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129B1 -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용기 - Google Patents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129B1
KR102368129B1 KR1020200067860A KR20200067860A KR102368129B1 KR 102368129 B1 KR102368129 B1 KR 102368129B1 KR 1020200067860 A KR1020200067860 A KR 1020200067860A KR 20200067860 A KR20200067860 A KR 20200067860A KR 102368129 B1 KR102368129 B1 KR 102368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lit
mold
partition wall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0880A (ko
Inventor
오세민
김정수
문병준
안유진
김현수
서은주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7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129B1/ko
Publication of KR20210150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6Refill sticks; Moulding devices for producing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12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에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에서 상기 슬릿을 경계로 갖는 양 영역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바닥의 외면에서 내면 방향으로 상기 슬릿에 삽입될 수 있는 격벽과, 상기 플레이트의 내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플레이트가 조립될 수 있는 몰드를 포함하는,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 제조를 위한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용기{Method for manufacturing compartmentalized solid cosmetic and container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입체적 형태를 가지면서 구획화되는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는 고형상 화장료(예를 들면 고체 파운데이션)의 제조 방법 및 그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장에 출시되는 팩트형 화장품(예: 유분산 또는 유화제형의 화장품)은, 알루미늄 재질의 팬의 상면에 내용물을 부어서 굳히는 방식으로 제조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팩트형 화장품은, 팩트 용기에 한 종류의 화장료만 수용하거나, 또는 여러 종류의 화장료를 수용하더라도, 마블과 같이 혼합된 형태로 제조되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기존의 고형상 화장료 제조 방식은, 충전되는 다수의 내용물 간에 정확한 경계면을 유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다수의 내용물을 다양한 모양으로 구획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특히, 팬의 상면에 액상 화장료 조성물을 부어서 굳히는 기존의 제조 방식은, 고형화된 화장품의 상면이 평면적 형태를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입체적 형태를 가지면서 동시에 구획화될 수 있는 고형상 화장료의 제조 방법 및 그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 제조를 위한 용기는, 바닥에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에서 상기 슬릿을 경계로 갖는 양 영역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바닥의 외면에서 내면 방향으로 상기 슬릿에 삽입될 수 있는 격벽; 상기 플레이트의 내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플레이트가 조립될 수 있는 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릿은, 상기 바닥의 일 가장자리(edge)에서 상기 바닥의 다른 가장자리(edge)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릿은 도형모양의 관통홀이며, 상기 격벽의 외면은 상기 도형모양에 상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몰드의 내면은 입체적으로 굴곡진 형상이거나 또는 평면이고, 상기 격벽의 끝단은, 상기 몰드의 내면의 일 영역에 완전히 접촉하도록 상기 몰드의 형상에 상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의 제조 방법은, 플레이트의 바닥에 형성된 슬릿에 격벽을 삽입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내면이 몰드의 내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몰드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바닥에서 상기 슬릿을 경계로 갖는 양 영역 각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 중, 제1 영역에 형성된 제1 관통홀을 통해 제1 화장료 조성물을 충진하고 상기 제1 화장료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격벽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 중 제2 영역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을 통해 제2 화장료 조성물을 충진하고, 상기 제2 화장료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 상에 경화된 상기 제1, 제2 화장료 조성물로부터 상기 몰드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화장료 조성물을 충진하는 동안,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 중, 상기 제1 관통홀이 아닌 관통홀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입체적 형태를 가지면서 동시에 두 종류 이상의 화장료가 구획화된 형태의 고형상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두 종류이상의 화장료가 수직 방향으로 매끈한 경계면을 가지면서 구획화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100)에 격벽(200)이 삽입된 상태의 외면 사시도(a)와 내면 사시도(b)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100)에서 격벽(200)이 탈거된 상태의 외면 사시도(a)와 내면 사시도(b)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300)의 내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300)에 플레이트(100)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500)에 격벽(600)이 삽입된 상태의 외면 사시도(a)와 내면 사시도(b)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500)에서 격벽(600)이 탈거된 상태의 외면 사시도(a)와 내면 사시도(b)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형상 화장료의 사진의 예시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영역, 구성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영역, 구성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영역, 구성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영역, 구성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영역, 구성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100)에 격벽(200)이 삽입된 상태의 외면 사시도(a)와 내면 사시도(b)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100)에서 격벽(200)이 빠진 상태의 외면 사시도(a)와 내면 사시도(b)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300)의 내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300)에 플레이트(100)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 제조를 위한 용기는, 플레이트(100), 격벽(200), 및 몰드(30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00)는, 최종적으로 고형상 화장료가 수용되는 용기이다.
