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518B1 - 타이어 가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518B1
KR102371518B1 KR1020217040530A KR20217040530A KR102371518B1 KR 102371518 B1 KR102371518 B1 KR 102371518B1 KR 1020217040530 A KR1020217040530 A KR 1020217040530A KR 20217040530 A KR20217040530 A KR 20217040530A KR 102371518 B1 KR102371518 B1 KR 102371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ster plate
plate
mold
container ring
sid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0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670A (ko
Inventor
유키히사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02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5Vulcanising presses characterised by moulds integral with the presses having radially movable s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32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plungers unde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4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wed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09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the moulds being made of a plurality of laminations, e.g. thin plates, adjacent one another, so as to create the moulding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8Annular elements, e.g. rings, for moulding the tyre shoulder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타이어 가황용 몰드를 보다 확실하게 폐형할 수 있고, 품질이 우수한 타이어를 제조할 수 있는 타이어 가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각 섹터 몰드(15c)의 외주면에 장착한 세그먼트(6)의 외주 측에 컨테이너 링(11)을 배치하고, 상측 사이드 몰드(15a)의 상면에 장착한 상부 플레이트(2)의 상방에 볼스터 플레이트(3)를 배치하고, 하부 플레이트(4)의 상면에 장착한 하측 사이드 몰드(15b)에 그린 타이어를 옆으로 쓰러진 상태로 올려놓고, 가압 기구(5)에 의해 볼스터 플레이트(3)를 하방 이동시켜 폐형 위치로 유지한 상태에서, 볼스터 플레이트(3)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체(8)에 보유된 컨테이너 링(11)을, 공급된 가압 유체(F)에 의해 하방 이동시켜 각 섹터 몰드(15c)의 상면에 상측 사이드 몰드(15a)를 압압하면서, 각 섹터 몰드(15c)를 환상으로 조립하여 폐형한다.

Description

타이어 가황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타이어 가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어 가황용 몰드를 보다 확실하게 폐형(閉型)할 수 있고, 품질이 우수한 타이어를 제조할 수 있는 타이어 가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를 제조할 때는, 폐형한 몰드 내에서 그린 타이어를 가황한다. 섹셔널 타입(sectional type) 몰드는 상측 사이드 몰드, 하측 사이드 몰드 및 복수의 섹터 몰드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이 밀착하도록 폐형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각각의 섹터 몰드는 하방 이동하는 컨테이너 링에 의해 중심 기구를 향해 압압되어 환상으로 조립된다. 환상으로 조립된 각각의 섹터 몰드와, 하측 사이드 몰드는 밀착하도록 조립된다. 한편, 상측 사이드 몰드는 상측 사이드 몰드의 상면에 취부된 상부 플레이트와 함께 상하 이동한다. 이 상부 플레이트가, 컨테이너 링이 취부되어 있는 볼스터 플레이트(bolster plate)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으면, 몰드를 폐형한 상태에서는,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이 볼스터 플레이트에 의해 하방으로 압압된다.
폐형된 상태에서 각각의 섹터 몰드끼리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면, 그 틈새로부터, 옆으로 쓰러진 상태에서 몰드 중에 배치되어 있는 그린 타이어의 미가황 고무가 유출되어 가황한 타이어의 품질에 영향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구조의 가황 장치에서는, 각각의 섹터 몰드끼리 사이의 틈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섹터 몰드를 컨테이너 링에 의해 보다 강하게 압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폐형할 때에, 볼스터 플레이트의 하방 이동이 상부 플레이트에 의해 규제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고, 볼스터 플레이트에 의한 상부 플레이트에 대한 압압보다도, 컨테이너 링에 의한 각각의 섹터 몰드에 대한 압압이 우선된다.
