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566B1 - 향미증진제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향미증진제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566B1
KR102374566B1 KR1020190116221A KR20190116221A KR102374566B1 KR 102374566 B1 KR102374566 B1 KR 102374566B1 KR 1020190116221 A KR1020190116221 A KR 1020190116221A KR 20190116221 A KR20190116221 A KR 20190116221A KR 102374566 B1 KR102374566 B1 KR 102374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lavor enhancer
flavor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4360A (ko
Inventor
강지현
전진
채미경
김빛나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190116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566B1/ko
Priority to AU2020348144A priority patent/AU2020348144B2/en
Priority to US17/634,833 priority patent/US20220295852A1/en
Priority to EP20864400.5A priority patent/EP4032412A4/en
Priority to PCT/KR2020/012618 priority patent/WO2021054763A1/ko
Publication of KR20210034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8Taste or flavour enhanc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8Addition of, or treatment with,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15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1/10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23L31/15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Abstract

본 출원은 육류의 향미를 증진시키기 위한 향미증진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출원의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은 아미노산 및 당류를 포함하는 육류 가수분해물, 및 버섯 가공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향미증진제 및 이의 제조 방법{Flavour enhanc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출원은 육류의 향미를 증진시키기 위한 향미증진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공 식품의 다양화에 따라 다양한 맛을 구현하기 위한 조미 소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화학적 합성 소재에 대한 거부감으로 인해서 종래 많이 사용되던 MSG(Monosodium L-glutamate), IMP(Inosine monophosphate) 및 인공 고기향(meat flavor)의 생산에서 벗어나 천연 소재를 이용한 조미료의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고기 향미는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핵산, 지방, 당 및 티아민 등의 전구 물질들 간의 반응을 통해 구현할 수 있으며, 고기 향미를 구현하기 위한 이러한 전구 물질들의 반응으로서는 메일러드 반응(Maillard reaction)이 중요한 반응으로 활용되고 있다. 메일러드 반응은 비효소적 갈변 반응으로 주로 환원당과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질소 화합물을 반응물로 하여 진행되며, 이들 간의 반응을 통해 갈색 물질이 형성되면서 특유의 냄새를 나타내는 반응으로, 메일러드 반응의 기질의 종류 등의 조건이 식품의 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메일러드 반응이 진행되면서 조미 소재의 맛을 저해하는 특유의 이미·이취, 쓴맛 등이 발생하게 되어 아직 고기향미를 높은 수준으로 구현하면서 특유의 저해 향미를 감소시키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출원은 천연 소재를 이용하여 고기 향미가 강화된 향미증진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출원은 그 자체로 고기 향미를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육류의 가수분해물과 함께 사용되어 육류의 향미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향미증진제 제조를 위한 소재, 이를 이용한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향미증진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출원은 고기향을 구현하는 향미증진제의 제조 시간을 단축시키고, 육향의 정도와 이미·이취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향미증진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일 측면은 아미노산 및 당류를 포함하는 육류 가수분해물, 및 버섯 가공물을 포함하고, 상기 육류 가수분해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버섯 가공물의 고형분을 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인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본 출원에 따른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향미증진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측면은 피라진계 화합물 및 아세트산을 포함하는 향미증진제로서,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과 상기 아세트산의 함량비는 1:1.5 내지 1:2.5로 포함하는 향미증진제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하면, 육향의 구현 정도 및 육향에 대한 기호도가 우수하면서도 이미·이취, 쓴맛 등을 개선하여 소비자 기호도가 우수한 향미증진제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쇠고기의 향미를 증대시킬 수 있는 향미 성분과 감칠맛을 구현하는 맛 성분의 함량이 개선된 향미증진제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육향 구현을 위한 천연 소재의 조미료의 제조 공정을 단축시켜셔, 제조 공정이 장시간화됨에 따라 나타나는 특유의 불쾌취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제조예 1-2에서 제조한 버섯 가공물 내 아미노산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2는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의 향미증진제에 대한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였을 때, 피라진계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의 향미증진제에 대한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였을 때, 피라진계 화합물 외 향기 성분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비교예 3 및 4의 향미증진제에 대한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였을 때, 피라진계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비교예 1 및 실시예 1 향미증진제에 대한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였을 때, 아세트산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6은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의 향미증진제 내 감칠맛 성분인 아스파르트산과 글루탐산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7은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의 향미증진제 내 아스파르트산과 글루탐산 외 아미노산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8은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향미증진제에 대한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였을 때, 피라진계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9는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향미증진제에 대한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였을 때, 피라진계 화합물 외 향기 성분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10은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향미증진제에 대한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였을 때, 아세트산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11은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향미증진제 내 감칠맛 성분인 아스파르트산과 글루탐산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12는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향미증진제 내 아스파르트산과 글루탐산 외 아미노산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출원의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의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은 육류 가수분해물과 버섯 가공물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향미증진제는 향, 풍미를 강화시키는 물질로, 향미제, 소스, 조미료와 혼용되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육류 가수분해물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물"은 육류를 가수분해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아미노산과 당류를 포함한다.