플레이트(100)는, 바닥(130)과, 상기 바닥(130)을 둘러싸는 벽(140)을 포함한다. 플레이트(100)의 벽(140)은, 바닥(130)의 가장자리(edge)로부터 굴곡 형성될 수 있다. 벽(140)은 고형상 화장료의 두께를 형성하는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벽(140)은, 예를 들면 바닥(130)의 가장자리(edge)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또는 굴곡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바닥(130)은 원형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각형의 팩트형 고형상 화장료(예: 고체 파운데이션)을 제조하려면, 바닥은 사각형 모양으로 제조될 수 있다.
플레이트(100)의 바닥(130)에는 슬릿(131)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131)에는 격벽(200)이 삽입될 수 있다. 도면에서 슬릿(131)은 직선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릿(131)은, 바닥(130)의 일 가장자리(edge)에서 바닥(130)의 다른 일 가장자리까지 형성될 수 있다. 슬릿(131)은 직선일 수도 있고, 곡선일 수도 있다. 슬릿(131)이 바닥(130)의 일 가장자리에서 다른 일 가장자리까지 형성되는 경우, 슬릿(131)은 얇고 긴 곡선 라인 또는 직선 라인의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릿(131)은, 바닥(130)의 일 가장자리(edge)에서 다른 일 가장자리까지 형성되지 않고, 도형 모양일 수도 있다. 슬릿(131)이 도형 모양일 경우, 슬릿(131)의 모양은, 원형, 사각형, 별 모양 등일 수 있으며,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형 모양(예: 원형)의 슬릿(53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슬릿(131)이 바닥(130)의 일 가장자리에서 다른 일 가장자리까지, 얇고 긴 라인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격벽(200)은 슬릿(131)을 통과함으로써 플레이트(100)(의 바닥(130))에 삽입되거나 플레이트(100)(의 바닥(130))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격벽(200)은, 바닥(130)에 수직으로 삽입 또는 탈거될 수 있다.
격벽(200)이 바닥(130)에 수직으로 삽입되기 위하여, 바닥(130)의 내면(130I) 측에는, 슬릿(131)의 양쪽으로 가이드돌출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출부(132)는 예를 들면, 격벽(200)이 슬릿(131)에 삽입될 때 바닥(130)과 수직을 이룰 수 있도록, 슬릿(131)의 양측에 바닥(130)의 내면(130I)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슬릿(131)의 형상과 격벽(200)의 형상은 서로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릿(131)이 곡선이면, 격벽(200)도 그에 상응하는 곡선의 단면(즉, 수평단면)을 가질 수 있고, 슬릿(131)이 직선이면, 격벽(200)도 그에 상응하는 직선일 수 있으며, 슬릿(131)이 원형이면, 격벽(200)도 그에 상응하는 원형일 수 있다.
슬릿(131)의 형상이자 격벽(200)의 형상은, 두 종류 이상의 화장료 조성물들의 경계의 형상에 상응할 수 있다.
플레이트(100)의 바닥(130)은, 외면(130O)(또는 후면)과 내면(130I)(또는 전면)을 가진다. 바닥의 내면(130I)은 액상 화장료 조성물 또는 고형상 화장료가 접촉하는 부분이다. 바닥의 내면(130I)에는 고형화된 화장료가 수용된다.