이에 따라, 볼스터 플레이트의 하면과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틈새가 클수록, 가황 중에 그린 타이어가 내압을 받으면, 상측 사이드 몰드가 상부 플레이트와 함께 상방 이동하는 양이 커져, 환상으로 조립된 각각의 섹터 몰드의 상면과 상측 사이드 몰드의 하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한다. 즉, 몰드를 틈새 없이 확실하게 폐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가황된 타이어에서는, 각각의 섹터 몰드의 상면과 상측 사이드 몰드의 하면 사이의 틈새에 기인하여 상측의 사이드부에 단차가 형성된다. 가황된 타이어의 상측 사이드부와 하측 사이드부에서 이 단차의 유무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타이어 품질을 향상시키기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54212호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 가황용 몰드를 보다 확실하게 폐형할 수 있고, 품질이 우수한 타이어를 제조할 수 있는 타이어 가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 장치는, 환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각각의 섹터 몰드의 외주면에 취부되는 세그먼트와, 상측 사이드 몰드의 상면에 취부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하측 사이드 몰드의 하면에 취부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각각의 세그먼트의 외주 측에 배치되는 컨테이너 링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컨테이너 링에 연결되는 볼스터 플레이트와, 이 볼스터 플레이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가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를 하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서, 각각의 상기 섹터 몰드가 환상으로 조립되는 동시에, 이들 섹터 몰드가 상기 상측 사이드 몰드와 상기 하측 사이드 몰드에 의해 상하로 협지되어 폐형되는 구성으로 한 타이어 가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와 상기 컨테이너 링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와 상기 컨테이너 링을 연결시키는 연결체와, 가압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를 갖고, 상기 컨테이너 링이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연결체에 보유되고,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의 상하 위치가 폐형 위치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유체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상기 가압 유체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 링이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에 대해 하방 이동함으로써, 각각의 상기 섹터 몰드의 상면에 상기 상측 사이드 몰드가 압압되면서, 각각의 상기 섹터 몰드가 환상으로 조립되어 폐형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 방법은, 환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각각의 섹터 몰드의 외주면에 세그먼트를 취부하고, 상측 사이드 몰드의 상면에 상부 플레이트를 취부하고, 하측 사이드 몰드의 하면에 하부 플레이트를 취부하고, 각각의 세그먼트의 외주 측에 컨테이너 링을 배치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방에 상기 컨테이너 링이 연결된 볼스터 플레이트를 배치하고, 상기 하측 사이드 몰드에 그린 타이어를 옆으로 쓰러진 상태로 올려놓고, 대기 위치의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를 가압 기구에 의해 폐형 위치로 하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서, 각각의 상기 섹터 몰드를 환상으로 조립하는 동시에, 이들 섹터 몰드를 상기 상측 사이드 몰드와 상기 하측 사이드 몰드에 의해 상하로 협지하여, 상기 그린 타이어를 내부에 가둬서 폐형하고, 상기 그린 타이어를 가압 및 가열함으로써 가황하는 타이어 가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와 상기 컨테이너 링 사이에 연결체를 개재시켜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와 상기 컨테이너 링을 연결하고, 상기 컨테이너 링을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연결체에 보유하고,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를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하방 이동시켜 상기 폐형 위치로 유지한 상태에서, 유체 공급부로부터 공급한 가압 유체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 링을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에 대해 하방 이동시킴으로써, 각각의 상기 섹터 몰드의 상면에 상기 상측 사이드 몰드를 압압하면서, 각각의 상기 섹터 몰드를 환상으로 조립하여 폐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 기구를 이용하여 볼스터 플레이트를 하방 이동시켜 폐형 위치로 유지한 상태로 함으로써, 각각의 섹터 몰드와 상측 사이드 몰드와 하측 사이드 몰드를 거의 폐형시킨다. 또한, 볼스타 플레이트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체에 보유되어 있는 컨테이너 링을, 가압 유체를 이용하여 볼스터 플레이트에 대해 단독으로 하방 이동시킴으로써, 각각의 섹터 몰드의 상면에 상측 사이드 몰드를 압압하면서, 각각의 섹터 몰드를 환상으로 조립하여 폐형한다. 그 때문에, 볼스터 플레이트를 폐형 위치로 유지한 상태로 하여, 각각의 섹터 몰드가 상측 사이드 몰드와 하측 사이드 몰드에 압압되어 양자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는 섹터 몰드끼리의 사이에 틈새가 있다 해도, 컨테이너 링을 단독으로 추가로 하방 이동시킴으로써, 그 틈새를 없애서 각각의 섹터 몰드를 환상으로 조립할 수 있다. 이 때, 볼스터 플레이트의 상하 위치는 폐형 위치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몰드를 확실하게 폐형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황 공정에 있어서의 타이어 양 사이드부의 마무리에 차이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품질이 우수한 타이어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개형되어 있는 상태의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 장치의 좌반분(left half)을 종단면시(longitudinal section view)로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결체 및 컨테이너 링을 평면시(plane view)로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섹터 몰드, 세그먼트를 평면시로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볼스터 플레이트를 하방 이동시켜서 각 세그먼트를 하부 플레이트에 올려놓은 상태를 종단면시로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볼스터 플레이트를 추가로 하방의 폐형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를 