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559B1 -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559B1
KR101935559B1 KR1020170029838A KR20170029838A KR101935559B1 KR 101935559 B1 KR101935559 B1 KR 101935559B1 KR 1020170029838 A KR1020170029838 A KR 1020170029838A KR 20170029838 A KR20170029838 A KR 20170029838A KR 101935559 B1 KR101935559 B1 KR 101935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liquid material
liquid
block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3225A (ko
Inventor
이익재
Original Assignee
이익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재 filed Critical 이익재
Priority to KR1020170029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559B1/ko
Publication of KR20180103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6Apparatus for filling pieces of dough such as doughnuts
    • A21C9/065Apparatus for filling pieces of dough such as doughnuts by means of injection into a piece of dough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5/00Apparatus for handling baked articles
    • A21C15/007Apparatus for filling baked art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는: 액상물을 저장하는 저장통과, 저장통에 저장된 액상물을 설치블록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의 경로를 전환하여 정량 흡입하고 공급하는 정량공급부재와, 정량공급부재에서 배출된 액상물을 이송하여 컨베이어의 용기부재에 안착된 제품본체에 노즐부재의 노즐을 삽입하여 액상물을 내측공간에 주입하도록 노즐부재를 승강하는 승강안내부재와, 승강안내부재에 구비되어 노즐부재의 노즐을 제품본체에서 이탈시 노즐에서 액상물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DEVICE FOR MANUFACTURING AND INJECTION SHOU CREAM PRODUCTION}
본 발명은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통에 저장된 액상물을 회전부재의 회동을 통해 경로를 전환하여 정량 흡입, 공급을 정확하게 수행하고, 정량 공급된 액상물을 승강안내부재의 승강에 의한 노즐부재를 이용하여 컨베이어에 안착되어 이송된 제품본체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한 후 내측공간에 주입함으로써 액상물의 주입성능을 향상시키며, 노즐부재를 제품본체에서 이탈시 낙하방지부재의 작동을 이용하여 액상물이 하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자 제품 또는 제빵 제품의 종류 중에는 밀가루 등으로 이루어진 제품본체 속으로 슈크림, 아이스크림, 믹스를 포함하는 액상물을 주입하여 만든 제품들이 있으며, 이들은 외부 표면을 볼 때 액상물을 주입한 흔적이 별로 남지 않도록 제품본체 내에 액상물을 주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품본체에 흔적이 별로 남지 않도록 액상물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가느다란 노즐을 이용하여 제품본체에 삽입하여 내측 중공부위에 액상물을 주입함으로써 액상물 제품이 제조되는 것이다.
그런데, 기존에는 가느다란 노즐을 이동하여 제품본체에 찔러서 삽입한 후, 액상물을 내측 공간부위에 주입하기는 하지만, 주입과정이 전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제품 셍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37848호(2012.12.24, 발명의 명칭: 슈크림빵 및 그의 제조방법)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저장통에 저장된 액상물을 회전부재의 회동을 통해 경로를 전환하여 정량 흡입, 공급을 정확하게 수행하고, 정량 공급된 액상물을 승강안내부재의 승강에 의한 노즐부재를 이용하여 컨베이어에 안착되어 이송된 제품본체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한 후 내측공간에 주입함으로써 액상물의 주입성능을 향상시키며, 노즐부재를 제품본체에서 이탈시 낙하방지부재의 작동을 이용하여 액상물이 하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는, 액상물을 저장하는 저장통; 상기 저장통에 저장된 액상물을 설치블록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의 경로를 전환하여 정량 흡입하고 공급하는 정량공급부재; 상기 정량공급부재에서 배출된 액상물을 이송하여 컨베이어의 용기부재에 안착된 제품본체에 노즐부재의 노즐을 삽입하여 액상물을 내측공간에 주입하도록 상기 노즐부재를 승강하는 승강안내부재; 및 상기 승강안내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부재의 노즐을 상기 제품본체에서 이탈시 노즐에서 액상물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통의 상측에는 뚜껑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뚜껑의 상측에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는 액상물을 저어주는 교반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교반부재는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벌려지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봉이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뚜껑에는 세척액이 주입되는 세척액주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량공급부재는, 상기 