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158B1 -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158B1
KR102341158B1 KR1020210120399A KR20210120399A KR102341158B1 KR 102341158 B1 KR102341158 B1 KR 102341158B1 KR 1020210120399 A KR1020210120399 A KR 1020210120399A KR 20210120399 A KR20210120399 A KR 20210120399A KR 102341158 B1 KR102341158 B1 KR 102341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 gravity
weight
cover
block
gravity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자원
Priority to KR1020210120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Landscapes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은, 합성수지 소재를 이용하여 내부가 비고 바닥면이 구비된 웨이트틀을 사출성형하는 웨이트틀 제작단계, 웨이트틀 내에 삽입될 다수 개의 비중블럭을 제작하는 비중블럭 제작단계, 비중블럭을 웨이트틀 내에 삽입하는 비중블럭 삽입단계, 비중블럭 및 웨이트틀이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을 체결하는 비중블럭 고정단계 및 비중블럭들 사이에 마련되는 비중조정구간에 추가비중물을 삽입하여 비중을 조정하는 비중 조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ASSEMBLY TYPE MANUFACTURING METHOD OF ELEVATOR WEIGHT}
본 발명은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화 공정을 통해 생산되는 비중물을 이용하여 제조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에 설치되어 승객이나 화물을 실어나르는 엘리베이터는, 무게로 기능을 조정하는 웨이트가 설치된다. 엘리베이터 웨이트는, 통상 냉연강판을 이용하여 샤링, 절곡, 용접, 타설, 양생, 클리닝, 도색, 포장의 공정을 거쳐 생산된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웨이트는 3가지 공정을 거쳐 바닥면이 없는 웨이트틀을 제작하고, 바닥면이 없는 웨이트틀은, 타설 공정에서 판 형태를 이루는 철판 위에 얹은 상태에서 비중물을 투입하며, 일 웨이트틀에 비중물을 투입한 다음, 일 웨이트틀 위에 철한을 올리고 올려진 철판 위에 타 웨이트틀을 올려 타 웨이트틀에 비중물을 투입하는 방법으로 제작되었다.
이와 같은 타설 공정 시, 비중물을 웨이트틀의 상단까지 채워야 하는데, 이를 맞추기가 어려워 비중물이 웨이트틀 바깥으로 흘러내리게 되는 바, 흘러내린 비중물을 닦아야 하는 불편이 따르고, 양생 공정을 진행하기 전 웨이트틀 사이에 끼워진 철판을 모두 제거하여야 하며, 양생 공정에서 비중물이 완전히 마르기 전까지 웨이트틀의 바닥이 뚫려있어 아래로 물이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자동화 설비를 사용하여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1604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화 설비로 제작된 비중블럭을 사용함으로써, 간편하게 제작 가능한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수 개의 비중블럭이 돌기와 홈으로 체결됨으로써, 비중블럭이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는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비중조정구간이 마련됨으로써, 웨이트의 비중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웨이트 측면에 고정수단을 체결함으로써, 웨이트틀 및 비중블럭이 쉽게 분리되지 않는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커버 및 비중블럭이 돌기와 홈으로 체결됨으로써, 커버 및 비중블럭이 좌우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수 개의 비중블럭을 조립형으로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웨이트와는 달리 웨이트에 크랙이 생겨도 블럭 단위로 교체할 수 있어 경제적인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은, 합성수지 소재를 이용하여 내부가 비고 바닥면이 구비된 웨이트틀을 사출성형하는 웨이트틀 제작단계, 웨이트틀 내에 삽입될 다수 개의 비중블럭을 제작하는 비중블럭 제작단계, 비중블럭을 웨이트틀 내에 삽입하는 비중블럭 삽입단계, 비중블럭 및 웨이트틀이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을 체결하는 비중블럭 고정단계 및 비중블럭들 사이에 마련되는 비중조정구간에 추가비중물을 삽입하여 비중을 조정하는 비중 조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비중블럭 제작단계는, 일측면 중앙에 고정홈이 마련되는 제1비중블럭 및 양측면 하단에 고정돌기가 마련되는 제2비중블럭을 제작하되, 제1비중블럭 및 제2비중블럭은, 기설정된 깊이로 마련되는 다수 개의 블록고정홈을 포함하며, 웨이트틀의 내측 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면, 비중 조정단계 이후에, 웨이트틀 상단에 커버를 조립하는 커버 조립단계를 더 포함하되, 커버 조립단계는, 커버 하단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높이로 커버중앙돌기가 마련되는 커버를 상단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깊이로 중앙고정홈이 마련되는 비중블럭에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면 커버 조립단계 이후에, 커버 및 비중블럭이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을 체결하는 커버 고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화 설비로 제작된 비중블럭을 사용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웨이트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비중블럭이 돌기와 홈으로 체결됨으로써, 비중블럭이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비중조정구간이 마련됨으로써, 웨이트의 비중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 측면에 고정수단을 체결함으로써, 웨이트틀 및 비중블럭이 쉽게 분리되지 않는 웨이트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및 비중블럭이 돌기와 홈으로 체결됨으로써, 웨이트의 커버 및 비중블럭이 좌우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웨이트에 크랙이 생겨도 블럭 단위로 교체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의 제1 