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162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162B1
KR102384162B1 KR1020207000545A KR20207000545A KR102384162B1 KR 102384162 B1 KR102384162 B1 KR 102384162B1 KR 1020207000545 A KR1020207000545 A KR 1020207000545A KR 20207000545 A KR20207000545 A KR 20207000545A KR 102384162 B1 KR102384162 B1 KR 102384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tact
pair
connector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1547A (ko
Inventor
데츠야 하타
시게키 오하라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1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 H01R4/245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forming a U-shape with slotted bran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01R4/2433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one part of the base being movable to push the cable into the sl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콘택트에 있어서의 케이블의 압접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케이블과 콘택트와의 접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케이블의 코어선을 압접부에 의해 협지하는 커넥터(10)에 있어서, 서로 감합하는 한 쌍의 감합 대상물과, 감합 대상물의 내부에 마련되고, 한 쌍의 압접부를 가지는 콘택트(50)와, 한 쌍의 감합 대상물의 일방의 내부에 형성된 제 1 격벽(18b1)과, 타방의 감합 대상물의 내부에 형성된 제 2 격벽(33)을 구비하고, 콘택트(50)의 한 쌍의 압접부는, 서로 이간되고, 감합하는 한 쌍의 감합 대상물의 내부에서 제 1 격벽(18b1) 및 제 2 격벽(33)에 의해 분리된다.

Description

커넥터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7월 18일에 일본국에 특허 출원된 특원2017-139270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출원의 개시 전체를 여기에 참조를 위해 포함시킨다.
본 개시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서로 감합하는 한 쌍의 감합 대상물의 내부에 배치되고, 압접에 의해 케이블의 코어선과 접촉하는 압접부를 가지는 콘택트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콘택트를 가지는 커넥터는, 2개 이상의 케이블을 당해 콘택트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커버와 본체를 서로 감합시켰을 때에, 일방의 케이블을 압착하고, 타방의 케이블을 압접함으로써, 콘택트가 2개의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 제3028988호 공보
케이블을 압접함으로써 콘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경우, 코어선의 일부가 압접용 홈에 수용되지 않고 외부에 누설되는 코어선 넘침 등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반대로, 케이블의 압접 시에 압접용 홈이 너무 크게 열려 케이블의 피복을 완전히 절단할 수 없고 압접용 홈 내에 당해 피복을 말려들게 하는 문제가 생길 우려도 있다. 이상과 같은 문제는, 병렬된 복수의 압접용 홈을 1개의 콘택트가 가지는 경우에 의해 현저하게 나타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에서는 1개의 압접용 홈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압접의 정확성에 대해서는 충분히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본 개시의 목적은, 콘택트에 있어서의 케이블의 압접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케이블과 콘택트와의 접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1 관점에 관련되는 커넥터는,
케이블의 코어선을 압접부에 의해 협지(挾持)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서로 감합하는 한 쌍의 감합 대상물과,
상기 감합 대상물의 내부에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압접부를 가지는 콘택트와,
한 쌍의 상기 감합 대상물의 일방의 내부에 형성된 제 1 격벽과,
타방의 감합 대상물의 내부에 형성된 제 2 격벽
을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의 한 쌍의 상기 압접부는, 서로 이간되고, 감합하는 한 쌍의 상기 감합 대상물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격벽 및 상기 제 2 격벽에 의해 분리된다.
제 2 관점에 관련되는 커넥터에서는,
상기 콘택트는, 한 쌍의 상기 압접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부를 구비해도 된다.
제 3 관점에 관련되는 커넥터에서는,
상기 압접부는, 감합 방향을 따른 직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선대칭의 형상을 가져도 된다.
제 4 관점에 관련되는 커넥터에서는,
상기 콘택트는, 상기 압접부와 연속해서 형성되고, 당해 압접부보다 폭이 좁아지는 폭협부를 구비해도 된다.
제 5 관점에 관련되는 커넥터에서는,
한 쌍의 상기 압접부 및 상기 폭협부는,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져도 된다.
제 6 관점에 관련되는 커넥터에서는,
상기 일방의 감합 대상물은, 상기 콘택트가 마련된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폭협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돌기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제 7 관점에 관련되는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 1 격벽 및 상기 제 2 격벽은, 감합 시에 감합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해도 된다.
제 8 관점에 관련되는 커넥터에서는,
한 쌍의 상기 감합 대상물은, 서로 접속부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감합 대상물은, 상기 케이블을 보지(保持)하고,
상기 콘택트는, 감합 후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과 도통한 상태로 내포되어도 된다.
제 9 관점에 관련되는 커넥터에서는,
상기 감합 대상물은, 한 쌍의 상기 케이블을 보지하고,
상기 콘택트는, 감합 후에 있어서, 상기 압접부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코어선을 협지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끼리를 도통시켜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커넥터에 의하면, 콘택트에 있어서의 케이블의 압접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케이블과 콘택트와의 접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절연 하우징이 전개 상태에 있을 때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커넥터, 제 1 케이블 및 제 2 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화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중계 콘택트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의 제 1 분할 하우징만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2 분할 하우징만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중계 콘택트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의 절연 하우징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중계 콘택트 단체(單體)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절연 하우징이 전개 상태로부터 록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의 커넥터, 제 1 케이블 및 제 2 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절연 하우징이 록 상태에 있을 때의 커넥터, 제 1 케이블 및 제 2 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 화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Ⅹ-Ⅹ 화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ⅩⅠ-ⅩⅠ 화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절연 하우징에 충전제를 장전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충전제를 장전한 커넥터의 록 상태를 나타낸 도 9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변형례에 관련되는 제 1 록부와 제 2 록부와의 계합부(engagement portion)를 확대한, 도 13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중의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충전제(70)를 장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커넥터(10)의 구조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도 1은, 절연 하우징(15)이 전개 상태에 있을 때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커넥터(10),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화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일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큰 구성 요소로서 절연 하우징(15)과 중계 콘택트(50)(콘택트)를 구비한다.
절연 하우징(15)은, 예를 들면 절연성의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한 성형품이다. 절연 하우징(15)은, 제 1 분할 하우징(16)(감합 대상물)과, 제 2 분할 하우징(30)(감합 대상물)을 가진다. 절연 하우징(15)은,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을 접속하는 연결부로서의 제 1 접속부(46) 및 제 2 접속부(47)(접속부)를 가진다. 절연 하우징(15)은, 제 1 분할 하우징(16), 제 2 분할 하우징(30) 및 제 1 접속부(46) 및 제 2 접속부(47)를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가진다.
