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743B1 - 노면표시 노후 페인트 처리기 - Google Patents

노면표시 노후 페인트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743B1
KR102375743B1 KR1020190127465A KR20190127465A KR102375743B1 KR 102375743 B1 KR102375743 B1 KR 102375743B1 KR 1020190127465 A KR1020190127465 A KR 1020190127465A KR 20190127465 A KR20190127465 A KR 20190127465A KR 102375743 B1 KR102375743 B1 KR 102375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scraping unit
unit
scraping
scr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4399A (ko
Inventor
경 곤 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명
Priority to KR1020190127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743B1/ko
Publication of KR20210044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 E01C23/085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using power-driven tools, e.g. vibratory tools
    • E01C23/088Rotary tools, e.g. milling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에 도색되어 있는 노후 페인트에 대한 평탄화 혹은 재생이나 제거작업을 행하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노면표시 노후 페인트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행이 자유로운 이송대차와, 이 이송대차에 장착되어 노후 페인트의 표면을 깍아내기 위한 스크래핑 유닛 및 이 스크래핑 유닛의 위치를 미세하게 셋팅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대차는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저면의 사방 모서리에 직진 주행 및 회전이 자유로운 바퀴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크래핑 유닛은 모터에 의해 가동하는 회전축 및 이 회전축 상에 장착되는 스크래퍼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스크래퍼는 원통몸체의 외주면에 장착된 연결편을 개재하여 탄성력을 갖도록 결속된 날개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높낮이 조절유닛은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스크래핑 유닛의 위치를 미세하게 셋팅하여 노후 페인트의 표면에 대한 깍여나가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노면표시 노후 페인트 처리기 {Flat device for road marking paint}
본 발명은 도로면에 표시된 각종 차선이나 구획선 등을 정비하기 위한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면에 도색되어 있는 노후 페인트에 대한 평탄화 혹은 재생이나 제거작업을 행하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노면표시 노후 페인트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 도로면에는 교통에 대한 경계나 안내를 목적으로 각종 차선이나 구획선 등으로 도색된 표시선이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정해진 규칙에 따라 차량이나 사람이 통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차선의 경우, 도로의 중앙에 표시되어 주행방향을 분리하기 위한 중앙선이나 주행하는 차로를 구분하기 위한 주행선, 이 외에 갓길이나 횡단 보도선, 주차선 등이 표시되며, 차선의 도색작업은 수동식 마킹장비를 이용하여 직접 도로 상에 도색하기도 하였으나 작업 진행의 신속성 결여로 인한 공사기간의 장기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자동으로 도색할 수 있는 장비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각종 표시선은 보통 페인트에 의해 도로에 도포되는데, 수용성 상온형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가열방식을 이용한 용융형 페인트 등이 사용된다. 물론 필요할 경우에는 유리알이나 모래알과 같은 미립자가 포함되거나 야간 발광을 위한 형광물질이 함유된 것을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도로 표시선의 경우,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마모 등의 이유로 인해 자연적으로 지워져서 선명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표시선을 제거한 후 다시 도색하거나 수작업에 의존하여 덧칠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통상, 도로 표시선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토치램프에서 분출되는 화염을 이용하여 표시선에 열을 가한 후 슬러지를 브러시로 긁어 회수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방식은 