종단면시로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의 컨테이너 링을 추가로 하방 이동시켜서 몰드를 폐형하고 있는 상태를 종단면시로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섹터 몰드 및 세그먼트를 평면시로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 장치 및 방법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 장치(1)(이하, 가황 장치(1)라고 말한다)는, 복수의 세그먼트(6)와, 상부 플레이트(2)와, 하부 플레이트(4)와, 컨테이너 링(11)과, 컨테이너 링(11)에 연결된 볼스터 플레이트(3)와, 볼스터 플레이트(3)를 상하 이동시키는 가압 기구(5)와, 하부 플레이트(4)의 평면시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중심 기구(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가황 장치(1)는 가압 기구(5)와는 독립하여 가동하여 볼스터 플레이트(3)에 대해 컨테이너 링(11)을 단독으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는 상하 슬라이드 기구(7)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황 장치(1)에는, 타이어 가황용 몰드(15)(이하, 몰드(15)라고 말한다)가 취부된다. 몰드(15)는, 원환상의 상측 사이드 몰드(15a)와 원환상의 하측 사이드 몰드(15b)와 복수의 섹터 몰드(15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린 타이어(T)는 옆으로 쓰러진 상태에서, 하측 사이드 몰드(15b)에 올려놓아 몰드(15) 중에 배치된다. 도 1, 3은 몰드(15)가 개형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중심 기구(12)를 구성하는 중심 포스트(12a)는 상측 사이드 몰드(15a) 및 하측 사이드 몰드(15b)의 중심(CL)에 배치되어 있다. 중심 포스트(12a)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원반상의 클램프부(14)가 취부되어 있다. 각각의 클램프부(14)에는, 원통상의 가황용 블래더(bladder)(13)의 상단부, 하단부가 파지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2)에는, 그의 하면에 상측 사이드 몰드(15a)의 상면이 대향하여 취부되어 있다. 상측 사이드 몰드(15a)는 그의 하면에 의해, 옆으로 쓰러진 상태의 그린 타이어(T)의 상측 사이드부(Su)를 가황 성형한다. 상부 플레이트(2)는 상측 사이드 몰드(15a)와 함께 상하 이동한다.
하부 플레이트(4)에는, 그의 상면에 하측 사이드 몰드(15b)의 하면이 대향하여 취부되어 있다. 하측 사이드 몰드(15b)는 그의 상면에 의해, 옆으로 쓰러진 상태의 그린 타이어(T)의 하측 사이드부(Sd)를 가황 성형한다. 하부 플레이트(4)는 부동 상태에서 지반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세그먼트(6)는 중심 기구(12)(중심(CL))를 중심으로 하여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세그먼트(6)에는, 그의 내주 측에 섹터 몰드(15c)의 외주면이 대향하여 취부되어 있다. 각각의 세그먼트(6)의 외주면은, 외주 측으로부터 내주 측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를 갖고 있다. 섹터 몰드(15c)는 그의 내주면에 의해, 옆으로 쓰러진 상태의 그린 타이어(T)의 트레드부를 가황 성형한다.
원환상의 컨테이너 링(11)은, 중심 기구(12)(중심(CL))를 중심으로 한 환상체이며,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세그먼트(6)의 외주 측에서 상하 이동한다. 컨테이너 링(11)이 상하 이동함으로써, 컨테이너 링(11)의 내주 경사면과 각각의 세그먼트(6)의 외주 경사면이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하방 이동하는 컨테이너 링(11)의 내주면에 의해, 각각의 세그먼트(6)의 외주면이 압압됨으로써, 각각의 섹터 몰드(15c)가 세그먼트(6)과 함께 중심(CL)에 대해 근접 이동한다.
볼스터 플레이트(3)는 상부 플레이트(2)의 상방에 배치되어, 후술하는 연결체(8)를 통해서 컨테이너 링(1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볼스터 플레이트(3)의 상면에는 가압 기구(5)가 접속되어 있다. 가압 기구(5)로서는 유압 실린더 등의 실린더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가압 기구(5)의 실린더 로드의 상하 방향의 진퇴 이동에 의해 볼스터 플레이트(3)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상하 슬라이드 기구(7)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볼스터 플레이트(3)와 컨테이너 링(11) 사이에 개재하는 연결체(8)와, 가압 유체(F)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9)와, 가압 유체(F)의 공급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0)를 갖고 있다. 유체 공급부(9)는, 가압 유체(F)의 수용 탱크와 압송 구동기 등을 갖는 공급원(9a)과, 공급원(9a)으로부터 연재(延在)하는 공급 라인(9b)과 공급 라인(9b)의 선단에 취부된 탈착부(9c)를 갖고 있다. 가압 유체(F)로서는, 작동유나 물 등의 각종 액체나, 공기 등 각종 기체를 사용할 수 있지만 비압축성인 액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가황 장치(1)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유압 배관이나 공기압 배관을 흐르는 가압 유체(F)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연결체(8)는, 볼스터 플레이트(3)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외주 측의 계합부(8a) 및 내주 측의 계합부(8a)와, 각각의 계합부(8a) 사이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원환상의 디스턴스 링(distance ring)(8b)을 갖고 있다. 외주 측의 계합부(8a) 및 내주 측의 계합부(8a)는 볼스터 플레이트(3)의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4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외주 측의 계합부(8a)와 디스턴스 링(8b)과 내주 측의 계합부(8a)를 횡단하여 연통하는 볼트 등의 고정구(8e)에 의해, 각각의 계합부(8a, 8)와 디스턴스 링(8b)이 결합되어 있다. 계합부(8a, 8a)는 4 개소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3 개소 이상에 설치된다. 디스턴스 링(8b)의 하단부는 환상 돌부로 되어 있고, 이 환상 돌부의 측면에는 시일 링(8b)이 원주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또한, 가압 유체(F)가 흐르는 유로(8c)가 디스턴스 링(8b)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유로(8c)는 도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턴스 링(8b)을 따라 환상으로 연재하는 동시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개소(이 실시형태에서는 원주 방향으로 90°의 등간격으로 4 개소)에서,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턴스 링(8b)의 하단면에 개구하고 있다. 디스턴스 링(8b)의 외주면에 있는 유로(8c)의 개구에는 탈착부(9c)가 탈착 자유자재로 장착된다. 이 개구에 탈착부(9c)를 장착함으로써 공급 라인(9b)과 유로(8c)가 연통한다. 탈착부(9c)는 필요할 때에 연결체(8)의 외주면에 있는 유로(8c)의 개구에 장착되며, 이 개구에 상시 장착시킬 필요는 없다.