격벽(200)은, 상기 바닥(130)의 외면(130O)에서 내면(130I)으로 삽입될 수 있다. 격벽(200)은 삽입 및 탈거가 용이하도록, 손잡이부(201)를 가질 수 있다. 손잡이부(201)는 격벽(200)이 플레이트(100)에 삽입되었을 때, 바닥(130)의 외면(130O)이 향하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격벽(200)이 삽입된 플레이트(100)는, 몰드(300)에 조립될 수 있다. 플레이트(100)와 몰드(300)는, 플레이트(100)의 내면(130I)과 몰드(300)의 내면(300I)이 서로 마주보도록 조립될 수 있다. 또는 플레이트(100)의 벽(140)의 외면이 몰드(300)의 벽(W)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플레이트(100)가 몰드(30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00), 상기 격벽(200), 상기 몰드(300)의 조립체의 내부에는, 액상 화장료 조성물이 충진될 수 있다. 충진된 액상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조립체의 내부에서 고형상 화장료로 경화될 수 있다.
몰드(300)의 내면(300I)은, 경화된 고형상 화장료(예: 고체 파운데이션)의 상면(또는 전면)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몰드(300)의 내면(300I)은, 고형상 화장료를 입체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입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형상 화장료를 평면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몰드(300)의 내면(300I)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플레이트(100), 상기 격벽(200), 상기 몰드(300)의 조립체에서, 격벽(200)이 몰드(300)의 내면(300I)에 닿을 때까지 삽입될 수 있다.
플레이트(100)의 바닥(130)에는, 슬릿(131)을 경계로 양 영역(예: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131)을 경계로 갖는 양 영역(예: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각각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도 1, 2, 4 참조), 슬릿(131)이 바닥(130)의 일 가장자리에서 다른 일 가장자리까지 길게 형성되는 경우, 바닥(130)에서 슬릿(131)의 양 측에 제1 영역(110) 및 제2 영역(12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130)의 제1 영역(110)에 하나 이상의 관통홀(111, 1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130)의 제2 영역(120)에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121, 122)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도 5, 6 참조), 슬릿(531)이 원형 또는 사각형의 도형 모양일 경우, 바닥(530)은 슬릿(531)의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릿(531)을 경계로 하는 바닥(530)의 양 영역 중, 제2 영역(520)(예: 내부 영역)에 하나 이상(예를 들면 하나의)의 관통홀(52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상기 슬릿(531)이 곧 상기 하나의 관통홀(521)일 수 있다. 슬릿(531)을 경계로 하는 바닥(530)의 양 영역 중, 제1 영역(510)(예: 외부 영역)에 하나 이상의 관통홀(511, 5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바닥(130)의 제1 영역(11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예: 511, 512) 중 적어도 하나(예: 511)는 액상의 제1 화장료 조성물을 충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바닥(130)의 제2 영역(12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예: 521, 522) 중 적어도 하나(예: 522)는 액상의 제2 화장료 조성물을 충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화장료 조성물과 제2 화장료 조성물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상의 제1 화장료 조성물과 제2 화장료 조성물은, 노즐(미도시)을 사용하여 관통홀을 통해 플레이트(100)와 몰드(300)의 조립체 내부 공간에 충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100), 격벽(200), 및 몰드(300)의 조립체 상태에서, 플레이트(100)의 바닥(130)의 외면(130O)이 위를 향하게 배치한 다음, 바닥(130)의 제1 영역(110)의 일 관통홀(111)을 통해 제1 화장료 조성물을 충진할 수 있다. 액상의 제1 화장료 조성물을 저온에서 경화시킨 다음, 상기 조립체에서 격벽(200)을 제거할 수 있다. 고형화된 제1 화장료는, 경화 과정에서 격벽(200)으로 인해, 격벽(200)의 측면에 상응하는 매끈한 경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벽(200)이 플레이트(100)에 대하여 수직으로 삽입된 경우, 고형화된 제1 화장료는, 격벽(200)을 제거하더라도, 플레이트(100)에 수직 방향으로 매끈한 경계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격벽(200)은 슬릿(131)을 통해 탈거될 수 있다. 그 다음, 여전히 바닥(130)의 외면(130O)이 위를 향하게 한 상태에서, 바닥(130)의 제2 영역(120)의 일 관통홀(121)을 통해 제2 화장료 조성물을 충진할 수 있다. 