상기 육류는 쇠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염소고기, 사슴육, 닭고기, 오리고기 및 칠면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육류로부터 유래하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부위라면 육류의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측면에서, 상기 육류는 쇠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쇠고기의 목심, 등심, 채끝, 우둔, 안심, 앞다리, 갈비, 양지, 설도 및 사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위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육류의 가수분해 방법은 통상적으로 효소, 산 또는 알칼리 가수분해 방법 등 단백질 가수분해로 공지된 방법을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효소를 이용하는 가수분해 방법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효소는 동물성 단백질을 가수분해할 수 있는 효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팬크레아틴(pancreatin), 파인애플 추출 단백질 분해효소, 파파야 추출 단백질 분해효소, 키위 추출 단백질 분해효소,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예를 들어 알카라제(Alcalase®)),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예를 들어 플라보르자임(Flavourzyme®)), α-키모트립신(α-chymotrypsin), 파파인(papain), 아세틸화 트립신(trypsin acetylated), 피신(ficin), 서몰리신(thermolysin), 펩신(pepsin), 트립신(trypsin), 세린 단백질 분해효소(serine proteases), 트레오닌 단백질 분해효소(thereonine proteases), 시스테인 단백질 분해효소(cysteine proteases), 아스파르테이트 단백질 분해효소(aspartate proteases), 글루탐산 단백질 분해효소(glutamic proteases), 및 금속 단백질 분해효소(metalloprotease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효소는 팬크레아틴 및 아스퍼질러스 오리제 유래의 단백질 분해 효소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 온도는 상기 효소를 이용한 가수분해 효소가 가수분해 활성을 나타내는 온도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체적으로 30℃ 내지 60℃ 또는 40 내지 55℃일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는 목적하는 반응 종료 때까지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30분 내지 20시간, 1시간 내지 10시간, 1시간 내지 5시간, 1시간 내지 4시간 또는 2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소는 육류의 단백질 가수분해에 이용되는 통상적인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육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부, 구체적으로 0.1 내지 5 중량부, 1 내지 5 중량부, 또는 2 내지 3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육류 가수분해물 제조를 위한 원료에는 본 출원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한 육류, 물 및 효소 외에 기타 첨가제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육류 가수분해물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고형분의 함량이 5 내지 40 Brix%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 내지 35 Brix%, 5 내지 30 Brix%, 5 내지 25 Brix%, 5 내지 20 Brix%, 또는 10 내지 15 Brix%일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의 함량이 상기 범위인 경우에 상기 육류 가수분해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향미증진제의 육향의 구현 정도와 제조 단가의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브릭스(brix)는 용액 100 g에 들어있는 고형분의 양을 당류 기준의 g 수로 표현한 것으로, brix%, bx 등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브릭스는 공지된 방법으로 측정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5℃ 내지 35℃ 등의 상온에서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브릭스는 물 100 g에 들어있는 고형분의 양을 설탕 기준의 g 수로 표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고형분 중에는 아미노산과 당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아미노산은 아르기닌, 류신, 페닐알라닌,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및 이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육류 가수분해물은 육류의 향미 증진을 위해 상기 아미노산으로서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및 이들의 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의 염은 상기 아미노산의 염 형태로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아미노산의 나트륨염, 마그네슘염, 칼륨염, 칼슘염, 염산염, 암모늄 염 등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르기닌은 상기 육류 가수분해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2 내지 18 중량부, 또는 14 내지 16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류신은 상기 육류 가수분해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1 내지 18 중량부, 또는 12 내지 1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페닐알라닌은 상기 육류 가수분해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8 내지 13 중량부, 또는 10 내지 12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글루탐산은 상기 육류 가수분해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 내지 3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스파르트산은 상기 육류 가수분해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1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01 내지 0.0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당류는 글루코스, 말토스, 수크로스 및 프럭토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은 상기 아미노산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당류를 100 내지 600 중량부, 예를 들어 150 내지 500 중량부, 200 내지 460 중량부, 200 내지 400 중량부, 또는 230 내지 3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과 당류의 함량 비율이 상기 범위인 경우에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향미증진제의 육향 개선 정도와 향미증진제에 의한 영양 강화의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글루코스는 상기 육류 가수분해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1 내지 18 중량부, 또는 12 내지 1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말토스는 상기 육류 가수분해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8 내지 14 중량부, 또는 10 내지 13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크로스는 상기 육류 가수분해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 내지 4 중량부, 또는 2 내지 3.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럭토스는 상기 육류 가수분해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 내지 4 중량부, 또는 2 내지 3.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육류 가수분해물은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육류 가수분해물 고형분이 20 내지 8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0 내지 60 중량부, 22 내지 50 중량부, 23 내지 40 중량부 또는 25 내지 3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버섯 가공물은 버섯의 성분을 포함하는 물질이라면, 이의 수득 방법, 성분, 형태 등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포함될 수 있다.