컨테이너 링(11)의 상면에는, 원주 방향 전주(entire periphery)에 연속하는 환상 홈부(11a)와, 상방으로 돌출하는 계합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환상 홈부(11a)에는 디스턴스 링(8b)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환상 돌부가 감합한다. 이 환상 돌부가 환상 홈부(11a)에 감합함으로써, 디스턴스 링(8b)의 환상 돌부의 하면과 컨테이너 링(11)의 환상 홈부(11a)의 저면 사이에는 유로(8c)에 연통하는 기밀성(수밀성)이 높은 환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일 링(8d)은 환상 홈부(11a)의 측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컨테이너 링(11)의 내주 측의 계합부(11a) 및 외주 측의 계합부(11b)는 각각 연결체(8)가 대응하는 계합부(8a, 8a)와 계합한다. 이에 따라, 각각의 계합부(8a, 8a)에 의해 디스턴스 링(8b)과 컨테이너 링(11)이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컨테이너 링(11)은 볼스터 플레이트(3)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체(8)에 보유되어 있다. 도 1에 예시하는 개형 상태에서는, 컨테이너 링(11)은 자중이 작용하여, 연결체(8)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최대의 틈새(g1)를 갖고 연결체(8)에 서스펜딩(suspending)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컨테이너 링(11)은 볼스터 플레이트(3)에 대해 하방으로의 슬라이드가 규제되면서, 상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유되어 있다.
유체 공급부(9)에 의해 가압 유체(F)가 공급 라인(9a)을 통해 연결체(8)의 유로(8c)에 공급되면, 공급된 가압 유체(8)는 디스턴스 링(8b)의 환상 돌부의 하면과 컨테이너 링(11)의 환상 홈부(11a)의 저면 사이에 쌓인다. 컨테이너 링(11)이 연결체(8)에 대해 상하 방향의 최대의 틈새(g1)보다도 작은 틈새를 갖거나, 또는 틈새 없이 연결체(8)에 보유되어 있는 경우는, 공급된 가압 유체(F)에 의한 압력에 의해 컨테이너 링(11)은 연결체(8)(볼스터 플레이트(3))에 대해 하방 이동한다. 하방 이동시킨 컨테이너 링(11)은 가압 유체(F)에 의한 압력(공급 압력)을 작게 하거나, 또는 대기 개방함으로써 상방 이동한다.
다음에, 이 가황 장치(1)를 이용하여, 그린 타이어(T)를 가황해서 공기입(空氣入)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그린 타이어(T)를 가황할 때는, 도 1, 도 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몰드(15)를 개형한 상태에서, 옆으로 쓰러진 상태의 그린 타이어(T)를 중심 기구(12)에 삽입 통과시켜, 쉐이핑 압력(shaping pressure)으로 팽창시킨 가황용 블래더(13)에 의해 그린 타이어(T)를 보유한다. 이 그린 타이어(T)를 하측 사이드 몰드(15b)에 올려놓는다. 이 때, 볼스터 플레이트(3)는 대기 위치에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링(11)은 연결체(8)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틈새(g1)를 갖고 연결체(8)에 서스펜딩되어 있다.
다음에, 도 4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 기구(5)에 의해, 볼스터 플레이트(3)를 하방 이동시킴으로써, 상부 플레이트(2), 상측 사이드 몰드(15a), 연결체(8) 및 컨테이너 링(11)을 일체적으로 하방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각각의 세그먼트(6)를 하부 플레이트(4)에 올려놓는다. 이 공정에서는, 연결체(8)와 컨테이너 링(11)과의 상하 방향의 소정의 틈새(g1)가 유지되어 있다.