이후 액상의 제2 화장료 조성물을 저온에서 경화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몰드(300)만 제거하고, 플레이트(100)를 뒤집어 외면(130O)이 아래로 향하게 한 다음, 플레이트(100)를 그대로 고형상 화장료 용기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서로 다른 제1 화장료와 제2 화장료의 접촉부가 매끈한 경계를 가지는, 고형상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통해, 제1 화장료와 제2 화장료가 섞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방법을 통해, 제1 화장료와 제2 화장료 사이에 틈이 없이,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바닥(130)의 제1 영역(11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111, 112)은, 액상의 제1 화장료 조성물이 충진되는 통로가 되는 일 관통홀(111)과, 공기가 빠져나가는 통로가 되는 다른 관통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바닥(130)의 제2 영역(12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121, 122)은, 액상의 제2 화장료 조성물이 충진되는 통로가 되는 일 관통홀(121)과, 공기가 빠져나가는 통로가 되는 다른 관통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장료 조성물이 충진되기 위한 관통홀(111, 121)의 크기가, 공기가 빠져나가기 위한 관통홀(112, 122)의 크기보다 더 클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슬릿(531)이 도형 모양이고, 격벽(600)이 상기 도형 모양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슬릿(531)의 내부 영역에는 하나의 관통홀(5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나의 관통홀(521)은 상기 슬릿(531) 자체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나의 관통홀(521)의 모양은 상기 슬릿(531)의 도형 모양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531)의 테두리의 모양은, 상기 격벽(600)의 테두리의 모양에 상응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6을 통해 상세히 후술된다.
한편, 플레이트(100)의 바닥(130)의 내면(130I)에는, 고정돌출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출부(133)는, 바닥(130)의 내면(130I)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고정돌출부(133)는, 벽(140)의 높이에 비하면 아주 낮은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돌출부(133)는 예를 들면, 액상의 화장료 조성물이 경화되어 고형상 화장료를 형성할 때, 고형상 화장료가 플레이트(100)에 잘 고정되게 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돌출부(133)의 모양은 한정되지 않으며, 규칙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바닥(130)의 내면(130I)에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500)에 격벽(600)이 삽입된 상태의 외면 사시도(a)와 내면 사시도(b)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500)에서 격벽(600)이 탈거된 상태의 외면 사시도(a)와 내면 사시도(b)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플레이트(500)의 슬릿(531)이 도형(예: 원형) 모양일 경우에 대해 설명하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 제조를 위한 용기는, 플레이트(500) 및 격벽(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에는, 몰드(300)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모양의 몰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플레이트(500)의 바닥(530)에는, 격벽(600)이 삽입될 수 있는 슬릿(53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릿(531)은, 바닥(530)에 형성되는 도형모양의 관통홀(521)일 수 있다. 슬릿(531)의 모양은, 원형, 사각형, 별 모양 등일 수 있으며, 한정되지 않는다. 슬릿(531)은, 바닥(5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격벽(600)은 슬릿(531)을 통과함으로써 슬릿(531)에 삽입되거나 슬릿(531)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격벽(600)은, 플레이트(500)의 내부로 (즉, 바닥(530)의 내면(530I) 안쪽으로) 삽입되는 벽면부(640)를 포함하고, 플레이트(500)의 외부에 (즉, 바닥(530)의 외면(530O) 바깥쪽에) 잔존하는 손잡이부(602)를 포함할 수 있다.
격벽(600)의 벽면부(640)의 외면의 모양은, 슬릿(531)의 모양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격벽(600)은 슬릿(531)에 딱 들어맞게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격벽(600)이 슬릿(531)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플레이트(500)가 몰드(미도시)에 조립되면, 격벽(600)의 벽면부(640)의 높이의 끝단은, 몰드의 내면의 입체적 형상에 상응할 수 있다. 즉, 격벽(600), 플레이트(500), 및 몰드(미도시)가 완전히 조립되면, 격벽(600)의 벽면부(640)의 높이의 끝단은 몰드의 내면에 완전히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몰드의 내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격벽(600)의 벽면부(640)의 높이의 끝단은 몰드의 내면에 완전히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예를 들면, 격벽(600)이 바닥(130)에 수직으로 및/또는 몰드의 내면에 완전히 접촉되게 삽입되기 위하여, 격벽(200)의 외면의 일 둘레를 따라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릿(531)이 원형일 경우, 격벽(600)의 상기 돌출부의 외경이 슬릿(531)의 직경보다 커서, 격벽(600)을 슬릿(531)에 삽입할 시에 상기 돌출부가 슬릿(531)의 가장자리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격벽(600)을 돌려가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슬릿(531)의 가장자리에 걸릴 때까지 삽입하면, 격벽(600)의 벽면부(640)의 높이의 끝단이 몰드의 내면에 완전히 접촉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슬릿(531)의 모양이자 격벽(600)의 벽면부(640)의 외면의 모양은, 두 종류 이상의 화장료 조성물들의 경계에 상응할 수 있다.