버섯 가공물을 수득하는 방법은 분쇄, 착즙, 발효, 추출, 농축 등 공지된 식품의 가공 방법에 따라 처리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체적으로 버섯 추출물을 가열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섯 원물, 버섯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농축액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반응 원료에 정제염, 어류 발효액 등을 혼합한 후 110℃ 내지 130℃의 온도에서 혼합 원료들을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버섯 가공물은 상기 육류 가수분해물의 성분과의 화학 반응을 통해서 육향을 더욱 개선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버섯은 예를 들어 송이, 새송이, 양송이, 표고, 느타리 및 목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부터 얻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버섯 가공물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고형분의 함량이 20 내지 70 brix%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5 내지 65 brix%, 30 내지 60 brix%, 35 내지 55 brix%, 40 내지 50 brix%, 또는 35 내지 45 brix%일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의 함량이 상기 범위인 경우에 상기 버섯 가공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향미증진제의 육향의 개선 정도와 감칠맛과 같은 향미를 더욱 개선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버섯 가공물의 고형분 중에는 아미노산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아미노산은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트레오닌, 세린, 티로신, 리신 및 이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버섯 가공물은 본 출원의 향미증진제에 있어서 육류의 향미 증진을 위해 상기 아미노산으로서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및 이들의 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의 염은 상기 아미노산의 염 형태로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아미노산의 나트륨염, 마그네슘염, 칼륨염, 칼슘염, 염산염, 암모늄 염 등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스파르트산 및 이의 염은 상기 버섯 가공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 1.5 내지 8 중량부, 2 내지 6 중량부, 2 내지 4 중량부, 또는 2.5 내지 3.8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글루탐산 및 이의 염은 상기 버섯 가공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 3 내지 9 중량부, 5 내지 8 중량부, 6 내지 8 중량부 또는 6.25 내지 7.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트레오닌 및 이의 염은 상기 버섯 가공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 0.5 내지 5 중량부, 0.8 내지 1.5 중량부 또는 1 내지 1.1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세린 및 이의 염은 상기 버섯 가공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 0.5 내지 5 중량부, 1 내지 1.5 중량부 또는 1.1 내지 1.3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티로신 및 이의 염은 상기 버섯 가공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 0.5 내지 5 중량부, 1 내지 1.5 중량부 또는 1.1 내지 1.3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리신 및 이의 염은 상기 버섯 가공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 0.5 내지 5 중량부, 0.5 내지 1 중량부 또는 0.8 내지 0.9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버섯 가공물은 피라진계 화합물 및 아세트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과 상기 아세트산의 함량비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1 내지 1:3, 1:1.5 내지 1:2.8 또는 1:2 내지 1:2.5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메틸피라진; 2,5-디메틸피라진, 2,6-디메틸피라진과 같은 디메틸피라진; 2-에틸-5-메틸피라진, 2-에틸-6-메틸피라진과 같은 에틸메틸피라진; 2,3,5-트리메틸피라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아세트산의 함량을 표현함에 있어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 100 중량부는 메틸피라진, 2,5-디메틸피라진, 2,6-디메틸피라진, 2-에틸-6-메틸피라진 및 2,3,5-트리메틸피라진 각각의 함량의 총합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과 상기 메틸피라진 함량비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0.2 내지 1:0.5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과 상기 메틸피라진 함량비는 1:0.25 내지 1:0.4, 1:0.25 내지 1:0.35 또는 1:0.28 내지 1:0.33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버섯 가공물 내 피라진계 화합물, 아세트산 등 휘발성 성분의 함량은 상기 향미증진제의 휘발성 성분의 함량을 분석하였을 때 측정되는 값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섯 가공물 및/또는 이의 휘발성 성분은 디메틸 디설파이드, 2,4,5-트리메틸옥사졸, 2-펜틸 퓨란 및 2-아세틸퓨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버섯 가공물 및/또는 이의 휘발성 성분은 디메틸 디설파이드, 2,4,5-트리메틸옥사졸, 2-펜틸 퓨란 및 2-아세틸퓨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은 상기 육류 가수분해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버섯 가공물의 고형분을 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육류 가수분해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버섯 가공물의 고형분을 0.1 중량부, 0.3 중량부, 0.5 중량부, 1 중량부, 1.5 중량부, 2 중량부, 2.5 중량부, 3 중량부, 3.5 중량부, 4 중량부, 4.5 중량부, 5 중량부, 5.5 중량부, 6 중량부 및 6.2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하한 및/또는 20 중량부, 18 중량부, 16 중량부, 14 중량부, 13.5 중량부, 13 중량부, 12.5 중량부, 12 중량부, 11.5 중량부, 11 중량부, 10.5 중량부, 10 중량부, 9.5 중량부, 9 중량부, 8.5 중량부, 8 중량부, 7.5 중량부, 7 중량부 및 6.5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상한으로 구성되는 함량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육류 가수분해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버섯 가공물의 고형분을 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0.1 중량부 내지 18 중량부, 0.1 중량부 내지 16 중량부, 0.1 중량부 내지 14 중량부, 0.1 중량부 내지 13.5 중량부, 0.3 중량부 내지 13 중량부, 0.3 중량부 내지 12.5 중량부, 0.3 중량부 내지 12 중량부, 0.3 중량부 내지 11.5 중량부, 0.3 중량부 내지 11 중량부, 0.3 중량부 내지 10.5 중량부, 0.3 중량부 내지 9.5 중량부, 0.3 중량부 내지 8.5 중량부, 0.5 중량부 내지 8 중량부, 1 중량부 내지 7.5 중량부, 1.5 중량부 내지 7 중량부, 2 중량부 내지 7 중량부, 3 중량부 내지 7 중량부, 4 중량부 내지 7 중량부 또는 6 중량부 내지 6.