도 3은, 중계 콘택트(50)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의 제 1 분할 하우징(16)만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제 1 분할 하우징(16)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두께 방향의 일방의 면(도 3의 상면)의 외주 가장자리부는, 외주벽(17)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주벽(17)보다 내주측은,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한 단계 패인 내주측 오목부(17a)에 의해 구성된다. 내주측 오목부(17a)의 바닥면은,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상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내주측 제 1 대향면(17b)에 의해 구성된다. 내주측 제 1 대향면(17b)보다 내주측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은, 내주측 제 1 대향면(17b)으로부터 하방으로 한 단계 패인 중앙 제 1 오목부(17c)에 의해 구성된다. 중앙 제 1 오목부(17c)의 바닥면은, 내주측 제 1 대향면(17b)과 평행한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제 1 대향면(17d)에 의해 구성된다. 중앙 제 1 오목부(17c)와 중앙 제 1 대향면(17d)에 의해, 콘택트 장착홈(18)이 형성된다. 콘택트 장착홈(18)은, 고정부(18a)와, 고정부(18a)의 좌우 방향 중간에 위치하고, 고정부(18a)의 전후폭을 좁혀 고정부(18a)를 좌우 한 쌍으로 구분하는 중간 볼록부(18b)를 가진다. 중간 볼록부(18b)는, 상부를 구성하고, 폭이 좁아지는 격벽(18b1)(제 1 격벽)과, 격벽(18b1)의 바로 아래에 연속해서 형성되고, 폭이 넓어지는 돌기부(18b2)로 구성된다. 중간 볼록부(18b)는, 전방으로부터의 정면에서 보아 대략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부(18a)의 중앙 제 1 대향면(17d)측의 네 모퉁이에는, 중간 볼록부(18b)와 마찬가지로 전후폭을 좁히는 돌기부(18c)가 각각 형성된다. 한 쌍의 고정부(18a)의 바닥면(중앙 제 1 대향면(17d))에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위치 결정 돌기(18d)가 돌출 마련된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주벽(17)에는, 일방의 고정부(18a)의 전후 양측에 위치하고 또한 서로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1 케이블 장착홈(19)이 오목 마련된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주벽(17)에는, 타방의 고정부(18a)의 전후 양측에 위치하고 또한 서로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2 케이블 장착홈(20)이 오목 마련된다. 제 2 케이블 장착홈(20)은, 제 1 케이블 장착홈(19)과 평행을 이룬다. 제 1 케이블 장착홈(19) 및 제 2 케이블 장착홈(20)의 정면 형상은 반원형이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주벽(17)의 전후면에는, 한 쌍의 제 1 케이블 장착홈(19)의 가장 깊은 바닥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지는 한 쌍의 경사면(19a)이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주벽(17)의 전후면에는, 한 쌍의 제 2 케이블 장착홈(20)의 가장 깊은 바닥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지는 한 쌍의 경사면(20a)이 마련된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주벽(17)의 전후면에는, 전후의 경사면(19a, 20a)보다 하방 위치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평판 형상의 덮개부(21, 22)가 마련된다. 덮개부(21, 22)의 대향면(21a, 22a)은, 경사면(19a, 20a)의 최하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주벽(17)의 좌우 양측면에는, 탄성을 가지는 한 쌍의 제 1 록부(25)가 형성된다. 각 제 1 록부(25)와 외주벽(17)의 전후면과의 사이에는, 한 쌍의 오목부(25a)가 형성된다. 각 제 1 록부(25)는,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 1 록용 돌기(26)를 가진다. 제 1 록용 돌기(26)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제 1 록용 돌기(26)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6a)을 가진다. 제 1 록부(25)는, 내면의 상방 가장자리부에 형성되고,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제 1 분할 하우징(16)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6b)을 가진다.
도 4는, 제 2 분할 하우징(30)만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제 2 분할 하우징(30)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두께 방향의 일방의 면(도 4의 상면)의 외주 가장자리부에는 외주벽(31)이 돌출 마련된다. 제 2 분할 하우징(30)의 외주벽(31)보다 내주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외주벽(31)의 상방 가장자리부보다 한 단계 패인 내주측 오목부(31a)에 의해 구성된다. 내주측 오목부(31a)의 바닥면은, 제 2 분할 하우징(30)의 상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내주측 제 2 대향면(31b)에 의해 구성된다. 내주측 제 2 대향면(31b)에는, 좌우 한 쌍의 단면 U자형의 제 1 가압홈(32a) 및 제 2 가압홈(32b)을 가지는 케이블 가압 돌기(32)가 돌출 마련된다. 케이블 가압 돌기(32)는, 중앙 돌기(32c)와, 중앙 돌기(32c)의 좌우 방향 양측에 돌기(32d, 32e)를 가진다. 중앙 돌기(32c)와 일방의 돌기(32d)와의 사이에 제 1 가압홈(32a)이 형성된다. 중앙 돌기(32c)와 타방의 돌기(32e)와의 사이에 제 2 가압홈(32b)이 형성된다. 중앙 돌기(32c)의 전후 양측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폭이 좁은 격벽(33)(제 2 격벽)이 각각 형성된다.
제 2 분할 하우징(30)에는, 전후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케이블 지지 아암부(35, 36)가 형성된다. 케이블 지지 아암부(35, 36)의 상면에는, 제 1 케이블 보지홈(35a, 36a)과 제 2 케이블 보지홈(35b, 36b)이 마련된다. 전방측의 케이블 지지 아암부(35) 및 후방측의 케이블 지지 아암부(36)는, 제 1 케이블 보지홈(35a 및 36a)의 전단측 부분 및 후단측 부분이, 좌우로 공극에 의해 분리 분할한 한 쌍의 돌출편(37a) 및 한 쌍의 돌출편(38a)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전방측의 케이블 지지 아암부(35) 및 후방측의 케이블 지지 아암부(36)는, 제 2 케이블 보지홈(35b 및 36b)의 전단측 및 후단측 부분이, 좌우로 공극에 의해 분리 분할한 한 쌍의 돌출편(37b) 및 한 쌍의 돌출편(38b)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각 한 쌍의 돌출편(37a, 38a, 37b, 38b), 특히 케이블 지지 아암부(35, 36)의 좌우 외측의 돌출편은, 좌우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고, 인접하는 돌출편끼리의 간격이 가변이다. 각 한 쌍의 돌출편(37a, 38a, 37b, 38b)에는, 서로 대향하는 클로부가, 전후 단부(端部)의 하단부로부터 돌출 마련된다.
제 1 케이블 보지홈(35a, 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 36b)은,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을 전체 직경에 걸쳐 각각 삽입 보지하는(전체 직경이 수용되는) 깊이의 홈이다. 제 1 케이블 보지홈(35a, 36a)은, 외측을 향함에 따라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35e, 36e)을 가진다. 제 1 케이블(60)이, 제 1 케이블 보지홈(35a, 36a)에 삽입 보지되면, 제 1 케이블(6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블 보지홈(35a, 36a)의 경사면(35e, 36e)을 따라, 대응하는 케이블 부분이 상하 비스듬한 방향으로 경사진다. 마찬가지로, 제 2 케이블 보지홈(35b, 36b)은, 경사면(35f, 36f)을 가지고, 제 2 케이블(65)도, 제 1 케이블(60)과 마찬가지의 양태로, 제 2 케이블 보지홈(35b, 36b)에 삽입 보지된다.