플레이트(500)의 바닥(530)에는, 슬릿(531)(의 테두리)를 경계로 양 영역(예: 제1 영역(510)과 제2 영역(520))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531)의 테두리를 경계로 갖는 양 영역(예: 제1 영역(510)과 제2 영역(520))에 각각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릿(531)이 원형 등의 도형 모양일 경우, 바닥(530)은 슬릿(531)의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릿(531)을 경계로 하는 바닥(530)의 양 영역 중, 제2 영역(520)(예: 내부 영역)에 하나의 관통홀(52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상기 슬릿(531)이 곧 하나의 관통홀(521)일 수 있다. 슬릿(531)을 경계로 하는 바닥(530)의 양 영역 중, 제1 영역(510)(예: 외부 영역)에 하나 이상의 관통홀(511, 512)이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500), 격벽(600), 몰드(미도시)의 조립체의 내부에는, 액상 화장료 조성물이 충진될 수 있다. 충진된 액상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조립체의 내부에서 고형상 화장료로 경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530)의 제1 영역(51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예: 512) 중 적어도 하나(예: 511)는 액상의 제1 화장료 조성물을 충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바닥(530)의 제2 영역(520)에 형성된 하나의 관통홀(521)은 액상의 제2 화장료 조성물을 충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화장료 조성물과 제2 화장료 조성물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상의 제1 화장료 조성물과 제2 화장료 조성물은, 노즐(미도시)을 사용하여 관통홀을 통해 플레이트(500)와 몰드(미도시)의 조립체 내부 공간에 충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500), 격벽(600), 및 몰드의 조립체 상태에서, 플레이트(500)의 바닥(530)의 외면(530O)이 위를 향하게 배치한 다음, 바닥(530)의 제1 영역(510)의 일 관통홀(511)을 통해 제1 화장료 조성물을 충진할 수 있다. 액상의 제1 화장료 조성물을 저온에서 경화시킨 다음, 상기 조립체에서 손잡이부(602)를 이용하여 격벽(600)을 제거할 수 있다. 고형화된 제1 화장료는, 경화 과정에서 격벽(600)으로 인해, 벽면부(640)의 외면에 상응하는 매끈한 경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벽(600) 원통형인 경우 고형화된 제1 화장료는, 격벽(200)을 제거하더라도, 내부에 원통 모양의 공동(空洞)이 매끈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500)의 바닥(530)의 내면(530I)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출부(533)는 예를 들면, 액상의 제1 화장료 조성물이 경화되어 고형상 제1 화장료를 형성할 때, 고형상 제1 화장료가 플레이트(500)에 잘 고정되게 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형화된 제1 화장료가 형성된 이후, 격벽(600)은 슬릿(531)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그 다음, 여전히 바닥(530)의 외면(530O)이 위를 향하게 한 상태에서, 바닥(530)의 제2 영역(520)의 관통홀(521)을 통해 제2 화장료 조성물을 충진할 수 있다. 이후 액상의 제2 화장료 조성물을 저온에서 경화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몰드만 제거하고, 플레이트(500)를 뒤집어 외면(530O)이 아래로 향하게 한 다음, 플레이트(500)를 그대로 고형상 화장료 용기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서로 다른 제1 화장료와 제2 화장료의 접촉부가 매끈한 경계를 가지는, 고형상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통해, 제1 화장료와 제2 화장료가 섞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방법을 통해, 제1 화장료와 제2 화장료 사이에 틈이 없이,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바닥(530)의 제1 영역(51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511, 512)은, 액상의 제1 화장료 조성물이 충진되는 통로가 되는 일 관통홀(511)과, 공기가 빠져나가는 통로가 되는 다른 관통홀(51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530)의 제2 영역(520)에는 하나의 관통홀(521)이 형성되고, 상기 하나의 관통홀(521)을 통해 액상의 제2 화장료 조성물을 충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S1에서, 플레이트, 격벽, 및 몰드를 조립할 수 있다. 조립의 순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격벽을 플레이트의 슬릿을 통해 끝까지 삽입하여, 격벽의 끝단이 몰드의 내면에 완전히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를 들면, 몰드의 내면은 입체화된(예: 굴곡진) 형상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격벽의 끝단도 몰드의 내면에 상응하는 굴곡진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일 예를 들면, 몰드의 내면은 민무늬 또는 평면일 수 있다.
