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562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562B1
KR102202562B1 KR1020197021857A KR20197021857A KR102202562B1 KR 102202562 B1 KR102202562 B1 KR 102202562B1 KR 1020197021857 A KR1020197021857 A KR 1020197021857A KR 20197021857 A KR20197021857 A KR 20197021857A KR 102202562 B1 KR102202562 B1 KR 102202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iller
fitting object
connector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5476A (ko
Inventor
데츠야 하타
시게키 오하라
사토시 오구니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5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01R13/5208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having at least two cable receiving open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01R13/501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comprising an integral hinge or a frangible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01R4/2433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one part of the base being movable to push the cable into the sl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 H01R4/245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forming a U-shape with slotted bran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충전제의 압축율의 저하를 방지하여, 외부의 이물의 침입을 충분하게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개시와 관련되는 커넥터(10)는, 케이블의 절연성의 피복을 압접용 홈에 의해 절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서로 감합 가능한 한 쌍의 제 1 감합 대상물(16) 및 제 2 감합 대상물(30)과, 제 1 감합 대상물(16) 또는 제 2 감합 대상물(30)에 마련되며, 압접용 홈을 가지는 콘택트(50)와, 제 1 감합 대상물(16) 및 제 2 감합 대상물(30)의 적어도 일방에 마련되며, 제 1 감합 대상물(16) 및 제 2 감합 대상물(30)의 감합 시에, 콘택트(50)와 대향하는 벽부(44)와, 제 1 감합 대상물(16) 및 제 2 감합 대상물(30)의 적어도 일방의 내부에 마련된 충전제(70)를 구비하며, 벽부(44)는, 제 1 감합 대상물(16) 및 제 2 감합 대상물(30)의 감합 시에, 충전제(70)와 콘택트(50)에 의해 끼워져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관련 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7년 3월 22일에 일본국에 특허출원된 특허출원2017-056635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출원의 개시 전체를 여기에 참조하기 위하여 포함한다.
본 개시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서로 감합(嵌合)하는 한 쌍의 감합 대상물에 각각 충전제를 배치하고, 감합 시에, 대응하는 콘택트에 있어서의 접촉부를 물 또는 먼지 등의 외부의 이물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커버와 본체를 서로 감합시켰을 때에, 그로멧의 한 쌍의 탄성 환상(環狀) 부재가 서로 밀착함으로써, 방적(防滴) 구조를 얻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제 3028988호 공보
그러나, 한 쌍의 감합 대상물에 각각 충전제를 배치하고, 감합 시에 충전제가 서로 밀착하는 경우, 압축 상태가 되는 충전제의 압력에 의해 감합 대상물 내부의 인슐레이터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에 의해, 충전제의 압축율이 저하되어, 커넥터는, 외부의 이물의 침입을 충분하게 억제할 수 없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충전제의 압축율의 저하를 방지하여, 외부의 이물의 침입을 충분하게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 1 관점과 관련되는 커넥터는,
케이블의 심선(芯線)을 압접(壓接)용 홈에 의해 협지(挾持)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서로 감합 가능한 한 쌍의 제 1 감합 대상물 및 제 2 감합 대상물과,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또는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에 마련되며, 상기 압접용 홈을 가지는 콘택트와,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의 적어도 일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의 감합 시에, 상기 콘택트와 대향하는 벽부와,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의 적어도 일방의 내부에 마련된 충전제를 구비하며,
상기 벽부는,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의 감합 시에, 상기 충전제와 상기 콘택트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충전제와 상기 콘택트에 의해 끼워져 있다.
제 2 관점과 관련되는 커넥터에서는,
상기 콘택트는, 상기 압접용 홈이 형성되는 압접편(片)을 구비하며,
상기 벽부는,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의 감합 방향, 및 상기 케이블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압접편과 대향하며, 상기 충전제와 상기 압접편에 의하여, 상기 수직한 방향을 따라 끼워져 있어도 된다.
제 3 관점과 관련되는 커넥터에서는,
상기 벽부는,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압접편과 대향하며,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의 감합 시에, 상기 충전제와 상기 압접편에 의하여,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끼워져 있어도 된다.
제 4 관점과 관련되는 커넥터에서는,
상기 벽부는,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의 감합 방향을 따른 상기 충전제의 두께와 대략 동일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어도 된다.
제 5 관점과 관련되는 커넥터에서는,
상기 벽부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른 상기 콘택트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압접용 홈의 바닥부까지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도 된다.
제 6 관점과 관련되는 커넥터에서는,
상기 벽부는,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의 감합 시에, 상기 콘택트의 대향하는 부분과 맞닿아도 된다.
제 7 관점과 관련되는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은, 서로 접속부에 의해 접속되며,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또는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은, 적어도 2개의 상기 케이블을 보지(保持)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과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의 감합 시에, 상기 압접용 홈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심선을 협지하여, 상기 케이블끼리를 도통시켜도 된다.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의하면, 충전제의 압축율의 저하를 방지하여, 외부의 이물의 침입을 충분하게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 가능하다.
도 1은 절연 하우징이 전개 상태에 있을 때의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 제 1 케이블, 및 제 2 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중계 콘택트를 구비하지 않는 상태의 제 1 분할 하우징만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2 분할 하우징만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중계 콘택트를 구비하지 않는 상태의 절연 하우징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중계 콘택트 단체(單體)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절연 하우징이 전개 상태로부터 로크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의 커넥터, 제 1 케이블, 및 제 2 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절연 하우징이 로크 상태에 있을 때의 커넥터, 제 1 케이블, 및 제 2 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절연 하우징에 충전제를 장전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충전제를 장전한 커넥터의 로크 상태를 나타낸 도 9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충전제를 장전한 커넥터의 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도 8의 ⅩⅡ-ⅩⅡ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변형예와 관련되는 제 1 로크부와 제 2 로크부의 결합부를 확대한 도 11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중의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충전제(70)를 장전하고 있지 않는 상태의 커넥터(10)의 구조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도 1은, 절연 하우징(15)이 전개 상태에 있을 때의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10),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일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큰 구성 요소로서 절연 하우징(15)과 중계 콘택트(50)(콘택트)를 구비한다.
절연 하우징(15)은, 예를 들면 절연성의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한 성형품이다. 절연 하우징(15)은, 제 1 분할 하우징(16)(제 1 감합 대상물)과, 제 2 분할 하우징(30)(제 2 감합 대상물)을 가진다. 절연 하우징(15)은,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을 접속하는 연결부로서의 제 1 접속부(46) 및 제 2 접속부(47)(접속부)를 가진다. 절연 하우징(15)은, 제 1 분할 하우징(16), 제 2 분할 하우징(30), 및 제 1 접속부(46) 및 제 2 접속부(47)를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가진다.
