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923B1 - 반죽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반죽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923B1
KR102376923B1 KR1020210047576A KR20210047576A KR102376923B1 KR 102376923 B1 KR102376923 B1 KR 102376923B1 KR 1020210047576 A KR1020210047576 A KR 1020210047576A KR 20210047576 A KR20210047576 A KR 20210047576A KR 102376923 B1 KR102376923 B1 KR 102376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frame
housing
rotating drum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설희
Original Assignee
정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설희 filed Critical 정설희
Priority to KR1020210047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163Applying co-extrusion, i.e. extruding two or more plastic substances simultaneously, e.g. for making filled dough products; Making products from two or more different substances supplied to the extrude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18Extruding machines with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5/00Dough-dividing machines
    • A21C5/02Dough-dividing machines with division boxes and ejection plung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8Depositing, arranging and conveying apparatus for handling pieces, e.g. sheets of dough
    • A21C9/081Charging of baking tins or forms with doug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죽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반죽 공급 장치는 상면에 빵틀이 안착되는 작업대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배면에 장착되며, 내부에 구동모터가 탑재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배면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장착되며, 내부에 반죽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호퍼,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정회전 및 역회전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호퍼 또는 노즐부와 연통되는 회전드럼,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드럼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유닛,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승강됨에 따라 상기 회전드럼 내부로 수용되어 상기 회전드럼 내부에 수용된 반죽을 가압하는 복수 개의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의해 가압된 일정량의 반죽을 외부의 빵틀에 전달하는 노즐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일정높이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노즐부가 거치되도록 상하를 관통하는 안착홀이 복수 개 형성되되,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동력전달유닛에 접촉되어 승강되고, 자중에 의해 하강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은 반죽이 자동으로 정량 공급되도록 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작업자의 컨디션 및 숙련도에 관계없이 품질이 우수한 빵을 생산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죽 공급 장치 {Feeding apparatus for bread paste}
본 발명은 제빵용 반죽을 정량으로 공급하기 위한 반죽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빵을 제조하기 위한 제과 공정은, 밀가루, 물 등을 혼합 및 교반하여 점성을 갖는 반죽(반죽물)로 제조한 뒤 반죽을 빵틀에 붓고, 가열하여 빵틀의 형상대로 빵이 완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반죽은 빵틀에 정확하게 일정량 토출되어 균일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반죽을 빵틀에 토출하기 위해, 작업자가 비닐재질로 이루어진 짤주머니에 빵 반죽을 담고, 두 손을 모두 사용하여 반죽을 빵틀에 짜서 공급하는 등 수작업으로 반죽을 공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빵틀에 반죽을 공급하게 될 경우, 숙련자가 아니라면 반죽의 정량공급이 어려웠으며, 특히, 점성이 낮은 반죽으로 제조되는 빵의 경우, 반죽이 빵틀에 정해진 용량보다 적거나 많게 공급되어 빵의 품질이 저하되며, 버터와 같이 체온에 의해 변화되는 재료가 포함된 반죽의 경우, 작업 중 재료의 점도가 변화하여 반죽의 정량 토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410-184355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반죽에 포함되는 재료 및 반죽의 점성에 관계없이 제빵용 반죽을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반죽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반죽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반죽 공급 장치는 상면에 빵틀이 안착되는 작업대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배면에 장착되며, 내부에 구동모터가 탑재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배면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장착되며, 내부에 반죽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호퍼,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정회전 및 역회전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호퍼 또는 노즐부와 연통되는 회전드럼,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드럼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유닛,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승강됨에 따라 상기 회전드럼 내부로 수용되어 상기 회전드럼 내부에 수용된 반죽을 가압하는 복수 개의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의해 가압된 일정량의 반죽을 외부의 빵틀에 전달하는 노즐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일정높이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노즐부가 거치되도록 상하를 관통하는 안착홀이 복수 개 형성되되,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동력전달유닛에 접촉되어 승강되고, 자중에 의해 하강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는, 상기 복수 개의 피스톤을 동시에 동일한 거리만큼 승하강시키기 위해 복수 개의 피스톤의 하단부와 연결된 피스톤 지지대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지지대의 양끝단에는 상기 피스톤지지대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실린더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지지대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승하강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실린더 