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883B1 -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 및 이를 이용한연료개질 장치 - Google Patents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 및 이를 이용한연료개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883B1
KR100795883B1 KR1020060057290A KR20060057290A KR100795883B1 KR 100795883 B1 KR100795883 B1 KR 100795883B1 KR 1020060057290 A KR1020060057290 A KR 1020060057290A KR 20060057290 A KR20060057290 A KR 20060057290A KR 100795883 B1 KR100795883 B1 KR 100795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membrane
hydrogen separation
fuel
hydrogen
carbon mon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051A (ko
Inventor
하성용
고형철
이충섭
Original Assignee
(주)에어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레인 filed Critical (주)에어레인
Priority to KR1020060057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883B1/ko
Publication of KR20080000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3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 C01B3/3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 C01B3/38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using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50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 C01B3/501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diffusion
    • C01B3/503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diffusion characterised by the membr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18Reforming processes, e.g. autothermal, partial oxidation or steam reform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01M8/0668Removal of carbon monoxide or 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05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 C01B2203/0227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containing a catalytic reforming step
    • C01B2203/0233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containing a catalytic reforming step the reforming step being a steam reforming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5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artial oxidation step
    • C01B2203/0261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artial oxidation step containing a catalytic partial oxidation step [CPO]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6Integration with other chemical processes
    • C01B2203/066Integration with other chemical processes with fuel cells
    • C01B2203/067Integration with other chemical processes with fuel cells the reforming process taking place in the fuel ce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29Energy recovery, e.g. by cogeneration, H2recovery or pressure recovery turb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개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 연료에 수증기를 주입하여 연료를 개질하는 단계; (b) 상기 개질된 수소기체혼합물을 수소분리막에 통과시켜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단계; 및 (c) 일산화탄소가 제거된 수소기체혼합물을 선택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개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면 대형의 수성기체전이반응기 대신 소형의 수소분리막을 적용함으로서 연료개질시스템이 컴팩트해질 수 있고 또한 수소분리막을 사용함으로서 일산화탄소의 제거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연료개질, 수소분리막

Description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개질 장치{fuel reforming apparatus using hydrogen separation membrane and fuel re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연료개질 공정도이다.
도 2는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본 발명의 연료개질 공정도이다.
도 3은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본 발명의 연료개질 장치를 연료전지에 적용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개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의 수성기체전이반응기 대신 소형의 수소분리막을 적용함으로서 연료개질시스템이 컴팩트해질 수 있고 또한 수소분리막을 사용함으로서 일산화탄소의 제거효율이 높은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개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개질기는 개질원료 공급되는 탄화수소와 반응을 하며, 다음의 3가지 반응을 거쳐 수소를 생산하게 된다.
1)수증기 개질반응(steam reforming): CH4 + H2O → CO + 3H2
2)수성기체전이반응(water gas shift) : CO + H2O → CO2 + H2
3)PrOx반응(preferential oxidation) : CO + ½ O2 → CO2
수증기 개질반응기내에서 발생한 수소는 반응물로부터 빨리 분리되어야 역반응을 막을 수 있으며 발생된 일산화탄소는 제거되어야 연료전지에 공급될 수 있다. 일산화탄소는 연료전지의 전극촉매에 촉매피독(catalyst poisoning)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100ppm이하로 제거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생된 일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성기체전이반응을 다시 독립적으로 수행한다. 이후 잔존하고 있는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최종 목표로 낮추기 위하여 산화반응이나 약간의 수소를 공급하여 메탄화시키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의 일련의 공정을 결합한 공정도와 일반적인 공정도를 다음 도 1에 나타내었다.
