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498B1 - 연료 전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498B1
KR102383498B1 KR1020217016785A KR20217016785A KR102383498B1 KR 102383498 B1 KR102383498 B1 KR 102383498B1 KR 1020217016785 A KR1020217016785 A KR 1020217016785A KR 20217016785 A KR20217016785 A KR 20217016785A KR 102383498 B1 KR102383498 B1 KR 102383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gas
separation membrane
water vapor
carbon di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6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6953A (ko
Inventor
슌페이 타쿠
šœ페이 타쿠
카즈오 나카무라
타츠키 도코
Original Assignee
도쿄 가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 가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 가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6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56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01M8/2425High-temperature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H01M8/04022Heating by combus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097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recycling of the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01M8/04216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for a specific material, e.g. carbon, hydride, absorb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18Reforming processes, e.g. autothermal, partial oxidation or steam reform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01M8/0668Removal of carbon monoxide or carbon diox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01M8/0687Reactant purification by the use of membranes or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01M8/24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with matrix-supported molten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57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both reactants being gaseous or vapori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9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comprising two or more groupings of fuel cells, e.g. modular assemb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4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 H01M2008/147Fuel cells with molten carbo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연료 전지 시스템은 연료 가스를 사용하여 발전을 실시하는 제1연료 전지; 상기 제1 연료 전지로부터 배출된 애노드 오프 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을 분리하는 분리 막; 상기 분리막의 하류에 배치되고,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이 분리된 상기 애노드 오프 가스를 사용하여 발전을 실시하는 제2 연료 전지, 및; 상기 분리막의 투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연료 전지의 발전에 사용되는 상기 연료 가스가 되는 원료 가스, 상기 제1 연료 전지의 발전에 사용되는 산소를 포함하는 캐소드 가스, 상기 제2 연료 전지로부터 배출된 애노드 오프 가스, 상기 제1 연료 전지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제2 연료 전지로 공급되는 캐소드 오프 가스 또는 상기 제2 연료 전지로부터 배출된 캐소드 오프 가스를 유통시키는 유통 경로를 구비한다.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은 상기 분리막의 투과 계수비 α1 및 상기 분리막의 투과 계수비 α2 중 적어도 한쪽이 30 이상이다.

Description

연료 전지 시스템{Fuel cell system}
본 발명은 연료 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600℃ 이상의 온도에서 작동하는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용융 탄산염형 연료 전지 등의 고온 작동형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는 고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해 고온 작동형 연료 전지의 애노드로부터 배출되는 애노드 배기 가스를 재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애노드 배기 가스 중의 이산화탄소 또는 수증기를 제거하고 그 가스를 재이용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연료 이용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몇가지 제안되어 있다. 또한 분리막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또는 수증기를 애노드 배기 가스로부터 제거하는 기법에 대해서도 몇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료 전지 스택, 제1 이산화탄소 제거 장치, 및 제2 연료 전지 스택을 구비하며, 제2 연료 전지 스택으로 공급되는 배출 가스 중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제1 이산화탄소 제거 장치로서 서브 나노 세라믹막 필터를 사용하는 연료 전지 발전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제1 연료 전지, 수증기 분리막, 및 제2 연료 전지를 구비하며, 수증기 분리막에 의해 제1 연료 전지로부터 배출된 미반응의 연료 가스를 포함하는 오프 가스로부터 수증기를 기체 상태로 제거하고, 동시에 오프 가스로부터 수증기를 제거한 재생 연료 가스를 사용하여 제2 연료 전지로 발전을 실시하는 다단식 연료 전지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연료 전지, 수증기 분리막, 및 재생 연료 가스 경로를 구비하며, 수증기 분리막에 의해 연료 전지로부터 배출된 미반응의 연료 가스를 포함하는 오프 가스로부터 수증기를 기체 상태로 제거하고, 동시에 재생 연료 가스 경로를 통해 오프 가스로부터 수증기를 제거한 재생 연료 가스를 연료 전지로 공급하여 발전을 실시하는 순환식 연료 전지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그 밖에도 분리막을 사용하여 애노드 배기 가스 중의 이산화탄소 또는 수증기를 제거하는 순환형 연료 전지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분리막의 투과측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애노드 배기 가스 중의 이산화탄소 또는 수증기를 제거하는 방식, 혹은 진공 펌프에 의해 분리막의 투과측을 감압하여 애노드 배기 가스 중의 이산화탄소 또는 수증기를 제거하는 방식을 채택한 순환형 연료 전지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 참조).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5-201266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6-115495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6-115496호 미국특허출원공개 제2013/0108936호 명세서
특허문헌 1 내지 4에는 애노드 배기 가스 중의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을 분리막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연료인 수소 또는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높여 시스템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분리막에서는 수소를 100% 투과시키지 않기가 어려워 애노드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수소가 일부 투과하게 된다. 그러므로 수소의 투과로 인해 재이용될 수 있는 연료가 감소하게 되어 시스템의 발전 효율이 떨어질 우려가 있지만, 특허문헌 1 내지 4에서는 이러한 점에 대해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 수소가 분리막을 투과함에 따른 시스템의 발전 효율 저하의 영향을 감안한 뒤에, 분리막에서의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의 투과성과 수소의 투과성의 비율(투과 계수비)을 적절한 범위로 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분리막에서의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의 투과성과 수소의 투과성의 비율을 적절한 범위로 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발전 효율이 우수한 연료 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 통상적인 분리막에서는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과 함께 애노드 오프 가스에 포함되는 수소가 분리되어 버리므로, 연료 가스인 수소의 감소로 인해 시스템의 발전 효율이 떨어질 우려도 있다.