및 복수 개의 피스톤이 함께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되, 외력에 의해 승강되고,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마련된 승하강로드, 상기 승하강로드의 상부에 상기 승하강로드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하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안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로드와 함께 승하강되는 안착프레임, 상기 안착프레임의 끝단부에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며, 회전드럼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동력전달유닛에 접촉되어 상기 안착프레임이 승강되도록 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죽이 자동으로 정량 공급되도록 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작업자의 컨디션 및 숙련도에 관계없이 품질이 우수한 빵을 생산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유닛 내부에 노즐유닛의 입구를 개폐하는 볼부재를 장착하고, 노즐유닛이 거치되는 안착프레임이 반죽을 압출한 이후 자동 승강되도록 하여 반죽의 점도에 관계없이 정량의 반죽이 공급되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죽 공급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죽 공급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죽 공급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드럼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우징의 A-A'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드럼이 호퍼와 연통된 상태이며, (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드럼이 노즐부와 연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유닛의 입구가 폐쇄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b)는 노즐유닛의 입구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호스가 사용되는 실시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프레임이 승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죽 공급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죽 공급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죽 공급 장치(1000)는, 본체(100), 공급부(200), 호퍼(300), 노즐부(400), 거치대(5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면에 작업대가 형성되도록 하는 요소이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본체는 하부에 지지대가 결합된 사각 박스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상면은 평평하게 마련되어 제빵용 반죽이 수용되는 트레이 등이 놓이는 작업대로 활용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상기 본체의 이동성을 용이하게 하는 이동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측방에는 상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별도의 브레이크 부재가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100)의 배면에는 공급부(200)가 설치되며, 상기 공급부의 상부에는 호퍼(300)가 장착된다.
상기 호퍼(300)는 상부에 개폐 가능한 덮개가 마련되고, 내부 공간부에 반죽이 공급 및 저장되는 용기이며, 상기 호퍼를 통해 투입된 반죽은 공급부(200)로 공급된다.
상기 공급부(200)는, 지지프레임(210), 하우징(220), 구동모터(도면미도시), 회전드럼(230), 제1 동력전달유닛(240), 가이드실린더(250), 피스톤(260), 피스톤지지대(270), 제2 동력전달유닛(28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지지프레임(210)은 본체의 배면에 설치되며, 사각박스형상으로 내부 공간부에는 회전드럼 및 피스톤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된다.
이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배면에는 하우징(220)이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의 상부는 호퍼(300)와 연결되고, 배면은 노즐부(400)와 연결되며, 하부에는 피스톤(260)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220)은 호퍼(300)를 통해 내부 공간부로 공급된 반죽이 상기 피스톤(260)의 압력에 의해 노즐부(400)로 이송되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에는 좌우측면을 관통하도록 원형의 삽입구(221)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에는 상기 회전드럼(230)이 장착된다.
상기 회전드럼(23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삽입구(221)에 수평(가로)으로 장착되어 하우징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회전드럼이 장착되는 상기 삽입구(221)의 내주연에는 호퍼(300)와 연통되는 호퍼연통구(222), 피스톤(260)과 연통되는 피스톤연통구(223), 노즐부(400)와 연통되는 노즐연통구(224)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호퍼연통구, 피스톤연통구, 노즐연통구는 하우징(220)의 외주연까지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호퍼연통구는 상기 호퍼와 대응되도록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연통구는 상기 피스톤과 대응되도록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연통구는 상기 노즐부와 대응되도록 하우징의 배면에 형성된다.
상기 호퍼연통구, 피스톤연통구, 노즐연통구는 각각 복수 개가 형성되되,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 4개의 호퍼연통구, 피스톤연통구, 노즐연통구를 형성하였으며, 상기 4개의 호퍼연통구는 하나의 호퍼와 연결되어 반죽을 공급받고, 4개의 피스톤연통구에는 각각 피스톤이 장착되며, 4개의 노즐연통구에는 각각 호스가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드럼(230)은, 구동모터에 의해 90도로 정회전 및 역회전되도록 마련되며, 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호퍼(300) 또는 노즐부(400)와 연통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드럼(230)의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호퍼연통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피스톤연통구와 연결되는 제1 이동로(232)와, 상기 제1 이동로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분기 형성된 제2 이동로(234)가 형성된다.
도 6의 (a)는 상기 회전드럼이 호퍼와 연통된 상태이며, (b)는 상기 회전드럼이 노즐부와 연통된 상태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드럼이 호퍼와 연동된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이동로의 일단은 호퍼연통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피스톤연통구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이동로는 삽입구의 내주연에 의해 끝단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피스톤(260)은 하강된 상태이며, 상기 제1 이동로 및 제2 이동로 내부는 호퍼로부터 공급된 반죽으로 충진된다.