그러나 수성기체전이반응은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는 공정일 뿐만 아니라 연료개질 시스템의 크기를 컴팩트화 하는 데에 장애가 된다. 또한 PrOx방법에 의한 수소혼합기체혼합물 중의 일산화탄소의 선택산화반응(preferential oxidation)이나 메탄화(methanation)반응은 촉매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연료개질기에 분리막을 적용하여 일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는 기술내용은 소개된 적이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컴팩트하고 일산화탄소 제거효율이 우수한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적용한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연료에 수증기를 주입하여 연료를 개질하는 단계;
(b) 상기 개질된 수소기체혼합물을 수소분리막에 통과시켜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단계; 및
(c) 일산화탄소가 제거된 수소기체혼합물을 선택산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
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연료에 수증기를 주입하여 연료를 개질하는 수증기개질기;
(b) 상기 개질기에서 개질된 수소기체혼합물을 수소분리막에 통과시켜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수소분리막; 및
(c) 상기 수소분리막으로부터 일산화탄소가 제거된 수소기체혼합물을 산화시 키는 선택산화반응기
를 포함하는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장치
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부터 일산화탄소를 분리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어 온 분리막을 연료개질기에 적용하면 분리막이 수소혼합물 중 수소에 선택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일산화탄소 등 수소 이외 분리하고 싶은 기체를 쉽게 분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설정하고 예의 실험한 결과 발명자들의 추측이 현실화될 수 있음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공지의 분리막을 연료개질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분리막의 용도를 발견하였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증기개질기에서 발생되는 수소기체혼합물 및 수성기체전이반응에서 발생되는 수소기체혼합물로부터 일산화탄소를 분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산화탄소가 개질기에서 발생되는 수소기체혼합물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연료전지의 원료로 사용되게 되면 전극촉매에 촉매피독(catalyst poisoning)을 일으키기 때문에 연료전지시스템에 연료로 주입될 때 일산화탄소의 농도는 가급적 100ppm이하로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연료개질 시스템에서는 수증기 개질이후에 수성기체전이반응을 시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낮추도록 한다. 그러나 수성기체전이반응은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는 공정일 뿐만 아니라 연료개질 시스 템의 크기를 컴팩트화하는데에 장애가 된다. 또한 선택산화(PrOx)방법에 의한 수소혼합기체혼합물 중의 일산화탄소의 preferential oxidation이나 methanation반응은 촉매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 여러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여러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특징은 종래 공지의 수성기체전이반응을 수소분리막으로 대체하여 실시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공정은 다음과 같이 3단계로 진행된다. 본 발명의 연료개질 공정은 도 2에 나타내었다.
(a) 연료에 수증기를 주입하여 연료를 개질하는 단계;
(b) 상기 개질된 수소기체혼합물을 수소분리막에 통과시켜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단계; 및
(c) 일산화탄소가 제거된 수소기체혼합물을 선택산화시키는 단계.
상기 연료로는 메탄, 메탄올, C1~C4인 가스상의 화합물, 가솔린, 이들의 혼합물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a) 단계가 진행되는 수증기개질기에 연료가 주입되기 전 연료로부터 황과 같은 여러 불순물을 충분히 제거하는 전처리 공정을 거친 후 연료를 수증기개질기에 주입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증기개질기에는 연료 이외 고온의 수증기를 함께 주입하여 연료를 개질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수증기 개질공정은 600 ℃ 내외의 고온에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증기개질기에서 수증기 개질과정을 거쳐 발생되는 수소기체혼합물은 일반적으로 수소의 농도가 약 60~70%,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12~15%정도이다. 이후 일반적으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낮추고 연료개질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수성가스전이반응을 시키게 된다. 수성가스전이반응 후의 혼합기체의 조성은 수소의 농도가 71~76%,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1~4%로 전환이 된다. 이후 선택산화과정을 거쳐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ppm수준으로 낮춰져 연료전지 전극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종래의 수성기체전이반응을 분리막시스템으로 대체하여 일산화탄소를 분리해 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 과정에 적용될 수 있는 분리막은 수소선택성을 가지고 있으며 열적특성이 우수한 분리막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수소선택성 분리막 소재로는 팔라듐과 같은 금속계통이나 열분해 탄소, 탄소-실리카와 같은 탄소성분이나 폴리이미드계, 폴리술폰계와 같은 내열성고분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소선택성 분리막의 형태는 평막이나 중공사 모두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기체분리막의 성능은 기체투과량과 기체선택도의 2가지 성능인자로 평가된다. 기체투과량은 생산성과 직접관련이 되며 높을수록 좋은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기체선택도는 분리대상 기체간의 기체투과량의 비로 나타내어진다. 모든 막소재는 수소기체와 일산화탄소기체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5~500 정도의 선택도 성능을 나타낸다. 선택도는 기체투과량과 한쪽성능이 높으면 다른 한쪽성능이 낮고 한쪽성능이 낮으면 다른 한쪽성능이 높은 양립이 어려운 성능관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너무 선택도가 높은 분리막은 기체투과량이 적은 단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수소분리막의 선택도(수소/일산화탄소)는 3~500 이 바람직하고, 10~200 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소분리막의 선택도가 3미만인 경우 기체분리성능이 낮아 수소의 농축 및 일산화탄소의 제거가 어렵고 500을 초과하는 경우 투과도가 매우 낮아 처리기체의 양이 매우 작아 비효율적이다.