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육류 가수분해물과 상기 버섯 가공물을 상기 함량 비율로 포함하였을 때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향미증진제의 육향을 구현하는 정도 및/또는 이미·이취 저감이 더욱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감칠맛의 향미 또한 더욱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은 상기 육류 가수분해물 및 버섯 가공물 외에 염미를 위해 금속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은 짠맛 등 맛을 내는 물질이라면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나트륨염, 및 칼륨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및 젖산칼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금속염의 양은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 고형분 총 중량에 대하여 금속염 고형분이 5 내지 25 중량%, 예를 들어 7 내지 20 중량%, 10 내지 18 중량%, 15 내지 18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하여 향미 증진의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은 말토덱스트린 및/또는 변성 전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말토덱스트린은 필요에 따라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말토덱스트린의 함량은 예를 들어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 내지 19 중량%, 3 내지 18 중량%, 5 내지 17 중량%, 7 내지 15 중량%, 9 내지 13 중량% 또는 10 내지 12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성 전분은 필요에 따라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변성 전분의 함량은 예를 들어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01 내지 5 중량%, 0.05 내지 3 중량% 또는 0.1 내지 2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 외에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또는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그러한 기타 첨가제는 식품에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식품에 허용 가능한 부형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가교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가티검, 감색소, 감초추출물, 개미산, 개미산게라닐, 개미산시트로넬릴, 개미산이소아밀, 검레진, 게라니올, 결정셀룰로오스, 계피산, 계피산메틸, 계피산에틸, 계피산알데히드, 계피알콜, 고량색소, 과산화벤조일, 과산화수소, 과산화초산, 과황산암모늄, 구아검, 5'-구아닐산이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망간, 구연산삼나트륨, 구연산제일철나트륨, 구연산철, 구연산철암모늄, 구연산칼륨, 구연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소수지, 규조토, 글루콘산, 글루콘산나트륨, 글루콘산동, 글루콘산마그네슘, 글루콘산망간, 글루콘산아연, 글루콘산철, 글루콘산칼륨, 클루콘산칼슘, 글루타미나아제, 낙산, 낙산부틸, 낙산에틸, 낙산이소아밀, 네오탐, 니신, 니코틴산, 니켈, 니코틴산아미드, 덱스트라나아제, 덱스트란, 라우릴황산나트륨, 락타아제, 락토페린농축물, 락티톨, 레시틴, 로진, 로커스트콩검, 루틴, 리나톨, 만니톨, 말톨, D-말티톨, 메타규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메타이산칼륨, 메타중아황산나트륨, 메타중아화산칼륨, 메톡사이드나트륨, 무수아황산, 미리스트산, 미소섬유상셀룰로스, 바닐린, 백도토, 베타인, 벤토나이트, 분말셀룰로스, 불화나트륨, 비오틴, 비타민류, 빙초산, DL-사과산, 사카린나트륨, 사프란색소, 산성백토, 산성아황상나트륨, 산성알루미늄인산나트륨, 산성피로인산나트륨, 산성피로인산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칼슘, 살리실산메틸, 삼이산화철, 섬유왁스,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크랄로스, 쉘락, 스테비올배당체,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염, 식용색소, 안식향산, 안식향산염, 알긴산 및 알길산염, 이노시톨, 이산화규소, 이산화염소, 이산화탄소, 이산화티타늄, 잔탄검, 젖산 및 젖산염, 젤라틴, 젤란검, 종국, 카나우바왁스, 카라기난, 카라야검, 카로틴, 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스칼슘, 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카제인 및 카제인염, 키토산, 키틴, 타라검, 타마린드검, 타우린, 탄닌산, 팔미트산, 페닐초산에틸, 페닐초산이소부틸, 펙틴, 펩신,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알루론산 및 효모추출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하면 사용된 육류의 양을 고려하였을 때 육향의 손실을 저감하면서 육류 유래의 고유의 향미를 강화하면서 이미·이취를 저감하고, 전체적인 향미 및 감칠맛의 특성이 우수한 향미증진제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의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향미증진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출원은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향미증진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향미증진제의 제조 방법은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을 가열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을 가압 조건에서 가열 처리하는 단계(이하, '고온·고압 처리'라고도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을 가열 또는 고온·고압 처리하면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 내 이미·이취를 제거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을 가열 또는 고온·고압 처리하면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 내 성분들 간의 화학적 반응을 통해 육류의 향미를 증진시키고, 이미·이취를 저감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본 출원의 기전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열 또는 고온·고압 처리는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 내 이미·이취를 유발하는 물질, 예컨대 아세트산 등을 휘발시킬 수 있는 조건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상기 성분들 간의 화학적 반응, 예컨대 메일러드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조건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열 처리는 100℃ 이상, 예를 들어 100℃ 내지 130℃ 또는 110℃ 내지 125℃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열 처리는 가압의 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일례로 1 kgf/cm2 내지 1.5 kgf/cm2의 압력으로, 예를 들어 1.2 kgf/cm2 내지 1.4 kgf/cm2의 압력으로 가압 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온도 및/또는 압력 조건에서 10 분 내지 60 분, 예를 들어 20 분 내지 40 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조건에서 고온·고압 처리 함으로써 육류의 향미를 증진시키고, 이미·이취를 더욱 저감하는 효과를 달성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향미증진제의 제조 방법은 상기 가열 또는 고온·고압 처리 전에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을 농축함으로써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의 농축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열 또는 고온·고압 처리는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의 농축물에 대하여 수행하여 공정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의 농축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식품의 가공 공정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증발 농축, 동결 농축, 증류, 막분리 농축, 진공 농축 등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농축 단계는 상기 가열 처리(또는 고온·고압 처리)의 전 또는 후에,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은 670 mmHh 이상의 조건 및 55±5℃의 온도에서 50±5 rpm으로 교반하여 진공 농축될 수 있다.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의 농축물은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을 2 내지 10 배율로 농축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 내지 6 배율, 또는 4 내지 5 배율로 농축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의 농축물은 고형분 함량이 10 내지 80 Brix%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0 내지 75 Brix%, 30 내지 70 Brix%, 40 내지 65 Brix%, 50 내지 65 Brix% 또는 55 내지 60 Brix%일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의 향미증진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의 향미증진제는 피라진계 화합물 및 아세트산을 포함한다.
