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909B1 -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909B1
KR102370909B1 KR1020170103021A KR20170103021A KR102370909B1 KR 102370909 B1 KR102370909 B1 KR 102370909B1 KR 1020170103021 A KR1020170103021 A KR 1020170103021A KR 20170103021 A KR20170103021 A KR 20170103021A KR 102370909 B1 KR102370909 B1 KR 102370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door
wiring
vehicle
out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8271A (ko
Inventor
김형돈
남용현
김정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3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909B1/ko
Priority to US15/835,099 priority patent/US10239473B2/en
Priority to CN201810140426.5A priority patent/CN109383414B/zh
Publication of KR20190018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3Inner panel, e.g. characterised by carry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60J5/0473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the door having a hinge axis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60R16/0222Gromm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1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개폐시 차체와 도어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링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도어 개폐시 와이어링이 간섭하는 현상을 감소시킨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는, 차량의 차체(10)와 도어(20)중 어느 한 쪽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이면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가이드(32)와, 차량의 차체(10)와 도어(20)중 나머지 한 쪽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이면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가이드(32)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가이드(31)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가이드(32)와 상기 내측가이드(31)는 상기 도어(20)의 개폐시 원호상으로 신축(伸縮)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WIRING GUIDE OF DOO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개폐시 차체와 도어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링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도어 개폐시 와이어링이 간섭하는 현상을 감소시킨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설치된 도어는 차량의 주행중에는 차체에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를 보호하고, 탑승자의 승하차시에는 개방되어 탑승자의 승하차를 가능하게 한다.
통상적으로 차량에 주로 적용되는 스윙식 도어에서는 상기 차체에 상기 도어의 일측이 힌지연결되어 상기 차체에 장착되어, 힌지연결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110)와 상기 도어(120)는 지면과 수직한 힌지축(L-L)을 통하여 서로 힌지연결되고, 상기 도어(120)를 상기 차체(110)의 측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도어(120)를 개폐한다.
이때, 상기 차체(110)와 상기 도어(120)는 상기 도어(120)에 장착된 각종 스위치나, 구동모터, 스피커, 램프 등을 작동을 위하여 와이어링(W)이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차체(110)의 사이드아우터(111)와 상기 도어(120)의 도어인너패널(121)의 일측을 관공하여 상기 와이어링(W)이 관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링(W)을 보고하기 위한 와이어링 튜브(130)가 그 외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스윙식 도어(120)에서는 상기 도어(120)의 개폐시 힌지축(L-L)에서 멀지 않은 위치에 상기 와이어링(W)이 위치하므로, 상기 도어 개폐시 와이어링(W)이 꺾이거나 변형이 많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와이어링 튜브(130)는 130'와 같이 변형량이 많지 않으므로, 상기 와이어링(W)의 변형도 미미하하다.
한편, 차량의 도어 중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A필라 부위에서 차체와 도어가 힌지연결되는 버터플라이 도어(220)가 있다. 이러한 버터플라이 도어(220)는 힌지축(L-L)이 대략 A필라와 나란한 방향을 갖는다.
이러한, 버터플라이 도어(220)에서는 상기 도어(220)에 설치된 스위치, 구동모터, 스피커, 램프 등의 작동을 위한 와이어링(W)이 상기 힌지축(L-L)에 인접하게 위치시켜야 하지만, 구조적으로 상기 A필라상에는 상기 와이어링(W)을 설치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힘들다.
상기 와이어링(W)은 상기 도어(220)의 인너패널(221)을 통과하여 상기 차체(210)의 사이드아우터(211)를 통과하도록 경로가 설정되어야 하는데, 이경우, 상기 와이어링(W)은 상기 버터플라이 도어(220)의 개방시 힌지축(L-L)으로부터 멀어질 수 밖에 없다.
이렇게 힌지축(L-L)으로부터 상기 와이어링(W)이 멀게 설치되면, 상기 버터플라이 도어(220)의 개폐시 상기 와이어링(W)과 상기 와이어링(W)을 감싸고 있는 와이어링 튜브(230)의 변형을 제어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버터플라이 도어(220)의 개폐시 상기 와이어링(W)과 상기 와이어링 튜브(230)의 변형을 제어할 수 없으면, 상기 와이어링(W)과 상기 와이어링 튜브(230)가 상기 버터플라이 도어(220)의 폐쇄시 상기 와이어링(W)과 상기 와이어링 튜브(230)가 상기 버터플라이 도어(220)와 상기 차체(210) 사이에서 의도하지 않는 형상(예커대, 230'과 같은 형태)으로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와이어링(W)이 꺽여 단선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버터플라이 도어(220)와 상기 차체(210) 사이에 끼여, 상기 와이어링(W)이 손상될 우려도 있다.
