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862B1 - 접합부위 테스트가 가능한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접합부위 테스트가 가능한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862B1
KR102372862B1 KR1020210169432A KR20210169432A KR102372862B1 KR 102372862 B1 KR102372862 B1 KR 102372862B1 KR 1020210169432 A KR1020210169432 A KR 1020210169432A KR 20210169432 A KR20210169432 A KR 20210169432A KR 102372862 B1 KR102372862 B1 KR 102372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ayer
sheet
synthetic polymer
layer
rubber asph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우정
Original Assignee
(주)대흥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흥산업 filed Critical (주)대흥산업
Priority to KR1020210169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된 각각의 방수시트와 방수시트의 각 단부를 접합 후 그 접합 부위가 이격 또는 들뜸 없이 제대로 정확하게 접합 되었는지를 전기적인 스파크(spark) 현상에 의한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물성이 다른 시트 간 또한 별도의 접착수단이 개재(介在)되는 것이 아니라 성형되는 형상에 의해 원활하게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부로부터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금속재질 시트층;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 및 이형 필름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및 금속재질 시트층의 선단은 하부 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과 아스팔트 시트층 및 이형 필름층의 선단보다 더 길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되, 상기 연장부의 금속재질 시트층 선단은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선단 보다 짧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접합 부위 테스트가 가능한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방수시트 시공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방수시트의 제조 또한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이루어져 제품 생산 효율성과 제품 자체의 신뢰성도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접합부위 테스트가 가능한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A waterproof sheet capable of testing the joint area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접합부위 테스트가 가능한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제조된 각각의 방수시트와 방수시트의 각 단부를 접합 후 그 접합 부위가 이격 또는 들뜸 없이 제대로 정확하게 접합 되었는지를 전기적인 스파크(spark) 현상에 의한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물성이 다른 시트 간 또한 별도의 접착수단이 개재(介在)되는 것이 아니라 성형되는 형상에 의해 원활하게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접합 부위 테스트가 가능한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의 옥상이나 지하 외벽, 지하 주차장 슬라브, 지하철 통신구 등의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토목 구조물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콘크리트 구조물은 온도 변화에 의한 체적 변화는 물론 반복되는 진동에 의한 균열이 발생되며 균열이 발생 된 후에는 그 균열이 더 진행됨에 따라 실거주자의 쾌적한 주거 환경 유지와 같은 환경적 측면의 문제뿐만 아니라 누수로 인한 철근 및 철골의 부식, 중성화, 동결융해, 유해물질의 침입 등으로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수명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수시공에 사용되는 방수시트는 다양한 형태의 선행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먼저, 본 출원에 의한 선출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4517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EVA 시트와 하부의 고무아스팔트 시트 사이에 유리섬유와 접착성 다층 적층필름을 배치하여 층간 결합력이 현저히 향상되고 방수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접착성 적층필름을 포함하는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과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0023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개량아스팔트 방수시트와 우레탄 액상도막을 이용한 복합공법에서 이웃하는 방수시트간의 조인트를 접착용 도막재 대신 테이프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접착시킴과 동시에 상부 우레탄도막재와 하부 개량아스팔트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알루미늄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우레탄계 필름과 우레탄계 핫멜트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 복합 알루미늄 테이프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4271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우레탄재질을 포함하는 복합알루미늄 테이프를 구비하여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 시공시의 조인트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접착함과 동시에 방수시트를 우레탄재질을 포함하는 복합 고무아스팔트시트로 구비함으로써 그 상부에 도포되는 우레탄도막재와의 일체화를 통해 복합방수 시공시의 문제점인 균열, 탈리 및 들뜸현상을 방지하여 방수 능력을 증진시킨 노출 또는 비노출 복합 방수 공법 및 구조와 그 복합 고무아스팔트시트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5242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206357호(이하 '특허문헌 4'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무극성 수지계에 극성을 부여하여 내근성을 가지는 금속분말이 고르게 분산되게 하고, 다른 폴리머와의 상용성을 증가시켜 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방근 복합시트와, 상기 방수방근 복합시트 하부에 습윤환경 및 저온에서도 피착면에 부착력이 좋은 겔타입의 점착식 방수층을 형성하면서 상기 방수방근 복합시트가 점착식 방수층의 일측면 이상 외측으로 이격되어 방수방근 복합시트 간 융착 이음부를 형성함으로써, 2중 방수뿐만 아니라 방근 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게 하는 금속분말이 포함된 방수방근 복합시트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4에서의 각 방수시트 또는 복합시트는 일부의 각 시트 층간에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수단에 접착시켜 형성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은 물론 특히 제조된 각 방수시트 또는 복합시트의 각 단부를 접합한 후 그 접합 부위가 정확하고 정밀하게 접합이 이루어졌는 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결여되어 있는 