이어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드럼이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상기 회전드럼은 노즐부와 연통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이동로의 일단은 삽입구의 내주연에 의해 끝단이 폐쇄되고, 제1 이동로의 타단은 노즐연통구와 연결되며, 제2 이동로는 피스톤연통구와 연결된다.
이 때, 상기 피스톤(260)은 승강된 상태이며, 상기 피스톤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이동로 및 제2 이동로 내부에 수용된 반죽은 끝단부가 개방된 상태인 노즐연통구(224)를 통해 노즐부(400)로 이송된다.
즉, 상기 피스톤은 피스톤연통구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드럼 내부로 공급된 반죽을 밀어내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반죽은 피스톤이 이동하는 거리만큼만 외부로 배출되므로 상기 반죽은 정량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밀봉 오링이 끼움 결합되어 피스톤연통구와 피스톤 사이가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이동로 및 제2 이동로는 피스톤연통구 및 노즐연통구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드럼(230)은, 상기 제1 동력전달유닛(240)에 의해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동력전달유닛(240)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전후방으로 회전하는 제1 캠(242), 상기 제1 캠의 외주연에 제1 캠의 중심과 편심되게 링크 결합된 제1 링크부재(244), 상기 제1 링크부재의 끝단에 링크 결합된 제2 링크부재(246), 상기 회전드럼과 고정되되, 상기 제2 링크부재의 끝단에 제2 링크부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고정되는 회전축(248)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내부에는 구동모터가 장착된다.
상기 제1 캠(242)은, 지지프레임(21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구동모터가 정회전 및 역회전으로 회전됨에 따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1 캠의 외주연에는 제1 캠의 중심과 편심되게 제1 링크부재(244)가 링크 결합되며, 제1 링크부재(244)의 끝단부에는 제2 링크부재(246)가 링크 결합된다.
즉, 상기 제1 링크부재의 일단은 제1 캠의 외주연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제2 링크부재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일단은 제1 링크부재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드럼(230)의 회전중심축 역할을 하는 회전축(248)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은 제1 캠, 제1 링크부재, 제2 링크부재를 거쳐 회전축 및 회전드럼으로 공급되며, 회전드럼은 구동모터의 구동력(회전력)을 공급받아 전후방향으로 90도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링크부재와 회전축은 별개의 구성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제2 링크부재와 회전축은 상호 고정된 것으로, 제2 링크부재 및 회전축을 대체하 양단이 상호 교차(직교)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하나의 부재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2 링크부재(246)은 전방(시계방향)으로 회동시 후술할 거치부(500)의 안착프레임(520)을 승강하도록 마련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거치부를 후술하면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반죽은 상기 피스톤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반죽을 노즐부로 토출하게 되므로, 상기 반죽을 정량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피스톤이 이동하는 거리가 동일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피스톤의 하단이 하나의 피스톤 지지대(270)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피스톤 지지대의 양단에 가이드실린더(250)를 장착하여, 상기 피스톤지지대의 양단이 상기 가이드실린더에 의해 가이드 되며, 가이드실린더와 함께 피스톤 지지대가 승하강되도록 하였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에서는 4개의 피스톤이 각각의 하우징의 피스톤연통구(223)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되, 상호 등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 지지대(270)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배면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복수 개의 피스톤의 하부 끝단부와 고정 결합되어, 지지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가이드실린더(250)에 가이드되어 함께 승하강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피스톤의 하단 외주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이 피스톤지지대(270)에 걸림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과 피스톤지지대는 안정적으로 상호 고정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피스톤이 동시에 동일한 거리만큼 승하강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 지지대는 제2 동력전달유닛(280)에 통해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승하강하고, 상기 피스톤지지대가 승하강됨에 따라 가이드실린더(250) 및 피스톤(260)이 승하강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동력전달유닛(28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에 의해 좌우측방향으로 회동하는 제 2캠(282)과, 상기 제 2캠에 링크결합되는 제3 링크부재(L), 제3 링크부재에 링크결합되며, 끝단부가 피스톤지지대(270)의 길이방향으로의 중앙부에 힌지결합되는 제4 링크부재(L)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제 2캠이 구동모터에 의해 좌우측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피스톤지지대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지지대는 길이를 가지는 부재이므로, 상기 피스톤지지대가 사용과정에서 비틀리거나, 중력 등에 의해 밴딩될 경우, 상기 피스톤지지대에 의해 승하강되는 복수 개의 피스톤의 이동거리는 달리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실린더가 피스톤지지대의 양단을 지지하고, 피스톤지지대의 승하강을 가이드 하도록 하여, 복수 개의 피스톤이 동일한 거리만큼 상하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반죽이 정량 토출되도록 하였다.