수소에 대한 선택성을 가지는 분리막에 수소와 일산화탄소 혼합기체를 흘리게 되면 수소는 분리막을 빠르게 투과하고 일산화탄소는 적은 양이 느리게 투과하여 막의 상부에는 수소가 농축이 되면 공급측에는 일산화탄소가 배제되게 된다. 막의 상부에 투과된 수소혼합기체 내에는 일산화탄소가 5%이하여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1%이하여야 한다. 이렇게 일산화탄소가 일차적으로 제거된 수소혼합기체 혼합물은 선택산화공정으로 보내져 100ppm이하의 일산화탄소농도를 갖는 최종수소혼합물로 처리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소분리막 처리공정에서의 스테이지-컷(stage-cut, 투과기체의 유량/공급기체의 유량)은 0.1~0.9가 바람직하다. 스테이지-컷이 0.1 미만이면 투과기체의 양에 비해 공급하는 기체량이 매우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0.9를 초과하면 투과기체 중의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수성기체전이공정을 수소분리막 처리공정으로 대체한 점이 본 발명의 핵심이지만 본 발명의 수소분리막 처리공정 전 또는 후에 종래의 수성기체전이반응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연료개질공정을 진행하더라도 연료개질반응기 전체 크기가 컴팩트해질 수는 없으나 일산화탄소의 제거효율이 보다 증가될 수 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예가 될 수도 있다.
수소분리막 처리공정을 거친 후 수소기체혼합물은 다시 선택산화반응을 위해 PrOx 촉매반응기로 보내진다. PrOx 촉매는 일반적으로 Pt계, Ru계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고가의 Pt계, Ru계 촉매 대신 값싼 촉매를 사용하여 선택산화반응을 진행시키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연료개질 공정 중 수증기개질공정((a) 단계), 수소분리막처리공정((b) 단계), 선택산화공정((c) 단계)에서 잔류하는 열은 수증기개질공정에서의 히터로 재순환시켜 히터의 열원으로 재활용할 수도 있다. 이때 연료전지 특히 공기극에서 발생되는 열도 히터로 공급되어 히터의 열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공정을 보다 구체화한 개념도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연료개질 장치는 (a) 연료에 수증기를 주입하여 연료를 개질하는 수증기개질기; (b) 상기 개질기에서 개질된 수소기체혼합물을 수소분리막에 통과시켜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수소분리막; 및 (c) 상기 수소분리막으로부터 일산화탄소가 제거된 수소기체혼합물을 산화시키는 선택산화반응기를 필수 구성성분으로 포함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기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도(수소/일산화탄소) 측정
본 발명자가 기출원한 대한민국특허출원 제2005-0041062호 및 제2000-0048823호의 실시예에 기재된 수소분리막에 대하여 99.999%의 고순도 수소와 고순도 일산화탄소를 사용하여 25℃, 5기압 하에서 각각 기체투과도를 측정하고 수소투과도를 일산화탄소투과도로 나누어 선택도(수소/일산화탄소)를 측정한 결과, 각각 차례로 42.6, 35.8 이었다. 이와 같은 선택도를 나타내는 대한민국특허출원 제2005-0041062호 및 제2000-0048823호의 실시예에 기재된 수소분리막을 각각 차례로 실시예 1과 2에서 이용하여 수소분리막 공정 후 잔류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과 2에서의 일산화탄소 농도 측정 방법을 아래 실시예 1과 2에서 상술하였다.