설치블록의 설치공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통의 액상물을 유입관을 통해 유입하여 전환홀로 이동하게 하는 회전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경로를 전환하기 위해 회동하는 회전구동부재; 상기 전환홀을 통해 액상물을 정량 흡입 및 배출하는 정량작동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전환홀의 경로를 전환하고, 상기 정량작동부재의 배출 작동을 통해 상기 액상물을 배출 이송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가 회전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에 치합되는 랙기어; 및 상기 랙기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랙기어를 승강하여 상기 피니언기어를 통해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량작동부재는, 상기 설치블록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환홀에 연결되어 액상물을 정량만큼 저장하는 다수개의 저장부재; 상기 저장부재에 각각 설치되는 피스톤부재; 상기 피스톤부재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지지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부재를 당기거나 밀어주어 액상물을 정량 흡입하거나 배출하도록 프레임부재에 구비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안내부재는, 수직으로 한 쌍 설치되는 지지봉부재; 상기 지지봉부재의 상단부에서 가로 질러 설치되는 가로설치부재; 상기 가로설치부재의 중심부위에 구비되는 동력부재; 상기 동력부재의 축에 연결되고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승강블록; 상기 승강블록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봉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블록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부재; 및 상기 승강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노즐이 제품본체에 꽂아지거나 이탈되도록 상기 노즐부재의 승강을 지지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낙하방지부재는, 상기 노즐부재 각각의 내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액상물이 이동하는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피스톤블록; 상기 피스톤블록의 상단부 각각을 일체로 연결하는 장착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 양측에 축 연결되고, 상기 승강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을 제품본체에서 이탈시 액상물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상기 장착부재를 상측으로 작동하여 노즐부재의 내부에 부압을 제공하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는, 저장통에 저장된 액상물을 회전부재의 회동을 통해 경로를 전환하여 정량 흡입, 공급을 정확하게 수행하고, 정량 공급된 액상물을 승강안내부재의 승강에 의한 노즐부재를 이용하여 컨베이어에 안착되어 이송된 제품본체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한 후 내측공간에 주입함으로써 액상물의 주입성능을 향상시키며, 노즐부재를 제품본체에서 이탈시 낙하방지부재의 작동을 이용하여 액상물이 하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에서 저장통과 정량공급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회전구동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부재의 작동을 통해 액상물을 흡입 및 배출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에서 승강안내부재와 낙하방지부재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재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부재를 작동하여 액상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에서 저장통과 정량공급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회전구동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부재의 작동을 통해 액상물을 흡입 및 배출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에서 승강안내부재와 낙하방지부재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재의 상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부재를 작동하여 액상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는, 액상물을 저장하는 저장통(100)과, 저장통(100)에 저장된 액상물을 설치블록(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230)의 경로를 전환하여 정량 흡입하고 공급하는 정량공급부재(200)와, 정량공급부재(200)에서 배출된 액상물을 이송하여 컨베이어(30)의 용기부재(20)에 안착된 제품본체에 노즐부재(305)의 노즐(307)을 삽입하여 액상물을 내측공간에 주입하도록 노즐부재(305)를 승강하는 승강안내부재(300)와, 승강안내부재(300)에 구비되어 노즐부재(305)의 노즐(307)을 제품본체에서 이탈시 노즐(307)에서 액상물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부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저장통(100)은 슈크림, 아이스크림, 믹스를 포함하는 액상물을 저장하는 용기로서, 상측에 뚜껑(120)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뚜껑(120)의 상측 중심부위에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30)가 설치되며, 구동모터(130)의 축에는 액상물을 저어주기 위한 교반부재(110)가 구비된다.