다음에, 도 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 기구(5)에 의해 볼스터 플레이트(3)를 폐형 위치까지 추가로 하방 이동시킨다. 이 공정에서는, 하방 이동하는 컨테이너 링(11)의 내주 경사면에 의해 각각의 세그먼트(6)의 외주 경사면을 압압하여, 각각의 세그먼트(6)과 함께 각각의 섹터 몰드(15c)를 중심(CL)을 향해 이동시킨다.
또한, 볼스터 플레이트(3)와 함께, 상부 플레이트(2), 상측 사이드 몰드(15a)가 일체적으로 하방 이동하기 때문에 중심(CL)을 향해 이동한 각각의 섹터 몰드(15c)의 상면을 상측 사이드 몰드(15a)가 압압한다. 이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2)와 하부 플레이트(4)의 상하 사이에서, 각각의 섹터 몰드(15c)가 거의 환상으로 조립되어, 상측 사이드 몰드(15a)와 하측 사이드 몰드(15b)에 의해 상하로 협지되고, 몰드(15)는 그린 타이어(T)를 내부에 가둬서 거의 폐형한 상태로 된다.
볼스터 플레이트(3)가 이 폐형 위치에 있을 때는, 각각의 섹터 몰드(15c)의 상면을 상측 사이드 몰드(15a)가 압압하고 있어서, 각각의 섹터 몰드(15c)가 상측 사이드 몰드(15a) 및 하측 사이드 몰드(15b)와 압착하고 있는 상태이다. 볼스터 플레이트(3)의 상하 위치는 이 폐형 위치로 유지된다.
각각의 세그먼트(6)의 외주 경사면을 압압한 컨테이너 링(11)은 볼스터 플레이트(3)(연결체(8))와 각각의 세그먼트(6)에 협지됨으로써, 볼스터 플레이트(3)(연결체(8))에 대해 상방 이동한다. 이 컨테이너 링(11)의 상방 이동에 의해, 컨테이너 링(11)과 연결체(8)와의 상하 방향의 틈새(g1)가 없어진다. 그 때문에, 볼스터 플레이트(3)가 폐형 위치에 있을 때는, 컨테이너 링(1)은 볼스터 플레이트(3)(연결체(8))에 대해 상방으로의 슬라이드가 규제되어서 하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체(8)에 보유된다.
이 상태에서는, 각각의 섹터 몰드(15c)와 상측 사이드 몰드(15a) 및 하측 사이드 몰드(15b)는 충분히 압압되어 있지만,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는 섹터 몰드(15c)끼리가 틈새 없이 견고하게 환상으로 조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따라서 도 6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볼스터 플레이트(3)를 폐형 위치로 유지한 상태에서, 유체 공급부(9)로부터 가압 유체(F)를 연결체(8)의 유로(8c)에 공급한다. 공급된 가압 유체(F)에 의한 압력에 의해 컨테이너 링(11)은 단독으로 볼스터 플레이트(3)(연결체(8))에 대해 하방 이동한다. 도 6에서는, 볼스터 플레이트(3)(연결체(8))에 대해 컨테이너 링(11)이 하방 이동함으로써, 컨테이너 링(11)과 연결체(8)에 상하 방향의 틈새(g2)가 발생하고 있다(틈새(g2)≤ 틈새(g1)).
이 컨테이너 링(11)의 하방 이동에 따라, 각각의 세그먼트(6)(섹터 몰드(15c))는 중심(CL)을 향해 압압되어, 각각의 섹터 몰드(15c)를 견고하게 환상으로 조립한다. 즉, 환상으로 조립되어 있는 상태의 각각의 섹터 몰드(15c)를, 상하 슬라이드 기구(7)를 이용하여 추가로 조인다. 이에 따라, 각각의 섹터 몰드(15c)의 상면에 상측 사이드 몰드(15a)를 압압하면서, 각각의 섹터 몰드(15c)를 견고하게 환상으로 조립하여 몰드(15)를 폐형한다.
이 폐형 상태를 유지하면서, 폐형한 몰드(15) 중에서는, 그린 타이어(T)의 내측에서 가황용 블래더(13)를 추가로 팽창시켜서, 그린 타이어(T)에 소정의 내압을 부여하는 동시에,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가황을 행한다. 그린 타이어(T)를 소정시간 가황함으로써 공기입 타이어가 완성된다.
