铁株式会社 钢的连续铸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9499A (ja) 2008-09-18 2010-04-02 Jfe Steel Corp 連続鋳造鋳片の製造方法
JP2015062918A (ja) * 2013-09-25 2015-04-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の連続鋳造方法
JP2017131927A (ja) 2016-01-27 2017-08-0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延鋼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71936B2 (en) 2022-10-18
JP6787497B2 (ja) 2020-11-18
EP3782747A1 (en) 2021-02-24
JPWO2019203137A1 (ja) 2020-04-30
TW201945097A (zh) 2019-12-01
US20210138535A1 (en) 2021-05-13
KR20200124752A (ko) 2020-11-03
TWI727305B (zh) 2021-05-11
BR112020020533A2 (pt) 2021-01-12
CN111989175A (zh) 2020-11-24
WO2019203137A1 (ja) 2019-10-24
CN111989175B (zh) 2022-03-22
EP3782747B1 (en) 2022-07-20
EP3782747A4 (en)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5735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5600929B2 (ja) 連続鋳造鋳片の製造方法
JP5962625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2012066303A (ja) 鋼の連続鋳造方法および連続鋳造設備
KR101639349B1 (ko) 강의 연속 주조 방법
WO2016103293A1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6384679B2 (ja) 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5380968B2 (ja) 連続鋳造鋳片の製造方法
KR102387625B1 (ko) 강의 연속 주조 방법
JP2018089644A (ja) ばね用鋼の中心偏析改善方法
JP5045408B2 (ja) 連続鋳造鋳片の製造方法
JP5870966B2 (ja) 連続鋳造鋳片の製造方法
JP6624396B2 (ja) 鋼板の製造方法
JP2005193265A (ja) 鋼の連続鋳造設備および連続鋳造方法
JP6788232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WO2023228796A1 (ja) 鋼の連続鋳造方法及び連続鋳造機
JP5929836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5907334B2 (ja) 鋳造鋳片の連続鋳造方法
JP4692164B2 (ja) 高炭素鋼の連続鋳造方法
JP6933158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4364852B2 (ja) スラブ鋳片の連続鋳造設備と連続鋳造方法
JP5920083B2 (ja) 鋼鋳片の連続鋳造方法
WO2024004447A1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2023000624A (ja) 鋳片の連続鋳造方法
JP2014039940A (ja) 鋼の連続鋳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