화염에 의해 도료가 연소될 때 악취가 발생하고, 도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대기중으로 비산되어 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미 공지된 노후 차선의 재도색 장치와 관련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1974602호 공보에는 차량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의 도로면을 촬영하는 제1촬영부, 이 제1촬영부에서 촬영된 원근감이 있는 제1영상으로부터 차선을 검출하는 제1차선검출부, 도로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제1차선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차선을 따라 차량의 이동 시에 도로면을 촬영하는 제2촬영부, 이 제2촬영부에서 촬영된 제2영상으로부터 차선을 검출하는 제2차선검출부 및 제2차선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차선에 기반하여 분사노즐의 X,Y축에 대한 이동을 제어함에 따라 차선이 도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18-0092078호 공보에는 이송대차의 측부에 히터와 냉각기가 각각 배치됨과 동시에 도료분사장치 및 비드분사장치를 구비하여 도로에 도색되어 있는 기존 차선에 페인트를 덧칠하는 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즉, 이 경우에는 히터에 의해 기존 차선의 페인트에 열을 가함에 따라 페인트를 용융시키고, 도료분사장치에 의해 용융된 페인트에 새로운 페인트를 도포하여 융합시키며, 이어서 비드분사장치에 의해 페인트에 비드를 분사한 후 냉각기에 의해 차선 페인트를 신속하게 굳힐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공지 기술에 있어서는 차량이나 이송대차에 설치된 분사노즐로부터 페인트를 분사하여 재도색하는 장비이기 때문에 노후 페인트의 표면에 겹쳐 도포하거나 차선을 녹여 새로운 페인트와 융합시키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기존 도로 표시선의 폭을 일치시키기 어렵고, 또 고도로 숙련된 작업자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 기존 노후 페인트가 부분적으로 깨지거나 파인 부분이 존재하여 불규칙한 경우에는 균일한 재도색을 행할 수 없기 때문에 점검 과정에서 후처리 작업을 실시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공개특허 제2018-0092078호(2018.08.17 공개) - 차선 재도색 방법 및 장치. 등록특허 제1915745호(2018.10.31 등록) - 차선제거용 스크레이핑 로울러 어셈블리. 등록특허 제1974602호(2019.04.25 등록) - 도로의 차선을 재도색하는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면에 도색되어 있는 각종 노면 표시를 위한 노후 페인트의 불규칙한 표면을 매끄럽게 깍아내어 재생하거나 평탄화 혹은 제거작업을 행할 수 있는 노면표시 노후 페인트 처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면에 도색되어 있는 노후 페인트에 대한 처리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공장비로서, 주행이 자유로운 이송대차와, 이 이송대차에 장착되어 노후 페인트의 표면을 깍아내기 위한 스크래핑 유닛 및 이 스크래핑 유닛의 위치를 미세하게 셋팅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대차는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저면의 사방 모서리에 직진 주행 및 회전이 자유로운 바퀴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크래핑 유닛은 모터에 의해 가동하는 회전축 및 이 회전축 상에 장착되는 스크래퍼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스크래퍼는 원통몸체의 외주면에 장착된 연결편을 개재하여 탄성력을 갖도록 결속된 날개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래퍼를 구성하는 연결편의 선단부에는 축이 형성되어 양측으로 분할된 판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날개편의 후방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높낮이 조절유닛은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스크래핑 유닛의 위치를 미세하게 셋팅하여 노후 페인트의 표면에 대한 깍여나가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높낮이 조절유닛은 본체 프레임에서 돌출된 제1판상체 내에 고정축이 수직으로 매립됨과 동시에 이 고정축이 스크래핑 유닛을 구성하는 케이싱으로부터 돌출된 제2판상체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판상체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들에 의해 본 발명은, 도로면에 도색되어 있는 노후 페인트의 표면을 깍아내어 평탄화 작업을 실시한 후에 재생이나 재도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노후 페인트를 완전하게 제거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래핑 유닛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도로면에 도색되어 있는 노후 페인트를 제거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자가 앞서 제안한 차선 재도색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