상기 구동모터는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도록 2개가 별도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구동모터에 베벨기어 등이 추가로 설치되어 각각 다른 방향으로 회전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되어질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스톤 지지대가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제2 동력전달유닛(280)에 의해 전달받아 승하강하고, 상기 피스톤지지대가 승하강됨에 따라 가이드실린더(250) 및 피스톤(260)이 승하강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실시례에 불과하며,
상기 가이드실린더(250)가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승하강하고, 상기 가이드실린더가 승하강됨에 따라 피스톤 지지대 및 피스톤이 승하강하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회전드럼(230) 내부에서 상기 피스톤에 의해 가압된 반죽은 노즐부(400)로 정량 압출(공급)된다.
상기 노즐부는(400), 상기 공급부(200)의 노즐연통구(224)와 연결된 호스(410), 상기 호스의 끝단에 결합되는 노즐유닛(430)을 포함한다.
상기 호스(410)는, 플렉시블 호스인 것으로, 반죽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호스(410)의 일단은 노즐연통구(224)에 연결되고 타단은 노즐유닛(430)과 연결되며, 상기 반죽은 노즐유닛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유닛(430)의 내부에는 스프링(S)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볼(B)이 장착되어 노즐유닛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스프링은 압축하는 힘에 저항하는 압축스프링이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노즐유닛의 내주연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지지턱(432)에 고정되고, 타단은 볼(B)에 고정되어 반죽이 외부로 토출되려고 하는 압력에 의해 노즐유닛의 유로가 개방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 도 7의 (a)에서처럼, 상기 스프링은 평소에는 인장되어 노즐유닛의 입구가 폐쇄되도록 하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410)를 통해 반죽이 이동되는 압력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압축되어, 상기 노즐유닛의 입구가 개방되도록 한다.
즉, 상기 반죽이 토출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볼이 노즐유닛의 하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노즐유닛 유로와 볼 사이에 간격이 생기고, 그 틈으로 반죽이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노즐유닛에 장착되는 볼 및 스프링은, 반죽의 점도에 상관없이 반죽이 정량적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노즐부(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스와 노즐유닛 사이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분기호스(450)를 더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분기호스는, 호스(410)의 유로를 2개 이상으로 나눠 반죽이 토출되는 양을 조절하기 위한 요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로가 2개로 분기된 분기호스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실시례에 불과하며, 제조하고자 하는 빵의 종류 등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분기호스를 활용하여, 반죽이 토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분기호스(450)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호퍼(300)의 전면 상단에는 별도의 거치프레임(470)이 장착된다.
상기 호스(410)에 분기호스(450)가 장착되는 경우, 호스 및 분기호스의 길이가 연장되므로, 상기 거치프레임은, 호스를 지지하여 상기 반죽이 호스를 통해 분기호스로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거치프레임(470)의 하단에는 호퍼의 상단에 장착되기 위한 끼움홈(부호미표시)이 형성되며, 거치프레임의 상단에는 호스가 거치되기 위한 거치홈(부호미표시)이 복수 개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유닛(430)은,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설치된 거치부(500)에 거치된 상태로 반죽을 토출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분기호스가 사용될 경우, 상기 노즐부의 호스(410)는 거치프레임(470)에 1차 거치되고, 상기 호스(410)에 연결된 분기호스(450)는, 상기 거치부(500)의 안착프레임(520)에 2차 거치되어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500)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승강하고, 자중에 의해 하강하도록 마련된 승하강로드(510), 상기 승하강로드의 상단부에 상기 승하강로드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하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안착홀(522)이 형성된 안착프레임(520), 상기 안착프레임의 끝단부에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된 가이드프레임(530), 상기 안착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조절로드(54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안착프레임은 상기 노즐유닛(430)이 거치되는 요소이다.
상기 안착프레임은, 복수 개의 안착홀(522)이 형성된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끝단부에 제1 프레임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홀은 복수 개가 상호 등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안착홀의 크기 및 개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저면에는 승하강로드(510)가 장착된다.