교반부재(110)는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벌려지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봉이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뚜껑(120)에는 세척액이 주입되는 세척액주입구(140)가 형성될 수 있다. 세척액주입구(140)는 저장통(100)을 일정 시간 사용 후 CIP용 세척액을 주입하여 저장통의 내부와 정량공급부재(200)의 내부를 포함한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의 주요 부분을 세척할 수 있다. 세척액주입구(140)는 필요에 따라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정량공급부재(200)는 설치블록(210)의 설치공(2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장통(100)의 액상물을 유입관(212)을 통해 유입하여 전환홀(232)로 이동하게 하는 회전부재(230)의 일측에 연결되어 경로를 전환하기 위해 회동하는 회전구동부재(240)와, 전환홀(232)을 통해 액상물을 정량 흡입 및 배출하는 정량작동부재(260)와, 회전부재(230)의 회전을 통해 전환홀(232)의 경로를 전환하고, 정량작동부재(260)의 배출 작동을 통해 액상물을 배출 이송하는 배출관(2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부재(230)는 원형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어 약 90도의 설정각도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환홀(232)의 경로를 전환시킨다.
회전구동부재(240)는 회전부재(230)의 일측에 구비되는 피니언기어(241)와, 피니언기어(241)에 치합되는 랙기어(242)와, 랙기어(242)의 일측에 구비되어 랙기어(242)를 승강하여 피니언기어(241)를 통해 회전부재(230)를 회전하는 작동부재(2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구동부재(240)는 기어타입이 아닌 레버타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랙기어(242)는 가이드부재(250)에 의해 승강 이동을 안내한다.
가이드부재(250)는 랙기어(242)의 후측에 결합되는 블록부재(251)와, 블록부재(251)의 둘레에 안착홈부(253)가 접촉 지지되어 블록부재(251)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랙기어(242)의 승강을 안내하는 블록안내부재(252)를 포함한다.
정량작동부재(260)는 설치블록(2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환홀(232)에 연결되어 액상물을 정량만큼 저장하는 다수개의 저장부재(261)와, 저장부재(261)에 각각 설치되는 피스톤부재(262)와, 피스톤부재(262)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지지하는 연결부재(263)와, 연결부재(263)에 연결되어 피스톤부재(262)를 당기거나 밀어주어 액상물을 정량 흡입하거나 배출하도록 프레임부재(265)에 구비되는 실린더부재(264)를 포함한다.
연결부재(263)는 슬라이드부재(270)에 의해 상하이동을 안내받을 수 있다.
슬라이드부재(270)는 프레임부재(265)와 설치블록(210) 사이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봉(271)과, 연결부재(263)에 구비되고, 내주면에 슬라이드봉(271)이 설치되어 슬라이드봉(271)을 따라 연결부재(263)의 승강을 안내하는 슬롯부재(272)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액상물의 정량 공급과정을 살펴보면, 회전구동부재(240)의 작동부재(243)의 작동을 통해 랙기어(242)를 직진 이동시켜 피니언기어(241)의 회전을 통해 회전부재(230)의 전환홀(233)을 도 5의 첫 번째 도면에서와 같이, 역 T 자(┷)형상으로 배치한다. 이때, 랙기어(242)는 블록부재(251)가 안착홈부(253)에 안착된 블록안내부재(252)의 안내를 받으면서 안정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정량작동부재(260)의 피스톤부재(262)를 상측으로 이동하여 저장부재(261)의 저장공간에 액상물을 정량 흡입하도록 한다. 피스톤부재(262)는 연결부재(263)에 일체로 연결되어 실린더부재(264)를 통해 승강 작동한다.
연이어, 도 5의 두 번째 도면에서와 같이, 회전구동부재(240)의 작동부재(243)의 작동을 통해 랙기어(242)를 상기한 반대방향으로 직진 이동시켜 피니언기어(241)의 회전을 통해 회전부재(230)의 전환홀(233)을 ┣ 형상으로 회전시키도록 한다.