단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451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002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427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524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206357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제조된 각각의 방수시트와 방수시트의 각 단부를 접합 후 그 접합 부위가 이격 또는 들뜸 없이 제대로 정확하게 접합 되었는지를 전기적인 스파크(spark) 현상에 의한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물성이 다른 시트 간 또한 별도의 접착수단이 개재(介在)되는 것이 아니라 성형되는 형상에 의해 원활하게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접합 부위 테스트가 가능한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방수시트의 변형방지와 형상유지는 물론 접착력을 더욱더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은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상기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하부에 중심제인 변형방지와 형상유지 및 전기적인 스파크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해 접착 형성되는 금속재질 시트층; 상기 금속재질 시트층 하부에 압출 시 밑면에 접착부가 형성되어 접착 형성되는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상기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의 하부에 상기 접착부에 접착 형성되는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 및 상기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형 필름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및 금속재질 시트층의 선단은 하부 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과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 및 이형 필름층의 선단보다 더 길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되, 상기 연장부의 금속재질 시트층 선단은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선단 보다 짧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및 금속재질 시트층의 선단 측에 형성되는 연장부는 타측 끝단에도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접착부는 엠보 형태, 요철 형태 또는 격자 형태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한다.
상기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은 필름층을 사이에 두고 상부에 형상유지를 위한 고밀도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과 하부에 저밀도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으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압출기의 다이스를 통해 중심제인 변형방지와 형상유지 및 전기적인 스파크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한 금속재질 시트층을 사이에 두고 상부 및 하부에 용융된 합성고분자계 수지를 압출시켜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과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을 형성시키되, 상기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의 밑면에 접착부가 형성되도록 상부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시트를 이송시키면서 상기 접착부 상에 압출기의 다이스를 통해 밑면에 이형 필름층이 접착되는 고무 아스팔트 수지를 압출시켜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이 접착 형성되는 하부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시트의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과 금속재질 시트층의 선단 또는 끝단은 상기 상부 시트의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및 하부 시트보다 더 길게 형성되되, 상기 금속재질 시트층의 선단 또는 끝단은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부는 상부시트 성형시 밑면에 구비되는 성형롤러에 의해 엠보 형태, 요철 형태 또는 격자 형태로 성형되는 것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시트 중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은 압출기의 다이스를 통행 고무 아스팔트 수지를 압출시 필름층을 사이에 두고 상부에 형상유지를 위한 고밀도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과 하부에 저밀도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으로 분할 성형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조된 각각의 방수시트와 방수시트의 각 단부를 접합 후 그 접합 부위가 이격 또는 들뜸 없이 제대로 정확하게 접합 되었는지를 전기적인 스파크(spark) 현상에 의한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물성이 다른 시트 간 또한 별도의 접착수단이 개재(介在)되는 것이 아니라 성형되는 형상에 의해 원활하게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수시트 시공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방수시트의 제조 또한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이루어져 제품 생산 효율성과 제품 자체의 신뢰성도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방수시트의 변형방지와 형상유지는 물론 접착력을 더욱더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수시트의 제품에 대한 더욱더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시공에 사용되는 방수시트 또는 복합시트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선행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일부의 각 시트 층간에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수단에 접착시켜 형성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가진다.
특히, 제조된 각 방수시트 또는 복합시트의 각 단부를 접합한 후 그 접합 부위가 정확하고 정밀하게 접합이 이루어졌는 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결여되어 있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제조된 각각의 방수시트와 방수시트의 각 단부를 접합 후 그 접합 부위가 이격 또는 들뜸 없이 제대로 정확하게 접합 되었는지를 전기적인 스파크(spark) 현상에 의한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물성이 다른 시트 간 또한 별도의 접착수단이 개재(介在)되는 것이 아니라 성형되는 형상에 의해 원활하게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접합 부위 테스트가 가능한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부위 테스트가 가능한 방수시트(1)는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형태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등과 같은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10) 하부에 중심제인 변형방지와 형상유지 및 전기적인 스파크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해 접착 형성되는 알루미늄 박판 등과 같은 금속재질 시트층(20)이 형성된다.