도 3은, 중계 콘택트(50)를 구비하지 않는 상태의 제 1 분할 하우징(16)만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제 1 분할 하우징(16)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두께 방향의 일방의 면(도 3의 상면)의 외주연부(外周緣部)는, 외주벽(17)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주벽(17)보다 내주(內周)측은,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일단(一段) 오목한 내주측 오목부(17a)에 의해 구성된다. 내주측 오목부(17a)의 바닥면은,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상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내주측 제 1 대향면(17b)에 의해 구성된다. 내주측 제 1 대향면(17b)보다 내주측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은, 내주측 제 1 대향면(17b)보다 하방으로 일단 오목한 중앙 제 1 오목부(17c)에 의해 구성된다. 중앙 제 1 오목부(17c)의 바닥면은, 내주측 제 1 대향면(17b)과 평행한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제 1 대향면(17d)에 의해 구성된다. 중앙 제 1 오목부(17c)와 중앙 제 1 대향면(17d)에 의하여, 콘택트 부착홈(18)이 형성된다. 콘택트 부착홈(18)은, 고정부(18a)와, 고정부(18a)의 좌우 방향 중간에 위치하며, 고정부(18a)의 전후폭을 좁혀 고정부(18a)를 좌우 한 쌍으로 구획하는 중간 볼록부(18b)를 가진다. 한 쌍의 고정부(18a)의 바닥면(중앙 제 1 대향면(17d))에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위치 결정 돌기(18c)가 돌출하여 마련된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주벽(17)에는, 일방의 고정부(18a)의 전후 양측에 위치하면서 또한 서로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1 케이블 부착홈(19)이 오목하게 마련된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주벽(17)에는, 타방의 고정부(18a)의 전후 양측에 위치하면서 또한 서로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2 케이블 부착홈(20)이 오목하게 마련된다. 제 2 케이블 부착홈(20)은, 제 1 케이블 부착홈(19)과 평행을 이룬다. 제 1 케이블 부착홈(19) 및 제 2 케이블 부착홈(20)의 정면 형상은, 반원형이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주벽(17)의 전후면에는, 한 쌍의 제 1 케이블 부착홈(19)의 가장 깊은 바닥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진 한 쌍의 경사면(19a)이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주벽(17)의 전후면에는, 한 쌍의 제 2 케이블 부착홈(20)의 가장 깊은 바닥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진 한 쌍의 경사면(20a)이 마련된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주벽(17)의 전후면에는, 전후의 경사면(19a,20a)보다 하방 위치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평판상의 덮개부(21,22)가 마련된다. 덮개부(21,22)의 대향면(21a,22a)은, 경사면(19a,20a)의 최하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주벽(17)의 좌우 양측면에는, 탄성을 가지는 한 쌍의 제 1 로크부(25)가 형성된다. 각 제 1 로크부(25)와 외주벽(17)의 전후면의 사이에는, 한 쌍의 오목부(25a)가 형성된다. 각 제 1 로크부(25)는,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 1 로크용 돌기(26)를 가진다. 제 1 로크용 돌기(26)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다. 각 제 1 로크용 돌기(26)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6a)을 가진다. 제 1 로크부(25)는, 내면의 상연부(上緣部)에 형성되며,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제 1 분할 하우징(16)의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6b)을 가진다.
도 4는, 제 2 분할 하우징(30)만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제 2 분할 하우징(30)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두께 방향의 일방의 면(도 4의 상면)의 외주연부에는 외주벽(31)이 돌출하여 마련된다. 제 2 분할 하우징(30)의 외주벽(31)보다 내주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외주벽(31)의 상연부보다 일단 오목한 내주측 오목부(31a)에 의해 구성된다. 내주측 오목부(31a)의 바닥면은, 제 2 분할 하우징(30)의 상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내주측 제 2 대향면(31b)에 의해 구성된다. 내주측 제 2 대향면(31b)에는, 좌우 한 쌍의 단면 U자형의 제 1 가압홈(32a) 및 제 2 가압홈(32b)을 가지는 케이블 가압 돌기(32)가 돌출하여 마련된다. 케이블 가압 돌기(32)는, 중앙 돌기(32c)와, 중앙 돌기(32c)의 좌우 방향 양측에 돌기(32d,32e)를 가진다. 중앙 돌기(32c)와 일방의 돌기(32d)의 사이에 제 1 가압홈(32a)이 형성된다. 중앙 돌기(32c)와 타방의 돌기(32e)의 사이에 제 2 가압홈(32b)이 형성된다.
돌기(32d,32e)의 전후 양단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일단 돌출되며,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벽부(44)가 형성된다. 벽부(44)는,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의 감합 시에, 후술하는 중계 콘택트(50)의 제 1 케이블 압접편(52) 및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의 좌우 방향을 따른 외측의 단부를 받아들인다. 벽부(44)는, 각 압접편의 좌우 방향을 따른 외측의 단부에 있어서, 전면(前面) 또는 후면, 및 좌우 방향의 외측면과 대향하도록,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분할 하우징(30)에는, 전후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케이블 지지 아암부(35,36)가 형성된다. 케이블 지지 아암부(35,36)의 상면에는, 제 1 케이블 보지홈(35a,36a)과 제 2 케이블 보지홈(35b,36b)이 마련된다. 전방측의 케이블 지지 아암부(35) 및 후방측의 케이블 지지 아암부(36)는, 제 1 케이블 보지홈(35a,36a)의 전단측 부분 및 후단측 부분이, 좌우로 공극에 의해 분리 분할된 한 쌍의 돌출편(37a) 및 한 쌍의 돌출편(38a)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전방측의 케이블 지지 아암부(35) 및 후방측의 케이블 지지 아암부(36)는, 제 2 케이블 보지홈(35b 및 36b)의 전단측 및 후단측 부분이, 좌우로 공극에 의해 분리 분할된 한 쌍의 돌출편(37b) 및 한 쌍의 돌출편(38b)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각 한 쌍의 돌출편(37a,38a,37b,38b), 특히 케이블 지지 아암부(35,36)의 좌우 외측의 돌출편은, 좌우 반향으로 탄성적으로 휘며, 인접하는 돌출편끼리의 간격이 가변이다. 각 한 쌍의 돌출편(37a,38a,37b,38b)에는, 서로 대향하는 클로부가, 전후단부의 하단부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된다.
제 1 케이블 보지홈(35a,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36b)은,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을 전체 직경에 걸쳐서 각각 삽입 보지되는(전체 직경이 수용되는) 깊이의 홈이다. 제 1 케이블 보지홈(35a,36a)은, 외측을 향함에 따라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면(35e,36e)을 가진다. 제 1 케이블(60)이, 제 1 케이블 보지홈(35a,36a)에 삽입 보지되면, 제 1 케이블(6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블 보지홈(35a,36a)의 경사면(35e,36e)을 따라, 대응하는 케이블 부분이 상하 경사 방향으로 경사진다. 마찬가지로, 제 2 케이블 보지홈(35b,36b)은, 경사면(35f,36f)을 가지며, 제 2 케이블(65)도, 제 1 케이블(60)과 마찬가지의 양태로, 제 2 케이블 보지홈(35b,36b)에 삽입 보지된다.