상기 향미증진제는 본 출원의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향미증진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수득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는 조성물의 형태로 수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은 고기 향미를 구현하는 향미 성분 중 하나로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아세트산은 특유의 이미·이취를 나타내는 성분 중 하나로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과 상기 아세트산의 함량비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1, 1:1.2, 1:1.5, 1:1.55, 1:1.6, 1:1.65, 1:1.7 및 1:1.7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하한 및/또는 1:3, 1:2.8, 1:2.6, 1:2.4, 1:2.2, 1:2 및 1:1.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상한으로 구성된 함량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 과 상기 아세트산의 함량비는 1:1 내지 1:3, 1:1.20, 1:3, 1:1.2 내지 1:2.2 또는 1:1.5 내지 1:2.1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아세트산이 상기 함량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향미증진제의 이미·이취를 개선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과 아세트산을 상기 함량비로 포함하는 경우 육향의 향미가 우수하면서도 이미·이취의 저감 정도가 더욱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향미증진제는 전체 휘발성 성분 ?t량 중 피라진계 화합물의 함량은 2 %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휘발성 성분 함량 중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의 함량은 예를 들어 2 % 내지 6%, 2.5% 내지 5.5%, 3% 내지 5%, 또는 3% 내지 4.5%일 수 있다. 상기 %는 함량%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휘발성 성분 중에 포함되는 피라진계 화합물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메틸피라진; 2,5-디메틸피라진, 2,6-디메틸피라진과 같은 디메틸피라진; 2-에틸-5-메틸피라진, 2-에틸-6-메틸피라진과 같은 에틸메틸피라진; 2,3,5-트리메틸피라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아세트산의 함량을 표현함에 있어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 100 중량부는 메틸피라진, 2,5-디메틸피라진, 2,6-디메틸피라진, 2-에틸-6-메틸피라진 및 2,3,5-트리메틸피라진 각각의 함량의 총합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과 상기 메틸피라진의 함량비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0.2 내지 1:0.5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과 상기 메틸피라진의 함량비는 1:0.25 내지 1:0.4, 1:0.25 내지 1:0.35 또는 1:0.25 내지 1:0.3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향미증진제 내 피라진계 화합물, 아세트산 등 휘발성 성분의 함량은 상기 향미증진제의 휘발성 성분의 함량을 분석하였을 때 측정되는 값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휘발성 성분의 함량을 분석하는 방법은 공지된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고체크로마토그래피, 액체크로마토그래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기체크로마토그래피, 더욱 구체적으로 질량분석계와 함께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을 때의 측정 값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함량비, 또는 함량%는 비교하는 물질 간의 중량비, 또는 중량%일 수 있고, 몰비, 또는 몰%일 수 있다. 또한 함량비, 또는 함량%는 분석 결과의 피크(Peak)의 면적비, 또는 피크(Peak)의 면적 비율%, 또는 분석 결과의 피크의 높이비, 또는 피크의 높이 비율%일 수 있다. 일례로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된 물질의 머무름 시간(Retention time)의 피크의 면적비 또는 전체 면적 대비 면적 비율%를 비교하여 함량비 또는 함량%를 도출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휘발성 성분의 함량은 휘발성 성분의 정량 분석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 향미증진제의 희석물에 대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향미증진제를 약 10 배의 용기에 담아 휘발성 성분의 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향미증진제 1 g을 10 mL 용기에 담아 또는 상기 향미증진제 2g을 20 mL 용기에 담아 휘발성 성분의 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미증진제 및/또는 이의 휘발성 성분은 디메틸 디설파이드, 2,4,5-트리메틸옥사졸, 2-펜틸 퓨란 및 2-아세틸퓨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향미증진제 및/또는 이의 휘발성 성분은 디메틸 디설파이드, 2,4,5-트리메틸옥사졸, 2-펜틸 퓨란 및 2-아세틸퓨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과 상기 디메틸 디설파이드의 함량비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0.1, 1:0.15 및 1:0.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하한 및/또는 1:0.5, 1:0.45, 1:0.4, 1:0.35, 1:0.3및 1:0.2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상한으로 구성된 함량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과 상기 디메틸 디설파이드의 함량비는 1:0.1 내지 1:0.5, 1:0.1 내지 1:0.45, 1:0.11:0.4, 1:0.1 내지 1:0.35, 1:0.1 내지 1:0.3, 1:0.1 내지 1:0.25, 1:0.15 내지 1:0.25 또는 1:0.2 내지 1:0.25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과 상기 2,4,5-트리메틸옥사졸의 함량비는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0.1, 1:0.15 및 1:0.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하한 및/또는 1:0.5, 1:0.45, 1:0.4, 1:0.35, 1:0.3 및 1:0.25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상한으로 구성된 함량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과 상기 2,4,5-트리메틸옥사졸의 함량비는 1:0.1 내지 1:0.5, 1:0.1 내지 1:0.45, 1:0.1 내지 1:0.4, 1:0.1 내지 1:0.35, 1:0.1 내지 1:0.3, 1:0.1 내지 1:0.25, 1:0.15 내지 1:0.25 또는 1:0.2 내지 1:0.25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과 상기 2-펜틸 퓨란의 함량비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0.1, 1:0.15 및 1:0.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하한 및/또는 1:0.5, 1:0.45, 1:0.4, 1:0.35, 1:0.3 및 1:0.2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상한으로 구성된 함량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과 상기 2-펜틸 퓨란의 함량비는 1:0.1 내지 1:0.5, 1:0.1 내지 1:0.45, 1:0.1 내지 1:0.4, 1:0.1 내지 1:0.35, 1:0.1 내지 1:0.3, 1:0.1 내지 1:0.25, 1:0.15 내지 1:0.25 또는 1:0.2 내지 1:0.25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과 상기 2-아세틸퓨란의 함량비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0.7, 1:0.8, 1:0.9, 1:1, 1:1.1, 1:1.2 및 1:1.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하한 및/또는 1:2.2, 1:2, 1:1.8, 1:1.6, 1:1.5 및 1:1.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상한으로 구성된 함량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과 상기 2-아세틸퓨란의 함량비는 1:0.7 내지 1:2.2, 1:0.8 내지 1:2, 1:0.9 내지 1:1.8, 1:1 내지 1:1.6, 1:1.1 내지 1:1.5, 1:1.2 내지 1:1.4 또는 1:1.3 내지 1:1.4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향미증진제는 글루탐산과 아스파르트산 또는 이들의 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과 같은 아미노산의 염은 상기 아미노산의 염 형태로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아미노산의 나트륨염, 마그네슘염, 칼륨염, 칼슘염, 염산염, 암모늄 염 등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향미증진제 내 상기 글루탐산 또는 이의 염의 함량은 향미증진제 내 아미노산 100 중량부 기준 14 중량부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글루탐산 또는 이의 염의 함량은 향미증진제 내 아미노산 100 중량부 기준 14 중량부, 14.2 중량부, 15 중량부, 16 중량부, 16 중량부, 17 중량부, 및 17.5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하한 및/또는 그 상한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어 향미증진제 내 아미노산 100 중량부 기준 50 중량부, 40 중량부, 35 중량부, 30 중량부, 25 중량부 및 20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상한으로 구성된 함량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향미증진제 내 아미노산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4 내지 50 중량부, 14.2 내지 40 중량부, 15 내지 35 중량부, 16 내지 30 중량부, 17 내지 25 중량부 또는 17.5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향미증진제 내 상기 아스파르트산 또는 이의 염의 함량은 향미증진제 내 아미노산 100 중량부 기준 2.5 중량부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스파르트산 또는 이의 염의 함량은 2.5 중량부, 2.7 중량부, 2.9 중량부, 3.0 중량부, 3.1 중량부 및 3.2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하한 및/또는 그 상한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어 20 중량부, 15 중량부, 10 중량부 및 5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상한으로 구성된 함량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향미증진제 내 아미노산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5 내지 20 중량부, 2.5 내지 15 중량부, 2.7 내지 15 중량부, 2.9 내지 15 중량부, 3.1 내지 15 중량부 3.1 내지 10 중량부, 3.2 내지 10 중량부 또는 3.2 내지 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미증진제는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또는 이의 염 외에 기타 아미노산 또는 이의 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러한 아미노산으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트레오닌, 세린, 티로신 및 라이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트레오닌, 세린, 티로신 및 라이신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향미증진제 내 상기 트레오닌 또는 이의 염의 함량은 향미증진제 내 아미노산 100 중량부 기준 3 중량부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레오닌 또는 이의 염의 함량은 3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또는 3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 일 수 있다.