그 다음, 실린더부재(264)의 하강 작동을 통해 연결부재(263)에 각각 연결된 피스톤부재(262)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여 저장부재(261)의 저장공간에 수용된 액상물을 회전부재(230)의 전환홀(232)을 통해 배출관(280)으로 정향 배출하여 후술하는 노즐부재(305)를 통헤 제품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정량 주입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승강안내부재(300)는 컨베이어(30)의 양측에 배치된 고정부위에 수직으로 한 쌍 설치되는 지지봉부재(310)와, 지지봉부재(310)의 상단부에서 가로 질러 설치되는 가로설치부재(320)와, 가로설치부재(320)의 중심부위에 구비되는 동력부재(330)와, 동력부재(330)의 축에 연결되고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승강블록(340)과, 승강블록(340)의 양측에 구비되고, 지지봉부재(310)에 설치되어 승강블록(34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부재(350)와, 승강블록(340)에 구비되고, 노즐(307)이 제품본체에 꽂아지거나 이탈되도록 노즐부재(305)의 승강을 지지하는 지지블록(3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블록(360)은 노즐부재(305)의 상하측에 한 쌍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지지블록(360)은 승강블록(340)의 일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낙하방지부재(400)는 노즐부재(305)의 노즐(307)을 제품본체에서 이탈시 노즐(307)의 단부에서 액상물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노즐부재(305)에 부압을 제공할 수 있다.
낙하방지부재(400)는 노즐부재(305) 각각의 내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액상물이 이동하는 이동통로(411)가 형성되는 피스톤블록(410)과, 피스톤블록(410)의 상단부 각각을 일체로 연결하는 장착부재(420)와, 장착부재(420)의 양측에 축 연결되고, 승강블록(340)에 설치되어 노즐(307)을 제품본체에서 이탈시 액상물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장착부재(420)를 상측으로 작동하여 노즐부재(405)의 내부에 부압을 제공하는 승강실린더(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동통로(411)는 수평에서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ㄱ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다.
피스톤블록(410)의 둘레 또는 노즐부재(305)의 내주면에는 장착홈부(412)가 형성되고, 장착홈부(412)에는 밀봉을 위한 오링부재(414)가 설치될 수 있다.
노즐(307)은 결합부재(440)에 의해 노즐부재(305)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된다.
결합부재(440)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협소해지는 외측경사면부(442)가 형성되고, 결합부재(440)는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협소해지는 내측경사면부(444)가 형성된다.
내측경사면부(444)는 액상물을 모아서 노즐(307)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로써, 내측경사면부(444)는 액상물을 모아서 노즐(307)로 안내하므로 액상물에서 발생하는 미세공간을 줄여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노즐부재(305)를 제품본체에 꽂아주거나 이탈하는 과정 및 액상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컨베이어(30)의 용기부재(20)에 안착된 제품본체가 액상물 주입 위치에 이동한 상태에서, 가로설치부재(320)에 설치된 동력부재(330)의 승강 작동으로 승강블록(340)이 승강하여 지지블록(360)에 지지된 노즐부재(305)를 하강하여 노즐(207)을 제품본체에 삽입하도록 한다.
연이어, 제품본체에 노즐(307)을 삽입한 후,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부재(262)의 하강을 통해 저장부재(261)에 저장된 액상물을 배출관(280)을 거쳐 노즐부재(305)의 이동관로(411)를 통해 이송하여 노블(307)을 거쳐 제품본체의 내부 공간에 주입한다.
이와 같이, 제품본체에 액상물의 주입이 완료된 후, 상술한 반대방향으로 승강안내부재(300)를 이동하여 노즐(307)을 제품본체에서 분리시킨다.