실시례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웨이트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비중블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웨이트틀 및 비중블럭의 조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정수단을 체결하여 웨이트틀 및 비중블럭 고정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추가비중물을 삽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의 제2 실시례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중앙고정홈을 포함하는 비중블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중앙고정홈을 포함하는 비중블럭 및 커버중앙돌기를 포함하는 커버의 조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의 제3 실시례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정수단을 체결하여 커버 및 비중블럭 고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례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례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인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의 제1 실시례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은 웨이트틀 제작단계(S10), 비중블럭 제작단계(S20), 비중블럭 삽입단계(S30), 비중블럭 고정단계(S40) 및 비중 조정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10)에서는 합성수지 소재를 이용하여 내부가 비고 바닥면이 구비된 웨이트틀(100)을 사출성형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틀은 도 2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웨이트틀(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웨이트틀(100)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수지 소재를 이용하여 사출성형할 수 있다. 사출성형 시 상기 웨이트틀(100)은 내부가 비고 바닥면이 구비되며 상면이 개방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이트틀(100)은 후술될 커버(300)를 조립할 수 있도록 내부 코너 상단에 다수 개의 커버수용홈(1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이트틀(100)은 후술될 비중블럭(20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내부 양측면에 다수 개의 블럭고정돌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양측벽에 양단이 고정되는 다수 개의 지지리브(130)가 소정 간격이격되어 구비되도록 상기 웨이트틀(100)을 사출성형함으로써, 상기 웨이트틀(100)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단계(20)에서는 상기 웨이트틀(100) 내에 삽입될 다수 개의 비중블럭(200)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비중블럭(200)은 도 3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비중블럭(200)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비중블럭(200)은 상기 웨이트틀(100)의 형상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이 돌출된 모양의 제1비중블럭(210) 및 직육면체 형상의 제2비중블럭(220)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비중블럭(210)은 일측면 중앙에 상기 제2비중블럭(220)과 결합될 고정홈(21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비중블럭(220)은 양측면 하단에 상기 고정홈(211)에 체결될 고정돌기(22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중블럭(200)은 양측면에 상기 블럭고정돌기(120)가 체결될 다수 개의 블럭고정홈(23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중블럭(200)은 상기 다수 개의 지지리브(130)와 대응되는 형상의 다수 개의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비중블럭(200)은 상기 웨이트틀(100)의 내측 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단계(30)에서는 상기 비중블럭(200)을 상기 웨이트틀(100) 내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단계(30)는 도 4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웨이트틀(100) 및 비중블럭(200)의 조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웨이트틀(100) 및 상기 비중블럭(200)에 마련되는 돌기를 홈에 맞게 조립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비중블럭(200) 사이에 비중조정구간(140)이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단계(40)에서는 상기 비중블럭(200) 및 상기 웨이트틀(100)이 고정되도록 고정수단(400)을 체결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400)의 체결은 도 5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정수단을 체결하여 웨이트틀(100) 및 비중블럭(200) 고정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중블럭(200)이 삽입된 상기 웨이트틀(100) 측면에 다수 개의 고정수단(400)을 체결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400)은 나사, 볼트 등의 피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웨이트틀(100)의 측벽을 통과하여, 상기 비중블럭(20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400)이 체결됨으로써, 상기 비중블럭(200)이 상기 웨이트틀(100) 안에서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단계(50)에서는 상기 비중블럭(200)들 사이에 마련되는 비중조정구간(140)에 추가비중물(500)을 삽입하여 비중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추가비중물(500) 삽입은 도 6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추가비중물(500)을 삽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추가비중물(500)은 