한편, 본 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는 투과 계수비(α1(PCO2/PH2)) 및 투과 계수비(α2(PH2O/PH2)) 중 적어도 한쪽이 30 이상이다. 이 때문에 수소가 분리막을 투과함에 따른 시스템 발전 효율 저하의 영향보다도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이 분리막을 투과함에 따른 시스템 발전 효율 향상 효과의 영향이 커져 시스템 전체의 발전 효율이 우수하다.
연료 가스를 사용하여 발전을 실시하는 연료 전지, 상기 연료 전지로부터 배출된 미반응의 상기 연료 가스를 포함하는 애노드 오프 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을 분리하는 분리막, 상기 분리막의 하류에 배치되고,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이 분리된 상기 애노드 오프 가스를 상기 연료 전지로 공급하는 오프 가스 순환 경로, 및 상기 분리막의 투과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료 전지의 발전에 사용되는 상기 연료 가스가 되는 원료 가스, 상기 연료 전지의 발전에 사용되는 산소를 포함하는 캐소드 가스, 또는 상기 연료 전지로부터 배출된 캐소드 오프 가스를 유통시키는 유통 경로를 구비하며, 상기 분리막의 투과 계수비(α1(PCO2/PH2)) 및 상기 분리막의 투과 계수비(α2(PH2O/PH2)) 중 적어도 한쪽이 30 이상인 연료 전지 시스템.
본 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은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이 분리된 애노드 오프 가스를 연료 전지로 공급하는 순환식 연료 전지 시스템이며, 이러한 시스템이라도 연료 이용율이 향상되어 높은 발전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은 전술한 연료 전지 시스템과 동일하게 공기 등의 스위프 가스를 분리막의 투과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경로, 및 공기 블로워 또는 감압 펌프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의 분리를 촉진할 수 있다. 이에 제조 비용을 줄이면서 시스템 전체의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시스템이 간략화됨에 따라 시스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본 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는 투과 계수비(α1(PCO2/PH2)) 및 투과 계수비(α2(PH2O/PH2)) 중 적어도 한쪽이 30 이상이다. 이 때문에 수소가 분리막을 투과함에 따른 시스템 발전 효율 저하의 영향보다도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이 분리막을 투과함에 따른 시스템 발전 효율 향상 효과의 영향이 커져 시스템 전체의 발전 효율이 우수하다.
상기 원료 가스를 개질하여 상기 연료 가스를 생성하는 개질부 및 연소 반응에 의해 상기 개질부를 가열하는 연소부를 갖는 개질기를 더 구비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본 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은 원료 가스를 개질하여 연료 가스를 생성하는 개질기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제2 연료 전지 또는 연료 전지는 개질기에서 생성된 연료 가스를 사용하여 발전을 실시한다.
<4> <3>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를 유통시키는 배기 경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유통 경로 대신에 상기 배기 경로가 상기 분리막의 투과측에 배치된 연료 전지 시스템.
본 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은 유통 경로 대신에 배기 경로가 분리막의 투과측에 배치되어 있고, 분리막에 의해 분리된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은 배기 경로 내를 유통하는 배기 가스와 함께 배기 경로 내를 유통한다. 따라서 공기 등의 스위프 가스를 분리막의 투과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경로, 및 공기 블로워 또는 감압 펌프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의 분리를 촉진할 수 있다. 이에 제조 비용을 줄이면서 시스템 전체의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시스템이 간략화됨에 따라 시스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5>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 중의 수증기를 회수하는 수증기 회수 수단, 및 상기 수증기 회수 수단에서 회수된 수증기를 상기 개질부로 공급하는 수증기 공급 경로를 더 구비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본 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은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수증기를 회수하는 수증기 회수 수단, 예를 들면 수증기를 응축시켜 회수하는 응축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수증기 회수 수단에서 회수된 수증기가 개질부로 공급되어 원료 가스의 수증기 개질에 사용된다. 그러므로 외부로부터 수증기 또는 개질수의 공급이 불필요하게 되는 수자립의 성립, 혹은 외부로부터의 수증기 또는 개질수의 공급량 절감이 가능하다.
<6> <3>에 있어서, 상기 원료 가스를 개질하여 상기 연료 가스를 생성할 때에 사용되는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한쪽을 유통하는 경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유통 경로 대신에 상기 경로가 상기 분리막의 투과측에 배치된 연료 전지 시스템.
본 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은 유통 경로 대신에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한쪽을 유통하는 경로가 분리막의 투과측에 배치되어 있고, 분리막에 의해 분리된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은 경로 내를 유통하는 가스와 함께 원료 가스의 개질에 사용된다. 따라서 공기 등의 스위프 가스를 분리막의 투과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경로, 및 공기 블로워 또는 감압 펌프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의 분리를 촉진할 수 있다. 이에 제조 비용을 줄이면서 시스템 전체의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시스템이 간략화됨에 따라 시스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7> <3>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분리막의 투과 계수비(β1(PCO2/PCO)) 및 상기 분리막의 투과 계수비(β2(PH2O/PCO)) 중 적어도 한쪽이 6 이상인 연료 전지 시스템.
본 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는 투과 계수비(β1(PCO2/PCO)) 및 투과 계수비(β2(PH2O/PCO)) 중 적어도 한쪽이 6 이상이다. 이 때문에 일산화탄소가 분리막을 투과함에 따른 시스템 발전 효율 저하의 영향보다도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이 분리막을 투과함에 따른 시스템 발전 효율 향상 효과의 영향이 커져 시스템 전체의 발전 효율이 우수하다.
<8> <3>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투과 계수비(α1(PCO2/PH2)) 및 상기 분리막의 투과 계수비(α2(PH2O/PH2)) 중 적어도 한쪽이 60 이상인 연료 전지 시스템.