그린 타이어(T)의 가황 중에는, 폐형한 몰드(15)의 내측으로부터 몰드(15)를 개형시키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지만, 이 개형시키려고 하는 힘에는, 가압 기구(5) 및 상하 슬라이드 기구(7)에 의해 발생하는 폐형력에 의해 대항한다. 볼스터 플레이트(3)(연결체(8))에 대한 컨테이너 링(11)의 하방 이동량(틈새(g2)의 크기)은 제어부(10)에 의해 가압 유체(F)의 공급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가황하는 그린 타이어(T)의 미리 파악하고 있는 가황 조건 등에 기초하여, 가압 유체(F)의 공급 압력을 적정 범위로 제어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가압 기구(5)를 이용하여 볼스터 플레이트(3)를 폐형 위치로 하방 이동시켜서 몰드(15)를 거의 폐형하고,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는 섹터 몰드(15c)끼리의 사이에 틈새가 있다 해도, 상하 슬라이드 기구(7)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링(11)을 단독으로 하방 이동시킴으로써, 그 틈새를 없애서 견고하게 환상으로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상하 슬라이드 기구(7)를 이용하여, 각각의 섹터 몰드(15c)를 중심(CL)을 향해 압압해도, 볼스터 플레이트(3)의 상하 위치는 폐형 위치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섹터 몰드(15c)와 상측 사이드 몰드(15a) 및 하측 사이드 몰드(15b)와의 밀착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도 7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몰드(15)를 가황 중에 확실하게 폐형한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제조된 타이어의 상측 사이드부(Su)에 폐형 불량에 기인하는 단차가 형성되는 불량을 회피할 수 있다. 즉, 가황 공정에 있어서의 타이어 양 사이드부의 마무리(finishing)에 차이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품질이 우수한 타이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각의 섹터 몰드(15c)끼리의 틈새로부터 고무가 유출되어 불필요한 고무 막이 형성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타이어의 외관 품질도 향상된다.
컨테이너 링(11)을 볼스터 플레이트(3)(연결체(8))에 대해 단독으로 하방 이동시킬 때에 가압 유체(F)를 사용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필요할 때에 가압 유체(F)를 유로(8c)에 공급하는 것이 좋다. 그 때문에, 컨테이너 링(11), 연결체(8), 볼스터 플레이트(3) 등의 부품에 불필요한 부하가 상시 작용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부품의 변형, 마모 등을 억제하기에는 유리해진다. 또한, 가압 유체(F)의 공급 압력을 조정하는 것만으로, 컨테이너 링(11)의 하방 이동량, 즉 환상으로 조립되는 각각의 섹터 몰드(15c)에 대한 추가 조임력을 변경할 수 있고, 그 변경의 정도를 광범위하게 할 수 있는 메리트가 있다. 가압 기구(5)와 상하 슬라이드 기구(7)에 의한 폐형력을 순차적으로 적절히 밸런스 시킬 수 있기 때문에, 몰드(15)를 확실하게 폐형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리하다. 한편, 컨테이너 링(11)을 스프링 등의 부세력을 이용하여, 볼스터 플레이트(3)(연결체(8))에 대해 단독으로 하방 이동시키는 구성에서는, 가압 유체(F)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상술한 메리트를 얻을 수 없다.
상하 슬라이드 기구(7)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하 슬라이드 기구(7)로서는, 컨테이너 링(11)이 볼스터 플레이트(3)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유되어서, 볼스터 플레이트(3)의 상하 위치가 폐형 위치로 유지된 상태에서, 가압 유체(F)에 의해 컨테이너 링(11)을 볼스터 플레이트(3)에 대해 단독으로 하방 이동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가압 유체(F)를 공급하는 공급 라인(9b)이 연결체(8)에 한 곳에서 접속되어 있지만, 연결체(8)의 원주 방향 간격을 둔 복수 개소에 공급 라인(9b)를 접속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가압 유체(F)에 의해 환상의 컨테이너 링(11)을 압압하는 힘을 원주 방향으로 치우침 없이 부여하기 쉬워진다.
이 실시형태와 같이, 공급 라인(9b)이 연결체(8)에 한 곳에서 접속된 구조로 하면, 탈착부(9c)의 탈착 작업이 한 곳에서 끝나기 때문에 작업이 간략화가 이루어진다. 공급원(9a)은 하나에 한하지 않고 복수로 하여, 복수의 공급원(9a)으로부터 유로(8b)에 가압 유체(F)를 공급할 수도 있다.