제 1 케이블 보지홈(35a, 36a)의 전후 단부의 상방 개구부 근처(돌출편(37a, 38a)의 각 대향면)에는, 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5c)와 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6c)가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케이블 보지홈(35b, 36b)의 전후 단부의 상방 개구부 근처(돌출편(37b, 38b)의 각 대향면)에는, 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5d)와 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6d)가 마련된다. 탈락 방지 돌기(35c, 36c 및 35d, 36d)는,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제 1 케이블 보지홈(35a, 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 36b)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 때, 각 한 쌍의 돌출편(37a, 38a) 및 각 한 쌍의 돌출편(37b, 38b)은, 좌우 방향의 간격(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5c, 36c 및 35d, 36d)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휜다.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제 1 케이블 보지홈(35a, 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 36b)에 삽입되면, 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5c, 36c 및 35d, 36d)가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을 각각 협압(挾壓)한다. 각 한 쌍의 돌출편(37a, 38a) 및 각 한 쌍의 돌출편(37b, 38b)은, 탄성적으로 좌우 방향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휜다. 따라서, 각 한 쌍의 돌출편(37a, 38a) 및 각 한 쌍의 돌출편(37b, 38b)은, 제 1 케이블 보지홈(35a, 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 36b)에 각각 삽입된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케이블 연장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항을 주면서 허용한다. 동시에, 각 한 쌍의 돌출편(37a, 38a) 및 각 한 쌍의 돌출편(37b, 38b)은, 제 1 케이블 보지홈(35a, 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 36b)으로부터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각각 이탈하려고 하는 힘에 저항을 주어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빠짐 방지로서 작용하면서,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한 이탈을 가능하게 한다. 이 빠짐 방지 작용은, 제 2 분할 하우징(30)의 상하(표리)를 반전시켜도 유지된다.
제 2 분할 하우징(30)의 외주벽(31)의 좌우 양측면에는, 한 쌍의 제 2 록부(39)가 형성된다. 한 쌍의 제 2 록부(39)는,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면에 형성된다. 각 제 2 록부(39)는, 제 2 분할 하우징(30)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제 2 록용 돌기(40)를 가진다. 각 제 2 록부(39)의 전후 양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볼록벽(41)이 형성된다. 각 제 2 록용 돌기(40)는, 대략 직방체 형상이고, 한 쌍의 볼록벽(41) 사이에 걸치도록,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면에 형성된다. 제 2 록용 돌기(4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5는, 중계 콘택트(50)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의 절연 하우징(15)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대로,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은, 제 1 분할 하우징(16)측으로부터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전후 한 쌍의 제 1 접속부(46)와, 제 2 분할 하우징(30)측으로부터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전후 한 쌍의 제 2 접속부(47)와, 굴곡 용이부(48)에 의해 연결된다. 굴곡 용이부(48)는, 제 1 접속부(46) 및 제 2 접속부(47)를 접속한다. 전후 한 쌍의 제 1 접속부(46)와 전후 한 쌍의 제 2 접속부(47)는, 전개 상태에서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곡 용이부(48)는, 전후의 제 1 접속부(46) 및 제 2 접속부(47)보다 얇은 두께로 하고 있다. 전후의 제 1 접속부(46)와 제 2 접속부(47)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굴곡 용이부(48)를 절곡선으로 하여, 도 1, 도 5 등에 있어서 안쪽 접기(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이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 가능(용이)하다. 제 1 접속부(46)는, 제 2 접속부(47)보다 굽힘 강성(剛性)이 작게 설정된다.
제 1 분할 하우징(16), 제 1 접속부(46), 굴곡 용이부(48), 제 2 접속부(47)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은,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 자율적으로 이 전개 상태를 유지할 정도의 강도(강성)를 가진다.
도 6은, 중계 콘택트(50) 단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중계 콘택트(50)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중계 콘택트(50)는, 스프링 탄성을 가지는 구리 합금(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구리, 티탄구리) 또는 콜슨계 구리 합금의 박판을 순송 금형(스탬핑)을 이용하여 도시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중계 콘택트(50)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하지(下地)를 형성한 후에, 주석구리 도금 또는 주석 도금(또는 금 도금)이 실시된다.
중계 콘택트(5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기편(基片)(51)과, 기편(51)의 전후 양방 가장자리부의 일방의 단부에 돌출 마련한, 기편(5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한 쌍의 제 1 케이블 압접편(52)과, 기편(51)의 전후 양방 가장자리부의 타방의 단부에 돌출 마련한, 기편(5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한 쌍의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을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제 1 케이블 압접편(52)의 전후폭과 한 쌍의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의 전후폭은 대략 동일하다. 기편(51)의 좌우 2개소에는 원형의 위치 결정 구멍(51a)이 형성된다. 전후의 제 1 케이블 압접편(52)과 제 2 케이블 압접편(54)에는, 기편(51)측을 향해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압접용 홈(53)과 제 2 압접용 홈(55)이 각각 형성된다. 제 1 압접용 홈(53)의 상단 개구부는, 선단부(52a)에 의해 상방을 향해 넓어지는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압접용 홈(55)의 상단 개구부는, 선단부(54a)에 의해 상방을 향해 넓어지는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케이블 압접편(52), 제 1 압접용 홈(53) 및 선단부(52a)는, 압접부(P1)를 구성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케이블 압접편(54), 제 2 압접용 홈(55) 및 선단부(54a)는, 압접부(P2)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중계 콘택트(50)는 한 쌍의 압접부(P1, P2)를 가진다. 도 6에 나타내는 대로, 한 쌍의 압접부(P1, P2)는 서로 이간된다. 한 쌍의 압접부(P1, P2)는, 감합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방향, 즉 좌우 방향을 따라 일직선 형상으로 배열된다. 한 쌍의 압접부(P1, P2)의 사이에는 슬릿부(S)가 형성된다. 한 쌍의 압접부(P1, P2)는, 예를 들면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진다. 압접부(P1, P2)는, 감합 방향, 즉 상하 방향을 따른 직선(L1, L2)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선대칭의 형상을 각각 가진다. 압접부(P1)는, 제 1 압접용 홈(53)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압접부(P2)는, 제 2 압접용 홈(55)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중계 콘택트(50)는, 전후 한 쌍의 압접부(P1)와 전후 한 쌍의 압접부(P2)와 각각 연속해서 형성되고, 각 압접부보다 폭이 좁아지는 폭협부(52b, 54b)를 가진다. 전후 한 쌍의 제 1 케이블 압접편(52)과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은, 폭협부(52b, 54b)를 개재하여 기편(51)과 각각 접속된다. 좌우 방향에 위치하는 제 1 케이블 압접편(52)과 제 2 케이블 압접편(54)과의 대향 가장자리부의 간격, 즉 슬릿부(S)의 좌우폭은, 폭협부(52b, 54b)와의 대향 가장자리부의 간격보다 좁다.
폭협부(52b, 54b)는, 압접부(P1, P2)에 대하여, 감합 방향을 따른 직선(L1, L2)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선대칭으로 수축한 형상에 의해 각각 구성된다. 폭협부(52b)의 좌측면은, 압접부(P1)의 좌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수축하도록 연속해서 형성된다. 폭협부(52b)의 우측면은, 좌측면과 대칭적인 양태로, 압접부(P1)의 우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수축하도록 연속해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폭협부(54b)의 좌우 양측면은, 압접부(P2)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각각 좌우 대칭으로 수축하도록 연속해서 형성된다. 압접부(P1) 및 폭협부(52b)는, 직선(L1)을 중심으로 한 선대칭의 형상으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압접부(P2) 및 폭협부(54b)는, 직선(L2)을 중심으로 한 선대칭의 형상으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압접부(P1, P2)와 마찬가지로, 폭협부(52b, 54b)는, 예를 들면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진다.
폭협부(52b, 54b)의 사이에는 여유부(51b)가 마련된다. 제 1 케이블 압접편(52)과 제 2 케이블 압접편(54)과의 사이에는 슬릿부(S)만이 마련되고, 인슐레이터 등, 다른 부재가 개재하지 않는다.