본 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는 수소가 분리막을 투과함에 따른 시스템 발전 효율 저하의 영향보다도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이 분리막을 투과함에 따른 시스템의 발전 효율 향상 효과의 영향이 보다 커져 시스템 전체의 발전 효율이 더 우수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리막에서의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의 투과성과 수소의 투과성의 비율을 적절한 범위로 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발전 효율이 우수한 연료 전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은 제10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1은 투과 계수비(α1)와 시스템 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투과 계수비(α2)와 시스템 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20)은 감압 펌프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의 분리를 촉진할 수 있다. 이에 연료 전지 시스템(20)에서는 제조 비용을 줄이면서 시스템 전체의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시스템이 간략화됨에 따라 시스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연료 전지 시스템(20)은 분리막(16)의 투과측(16B)보다도 하류측 공기 공급 경로(44), 및 배기 경로(48)에 열교환기(41)가 설치되어 있고, 열교환기(41)에 의해, 배기 경로(48) 내를 유통하는 배기 가스와, 공기 공급 경로(44) 내를 유통하는 공기와 분리막(16)에 의해 분리된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과의 혼합 가스(이하, "혼합 가스"라고도 칭함)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한다. 이에 따라 배기 경로(48) 내를 유통하는 배기 가스는 냉각된 후에 시스템 바깥으로 배출되는 한편, 공기 공급 경로(44) 내를 유통하는 혼합 가스는 제1 연료 전지(11)의 작동 온도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된다.
제1 연료 전지(11)의 캐소드로는 공기 공급 경로(44)를 통해 혼합 가스가 공급되어 발전이 이루어지고, 이어서 제1 연료 전지(11)의 캐소드로부터 배출된 캐소드 오프 가스는 하류측 공기 공급 경로(44)를 통해 제2 연료 전지(12)의 캐소드로 공급되어 발전이 이루어진다.
제2 연료 전지(12)의 캐소드로부터 배출된 캐소드 오프 가스는 하류측 공기 공급 경로(44)를 통해 개질기(14)의 연소부(18)로 공급된다. 한편, 제2 연료 전지(12)의 애노드로부터 배출된 애노드 오프 가스는 오프 가스 경로(46)를 통해 개질기(14)의 연소부(18)로 공급된다.
공기 공급 경로(44)를 통해 공급된 캐소드 오프 가스와 오프 가스 경로(46)를 통해 공급된 애노드 오프 가스와의 혼합 가스를 연소부(18)에서 연소시켜 발생하는 배기 가스는 배기 경로(48)로 배출된다. 배기 경로(48) 내를 유통하는 배기 가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41)에서 공기 공급 경로(44)를 유통하는 혼합 가스와 열교환을 실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질기(14)의 개질부(19)로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증기 공급 경로(26)를 배치하고 있지만, 외부로부터의 개질수 또는 수증기 공급이 불필요하게 되는 수자립을 성립시키거나, 또는 외부로부터의 개질수 또는 수증기의 공급량을 줄이는 관점에서, 배기 경로(48) 내를 유통하는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수증기를 응축시켜 회수하여 개질수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수증기 공급 경로(26) 대신에 개질기(14)의 개질부(19)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 경로를 배치하고, 개질부(19)에서 이산화탄소 개질을 실시할 수도 있다.
[제3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연료 전지 시스템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30)은 분리막(16)의 투과측(16B)에 제1 연료 전지(11)의 발전에 사용되는 연료 가스가 되는 원료 가스를 유통하는 원료 가스 공급 경로(24)를 배치한 점, 및 수증기 공급 경로(26)를 배치하지 않고 분리막(16)을 투과한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을 원료 가스 공급 경로(24)를 통해 개질부(19)로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30)에서도 분리막(16)에 의해 분리된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은 분리막(16)의 투과측(16B)에 배치된 원료 가스 공급 경로(24)로 공급된다. 원료 가스가 원료 가스 공급 경로(24) 내를 유통하므로, 분리된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한쪽은 원료 가스와 함께 개질부(19)로 공급된다. 따라서 공기 등의 스위프 가스를 분리막(16)의 투과측(16B)으로 공급하기 위한 경로, 및 공기 블로워 또는 감압 펌프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한쪽의 분리를 촉진할 수 있다. 나아가 분리된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한쪽을 개질부(19)로 공급하기 위해 공급 경로 및 블로워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시스템이 간략화됨에 따라 시스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리막(16)에 의해 분리된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한쪽이 개질기(14)의 개질부(19)로 공급되어 원료 가스의 개질에 사용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 원료 가스를 수증기 개질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원료 가스를 이산화탄소 개질하는 구성일 수도 있고, 원료 가스를 수증기 개질 및 이산화탄소 개질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제4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연료 전지 시스템의 제4 실시형태에 대해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40)은 분리막(16)의 투과측(16B)에 연소부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를 유통시키는 배기 경로(48)를 배치한 점, 및 열교환기(22) 대신에 배기 경로(48) 내를 유통하여 분리막(16)을 투과한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과 혼합된 배기 가스와, 공기 공급 경로(44) 내를 유통하면서 제1 연료 전지(11)의 발전에 사용되는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열교환기(43)를 배치할 수 있다.