제 1 케이블 보지홈(35a,36a)의 전후단부의 상방 개구부 근처(돌출편(37a,38a)의 각 대향면)에는, 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5c)와 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6c)가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케이블 보지홈(35b,36b)의 전후단부의 상방 개구부 근처(돌출편(37b,38b)의 각 대향면)에는, 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5d)와 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6d)가 마련된다. 탈락 방지 돌기(35c,36c 및 35d,36d)는,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제 1 케이블 보지홈(35a,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36b)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 때, 각 한 쌍의 돌출편(37a,38a) 및 각 한 쌍의 돌출편(37b,38b)은, 좌우 방향의 간격(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5c,36c 및 35d,36d)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휜다.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제 1 케이블 보지홈(35a,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36b)에 삽입되면, 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5c,36c 및 35d,36d)가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을 각각 끼워 누른다. 각 한 쌍의 돌출편(37a,38a) 및 각 한 쌍의 돌출편(37b,38b)은, 탄성적으로 좌우 방향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휜다. 따라서, 각 한 쌍의 돌출편(37a,38a) 및 각 한 쌍의 돌출편(37b,38b)은, 제 1 케이블 보지홈(35a,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36b)에 각각 삽입된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케이블 연장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항을 부여하면서 허용한다. 동시에, 각 한 쌍의 돌출편(37a,38a) 및 각 한 쌍의 돌출편(37b,38b)은, 제 1 케이블 보지홈(35a,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36b)으로부터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각각 이탈하려고 하는 힘에 저항을 부여해서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빠짐 방지로서 작용하면서,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한 이탈을 가능하게 한다. 이 빠짐 방지 작용은, 제 2 분할 하우징(30)의 상하(표리)를 반전시켜도 유지된다.
제 2 분할 하우징(30)의 외주벽(31)의 좌우 양측면에는, 한 쌍의 제 2 로크부(39)가 형성된다. 한 쌍의 제 2 로크부(39)는,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면에 형성된다. 각 제 2 로크부(39)는, 제 2 분할 하우징(30)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제 2 로크용 돌기(40)를 가진다. 각 제 2 로크부(39)의 전후 양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볼록벽(41)이 형성된다. 각 제 2 로크용 돌기(40)는, 대략 직방체형상이며, 한 쌍의 볼록벽(41) 사이에 걸쳐지도록,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면에 형성된다. 제 2 로크용 돌기(4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5는, 중계 콘택트(50)를 구비하지 않는 상태의 절연 하우징(15)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은, 제 1 분할 하우징(16)측으로부터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전후 한 쌍의 제 1 접속부(46)와, 제 2 분할 하우징(30)측으로부터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전후 한 쌍의 제 2 접속부(47)와, 굴곡 용이부(48)에 의해서 연결된다. 굴곡 용이부(48)는, 제 1 접속부(46)와 제 2 접속부(47)를 접속한다. 전후 한 쌍의 제 1 접속부(46)와 전후 한 쌍의 제 2 접속부(47)는, 전개 상태에서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곡 용이부(48)는, 전후의 제 1 접속부(46) 및 제 2 접속부(47)보다 박육(薄肉)하게 되어 있다. 전후의 제 1 접속부(46)와 제 2 접속부(47)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굴곡 용이부(48)를 절곡선으로 하여, 도 1, 도 5 등에 있어서 안쪽으로 접기(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이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 가능(용이)하다. 제 1 접속부(46)는, 제 2 접속부(47)보다 휨강성이 작게 설정된다.
제 1 분할 하우징(16), 제 1 접속부(46), 굴곡 용이부(48), 제 2 접속부(47),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은,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 자율적으로 이 전개 상태를 유지하는 정도의 강도(강성)를 가진다.
도 6은, 중계 콘택트(50) 단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중계 콘택트(50)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중계 콘택트(50)는, 스프링 탄성을 가지는 구리 합금(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 구리, 티탄 구리) 또는 코르손계 구리 합금의 박판을 순송(順送)금형(스탬핑)을 이용해서 도시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중계 콘택트(50)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베이스를 형성한 후에, 주석 구리 도금 또는 주석 도금(혹은 금 도금)이 실시된다.
중계 콘택트(5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상의 기편(基片)(51)과, 기편(51)의 전후 양측 가장자리부의 일방의 단부에 돌출하여 마련한, 기편(5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상의 한 쌍의 제 1 케이블 압접편(52)과, 기편(51)의 전후 양측 가장자리부의 타방의 단부에 돌출하여 마련한, 기편(5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상의 한 쌍의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을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기편(51)의 좌우 2개소에는 원형의 위치 결정 구멍(51a)이 형성된다. 전후의 제 1 케이블 압접편(52)과 제 2 케이블 압접편(54)에는, 기편(51)측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압접용 홈(53)과 제 2 압접용 홈(55)이 각각 형성된다. 제 1 압접용 홈(53)의 상단 개구부는, 선단부(52a)에 의해 상방을 향하여 넓어지는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된다. 제 2 압접용 홈(55)의 상단 개구부는, 선단부(54a)에 의해 상방을 향하여 넓어지는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된다.
전후 한 쌍의 제 1 케이블 압접편(52) 및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은, 좁은 폭부(잘록부)(52b,54b)를 각각 개재하여 기편(51)과 접속된다. 좌우 방향에 위치하는 제 1 케이블 압접편(52)과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의 대향 가장자리부의 간격은, 좁은 폭부(52b)와 좁은 폭부(54b)의 대향 가장자리부의 간격보다 좁다. 좁은 폭부(52b와 54b)의 사이에는, 여유부(51b)가 마련된다. 제 1 케이블 압접편(52)과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의 사이에는, 인슐레이터 등, 다른 부재가 개재되지 않는다.
중계 콘택트(50)는,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의 감합 시에,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에 의해 절연성의 피복(62) 및 피복(67)을 각각 절단하여,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끼리를 도통시킨다. 중계 콘택트(50)는, 감합 시에,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에 의해 심선(61) 및 심선(66)을 각각 협지하여,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끼리를 도통시킨다.
제 1 케이블(60)과 제 2 케이블(65)은, 도전성 및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예를 들면 구리 또는 알루미늄)로 이루어지는 심선(61,66)(연선 또는 단선)의 표면을 튜브상 또한 가요성 및 절연성을 가지는 피복(62,67)으로 각각 덮은 것이다. 제 1 케이블(60)은, 배선 대상물(예를 들면 자동차 등)의 내부에 처음부터 배선하며 또한 배선 대상물의 전원과 접속하는 케이블이다. 제 2 케이블(65)은, 제 1 케이블(60)에 대하여 나중에 추가로 접속하는 케이블이다. 그 일단(전단)에는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예를 들면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이 접속된다.