이때, 노즐(307)의 단부에 묻어 있는 액상물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개의 승강실린더(43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장착부재(420)에 연결된 피스톤블록(410)를 노즐부재(305)의 설치홈에서 상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노즐부재(305)의 내부에 부압(마이너스 압력)이 발생되므로 노즐(307)에 잔류하는 액상물을 상측으로 흡입 이동시켜 노즐(307)의 단부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는, 저장통에 저장된 액상물을 회전부재의 회동을 통해 경로를 전환하여 정량 흡입, 공급을 정확하게 수행하고, 정량 공급된 액상물을 승강안내부재의 승강에 의한 노즐부재를 이용하여 컨베이어에 안착되어 이송된 제품본체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한 후 내측공간에 주입함으로써 액상물의 주입성능을 향상시키며, 노즐부재를 제품본체에서 이탈시 낙하방지부재의 작동을 이용하여 액상물이 하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0 : 용기부재 30 : 컨베이어
100 : 저장통 110 : 교반부재
120 : 뚜껑 130 : 구동모터
140 : 주입구 200 : 정량공급부재
210 : 설치블록 212 : 유입관
220 : 설치공 230 : 회전부재
232 : 전환홀 240 : 회전구동부재
241 : 피니언기어 242 : 랙기어
243 : 작동부재 250 : 가이드부재
251 : 블록부재 252 : 블록안내부재
253 : 안착홈부 260 : 전량작동부재
261 : 저장부재 262 : 피스톤부재
263 : 연결부재 264 : 실린더부재
265 : 프레임부재 270 : 슬라이드부재
271 : 슬라이드봉 272 : 슬롯부재
300 : 승강안내부재 310 : 지지봉부재
320 : 가로설치부재 330 : 동력부재
340 : 승강블록 350 : 안내레일부재
360 : 지지블록 400 : 낙하방지부재
410 : 피스톤블록 411 : 이동통로
412 : 장착홈부 414 : 오링부재
420 : 장착부재 430 : 승강실린더
440 : 결함부재 442 : 외측경사면부
444 : 내측경사면부

Claims (7)

  1. 액상물을 저장하는 저장통(100);
    상기 저장통(100)에 저장된 액상물을 설치블록(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230)의 경로를 전환하여 정량 흡입하고 공급하는 정량공급부재(200);
    상기 정량공급부재(200)에서 배출된 액상물을 이송하여 컨베이어(30)의 용기부재(20)에 안착된 제품본체에 노즐부재(305)의 노즐(307)을 삽입하여 액상물을 내측공간에 주입하도록 상기 노즐부재(305)를 승강하는 승강안내부재(300); 및
    상기 승강안내부재(300)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부재(305)의 노즐(307)을 상기 제품본체에서 이탈시 노즐(307)에서 액상물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안내부재(300)는, 수직으로 한 쌍 설치되는 지지봉부재(310);
    상기 지지봉부재(310)의 상단부에서 가로 질러 설치되는 가로설치부재(320);
    상기 가로설치부재(320)의 중심부위에 구비되는 동력부재(330);
    상기 동력부재(330)의 축에 연결되고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승강블록(340);
    상기 승강블록(340)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봉부재(310)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블록(34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부재(350); 및
    상기 승강블록(340)에 구비되고, 상기 노즐(307)이 제품본체에 꽂아지거나 이탈되도록 상기 노즐부재(305)의 승강을 지지하는 지지블록(3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100)의 상측에는 뚜껑(120)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뚜껑(120)의 상측에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30)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130)의 축에는 액상물을 저어주는 교반부재(110)가 구비되고,
    상기 교반부재(110)는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벌려지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봉이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뚜껑(120)에는 세척액이 주입되는 세척액주입구(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공급부재(200)는,
    상기 설치블록(210)의 설치공(2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통(100)의 액상물을 유입관(212)을 통해 유입하여 전환홀(232)로 이동하게 하는 회전부재(230)의 일측에 연결되어 경로를 전환하기 위해 회동하는 회전구동부재(240);
    상기 전환홀(232)을 통해 액상물을 정량 흡입 및 배출하는 정량작동부재(260); 및
    상기 회전부재(230)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전환홀(232)의 경로를 전환하고, 상기 정량작동부재(260)의 배출 작동을 통해 상기 액상물을 배출 이송하는 배출관(2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재(240)는,