연료 전지 시스템(40)에서는 분리막(16)에 의해 분리된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한쪽은 분리막(16)의 투과측에 배치된 배기 경로(48)로 공급된다. 연소부(18)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가 배기 경로(48) 내를 유통하므로, 분리된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한쪽은 이 배기 가스와 함께 배기 경로(48) 내를 유통한다. 따라서 배기 경로(48)를 분리막(16)의 투과측(16B)에 설치함에 따라, 공기 등의 스위프 가스를 분리막(16)의 투과측(16B)으로 공급하기 위한 경로, 및 공기 블로워 또는 감압 펌프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조 비용을 줄이고, 시스템 전체의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시스템이 간략화됨에 따라 시스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분리막(16)을 투과한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한쪽은 배기 가스와 함께 배기 경로(48) 내를 유통하므로, 분리막(16)의 투과측(16B)의 수증기 분압 및 이산화탄소 분압은 낮아져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한쪽의 분리가 촉진된다. 따라서 연료 전지 시스템(40)에서는 시스템의 간략화와 함께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의 분리가 촉진되고 있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40)은 제1 연료 전지(11)의 발전에 사용되는 공기(캐소드 가스)를 유통하는 공기 공급 경로(44)를 분리막(16)의 투과측(16B)에 설치한 경우보다도 발전 효율이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40)에서는 공기보다도 산소 비율이 작은 연소부(18)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를 분리막(16)의 투과측(16B)으로 공급하고 있으므로, 산소와 분리막(16)을 투과할 수 있는 수소 또는 일산화탄소와의 반응이 생기기 어려워 국소적인 분리막(16)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고 있어 분리막(16)의 내구성을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연료 전지 시스템(40)은 배기 경로(48) 및 공기 공급 경로(44)에 열교환기(43)가 설치되어 있고, 열교환기(43)에 의해, 배기 경로(48) 내를 유통하는 배기 가스와, 공기 공급 경로(44) 내를 유통하는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한다. 이에 따라 배기 경로(48) 내를 유통하는 배기 가스는 냉각된 후에 물탱크(32)(응축기)로 공급되고, 공기 공급 경로(44) 내를 유통하는 공기는 제1 연료 전지(11)의 작동 온도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된 후에 제1 연료 전지(11)의 캐소드로 공급된다.
제1 연료 전지(11)의 캐소드로 공기 공급 경로(44)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어 제1 연료 전지(11)에서 발전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제1 연료 전지(11)의 캐소드로부터 배출된 캐소드 오프 가스는 하류측 공기 공급 경로(44)를 통해 제2 연료 전지(12)의 캐소드로 공급되어 제2 연료 전지(12)에서 발전이 이루어진다.
제2 연료 전지(12)의 캐소드로부터 배출된 캐소드 오프 가스는 하류측 공기 공급 경로(44)를 통해 개질기(14)의 연소부(18)로 공급된다. 한편, 제2 연료 전지(12)의 애노드로부터 배출된 애노드 오프 가스는 오프 가스 경로(46)를 통해 개질기(14)의 연소부(18)로 공급된다. 연소부(18)로 공급된 애노드 오프 가스와 캐소드 오프 가스와의 혼합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배기 가스는 배기 경로(48)로 배출된다.
배기 경로(48) 내를 유통하는 배기 가스는 개질수 공급 경로(33) 내를 유통하는 개질수를 기화하는 열교환기(31)에서 개질수와 열교환을 실시한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31)의 하류측 배기 경로(48) 내를 유통하는 배기 가스는 분리막(16)에 의해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한쪽을 분리할 때에 바람직한 온도까지 냉각된 후에 분리막(16)의 투과측(16B)으로 공급되고, 개질수 공급 경로(33) 내를 유통하는 개질수는 기화된 후에 수증기 공급 경로(37)를 통해 원료 가스 공급 경로(24)로 공급된다.
[제5 실시형태]
전술한 실시형태는 다단식 연료 전지 시스템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순환식 연료 전지 시스템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순환식 연료 전지 시스템(100)에 대해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100)은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한쪽이 분리된 애노드 오프 가스를 연료 전지(61)로 다시 공급하는 오프 가스 순환 경로(56,57)를 구비하는 순환식 연료 전지 시스템이다. 또, 연료 전지(61)는 전술한 제1 연료 전지(11)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연료 전지 시스템(100)에서는 연료 전지(61)로부터 배출된 미반응의 연료 가스를 포함하는 애노드 오프 가스에 대해 그 일부가 오프 가스 경로(46) 내를 유통하여 연소부(18)로 공급되고, 나머지가 오프 가스 순환 경로(56) 내를 유통하여 분리막(16)의 공급측(16A)으로 공급된다. 분리막(16)은 공급된 애노드 오프 가스로부터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한쪽을 분리하고,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한쪽이 분리된 애노드 오프 가스는 오프 가스 순환 경로(57) 내를 유통한다. 오프 가스 순환 경로(57) 내를 유통하는 애노드 오프 가스는 연료 가스 공급 경로(42) 내로 공급되면서 연료 가스 공급 경로(42) 내를 유통하는 연료 가스와 혼합된 후, 혼합 가스가 연료 전지(61)의 애노드로 공급되어 발전이 이루어진다. 연료 전지 시스템(100)에서는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한쪽을 분리하지 않고 애노드 오프 가스를 재이용하는 순환식 연료 전지 시스템보다도 높은 발전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 오프 가스 순환 경로(57) 내를 유통하는 애노드 오프 가스는 연료 가스 공급 경로(42) 내로 공급되는 구성 대신, 개질부(19)로 공급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아래 제6, 제7, 제8, 제10 실시형태에서도 동일하다).