상기 금속재질 시트층(20) 하부에 압출 시 밑면에 접착부(32)가 형성되어 접착 형성되는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30)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접착부(32)는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30)이 압출되는 과정에서 하부에 배치되는 성형롤러에 의해 엠보 형태, 요철 형태 또는 격자 형태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성형된다.
상기한 접착부는 후술하는 고무 아스팔트 수지가 별도의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용융된 수지 상태의 고무 아스팔트 수지가 넓은 표면적으로 접착됨과 동시에 그 접착부의 돌기나 홈 또는 틈 사이로 인서트 되듯이 접착됨으로 인해 분리나 박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에서,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과 금속재질 시트층 및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은 압출기의 다이스를 통하여 압출되는 과정에서 금속재질 시트를 개재시켜 상부와 하부에 합성고분자계 수지가 압출되면서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과 금속재질 시트층 및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으로 압출 성형된다.
이렇게 압출 성형된 시트층은 롤러에 권취 된 후 후술하는 후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30)의 하부에 상기 접착부(32)에 접착 형성되는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40)과 상기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40)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형 필름층(50)을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한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과 이형 필름층 역시 압출기의 다이스에서 고무 아스팔트 수지가 압출되면서 밑면에는 이형 필름이 접착됨과 동시에 상부는 이송되는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의 접착부에 접착되는 층상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금속재질 시트층,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 및 이형 필름층으로 구성되는 방수시트는 롤러에 권취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방수시트는 적층 된 시트층이 2번의 압출 공정을 거쳐 접착 형성되는 것이므로 각 시트층 간에 별도의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수단 없이 제조가 이루어짐으로써, 제조가 간단하고 편리하면서 단시간 내에 높은 생산 효율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주된 기술적 사상은 각 방수시트의 선단 또는 끝단이 열압착에 의해 접합 된 상태에서 그 접합 부위가 이격 또는 들뜸 없이 제대로 정확하게 접합 되었는지를 전기적인 스파크(spark) 현상에 의한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상기 선단 또는 끝단은 도면에 도시된 일측 또는 반대 측의 타측을 말한다.
상기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10) 및 금속재질 시트층(20)의 선단은 하부 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30)과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40) 및 이형 필름층(50)의 선단보다 더 길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5)가 형성되되, 상기 연장부(15)의 금속재질 시트층(20) 선단은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10) 선단 보다 짧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방수시트 간에 서로 접합되는 선단 측에 형성되는 연장부에는 금속재질 시트층이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과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 및 이형 필름층 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됨에 따라 열압착 후 그 접합되는 부위에 스파크 테스트기에 의해 전기를 통전 시킴에 따라 접합 부위 간에 이격 또는 들뜸 없이 정확하게 접합이 되었을 때는 스파크가 발생되지 않는다.
반대로, 접합 부위가 제대로 접합되지 않고 이격 또는 들뜸이 발생하였을 경우, 스파크 테스트기에 의해 테스트할 때 금속재질 시트층과 스파크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불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은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접합 부위에 금속재질 시트층의 일부를 돌출시킴에 따라 접합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수시트는 제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특히 방수시트 간에 접합 부위를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단시간 내에 불량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함으로써, 방수시트 시공에 따른 접합 부분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있어, 방수시트의 선단만이 스파크 테스트를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반대 측의 끝단 또한 접합 부위에 스파크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전술한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10) 및 금속재질 시트층(20)의 선단 측에 형성되는 연장부(15)는 타측 끝단에도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연장부 역시 전술한 선단에 형성되는 연장부와 동일 구조를 가짐은 물론 작용 효과 역시 동일함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있어,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 역시 기능성을 가지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40)은 압출기의 다이스에서 압출하는 과정에서 필름층(42)을 사이에 두고 상부에 형상유지를 위한 고밀도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44)과 하부에 저밀도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46)으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밀도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에 의해 방수시트의 전체적인 형상을 더욱더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아울러, 저밀도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에 의해 바닥면에 부착시 더욱더 긴밀하고 밀착되게 부착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그에 따라 방수시트의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조건 또한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수시트의 제조방법은 크게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동일한 기술적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기재하여 설명한다.