상기 승하강로드(510)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승강하고, 자중에 의해 하강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승하강로드가 승하강 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승하강로드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홀(부호미표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승하강로드가 제2 프레임의 저면 양단에 각각 장착되도록 하여, 안착프레임이 더욱 안정적으로 승하강되도록 하였다.
아울러, 상기 제2프레임의 후방측 끝단부에는 가이드프레임(530)이 연장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530)은,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지도록 마련되되, 그 끝단부는 내측하방향으로 절곡되게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후방측 끝단에 형성된 절곡부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부재(246)의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회전드럼이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는 경우 승강하고, 상기 회전드럼이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는 경우 자중에 의해 하강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53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드럼(230)이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동력전달유닛(240)의 제2 링크부재(246)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가압되어 상향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가이드프레임과 결합된 안착프레임 및 상기 안착프레임에 거치된 노즐유닛(430)도 함께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6의 (b)의 상태에서, 회전드럼이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게 되면, 도6의 (a) 상태가 되는 것으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드럼은 노즐부로 반죽을 압출한 뒤 호퍼로부터 반죽을 재공급받기 위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6의 (a) 상태가 된다.
상기 안착프레임은, 회전드럼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2 링크부재(246)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 링크부재의 상면에 접촉되어 외력에 의해 승강하고 자중에 의해 하강되는 것으로,
안착프레임이 승강되었다가 자중에 의해 낙하됨에 따라, 상기 노즐유닛(430) 내부에 잔류하는 반죽이 충격에 의해 하강되어 트레이 등에 수용됨으로써 반죽이 정량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노즐유닛이 거치되는 안착프레임은, 노즐유닛에서 반죽이 압출된 이후 회전드럼이 호퍼로부터 반죽을 재공급받기 위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자동 승강 및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하여 노즐유닛의 입구에 잔류하던 반죽이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정량의 반죽이 공급되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즉, 볼이 노즐유닛의 입구를 차단한 이후, 안착프레임의 승하강됨에 따라 노즐유닛 내부에 있던 반죽은 중력 및 충격에 의해 하부로 낙하하게 되므로, 반죽이 정량 공급될 뿐만 아니라 노즐유닛 내부에 잔류하던 반죽이 제거되므로 위생이 향상된다.
이어서, 상기 안착프레임에는 안착프레임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높낮이조절로드(540)가 결합된다.
상기 높낮이조절로드는, 상기 안착프레임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본체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며 외주연에 나사면이 형성된 수직로드(부호미표시)와, 상기 수직로드에 체결되되, 내주연에 나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위치 조절이 가능한 고정부재(부호미표시)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안착프레임의 상, 하부측에 배치되어, 안착프레임의 상, 하면을 지지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안착프레임이 정해진 높이 이하로는 승강 및 하강할 수 없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낮이조절로드가 안착프레임의 제1 프레임에 체결되도록 하였으나, 상기 높낮이조절로드의 체결 위치 등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반죽을 정량으로 공급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반죽공급장치
100: 본체
200: 공급부
210: 지지프레임
220: 하우징
221: 삽입구
222: 호퍼연통구
223: 피스톤연통구
224: 노즐연통구
230: 회전드럼
232: 제1 이동로
234: 제2 이동로
240: 제1 동력전달유닛
242: 제1 캠
244: 제1 링크부재
246: 제2 링크부재
248: 회전축
250: 가이드실린더
260: 피스톤
270: 피스톤지지대
280: 제2 동력전달유닛
282: 제2 캠
L: 제 3링크부재, 제4 링크부재
300: 호퍼
400: 노즐부
410: 호스
430: 노즐유닛
432: 지지턱
450: 분기호스
470: 거치프레임
B: 볼
S: 스프링
500: 거치부
510: 승하강로드
520: 안착프레임
522: 안착홀
530: 가이드프레임
540: 높낮이조절로드

Claims (3)

  1. 상면에 빵틀이 안착되는 작업대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배면에 장착되며, 내부에 구동모터가 탑재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배면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장착되며, 내부에 반죽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호퍼;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정회전 및 역회전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호퍼 또는 노즐부와 연통되는 회전드럼;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드럼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유닛;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승강됨에 따라 상기 회전드럼 내부로 수용되어 상기 회전드럼 내부에 수용된 반죽을 가압하는 복수 개의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의해 가압된 일정량의 반죽을 외부의 빵틀에 전달하는 노즐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일정높이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노즐부가 거치되도록 상하를 관통하는 안착홀이 복수 개 형성되되,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동력전달유닛에 접촉되어 승강되고, 자중에 의해 하강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되, 외력에 의해 승강되고,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마련된 승하강로드,