또한, 상기 버터플라이 도어(220)의 개방시 상기 와이어링(W)을 감싸고 있는 와이어링 튜브(230)가 길게 노출되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음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버터플라이 도어가 장착된 차량뿐만 아니라, 씨저도어 등과 같이, 상하로 개폐되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에서 모두 일어날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커넥터와 도어 그로밋의 결합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20-2006-0017751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버터플라이 도어와 같이 상하 개폐시 도어가 설치된 차량에서, 상기 차량의 차체와 상기 도어 사이에 설치된 와이어링이 상기 도어의 개폐시 와이어링의 변형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으로 상기 와이어링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는, 차량의 차체와 도어중 어느 한 쪽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이면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가이드와, 차량의 차체와 도어중 나머지 한 쪽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이면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가이드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와이어링이 관통하는 내측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가이드와 상기 내측가이드는 상기 도어의 개폐시 원호상으로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가이드와 상기 내측가이드는 각각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인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가이드는 상기 차체측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가이드는 상기 도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가이드는 상기 차체의 사이드아우터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져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내측가이드는 상기 도어의 인너패널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져 슬라이당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의 인너패널에 상기 내측가이드가 관통하는 가이드 고정홀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가이드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 고정홀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가이드의 양단중에서, 상기 내측가이드가 상기 외측가이드로부터 최대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 고정 홀더에 인접하는 단부가 상기 가이드 고정 홀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체의 사이드아우터에 상기 외측가이드가 관통하는 가이드 고정 케이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고정 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가이드와 상기 내측가이드에는 상기 외측가이드에 대하여 상기 내측가이드의 궤적을 유도하는 궤적유도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궤적유도수단은, 상기 내측가이드의 외측면에 상기 내측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돌기와, 상기 외측가이드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를 수용하는 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가이드의 외측면과 상기 가이드 고정 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 고정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외측가이드를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외측가이드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가이드 고정 케이스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가 최대로 개방되면 상기 삽입홈이 삽입되는 삽입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가이드의 외경은 상기 외측가이드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상하 개방식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는 버터플라이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에 따르면, 버터플라이 도어의 개폐시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가 상기 도어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으로 원호상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신축(伸縮)됨으로써, 상기 도어와 상기 차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링의 변형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링이 상기 와이어링 가이드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와이어링이 꺾이거나 의도하지 않는 형태로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링 가이드는 상기 와이어링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와이어링 튜브가 아닌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도어의 개방시 미관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스윙식 도어의 개방시 와이러링과 와이어링 튜브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버터플라이 도어의 개방시 와이러링과 와이어링 튜브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가 적용된 차량에서 도어 개방시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가 적용된 차량에서 도어 개방시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가 적용된 차량에서 도어 폐쇄시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에서 외측가이드에 내측가이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에서 차량의 사이드 아웃터에 외측가이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에서 도어 폐쇄시로부터 도어 개방시 외측가이드와 가이드 고정 케이스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9a는 도어 개방시의 상태이고, 도 9b 내지 도 9d는 도어폐쇄시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0a는 도어 폐쇄시의 상태를 차량의 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어 일부 개방시의 상태를 차량의 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9c는 도어 개방시의 상태를 차량의 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는, 차량의 차체(10)와 도어(20)중 어느 한 쪽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이면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가이드(32)와, 차량의 차체(10)와 도어(20)중 나머지 한 쪽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이면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가이드(32)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가이드(31)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가이드(32)와 상기 내측가이드(31)는 상기 도어(20)의 개폐시 원호상으로 신축(伸縮)되도록 한다.
외측가이드(32)와 내측가이드(31)는 각각 내부가 중공이면서,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측가이드(32)의 내부에 상기 내측가이드(31)가 삽입되고, 상기 내측가이드(31)와 상기 외측가이드(32)가 버터플라이 도어(20)와 같은 상하 개폐식 도어의 개폐시 신축(伸縮)하면서, 상기 차체(10)와 상기 도어(20)를 연결하는 와이어링(W)을 커버한다.