(실시예 1)
대한민국특허출원 제2005-0041062호에 따라 제조된 수소분리막을 사용하여 수소분리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수소분리막은 막면적이 100.14㎠이며, 공급되는 혼합기체의 농도는 각각 수소 67% 이산화탄소 20.6%, 일산화탄소 12.4% 였으며, 온도는 100℃, 압력은 5Kg/cm2로 공급되었다. 최종적인 분리후의 각각기체의 농도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프로 측정하였다. Stage cut(= 투과기체의 유량/공급기체의 유량)을 바꿔가며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Stage cut 투과기체의 농도(%)
수소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0.15 86.23 13.34 0.43
0.42 84.35 15.09 0.56
0.54 82.16 17.23 0.61
0.83 79.77 19.36 0.87
(실시예 2)
대한민국특허출원 제2000-0048823호에 따라 제조된 수소분리막을 사용하여 수소분리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수소분리막은 막면적이 100.14㎠이며, 분리막에 공급되는 혼합기체의 농도는 각각 수소 67% 이산화탄소 20.6%, 일산화탄소 12.4% 였으며, 온도는 60℃, 압력은 5Kg/cm2로 공급되었다. 최종적인 분리후의 각각기체의 농도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프로 측정하였다. Stage cut을 바꿔가며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Stage cut 투과기체의 농도(%)
수소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0.21 81.45 17.97 0.58
0.46 79.22 20.11 0.67
0.61 77.97 21.20 0.83
0.82 74.89 24.09 1.02
상기 표 1과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을 이용하면,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거의 1% 이하까지 낮출 수 있어, 분리막공정 이후 선택산화반응에서 촉매피독이 적어 보다 효율적으로 일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면 대형의 수성기체전이반응기 대신 소형의 수소분리막을 적용함으로서 연료개질시스템이 컴팩트해질 수 있고 또한 수소분리막을 사용함으로서 일산화탄소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8)

  1. (a) 연료에 수증기를 주입하여 연료를 개질하는 단계;
    (b) 상기 개질된 수소기체혼합물을 선택투과도가 3∼500인 수소분리막에 통과시켜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단계; 및
    (c) 일산화탄소가 제거된 수소기체혼합물을 선택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의 스테이지-컷(stage-cut)이 0.1∼0.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분리막은 선택투과도가 10~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분리막 재질은 팔라듐계, 탄소-실리카계, 탄소계, 폴리이미드계 및 폴리술폰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전 또는 후에 수성기체전이공정을 추가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또는 (c) 단계 후 배출되는 폐열을 (a) 연료개질 단계에서 히터의 열원으로 재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
  8. (a) 연료에 수증기를 주입하여 연료를 개질하는 수증기개질기;
    (b) 상기 개질기에서 개질된 수소기체혼합물을 선택투과도가 3∼500이고, 스테이지-컷(stage-cut)이 0.1∼0.9로 조절된 수소분리막에 통과시켜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수소분리막; 및
    (c) 상기 수소분리막으로부터 일산화탄소가 제거된 수소기체혼합물을 산화시키는 선택산화반응기를 포함하는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장치.