1: 가황 장치
2: 상부 플레이트
2a: 플랜지부
3: 볼스터 플레이트
4: 하부 플레이트
5: 가압 기구
6: 세그먼트
7: 상하 슬라이드 기구
8: 연결체
8a: 계합부
8b: 디스턴스 링
8c: 유로
8d: 시일 링
8e: 고정구
9: 유체 공급부
9a: 공급원
9b: 공급 라인
9c: 탈착부
10: 제어부
11: 컨테이너 링
11a: 환상 홈부
1lb: 계합부
12: 중심 기구
12a: 중심 포스트
13: 가황용 블래더
14: 클램프부
15: 몰드
15a: 상측 사이드 몰드
15b: 하측 사이드 몰드
15c: 섹터 몰드
T: 그린 타이어
Su: 상측 사이드부
Sd: 하측 사이드부
g1, g2: 틈새

Claims (5)

  1. 환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각각의 섹터 몰드의 외주면에 취부되는 세그먼트와, 상측 사이드 몰드의 상면에 취부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하측 사이드 몰드의 하면에 취부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각각의 세그먼트의 외주 측에 배치되는 컨테이너 링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컨테이너 링에 연결되는 볼스터 플레이트와, 이 볼스터 플레이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가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를 하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서, 각각의 상기 섹터 몰드가 환상으로 조립되는 동시에, 이들 섹터 몰드가 상기 상측 사이드 몰드와 상기 하측 사이드 몰드에 의해 상하로 협지되어 폐형되는 구성으로 한 타이어 가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와 상기 컨테이너 링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와 상기 컨테이너 링을 연결시키는 연결체와, 가압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를 갖고, 상기 컨테이너 링이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연결체에 보유되고,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의 상하 위치가 폐형 위치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유체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상기 가압 유체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 링이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에 대해 하방 이동함으로써, 각각의 상기 섹터 몰드의 상면에 상기 상측 사이드 몰드가 압압되면서, 각각의 상기 섹터 몰드가 환상으로 조립되어 폐형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체의 공급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타이어 가황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가 상기 폐형 위치보다도 상방의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컨테이너 링은 상기 연결체에 서스펜딩 되고,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에 대해 하방으로의 슬라이드가 규제되어서 상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유되어 있고,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가 상기 폐형 위치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 유체가 공급되기 전에는, 상기 컨테이너 링은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에 대해 상방으로의 슬라이드가 규제되어서 하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유되어 있는 타이어 가황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 라인이 상기 연결체에 원주 방향 간격을 두고 복수 개소에 접속되는 타이어 가황 장치.
  5. 환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각각의 섹터 몰드의 외주면에 세그먼트를 취부하고, 상측 사이드 몰드의 상면에 상부 플레이트를 취부하고, 하측 사이드 몰드의 하면에 하부 플레이트를 취부하고, 각각의 세그먼트의 외주 측에 컨테이너 링을 배치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방에 상기 컨테이너 링이 연결된 볼스터 플레이트를 배치하고, 상기 하측 사이드 몰드에 그린 타이어를 옆으로 쓰러진 상태로 올려놓고, 대기 위치의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를 가압 기구에 의해 폐형 위치로 하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서, 각각의 상기 섹터 몰드를 환상으로 조립하는 동시에, 이들 섹터 몰드를 상기 상측 사이드 몰드와 상기 하측 사이드 몰드에 의해 상하로 협지하고, 상기 그린 타이어를 내부에 가둬서 폐형하고, 상기 그린 타이어를 가압 및 가열함으로써 가황하는 타이어 가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와 상기 컨테이너 링 사이에 연결체를 개재시켜서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와 상기 컨테이너 링을 연결하고, 상기 컨테이너 링을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연결체에 보유하고,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를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하방 이동시켜 상기 폐형 위치로 유지한 상태에서, 유체 공급부로부터 공급한 가압 유체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 링을 상기 볼스터 플레이트에 대해 하방 이동시킴으로써, 각각의 상기 섹터 몰드의 상면에 상기 상측 사이드 몰드를 압압하면서, 각각의 상기 섹터 몰드를 환상으로 조립하여 폐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 방법.