상기 외측가이드(32)는 차량의 차체(10)와 도어(20)중 어느 한 쪽에 선택되어 설치되고, 상기 내측가이드(31)는 차량의 차체(10)와 도어(20)중 나머지 한 쪽에 설치된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가이드(32)는 차체(10)의 사이드아우터(11)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내측가이드(31)는 상기 도어(20)의 인너패널(21)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외측가이드(32)가 상기 도어(20)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가이드(31)가 상기 차체(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외측가이드(32)와 상기 내측가이드(31)의 내부에 와이어링(W)이 통과하여, 상기 도어(20)에 설치된 스위치, 구동모터, 스피커, 램프 등이 작동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외측가이드(32)와 상기 내측가이드(31)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외측가이드(32)와 상기 내측가이드(31)는 상기 도어(20)의 회전중심이 힌지축(L-L)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을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이, 힌지축(L-L)과 동일한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으로 상기 외측가이드(32)와 상기 내측가이드(31)가 형성되어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와이어링(W)의 꺾임과 변형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가이드(31)의 외경이 상기 외측가이드(32)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가이드(31)의 외경이 상기 외측가이드(32)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그 사이에 간극(c)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내측가이드(31)가 상기 외측가이드(32)의 내부에서 슬라이딩시 상기 내측가이드(31)의 외측면과 상기 외측가이드(32)의 내측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이 감소되도록 한다.
상기 외측가이드(32)와 상기 내측가이드(31)는 상기 차체(10)와 상기 도어(2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가이드(32)는 상기 차체(10)의 사이드아우터(11)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고정 케이스(33)를 설치한 다음, 상기 가이드 고정 케이스(33)의 내부에 상기 외측가이드(32)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측가이드(31)는 상기 도어(20)의 인너패널(21)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에 고정홀더(22)를 설치한 후, 상기 고정홀더(22)에 상기 내측가이드(31)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내측가이드(31)는 단부가 상기 가이드 고정 홀더(23)에 고정되도록 한다. 즉, 상기 내측가이드(31)의 양단중에서, 상기 내측가이드(31)가 상기 외측가이드(32)로부터 최대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내측가이드(31) 중에서 상기 가이드 고정 홀더(23)에 인접하는 단부가 상기 가이드 고정 홀더(23)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내측가이드(31)가 상기 가이드 고정 홀더(23)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내측가이드(31)가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도어의 패널에 부딪혀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측가이드(32)는 상기 가이드 고정 케이스(33)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가 닫힐때에는 상기 외측가이드(32)가 상기 가이드 고정 케이스(33)를 통하여 차체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외측가이드(32)가 상기 가이드 고정 케이스(33)를 통하여 차체로부터 인출된다.
상기 가이드 고정 케이스(33)와 상기 고정홀더(22)에 의해 상기 외측가이드(32)와 상기 내측가이드(31)는 이동궤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외측가이드(32)와 상기 내측가이드(31) 사이에는 상기 외측가이드(32)와 상기 내측가이드(31)의 슬라이딩시 궤적을 안내하는 궤적유도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궤적유도수단의 구체적인 예로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가이드(31)의 외측면에 상기 내측가이드(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돌기(31a)와, 상기 외측가이드(32)의 내측면에 상기 안내돌기(31a)를 수용하는 안내홈(32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가이드(31)가 상기 외측가이드(32)에서 슬라이딩할 때, 상기 안내돌기(31a)가 상기 안내홈(32a)에 수용된 상태로 슬라이딩하므로, 상기 내측가이드(31)가 상기 외측가이드(32)에서 슬라이딩할 때, 위치를 잡아준다.