상기 향미증진제 내 상기 세린 또는 이의 염의 함량은 향미증진제 내 아미노산 100 중량부 기준 3 중량부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린 또는 이의 염의 함량은 3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또는 3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 일 수 있다.
상기 향미증진제 내 상기 티로신 또는 이의 염의 함량은 향미증진제 내 아미노산 100 중량부 기준 4.5 중량부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티로신 또는 이의 염의 함량은 4.5 내지 6 중량부 또는 5 내지 5.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향미증진제 내 상기 라이신 또는 이의 염의 함량은 향미증진제 내 아미노산 100 중량부 기준 4.5 중량부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라이신 또는 이의 염의 함량은 4.5 내지 6 중량부 또는 5 내지 5.5 중량부일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을 제조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따른 제조예 및 실험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제조예 및 실험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출원의 제조예 및 실험예들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향미증진제의 제조
1-1. 쇠고기 가수분해물의 제조
쇠고기 가수분해물은 쇠고기를 절단한 후 가수분해효소를 처리하여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쇠고기 가수분해물의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았다.
성분 함량(g/L)
아르기닌 1.97
글루코스 1.84
류신 1.77
말토스 1.69
페닐알라닌 1.49
수크로스 0.37
프럭토스 0.36
글루탐산 0.23
아스파르트산 0.02
기타 3.76
고형분 총합 13.5±0.5
1-2. 버섯 가공물의 제조
버섯추출물 농축액 30%, 정제염 15%, 어류 발효액 12%, 기타 첨가제 43%를 정제수와 혼합하여 준비한 버섯 가공물 원료를 120℃, 30분의 온도에서 반응하여 버섯 가공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버섯 가공물의 고형분 함량은 40 bx%였으며, 제조한 버섯 가공물의 휘발성 성분의 조성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아미노산 조성은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버섯 가공물의 휘발성 성분은 상기에서 제조한 버섯 가공물 2 g에 20 mL 바이알에 담은 후 바이알 내 기체 공간(바이알의 head space)로 휘발된 성분들을 포집하여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그 조성을 분석하였다. 하기 표 2에 있어서 함량(%)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총 측정 면적 중 각 성분의 측정 면적을 %로 나타낸 것이다.
성분 함량(%)
메틸피라진 0.58
2,5-디메틸피라진 0.27
2,6- 디메틸피라진 0.74
2-에틸-6-메틸피라진 0.09
2,3,5-트리메틸피라진 0.15
2-아세틸퓨란 1.87
아세트산 4.41
디메틸 디설파이드 0.89
2,4,5-트리메틸옥사졸 0.00
2-펜틸 퓨란 0.16
2-아세틸 퓨란 1.87
1-3. 향미증진제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한 쇠고기 가수분해물과 버섯 가공물과 말토덱스트린, 소금 및 기타 첨가제를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쇠고기 가수분해물과 버섯 가공물 조합의 쇠고기 향미 증진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버섯 가공물을 포함하지 않도록 비교예 1, 2를 조성하였으며, 비교예 2에는 버섯 가공물을 대체하여 향미증진제로 알려진 5'-이노신산이나트륨(IMP)을 배합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의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을 진공농축의 방법으로 4.44 배율로 농축한 농축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농축물을 고온·고압 처리하였으며, 상기 고온·고압 처리 조건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에서 고온·고압 처리 유무 및 처리 조건에 따른 효과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예 1의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의 농축만을 수행한 후 농축 후 고온·고압 처리 하지 않은 비교예 3과 농축 후 표 4의 고온·고압 처리 하지 않고 90℃에서 10분간 가열하여 최소 살균만을 진행한 비교예 4를 함께 준비하였다.
성분(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쇠고기 가수분해물(고형분 13.5 ±0.5 %) 75 74.5 74
버섯 가공물(고형분 40 %) - - 1
5'-이노신산이나트륨(IMP) - 0.5 -
금속염(소금, NaCl) 6 6 6
말토덱스트린 11 11 11
첨가제 8 8 8
총합 100 100 100
온도 (℃) 120℃
압력 (kgf/cm2) 1.3 kgf/cm2
시간 (분) 35분
실험예 1. 향미증진제의 성분 분석
휘발성 성분 분석 - 피라진계 화합물 및 아세트산의 분석
상기에서 제조한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의 향미증진제 각각을 2 g 취한 후 20 mL GC 분석용 바이알에 넣어 40℃, 10분 동안 평형시킨 후 SPME Fiber 50/30 μm DVB/CAR/PDMS, stableflex 23Ga, Auto Sampler를 dl용하여 Fiber에 2cm 노출시켜 40℃에서 30분 동안 흡착시킨 직후 200℃, 10분 후에 탈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휘발성 성분의 동정은 표 5에 표기한 Library에 기반한 MS 값을 비교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확보한 RI 값과 문헌에 보고된 RI 값의 확인을 통해 수행하였다.