도 7은, 절연 하우징(15)이 전개 상태로부터 로크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의 커넥터(10),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절연 하우징(15)이 로크 상태에 있을 때의 커넥터(10),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절연 하우징(15), 중계 콘택트(50),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을 일체화하고, 제 1 케이블(60)과 제 2 케이블(65)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면서 커넥터(1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조립 작업자가 손 등에 의해 도 1, 도 5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 있는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콘택트 부착홈(18)에 대하여 중계 콘택트(50)의 하부를 감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여유부(51b)를 중간 볼록부(18b)에 감합시키면서 기편(51)을 콘택트 부착홈(18)의 바닥부에 감합시킨다. 제 1 케이블 압접편(52)의 기편(51)측의 반부(半部)(도 1, 도 2에서는 하반부)를 대응하는 고정부(18a)에 감합시킨다.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의 기편(51)측의 반부를 대응하는 고정부(18a)에 감합시킨다. 기편(51)의 한 쌍의 위치 결정 구멍(51a)에 대하여 제 1 분할 하우징(16)의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18c)가 감합하므로(도 2, 도 9), 중계 콘택트(50)가 제 1 분할 하우징(16)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중계 콘택트(50)를 제 1 분할 하우징(16)에 부착하면, 전후의 제 1 케이블 부착홈(19)을 지나는 축선 상에 전후의 제 1 압접용 홈(53)이 위치하고, 또한, 전후의 제 2 케이블 부착홈(20)을 지나는 축선 상에 전후의 제 2 압접용 홈(55)이 위치한다.
조립 작업자가 손 등에 의해, 전후의 탈락 방지 돌기(35c,36c 및 35d,36d)에 의한 저항에 저항하여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을 각각 밀어 넣는다(도 1 참조). 그 때, 각 돌출편(37a,38a,37b,38b)은 탄성력에 저항하여 휘어, 대향하는 탈락 방지 돌기(35c,36c 및 35d,36d)의 간격을 넓힌다.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제 1 케이블 보지홈(35a,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36b)에 각각 밀어넣어지면, 대향하는 탈락 방지 돌기(35c,36c 및 35d,36d)의 간격이 좁아진다. 이에 의해,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은, 제 1 케이블 보지홈(35a,36a)의 바닥부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36b)의 바닥부와 탈락 방지 돌기(35c,36c 및 35d,36d)의 사이에 각각 협지된다. 이에 의해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은, 저항을 받으면서 케이블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전개 상태의 커넥터(10)에 대한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연장 방향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제 1 케이블 보지홈(35a,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36b)으로부터 각각 이탈하려고 하면, 이탈을 저지하는 저항을 받는다. 따라서, 커넥터(10)를 상하 거꾸로 해도,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제 1 케이블 보지홈(35a,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36b)으로부터 각각 용이하게 빠지지 않는다.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은, 일정 이상의 가압력에 의해 제 1 케이블 보지홈(35a,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36b)으로부터 각각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커넥터(10)의 교환, 및 커넥터(10)에 착탈하는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변경이 용이하다.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을 좌우 방향으로 늘어놓고, 제 1 케이블 보지홈(35a,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36b)에 각각 감합 보지한 상태 그대로, 전후의 굴곡 용이부(48)를 중심으로 제 2 분할 하우징(30)(전후의 제 2 접속부(47))을 제 1 분할 하우징(16)(전후의 제 1 접속부(46))에 대하여 접근하도록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 2 분할 하우징(30)측의 제 2 로크용 돌기(40)가, 대응하는 제 1 로크용 돌기(26)의 경사면(26a)에 맞닿는다. 더 회전시키면, 당해 제 2 로크용 돌기(40)가 대응하는 경사면(26a)을 하방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대응하는 제 1 로크용 돌기(26)가, 제 1 분할 하우징(16)의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제 2 접속부(47)측에 위치하는 케이블 가압 돌기(32)의 제 2 가압홈(32b)이, 제 2 케이블(65)의 중간부를, 제 2 압접용 홈(55)의 안쪽(하방)으로 약간 밀어넣는다. 이에 의해, 제 2 케이블(65)의 중간부가, 전후의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의 사이의 공간에 들어간다.
손 등에 의해 제 2 분할 하우징(30)을 전후의 굴곡 용이부(48)를 중심으로 제 1 분할 하우징(16)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으로 더 회전시킨다. 제 2 접속부(47)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케이블 가압 돌기(32)의 제 1 가압홈(32a)이, 제 1 케이블(60)의 중간부를 제 1 케이블 압접편(52)의 선단부(52a)에 대하여 제 1 압접용 홈(53)의 연장 돌출 방향 또는 이에 가까운 방향으로 누른다. 따라서, 제 1 케이블(60)이 선단부(52a)와 케이블 가압 돌기(32)에 의하여 협지된다.
제 1 케이블(60)과 제 2 케이블(65)을 중계 콘택트(50)의 선단부(52a,54a)에 재치(載置)한 후에, 도시를 생략한 일반적인 공구(예를 들면, 플라이어)에 의해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가압한다. 각 제 2 로크용 돌기(40)가, 대응하는 제 1 로크용 돌기(26)에 대하여 계합(engaging)한다. 제 2 로크부(39)의 각 볼록벽(41)이, 대응하는 오목부(25a)와 감합한다. 이에 의해, 제 1 분할 하우징(16)이 제 2 분할 하우징(30) 내에 수용되고, 제 1 로크부(25)와 제 2 로크부(39)는, 감합한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측에서 계합한다.
케이블 가압 돌기(32)는,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중간부를 각각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의 안쪽(바닥면측)으로 더 밀어넣는다. 따라서, 제 1 케이블(60)이 선단부(52a)로부터 제 1 압접용 홈(53)의 대략 중앙부까지 밀어넣어진다. 제 2 케이블(65)이 선단부(54a)로부터 제 2 압접용 홈(55)의 대략 중앙부까지 밀어넣어진다. 이 때, 케이블 가압 돌기(32)의 제 1 가압홈(32a) 및 제 2 가압홈(32b)에 의한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각각의 가압 방향이 상하 방향(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의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이 된다. 이에 의해, 제 1 압접용 홈(53)의 내면(좌우 양면)에 의해 제 1 케이블(60)의 피복(62)의 좌우 양측부가 갈라진다. 제 2 압접용 홈(55)의 내면(좌우 양면)에 의해 제 2 케이블(65)의 피복(67)의 좌우 양측부가 갈라진다. 따라서, 절연 하우징(15)이 폐쇄 상태로 보지되었을 때에, 제 1 압접용 홈(53)의 내면(한 쌍의 대향면)이 심선(61)의 양측부에 대하여 균등 또한 확실하게 접촉(압접)된다. 제 2 압접용 홈(55)의 내면(한 쌍의 대향면)이 심선(66)의 양측부에 대하여 균등 또한 확실하게 접촉(압접)된다. 그 결과, 커넥터(10)의 내부에 있어서 제 1 케이블(60)의 심선(61)과 제 2 케이블(65)의 심선(66)이 중계 콘택트(50)를 개재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심선(61,66)의 양측부의 일방에 대하여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의 내면이 과도하게 강하게 맞닿는 일이 없기 때문에, 심선(61,66)의 일부가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에 의해 각각 절단될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심선(61,66)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지 않으므로,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에 인장력이 작용해도 심선(61,66)이 완전하게 절단될 우려는 적다. 따라서,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과 중계 콘택트(50)의 접촉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이 폐쇄 상태로(감합하여) 보지(로크)된 상태에서는, 제 1 분할 하우징(16)의 덮개부(21,22)의 대향면(21a,22a)이, 제 1 케이블 보지홈(35a,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36b)의 개구부(도 4의 상방의 개구부)의 일부를 막고 있다. 제 1 케이블(60)은, 제 1 분할 하우징(16)의 한 쌍의 경사면(19a), 및 대응하는 제 2 분할 하우징(30)의 경사면(35e,36e)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워져 있다. 제 2 케이블(65)은, 제 1 분할 하우징(16)의 한 쌍의 경사면(20a), 및 대응하는 제 2 분할 하우징(30)의 경사면(35f,36f)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워져 있다.