중계 콘택트(50)는,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과의 감합 상태에 있어서,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과 도통한 상태로 내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계 콘택트(50)는,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과의 감합 시에,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에 의해 절연성의 피복(62) 및 피복(67)을 각각 절단하여,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끼리를 도통시킨다. 중계 콘택트(50)는, 감합 후에 있어서,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에 의해 코어선(61) 및 코어선(66)을 각각 협지하여,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끼리를 도통시킨다.
제 1 케이블(60)과 제 2 케이블(65)은, 도전성 및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예를 들면 구리 또는 알루미늄)로 이루어지는 코어선(61, 66)(꼬임선 또는 단선(單線))의 표면을 튜브 형상이고 또한 가요성 및 절연성을 가지는 피복(62, 67)으로 각각 덮은 것이다. 제 1 케이블(60)은, 배선 대상물(예를 들면 자동차 등)의 내부에 처음부터 배선하고 또한 배선 대상물의 전원과 접속하는 케이블이다. 제 2 케이블(65)은, 제 1 케이블(60)에 대하여 나중에 추가로 접속하는 케이블이다. 그 일단(一端)(전단)에는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예를 들면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이 접속된다.
도 7은, 절연 하우징(15)이 전개 상태로부터 록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의 커넥터(10),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절연 하우징(15)이 록 상태에 있을 때의 커넥터(10),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 화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Ⅹ-Ⅹ 화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ⅩⅠ-ⅩⅠ 화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절연 하우징(15), 중계 콘택트(50),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을 일체화하여, 제 1 케이블(60)과 제 2 케이블(65)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면서 커넥터(1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조립 작업자가 손 등에 의해 도 1, 도 5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 있는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콘택트 장착홈(18)에 대하여 중계 콘택트(50)의 하부를 감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기편(51)의 좌우 양단부를 돌기부(18c)에 각각 맞춘 상태에서, 여유부(51b)를 중간 볼록부(18b)에 감합시키면서 기편(51)을 콘택트 장착홈(18)의 바닥부에 감합시킨다. 제 1 케이블 압접편(52)의 기편(51)측의 절반부(도 1, 도 2에서는 하반부)를 대응하는 고정부(18a)에 감합시키고, 또한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의 기편(51)측의 절반부를 대응하는 고정부(18a)에 감합시킨다. 기편(51)의 한 쌍의 위치 결정 구멍(51a)에 대하여 제 1 분할 하우징(16)의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18d)가 감합하므로(도 2, 도 9 참조), 중계 콘택트(50)가 제 1 분할 하우징(16)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중계 콘택트(50)를 제 1 분할 하우징(16)에 장착하면, 전후의 제 1 케이블 장착홈(19)을 지나는 축선 상에 전후의 제 1 압접용 홈(53)이 위치하고, 또한, 전후의 제 2 케이블 장착홈(20)을 지나는 축선 상에 전후의 제 2 압접용 홈(55)이 위치한다.
조립 작업자가 손 등에 의해, 전후의 탈락 방지 돌기(35c, 36c 및 35d, 36d)에 의한 저항에 저항하여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을 각각 압입한다(도 1 참조). 그 때, 각 돌출편(37a, 38a, 37b, 38b)은 탄성력에 저항하여 휘어, 대향하는 탈락 방지 돌기(35c, 36c 및 35d, 36d)의 간격을 넓힌다.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제 1 케이블 보지홈(35a, 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 36b)에 각각 압입되면, 대향하는 탈락 방지 돌기(35c, 36c 및 35d, 36d)의 간격이 좁아진다. 이에 의해,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은, 제 1 케이블 보지홈(35a, 36a)의 바닥부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 36b)의 바닥부와 탈락 방지 돌기(35c, 36c 및 35d, 36d)와의 사이에 각각 협지된다. 이에 의해,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은, 저항을 받으면서 케이블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전개 상태의 커넥터(10)에 대한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연장 방향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제 1 케이블 보지홈(35a, 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 36b)으로부터 각각 이탈하려고 하면, 이탈을 저지하는 저항을 받는다. 따라서, 커넥터(10)를 상하 반대로 해도,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제 1 케이블 보지홈(35a, 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 36b)으로부터 각각 용이하게 빠지지 않는다.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은, 일정 이상의 가압력에 의해 제 1 케이블 보지홈(35a, 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 36b)으로부터 각각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커넥터(10)의 교환 및 커넥터(10)에 착탈하는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변경이 용이하다.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을 좌우 방향으로 나열하고, 제 1 케이블 보지홈(35a, 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 36b)에 각각 감합 보지한 상태 그대로, 전후의 굴곡 용이부(48)를 중심으로 제 2 분할 하우징(30)(전후의 제 2 접속부(47))을 제 1 분할 하우징(16)(전후의 제 1 접속부(46))에 대하여 접근하도록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 1 분할 하우징(16)측의 제 2 록용 돌기(40)가, 대응하는 제 1 록용 돌기(26)의 경사면(26a)에 맞닿는다. 더 회전시키면, 당해 제 2 록용 돌기(40)가 대응하는 경사면(26a)을 하방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대응하는 제 1 록용 돌기(26)가, 제 1 분할 하우징(16)의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제 2 접속부(47)측에 위치하는 케이블 가압 돌기(32)의 제 2 가압홈(32b)이, 제 2 케이블(65)의 중간부를, 제 2 압접용 홈(55)의 안쪽(하방)으로 약간 압입한다. 이에 의해, 제 2 케이블(65)의 중간부가, 전후의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의 사이의 공간에 들어간다.
손 등에 의해 제 2 분할 하우징(30)을 전후의 굴곡 용이부(48)를 중심으로 제 1 분할 하우징(16)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으로 더 회전시킨다. 제 2 접속부(47)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케이블 가압 돌기(32)의 제 1 가압홈(32a)이, 제 1 케이블(60)의 중간부를 제 1 케이블 압접편(52)의 선단부(52a)에 대하여 제 1 압접용 홈(53)의 연장 돌출 방향 또는 이에 가까운 방향으로 누른다. 따라서, 제 1 케이블(60)이 선단부(52a)와 케이블 가압 돌기(32)에 의해 협지된다.
제 1 케이블(60)과 제 2 케이블(65)을 중계 콘택트(50)의 선단부(52a, 54a)에 탑재한 후에, 도시를 생략한 일반적인 공구(예를 들면, 플라이어)에 의해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가압한다. 각 제 2 록용 돌기(40)가, 대응하는 제 1 록용 돌기(26)에 대하여 계합한다. 제 2 록부(39)의 각 볼록벽(41)이, 대응하는 오목부(25a)와 감합한다. 이에 의해, 제 1 분할 하우징(16)이 제 2 분할 하우징(30) 내에 수용되고, 제 1 록부(25)와 제 2 록부(39)는, 감합한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측에서 계합한다.