특히, 상기 내측가이드(31)의 외측면과 상기 외측가이드(32)의 내측면 사이에 간극이 있어서, 상기 내측가이드(31)와 상기 외측가이드(32)가 서로 슬라이딩할 때, 둘레방향의 회전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안내돌기(31a)와 상기 안내홈(32a)에 의해서 길이방향으로만 슬라이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궤적유도수단은 상기 내측가이드(31)의 외측면에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가이드(32)의 내측면에 안내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측가이드(32)와 상기 가이드 고정 케이스(33) 사이에도 홈-돌기구조가 적용되어 상기 외측가이드(32)를 상기 가이드 고정 케이스(33)에 대하여 안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측가이드(32)와 상기 가이드 고정 케이스(33)에 각각 삽입홈(32b)과 삽입돌기(33a)를 형성하고, 상기 도어(20)가 최대로 개방되었을 때, 상기 외측가이드(32)와 상기 가이드 고정 케이스(33)가 상기 삽입홈(32b)과 상기 삽입돌기(33a)가 결합되도록 하고(도 8a 참조), 그 외의 상태에서는 상기 외측가이드(32)의 삽입홈(32b)과 상기 가이드 고정 케이스(33)의 삽입돌기(33a)가 이격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내측가이드(31)의 양단은 각각 상기 내측가이드(31)가 상기 가이드 고정 홀더(23)와 상기 외측가이드(3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외측가이드(32)의 일단은 각각 상기 내측가이드(31)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외측가이드(32)의 내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가이드(32)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 고정 케이스(3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외측가이드(32)로부터 외측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 내지 도 9c에는 버터플라이 도어(20)가 폐쇄된 상태(도 9a)로부터, 일부 개방된 상태(도 9b) 및 최대로 개방된 상태(도 9c)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버터플라이 도어(2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내측가이드(31)는 모두 상기 외측가이드(32)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외측가이드(32)도 상기 가이드 고정 케이스(33)에 모두 삽입된 상태이다.
상기 버터플라이 도어(20)가 개방되기 시작하면, 상기 가이드 고정 케이스(33)로부터 상기 외측가이드(32)가 인출됨과 더불어, 상기 외측가이드(32)로부터 상기 내측가이드(31)도 인출되기 시작한다.
이후, 상기 버터플라이 도어(20)가 최대로 개방되면, 상기 외측가이드(32)는 상기 가이드 고정 케이스(33)로부터 최대로 인출되고, 상기 내측가이드(31)도 상기 외측가이드(32)로부터 최대로 인출된다.
한편, 상기 도어의 폐쇄시에는 이의 역과정으로 상기 내측가이드(31)는 상기 외측가이드(32)로 삽입되고, 상기 외측가이드(32)는 상기 가이드 고정 케이스(33)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링(W)은 상기 외측가이드(32)와 상기 내측가이드(31)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외측가이드(32)와 상기 내측가이드(31)는 힌지축(L-L)을 중심으로하는 원호상으로 신축(伸縮)되므로, 상기 와이어링(W)이 꺽이거나 원하지 않는 상태로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10 : 차체 11 : 사이드아우터
20 : 도어 21 : 인너패널
22 : 고정홀더 31 : 내측가이드
31a : 안내돌기 32 : 외측가이드
32a : 안내홈 32b : 삽입홈
33 : 가이드 고정 케이스 33a : 삽입돌기
110 : 차체 111 : 사이드 아웃터
120 : 도어 121 : 인너패널
130, 130' : 와이어링 튜브 210 : 차체
211 : 사이드 아웃터 220 : 도어
221 : 인너패널 230, 230' : 와이어링 튜브
240 : 가스리프터

Claims (16)

  1. 차량의 차체와 도어중 어느 한 쪽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이면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가이드와,
    차량의 차체와 도어중 나머지 한 쪽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이면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가이드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와이어링이 관통하는 내측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가이드와 상기 내측가이드는 상기 도어의 개폐시 원호상으로 신축(伸縮)되고,
    상기 외측가이드와 상기 내측가이드에는 상기 외측가이드에 대하여 상기 내측가이드의 궤적을 유도하는 궤적유도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궤적유도수단은, 상기 내측가이드의 외측면에 상기 내측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돌기와, 상기 외측가이드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를 수용하는 안내홈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가이드의 내측면과 상기 내측가이드의 외측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가이드와 상기 내측가이드는 각각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인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가이드는 상기 차체측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가이드는 상기 도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가이드는 상기 차체의 사이드아우터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져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내측가이드는 상기 도어의 인너패널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져 슬라이당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인너패널에 상기 내측가이드가 관통하는 가이드 고정홀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가이드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 고정홀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가이드의 양단중에서, 상기 내측가이드가 상기 외측가이드로부터 최대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 고정 홀더에 인접하는 단부가 상기 가이드 고정 홀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사이드아우터에 상기 외측가이드가 관통하는 가이드 고정 케이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고정 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
  10. 삭제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가이드의 외측면과 상기 가이드 고정 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 고정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외측가이드를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외측가이드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가이드 고정 케이스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가 최대로 개방되면 상기 삽입홈이 삽입되는 삽입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가이드의 외경은 상기 외측가이드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상하 개방식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버터플라이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