이하에서는, 충전제(70)를 장전한 상태의 커넥터(10)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충전제(70)는,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에 각각 마련된다(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는,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의 감합 시에, 합착(合着)하여 서로 일체화되어도 되고, 점착해서 접합면을 형성해도 된다. 충전제(70)는, 방수용 겔, UV 경화 수지, 또는 접착제 등 중, 합착성 또는 점착성을 가지는 임의의 재료여도 된다.
도 10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절연 하우징(15)에 충전제(70)를 장전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충전제(70)를 장전한 커넥터(10)의 로크 상태를 나타낸 도 9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충전제(70)를 장전한 커넥터(10)의 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도 8의 ⅩⅡ-ⅩⅡ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일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분할 하우징(16)의 내주측 제 1 대향면(17b)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주측 제 2 대향면(31b)에, 충전제(70)를 개재시킨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내주측 제 1 대향면(17b)에 개재시킨 제 1 충전제(70a)는, 하면의 평면 형상이 내주측 제 1 대향면(17b)과 대략 동일하며, 중계 콘택트(50)의 주위를 둘러싸는 각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충전제(70a)의 높이는,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이 감합했을 때에, 제 1 충전제(70a)와 제 2 충전제(70b)가 합착 또는 점착되는 높이이다.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주측 제 2 대향면(31b)에 개재시킨 제 2 충전제(70b)는, 하면의 평면 형상이 내주측 제 2 대향면(31b)과 대략 동일하며, 케이블 가압 돌기(32)의 주위를 둘러싸는 각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충전제(70b)의 높이는,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이 감합했을 때에, 제 1 충전제(70a)와 제 2 충전제(70b)가 합착 또는 점착되는 높이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로부터, 커넥터(10)를 로크 상태로 천이시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한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부 전체가 충전제(70)에 의해 충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이 로크 상태가 되었을 때에, 충전제(70)는, 내주측 제 1 대향면(17b)과 내주측 제 2 대향면(31b)에 밀착하며, 또한, 중계 콘택트(50)의 주위를 둘러싼다.
로크 상태에 있어서,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는, 서로 찌부러 뜨려서 한번 압축 상태가 되어, 확실하게 밀착한다. 이 때, 충전제(70)가 합착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는, 수소 결합 등의 화학 반응에 의해 일체화된다. 충전제(70)가 점착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는, 접합면을 형성하여 서로 점착된다. 이상에 의해, 충전제(70)는, 중계 콘택트(50)의 주위를 밀폐한다.
충전제(70)는,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피복(62,67)의 표면을, 중계 콘택트(50)와의 전기적 도통을 방해하는 일 없이, 밀착하도록 둘러싼다.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의 감합 시에, 감합 방향, 즉 상하 방향을 따른 단면 시에 있어서,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상태에 있어서, 벽부(44)는, 감합 방향 및 각 케이블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 즉 좌우 방향을 따라 제 1 케이블 압접편(52) 및 제 2 케이블 압접편(54)과 대향한다. 벽부(44)는, 제 1 케이블 압접편(52)의 좌측 외측면과 대향한다. 마찬가지로, 벽부(44)는,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의 우측 외측면과 대향한다.
벽부(44)는, 로크 상태에 있어서, 충전제(70)와 제 1 케이블 압접편(52)에 의해, 좌우 방향을 따라 끼워져 있다. 마찬가지로, 벽부(44)는, 로크 상태에 있어서, 충전제(70)와 제 2 케이블 압접편(54)에 의해, 좌우 방향을 따라 끼워져 있다.
도 12에서는, 각 압접편의 좌우 방향을 따른 외측면과 벽부(44)의 사이에는 약간의 공극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벽부(44)는, 로크 상태에 있어서, 각 압접편의 대향하는 부분과 맞닿아도 된다. 벽부(44)는, 각 압접편의 좌우 방향을 따른 외측면과, 상하 방향에 걸쳐 맞닿아도 된다.
벽부(44)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케이블의 연장 방향, 즉 전후 방향을 따라 제 1 케이블 압접편(52) 및 제 2 케이블 압접편(54)과 대향한다. 벽부(44)는, 제 1 케이블 압접편(52)의 전후면에 있어서의 좌측단부와 대향한다. 마찬가지로, 벽부(44)는,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의 전후면에 있어서의 우측단부와 대향한다.
벽부(44)는, 로크 상태에 있어서, 충전제(70)와 제 1 케이블 압접편(52)에 의해, 전후 방향을 따라 끼워져 있다. 마찬가지로, 벽부(44)는, 로크 상태에 있어서, 충전제(70)와 제 2 케이블 압접편(54)에 의해, 전후 방향을 따라 끼워져 있다.