    상가 회전부재(230)의 일측에 구비되는 피니언기어(241);
    상기 피니언기어(241)에 치합되는 랙기어(242); 및
    상기 랙기어(24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랙기어(242)를 승강하여 상기 피니언기어(241)를 통해 상기 회전부재(230)를 회전하는 작동부재(2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작동부재(260)는,
    상기 설치블록(2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환홀(232)에 연결되어 액상물을 정량만큼 저장하는 다수개의 저장부재(261);
    상기 저장부재(261)에 각각 설치되는 피스톤부재(262);
    상기 피스톤부재(262)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지지하는 연결부재(263); 및
    상기 연결부재(263)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부재(262)를 당기거나 밀어주어 액상물을 정량 흡입하거나 배출하도록 프레임부재(265)에 구비되는 실린더부재(2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부재(400)는,
    상기 노즐부재(305) 각각의 내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액상물이 이동하는 이동통로(411)가 형성되는 피스톤블록(410);
    상기 피스톤블록(410)의 상단부 각각을 일체로 연결하는 장착부재(420); 및
    상기 장착부재(420)의 양측에 축 연결되고, 상기 승강블록(340)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307)을 제품본체에서 이탈시 액상물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상기 장착부재(420)를 상측으로 작동하여 노즐부재(405)의 내부에 부압을 제공하는 승강실린더(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
KR1020170029838A 2017-03-09 2017-03-09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 KR101935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838A KR101935559B1 (ko) 2017-03-09 2017-03-09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838A KR101935559B1 (ko) 2017-03-09 2017-03-09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225A KR20180103225A (ko) 2018-09-19
KR101935559B1 true KR101935559B1 (ko) 2019-01-04

Family

ID=6371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838A KR101935559B1 (ko) 2017-03-09 2017-03-09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55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225A (ko)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230342A (ja) 溶出試験装置
KR101935559B1 (ko) 액상물 주입 제조장치
US9745182B2 (en) Actuating system and nozzles for liquid dispensers
EP3953290A1 (fr) Dispositif de remplissage de recipients
CN109398780B (zh) 一种灌装装置
EP0269507A1 (fr) Procédé et installation de remplissage de récipients avec un mélange d'au moins deux produits pâteux et/ou liquides
JP5419725B2 (ja) 染液調合装置
KR100515697B1 (ko) 파우치용기 자동 이송장치
CN112425616B (zh) 一种食品加工用模型蛋糕制造机器
JPS5944577B2 (ja) 液体分配方法及び装置
JPWO2018117113A1 (ja) 液体吐出装置、同吐出装置を備える塗布装置およびその塗布方法
JP3808459B2 (ja) 分配式液体分注装置
TWI744871B (zh) 計量裝置
CN109006899A (zh) 面粉上料装置和面饼自动加工机
CN219989640U (zh) 一种便于清洗的半固态调料的灌装装置
US1791825A (en) Filling machine
CN220425777U (zh) 一种自动点胶机加胶装置
EP3820778B1 (en) Unit for feeding tobacco to a manufactur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disposable cartridges for electronic cigarettes and manufacturing machine provided with said feeding unit
CN211766437U (zh) 一种便于移动的可升降型油漆灌装机
JPH04234935A (ja) 食品焼成機
CN219154800U (zh) 一种粥类预制菜灌装嘴
KR200388416Y1 (ko) 분말정량 노즐 장치
JPS6020977Y2 (ja) 天ぷら自動揚げ装置における生地供給装置
JP3447394B2 (ja) 食品焼成機の自動生地供給装置
JPH08131057A (ja) 食品焼成機の焼成食品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