도 2는 도 1에 의한 차선 도색장치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면표시 노후 페인트 처리기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4는 스크래핑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 정면도,
도 6은 모터 및 스크래핑 유닛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7은 스크래퍼의 주요부를 나타낸 부분 구성도,
도 8a, 도 8b는 연결편 및 날개편의 조립 및 분해 사시도,
도 9는 높낮이 조절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의 핵심기술과 관련이 있는 바람직한 예로서 본 발명자가 앞서 제한하여 공지된 바 있는 공개특허 제2018-0092078호에 개시된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고, 또한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한 후에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후술하고자 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을 재도색하기 위한 방법은 도로면에 도색되어 있는 기존의 차선 페인트를 가열 용융하는 단계, 용융된 차선 페인트에 새로운 페인트를 도포하여 덧칠하는 단계, 덧칠된 페인트에 비드를 분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 비드를 분사한 후에 페인트가 빨리 굳도록 페인트를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선 재도색 방법은 도로면에 도색되어 있는 기존의 차선에 페인트를 덧칠하기 전에 기존의 차선을 가열 용융함으로써, 기존의 차선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용융된 차선 페인트로 스며들어 기존 페인트에서 새로 덧칠하는 페인트가 들뜨거나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차선 도색장치는 이송대차(10)의 측부에 히터(41)와 냉각기(42)가 각각 장착되어 이송대차(10)의 화살표 (45)로 나타낸 방향과 같은 진행 방향으로 향해 설치되고, 도료분사장치(43) 및 비드분사장치(44)가 순서대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기존의 차선에 페인트를 덧칠할 때, 도료분사장치(43)에 의해 페인트가 차선에 도포되기 전에 히터(41)가 기존 차선의 페인트에 열을 가함으로써, 차선의 페인트가 용융되어 페인트에 묻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용융된 페인트의 내부로 파묻히게 된다.
이 후, 용융된 페인트에 새로운 페인트가 도료분사장치(50)에 의해 도포됨에 따라 새로 도포되는 페인트가 차선의 기존 페인트에 융합된다. 상기 비드분사장치(44)에서 도포된 페인트에 비드를 분사한 다음 냉각기(42)에 의해 차선의 페인트가 신속하게 굳어진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에 있어서는 노후 페인트에 대한 평탄화 작업이 행해지지 않고 재도색을 실시하는 것이 때문에 기존에 칠해져 있던 노후 페인트가 부분적으로 깨지거나 파인 부분이 존재하여 균일하게 행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재도색 작업을 완료하였다 하더라도 다시 점검하는 과정에서 후처리 작업을 실시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차선 정비를 위한 통상의 히팅유닛에 의해 노후 페인트의 표면을 녹인 상태에서 평탄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비를 개발하게 되었는 바, 첨부된 도 3 내지 도 9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노면표시 노후 페인트 처리기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각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이 자유로운 이송대차(60)와, 이 이송대차(60)에 탑재되어 노후 페인트(P)의 표면을 매끄럽게 깍아낼 수 있도록 구성된 스크래핑 유닛(70)과, 이 스크래핑 유닛(70)의 위치를 미세하게 셋팅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유닛(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대차(60)는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 프레임(61)의 일측에 손잡이(62)가 마련되어 있으며, 저면의 사방 모서리부분에는 직진 주행은 물론 정지된 상태에서 회전이 자유로운 바퀴(63)가 구비되어 있다.
이 바퀴(63)의 경우, 작업자가 손잡이(61)를 잡고 수동방식으로 이동시키거나 혹은 도시하지 않은 정,역 모터 등의 구동에 의해 통상의 전동방식으로 운행시킬 수 있다.
상기 스크래핑 유닛(70)은 모터(71)에 의해 가동하는 회전축(72) 및 이 회전축(72) 상에 장착되는 스크래퍼(73)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스크래퍼(73)는 원통몸체(74a)의 외주면에 장착된 연결편(75)을 개재하여 탄성력을 갖도록 결속된 날개편(76)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원통몸체(74a)의 내주면에는 결합돌기(74b)가 형성되어 회전축(72)에 형성된 키홈(74c)으로 끼워져 조립되며, 일측에 구동기어(77a)가 장착되어 모터(71)에 의해 회전하는 체인(77b)이 감겨진다.