각 압접편의 좌우 방향을 따른 외측면과 마찬가지로, 로크 상태에 있어서, 각 압접편의 전후면과 벽부(44)의 사이에는 약간의 공극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로 한정되지 않으며, 벽부(44)는, 각 압접편의 대향하는 부분과 맞닿아도 된다. 벽부(44)는, 각 압접편의 전후면이 대응하는 부분과, 상하 방향에 걸쳐 맞닿아도 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부(44)는, 상하 방향을 따른 충전제(70)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벽부(44)는, 충전제(70)의 당해 두께와 대략 동일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벽부(44)는, 각 압접편의 선단, 즉 상단으로부터 대응하는 각 압접용 홈의 바닥부까지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도 된다.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은, 충전제(70)가 과다한 경우에 충전제(70)의 잉여분이 들어가는 공간(28 및 43)을 각각 가진다(도 11). 공간(28 및 43)은,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이 감합한 상태에서, 한 쌍의 제 1 로크부(25)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며, 충전제(70)의 하방 및 상방에 각각 마련된다. 이에 의해, 공간(28 및 43)은, 로크 시에 충전제(70)의 잉여분을 흡수해서 축적해둘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는,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에의 가압력 등에 대하여, 개체마다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충전제(70)는, 제 1 분할 하우징(16)의 한 쌍의 제 1 로크부(25)의 내면과 맞닿는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로크용 돌기(26) 및 제 2 로크용 돌기(40)의 계합면(27)은, 그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른 충전제(70)의 폭 내에 위치한다.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을 서로 감합했을 때에, 제 2 로크용 돌기(40)의 표면은, 제 1 로크부(25)의 외면과 맞닿는다. 이에 의해 형성되는 맞닿음면(42)은, 충전제(70)와 맞닿는 제 1 로크부(25)의 내면과 대략 평행하다.
이상과 같은 충전제(70)의 구성에 의해, 커넥터(10)는, 물 또는 먼지 등의 외부의 이물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충전제(70)의 압축율의 저하를 방지하여, 외부의 이물의 침입을 충분하게 억제할 수 있다. 커넥터(10)에서는, 벽부(44)가 좌우 방향을 따라 각 압접편과 대향한 상태로 충전제(70)와 함께 끼워져 있음으로써, 충전제(70)의 압축에 수반하는 내측으로의 압력에 의해 벽부(44)가 좌우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변형되려고 하여도, 각 압접편에 의해 그러한 변형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벽부(44)의 좌우 방향을 따른 내측으로의 변형에 수반하는 충전제(70)의 압축율의 저하를 억제하여, 방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에 각각 밀어 넣어짐으로써, 제 1 케이블 압접편(52) 및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은, 각각 좌우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개방하도록 약간 변형된다. 각 압접편의 외측으로의 변형에 의해, 각 압접편은, 벽부(44)를 가압한다. 각 압접편의 외측으로의 변형에 의한 당해 가압력은, 압축 상태의 충전제(70)로부터 생기는 압력에 의해 벽부(44)가 내측으로 변형하려고 할 때의 저항력이 된다. 이에 의해, 벽부(44)의 내측으로의 변형이 규제되어, 커넥터(10)는, 적절한 방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커넥터(10)에서는, 벽부(44)가 전후 방향을 따라 각 압접편과 대향한 상태로 충전제(70)와 함께 끼워져 있음으로써, 충전제(70)의 압축에 수반하는 내측으로의 압력에 의해 벽부(44)가 전후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변형되려고 하여도, 각 압접편에 의해 그러한 변형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벽부(44)의 전후 방향에 따른 내측으로의 변형에 수반하는 충전제(70)의 압축율의 저하를 억제하여, 방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벽부(44)는, 그 길이가 상하 방향을 따른 충전제(70)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게 됨으로써, 당해 두께 전체에 걸쳐, 압축 상태에 있는 충전제(70)의 압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는, 벽부(44)의 당해 구성에 의해, 충전제(70)의 내측으로의 이동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충전제(70)의 압축율의 저하를 확실하게 방지하여, 적절한 방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벽부(44)가, 각 압접편의 상단으로부터 대응하는 압접용 홈의 바닥부에 이르기까지,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커넥터(10)는, 벽부(44)의 내측으로의 변형을 각 압접편 전체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보다 효과적으로 벽부(44)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는, 적절한 방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벽부(44)가 중계 콘택트(50)의 대향하는 부분과 맞닿음으로써, 대응하는 벽부(44)의 내측으로의 변형을 보다 강하게 규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충전제(70)의 압축율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적절한 방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각 압접편에 의해 내측으로부터 벽부(44)의 변형을 규제함으로써, 변형 방향의 벽부(44)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커넥터(10)는, 예를 들어 벽부(44)가 얇게 형성되어 있었다고 하여도, 각 압접편에 의한 내측으로부터의 규제에 의해, 충전제(70)의 내측으로의 이동을 충분하게 억제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적절한 방수성을 유지하면서, 벽부(44)를 박형(薄型)화하여 전체 형상을 소형화할 수 있다.
충전제(70)가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에 밀착하므로, 가령 커넥터(10)의 외측에 있어서 가해진 외력에 의해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흔들려 굴곡되었다고 하여도, 굴곡에 기인하는 움직임 또는 응력의, 중계 콘택트(50)의 압접부으로의 전달이 억제된다. 따라서, 접촉 신뢰성이 유지된다.
충전제(70)가, 제 1 로크부(25)의 내면과 맞닿음으로써, 탄성을 가지는 제 1 로크부(25)는, 충전제(70)의 팽창 또는 팽윤에 의한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려고 한다. 커넥터(10)에서는 내측에 로크부가 구성되므로, 외측으로의 탄성 변형에 의해, 커넥터(10)는, 제 1 로크부(25)와 제 2 로크부(39)의 계합을 더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1 로크용 돌기(26) 및 제 2 로크용 돌기(40)의 계합면(27)이, 충전제(70)와 맞닿는 제 1 로크부(25)의 내면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폭 내에 있음으로써, 충전제(70)의 팽창력 등이 효율적으로 계합력으로 변환된다. 맞닿음면(42)이 충전제(70)와 맞닿는 제 1 로크부(25)의 내면과 대략 평행이 됨으로써, 충전제(70)의 팽창력 등은, 제 1 로크부(25) 및 제 2 로크용 돌기(40)의 표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전해진다. 이에 의해, 충전제(70)의 팽창력 등이 더 효율적으로 계합력으로 변환된다. 그 결과, 커넥터(10)는,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밀착 상태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이처럼, 커넥터(10)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탄성력이 작용한 상태여도,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개방 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넥터(10)는, 방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당해 효과는, 상온 하에 있어서도 나타나지만, 고온 하에 있어서 충전제(70)의 팽창이 커질수록, 보다 현저하게 나타난다.
충전제(70)가 높은 점도도 가지는 경우, 커넥터(10)는,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 사이의 개방을 더 억제할 수 있다.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면에 충전제(70)가 배치됨으로써, 로크 상태에서 각각의 충전제(70)가 점착된다. 당해 점착력이, 감합한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개방에 대한 저항력이 된다.