오프 가스 순환 경로(57)에는 애노드 오프 가스를 유통시키기 위한 리사이클 블로워(28)가 배치되어 있다. 또, 리사이클 블로워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분리막(16)의 상류일 수도 있고, 분리막(16)의 하류일 수도 있지만, 분리막(16)의 상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열교환기(21)와 분리막(16)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분리막(16)의 하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분리막(16)과 열교환기(21)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리막(16)에 의해 분리된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한쪽은 분리막(16)의 투과측(16B)에 배치된 공기 공급 경로(44)로 공급된다. 연료 전지(61)로부터 배출된 캐소드 오프 가스가 공기 공급 경로(44) 내를 유통하므로, 분리된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한쪽은 캐소드 오프 가스와 함께 공기 공급 경로(44) 내를 유통한다. 따라서 공기 공급 경로(44)를 분리막(16)의 투과측(16B)에 설치함에 따라, 산소 등의 스위프 가스를 분리막(16)의 투과측(16B)으로 공급하기 위한 경로, 및 공기 블로워 또는 감압 펌프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조 비용을 줄이고, 시스템 전체의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시스템이 간략화됨에 따라 시스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제6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연료 전지 시스템의 제6 실시형태에 대해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200)은 연료 전지(61)를 구비하는 순환식 연료 전지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연료 전지 시스템(20)과 차이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200)에서도 분리막(16)에 의해 분리된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은 공기 공급 경로(44) 내를 유통하는 공기와 함께 공기 공급 경로(44) 내를 유통한다. 따라서 공기 등의 스위프 가스를 분리막(16)의 투과측(16B)으로 공급하기 위한 경로, 및 공기 블로워 또는 감압 펌프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의 분리를 촉진할 수 있다. 이에 연료 전지 시스템(200)에서는 제조 비용을 줄이면서 시스템 전체의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시스템이 간략화됨에 따라 시스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제7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연료 전지 시스템의 제7 실시형태에 대해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300)은 연료 전지(61)를 구비하는 순환식 연료 전지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30)과 차이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300)에서도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분리막(16)에 의해 분리된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은 원료 가스와 함께 개질부(19)로 공급된다. 따라서 공기 등의 스위프 가스를 분리막(16)의 투과측(16B)으로 공급하기 위한 경로, 및 공기 블로워 또는 감압 펌프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한쪽의 분리를 촉진할 수 있다. 나아가 분리된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한쪽을 개질부(19)로 공급하기 위해 공급 경로 및 블로워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시스템이 간략화됨에 따라 시스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제8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연료 전지 시스템의 제8 실시형태에 대해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400)은 연료 전지(61)를 구비하는 순환식 연료 전지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40)과 차이가 있다.
연료 전지 시스템(400)에서는 분리막(16)에 의해 분리된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한쪽은 배기 가스와 함께 배기 경로(48) 내를 유통한다. 따라서 배기 경로(48)를 분리막(16)의 투과측(16B)에 설치함에 따라, 공기 등의 스위프 가스를 분리막(16)의 투과측(16B)으로 공급하기 위한 경로, 및 공기 블로워 또는 감압 펌프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조 비용을 줄이고, 시스템 전체의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시스템이 간략화됨에 따라 시스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제9, 제10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연료 전지 시스템의 제9, 제10 실시형태에 대해 도 9,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10은 제10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50) 및 제10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500)은 분리막(16)의 투과측(16B)에 수증기를 개질부(19)로 공급하는 수증기 공급 경로(26)를 배치한 점에서 각각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200)과 차이가 있다.
연료 전지 시스템(50) 및 연료 전지 시스템(500)에서는 수증기가 유통되는 수증기 공급 경로(26)가 분리막(16)의 투과측(16B)에 배치되어 있고, 분리막(16)에 의해 분리된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은 수증기 공급 경로(26) 내를 유통하는 수증기와 함께 개질부(19)로 공급되어 원료 가스의 개질에 사용된다. 따라서 공기 등의 스위프 가스를 분리막의 투과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경로, 및 공기 블로워 또는 감압 펌프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의 분리를 촉진할 수 있다. 이에 제조 비용을 줄이면서 시스템 전체의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시스템이 간략화됨에 따라 시스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수증기 공급 경로(26) 대신에 개질부(19)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 경로를 분리막(16)의 투과측(16B)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수증기 공급 경로(26) 대신에 외부로부터의 개질수 또는 수증기 공급이 불필요하게 되는 수자립을 성립시키거나, 또는 외부로부터의 개질수 또는 수증기의 공급량을 줄이는 관점에서, 배기 경로(48) 내를 유통하는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수증기를 응축시켜 회수하는 물탱크(32), 물탱크(32)에 저장된 응축수 유래의 수증기를 개질부(19)로 공급하는 수증기 공급 경로(37) 등을 배치할 수도 있다. 이때, 수증기 공급 경로(26) 대신에 물탱크(32)에 저장된 응축수 유래의 수증기를 개질부(19)로 공급하는 수증기 공급 경로(37)를 분리막(16)의 투과측(16B)에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전술한 각 실시형태를 조합하여 실시된다. 또한 열교환기의 설치 장소, 조합 등에 대해서도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례]
이하, 본 발명의 일례인 연료 전지 시스템의 시스템 효율에 대해 통상적인 연료 전지 시스템의 시스템 효율과 대비하여 설명한다.
〔통상적인 연료 전지 시스템의 시스템 효율〕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6-115479호의 도 3 및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체 산화물형으로 다단식 연료 전지 시스템(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스택을 2개 설치한 구성)에서 전단의 제1 연료 전지 스택의 연료극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로부터 전기 화학적 수소 펌프에 의해 수소를 추출하는, 즉 전기 화학적 수소 펌프에 의해 배기 가스 중의 수소(H2)와 물(H2O) 및 이산화탄소(CO2)를 분리함으로써, 연료 전지 스택의 개방 회로 전압(OCV:Open Circuit Voltage)이 어느 정도 향상되는지 시산을 했다.