KR1020217040530A 2019-08-05 2020-07-01 타이어 가황 장치 및 방법 KR102371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43799 2019-08-05
JP2019143799A JP6809580B1 (ja) 2019-08-05 2019-08-05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方法
PCT/JP2020/025770 WO2021024651A1 (ja) 2019-08-05 2020-07-01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670A KR20220002670A (ko) 2022-01-06
KR102371518B1 true KR102371518B1 (ko) 2022-03-07

Family

ID=7399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0530A KR102371518B1 (ko) 2019-08-05 2020-07-01 타이어 가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52717B2 (ko)
EP (1) EP4011589A4 (ko)
JP (1) JP6809580B1 (ko)
KR (1) KR102371518B1 (ko)
CN (1) CN114126818B (ko)
WO (1) WO202102465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7943A (ja) 1999-05-12 2000-11-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加硫機及びタイヤ加硫設備
JP2007098802A (ja) 2005-10-05 2007-04-19 Ichimaru Giken:Kk タイヤ加硫装置
JP2010042557A (ja) 2008-08-11 2010-02-25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プレス
JP2011167916A (ja) 2010-02-18 2011-09-01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機
JP2011194812A (ja) 2010-03-23 2011-10-06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84625C2 (de) * 1964-01-30 1973-10-04 Herbert Maschf L Verfahren zum Einbringen eines vorgeformten Reifenrohlings in eine Reifenheizpresse
US3770858A (en) * 1971-09-10 1973-11-06 Mcneil Corp Method for retreading tires
JPS6354212A (ja) 1986-08-26 1988-03-08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機
JP3569172B2 (ja) * 1999-08-24 2004-09-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プレス用油圧システム
WO2003020487A1 (fr) * 2001-08-28 2003-03-13 The Yokohama Rubber Co.,Ltd. Procede et dispositif de vulcanisation de pneumatique
JP4450793B2 (ja) * 2003-05-13 2010-04-1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加硫金型および空気入りタイヤ
EP1836044B1 (en) * 2004-12-28 2015-08-19 Pirelli Tyre S.p.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neumatic tyres
JP2013132865A (ja) * 2011-12-27 2013-07-08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加硫用金型
JP2013220603A (ja) * 2012-04-17 2013-10-28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加硫機
JP5753522B2 (ja) * 2012-09-03 2015-07-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装置
JP6503822B2 (ja) * 2015-03-25 2019-04-24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加硫用モールドの予熱方法および装置
JP6503824B2 (ja) * 2015-03-25 2019-04-24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加硫用コンテナ
US11207856B2 (en) * 2016-08-12 2021-12-28 Toyo Tire Corporation Tire vulcanizer and tire manufacturing method
US11020919B2 (en) * 2016-08-12 2021-06-01 Toyo Tire Corporation Tire vulcanization mold, tire vulcanization device, and tire production method
JP6605738B2 (ja) * 2016-08-12 2019-11-13 Toyo Tire株式会社 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加硫装置の組み立て方法
JP6809894B2 (ja) * 2016-12-16 2021-01-06 Toyo Tire株式会社 タイヤ加硫金型および空気入りタイヤ
JP6988448B2 (ja) * 2017-12-21 2022-01-0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7943A (ja) 1999-05-12 2000-11-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加硫機及びタイヤ加硫設備
JP2007098802A (ja) 2005-10-05 2007-04-19 Ichimaru Giken:Kk タイヤ加硫装置
JP2010042557A (ja) 2008-08-11 2010-02-25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プレス
JP2011167916A (ja) 2010-02-18 2011-09-01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機
JP2011194812A (ja) 2010-03-23 2011-10-06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09580B1 (ja) 2021-01-06
CN114126818A (zh) 2022-03-01
EP4011589A4 (en) 2023-09-06
JP2021024192A (ja) 2021-02-22
US20220314563A1 (en) 2022-10-06
US11752717B2 (en) 2023-09-12
KR20220002670A (ko) 2022-01-06
CN114126818B (zh) 2022-06-24
EP4011589A1 (en) 2022-06-15
WO2021024651A1 (ja) 2021-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1909B1 (ko) 타이어 프레스의 가황 방법
KR102371518B1 (ko) 타이어 가황 장치 및 방법
US10500768B2 (en) Tire vulcaniz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ire vulcanizer
JP4308181B2 (ja) タイヤ加硫方法及びタイヤ加硫装置
US20190176368A1 (en) Tire vulcanizer
JP5270241B2 (ja)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およびタイヤ加硫機のモールド操作方法
JP5036419B2 (ja) タイヤ加硫モールドの予熱装置及びタイヤ製造装置
CN102528978A (zh) 轮胎硫化机的中心机构
JP7100756B2 (ja) 金型コンテナ装置及びタイヤ加硫機
JP3847463B2 (ja) 空気ばね用ダイヤフラムの加硫金型
RU2781632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улканизации шин
US11207856B2 (en) Tire vulcanizer and tire manufacturing method
JP6604402B1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方法
JP3085833B2 (ja) タイヤ加硫用金型
JP5171455B2 (ja) 未加硫タイヤ組立体の一時保管装置
CN218700574U (zh) 一种橡胶接头硫化用气囊自动充气装置
KR102672023B1 (ko) 차량의 셀프 레벨라이저용 다이어프램 성형 장치
JPH0976237A (ja) タイヤ加硫装置
US11192318B2 (en) Tire vulcaniz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0058334A (ja) 加圧機構、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製造方法
JP2703779B2 (ja) ブラダレスタイヤ加硫機のタイヤ密封装置
JPH0733025B2 (ja) タイヤ加硫プレス
JP4261313B2 (ja) 流体供給装置及びタイヤ加硫装置
WO2020170357A1 (ja) 金型コンテナ装置及びタイヤ加硫機
JP2008188900A (ja) タイヤ加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