상부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S1)는 압출기의 다이스를 통해 중심제인 변형방지와 형상유지 및 전기적인 스파크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한 금속재질 시트층(20)을 사이에 두고 상부 및 하부에 용융된 합성고분자계 수지를 압출시켜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10)과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30)을 형성시키되, 상기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30)의 밑면에 접착부(32)가 형성되도록 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접착부(32)는 상부시트 성형시 밑면에 구비되는 성형롤러에 의해 엠보 형태, 요철 형태 또는 격자 형태로 성형되는 것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상기한 접착부는 전술한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부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S2)는 상기 상부 시트를 이송시키면서 상기 접착부(32) 상에 압출기의 다이스를 통해 밑면에 이형 필름층(50)이 접착되는 고무 아스팔트 수지를 압출시켜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40)이 접착 형성되는 성형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시트의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10)과 금속재질 시트층(20)의 선단 또는 끝단은 상기 상부 시트의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30) 및 하부 시트보다 더 길게 형성되되, 상기 금속재질 시트층(20)의 선단 또는 끝단은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10) 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한 금속재질 시트층은 중심제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방수시트 간에 접합 부위를 열압착 후 그 접합 부위가 정확하게 접합되었는 지를 스파크 테스트기를 사용하여 테스트 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전술한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게, 본 발명은 2번의 압출 과정에서 방수시트가 제조됨으로 인해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특히, 방수시트 간에 열압착에 의한 접합 부위 또한 스파크 테스트에 의해 불량 여부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관계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은 물론 시공에 대한 신뢰성도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도 구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하부 시트 중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40) 역시 기능성을 가질 수 있도록 다이스를 통행 고무 아스팔트 수지를 압출시 필름층을 사이에 두고 상부에 형상유지를 위한 고밀도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과 하부에 저밀도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으로 분할 성형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분할 형성되는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 역시 전술한바 이 또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분형 형성되는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 역시 하부 시트를 압축 성형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이 역시 간단하게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1 : 방수시트
10 :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15 : 연장부
20 : 금속재질 시트층 30 :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32 : 접착부 40 :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
42 : 필름층 44 : 고밀도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
46 : 저밀도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 50 : 이형 필름층

Claims (7)

  1.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상기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하부에 중심제인 변형방지와 형상유지 및 전기적인 스파크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해 접착 형성되는 금속재질 시트층;
    상기 금속재질 시트층 하부에 압출 시 밑면에 접착부가 형성되어 접착 형성되는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상기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의 하부에 상기 접착부에 접착 형성되는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 및
    상기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형 필름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및 금속재질 시트층의 선단은 하부 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과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 및 이형 필름층의 선단보다 더 길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되, 상기 연장부의 금속재질 시트층 선단은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선단 보다 짧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접합부위 테스트가 가능한 방수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및 금속재질 시트층의 선단 측에 형성되는 연장부는 타측 끝단에도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접합부위 테스트가 가능한 방수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엠보 형태, 요철 형태 또는 격자 형태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접합부위 테스트가 가능한 방수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은 필름층을 사이에 두고 상부에 형상유지를 위한 고밀도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과 하부에 저밀도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으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접합부위 테스트가 가능한 방수시트.