육면체 및 구 등 여러가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미리 준비된 상기 추가비중물(500)을 상기 비중조정구간(140)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비중블럭(200)만으로는 부족한 비중을 추가하여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의 제2 실시례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비중 조정단계(S50) 이후에 커버 조립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60)에서는 상기 커버(300) 하단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높이로 커버중앙돌기(310)가 마련되는 커버(300)를 상단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깊이로 중앙고정홈(240)이 마련되는 상기 비중블럭(200)에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커버(300)는 도 8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커버(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300)는 커버중앙돌기(310) 및 커버고정돌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중앙돌기(3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300) 하단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커버고정돌기(320)는 상기 커버(300) 하단 각 코너에 기설정된 높이만큼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중앙고정홈(240)을 포함하는 비중블럭(2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비중블럭(200)은 도 3에 도시된 비중블럭(200)에서 중앙고정홈(240)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중앙고정홈(240)은 상기 비중블럭(200) 상단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깊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중앙돌기(310)가 마련되는 상기 커버(300)를 조립하기 위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고정홈(240)을 더 포함하는 상기 비중블럭(200)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커버(300) 조립 과정을 도 10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중앙고정홈(240)을 포함하는 비중블럭(200) 및 커버중앙돌기(310)를 포함하는 커버의 조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비중블럭(200)에 마련되는 상기 중앙고정홈(240)에 상기 커버(300)에 마련되는 상기 커버중앙돌기(310)가 체결되고, 상기 웨이트블럭(100)에 마련되는 상기 커버수용홈(110)에 상기 커버고정돌기(320)가 체결되어 상기 커버(300)가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중앙고정홈(240) 및 상기 커버중앙돌기(310)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비중블럭(200) 및 상기 커버(300)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수용홈(110)과 상기 커버고정돌기(320)는 쐐기형상의 돌기와 결속턱을 포함하는 수용홈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의 제3 실시례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커버 조립단계(S60) 이후에 커버 고정단계(S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70)에서는 상기 커버(300) 및 상기 비중블럭(200)이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수단(400)을 체결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400) 체결은 도 12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정수단(400)을 체결하여 커버 및 비중블럭 고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웨이트틀(100)에 조립된 상기 커버(300) 위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고정수단(400)을 체결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400)이 상기 커버(300) 위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커버(300)를 상기 웨이트틀(100) 및 상기 비중블럭(200)과 떨어지지 않도록 더욱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르면, 자동화 설비로 제작된 비중블럭을 사용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웨이트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비중블럭이 돌기와 홈으로 체결됨으로써, 비중블럭이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고, 비중조정구간이 마련됨으로써, 웨이트의 비중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 측면에 고정수단을 체결함으로써, 웨이트틀 및 비중블럭이 쉽게 분리되지 않는 웨이트를 제작할 수 있으며, 커버 및 비중블럭이 돌기와 홈으로 체결됨으로써, 웨이트의 커버 및 비중블럭이 좌우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웨이트에 크랙이 생겨도 블럭 단위로 교체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웨이트틀
110: 커버수용홈
120: 블럭고정돌기
130: 지지리브
140: 비중조정구간
200: 비중블럭
210: 제1비중블럭
211: 고정홈
220: 제2비중블럭
221: 고정돌기
230: 블럭고정홈
240: 중앙고정홈
300: 커버
310: 커버중앙돌기
320: 커버고정돌기
400: 고정수단
500: 추가비중물

Claims (4)

  1. 합성수지 소재를 이용하여 내부가 비고 바닥면이 구비된 웨이트틀을 사출성형하는 웨이트틀 제작단계(S10);
    상기 웨이트틀 내에 삽입될 다수 개의 비중블럭을 제작하는 비중블럭 제작단계(S20);
    상기 비중블럭을 상기 웨이트틀 내에 삽입하는 비중블럭 삽입단계(S30);
    상기 비중블럭 및 상기 웨이트틀이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을 체결하는 비중블럭 고정단계(S40); 및
    상기 비중블럭들 사이에 마련되는 비중조정구간에 추가비중물을 삽입하여 비중을 조정하는 비중 조정단계(S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블럭 제작단계(S20)는,