[식 1]
(휘발성 성분 농도) = (해당 휘발성 성분의 면적)/(동정된 휘발성 성분 전체 면적)
일 예로 육향의 향미 성분 중 하나인 피라진계 화합물과 이미·이취 성분 중 하나인 아세트산에 대한 함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 2에는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 1에 대한 피라진계 화합물의 함량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도 3에는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 1에 대한 피라진계 화합물 외 향기 성분의 함량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4에는 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 대한 피라진계 화합물의 함량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도 5에는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 대한 아세트산의 함량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GC-MS 조작 조건
분석 기기 6890A gas chromatograph connected to a 5973N mass selective detector, Agilent Technologies
자동 샘플러 Multi-purpose sampler MPS, Herstel
칼럼 DB-WAX, 60m, 0.25 d, 0.25μm 필름
칼럼 충진제 SPME fiber (50/30μm DVB/CAR/PDMS, stableflex 23Ga, auto sampler, 2cm)
GC-MS 오븐 온도 40℃ (2분 유지) -> 3℃/분 -> 130℃ (유지 시간 없음) -> 3℃/분 -> 200℃ (6분 유지)
동정 Library W9N08, Wiley 9th edition and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NIST) version 08
RI(Retention Index) n-alkane mixture을 외부표준물질로 사용하여 시료 분석 조건과 동일한 기기 조건 하에 분석하여 RT 값 계산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이 향미증진제 제조 시 버섯 가공물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대비 피라진계 화합물의 함량의 측면에서 우수하고, IMP를 사용한 비교예 2와 유사한 수준의 피라진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 대비 피라진계 화합물 외의 향기 성분의 함량의 측면에서도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조성물에 대하여 고온·고압 처리하지 않거나,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 내 성분들의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는 본 출원에 따른 향미증진제가 제조되지 않고 향미 증진의 효과가 불량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이 비교예 1 대비 이미·이취를 나타내는 아세트산의 함량이 저감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향미증진제 제조 시 버섯 가공물을 이용함으로써 우수한 향미 증진 효과 및 이미·이취 저감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미노산 성분 분석
향미증진제 내 아미노산 조성은 아미노산 분석기(L-8900 amino acid analyzer with two single channel colorimeters, 컬럼: 2622SC-PH ion exchange column (4.6X60mm, Hitachi, Co., Jap), 용액: sodium acetate buffer(MCI buffer PH1, PH4, RG), Ninhydrin용액(R1, R2))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6 및 도 7에는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 1에 대한 아미노산의 성분의 함량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감칠맛 성분인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의 함량의 측면에서 실시예 1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 대비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위 2종의 아미노산 외에 트레오닌, 세린, 티로신 및 라이신과 같은 아미노산의 함량의 측면에 있어서도 실시예 1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 대비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2. 향미증진제의 제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을 하기 표 6의 조성으로 배합한 것 외에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향미증진제를 제조하였다. 버섯 가공물의 함량에 따른 향미증진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버섯 가공물의 함량을 다르게 배합하였으며,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의 조성을 아래의 표 6에 함께 나타내었다.
성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쇠고기 가수분해물(고형분 13.5 ±0.5 %) 74 74.9 74.5 73.5 72
버섯 가공물(고형분 40 %) 1 0.1 0.5 1.5 3
금속염(소금, NaCl) 6 6 6 6 6
말토덱스트린 11 11 11 11 11
첨가제 8 8 8 8 8
총합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2. 향미증진제의 성분 분석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향미증진제들 각각에 대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휘발성 성분 및 아미노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도 8에는 피라진계 화합물에 대한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도 9에는 피라진계 화합물 외 향기 성분에 대한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도 10에는 아세트산에 대한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11에는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에 대한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도 12에는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 외 아미노산에 대한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8 내지 도 1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에서 버섯 가공물이 0.5 중량% 내지 1.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된 실시예 1, 실시예 3 및 실시예 4로부터 제조된 향미증진제의 육향의 향미 증진 및 이미·이취 저감에 따른 향미 증진 효과가 더욱 우수하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관능 평가
상기에서 제조한 향미증진제 중에서 피라진계 화합물의 함량에 있어서 큰 차이를 나타낸 실시예 1, 실시예 4 및 실시예 5를 선별하여 이들에 대한 고기 향미의 강도 및 이에 대한 기호도에 대한 관능과 감칠맛을 나타내는 산성 아미노산의 함량 차이에 의한 감칠맛의 강도에 대한 관능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 평가는 25세 내지 45 세의 남, 여 각각 33 명에 대하여 실시하였으며, 5점 척도를 활용한 강도 및 기호도 평가의 방법으로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고기 향미 강도 고기 향미 기호도 감칠맛 강도
실시예 1 3.61ab 3.39 ab 3.52a
실시예 4 3.85a 3.73a 3.85a
실시예 5 3.27b 3.24b 3.06b
상기 표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4에 따른 향미증진제가 맛에 대한 관능 평가에 있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3)

  1. 아미노산 및 당류를 포함하는 육류 가수분해물, 및 버섯 가공물을 포함하고,
    상기 육류 가수분해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버섯 가공물의 고형분을 1 중량부 내지 7.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고,
    상기 버섯 가공물은 버섯원물, 버섯추출물 및 버섯추출물의 농축액 중 하나 이상의 반응원료, 정제염 및 어류 발효액을 포함하고,
    상기 버섯 가공물은 가열하여 제조된 것인,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금속염을 더 포함하는 것인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은 아르기닌, 류신, 페닐알라닌,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및 이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육류 가수분해물은 육류에 가수분해효소 처리하여 수득된 것인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
  5. 삭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향미증진제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열 전, 후 또는 동시에 상기 향미증진제 제조용 조성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향미증진제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열은 100℃이상에서 수행하는 것인 향미증진제의 제조 방법.