KR1020170103021A 2017-08-14 2017-08-14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 KR102370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021A KR102370909B1 (ko) 2017-08-14 2017-08-14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
US15/835,099 US10239473B2 (en) 2017-08-14 2017-12-07 Wiring guide of vehicle door
CN201810140426.5A CN109383414B (zh) 2017-08-14 2018-02-11 车门的配线引导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021A KR102370909B1 (ko) 2017-08-14 2017-08-14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271A KR20190018271A (ko) 2019-02-22
KR102370909B1 true KR102370909B1 (ko) 2022-03-07

Family

ID=6527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021A KR102370909B1 (ko) 2017-08-14 2017-08-14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39473B2 (ko)
KR (1) KR102370909B1 (ko)
CN (1) CN109383414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4643A (ja) * 2000-09-01 2002-03-22 Yazaki Corp ワイヤーハーネス余長吸収装置
JP2012228901A (ja) 2011-04-25 2012-11-22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ーハーネス配索構造部
US20140063245A1 (en) 2012-08-30 2014-03-06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mirr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966A (en) * 1882-09-05 Ansell p
US2673966A (en) * 1950-12-20 1954-03-30 Larkin James Francis Device consisting of rotatable and extensible means for conducting electrical current
GB1442982A (en) * 1972-03-30 1976-07-21 Hinderks M V Closure member and protector therefor
JP3183172B2 (ja) * 1996-06-21 2001-07-03 住友電装株式会社 自動車のドアヒンジ部における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JP3503871B2 (ja) * 1998-03-18 2004-03-08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ーネスの配索構造
US7042738B2 (en) * 2002-07-25 2006-05-09 Yazaki Corporation Power-supply wiring device and harness layout structure by the power-supply wiring device
JP2006347282A (ja) 2005-06-14 2006-12-28 Yazaki Corp グロメットの固定構造
KR200426014Y1 (ko) 2006-06-30 2006-09-12 경신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와 도어 그로밋의 결합 장치
JP2008143235A (ja) 2006-12-06 2008-06-26 Sumitomo Wiring Syst Ltd ドア用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4399649B2 (ja) * 2007-03-01 2010-01-20 矢崎総業株式会社 給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ハーネス配索構造
JP2009143328A (ja) 2007-12-12 2009-07-02 Sumitomo Wiring Syst Ltd ドア用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2012111406A (ja) * 2010-11-26 2012-06-14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ーハーネス配索構造部およびプロテクタ
JP2012232670A (ja) * 2011-05-02 2012-11-29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ーハーネス配索構造部
US9340169B2 (en) 2014-09-25 2016-05-17 Nissan North America, Inc. Flexible harness guide
CN107306022A (zh) * 2016-04-22 2017-10-31 福特环球技术公司 用于车辆线缆的保护件、线缆保护装置及线缆保护总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4643A (ja) * 2000-09-01 2002-03-22 Yazaki Corp ワイヤーハーネス余長吸収装置
JP2012228901A (ja) 2011-04-25 2012-11-22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ーハーネス配索構造部
US20140063245A1 (en) 2012-08-30 2014-03-06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mirr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83414B (zh) 2023-03-28
US20190047491A1 (en) 2019-02-14
KR20190018271A (ko) 2019-02-22
US10239473B2 (en) 2019-03-26
CN109383414A (zh)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3593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US20140173989A1 (en) Sliding door
US8807626B2 (en) Linear type center rail link structure of sliding door for vehicle
WO2013129206A1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US7464500B2 (en) Moving wiring system for vehicle
US20160312501A1 (en) Tailgate inner handle assembly and method of moving grip member of the same
JP2007076620A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2007076623A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EP3766742A1 (en) Slide door harness
EP2045139A2 (en) Harness protector structure for link
KR102370909B1 (ko) 차량 도어의 와이어링 가이드
JP2007076622A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WO2012111696A1 (ja) 車両用ドアのハーネスカバー
JP5860425B2 (ja) 開き戸
JP2009255724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2018202933A (ja) 車両用開閉装置
WO2016068126A1 (ja) ワイヤハーネス
JP2017001513A (ja) 電線ガイド装置
KR200467638Y1 (ko) 도어 힌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캐비닛
JP2008168726A (ja)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の支持装置
KR101988647B1 (ko) 정션박스의 내부회로 배선용 지그장치
JP2020202617A (ja) スライドドア構造
JP2000232717A (ja) 自動車のバックドアにおけるガラスハッチへの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JP2012253926A (ja) ハーネス部材のガイド構造
JP2020001480A (ja) 給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