케이블 가압 돌기(32)는,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중간부를 각각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의 안쪽(바닥면측)으로 더 압입한다. 따라서, 제 1 케이블(60)이 선단부(52a)로부터 제 1 압접용 홈(53)의 대략 중앙부까지 압입된다. 제 2 케이블(65)이 선단부(54a)로부터 제 2 압접용 홈(55)의 대략 중앙부까지 압입된다. 이 때, 케이블 가압 돌기(32)의 제 1 가압홈(32a) 및 제 2 가압홈(32b)에 의한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각각의 가압 방향이 상하 방향(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의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이 된다. 이에 의해, 제 1 압접용 홈(53)의 내면(좌우 양면)에 의해 제 1 케이블(60)의 피복(62)의 좌우 양측부가 찢어진다. 제 2 압접용 홈(55)의 내면(좌우 양면)에 의해 제 2 케이블(65)의 피복(67)의 좌우 양측부가 찢어진다. 따라서, 절연 하우징(15)이 닫힘 상태로 보지되었을 때에, 제 1 압접용 홈(53)의 내면(한 쌍의 대향면)이 코어선(61)의 양측부에 대하여 균등하게 또한 확실하게 접촉(압접)한다. 제 2 압접용 홈(55)의 내면(한 쌍의 대향면)이 코어선(66)의 양측부에 대하여 균등하게 또한 확실하게 접촉(압접)한다. 그 결과, 커넥터(10)의 내부에 있어서 제 1 케이블(60)의 코어선(61)과 제 2 케이블(65)의 코어선(66)이 중계 콘택트(50)를 개재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코어선(61, 66)의 양측부의 일방에 대하여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의 내면이 과도하게 강하게 닿는 경우가 없으므로, 코어선(61, 66)의 일부가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에 의해 각각 절단되는 경우가 없다. 그 때문에, 코어선(61, 66)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하지 않으므로,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에 인장력이 작용해도 코어선(61, 66)이 완전히 절단될 우려는 작다. 따라서,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과 중계 콘택트(50)와의 접촉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이 닫힘 상태로(감합하여) 보지(록)된 상태에서는, 제 1 분할 하우징(16)의 덮개부(21, 22)의 대향면(21a, 22a)이, 제 1 케이블 보지홈(35a, 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 36b)의 개구부(도 4의 상방의 개구부)의 일부를 막고 있다. 제 1 케이블(60)은, 제 1 분할 하우징(16)의 한 쌍의 경사면(19a) 및 대응하는 제 2 분할 하우징(30)의 경사면(35e, 36e)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워진다. 제 2 케이블(65)은, 제 1 분할 하우징(16)의 한 쌍의 경사면(20a) 및 대응하는 제 2 분할 하우징(30)의 경사면(35f, 36f)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워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이 닫힘 상태(록 상태)가 되었을 때,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피복(62, 67)의 표면에, 중계 콘택트(50)와의 전기적 도통을 방해하지 않고 밀착한다. 따라서, 가령 커넥터(10)의 외측에 있어서 가해진 외력에 의해 제 1 케이블(60) 또는 제 2 케이블(65)이 흔들려 굴곡진다고 해도, 제 1 케이블(60) 또는 제 2 케이블(65)의 굴곡에 기인하는 움직임 및 응력이 중계 콘택트(50)와의 접촉부에 전달하는 것을 억제하여, 접촉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대로, 록 상태에 있어서, 제 2 분할 하우징(30)의 격벽(33)은, 중계 콘택트(50)의 슬릿부(S)에 감합된다. 마찬가지로, 록 상태에 있어서, 제 1 분할 하우징(16)의 격벽(18b1)은, 중계 콘택트(50)의 슬릿부(S)에 감합된다. 격벽(18b1) 및 격벽(33)은, 록 상태에 있어서 서로 상하 방향으로 대향한 상태에서, 슬릿부(S)에 감합된다. 환언하면, 슬릿부(S)에 의해 서로 이간하는 한 쌍의 압접부(P1, P2)는, 격벽(18b1) 및 격벽(33)과 소정의 공극을 형성한 상태에서, 격벽(18b1) 및 격벽(33)에 의해 분리된다. 한편, 제 1 분할 하우징(16)의 돌기부(18b2)는, 슬릿부(S)보다 폭이 넓어지는 한 쌍의 폭협부(52b, 54b)와의 사이에 감합된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돌기부(18c)는, 한 쌍의 폭협부(52b, 54b)와 인접하도록, 각각의 외방에 위치한다.
이하에서는, 충전제(70)를 장전한 상태의 커넥터(10)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충전제(70)는,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에 각각 마련된다(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는,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과의 감합 시에, 합착하여 서로 일체화해도 되고, 점착하여 접합면을 형성해도 된다. 충전제(70)는, 방수용 겔, UV 경화 수지, 또는 접착제 등 중, 합착성 또는 점착성을 가지는 임의의 재료이면 된다.
도 12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절연 하우징(15)에 충전제(70)를 장전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충전제(70)를 장전한 커넥터(10)의 록 상태를 나타낸 도 9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분할 하우징(16)의 내주측 제 1 대향면(17b)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주측 제 2 대향면(31b)에, 충전제(70)를 개재시킨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내주측 제 1 대향면(17b)에 개재시킨 제 1 충전제(70a)는, 하면의 평면 형상이 내주측 제 1 대향면(17b)과 대략 동일하고, 중계 콘택트(5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 1 충전제(70a)의 높이는,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이 감합했을 때에, 제 1 충전제(70a)와 제 2 충전제(70b)가 합착 또는 점착하는 높이이다.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주측 제 2 대향면(31b)에 개재시킨 제 2 충전제(70b)는, 하면의 평면 형상이 내주측 제 2 대향면(31b)과 대략 동일하고, 케이블 가압 돌기(3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 2 충전제(70b)의 높이는,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이 감합했을 때에, 제 1 충전제(70a)와 제 2 충전제(70b)가 합착 또는 점착하는 높이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로부터 커넥터(10)를 록 상태로 천이시키면, 도 13에 나타내는 대로, 감합한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부 전체가 충전제(70)에 의해 충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이 록 상태가 되었을 때에, 충전제(70)는, 내주측 제 1 대향면(17b)과 내주측 제 2 대향면(31b)에 밀착하고, 또한, 중계 콘택트(50)의 주위를 위요(圍繞)한다.
록 상태에 있어서,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는, 서로 눌러 한 번 압축 상태가 되어, 확실하게 밀착한다. 이 때, 충전제(70)가 합착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구성될 경우,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는, 수소 결합 등의 화학 반응에 의해 일체화한다. 충전제(70)가 점착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구성될 경우,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는, 접합면을 형성하여 서로 점착한다. 이상에 의해, 충전제(70)는 중계 콘택트(50)의 주위를 밀폐한다.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은, 록 상태에서 충전제(70)의 내측에 배치되는 중계 콘택트(5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돌출한다.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은, 중계 콘택트(50)에 있어서의 압접 부분으로부터 전후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돌출한다.
충전제(70)는, 제 1 분할 하우징(16)의 한 쌍의 제 1 록부(25)의 내면과 맞닿는다. 도 13에 나타내는 대로, 제 1 록용 돌기(26) 및 제 2 록용 돌기(40)의 계합면(27)은, 그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른 충전제(70)의 폭 내에 위치한다.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을 감합시켰을 때에, 제 2 록용 돌기(40)의 표면은, 제 1 록부(25)의 외면과 맞닿는다. 이에 의해 형성되는 맞닿음면(42)은, 충전제(70)와 맞닿는 제 1 록부(25)의 내면과 대략 평행하다.