이 시산에서는 전제 조건으로서 고체 산화물형 제1 연료 전지 스택에 있어서의 반응을 750℃에서의 평형 반응으로 하며, 일례로 S/C=2.5로 설정했다. 상기 시산의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낸다.
H2O 및 CO2를 H2와 분리함에 따른 OCV(개방 회로 전압)의 향상 효과
연료 이용 효율(%) 제2 스택의 가스 농도(%) 제2 스택의 평균 OCV(mV) 시스템
전체의 OCV(mV)
제1 스택 제2 스택 시스템
전체
H2+CO CO2 H2O
통상 70 70 91 22.5 14.6 62.8 874 935
H2O 및 CO2를 H2와 분리 92.1 0.6 3.3 1020 969
또, 표 1에서의 "평균 OCV"는 연료 전지 스택의 입구부 및 출구부의 평균 OCV를 의미한다. 표 1에서도 분명하듯이, 전기 화학적 수소 펌프에 의해 배기 가스 중의 수소(H2)와 물(H2O) 및 이산화탄소(CO2)를 분리함으로써, 제2 연료 전지 스택으로 공급되는 가스 중 수소(H2) + 일산화탄소(CO)의 농도는 22.5%에서 92.1%로 큰 폭으로 향상되는 한편, 이산화탄소(CO2)의 농도는 14.6%에서 0.6%로, 물(H2O)의 농도는 62.8%에서 3.3%로 큰 폭으로 떨어진다. 그리고, 상기 조성의 가스가 제2 연료 전지 스택으로 공급됨으로써, 제2 연료 전지 스택의 평균 OCV는 874mV에서 1020mV로 향상되고, 연료 전지 시스템 전체의 OCV도 935mV에서 969mV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이, 제1 연료 전지 스택으로부터 배출되는 애노드 오프 가스로부터 물 및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면 연료 전지 시스템 전체의 OCV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연료 전지 시스템 전체의 OCV가 935mV일 때의 시스템 효율을 60%로 한 경우, 셀의 작동 전압이 OCV에 비례한다고 하고, 연료 전지 시스템 전체의 OCV가 969mV일 때의 시스템 효율(통상적인 연료 전지 시스템의 시스템 효율)은 62.18%(60% × 969/935)으로 가정된다. 또한 이 효율 향상분의 2.18 포인트인, H2O 및 CO2 제거 효과의 내역은 농도의 비율보다 H2O에 의한 것이 1.77 포인트(2.18 × 62.8 ÷ (62.8 + 14.6)), CO2에 의한 것이 0.411 포인트(2.18 × 14.6 ÷ (62.8 + 14.6))로 시산된다.
또, 연료 전지 시스템의 효율(시스템 효율)(η)은 일반적으로 아래 식 (1)로 표시된다.
η = -(nF/△H) × V × Uf × ηaux × ηinv  (1)
여기서 n은 반응 전자수, F는 패러데이 상수, △H는 발열량, V는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셀의 작동 온도, Uf는 시스템 전체의 연료 이용율, ηaux는 보조기기 효율, ηinv는 인버터 효율을 나타낸다. 식 (1) 중, -(nF/△H)는 연료에 의해 결정되는 값이며, Uf, ηaux, ηinv가 같은 값인 경우, 작동 전압(V)에 비례하여 시스템 효율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례인 연료 전지 시스템의 시스템 효율〕
이어서 본 발명의 일례인 연료 전지 시스템의 시스템 효율에 대해 검토한다.
여기서 제1 연료 전지 스택으로부터 배출되는 애노드 오프 가스로부터 투과 계수비(α1)의 값 또는 투과 계수비(α2)에 따라 수소가 분리막의 투과측으로 투과하는 경우, 시스템 효율은 도 11 또는 도 12와 같이 변한다. 여기서 제1 연료 전지 스택의 연료 이용율은 70%로 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α1=29인 경우, 시스템 효율은 전술한 통상적인 연료 전지 시스템의 시스템 효율과 동일하게 60.0%가 된다. 따라서 α1<29일 때에 시스템 효율은 60.0% 미만이 되고, 제1 연료 전지 스택으로부터 배출되는 애노드 오프 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제거함에 따라 얻어진 시스템 효율 향상의 영향보다도 수소가 분리막의 투과측으로 투과하는 H2 누출에 의한 시스템 효율 저하의 영향 쪽이 커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례인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는 시스템 효율을 높이는 관점에서, α1>29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면 α1=57인 경우, 시스템 효율은 60.209%가 된다. 이때, H2 누출에 의한 시스템 효율 저하의 영향 0.202 포인트(60.411 - 60.209)보다도 제1 연료 전지 스택으로부터 배출되는 애노드 오프 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제거함에 따라 얻어진 시스템 효율 향상의 영향(0.411 포인트) 쪽이 약 2배 크다고 말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α2=29인 경우, 시스템 효율은 전술한 통상적인 연료 전지 시스템의 시스템 효율과 동일하게 60.0%가 된다. 따라서 α2<29일 때에 시스템 효율은 60.0% 미만이 되고, 제1 연료 전지 스택으로부터 배출되는 애노드 오프 가스로부터 수증기를 제거함에 따라 얻어진 시스템 효율 향상의 영향보다도 수소가 분리막의 투과측으로 투과하는 H2 누출에 의한 시스템 효율 저하의 영향 쪽이 커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례인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는 시스템 효율을 높이는 관점에서, α2>29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면 α2=57인 경우, 시스템 효율은 60.877%가 된다. 이때, H2 누출에 의한 시스템 효율 저하의 영향 0.893 포인트(61.77 - 60.877)보다도 제1 연료 전지 스택으로부터 배출되는 애노드 오프 가스로부터 수증기를 제거함에 따라 얻어진 시스템 효율 향상의 영향(1.77 포인트) 쪽이 약 2배 크다고 말할 수 있다.