  5. 압출기의 다이스를 통해 중심제인 변형방지와 형상유지 및 전기적인 스파크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한 금속재질 시트층을 사이에 두고 상부 및 하부에 용융된 합성고분자계 수지를 압출시켜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과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을 형성시키되, 상기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의 밑면에 접착부가 형성되도록 상부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시트를 이송시키면서 상기 접착부 상에 압출기의 다이스를 통해 밑면에 이형 필름층이 접착되는 고무 아스팔트 수지를 압출시켜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이 접착 형성되는 하부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시트의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과 금속재질 시트층의 선단 또는 끝단은 상기 상부 시트의 제2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및 하부 시트보다 더 길게 형성되되, 상기 금속재질 시트층의 선단 또는 끝단은 제1 합성고분자계 시트층 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접합부위 테스트가 가능한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상부시트 성형시 밑면에 구비되는 성형롤러에 의해 엠보 형태, 요철 형태 또는 격자 형태로 성형되는 것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접합부위 테스트가 가능한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시트 중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은 압출기의 다이스를 통행 고무 아스팔트 수지를 압출시 필름층을 사이에 두고 상부에 형상유지를 위한 고밀도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과 하부에 저밀도 고무 아스팔트 시트층으로 분할 성형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접합부위 테스트가 가능한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KR1020210169432A 2021-11-30 2021-11-30 접합부위 테스트가 가능한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372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432A KR102372862B1 (ko) 2021-11-30 2021-11-30 접합부위 테스트가 가능한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432A KR102372862B1 (ko) 2021-11-30 2021-11-30 접합부위 테스트가 가능한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862B1 true KR102372862B1 (ko) 2022-03-11

Family

ID=80814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432A KR102372862B1 (ko) 2021-11-30 2021-11-30 접합부위 테스트가 가능한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86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517B1 (ko) 2008-12-17 2009-06-25 주식회사 삼송마그마 접착성 적층필름을 포함하는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170023B1 (ko) 2012-03-06 2012-08-01 주식회사 대흥산업 방수시트 조인트 접합용 복합 알루미늄 테이프
KR101174271B1 (ko) 2012-04-23 2012-08-16 주식회사 대흥산업 복합 알루미늄테이프와 복합 고무아스팔트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및 구조와 그 복합 고무아스팔트시트
JP2015036494A (ja) * 2013-08-13 2015-02-23 ガムスター株式会社 自己粘着性屋根下葺防水材
KR20180000937A (ko) * 2016-06-24 2018-01-04 김동춘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
KR102115242B1 (ko) 2019-12-12 2020-06-08 주식회사 삼송마그마 금속분말이 포함된 방수방근 복합시트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206357B1 (ko) 2019-12-12 2021-01-22 주식회사 삼송마그마 금속분말이 포함된 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KR20210132389A (ko) * 2020-04-27 2021-11-04 아하방수텍 주식회사 단열효과를 가지는 방수시트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517B1 (ko) 2008-12-17 2009-06-25 주식회사 삼송마그마 접착성 적층필름을 포함하는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170023B1 (ko) 2012-03-06 2012-08-01 주식회사 대흥산업 방수시트 조인트 접합용 복합 알루미늄 테이프
KR101174271B1 (ko) 2012-04-23 2012-08-16 주식회사 대흥산업 복합 알루미늄테이프와 복합 고무아스팔트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및 구조와 그 복합 고무아스팔트시트
JP2015036494A (ja) * 2013-08-13 2015-02-23 ガムスター株式会社 自己粘着性屋根下葺防水材
KR20180000937A (ko) * 2016-06-24 2018-01-04 김동춘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
KR102115242B1 (ko) 2019-12-12 2020-06-08 주식회사 삼송마그마 금속분말이 포함된 방수방근 복합시트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206357B1 (ko) 2019-12-12 2021-01-22 주식회사 삼송마그마 금속분말이 포함된 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KR20210132389A (ko) * 2020-04-27 2021-11-04 아하방수텍 주식회사 단열효과를 가지는 방수시트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48323B (zh) 具有增塑剂迁移屏障的密封幅材
TW201718799A (zh) 用於預施用防水膜之輔助結構細化
JP2012021315A (ja) 複合防水シート、床版防水構造、及び床版防水構造の施工方法
KR101290146B1 (ko) 도장성과 점접착성을 갖는 고분자 다층복합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2372862B1 (ko) 접합부위 테스트가 가능한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648177B1 (ko) 복합방수용 고무아스팔트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복합방수구조
KR102110342B1 (ko) 방수시트의 접합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접합되는 방수시트
KR20110111711A (ko) 결합용 부재를 포함하는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하는 방수 및 방수/방근 시공 방법
KR100552454B1 (ko) 엠보싱 폴리비닐시트와 다공성 세라믹 열가소성 수지계아스팔트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부분절연 블록형 비노출복합방수층 구조 및 복합방수공법
KR101072343B1 (ko) 고분자 복합 방수 시트와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를 적층한 건식 시트 방수 공법
KR20180017859A (ko) 재활용이 가능한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1813597B1 (ko) 겹침부 방수 성능이 우수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866333B1 (ko) 노출형 아크릴기반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JP4794375B2 (ja) 外装材及び外装構造
KR101195591B1 (ko) 방수 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 구조, 및 방수시공 방법
CN115230281A (zh) 预铺防水卷材及其制备方法
JP2007186988A (ja) シート防水構造及び防水工法
KR20130090646A (ko) 실리콘 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CN219753316U (zh) 一种高分子和沥青复合预铺防水卷材
KR101728129B1 (ko) 고점착 이음매가 포함된 저온 접합형 아스팔트 방수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CN205344001U (zh) 一种自粘聚合物改性沥青防水卷材
CN210712415U (zh) 一种公路建设用防裂贴
KR200211908Y1 (ko) 복합 시트 방수재
JP2005172809A (ja) ひび割れ検知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ひび割れ検知システムならびにひび割れ検知方法
KR101558458B1 (ko) 방수테이프를 이용한 옥상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