이상과 같은 충전제(70)의 구성에 의해, 커넥터(10)는, 물 또는 먼지 등의 외부의 이물질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커넥터(10)는, 중계 콘택트(50)에 있어서의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압접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각 케이블과 중계 콘택트(50)와의 접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 서술하는 대로, 커넥터(10)는, 압접부(P1, P2)의 압접에 수반되는 열림을 최적화하여, 각 케이블과 중계 콘택트(50)와의 접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커넥터(10)는, 중계 콘택트(50)에 있어서 한 쌍의 압접부(P1, P2)가 서로 이간됨으로써,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을 각각 정확하게 압접할 수 있다. 한 쌍의 압접부(P1, P2)가 서로 이간됨으로써, 커넥터(10)는, 제 1 케이블 압접편(52)이 좌우 양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변형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넥터(10)는,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이 좌우 양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변형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케이블이 대응하는 압접용 홈에 압입되었을 때에, 대응하는 케이블 압접편은, 좌우 양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커넥터(10)는, 코어선 넘침 등의 문제를 억제하여,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을 정확하게 압접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10)는, 격벽(18b1) 및 격벽(33)을 가짐으로써,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압접에 수반되는 한 쌍의 압접부(P1, P2)의 과도한 열림을 방지할 수 있다. 압접부(P1, P2)가 각 케이블의 압접에 수반되어 좌우 방향을 따라 과도하게 열리면, 그 단부가 격벽(18b1) 또는 격벽(33)과 접촉한다. 이에 의해, 압접부(P1, P2)의 가일층의 열림이 규제된다. 따라서, 커넥터(10)는, 각 케이블의 피복이 말려드는 등의 문제를 억제하여,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을 정확하게 압접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격벽(18b1) 및 격벽(33)을 가짐으로써, 위치 결정 돌기(18d)와 함께, 감합 전후에 있어서, 중계 콘택트(50)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중계 콘택트(50)에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을 압접할 때에, 의도하지 않고 압접부(P1, P2)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도 격벽(18b1) 및 격벽(33)에 의해, 압접부(P1, P2)가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슬릿부(S)를 마련하여 한 쌍의 압접부(P1, P2)를 좌우 방향으로 배열함으로써, 중계 콘택트(50)를 대칭적인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제 1 케이블 압접편(52) 및 제 2 케이블 압접편(54) 각각의 변형 허용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중계 콘택트(50)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한 쌍의 압접부(P1, P2)를 좌우 방향으로 배열함으로써,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압접에 관한 정확성을 더 향상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압접부(P1)가 제 1 압접용 홈(53)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형성됨으로써, 제 1 케이블(60)이 제 1 압접용 홈(53)에 압입되었을 때의 제 1 케이블 압접편(52)의 좌우 양방향으로의 변형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넥터(10)는, 압접부(P2)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됨으로써,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의 좌우 양방향으로의 변형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중계 콘택트(50)는, 압접 시에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에 대하여, 각각 좌우 균일하게 힘을 미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코어선(61, 66)의 일부가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에 각각 수용되지 않고 외부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코어선 넘침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넥터(10)는, 각 케이블의 피복에 대하여 좌우 양측 중 어느 일방밖에 절단되지 않아 타방이 말려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각 케이블이 피복의 말려드는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폭협부(52b, 54b)를 가짐으로써, 중계 콘택트(50)를 소형화 가능하다. 커넥터(10)는, 중계 콘택트(50)의 좌우 방향의 폭을 저감 가능하여, 전체로서의 소형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0)는, 폭이 좁은 슬릿부(S)에 의해 제 1 케이블 압접편(52) 및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을 분리하고, 슬릿부(S)에 인슐레이터 등의 다른 부재를 개재시키지 않음으로써, 동일하게 중계 콘택트(50)의 소형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폭협부(52b, 54b)를 가짐으로써, 압접부(P1, P2)를 각각 보다 크게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압접부(P1, P2)는, 폭협부(52b, 54b)와의 접속부에 있어서 근원에서 각각 수축함으로써, 좌우 방향을 따라 보다 크게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코어선 넘침 등의 문제를 억제하여,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압접의 정확성을 더 향상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폭협부(52b, 54b)를 좌우 대칭으로 수축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중계 콘택트(50)의 성형 가공을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압접부(P1)와 폭협부(52b)를 좌우 대칭으로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제 1 케이블(60)을 압입할 때에 압접부(P1)와 폭협부(52b)에 가해지는 힘을, 좌우 양측에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넥터(10)는, 제 2 케이블(65)을 압입할 때에 압접부(P2)와 폭협부(54b)에 가해지는 힘을, 좌우 양측에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코어선 넘침, 각 케이블의 피복이 말려드는 등의 문제를 억제하여, 압접의 정확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압접부(P1) 및 폭협부(52b)와 압접부(P2) 및 폭협부(54b)가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짐으로써, 동일 사양의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에 대하여, 마찬가지의 압접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격벽(18b1) 및 격벽(33)이 감합 시에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함으로써, 슬릿부(S)의 좌우 방향의 폭을 좁힌 상태에서 압접부(P1, P2)의 과도한 열림을 방지할 수 있다. 격벽(18b1) 및 격벽(33)은 상하 방향을 따라 압접부(P1, P2)의 대략 전체와 인접하므로, 커넥터(10)는, 압접부(P1, P2)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돌기부(18b2)를 가짐으로써, 위치 결정 돌기(18d)와 함께, 감합 전후에 있어서, 중계 콘택트(50)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여유부(51b)를 돌기부(18b2)에 감합시키고, 한 쌍의 위치 결정 구멍(51a)을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18d)에 각각 감합시킴으로써, 중계 콘택트(50)를 제 1 분할 하우징(16)에 대하여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넥터(10)는, 돌기부(18c)를 가짐으로써, 중계 콘택트(50)의 위치 결정을 더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중계 콘택트(50)가 케이블과 도통한 상태로 내포됨으로써,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끼리를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제품으로서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에 의해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코어선(61, 66)을 각각 협지한 상태로 도통시킴으로써, 접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충전제(70)가, 제 1 록부(25)의 내면과 맞닿음으로써, 탄성을 가지는 제 1 록부(25)는, 충전제(70)의 팽창 또는 팽윤에 의한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 변형하려고 한다. 커넥터(10)에서는 내측에서 록부가 구성되므로, 외측으로의 탄성 변형에 의해, 커넥터(10)는, 제 1 록부(25)와 제 2 록부(39)와의 계합을 더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보다 상술하면, 제 1 록용 돌기(26) 및 제 2 록용 돌기(40)의 계합면(27)이, 충전제(70)와 맞닿는 제 1 록부(25)의 내면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폭 내에 있음으로써, 충전제(70)의 팽창력 등이 효율 좋게 계합력으로 변환된다. 맞닿음면(42)이 충전제(70)와 맞닿는 제 1 록부(25)의 내면과 대략 평행이 됨으로써, 충전제(70)의 팽창력 등은, 제 1 록부(25) 및 제 2 록용 돌기(40)의 표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전해진다. 이에 의해, 충전제(70)의 팽창력 등이 더 효율 좋게 계합력으로 변환된다. 그 결과, 커넥터(10)는,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밀착 상태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10)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탄성력이 작용한 상태라도,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열림 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넥터(10)는 방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당해 효과는, 상온하에 있어서도 나타나지만, 고온하에 있어서 충전제(70)의 팽창이 커질수록, 보다 현저하게 나타난다.