2016년 11월 24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6-227852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 규격이 참조로서 포함되는 것이 구체적이면서 개개로 기술된 경우와 같은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10, 20, 30, 40, 50, 100, 200, 300, 400, 500…연료 전지 시스템
11…제1 연료 전지 12…제2 연료 전지
14…개질기 16…분리막
16A…공급측 16B…투과측
18…연소부 19…개질부
21, 22, 31, 41, 43…열교환기 24…원료 가스 공급 경로
25…블로워 26, 37…수증기 공급 경로
28…리사이클 블로워 32…물탱크
33…개질수 공급 경로 34…개질수 펌프
42…연료 가스 공급 경로 44…공기 공급 경로
46, 52, 54…오프 가스 경로 48…배기 경로
56, 57…오프 가스 순환 경로 61…연료 전지

Claims (8)

  1. 연료 가스를 사용하여 발전을 실시하는 제1 연료 전지,
    상기 제1 연료 전지로부터 배출된 미반응의 상기 연료 가스를 포함하는 애노드 오프 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을 분리하는 분리막,
    상기 분리막의 하류에 배치되고,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이 분리된 상기 애노드 오프 가스를 사용하여 발전을 실시하는 제2 연료 전지, 및
    상기 제1 연료 전지의 발전에 사용되는 상기 연료 가스가 되는 원료가스, 상기 제1 연료 전지의 발전에 사용되는 산소를 포함하는 캐소드 가스, 상기 제2 연료 전지로부터 배출된 애노드 오프 가스, 상기 제1 연료 전지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제2 연료 전지로 공급되는 캐소드 오프 가스 또는 상기 제2 연료 전지로부터 배출된 캐소드 오프 가스를 유통시키는 유통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막의 투과측에 배치되고, 상기 원료 가스를 개질하여 상기 연료 가스를 생성할 때, 이용되는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하나를 유통하는 경로를 더 구비하며,
    상기 분리막의 투과 계수비(α1(PCO2/PH2)) 및 상기 분리막의 투과 계수비(α2(PH2O/PH2)) 중 적어도 한쪽이 30 이상이고,
    수소가 상기 분리막을 투과하는 것에 의한 시스템의 발전 효율 저하의 영향보다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분리막을 투과하는 것에 의한 시스템의 발전 효율 향상 효과의 영향이 큰 연료 전지 시스템.
  2. 연료 가스를 사용하여 발전을 실시하는 연료 전지,
    상기 연료 전지로부터 배출된 미반응의 상기 연료 가스를 포함하는 애노드 오프 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을 분리하는 분리막,
    상기 분리막의 하류에 배치되고,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이 분리된 상기 애노드 오프 가스를 상기 연료 전지로 공급하는 오프 가스 순환 경로, 및
    상기 연료 전지의 발전에 사용되는 상기 연료 가스가 되는 원료가스, 상기 연료 전지의 발전에 사용되는 산소를 포함하는 캐소드 가스, 또는 상기 연료 전지로부터 배출된 캐소드 오프 가스를 유통시키는 유통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막의 투과측에 배치되고, 상기 원료 가스를 개질하여 상기 연료 가스를 생성할 때, 이용되는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하나를 유동하는 경로를 더 구비하며,
    상기 분리막의 투과 계수비(α1(PCO2/PH2)) 및 상기 분리막의 투과 계수비(α2(PH2O/PH2)) 중 적어도 한쪽이 30 이상이고,
    수소가 상기 분리막을 투과하는 것에 의한 시스템의 발전 효율 저하의 영향보다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분리막을 투과하는 것에 의한 시스템의 발전 효율 향상 효과의 영향이 큰 연료 전지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가스를 생성하는 개질부 및 연소 반응에 의해 상기 개질부를 가열하는 연소부를 갖는 개질기를 더 구비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를 유통시키는 배기 경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하나를 유통하는 경로 대신에 상기 배기 경로가 상기 분리막의 투과측에 배치된
    연료 전지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 중의 수증기를 회수하는 수증기 회수 수단, 및
    상기 수증기 회수 수단에서 회수된 수증기를 상기 개질부로 공급하는 수증기 공급 경로를 더 구비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분리막의 투과 계수비(β1(PCO2/PCO)) 및 상기 분리막의 투과 계수비(β2(PH2O/PCO)) 중 적어도 한쪽이 6 이상인
    연료 전지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투과 계수비(α1(PCO2/PH2)) 및 상기 분리막의 투과 계수비(α2(PH2O/PH2)) 중 적어도 한쪽이 60 이상인
    연료 전지 시스템.