  9. 피라진계 화합물 및 아세트산을 포함하는 향미증진제로서,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과 상기 아세트산의 함량비는 1:1.5 내지 1:2.5이고,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은 메틸피라진, 2,5-디메틸피라진, 2,6-디메틸피라진, 2-에틸-5-메틸피라진, 2-에틸-6-메틸피라진, 및 2,3,5-트리메틸피라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향미증진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 및 아세트산의 함량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인 향미증진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향미증진제 전체 아미노산 중량부 대비 14 중량부 이상 함량의 글루탐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것인 향미증진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의 함량은 메틸피라진, 2,5-디메틸피라진, 2,6-디메틸피라진, 2-에틸-6-메틸피라진 및 2,3,5-트리메틸피라진의 함량의 총합을 나타내는 것인 향미증진제.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은 메틸피라진을 포함하고, 상기 피라진계 화합물과 상기 메틸피라진의 함량비는 1:0.20 내지 1:0.5인 향미증진제.
KR1020190116221A 2019-09-20 2019-09-20 향미증진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74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221A KR102374566B1 (ko) 2019-09-20 2019-09-20 향미증진제 및 이의 제조 방법
AU2020348144A AU2020348144B2 (en) 2019-09-20 2020-09-18 Flavour enhancer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US17/634,833 US20220295852A1 (en) 2019-09-20 2020-09-18 Flavour enhancer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EP20864400.5A EP4032412A4 (en) 2019-09-20 2020-09-18 FLAVOR ENHANCE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PCT/KR2020/012618 WO2021054763A1 (ko) 2019-09-20 2020-09-18 향미증진제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221A KR102374566B1 (ko) 2019-09-20 2019-09-20 향미증진제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360A KR20210034360A (ko) 2021-03-30
KR102374566B1 true KR102374566B1 (ko) 2022-03-15

Family

ID=74883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221A KR102374566B1 (ko) 2019-09-20 2019-09-20 향미증진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95852A1 (ko)
EP (1) EP4032412A4 (ko)
KR (1) KR102374566B1 (ko)
AU (1) AU2020348144B2 (ko)
WO (1) WO20210547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169A (ko) 2022-04-28 2023-11-06 농업회사법인(주)애니웰 동애등에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반려동물 사료용 향미증진제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47137B (zh) * 2021-04-28 2023-05-26 四川大学 一株能提升酱油风味的地衣芽孢杆菌及其在发酵食品中的应用
CN114431448B (zh) * 2022-02-23 2023-07-25 南京高新工大生物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食用菌发酵技术的调味品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092B1 (ko) * 2011-06-07 2013-11-2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식품 또는 메일라드 반응 산물에 함유된 휘발성 성분-관능 특성 상관 관계의 비특이적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향미 조성물
JP5954758B1 (ja) * 2015-05-28 2016-07-20 長岡香料株式会社 呈味増強剤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886B1 (ko) * 2006-07-25 2008-05-2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쓴맛이 없고 고기 향이 강한 소고기 조미 분말의 제조 방법
CN104855925B (zh) * 2009-12-28 2017-04-26 可口可乐公司 甜味增强剂,其组合物,及使用方法
UA111078C2 (uk) * 2011-05-03 2016-03-25 Нестек С.А. Гідролізат білкового субстрату і спосіб його виготовлення
CN102613587B (zh) * 2012-04-28 2013-09-11 南京农业大学 四非肉制品加工方法
CN107822081A (zh) * 2017-10-30 2018-03-23 聊城市新恒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香菇牛肉风味膏状香精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092B1 (ko) * 2011-06-07 2013-11-2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식품 또는 메일라드 반응 산물에 함유된 휘발성 성분-관능 특성 상관 관계의 비특이적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향미 조성물
JP5954758B1 (ja) * 2015-05-28 2016-07-20 長岡香料株式会社 呈味増強剤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169A (ko) 2022-04-28 2023-11-06 농업회사법인(주)애니웰 동애등에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반려동물 사료용 향미증진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348144A1 (en) 2022-03-24
KR20210034360A (ko) 2021-03-30
US20220295852A1 (en) 2022-09-22
AU2020348144B2 (en) 2024-02-15
EP4032412A4 (en) 2024-02-21
WO2021054763A1 (ko) 2021-03-25
EP4032412A1 (en) 202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566B1 (ko) 향미증진제 및 이의 제조 방법
US6974597B2 (en) Method of enhancing salty taste, salty taste enhancer, salty taste seasoning agent and salty taste-enhanced foods
JP5667439B2 (ja) 塩味増強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
JP5156361B2 (ja) 塩味増強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4476219B2 (ja) 調味料
JP5628499B2 (ja) 塩味増強剤を含有する低食塩醤油又は低食塩醤油調味料
JP5925345B2 (ja) 食塩味増強剤
US7108884B2 (en) Process for producing cysteinylglycine-enriched food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ing flavor-enhancing agent
US20090297661A1 (en) Methods For Flavor Enhancement
JP2011062172A (ja) 食塩及び塩味増強剤を含有する食塩代替調味料
CN108634280B (zh) 一种鲜味六肽及其用途
JP2017006095A (ja) 塩味増強剤
JP2007319110A (ja) 辛味増強方法
JP5759366B2 (ja) 苦味抑制剤
JP5628501B2 (ja) 塩味増強剤を含有する低食塩味噌又は低食塩味噌調味料
JP4562663B2 (ja) ミルク感増強方法
JP2011062169A (ja) 塩味増強剤を含有する米飯類又は麺類の調理品
CN117981859A (zh) 一种香精基料及其制备方法
JP5628500B2 (ja) 塩味増強剤を含有する麺類用スープ又は麺類用つゆ
JP2008000090A (ja) 調味料の製造方法及びコク味増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