KR1020060057290A 2006-06-26 2006-06-26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 및 이를 이용한연료개질 장치 KR100795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290A KR100795883B1 (ko) 2006-06-26 2006-06-26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 및 이를 이용한연료개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290A KR100795883B1 (ko) 2006-06-26 2006-06-26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 및 이를 이용한연료개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051A KR20080000051A (ko) 2008-01-02
KR100795883B1 true KR100795883B1 (ko) 2008-01-21

Family

ID=3921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290A KR100795883B1 (ko) 2006-06-26 2006-06-26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 및 이를 이용한연료개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8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953A (ko) * 2016-11-24 2021-06-07 도쿄 가스 가부시키가이샤 연료 전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470B1 (ko) * 2009-09-04 2012-01-31 권국한 조명 장치용 지지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KR102272722B1 (ko) * 2019-08-26 2021-07-0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소 분리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5439A (ja) 2002-08-14 2004-03-1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水素製造装置
JP2004099369A (ja) 2002-09-10 2004-04-02 Nissan Motor Co Ltd 燃料改質装置
JP2004107175A (ja) 2002-09-20 2004-04-08 Nissan Motor Co Ltd 水素製造装置
JP2005336003A (ja) 2004-05-26 2005-12-08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高純度水素製造装置
KR20060007574A (ko) * 2004-07-20 2006-01-26 한국화학연구원 분리막 반응기를 이용한 수소의 제조방법
JP2006096601A (ja) 2004-09-29 2006-04-13 Nissan Motor Co Ltd 水素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5439A (ja) 2002-08-14 2004-03-1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水素製造装置
JP2004099369A (ja) 2002-09-10 2004-04-02 Nissan Motor Co Ltd 燃料改質装置
JP2004107175A (ja) 2002-09-20 2004-04-08 Nissan Motor Co Ltd 水素製造装置
JP2005336003A (ja) 2004-05-26 2005-12-08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高純度水素製造装置
KR20060007574A (ko) * 2004-07-20 2006-01-26 한국화학연구원 분리막 반응기를 이용한 수소의 제조방법
JP2006096601A (ja) 2004-09-29 2006-04-13 Nissan Motor Co Ltd 水素製造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953A (ko) * 2016-11-24 2021-06-07 도쿄 가스 가부시키가이샤 연료 전지 시스템
KR102383498B1 (ko) * 2016-11-24 2022-04-08 도쿄 가스 가부시키가이샤 연료 전지 시스템
US11710837B2 (en) 2016-11-24 2023-07-25 Tokyo Gas Co., Ltd. Fuel cell system including a separation membr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051A (ko)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1119B1 (en) Method of hydrogen production and carbon dioxide recovery and apparatus therefor
EP21819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ydrogen production and carbon dioxide recovery
EP3658489B1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mmonia synthesis gas
US20090123364A1 (en) Process for Hydrogen Production
US20090272266A1 (en) Method for oxygenating gases, systems suited therefor and use thereof
JP5039426B2 (ja) 水素製造および二酸化炭素回収方法
KR20170093129A (ko) 초-고순도 일산화탄소의 제조 방법
EP1236495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moving sulfur compounds from a hydrocarbon stream
KR20170134484A (ko) Co2 막을 포함하는 개질기 디바이스
US20090044701A1 (en) Hydrogen purification process that uses a combination of membrane separation units
US20140332405A1 (en) Hydrogen production process with carbon dioxide recovery
KR100795883B1 (ko)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연료개질 방법 및 이를 이용한연료개질 장치
US20140086818A1 (en) Synthesis Gas Separation and Reforming Process
BR112019017384A2 (pt) Processo para produção de metanol
KR840000966B1 (ko) 격막에 의한 가스 분리방법
JPH09278403A (ja) 高純度水素の製造方法
KR20200076094A (ko) 합성가스로부터 수소와 디메틸에테르(dme)를 동시에 생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생산장치
CN107376603B (zh) 脱除制氢变换气变压吸附工艺尾气中co2的方法
KR101710019B1 (ko) 분리막을 사용하여 수반가스로부터의 디메틸에테르 제조방법
KR102592537B1 (ko) 부생 가스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화학물질의 제조방법 및 장치
US9359558B2 (en) Carbon to liquids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20240059637A1 (en) Process and plant for producing methanol and synthesis gas
MENÉNDEZ Membrane Reactors as Tools for Improved Catalytic Oxidation Processes
JP2000017276A (ja) 原料炭化水素の脱硫改質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1206689A (zh) 用固体电解质膜生产氢气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