상기 스크래퍼(73)를 구성하는 연결편(75)의 선단부에는 축(78a)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축(78a)에 날개편(76) 및 판스프링(79)의 상단에 각각 형성된 하우징(78b)이 끼워져 장착됨에 따라 상기 축(78a)을 중심으로 날개편(76)의 후방부를 판스프링(79)이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높낮이 조절유닛(80)은 본체 프레임(61)으로부터 스크래핑 유닛(70)의 위치를 미세하게 셋팅하여 노후 페인트(P)의 표면이 깍여나가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체 프레임(61)에서 돌출된 제1판상체(81) 내에 고정축(82a)이 수직으로 매립되어 있고, 스크래핑 유닛(70)을 구성하는 케이싱(H)으로부터 돌출된 제2판상체(83)를 포함하여 이들 제1 및 제2판상체(81,83)의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8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축(82a)의 선단에 너트(82b)가 체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너트(82b)를 공구(S)로 조이거나 풀어주게 되면 제1 및 제2판상체(81,83) 사이의 스프링(84)에 압력이 작용하면서 스크래핑 유닛(70)의 위치를 미세하게 셋팅하여 노후 페인트(P)의 표면에 대한 깍여나가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로면(N)에 고착된 노후 페인트(P)에 대한 평탄화 혹은 재생작업을 행하고자 할 경우, 우선 도시하지 않은 통상의 히팅유닛을 이용하여 노후 페인트(P)의 표면을 가열시킴으로써 녹이는 작업을 선행한다.
이어서, 작업자가 이송대차(60)를 노후 페인트(P) 측으로 운전하면서 이송대차(60)에 설치된 모터(71)를 가동시키게 되면 스크래핑 유닛(70)에 의해 도로면(N) 상의 노후 페인트(P)에 대한 평탄화 작업을 행하게 된다.
즉, 스크래퍼(73)를 구성하는 회전축(72)이 회전함에 따라 원통몸체(74a)에 연결편(75)을 개재하여 장착된 날개편(76)도 동시에 회전하면서 노후 페인트(P)의 표면을 깍아낼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날개편(76)들에 의해 노후 페인트(P)가 깍여나가는 방향의 반대쪽에 판스프링(79)이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의 탄력을 받으면서 노후 페인트(P)의 표면을 매끄럽게 깍아낼 수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해 생성되는 슬러지가 노후 페인트(P)의 떨어져 나간 빈 공간 내로 채워지면서 노후 페인트(P)에 대한 평탄화 혹은 재생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면표시 노후 페인트 처리기에 있어서는, 도로면에 도색되어 있는 노후 페인트의 표면을 매끄럽게 평탄화 할 수 있기 때문에 노후 페인트의 재생작업을 행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래핑 유닛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도로면에 도색되어 있는 노후 페인트를 제거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60: 이송대차 61: 본체 프레임
62: 손잡이 63: 바퀴
70: 스크래핑 유닛 71: 모터
72: 회전축 73: 스크래퍼
74a: 원통몸체 74b: 결합돌기
74c: 키홈 75: 연결편
76: 날개편 77a: 구동기어
77b: 체인 78a: 축
78b: 하우징 79: 판스프링
80: 높낮이 조절유닛 81: 제1판상체
82a: 고정축 82b: 너트
83: 제2판상체 84: 스프링

Claims (3)

  1. 도로면에 도색되어 있는 노후 페인트에 대한 처리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공장비로서,
    주행이 자유로운 이송대차(60)와, 이 이송대차에 장착되어 노후 페인트의 표면을 깍아내기 위한 스크래핑 유닛(70) 및 이 스크래핑 유닛의 위치를 미세하게 셋팅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유닛(8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대차(60)는 본체 프레임(61)의 일측에 손잡이(62)가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저면의 사방 모서리에 직진 주행 및 회전이 자유로운 바퀴(63)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크래핑 유닛(70)은 모터(71)에 의해 가동하는 회전축(72) 및 이 회전축 상에 장착되는 스크래퍼(73)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스크래퍼는 원통몸체(74a)의 외주면에 장착된 연결편(75)을 개재하여 탄성력을 갖도록 결속된 날개편(7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래퍼(73)를 구성하는 연결편(75)의 선단부에는 축(78a)이 형성되어 양측으로 분할된 판스프링(79)이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날개편(76)의 후방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높낮이 조절유닛(80)은 본체 프레임(61)으로부터 스크래핑 유닛(70)의 위치를 미세하게 셋팅하여 노후 페인트(P)의 표면에 대한 깍여나가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높낮이 조절유닛(80)은 본체 프레임에서 돌출된 제1판상체(81) 내에 고정축(82a)이 수직으로 매립됨과 동시에 이 고정축이 스크래핑 유닛을 구성하는 케이싱으로부터 돌출된 제2판상체(83)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판상체(81,83)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스프링(84)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 노후 페인트 처리기.