충전제(70)가 높은 점도도 가질 경우, 커넥터(10)는,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 사이의 열림을 더 억제할 수 있다.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면에 충전제(70)가 배치됨으로써, 록 상태에서 각각의 충전제(70)가 점착한다. 당해 점착력이, 감합한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열림에 대한 저항력이 된다.
커넥터(10)는, 감합한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부에 록 기구를 형성했기 때문에, 요철 및 관통 구멍이 적은 대략 평면 형상으로 외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방수성을 보다 높일 수 있어, 물 또는 먼지 등의 외부의 이물질의 침입도 더 억제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록용 돌기(26) 및 동(同)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록용 돌기(40)가 계합하여, 계합면(27)이 동 방향으로 연장된 평면을 구성함으로써, 계합면(27)의 면적을 넓혀, 계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계합면(27)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수평이 됨으로써, 계합하는 힘을 제 1 록용 돌기(26) 및 제 2 록용 돌기(40) 사이에서 전달하기 쉽게 한다.
본 개시는, 그 정신 또는 그 본질적인 특징으로부터 멀어지지 않고, 상술한 실시형태 이외의 다른 소정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따라서, 앞의 기술(記述)은 예시적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시의 범위는, 앞의 기술에 의해서가 아니라, 부가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 모든 변경 중 그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몇 가지의 변경은 그 중에 포함된다.
도 14는, 변형례에 관련되는 제 1 록부(25)와 제 2 록부(39)와의 계합부를 확대한, 도 13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대로, 제 1 록용 돌기(26) 및 제 2 록용 돌기(40)의 계합면(27)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대략 수평한 평면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대로, 당해 계합면(27)이, 감합한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있어도 된다. 커넥터(10)는, 당해 단면 형상에 의해, 록이 풀릴 가능성을 더 저감할 수 있다.
제 1 록부(25)를 제 1 분할 하우징(16)에 형성하고, 제 2 록부(39)를 제 2 분할 하우징(30)에 형성한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을 가지는 제 1 록부(25)가, 중계 콘택트(50)를 구비하지 않는 제 2 분할 하우징(30)측에 형성되고, 제 2 록부(39)가, 중계 콘택트(50)를 구비하는 제 1 분할 하우징(16)측에 형성되어도 된다. 제 1 록부(25) 및 제 2 록부(39)의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에 있어서의 형성 위치도.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을 감합시켜 록을 보지하는 것이 가능하면, 임의의 형성 위치이면 된다.
제 1 록부(25) 및 제 2 록부(39)는, 제 1 록용 돌기(26) 및 제 2 록용 돌기(40)를 각각 구비하고, 제 1 록용 돌기(26)와 제 2 록용 돌기(40)가 계합하는 록 수단을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록부(25) 및 제 2 록부(39)는, 임의의 록 수단을 가져도 된다.
한 쌍의 압접부(P1, P2)는, 슬릿부(S)를 사이에 두고 일직선 형상으로 배열된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압접부(P1, P2)는, 압접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라면, 서로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 있어도 된다. 한 쌍의 제 1 케이블 압접편(52)의 전후폭과 한 쌍의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의 전후폭은 대략 동일하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압접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라면, 각각의 전후폭은 상이해도 된다.
각 압접부는,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가진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압접부는, 코어선 넘침 등의 문제를 억제하여 압접의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좌우 비대칭의 형상을 가져도 된다.
각 폭협부는, 대응하는 압접부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수축한 형상에 의해 구성된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폭협부는, 코어선 넘침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좌우 비대칭으로 수축한 형상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각 압접부와 대응하는 폭협부는, 좌우 비대칭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압접부(P1) 및 폭협부(52b)와 압접부(P2) 및 폭협부(54b)가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진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압접부 및 폭협부는, 상이한 사양의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에 맞춰, 각 케이블에 대하여 원하는 압접 성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각각 상이한 양태로 형성되어도 된다.
격벽(18b1) 및 격벽(33)이 감합 시에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한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격벽(18b1) 및 격벽(33)이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조금 어긋나 있어도 된다.
커넥터(10)는, 돌기부(18b2)를 가진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는, 예를 들면 한 쌍의 위치 결정 구멍(51a) 및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18d)에 의해서만, 중계 콘택트(50)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돌기부(18b2)를 갖지 않아도 된다.
제 1 분할 하우징(16)에 중계 콘택트(50)가 장착된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계 콘택트(50)는, 제 2 분할 하우징(30)에 장착되어도 되고,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양방에 장착되어도 된다.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각각에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가 충전된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는, 적절한 방수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라면,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 중 어느 일방만이 충전제(70)를 가지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각 케이블의 커넥터(10)에 의해 지지된 부위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한 3개 이상의 케이블이 커넥터(10)에 의해 접속되어도 된다. 이 경우, 1개의 중계 콘택트(50)에 (좌우 방향으로 나열된)3쌍 이상의 압접용 홈이 형성되어도 된다. 복수의 중계 콘택트(50)의 각각에 압접용 홈이 형성되고, 적어도 1개의 중계 콘택트(50)에 2쌍 이상의 압접용 홈이 형성되어, 각 압접용 홈에 의해 케이블(코어선)이 압접되어도 된다.
10 : 커넥터
15 : 절연 하우징
16 : 제 1 분할 하우징(감합 대상물)
17 : 외주벽
17a : 내주측 오목부
17b : 내주측 제 1 대향면
17c : 중앙 제 1 오목부
17d : 중앙 제 1 대향면
18 : 콘택트 장착홈
18a : 고정부
18b : 중간 볼록부
18b1 : 격벽(제 1 격벽)
18b2 : 돌기부
18c : 돌기부
18d : 위치 결정 돌기
19 : 제 1 케이블 장착홈
19a : 경사면
20 : 제 2 케이블 장착홈
20a : 경사면
21, 22 : 덮개부
21a, 22a : 대향면
25 : 제 1 록부
25a : 오목부
26 : 제 1 록용 돌기
26a, 26b : 경사면
27 : 계합면
30 : 제 2 분할 하우징(감합 대상물)
31 : 외주벽
31a : 내주측 오목부
31b : 내주측 제 2 대향면
32 : 케이블 가압 돌기
32a : 제 1 가압홈
32b : 제 2 가압홈
32c : 중앙 돌기
32d, 32e : 돌기
33 : 격벽(제 2 격벽)
35, 36 : 케이블 지지 아암부
35a, 36a : 제 1 케이블 보지홈
35b, 36b : 제 2 케이블 보지홈
35c, 36c : 탈락 방지 돌기
35d, 36d : 탈락 방지 돌기
35e, 36e : 경사면
35f, 36f : 경사면
37a, 37b, 38a, 38b : 돌출편
39 : 제 2 록부
40 : 제 2 록용 돌기
41 : 볼록벽
42 : 맞닿음면
46 : 제 1 접속부(접속부)
47 : 제 2 접속부(접속부)
48 : 굴곡 용이부
50 : 중계 콘택트(콘택트)
51 : 기편
51a : 위치 결정 구멍
51b : 여유부
52 : 제 1 케이블 압접편(압접부)
52a : 선단부(압접부)
52b : 폭협부
53 : 제 1 압접용 홈(압접부)
54 : 제 2 케이블 압접편(압접부)
54a : 선단부(압접부)
54b : 폭협부
55 : 제 2 압접용 홈(압접부)
60 : 제 1 케이블(케이블)
61 : 코어선
62 : 피복
65 : 제 2 케이블(케이블)
66 : 코어선
67 : 피복
70 : 충전제
70a : 제 1 충전제
70b : 제 2 충전제
L1, L2 : 직선
P1, P2 : 압접부
S : 슬릿부

Claims (9)

  1. 케이블의 코어선을 압접부에 의해 협지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서로 감합하는 한 쌍의 감합 대상물과,
    상기 감합 대상물의 내부에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압접부를 가지는 하나의 콘택트와,
    한 쌍의 상기 감합 대상물의 일방의 내부에 형성된 제 1 격벽과,
    타방의 감합 대상물의 내부에 형성된 제 2 격벽
    을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콘택트의 한 쌍의 상기 압접부는, 서로 이간되고, 감합하는 한 쌍의 상기 감합 대상물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격벽 및 상기 제 2 격벽에 의해 분리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콘택트는, 한 쌍의 상기 압접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접부는, 감합 방향을 따른 직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선대칭의 형상을 가지는,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콘택트는, 상기 압접부와 연속해서 형성되고, 당해 압접부보다 폭이 좁아지는 폭협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압접부 및 상기 폭협부는,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커넥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감합 대상물은, 상기 하나의 콘택트가 마련된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폭협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돌기부를 더 구비하는, 커넥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벽 및 상기 제 2 격벽은, 감합 시에 감합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커넥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감합 대상물은, 서로 접속부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감합 대상물은, 상기 케이블을 보지하고,
    상기 하나의 콘택트는, 감합 후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과 도통한 상태로 내포되는,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대상물은, 한 쌍의 상기 케이블을 보지하고,
    상기 하나의 콘택트는, 감합 후에 있어서, 상기 압접부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코어선을 협지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끼리를 도통시키는, 커넥터.