S2는, 플레이트, 격벽, 및 몰드의 조립체를 나타낸다.
S3에서, 플레이트의 바닥에 형성된 슬릿을 경계로 하는 양 영역 중, 제1 영역의 일 관통홀을 통해 액상의 제1 화장료 조성물을 충진할 수 있다. 이 때, 제1 영역의 다른 관통홀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립체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조립체가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T1의 온도에서 액상의 제1 화장료 조성물을 충진할 수 있다. 이후 상기 T1보다 낮은 T2의 온도에서, 액상의 제1 화장료 조성물을 경화시킬 수 있다.
제1 화장료 조성물이 경화되어, 고형상 제1 화장료로 되면, S4에서, 격벽을 제거할 수 있다. 격벽을 제거하더라도, 고형상의 제1 화장료는, 격벽의 측면에 상응하는 매끈한 경계면을 유지할 수 있다.
이후, 플레이트의 바닥에 형성된 슬릿을 경계로 하는 양 영역 중, 제2 영역의 일 관통홀을 통해 액상의 제2 화장료 조성물을 충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예: 플레이트(100)의 경우), 상기 충진하는 동안, 제2 영역의 다른 관통홀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립체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조립체가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예: 플레이트(500)의 경우), 슬릿이 도형 모양인 경우, 격벽을 제거하여 생긴 슬릿 자체가 하나의 관통홀(예: 521)일 수 있다. 이 경우, 공기가 빠져나가는 관통홀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T3의 온도에서 액상의 상기 제2 화장료 조성물을 충진할 수 있다. 이후 상기 T3보다 낮은 T4의 온도에서, 액상의 제2 화장료 조성물을 경화시킬 수 있다.
제2 화장료 조성물이 경화되어, 고형상 제2 화장료로 되면, S5에서 몰드를 탈거하고 플레이트를 뒤집어,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를 수용한 플레이트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 용기로 바로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형상 화장료의 사진의 예시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격벽의 개수나 화장료 조성물의 종류의 수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의 바닥에는 슬릿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고, 슬릿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격벽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격벽은, 플레이트, 격벽, 및 몰드의 조립체에 복수 개(예: 3개 이상)의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영역에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화장료 조성물을 충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플레이트의 바닥에는 2 개의 슬릿이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는 2 개의 격벽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 개의 격벽은, 플레이트의 내부에 제1, 제2, 제3 영역을 형성 또는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3 영역에는 각각 제1, 제2, 제3 화장료 조성물이 충진되어 경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바닥에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에서 상기 슬릿을 경계로 갖는 양 영역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바닥의 외면에서 내면 방향으로 상기 슬릿에 삽입될 수 있는 격벽;
    상기 플레이트의 내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플레이트가 조립될 수 있는 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상에는 화장료 조성물이 경화되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경화되면, 상기 플레이트를 뒤집은 후 상기 몰드를 제거하고, 상기 몰드와 맞닿았던 경화된 상기 화장료 조성물 부분이 노출되는,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 제조를 위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바닥의 일 가장자리(edge)에서 상기 바닥의 다른 가장자리(edge)까지 형성되는,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 제조를 위한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도형모양의 관통홀이며, 상기 격벽의 외면은 상기 도형모양에 상응하는,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 제조를 위한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의 내면은 입체적으로 굴곡진 형상이거나 또는 평면이고,
    상기 격벽의 끝단은, 상기 몰드의 내면의 일 영역에 완전히 접촉하도록 상기 몰드의 형상에 상응하는,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 제조를 위한 용기.