커넥터(10)는, 감합한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부에 로크 기구를 형성했기 때문에, 요철 또는 관통구멍이 적은 대략 평면 형상으로 외주벽(31)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방수성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먼지 및 오일 등의 그 외의 이물의 침입도 더 억제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로크용 돌기(26) 및 같은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로크용 돌기(40)가 계합되며, 계합면(27)이 같은 방향으로 연장한 평면을 구성함으로써, 계합면(27)의 면적을 넓혀, 계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계합면(27)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수평이 됨으로써, 계합하는 힘을 제 1 로크용 돌기(26) 및 제 2 로크용 돌기(40) 사이에 전달되기 쉽게 한다. 이처럼, 커넥터(10)는, 종래의 외측에 형성되는 로크부와 비교하여, 제 1 로크용 돌기(26) 및 제 2 로크용 돌기(40)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로크력을 보다 향상시켜, 로크 상태를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제 1 로크부(25) 및 제 2 로크부(39) 자체의 강도도 증가되기 때문에, 커넥터(10)는, 로크부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제 1 로크부(25)가 경사면(26b)을 가짐으로써,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감합 시에, 제 1 로크부(25)의 선단이 충전제(70)에 파고들거나, 충전제(70)를 깎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는, 그 정신 또는 그 본질적인 특징으로부터 멀어지는 일 없이,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이외의 다른 소정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하다. 따라서, 앞의 기술(記述)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시의 범위는, 앞의 기술에 의해서가 아닌, 부가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 모든 변경 중 그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몇 가지 변경은, 그 중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도 13은, 변형예와 관련되는 제 1 로크부(25)와 제 2 로크부(39)의 결합부를 확대한 도 11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로크용 돌기(26) 및 제 2 로크용 돌기(40)의 계합면(27)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 대략 수평한 평면이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계합면(27)이, 감합한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었어도 된다. 커넥터(10)는, 당해 단면 형상에 의해, 로크가 빠지는 가능성을 더 저감할 수 있다.
일실시형태에서는, 제 1 로크부(25)가 제 1 분할 하우징(16)에 형성되고, 제 2 로크부(39)가 제 2 분할 하우징(30)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을 가지는 제 1 로크부(25)가, 중계 콘택트(50)를 가지지 않는 제 2 분할 하우징(30)측에 형성되어도 된다. 제 2 로크부(39)가, 중계 콘택트(50)를 가지는 제 1 분할 하우징(16)측에 형성되어도 된다. 제 1 로크부(25) 및 제 2 로크부(39)의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에 있어서의 형성 위치도, 상기로 한정되지 않는다. 당해 형성 위치는,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을 감합시켜서 로크를 보지하는 것이 가능하면, 임의의 위치여도 된다.
일실시형태에서는, 제 1 로크부(25) 및 제 2 로크부(39)는, 제 1 로크용 돌기(26) 및 제 2 로크용 돌기(40)를 각각 가지며, 제 1 로크용 돌기(26)와 제 2 로크용 돌기(40)가 계합하는 로크 수단을 나타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로크부(25) 및 제 2 로크부(39)는, 임의의 로크 수단을 가져도 된다.
일실시형태에서는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돌기(35c,36c 및 35d,36d)를 제 1 케이블 보지홈(35a,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홈(35b,36b)에 각각 마련했다. 탈락 방지 돌기는, 케이블 가압 돌기(32)의 제 1 가압홈(32a) 및 제 2 가압홈(32b)에 각각 마련해도 된다.
중계 콘택트(50)는, 제 2 케이블(65)을 압접하는 타입이지만, 제 2 케이블(65)을 압착(壓着)하는 타입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 2 케이블(65)이 미리 중계 콘택트(50)에 압착 접속되며, 이 상태에서 중계 콘택트(50)가 제 1 분할 하우징(16)에 장착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중계 콘택트(50)의 한 쌍의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의 일방 대신에, 케이블 압착 단자가 형성된다. 제 2 분할 하우징(30)에는, 잔존하는 압접용 홈에 대응시켜서 하나의 케이블 지지 아암부(35 또는 36)가 마련된다.
반대로, 각 케이블의 커넥터(10)에 의해 지지된 부위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선 3개 이상의 케이블이 커넥터(10)에 의해 접속되어도 된다. 이 경우, 하나의 중계 콘택트에(좌우 방향에 늘어선) 3쌍 이상의 압접용 홈이 형성되어도 된다. 복수의 중계 콘택트의 각각에 압접용 홈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중계 콘택트에 2쌍 이상의 압접용 홈이 형성되고, 각 압접용 홈에 의해 케이블(심선)이 압접되어도 된다.
상기에서는, 제 1 분할 하우징(16)이 제 1 감합 대상물에 대응하고, 제 2 분할 하우징(30)이 제 2 감합 대상물에 대응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대응 관계는, 반대여도 된다.
벽부(44)는, 제 2 분할 하우징(30)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벽부(44)는, 감합 시에 중계 콘택트(50)와 대향하는 구성이면, 제 1 분할 하우징(16)에만 형성되어도 되고,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양방에 형성되어도 된다.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각각에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가 충전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는, 적절한 방수성을 얻을 수 있으면,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어느 일방만이 충전제(70)를 가지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벽부(44)는, 돌기(32d,32e)의 전후 양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벽부(44)는, 돌기(32d,32e)로서의 역할도 달성하면서, 전후 방향에 걸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전후 방향에 걸쳐, 중계 콘택트(50) 전체에 의해 내측으로부터 벽부(44)의 변형을 규제 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는, 벽부(44)의 좌우 방향을 따른 내측으로의 변형에 수반하는 충전제(70)의 압축율의 저하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방수성을 유지할 수 있다.
10 커넥터
15 절연 하우징
16 제 1 분할 하우징(제 1 감합 대상물)
17 외주벽
17a 내주측 오목부
17b 내주측 제 1 대향면
17c 중앙 제 1 오목부
17d 중앙 제 1 대향면
18 콘택트 부착홈
18a 고정부
18b 중간 볼록부
18c 위치 결정 돌기
19 제 1 케이블 부착홈
19a 경사면
20 제 2 케이블 부착홈
20a 경사면
21,22 덮개부
21a,22a 대향면
25 제 1 로크부
25a 오목부
26 제 1 로크용 돌기
26a,26b 경사면
27 계합면
28 공간
30 제 2 분할 하우징(제 2 감합 대상물)
31 외주벽
31a 내주측 오목부
31b 내주측 제 2 대향면
32 케이블 가압 돌기
32a 제 1 가압홈
32b 제 2 가압홈
32c 중앙 돌기
32d,32e 돌기
35,36 케이블 지지 아암부
35a,36a 제 1 케이블 보지홈
35b,36b 제 2 케이블 보지홈
35c,36c 탈락 방지 돌기
35d,36d 탈락 방지 돌기
35e,36e 경사면
35f,36f 경사면
37a,37b,38a,38b 돌출편
39 제 2 로크부
40 제 2 로크용 돌기
41 볼록벽
42 맞닿음면
43 공간
44 벽부
46 제 1 접속부(접속부)
47 제 2 접속부(접속부)
48 굴곡 용이부
50 중계 콘택트(콘택트)
51 기편
51a 위치 결정 구멍
51b 여유부
52 제 1 케이블 압접편(압접편)
52a 선단부
52b 좁은 폭부
53 제 1 압접용 홈(압접용 홈)
54 제 2 케이블 압접편(압접편)
54a 선단부
54b 좁은 폭부
55 제 2 압접용 홈(압접용 홈)
60 제 1 케이블(케이블)
61 심선
62 피복
65 제 2 케이블(케이블)
66 심선
67 피복
70 충전제
70a 제 1 충전제
70b 제 2 충전제

Claims (7)

  1. 케이블의 심선을 압접용 홈에 의해 협지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서로 감합 가능한 한 쌍의 제 1 감합 대상물 및 제 2 감합 대상물과,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또는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에 마련되며, 상기 압접용 홈을 가지는 콘택트와,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의 적어도 일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의 감합 시에, 상기 콘택트와 대향하는 벽부와,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의 적어도 일방의 내부에 마련된 충전제를 구비하며,
    상기 벽부는,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의 감합 시에, 상기 충전제와 상기 콘택트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충전제와 상기 콘택트에 의해 끼워져 있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압접용 홈이 형성되는 압접편을 구비하며,
    상기 벽부는,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의 감합 방향, 및 상기 케이블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압접편과 대향하며, 상기 충전제와 상기 압접편에 의하여, 상기 수직한 방향을 따라 끼워져 있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압접편과 대향하며,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의 감합 시에, 상기 충전제와 상기 압접편에 의하여,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끼워져 있는,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의 감합 방향을 따른 상기 충전제의 두께와 동일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른 상기 콘택트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압접용 홈의 바닥부까지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의 감합 시에, 상기 콘택트의 대향하는 부분과 맞닿는,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은, 서로 접속부에 의해 접속되며,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또는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은, 적어도 2개의 상기 케이블을 보지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과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의 감합 시에, 상기 압접용 홈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심선을 협지하여, 상기 케이블끼리를 도통시키는, 커넥터.