KR1020207000545A 2017-07-18 2018-07-05 커넥터 KR102384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39270 2017-07-18
JP2017139270A JP6486419B2 (ja) 2017-07-18 2017-07-18 コネクタ
PCT/JP2018/025495 WO2019017209A1 (ja) 2017-07-18 2018-07-05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547A KR20200011547A (ko) 2020-02-03
KR102384162B1 true KR102384162B1 (ko) 2022-04-08

Family

ID=65015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545A KR102384162B1 (ko) 2017-07-18 2018-07-05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18442B2 (ko)
EP (1) EP3657603A4 (ko)
JP (1) JP6486419B2 (ko)
KR (1) KR102384162B1 (ko)
CN (1) CN110870140B (ko)
WO (1) WO20190172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5196B2 (en) 2015-01-26 2018-02-06 Hayward Industries, Inc. Pool cleaner power coupling
KR102278635B1 (ko) * 2020-07-16 2021-07-15 이은길 단자함 구조체
CN116250152A (zh) 2020-09-24 2023-06-09 京瓷Avx元器件公司 无焊接线对板单对以太网连接系统
CN114678710A (zh) * 2020-12-24 2022-06-28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夹持端子
CN117981175A (zh) * 2021-09-23 2024-05-03 京瓷Avx元器件公司 线对线汇接连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3081A (ja) 2008-12-24 2010-07-08 Yazaki Corp 照明ユニット
JP2016134231A (ja) * 2015-01-16 2016-07-25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分岐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9236A (en) * 1974-06-24 1975-08-12 Amerace Corp Electrical connector
US3936128A (en) * 1975-01-31 1976-02-03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Solderless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US4496206A (en) * 1982-05-24 1985-01-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ide entry electrical wire connector
US4444447A (en) * 1982-05-24 1984-04-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 wire connector
JP2863877B2 (ja) * 1991-03-29 1999-03-03 幹彦 布施 モニター可能なコネクター
JP3028988B2 (ja) 1992-02-05 2000-04-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ネクタ
US5498172A (en) * 1993-07-30 1996-03-12 Sunx Kabushiki Kaisha Electrical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parallel multiconductor cables
JP2836463B2 (ja) * 1993-10-26 1998-12-14 住友電装株式会社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H08162177A (ja) * 1994-12-05 1996-06-21 Yazaki Corp 圧接コネクタへの電線圧接方法及び圧接コネクタ
JPH08306428A (ja) * 1995-04-28 1996-11-22 Fuji Hoon Seisakusho:Kk 電線接続部品
JPH0927355A (ja) * 1995-07-10 1997-01-28 Sumitomo Wiring Syst Ltd 圧接コネクタ
JP3028988U (ja) 1996-03-13 1996-09-17 ヤーマン株式会社 光脱毛装置
ZA976987B (en) * 1996-08-16 1999-12-13 Molex Inc Electrical tap-off connector.
JP3593425B2 (ja) * 1996-09-13 2004-11-24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
US6312282B1 (en) * 1999-03-22 2001-11-06 Ideal Industries, Inc.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US6890210B2 (en) * 2003-03-21 2005-05-1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DC contacts
ITPD20070020U1 (it) * 2007-02-02 2008-08-03 Inarca Spa Connettore elettrico perfezionato
US7686661B2 (en) * 2008-07-31 2010-03-3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ion enclosure assemblies, connector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an enclosed connection between conductors
PT2497154T (pt) 2009-11-03 2017-08-28 Orica Explosives Tech Pty Ltd Conector e métodos de utilização
JP2011146310A (ja) * 2010-01-16 2011-07-28 Yasumitsu Matsuda ネジ締め構造の導線圧入コネクター
DE102010051069A1 (de) * 2010-11-12 2012-05-16 Illinois Tool Works Inc. Verbind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 leitenden Verbindung
FR2977384B1 (fr) * 2011-06-28 2013-08-02 App Mat Elect Const Connecteur pour relier l'un a l'autre deux cables electriques
CN102723624B (zh) * 2012-03-30 2014-04-16 深圳市拓普联科电子有限公司 市电电线连接组件及连接方法
JP6634235B2 (ja) 2015-08-03 2020-01-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端子
CN107534245B (zh) * 2015-09-14 2019-12-24 京瓷株式会社 分支连接器
US10541478B1 (en) * 2017-10-04 2020-01-21 The Patent Store, Llc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3081A (ja) 2008-12-24 2010-07-08 Yazaki Corp 照明ユニット
JP2016134231A (ja) * 2015-01-16 2016-07-25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分岐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57603A1 (en) 2020-05-27
WO2019017209A1 (ja) 2019-01-24
KR20200011547A (ko) 2020-02-03
CN110870140B (zh) 2022-03-18
JP6486419B2 (ja) 2019-03-20
JP2019021511A (ja) 2019-02-07
US20200144735A1 (en) 2020-05-07
US11018442B2 (en) 2021-05-25
CN110870140A (zh) 2020-03-06
EP3657603A4 (en)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162B1 (ko) 커넥터
JP6495216B2 (ja) 分岐コネクタ
CN109845037B (zh) 分支连接器
KR102202562B1 (ko) 커넥터
KR102275108B1 (ko) 커넥터
JP6401869B1 (ja) コネクタ
KR102216099B1 (ko) 커넥터
KR102238646B1 (ko) 커넥터
CN109155486B (zh) 分支连接器
JP6401770B2 (ja) 分岐コネクタ
WO2018173685A1 (ja) コネクタ
JP2018160457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