  5. 플레이트의 바닥에 형성된 슬릿에 격벽을 삽입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내면이 몰드의 내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몰드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바닥에서 상기 슬릿을 경계로 갖는 양 영역 각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 중, 제1 영역에 형성된 제1 관통홀을 통해 제1 화장료 조성물을 충진하고 상기 제1 화장료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격벽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 중 제2 영역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을 통해 제2 화장료 조성물을 충진하고, 상기 제2 화장료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 상에 경화된 상기 제1, 제2 화장료 조성물로부터 상기 몰드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화장료 조성물이 경화되면, 상기 플레이트를 뒤집은 후 상기 몰드를 제거하고, 상기 몰드와 맞닿았던 경화된 상기 제1, 제2 화장료 조성물 부분이 노출되는,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장료 조성물을 충진하는 동안,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 중, 상기 제1 관통홀이 아닌 관통홀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는,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의 제조 방법.
KR1020200067860A 2020-06-04 2020-06-04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용기 KR102368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860A KR102368129B1 (ko) 2020-06-04 2020-06-04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860A KR102368129B1 (ko) 2020-06-04 2020-06-04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880A KR20210150880A (ko) 2021-12-13
KR102368129B1 true KR102368129B1 (ko) 2022-02-28

Family

ID=78831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860A KR102368129B1 (ko) 2020-06-04 2020-06-04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1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2247A (ja) * 2009-08-05 2011-02-17 Key Tranding Co Ltd 多色湿式化粧料の充填方法
JP2017024783A (ja) 2015-07-27 2017-02-02 紀伊産業株式会社 固形化粧料の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485B2 (ja) * 1992-06-30 2001-03-12 株式会社コーセー 複数種粉末化粧料の充填方法
KR200455559Y1 (ko) * 2008-10-13 2011-09-15 (주)아모레퍼시픽 멀티 컬러 립스틱을 생산하기 위한 립스틱 성형치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2247A (ja) * 2009-08-05 2011-02-17 Key Tranding Co Ltd 多色湿式化粧料の充填方法
JP2017024783A (ja) 2015-07-27 2017-02-02 紀伊産業株式会社 固形化粧料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880A (ko) 202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1158B1 (ko)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
KR102368129B1 (ko) 구획화된 고형상 화장료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용기
KR20170133915A (ko) 립스틱 제조용 몰드블록 조립체
JP5437653B2 (ja) 樹脂充填コネクタ
EP1120212A1 (en) A method of producing pottery ornament densely covered with tiny edges and corners
JPS63216321A (ja) ブラスチツク容器入りコンデンサとその製造方法
JP2005059394A (ja) 横筋ブロック及び横筋ブロック成型用引抜きコアー
JP5369983B2 (ja) 防爆型無線機、及び防爆型無線機の充填剤充填方法。
JP7105901B2 (ja) 変圧射出型、射出靴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88834A (ja) 樹脂被覆用型及び樹脂被覆部品の製造方法
KR101133690B1 (ko) 구획된 내부를 갖는 튜브 제조장치
JPS6218433Y2 (ko)
US6010655A (en) Method of making a ceramic ornament having short undercuts on surface thereof
US839748A (en) Mold.
JP3197246U (ja) テープ貼り付け装置の2色ハンドルモールド金型
JP2001121583A (ja) ゴム製品用複数個取り金型
JP4200050B2 (ja) 射出プレス成形方法
CN208867406U (zh) 一种用于灌装口蜡时固定包装壳的装置
JP2652254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製造方法
KR101007011B1 (ko) 옹벽블록 제작방법과 옹벽블록 제작용 형틀
JPS5916609B2 (ja) コンクリ−ト壁体等の穴埋めに用いる穴埋めコンの製造方法
US1470021A (en) Process of forming receptacles
JPH07163081A (ja) モールドモータ
KR100535570B1 (ko) 트럭의 로워덕트 및 그 제조방법
JPS6023131Y2 (ja) 断熱壁体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