    상기 승하강로드의 상부에 상기 승하강로드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하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안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로드와 함께 승하강되는 안착프레임,
    상기 안착프레임의 끝단부에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끝단부는 내측하방향으로 절곡되며, 회전드럼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동력전달유닛에 접촉되어 상기 안착프레임이 승강되도록 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안착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안착프레임이 승하강되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조절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 공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는, 상기 복수 개의 피스톤을 동시에 동일한 거리만큼 승하강시키기 위해 복수 개의 피스톤의 하단부와 연결된 피스톤 지지대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지지대의 양끝단에는 상기 피스톤지지대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실린더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지지대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승하강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실린더 및 복수 개의 피스톤이 함께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 공급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의 호스에는,
    유로를 두 개 이상으로 분기하는 분기호스가 장착되며, 상기 호퍼의 전면 상단에는 상기 호스를 지지하는 거치프레임이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호스는 상기 거치프레임에 거치되고, 상기 분기호스는 안착프레임에 거치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 공급 장치.
KR1020210047576A 2021-04-13 2021-04-13 반죽 공급 장치 KR102376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576A KR102376923B1 (ko) 2021-04-13 2021-04-13 반죽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576A KR102376923B1 (ko) 2021-04-13 2021-04-13 반죽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923B1 true KR102376923B1 (ko) 2022-03-18

Family

ID=8093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576A KR102376923B1 (ko) 2021-04-13 2021-04-13 반죽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9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003B1 (ko) * 2023-06-07 2023-12-27 주식회사 굿베이크아이엔 생산성을 개선한 타르트 전용 제조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073U (ko) * 1988-06-15 1990-01-07 윤해옥 제빵기의 내용물 정량공급장치
KR20090002746A (ko) * 2007-07-04 2009-01-09 김광석 빵 제조 장치
KR101843555B1 (ko) 2016-05-11 2018-04-04 다원식품 주식회사 제빵용 반죽물 정량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073U (ko) * 1988-06-15 1990-01-07 윤해옥 제빵기의 내용물 정량공급장치
KR20090002746A (ko) * 2007-07-04 2009-01-09 김광석 빵 제조 장치
KR101843555B1 (ko) 2016-05-11 2018-04-04 다원식품 주식회사 제빵용 반죽물 정량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003B1 (ko) * 2023-06-07 2023-12-27 주식회사 굿베이크아이엔 생산성을 개선한 타르트 전용 제조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1956B (fi) Maskin foer automatisk framstaellning av en dryck.
KR102376923B1 (ko) 반죽 공급 장치
US4326567A (en) Variable volume, positive displacement sanitary liquid dispensing machine
US4813785A (en) Mixing structure for paint colorant in a dispensing apparatus
CN111673891A (zh) 一种用于杯子外壁上釉设备
KR100889281B1 (ko) 빵 제조 장치
US4375336A (en) Machine for dispensing a doughy substance
KR101547224B1 (ko) 동력전달장치를 갖는 컵 제품용 회전식 제조시스템
US200602256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icing
KR20100026022A (ko) 아이스크림 제조기
KR100537638B1 (ko) 계피떡 자동 성형기
KR200166789Y1 (ko) 송편송형기의통콩주입장치
KR101677687B1 (ko) 다중 토출 구조를 갖는 도넛 성형장치
CN217970016U (zh) 一种液体定量分装设备
KR940000777B1 (ko) 마블 모양의 필링의 토출장치
US223522A (en) locke
CN220300400U (zh) 一种水果罐头灌装设备
KR101935559B1 (ko)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
KR200166790Y1 (ko) 송편성형기의통콩주입장치
CN112604579B (zh) 一种陶瓷制作用釉浆搅匀机
CN216711575U (zh) 一种复合饮品生产装置
CN214986177U (zh) 一种定量包装机用称重装置
CN214326370U (zh) 一种轴承合套仪的套圈上料装置
CN220283606U (zh) 一种真石漆灌装设备
KR20050013343A (ko) 주사기 외통용 실리콘 코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