    일측면 중앙에 고정홈(211)이 마련되는 제1비중블럭(210) 및 양측면 하단에 고정돌기(221)가 마련되는 제2비중블럭(220)을 제작하되,
    상기 제1비중블럭(210) 및 상기 제2비중블럭(220)은,
    기설정된 깊이로 마련되는 다수 개의 블록고정홈(230)을 포함하며, 상기 웨이트틀(100)의 내측 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 조정단계(S50) 이후에,
    상기 웨이트틀 상단에 커버를 조립하는 커버 조립단계(S6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 조립단계(S60)는, 상기 커버(300) 하단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높이로 커버중앙돌기(310)가 마련되는 커버(300)를 상단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깊이로 중앙고정홈(240)이 마련되는 상기 비중블럭(200)에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조립단계(S60) 이후에,
    상기 커버 및 상기 비중블럭이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수단(400)을 체결하는 커버 고정단계(S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
KR1020210120399A 2021-09-09 2021-09-09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 KR102341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399A KR102341158B1 (ko) 2021-09-09 2021-09-09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399A KR102341158B1 (ko) 2021-09-09 2021-09-09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158B1 true KR102341158B1 (ko) 2021-12-21

Family

ID=79165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399A KR102341158B1 (ko) 2021-09-09 2021-09-09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1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293B1 (ko) * 2022-04-14 2022-09-01 주식회사 엠에스자원 하부 개방형 웨이트틀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
KR102610501B1 (ko) * 2023-05-12 2023-12-06 주식회사 엠에스자원 무게 조정이 가능한 웨이트틀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
KR102654941B1 (ko) * 2023-11-07 2024-04-04 주식회사 엠에스자원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660U (ko) * 1993-02-25 1994-09-17 엘리베이터의 조립식 서브웨이트의 구조
KR101216047B1 (ko) 2012-03-09 2012-12-27 주식회사 삼중승강기 엘리베이터용 웨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660U (ko) * 1993-02-25 1994-09-17 엘리베이터의 조립식 서브웨이트의 구조
KR101216047B1 (ko) 2012-03-09 2012-12-27 주식회사 삼중승강기 엘리베이터용 웨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293B1 (ko) * 2022-04-14 2022-09-01 주식회사 엠에스자원 하부 개방형 웨이트틀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
KR102610501B1 (ko) * 2023-05-12 2023-12-06 주식회사 엠에스자원 무게 조정이 가능한 웨이트틀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
KR102654941B1 (ko) * 2023-11-07 2024-04-04 주식회사 엠에스자원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1158B1 (ko) 조립형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
US4811770A (en) Structural element for a building
KR101439488B1 (ko) 슬래브 성형용 탈형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EP1207987A1 (en) Lost mould element for manufacturing reinforced concrete flat slabs
EP1045796B1 (en) Prefabricated pallet
KR101731382B1 (ko) 철근 삽입이 용이한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성형장치
KR20180072267A (ko) 건축물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KR102439293B1 (ko) 하부 개방형 웨이트틀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
EP0305082A1 (en) Pallets
KR101756466B1 (ko) 경계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KR102318869B1 (ko)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방법
US20210016927A1 (en) Packaging base pad with plastic corners
KR200380133Y1 (ko) 콘크리트판넬 성형틀
KR101781968B1 (ko) 적층가능한 와플형 슬래브 거푸집
KR10221380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방법
KR101693331B1 (ko) 다용도 철재 파렛트
JPH0624343Y2 (ja) 合成樹脂発泡体製パレット
KR101163135B1 (ko) 일부가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내측 거푸집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102148694B1 (ko) 경량 보온 블록
KR10226869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방법
KR101564435B1 (ko)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
KR102543584B1 (ko) 서포트 존치 및 조기탈형이 가능한 와플폼 시스템
KR102328150B1 (ko) 확장가능한 수납장
CA1109239A (en) Moulds, countermoulds and pallets or trays for the manufacture of bricks or building blocks with male- female fitting
RU2660689C1 (ru) Форм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пли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