KR1020197021857A 2017-03-22 2018-03-02 커넥터 KR1022025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56635A JP6466984B2 (ja) 2017-03-22 2017-03-22 コネクタ
JPJP-P-2017-056635 2017-03-22
PCT/JP2018/007949 WO2018173687A1 (ja) 2017-03-22 2018-03-02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476A KR20190095476A (ko) 2019-08-14
KR102202562B1 true KR102202562B1 (ko) 2021-01-13

Family

ID=6358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857A KR102202562B1 (ko) 2017-03-22 2018-03-02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33447B2 (ko)
EP (1) EP3605745A4 (ko)
JP (1) JP6466984B2 (ko)
KR (1) KR102202562B1 (ko)
CN (1) CN110199441B (ko)
WO (1) WO20181736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97378B (zh) * 2020-05-25 2023-01-13 广东汇盈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插头
DE102021105989A1 (de) * 2021-03-11 2022-09-15 Osypka Ag Anschlussstecker für eine elektromedizinische Elektrode, einen Gegenstecker, elektromedizinische Elektrode und elektromedizinische Steckverbind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2363A1 (de) 2001-08-30 2003-03-27 Delphi Tech Inc Elektrischer Verbinder
WO2009059335A1 (en) 2007-10-31 2009-05-07 Detnet South Africa (Pty) Limited Detonator connector
JP2014116097A (ja) 2012-12-06 2014-06-26 Kyocera Connector Products Corp 分岐コネクタ
JP2016189329A (ja) * 2016-04-27 2016-11-04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分岐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7208A (en) * 1977-11-11 1979-06-05 Amp Incorporated Waterproof splice electrical connector
US4444447A (en) * 1982-05-24 1984-04-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 wire connector
EP0209046A3 (de) * 1985-07-10 1989-07-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zweigergehäuse für Nachrichtenkabel
US5147217A (en) * 1991-06-18 1992-09-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component package
JP3028988B2 (ja) * 1992-02-05 2000-04-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8306428A (ja) 1995-04-28 1996-11-22 Fuji Hoon Seisakusho:Kk 電線接続部品
JP3119119B2 (ja) * 1995-05-17 2000-12-18 住友電装株式会社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3028988U (ja) * 1996-03-13 1996-09-17 ヤーマン株式会社 光脱毛装置
US6270372B1 (en) * 1996-09-26 2001-08-07 Panduit Corp. Patch cord connector
US6083035A (en) * 1997-04-10 2000-07-04 The Whitaker Corporation Power cable tap connector with cable-sealing gaskets
AU6887398A (en) * 1997-04-10 1998-10-30 Whitaker Corporation, The Power cable tap connector
DE19817695A1 (de) * 1998-04-22 1999-10-28 Asco Joucomatic Gmbh & Co Stecker zum Anschließen eines elektrofluidischen Wandlers
US6283785B1 (en) * 1998-12-21 2001-09-04 Avaya Technology Corp. Connector top cap
DE29905589U1 (de) * 1999-03-26 1999-06-10 Hans Bernstein Gmbh & Co Schalter
JP3411904B2 (ja) * 2000-12-25 2003-06-03 山一電機株式会社 実装コネクタおよびコンタクト端子
US6839428B2 (en) * 2001-06-22 2005-01-04 Corning Cable Systems Llc Sealed terminating device
JP2003157929A (ja) * 2001-11-22 2003-05-30 Yonezawa Densen Kk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03709A (ja) * 2002-01-09 2003-07-1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防水コネクタ
US6893280B2 (en) * 2003-04-30 2005-05-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oggle type telecommunications terminal blocks
US6811430B1 (en) * 2003-11-04 2004-11-0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oggle type telecommunications terminal blocks including a travel limit member
US7281941B1 (en) * 2007-04-04 2007-10-16 Aslan Industries, Corporation Stripping and contact device for a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2363A1 (de) 2001-08-30 2003-03-27 Delphi Tech Inc Elektrischer Verbinder
WO2009059335A1 (en) 2007-10-31 2009-05-07 Detnet South Africa (Pty) Limited Detonator connector
JP2014116097A (ja) 2012-12-06 2014-06-26 Kyocera Connector Products Corp 分岐コネクタ
JP2016189329A (ja) * 2016-04-27 2016-11-04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分岐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476A (ko) 2019-08-14
US10833447B2 (en) 2020-11-10
EP3605745A1 (en) 2020-02-05
WO2018173687A1 (ja) 2018-09-27
EP3605745A4 (en) 2020-11-18
JP6466984B2 (ja) 2019-02-06
JP2018160362A (ja) 2018-10-11
CN110199441B (zh) 2021-06-25
US20200044385A1 (en) 2020-02-06
CN110199441A (zh) 201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162B1 (ko) 커넥터
CN109845037B (zh) 分支连接器
KR102202562B1 (ko) 커넥터
KR102275108B1 (ko) 커넥터
KR102238655B1 (ko) 커넥터
KR102216099B1 (ko) 커넥터
KR102238646B1 (ko) 커넥터
KR102262341B1 (ko) 커넥터 및 곤포체
CN109155486B (zh) 分支连接器
WO2018173685A1 (ja) コネクタ
JP2018160457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