KR1020217016785A 2016-11-24 2017-11-07 연료 전지 시스템 KR102383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27852 2016-11-24
JP2016227852A JP6488270B2 (ja) 2016-11-24 2016-11-24 燃料電池システム
PCT/JP2017/040107 WO2018096922A1 (ja) 2016-11-24 2017-11-07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20197017916A KR20190087529A (ko) 2016-11-24 2017-11-07 연료 전지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916A Division KR20190087529A (ko) 2016-11-24 2017-11-07 연료 전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953A KR20210066953A (ko) 2021-06-07
KR102383498B1 true KR102383498B1 (ko) 2022-04-08

Family

ID=621958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6785A KR102383498B1 (ko) 2016-11-24 2017-11-07 연료 전지 시스템
KR1020197017916A KR20190087529A (ko) 2016-11-24 2017-11-07 연료 전지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916A KR20190087529A (ko) 2016-11-24 2017-11-07 연료 전지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10837B2 (ko)
JP (1) JP6488270B2 (ko)
KR (2) KR102383498B1 (ko)
CN (1) CN109997268B (ko)
DE (1) DE112017005935T5 (ko)
GB (1) GB2571236B (ko)
WO (1) WO20180969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4496B1 (ja) * 2018-07-12 2019-10-23 日本碍子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6692394B2 (ja) * 2018-08-20 2020-05-13 東京瓦斯株式会社 炭素回収型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6847900B2 (ja) * 2018-08-20 2021-03-24 東京瓦斯株式会社 二酸化炭素回収型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WO2020131981A1 (en) * 2018-12-18 2020-06-25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Method of integrating a fuel cell with a steam methane reformer
JP7335788B2 (ja) * 2019-11-15 2023-08-30 東京瓦斯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CN111900446B (zh) * 2020-06-23 2021-08-17 摩氢科技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的排液排气装置
DE102020208497A1 (de) * 2020-07-07 2022-01-13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Hochtemperaturbrennstoffzellenvorrichtung
CN114639842B (zh) * 2020-12-15 2023-11-24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液体燃料电池结构及电池水热平衡控制方法
TWI734657B (zh) * 2021-01-15 2021-07-21 電聯運通股份有限公司 燃料電池能源循環利用系統
CN117154153B (zh) * 2023-09-20 2024-04-30 江苏核电有限公司 一种氢能燃料电池备用系统及其使用方法
CN116979107B (zh) * 2023-09-25 2023-12-19 成都岷山绿氢能源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883B1 (ko) * 2006-06-26 2008-01-21 (주)에어레인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 및 이를 이용한연료개질 장치
JP2016184503A (ja) * 2015-03-26 2016-10-20 東京瓦斯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6293B2 (ko) 1972-10-31 1976-08-05
JPS5329207A (en) 1976-09-01 1978-03-18 Plibrico Japan Co Ltd Hot working method for refractory material
JPS5738704A (en) 1980-08-21 1982-03-03 Asahi Chem Ind Co Ltd Antifouling agent
JPS5743639A (en) 1980-08-28 1982-03-11 Toshiyuki Oota Production of dairy product
JP2006236799A (ja) * 2005-02-25 2006-09-07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運転方法
WO2009079436A1 (en) * 2007-12-17 2009-06-25 Shell Oil Company Fuel cell-based process for generating electrical power
US9190685B2 (en) 2011-10-27 2015-11-17 Bloom Energy Corporation SOFC system with selective CO2 removal
JP2014000535A (ja) * 2012-06-19 2014-01-09 Jx Nippon Oil & Energy Corp 二酸化炭素の分離方法及び二酸化炭素の分離膜
AU2014235203B2 (en) * 2013-03-15 2017-12-21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ed power generation and chemical production using fuel cells
DE102013009244A1 (de) * 2013-06-01 2014-12-04 Ulrike Krewer Nullemissionsantrieb mit Brennstoffzelle und CO2-Abscheidung
US20160355933A1 (en) * 2014-01-17 2016-12-08 Htceramix S.A.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carbon dioxide and electricity from a gaseous hydrocarbon feed
JP6061892B2 (ja) 2014-04-04 2017-01-18 東京瓦斯株式会社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6096751B2 (ja) 2014-12-12 2017-03-15 東京瓦斯株式会社 循環式燃料電池システム
JP6529752B2 (ja) 2014-12-12 2019-06-12 東京瓦斯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6061913B2 (ja) 2014-12-12 2017-01-18 東京瓦斯株式会社 多段式燃料電池システム
EP3253477B1 (en) * 2015-02-04 2019-10-16 Bloom Energy Corporation Carbon dioxide separator, fuel cell system including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fuel cell system
JP6061970B2 (ja) * 2015-03-26 2017-01-18 東京瓦斯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6126154B2 (ja) * 2015-03-26 2017-05-10 東京瓦斯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TWI557980B (zh) * 2015-11-03 2016-11-11 國立中央大學 燃料電池複合系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883B1 (ko) * 2006-06-26 2008-01-21 (주)에어레인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 및 이를 이용한연료개질 장치
JP2016184503A (ja) * 2015-03-26 2016-10-20 東京瓦斯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1908209D0 (en) 2019-07-24
WO2018096922A1 (ja) 2018-05-31
US20190296375A1 (en) 2019-09-26
CN109997268A (zh) 2019-07-09
JP6488270B2 (ja) 2019-03-20
JP2018085242A (ja) 2018-05-31
CN109997268B (zh) 2022-06-14
US11710837B2 (en) 2023-07-25
DE112017005935T5 (de) 2019-08-08
KR20190087529A (ko) 2019-07-24
GB2571236B (en) 2022-08-10
GB2571236A (en) 2019-08-21
KR20210066953A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3498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JP6529752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8530101B2 (en) Anode exhaust recycle system
KR20180078320A (ko) 연료 전지로부터 co2를 포집하기 위한 시스템
JP6470778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発電方法
JP6698406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6683504B2 (ja) 二酸化炭素分離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6163525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CN111837277B (zh) 二氧化碳制造系统
JP2018107098A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二酸化炭素分離方法
JP2019133938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6061913B2 (ja) 多段式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7134948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2655994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오프 가스의 재생 방법
US11309563B2 (en) High efficiency fuel cell system with hydrogen and syngas export
JP6134832B1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6629167B2 (ja) 循環式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9016151A (ja) 燃料電池発電装置のドレン回収装置
JP6096751B2 (ja) 循環式燃料電池システム
JP7148320B2 (ja) 二酸化炭素回収型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2017221864A (ja) ガス分離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6573863B2 (ja) 多段式燃料電池システム
JP6097807B1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7102204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6997032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