  2. 삭제
  3. 삭제
KR1020190127465A 2019-10-15 2019-10-15 노면표시 노후 페인트 처리기 KR102375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465A KR102375743B1 (ko) 2019-10-15 2019-10-15 노면표시 노후 페인트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465A KR102375743B1 (ko) 2019-10-15 2019-10-15 노면표시 노후 페인트 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399A KR20210044399A (ko) 2021-04-23
KR102375743B1 true KR102375743B1 (ko) 2022-03-17

Family

ID=75738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465A KR102375743B1 (ko) 2019-10-15 2019-10-15 노면표시 노후 페인트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7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050B1 (ko) * 2007-03-28 2007-09-21 대지종건(주) 원통형 회전커터
KR200452686Y1 (ko) * 2008-07-21 2011-03-21 주식회사 준건설 골재 살포용 회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113A (ko) * 2014-11-13 2016-05-23 주식회사 시명 차선 페인트 제거 장치
KR101974602B1 (ko) 2016-08-18 2019-05-0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의 차선을 재도색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092078A (ko) 2017-02-08 2018-08-17 경 곤 김 차선 재도색 방법 및 장치
KR101915745B1 (ko) 2017-03-13 2018-11-06 주식회사 하스라인기계 차선제거용 스크레이핑 로울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050B1 (ko) * 2007-03-28 2007-09-21 대지종건(주) 원통형 회전커터
KR200452686Y1 (ko) * 2008-07-21 2011-03-21 주식회사 준건설 골재 살포용 회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399A (ko) 202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09561A (zh) 带有铣刨和磁组配件的联合高生产率喷丸处理机
CN112502015B (zh) 高速公路无人驾驶自动划线车
KR102375743B1 (ko) 노면표시 노후 페인트 처리기
KR102217893B1 (ko) 노면 표시 노후 페인트 제거기
KR101025280B1 (ko) 선명한 차선 도색구조를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KR101509321B1 (ko) 3차원적인 입체 기능성 차선을 시공하기 위한 포장도로의 차선 도색장치
KR101168555B1 (ko) 포장도로의 차선 제거기
KR101133570B1 (ko)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및 상기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와 선명도향상차선 도색방법
CN110983939A (zh) 道路划线机
CN112252149B (zh) 一种市政道路路面交通标识线划线施工方法
JPH08128012A (ja) 路面標示塗布装置
KR100567202B1 (ko) 차량에 장착된 도로의 페인트 제거장치
KR100766315B1 (ko) 보도 물청소장비
KR20180116587A (ko) 차선도포기
CN113846577A (zh) 一种在高速公路施工过程中道路桥梁裂缝加固装置
DE10216869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inigung einer Scheibe eines Kraftfahrzeugs
CN112878246A (zh) 一种适用于石板路的青苔刮除履带车
RU2639753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машина по ремонту поврежденных участков дорожного покрытия
JP2002363916A (ja) 路面(床版)上のライン消去機
KR20080003833U (ko) 차선 도포 구조 및 도포장치
KR200360094Y1 (ko) 차량에 장착된 도로의 페인트 제거장치
JP3824178B2 (ja) 路面標示施工装置
KR102439408B1 (ko) 워터젯을 이용한 원격 제어형 도로 노면의 페인트 제거장치
CN220538379U (zh) 一种公路路面喷涂装置
CN213925910U (zh) 一种公路桥梁维护修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